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581B1 -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 Google Patents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581B1
KR100288581B1 KR1019970021524A KR19970021524A KR100288581B1 KR 100288581 B1 KR100288581 B1 KR 100288581B1 KR 1019970021524 A KR1019970021524 A KR 1019970021524A KR 19970021524 A KR19970021524 A KR 19970021524A KR 100288581 B1 KR100288581 B1 KR 10028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remote controller
stor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5433A (ko
Inventor
김국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581B1/ko
Priority to US09/086,336 priority patent/US5943228A/en
Publication of KR19980085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동시에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리모콘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리모콘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모니터를 동시에 온, 오프 파워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모콘의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를 선택하는 파워 온/오프 선택 스텝과, 상기 파워 온/오프 선택 스텝에서 파워가 선택되면, 리모콘에 기저장된 파워 온 또는 오프신호를 읽어들여 기저장된 파워신호가 파워 온이었는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리모콘에 기저장된 파워신호가 파워 온인가를 판단하는 스텝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현재의 파워 온/오프 선택신호를 저장하는 파워 온/오프 상태 저장 스텝과, 상기 파워 온/오프 상태 저장 스텝에서 파워의 온/오프가 저장되면 저장된 파워 온/오프에 따른 파워 온/오프 시그널을 출력하는 파워 온/오프 시그널 출력 스텝을 포함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본 발명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동시에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리모콘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 제품은 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많은 제어 버튼(Button)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버튼은 제품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제품 가까이로 이동하여 제어 버튼을 사용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Remote control; 이하 '리모콘'이라 함)을 사용하는 제품이 많이 보급되어 있다. 특히, 컴퓨터 시스템의 경우에도 파워 온/오프 기능을 리모콘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컴퓨터가 보급되고 있다.
첨부된 도면, 제1도는 제품진열 또는 전시의 목적으로 복수개의 모니터를 정렬 설치한 구성도로서, 이와 같이 다수의 모니터(201~208)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모니터(201~208)의 파워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리모콘(300)을 이용하게 된다.
다수의 모니터(201~208)의 파워를 리모콘(300)으로 제어하기 위해 각 모니터(201~208)에는 수광부(201a~208a)가 장착된다. 따라서, 리모콘(300)에서 인가되는 원격 제어에 따른 파워 온/오프 신호를 각각의 수광부(201a~208a)에서 인가 받아 각 모니터(201~208)의 파워를 온/오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수의 모니터를 한번에 온/오프하기 위한 종래의 파워제어는 리모콘에 마련된 한 개의 전원 스위치를 누를 경우, 파워 온 신호와 파워 오프신호의 레벨이 동일하기 때문에 여러 대의 모니터를 동시에 온하거나 오프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웠다. 즉, 상기 리모콘의 전원스위치를 조작하여 파워 온/오프를 제어하면, 현재의 상태에 따라 일부 모니터들은 온되고, 일부 모니터들은 오프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는 상기 리모콘의 파워 온/오프신호가 토글방식의 레벨이 같은 신호가 되어 모니터 자체에서 이를 단순히 한번 들어온 신호가 온되면, 다음 들어온 신호는 오프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모니터를 리모콘을 이용하여 동시에 파워를 온/오프 제어 할 수 있도록 한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모콘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모니터를 동시에 온, 오프 파워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모콘의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를 선택하는 파워 온/오프 선택 스텝과, 상기 파워 온/오프 선택 스텝에서 파워가 선택되면, 리모콘에 기저장된 파워 온 또는 오프신호를 읽어들여 기저장된 파워신호가 파워 온이었는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리모콘에 기저장된 파워신호가 파워 온인가를 판단하는 스텝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현재의 파워 온/오프 선택신호를 저장하는 파워 온/오프 상태 저장 스텝과, 상기 파워 온/오프 상태 저장 스텝에서 파워의 온/오프가 저장되면 저장된 파워 온/오프에 따른 파워 온/오프 시그널을 출력하는 파워 온/오프 시그널 출력 스텝을 포함하여 된 것이다.
