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304B1 - Load control device of car seat belt - Google Patents

Load control device of car seat bel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304B1
KR100288304B1 KR1019980062697A KR19980062697A KR100288304B1 KR 100288304 B1 KR100288304 B1 KR 100288304B1 KR 1019980062697 A KR1019980062697 A KR 1019980062697A KR 19980062697 A KR19980062697 A KR 19980062697A KR 100288304 B1 KR100288304 B1 KR 100288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elt
retractor
webbing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46029A (en
Inventor
곽기태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8006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304B1/en
Publication of KR2000004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304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자동차의 시트벨트의 하부 앵커 가까이의 웨빙을 소정 길이 겹친후 봉접하여 충돌 직후 시트벨트가 소정 힘 이상을 받게되면 상기 봉접부위가 뜯어지고 이에따라 벨트 길이가 늘어나도록 하므로서 웨빙에 가해지는 하중을 콘트롤하여 벨트의 압박으로 인해 신체에 상해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으나, 탑승자 가슴 부분을 압박하는 숄더벨트가 늘어나지 않고 랩벨트의 길이만 늘어나 무릎부의에 가해지는 하중만을 감소시키므로 승객의 가슴이나 머리부위의 상해를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belt, and in the related art, when the seat belt receives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mmediately after a collision by overlapping a webbing near a lower anchor of a seat belt of a vehicle after a predetermined length, the sealing portion is torn off. Accordingly, the belt length was increased to control the load applied to the webbing to prevent injury to the body due to the compression of the bel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event the injury of the passenger's chest or head because it only reduces the load applied to.

따라서 본 발명은 시트벨트 리트렉터 브라켓의 하부 체결부에 가이드공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공에 상/하 리미터를 설치한 후 차체와 함께 볼팅하여 리트렉터 브라켓을 설치하므로써 시트벨트에 소정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리트렉터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위로 위동함에 따라 충력력이 흡수되어 승객의 신체에 가해지는 힘이 경감되므로써 승객의 가슴이나 머리의 상해치를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uide hole in the lower fastening portion of the seat belt retractor bracket, and installs the retractor bracket by bolting together with the vehicle body after installing the upper and lower limiters in the guide hole, there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to the seat belt. As the ground retractor swivels up along the guide, the force is absorbed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passenger's body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injury of the passenger's chest or head.

Description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Load control device of car seat bel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시트벨트 리트렉터 브라켓의 하부 체결부에 가이드공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공에 상/하 리미터를 설치한 후 차체와 함께 볼팅하여 리트렉터 브라켓을 설치하므로써 시트벨트에 소정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리트렉터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위로 위동함에 따라 충력력이 흡수되어 승객의 신체에 가해지는 힘이 경감되므로써 승객의 가슴이나 머리의 상해치를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eat belt,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guide hole in the lower fastening portion of the seat belt retractor bracket and install upper and lower limiters in the guide hole and bolt together with the vehicle body. If a certain amount of force is applied to the seat belt by installing the tractor bracket, the retractor swivels up along the guide so that the force is absorbed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passenger's body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passenger's chest or head inju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eat belt.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벨트는 자동차를 운행하는 도중 다른 자동차와의 추돌이나 충돌 또는 기타 장애물로 인한 불의의 사고시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각 시트마다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보통 2점식과 3점식, 다이어고널벨트, 풀허네스식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a seat belt of a car is installed in each seat to protect passengers from the impact on the car in case of accident, collision or collision with other cars or accidents caused by other obstacles. It is divided into 3 points, Diagonal Belt, and Full Hernes.

즉, 2점식 시트 벨트는 허리 좌우에 2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랩 벨트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랩은 걸터앉은 자세로 허리에서 무릎관절 부분까지를 말하며 승차원이 차외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크다.In other words, the two-point seat belt is also referred to as a wrap belt in the form of supporting two points on the left and right waist, where the wrap refers to the knee-to-knee joint in a sitting position and prevents the elevation of the car from being released out of the car.

그리고 3점식 벨트는 일반 승용차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벨트로서 허리 좌우에 2점과 어깨 위쪽 1점에 고정시켜 3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허리를 구속하는 랩 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로 되어 있다.The three-point belt is the most widely used belt in passenger cars, and it is a type that supports two points by fixing two poin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one point on the shoulder. This is a lap belt that constrains the waist and a shoulder belt that constrains the upper body. It is.

