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755B1 -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755B1
KR100264755B1 KR1019980020931A KR19980020931A KR100264755B1 KR 100264755 B1 KR100264755 B1 KR 100264755B1 KR 1019980020931 A KR1019980020931 A KR 1019980020931A KR 19980020931 A KR19980020931 A KR 19980020931A KR 100264755 B1 KR100264755 B1 KR 100264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inlet
outlet
fluid
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9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00958A (en
Inventor
이윤표
황경엽
Original Assignee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호군
Priority to KR101998002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755B1/en
Publication of KR2000000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755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8Purification of waste water by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evaporation or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피가열 유체용 유입구(12)가 형성된 하부의 유입실(10)과, 피가열 유체용 배출구(32)가 형성된 상부의 배출실(30)과, 차단판(10A, 30A)에 의해 상기 유입실 및 배출실로부터 격리되어 상기 유입실과 배출실 사이에 배치되고 가열 매체용 입구(22) 및 출구(24)를 갖는 하우징(20A)에 의해 상기 가열 매체의 유동이 가능한 공간(21)이 한정된 가열실(20)과, 상기 피가열 유체와 가열 매체 사이에 열교환이 가능하고 상기 유입실(10) 및 배출실(30)과 유체 연통되도록 상기 가열실(20)의 공간(21)을 관통하여 설치된 피가열 유체 유동 안내용 복수개의 유동관(26, 28)과, 상기 유입실과 배출실 사이에서 상기 유동관의 내부를 따라 순환 유동이 가능한 입자형 유동체(4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1)와, 상기 열교환기(1)의 배출실(30)의 배출구(32)와 유체 연통되어 가열된 피가열 유체가 유입되는 폐수 분사구(52)와, 상기 가열된 피가열 유체로부터 분리 생성되는 증기를 배출하고 상기 열교환기(1)의 입구(22)와 유체 연통된 증기 유출구(54)와, 상기 피가열 유체로부터 분리 생성된 고형물을 배출하기 위한 출구(56)로 이루어진 감압 챔버(5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The apparatus is provided by the lower inlet chamber 10 in which the inlet 12 for the heated fluid is formed, the outlet chamber 30 in which the outlet 32 for the heated fluid is formed, and the blocking plates 10A and 30A. A space 21 is provided between the inlet chamber and the outlet chamber, separated from the inlet chamber and the outlet chamber, and in which the heating medium can flow by the housing 20A having the inlet 22 and the outlet 24 for the heating medium. Through the space 21 of the heating chamber 20 to allow heat exchange between the heating chamber 20 and the heated fluid and the heating medium an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chamber 10 and the discharge chamber 30. A heat exchanger (1) comprising a plurality of flow tubes (26, 28) for guiding a heated fluid flow therein, and a particulate fluid (40) capable of circulating flow along the inside of the flow tube between the inflow chamber and the discharge chamber; The heated object to be heat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32 of the discharge chamber 30 of the heat exchanger 1 A wastewater injection port 52 into which a sieve is introduced, a steam outlet 54 for discharging and generating steam separated from the heated heated fluid an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inlet 22 of the heat exchanger 1, and the heated fluid And a decompression chamber 50 consisting of an outlet 56 for discharging the solids produced therefrom.

Description

폐수 처리 장치Wastewater treatment unit

본 발명은 폐수를 가열하여 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과 물의 비등점 차이를 이용해서 폐수 중 물을 분리 회수하는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water from wastewater by using a difference between boiling points of foreign substances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stewater by heating the wastewater, and in particular, wastewater that can improv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a heat exchanger for heating wastewater. It relates to a processing device.

일반적으로, 난분해성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공법에는 미생물을 사용하는 생물학적 처리 공법과, 펜턴 산화 및 자외선/과산화수소 처리, 자외선/오존 처리, 오존 처리 및 오존/과산화수소 처리 등의 방법이 부분적으로 사용되는 화학적 처리 공법과, 역삼투압 공법 등이 있다.In general, the method for treating hardly degradable wastewater includes a biological treatment method using microorganisms, a chemical method in which Fenton oxidation and UV / hydrogen peroxide treatment, UV / ozone treatment, ozone treatment and ozone / hydrogen peroxide treatment are partially used. Treatment methods, reverse osmosis methods, and the like.

생물학적 처리 공법은 폐수에 함유된 특정 물질을 대상으로 이에 적정한 미생물의 개발을 꾸준히 시도하고 있으나 난분해성 폐수의 처리 효율이 아주 낮거나 매우 긴 처리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법은 폐수의 농도를 다소 낮추는 전처리 차원에서만 운용되고 있다.The biological treatment method has been steadily attempting to develop microorganisms suitable for specif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hardly degradable wastewater is very low or takes a very long treatment time. Therefore, this process is only used for the pretreatment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waste water.

화학적 처리 공법에 있어서, 펜턴 산화 처리의 경우에는 약 4000 ppm 이상의 과다 약품이 소요되는 단점 이외에 반응 생성물로부터 생성되는 많은 슬러지의 처리에도 많은 경비가 소요되는 단점을 안고 있다. 또한, 자외선/과산화수소 처리 또는 자외선/오존 처리는 고밀도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발생 장치의 설치비가 과다하게 요구될 뿐만 아니라 고농도 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오존과 과산화수소를 적정한 반응 비율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과다한 비용을 드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the chemical treatment method, the Fenton oxidation treatme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large amount of sludge generated from the reaction product is costly in addition to the disadvantage that an excessive chemical amount of about 4000 ppm or more is required. In addition, the ultraviolet / hydrogen peroxide treatment or the ultraviolet / ozone treatment not only requires an excessive installation cost of an ultraviolet generating device that emits high-density ultraviolet rays, but also requires an excessive cost to input ozone and hydrogen peroxide at an appropriate reaction rate to treat high concentration wastewater. A problem occurs.

