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744B1 - 전송되는비디오신호의에러은폐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전송되는비디오신호의에러은폐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744B1
KR100255744B1 KR1019960070627A KR19960070627A KR100255744B1 KR 100255744 B1 KR100255744 B1 KR 100255744B1 KR 1019960070627 A KR1019960070627 A KR 1019960070627A KR 19960070627 A KR19960070627 A KR 19960070627A KR 100255744 B1 KR100255744 B1 KR 100255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tion
value
blocks
var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1713A (ko
Inventor
김진헌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7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744B1/ko
Publication of KR1998005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04N19/89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in combination with error conceal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신호 복호화 시스템에 있어서 압축된 형식으로 전송되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에 존재하는 에러를 은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에러 은폐 방법은 먼저 복원된 현재 프레임에 존재하는 손실블록을 감지하여 손실블록의 다수의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와 픽셀값을 추출한다. 이어서 손실블록의 다수의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의 움직임 분산이 결정되어 미리 결정된 기준값과 비교된다. 다음으로, 위의 비교 과정의 결과에 따라, 에러 은폐 방법은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 또는 인접블록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손실블록을 대치하는 블록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의 에러 은폐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ERRORS IN A TRANSMITTED VIDEO SIGNAL}
본 발명은 영상신호 복호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에러 은폐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된 형식으로 전송된 복호화된 영상신호에 존재하는 에러를 은폐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디지털 영상신호의 전송은 아날로그 신호의 전송보다 개선된 질의 비디오 영상을 얻게 한다. 영상신호가 디지털 형식으로 표현되면, 전송을 위해 상당한 양의 데이터가 생성되며, 특히 고화질 TV(HDTV)의 경우가 그러하다. 그러나 기존의 전송 채널의 사용 가능한 주파수 영역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상당한 양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송 데이터의 양을 압축하거나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의 전송 시스템에서 영상신호는, 예를 들어 이산여현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과 움직임 보상 기술을 사용하여 블록 단위로 압축되고, 압축된 영상신호는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블록 단위의 손상 또는 손실을 초래하며 잡음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단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송 시스템은 모든 에러를 복구하기 위한 충분한 오버헤드 메커니즘(overhead mechanism)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복구되지 못한 데이터를 충분히 근사화하는 대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수신단에서 에러 은폐 방법을 사용한다.
1996년 7월 30일에 출원된 U.S. Pat. No. 5,541,667에 명시된 동영상 수신 시스템에서의 손실블록 대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LOST BLOCK SUBSTITUTION IN A MOVING PICTURE RECEIVING SYSTEM)에는 기존의 에러 은폐 방법중 하나가 기재되어 있는데, 블록 단위로 동영상을 수신하는 이 방법은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다시 생성될 수 없는 손실블록을 감지하는 단계와, 손실블록에 대한 인접블록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이전 프레임의 같은 위치에 존재하는 블록이나 평균값으로 손실블록을 선택적으로 대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제안된 방법을 완성하는 장치는 손실블록 감지블록과 블록평균값 계산블록과 대치 제어블록과 인접블록 평균값계산블록과 그리고 선택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에러 은폐 방법 및 장치는 수신된 영상신호에 발생하는 에러가 어느 정도 보상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영상의 움직임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움직이는 물체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수신된 영상신호에 포함된 손상되거나 손실된 블록의 에러은폐를 더욱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된 영상신호의 움직임 벡터를 사용하여 전송된 영상신호의 에러가 포함된 블록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에러 은폐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각각의 프레임 신호가 NxN (N은 양수)개의 픽셀값을 갖는 다수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져 있을 때, 복원된 이전 프레임 신호와 현재 프레임 신호 사이의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복원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포함하는 압축된 