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521B1 - 무선방송메시지수신용시계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방송메시지수신용시계의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521B1
KR100287521B1 KR1019930007956A KR930007956A KR100287521B1 KR 100287521 B1 KR100287521 B1 KR 100287521B1 KR 1019930007956 A KR1019930007956 A KR 1019930007956A KR 930007956 A KR930007956 A KR 930007956A KR 100287521 B1 KR100287521 B1 KR 100287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message
messages
stem
displa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329A (ko
Inventor
피에르-앙드레메이스터
비론테오도리디스
Original Assignee
마틴 비에리, 다니엘 파래태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케스 드' 에바우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틴 비에리, 다니엘 파래태,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케스 드' 에바우체스 filed Critical 마틴 비에리, 다니엘 파래태
Publication of KR930024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2Installations within mirrors, pictures, furniture or other household articles
    • G04B47/025Installations within mirrors, pictures, furniture or other household articles in musical instruments or loudspeak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60/00Constructional details
    • G04R60/06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60/00Constructional details
    • G04R60/06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 G04R60/10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inside ca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8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combined with other device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e.g. wa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 Clock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시계는 시간(4)와 분(5)을 표시하는 타임키퍼, 디스플레이(7)상으로 읽을 수 있는 라디오방송 메시지 수신기 또한 축을 크라운(10)에 장착한 제어장치(3)를 포함한다. 축-크라운은 3가지 축위치로 움직일 수 있으며 1차 안정 돌출위치는 타임키퍼를 크라운회전에 의해 하루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2차 안정 중립위치는 수신된 메시지를 크라운 회전에 의해 교대로 표시하는 것이며, 또한 3차 누름 불안정위치는 표시된 메시지가 소거 또는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선방송메시지수신용 시계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계장치와 페이저의조합을 포함하는 시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스템-크라운기구의 스템이인출되어 제1안정위치에 놓인 것을 보인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스템이 중간에 놓인 제2의 안정중립위치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스템이 삽입된 제3의 비안정위치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스템이 결합된 슬라이딩 피니언을 보인 제2도의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화살표 V 방향에서 본 슬라이딩 피니언의 정면도.
제6도는 제1도에서 보인 기구의 평면도.
제7도는 스템의 잠금장치를 보인 제6도의 부분 저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저 시계의 제1실시형태를 보인 평면도.
제9도는 다양한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제8도에서 보인 시계에서 디스플레이 영영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
제10도는 제8도에서 보인 페이저시계의 전자회로구성부를 보인 개략블록 다이아그램.
제11도는 제8도에서 보인 페이저 시계에 구비된 누름버튼의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12도는 스템-크라운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는 메시지가 저장된 제8도 페이저시계의 메모리구성을 보인 다이아그램.
제13도는 제8도 페이저 시계의 스템-크라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셀의 용량을 초과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방법을 보인 설명도.
제14도는 페이저 시계가 대기상태에 놓여 있을 때 메시지의 수신을 설명하는 다이아그램.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저시계의 제2실형태를 보인 평면도.
제16도는 다양한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제15도에서 보인 시계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
제17도는 제15도에서 보인 페이저 시계의 전자회로구성부를 보인 개략 블록 다이아그램.
제18도는 제15도에서보인 시계에서 스템-크라운의 기능을 설명한 것으로 페이저가 제어모드의 상태에 있음을 보인 다이아그램.
제19도는 제15도에서 보인시계에서 스템-크라운의 기능을 설명한 것으로 페이저가 메시지모드의 상태에있음을 보인 다이아그램.
제20도는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를보호하기위하여 제15도에서보인 페이저시계의스템-크라운에가하여지는 조작단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21도는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를 소거하기 위하여 제15도에서 보인 페이저 시계의 스템-크라운에 가하여지는 조작단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22도는 사전에 결정된 턴-오프 시간을 프로그램하기 위하여 제15도에서보인 페이저 시계의 스템-크라운에 가하여지는 조작단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2... 누름버튼 3... 제어장치
7... 디스플레이 셀 9... 스템
10... 크라운 33, 36... 전도성 블레이드
68... 메모리
본 발명은 사간과 분을나타내는 시계장치, 문자로구성된 무선방송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가,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기위한 메모리, 상기 메시지를나타내는디스플레이 셀, 음향 또는 기계적은 변환기와, 수동으로 작돌 될 수 있게 되어 있는 크라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템(stem)을 포함하는 제어화로로 구성되는 무선방속에메시지수신용 시계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범용적인 정의에 따른 시계는 본원 출원인의 명의로 특허된 여러특허문헌에 나타나 있다. 시계케이스내에 내장된 안테나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하여서는 특허문헌 EP-B-O 339 482(US-A-4 884 252)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시계의 무브먼트, 케이스밴드 및 백 커버의 조립에대하여서는 특허문헌 EP-A-O 460 526에기술되어 있다. 끝으로 시계의무선주파 수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전원회로가 특허문헌 EP-A-O 460 525에 기술되어 있다.
이상의 특허문헌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상이 되는 시계는 이후부터가 무선호출기, 즉 ";페이저(pager)";라 불리는 장치가 겸비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페이저는 안테나, 수신기회로, 디코우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여러 메시지를 기록할 수 있는 메모리로구성되며, 이러한 각 메시지는 요구하는 바에 따라서 LCD 디스플레이 셀에 나타날 수 있다. 페이저에는 예를 들어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음향확산기가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페이저는 제3자가 사용자를 찾고있음을 알리는 소형수신기이다.
하나 또는 수 개의 음향신호만을 전달하는 페이저가있다. 신호가 울릴때, 사용자는 전화기에 승인된 번호를 눌러야 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는 페이저가 사용자로 하여금 음향신호가 울림과 동시에 제3자가 그를 찾는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내용이 대부분 경우 호출전화번호로 구성되는 메시지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셀에 나타나도록 한다. 메시지를 보내기 위하여 제3자가 그의 전화기에서 찾고자하는 사람의 페이저번호를 눌러 수화기에서 특정한 음향신호가 울리도록 한다. 다음으로 자신의 전화기에서 디지털 키보드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누루고 전화기가 그에게 그의 호출이 등록되었음을 확인하여 알릴 때까지 기다린다. 이러한 확인이 수신되었을 때 수화기를 다시 내려 놓는다. 잠시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경보신호가 있다면 이러한 경부신호가 울리면서 송신된 메시지가 호출된 페이저상에 나타날 것이다.
페이저를 손목시계에 조합하는 것은 이러한 조합된 장치의 시계를 사용자가 항시 착용하고 있어 페이저를 휴대하는 것을 잊지 않을 수 있고 종래 별도로 휴대하는 페이저를 시계에 조합함으로서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그러한 조합은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일부를 해결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다루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시계에 의하여 표시되는 시간을 고칠 수 있고다른 한편으로는 필요한 경우 메시지를 바꾸거나 페이저에 수신된 메시지를 보존하거나 소거할 수 있는 손목시계와 페이저가 조합된 장치를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능은 본 발명에 따라서 하나의 스템-크라운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템이적어도 3개의 상이한 축방향위치, 즉 시계장치가 크아운의 회전으로시간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안정위치, 크라운의 회전으로 수신된 메시지가 차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제2안정위치오ㅘ, 디스플레이된 메시자가스템의 종방향으로 가하여지는작동에 의하여 소거되거나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제3의 바안정위치에 놓일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점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8도와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저 시계의 제1 및 제2실시형태의 평면도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세계는 시침(4)과 분침(5)에 의하여 하루의 시간을나타내는 시계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시계는 페이저 시스템, 즉, 문자로 구성되는 무선방송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와 이러한 메시지를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 구성되는장치를 포함하며, 이러한 수신기와 메모리는 이후 명백하게 되는 설명의 실체가 된다. 메시지는 제8도와 제15도레서 와이어의 형태로 도시되고 시계케이스의 케이스밴드에 권취된 안테나(6)에 의하여 포착된다. 이러한 안테나에 대한 설명은 특허문헌 EP-B-o 339 482(US-A-4 884 252)를 참조바란다. 메시지는 예를 들어액정으로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셀(7)에 나타난다. 또한 페이저 시계의 두 실시형태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바와 같이 각각 손으로 작동될 수 잇는 크라운(10)에 결합된 스템(9)으로 구성되는제어장치(3)를 포함한다. 제8도와 제15도에서 단순히 통공형태로 도시한 음향확산기(8)는 메시지의도착을 신호로 알려줄 수 있게 되어있다. 이러한 음향확산기의 구성에 대하여서는 특선문헌 EP-A-O 460 526을 참조바란다.
