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808B1 - Location Movement Method of Media Access Control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Location Movement Method of Media Access Control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808B1
KR100276808B1 KR1019980046798A KR19980046798A KR100276808B1 KR 100276808 B1 KR100276808 B1 KR 100276808B1 KR 1019980046798 A KR1019980046798 A KR 1019980046798A KR 19980046798 A KR19980046798 A KR 19980046798A KR 100276808 B1 KR100276808 B1 KR 100276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data
access control
transmission system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31014A (en
Inventor
한재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808B1/en
Publication of KR2000003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0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80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7Mobility data transfer for preserving data network PoA address despite hand-off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오프시의 데이터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service method during handoff.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이동국이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의 매체접근제어의 수행주체를 기지국전송 시스템에 구비시키며 상기 이동국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의 매체접근제어의 수행주체는 기지국제어기에 구비시키는 데이터통신 서비스방법의 제공.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a subject for performing medium access control when the mobile station does not perform handover, and a subject for performing medium access control when the mobile station performs handover is provided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offer.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핸드오버발생 유무에 따라 매체접근 제어부의 위치를 이동시킨다.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is mov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handover.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데이터통신 수행중의 고속의 매체접근제어와 핸드오프 지역에서의 손상없는 데이터 송/수신.High-speed media access control during data communication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out damage in handoff area.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 제어부의 위치이동방법Location Movement Method of Media Access Control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오프시의 데이터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service method during handoff.

일반적으로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을 위주로 하는 IS-95 규격에서 발전하여, 음성 뿐만 아니라 고속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IMT-2000으로 논의되고 있다. 상기 IMT-2000 규격에서는 고품질의 음성, 동화상, 인터넷 검색 등의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In general,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the IS-95 standard, which focuses on voice, and has been discussed as IMT-2000 capable of transmitting high speed data as well as voice. The IMT-2000 standard aims to provide services such as high quality voice, moving picture, and Internet search.

상기 IMT-2000 규격에서, 각종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하기 위하여 기지국(Base Station)과 이동국(Mobile Station)은 각각 대응되는 상위계층(Upper Layers)과 링크계층(Link Layer) 및 물리계층(Physical Layer)으로 구성되는 계층구조(Layering Structure)를 가질 수가 있다.In the IMT-2000 standard, in order to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arious voice signals and data signals, a bas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are respectively associated with upper layers and link layers. It may have a layering structure composed of a physical layer.

상위계층은 패킷데이터, 음성데이터, 회선(Circuit)데이터등을 제공하며, 각종 계층(OSI 계층구조에서 링크(Link)계층보다 상위에 해당하는 계층)의 시그널링(Signaling)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상위계층은 호처리(Call Processing)와 관련된 호 이동성 제어(Call Mobility Management)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물리계층은 코드채널(Code Channel)을 변/복조 및 복/부호화하여 무선출력에 적당한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링크계층은 메체억세스제어(Medium Access Control)계층과 링크억세스제어(Link Access Control)계층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링크억세스제어계층은 대응되는 상위계층간의 신뢰성있는 정보교환을 위하여 ACK과 NAK 신호등을 송/수신한다. 그리고 매체억세스제어계층은 채널 자원(Channel Resource) 상황에 따라, 효율적인 채널할당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메체억세스제어계층은 상위계층의 서비스품질과 신뢰성 요구에 따라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와 시그널링신호를 다중화 또는 역다중화한다. 또한 상기 매체억세스제어계층은 무선링크상에서 신호들의 신뢰성있는 송/수신 제어동작을 담당하는 무선링크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등과 같은 ARQ 프로토콜을 구비한다.The upper layer provides packet data, voice data, circuit data, and the like, and performs signaling operations of various layers (layers higher than the link layer in the OSI hierarchy). In particular, the upper layer performs a call mobility control operation related to call processing. The physical layer converts / demodulates / decodes / encodes a code channel into a signal suitable for wireless output. In addition, the link layer may be composed of a medium access control layer and a link access control layer. The link access control layer transmits / receives ACK and NAK signals for reliable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corresponding higher layers.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performs an efficient channel allo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channel resource conditions. In this case,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multiplexes or demultiplexes various data and signaling signals input according to the service qualit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of the upper layer.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also includes an ARQ protocol, such as a Radio Link Protocol,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reliabl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operation of signals on the radio link.

