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680B1 -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680B1
KR100285680B1 KR1019980060107A KR19980060107A KR100285680B1 KR 100285680 B1 KR100285680 B1 KR 100285680B1 KR 1019980060107 A KR1019980060107 A KR 1019980060107A KR 19980060107 A KR19980060107 A KR 19980060107A KR 100285680 B1 KR100285680 B1 KR 100285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cutting
channel
moil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성
정유철
반흥식
강영준
염한철
박승태
Original Assignee
박영구
삼성코닝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구, 삼성코닝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영구
Priority to KR101998006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H01J9/48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with automatic transfer of workpieces between operat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38Control of maintenance of pressure in the vessel
    • H01J2209/389Degassing
    • H01J2209/3896Degassing by heating

Abstract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에 있어서, 훤넬의 모일을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훤넬 가공 시스템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한 훤넬의 모일부 절단장치를 제공코자 한다.
그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은, 모일 절단부에 위치한 훤넬의 모일부를 가열하는 1차 가열수단과, 가열된 모일부를 절단하는 커터와, 모일부가 절단된 훤넬의 절단부분을 가열하는 2차 가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 공정에 적합한 모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형광체가 내면에 도포되고 이 형광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현수되는 새도우마스크를 갖는 패널과, 상기한 패널과 봉합되며 외측에 편향유닛이 위치하고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애노드 버튼이 제공되는 훤넬과, 이 훤넬에 이어지며 내부에 전자빔을 발산하는 전자총이 내장되는 네크로 외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훤넬은 용융유리를 성형하여 깔때기 형상으로 만들게 되는데, 훤넬과 패널을 봉합시키기 위해서는 훤넬의 목부분 즉 모일부라 불리우는 곳을 규격화된 사이즈로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에 네크를 이어붙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훤넬 성형후 모일부를 절단하고 여기에 네크를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모일부를 절단하는 장치와, 상기한 장치에서 모일부가 절단된 훤넬에 네크를 결합시키는 장치와, 상기한 바와 같이 모일부가 절단된 훤넬에 네크를 융착시키는 장치로 이송시키는 수단이 있으면 일련의 공정이 자동화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일 절단장치는, 작업자가 토오치를 이용하여 절단을 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한 요인이 되고 있으며, 나아가 절단부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화 공정에 적합하며 또 절단부가 균일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모일 절단부로 이송된 훤넬의 모일을 절단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수단은, 모일 절단부에 위치한 훤넬의 모일부를 가열하는 1차 가열수단과, 가열된 모일부를 절단하는 커터와, 모일부가 절단된 훤넬의 절단부분을 가열하는 2차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가 적용되는 음극선관 가공장치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모일 절단부의 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모일 절단부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모일 절단부의 모일 커팅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모일 절단부에서 모일의 절단이 행하여진 후 글레이징을 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술적 사항인 도3 내지 도6이 적용되어 자동화될 수 있는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부호(1)는 인덱스 테이블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 인덱스 테이블은 일반적으로 일정한 회전범위내에서 1스텝을 회전하는 통상적인 테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인덱스 테이블(1)은 훤넬(F)이 안착될 복수개의 훤넬 안착부재(2)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훤넬 안착부재(2)는 인덱스 테이블(1)의 상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균등하게 배치된다.
상기한 훤넬 안착부재(2)는 2개의 위치가 1조로 되어 인덱스 테이블(1)이 1스텝 회전시 2개의 위치에 해당하는 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훤넬/네크 로딩부(3)와 모일 절단부(4)와 네크 실링부(5)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각 2개의 위치가 1조가 되는 구성을 갖는다.
훤넬 안착부재(2)는 1개 또는 3개의 위치를 1조로 설정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위치를 1조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인덱스 테이블(1)의 중심부 상측에는 설치부재(6)가 마련되어 모일 절단부(4)와 네크 실링부(5)를 지지한다.
이 인덱스 테이블(1)과 인접하여 훤넬(F) 및 네크(N)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9)(10)이 각각 설치된다.
훤넬 성형공정에서 성형된 훤넬(F) 및 네크(N)는 컨베이어(9)를 타고 이송되어 오게 되는데, 이때 이 컨베이어(9)(10)로부터 훤넬/네크 로딩부(3)로 이송된다.