본 발명에따른 이들 실시형태에서, 스템(9)은 제1도-제1도-제7도에서 설명되는 기구에따라 적어도 3개의상이한위치에 놓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위치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안정위치이다. 이러한 위치에서 시계는 크라운의 회전으로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역시 안정위치인 제2위치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크라운을 회전시키면 수신된 메시지가 차례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잇다. 끝으로, 제3도에서 보인 제3위치는 비안정위치로스템을 길이방향으로이동시켜 메시지를 소거하거나 보호할 수 있다.
제1도-제3도의 제어장치(3)는 단부에 크라운(10)이 결합된 스템(9)을 포함하며, 이 크라운에는 회전운동을 가하거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스템(9)은 케이스의 케이스밴드(12)에 형성된 개방부(11)와 엘보형부재(14)에 형성된 통공(13)에서 활동한다. 이 스템은 패킹(16)이배치되는 홈(15)을 포함한다. 또한 이 스템은 슬러그(slug)(19)에 고정된 로킹레바(18)가 조절되는 다름 홈(17)을 포함한다. 끝으로, 이 스템은 엘보형부지(14)와 다른고정형의 엘보형 부재(22)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딩 피니언(21)에서 활동할 수 있게된 사가단면부(20)로 구성된다. 제1도-제3도에서는 상기 언급된 특허문헌 EP-A-O 460 526에서 설명된 요소들, 즉, 기판(23), 다이얼(24), 제1시계유리(25) 및 제2시계유리(26)가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4도와 제5도에는 슬라이딩 피니언(21)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 슬라이딩 피니언은 두개의 단(27)(28)과, 스템(9)의 사각단면부(20)가 삽입되는 통공을 포함한다. 이들 각 단은 제4도에서 빗금으로 보인 단(27)과 같이 타원형에 가까운 단면형태로 되어 있다. 이들 단(27)(28)은 상대측에 대하여 약 45°각도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제2도와 제6도에서보인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전도성 블레이드(29)(30)가 슬라이딩 피니언(21)의 단(27)(28)에 각각 착설되어 슬라이딩 피니언이 스템이 의하여 회전될 때 교대로 전도성 트랙(A)(B) 에 접촉할수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전도성 트랙은 연쇄회로(31)에 형성되어 있다. 제1도-제3도는 스템이 어떠한축방향 위치에있던 간에 슬라이딩 피니언(21)이 회전하여 놓이는 상태에 따라서 블레이드(29)가 트랙(A)에 접촉하고 블레이드(30)가 트랙(B)에 접속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접촉은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교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도-제3도와 제6도는 스템기구가 다른 두개의 스위치를 포함을 보이고 있다. 제1스위치(32)는 연쇄회로(31)에 형성된다. 전도성 트랙(C)에 접촉하는 전도성 블레이드(33)로 구성된다. 제2스위치(35)는 역시 인쇄회로(31)에 형성된 전도성 트랙(D)에 접촉하는 전도성 블레이드(36)로 구성된다. 슬러그(19)에 의하여 구동될때블레이드(33)(36)는 각각트랙(C)(D)에 접촉하게 되며, 슬러그(19)는 제1도와 제3도에서 보인바와 같이 스템(9)의 홈(17)에 결합된 로킹레바(18)에 의하여 회전구동된다.
제1도는 크라운이 인출된 스템-크라운의 제1안정위치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위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제8도의 실시형태와 제15도의 실시형태)의 시계에서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위치이다. 여기에서 제1스위치(32)는 폐쇄되며, 만약 크라운(10)이 회전되면, 제1 및 제2 전도성 블레이드(29)(30)가 각각 교대로 제1 및 제2 전도성 트랙(A)(B)에 접촉하게 된다. 사전에 결정된 속도보다 낮은 회전속도로 크라운을 회전시키면 크라운의 회전방향에 따라 단계적으로 분침의 지시값이 가감되어 보정되는 반면에 사전에 결정된 속도보다 빠른 회전속도로 크라운을 회전시키면 크라운의 회전방향에 따라 시간단위로 시침의 지시값이 가감되어 신속히 보정된다. 이러한 보정이 이루어지는 수단에 대하여서는 특허문헌 CH-A-643 427(US-A-4 398 831)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제1안정위치에서, 시간단위의 보정은 크라운의 인출위치에서 이루어지는 작동으로부터 시작하는 실시간을 기준으로하여 이루어지며, 특허문헌 EP-B-0175 961(US-A-4 620 797)에 언급된 바와 같이 시간단위의 보정이 우선되어 모든 단계적인 분단위의 보정을 취소할 수 있는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제2도는 스템-크라운의 제2의 중립안정위치를 보인 것이다. 이 위치는 크라운이 회전될 때 페이저에 의하여 수신된 메시제가 차례로디스플레이 되는 위치이다. 이 위치에서 제1 및 제2 스위치(32)(35)는 개방되는 한편, 스템의 회전으로 제1 및 제2 블레이드(29)(30)가 각각 제1 및 제2 전도성트랙(A)(b)에 접촉하게 된다.
제3도는 크라운이 삽입되는 제3의 비안정위치를 보인 것이다. 이 위치는 크라운을 누를 때 디스플레이된 메세지가 소거되거나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이다. 이 위치에서 제2스위치(35)는 폐쇄된다.
제6도에서는 블레이드(29)(30)(33)(36)가 함께 공통의 기판(37)을 갖는 단일부재로 구성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는 금속시이트로부터 절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33)(36)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블레이드는 제10도와 제1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공통의 전위 Vpp에 연결될 수 있다.
제6도의 저면을 보인 제7도는 스템(9)의 홈(17)에 의하여 구동되는 로킹레바(18)가 고정축(38)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함을 보이고 있다. 로킹레바는 제1탄성부재(42)에 형성된 두 요구(40)(41)에 결합되는 제1돌출부(39)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7도의 스템은 돌출부(39)가 요구(40)에 결합되어 있는 제2중립위치에 있음을 보이고 있다. 제1인출위치로 인출되게 하기위하여 스템을 인출할 때 돌출부(39)는 요구(41)에 결합된다. 또한 제7도의 위치에놓인 스템(9)을 압력을 가하여 누를 때 돌출부(39)는 제1탄성부재(42)에 형성된 경사면(43)을 타고 이동하며 이러한 경사면은 압력을 가하는 것을 중단할 때 스템이 다시 중립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스템의 복귀운동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로킹레바(18)에는 제2탄성부재(45)에 결합되는 제2돌출부(44)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탄성부재는 단일판(46)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된 동일한 스템-크라운의 구조는 이후 상세히 설명될 본 발명의 페이저 시계의 두 실시형태에 이용된다. 이러한 스템의 작동은 (a) 시계의 시간설정기능, (b) 메시지를 차례로 스캐닝하는 기능과, (c) 메시지의 소거 또는 보호기능에 관한 한 이들 두 실시형태에서 동일하다.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서는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여하에 따라서 스템이 상이한 기능을 보일 수도 있다.