한편, 기지국은 기지국전송 시스템(Base Transmission System)과 복수개의 기지국전송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로 구분될 수가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상기 상위계층과 링크억세스제어계층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 구비되며, 특히 핸드오버 수행에 관련하여 상기 호 이동성 제어(Call Mobility Management)동작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station may be classified into a base transmission system (Base Transmission System)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Base St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In general, the upper layer and the link access control layer are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nd in particular, the call mobility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in relation to performing the handover.

다른 한편, 현재 상용화된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핸드오버(Hand-Over)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핸드오버를 수행할시, 이동국은 수신되는 복수개의 파일롯 채널(Pilot Channel)중에서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가지는 채널들을 선정하며, 핸드오버를 요구에 해당하는 정보와 상기 채널들의 수신세기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메시지를(이하 상기 핸드오버 요구에 해당하는 정보와 상기 채널들의 수신세기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메시지를 "핸드오버요구 메시지"라 함) 현재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전송 시스템을 경유하여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파일롯 채널들의 수신세기의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해당하는 기지국전송 시스템들에게 상기 이동국과의 호접속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매체접근 제어계층은 상기 해당 기지국전송 시스템들에게 채널자원을 할당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이동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라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이동국은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전송 시스템으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신호들을 결합(Combine)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이동국은 상기 결합된 신호를 복조 및 복호등의 처리동작을 수행한다. 이후에, 상기 이동국은 핸드오프(Hand Off)지역을 벗어나게 될시, 결정된 접속 기지국전송 시스템과의 신호 송/수신동작을 계속해서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es a hand-over (Hand-Over) service. When performing the handover, the mobile station selects channels having a strength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mong a plurality of pilot channels received, and corresponds t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request for handover and reception strengths of the channels.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hereinafter,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over request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reception strength of the channels is called a "handover request message") through a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that is currently connected. Transmit to base station controller.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controller collects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pilot channels. The base station controller outputs a message instructing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to call connection with the mobile station. At this time,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allocates channel resources to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lso sends a control message to the mobile station to perform a handover. The mobile station performs an operation of combin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The mobile station also performs processing operations such as demodulation and decoding of the combined signal. Thereafter, when the mobile station leaves the hand off area, the mobile station continues to perform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determined access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그런데 상기 매체접근제어계층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내부 또는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전송 시스템의 내부에 구비될 수가 있다. 상기 매체접근제어계층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이하 "매체접근 제어부"라 함)가 상기 기지국 전송 시스템의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 대응되는 이동국과 기지국전송 시스템의 각 매체접근 제어부는 서로 고속의 채널(Channel)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국과 기지국전송 시스템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도중에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복수개의 기지국전송 시스템으로부터 각각 송신되는 신호들은 각각의 매체접근제어 제어부에 구비되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들에 의해 서로 다른 신호가 될 수가 있다. 즉, 상기 신호들은 각각 해당하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실제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가 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전송 시스템으로부터 각각 송신되는 신호들은 상기 이동국내에서 결합(Combine)되는 과정에서, 서로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깨어져 버린다. 특히, 이동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전송 시스템이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이동국은 손상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어 사용자가 큰 불편을 겪게 된다.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may be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or in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When a control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medium access control unit ")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is provided inside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the corresponding mobile station and each medium access control unit of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are fast to each other. (Channel) Can perform the transmit / receive operation. However, if a handover occurs while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transmit / receive signal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radio link protocols provided in the respective media access control controllers. Can be That is, the signals may be actual data or control messages of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rresponding radio link protocol. At this time,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respectively,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combining in the mobile station and are broken. In particular, wh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e mobile station receives damaged data, which causes a great inconvenience for the user.

도 1a는 매체접근 제어부가 각 기지국전송 시스템에 구비될시, 이동국과 기지국전송 시스템이 데이터 통신 수행중 핸드오버가 발생함에 따라 이동국내에 결합되는 신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ignal coupled to a mobile station when a media access control unit is provided in each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a handover occurs while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perform data communication.