이러한 이송은, 훤넬(F)을 공급 및 취출하는 훤넬 이송수단(11)과, 네크(N)의 자세를 교정하여 공급하는 네크 이송수단(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훤넬 이송수단(11)은 컨베이어(9) 및 훤넬/네크 로딩부(3)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1쌍의 수평이송 로봇(14)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한 수평이송 로봇(14)에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 흡착패드(15)가 설치되어 실린더(16)에 의해 직선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실린더는 수평이송 로봇(14)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더(17)에 설치되어 함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한 네크 이송수단(12)은 컨베이어(10)로 이송되는 네크(N)를 반전시키게 된다. 즉 컨베이어(10)로 이송되는 네크는 네크의 확장부(후레어)가 컨베이어에 접촉하여 세워진 상태로 이송되기 때문에, 이를 뒤집어 훤넬(F)에 접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회전실린더(18)와, 상기한 수직 회전실린더(18)가 설치되어 수평 회전하게 되는 아암(19)과, 상기한 아암(19)이 설치된 지지대(20)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컨베이어(9)를 타고 이송되는 훤넬(F)은 훤넬/네크 로딩부(3)에 안착될 수 있고, 컨베이어(10)를 타고 이송되는 네크(N)는 인덱스 테이블(1)에 마련되는 네크포켓(13)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훤넬/네크 로딩부(3)로 투입된 훤넬(F)은 인덱스 테이블(1)이 1 스텝 회전할 때 모일 절단부(4)로 이송되는데, 실질적으로 인덱스 테이블(1)에 올려진 훤넬은 모일 절단위치로 들어 올려진 후 모일절단장치에 의해 모일이 절단된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관련하는 모일 절단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모일 절단장치는, 훤넬(F)이 승강장치(E)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 훤넬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66)와, 들어 올려지는 훤넬의 위치를 제한하는 요크 링(64)에 의해 훤넬의 상승위치를 정하게 된다.
이 장치는 또한 훤넬의 모일부(M)를 가열하는 컷 오프 버너(69)와, 상기 모일부(M)를 절단하는 커터(78)와, 커팅된 모일부(M)를 잡아서 외부로 인출하는 이재기(58)를 포함한다.
상기한 컷 오프 버너(69)는 인덱스 테이블(1)의 중심에 위치하는 설치부재(6)에 브라켓(47)을 통하여 설치되는 실린더(49)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실린더(49)의 아래측으로는 스플라인 샤프트(52)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 샤프트(52)와 실린더(49)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한 조인트(50)가 위치하여 상기 샤프트는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스플라인 샤프트(52)의 외측으로는 중공축(53)이 위치하여 이 샤프트가 회전 및 승강하는데 원활한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중공축(53)은 베어링을 통하여 부시(7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부시(72)는 브라켓(56)을 통하여 설치부재(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중공축(53)과 일체로 결합된 기어(55)와 이 기어(55)를 회전시키는 모터(75)에 의해 상기한 스플라인 샤프트(52)와 중공축(53)은 동일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커터(78)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 아암(62)에 힌지축(65)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 아암은 링크(77)를 통하여 브라켓(54)에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76)의 피스톤 로드 선단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커터(78)는 모터(75)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한 실린더(76)의 직선운동에 의해 힌지축(65)을 중심으로 공전하여 훤넬(F)의 모일부(M)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절단된 모일부(M)를 취출하는 이재기(58)는, 설치부재(6)에 고정된 브라켓(70)과, 이 브라켓에 고정된 실린더(67)와, 이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모일부(M)를 척킹하는 그립퍼(68)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레이징 버너(61)가, 중공축(53)에 연결부재(57)를 통하여 장착되어 상기한 컷 오프 버너(69)와 같이 모터(75)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모일부 절단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훤넬 상승장치에 의해 훤넬(F)이 모일 절단부(4)의 요크링(64)까지 상승하게 되면, 실린더(49)가 작동하여 컷 오프 버너(69)를 하강시켜 모일부(M)를 가열할 수 있는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모터(75)가 구동하여 컷 오프 버너(69)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이 버너는 모일부(M) 주위를 선회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모일부(M)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는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실린더(76)을 전진 작동시키면 이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선단에 연결된 커터(78)가 전진하면서 가열된 모일부(M)와 접촉하게 되고, 이때 모터(75)에 의해 커터는 모일부 주위를 회전하는 상태에 있으므로 가열된 모일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때 물론 이재기(58)의 실린더(67)를 전진작동시켜 그립퍼(68)로 하여금 모일부(M)를 잡고 있도록 하면 절단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절단이 완료되면 실린더(67)를 후진 작동시켜 절단된 모일부를 제거하면 된다.
그리고 모일의 절단이 완료되면 글레이징 버너(61)를 작동시켜 훤넬(F)의 절단부위를 가열하면 커터에 의해 절단된 거친 부분이 매끄럽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일 절단장치는, 모든 작업을 작동화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작업자에 의존하던 작업방식에 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이러한 방식은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를 자동화할 수 있는 것이며, 절단된 부분을 글레이징할 수 있어 이 부분에 넥크를 연결할 때 음극선관의 중심 불일치에 따른 불량율을 줄일 수 있다.

