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531B1 - 전송 시스템과 그 시스템용 수신기 - Google Patents

전송 시스템과 그 시스템용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531B1
KR100278531B1 KR1019930013179A KR930013179A KR100278531B1 KR 100278531 B1 KR100278531 B1 KR 100278531B1 KR 1019930013179 A KR1019930013179 A KR 1019930013179A KR 930013179 A KR930013179 A KR 930013179A KR 100278531 B1 KR100278531 B1 KR 100278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frequency
receiver
carrier
carr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360A (ko
Inventor
다파라 플라비오
초울리 안토이네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940006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08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6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 H04L27/2679Decision-a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기술에 따라 중심 주파수 fe주위에 대칭으로 분배되는 캐리어로 전송되는 신호용 수신기(105)에서, 상기 수신기는 로컬 발진기(214)용주파수 동기화 회로(116)를 포함한다. 동기화 회로(116)는 측 캐리어의 부분이 록-온 모드에서 광역의 록-온 범위를 가지는 주파수 동기를 보장하기 위하여 전송되지 않은 사실을 활용한다. 영구 모드에서는 매우 작은 지터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수신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기술에 따라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송 시스템과 그 시스템용 수신기
제1도는 디지털 신호 송수신기 시스템의 블럭도.
제2도는 종래의 동기화 회로의 다이어그램.
제3도는 OFDM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
제4도는 OFDM 신호 변조기의 다이아그램.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회로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부분을 도시한 다이아그램.
제6도는 선형화 전(A)과 후(B)의 신호 정정 변동을 도시한 두 곡선.
제7도는 선형화 필터에 의해 완성된 제5도의 두 곡선에 대한 아날로그 다이아그램.
제8도는 획득 모드(acquisition mode) 또는 영구 모드(permanent mode)에서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회로의 다이아그램.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전송기 105 : 수신기
113 : 복조기 116 : 동기화 회로
본 발명은, 중심 중심 주파수 fe주위에 대칭으로 분배된 N 캐리어에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기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는 N' 전송된 캐리어(N' < N)에 의해 형성된 중심부와 (N'-N)/2 전송되지 않은 캐리어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좌측부 및 우측부로 구성되는 스펙트럼을 가지며, 상기 전송기는 수신기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수신기는 적어도 동기화 정정 신호를 결정하는 주파수 동기화 회로 및 상기 정정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로컬 발진기를 포함하는, 전송 시스템에 관한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그러한 시스템용 수신기에 관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상이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신호와 같은, 대칭 스펙트럼을 가지는 신호 전송에 관한 응용을 가진다.
이러한 신호의 한 예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기술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technique)에 따라 전송된 신호이며, 특히 예를들어 디지털 텔레비전에 응용되는, 전파에 의하거나, 케이블에 의하거나, 위성에 의하여 전송되는 신호이다.
N 주파수 분할 다중 기술에 따라 전송되는 신호는 이후로 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신호의 약칭으로 표현할 것이다. OFDM 기술은 전송된 정보 신호를 많은 수의 저레이트 소자 채널로 분배함으로써 나뉘어진 여러부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높게 선택되는 광대역 채널은 많은 수의 선택되지 않은 소자 채널에 전송된다. 상기 채널은 모두 광대역 채널을 형성하기 때문에, 전송이 전체 채널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동안의 페이딩(fading)일 것 같지 않다.
이 기술로 또한 부호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이 줄어들 수 있다.
그래서 각 소자 채널은 한 주파수에 상응하여, 모든 주파수는 중심 캐리어 주파수 주위에 대칭으로 분배된다.
수신측에서 선택 필터의 사용을 받아들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스펙트럼들의 오버래핑이 되도록이면 묵인되지만, 그러나 주파수들 사이의 직교성에 관한 조건은 샘플링 순간에서 부호간 간섭을 제거하도록 부과된다. 그래서 OFDM 신호의 전체 스펙트럼은 직각의 스펙트럼으로 된다.
수신측 단부(receiving end)에서의 수신된 신호의 샘플링으로 인한 스펙트럼 오버래핑의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주파수 스펙트럼의 좌우에 위치한 측 캐리어(side carriers)는 전송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수신측 단부에서의 필터링(filtering)은 경사지지 않은 엣지로 수행될 수 있다.
