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3443B1 - 인터넷폰 프로토콜 - Google Patents

인터넷폰 프로토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443B1
KR100273443B1 KR1019980040658A KR19980040658A KR100273443B1 KR 100273443 B1 KR100273443 B1 KR 100273443B1 KR 1019980040658 A KR1019980040658 A KR 1019980040658A KR 19980040658 A KR19980040658 A KR 19980040658A KR 100273443 B1 KR100273443 B1 KR 100273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phone
internet
link
messag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513A (ko
Inventor
허정선
김정현
정만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443B1/ko
Priority to US09/405,007 priority patent/US6618369B1/en
Priority to EP99307626A priority patent/EP0991254B1/en
Priority to DE69937434T priority patent/DE69937434T2/de
Publication of KR2000002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폰 프로토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인터넷폰의 경우는 콜서버를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각 인터넷폰은 자신의 상태 이외의 정보는 가지지 못하는 대신 콜서버가 LAN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인터넷폰의 상태 정보를 알고 있으면서 인터넷폰간의 연결을 중계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만약, 콜서버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통신 자체가 단절되고, 또한 1∼2대의 인터넷폰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도 콜서버가 필요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넷폰이 독립적으로 랜에 연결된 다른 모든 인터넷폰의 상태 정보를 가지게 하여 콜서버를 통하지 않고 원하는 인터넷폰과의 링크를 직접 확립하게 함으로써, 특별한 부가장치 없이도 인터넷폰을 랜에 연결하는 자체만으로 전화망이 쉽게 구성되어 그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물리적인 위치가 변하더라도 인터넷폰 자체의 내선 번호는 변경되지 않고, 모든 인터넷폰이 다른 인터넷폰들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있으므로 특정 단말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통신망 자체에 파급되는 효과는 없게 되며 통신을 위한 절차가 매우 간단하여 링크 확립에 걸리는 지연시간이 적어 사용 및 관리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폰 프로토콜
본 발명은 인터넷폰 프로토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폰 단독으로 랜(LAN)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인터넷폰의 상태 정보를 가지게 하여 콜 서버(call server)가 필요없이 독립적으로 인터넷폰간의 링크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폰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사무실 환경은 전화망 이상으로 LAN(Local area network)이 중요한 통신 수단으로 자리하고 있는데, 상기 LAN과 전화(내선 전화)망이 각기 독립된 망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유지하는데 2배의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LAN에서 동작할 수 있는 단말기(이하 인터넷폰)에 의해 LAN으로 전화망을 대체하므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1은 종래 콜서버를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을 인터넷폰에 적용할 경우의 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LAN에는 복수개의 인터넷폰(IP Phone 1∼IP Phone N)과 복수개의 피씨(PC 1∼PC N)가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인터넷폰의 모든 상태정보를 가지고 있으면서 인터넷폰간의 연결을 중계하는 콜서버(Call Server)가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인터넷폰의 링크 확립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종래 인터넷폰의 링크 확립 과정을 보인 상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넷폰(IP Phone 1)이 셋업(Setup) 메시지를 콜서버에 출력하는 것을 시작으로 링크 확립을 위한 호출단계가 시작된다.
이에 따라 콜서버는 제1 인터넷폰의 상태와 상기 제1 인터넷폰이 링크하기를 원하는 제2 인터넷폰(IP Phone 2)의 상태를 체크하여 둘 사이에 링크가 확립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제2 인터넷폰이 링크 가능상태이면 셋업 메시지를 제2 인터넷폰에 출력한다.
다음, 상기 셋업 메시지를 입력받은 제2 인터넷폰은 자신의 상태가 링크 가능상태임을 확인하고, 연결(Connect) 메시지를 콜서버에 출력하며 이어서 콜서버는 다시 제1 인터넷폰으로 연결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제1,2 인터넷폰간에 링크를 확립시킨다.