형태로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있는 에러를 은폐하기 위한 영상신호 복호화 시스템에서의 에러 은폐 방법에 있어서, (a) 에러를 갖고 있는 손실블록을 감지하는 단계; (b) 복원된 현재 프레임 신호의 상기 손실블록의 다수의 인접블록 픽셀값과 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움직임 벡터를 제공하는 단계; (c) 다수의 상기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사용하여 평균벡터를 계산하고 다수의 상기 인접블록의 각각의 움직임 벡터와 평균벡터 사이의 움직임 분산을 결정하는 단계; (d) 상기 움직임 분산을 미리 결정된 제1 기준값 그리고 미리 결정된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움직임 분산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작으면 복원된 이전 프레임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에 대한 평균벡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블록을 사용하여 보상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f) 손실블록의 은폐를 위해 보상블록을 대치블록으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러 은폐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각각의 프레임 신호는 NxN (N은 양수)개의 픽셀값을 갖는 다수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져 있을 때, 복원된 이전 프레임 신호와 현재 프레임 신호 사이의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복원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포함하는 압축된 형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에러 은폐를 위한 영상신호 복호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에러 은폐 장치에 있어서, 에러를 포함하는 손실블록을 감지하여 영상신호의 손실블록의 위치를 표현하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복원된 현재 프레임 신호의 상기 손실블록의 다수의 인접블록의 픽셀값과 상기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수의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다수의 움직임 벡터를 제공하는 수단; 다수의 상기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사용하여 평균벡터를 계산하는 수단; 복원된 이전 프레임의 평균 벡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블록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블록을 생성하는 수단; 다수의 인접블록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공간 내삽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 수단; 상기 움직임 보상블록의 모든 픽셀값의 제1 평균값을 계산하는 수단; 상기 공간 내삽블록의 모든 픽셀값의 제2 평균값을 연산하는 수단; 상기 제2 평균값에서 제1 평균값을 감산하여 제2 평균값과 제1 평균값의 차이를 구하는 수단; 움직임 보상블록의 각각의 픽셀값에 상기 차이를 더하여 에러 보상블록을 제공하는 수단; 상기 평균 벡터에 기초하여 손실블록을 정정하기 위해 에러 보상블록 또는 공간 내삽블록을 대치블록으로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에러 은폐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에러 은폐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에러 은폐회로의 세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비교부의 세부도,
도 4는 복원된 현재 프레임의 손실블록과 손실블록의 인접블록의 예시도,
도 5는 인접블록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손실블록을 보상하는 과정의 예시도,
도 6은 인접블록과 손실블록을 대치하는 블록과의 사이드 매칭 과정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블록 감지기 200 : 에러 은폐회로
300 : 프레임 메모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압축된 형태로 전송된 영상신호는 가변 길이 복호화 방법과 역양자화 방법 그리고 역DCT방법과 같은 기존의 복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복호화 회로(400)에서 복호화되며, 복원된 이전 프레임과 복원된 현재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호화된 영상신호로서 프레임 메모리(300)로 제공된다. 이때 각각의 프레임은 NxN개의 (N은 양수) 픽셀로 구성된 다수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진다.
영상신호는 또한 블록 감지기(100)로도 입력되고 블록 감지기(100)는 영상신호에 존재하는 에러를 포함하는 손실블록을 검사하여 손실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라인(L10)을 통해 출력하고,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손실블록에 대한 인접블록의 블록 정보와 프레임 메모리(300)에서 복원된 현재 프레임을 라인(L40)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블록 정보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와 각각의 인접블록의 픽셀값을 포함한다. 상기의 인접블록은 라인(L10)을 통해 프레임 메모리(300)에 입력된 위치 데이터에 의해 결정된다. 블록 정보에 포함된 픽셀값과 움직임 벡터는 각각 라인(L20)과 라인(L30)을 통해 에러 은폐회로(200)로 입력된다.
에러 은폐회로(200)는 복원된 현재 프레임에 포함된 손실블록을 보상하기 위해 라인(L10)을 통해 입력된 위치 데이터와 라인(L20) 및 라인(L30)을 통해 각각 입력된 블록 정보, 그리고 라인(L60)을 통해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입력된 복원된 이전 프레임에 기초하여 구성된 대치 블록을 생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표시된 에러 은폐회로(200)의 세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제 1 비교부(210)는 도 3에 보다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에러 은폐회로(200)의 구조와 작동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비교부(210)는 평균값 계산부(211)와 분산 결정부(212)와 그리고 비교부(213)를 포함한다.