1) 제1실시형태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저 시계의 제1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페이저 시계는 상기 언급된 스템-크라운 구조와 함께 두개의 부가적인 누름버튼(1)(2)을 포함한다. 8시 방향에 배치된 제1 누름버튼(1)은 페이저를 턴-온 및 턴-오프시키는데 사용된다. 10시 방향에 배치된 제2 누름버튼(2)은 페이저가 대기상태에 놓일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대기상태에서 수신된 메시지는 음향확상기(8)에 의한 신호없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제9도는 제8도의 디스플레이 셀(7)을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이 디스플레이 셀은 하나의 메시지 영역(50)과 두개의지시영역(51)(52)을 포함한다. 영역(50)에서는 숫자와 문자로 구성된 메시지가 나타난다. 각 문자는 일련의 세그먼트, 즉 7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메시지는 최대 12개의 문자로 구성될 수 있다. 지시영역(51)에서, 부호 53은 저장메모리가 다 찼음을 나타내는 ";FULL";, 문자를 나타내고, 부호 54는 숫자 ";4321";, 부호 55는 문자 ";ABCD";, 부호 56은 무선수신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 ";Y";, 부호 57은 페이저의 배터리를 지체없이 교환하여야 함을 알리는 문자 ";BAT";를 나타낸다.지시영역(52)에서는 부호 58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셀의 좌측으로 연속됨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보호 59는 디스플레이된 메시지가 보호되었음을 알리는 문자 ";PROTECT";이고, 부호 60은 페이저가 턴-온되었음을 알리는 문자 ";ON";이며, 부호 61은 페이저가 대기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문자 ";SIL";이고, 부호 62는 페이저가 턴-오프되었음을 알리는 문자";OFF";이며, 부호 63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셀의 우측으로 연속됨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제10도는 제8도에서 보인 페이저 시계의 전자회로구성부의 개략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안테나(6)에 의하여 포착된 메시지는 수신회로 RF(64)(예를 들어 Philops사의 UAA 2033 타입)에 의하여 수신되고 디코우더(65)(예를 들어 Philips사의 PCF 5001 타입)에 의하여 복조된다. 이러한 디코우더는 자신의 무선식별코드(RIC)를 가지고 CCIR(1986년 Dubrovnik의 권고사항 CCIR 584-1에 기초함)의 무선전기호출코드 Nr. 1에 응답하는 특정 페이저에 대한 메시지만을 수신하기 위하여 그 프로그래밍 버스(66)에 의하여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 디코우더(65)는 자체의 수정발진자(67)를 갖는다. 또한 페이저는 특정 구성의 메모리 RAM(68)과 마이크로프로세서(69)(예를 들어 Seiko사의 SMC 6234 타입)를 포함한다. 디코우더, 메모리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10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버스라인(70-73)으로 연결된다. 마인크로프로세서(69)는 버스(74)를 통하여디스플레이 셀 LCD(7)을 직접 구동시키는 내부 드라이버를 갖는다. 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음향경보기 또는 부저와 같은 음향확산기(8)를 구동시키는 출력단자를 갖는다. 제8도에서 보인 누름버튼(1)(2)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페이저시계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시계의 수정발진자(76), 분주기와, 회전차 축이 시계톱니바퀴와 시침 및 분침(4)(5)을 구동시키며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스텝핑 모터를 라인(77)을 통해 구동시키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시계회로(75)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EM Microelectronic-Marin SA 사의 H 5026 타입). 시계 회로에는 제1도, 제2도, 제3도 및 제6도에서 보인 스템-크라운 기구의 각 전도성 블레이드(29)(30)(33)에 대응하는 전도성 트랙(A)(B)(C)이 연결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는 스템-크라운기구의 전도성 블레이드(36)에 대응하는 전도성 트랙(D)이 연결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69)와 시계회로(75)는 크라운(10)의 회전을 나타내는 신호가 실리는 ";펄스";라인과, 상기 크라운의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신호가 실리는 ";방향";라인에 의하여 함께 결합된다. 만약 적어도 3대의 펄스가 200ms 동안에 3개 이하의 펄스가 ";펄스";라인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크라운의 회전각속도가 상기 사전에 결정된 속도보다 느리다(저속회전)고 할 수 있다.
제11도-제14도에서는 두개의 누름버튼(1)(2)과 크라운(10)을 이용하여 페이저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면에 사용된 기호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1 : 누름버튼(1)을 오래 누르고 있는 장기가압 (ON/OFF)
;>;2 : 누름버튼(2)을 오래 누르고 있는 장기가압 (ON/SIL)
<;<;3 : 크라운(10)을 오래 누르고 있는 장기가압
<;3 : 크라운(10)을 감간동안 누르는 단기가압
: 크라운의 정방향 고속회전
: 크라운의 역방향 고속회전
∧ : 크라운의 정방향 저속회전
∨ : 크라운의 역방향 저속회전
Y : 메세지의 수신
제11도는 누름버튼(1)(2)의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페이저가 턴-온될 때, 제9도의 부호 60의 ";ON";표시가 조명된다. 페이지를 턴-오프시키 위하여 누름버튼(1)을 길기 눌어 장기가압(>;>;1)함으로서 제9도의 부호 62의 ";OFF";표시가 조명되게 한다. 다시 ";ON";이 되게 하기 위하여서는 누름버튼(1)을 다시 장기가압(>;>;1)하여 ";ON";표시가 나타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셀(7)에 기호";SIL";(SILence의 약자임)이 나나나도록 하여 페이저가 대기상태에 놓이도록 하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는 페이저가 ";ON";상태임을 확인한 후에 누름버튼(2)을 장기 가압한다(>;>;2). 그러면 기호 ";SIL";이 조명되고 페이저는 대기상태가 되며, 이로부터 사용자는 다시 ";ON";상태로 돌아가기 위하여 누름버튼(2)을 장기가압(>;>;2)할 수 있다. 턴-오프상태(OFF)로부터 대기상태(SIL)에 이르기 위하여서는 먼저 ";ON";상태로 가는 것이 필요하다. 어느 한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음향확산기(8)(제8도와 제10도)에서 발생되는 확인음향이 수반될 수 있으며, ON, OFF 및 SIL상태로의 전환시에 1-3회의 비프음향이 수반될 수 있다.
제11도는 또한 페이저를 작동시키는 배터리의 교환중에 새로운 배터리가 연결될 때 먼저 페이저 전자회로를 제로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RESET상태가 되고 이어서 초기화상태 INIT가 되며 이러한 과정중에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체크하기 위하여 이러한 상태들을 나타내는 모든 기호 또는 부호들이 디스플레이 셀(7)에 나타날 수 있다.