참고로, 프로토콜이란 두 컴퓨터간 또는 한 컴퓨터와 터미널간에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정한 법칙으로 하드웨어의 인터페이스 조건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규약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에는 반드시 전송하는 데이터의 형식과 신호레벨 및 효율적이고 정확한 전송을 위한 각 단말간의 협조항목과 에러 제어를 위한 항목 및 통신 속도 등에 관련된 전송에 필요한 제반 항목들을 모두 포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인터넷폰의 경우는 콜서버를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각 인터넷폰은 자신의 상태 이외의 정보는 가지지 못하는 대신 콜서버가 LAN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인터넷폰의 상태 정보를 알고 있으면서 인터넷폰간의 연결을 중계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만약, 콜서버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통신 자체가 단절되고, 또한 1∼2대의 인터넷폰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도 콜서버가 필요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인터넷폰이 독립적으로 랜에 연결된 다른 모든 인터넷폰의 상태 정보를 가질수 있도록 하여 콜서버를 거치지 않고 원하는 인터넷폰과의 링크를 직접 확립하게 함으로써 특별한 부가장치 없이도 인터넷폰을 랜에 연결하는 자체만으로 전화망이 쉽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폰 프로토콜을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콜서버를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을 인터넷폰에 적용할 경우의 랜 구성도.
도2는 종래 인터넷폰의 링크 확립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폰 프로토콜을 계층별로 구분하여 보인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토콜을 인터넷폰에 적용할 경우의 랜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토콜을 적용한 인터넷폰의 링크 확립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셋업 메시지의 프레임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두 인터넷폰간의 링크확립 및 해제과정의 실시예를 보인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C 1∼PC N : 피씨 Call Server : 콜서버
IP Phone 1∼IP Phone N : 인터넷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링크체간의 연결 설정 및 유지, 해제를 위한 기계적이고 기능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물리 계층과; 상기 물리 계층의 전기적이고 기계적인 각 소자들의 구동특성을 규정하는 구동 계층과; 소프트웨어적으로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실시간 운용 계층과; 패킷 교환에서 패킷 스트림을 처리하는데 따른 특성을 규정하는 운송 계층과; 사용자의 의사를 인터넷폰으로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계층과; 인터넷폰간에 음성채널을 링크하는 음성 링크 계층으로 구성된 인터넷폰 프로토콜에 있어서, 각 인터넷폰간에 상태정보를 교환 저장하여 독립적으로 링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 링크 계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폰 프로토콜을 계층별로 구분하여 보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체간의 연결 설정 및 유지, 해제를 위한 기계적이고 기능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물리(Physical) 계층과; 상기 물리 계층의 전기적이고 기계적인 각 소자들의 구동특성을 규정하는 구동(Device Driver) 계층과; 소프트웨어적으로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실시간 운용(RTOS : Real Time Operating System) 계층과; 패킷 교환에서 패킷 스트림을 처리하는데 따른 특성을 규정하는 운송(UDP/IP : User datagram protocol/internet protocol) 계층과; 사용자의 의사를 시스템으로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계층과; 인터넷폰간에 음성채널을 링크하는 음성 링크(VOICE/RTP : Voice/Realtime transport protocol) 계층으로 구성된 인터넷폰 프로토콜에 있어서, 각 인터넷폰간에 상태정보를 교환 저장하여 독립적으로 링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 링크(Multimedia Office Communication System protocol, 이하 MOCS Protocol) 계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토콜을 인터넷폰에 적용할 경우의 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LAN에는 복수개의 인터넷폰(IP Phone 1∼IP Phone N)과 복수개의 피씨(PC 1∼PC N)만 연결되어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토콜을 