평균값 계산부(211)는 라인(L30)을 통해 입력된 손실블록의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라인(L210)을 통해 도 2의 제 1 보상부(220)와 분산 결정부(212)에 제공한다. 이때 손실블록의 다수의 인접블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실블록이 블록0일 때 블록0을 둘러싼 8개의 블록, 예를 들어, 블록 1부터 블록 8까지이다.
분산 결정부(2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평균값 계산부(211)의 평균값과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와의 움직임 분산을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이때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크기 분산이고,는 k번째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의 크기이며,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크기의 평균값이고,은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방향 분산이며,는 k번째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의 방향값이고,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방향값의 평균값이며,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움직임 분산이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평균값 계산부(211)에서 입력되는 평균값과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와의 평균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이때,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X축 분산이고,는 k번째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의 X축값이며, X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X축값의 평균값이고,은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Y축분산이며,는 k번째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의 Y축값이고, Y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Y축값의 평균값이며,은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움직임 분산이다.
움직임 벡터의 움직임 분산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실시예 또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 결정되어 비교부(213)로 보내진다.
비교부(213)는 입력된 움직임 분산을 미리 결정된 제 1 기준값 및 제 2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라인(L220)을 통해 선택부(270)로 제공한다. 위의 비교 과정에서, 움직임 분산이 제 1 기준값보다 작으면 제 1 비교 신호 C1이 생성되고, 움직임 분산이 제 2 기준값보다 크면 제 2 비교 신호 C2가 생성되고, 움직임 분산이 제 1 기준값 이상 제 2 기준값 이하이면 제 3 비교 신호 C3가 생성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보상부(220)는 프레임 메모리(300)에서 라인(L60)을 통해 입력된 복원된 이전 프레임 신호 또는 제 1 비교부(210)의 평균값 계산부(211)에서 입력된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평균값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에 기초한 에러 은폐 방법을 통해 제 1 대치블록을 생성한다.
말하자면, 만약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보상부(220)에서 블록 생성 과정을 위해 위치 데이터가 선택되면, 제 1 보상부(220)는 복원된 이전 프레임 신호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면 같은 위치에 존재하는 블록을 추출하여 손실블록에 대한 제 1 대치블록으로 제공한다.
반면, 만약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움직임 벡터의 평균값이 선택되면, 움직임 벡터의 평균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복원된 이전 프레임 신호의 블록이 손실블록의 대치블록으로 선택된다.
제 1 비교기(220)에서 결정된 블록은 보상값 계산부(240)와 가산기(290)로 입력된다.
한편, 제 2 보상부(230)는 라인(L20)을 통해 도1의 블록 감지기(100)로부터 입력된 복원된 현재 프레임 신호의 손실블록의 다수의 인접블록의 픽셀값을 사용한 공간 내삽 방법을 통해 제 2 대치블록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인접블록 2, 4, 5 또는 7에 포함되며 손실블록에 인접한 인접픽셀 중에 손실블록의 각각의 픽셀과 같은 행 또는 같은 열에 위치한 인접픽셀의 값이 대치블록에 대한 각각의 픽셀값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제 2 대치블록의 각각의 픽셀값은 손실블록의 대응하는 픽셀과 같은 행 또는 같은 열에 위치한 인접픽셀의 가중합으로 계산되며 그 식은 다음과 같다.
Sij= W1× U4j+ W2× Li4+ W3× Ri1+ W4× D1j
이때 Wh는 가중치이고, dh는 손실블록 안의 픽셀과 같은 행 또는 열에 위치하는 각각의 픽셀과의 거리이며, Sij는 공간 내삽 블록의 ij번째 픽셀값이고, U4j와 D1j및 Li4그리고 Ri1은 각각 상하좌우 인접블록의 4j번째, 1j번째, i4번째, i1번째 픽셀값이며, Sij는 제 2 대치블록의 ij번째 픽셀값이고, h와 i 및 j는 각각 1이상 4이하의 정수이다.
따라서, 픽셀값 S11은 네 개의 픽셀값 U41, D11, L14, 그리고 R11을 식 7에 대입하여 계산되고, 픽셀값 S33은 네 개의 픽셀값 U43, D13, L34, 그리고 R31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 2 대치블록의 나머지 픽셀값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구성된 제 2 대치블록은 보상값 계산부(240)와 다중화기(280)로 제공된다.
