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3459B1 - Bit string control method of image data - Google Patents

Bit string control method of image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459B1
KR100273459B1 KR1019980056926A KR19980056926A KR100273459B1 KR 100273459 B1 KR100273459 B1 KR 100273459B1 KR 1019980056926 A KR1019980056926 A KR 1019980056926A KR 19980056926 A KR19980056926 A KR 19980056926A KR 100273459 B1 KR100273459 B1 KR 100273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quantization step
step size
frame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41143A (en
Inventor
이승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459B1/en
Publication of KR20000041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1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45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bits, e.g. of the compressed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상에서 여러개의 블록으로 나누고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여 차별적으로 부호화하는 시스템에서 양자화 계단값을 효율적으로 부여하기 위하여, 프레임 상에서 분리된 각 블록에 대해 각각의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구하는 제1단계와; 상기에서 구한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근거로 각 블록의 발생할 비트량을 구하여 경계블럭이나 물체블럭에 대해서는 허용된 최대 변화폭으로, 배경블록에 대해서는 허용된 최소 변화폭으로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조절하여 부호화 하는 제2단계와; 상기에서 구해진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근거로 부호화할 경우에 얻어지는 발생비트량을 이용하여 다음 블록의 양자화 계단 크기를 구하는 제3단계와; 다음 프레임의 부호화를 위해 이용하는 현재 프레임의 발생 비트량은 실제로 발생한 비트량으로 대체하여 다음 프레임의 양자화 계단크기를 구하는데 이용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통해 처리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image data into several blocks on a frame and efficiently assigns a quantization step value in a system for differentially encoding by varying weights according to importance, so that each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for each block separated on the frame is different. Obtaining a first step; Based on the obtained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the bit amount to be generated for each block is obtained, and the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is adjusted to the maximum change width allowed for the boundary block or the object block and the minimum change width allowed for the background block. Step 2; A third step of obtaining the quantization step size of the next block using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when encoding based on the obtained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The generated bit amount of the current frame used for encoding the next frame is processed through the fourth step of replacing the actual bit amount with the bit amount actually used to obtain the quantization step size of the next frame.

Description

영상데이터의 비트열 제어방법Bit string control method of image data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할 때 프레임단위로 여러개의 블록으로 나누고 중요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부호화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할된 각 블록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경우 양자화 계단값(step size)을 효율적으로 부여하기 위해 경계블록과 물체블록을 구분하여 양자화 스텝의 크기값을 조절한 후 다음 블록의 양자화 스텝 크기값을 조절하도록한 영상데이터의 비트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of dividing the image data into several blocks on a frame-by-frame basis and encoding them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Particularly, when weighting each divided block, the quantization step size is efficiently obtai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bit streams of image data in which a boundary block and an object block are divided to adjust a magnitude value of a quantization step and then a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of a next block.

현재, H.263, MPEG-4 등의 대부분의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기술의 경우 비트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양자화 계단값을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Currently, most video encoding / decoding techniques such as H.263 and MPEG-4 use a method of adjusting a quantization step value to control a bit string.

예로써, H.263 버젼-2의 테스트 모델인 TMN-10의 경우, 이전 프레임의 발생 비트량과 이전 프레임의 목적(target) 비트량의 차이와, 현재 프레임의 이전 블록까지의 목적 비트량과 실제 이전 블록까지 발생한 비트량을 계산하여 현재의 프레임 및 블록의 양자화 파라메타(QP: Quantization Parameter)의 값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실제의 발생 비트량을 계속 조절해 나간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MN-10, a test model of H.263 version-2,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ed bit amount of the previous frame and the target bit amount of the previous frame, the target bit amount up to the previous block of the current frame,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up to the actual previous block i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value of the quantization parameter (QP) of the current frame and block, and the actual amount of bits is continuously adjusted.

