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863B1 -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음성메시지확인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음성메시지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863B1
KR100267863B1 KR1019970071358A KR19970071358A KR100267863B1 KR 100267863 B1 KR100267863 B1 KR 100267863B1 KR 1019970071358 A KR1019970071358 A KR 1019970071358A KR 19970071358 A KR19970071358 A KR 19970071358A KR 100267863 B1 KR100267863 B1 KR 100267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oice message
specific key
messag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1919A (ko
Inventor
박미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1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86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키패드의 원-터치 혹은 투-터치로 음성사서함에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확인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자신의 무선호출번호와 제 1특정키 데이터와, 비밀번호 데이터와, 제 2특정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1메모리를 구비하고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확인방법에 있어서, 무선호출이 상기 무선호출기를 통해 수신되면 호출음을 발생하고, 무선호출 서비스 형태를 기억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 후, 상기 서비스 형태가 음성메시지 서비스인지를 조사하는 제 2과정과, 음성메시지 서비스이면 키입력부로부터 소정의 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제3과정과, 상기 소정의 키가 입력되면 채널을 설정한 다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자신의 무선호출번호를 독출하여 송출하는 제4과정과, 상기 무선호출번호 송출 후에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5과정과, 상기 통화로가 형성되면 타이머를 구동하여 시간을 카운트한 다음,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제 6과정과, 상기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면 제 1특정키 데이터를 송출하고 난 다음 제 2일정시간 후에 비밀번호를 송출하며, 상기 비밀번호를 송출한 다음 제 3일정시간 후에 제 2특정키를 송출하여 음성사서함과 연결하여 음성메시지를 확인하는 제 7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에 이용한다.

Description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확인방법.{METHOD FOR CONFIRMING VOICE MESSAGE IN DIGITAL RADIO TELEPHONE HAVING PAGER}
본 발명은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호출기로 수신된 메시지를 원-터치 혹은 투-터치의 키조작으로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가정용 무선 전화기의 통화거리가 확장되어 실내뿐 아니라 실외에서도 일정 거리 내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2nd Generation Cordless Telephone: 이하 "CT2"라 한다)가 등장하게 되었다. CT2는 발신전용 통신단말기로서, 텔레포인트(Telepoint)라 불리우는 무선 공중전화망(Public Base Station)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데, 상기 텔레포인트가 설치된 곳의 반경 200미터 내에서 통화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와 같이 CT2는 발신전용이므로 수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호출기 기능을 부가하여 등장한 것이 CT2 플러스이다.
통상적으로 CT2 플러스에서 음성사서함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먼저 음성사서함 서비스에 가입을 한 후 자신의 무선호출번호로 호출을 한다. 그리고 음성 안내에 따라 제 1특정키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자신의 음성사서함에 연결되고, 상기 음성사서함에 연결되면 제 2특정키를 입력하여 음성메시지를 들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사서함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듣기 위해 사용자는 직접 여러 번의 키조작을 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조작을 한 번 또는 두 번만 입력하여 음성사서함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들을 수 있는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확인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신의 무선호출번호와 제 1특정키 데이터와, 비밀번호 데이터와, 제 2특정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1메모리를 구비하고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확인방법에 있어서, 무선호출이 상기 무선호출기를 통해 수신되면 호출음을 발생하고, 무선호출 서비스 형태를 기억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 후, 상기 서비스 형태가 음성메시지 서비스인지를 조사하는 제 2과정과, 음성메시지 서비스이면 키입력부로부터 소정의 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제3과정과, 상기 소정의 키가 입력되면 채널을 설정한 다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자신의 무선호출번호를 독출하여 송출하는 제4과정과, 상기 무선호출번호 송출 후에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5과정과, 상기 통화로가 형성되면 타이머를 구동하여 시간을 카운트한 다음,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제 6과정과, 상기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면 제 1특정키 데이터를 송출하고 난 다음 제 2일정시간 후에 비밀번호를 송출하며, 상기 비밀번호를 송출한 다음 제 3일정시간 후에 제 2특정키를 송출하여 음성사서함과 연결하여 음성메시지를 확인하는 제 7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확인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메시지 수동 확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와 무선호출시스템 간의 절차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되는 옵션 데이터의 메모리 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1제어부(10)는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하고, 내부에 다양한 시간을 설정하고, 카운트하는 타이머(11)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제어부(10)는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제 1메모리(18)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가진다. 특히, 상기 제 1메모리(18)는 자신의 무선호출번호와 제1특정키데이터와 제 2특정키 데이터 그리고 비밀번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키입력부(13)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들에 대한 키데이터를 발생한다. 표시부(12)는 상기 키입력부(13)로부터 입력된 키데이터를 표시하고, 동작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무선호출부(20)는 무선호출 기능을수행하고, 무선주파수부(이하 "RF부"라 한다)는 CT2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필터링하고 변복조한다. 음성처리부(14)는 마이크(15)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RF부(30)와 무선호출부(20)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스피커(15)와 부저(16)을 통해 음성 및 부저음을 송출한다.
