KR100297395B1 -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395B1
KR100297395B1 KR1019930027439A KR930027439A KR100297395B1 KR 100297395 B1 KR100297395 B1 KR 100297395B1 KR 1019930027439 A KR1019930027439 A KR 1019930027439A KR 930027439 A KR930027439 A KR 930027439A KR 100297395 B1 KR100297395 B1 KR 100297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data
communication
master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436A (ko
Inventor
다나카시게오
요시까와준
고타베노리코
수기야마고유이치
사토메코토
가추야마아키라
오사카베요시오
구사가야야수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4001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1Packet processing; Packe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5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with control bus for exchanging commands between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47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daisy chain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가 간단하고, 통신속도를 높일 수 있고, 수신측의 조회를 행하지 않아도, 수신측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를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방법에 있어서, 1개의 커맨드를 1개의 패킷으로 송신하고, 커맨드수신후, 소정시간내에 처리가 종료하지 않아도, 송신측에 경과보고를 행하도록 구성되므로, 커맨드의 처리가 간단하고 통신속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방법
제 1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이 적용되는 AV시스템의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 2도는 제 1도의 D2B버스(21)상을 전송되는 통신패킷 데이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3도는 본 발명의 커맨드 송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데이타 송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5도는 본 발명의 상태 조회 커맨드에 대한 상태회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6도는 본 발명의 상태자동발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7도는 본 발명의 멀티플 어드레스에 있어서 상태자동발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8도는 본 발명의 멀티플 어드레스(multiple address)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9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원터치 재생(one touch play)의 통신 데이타의 흐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0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정상종료의 경우의 통신 데이타의 흐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1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패킷이 정확히 송신 혹은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의 통신 데이타의 흐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2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송신에러의 경우의 통신 데이타의 흐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3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락모드의 복수 데이타 패킷(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연락모드의 최후의 데이타패킷을 수신한 경우(정상)와 수신하지 않은 경우(이상)의 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4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패킷을 정확히 수신할 수 있었지만 정상으로 종료할 수 없었을 때 처리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5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수신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 16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타이머 인터럽트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 17도는 마스터기기로부터 슬레이브기기에 대하여 커맨드(CMD)를 보내고, 그후 조회를 행하는 종래의 통신방법의 일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8도는 상대기기의 상태를 조회하는 것만의 종래의 통신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9도는 상대기기에 명령을 보내고 명령의 결과를 조회하는 종래의 통신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0도는 종래의 D2B사양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통신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D2B 통신처리 CPU 13 : CRT
14 : 메시지 표시회로 15 : 버퍼군
18 : 전환기 21 : D2B 버스
30 : 제 1VTR 40 : 제 2VTR
50 : LDP
본 발명은, AV(오디오/비디오)시스템에 적합한 통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신방법은, 기본적으로 제 17도에 나타낸 것같이, 마스터기기로부터 슬레이브기기에 대하여 커맨드(CMD)를 보내고 그 후 조회하는 방법이 있으므로, 상대 기기(슬레이브기기)의 처리가 종료하지 않으면, 언제라도 조회를 계속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버스상에 많은 데이타가 전송되고, 버스가 혼잡하는 원인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마스터기기 및 슬레이브기기에는, 각각, 원래 필요한 마스터 송신버퍼 및 슬레이브 수신버퍼에 더하여져, 마스터수신(CET-ANS)용 버퍼및 슬레이브송신용 버퍼가 필요하였다.
제 18도는, 상대기기의 상태를 조회하는 통신방법의 예를 나타내고, 제 19도는, 상대기기에 커맨드(CMD=명령)를 보내고, 커맨드의 결과를 조회하는 종래의 통신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고 있는 것같이, 어느 커맨드를 보내는 것에, 패킷(프레임)의 송신순서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통신처리용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은, 여러가지의 양태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으면 아니되고, 처리수가 많고, 프로그램의 작성작업도 곤란하였다.