역삼투압 공법은 최근에 난분해성 폐수의 처리 및 용수 재이용 기술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 공법은 물과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약 80 기압 정도의 압력으로 운전되고, 삼투압이 낮은 즉, 비교적 염농도가 낮은 저농도 폐수의 처리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압력에서 물이 막을 통과하지 못하고 잔류되는 농축수의 양이 많아 그의 처리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약 200 기압 이상의 고압을 사용하는 공법이 개발되어 잔류물의 양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사용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에너지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막의 파울링(fouling) 발생에 의한 운전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 reverse osmosis method has recently been widely applied to the treatment of hardly degradable wastewater and water reuse technology. This process is operated at a pressure of about 80 atm to separate water and foreign matter, and is advantageous for the treatment of low concentration wastewater having a low osmotic pressure, that is, a relatively low salt concentration. However, at such pressure, water does not pass through the membrane and a large amount of concentrated water remains, causing a problem in that its treatment is limi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using a high pressure of about 200 atm or more was developed to relatively reduce the amount of residue. However, a problem arises that the energy cost for increasing the working pressure is not only excessively increased, but also the operating cost due to fouling of the membrane is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처리 단가가 높은 침출수 또는 난분해성 산업 폐수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폐수를 저렴하게 처리할 수 있는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nexpensively treating all kinds of wastewater including leachate or hardly decomposable industrial wastewater having a relatively high treatment cos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염 부하 변화와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폐수 처리가 가능한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tably treating wastewater regardless of changes in pollution loa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수를 처리하여 용수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treating wastewater and recycling it into water.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도시한 상세도.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heat exchanger shown in FIG. 1; FIG.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후처리 장치의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post-treatment apparatus constituting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열전달 특성을 종래 열교환기의 열전달 특성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ver time of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heat exchange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열교환기1: heat exchanger

10 : 유입실10: inflow chamber

10A : 차단판10A: Blocker

12 : 유입구12: inlet

14 : 분배판14: distribution plate

20 : 가열실20: heating room

20A : 하우징20A: Housing

22 : 가열 매체용 입구22: inlet for heating medium

24 : 가열 매체용 출구24: outlet for heating medium

26 : 내부 유동관26: internal flow pipe

28 : 외부 유동관28: external flow pipe

30 : 배출실30: discharge chamber

30A : 경사 차단판30A: Inclined Block

32 : 배출구32: outlet

34 : 유동체 방지 스크린34: fluid prevention screen

40 : 입자형 유동체40: particulate fluid

50 : 감압 챔버50: decompression chamber

52 : 폐수 분사구52: wastewater jet

54 : 증기 유출구54 steam outlet

56 : 출구56: exit

60 : 습식 싸이클론60: wet cyclone

70 : 진공 펌프70: vacuum pump

80 : 후처리 장치80: post-processing device

90 : 압축기90: compressor

본 발명에 따르면, 폐수 처리 장치는 피가열 유체용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의 유입실과, 피가열 유체용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의 배출실과, 차단판에 의해 상기 유입실 및 배출실로부터 격리되어 상기 유입실과 배출실 사이에 배치되고 가열 매체용 입구 및 출구를 갖는 하우징에 의해 상기 가열 매체의 유동이 가능한 공간이 한정된 가열실과, 상기 피가열 유체와 가열 매체 사이에 열교환이 가능하고 상기 유입실 및 배출실과 유체 연통되도록 상기 가열실의 공간을 관통하여 설치된 피가열 유체 유동 안내용 복수개의 유동관과, 상기 유입실과 배출실 사이에서 상기 유동관의 내부를 따라 순환 유동이 가능한 입자형 유동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배출실의 배출구와 유체 연통되어 가열된 피가열 유체가 유입되는 폐수 분사구와, 상기 가열된 피가열 유체로부터 분리 생성되는 증기를 배출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와 유체 연통된 증기 유출구와, 상기 피가열 유체로부터 분리 생성된 고형물을 배출하기 위한 출구로 이루어진 감압 챔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s separated from the inlet chamber and the discharge chamber by the inlet chamber of the lower portion in which the inlet for the heated fluid is formed, the upper discharge chamber in which the outlet for the heated fluid is formed, and a barrier plate, and the inlet chamber and the outlet chamber. A heating chamber disposed between the chambers and having a space for allowing the flow of the heating medium to be defined by a housing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 the heating medium, and capable of heat exchange between the heated fluid and the heating medium an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and outlet chambers. A heat exchanger including a plurality of flow tubes for guiding a heated fluid flow guided through the space of the heating chamber, and a particulate fluid capable of circulating flow along the inside of the flow tube between the inflow chamber and the discharge chamber; A wastewater injection port in which a heated fluid to be heated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outlet of a discharge chamber of the discharge chamber; And a depressurization chamber configured to discharge steam produced separately from the heated heated fluid and to discharge the vapor generat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of the heat exchanger, and to discharge the solid product separated from the heated flui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장치에는 가열 매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피가열 유체가 가열되는 열교환기(1)와, 가열된 피가열 유체로부터 증기와 고형물을 분리 생성하는 감압 챔버(50)로 구성된다.1 schematically shows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heat exchanger (1) in which a heated fluid is heated by heat exchange with a heating medium, and a decompression chamber (50) for separating and generating steam and solids from the heated heated fluid.