기지국 제어기(110)는 기지국전송 시스템(120) 내지 기지국전송 시스템(140)과 데이터 및 각종 제어메시지를 송/수신한다. 특히, 기지국 제어기(110)에 구비되는 호선택 및 분배부(112)는 핸드오버 수행에 관련하여 호 이동성 제어(Call Mobility Management)동작을 수행한다.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0 transmits / receives data and various control messages with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to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40. In particular, the call selection and distribution unit 112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0 performs a call mobility control operation in connection with performing the handover.

기지국전송 시스템(120) 내지 기지국전송 시스템(140)에 각각 구비되는 매체접근 제어부(122) 내지 매체접근 제어부(142)는 기지국 제어기(110)의 제어하에, 송/수신 데이터 및 제어메시지의 해당 채널을 할당한다. 이때, 매체접근 제어부(122) 내지 매체접근 제어부(144)에 구비되는 무선링크프로토콜(124) 내지 무선링크프로토콜(144)은 무선신호의 신뢰성 있는 송/수신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전송 시스템(120) 내지 기지국전송 시스템(140)으로부터 송신되어 이동국(100)내에서 결합되는 각 신호들은 사용자의 데이터나 제어메시지가 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신호들은 상기 결합과정에서, 서로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수신 데이터가 손상되어 버린다.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122 to 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142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to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40 respectively, under the control of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0, transmit / receive data and a corresponding channel of the control message. Allocate At this time, the radio link protocol 124 to the radio link protocol 144 provided in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122 to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144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for reli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radio signal. At this time, as shown, each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to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40 and combined in the mobile station 100 may be a user's data or a control message. At this time, the signals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the combining process, and the received data is damaged.

도 1b는 매체접근 제어부가 기지국 제어기에 구비될시, 이동국과 기지국전송 시스템이 데이터 통신 수행중 핸드오버가 발생함에 따라 이동국내에 결합되는 신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ignal coupled to a mobile station when a media access control unit is included in a base station controller and a handover occurs while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perform data communica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A is as follows.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접근 제어부(122)는 기지국 제어기(210)내에 구비된다. 이로인해, 핸드오버가 발생할시, 단일의 무선링크프로토콜(124)에 의해 기지국전송 시스템(120) 내지 기지국전송 시스템(140)을 경유하여 이동국(100)으로 전송되는 신호는 동일한 신호가 된다. 상기 예는 현재 이동국(100)내에서 결합되는 신호들이 동일한 사용자 데이터임을 보여준다.As shown,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122 is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10. As a result, when a handover occurs,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100 via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or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40 by the single radio link protocol 124 becomes the same signal. The example shows that the signals currently combined in the mobile station 100 are the same user data.

그러나 상기 도 1b의 경우, 매체접근 제어부(122)가 기지국전송 시스템(120) 내지 기지국전송 시스템(14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매체접근 제어부(122)는 전송지연에 의해 고속의 매체접근제어를 할 수가 없다.However, in the case of FIG. 1B, since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122 is far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or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40,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122 performs fast medium access control due to transmission delay. I can't.