수신측 단부에서 수신된 신호는 복조되고 그러면 원래의 정보 신호가 재저장되도록 디코드된다. 상기 복조를 위하여 로컬 발진기(local oscillator)가 사용되어 동기 정정 신호로서 상기 주파수가 전송 주파수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다.
1989. 8. NO3. Volume 35, IEEE Transactions on Consumer Electronics, B.Le Floch 등이 저술한 "Digital Sound Broadcasting to Mobile Receivers" 의 문헌에 상기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주파수 자동 제어 (AFC)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수신된 신호와 별자리 추정 심볼(the estimated symbol of constellation) 사이의 위상 차를 검출하는데 작동한다. 그래서 전송기의 로컬 발진기와 수신기의 발진기 사이의 최대 주파수 오프셋 1/8T를 검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T는 심볼 지속기간(symbol duration)이다. 이것으로서 연역할 수 있는데, 즉 예를 들어, 심볼 지속기간 T = 160㎲, 캐리어 주파수 fe= 500MHz 일 경우 록-온 범위(lock-on range)가 781.25Hz 이면 그것은 고정밀(△f/fe) = 1.56p.p.m. 및 매우 안정한 로컬 발진기(수신기의 경우)를 요구한다.
상기 장치의 단점은 고정밀해야 하고 그래서 값이 비싼, 로컬 발진기를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죄대 획득 범위가 ± 1/8T 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기 동기에 있어서, 획득 범위가 매우 좁기 때문에 수신기는 동기에서 상당한 손실이 있을때 자동으로 록-온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동기화 회로(synchronizer)의 획득 범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정밀하지 못하고 그래서 값이 싸며, 예를 들면 디지털 텔레비전의 대량 생산 응용에서와 같이 로컬 발진기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도입부에서 기술한 형태의 수신기로서 실현되며, 이 경우, 주파수 동기화 회로는 적어도 전송되지 않은 캐리어 쌍이 수신된 전력의 차이를 측정함으로서 정정 신호를 결정하며, 쌍은 중심 주파수 fe와 관련하여 이전의 캐리어에 대칭인 전송되지 않은 우측 캐리어와 좌측 캐리어에 의해 형성된다.
그래서, 인용된 문헌과 비교하여, 동기의 획득 범위는 예를 들어, N-N'26(양측중 한측상에 전송되지 않은 13 캐리어)의 경우에 적어도 100의 인자로서 향상된다. 이것은 발진기의 비용을 상당히 절감시킨다.
록-온 모드에서 작동할 때, 주파수 동기화 회로는 전송되지 않은 측 캐리어의 여러 쌍에 영향을 미친다. 영구적으로 작동할 때, 동기화 회로는 중심 주파수 fe에 가장 가까운 전송되지 않은 측 캐리어의 쌍에 영향을 미친다. 제어 신호가 수신기를 한 모드 또는 다른 모드에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다른 면과 또다른 면이 설명될 것이며 이후로 기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분명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은 예를 주어짐으로서, 도시된 도면으로서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다.
제 1도는 채널 CHAN(15)이 전송기(5)와 수신기(105)를 통신시킴으로서 형성되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헤르쯔 링크, 위성 링크 또는 케이클 링크는 여기서 관계될 수도 있다. 전송기(5)는
- 소오스 인코더 ENC1 (11) (삭제될 수도 있음)
- 채널 인코더 ENC2 (12)
- OFDM 복조기 MOD (13)
- 전송 필터(14)
- 캐리어 fe를 발생시키는 발진기 OSC (16) - 캐리어 fe의 혼합기(17)의 직렬 조합을 포함한다.
PAL 표준으로 얻은 응용보다 더 우수한 질을 갖춘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전송에 대한 응용에서, 소오스 인코더(11)는 8Mbits/s 의 비트 레이트를 제공한다. 상기 샘플은 채널 불안정에 대해 반박할 수 없도록 채널 인코더에 의해 부호화 된다. 그후에 복조기(13)는 예를 들어 접지된 전송 채널(예, 8MHz 대역의 방송)과 같은 전송 채널에 디지털 샘플을 적합 시킨다.