열교환기(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되어 피가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실(10)과, 상부에 위치되는 피가열 유체 배출용 배출실(30)과, 피가열 유체가 가열 매체와 열교환되는 유입실(10)과 배출실(30) 사이에 위치되는 가열실(20)과, 피가열 유체의 유동 안내용 복수개의 유동관(26, 28)으로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heat exchanger 1 includes an inflow chamber 10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introduce a heated fluid, a discharge chamber 30 for discharging a heated fluid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heated object. The heating chamber 20 is located between the inlet chamber 10 and the discharge chamber 30 in which the fluid is heat-exchanged with the heating medium, and a plurality of flow tubes 26 and 28 for guiding the flow of the heated fluid.

유입실(10)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피가열 유체와 입자형 유동체(40)가 저장되어 있다. 가열실(20)에서는 유동관(26, 28)을 열교환 매체로 하여 피가열 유체와 가열 매체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입실(10)과 가열실(20)은 차단판(10A)과 같은 차단 수단에 의해 격리되어 있고 가열실(20)과 배출실(30)은 외부로부터 대체로 중앙을 향하여 수렴하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 차단판(30A)과 같은 차단 수단에 격리되어 있다. 가열실(20)에서 가열된 피가열 유체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배출실(30)을 경유하여 감압 챔버(50)로 배출된다.The inflow chamber 10 stores the heated fluid flowing in from the outside and the particulate fluid 40. In the heating chamber 20, heat exchange is performed between the heated fluid and the heating medium using the flow tubes 26 and 28 as heat exchange medium. The inflow chamber 10 and the heating chamber 20 are separated by a blocking means such as a blocking plate 10A, and the heating chamber 20 and the discharge chamber 30 have a funnel shape converging from the outside to the center. It is isolated to a blocking means such as the inclined blocking plate 30A. The heated fluid heated in the heating chamber 20 is discharged to the decompression chamber 50 via the discharge chamber 30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가열실(20)에는 외부 하우징(20A)에 의해 가열 매체가 유동가능하도록 한정된 공간(21)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하우징(20A)에는 가열 매체가 공간(21)으로 유입되는 입구(22)와, 가열 매체가 공간(21)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24)가 제공된다. 가열 매체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버너와 같은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유체로 구성된다. 가열실(20)에는 유입실(10)과 배출실(30) 사이에서 피가열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유동관(26, 28)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유동관은 가열실에 대체적으로 중앙에 위치된 내부 유동관(26)과 외부 하우징(20A)에 인접하여 내부 유동관(26)의 둘레에 배치된 외부 유동관(28)으로 이루어진다.The heating chamber 20 is provided with a space 21 defined by the outer housing 20A to allow the heating medium to flow therethrough. The outer housing 20A is provided with an inlet 22 through which the heating medium flows into the space 21 and an outlet 24 through which the heating medium is discharged from the space 21 to the outside. The heating medium consists of a fluid which is heated by heating means, such as a burner, not shown. The heating chamber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low tubes 26 and 28 for guiding the flow of the fluid to be heated between the inlet chamber 10 and the discharge chamber 30. This flow tube consists of an inner flow tube 26 positioned generally in the heating chamber and an outer flow tube 28 disposed around the inner flow tube 26 adjacent to the outer housing 20A.

또한, 외부 유동관(28)은, 한 단부가 차단판(10A)을 관통하여 유입실(10) 내에 위치하고 다른 단부는 경사 차단판(30A)을 관통하여 배출실(30) 내에 위치하여, 유입실(10)로부터 배출실(30)까지 연장된, 내부 유동관(26)의 길이보다는 상대적으로 긴 관으로 이루어진다. 내부 유동관(26)은 한 단부가 차단판(10A)을 관통하여 유입실(10) 내에 위치하고 다른 단부는 경사 차단판(30A)의 거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배출실(30)과 연통된 관으로 이루어진다. 즉, 내부 및 외부 유동관(26, 28)의 유입실(10)쪽 단부는 같은 높이지만, 배출실 쪽 외부 유동관(28)의 단부 높이는 배출실 쪽 내부 유동관(26)의 단부 높이보다 높다.In addition, the outer flow pipe 28 has one end penetrating the blocking plate 10A in the inlet chamber 10 and the other end penetrating the inclined blocking plate 30A in the outlet chamber 30, It consists of a tube that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internal flow tube 26, extending from 10 to the discharge chamber 30. The inner flow pipe 26 consists of a tube in which one end penetrates the blocking plate 10A and is located in the inflow chamber 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inclined blocking plate 30A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chamber 30. . That is, the ends of the inflow chamber 10 side of the inner and outer flow tubes 26 and 28 are the same height, but the end height of the outer chamber side of the discharge chamber 28 is higher than the end height of the inner flow tube 26 of the discharge chamber side.

한편, 차단판(10A)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유입실(1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분배판(14)이 제공된다. 관통 구멍은 가열실(20) 내의 외부 유동관(28)의 하단부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유입실(10) 내의 피가열 유체 및 유동체(40)는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외부 유동관(28)을 경유해서 배출실(30)로 유동 안내된다. 따라서, 유입실(10) 내의 피가열 매체는 외부 유동관(28)을 통해 배출실(30)로 유동되도록 안내되고 배출실(30) 내의 피가열 유체는 그의 하중에 의하여 경사 차단판(30A)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린 후 내부 유동관(26)을 경유하여 유입실(10)로 유동되도록 안내된다.Meanwhile, a distribution plate 14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provi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inflow chamber 10 spaced apart from the blocking plate 1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hrough hole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outer flow pipe 28 in the heating chamber 20. Therefore, the heated fluid and the fluid 40 in the inflow chamber 10 flow through the through-holes and flow guide to the discharge chamber 30 via the external flow pipe 28. Therefore, the medium to be heated in the inlet chamber 10 is guided to flow to the discharge chamber 30 through the external flow pipe 28 and the heated fluid in the discharge chamber 30 is transferred to the inclined blocking plate 30A by its load. After flowing down along the surface, it is guided to flow to the inflow chamber 10 via the inner flow pipe 26.

