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548B1 - Complex access exchange device for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SDN) - Google Patents

Complex access exchange device for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SD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548B1
KR100263548B1 KR1019980017567A KR19980017567A KR100263548B1 KR 100263548 B1 KR100263548 B1 KR 100263548B1 KR 1019980017567 A KR1019980017567 A KR 1019980017567A KR 19980017567 A KR19980017567 A KR 19980017567A KR 100263548 B1 KR100263548 B1 KR 100263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bra
signal
fram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5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42973A (en
Inventor
이제욱
Original Assignee
이재철
주식회사아이앤티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철, 주식회사아이앤티텔레콤 filed Critical 이재철
Priority to KR1019980017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548B1/en
Publication of KR1998004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9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5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 H04Q11/0442Exchange access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Remote access server, e.g. B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8Access multiplexer, e.g. DSLAM
    • H04L12/2879Access multiplexer, e.g. DSLA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type on the uplink side, i.e. towards the service provider network
    • H04L12/2883ATM DSL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65Interaction of ATM with oth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composite connection exchange device for an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s provided to selectively use signals of various protocols, so as to reduce fabricating cost and to easily install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otocols. CONSTITUTION: Local line connectors(11,12,13) interface local signals of each protocol from an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with the first common signals. Terminal connectors(21,22,23) interface terminal signals of each protocol from a user terminal with the second common signals. A switch(3) selectively connects the first common signals with the second common signals. A controller(4) controls operations of the local line connectors(11,12,13), the terminal connectors(21,22,23), and the switch(3). A ROM(5) stores an algorithm of the controller(4). A RAM(6) temporarily store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s of the controller(4).

Description

종합정보통신망(ISDN)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Complex connection exchange device for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SDN)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용 접속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exchange apparatus for 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그동안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하여, 음성, 데이터, 화상 등의 다양한 멀티 미디어가 통합적으로 실현 가능하게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이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종합정보통신망을 구축하려면, 종합정보통신망으로부터 사용자측으로 종합 통신 라인이 설치되어야 하고, 사용자측에서는 종합 통신 라인과 터미널들 사이에 접속 교환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왜냐하면, 종합정보통신망으로부터의 각 프로토콜(protocol)과 터미널의 프로토콜이 서로 다르므로, 이들을 해독하여 각 방향으로의 신호들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In the meantime,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comprehensiv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has been constructed that enables various multimedia such as voice, data, and image to be integrated and realized. In order to construct such a comprehens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 comprehensive communication line must be installed from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user side, and a user must install a connection exchange device between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line and the terminals. This is because each protocol from the ICT network and the protocol of the terminal are different, so it is necessary to decode them and control signals in each direction.

현재 제공되고 있는 종합정보통신망용 프로토콜로서 PRA(Primary Rate Access), BRA(Basic Rate Access) 및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등을 들 수 있다. PRA 프로토콜은 4 가닥의 라인들을 통하여 다수의 채널들이 다중 통신되게 하는 프로토콜로서, 유럽형과 북미형으로 구분된다. 유럽형 PRA 프로토콜은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T I.431에서 규정된 30 채널 다중 통신용 프로토콜이다. 북미형 PRA 프로토콜은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T1 601에서 규정된 24 채널 다중 통신용 프로토콜이다. BRA 프로토콜은 2 가닥의 라인들을 통하여 2 채널들이 다중 통신되게 하는 프로토콜로서, ITU-T G.961에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로토콜은 종합정보통신망으로부터 직접 제공되는 신호의 BRA 프로토콜로서, 일반적으로 BRA "U" 프로토콜이라 부른다. BRA "U" 프로토콜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하여, 4 가닥의 라인들을 통하여 2 채널들이 통신되게 하는 프로토콜을 BRA "S" 프로토콜이라 부른다. ATM 프로토콜은, 광대역(Wide Area) 종합정보통신망을 실현하기 위하여, 비동기식 전송 모드로서 고안된 새로운 프로토콜이다. 참고로, 국제 전신전화 자문위원회(CCITT)에서 규정한 종합정보통신망의 프로토콜은, 전기/물리적인 조건이 규정된 제1 레이어(layer), 데이터 통신 실행을 위한 조건이 규정된 제2 레이어, 및 호/부가 서비스의 제어를 위한 조건이 규정된 제3 레이어 등으로 대별된다.Protocols currently provided for integrat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primary rate access (PRA), basic rate access (BRA), and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The PRA protocol is a protocol that allows multiple channels to be multi-communicated through four lines, and is divided into a European type and a North American type. The European PRA protocol is a protocol for 30 channel multi-communication specified in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ITU-T) I.431. The North American PRA protocol is a protocol for 24-channel multiplexing as defined by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T1 601. The BRA protocol is a protocol that allows two channels to be multiplexed over two strands of lines, as defined in ITU-T G.961. Such a protocol is a BRA protocol of a signal provided directly from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is generally called a BRA "U" protocol. The protocol that interfaces the signals of the BRA "U" protocol so that two channels are communicated over four strands of lines is called the BRA "S" protocol. The ATM protocol is a new protocol designed as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in order to realize a wide area telecommunication network. For reference, the protocol of the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network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Telegraph and Telephone Advisory Committee (CCITT) includes: a first layer in which electrical and physical conditions are defined, a second layer in which conditions for data communication are implemented, and It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third layer or the like in which conditions for controlling call / additional services are defined.