이러한 3점식 벨트는 두가닥이 한 줄에 연결되어 있는 형식을 연속 3점식 시트 벨트라 하고 따로 분리되어 있는 타입을 분리 3점식 시트 벨트라고 부르며 분리식은 랩 벨트만 장착할 수 있는데 이때 랩 벨트가 배에 걸리지 않고 골반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안정성을 볼 때 3점식 이상이 바람직 하다.These three-point belts are called continuous three-point seat belts in which two strands are connected in a row, and the separate types are called separate three-point seat belts. It can be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be fixed to the pelvis without being caught in the pelvis.

또한 다이어고널 벨트는 상체만을 구속하는 2점식 벨트로서 숄더 벨트라고도 하며 시트 벨트의 초기에 유럽에서 사용되었던 형식으로서 하반신의 구속기능이 없기 때문에 일본, 미국 등 많은 나라에서 규격으로부터 제외되어 왔으나 하반신을 구속하는 니볼스타와 짜맞추어져 오토매틱 벨트로서 다시 쓰이기도 한다.Diagonal belt is a two-point belt that restrains the upper body only. Also known as shoulder belt, it was used in Europe in the early stage of seat belt. It is combined with Nibolstar, and is used again as an automatic belt.

그리고 풀허네스식은 구속성능은 3점식에 대하여 더욱 좋아지지만 장착이 번잡스러우며 차에다 설치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경주용차 등 특수용도에 한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ull harness type has better restraint performance for the three-point type, but is limited to special use such as racing cars because it is complicated to install and difficult to install in the car.

따라서 현재 출고 되어있는 자동차에는 통상적으로 3점식의 시트벨트가 많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인데, 승용차의 뒷좌석 가운데나 고속버스 등의 경우에는 많은 지지점의 확보가 힘들어서 2점식의 시트벨트를 설치하기도 한다.As a result, a lot of three-point seat belts are usually installed in cars that are currently shipped. In the middle of the rear seat of a passenger car or a highway bus, many support points are difficult to secure, so a two-point seat belt may be installed.

그리고 이러한 시트벨트는 주행중에는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고속주행시에는 물론 시속 30 ~ 40Km/h 의충돌에서도 시트벨트의 착용유무에 따라 승객이 입는 부상정도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고 할수 있다.In addition, these seat belts are mandatory to wear while driving, and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jury suffered by passengers depending on whether the seat belt is worn at high speeds as well as at 30 to 40 km / h.

상기 3점식 시트벨트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살펴보면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웨빙(10)과, 웨빙(10)의 길이를 조절하는 리트렉터(20), 시트벨트의 체결 및 분리를 위한 버클(12) 및 텅플레이트(11) 그리고, 웨빙(10)을 고정하는 앵커(30) 등으로 구성된다.Looking at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three-point seat belt as shown in Figure 1 webbing 10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the retractor 20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ebbing 10, the fastening of the seat belt and It consists of a buckle 12 and a tongue plate 11 for separation, and an anchor 30 fixing the webbing 10.

여기서 웨빙은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 합성섬유를 넓이 약 50㎜, 두께 약 1.2㎜의 띠모양으로 짠 것으로서 숄더 벨트용, 랩 벨트용 등의 용도에 따라서 짜는 법이나 열처리에 따른 강도,연신도 등의 특성을 설정하며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부분이다.Here, webbing is made of synthetic fibers such as nylon and polyester in the shape of a band having a width of about 50 mm and a thickness of about 1.2 mm. The webbing is used for shoulder belts, wrap belts, and the like. It is the part that sets the characteristics and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또, 시트 벨트를 장착 또는 해제하기 위해 도어 반대쪽 시트 일측에는 버클이 설치되며, 상기 버클과 결합 또는 분리되기 위해 웨빙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텅플레이트(tongue plate)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buckl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at opposite the door to mount or release the seat belt, and a tongue plate is installed to be slidable in the webbing to be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buckle.