최근들어 부호화 비트의 할당 비율(rate)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목표 비트율(Target bit rate), 지연시간, 영상의 통계(statistics) 등의 여러 가지 제약조건을 충족시키고 최소 왜곡(Minimum Distortion)을 갖는 양자화 파라메타값을 결정하여 부호화에 이용하는 방법으로 발생하는 비트량을 제어한다.Recently, various methods for controlling the allocation rate of coded bits have been studied, but basically satisfy various constraints such as target bit rate, delay time, image statistics, etc.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by the method used for encoding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a quantization parameter value having a minimum distortion.

또한,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낮은 비트율에서의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블록간 품질(Quality)의 급격한 변화를 제한하기 위하여 인접된 블록간의 양자화 파라메타의 변화폭을 제한하게 된다.In most cases, in order to improve coding efficiency at a low bit rate or to limit a sudden change in inter-block quality, a change width of the quantization parameter between adjacent blocks is limited.

비율 제어 방법과 더불어 화상회의, 비디오통신 등의 비디오 부호화 기법에서는 프레임을 인물과 같이 중요한 블록과 덜 중요한 블록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방법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In addition to rate control methods, video coding techniques such as video conferencing and video communication have been conducted to separate frames into important blocks such as people and less important blocks, and to encode them in different ways.

도 1은 통상의 부호화 시스템에서 부호화 데이터를 프레임단위로 배경블록(1), 경계블록(2),물체블록(3)으로 분할한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트열 제어방법으로 블록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블록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는 경우의 비트량 할당표이고, 도 3b는 종래기술에 의해 블록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한 경우의 비트량 할당 예시표이다.FIG. 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encoded data is divided into a background block (1), a boundary block (2), and an object block (3) in units of frames in a conventional encoding system. FIG. An example of weighting according to a block is shown. FIG. 3A is a bit amount allocation table when no weight is assigned according to a block, and FIG. 3B is a bit amount allocation example table when a weight is assigned according to a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비트열 제어방법의 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bit str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첫째, 하나의 영상 프레임은 10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그 10개의 블록은 6개의 배경블록(1)과 4개의 중요블록 즉, 2개의 경계블록(2)과 2개의 물체블록(2)으로 이루어진다.First, one image frame is composed of 10 blocks, which are composed of six background blocks (1) and four important blocks, that is, two boundary blocks (2) and two object blocks (2). .

둘째, 첫 번째 블록의 양자화 계단값은 이전 프레임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여 10으로 결정되었다.Second, the quantization step of the first block was determined to be 10 using the encoding result of the previous frame.

셋째, 상기 양자화 계단값의 변화폭은 +2와 -2로 제한된다.Third, the variation range of the quantization step value is limited to +2 and -2.

넷째, 현재 프레임의 목적 비트량은 100 bits 이며, 가중치를 고려하여 배경블록(1)에 7 bits를 할당하고, 중요블록(2,3)에 13 bits를 할당한다.Fourth, the target bit amount of the current frame is 100 bits, 7 bits are allocated to the background block 1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and 13 bits are allocated to the critical blocks 2 and 3.

다섯째, 양자화 계단값에 따라 선형적인 비트량이 발생한다. 즉, 10 bits를 기준으로 양자화 계단값이 1증가(감소)할때마다 발생 bit량은 1감소(증가)한다.Fifth, a linear bit amount occurs according to the quantization step value. That is, each time the quantization step value increases (decreases) by 1 bit, the amount of generated bits decreases (increases) by one.

여섯째, 양자화 계단값은 목적 비트량과 발생비트량의 차를 이용하여 +2와 -2의 범위내에서 변화시켜 조절한다.Sixth, the quantization step value is adjusted by changing the range of +2 and -2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bit amount and the generated bit amount.