종래의 종합정보통신망용 접속 교환장치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들의 신호들을 단독적으로 인터페이싱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접속 교환장치들을 제조하기 위한 비용이 커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관련된 프로토콜에 따라 터미널을 손쉽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switch network for a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es with signals of various protocol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not only the cost for manufacturing various connection switching apparatuses increase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cannot easily install a terminal according to a related protocol.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프로토콜들의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lex access exchange device for a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which makes it possible to selectively use signals of various protoco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mposite connection exchange device for an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교환장치의 PRA 국선 접속부의 내부 블록도이다.FIG.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RA trunk line connecting unit of the exchange apparatus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교환장치의 BRA "U" 국선 접속부의 내부 블록도이다.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BRA " U " trunk line connecting portion of the exchange apparatus of FIG.

도 4는 도 1의 교환장치의 ATM 국선 접속부의 내부 블록도이다.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ATM trunk line connecting unit of the switching apparatus of FIG. 1.

도 5는 도 1의 교환장치의 BRA "U" 터미널 접속부의 내부 블록도이다.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BRA "U" terminal connection of the exchanger of FIG.

도 6은 도 1의 교환장치의 BRA "S" 터미널 접속부의 내부 블록도이다.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BRA " S " terminal connection of the exchanger of FIG.

도 7은 도 1의 교환장치의 PSTN 터미널 접속부의 내부 블록도이다.7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STN terminal connection of the exchange apparatus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1, 12, 13...국선 접속부, 21, 22, 23...터미널 접속부,11, 12, 13 ... trunk line connection, 21, 22, 23 ... terminal connection,

3...스위칭부, 4...제어부,3 ... switching part, 4 ... control part,

5...ROM, 6...RAM.5 ... ROM, 6 ... RAM.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는 국선 접속부, 터미널 접속부, 스위칭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국선 접속부는, 종합정보통신망으로부터의 각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각각의 제1 공통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킨다. 상기 터미널 접속부는, 사용자 터미널로부터의 각 프로코콜의 터미널 신호를 각각의 제2 공통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킨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공통 신호와 제2 공통 신호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국선 접속부, 터미널 접속부 및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프로토콜들의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The composite connection exchange device for a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trunk line connection unit, a terminal connection unit, a switch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e trunk line connecting unit interfaces the trunk line signal of each protocol from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with each of the first common signals. The terminal connection interfaces a terminal signal of each protocol from a user terminal with each second common signal. The switching unit selectively connects the first common signal and the second common signal. The controller controls operations of the trunk line connecting unit, the terminal connecting unit, and the switching unit. This makes it possible to selectively use signals of various protocol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는 국선 접속부(11, 12, 13), 터미널 접속부(21, 22, 23), 스위칭부(3), 제어부(4), ROM(Read Only Memory, 5) 및 RAM(Random Access Memory, 6)을 포함한다. 국선 접속부(11, 12, 13)는, 종합정보통신망으로부터의 각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각각의 제1 공통 신호인 IOM(ISDN Oriented Modular Bus)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IOM 프로토콜에서는, 전송 속도 2.048 Mbps(Mega bits per second)인 고속의 직렬 통신 프로토콜로서, 64 Kbps(Killo bits per second)의 정보 채널을 32 개까지 다중화할 수 있다. 즉, 한 프레임 당 32 채널들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터미널 접속부(21, 22, 23)는, 사용자 터미널로부터의 각 프로코콜의 터미널 신호를 각각의 제2 공통 신호인 IOM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킨다. 스위칭부(3)는, 국선측의 각 IOM 신호와 터미널측의 각 IOM 신호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킨다. 제어부(4)는 국선 접속부(11, 12, 13), 터미널 접속부(21, 22, 23) 및 스위칭부(3)의 동작을 제어 한다. ROM(5)에는 제어부(4)의 알고리듬이 저장된다. RAM(6)에는 제어부(4)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가 일시 저장된다.Referring to FIG. 1, a composite connection exchange device for an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unk line connection units 11, 12, and 13, terminal connection units 21, 22, and 23, switching unit 3, control unit 4, Read Only Memory (ROM) 5 and Random Access Memory 6 (RAM). The trunk line connecting units 11, 12, 13 interface the trunk line signal of each protocol from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signal of the IOM (ISDN Oriented Modular Bus) protocol, which is each first common signal. In the IOM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high speed serial communication protocol having a transmission rate of 2.048 Mbps (Mega bits per second), up to 32 information channels of 64 kilobits per second (Kbps) can be multiplexed. That is, 32 channels of data are transmitted per frame.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21, 22, and 23 interface the terminal signals of the respective protocols from the user terminals with the signals of the IOM protocol which are the respective second common signals. The switching unit 3 selectively connects each IOM signal on the trunk line side and each IOM signal on the terminal side. The control unit 4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trunk line connecting units 11, 12, 13, the terminal connecting units 21, 22, 23, and the switching unit 3. The algorithm of the controller 4 is stored in the ROM 5. The RAM 6 temporarily store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4.