보상값 계산부(240)는 먼저 각각 제 1 대치블록의 모든 픽셀값의 평균인 제 1 평균값과 제 2 대치블록의 모든 픽셀값의 평균인 제 2 평균값을 계산하여 제 2 평균값에서 제 1 평균값을 뺀 두 평균값의 차이를 보상값으로 가산기(290)에 제공한다.
가산기(290)에서는 보상값이 제 1 보상부(220)에서 입력된 제 1 대치블록의 각각의 픽셀값에 가산된다. 이러한 가산 과정을 통해 보상된 제 1 대치블록은 보상된 제 1 대치블록으로 사이드 매칭부(250)와 다중화기(280)로 입력된다.
사이드 매칭부(250)는 먼저 보상된 제 1 대치블록, 예를 들면 도6의 블록 10과 블록 감지기(100)에서 입력된 다수의 인접블록, 예를 들면 도6의 블록1부터 8까지를 함께 대입하여, 블록10과 블록10의 인접블록에 각각 속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픽셀의 차이의 절대값을 모두 가산함으로써 사이드 매칭 함수값을 계산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사이드 매칭 함수 fSM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때, Sij는 블록10의 ij번째 픽셀값이고, Uij, Dij, Lij, 그리고 Rij는 각각 블록10의 상하좌우 인접블록에 위치하며 Sij에 인접한 픽셀값을 나타낸다.
사이드 매칭 함수 fSM은 수학식 8에 의해 계산되어 제 2 비교부(260)에서 미리 결정된 제 3 기준값과 비교된다. 그 결과로, 만약 사이드 매칭 함수 fSM이 제 3 기준값 TH3보다 작으면, 제 4 비교 신호 C4가 선택부270으로 제공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제 5 비교 신호 C5가 선택부(270)로 제공된다.
선택부(270)는 제 1 비교부(210)와 제 2 비교부(260)에서 입력된 비교 신호에 대응하여 제 1 다중화 제어신호 CM1과 제 2 다중화 제어신호 CM2를 생성한다. 이때 출력되는 다중화 제어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표1에 제시된 바와 같이 결정된다.
비 교 신 호 제어신호
C1 C2 C3 C4 C5 CM
1 0 0 1 0 CM1
0 1 0 1 0 CM2
0 0 1 1 0 CM1
1 0 0 0 1 CM1
0 1 0 0 1 CM2
0 0 1 0 1 CM2
다중화 제어신호는 표 1에 제시된 바에 따라 다중화기(280)로 입력된다.
다중화기(280)는, 선택부(270)에서 입력된 다중화 신호에 대응하여, 가산기(290)에서 입력된 보상된 제 1 대치블록 또는 제 2 보상부(230)에서 입력된 제 2 대치블록을 선택하여 손실블록을 포함하는 복원된 현재 프레임 신호의 에러 은폐를 위해 라인(L50)을 통해 프레임 메모리(300)로 제공한다. 즉, 만약 제 1 다중화 제어신호 CM1이 다중화기(280)로 입력되면, 복원된 현재 프레임 신호의 보상을 위하여 가산기(290)에서 입력된 보상된 제 1 대치블록이 라인(L50)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메모리(300)로 보내진다. 반면, 제 2 다중화 제어신호 CM2가 다중화기(280)로 입력되면, 제 2 보상부(230)에서 입력된 제 2 대치블록이 라인(L50)을 통해 제공된다.
라인(L50)을 통해 제공된 선택 블록은 블록 감지기(100)로부터 라인(L10)을 통해 들어온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레임 메모리(300)에서 복원된 현재 프레임 신호의 손실블록을 대신한다.