적용한 인터넷폰의 링크 확립 과정을 보인 상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LAN에 연결된 모든 인터넷폰은 자신의 상태가 바뀔때마다 그 상태정보를 다른 모든 인터넷폰으로 전송하고(ST1) 각 인터넷폰은 전송받은 다른 인터넷폰의 상태를 기억하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예를 들어 제1 인터넷폰(IP Phone 1)이 제2 인터넷폰(IP Phone 2)과의 접속을 원할 경우, 상기 제1 인터넷폰은 이미 가지고 있는 상태 정보에 의해 제2 인터넷폰의 상태가 링크확립이 가능한 상태인가를 판단하여 셋업(Setup) 메시지를 제2 인터넷폰에 전송(ST2)하고, 상기 셋업 메시지를 받은 제2 인터넷폰은 연결(Connect) 메시지를 제1 인터넷폰에 전송(ST3)하므로써 두 인터넷폰간에 링크가 확립된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셋업 메시지의 프레임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위에 자신의 이더넷 주소와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대측의 이더넷 주소를 지정하는데 사용하는 14바이트의 매체 접근 제어 헤드(Media Access Control : MAC Header)와;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대측의 아이피 주소 및 유디피를 지정하는데 사용하는 20바이트의 아이피 헤더(IP Header : Internet Protocol Header) 및 8바이트의 유디피 헤더(UDP Header : User datagram protocol)와; 내용이 오류없이 상대측에게 정확히 전송 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4바이트의 프레임 검사 순서(FCS : Frame Check Sequence)로 구성된 메시지 프레임에 있어서, 인터넷폰간의 독립 링크 확립을 위한 내선번호 및 상태정보와 에러정보등이 포함되는 18바이트의 엠오씨에스 콜 제어 메시지(MOCS Call Control Message)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엠오씨에스 콜 제어 메시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엠오씨에스 콜 제어 메시지의 18바이트 중 최상위에는 호출 제어(call control)를 하는데 필요한 메시지 타입을 설정하는 1바이트의 영역과; 다음 메시지를 송신하는 인터넷폰의 내선번호(Source ID)등을 설정하는 2바이트의 영역과; 다음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인터넷폰의 내선번호(Destination ID)등을 설정하는 2바이트의 영역과; 내선통신 이외의 다이얼링 번호(Digital number)를 설정하기 위한 1바이트 영역과; 에러 발생이나 링크 확립이 안될 경우 상대 인터넷폰으로 그 원인(Cause)을 알려주기 위한 1바이트 영역과; 현재 자신의 상태(status) 정보를 다른 모든 인터넷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1바이트 영역 및 다자간 회의 기능(conference_setup)이나 포워드(forward) 등의 부가 기능을 위하여 제3의 인터넷폰에 대한 내선번호(3rd ID)를 알리기 위한 8바이트 영역과; 호출 동작이 완료되고 음성채널을 열기 위하여 자신의 알티피(RTP : Realtime Transport Protocol) 포트번호를 상대 인터넷폰으로 알리기 위한 2바이트의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메시지 프레임으로 구성된 엠오씨에스 콜 제어 메시지에 있어서, 표1에는 각 메시지 타입에 대한 코드를 대응시킨 예를 보였다.
Message Type Deci. 8 7 6 5 4 3 2 1
Setup_request 6 0 0 0 0 0 1 1 0
Setup_accept 7 0 0 0 0 0 1 1 1
Setup_reject 8 0 0 0 0 1 0 0 0
Connect 9 0 0 0 0 1 0 0 1
Disconnect 10 0 0 0 0 1 0 1 0
Digit number 11 0 0 0 0 1 0 1 1
Forward_on 12 0 0 0 0 1 1 0 0
Forward_off 13 0 0 0 0 1 1 0 1
Status 14 0 0 0 0 1 1 1 0
Conference_setup 15 0 0 0 0 1 1 1 1
VMS 16 0 0 0 1 0 0 0 0
ACK × 1 × × × × × × ×
다음, 표2와 표3에는 각각 링크 확립이 되지 않을 경우 에러 원인 및 상태 정보에 대한 코드를 대응시킨 예를 나열하였고, 각 메시지 타입 및 신호에 대한 사용예는 도7을 참조로 설명한다.
Cause Deci. 8 7 6 5 4 3 2 1
On Hook 1 0 0 0 0 0 0 0 1
Flash 2 0 0 0 0 0 0 1 0
Hold 3 0 0 0 0 0 0 1 1
Transfer 4 0 0 0 0 0 1 0 0
Busy 5 0 0 0 0 0 1 0 1
Error 6 0 0 0 0 0 1 1 0
Unknown 7 0 0 0 0 0 1 1 1
Status Deci. 8 7 6 5 4 3 2 1
Idle 1 0 0 0 0 0 0 0 1
Busy 2 0 0 0 0 0 0 1 0
Hold 3 0 0 0 0 0 0 1 1
Access Denied 4 0 0 0 0 0 1 0 0
Invalid 5 0 0 0 0 0 1 0 1
Forward 6 0 0 0 0 0 1 1 0
도7은 본 발명의 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두 인터넷폰간의 링크확립 및 해제과정의 실시예를 보인 상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인터넷폰(IP Phone 1)이 제2 인터넷폰(IP Phone 2)과의 링크 확립을 위해 수화기를 들면(off_hook) 그 때의 상태 정보(busy)가 LAN에 연결된 모든 인터넷폰에 통보되고, 내선번호를 누르기 전까지 다이알 톤을 발생한다.