국선 접속부(11, 12, 13)는 PRA 국선 접속부(11), BRA "U" 국선 접속부(12) 및 ATM 국선 접속부(13)를 포함한다. PRA 국선 접속부(11)는, PRA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스위칭부(3)측의 IOM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킨다. BRA "U" 국선 접속부(12)는, BRA "U"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스위칭부(3)측의 IOM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킨다. ATM 국선 접속부(13)는, ATM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스위칭부(3)측의 IOM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킨다.The trunk line connecting portions 11, 12, 13 include a PRA trunk line connecting portion 11, a BRA "U" trunk line connecting portion 12, and an ATM trunk line connecting portion 13. The PRA trunk line connecting unit 11 interfaces a trunk line signal of the PRA protocol with a signal of the IOM protocol on the switching unit 3 side. The BRA "U" trunk line connecting unit 12 interfaces a trunk line signal of the BRA "U" protocol with a signal of the IOM protocol on the switching unit 3 side. The ATM trunk line connecting section 13 interfaces the trunk line signal of the ATM protocol with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on the switching section 3 side.

터미널 접속부(21, 22, 23)는 BRA "U" 터미널 접속부(21), BRA "S" 터미널 접속부(22) 및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터미널 접속부(23)를 포함한다. BRA "U" 터미널 접속부(21)는, BRA "U"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스위칭부(3)측의 IOM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킨다. BRA "S" 터미널 접속부(22)는, BRA "S"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스위칭부(3)측의 IOM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킨다. PSTN 터미널 접속부(23)는, PSTN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스위칭부(3)측의 IOM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킨다. PSTN 프로토콜은 기존의 아날로그형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에 적용되는 프로토콜이다.The terminal connections 21, 22, 23 include a BRA “U” terminal connection 21, a BRA “S” terminal connection 22 and a PSTN terminal connection 23. The BRA "U" terminal connection portion 21 interfaces the terminal signal of the BRA "U" protocol with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on the switching unit 3 side. The BRA " S " terminal connection section 22 interfaces the terminal signal of the BRA " S " protocol with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on the switching section 3 side. The PSTN terminal connection unit 23 interfaces the terminal signal of the PSTN protocol with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on the switching unit 3 side. The PSTN protocol is a protocol applied to existing analog phones or fax machines.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교환장치의 PRA 국선 접속부(11)는 PRA 프레이머(112), PRA 라인 접속부(111) 및 IOM 버스 접속부(113)를 포함한다. PRA 프레이머(112)는, PRA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의 프레임(frame)을 해독하여 IOM 버스 접속부(113)에 전송하고, 스위칭부(도 1의 3)측의 IOM 프로토콜의 신호의 물리적인 프레임을 PRA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하여 PRA 라인 접속부(111)에 전송한다. PRA 라인 접속부(111)는, PRA 프로토콜의 국선측과 상기 PRA 프레이머(112)측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PRA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디코딩하여 PRA 프레이머(112)에 입력시키며, PRA 프레이머(112)로부터의 신호를 코딩하여 PRA 국선측으로 전송한다. IOM 버스 접속부(113)는, PRA 프레이머(112)와 스위칭부(3)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RA trunk line connecting unit 11 of the exchange apparatus of FIG. 1 includes a PRA framer 112, a PRA line connecting unit 111, and an IOM bus connecting unit 113. The PRA framer 112 decodes the frame of the trunk line signal of the PRA protocol and transmits it to the IOM bus connection unit 113, and transmits the physical frame of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signal on the side of the switching unit (3 in FIG. 1).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otocol and transmitted to the PRA line connecting portion 111. The PRA line connecting unit 111 matches the impedance of the trunk line side of the PRA protocol with the PRA framer 112 side, decodes the trunk line signal of the PRA protocol, inputs the PRA protocol to the PRA framer 112, and the PRA framer 112 from the PRA framer 112. Coded signal is transmitted to PRA trunk line. The IOM bus connector 113 performs an interface between the PRA framer 112 and the switching unit 3.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교환장치의 BRA "U" 국선 접속부(12)는 BRA "U" 프레이머(122), BRA "U" 라인 접속부(121) 및 IOM 버스 접속부(123)를 포함한다. BRA "U" 프레이머(122)는, BRA "U"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의 프레임을 해독하여 IOM 버스 접속부(123)에 전송하고, IOM 프로토콜의 신호의 물리적인 프레임을 BRA "U"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하여 BRA "U" 라인 접속부(121)에 전송한다. BRA "U" 라인 접속부(121)는, BRA "U" 프로토콜의 국선측과 상기 BRA "U" 프레이머(122)측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BRA "U"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BRA "U" 프레이머(122)에 입력시키며, BRA "U" 프레이머(122)로부터의 신호를 코딩하여 BRA "U" 국선측으로 전송한다. IOM 버스 접속부(123)는, BRA "U" 프레이머(122)와 스위칭부(도 1의 3)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3, the BRA "U" trunk line connection 12 of the exchanger of FIG. 1 includes a BRA "U" framer 122, a BRA "U" line connection 121, and an IOM bus connection 123. . The BRA "U" framer 122 decodes the frame of the trunk line signal of the BRA "U" protocol and transmits it to the IOM bus connection unit 123, and configures the physical frame of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according to the BRA "U" protocol. To the BRA "U" line connection 121. The BRA " U " line connection 121 matches an impedance of the trunk line side of the BRA " U " protocol with the BRA " U " framer 122 side, decodes the trunk line signal of the BRA " U " protocol to decode the BRA " The signal is inputted to the U "framer 122, and the signal from the BRA" U "framer 122 is coded and transmitted to the BRA" U "trunk line side. The IOM bus connection 123 performs interfacing between the BRA “U” framer 122 and the switching section (3 in FIG. 1).