상기 무선호출부(20)는 제 2제어부(21)와, 제 2메모리(22)와, 디코더(23)와, 그리고 제 2수신부(24) 그리고 무선호출 안테나(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제어부(21)는 상기 제 1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무선호출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 2메모리(22)는 호출모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램과 비휘발성 메모리인 이이피롬(EEPROM)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수신부(24)는 상기 무선호출기 안테나(26)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받아 필터링 및 증폭하여 상기 디코더(23)로 인가한다. 디코더(23)는 상기 제 2수신부(24)에서 입력한 호출신호를 받아 디코딩하여 상기 제 2제어부(21)로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RF부(30)는 송수신 분리부(31)와, 송신부(32)와, 주파수 합성부(33)와 제 1수신부(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파수 합성부(33)는 상기 제 1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송신부(32) 및 제 1수신부(35)의 송수신 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생한다. 상기 송수신 분리부(31)는 CT2 안테나(36)을 통해 송신할 신호와 상기 안테나(36)을 통해 상기 제 1수신부(35)로 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제 1수신부(35)는 상기 송수신분리부(31)에서 분리된 무선신호를 필터링과 저잡음 증폭하여 주파수 변환한 후 신호처리부(14)로 출력한다. 특히, 상기 제 1수신부(35)는 윈도우(Window)를 통해 수신전계강도(RSSI)송신부(32)는 신호처리부(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무선신호의 형태로 송수신분리부(31)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확인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제 1제어부(10)는 201단계에서 무선호출부(20)를 통해 무선호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무선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제 1제어부(10)는 202단계에서 신호처리부(14)와 부저(16)를 통해 부저음을 발생하여 무선호출이 수신되었음을 알린다. 그리고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무선호출의 서비스 형태를 저장한다. 통상적으로 무선호출 서비스의 형태는 상대방의 다이얼링 번호 등의 번호를 서비스하는 호출번호 서비스와, 음성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음성메시지 서비스가 있다. 상기 무선호출의 서비스 형태가 저장되면 제 1제어부(1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비스 형태가 음성메시지 서비스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수신된 무선호출이 음성메시지 서비스가 아니라 호출번호 서비스이면 제 1제어부(10)는 201단계로 돌아가고, 음성메시지 서비스라면 207단계로 진행하여 키입력부(13)로부터 송신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07단계에서 상기 송신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 1제어부(10)는 201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송신키가 입력되면 209단계로 진행하여 채널을 설정한다. 상기 채널이 설정되면 제 1제어부(10)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제 1메모리(18)로부터 자신의 무선호출기번호 독출하고, 상기 무선호출번호를 신호처리부(14)와 송신부(32)와 송수신분리부(31)를 거쳐 CT2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상기 자신의 무선호출기를 송출한 후에 제 1제어부(10)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통화로가 형성되면 제 1제어부(10)는 213단계에서 타이머(11)를 구동하여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하고,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상기 207단계로 돌아가 송신키가 입력되는지를 다시 조사한다. 상기 213단계에서 타이머(11)가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하면 제 1제어부(11)는 215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15단계에서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면 제 1제어부(10)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제 1특정키 데이터를 신호처리부(14)와 송신부(32)와 송수신 분리부(31)를 거쳐 CT2 안테나(36)를 통해 송출한다. 상기 제 1특정키는 일반적으로 3번키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217단계 후에도 카운트는 리셋되어 다시 카운트하기 시작한다(흐름도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217단계에서 제 1특정키 데이터가 송출되면 제 1제어부(10)는 219단계에서 제 2일정시간 후에 제 1메모리(18)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독출하여 송출한다. 상기 비밀번호 데이터를 송출하고 난 다음, 제 1제어부(10)는 타이머(11)에 의해 카운트된 제 2일정시간을 리셋하고 재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나서 221단계로 진행하여 제 3일정시간 후에 제 2특정키 데이터를 제 1메모리(18)로부터 독출하여 CT2 안테나(36)를 통해 송출하여 222단계에서 무선호출시스템의 음성사서함과 연결한 다음, 223단계에서 음성메시지를 수신하고, 음성처리부(14)와 스피커(15)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반면, 상기 215단계의 제 1일정시간 이내에 제 1제어부(10)는 224단계에서 제 1안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제 1안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 1제어부(10)는 215단계로 돌아가고, 상기 제 1안내 메시지가 수신되면 225단계로 진행하여 송신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송신키가 입력되면 제 1제어부(10)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상기 217단계 이후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송신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 