제12도는 제8도의 페이저 시계의 메모리가 어떻게 구성되고 저장된 메시지에 대한 크라운의 회전 및 가압이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가 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제10도의 메모리 RAM(68)은 유입되는 보호되지 않은 제한된 수 N의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영역(8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영역이 모두 채워졌을 때, 새로운 메시지, 즉, 제12도에서새로이 수신되는 메시지 N+1의 등록은 가장 오래된 메시지, 즉, 도면의 메시지 1의 손실을 가져온다. 또한 메모리 RAM은 제한된 수 P의 보호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게된 제2영역(81)을 포함하며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크라운을 작동시 영역(80)으로부터의 보호되지 않은 메시지를 영역(81)의 보호된 메시지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만약 영역(81)이 다 채워진 경우, 영역(80)으로부터의 메시지는 더 이상 보호될 수 없으며, 이런한 사실은 제9도에서 부호 53으로보인 ";FULL"; 문자가 조명되어 나타낼 것이다. 이로써 메시지의 보호는 이와 같이 보호된 메시지가 상기 메모리가 다 채워진 경우에 메모리로부터 자동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메시지 1이 디스플레이 셀에 디스플레이된다고 가정한다. 만약 스템-크라운기구의 쿠라운(10)이 역방향, 즉 크라운을 앞에 놓고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고속회전되는 경우, 메시지 1은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 2 때문에 보이지 않게 된다. 만약 반대로, 메시지 1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시작하여, 크라운이 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고속회전될 때, 메시지 1은 보호된 메시지 01 때문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크라운의 고속회전의 속도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사전에 결정된 회전속도보다 빠른 회전속도이다. 제12도는 동일한 방식으로보호된 메시지 P로부터 보호되지 않은 메시지 N으로 전환시키거나 그 반대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메시지의 보호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이루어진다. 메시지 2가 디스플레이 셀에 나타나고 있는 메시지이고 페이저의 사용자가 이를 보호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사전에 결정된 시간 보다 짧은 시간, 예를 들어 1초 이하의 가간 동안 크라운(10)을 눌러(<;3) 스템이 그 제3의 비안정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이 순간에 제9도에서부호 59로 보인 ";PROTECT"; 문자가 메시지 위에서 조명되어 사용자에게 메시지2가 보호되었음을 알린다. 이로부터 크라운을 역방향또는 정방향으로 신속히 회전 시키면 메시지 N+1 또는 메시지 1이 각각 나타나고, 메시지 2가 메모리의 제1영역(81)으로 부터 위치 P+1의 제2영역(81)으로 옮겨진다. 보호된 메시지를 보호되지 않은 메시지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보호된 메시지에는 특정 기호가 지정된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038-20-91-73과 같은 전화번호인 경우에, 보호된 메시지는 예를들어 02와 같은 서수(序數)가 앞에붙어 이것이 영역(81)의 두번째보호된 메시지임을 나타내며, 이 메시지는 02=038-20-91-73의 형태로 보여질 것이다.
메시지의 소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 진다. 보호된 메시지 02가 디스플레이 셀에 나타나고 있는 메시지이고 페이저의 사용자가 이를 소거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사전에 결정된 기간 보다 긴 시간, 예를 들어 1초 이상의 시간 동안 크라운(10)을 눌러(<;<;3) 스템이 제3의 비안정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이때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셀로부터 나타나지 않아 공백이 된다. 이로부터 크라운을 역방향또는 정방향으로 신속히 회전시킴으로서메시지 01 또는 메시지 P-1이 나타나도록 할 수있다. 이와 같이 보호되지 않는 메시지가디스플레이 셀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잇을 것이다.
메시지(제12도의 N+1)의 도착은 페이저가 대기상태(SIL)에 놓여 있는한 약 10초 동안 발생되는 일련의 비프로 구성된 음향신호에 의하여 알려지게 된다.이러한 신호는 누름버튼(1)(2) 또는 크라운(10)을 짧게 눌러주는 것으로 중단될 수 있다.
보호 또는 소거의 기능은 크라운을 짧은 시간 또는 긴 시간 동안 가압함으로서 수행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짧은 시간 또는 긴 시간 동안 가압함으로서 수행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짧은 기간과 긴 기간을 구별하기위하여, 사용자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는 것을 중지하여야 함을 알려주는 한번의 음향비프를 짧은 시간으로 인식하고 소거기능이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두번의 음향비프를 긴 시간으로 인색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든 전화번호 038-20-91-73은 12개의 문자(대쉬부호도 문자로 간주한다)로 구성되어 제9도에서예를 든 디스플레이 셀의유효공간을 모두 채운다. 그러나, 메시지가 길어서이러한 디스플레이 셀의 용랑을 초과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만약 이러한 메시지가 ";VERY LONG MESSAGE";라고 가정할 때, 이러한 예를 들어 제1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셀에는 ";VERY LONG ME";라고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메시지가 우측우로 연속하여 넘어가는 것은 부로로 63으로 보인 기로로 나타내며 좌측으로 연속하여 넘어가는 것은 부호58의 기호로 나타낸다. 부호 82의 메시지가 있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는 크라운을 역방향 ∨, 즉 반시계반향으로 저속회전 시킴으로서 메시지의문자가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잇다. 저속회전이라함은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사전에 결정된 속도 보다 느린 회전속도를 의미한다. 크라운을 역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시킴으로서 부호 83-87로 보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를 얻을수 있으며, 부호 83과 부호 86은 부호 63가 부호 58로 보인 기호에 의하여 나타내는바와 같이 우측과 좌측으로디스플레이된 메시지가 이동한 것을 보이고 있다. 보호 87로 보인 메시지는 부호63의 기호는 나타나지 않고 부호 58의기호만이나타나 있는 것으로보아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부로 87의 메시지의 부분으로부터 메시지의 끝부분임을 나타낸다. 제13도는 부호87로 보인 메시지의 부분으로부터 사용자가 크라운을 정방향 ∧ 저속회전시켜 부호 82로 보인 메시지부분으로 되돌아 갈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제14도는페이저 시계가 대기상태에있을 때메시지의 수신을 설명하는 다이아그램이다. 이 도면에서 메시지 1이 디스플레이되고 페이저는 ON상태이다. 누름버튼(2)의장기가압으로 페이저는 대기상태(SIL)에 놓인다. 메시지 1은 디스플레이 셀이 나타나지 않으며(그러나 소거된 것은 아니다.) 기호 SIL이 나타내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디스플레이 셀에 아무런 표시가 없이 공백의 상태가 된다. 이때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가청방법으로 표시함이 없이 메모리에등록되며디스플레이 셀에 표시되지 않는다. 제14도의 예에서, SIL모우드에서 수신된 각 메시지에는 디스플레이 셀에 이러한 모우드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번호를 나타내는 1 CALL, 2 CALL 등으로 표시되는 순차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메시지(R CALL 이후)를 판독하기위하여, 누름버튼(2)에 압력을 가하여(>;>;2) ON 모우드로 복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스플레이 셀은 공백이 되고, 크라운을 정방향으로 고속회전시킴으로서수신된 최종메시지(N+R)의 문자가나타나도록 할수 있다.
2) 제2실시형태
제15도는 본발명에 따른 페이저시계의 제2실형태를 보인 것이다. 제1실시형태와 비교하였을 때, 이 제2실시형태는 다른 누름버튼은 가지지 않고 단일의스템-크라운기구(3)만을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언급된 ON-OFF 기능과 ON-SIL 기능은 스템-크라운기구(3)에 의하여 수행된다.