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교환장치의 ATM 국선 접속부(13)는 ATM 프레이머(132), ATM 라인 접속부(131) 및 IOM 버스 접속부(133)를 포함한다. ATM 프레이머(132)는, ATM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의 프레임을 해독하여 IOM 버스 접속부(133)에 전송하고, IOM 프로토콜의 신호의 물리적인 프레임을 ATM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하여 ATM 라인 접속부(131)에 전송한다. ATM 라인 접속부(131)는, ATM 프로토콜의 국선측과 ATM 프레이머(132)측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ATM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디코딩하여 ATM 프레이머(132)에 입력시키며, ATM 프레이머(132)로부터의 신호를 코딩하여 ATM 국선측으로 전송한다. IOM 버스 접속부(133)는, ATM 프레이머(132)와 스위칭부(도 1의 3)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4, the ATM trunk line connecting unit 13 of the switching apparatus of FIG. 1 includes an ATM framer 132, an ATM line connecting unit 131, and an IOM bus connecting unit 133. The ATM framer 132 decodes the frame of the trunk line signal of the ATM protocol and transmits the frame to the IOM bus connection unit 133. The ATM framer 132 configures the physical frame of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according to the ATM protocol and transmits the frame to the ATM line connection unit 131. do. The ATM line connecting unit 131 matches the impedances of the trunk line side of the ATM protocol and the ATM framer 132 side, decodes the trunk line signals of the ATM protocol, inputs them to the ATM framer 132, and sends them from the ATM framer 132. The signal is coded and transmitted to the ATM trunk line. The IOM bus connector 133 performs interfacing between the ATM framer 132 and the switching unit (3 in FIG. 1).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교환장치의 BRA "U" 터미널 접속부(21)는 BRA "U" 프레이머(212), BRA "U" 라인 접속부(214), IOM 버스 접속부(211) 및 에코 제거부(213)를 포함한다. BRA "U" 프레이머(212)는, BRA "U"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의 프레임을 해독하여 IOM 버스 접속부(211)에 전송하고, IOM 프로토콜의 신호의 물리적인 프레임을 BRA "U"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하여 에코 제거부(213)에 전송한다. BRA "U" 라인 접속부(214)는, BRA "U" 프로토콜의 터미널측과 에코 제거부(213)측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BRA "U"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디코딩하여 에코 제거부(213)에 입력시키며, 에코 제거부(213)로부터의 신호를 코딩하여 BRA "U" 터미널에 전송한다. IOM 버스 접속부(211)는 BRA "U" 프레이머(212)와 스위칭부(도 1의 3)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에코 제거부(213)는, BRA "U" 프레이머(212)와 BRA "U" 라인 접속부(214)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에코를 제거한다.Referring to FIG. 5, the BRA “U” terminal connection 21 of the exchanger of FIG. 1 includes a BRA “U” framer 212, a BRA “U” line connection 214, an IOM bus connection 211, and an eco agent. Denial 213. The BRA "U" framer 212 decodes the frame of the terminal signal of the BRA "U" protocol and transmits it to the IOM bus connection 211, and configures the physical frame of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according to the BRA "U" protocol. To the echo canceling unit 213. The BRA "U" line connection 214 matches the impedances of the terminal side of the BRA "U" protocol and the echo canceller 213 side, decodes the terminal signal of the BRA "U" protocol, and decodes the echo signal 213. The signal from the echo cancellation unit 213 is coded and transmitted to the BRA "U" terminal. IOM bus connection 211 performs interfacing between the BRA " U " framer 212 and the switching portion (3 in FIG. 1). The echo canceller 213 cancels an echo of a signal transmitted between the BRA "U" framer 212 and the BRA "U" line connection 214.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의 교환장치의 BRA "S" 터미널 접속부(22)는 BRA "S" 프레이머(222), BRA "S" 라인 접속부(223), IOM 버스 접속부(221) 및 데이터 링크 제어부(224)를 포함한다. BRA "S" 프레이머(222)는, BRA "S"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의 프레임을 해독하여 IOM 버스 접속부(221)에 전송하고, IOM 프로토콜의 신호의 물리적인 프레임을 BRA "S"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하여 BRA "S" 라인 접속부(223)에 전송한다. BRA "S" 라인 접속부(223)는, BRA "S" 프로토콜의 터미널측과 BRA "S" 프레이머(222)측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BRA "S"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디코딩하여 BRA "S" 프레이머(222)에 입력시키며, BRA "S" 프레이머(222)로부터의 신호를 코딩하여 BRA "S" 터미널에 입력시킨다. IOM 버스 접속부(221)는, BRA "S" 프레이머(222)와 스위칭부(도 1의 3)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데이터 링크 제어부(224)는, BRA "S" 프레이머(222)가 IOM 프로토콜의 신호의 데이터를 BRA "S" 프로토콜에 따라 링크시키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6, the BRA "S" terminal connection 22 of the exchanger of FIG. 1 includes a BRA "S" framer 222, a BRA "S" line connection 223, an IOM bus connection 221 and a data link. The control unit 224 is included. The BRA " S " framer 222 decodes the frame of the terminal signal of the BRA " S " protocol and sends it to the IOM bus connection 221, and configures the physical frame of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according to the BRA " S " protocol. To the BRA “S” line connection 223. The BRA "S" line connection 223 matches the impedance of the terminal side of the BRA "S" protocol and the BRA "S" framer 222 side, decodes the terminal signal of the BRA "S" protocol, and decodes the BRA "S". A signal from the BRA " S " framer 222 is coded and input to a BRA " S " terminal. The IOM bus connector 221 performs interfacing between the BRA " S " framer 222 and the switch (3 in FIG. 1). The data link control unit 224 controls the BRA "S" framer 222 to link the data of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according to the BRA "S" protocol.