그리고 엥커는 종래에 웨빙의 한끝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철물에 지나지 않았으나 승차원의 체격에 맞추어서 숄더벨트의 위치를 위아래로 조절해서 착용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어저스터블의 앵커 구조가 많아지기 시작하며, 수동으로 조절하는 타입 외에 전동식, 시트위치 연동시, 메모리 장착 전동식 등 여러 가지의 것이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And the anchor is only a hardware for fixing one end of the webbing to the body in the past, but the anchor structure of the adjustable which improves the comfort when wearing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houlder belt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dimensional physique increases. In addition to the manual adjustment type, a variety of things, such as motorized, seat position interlocking, memory mounted electric, are starting to emerge.

상기 리트렉터(Retractor)는 웨빙의 길이를 승차원 착좌자세나 체격에 따라 조절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 벨트의 격납을 목적으로 웨빙을 감아 길이를 줄이거나 릴리즈하여 길이를 연장시키는 장치이다.The retractor is a device that extends the length of the webbing by shortening or releasing the webbing for the purpose of storing the belt when the length of the webbing is adjusted or not us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dimension or posture.

이러한 리트렉터 중 ALR(Automatic Locking Retractor)는 웨빙을 끌어내어서 장착하면 승차원에게 피트하는 길이까지 감아들인 위치에서 록(lock)되어 그 이상 끌어낼수 없는 장치로서 착용시 몸의 움직임은 제한되는 한편 단단하게 몸을 고정시킬수 있으므로 주로 허리벨트용으로 사용된다.Among these retractors,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is a device that can be pulled out and locked when the webbing is pulled out and locked up to the length that fits the ascending dimension. It is mainly used for waist belt because it can fix body firmly.

그리고, ELR(Emergence Locking Retractor)는 충돌시나 급제동시 락 시키기 위한 충격 감지장치인데, 감지방식은 차체의 감속도를 펜듀럼 등에 의해서 감지하는 타입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웨빙의 급속한 끌어냄을 감지하는 방식도 있다.In addition, ELR (Emergence Locking Retractor) is a shock detection device for locking in a collision or sudden braking, the detection method is a type that detects the deceleration of the vehicle body by a pendulum, etc. There is also.

이러한 3점식 시트벨트의 착용은 리프렉터(retractor)내에 수회로 권회된 시트벨트가 앵커(anchor)에 걸려진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후, 상기 텅 플레이트(tongue plate)를 잡고서 잡아 당긴후, 허리쪽으로 고정 설치된 버클에 텅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것이다.The three-point seat belt is worn after the occupant is seated on the seat with the seat belt wound in the retractor hooked to the anchor, and then grasps and pulls the tongue plate. To fit the tongue plate into the buckle fixed to the waist.

상기와 같이 결합하면 숄더벨트를 탑승자의 어깨로 부터 대각선 방향의 허리쪽까지의 부위 즉, 가슴부위를 압압 지지해 주게되며, 이와동시에 랩 벨트는 상기 앵커로 부터 탑승자의 골반을 눌러주도록 되어있다.When combined as described above, the shoulder belt is pressed against the shoulders from the occupant's shoulder to the waist in the diagonal direction, that is, the chest, and at the same time, the lap belt is configured to press the occupant's pelvis from the anchor.

이와같은 시트 벨트에 있어 차량의 충돌 및 급제동이 발생하면 ELR(Emergence Locking Retractor)는 제동시 충격 감지 리트렉터가 록되어, 웨빙의 길이가 고정되므로 탑승자는 시트벨트에 의해 지지되어 시트에서 튕겨져 나가는 현상은 방지할 수 있으나 지지하는 숄더벨트와 랩벨트에 의해 지지되는 신체에 상해를 받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In such a seat belt, when the collision and sudden braking of the vehicle occur, the EMR (Emergence Locking Retractor) locks the shock sensing retractor during braking, and the length of the webbing is fixed so that the occupant is supported by the seat belt and bounces off the seat Can be prevented, but the body sustained by the supporting shoulder belt and the lap belt frequently occurred.

이에 종래에는 도1 의 부분확대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앵커(30) 가까이의 웨빙(10)을 소정 길이 겹친후 봉접하여 충돌 직후 시트벨트가 소정 힘 이상을 받게되면 상기 봉접부위가 뜯어지고 이에따라 벨트 길이가 늘어나도록 하므로서 웨빙에 가해지는 하중을 콘트롤하여 벨트의 압박으로 인해 신체에 상해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In the related art,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 when the webbing 10 near the lower anchor 30 overlap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sealed, and the seat belt is subjected to more than a predetermined force immediately after the collision, the sealing portion is torn off and accordingly.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belt to control the load on the webbing to prevent injury to the body due to the compression of the belt.