수신측 단부에서 수신기(105)는 전송측 단부에서 수행된 작동과는 반대되는 작동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채널(15)의 출력에서) 수신기는,
- 수신된 신호에 로컬 재발생 캐리어 fr을 곱하기 혼합기(117)
- 수신 필터(114)
- OFDM 복조기 DEMOD (113)
- 채널 디코더 DEC 2 (112)
- 소오스 디코더 DEC 1 111 (삭제될 수 있음)
- 재발생된 캐리어 fr 를 발생시키는 캐리어 동조화 회로 SYNC (116)를 포함한다.
서술된 바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전송측 단부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메카니즘을 먼저 설명한다.
제 2도는 종래의 동조화 회로(116)을 나타낸다.
복조기(113)의 출력은 주파수 검출기(210)에 연결되며 이 검출기는 필터(212)에 바로 뒤따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필터는 정정 신호를 발생하며 이 신호는 전압 제어 로컬 발진기(214)에 인가되고 이 발진기는 로컬 재발생 캐리어 fr을 발생 하고 이 캐리어 fr은 혼합기(117)로 보내진다. 그래서 로컬 발진기(214)와 전송기의 발진기(16)의 주파수 사이의 어떤 주파수 차이는 정정 신호를 발생되게 하며, 이 신호는 상기 차이값에 따라 더 클 수도 있고 더 작을 수도 있다. 이러한 주파수 제어 루프는 디지털 제어 전송에서는 관례적이다. 복조기를 사용함에 따라, 위상 동조가 주파수 동조에 부가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주파수 동조를 위해 분기(213)을 병렬로 갖추고 있으며, 위상 검출기(216)에 필터(218)가 뒤이어 연결된다. 주파수 동조 분기(213)와 위상 동조 분기(215)에서 나오는 정정 신호는 소자(217)에서 함께 더해져서 로컬 발진기(214)로 보내진다.
제 3도는 OFDM 신호의 전송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이 스펙트럼은 주파수 차이가 I/T 인 등거리 N 캐리어들로 형성되며, 여기서 T 는 심볼 주파수이다. 상기 채널은 중심 주파수 fe주위의 중심에 있다. 이미 언급한 바 있는 스펙트럼 오버랩 때문에, 채널을 구성하는 모든 주파수는 전송되지 않는다. 단지 N' 중심 캐리어만이 전송되며, 그에 반하여 (N-N') 전송되지 않는 캐리어는 전송된 중심 캐리어의 양측중의 한측에 대칭으로 분배된다. 표현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이들을 좌측 캐리어와 우측 캐리어로 표현한다.
수신측 단부에서 전송된 캐리어는 디지털 신호에 의해 변조되어 본 발명에 따라 전송된다. 제 4도는 변조기(13)의 다이아그램을 도시한 것이며 이 복조기는 데이타를 필터(14)에 인가하고 그런 다음 이 데이타는 발진기(16)와 연결된 혼합기(17)에 보내진다. 입력(130)에 나타나는 디지털화된 입력 데이타는 2진 할당 유닛 MAPP(131)에 보내지며 이 유닛은 별자리 코드 심볼로서 입력 데이타를 분배한다. 상기 유닛의 출력에서 직렬로 나타나는 상기 부호화된 심볼은 직렬/병렬 변환 S/P(133)에 따라 N 복합 심볼 CK(0K<N-1)를 형성한다. 복합 심볼 CK는 주파수 캐리어 fK를 변조시키는데 사용되고 fK= K/T 이고 (직교성으로 인하여), T 는 OFDM 심볼의 지속기간이며 K 는 캐리어의 인덱스이다. 모든 캐리어 fr의 조합은 전체 OFDM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변조되며, 장치(135)에서 역 푸리에 변환이 수행되도록 범위가 좁혀진다. N 이 2의 제곱인 경우, 역 푸리에 변환은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고속 푸리에 변환(FFT-1)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회로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장치(135)에서 나오는 N 신호는 병렬/직렬 변환(135)에서 변환된다. 14에서 필터링된 후, 필터(14)에서 나온 신호는 발진기(16)의 캐리어 주파수 fe와 함께 혼합된다. 이 변조 기술은 당 분야에 숙련된 기술인에게는 공지되어 있다.