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된 영상신호의 움직임 벡터를 사용하여 전송된 영상신호의 에러가 숨겨진 블록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5)

  1. 각각의 프레임 신호가 NxN (N은 양수)개의 픽셀값을 갖는 다수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져 있을 때, 복원된 이전 프레임 신호와 현재 프레임 신호 사이의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복원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포함하는 압축된 형태로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있는 에러를 은폐하기 위한 영상신호 복호화 시스템에서의 에러 은폐 방법에 있어서,
    (a) 에러를 갖고 있는 손실블록을 감지하는 단계;
    (b) 복원된 현재 프레임 신호의 상기 손실블록의 다수의 인접블록 픽셀값과 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움직임 벡터를 제공하는 단계;
    (c) 다수의 상기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사용하여 평균벡터를 계산하고 다수의 상기 인접블록의 각각의 움직임 벡터와 평균벡터 사이의 움직임 분산을 결정하는 단계;
    (d) 상기 움직임 분산을 미리 결정된 제1 기준값 그리고 미리 결정된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움직임 분산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작으면 복원된 이전 프레임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에 대한 평균벡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블록을 사용하여 보상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f) 손실블록의 은폐를 위해 보상블록을 대치블록으로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러 은폐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크기 분산이고;는 k번째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의 크기이며;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이고;은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방향 분산이며;는 k번째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의 방향값이고;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방향값의 평균값이며;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움직임 분산이고; P는 인접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라고 하면,
    상기 움직임 분산은,
    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은폐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X축 분산이고;는 k번째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의 X축값이며; X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X축값의 평균값이고;은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Y축분산이며;는 k번째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의 Y축값이고; Y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Y축값의 평균값이며;은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움직임 분산이고; P는 인접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라고 하면,
    상기 움직임 분산은,
    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은폐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분산이 미리 결정된 제2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e) 단계는:
    (e311) 손실블록의 각 픽셀에 대해, 손실블록의 상하좌우 인접블록에 속하며 손실블록에 인접하는 픽셀중에서 손실블록의 픽셀과 동일한 행 또는 동일한 열에 위치하는 네 개의 픽셀값을 감지하는 단계; 및
    (e312) Wh는 가중치이고; dh은 손실블록안의 픽셀과 같은 행 또는 열에 위치하는 각각의 픽셀과의 거리이며; Sij는 공간 내삽 블록의 ij번째 픽셀값이고; UNj과 D1j과 LiN그리고 Ri1은 각각 상하좌우 인접블록의 Nj번째, 1j번째, iN 번째, i1번째 픽셀값이라 하면, (h는 1이상 4이하의 정수이고, i와 j는 각각 1이상 N이하의 정수)
    Sij= W1× UNj+ W2× LiM+ W3× Ri1+ W4× D1j
    에 의해 계산되는 네 개의 인접픽셀의 가중합에 기초하여 보상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은폐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만약 움직임 분산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제2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e) 단계는:
    (e321) 복원된 이전 프레임내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평균벡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블록을 이용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e322) 손실블록의 인접블록과 상기 (e321)단계에서 생성된 블록을 사이드 매칭하여 사이드 매칭 함수값을 제공하는 단계;
    (e323) 사이드 매칭 함수값을 미리 결정된 제3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e324) 상기 사이드 매칭 함수값이 상기 제3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e321) 단계에서 생성된 블록을 보상블록으로 제공하는 단계;
    (e325) 상기 사이드 매칭 함수값이 상기 제3 기준값 이상이면, 다수의 인접블록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보상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e325)단계는:
    (p1) 손실블록의 각 픽셀에 대해, 손실블록의 상하좌우 인접블록에 속하며 손실블록에 인접하는 픽셀중에서 손실블록의 픽셀과 동일한 행 또는 동일한 열에 위치하는 네 개의 픽셀값을 감지하는 단계;
    (p2) Wh는 가중치이고; dh은 손실블록 안의 픽셀과 이에 대응하는 상하좌우 각각의 픽셀과의 거리이며; Sij는 공간 내삽 블록의 ij번째 픽셀값이고; UNj과 D1j과 LiN그리고 Ri1은 각각 상하좌우 인접블록의 Nj번째, 1j번째, iN 번째, i1번째 픽셀값이라하면, (h는 1이상 4이하의 정수이고, i와 j는 각각 1이상 N이하의 정수)
    Sij= W1× UNj+ W2× LiM+ W3× Ri1+ W4× D1j
    를 이용하여 네 개의 인접 픽셀의 가중합을 계산하고 공간 내삽블록의 각각의 픽셀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은폐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Sij는 상기 (e321)단계에서 생성된 블록의 ij번째 픽셀값이고, UNj, D1j, LiN, 그리고 Ri1은 각각 상하좌우 인접블록의 Nj번째, 1j번째, iN번째, 그리고 i1번째 픽셀값이고 fSM는 사이드 매칭 함수값이라 하면,
    상기 사이드 매칭 함수값은,
    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은폐 방법.