상술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1)에 제공된 복수개의 입자형 유동체(40)는 유입실(10)과 배출실(30) 사이에서 피가열 유체의 순환 유동에 연동하여 가열실(20) 내의 유동관(26, 28)을 경유하여 순환 유동한다. 즉, 유동체(40)는 외부 유동관(28)을 따라 유입실(10)로부터 배출실(30)로 유동 안내되고 내부 유동관(26)을 따라서 배출실(30)로부터 유입실(10)로 유동 안내된다. 이러한 유동체는 열교환기(1)의 각각의 부분의 재질 또는 작동 조건에 따라서 유리, 철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유동체(40)는 추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동관(26, 28)의 내부를 따라 순환 유동하면서 유동관의 내벽에서 열 경계층의 교란 및 유동관(26, 28) 내부 유동의 난류화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유동관(26, 28) 내벽에 형성된 스케일 및 파울링을 제거하여 열교환기(1)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particulate fluids 40 provided in the heat exchanger 1 are flow tubes in the heating chamber 20 in association with the circulating flow of the fluid to be heated between the inlet chamber 10 and the discharge chamber 30. Circulating flow via (26, 28). That is, the fluid 40 flows from the inlet chamber 10 along the outer flow tube 28 to the discharge chamber 30 and guides the flow from the discharge chamber 30 to the inlet chamber 10 along the inner flow tube 26. do. Such a fluid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glass and iron, depending on the material or operating conditions of each part of the heat exchanger 1. In addition, the fluid 40 circulates along the interior of the flow tubes 26 and 28 as described later, not only to promote disturbance of the thermal boundary layer and turbulence in the flow tubes 26 and 28 at the inner wall of the flow tube. Rather, the scale and fouling formed on the inner walls of the flow tubes 26 and 28 are removed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f the heat exchanger 1.

즉,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자형 유동체를 포함하지 않는 일반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유동관을 통한 열전달 계수가 열교환기의 운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하되어 열교환기가 약 60 시간 정도 운전된 상태에서 열전달 계수가 초기 열전달 계수의 약 2/3 정도 감소됨을 나타낸다. 그러나, 입자형 유동체(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열전달 계수는 운전 시간이 경과하여도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오히려 약간 상승함을 나타낸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5, in the general heat exchanger that does not include the particulate fluid,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through the flow pipe is reduced as the operating time of the heat exchanger elapses,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the state that the heat exchanger was operated for about 60 hours Is reduced by about 2/3 of the initial heat transfer coefficient. However, in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ing the particulate fluid 40,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indicates that it remains constant or rather slightly rises even after the operating time has elapsed.

도2를 다시 참조하면, 유입실(10)에는 복수개의 입자형 유동체(40)가 저장되어 있다. 유입실(10)의 일측면에는 유입구(12)가 제공되고 이 유입구(12)를 통해 유압 펌프(도시되어 있지 않음) 등에 의해 가압된 피가열 유체가 유입된다. 유입구(12)는 체크 밸브 등과 같은 개폐 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Referring back to FIG. 2, a plurality of particulate fluids 40 are stored in the inlet chamber 10. One side of the inlet chamber 10 is provided with an inlet 12, through which the heated fluid pressurized by a hydraulic pump (not shown) or the like is introduced. The inlet 12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such as a check valve or the like.

배출실(30)의 일측면에는 가열된 피가열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32)가 제공된다. 유입실(10)로부터 유동 안내된 피가열 유체 중 완전 가열되지 않은 일부 유체와 함께 유동체(40)는 그의 하중에 의하여 경사 차단판(30A)의 경사면을 따라 그의 중앙으로 수집된 후 내부 유동관(26)을 경유하여 유입실(10)로 안내된다. 완전 가열된 나머지 유체는 배출구(32)를 통해 감압 챔버(50)로 유동한다.One side of the discharge chamber 30 is provided with an outlet 32 through which the heated heated fluid is discharged. The fluid 40 is collected by its load along its slope along the sloped surface of the inclined block 30A with some of the unheated fluid from the heated fluid flowed from the inlet chamber 10 and then into the inner flow tube 26. It is guided to the inlet chamber 10 via). The remaining fully heated fluid flows through the outlet 32 into the decompression chamber 50.