근본적으로, 본 발명은 수신측 단부에서 캐리어 동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신기는 전송기에서 사용된 주파수와 동등하게 작동한다. OFDM 스펙트럼은 대칭이기 때문에, 주파수 차이는 전송되지 않은 캐리어의 좌측부에서 수신된 전력과 전송되지 않은 캐리어의 우측부에서 수신된 전력을 비교하여 검출할 수 있다. 그러면, 에러 신호는 다음식과 같이 주어진다.
제 5도는 수신측 단부에서 수행되는 복조기(113)를 도시하며 전송측 단부에서는 반대의 작동이 수행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타이밍 N/T로 작동하는 샘플러(151)를 포함 하며, 여기서, N 은 OFDM 채널 캐리어의 전체수이며 1/T은 심볼 주파수이다. 그래서 얻어진 샘플들은 직렬/병렬 변환 (154)을 거쳐서 장치(153)으로 보내지고 이 장치는 qK샘플(OkN-1) 을 병렬로 생성하기 위하여 불연속 푸리에 변환 (되도록이면 고속 푸리에 변환 FFT)을 수행하며, 상기 샘플들은 장치(155)에서 병렬/직렬 변환을 거쳐야 한다. 입력(150)으로 수신되는 샘플들은 혼합기(117)에 들여보내져서 제 1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주파수 동기화 회로(116)에서 나오는 재발생 캐리어 fr과 함께 혼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주파수 동기화 회로(116)는 장치(153)(FFT)의 출력으로 나오는 모든 샘플들 qK을 제거하여 전송되지 않은 즉 캐리어에 나타나는 전력을 결정한다. 주파수 동기화 회로(116)은 주파수 검출기(210)을 포함하며 이 검출기는 전송되지 않는 측 캐리어의 샘플들 qK을 수신하며, 상기 회로(116)은 또한 저역 필터(212)와 발진기 VCO (214)를 포함한다. 주파수 동기화 회로(116)은 전송측 단부의 캐리어 주파수 fe와 수신측 단부의 재발생 주파수 fr사이의 주파수 차이 △f (△f = fe- fr)를 0 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주파수 에러 △f 가 0 이 아니면, 수신된 스펙트럼 전력 밀도는 중심 주파수 fe주위에 대칭으로 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 비대칭은 △f에 비례하는 에러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활용된다.
동기화 회로의 획득 범위는 근사적으로 다음식과 같다.
|Δf.T|max = (N - N')/2
N 과 N' (N = 1024, N' = 800)의 종래 주어진 값을 고려해 보면, 이것은 약 ±100 의 △f.T 의 획득 범위를 이끈다. 동시에, 발진기는 수신측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에 있는 동기화 회로의 발진기의 정밀도 만큼이나 상대적 정밀도를 가지고 있다. 효과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심볼 지속기간 T = 160㎲ 이고 캐리어 주파수 fe= 500MHz 일때 상대적 정밀도는 f/fe= 1250 p.p.m 으로 얻어지고, 이 값은 상기 문헌에서 이끌어 낼 수 있는 것보다 약 1000배 더 높은 값이다. 평균값 E[ f] 의 곡선(curve)은 제 6a도에 파라미터 △f.T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곡선은 파동모양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적으로 선형성을 갖는다. 주파수 차이가 상당할때 (△f.T 는 크다, 록-온 모드), 동기화 회로는 이것들은 0 에 가까운 값으로 감소시킨다. 주파수 차이가 0 에 가까울때 (△f.T 가 작다. 영구 모드), 곡선의 선형성이 만족되지 못한다. 제 6a도의 곡선은 △f.T0 에서 영의 경사(zero slope)가 나타난다는 것에 유의하라. 영점(zero point)주위에서, 상기 곡선은 3차 다항식에 가까울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동기화 회로의 감도는 지터 현상의 강약을 의미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영구 모드에서 동기화 회로의 수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시 말하면, 제 6a도의 곡선의 원점에 가깝도록, 선형성 필터(211)가 주파수 검출기(210)(제 7도)를 부가한다. 이 선형성 필터는 각 샘플 qK를 새플 q'k으로 변환시킴으로서 다음 식과 같이 된다.