도 7을 참조하면, 도 1의 교환장치의 PSTN 터미널 접속부(23)는 IOM 버스 접속부(231) 및 PSTN 라인 접속부(232)를 포함한다. IOM 버스 접속부(231)는, PSTN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IOM 프로토콜에 맞도록 변환시키고, IOM 프로토콜의 신호를 PSTN 프로토콜에 맞도록 변환시킨다. PSTN 라인 접속부(232)는, PSTN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서 IOM 버스 접속부에 입력시키고, IOM 버스 접속부로부터의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서 PSTN 터미널에 입력시킨다.Referring to FIG. 7, the PSTN terminal connection 23 of the exchange apparatus of FIG. 1 includes an IOM bus connection 231 and a PSTN line connection 232. The IOM bus connection unit 231 converts the terminal signal of the PSTN protocol to conform to the IOM protocol, and converts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to conform to the PSTN protocol. The PSTN line connection unit 232 converts the terminal signal of the PSTN protocol into a digital signal and inputs it to the IOM bus connection unit, and converts the signal from the IOM bus connection unit into an analog signal and inputs it to the PSTN terminal.

따라서, 사용자는 PRA, BRA "U" 및 ATM 국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써 BRA "U", BRA "S" 및 PSTN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다(도 1 참조).Thus, the user can use the BRA "U", BRA "S" and PSTN terminals as at least one of PRA, BRA "U" and ATM trunk line (see Figure 1).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프로토콜들의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다양한 접속 교환장치들을 제조하기 위한 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관련된 프로토콜에 따라 터미널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access exchange device for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enables the selective use of signals of various protocols, thereby not only reducing the cost for manufacturing the various access exchange devices, but also related to the user. Depending on the protocol, the terminal can be easily installed.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그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2)