상기 도 1a과 도 1b의 설명은 매체접근제어계층의 위치선정에 대한 종래의 방법로서, 이동국들의 움직임에 의한 핸드오버 상황에 충분히 대처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즉, 이동국이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매체접근 제어부는 각 기지국전송 시스템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반면에 이동국이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 매체접근 제어부는 기지국 제어기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The description of FIGS. 1A and 1B is a conventional method for positioning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and it can be seen that the handover situation due to the movement of mobile stations is not sufficiently coped with. In other words, when the mobile station is not performing a handover,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is advantageously located in each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bile station is performing a handover,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is advantageously located i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국이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의 매체접근제어의 수행주체를 기지국전송 시스템에 구비시키며 상기 이동국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의 매체접근제어의 수행주체는 기지국제어기에 구비시켜 데이터통신 수행중에 고속의 매체접근제어와 핸드오프 지역에서의 손상없는 데이터통신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with a subject for performing medium access control when the mobile station does not perform a handover, and performs a medium access control when the mobile station performs hando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and a data communication service without damage in a handoff area during data communica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발생 유무에 따른 매체접근제어부의 위치이동방법이, 데이터통신 수행중 핸드오버가 발생할시 이동국이 핸드오버요구메시지를 기지국전송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제1과정과, 상기 기지국전송시스템이 매체접근제어부 이관요구메시지를 기지국제어기로 송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기지국전송시스템이 상기 기지국제어기로부터 매체접근제어부 이관지시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기지국전송시스템에 구비되는 매체접근제어부의 상태정보와 상기 이동국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제어기로 송신하는 제3과정과, 상기 기지국전송시스템이 매체접근제어를 상기 기지국제어기에 구비되는 매체접근제어부로 이관하는 제4과정과, 상기 기지국제어기가 상기 핸드오버요구메시지에 따른 해당 기지국전송시스템들에게 상기 이동국과의 호접속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이동국으로 핸드오버개시메시지를 송신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oving a medium access control unit according to whether a handover occur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the mobile station transmits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a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when a handover occurs during data communication. A first process, a second process of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ing a media access control unit transfer request message to a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receiving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transfer instruction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 third process of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and information on the mobil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nd a fourth step of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transferring the media access control to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provided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ccording to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And a fifth step of transmitting a message instructing call connection with the mobil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and transmitting a handover initiation message to the mobile station.

도 1a는 매체접근 제어부가 각 기지국전송 시스템에 구비될시, 데이터 통신 수행중 핸드오버가 발생함에 따라 이동국내에 결합되는 신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1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ignal coupled to a mobile station as a handover occurs during data communication when a medium access control unit is provided in each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도 1b는 매체접근 제어부가 기지국 제어기에 구비될시, 데이터 통신 수행중 핸드오버가 발생함에 따라 이동국내에 결합되는 신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1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ignal coupled to a mobile station when a media access control unit is provided in a base station controller and a handover occurs during data commun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 제어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osition of a media access control uni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data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데이터 송/수신중에 핸드오프가 발생할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체접근 제어부의 위치를 이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ferring a position of a medium access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andoff occurs dur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 제어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1a 또는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 of a media access control uni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data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1A or 1B.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전송 시스템(120) 내지 기지국전송 시스템(140)은 각각 매체접근 제어부(122) 내지 매체접근 제어부(142)를 구비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210)도 역시 매체접근 제어부(222)를 구비한다. 핸드오프가 발생되지 않을시, 매체접근 제어부(122) 내지 매체접근 제어부(142)는 기지국 제어기(110)에 구비되는 호 선택 및 분배부(226)의 제어에 의해, 각종 데이터와 시그널링 신호를 다중화 또는 역다중화 하여 이동국(100)과의 송/수신 채널 할당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매체접근 제어부(122) 내지 매체접근 제어부(144)에 구비되는 무선링크프로토콜(124) 내지 무선링크프로토콜(144)은 무선신호의 신뢰성 있는 송/수신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핸드오프가 발생하지 않는 동안, 매체접근 제어부(222)는 동작하지 않는다.As shown,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to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40 includes a medium access control unit 122 to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142, respectively.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10 also includes a medium access control unit 222. When no handoff occurs, 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122 to 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142 multiplex the various data and signaling signals by the control of the call selection and distribution unit 226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0. Alternatively, demultiplexing is performed to allocate a transmission / reception channel with the mobile station 100. At this time, the radio link protocol 124 to the radio link protocol 144 provided in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122 to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144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for reli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radio signal. In addition, while the handoff does not occur, 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222 does not operate.