제16도는 제15도의 디스플레이 셀(7)을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이 디스플레이 셀은 메시지영역인 하나의 영역(85A)과 표시영역인 두 영역(87A)(87A)을갖는다. 영역(85A)에서 나타나는 메시지는 숫자와 문자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문자는 일련의시그먼트, 즉 최대 7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예를 든 디스플레이 셀에서, 메시지는 최대 12자까지 구성될수 있다. 표시영역(86A)에서 부호 88은 새로운 메시지 임을 나타내고 문자가 크라운의 단기아압에 의하여 알려지지 않는 한 표시상태가 유지되는문자 ";NEW";를 나타내고, 부호 89는 메모리가 다 찾음을 나타내는 문자 ";FULL";을 나타내며, 부호 90은 메시지의 보호기능을 나타내는 문자 ";PROT";를 나타내고, 부호 91은 소거기능을 나타내는 문자 ";DEL";을 나타내며,부호 92는 메시지의 수신이 가능한 무선신호가 양호함을 나타내는 기호 ";Y";를 나타내고, 부호 93은 페이저의 배터리를 교환하여야 함을 나타내는 문자 ";BAT";이다. 표시영역 87A에서, 부호 100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셀에서 좌측으로 연속하여 이동함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부호94는 페이저가 턴-오프됨을 나타내는 ";OFF";이며, 부호 95는 페이저가 턴-온됨을 나타내는 ";ON";이고, 부호 96은 페이저가 자동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됨을 나타내는 ";AUTO";이며, 부호 97은 페이저의 내부시계를 설정할 수 있는 ";TIME"; 표시이고, 부호98은 페이저가 대기상태임을 나타내는 ";MUTE"; 표시이며, 부호 99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셀에서 우측으로 연속하여 이동함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제17도는 제15도에서 보인 페이저 시계의 전자회로 구성부를 보인 개략 블록 다이다그램이다. 안테나(6)에 의하여 포착된 메시지는 3개의 와이어를 갖는 버스(102)에 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디코우더(101)에 결합된 RF회로(64)(예를 들어 Philips 사의 UAA 2033 타입)에 의하여 수신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디코우더(101)는 통상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제10도에서 보인 디코우더(65)와 유사한 디코우더에 결합한 것이다. 이 디코우더는 두개의 와이어 버스(104)에 의하여 프로그래밍되는 외부 EERROM 메모리(103)와 결합된다. 제1실시형태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디코우더는 자신의 무선식별코드(RIC)를 갖는 특정 페이저에 대하여서만 메시지의 수신이 허용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디코우더(101)는 자체의 수정발진자(67)를 갖는다. 마이크로프로세서-디코우더(101)는 9개의 도선으로 구성되느 ㄴ버스(105)를 통하여 이미 언급된 EEPROM 메모리에 결합되며, 이 메모리는 다른 메모리 RAM에 결합될 수 있다. 액정 ㄷ디스플레이 LCD인 디스플레이 셀(7)에 나타나는 메시지는 7개의 도선을 갖는 버스(107)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디코우더(101)에 결합되는 드라이버(106)에 의하여 제어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디코우더(101)에는 경보기 또는 부저와 같은 음향확산기(8)가 결합된다. 또한 제17도의 도면에서는 시계 수정발진자(76)를 포함하는 시계회로(75)(EM Microelectronic-Marin SA사의 H 5026 타입), 분주기와, 축이 톱니바퀴와 분침 및 시침(4)(5)을 구동시키는 두 회전방향을 갖는 스탭핑 모터를 라인(77)을 통하여 작동시키는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시계회로(75)에는 제1도, 제2도, 제3도 및 제6도에서 보인 스템-크라운 기구(3)의 전도성 블레이드(29)(30)(33)에 대응하는 전도성 트랙(A)(B)(C)이 연결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크라운이 회전구동될 때 트랙(A)(B)은 교대로 전원 Vpp에 결합되며 크라운이 인출되는 제1위치(시간설정)에 있을 때에는 트랙(C)이 전원 Vpp에 결합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디코우더(101)에는 스템-크라운기구의 전도성 플레이드(36)에 대응하는 전도성 트랙(D)이 결합되며 역시 이미 언급된바와 같이 크라운이 삽입된 제3의 비안정위치에 있을 때트랙(D)이 전원 Vpp에 결합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디코우더(101)와 시계회로(75)는 크라운(10)이 회전되는 것에 관한 신호를 보내는 ";펄스";라인과 상기 크라운의 회전방향에 관한 신호를 보내는 ";방향";라인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7도의 RAM 메모리(103)는 본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사용되니 메모리보다 더 표준화된 메모리이다. 이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RAM 메모리에 저장되는 메시지는 가장 오래된 메시지는 아래에 놓이고 최근의 메시지 위에 놓이고 이러한 영역은 이를 나타낼때 디스플레이에서 공백으로 나타난다. RAM 메모리는 제한된 수의 메모리만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가 다 찼을 때 새롭게 들어오는 메시지는 가장 오래된 메시지가 보호되지않은 경우 이러한 가장 오래된 메시지가 지워지도록 한다.제18도-제22도에서, 단일의 스템-크라운기구(3)를 작동시켜 페이저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방법은 ON-OFF 및 ON-SIL 기능을 수행하는 누름버튼이 없어 제1실시형태와는 다를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크라운에 의하여 수행된다.
제18도와 제19도에 사용된 기호와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 : 크라운의 장기가압
<; : 크라운의 단기가압
∧ : 크라운의 정방향 회전
∨ : 크라운의 역방향 회전
크라운에 가하여지는 압력의 시간은 1초 이상일 때에 장기가압(<;<;)이라하였다. 이러한 압력이 1초 이하일 때를 단기가압(<;)이라 하였다. 단기 및 장기가압은 비프음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크라운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반면에 단기가압은 선택된 기능을 유효하도록 하고 장기가압은 어떠한 상태또는 특정 메뉴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페이저는 크라운을 제2중립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조작될 수 있으며, 크라운을 인출한 제1위치는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시계의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에만 이용된다.
제18도는 제15도에서 보인 시계의 스템-크라운기구의 기능을 설명하는 다이아그램으로 이는 페이저의 상태가 제어모드에 있음을 나타내고, 이러한 상태는 제16도에서 보인 ";OFF"; 표시(94)-";MUTE"; 표시(98)에 의하여 나타난다.
크라운을 회전시킴으로서 사용자는 페이저가 프로그램 대기모드(110)가 되어 디스플레이 셀이 공백이 되도록 한다. 이로부터 사용자는 크라운(10)을 장기가압(<;<;)하여 ";OFF";(94)로부터 ";MUTE";(98)의 모든 상태표시가 조명되고 ";OFF"; 표시는 깜박이도록 한다. 그리고 ";OFF"; 상태는 크라운을 단기가압(<;)함으로서 유효화될 수 있다. 그리고 페이저는 ";OFF"; 표시가 조명된 상태에서 프로그램 대기위치(112)로 복귀된다. 만약 ";ON"; 상태가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는 크라운(10)을 장기가압(<;<;)하여 ";OFF";(94)로부터 ";MUTE";(98)의 모든 상태표시가 조명되고 ";OFF"; 표시는 깜박이도록 한다. 그리고 ";ON"; 상태는 크라운을 단기가압(<;)함으로서 유효화될 수 있다. 그리고 페이저는 ";ON"; 표시가 조명된 상태에서 프로그램 대기위치(112)로 복귀된다.제18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다른 상태들, 즉 ";AUTO";(96), ";TIME";(97) 및 ";MUTE";(98)등의 상태들도 도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상태의 선택은 요구된 표시가 깜박이는 상태의 표시를 크라운을 단기가압하여 유효화되도록 할 수 있다. 제18도에서, ";MUTE";(98)의 상태를 지나 ";OFF";(94)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8도는 ";OFF";(94) 상태로부터 사용자는 크라운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직접 ";MUTE";(98) 상태에 이를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반대로 ";MUTE";(98) 상태에서 크라운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직접 ";OFF";(94)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크라운을 장기가압함으로서 모든 표시가 나타나고 그 중에서 하나가 깜박이게 된다. 또한 선택된 표시만 깜박이고 다른 표시들은 조명이 되지않게 할 수 있다.