종합정보통신망으로부터의 각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각각의 제1 공통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키는 국선 접속부;A trunk line connection unit for interfacing a trunk line signal of each protocol from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with a respective first common signal; 사용자 터미널로부터의 각 프로코콜의 터미널 신호를 각각의 제2 공통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키는 터미널 접속부;A terminal connection for interfacing a terminal signal of each protocol from a user terminal with a respective second common signal; 상기 제1 공통 신호와 제2 공통 신호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스위칭부; 및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first common signal and the second common signal; And 상기 국선 접속부, 터미널 접속부 및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unk line connection unit,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and the switch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의 알고리듬이 저장된 ROM; 및A ROM storing the algorithm of the controller; And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가 일시 저장되는 RAM;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And a RAM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공통 신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mmon signals, IOM 프로토콜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A composite access exchange device for a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국선 접속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runk line connecting portion, PRA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상기 IOM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키는 PRA 국선 접속부;A PRA trunk line connecting unit for interfacing a trunk line signal of a PRA protocol with a signal of the IOM protocol; BRA "U"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상기 IOM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키는 BRA "U" 국선 접속부; 및A BRA "U" trunk line connection interface for interfacing a trunk line signal of a BRA "U" protocol with a signal of the IOM protocol; And ATM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상기 IOM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키는 ATM 국선 접속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And an ATM trunk line connection unit for interfacing a trunk line signal of an ATM protocol with a signal of the IOM protoco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RA 국선 접속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A trunk line connection unit, 상기 PRA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의 프레임을 해독하여 전송하고, 상기 IOM 프로토콜의 신호의 물리적인 프레임을 상기 PRA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하여 전송하는 PRA 프레이머;A PRA framer for decoding and transmitting a frame of a trunk line signal of the PRA protocol and configuring and transmitting a physical frame of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according to the PRA protocol; 상기 PRA 프로토콜의 국선측과 상기 PRA 프레이머측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상기 PRA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PRA 프레이머에 입력시키며, 상기 PRA 프레이머로부터의 신호를 코딩하는 PRA 라인 접속부; 및A PRA line connection unit for matching impedance of the trunk line side of the PRA protocol and the PRA framer side, decoding the trunk line signal of the PRA protocol, inputting the signal to the PRA framer, and coding a signal from the PRA framer; And 상기 PRA 프레이머와 상기 스위칭부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IOM 버스 접속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And an IOM bus connection unit for interfacing between the PRA framer and the switch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RA "U" 국선 접속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RA "U" trunk line connection portion, 상기 BRA "U"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의 프레임을 해독하여 전송하고, 상기 IOM 프로토콜의 신호의 물리적인 프레임을 상기 BRA "U"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하여 전송하는 BRA "U" 프레이머;A BRA “U” framer that decodes and transmits a frame of a trunk line signal of the BRA “U” protocol and configures and transmits a physical frame of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according to the BRA “U” protocol; 상기 BRA "U" 프로토콜의 국선측과 상기 BRA "U" 프레이머측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상기 BRA "U"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BRA "U" 프레이머에 입력시키며, 상기 BRA "U" 프레이머로부터의 신호를 코딩하는 BRA "U" 라인 접속부; 및The impedance of the trunk line side of the BRA "U" protocol and the BRA "U" framer side are matched, the CO line signal of the BRA "U" protocol is decoded and input to the BRA "U" framer, and the BRA "U" frame is decoded. A BRA “U” line connection coding a signal from the framer; And 상기 BRA "U" 프레이머와 상기 스위칭부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IOM 버스 접속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And an IOM bus connection unit for interfacing between the BRA "U" framer and the switch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TM 국선 접속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TM trunk line connection portion, 상기 ATM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의 프레임을 해독하여 전송하고, 상기 IOM 프로토콜의 신호의 물리적인 프레임을 상기 ATM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하여 전송하는 ATM 프레이머;An ATM framer for decoding and transmitting a frame of a trunk line signal of the ATM protocol, and configuring and transmitting a physical frame of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according to the ATM protocol; 상기 ATM 프로토콜의 국선측과 상기 ATM 프레이머측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상기 ATM 프로토콜의 국선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ATM 프레이머에 입력시키며, 상기 ATM 프레이머로부터의 신호를 코딩하는 ATM 라인 접속부; 및An ATM line connection unit for matching impedances of the trunk line of the ATM protocol and the ATM framer, decoding the trunk line signal of the ATM protocol, inputting the signal to the ATM framer, and coding a signal from the ATM framer; And 상기 ATM 프레이머와 상기 스위칭부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IOM 버스 접속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And an