제 20도는, 종래의 D2B 사양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통신양태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낸 것같이, REQUEST(조회=질문)및 GET-ANS(질문의 답을 꺼냄)를 위해서, 상대의 커맨드(명령)을 보내고, 명령의 결과를 조회하는 경우에는, 5패킷을 필요로 하고, 상대에 조회를 행하고, OK되면 커맨드를 보내는 경우에는 7패킷을 필요로 하고 있다. 각 패킷은, [보내야할 데이타]의 외에, [모드], [상대기기어드레스], [송신가능하였던 기기의 어드레스], [송신패킷의 종류]를 포함하기 때문에, 많은 패킷의 통신은 통신속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 제 20도의 종래의 통신방법에서는, "END"커맨드패킷으로 상대기기(슬레이브기기)의 락을 해제하므로, 1패킷여분으로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 "END"커맨드 1패킷보내는 것에는, 어드레스등 패킷의 머리부분의 데이타도 필요하므로 47비트 보내지않으면 아니되었다. 또, 락은 마스터기기에서 보내질 수 있었던 락통신 데이타패킷에 의해, 그 마스터기기이외의 기기로부터의 명령패킷을 받아들이지 않게 된다고 하는 것을 말한다. 락을 해제하기에는, 락 상태(lock status)(마스터기기)에서 언락(unlock)통신 데이타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언락상태로 되면, 어느 기기에서도 데이타를 수신할수 있도록 된다.
종래, 커맨드(CMD)는, 복수의 패킷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신측은, 최초의 패킷수신에 의해 락되고 최후의 패킷수신에 의해 언락되지만, 언락용의 패킷이 보내져오지 않으면, 락상태가 계속되고 다른 기기에서의 수신을 행하지 않게 되어버린다. 여기에서, 종래 수신측은 락모드의 패킷을 수신하면서, 락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 언락용패킷이 보내져오지 않아도, 일정시간후에 언락모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는 언락으로 하기 위한 타이머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처리가 간단하고, 통신속도를 높일 수 있는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수신측에 조회를 행하지 않아도, 수신측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수신측이 커맨드를 위한 언락용 타이머를 갖출 필요가 없는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의 목적은, 데이타송신의 경우에, 수신측이 전부의 패킷에 대하여 락타이머를 움직일 필요가 없는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은, 버스를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방법에 있어서, 1개의 커맨드를 1개의 패킷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은, 커맨드수신후, 소정시간내에 처리가 종료하지 않아도, 송신측에 경과보고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은, 커맨드를 상시 언락로드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은,데이타통신의 경우, 최초의 패킷으로부터 최후에서 1개 전의 패킷까지 락모드로 송신하고, 최후패킷은 언락모드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에 있어서는, 1개의 커맨드를 1개의 패킷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커맨드의 처리가 간단하고 통신속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에 있어서는, 커맨드수신후, 소정시간내에 처리가 종료하지 않아도, 송신측에 경과보고가 행해진다. 따라서, 수신측에 조회를 행하지 않아도 수신측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에 있어서는, 커맨드를 상시 언락모드로 송신된다. 따라서, 수신측은 커맨드를 위한 언락용 타이머를 갖출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에 있어서는, 데이타송신의 경우, 최초의 패킷으로부터 최후에서 1개 전의 패킷까지 락모드로 송신되고, 최후패킷은 언락모드로 송신된다.