다음, 내선번호가 눌리면(Click Digit) 셋업 메시지(setup_request)가 제2 인터넷폰으로 전송되어 링크를 요구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제2 인터넷폰은 링크 확립이 가능한 상태이면 링이 울리게 되고, 동시에 응답 메시지(setup_accept)를 제1 인터넷폰으로 전송하게 된다.
응답 메시지(setup_accept)를 수신한 제1 인터넷폰에는 링백톤(Ringback tone)이 울리게 되며 제2 인터넷폰의 수화기가 들리고(off_hook) 연결(connect) 메시지를 전송 받을 때까지 계속된다.
이때, 제2 인터넷폰은 연결(connect) 메시지를 제1 인터넷폰에 전송함과 동시에 상태 정보(busy)를 모든 인터넷폰에 통보하여 다른 인터넷폰과는 링크를 확립할 수 없음을 알리게 된다.
다시 모든 대화가 끝나고 수화기를 내려 놓으면(on_hook) 단절(disconnect) 메시지를 제1 인터넷폰으로 전송하고, 다른 인터넷폰으로는 자신의 상태 정보(Idle)를 통보하여 다시 자신이 링크 가능상태임을 알리게 된다.
상기 단절(disconnect) 메시지를 수신받은 제1 인터넷폰은 가드톤(Guard tone)이 발생하게 되어 링크가 끊겼음을 알리게 되고, 사용자가 수화기를 내려 놓으면(on_hook) 마찬가지로 자신의 상태 정보(idle)를 모든 인터넷폰으로 통보하여 링크가 확립될 수 있음을 알리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인터넷폰 프로토콜은 인터넷폰이 독립적으로 랜에 연결된 다른 모든 인터넷폰의 상태 정보를 가지게 하여 콜서버를 통하지 않고 원하는 인터넷폰과의 링크를 직접 확립하게 함으로써, 특별한 부가장치 없이도 인터넷폰을 랜에 연결하는 자체만으로 전화망이 쉽게 구성되어 그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물리적인 위치가 변하더라도 인터넷폰 자체의 내선 번호는 변경되지 않고, 모든 인터넷폰이 다른 인터넷폰들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있으므로 특정 단말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통신망 자체에 파급되는 효과는 없게 되며 통신을 위한 절차가 매우 간단하여 링크 확립에 걸리는 지연시간이 적어 사용 및 관리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링크체간의 연결 설정 및 유지, 해제를 위한 기계적이고 기능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물리 계층과; 상기 물리 계층의 전기적이고 기계적인 각 소자들의 구동특성을 규정하는 구동 계층과; 소프트웨어적으로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실시간 운용 계층과; 패킷 교환에서 패킷 스트림을 처리하는데 따른 특성을 규정하는 운송 계층과; 사용자의 의사를 인터넷폰으로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계층과; 인터넷폰간에 음성채널을 링크하는 음성 링크 계층으로 구성된 인터넷폰 프로토콜에 있어서, 각 인터넷폰간에 상태정보를 교환 저장하여 독립적으로 링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 링크(MOCS : Multimedia Office Communication System Protocol) 계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 프로토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 링크 계층이 포함되어 구성된 각 인터넷폰은 링크 확립시 랜에 연결된 다른 모든 인터넷폰에 자신의 상태가 바뀔때마다 그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각 인터넷폰은 전송받은 다른 인터넷폰의 상태를 기억하고 있다가 접속을 원하는 상대 인터넷폰이 링크 확립이 가능한 상태일 경우 직접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셋업 메시지를 수신받은 인터넷폰은 연결 메시지를 링크 확립을 요구한 인터넷폰에 다시 전송하는 과정에 의해 서로 링크를 확립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 프로토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 링크 계층에 의해 인터넷폰간의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전송하는 메시지 프레임은 최상위에 자신의 이더넷 주소와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대측의 이더넷 주소를 지정하는데 사용하는 14바이트의 매체 접근 제어 헤드(MAC Header)와;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대측의 아이피 주소 및 유디피를 지정하는데 사용하는 20바이트의 아이피 헤더(IP Header) 및 8바이트의 유디피 헤더(UDP Header)와; 내용이 오류없이 상대측에게 정확히 전송 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4바이트의 프레임 검사 순서(FCS)로 구성된 메시지 프레임에 있어서, 인터넷폰간의 독립 링크 확립을 위한 내선번호 및 상태정보와 에러정보등이 포함되는 18바이트의 엠오씨에스 콜 제어 메시지(MOCS Call Control Message)를 더 부가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 프로토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엠오씨에스 콜 제어 메시지는 최상위에 호출 제어(call control)를 하는데 필요한 메시지 타입을 설정하는 1바이트의 영역과; 다음 메시지를 송신하는 인터넷폰의 내선번호(Source ID)를 설정하는 2바이트의 영역과; 다음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인터넷폰의 내선번호(Destination ID)를 설정하는 2바이트의 영역과; 내선통신 이외의 다이얼링 번호(Digital number)를 설정하기 위한 1바이트 영역과; 에러 발생이나 링크 확립이 안될 경우 상대 인터넷폰으로 그 원인(Cause)을 알려주기 위한 1바이트 영역과; 현재 자신의 상태 정보(status)를 다른 모든 인터넷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1바이트 영역 및 다자간 회의 기능(conference_setup)이나 포워드(forward) 등의 부가 기능을 위하여 제3의 인터넷폰에 대한 내선번호(3rd ID)를 알리기 위한 8바이트 영역과; 호출 동작이 완료되고 음성채널을 열기 위하여 자신의 RTP 포트번호를 상대 인터넷폰으로 알리기 위한 2바이트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 프로토콜.