IOM bus connection unit for interfacing between the ATM framer and the switching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접속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BRA "U"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상기 IOM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키는 BRA "U" 터미널 접속부;A BRA “U” terminal connection for interfacing a terminal signal of a BRA “U” protocol with a signal of the IOM protocol; BRA "S"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상기 IOM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키는 BRA "S" 터미널 접속부; 및A BRA "S" terminal connection for interfacing a terminal signal of a BRA "S" protocol with a signal of the IOM protocol; And PSTN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상기 IOM 프로토콜의 신호와 인터페이싱시키는 PSTN 터미널 접속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And a PSTN terminal connection unit for interfacing a terminal signal of a PSTN protocol with a signal of the IOM protoco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RA "U" 터미널 접속부는,The terminal of claim 8, wherein the BRA “U” terminal connection is provided. 상기 BRA "U"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의 프레임을 해독하여 전송하고, 상기 IOM 프로토콜의 신호의 물리적인 프레임을 상기 BRA "U"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하여 전송하는 BRA "U" 프레이머;A BRA “U” framer for decoding and transmitting a frame of the terminal signal of the BRA “U” protocol and configuring and transmitting a physical frame of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according to the BRA “U” protocol; 상기 BRA "U" 프로토콜의 터미널측과 상기 BRA "U" 프레이머측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상기 BRA "U"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BRA "U" 프레이머에 입력시키며, 상기 BRA "U" 프레이머로부터의 신호를 코딩하는 BRA "U" 라인 접속부; 및The terminal side of the BRA " U " protocol is matched with the impedance of the BRA " U " framer side, the terminal signal of the BRA " U " protocol is decoded and input to the BRA " U " framer, and the BRA " U " A BRA “U” line connection coding a signal from the framer; And 상기 BRA "U" 프레이머와 상기 스위칭부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IOM 버스 접속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And an IOM bus connection unit for interfacing between the BRA "U" framer and the switching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RA "U" 프레이머와 상기 BRA "U" 라인 접속부 사이에는,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between the BRA "U" framer and the BRA "U" line connection, 전송되는 신호의 에코를 제거하는 에코 제거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A composite access exchange device for an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an echo canceling unit for canceling echoes of a transmitted signal is connec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RA "S" 터미널 접속부는,The terminal of claim 8, wherein the BRA “S” terminal connection is provided. 상기 BRA "S"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의 프레임을 해독하여 전송하고, 상기 IOM 프로토콜의 신호의 물리적인 프레임을 상기 BRA "S"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하여 전송하는 BRA "S" 프레이머;A BRA "S" framer that decodes and transmits a frame of the terminal signal of the BRA "S" protocol, and configures and transmits a physical frame of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according to the BRA "S" protocol; 상기 BRA "S" 프로토콜의 터미널측과 상기 BRA "S" 프레이머측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상기 BRA "S"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BRA "S" 프레이머에 입력시키며, 상기 BRA "S" 프레이머로부터의 신호를 코딩하는 BRA "S" 라인 접속부;The terminal side of the BRA " S " protocol is matched with the impedance of the BRA " S " framer side, the terminal signal of the BRA " S " protocol is decoded and input to the BRA " S " framer, and the BRA " S " A BRA " S " line connection for coding a signal from the framer; 상기 BRA "S" 프레이머와 상기 스위칭부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IOM 버스 접속부; 및An IOM bus interface for interfacing between the BRA " S " framer and the switching unit; And 상기 BRA "S" 프레이머가 상기 IOM 프로토콜의 신호의 데이터를 상기 BRA "S" 프로토콜에 따라 링크시키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링크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And a data link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BRA "S" framer to link data of the signal of the IOM protocol according to the BRA "S" protoco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STN 터미널 접속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STN terminal connection portion, 상기 PSTN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상기 IOM 프로토콜에 맞도록 변환시키고, 상기 IOM 프로토콜의 신호를 상기 PSTN 프로토콜에 맞도록 변환시키는 IOM 버스 접속부; 및An IOM bus connection unit converting a terminal signal of the PSTN protocol to conform to the IOM protocol and converting a signal of the IOM protocol to conform to the PSTN protocol; And 상기 PSTN 프로토콜의 터미널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서 상기 IOM 버스 접속부에 입력시키고, 상기 IOM 버스 접속부로부터의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서 PSTN 터미널에 입력시키는 PSTN 라인 접속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용 복합 접속 교환장치.And a PSTN line connection unit for converting the terminal signal of the PSTN protocol into a digital signal and inputting it to the IOM bus connection unit, and converting a signal from the IOM bus connection unit into an analog signal and inputting it to a PSTN terminal. Complex connection exchange device for communication network.
KR1019980017567A 1998-05-15 1998-05-15 Complex access exchange device for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SDN) KR100263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567A KR100263548B1 (en) 1998-05-15 1998-05-15 Complex access exchange device for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SD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567A KR100263548B1 (en) 1998-05-15 1998-05-15 Complex access exchange device for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SD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973A KR19980042973A (en) 1998-08-17
KR100263548B1 true KR100263548B1 (en) 2000-08-01