제1도는 복수개의 모니터와 리모콘을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리모콘 및 모니터의 내부 회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또한, 상기 흐름도는 리모콘 1개와 모니터 한 대에서 진행되는 제어 수순으로, 나머지 모니터에서도 동일한 구성과 작용을 하게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을 이용하여 모니터의 파워 온 또는 오프를 선택하는 파워 온/오프 선택 스텝(S11)과, 상기 파워 온/오프 선택 스텝(S11)에서 리모콘의 메모리상에 기저장된 모니터의 파워제어신호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스텝(S12)과, 상기 스텝(S12)에서의 판단 결과에 종속하여 현재 설정한 파워 온/오프 상태를 기억하는 파워 온/오프 상태 기억 스텝(S13)과, 상기 파워 온/오프 상태 기억 스텝(S13)에서 파워의 온 또는 오프가 기억되면 기억된 파워 온/오프에 따라 파워 온/오프 시그널(Signal)을 출력하는 파워 온/오프 시그널 출력 스텝(S1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중에, 상기 파워 온/오프 상태 기억 스텝(S13)은, 상기 스텝(S12)에서 리모콘에 기저장된 데이터가 파워 온에 따른 데이터가 아니면, 즉 오프 상태이면 파워 온 상태를 저장하는 파워 온 상태 저장 스텝(S13a)과, 상기 스텝(S12)에서 리모콘(10)에 기저장된 데이터가 파워 온이면 파워 오프 상태를 저장하는 파워 오프 상태 저장 스텝(S13b)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워 온/오프 시그널(Signal) 출력 스텝(S14)은, 상기 파워 온/오프 상태 저장 스텝(S13)에서 파워의 온이 저장되면 저장된 파워 온에 따라 파워온 시그널을 출력하는 파워 온 시그널 출력 스텝(S14a)과, 상기 파워 온/오프 상태 저장 스텝(S13)에서 파워의 오프가 저장되면 저장된 파워 오프에 따라 파워 오프 시그널을 출력하는 파워 오프 시그널 출력 스텝(S14b)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의 보다 상세한 동작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리모콘(10)을 이용해서 모니터(20)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리모콘(10)의 외부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키스위치부(11)를 사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키스위치부(11)의 키를 누르면 키스위치부(11)로부터 키신호가 출력된다. 키스위치부(11)로부터 출력된 키신호는 리모콘 마이콤(12)으로 인가된다.
키신호를 인가 받은 리모콘 마이콤(12)은 인가된 키신호를 인코우딩(Encoding)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리모콘 마이콤(12)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발광부(13)에서 인가 받는다. 상기 발광부(13)는 인가된 제어 신호를 빛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발광부(13)로부터 출력되는 원격제어신호는 모니터(20) 내의 수광부(21a)에서 인가 받는다.
원격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모니터(20)의 수광부(21a)는 인가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한다. 수광부(21a)에서 변환된 전압 신호는 마이콤(21)에서 인가 받아 분석(온 또는 오프신호 판별)하여 상기 모니터(20)를 제어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모니터(20)의 파워를 제어하고자, 사용자가 리모콘(10)의 키스위치부(11)를 이용하여 파워 온/오프 선택 스위치(도시 않음)를 선택하게 된다(스텝 S11). 이와 같이 키스위치부(11)에서 파워 온/오프 선택 스위치를 선택하면 리모콘 마이콤(12)은, 키스위치부(11)에서 선택된 파워 온/오프 스위치 신호를 인가 받는다.
그리고, 리모콘 마이콤(12)은 현재 마이콤(12)의 내장 또는 외부(미도시)에 마련된 메모리(EEPROM)를 체크하여 기저장된 파워 온, 오프에 따른 데이터가 파워 온에 따른 데이터인지를 판단하게 된다(스텝 S12). 판단 결과, 파워 온이 아니면 파워 온 상태를 상기 메모리내에 저장한다(스텝 S13a).
상기 파워 온 상태를 리모콘 마이콤(12)내 또는 외부에 있는 메모리에 저장하면, 리모콘 마이콤(12)은 메모리에 저장된 파워 온 상태에 따른 신호를 발광부(13)를 통해서 빛신호로 변화하여 출력하게 된다(스텝 S14a). 상기 리모콘(10)의 발광부(13)로부터 출력되는 빛신호는, 모니터(20)의 수광부(21a)로 인가되어 전압신호로 변환된 뒤 마이콤(21)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콤(21)은 현재 입력된 산호가 파워 온 신호임을 인식한다.
한편, 상기 리모콘에 기저장된 상태가 파워 온인가를 판단하는 스텝(S12)에서, 기저장된 데이터가 파워 온에 따른 데이터로 판별되면, 파워 오프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스텝 S13b).