이와 같이 비트열을 제어한 결과를 도 3b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접한 블록간에 양자화 계단값의 변화폭을 제한하면 단순히 블록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비트할당 방법과 비트열 제어방법으로는 실제 경계블록(2)이나 물체블록(3)에 더 많은 비트량을 할당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 result of controlling the bit string in this manner is shown in FIG. 3B. As shown in this result table, limiting the variation of the quantization step value between adjacent blocks simply adds weights to the blocks and bit string control methods, so that the actual boundary block (2) or the object block (3) can be used m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impossible to allocate a bit amount.

특히 이러한 현상은 인접 블록간의 양자화 계단크기의 변화폭이 적을수록, 영상의 크기가 작거나 블록이 넓을수록 심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도 3b의 비트열에서 중요블록(2,3)의 양자화 크기값은 각각 16,14, 12,10 이나, 실제 발생비트량은 각각 4,6,8,10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비트를 할당하지 않는 방법에 비하여 실제로 더 많은 비트가 할당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In particular, this phenomenon is more severe when the change in the quantization step size between adjacent blocks is smaller, and the image size is smaller or the block is wider. For example, in the bit stream of FIG. 3B, the quantization magnitude values of the critical blocks 2 and 3 are 16, 14, 12, and 10, respectively, but the actual generated bits are weighted 4, 6, 8, and 10, respectively. It can be seen that more bits have not actually been allocated as compared to not assigning bits.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영상데이터의 비트열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중요블록에 더 많은 비트량을 할당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그 정도는 인접 블록간의 양자화 계단크기의 변화폭이 적을수록, 영상의 크기가 작거나 블록이 넓을수록 심하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양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없게 되는 결함으로 대두되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it string control method of image data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used, it is impossible to allocate more bits to important blocks, and the degree of change of the quantization step size between adjacent blocks is smaller. In other words, the wider the block, the more severe the result is a defect that can not provide a good image.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 블록에 대한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구한 후 이를 이용하여 각 파라메타를 구하여 경계블록이나 물체블록에 대해서는 최대 변화폭으로, 배경블록에 대해서는 최소 변화폭으로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조절하여 부호화 하고, 이렇게 구해진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이용하여 부호화할 경우에 얻어지는 파라메타를 이용하여 다음 블록의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구하는 비트열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the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for each block, and then to obtain each parameter using the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with the maximum change width for the boundary block or object block, the minimum change width for the background block In the present invention, a bit string control method is provided to obtain a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of a next block by using a parameter obtained when encoding using the obtained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도 1은 영상 프레임의 영역분할 예를 보인 설명도.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gion division of an image frame;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비트열 제어방법으로 블록별 가중치를 부여한 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given a weight for each block in the bit str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a는 영역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은 경우의 부호화 처리표.3A is a coding process table when no weight is applied according to an area.

도 3b는 종래기술에 의해 각 가중치를 부여한 경우의 부호화 처리표.3B is a coding process table in the case where each weight is assigned by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데이터의 비트열 제어방법의 신호 흐름도.4 is a signal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bit strings of imag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영역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한 경우의 부호화 처리표.5 is a coding process table in the case where a weight is applied according to an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비트열 제어방법으로 블록별 가중치를 부여한 예시도.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ssigning weights for each block in the bit str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배경블록 2 : 경계블록1: Background block 2: Border block

3 : 물체블록3: object block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영상데이터의 비트열 제어방법은, 프레임 상에서 분리된 각 블록에 대해 각각의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구하는 제1단계와; 상기에서 구한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근거로 각 블록의 발생할 비트량을 구하여 경계블럭이나 물체블럭에 대해서는 허용된 최대 변화폭으로, 배경블록에 대해서는 허용된 최소 변화폭으로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조절하여 부호화 하는 제2단계와; 상기에서 구해진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근거로 부호화할 경우에 얻어지는 발생비트량을 이용하여 다음 블록의 양자화 계단 크기를 구하는 제3단계와; 다음 프레임의 부호화를 위해 이용하는 현재 프레임의 발생 비트량은 실제로 발생한 비트량으로 대체하여 다음 프레임의 양자화 계단크기를 구하는데 이용하도록 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고, 하나의 프레임을 부호화 하기 위한 과정을 예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bit streams of image data,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obtaining respective quantization step size values for each block separated on a frame; Based on the obtained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the bit amount to be generated for each block is obtained, and the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is adjusted to the maximum change width allowed for the boundary block or the object block and the minimum change width allowed for the background block. Step 2; A third step of obtaining the quantization step size of the next block using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when encoding based on the obtained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The generated bit amount of the current frame used for encoding the next frame is composed of a fourth step of replacing the actual bit amount with the actual generated bit amount to obtain the quantization step size of the next frame. 1 and 4 to 6, a process for encoding one fr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an example.