그래서, 각 샘플 qK이 대해 qK-1과 qK+1의 양측의 각각의 반이 감해진다. 그래서 주파수 검출기는 다음식으로 에러 신호를 계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파수 동조화 회로가 영구 모드에서 작동할 때, 지터 현상은 계속 일어나서 △f0 주위에서 약간의 주파수 변동이 생긴다. 양호한 실시에에서, 정정 신호는 모든 수신되지 않는 좌/우측 캐리어의 수신된 전력으로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 중심 주파수에서 가장 밀집한 제 1 전송되지 않는 좌측 캐리어와 제 1 전송되지 않은 우측 캐리어만으로 된다.
정정 신호가 얻어져서 다음과 같이 쓰여질 수 있다.
상기 정정 신호는 주파수 동기화 회로가 영구 모드에 있을 때 사용된다. 효과에 있어서는, 영구 모드에서, 즉, 주파수 차이가 매우 작을때 (예를 들어, △f.T<0.02), 2 캐리어를 사용하면 상기 차이를 0 으로 감소시키는데 충분하며; 더욱이 지터 즉, 모든 전송되지 않는 캐리어를 사용하는 동기화 회로에 의해 일어나는 지터를 감소할 수 있다. 록-온 모드에서 (예를 들어, △f.T 가 매우 클때), 획득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충분히 큰 즉 캐리어를 (N-N' 의 최대로서)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행에 있어서는 록-온 모드에서 사용되는 측 캐리어의 수는 바람직한 최대 획득 범위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제 1 주파수 검출기 FD1 을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검출기는 모든 전송되지 않은 즉 캐리어를 사용하고 록-온 모드에서 작동한다. 상기 제 1 주파수 검출기 FD1 은 제 2 주파수 검출기 FD2 에 의해 확장되며 이 검출기 FD2 는 제 1 전송되지 않은 좌우측 캐리어만을 사용하며 영구 모드에서 작동한다. 이것들은 공통 하드웨어 수단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수신 조건의 함수에서와 같이, 영구 모드에서 록-온 모드로 또는 그 반대로 스위칭될때 동기화되는 수신기에 관한다.
제 8도 동기화 회로(116)을 도시하며 이 동기화 회로에는 검출기 FD1(210a)와 검출기 FD2 (210b)가 포함되어 있으며, 스위치(80)을 작동시킬 수 있어서 루프 필터(212)를 거쳐 발진기 VCO (214)를 동작시킨다. 다른 소자들은 앞서 사용된 바와 같이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나 있다.
동기화 회로가 록-온 모드에 있는가 아니면 영구 모드에 있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모드 검출 회로(90)가 사용된다. 이 목적으로, 루프 필터(212)의 출력에서 에러 신호의 일부분이 제거된다. 이 신호는 지연 소자(82)에서 지연된다. 상기 신호는 블럭(84)의 지연되지 않은 신호에서 빼져서 결과 R 을 발생시킨다. 상기 결과 R의 절대값은 비교기(86)의 문턱 Th과 비교되어 스위치 신호 COM 을 발생한다.
후자의 신호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R/Th 이면, 록-온 모드, RTh 이면, 영구 모드.