그러나, 탑승자 가슴 부분을 압박하는 숄더벨트가 늘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랩벨트의 길이가 늘어나 무릎부의에 가해지는 하중만을 감소시키므로 승객의 가슴이나 머리부위의 상해를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shoulder belt that presses the occupant's chest, but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the length of the lap belt is increased so that only the load applied to the knee is reduced, thereby preventing the injury of the passenger's chest or head. there wa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 충돌시 시트벨트에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시트벨트 리트렉터가 소정거리를 따라 움직이므로써 승객의 신체에 미치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force is applied to the seat belt during a car crash, the seat belt retractor moves along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passenger's bod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ad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eat bel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벨트 리트렉터 브라켓의 하부 체결부에 소정크기의 가이드공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공에 상/하 리미터를 결합한 다음 상기 가이드공과 상/하 리미터 및 차체를 한꺼번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Suc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guide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lower fastening portion of the seat belt retractor bracket and combine the upper and lower limiters with the guide hole and then bolt and nut together with the guide hole and the upper and lower limiters. Is achieved by combining

이러한 본 발명은 충돌 등에 의해 시트벨트에 힘이 가해져 리트랙터가 힘을 받아 위로 당겨지면 리트렉터 브라켓이 상/하 리미터 사이를 이동하면서 계속적으로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고 시트 벨트에 작용하는 힘을 소정치 이하로 유지하게 되므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eat belt due to a collision or the like, when the retractor is pulled up by the force, the retractor bracket mov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ers continuously absorbing energy, and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seat belt. It can be achieved by maintaining the following.

도 1 은 종래의 하중조절부가 형성된 시트벨트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the seat belt is formed with a conventional load adjustment.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하중조절장치가 적용된 리트렉터 브라켓과 바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retractor bracket and the body to which the loa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 은 도 2 에서 리트렉터 브라켓이 변형되는 상태를 예시한 횡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tractor bracket is deformed in FIG.

도 4 는 도 2 의 A-A'선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웨빙 200 : 리트렉터100: webbing 200: retractor

210 : 리트렉터 브라켓 211 : 하체결부210: retractor bracket 211: lower fastening

212 : 가이드공 300 : 상 리미터212: guide ball 300: phase limiter

310 : 삽입구 320 : 볼트공310: insertion hole 320: bolt hole

400 : 하 리미터 410 : 삽입부400: limiter 410: insertion portion

420 : 볼트홀420: bolt hole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하중조절장치가 적용된 리트렉터 브라켓과 차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상기 도 2 의 세로 방향 선단면도이며, 도 4 는 도 2 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That i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the retractor bracket and the vehicle body to which the loa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and FIG. 4 is A-A 'of FIG. 2. Line cross section is shown.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하 체결부(211)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크기의 가이드공(212)이 형성된 리트렉터 브라켓(210)과; 가로 길이는 상기 가이드공(212)보다 크고, 세로는 소정 길이 이상 작으며, 상기 가이드공(212)에 끼워지고 중앙에 볼트공(320)과 삽입구(310)가 형성된 상 리미터(300); 상기 상 리미터(300)와 같은 크기로 상기 상 리미터(300)의 볼트공(320)에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홀(42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212)에 끼워져 삽입구(310)와 결합하는 삽입부(410)가 형성된 하 리미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tractor bracket 210 having a guide hole 21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n a lengthwise direction at a lower fastening portion 211; The horizontal length is larger than the guide hole 212, the vertical length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the upper limiter 3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12 and the bolt hole 320 and the insertion hole 310 is formed in the center; A bolt hole 42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 320 of the phase limiter 300 to the same size as the phase limiter 300, and is fitted into the guide hole 212 to be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310. The inserter 4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miter 400 is formed.

그리고 리트렉터 브라켓(210)의 상면과 하면에 상/하 리미터(300,400)를 설치하되, 하 리미터(400)의 삽입부(410)를 가이드공(212)에 삽입하고, 그 삽입부(410)에 상 리미터(300)에 형성된 삽입구(310)를 결합하여 설치한다.And the upper and lower limiters (300, 400)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tractor bracket 210, the insertion portion 410 of the lower limiter 4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12, the insertion portion 410 The insertion hole 310 formed in the upper limiter 300 is installed in combination.