만약 ";ON"; 및 ";OFF"; 상태가 이해된다면 ";MUTE";, ";AUTO"; 및 ";TIME";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MUTE";(98)의 상태는 그 목적으로서 페이저를 대기상태에 놓이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수신된 메시지는 음향신호가 페이저의 사용자에게 메시지가 도착하였음을 알리도록 발생됨이 없이 RAM 메모리에 저장된다. 통상적으로 메시지의 도착은 디스플레이 셀에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음향신호가 수반된다. ";MUTE"; 상태에서, 이러한 음향신호는 울리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셀에 메시지가나타나는 가시적인 신호는 억제되거나 페이저의 제1실시형태에서설명된 바와 같이일련의 번호로 실현될 수 있다.
";AUTO"; 상태는 페이저의 사용자에 의하여 사전에 프로그램된 시간에 페이저를 자동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크라운을 회전시켜 ";AUTO";(96) 상태를 선택하고 크라운을 단기가압하여 이러한 상태를 유효화함으로서 사용자는 특정 메모리를 갖는 페이저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디폴트에 의하여 시간이 프로그램되는 프로그램 대기모드(112)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18도의 도면에서 보인 턴-온 시간 ";ON TIME";(113)과, 턴-오프 시간 ";OFF TIME";(114)의 조절방법은 제22도의 조작프로그램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20도, 제21도 및 제22도에서, 크라운을 장기가압하는 것은 제18도 및 제19도의 기호 <;<;와 같은 의미로서 꼬리가 긴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마찬가지로 크라운을 단기가압하는 것은 제18도 및 제19도의 기호 <;와같은 의미로서 꼬리가 짧은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크라운은 한편으로는 디스플레이 셀이 공백이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언급된바와 같이";AUTO";(96) 표시가 유효화 상태가 되도록 조작된다. ";AUTO"; 표시는 이들 조절을 실행하는 시간이 ";,AUTO"; 상태의 턴-온 시간내에 포함하는 경우 ";ON"; 표시에 의하여 수행될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OFF"; 표시가 사라진다. 그리고 사용자는크라운을 장기가압(118)하여 시간의 상태 또는 제어메뉴로 들어간다. 크라운을 회전(116)시킴으로서 사용자는 깜박이는 ";AUTO";(96) 상태를 선택할 수 있으며, 깜박이는 상태는 제22도에서 문자 ";AUTO";를 윤곽으로 이루어진 문자로 표시하였다. ";AUTO"; 모드가 선택되었을때, 디스플레이 셀(117)에는 턴-온시간 ";08h00";과 턴-오프 시간 ";18h00";이 표시된다. 다시 크라운을 장기가압(118)함으로서 ";AUTO"; 시간의 조절메뉴로 들어간다. 턴-온 시간 ";08H00";은 ";ON"; 표시가 수반되면서 나타난다. 시간 ";08";은 깜박인다. 이러한 시간은 크라운을 단기가압(120)함으로서 유효화된다. 시간의 유효화는 턴-온의 시간의 분 ";00"; 이 깜박이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크라운을 회전(121)시켜 분을 프로그래밍한다. 사용자는 크라운을 단기가압(122)하여 분 ";00";의 새로운 프로그래밍을 유효화한다. 분의 유효화로 ";OFF"; 표시와함께 턴-오프 시간 ";18h00";이 나타나고 턴-오프의 시간 ";18";이 깜박인다. 시간은 크라운을 회전(123)시켜 프로그램된다. 시간(19)의 새로운 프로그래밍의 유효화는 크라운의 단기가압(124)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턴-오프 시간의 분 ";00";이 깜박이도록 한다. 사용자는 크라운의 간기가압(126)으로 분 ";00";의 새로운 프로그래밍을 유효화하며, 시간은 턴-온 시간에 포함된 경우에 이러한 유효화로 공백의 디스플레이 셀(127)로 복귀되고 ";AUTO"; 표시와";ON"; 표시가 나타난다.
제18도에서 보인 상태 ";TIME";(97)은 ";AUTO"; 기능의 정확한 기능을 위하여 페이저에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시간 설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페이저는 ";AUTO"; 표시가 조명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셀이 공백상태에 놓인다. 그리고 사용자는 크라운의 장기가압에 의하여 상태 또는 제어모드로 들어간다. 크라운을 회전시켜 메뉴 ";TIME";(97)를 선택하여 시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크라운을 한번 더 장기가압(<;<;128)함으로서 시간표시가 깜박이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시간표시는 크라운을 회전시켜 조절할 수 잇으며 조절된 시간표시는 크라운의 단기가압으로 유효화될 수 있다. 시간표시의 유효화로 분의 표시가 깜박이게 되며 이는 크라운의 회전으로 조절되고 크라운의 단기가압으로 유효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효화 <;(129)는 공백의 디스플레이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상태 ";TIME";(97)으로부터 시작하여 사용자가 장기가압<;<;(128)하는 대신에 크라운을 단기가압<;(170)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페이저에 이미 메모리된 유효화 시간을 갖는 대기위치(112)로 복귀할 수 있다.
상태 ";AUTO"; 및 ";TIME";은 페이저의 작동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아닌 부속기능이다. 간단한 형태의 페이저에 있어서는 이들기능이 없다. 또 한 30초 동안 조작이 없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선택된 모드로부터 대기모드로 자동복귀할 것이다.
제19도는 제15도에서 보인 시계의 스템-크라운기구의 기능을 설명한 다이아그램이다. 이 다이아그램은 메시지모드에서의 페이저 상태를 설명한다.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를 하나씩 찾아보기 위하여, 사용자는 크라운을 제2의 안정된 중립위치에 놓고 이를 회전시킨다. 크라운의 역방향 회전∨(130)은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예를 들어 메시지 n)이 디스플레이 셀에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나타나지 않았던 이전의 오래된 메시지 n-1)가 대신 나타나게 된다. 반대로 크라운을 정방향 ∧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예를 들어 n-1)가 디스플레이 셀로부터 사라지고, 이를 대신하여 나타나지 않았던 보다 최근의 메시지(메시지 n)가 나타난다.
메시지(예를 들어 메시지 n)가 디스플레이 셀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이 메시지는 숨겨진 문자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크라운을 단기가압(<;133)함으로서 숨겨진 문자가 차례로 스캐닝될 수 있도록 한다.
감추어진 모든 기호들이 나타나게 될 때, 스캐닝방향을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스캐닝을 중지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크라운을 다시 한번 단기가압(<;134)한다.
메시지의 보호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시용자가 제19도의 메시지 n-2를 보호하고자 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제20도에서 부호 135로 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크라운을 장기가압(136)하여 ";PROT";(90) 및 ";DEL";(91)의 표시가 나타나는 메시지처리를 위한 메뉴로 들어간다. 그리고 보호옵션 ";PROT";(90)이 디폴트로 선택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크라운의 회전(138)으로 요구된 옵션을 선택한다. ";PROT";의 표시가 이미 깜박이고 있으므로 실제로 이러한 과정은 필요없다.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크라운을 단기가압(<;139)함으로서 메시지의 보호상태를 유효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기호 ";P";(137)가 나타난다. ";PROT"; 및 ";DEL"; 표시는 사라진다.