Claims (4)

  1. 훤넬의 모일을 절단하는 수단으로서,
    상기한 수단은, 모일 절단부에 위치한 훤넬의 모일부를 가열하는 1차 가열수단과, 가열된 모일부를 절단하는 커터와, 모일부가 절단된 훤넬의 절단부분을 가열하는 2차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1차 가열수단은, 실린더와, 상기한 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며 모일부를 가열하는 컷 오프 버너를 포함하며, 상기한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와 컷 오프 버너는 회전 가능한 조인트로 연결됨과 아울러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버너의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동시에 행하도록 한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모일부를 절단하는 수단은, 절단된 모일을 취출하기 위한 이재기를 더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터는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모일부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KR1019980060107A 1998-12-29 1998-12-29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KR100285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107A KR100285680B1 (ko) 1998-12-29 1998-12-29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107A KR100285680B1 (ko) 1998-12-29 1998-12-29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584A Division KR100285679B1 (ko) 1993-12-03 1994-12-02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5680B1 true KR100285680B1 (ko) 2001-04-02

Family

ID=3751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107A KR100285680B1 (ko) 1998-12-29 1998-12-29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6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0879A (ko) * 1993-12-03 1995-07-26 김의명 음극 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KR19980082591A (ko) * 1997-05-08 1998-12-05 안기훈 음극선관용 훤넬가공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0879A (ko) * 1993-12-03 1995-07-26 김의명 음극 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KR19980082591A (ko) * 1997-05-08 1998-12-05 안기훈 음극선관용 훤넬가공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7071A (zh) 用于环形标签的贴标签机
KR100285680B1 (ko)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KR100285679B1 (ko)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EP1101743A2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a flat glass article having an extensive surface covered with a layer of covering material
KR100285681B1 (ko) 음극선관용 훤넬의 네크융착장치
KR100437893B1 (ko) 음극선관용훤넬가공시스템및그방법
JP3607351B2 (ja) 光ファイバ用ガラス母材の製造方法
US20010020371A1 (en) Machine for processing hollow glass objects
CN112250283B (zh) 一种真空合成超长厚壁石英管的加工车床及加工方法
US4830692A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assembly of laminated panes
CN219489852U (zh) 玻璃制品自动取片桁架机械手
KR100687605B1 (ko) 냉음극형광램프 제조용 실 컷팅장치
CN210030421U (zh) 自动杯座对接机
KR100450998B1 (ko)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
KR100285682B1 (ko) 음극선관용 훤넬의 승강장치
CN218878716U (zh) 一种钼靶空心管坯输送装置
JP4086152B2 (ja) ガラスのプレス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CN208165970U (zh) 一种电池内胶圈输送装置
KR20020037962A (ko)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 시스템
RU211698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калывания набеля конуса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ой трубки
KR20010036496A (ko)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28949Y1 (ko) 음극선관용 패널 이송장치
KR0175753B1 (ko) 전자총 조립장치
JP2004164998A (ja)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の電極封着装置
CN114393326A (zh) 玻璃器皿激光切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