따라서, 데이타송신의 경우에, 수신측이 전부 패킷에 대하여 락타이머를 움직이게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실시 예]
제 1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의 적용대상인 AV시스템의 일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조작버튼(1)을 조작하면, 인터페이스(3)를 통하여 CPU(4)에 소정의 커맨드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동일하게 커맨드(12)를 조작하면, 커맨드(12)로부터 적외선이 출사되고, 수신부(2)에 의해 이 적외선이 수광된다. 그 결과, 수신부(2)에서 인터페이스(3)을 통하여, 역시 CPU(4)에 대하여 소정의 커맨드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CPU(4)는 입력된 커맨드를 처리하고, 튜너(16)에 대한 선국명령을 출력한다든지 후술의 D2B통신처리 CPU(9)에 대하여 내부버스(20)를 통하여 커맨드를 출력한다(또, CPU(4)와 튜너(16)와의 사이도 내부버스(20)로 접속되어 있지만, 간단히 하기위해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ROM(5)은, CPU(4)가 동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RAM(6)은, CPU(4)의 처리의 결과얻어진 데이타등을 기억한다. 불휘발성메모리(7)는, 전원오프(off)후도 기억하여 둘 필요가 있는 데이타, 예를 들면, 다른 AV기기(제 1VTR(비디오 테이프 레코더)(30), 제 2VTR(40) 및 LDP(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50)와의 접속상태등을 기억한다. 클럭타이머(8)는, 계시동작을 상시 행하고 있고, 시각정보를 발생하고 있다.
CPU(4), ROM(5), RAM(6) 및 클럭타이머(8)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성한다.
D2B 통신처리 CPU(9)는 내부버스(20)를 통해서 CPU(4)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D2B 통신처리 IC(10) 및 D2B버스(21)를 통하여 제 1VTR(30), 제 2VTR(40), 및 LDP(50)등의 다른 AV기기와 시리얼로 접속되고, 데이타 및 커맨드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 D2B 통신처리 CPU(9)용의 ROM 및 RAM도 설치되어 있지만,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CPU(9)는 버퍼군(15)에 접속되어 있고, 데이타를 수신하면, 버퍼군(15)의 안에 수신데이타에 대응한 버퍼에 기억한다. 즉, CPU(9)는, 헤더(헤더는 송신선/송신원 정보인 루트정보를 포함한다.)를 수신하면, 헤더버퍼에 기억하고, 커맨드(CMD)를 수신하면, 커맨드버퍼에 기억하고, OSD데이타(온 스크린 데이타)를 수신하면, 0SD 데이타버퍼에 기억하고 리퀘크트(REQ)를 수신하면, 리퀘스트버퍼에 기억한다. 또, CPU(9)는, 리퀘스트에 대한 회신을 리퀘스트회신용 버퍼에 기억한다. 또, 버퍼군(15)은, CPU(9)용 RAM을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VTR(30)은, AV신호선(31)을 통하여 전환기(18)의 단자(T1)에 접속되고, 전환기(18)와의 사이에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 2VTR(40)은 AV신호선(41)을 통하여 전환기(18)의 단자(T2)에 접속되고, 전환기(18)와의 사이에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LDP(50)는 AV신호선(51)을 통하여 전환기(18)의 단자(T3)에 접속되고, 전환기(18)와의 사이에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환기(8)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는 CPU(6 혹은 9)에 의해 선택되도록 되어 있다.
CRT(음극선관)(13)는 전환기(18)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가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한다. 또는, 메시지표시회로(14)는, CPU(9)로부터 내부버스(20)를 통하여 보내져 오는 0SD데이타를 메시지로서 CRT(13)의 소정영역에 표시한다. 또는, 전환기(18)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에 의해 재생된다.
제 1도의 조작버튼(1), 수신부(2), 인터페이스(3), CPU(4), ROM(5), RAM(6), 불휘발성메모리(7), 클럭타이머(8), D2B통신처리CPU(9), D2B통신처리IC(10), CRT(13), 메시지표시회로(14), 튜너(16), 전환기(18) 및 스피커(도시생략)는, AV센터 즉 텔레비젼 수상기(100)를 구성한다.
제 1VTR(30), 제 2VTR(40) 및 LDP(50)도, AV센터(100)의 D2B통신처리CPU(9) 및 버퍼군(15)에 각각 대응하는 D2B통신처리CPU 및 버퍼군을 갖추고 있고, D2B버스(21)를 통하여, 헤더, 커맨드, 리퀘스트, 및 OSD데이타등을 송수신한다.