한편, 감압 챔버(50)에는 열교환기(1)의 배출실(30)의 배출구(32)와 유체 연통되어 가열된 피가열 유체가 유입되는 폐수 분사구(52)와, 폐수 분사구(52)를 통해 유입된 가열된 피가열 유체로부터 분리 생성되는 증기 및 고형물을 각각 배출하기 위한 증기 유출구(54)와 출구(56)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decompression chamber 50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32 of the discharge chamber 30 of the heat exchanger 1 through the waste water injection port 52 through which the heated heated fluid flows in, and the waste water injection port 52. It consists of a steam outlet 54 and an outlet 56 for discharging steam and solids,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heated heated heated fluid,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실(10)의 유입구(12)로 유입되는 피가열 유체를 예비처리하기 위한 응집 침전조(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제공된다. 피가열 유체가 응집 침전조에 저장되어 있는 동안 피가열 유체에 함유되어 있는 비용해성 이물질과 용해염은 응집 침전조 내에 침전된다. 그 결과 비용해성 이물질과 용해염의 농도가 저하된 피가열 유체가 열교환기(1)의 유입실(10)로 유입되어 열교환기(1) 내에서 피가열 유체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gglomeration settling tank (not shown) is provided for pretreating the heated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12 of the inlet chamber 10. While the heated fluid is stored in the flocculation settler, the insoluble foreign matter and dissolved salts contained in the heated fluid settle in the flocculation settler. As a result, the heated fluid in which the concentrations of the non-soluble foreign matter and the dissolved salts are reduced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chamber 10 of the heat exchanger 1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heated fluid in the heat exchanger 1.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Now, the ope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액체와 고체가 혼합되어 있는 피가열 유체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유압 펌프 등의 작동에 의해 도1 및 도2에 표시된 화살표 A를 따라 열교환기(1)의 유입실(10)로 유입구(12)를 통해 와류 상태로 유입되어 유입실(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입자형 유동체(40)와 혼합된다. 이때, 폐수 처리 장치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피가열 유체는 응집 침전조와 같은 유체 예비 처리 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예비 처리되어 비용해성 이물질과 용해염의 농도가 저하된 상태로 유입구(12)를 통해 유입실(10)로 유입될 수 있다.The heated fluid in which the liquid and the solid are mixed is transferred to the inlet 12 of the heat exchanger 1 along the arrow A shown in FIGS. 1 and 2 by an operation of a hydraulic pump or the like not shown. Through the flow in the vortex state is mixed with the particulate fluid 40 stored in the inlet chamber (10). 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treatment capacity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the heated fluid is pretreated in a fluid pretreatment apparatus (not shown) such as a coagulation sedimentation tank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insoluble foreign substances and dissolved salts is reduced. 12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chamber (10).

유입실(10)에 유입된 피가열 유체는 유입실(10) 내의 입자형 유동체(40)들과 함께 분배판(14) 내의 관통 구멍을 통과해서 외부 유동관(28)을 경유하여 배출실(30)로 유동한다. 한편, 가열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열된 후 하우징(20A)의 입구(22)를 통해 유입된 가열 매체는 가열실(20) 내의 공간(21), 즉 유동관(26, 28)들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유동관(26, 28)을 따라 순환 유동하는 피가열 유체와 열교환하면서 자신은 냉각되고 피가열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피가열 유체와 함께 순환 유동하는 입자형 유동체(4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유동관(26, 28) 내벽과 충돌하면서 내벽에 부착된 스케일과 파울링을 분리시키고 또한 내벽의 전열 경계층을 교란시키면서 유동관(26, 28)의 열교환 효율, 즉 열교환기(1)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다.The heated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chamber 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s in the distribution plate 14 together with the particulate fluids 40 in the inlet chamber 10 and passes through the outer flow pipe 28 to the discharge chamber 30. Flow). 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medium which is heated by the heating means (not shown) and then flows in through the inlet 22 of the housing 20A is between the space 21 in the heating chamber 20, that is, between the flow tubes 26 and 28. Heat exchanges itself with the heated fluid circulating along the flow tubes 26 and 28 while passing through and cools itself and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fluid. The particulate fluid 40 circulating together with the heated fluid collides with the inner walls of the flow tubes 26 and 28 as described above, separating the scale and fouling attached to the inner wall, and also disturbing the heat transfer boundary layer of the inner wal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r 1, that is,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r 1.

상기된 바와 같은 피가열 유체의 순환 유동이 반복되면서 소정 온도로 가열된 피가열 유체는 도2에 표시된 화살표 B를 따라 배출실(30)의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된 후 이와 유체 연통된 감압 챔버(50)의 폐수 분사구(52)로 유동한다. 이때, 피가열 유체와 함께 외부 유동관(26)을 따라 배출실(30)로 유동 안내된 입자형 유동체(40)는 배출구(32)의 하단에 위치된 유동체 방지 스크린(34)에 의해 배출구(32)로의 유동이 차단된다. 이 후에, 유동체(40)는 내부 유동관(26)을 따라 유입실(10)로 유동 안내된다. 한편, 소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피가열 유체는 유동관(26, 28)을 따라 유입실(10)과 배출실(30) 사이를 반복적으로 순환 유동하게 된다.The heated fluid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hile repeating the circulating flow of the heated fluid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2 of the discharge chamber 30 along the arrow B shown in FIG. It flows to the wastewater injection port 52 of the chamber 50. At this time, the particulate fluid 40 which is guided to the discharge chamber 30 along the external flow pipe 26 along with the heated fluid is discharged by the fluid prevention screen 34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32. Flow to) is blocked. Thereafter, the fluid 40 is flow guided to the inlet chamber 10 along the inner flow pipe 26. On the other hand, the heated fluid that does not reach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repeatedly circulated between the inlet chamber 10 and the discharge chamber 30 along the flow pipe (26, 28).