먼저, 비트열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존의 다양한 방법으로 각 블록(1),(2),(3)의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찾아낸다.First, the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of each block (1), (2), (3) is found by using various existing methods used to adjust the bit string.

일예로써, 이산 프레임의 부호화시 발생한 비트량 즉, 현재 프레임의 현재 블록까지 QPi_mod를 이용하여 부호화한 경우의 전체 비트량(Bt_mod)을 근거로 하여, 현재 프레임의 첫 번째 블록에 대한 양자화 계단크기값을 찾아낸다.(S1)For example, the first block of the current frame based on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when encoding the discrete frame, that is, the total bit amount B t _ mod when the current block of the current frame is encoded using QP i _ mod . Find the quantization step size for. (S1)

이러한 동작을 일반적으로 양자화 파라메타(QP)를 계산한다고 표현하는데 양자화 계단크기와 QP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This operation is generally expressed as calculating the quantization parameter (Q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ntization step size and QP is as follows.

양자화 계단 크기값 = 2 × QPQuantization Step Size = 2 × QP

또한, QP를 계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파라메타들과 알고리듬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이전 프레임에서 발생한 비트량을 그 중 하나의 파라메타로 사용한다고 가정한다.In addition, various parameters and algorithms may be used to calculate the QP, but it is assumed here that the bit amount generated in the previous frame is used as one of them.

이렇게 구해진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이용하여 부호화할 경우의 결과를 얻는다. 즉, i번째 블록의 양자화 파라메타(QPi)를 이용하여 부호화 할 경우의 결과 발생비트량(Bi)을 계산한다.(S6)Using the quantized step size values thus obtained, the result of encoding is obtained. That is, the resultant bit amount Bi is calculated when encoding using the quantization parameter QP i of the i-th block (S6).

이후, 경계블록(2)이나 물체블록(3)에 대해서는 최대(+max) 변화폭, 배경블록에 대해서는 최소(-min) 변화폭으로 양자화 계단크기값을 조절한 후 실제 부호화하고 결과를 얻는다.After that, the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is adjusted to the maximum (+ max) change width for the boundary block 2 or the object block 3 and the minimum (-min) change width for the background block, and the result is actually encoded.

즉, 이미 구해진 양자화 파라메타(QPi)와 현재 블록의 블록정보(중요블록, 물체블록,경계블록)를 이용하여 변경된 양자화 파라메타(QPi_mod)의 값을 구한다.(S2-S4)That is, the value of the changed quantization parameter QP i _ mod is obtained by using the previously obtained quantization parameter QP i and the block information (important block, object block, boundary block) of the current block. (S2-S4)

여기서, QPi_mod는 i번째 블록의 영역을 고려하여 수정된 양자화 파라메타를 의미한다.Here, QP i _ mod refers to a quantization parameter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region of the i-th block.