또, 상기 상/하 리미터(300.400)와 리트렉터 브라켓(210)은 상기 삽입구(310)에 형성된 볼트공(320)과 이에 상응하는 볼트홀(420)에 삽입되는 볼트(500)와 이와 결합하는 너트(600)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 lower limiter (300.400) and the retractor bracket 210 is coupled to the bolt 500 and inserted into the bolt hole 320 and the corresponding bolt hole 420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310 It is coupled to the fastening means such as the nut (600).

이러한 상/하 리미터(300.400)와 리트렉터 브라켓(210)의 결합은 상기 볼트(500)와 너트(600)에 의해 차체(700)에 결합된다.The combination of the upper and lower limiters 300.400 and the retractor bracket 210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700 by the bolt 500 and the nut 600.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중 웨빙(100)으로 당겨지는 장력이 규정된 하중 이상으로 당겨지는 경우에만 상측 볼팅부 아래쪽이 당겨져 휘어지도록 리트렉터 브라켓(210)의 강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리트렉터 브라켓(210)의 두께로 조절하거나 또는 상측 절곡부에 슬릿 등을 형성하여 조절할 수가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most important key to set the strength of the retractor bracket 210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lting portion is pulled and bent only when the tension to be pulled by the webbing 100 is more than a prescribed load. There is, this can be adjusted by the thickness of the retractor bracket 210 or by forming a slit or the like in the upper bent portion.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0)은 리트렉터 이다.Reference numeral 200 in the figure is a retracto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도 3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과 같은 충격을 받아 시트벨트를 장착한 승객이 전방으로 나가려는 힘을 받게되면 웨빙(100)이 큰 힘으로 당겨지면서 그 힘이 리트렉터(200)를 체결하고 있는 리트렉터 브라켓(210)에 전달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3, when the passenger with the seat belt is subjected to a force to move forward in response to an impact such as a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webbing 100 is pulled with a large force and the force thereof. The retractor 200 is transmitted to the retractor bracket 210 which is fastened.

이때 상단은 차체(700)에 볼팅 체결되고 하단은 상/하 리미터(300,400)의 압박력에 의해 체결되어 있던 리트렉터 브라켓(210)은 웨빙(100)으로 당겨지는 하중이 상/하 리미터(300,400)가 하단부를 잡고 있는 압박력보다 작게 작용할 경우에는 리트렉터 브라켓(210)이 변형되지 않음에 따라 리트렉터(200)의 위치는 변함이 없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is bolted to the vehicle body 700 and the lower end of the retractor bracket 210 which is fasten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upper and lower limiters (300,400) is the load pulled to the webbing (100) upper and lower limiters (300,400) If the lower than the pressing force holding the lower portion acts as the retractor bracket 210 does not deform the position of the retractor 200 does not change.

하지만 웨빙(100)으로 당겨지는 하중이 상/하 리미터(300,400)가 리트렉터 브라켓(210)을 잡고 있는 압박력보다 크게 작용할 경우에는 리트렉터 브라켓(210)의 하단부가 가이드공(212)에 의해 도 3 과 같이 상/하 리미터(300,400) 사이를 미끄러져 올라가면서 이점쇄선과 같이 상단의 볼팅부 아래쪽이 당겨져 휘어짐에 따라 리트렉터(200)의 위치가 상측으로 이동된다.However, when the load to be pulled by the webbing 100 is greater than the pressing force of the upper and lower limiters (300,400) holding the retractor bracket 210, the lower end of the retractor bracket 210 is guided by the guide hole (212). As shown in Fig. 3, the position of the retractor 200 is moved upward as the upper and lower limiters 300 and 400 slide up and bend under the upper bolting portion as shown in the dashed line.