  7. 각각의 프레임 신호는 NxN (N은 양수)개의 픽셀값을 갖는 다수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져 있을 때, 복원된 이전 프레임 신호와 현재 프레임 신호 사이의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복원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포함하는 압축된 형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에러 은폐를 위한 영상신호 복호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에러 은폐 장치에 있어서,
    에러를 포함하는 손실블록을 감지하여 영상신호의 손실블록의 위치를 표현하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복원된 현재 프레임 신호의 상기 손실블록의 다수의 인접블록의 픽셀값과 상기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수의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다수의 움직임 벡터를 제공하는 수단;
    다수의 상기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사용하여 평균벡터를 계산하는 수단;
    복원된 이전 프레임의 평균 벡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블록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블록을 생성하는 수단;
    다수의 인접블록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공간 내삽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 수단;
    상기 움직임 보상블록의 모든 픽셀값의 제1 평균값을 계산하는 수단;
    상기 공간 내삽블록의 모든 픽셀값의 제2 평균값을 연산하는 수단;
    상기 제2 평균값에서 제1 평균값을 감산하여 제2 평균값과 제1 평균값의 차이를 구하는 수단;
    움직임 보상블록의 각각의 픽셀값에 상기 차이를 더하여 에러 보상블록을 제공하는 수단;
    상기 평균 벡터에 기초하여 손실블록을 정정하기 위해 에러 보상블록 또는 공간 내삽블록을 대치블록으로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에러 은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생성 수단은:
    손실블록의 각 픽셀에 대해, 손실블록의 상하좌우 인접블록에 속하며 손실블록에 인접하는 픽셀중에서 손실블록의 픽셀과 동일한 행 또는 동일한 열에 위치하는 네 개의 픽셀값을 인식하는 수단;
    Wh는 가중치이고; dh은 손실블록 안의 픽셀과 이에 대응하는 상하좌우 각각의 픽셀과의 거리이며; Sij는 공간 내삽블록의 ij번째 픽셀값이고; UNj과 D1j과 LiN그리고 Ri1은 각각 상하좌우 인접블록의 Nj번째, 1j번째, iN 번째, i1번째 픽셀값이라 하면, (h는 1이상 4이하의 정수이고, i와 j는 각각 1이상 N이하의 정수)
    Sij= W1× Unj+ W2× LiM+ W3× Ri1+ W4× D1j
    를 이용하여 네 개의 인접 픽셀의 가중합을 계산하여 공간 내삽블록의 각각의 픽셀값을 계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은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평균 벡터와 다수의 인접블록의 각각의 움직임 벡터의 움직임 분산을 결정하는 수단;
    평균 분산을 미리 결정된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경로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비교수단;
    상기 경로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에러 보상블록 또는 공간 내삽블록을 대치블록으로 제공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은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만약 평균분산이 미리 결정된 제1 기준값보다 작으면 제1 경로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만약 평균분산이 미리 결정된 제2 기준값보다 크면 제2 경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은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1 경로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에러 보상블록을 대치블록으로 제공하는 수단;
    제2 경로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공간 내삽블록을 대치블록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은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만약 평균분산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제2 기준값 이하이면 제3 경로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손실블록의 다수의 인접블록을 에러 보상블록과 사이드 매칭하여 사이드 매칭 함수값을 생성하는 수단;
    사이드 매칭 함수값이 제3 기준값보다 작으면 제1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사이드 매칭 함수값이 제3 기준값 이상이면 제2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제3 경로 선택신호와 제1 비교신호에 대응하여 에러 보상블록을 대치블록으로 제공하는 수단;
    제3 경로 선택신호와 제2 비교신호에 대응하여 공간 내삽블록을 대치블록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은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Sij는 공간 내삽블록의 ij번째 픽셀값이고, UNj, D1j, LiN, 그리고 Ri1는 각각 상하좌우 인접블록의 Nj번째, 1j번째, iN번째, 그리고 i1번째 픽셀값이고 fSM는 사이드 매칭 함수값이라 하면,
    상기 사이드 매칭 함수값은,
    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은폐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크기 분산이고;는 k번째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의 크기이며;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크기의 평균값이고;은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방향 분산이며;는 k번째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의 방향값이고;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방향값의 평균값이며;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움직임 분산이고; P는 인접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라고 하면,
    상기 움직임 분산은,
    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은폐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X축 분산이고;는 k번째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의 X축값이며; X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X축값의 평균값이고;은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Y축 분산이며;는 k번째 인접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의 Y축값이고; Y는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Y축값의 평균값이며;은 다수의 인접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움직임 분산이고; P는 인접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라고 하면,
    상기 움직임 분산은,
    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은폐 장치.