QPi_mod= QPi-Di단, 물체블록(3), 경계블록(2)QP i _ mod = QP i -D i where object block (3) and boundary block (2)

= QPi-Di단, 배경블록(1)= QP i -D i However, background block (1)

여기에서는 프레임을 물체블록(3) 및 경계블록(2), 배경블록(1)의 2단계로 분리하였으나, 2단계 이상 분리시에는 Di의 값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각 블록의 가중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단계의 경우에는 Di= max(QP의 최대변화폭)이 된다. 여기서, Di는 영역을 고려한 양자화 파라메타의 변화폭(-max 변화폭 ≤ Di≤ +max 변화폭)을 의미한다.Here, the frame to the object block 3 and the boundary block (2), the background block (1) but separated in two steps, comprising two or more separate when there to adjust the weight degree of each block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value of D i of have. In general, in the case of the second stage, D i = max (the maximum change in QP). Here, D i means a change width (-max change width ≤ D i ≤ + max change width) of the quantization parameter considering the region.

이미 구해진 양자화 계단크기값을 이용하여 부호화할 경우에 얻어진 파라메타를 이용하여 다음 블록의 양자화 계단크기를 얻는다. 즉, 상기 QPi_mod를 이용하여 i번째 블록을 부호화한 경우의 발생비트량(Bi_mod)을 계산한다.(S5)The quantization step size of the next block is obtained using the obtained parameter when encoding using the already obtained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That is, the amount of bits B i _ mod generated when the i-th block is encoded using the QP i _ mod is calculated (S5).

다음 프레임의 부호화를 위해 이용하는 현재 프레임의 발생 비트량은 실제로 발생한 비트량으로 대체하여 다음 프레임의 양자화 계단크기를 구하는데 이용한다.The generated bit amount of the current frame used for encoding the next frame is used to obtain the quantization step size of the next frame by replacing the generated bit amount with the actual generated bit amount.

즉, i+1번째 블록의 부호화를 위하여 QPi+1을 구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현재까지의 발생비트량은 실제 부호화시 발생한 비트량(Bt_mod)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프레임의 현재 블록까지 QPi를 이용하여 부호화한 경우의 전체 비트량(Bt)을 이용한다(S9). 따라서, i+1번째 QPi+1의 값은 발생비트량을 파라메타로 하는 어떤 비트열 조절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가중치 부호화와는 독립적으로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QP i + 1 is obtained for encoding the i + 1 th block, wherein the generated bit amount up to the present is not the bit amount B t_mod generated during actual encoding, but the current block of the current frame. Until now, the total bit amount B t in the case of encoding using QP i is used (S9). Therefore, the value of the i + 1th QP i + 1 can be calculated independently of the weight coding using any bit string adjustment method using the amount of generated bits as a parameter.

상기 제9단계(S9)에서의 방법으로 부호화를 진행하면 한 프레임을 부호화한 뒤의 실제 발생비트량과 계산상의 비트량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다음 프레임에서의 첫 번째 블록의 양자화 계단크기를 구하기 위하여 실제 발생한 비트량을 사용함으로써 그 차이가 보상된다.When the encoding is performed in the ninth step S9, a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generated bit amount and the calculated bit amount after encoding one frame is obtained. Obtaining the quantization step size of the first block in the next frame The difference is compensated for by using the amount of bits actually generated.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입력 데이터를 부호화 처리한 결과의 일예를 도 5에 나타내었으며, 도 6은 그때 각 블록의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An example of the result of encoding the input data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shown in FIG. 5, and FIG. 6 exemplarily shows the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of each block.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블록에 대한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구한 후 이를 이용하여 각 파라메타를 구하여 경계블럭이나 물체블럭인 경우 최대 변화폭으로, 배경블록의 경우에는 최소 변화폭으로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조절하여 부호화 하고, 이렇게 구해진 구해진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이용하여 부호화할 경우에 얻어지는 파라메타를 이용하여 다음 블록의 양자화 계단 크기를 구함으로써, 화상회의용과 같은 영상시스템에 적용하여 최적의 화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for each block, and then obtains each parameter using the quantization step size as the maximum change width in the case of the boundary block or the object block and the minimum change width in the case of the background block. By adjusting the value and encoding the obtained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the quantization step size of the next block is obtained by using the obtained parameter. The optimal quality is applied to a video system such as video conferenc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Claims (2)