따라서 상기와 같이 리트렉터 브라켓(210)이 상/하 리미터(300.400) 사이를 이동하면서 계속해서 에너지를 흡수하고 승객의 숄더벨트가 가이드공(212)의 길이만큼 늘어나게 되므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힘을 약 6~7 KN이하로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승객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the retractor bracket 210 mov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ers (300.400) and continuously absorbs energy, the passenger's shoulder belt is extended by the length of the guide hole 212, thereby acting on the seat belt. By keeping it below 6 ~ 7 KN, it is possible to prevent passenger injuries.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트렉터 브라켓에 가이드공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공에 상/하 리미터를 설치하되 상/하 리미터 사이에 리트렉터 브라켓이 위치하도록 설치하므로써 차량의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시 시트벨트가 힘을 받게 되면 리트렉터가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리트렉터 브라켓이 상/하 리미터 사이를 이동하며 계속적으로 에너지를 흡수하여 승객에게 미치는 힘을 경감시키므로써 승객이 시트벨트에 의해 상해를 입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uide hole in the retractor bracket and installs an upper / lower limiter in the guide hole so that the retractor bracket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ers so that an accident such as a vehicle collision occurs. When the seat belt is energized, the retractor moves upwards, so that the retractor bracket mov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ers, continually absorbing energy and reducing the force on the passenger, thereby causing the passenger to be injured by the seat belt.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be prevented from wearing.

Claims (1)

자동차 시트벨트에 있어서,In the car seat belt, 중앙에 볼트공(320)을 포함한 삽입구(310)가 형성된 상 리미터(300);An image limiter 300 having an insertion hole 310 including a bolt hole 320 in the center thereof; 상기 상 리미터(300)의 볼트공(320)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홀(42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310)와 결합하는 삽입부(410)가 형성된 하 리미터(400);A lower limiter 400 having a bolt hole 420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 320 of the upper limiter 300 and having an insertion part 410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310; 하 체결부(211)에는 상기 상/하 리미터(300,400) 사이에 체결되도록 가이드공(212)이 형성되고, 상단은 차체(700)에 볼팅 체결된 상태에서 웨빙(100)으로 당겨지는 장력이 규정된 하중 이상으로 당겨지는 경우에만 상측 볼팅부 아래쪽이 당겨져 휘어지도록 리트렉터 브라켓(210);The lower fastening portion 211 is formed with a guide hole 212 to be fastened between the upper / lower limiters (300, 400),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pulled to the webbing (100) in a bolted fastening state to the vehicle body 700 is defined Retractor bracket 210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lting portion is pulled and bent only when it is pulled more than a predetermined load;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Load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seat bel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1019980062697A 1998-12-31 1998-12-31 Load control device of car seat belt KR100288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697A KR100288304B1 (en) 1998-12-31 1998-12-31 Load control device of car seat be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697A KR100288304B1 (en) 1998-12-31 1998-12-31 Load control device of car seat bel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029A KR20000046029A (en) 2000-07-25
KR100288304B1 true KR100288304B1 (en) 2001-05-02

Family

ID=1956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697A KR100288304B1 (en) 1998-12-31 1998-12-31 Load control device of car seat bel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3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3949B2 (en) 2017-11-09 2019-12-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029A (en)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934B2 (en) Seat belt system for adults and children
US6729693B2 (en) Seat belt apparatus
JP2008543633A (en) Seat belt pretensioner
US20020149191A1 (en) Seat belt apparatus
KR100305928B1 (en) Control device &method of seat belt buckle for vehicle
KR100288304B1 (en) Load control device of car seat belt
WO2002022406A1 (en) Safety belt system
KR100328775B1 (en) Tongue of seat belt for vehicle
KR100271900B1 (en)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adjuster for height adjustment of seat belt of automobile
GB2407537A (en) Seat belt arrangement
KR200143429Y1 (en) A mounting structure of safety belt for a car
KR0123274Y1 (en) Anchor mounting structure of a vehicle's seat blet
WO2003082637A1 (en) A safety device
KR200151611Y1 (en) Mounting structure of seat belt for a car
KR200143427Y1 (en) A mounting structure of safety belt for a car
KR100362113B1 (en) Mini anchor fixation improvement for seat belt
KR0138888Y1 (en) Seat belt locking device
KR0134450Y1 (en) Structure of load limiter for seat-belt in an automobile
KR200143426Y1 (en) A mounting structure of safety belt for a car
KR200187162Y1 (en) Safety belt of a car
KR0136711Y1 (en) A structure of load limiter for seat belt in a automobile
KR200147923Y1 (en) Belt structure for impact absorbing of seat belt
KR200143428Y1 (en) A mounting structure of safety belt for a car
KR19980022819A (en) Loosening device of car seat belt
KR19990018482U (en) 3-point seat belt with 3 se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