그런데 이때, 핸드오프가 발생하여 이동국(100)이 핸드오버요구 메시지와 이동국(100)의 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에 관련된 정보를 현재 접속중인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으로 송신하면,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은 상기 핸드오버요구 메시지와 매체접근제어의 동작주체를 매체접근 제어부(222)로 이관하기 위한 정보를 기지국 제어기(21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정보는 매체접근 제어부(122)의 상태정보, 이동국(100)의 정보 및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의 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에 관련된 정보가 될수 있다.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은 상기 정보들의 송신동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면 매체접근제어를 매체접근 제어부(222)로 이관한다.At this time, if a handoff occurs and the mobile station 100 transmits a handover request messa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link protocol buffer of the mobile station 100 to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Transmits the information for transferring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and the operation subject of the medium access control to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222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10.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may be state information of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122, information of the mobile station 100,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o link protocol buffer of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confirms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transfers the media access control to 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222.

그리고 호 선택 및 분배부(226)는 핸드오버 수행동작에 관련한 호 이동성 제어(Call Mobility Management)동작을 수행한다. 즉, 호 선택 및 분배부(226)는 해당 기지국전송 시스템들에게 이동국(100)에 대한 호접속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매체접근 제어부(222)는 채널할당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링크 프로토콜(224)는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버퍼정보에 따라 무선신호의 신뢰성 있는 송/수신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그런데 기지국전송 시스템(120)과 상기 해당 기지국전송 시스템들을 경유하여 이동국(1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메시지는 단일의 무선링크 프로토콜(224)로부터 출력된 신호이다. 이로인해, 이동국(100)은 동일한 신호를 결합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핸드오버 동작수행중에도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고 있는 이동국(100)은 데이터를 손실없이 수신할 수가 있다.The call selection and distribution unit 226 performs a call mobility control operation related to the handover operation. That is, the call selection and distribution unit 226 transmits a message indicating the call connection to the mobile station 100 to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At this time, 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222 performs a channel assignment operation. In addition, the radio link protocol 224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for the reliable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buff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However, the data or control message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100 via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and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is a signal output from the single radio link protocol 224. This allows the mobile station 100 to combine the same signals. Therefore, the mobile station 100 receiving the data communication service even during the handover operation can receive the data without loss.

도 3은 데이터 송/수신중에 핸드오프가 발생할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체접근 제어부의 위치를 이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ferring a position of a media access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andoff occurs dur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2.

매체접근 제어부의 위치를 이관시키기 위하여 이동국과 기지국전송 시스템은 여러 가지 정보들을 전달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들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많은 데이터양이 필요한 부분은 무선링크프로토콜에 관련한 버퍼와 그 상태변수이다. 여기서 상기 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는 상대방의 재전송 요구에 대비하여 전송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송데이터저장버퍼(Retransmission Buffer)와 수신데이터저장버퍼(Resequencing Buffer)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송데이터저장버퍼에는 전송상태변수 V(S)가 구비되며, 상기 수신데이터저장버퍼에는 재전송요구상태변수 V(N)와 수신상태변수 V(R)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버퍼들과 상태변수들은 이동국(100)과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에 모두 구비된다.(이하 상기 버퍼들과 상태변수들이 이동국(100)에 해당하면 "(이)",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에 해당하면 "(기)"를 명칭 앞에 기술한다.)In order to transfer the location of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must transmit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the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data amount is the buffer related to the radio link protocol and its state variables. The radio link protocol buffer is divided into a retransmission buffer and a resequencing buffer, which store data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retransmission request of the other party. The transmission data storage buffer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state variable V (S), and the reception data storage buffer is provided with a retransmission request state variable V (N) and a reception state variable V (R). Also, the buffers and the state variables are provided in both the mobile station 100 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If the buffers and the state variables correspond to the mobile station 100, "(i)",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 120), "(gi)" is preceded by the name.)

이동국(100)이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을 경유하여 기지국 제어기(220)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는 도중에, 핸드오프가 발생하면, 이동국(100)은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으로 핸드오버요구메시지 및 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에 관련된 (이)상태변수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이)상태변수는 (이)재전송요구상태변수 V(N)가 될 수가 있다.If a handoff occurs while the mobile station 100 is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wit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20 via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the mobile station 100 requests a handover to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Send this status variable associated with the message and the radio link protocol buffer. In this case, the (i) state variable may be (i) a retransmission request state variable V (N).