상기 파워 오프 상태가 메모리에 저장되면, 리모콘 마이콤(12)은 메모리에 저장된 파워 오프 상태의 신호를 발광부(13)를 통해서 빛신호로 변화하여 출력하게 된다. 리모콘(10)의 발광부(13)로부터 출력되는 빛신호는 모니터(20)의 수광부(21a)로 인가되어 전압 신호로 변환된 뒤 마이콤(21)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마이콤(21)은 현재 리모콘(10)을 통해 입력된 신호가 파워 오프 신호임을 인식한다.
이와 같이, 파워 온/오프 신호에 따른 전압을 인가 받은 마이콤(21)은, PWMIC(29)로 파워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칭 트랜스(27)의 2차측의 전압출력단(28)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압의 출력을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따라서 모니터(20)의 파워를 온, 오프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리모콘 자체에서 파워 온 또는 오프신호가 같은 레벨이 아닌 다른 레벨로 구별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모니터에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줌으로써, 복수개의 모니터의 이러한 리모콘의 온, 오프신호를 수광하여 일률적으로 온 또는 오프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모콘에서 파워 온/오프를 선택하는 스위치가 하나로 구성되어도 파워 온/오프 상태를 기억하여 파워 온/오프 제어함에 따라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니터 리모콘의 한번 조작으로 손쉽게 동시에 온/오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리모콘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모니터를 동시에 온, 오프 파워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모콘의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를 선택하는 파워 온/오프 선택 스텝 ; 상기 파워 온/오프 선택 스텝에서 파워가 선택되면, 리모콘에 기저장된 파워 온 또는 오프신호를 읽어들여 기저장된 파워신호가 파워 온이었는가를 판단하는 스텝 ; 상기 리모콘에 기저장된 파워신호가 파워 온인가를 판단하는 스텝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현재의 파워 온/오프 선택신호를 저장하는 파워 온/오프 상태 저장 스텝 ; 및 상기 파워 온/오프 상태 저장 스텝에서 파워의 온/오프가 저장되면 저장된 파워 온/오프에 따른 파워 온/오프 시그널을 출력하는 파워 온/오프 시그널 출력 스텝 ; 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온/오프 상태 저장 스텝은, 상기 리모콘에 기정장된 파워 신호가 파워 온인가를 판단하는 스텝에서 리모콘에 기저장된 신호가 파워 온이 아니면, 파워 온 상태를 저장하는 파워 온 상태 저장 스텝 ; 및 상기 리모콘에 기저장된 파워신호가 파워 온 인가를 판단하는 스텝에서 리모콘에 기저장된 신호가 파워 온이면, 파워 오프 상태로 저장하는 파워 오프 상태 저장 스텝 ;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온/오프 시그널 출력 스텝은, 상기 파워 온/오프 상태 저장 스텝에서 파워의 온이 저장되면 저장된 파워 온에 다른 파워 온 시그널을 출력하는 파워 온 시그널 출력 스텝 ; 및 상기 파워 온/오프 상태 저장 스텝에서 파워의 오프가 저장되면 저장된 파워오프에 따른 파워 오프 시그널을 출력하는 파워 오프 시그널 출력 스텝 ;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KR1019970021524A 1997-05-29 1997-05-29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KR10028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524A KR100288581B1 (ko) 1997-05-29 1997-05-29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US09/086,336 US5943228A (en) 1997-05-29 1998-05-29 Method and arrangement for switching power of display monitor with remote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524A KR100288581B1 (ko) 1997-05-29 1997-05-29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433A KR19980085433A (ko) 1998-12-05
KR100288581B1 true KR100288581B1 (ko) 2001-05-02

Family

ID=1950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524A KR100288581B1 (ko) 1997-05-29 1997-05-29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43228A (ko)
KR (1) KR100288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0185A (ja) * 1998-06-30 2000-01-21 Sony Corp 表示装置
US8531276B2 (en) 2000-03-15 2013-09-10 Logitech Europe S.A. State-based remote control system
US7283059B2 (en) * 2000-03-15 2007-10-16 Logitech Europe S.A. Remote control multimedia content listing system
AU2001239080A1 (en) 2000-03-15 2001-09-24 Glen Mclean Harris State-based remote control system
US20020008789A1 (en) * 2000-03-15 2002-01-24 Harris Glen Mclean Passive media content access system
US20020056084A1 (en) * 2000-03-15 2002-05-09 Harris Glen Mclean Active media content access system
US20010033243A1 (en) 2000-03-15 2001-10-25 Harris Glen Mclean Online remote control configuration system
US6784805B2 (en) * 2000-03-15 2004-08-31 Intrigue Technologies Inc. State-based remote control system