Claims (10)

  1. 중심 주파수 fe 주위에 대칭으로 분배된 N 캐리어에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기(5)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는 N' 전송된 캐리어(N'<N)에 의해 형성된 중심부와 (N'-N)/2 전송되지 않은 캐리어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좌측부 및 우측부로 구성되는 스펙트럼을 가지며, 상기 전송기는 수신기(105)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수신기는 적어도 동기화 정정 신호를 결정하는 주파수 동기화 회로(116) 및 상기 정정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로컬 발진기(214)를 포함하는,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동기화 회로(116)는 적어도 전송되지 않은 한 쌍의 캐리어로 수신되는 전력의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정정 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전송되지 않은 한 쌍의 캐리어는 중심 주파수 fe와 관련해서 이전의 캐리어에 대칭인 전송되지 않은 우측 캐리어와 전송되지 않은 좌측 캐리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록-온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기는 전송되지 않은 여러 쌍의 측 캐리어로 동작하는 주파수 검출기 FD1(21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영구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기는 중심 주파수 fe에 가장 가까이 있는 전송되지 않은 한 쌍의 측 캐리어로 작동하는 주파수 검출기 FD2(21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모드 결정 회로(90)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 COM에 따라 수신기를 록-온 모드로 전환시키거나 영구 모드로 전환시키는 스위치 수단(80)과, 상기 검출기 FD1, 상기 검출기 FD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 회로(90)는 상기 정정 신호와 선행하는 정정 신호의 지연된 버전과의 차이 R을 결정하고, 상기 차이 R과 미리 결정된 문턱 Th를 비교 회로(86)가 비교하며, 상기 제어 신호 COM은 R > Th 이면 록-온 모드로, RTh 이면 영구 모드에 인에이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시스템.
  6. 직교 N 주파수 분할 다중 기술에 따라 중심 주파수 fe주위에 대칭으로 분배된 캐리어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05)로서, 상기 신호는 N' 전송된 캐리어(N' > N)로 형성되는 중심부와 (N'-N)/2 전송되지 않은 캐리어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좌측부, 및 우측부로 구성되는 스펙트럼을 가지며, 적어도 동기화 정정 신호를 결정하는 주파수 동기화 회로(116) 및 상기 정정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로컬 발진기(214)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동기화 회로(116)는 적어도 전송되지 않은 한 쌍의 캐리어로 수신되는 전력의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정정 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전송되지 않은 한 쌍의 캐리어는 중심 주파수 fe와 관련해서 이전의 캐리어에 대칭인 전송되지 않은 우측 캐리어와 전송되지 않은 좌측 캐리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록-온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기는 전송되지 않은 여러 쌍의 측 캐리어로 동작하는 주파수 검출기 FD1(21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8. 제6항에 있어서, 영구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기는 중심 주파수 fe에 가장 가까이 있는 전송되지 않은 한 쌍의 측 캐리어로 작동하는 주파수 검출기 FD2(21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9. 제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모드 결정 회로(90)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 COM에 따라 수신기를 록-온 모드로 전환시키거나 영구 모드로 전환시키는 스위치 수단(80)과, 상기 검출기 FD1, 상기 검출기 FD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 회로(90)는 상기 정정 신호와 선행하는 정정 신호의 지연된 버전과의 차이 R을 결정하고, 상기 차이 R과 미리 결정된 문턱 Th를 비교 회로(86)가 비교하며, 상기 제어 신호 COM은 R > Th 이면 록-온 모드로, RTh 이면 영구 모드로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KR1019930013179A 1992-07-16 1993-07-14 전송 시스템과 그 시스템용 수신기 KR100278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208792A FR2693861A1 (fr) 1992-07-16 1992-07-16 Récepteur de signaux à répartition multiplexée de fréquences orthogonales muni d'un dispositif de synchronisation de fréquences.
FR9208792 1992-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360A KR940006360A (ko) 1994-03-23
KR100278531B1 true KR100278531B1 (ko) 2001-01-15

Family

ID=943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179A KR100278531B1 (ko) 1992-07-16 1993-07-14 전송 시스템과 그 시스템용 수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71761A (ko)
EP (1) EP0580216B1 (ko)
JP (1) JP3350161B2 (ko)
KR (1) KR100278531B1 (ko)
DE (1) DE69323806T2 (ko)
FR (1) FR2693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1178A1 (fr) * 1993-02-03 1994-08-05 Philips Electronique Lab Système de communication par étalement de spectre à multiutilisateurs.