Family

ID=1953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567A KR100263548B1 (en) 1998-05-15 1998-05-15 Complex access exchange device for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SD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5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522B1 (en) * 1999-11-23 2006-07-31 주식회사 포스코 Pit cover derailment detecting device of unlo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973A (en)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5505A (en) Combined analog and digital communications device
US6400708B1 (en) D-channel voice communications
US52630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hook transmission for digital loop carrier channel units
US6839341B1 (en) Device capable of accommodating existing voice terminals
US6781985B1 (en) Time-division multiplexer
US4839888A (en) Digital time-division multiplex switch-based telephone subscriber connection system
KR100263548B1 (en) Complex access exchange device for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SDN)
US5412709A (en) Digital telephone station line controller
Griffiths ISDN network terminating equipment
US20040120310A1 (en) Universal network termination
JP2631801B2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subscriber circuit for analog lines
Geiger et al. ISDN-oriented modular VLSI chip set for central-office and PABX applications
KR100228314B1 (en) Isdn d-channel handling method of subscriber&#39;s network
KR100276626B1 (en)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Interworking Function i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Public Network
JP2689061B2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
KR20020042147A (en)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Voice and Data
JP3726281B2 (en) Telephone system with null data suppression / insertion function
US73661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acket and circuit telephony in a distributed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KR100265069B1 (en) Integrated Information Network Subscriber Access Module
US6236719B1 (en) Arrangement for data transmission utilizing telephone network
KR100264855B1 (en) Apparatus for implementing idlc function in the access network
US7324557B2 (en) Method, switching devices and remote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having a reduced bandwidth
KR920002211B1 (en) Isdn telephone
JPH11285037A (en) Terminal adaptor
KR20000017063A (en) Edge vehicle for a communication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