KR1019980040658A 1998-09-29 1998-09-29 인터넷폰 프로토콜 KR100273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58A KR100273443B1 (ko) 1998-09-29 1998-09-29 인터넷폰 프로토콜
US09/405,007 US6618369B1 (en) 1998-09-29 1999-09-27 Internet phone protocol
EP99307626A EP0991254B1 (en) 1998-09-29 1999-09-28 Internet phone protocol
DE69937434T DE69937434T2 (de) 1998-09-29 1999-09-28 Internet Fernsprech Protoko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58A KR100273443B1 (ko) 1998-09-29 1998-09-29 인터넷폰 프로토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13A KR20000021513A (ko) 2000-04-25
KR100273443B1 true KR100273443B1 (ko) 2000-12-15

Family

ID=19552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658A KR100273443B1 (ko) 1998-09-29 1998-09-29 인터넷폰 프로토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244B1 (ko) * 2001-12-05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Voip 게이트웨이 및 이를 위한 장애 처리 방법
ES2261970T3 (es) * 2002-08-01 2006-11-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unicacion radioelectrica por protocolo de internet siempre activa.
KR100487124B1 (ko) * 2002-11-12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션 이니세이션 프로토콜 시스템의 세션 정보 처리 방법및 그 기록매체
KR101152757B1 (ko) 2009-07-15 2012-06-18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이차 전지 및 에너지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13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7377B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audio data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JP3247540B2 (ja) パケット化通信装置および切替え装置
JP2679635B2 (ja) Lan間接続装置
WO2006085269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enabling at least two handheld apparatuses to join a network service
US7496089B2 (en) Network, private branch exchange, and PBX additional service starting method
JP2005020545A (ja) Ip電話システム
US6618369B1 (en) Internet phone protocol
JP3664909B2 (ja) ゲートウェイ、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EP129209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s using internet phones and system therefor
US6490344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hannel coupling method
KR100273443B1 (ko) 인터넷폰 프로토콜
KR100608638B1 (ko) 인터넷 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JP3964589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呼制御装置の接続方法
JP3930215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の切替接続方法
EP1330913B1 (e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using legacy switching systems
US20060153170A1 (en) LAN-based small office/home telephone network utilizing intelligent terminals
KR20000007011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휴대전화와 pc 사이의 통신 서비스제공 시스템
KR100308277B1 (ko) 인터넷폰의상태메시지구조
JP2009141546A (ja) 電話装置
GB2416644A (en) Group calling a plurality of telephone extension terminals
US709930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between a line-switching and a packet-switching communications network
JP2006094330A (ja) Ip電話転送装置
JP4167913B2 (ja) Ip通信基地局
JP3654163B2 (ja) 発側転送方式および発側転送方法
JP2002218055A (ja) 交換制御システム及び交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