1제어부(10)는 키입력부(13)로부터 제 1특정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제 1특정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 1제어부(10)는 215단계로 돌아가고, 제 1특정키가 입력되면 229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메시지 수동 확인 루틴을 실행하여 222단계에서 음성사서함과 연결한 다음, 223단계에서 음성메시지를 수신하고, 음성처리부(14)와 스피커(15)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음성메시지 수동 확인 루틴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2의 227단계에서 제 1특정키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 1제어부(10)는 301단계에서 제 1특정키 데이터를 신호처리부(14)와 송신부(32) 그리고 송수신 분리부(31)를 거쳐 CT2 안테나(36)를 통해 송출한다. 상기 제 1특정키 데이터 송출 후에 제 1제어부(10)는 303단계에서 제 2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난 다음 305단계로 진행하여 키입력부(13)로부터 비밀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305단계에서 비밀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 1제어부(10)는 상기 비밀번호 데이터를 CT2 안테나(36)를 통해 송출한다. 상기 비밀번호 데이터 송출 후에 제 1제어부(10)는 309단계에서 제 3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311단계에서 제 2특정키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제 2특정키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 1제어부(10)는 313단계에서 제 2특정키 데이터를 CT2 안테나(36)를 통해 송출한 다음 222단계로 진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지의 무선호출시스템과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 사이의 음성메시지 확인 절차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되는 옵션 데이터의 메모리 맵도이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CT2 단말기가 대기상태에서 음성메시지 무선호출이 수신되고, 키입력부(13)의 송신키가 입력되어 CT2용 기지국과 채널이 설정되면, 401단계에서 제 1제어부(10)는 도 5의 제 1메모리(18)의 제 1영역으로부터 무선호출 번호를 독출하여 신호처리부(14)와 송신부(32)와 송수신 분리부(35)를 거쳐 CT2 안테나(36)를 통해 송출한다. 이에 응답하여 공지의 무선호출시스템은 402단계에서 제 1일정시간 이내에 제 1안내 메시지를 CT2 단말기로 송출한다. CT2 단말기의 제 1제어부(10)는 상기 제 1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1일정시간이 초과하면 도5의 제 1메모리(18)의 제 2영역으로부터 제 1특정키 데이터를 독출하고, 403단계에서 제 1특정키 데이터를 상기 무선호출시스템으로 송출한다. 무선호출시스템은 상기 제 1특정키 데이터를 수신하고, 404단계에서 제 2일정시간 이내에 제 2안내 메시지를 상기 CT2 단말기로 송출한다. 상기 제 1제어부(10)는 상기 제 2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2일정시간이 초과하면 제 3영역으로부터 비밀번호 데이터를 독출하여 405단계에서 송출한다. 이에 응답하여 무선호출기시스템은 제 3안내 메시지를 제 3일정시간 이내에 CT2 단말기로 송출한다. 상기 제 1제어부(10)는 상기 제 3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3일정시간이 초과하면 제 1메모리(18)의 제 4영역으로부터 제 2특정키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무선호출시스템으로 송출한다. 상기 제 2특정키 데이터가 송출되면 CT2 단말기는 무선호출시스템의 음성사서함과 연결되고, 상기 음성사서함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CT2 안테나(36)와 송수신 분리부(31)와 제 1수신부(35)와 신호처리부(14)를 거쳐 스피커를 통해 음성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원-터치 혹은 투-터치로 음성사서함의 음성메시지를 자동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털 무선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확인 방법에 있어서,
    무선호출이 수신된 경우 무선호출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음성메시지인 경우,소정의 키조작만으로 미리 설정된 자신의 무선호출번호로 다이얼링하고, 상기 무선호출기로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무선호출시스템이 음성사서함에 자동 접속하여 상기 음성메시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자신의 무선호출번호와 제 1특정키 데이터와, 비밀번호 데이터와, 제 2특정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1메모리를 구비하고 무선호출기를 가지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확인방법에 있어서,
    무선호출이 상기 무선호출기를 통해 수신되면 호출음을 발생하고, 무선호출 서비스 형태를 기억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 후, 상기 서비스 형태가 음성메시지 서비스인지를 조사하는 제 2과정과,
    음성메시지 서비스이면 키입력부로부터 소정의 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제3과정과,
    상기 소정의 키가 입력되면 채널을 설정한 다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자신의 무선호출번호를 독출하여 송출하는 제4과정과,
    상기 무선호출번호 송출 후에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5과정과,
    상기 통화로가 형성되면 타이머를 구동하여 시간을 카운트한 다음,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제 6과정과,
    상기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면 제 1특정키 데이터를 송출하고 난 다음 제 2일정시간 후에 비밀번호를 송출하며, 상기 비밀번호를 송출한 다음 제 3일정시간 후에 제 2특정키를 송출하여 음성사서함과 연결하여 음성메시지를 확인하는 제 7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에서 호출번호 서비스이거나 또는 제 4과정에서 소정의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 1과정으로 돌아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4과정에서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제3과정으로 돌아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6과정에서 제 1일정시간 이내에 제 1안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6-1과정과,