KR20030026134A (ko) * 2001-09-25 2003-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US6642852B2 (en) * 2002-03-01 2003-11-04 Universal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device with appliance power awareness
US7590870B2 (en) * 2003-04-10 2009-09-15 Lenovo (Singapore) Pte. Ltd. Physical presence determination in a trusted platform
US7269747B2 (en) * 2003-04-10 2007-09-11 Lenovo (Singapore) Pte. Ltd. Physical presence determination in a trusted platform
FR2854477A1 (fr) * 2003-04-30 2004-11-05 Novatys Procede de synchronisation des recepteurs d'un systeme de commande a distance d'appareils electriques pilotes par un mono-signal et un systeme de commande a distance pourvu d'un tel procede
DE102006018238A1 (de) 2005-04-20 2007-03-29 Logitech Europe S.A. System und Verfahren zur adaptiven Programmierung einer Fernbedienung
JP4309445B2 (ja) * 2007-10-31 2009-08-05 株式会社東芝 遠隔電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源タップ
US8787751B2 (en) * 2009-04-22 2014-07-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for identifying the optical network unit power off reason
US20110001651A1 (en) 2009-07-02 2011-01-06 Candelore Brant L Zero standby power laser controlled device
JP5087599B2 (ja) * 2009-09-28 2012-12-05 株式会社東芝 電源制御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源制御方法
US8508401B1 (en) 2010-08-31 2013-08-13 Logitech Europe S.A. Delay fixing for command codes in a remote control system
US8918544B2 (en) 2011-03-31 2014-12-23 Logitech Europe S.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remote-control system
US9239837B2 (en) 2011-04-29 2016-01-19 Logitech Europe S.A.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nected devices
JP6110122B2 (ja) * 2012-12-07 2017-04-05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集積回路装置、パネル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ドライ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4139A (ja) * 1989-05-16 1991-03-28 Sony Corp 電源状態検出装置
US5523800A (en) * 1993-11-04 1996-06-04 Dudek; Walter J. Programmable alpha/numeric channel entry translation function for hand held video remote contr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43228A (en) 1999-08-24
KR19980085433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581B1 (ko)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KR950016231A (ko) 비데오 잭의 자동 인식회로
GB2312351A (en) Input signal switching circuit for a monitor
US5621484A (en) User-programmable control device for a television apparatus
US6246888B1 (en) Radio paging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uto-reset function
KR0127764B1 (ko)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KR100419417B1 (ko) 임의의 키를 눌러서 전원을 켜는 장치
KR100281541B1 (ko) 파워 및 리셋겸용 스위치를 갖는 컴퓨터시스템
KR100230280B1 (ko) 비상 경보 자동 제어방법
KR20036497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회로
KR100230791B1 (ko)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KR200254008Y1 (ko) 적외선 리모콘을 이용한 다용도 전원제어장치
KR0142266B1 (ko) 리모콘 코드를 이용한 원격제어 스위치 및 원격제어장치
KR19980014122U (ko) 가전기기의 간단한 전원 제어 시스템
KR100283263B1 (ko) 가스보일러의 리모콘상태 검지방법 및 장치
KR100199098B1 (ko) 키 공용 파워온 방법
KR19980067199U (ko) 리모콘의 건전지 교환시기 표시시스템
KR960016385B1 (ko) 텔레비전리모콘의 원터치자동채널입력방법
KR950005690Y1 (ko) 제어장치의 초기화회로
KR20070003096A (ko) 로터리 푸쉬 스위치를 이용한 채널선택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02021A (ko) 전원 공급 제어 장치
KR19980038952U (ko) 텔레비전의 led 온/오프 제어장치
KR19980027346U (ko) 타이머를 이용한 파워 온/오프 제어장치
US200201052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power supply
KR20020009295A (ko) 영상 표시 기기에서 부 마이컴을 이용한 스탠바이시 전원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