그리고 이동국(100)은 역방향(Reverse Link)데이터 전송을 중지하며, 수신되는 정방향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때, 이동국(100)은 상기 수신되는 정방향(Forward Link) 데이터가 재전송을 요구하는 데이터일시 그 상태를 저장하고, 상기 정방향 데이터가 일반데이터일시 상기 데이터를 (이)수신데이터저장버퍼에 저장한다. 만약 상기 일반데이터가 재전송을 유발하는 데이터이면, 해당하는 (이)재전송요구상태 V(N)를 저장한다.The mobile station 100 stops the reverse link data transmission and processes the received forward data. At this time, the mobile station 100 stores the state of the data when the forward link data is requested to be retransmitted, and stores the data in the (e) receiving data storage buffer when the forward data is general data. If the general data is data causing retransmission, the corresponding retransmission request state V (N) is stored.

한편, 상기 핸드오버요구메시지와 상기 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에 관련된 (이)상태변수를 수신한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은 정방향데이터 전송과 역방향데이터 수신을 중지한다. 그리고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은 매체접근제어부 이관요구메시지와 상기 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에 관련된 (이)상태변수를 기지국제어기(210)로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은 기지국제어기(210)로부터 매체접근제어부 이관지시메시지를 수신하면, 매체접근제어부 이관에 관련한 정보를 기지국제어기(21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이관에 관련한 정보는 매체접근 제어부(122)의 상태정보와 이동국(100)에 대한 정보 및 (기)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의 내용과 그 (기)상태변수가 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기)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의 내용과 그 (기)상태변수는 (기)전송데이터저장버퍼의 내용과 그 상태를 관리하는 (기)전송상태변수 V(S) 및 (기)수신데이터저장버퍼의 내용 및 (기)수신상태변수 V(R)와 (기)재전송요구상태변수 V(N)가 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기)전송데이터저장버퍼의 내용은 (이)수신데이터저장버퍼의 (이)재전송요구상태변수 V(N)에서부터 (기)전송상태변수 V(S)까지의 내용이 될 수가 있다. 이는 상기 (기)전송데이터저장버퍼의 내용을 모두 전달하려면 그 전달 데이터양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기)수신데이터저장버퍼의 내용은 (기)재전송요구상태변수 V(N)에서부터 (기)수신상태변수 V(R)까지의 내용이 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이는 상기 (기)수신데이터저장버퍼의 내용을 모두 전달하려면 그 전달 데이터양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은 상기 매체접근 제어부 이관에 관련한 정보를 모두 송신하면, 매체접근 제어부를 이관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receiving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and the (i) state variable associated with the radio link protocol buffer stops forward data transmission and reverse data reception.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transmits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10 a state access parameter related to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transfer request message and the radio link protocol buffer. In addition,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receives the media access controller transfer instruction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10,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nsfer of the media access controller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10.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nsfer may b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122, the information on the mobile station 100, the contents of the (gi) wireless link protocol buffer, and the (gi) state variables. At this time, the contents of the (gi) wireless link protocol buffer and the (gi) state variables are (gi) transmission state variables V (S) and (gi) reception, which manage the contents of the (gi) transmission data storage buffer and its state. It can be the contents of the data storage buffer and the (re) receive state variable V (R) and the (re) request request state variable V (N).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pre) transmission data storage buffer may be contents of (re) transmission request state variable V (N) to (pre) transmission state variable V (S) of the (re) reception data storage buffer.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delivered data becomes too large to deliver all the contents of the (gi) transmitted data storage buffer. The contents of the (gi) received data storage buffer may be contents from (gi) retransmission request state variable V (N) to (gi) receive state variable V (R). Similarly,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data delivered is too large to deliver all the contents of the (gi) received data storage buffer.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transmits all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nsfer of 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transfers 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이때 기지국제어기(210)에 구비되는 호 선택 및 분배부(226)는 호접속지시메시지를 해당하는 기지국전송시스템들로 송신한다. 이때, 매체접근 제어부(222)는 채널할당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지국제어기(210)는 이동국(100)으로 핸드오버개시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로인해 이동국(100)은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을 포함한 상기 해당 기지국전송 시스템들로부터 전송되는 동일한 신호를 수신할 수가 있으며, 이후에 핸드오버 지역을 벗어나게 될시 결정된 기지국전송 시스템과의 신호 송/수신을 계속해서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all selection and distribution unit 226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10 transmits a call connection instruction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At this time, 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222 performs a channel assignment operatio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10 then transmits a handover start message to the mobile station 100. As a result, the mobile station 100 may receive the sam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including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and then transmit / receive a signal to /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determined when it leaves the handover area. The reception will continue.