";DELETE"; 또는 ";DEL";의 용어로 표시되는 소거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제19도에 표시된 메시지 n-2를 소거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제21도에서 부호 135로 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크라운을 장기가압(<;<;136)하여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디폴트에 의하여 ";PROT";(90)가 깜박거리는 메시지처리 메뉴로 들어간다. 사용자는 크라운을 역방향 ∨(140)으로 회전시켜 옵션 ";DEL";(91)을 선택한다. ";DEL";(91)표시가 깜박거린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크라운을 단기가압(<;141)하여 소거상태를 유효화하며, 이로써 메시지(135)는 디스플레이 셀에서 사라지고 이에 가장 최근의 메시지 n-1(142)가 나타난다. 제19도는 깜박이는 옵션 ";DELETE"; 로부터 사용자가 크라운을 전방향 ∧(143)으로 회전시켜 ";PROT";옵션으로 복귀하거나 크라운을 역방향 ∨(144)으로 회전시켜 영향받지 아니하고 메시지 n-2로 복귀될 수 있다.
제20도 및 제21도에서 보인 제2실시형태에서, 메시지는 제1실시형태의 경우에 서수가 보호된 메시지에 대하여서만 나타나는 경우와는 다르게 서수(145)가 앞에 나온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된 메시지에는 서수에 부호 ";P"; 가 붙는다.
제19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페이저는 보호되지 않은 모든 메시지를 요구에 의하여 소거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제19도에서 부호 150으로 표시한 ";DLR ALL"; 기호로 보인 이러한 소거를 실행하기 위하여, 최초(가장 오래된) 수신된 메시지(151)가 나타날 때까지 크라운을 역방향 ∨으로 회전시킨다. 이로부터 크라운을 역방향 ∨(152)으로 회전시켜 테스플레이 셀에 ";CLR ALL";이 나타나도록 하며 이러한 모드를 확인 또는 유효화하기 위하여 크라운을 장기가압(<;<;153)한다. 이때에 ";YES";(154)의 표시가 표시가 깜박거린다. 만약 크라운을 단기가압(<;155)하면 ";CLR ALL"; 기능이 수행되어 보호되지 않은 모든 메시지가 일시에 소거된다. 상기 언급된 과정중에 아직 알려지지 않은 메시지가 도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정에서 이러한 메시지는 소거되지 않는다. 또한 제19도는 ";YES";(154)의 기능으로부터 사용자가 크라운을 역방향 ∨(172)으로 회전시켜 ";NO";(171)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만약 ";NO";(171)의 기능이 크라운을 단기가압(<;173)하여 유효화하는 경우 소거과정의 수행없이 ";CLR ALL";의 표시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NO";(171)의 표시로부터 사용자는 크라운을 정방향 ∧(174)으로 회전시켜 ";YES";(154) 표시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두개의 실시형태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요소는 스템-크라운기구를 통하여 크라운을 회전시켜 시계장치의 시간을 보정하고 크라운을 회전시켜 페이저의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며 페이저에 저장된 메시지를 보호 또는 소거할 수 있는 것에 있다.

Claims (16)

  1. 시간과 분을 나타내는 시계장치, 문자로 구성되는 무선방송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셀, 음향적 또는 기계적인 변환기와, 수동으로 조작되는 크라운이 결합된 스템을 포함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시계에 있어서, 스템이 시계장치가 크라운의 회전으로 시간이 설정되는 제1안정위치, 수신된 메시지가 크라운의 회전에 의하여 차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제2안정위치와, 디스플레이된 메시지가 스템의 길이방향 작용에 의하여 소거되거나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제3의 비안정위치의 서로 다른 축방향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제1안정위치가 제1스위치를 폐쇄하는 스템의 인출위치이며 이 위치에 있는 동안에 크라운의 회전으로 제1 및 제2 전도성 플레이드가 교대로 제1 및 제2 전도성 트랙에 접촉토록 구동되고, 제2 안정위치는 제1 및 제3위치의 중간위치로 이 제2위치에 있는 동안에 크라운의 회전으로 상기 제1 및 제2 브레이드가 동시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트랙에 접촉토록 구동되며, 제3비안정위치는 크라운에 압력이 가하여질 때 제2 스위치를 폐쇄하는 삽입된 삽입된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장치가 무선방송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는 제1누름버튼고, 상기 수신기가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변환기의 신호없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대기상태에 놓이도록 하는 제2누름버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4. 제3항에 있어서, 제1누름버튼이 작동되어 수신기가 턴-온되었을 때 사전에 결정된 시간후 중단되는 음향신호의 발생중에 들어오는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셀에 디스플레이되고, 제2누름버튼의 작동으로 수신기가 대기상태에 놓였을 때 들어오는 메시지가 음향신호를 수반하지 않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셀에는 상기 대기상태중에 메시지의 번호만 나타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5. 제1항에 있어서, 제어장치가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크라운에 결합된 단일 스템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6. 제6항에 있어서, 스템이 제1안정위치에 있을 때 크라운을 사전에 결정된 속도 이하의 속도로 회전시켜 크라운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감되게 분 표시를 단계적으로 보정하고, 크라운을 사전에 결정된 속도 이상의 속도로 회전시켜 크라운의 회전방향에 따라 가감되게 시간 표시를 신속히 보정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7. 제3항에 있어서, 메모리가 제한된 수의 들어오는메시지 또는 보호되지 않은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1영역을 가지고 이 제1영역이 다 채워졌을 때 가장 오래된 메시지가 지워지고 새로운 메시지가 기록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제한된 수의 확인 또는 보호된 메시지가 저장되는 제2영역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8. 제7항에 있어서, 스템이 제2안정위치에 있을 때 메시지의 양이 데스플레이 셀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크라운을 사전에 결정된 속도 이하의 속도로 회전시켜 크라운의 회전방향에 따라 메시지의 문자를 차례로 스캐닝할 수 있도록 하고, 메모리에 다수의 메시지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 크라운을 사전에 결정된 속도 이상의 속도로 회전시켜 크라운의 회전방향에 따라 메시지가 차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9. 제7항에 있어서, 스템이 제3의 비안정위치에 있을 때 크라운을 사전에 결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가압하여 디스플레이 셀에 나타난 보호되지 않은 메시지가 메모리의 제1영역으로부터 제2영역으로 이동되게 하고 보호도니 메시지에 특정 문자가 부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0. 제7항에 있어서, 스템이 제3의 비안정위치에 있을 때 크라운을 사전에 결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가압하여 디스플레이 셀에 나타난 보호되지 않았거나 보호된 메시지가 메모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셀로부터 소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1. 제 5항에 있어서, 메모리에 수용된 메시지가 가장 오래된 메시지는 아래에 놓이고 최근의 메시지는 위에 놓이도록 차례로 적층되고, 메시지가 없는 영역은 공백으로 나타나며, 메모리가 제한된 수의 메시지만을 저장하여 메모로가 다 채워진 경우 새롭게 도착하는 메시지에 의하여 보호되지 않은 메시지가 지워질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2. 제11항에 있어서, 스템이 제2안정위치에 있을 때, 메모리에 다수의 메시지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 크라운을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측 메시지로부터 타측 메시지로 메시지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템이 제3의 비안정위치에 있을 때, 메시지의 양이 디스플레이 셀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가 크라운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캐닝되며 상기 크라운을 추가로 가압하여 스캐닝을 중지시킬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3. 제1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셀에 나타나는 메시지를 보호 또는 소거하기 위하여, 크라운의 회전으로 보호 또는 소거기능이 선택될 수 있도록 사전에 결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동안 크라운에 압력을 가하여 스템이 제3의 비안정위치에 놓이도록 하고, 상기 선택된 기능이 디스플레이 셀에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사전에 결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크라운을 추가로 가압하여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를 유효화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4. 제13항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보호되지 않은 모든 메시지를 소거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5. 제1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셀의 공백상태로부터 시작하여, 시계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사전에 결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동안 크라운에 압력을 가하여 스템이 제3의 비안정위치에 놓이도록 함으로서 수신된 메시지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대기상태에 놓일 수 있으며, 크라운의 회전으로 턴-온 또는 톤-오프 또는 대기기능이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선택된 기능이 디스플레이 셀에 나타나며 상기 사전에 결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크라운을 추가로 가압하여 선택된 기능을 유효화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6. 제125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시간에 시계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KR1019930007956A 1992-05-14 1993-05-10 무선방송메시지수신용시계의제어장치 KR100287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545/92A CH682969B5 (fr) 1992-05-14 1992-05-14 Pièce d'horlogerie apte à recevoir des messages radiodiffuses.