JP3041175B2 (ja) * 1993-11-12 2000-05-15 株式会社東芝 Ofdm同期復調回路
JP3074103B2 (ja) * 1993-11-16 2000-08-07 株式会社東芝 Ofdm同期復調回路
SG48266A1 (en) * 1993-12-22 1998-04-17 Philips Electronics Nv Multicarrier frequency hopping communications system
WO1995020848A1 (en) * 1994-01-28 1995-08-03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6334219B1 (en) 1994-09-26 2001-12-25 Adc Telecommunications Inc. Channel selection for a hybrid fiber coax network
FR2726417A1 (fr) * 1994-10-26 1996-05-03 Philips Electronique Lab Systeme de transmission et recepteur de signaux a repartition multiplexee de frequences orthogonales muni d'un dispositif de synchronisation de frequences
DE4441566A1 (de) * 1994-11-23 1996-05-30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digitalen Frequenzkorrektur bei Mehrträgerübertragungsverfahren
US5682376A (en) * 1994-12-20 1997-10-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ignal,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employed therefor
US5774450A (en) * 1995-01-10 1998-06-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and receiver thereof
USRE42236E1 (en) 1995-02-06 2011-03-22 Adc Telecommunications, Inc. Multiuse subcarriers in multipoint-to-point communication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7280564B1 (en) 1995-02-06 2007-10-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Synchronization techniques in multipoint-to-point communication using orth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KR100463462B1 (ko) * 1995-10-24 2005-05-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인코딩,디코딩,및제어신호발생장치및인코딩,디코딩방법
US5867503A (en) * 1996-01-30 1999-02-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sound broadcasting receiver and automatic phase controlling method therefor
JP3271504B2 (ja) * 1996-02-02 2002-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周波数推定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afc回路
JP3511798B2 (ja) * 1996-05-08 2004-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JPH09307526A (ja) * 1996-05-17 1997-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H1051418A (ja) * 1996-08-06 1998-02-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ジタル受信装置
JP3563231B2 (ja) * 1997-04-04 2004-09-08 株式会社デノン 周波数制御装置および方法、受信装置、ならびに、通信装置
US6683955B1 (en) * 1998-12-17 2004-01-27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receiving a secure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hrough a plurality of frequency orthogonal subchannels
US6539063B1 (en) 1999-02-18 2003-03-25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symbol timing offset and carrier frequency error in an OFDM digital audio broadcast system
US6505037B1 (en) * 1999-06-29 2003-01-0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ata unit detection including antenna diversity
KR100362571B1 (ko) * 1999-07-05 2002-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 파일럿 심볼을 이용한 주파수 오류 보상장치 및 방법
US7295509B2 (en) 2000-09-13 2007-11-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method in an OFDM multiple access system
US9130810B2 (en) 2000-09-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OFDM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20030002565A1 (en) * 2001-01-04 2003-01-02 Juergen Kockmann Synchronization algorithm for a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system with frequency downconversion
KR100471538B1 (ko) * 2002-09-18 2005-02-21 한기열 오에프디엠 시스템의 채널추정과 심볼동기 타이밍결정장치 및 방법
US9137822B2 (en) 2004-07-2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ignaling over access channel
US9148256B2 (en) 2004-07-2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ance based rank prediction for MIMO design
DE602005002618T2 (de) 2005-02-25 2008-07-24 Nemerix S.A. Half Bin linearer Frequenzdiskriminator
US9246560B2 (en) 2005-03-10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and rate control in a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s
US9154211B2 (en) 2005-03-11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feedback in multi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US8446892B2 (en) 2005-03-16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ructures for a quasi-orthogonal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9143305B2 (en) 2005-03-1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20972B2 (en) 2005-03-17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61859B2 (en) 2005-03-1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84870B2 (en) 2005-04-01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channel signaling
US9036538B2 (en) 2005-04-1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hopping design for single carrier FDMA systems
US9408220B2 (en) 2005-04-19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quality reporting for adaptive sectorization
US8565194B2 (en) 2005-10-27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Puncturing signaling channe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11284B2 (en) 2005-05-31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supplemental assignments to decrement resources
US8879511B2 (en) 2005-10-27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Assignment acknowledgem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62859B2 (en) 2005-06-01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Sphere decoding apparatus
US9179319B2 (en) 2005-06-16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ectorization in cellular systems