상기 도 3의 설명에서, 이동국(100)이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의 매체접근제어의 수행주체는 기지국전송 시스템(120)에 구비되며, 이동국(100)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의 매체접근제어의 수행주체는 기지국제어기(210)에 구비됨을 알 수가 있다.In the description of FIG. 3, the subject for performing medium access control when the mobile station 100 does not perform handover is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and the medium when the mobile station 100 performs handover. The subject of performing the access control can be seen that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10 is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접근제어부의 위치이동 방법은 데이터통신 수행중의 고속의 매체접근제어와 핸드오프 지역에서의 손상없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moving 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dvantages of high-speed media access control during data communication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out damage in the handoff area.

Claims (1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발생 유무에 따른 매체접근제어부의 위치이동방법에 있어서,In the position movement method of 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hando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데이터통신 수행중 핸드오버가 발생할시 이동국이 핸드오버요구메시지를 기지국전송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제1과정과,A first step of the mobile station transmitting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when a handover occurs during data communication; 상기 기지국전송시스템이 매체접근제어부 이관요구메시지를 기지국제어기로 송신하는 제2과정과,Transmitting, by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a medium access controller transfer request message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상기 기지국전송시스템이 상기 기지국제어기로부터 매체접근제어부 이관지시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기지국전송시스템에 구비되는 매체접근제어부의 상태정보와 상기 이동국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제어기로 송신하는 제3과정과,A third step of,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receives a media access control unit transfer instruction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controller,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and information on the mobil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상기 기지국전송시스템이 매체접근제어를 상기 기지국제어기에 구비되는 매체접근제어부로 이관하는 제4과정과,A fourth step in which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transfers the media access control to the media access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상기 기지국제어기가 상기 핸드오버요구메시지에 따른 해당 기지국전송시스템들에게 상기 이동국과의 호접속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이동국으로 핸드오버개시메시지를 송신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 fifth step of transmitting, by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 message for commanding call connection with the mobile station to corresponding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according to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ing a handover start message to the mobile station. W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의 수행후,According to claim 1, After performing the fifth process, 상기 이동국이 상기 기지국제어기에 구비되는 매체접근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지국전송시스템을 포함한 상기 해당 기지국전송시스템들로부터 전송되는 동일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6과정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 sixth step of receiving, by the mobile station, the sam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including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by a medium access controller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이,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fth process, 상기 기지국제어기에 구비되는 호 선택 및 분배부가 상기 호접속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며 이때, 상기 기지국제어기에 구비되는 매체접근제어부가 상기 해당 기지국전송시스템들에게 채널을 할당하며 상기 매체접근제어부에 구비되는 무선링크프로토콜이 무선신호의 신뢰성 있는 송/수신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all selection and distribution unit provided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transmits a message instructing the call connection, and at this time,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provided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llocates a channel to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s and is provided to the medium access control unit. The radio link protocol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for the reliable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radio sign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이,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process, 상기 이동국이 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에 관련된 (이)상태변수를 상기 기지국전송시스템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ransmitting, by the mobile station, a state variable associated with a radio link protocol buffer to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에 관련된 (이)상태변수가,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tate variable associated with the radio link protocol buffer is (이)수신데이터저장버퍼의 (이)재전송요구상태변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 a retransmission request state variable of the received data storage buff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이,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process, 상기 기지국전송시스템이 상기 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에 관련된 (이)상태변수를 상기 기지국제어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ransmitting, by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a (i) state variable related to the radio link protocol buffer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이,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third process, 상기 기지국전송시스템(120)이 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에 관련된 (기)데이터와 (기)상태변수를 상기 기지국제어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ransmitting, by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120), the (gi) data and (gi) state variables related to the radio link protocol buffer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에 관련된 (기)데이터와 (기)상태변수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gi) data and (gi) state variables related to the radio link protocol buffer are: (기)전송데이터저장버퍼의 데이터와 그 상태를 관리하는 (기)전송상태변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Gi) Transfer data storage buffer is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gi) transfer state variable for managing the data and its sta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전송데이터저장버퍼의 데이터가,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ata of the (former) transmission data storage buffer, 상기 (이)수신데이터저장버퍼의 (이)재전송요구상태변수에서부터 상기 (기)전송상태변수까지 저장된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i) data stored from the (i) retransmission request state variable of the (i) received data storage buffer to the (gi) transmission state variabl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링크프로토콜 버퍼에 관련된 (기)데이터와 (기)상태변수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gi) data and (gi) state variables related to the radio link protocol buffer are: (기)수신데이터저장버퍼의 데이터와 (기)수신상태변수와 (기)재전송요구상태변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i) receive state variables and (i) retransmission request state variable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수신데이터저장버퍼의 데이터가,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ata of the (gi) received data storage buffer, (기)재전송요구상태변수에서부터 (기)수신상태변수까지 저장된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data is stored from the (re) request request state variable to the (re) receive state variabl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의 수행후,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fter performing the first process, 상기 이동국이 역방향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고, 수신되는 정방향 데이터가 재전송을 요구하는 데이터이면 그 상태를 저장하며 상기 수신되는 정방향 데이터가 일반 데이터일시 상기 (이)수신데이터저장버퍼에 저장하며 이때 상기 일반데이터가 재전송을 유발하는 데이터이면 상기 (이)재전송요구상태변수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f the mobile station stops transmitting the reverse data, and the received forward data is data requiring retransmission, the mobile station stores the state. Storing the retransmission request state variable if the data is data causing retransmissi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의 수행후,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fter performing the first process, 상기 기지국전송시스템이 정방향데이터 전송과 역방향데이터 수신을 중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stops forward data transmission and reverse data reception.
KR1019980046798A 1998-11-02 1998-11-02 Location Movement Method of Media Access Control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768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798A KR100276808B1 (en) 1998-11-02 1998-11-02 Location Movement Method of Media Access Control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798A KR100276808B1 (en) 1998-11-02 1998-11-02 Location Movement Method of Media Access Control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014A KR20000031014A (en) 2000-06-05
KR100276808B1 true KR100276808B1 (en) 2001-01-15