감압 챔버(50) 내의 증발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피가열 유체 내의 액체와 고체를 증기 및 고형물 상태로 효과적으로 분리 생성한다. 생성된 증기는 챔버(50)의 상부에 형성된 증기 유출구(54)를 통해 배출되고 고형물은 챔버(50)의 하부에 생성된 출구(56)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에서, 폐기 처리 장치가 일괄 처리 방식(batch type)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고형물은 직접 슬러리 상태로 폐기 처분될 수 있다. 그러나, 폐기 처리 장치가 연속 처리 방식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열교환기(1) 내의 피가열 유체의 이물질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출구(56)를 통해 배출된 고형물은 습식 싸이클론(60)으로 유입되어 습식 처리된 후 슬러리 상태로 폐기 처분된다. 한편, 습식 싸이클론(60)으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한 후 나머지 액체는 유입실(10)로 유입되는 피가열 유체와 혼합되어 유입실(10)로 유입될 수 있다.By regulating the evaporation pressure in the decompression chamber 50, the liquid and solid in the heated fluid are effectively separated and produced in the vapor and solid state. The generated steam is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outlet 54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50 and the solids ar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6 gener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50. Here, when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operated in a batch type, the solids can be disposed of directly in the slurry state. However, when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operated in a continuous treatment manner, the solid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6 are transferred to the wet cyclone 60 so as to maintain the foreign matter concentration of the heated fluid in the heat exchanger 1. Inlet, wet, and disposed of as slurry. Meanwhile, after the solid is removed from the wet cyclone 60, the remaining liquid may be mixed with the heated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chamber 10 and introduced into the inlet chamber 1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처리 단가가 높은 침출수 또는 난분해성 산업 폐기물과 같은 폐수는 그의 종류에 관계없이 저렴하게 처리될 수 있고, 또한 오염 부하 변화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tewater such as leachate or relatively decomposable industrial waste, which has a relatively high processing cost, can be treated at low cost regardless of its kind, and can be treated stably regardless of changes in pollution load.

한편, 감압 챔버(50)의 증기 유출구(54)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의 폐열을 이용하여 폐수 처리 장치의 운전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열교환기(1)의 가열실(20)의 가열 매체용 입구(22)와 감압 챔버(50)의 증기 유출구(54)를 유체 연통시킴으로써, 증기 유출구(54)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는 하우징(20A)의 입구(22)를 통해 가열실(20)로 유입되는 가열 매체와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매체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연료 소모량을 저감시킴으로써 폐수 처리 장치의 운전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가열실(20)로 유입된 증기는 유동관(26, 28)을 통해 피가열 유체와 열 교환한 후 하우징(20A)의 출구(24)를 통해 응축수 상태로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waste heat of th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outlet 54 of the pressure reduction chamber 5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perating cos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That is, by fluidly communicating the inlet 22 for the heating medium of the heating chamber 20 of the heat exchanger 1 with the vapor outlet 54 of the decompression chamber 50, th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vapor outlet 54 is housed. It may be mixed with the heating medium flowing into the heating chamber 20 through the inlet 22 of (20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lower the operating cos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by reducing the fuel consumption than when only the heating medium is used. The steam introduced into the heating chamber 20 is exchanged with the fluid to be heated through the flow tubes 26 and 28,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condensate state through the outlet 24 of the housing 20A.

도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 처리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폐기 처리 장치는 도1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 이외에 감압 챔버(50)의 증기 유출구(54)와 하우징의 입구(22)에 유체 연통되어 감압 챔버(50)의 증기 유출구(54)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압축된 상태로 하우징(20A)에 가압 유동시키는 압축기(90)를 더 포함한다.3 shows a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team outlet 54 of the decompression chamber 50 and the inlet 22 of the housing, in additio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 And a compressor 90 which pressurizes and flows the steam discharged from 54 to the housing 20A in a compressed state.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피가열 유체는 직접 열교환기(1)의 유입실(10)로 유입되거나 또는 응집 침전조에서 예비 처리된 후 열교환기(1)의 유입실(10)로 유입된다. 열교환기(1) 내의 피가열 유체는 입자형 유동체(40)와 함께 유동관(26, 28)을 따라 유입실(10)과 배출실(30) 사이를 순환 유동하면서 하우징(20A)의 입구(22)를 통해 가열실(20)로 유입된 가열 매체와 열교환하여 가열된다. 외부 유동관(28)을 따라 배출실(30)로 유동하는 피가열 유체 중 소정 온도로 가열된 피가열 유체는 배출실(30)의 배출구(32)로부터 감압 챔버(50)로 배출되는 반면에 소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피가열 유체는 입자형 유동체(40)와 함께 내부 유동관(28)을 따라 유입실(10)로 유입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to-be-heated fluid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inlet chamber 10 of the heat exchanger 1 or after being pretreated in the coagulation sedimentation tank, and then into the inlet chamber 10 of the heat exchanger 1. The heated fluid in the heat exchanger 1 flows between the inlet chamber 10 and the discharge chamber 30 along the flow tubes 26 and 28 together with the particulate fluid 40, and the inlet 22 of the housing 20A. Heat exchanged with the heating medium introduced into the heating chamber 20 through the). The heated fluid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mong the heated fluid flowing along the outer flow pipe 28 to the discharge chamber 30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2 of the discharge chamber 30 to the decompression chamber 50 while The heated fluid that has not reached the temperature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chamber 10 along the inner flow tube 28 together with the particulate fluid 40.

폐수 분사구(52)를 통해 감압 챔버(50)로 유입된 소정 온도의 피가열 유체에 함유된 액체는 증발하여 증기를 발생시킨다. 한편, 감압 챔버(50) 내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액체의 증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발생된 증기는 챔버(50)의 증기 유출구(54)를 통해 압축기(90)로 유입되어 압축된 후 가열실(20)의 하우징(20A)의 입구(22)로 유입된다. 증기 압축에 의해 증기의 압력이 상승하고 따라서 증기의 포화 온도도 상승하여 압축된 증기와 유동관(26, 28) 내부를 순환 유동하는 피가열 유체와의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유동관(26, 28)의 외부에서 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면서 응축 잠열이 유동관(26, 28) 내부의 피가열 유체로 전달되어 피가열 유체의 온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증기의 폐열을 피가열 유체를 가열시키기 위한 열원의 일부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가열 유체와 열교환한 후 냉각된 증기는 하우징(20A)의 출구(24)를 통해 응축수 상태로 배출된다.The liquid contained in the heated flui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troduced into the decompression chamber 50 through the wastewater injection port 52 evaporates to generate steam.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vaporization of the liquid can be increased by adjusting the pressure in the decompression chamber 50. The generated steam flows into the compressor 90 through the steam outlet 54 of the chamber 50, is compressed, and then flows into the inlet 22 of the housing 20A of the heating chamber 20. The compression of the steam raises the pressure of the steam and thus the saturation temperature of the steam, thereby effectively exchanging the compressed steam with the heated fluid circulating through the flow tubes 26 and 28. That is, as the condensation of steam occurs outside the flow tubes 26 and 28, the latent heat of condensation is transferred to the heated fluid inside the flow tubes 26 and 28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fluid. Therefore, energy consumption is reduced by using waste heat of steam as part of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heated fluid. In this way, the cooled steam after heat-exchanging with the fluid to be heated is discharged to the condensate state through the outlet 24 of the housing 20A.