US8599945B2 (en) 2005-06-1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rank prediction for a MIMO system
US8885628B2 (en) 2005-08-08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Code division multiplexing in 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9209956B2 (en) 2005-08-22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Segment sensitive scheduling
US20070041457A1 (en) 2005-08-22 2007-02-22 Tamer Kadou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tenna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44292B2 (en) 2005-08-24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Vari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36974B2 (en) 2005-08-30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Precoding and SDMA support
US8582509B2 (en) 2005-10-27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477684B2 (en) 2005-10-27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ement of control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10651B2 (en) 2005-10-27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strap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225416B2 (en)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Varied signaling channels for a reverse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45512B2 (en) 2005-10-27 2011-10-25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25488B2 (en)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signaling channel
US9172453B2 (en) 2005-10-2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ding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system
US8693405B2 (en) 2005-10-27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SDMA resource management
US9144060B2 (en) 2005-10-2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shared signaling channels
US9088384B2 (en) 2005-10-27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ymbo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582548B2 (en) 2005-11-18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0808922B1 (ko) * 2006-04-26 2008-03-0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수신기에서의 고속 신호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7937A (ja) * 1982-05-14 1983-11-17 Hitachi Ltd スペクトラム拡散受信機
DE3329506C2 (de) * 1983-08-16 1986-07-3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mpfänger in einem mit Bandspreizung arbeitenden (Spread-Spectrum) System
US4797923A (en) * 1985-11-29 1989-01-10 Clarke William L Super resolving partial wave analyzer-transceiver
GB9020170D0 (en) * 1990-09-14 1990-10-24 Indep Broadcasting Authority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5101416A (en) * 1990-11-28 1992-03-31 Novatel Comunications Ltd. Multi-channel digital receiver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23806D1 (de) 1999-04-15
KR940006360A (ko) 1994-03-23
DE69323806T2 (de) 1999-09-16
US5371761A (en) 1994-12-06
EP0580216B1 (fr) 1999-03-10
JP3350161B2 (ja) 2002-11-25
EP0580216A1 (fr) 1994-01-26
JPH06188776A (ja) 1994-07-08
FR2693861A1 (fr) 199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531B1 (ko) 전송 시스템과 그 시스템용 수신기
KR100334185B1 (ko) 전송시스템및이에사용된수신기
KR960015838B1 (ko) 다방식 대응의 수신 장치
CA2208626C (en) Synchroniz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digital receiver
US5228025A (en) Method for the broadcasting of digital data, notably for radio broadcasting at a high bit-rate towards mobile receivers, with time-frequency interlacing and assistance in the acquisition of automatic frequency control, and corresponding receiver
EP0683576B1 (en) An OFDM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a transmission system and a receiving system used for digital broadcasting
KR100756973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의 샘플링 오프셋 정정
US5687165A (en) Transmission system and receiver for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signals, having a frequency-synchronization circuit
EP0971515B1 (en) Reference symbol structure for frequency, symbol and frame synchronisation in multicarrier systems
US5790784A (en) Network for time synchronizing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received digital information
US57402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ximizing frequency offset tracking performance in a digital receiver
MXPA02006269A (es) Correcion de un desplazamiento de frecuencia de muestreo en un sistema de multiplexion de diviaion de frecuencia ortogonal.
WO1996002990A2 (en)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ation of transmitter and receiver in a digital system
KR100337715B1 (ko) 캐리어동기화장치및그사용방법
EP082574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synchronising a multicarrier signal
US6961393B1 (en) In-band-on-channel (IBOC)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on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with timing and frequency offset correction
US58126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ximizing frequency offset tracking performance in a digital receiver
US4993048A (en) Self-clocking system
KR20010042707A (ko) 멀티캐리어 시스템내 조주파수 동기화
EP0788265A2 (en) Synchronisation in multicarrier systems
EP0836304A2 (en) Tracking of sampling frequency in a DAB receiver
KR100399267B1 (ko) 변환발진신호가분수n-위상-시프트제어루프에의해합성되는전송방법
JP2947405B2 (ja) 周波数分割多重信号受信装置
JPH11196063A (ja) Ofdm変復調装置及びその方法
JP3579982B2 (ja) 周波数分割多重信号伝送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