후술의 마스터기기는, AV센터(100), 제 1VTR(30), 제 2VTR(40) 및 LDP(50)의 어느것이고, 슬레이브기기도, AV센터(100), 제 1VTR(30), 제 2VTR(40) 및 LDP(50)의 어느것이다.
제 2도는, 제 1도의 D2B버스(21)상을 전송되는 통신패킷데이타의 일예를 나타낸다. 제 2도중, 마스터 어드레스비트는, 송신측의 기기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슬레이브어드레스비트는, 수신측의 기기어드레스를 나타내도, 어크노리지비트는 수신측으로부터 송신측에 보내는 각 바이트마다의 어크노리지(ACK)신호/낫어크노리지(NAK)신호이고, 컨트롤비트는 패킷의 종류 및 락/언락의 지정을 행한다. 모드1의 경우, 최대텍스트데이타는 32바이트이다.
제 3도는 본 발명의 커맨드송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마스터기기로부터 슬레이브기기로의 한개의 커맨드/데이타가 한개의 패킷으로 종료한다. 한개의 커맨드/데이타는 언락모드로 송신된다. 커맨드/데이타를 수신한 슬레이브기기는, 마스터송신으로 상태를 되돌린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데이타송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OSD데이타나 투과데이타등의 데이타를 복수패킷(프레임)으로 송신하기에는, 먼저, 마스터기기는, 최초의 패킷으로, 송신상대(슬레이브기기)의 통신디바이스가 다른기기로부터의 신호를 받을수 없도록 락을 건다. 구체적으로는, 언락모드에서의 데이타전송의 경우에 "F"H인 컨트롤비트의 값을 "B"H로 전송한다. 그리고, 복수패킷의 최후의 패킷의 컨트롤비트의 값을 "F"H로 하고 언락으로 한다. 수신측이 락된채로 언락모드의 패킷이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경우의 불편을 회피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락된후 1s간 수신패킷이 없는 경우 언락으로 하는 락타이머를 준비하고, 이 락 타이머를 락모드의 패킷을 수신한 시점에서 스타트시켜도 좋다.
제 5도는 본 발명의 상태조회 커맨드에 대한 상태회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마스터기기로부터 슬레이브기기에 조회 커맨드를 보내고 이 커맨드를 받은 슬레이브기기는 마스터송신으로 상태를 되돌린다.
제 6도는 본 발명의 상태자동발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제 1도의 VTR(30 및 40) 및 LDP(50)는 이들의 기기의 상태가 변화하면서 그 내용을 AV센터(100)에 보고함으로써, AV센터(100)는 여분의 조회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좋게 된다. 따라서, 버스(21)에 불필요한 전송신호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통신 효율이 향상한다.
제 7도는, 본 발명의 멀티플 어드레스에 있어서 상태자동발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8도는 본 발명의 멀티플 어드레스(mutiple address)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개이상의 기기가 시간적으로 정확한 처리가 필요한 경우, 기준으로 되는 기기로부터 멀티플 어드레스기능을 사용하여 시간정보등을 송신하여도 좋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정확히 동기가 취해진 피쳐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멀티플 어드레스이외의 통신은, 일대일 통신으로, 수신측이 필요한 비트레벨의 어크노리지신호(ACK)/낫어크노리지신호(NAK)를 보내지만, 멀티플 어드레스에서는, 비트레벨의 ACK/NAK의 송신은, AV센터(100)만을 행한다. 그리고, ACK,/NAK의 송신타이밍으로는, AV센터(100)이외의 기기는, [1]에서도 [0]에서도 없고, 오픈상태로 할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멀티플 어드레스시, 슬레이브기기로부터 바이트마다의 NAK를 받은 때에는, 그것으로주터 예를 들면 25㎳이상경과후, 마스터송신을 오게 되어, 바이트마다의 ACK는 나오지 않도록 슬레이브기기에 대하여 언락모드에서 커맨드를 보내도 좋다. 이 커맨드는, 최대 3회까지 송신한다.