KR1019960070627A 1996-12-23 1996-12-23 전송되는비디오신호의에러은폐방법및장치 KR100255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627A KR100255744B1 (ko) 1996-12-23 1996-12-23 전송되는비디오신호의에러은폐방법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627A KR100255744B1 (ko) 1996-12-23 1996-12-23 전송되는비디오신호의에러은폐방법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713A KR19980051713A (ko) 1998-09-25
KR100255744B1 true KR100255744B1 (ko) 2000-05-01

Family

ID=1949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627A KR100255744B1 (ko) 1996-12-23 1996-12-23 전송되는비디오신호의에러은폐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57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280B1 (ko) * 1999-01-12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류 은폐방법
KR100357093B1 (ko) 1999-06-02 200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압축 복원시스템에서의 오류 은폐장치 및 방법
KR100761542B1 (ko) * 2001-10-17 2007-09-2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웃한 매크로블럭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한 에러 은닉장치 및 방법
KR20040019153A (ko) * 2002-08-26 2004-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디코더의 에러 은닉 방법
KR20040034188A (ko) * 2002-10-21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디코딩 방법
KR100805016B1 (ko) * 2006-08-29 2008-02-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영상 에러 정정 장치 및 방법
KR100856215B1 (ko) * 2007-01-31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복호화시 프레임 손실의 은폐 방법 및 장치
KR100897884B1 (ko) * 2007-07-02 2009-05-18 단암시스템즈 주식회사 영상 복원 장치 및 이를 이루기 위한 오류 은닉 방법
CN111556334B (zh) * 2020-03-27 2021-01-19 李惠芳 一种互联网视频平滑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192A (ko) * 1995-10-31 1997-05-30 배순훈 영상부호기의 에러 보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192A (ko) * 1995-10-31 1997-05-30 배순훈 영상부호기의 에러 보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713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27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errors in a transmitted video signal
US57513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s in a transmitted video signal
US5944851A (en) Error concealment method and apparatus
US47033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communicating image sequences
US5657087A (en) Motion compensation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daptive to motion amount
US47274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communicating image sequence having improved motion compensation
JPH03117992A (ja) ビデオ信号を全体運動ベクトルと局部運動ベクトルとして符号化し且つ伝送する方法
WO1995003674A1 (en) Detecting errors in video images
JP3844490B2 (ja) ビデオ画像におけるエラー検出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
US6930728B2 (en) Scan conversion apparatus
KR100255744B1 (ko) 전송되는비디오신호의에러은폐방법및장치
KR100640498B1 (ko) 프레임의 오류 은닉 장치 및 방법
JP2001519988A (ja) ビデオデータから符号化パラメータを抽出するシステム
US5689312A (en) Block matching motion estimation method
US59909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dding a video signal for shape adaptive transformation
US60467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ealing errors in a bit stream
CN1078795C (zh) 用在图象编码系统中的改进的运动补偿方法
KR100587274B1 (ko) 엠펙­2 압축복원시스템에서의 오류 은폐방법
JPH0851599A (ja) 画像情報変換装置
KR100243862B1 (ko)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의 에러 은폐 방법 및 장치
JPS58107785A (ja) 動き補償フレ−ム間符号化装置
JPH047152B2 (ko)
KR100228684B1 (ko) 움직임 추정에 기초한 시간예측 오류 은폐방법 및 장치
JP4264606B2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H0399591A (ja) 動き補償フレーム間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