한편, 감압 챔버(50)에서의 증발 과정 중 휘발성 물질이 응축수에 함유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휘발성 물질을 회수하기 위하여 하우징(20A)의 출구(24)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후처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응축수를 후처리하기 위하여, 폐수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응축수의 pH 조정조(82)와 생물학적 처리조, 화학적 처리조 및/또는 물리적 처리조와 같은 장치(84)로 구성된 후처리 장치(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우징(20A)의 출구(24)를 통해 배출된 응축수는 pH 조정조(82)에 유입되어 그의 pH 값이 소정치로 조정된다. pH 조정된 응축수는 그의 성상에 따라 생물학적 처리조, 화학적 처리조 및/또는 물리적 처리조와 같은 장치(84)에서 휘발성 물질을 회수할 수 있도록 처리된 후 배출된다. 여기에서, 생물학적 처리조에서 응축수는 활성오니법 또는 생물막 반응법 등으로 처리된다. 화학적 처리조에서 응축수는 오존, UV, 또는 과산화수소 등으로 처리된다. 그리고, 물리적 처리조에서 응축수는 탈기, 활성탄 등으로 처리된다. 한편, 응축수의 후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응축수 내에 함유되어 있는 불응축 가스는 진공 펌프(70)와 같은 흡입 펌프에 의해 별도로 취합 처리된다. 이러한 불응축 가스의 처리는 생략한다.Meanwhile, volatile substances may be contained in the condensed water during the evaporation process in the decompression chamber 5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ost-treat the condensat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4 of the housing 20A to recover such volatiles. Thus, in order to post-treat the condens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 the pH adjustment tank 82 and the biological treatment tank, chemical treatment tank and /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condensate It may further comprise a post-processing device 80 composed of a device 84 such as a bath. That is,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4 of the housing 20A flows into the pH adjusting tank 82, and its pH value is adjusted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pH adjusted condensate is treated and discharged after treatment to recover volatiles from devices 84 such as biological treatment tanks, chemical treatment tanks and / or physical treatment tanks depending on their properties. Here, in the biological treatment tank, the condensed water is treated by the activated sludge method or the biofilm reaction method. In chemical treatment tanks, condensate is treated with ozone, UV, or hydrogen peroxide. In the physical treatment tank, condensate is treated with degassing, activated carbon,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post-treatment efficiency of the condensate, the non-condensing gas contained in the condensate is separately collected by a suction pump such as the vacuum pump 70. The treatment of such non-condensable gas is omitted.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폐기 처리 장치가 일괄 처리 방식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감압 챔버(50) 내에 잔존하는 고형물은 직접 슬러리 상태로 폐기 처분될 수 있다. 그러나, 폐기 처리 장치가 연속 처리 방식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고형물은 습식 싸이클론(60)으로 유입되어 습식 처리된 후 슬러리 상태로 폐기 처분되고, 습식 싸이클론(60)으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한 후 잔존하는 액체는 유입실(10)로 유입되는 피가열 유체와 혼합되어 유입실(10)로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폐수 처리 장치 내의 염농도를 소정치로 조절할 수 있다. 즉, 피가열 유체가 지속적으로 증발함에 따라 열교환기(1) 내에 잔존하는 부유 고형 물질에 의해 피가열 유체 중 염의 농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습식 싸이클론(60)을 통해 고형물을 연속적으로 분리 추출하고 또는 유입실(10)로 유입되는 액체의 양을 조정시킴으로써 장치 내의 염농도가 소정치로 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is operated in a batch processing manner, the solids remaining in the decompression chamber 50 may be disposed of directly in a slurry state. However, when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operated in a continuous treatment manner, the solids are introduced into the wet cyclones 60, wetted, and disposed of in a slurry state, and are removed after the solids are removed from the wet cyclones 60. The liquid may be mixed with the heated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chamber 10 and introduced into the inlet chamber 10. As a result, the salt concentration i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be adjusted to a predetermined value. That is, as the fluid to be heated is continuously evaporated, the concentration of the salt in the fluid to be heated is increased by the suspended solid material remaining in the heat exchanger 1. At this time, the salt concentration in the apparatus may be adjusted to a predetermined value by continuously separating and extracting the solids through the wet cyclone 60 or adjusting the amount of the liquid flowing into the inlet chamber 1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폐수 처리 장치는 열교환기의 가열실에 설치된 유동관의 내부를 피가열 유체와 함께 입자형 유동체를 유동시켜 열교환기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에너지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비교적 처리 단가가 높은 침출수 또는 난분해성 산업 폐기물 등의 종류에 무관하게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by flowing the particulate fluid with the heated fluid inside the flow pipe installed in the heating chamber of the heat exchanger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r, It can be widely applied regardless of kinds of leachate having high treatment cost or hardly decomposable industrial waste.