제 9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원터치 플레이(one touchplay)시의 통신 데이타의 흐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VTR은 플레이버튼이 눌려져 플레이 실행후, TV 즉 AV센터에 TV내 접속커맨드를 보내고, TV는 내부접속처리가 완료하면, VTR에 완료보고한다. 그후, VTR은 OSD표시커맨드/OSD데이타를 TV로 송신하고 TV는 OSD표시처리후 VTR에 처리완료보고를 행한다.
제 10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정상종료의 경우의 통신 데이타의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스터기기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한 슬레이브기기는, 내부처리종료후, 마스터기기에 정상종료보고를 행하지만, 예를 들면 100㎳이내로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커맨드수신후 100㎳경과후 마스터기기에 "비지"를 되돌리고, 그후 25㎳이내로 종료한 경우에는 상기 "비지"를 되돌린 후, "처리완료"의 회신을 보내고 상기 "비지"를 되돌린후 1s이내에 처리가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1s마다에 "처리중/비지"의 회신를 되돌린다. 이와 같이, 슬레이브기기가 커맨드수신후 소정시간내에 처리가 완료하지 않아도, 송신측에 경과보고를 행함으로 마스터기기는 슬레이브기기에 조회를 행하지 않아도 슬레이브기기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 100㎳, 25㎳ 및 1s는, 간단하게 되는 예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여러가지의 값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1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패킷이 정확히 송신 혹은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의 통신 데이타의 흐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마스터기기가 슬레이브기기로부터 바이트마다 ACK/NAK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1패킷중에 마스터기기가 NAK를 받은 예이다. 슬레이브기기는 NAK를 송신한 경우 즉 수신에러의 경우에는 처리를 행하지 않고, 마스터기기는 NAK를 수신한 경우 즉 송신에러의 경우에는 25㎳경과후, 다시 커맨드를 송신한다.
제 12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송신에러의 경우의 통신 데이타의 흐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맨드를 송신한 기기는 소정시간(예를 들면 100㎳)이내에 상대기기로부터 회신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최대3회까지 커맨드를 재송한다. 상대기기로부터 회신이 오지않은 원인으로서는 상대기기가 당해 기기에 회신를 보냈지만 수신에러를 위해서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상대기기가 고장으로 회신을 지연하지 않은 경우 및 수신한 회신이 의미불명의 경우등이다.
제 13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락모드의 복수 데이타패킷(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언락모드의 최후의 데이타패킷을 수신한 경우(정상)과, 수신하지 않은 경우의 (이상)의 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언락모드의 최후의 데이타패킷을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락바이머를 스타트시켜 예를 들면 1000㎳경과후에, 언락모드로 한다.
제 14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패킷을 정확히 수신할수 있었지만 정상적으로 종료할 수 없는 경우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4a도는 슬레이브기기가 커맨드를 수신하였지만, 그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예이다. 제 14b도는 슬레이브기기가 커맨드를 수신하였지만 그 커맨드에 대응하는 기능이 없었던 예이다. 제 14c도는 슬레이브기기가 커맨드를 수신하였지만, 소정시간이내에 처리가 완료하지 않았던 예이다.
제 15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수신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패킷을 수신하면 제 1도의 D2B 통신써리 CPU(키는, 회신타이머(예를 들면 설정시간 100ms)를 스타트시킨다(스텝S1). 다음으로 CPU(키는 수신패킷 커맨드라면 명령처리를 행할 것인지 이 커맨드인지 테이타인지를 판단하고(스텝S2), 조회처리를 행할 것인지를 판단하고(스텝S3), 명령처리의 경우에는 처리내용을 분석
할 필요한 처리를 실행하고(스텝S4), 종료하면서 "종료"회신를 송신하고(스텝S5), 조회처리의 경우에는 처리내용을 분석할 필요한 처리를 실행하고(스텝S6), 종료하면서 "상태"를 송신한다(스텝S7).