CH01545/92-2 1992-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329A KR930024329A (ko) 1993-12-22
KR100287521B1 true KR100287521B1 (ko) 2001-04-16

Family

ID=421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956A KR100287521B1 (ko) 1992-05-14 1993-05-10 무선방송메시지수신용시계의제어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5268880A (ko)
EP (1) EP0569868B1 (ko)
KR (1) KR100287521B1 (ko)
CN (1) CN1043090C (ko)
AT (1) ATE131630T1 (ko)
AU (1) AU655394B2 (ko)
BR (1) BR9301895A (ko)
CA (1) CA2094989C (ko)
CH (1) CH682969B5 (ko)
DE (1) DE69301002T2 (ko)
DK (1) DK0569868T3 (ko)
FI (1) FI100489B (ko)
HK (1) HK1007612A1 (ko)
IL (1) IL105691A (ko)
NO (1) NO303805B1 (ko)
TW (1) TW207575B (ko)
ZA (1) ZA9328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3484B5 (fr) * 1992-08-03 1994-09-30 Ebauchesfabrik Eta Ag Pièce d'horlogerie apte à recevoir des messages radiodiffusés munie d'un dispositif de commande à bille.
CH684143B5 (fr) * 1992-10-08 1995-01-31 Ebauchesfabrik Eta Ag Pièce d'horlogerie apte à recevoir des messages radiodiffusés affichés par ses aiguilles.
US5479378A (en) * 1993-12-17 1995-12-26 Seiko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Analog wristwatch paging receiver
FR2724081A1 (fr) 1994-08-23 1996-03-01 Ebauchesfabrik Eta Ag Telephone dont le numero d'appel est compose par une couronne du type horloger
CH687288B5 (fr) 1994-11-21 1997-05-15 Asulab Sa Montr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detection de la direction du nord magnetique terrestre.
EP0721155B1 (fr) 1995-01-04 1999-12-29 Asulab S.A. Montre comprenant un dispositif d'indication d'un lieu géographique prédéterminé
JPH10213687A (ja) * 1997-01-28 1998-08-11 Nec Shizuoka Ltd 情報表示選択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デジタル装置
US6159824A (en) 1997-05-12 2000-12-12 Silicon Genesis Corporation Silicon-on-silicon wafer bonding process using a thin film blister-separation method
DE19727300A1 (de) * 1997-06-27 1999-01-07 Paul Kylau Funkarmbanduhr
US7170392B2 (en) * 1998-02-06 2007-01-30 Nec Corporation Radio pager
KR100697526B1 (ko) * 2000-03-14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트래킹 장치
US20030223313A1 (en) * 2002-05-28 2003-12-04 Su Keng Kuei Time zone setting device
DE102004008244B4 (de) 2004-02-19 2018-05-09 BSH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mit einer Zentraleinheit zum Betätigen eines Haushaltsgeräts
DE602006021592D1 (de) 2006-12-22 2011-06-09 Eta Sa Mft Horlogere Suisse Elektronische Uhr mit Anzeige der Richtung eines vorprogrammierten geografischen Orts
FI124328B (fi) 2008-12-31 2014-06-30 Suunto Oy Kaksitoiminen säätöelin rannetietokoneelle tai vastaavalle ja menetelmä rannetietokoneen tai vastaavan päätelaitteen säätämiseks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683A (ja) * 1985-03-29 1987-01-26 Seiko Epson Corp ポケツトベル付き腕時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43427B (fr) * 1981-03-05 Ebauchesfabrik Eta Ag Montre electronique.
JPS60240294A (ja) * 1984-05-07 1985-11-29 デイ−・エイ・ヴイ・アイ・デイ−・システムズ・インコ−ポレ−テツド デジタルpbxスイツチ
CH657010GA3 (ko) * 1984-09-06 1986-08-15
US4894649A (en) * 1988-01-07 1990-01-16 Motorola, Inc. Pager having time controlled functions
CH672870B5 (ko) * 1988-04-26 1990-07-13 Ebauchesfabrik Eta Ag
US5054051A (en) * 1990-01-31 1991-10-01 At&E Corporation Autodial from database in an electronic wristwatch
CH679356B5 (ko) * 1990-06-07 1992-08-14 Ebauchesfabrik Eta A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683A (ja) * 1985-03-29 1987-01-26 Seiko Epson Corp ポケツトベル付き腕時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32167A (fi) 1993-11-15
KR930024329A (ko) 1993-12-22
DE69301002T2 (de) 1996-07-18
NO931744D0 (no) 1993-05-13
IL105691A0 (en) 1993-09-22
CN1043090C (zh) 1999-04-21
EP0569868A1 (fr) 1993-11-18
FI100489B (fi) 1997-12-15
EP0569868B1 (fr) 1995-12-13
ZA932888B (en) 1993-11-15
IL105691A (en) 1995-11-27
CA2094989A1 (en) 1993-11-15
FI932167A0 (fi) 1993-05-13
CN1078561A (zh) 1993-11-17
NO303805B1 (no) 1998-08-31
DK0569868T3 (da) 1996-05-06
AU3853293A (en) 1993-11-18
CH682969B5 (fr) 1994-06-30
TW207575B (en) 1993-06-11
HK1007612A1 (en) 1999-04-16
DE69301002D1 (de) 1996-01-25
US5268880A (en) 1993-12-07
AU655394B2 (en) 1994-12-15
NO931744L (no) 1993-11-15
ATE131630T1 (de) 1995-12-15
CA2094989C (en) 2003-03-18
BR9301895A (pt) 1993-11-16
CH682969GA3 (fr) 199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521B1 (ko) 무선방송메시지수신용시계의제어장치
JP3335420B2 (ja) 計時器
US5508978A (en) Telephone on which the number called is composed by a crown of the horological type
US5329501A (en) Timepiece adapted to receive radio broadcast messages to be displayed by its hands
FI101832B (fi) Rullapalloon perustuva säätöjärjestely radiolähetyssanomien vastaanott oon soveltuvalle kellolle
KR940005681B1 (ko) 시계 및 페이저 기능이 결합된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
US5528559A (en) Multiple display timepiece
US5444671A (en) Wristwatch with message transmitter
JPH11184607A (ja) 携帯情報端末装置と数値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EP0734545A1 (en) Wristwatch paging receiver having analog message display
US5430440A (en) Urgent call displaying method for a radio paging receiver
EP0484821A2 (en) Analog electronic watch with an electro-optical display device
US5475380A (en) Time alarm method of a radio paging receiver
GB2219422A (en) Pager display control
US5923265A (en) Portable receiver comprising a manually actuable control device
US6021313A (en) Radio selective call receiver with time lapsed image display
US5408445A (en) Radio timepiece
CN1188552A (zh) 多显示表
WO1991001614A1 (en) Method of selecting functions in a combination selective call receiver watch
GB2330272A (en) A method of reminding one to call a set telephone number at a scheduled 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