    상기 제 1안내 메시지가 수신되면 송신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6-2과정과,
    상기 송신키가 입력되면 제 1특정키 데이터를 송출하고 난 다음 제 2일정시간 후에 비밀번호를 송출하며, 상기 비밀번호를 송출한 다음 제 3일정시간 후에 제 2특정키를 송출하여 음성사서함과 연결하여 음성메시지를 확인하는 제 6-3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6-2과정에서 송신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 1특정키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 6-4과정과,
    상기 제 1특정키가 입력되면 음성메시지 수동 확인 루틴을 실행하여 음성사서함과 연결하는 제 6-5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 수동 확인 루틴은,
    상기 제 6-5과정에서 제 1특정키가 입력되면 제 1특정키 데이터를 송출한 다음, 수신된 제 2안내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2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면 비밀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비밀번호를 송출한 다음, 수신된 제 3안내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안내 메시지를 출력한 다음, 제 2특정키의 입력이 있었는지를 검사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2특정키가 입력되면 제 2특정키 데이터를 송출하여 음성사서함과 연결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71358A 1997-12-20 1997-12-20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음성메시지확인방법. KR100267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358A KR100267863B1 (ko) 1997-12-20 1997-12-20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음성메시지확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358A KR100267863B1 (ko) 1997-12-20 1997-12-20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음성메시지확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919A KR19990051919A (ko) 1999-07-05
KR100267863B1 true KR100267863B1 (ko) 2000-10-16

Family

ID=1952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358A KR100267863B1 (ko) 1997-12-20 1997-12-20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음성메시지확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78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235A (ko) * 1994-11-01 1996-06-17 구자홍 전화기의 자동다이얼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235A (ko) * 1994-11-01 1996-06-17 구자홍 전화기의 자동다이얼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919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10379B1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US7421270B2 (en) Method of remotely chang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s device
US6052577A (en) Portable telephone use limiting system and portable telephone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US7483721B1 (en)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diverse audio signals to indicate receipt of a call or message
KR10045013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통화중 알림 기능 제공 방법
KR10026786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음성메시지확인방법.
KR10026317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호출음제어방법
KR100617792B1 (ko)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거부 방법
KR20060114081A (ko)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33864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편집 및 전송방법
KR100241779B1 (ko) 씨티-2 단말기에서 직접통화 서비스 접속방법
KR20000001188A (ko) 모닝콜 원격 제어방법
KR100203970B1 (ko) 무선 전화기로부터 호출받을 수 있는 페이징 시스템
KR100251556B1 (ko) 광역무선호출기일체형차세대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자동서비스지역변경방법
KR100251780B1 (ko) 광역무선호출기일체형차세대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자동서비스지역변경방법
KR2000001379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문자서비스 메시지 확인방법
KR100247031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수신여부 확인방법
JPH08163209A (ja) 携帯無線装置
KR970006783B1 (ko) 가입자 단말장치의 작동방법
KR100703520B1 (ko) 투넘버 서비스를 제공받은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서비스방법
KR100439224B1 (ko) 휴대전화기 매너모드의 발신자번호 확인장치와 그 운용방법
KR950007974B1 (ko) 셀룰라폰의 전화번호 자동 송출방법
KR100251727B1 (ko) 차세대 디지탈 무선 전화기에서 통화 실패 원인 표시 방법
KR100228305B1 (ko)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에서 서비스 형태 표시 및 직접통화 서비스 연결 다이얼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