Claims (5)

피가열 유체용 유입구(12)가 형성된 하부의 유입실(10)과, 피가열 유체용 배출구(32)가 형성된 상부의 배출실(30)과, 차단판(10A, 30A)에 의해 상기 유입실 및 배출실로부터 격리되어 상기 유입실과 배출실 사이에 배치되고 가열 매체용 입구(22) 및 출구(24)를 갖는 하우징(20A)에 의해 상기 가열 매체의 유동이 가능한 공간(21)이 한정된 가열실(20)과, 상기 피가열 유체와 가열 매체 사이에 열교환이 가능하고 상기 유입실(10) 및 배출실(30)과 유체 연통되도록 상기 가열실(20)의 공간(21)을 관통하여 설치된 피가열 유체 유동 안내용 복수개의 유동관(26, 28)과, 상기 유입실과 배출실 사이에서 상기 유동관의 내부를 따라 순환 유동이 가능한 입자형 유동체(4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1)와,The inlet chamber 10 having the inlet 12 for the heated fluid 12 formed therein, the outlet chamber 30 having the outlet 32 for the heated fluid 32 formed therein, and the inlet chamber 10A and 30A. And a heating chamber, which is spaced from the discharge chamber and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chamber and the discharge chamber, and has a space 21 in which the heating medium can be flown by a housing 20A having an inlet 22 and an outlet 24 for the heating medium. 20 and the blood installed through the space 21 of the heating chamber 20 so that heat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the heated fluid and the heating medium an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flow chamber 10 and the discharge chamber 30. A heat exchanger (1) comprising a plurality of flow tubes (26, 28) for guiding heating fluid flow, and a particulate fluid (40) capable of circulating flow along the interior of the flow tub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chambers; 상기 열교환기(1)의 배출실(30)의 배출구(32)와 유체 연통되어 가열된 피가열 유체가 유입되는 폐수 분사구(52)와, 상기 가열된 피가열 유체로부터 분리 생성되는 증기를 배출하고 상기 열교환기(1)의 입구(22)와 유체 연통된 증기 유출구(54)와, 상기 피가열 유체로부터 분리 생성된 고형물을 배출하기 위한 출구(56)로 이루어진 감압 챔버(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The waste water injection port 52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32 of the discharge chamber 30 of the heat exchanger 1 is introduced, and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heated heated fluid is discharged. And a depressurization chamber (50) consisting of a vapor outlet (54)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22) of the heat exchanger (1), and an outlet (56) for discharging the solids separated from the heated flui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실(10)의 유입구(12)와 유체 연통되고 피가열 유체를 예비처리하기 위한 응집 침전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gglomeration settling tank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12) of the inlet chamber (10) and for pretreating the heated flui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챔버(50)의 출구(56)로부터 배출되는 고형물을 습식처리하기 위한 습식 싸이클론(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wet cyclone (60) for wet treating solids discharged from the outlet (56) of the decompression chamber (5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챔버의 증기 유출구(54)와 상기 하우징의 입구(22)에 유체 연통되어 상기 감압 챔버의 증기 유출구(54)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하우징(20A)으로 가압 유동시키는 압축기(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4. The vapor flow filter of claim 3, wherein the vapor is discharged from the vapor outlet port 54 of the decompression chamber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vapor outlet port 54 of the decompression chamber and the inlet 22 of the housing.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mpressor (90). 제4항에 있어서, 응축되어 배출되는 응축수의 pH를 조정하기 위한 pH 조정조(82) 및 pH 조정된 응축수를 생물학적,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장치(84)로 이루어진 후처리 장치(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5. The aftertreatment device (80) according to claim 4, comprising a pH adjusting tank (82) for adjusting the pH of the condensate discharged by condensation and a device (84) for biologically, chemically, or physically treating the pH adjusted condensat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KR1019980020931A 1998-06-05 1998-06-05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2647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931A KR100264755B1 (en) 1998-06-05 1998-06-05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931A KR100264755B1 (en) 1998-06-05 1998-06-05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958A KR20000000958A (en) 2000-01-15
KR100264755B1 true KR100264755B1 (en) 2000-09-01

Family

ID=1953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931A KR100264755B1 (en) 1998-06-05 1998-06-05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75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958A (en)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15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chemical reactions
US48698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chemical reactions
CN109790049A (en) Overcritical water oxidization reactor and technique
KR100264755B1 (en)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118275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salination of liquids
WO2000010922A1 (en) Treatment of aqueous wastes
CN105540697B (en) The processing unit and method of a kind of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o waste liquid of drilling
KR101125864B1 (en) A Processing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KR20060109619A (en) The high concentration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of flash vaporization and its method
KR102053795B1 (en) A treatment method of waste water discharged from a desulfurization tower
KR100332003B1 (en) Apparatus for treating landfill leachate by using heat source of landfill gas
KR100505794B1 (en) Device for cleaning a fluid in the form of a vapor from a circuit
CN218058510U (en) Alcohol-containing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20040087365A (en) Apparatus for disposing hyperbaric waste water
CN105565562A (en) Thickened oil and super heavy oil chemical 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N105000613A (en) Billowing evaporation system and technology applied to high-salt and high-scale-rate waste water
KR102568017B1 (en) Wastewater treatment device with electrolysis structure
US5738761A (en) Sewage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KR101732695B1 (en) An apparatus for drying sludge
CN218579791U (en) Processing system of high concentration oily waste water
KR102179746B1 (en) Waste water disposal equipment
CN215479846U (en) MVR desalination system for ship wastewater
KR960001397Y1 (en)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CN210764417U (en) Small-size evaporation drying device of electromagnetic heating
RU2263075C1 (en) Device for degassing of hot water used in the systems of hot water su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