프레임 상에서 분리된 각 블록에 대해 각각의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구하는 제1단계와; 상기에서 구한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근거로 각 블록의 발생할 비트량을 구하여 경계블럭이나 물체블럭에 대해서는 허용된 최대 변화폭으로, 배경블록에 대해서는 허용된 최소 변화폭으로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조절하여 부호화 하는 제2단계와; 상기에서 구해진 양자화 계단 크기값을 근거로 부호화할 경우에 얻어지는 발생비트량을 이용하여 다음 블록의 양자화 계단 크기를 구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의 비트열 제어방법.Obtaining a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for each block separated on the frame; Based on the obtained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the bit amount to be generated for each block is obtained, and the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is adjusted to the maximum change width allowed for the boundary block or the object block and the minimum change width allowed for the background block. Step 2; And a third step of obtaining the size of the quantization step of the next block by using the amount of generated bits obtained when encoding based on the obtained quantization step size value. 제1항에 있어서, 다음 프레임의 부호화를 위해 이용하는 현재 프레임의 발생 비트량을 실제로 발생한 비트량으로 대체하여 다음 프레임의 양자화 계단크기를 구하는데 이용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의 비트열 제어방법.The imag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replacing the generated bit amount of the current frame used for encoding the next frame with the bit amount actually generated to use to obtain the quantization step size of the next frame. Bit string control method of data.
KR1019980056926A 1998-12-21 1998-12-21 Bit string control method of image data KR1002734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926A KR100273459B1 (en) 1998-12-21 1998-12-21 Bit string control method of image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926A KR100273459B1 (en) 1998-12-21 1998-12-21 Bit string control method of image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143A KR20000041143A (en) 2000-07-15
KR100273459B1 true KR100273459B1 (en) 2000-12-15

Family

ID=1956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926A KR100273459B1 (en) 1998-12-21 1998-12-21 Bit string control method of image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4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453B1 (en) * 2001-11-17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Bit rate control based on object
KR100624404B1 (en) * 2002-01-05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Adaptive coding method and apparatus considering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KR100608810B1 (en) * 2004-07-09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and a apparatus of improvement image quality at multimedia communication for mobile phone
KR101415429B1 (en) * 2014-03-20 2014-07-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determining bitrate for video quality optimization based on block artif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143A (en)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9871B (en) Macro block group video code rate control method
US5949956A (en) Variable bit rate video encoder, and video recorder, including code amount allocation
US5521643A (en) Adaptively coding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variation in quantization step size
US7480332B2 (en) Bit ra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PEG-4 video coding
US7714751B2 (en) Transcoder controlling generated codes of an output stream to a target bit rate
KR100273459B1 (en) Bit string control method of image data
US6954503B1 (en) Video image coding apparatus with individual compression encoding sections for different image divisions
KR1002380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selectively
JP4104066B2 (en) Video information multiple simultaneous encoding device
US20050220352A1 (en) Video encoding with constrained fluctuations of quantizer scale
CN108737826B (en) Video coding method and device
JP2655063B2 (en) Audio coding device
KR100543608B1 (en) Bit rate control system based on object
KR100493854B1 (en) Quantization Method in Object-Centered Encoding
KR101069254B1 (en) Method of Rate Control in Frame-level for H.264/AVC
JP4249672B2 (en) Video information multiple simultaneous encoding device
JPH11341520A (en) Coder for stereoscopic moving image
KR1003167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ding images using human visual sensitivity characteristic
KR20040061048A (en) An adaptive method for selecting quantizers
JPH0595542A (en) Dynamic picture coder-decoder
JPH09200778A (en)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video signal
CA2105209A1 (en) Bit rate control for hybrid dpcm/dct video codec
KR100335436B1 (en) Quantization Step Size Determination Method_
KR960006607A (en) Bit rate control method when switching scenes
JPH082657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quantization of image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