제 16도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타이머 인터럽트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CPU(9)는 회신타이머의 시간을 검출하고(스텝S11), 설정시간을 경과하고 있다면(스텝 S12의 YES), "비지"회신을 송신한다.
또, 상기 실시예는 AV시스템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홈버스를 사용한 데이타 전송, 모뎀을 사용한 공중회선경유의 데이타전송, 퍼스컴통신 및 퍼스컴 AV기기간 통신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는 기기간의 버스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기기내부의 블럭모듈간의 송신에도 적용할 수있다.
또, 차, 전차, 선박 및 비행기내의 기기간의 통신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에 의하면, 1개의 커맨드를 1개의 패킷으로 송신하도록 한 것으로 커맨드의 처리가 간단하고 통신속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에 의하면, 커맨드수신후 소정시간내에 처리가 종료하지 않아도, 송신측에 경과보고를 행하도록 한 것으로, 수신측에 조회를 행하지 않아도 수신측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에 의하면, 커맨드를 상시 언락모드로 송신하도록 한 것으로, 수신측은 커맨드를 위한 언락용 타이머를 갖출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에 의하면,데이타송신의 경우, 최초의 패킷으로부터 최후에서 1개 전의 패킷까지 락모드로 송신하고, 최후패킷은 언락모드로 송신하도록 한 것으로, 데이타 송신의 경우에 수신측이 전부의 패킷에 대하여 락타이머를 움직이게 할 필요가 없게 된다.

Claims (8)

  1.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간의 통신을 위한 오디오 비데오 제어장치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표시 장치와 통신처리수단을 가지는 마스터 AV 센터 수단과,
    디지틸 제어버스 라인을 통해 상기 마스터 AV 센터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 처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디지털 제어버스 라인은 상기 두 개의 통신처리수단사이에 있는 최소한 한 개의 상기 슬레이브 장치와,
    한 개의 명령과/또는 데이터를 단일한 패킷으로 상기 마스터 AV 센터 수단으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장치로 그리고 그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디지털 버스제어 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오디오 비데오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에 의한 명령의 전송은 상기 통신처리수단의 언락모드에서 수행되는 오디오 비데오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과/또는 데이타의 전송은 마스터(master) 전송모드에서 수행되는 오디오 비데오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의 상기통신처리수단은 명령과/또는 데이터가 수신된 후에 상기 전송장치로 상태보고를 전송하는 오디오 비데오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명령과/또는 데이터의 전송은 다수의 패킷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며, 마지막 패킷을 제외한 모든 패킷들은 락모드에서 전송되고 마지막 패킷은 언락모드에서 전송되는 오디오 비데오 제어장치.
  6. 오디오 비데오 장치들사이에서 명령과/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일한 패킷을 이용하여 한 개의 오디오 비데오 장치로부터 다른 오디오 비데오 장치로 명령과/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 오디오 비데오 장치로부터 전송 오디오 비데오 장치로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전송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데이터가 전송될 때에, 이러한 전송은 언락모드에서 실행되는 전송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다수의 데이터가 전송될 때에, 마지막 패킷을 제외한 데이타를 운반하는 모든 패킷들은 락모드에서 전송되고 마지막 패킷은 언락모드에서 전송되는 전송방법.