Family

ID=19556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798A KR100276808B1 (en) 1998-11-02 1998-11-02 Location Movement Method of Media Access Control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80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022B1 (en) 2004-09-30 2012-03-15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Active session mobility solution for radio link protoc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022B1 (en) 2004-09-30 2012-03-15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Active session mobility solution for radio link protoc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014A (en)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599B1 (en) Method of providing burst timing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in a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547851B1 (en) Data transmitting method in cdma system
CA2118438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ft handoff of a cellular mobile-to-mobile call
KR101141649B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enhanced uplink data channel
US8331316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4239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cket data transmission between BSC and BTS
KR100356123B1 (en) A selection method of a handoff system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106822B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ndover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EP0664658A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digital cellular data
JPWO2004030396A1 (en) Packet transfer / transmiss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3189348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handoff
KR20080092954A (en) Method and apparatus to minimize packet loss during active data hard handoff
KR200500062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of a CDMA Mobile Station by Controlled Transition From Control Hold To Active State
KR20030087982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negotiation during a hard handoff of a mobil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39173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terminal, base station, control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WO19950036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transf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KR1003463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ynchronization during transcoder switch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276808B1 (en) Location Movement Method of Media Access Control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5038132B (en) DAPS switching method and device of base station
US7392063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486414B1 (en) A hard hand-over method and system without data loss
KR100754648B1 (en) Hand-over method and system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EP1415495B1 (en) Dynamic dcch/fch switching
CN101375613A (en) Method and apparatus to minimize packet loss during active data hard handoff
JP2003078937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for th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