KR1019930027439A 1992-12-28 1993-12-13 통신방법 KR100297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017192 1992-12-28
JP92-360171 1992-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436A KR940017436A (ko) 1994-07-26
KR100297395B1 true KR100297395B1 (ko) 2001-10-24

Family

ID=1846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439A KR100297395B1 (ko) 1992-12-28 1993-12-13 통신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48725A (ko)
EP (1) EP0606754B1 (ko)
KR (1) KR100297395B1 (ko)
CN (1) CN1135049C (ko)
AT (1) ATE167316T1 (ko)
CA (1) CA2112312A1 (ko)
DE (1) DE69319081T2 (ko)
TW (1) TW2293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2970A (ja) * 1995-10-05 1997-04-15 Sony Corp 映像音声機器エラー監視システム
US5923897A (en) * 1996-04-01 1999-07-1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adapter with status and command registers to provide status information to operating system and processor operative to write eject command to command register
US6021429A (en) * 1996-11-18 2000-02-01 Canon Information Systems, Inc. Network device which maintains a list of device addresses
CN1124738C (zh) * 1997-03-21 2003-10-15 株式会社日立制作所 音频/视频装置、音频/视频装置使用方法和音频/视频装置系统
US6249826B1 (en) 1997-04-14 2001-06-19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dia status notification
US6282205B1 (en) * 1997-09-02 2001-08-28 Simon Lu Digital audio-video network system
DE19757239B4 (de) * 1997-12-22 2010-11-1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Einheitliche Menüführung von Geräten der Unterhaltungselektronik
US6615243B1 (en) * 1999-04-01 2003-09-02 Thomson Licensing S.A.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ing and transmitting macros for controlling audio/video devices
US6973044B1 (en) * 2000-03-22 2005-12-06 Cisco Technology, Inc. Efficient method for collecting statistics via a half-duplex serial bus
TW536883B (en) * 2000-08-04 2003-06-11 Sony Cor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050050334A1 (en) * 2003-08-29 2005-03-03 Trend Micro Incorporated, A Japanese Corporation Network traffic management by a virus/worm monitor in a distributed network
US8064934B2 (en) * 2006-10-19 2011-11-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otification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KR200465981Y1 (ko) * 2012-04-06 2013-03-20 조진 전기 전자용 버튼 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6242A (ja) * 1984-03-29 1985-10-17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通信方法
EP0505006A2 (en) * 1991-03-22 1992-09-23 D2B Systems Co. Ltd. Local communication bus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in such 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736A (ja) * 1991-08-02 1993-04-02 Sony Corp データ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6242A (ja) * 1984-03-29 1985-10-17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通信方法
EP0505006A2 (en) * 1991-03-22 1992-09-23 D2B Systems Co. Ltd. Local communication bus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in such 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049C (zh) 2004-01-14
EP0606754A1 (en) 1994-07-20
EP0606754B1 (en) 1998-06-10
KR940017436A (ko) 1994-07-26
DE69319081T2 (de) 1998-10-15
DE69319081D1 (de) 1998-07-16
CA2112312A1 (en) 1994-06-29
US5548725A (en) 1996-08-20
TW229343B (ko) 1994-09-01
CN1092929A (zh) 1994-09-28
ATE167316T1 (de) 199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3469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s having lock function
JP3611588B2 (ja) 送信方法、受信方法、通信方法及び双方向バスシステム
KR100297395B1 (ko) 통신방법
US6519268B1 (en) Asynchronous data pipe for automatically managing asynchronous data transfers between an application and a bus structure
JPH0832644A (ja) 信号受信装置
JP2862160B2 (ja) 通信方式
KR19990088404A (ko) 데이터버스상의데이터를최대속도로전송하는방법및장치
EP0825576A1 (en) Remote control system
CA2149837C (en)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dropout of data block
US6272114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such apparatus/method
EP0371749A2 (en) Audio/video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 video cassette recorder, and so forth
US7826492B2 (en) Communication system, cycle master node and communication method
EP1499080B1 (en) Selection and setting up of a data stream connection through an intermediary device
JPH06253371A (ja) 通信方法
EP1521259A1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JPH0851447A (ja) 通信システム
JP3189571B2 (ja) データ処理装置
JPH07255092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087070B2 (ja) 同報/ack送信方式
JPH0720110B2 (ja) 同報通信方法
EP059319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equipment units
JPH11252137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装置ならびにデータ通信方法
US20060072897A1 (en) Method and device to manage the recording of an audio/video stream within a communications network,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01045017A (ja) デジタルインターフェイス制御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
JPS63308436A (ja) ホ−ムバスシステム用サブバス結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