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119B1 - Mapping method of electronic documents system - Google Patents

Mapping method of electronic document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119B1
KR100250119B1 KR1019970077194A KR19970077194A KR100250119B1 KR 100250119 B1 KR100250119 B1 KR 100250119B1 KR 1019970077194 A KR1019970077194 A KR 1019970077194A KR 19970077194 A KR19970077194 A KR 19970077194A KR 100250119 B1 KR100250119 B1 KR 10025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file
mapping
information
data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7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57148A (en
Inventor
염용섭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77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119B1/en
Publication of KR19990057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71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119B1/en

Links

Images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서의 응용프로그램과 전자문서의 맵핑방법.Application program and electronic document mapping method i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최소한의 오버헤드만으로 응용 프로그램과 전자문서 교환시스템을 효율적이고도 간단하게 인터페이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The goal is to provide an efficient and simple interface for applications and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s with minimal overhead.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항목식별번호를 키로하여 데이타 파일을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는 맵핑 테이블의 정보를 근거로 가입자 장치내의 송신문서변환부가 인식할 수 있는 플랫파일로 변환시키고, 생성된 플랫파일을 중계 호스트가 인식할 수 있는 인터체인지 파일로 변환시켜 전송한다. 수신측의 가입자 장치는 중계 호스트로부터 인터체인지 파일을 읽어 플랫파일로 변환시키고, 생성된 플랫파일을 미리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맵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타 파일로 변환시킨다.The data file is generated using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as a key,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in the mapping table containing the preset information, the data file is converted into a flat fil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transmission document converter in the subscriber device. Convert it into a recognized interchange file and send it. The receiving subscriber device reads the interchange file from the relay host, converts the interchange file into a flat file, and converts the generated flat file into a data file that can be recognized by an application program by referring to a mapping table including preset information.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 이용됨.Used for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Description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서의 응용 프로그램과 전자문서의 맵핑 방법Application Program and Electronic Document Mapping Method i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본 발명은 전자문서교환시스템(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에서의 응용프로그램과 전자문서의 맵핑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산 응용(Application) 시스템들이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송수신할 때, 응용 시스템과 전자문서교환시스템간에 효율적인 인터페이싱을 통해 응용프로그램과 전자문서를 상호 맵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pping an application and an electronic document in an electronic data interchange system (EDI), particularly when computerized application systems transmit and receive electronic documents using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pp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an electronic document through efficient interfacing between the application system and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자문서교환시스템(EDI)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EDI)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문서교환시스템(EDI)이란 상업용 거래문서 및 행정문서 등을 거래 당사자가 합의한 표준에 따라 컴퓨터로 처리 가능하도록 구조화된 전자문서로 변환하여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상호교환하는 새로운 문서 전달방식을 말한다.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EDI) refers to a new document delivery method in which commercial transaction documents and administrative documents are converted into electronic documents structured to be processed by a computer according to a standard agreed by the trading party and exchanged through a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이러한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서 전자문서의 내용과 구조(문서표준) 및 통신방법(통신표준) 등에 관해 국제적으로 합의된 UN/EDIFACT 문서표준과 ITU-T X.435 통신표준에서 규정하고 있다.In such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the internationally agreed UN / EDIFACT document standard and the ITU-T X.435 communication standard on the contents and structure (document standard) an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tandard) of electronic documents are prescribed.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서는 응용 시스템이 생성한 사설 데이타파일을 매핑과 변환과정을 통해 국제(UN/EDIFACT) 표준 전자문서 구조로 이루어진 인터체인지파일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이를 수신하면 그 역동작을 통해 사설 데이타파일로 변환시킨다.In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the private data file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system is converted into an interchange file composed of the international (UN / EDIFACT) standard electronic document structure through mapping and conversion process, and transmitted, and when received, the private data is reversed. Convert it to a file.

일반적으로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서는 국제(UN/EDIFACT)표준에서 규정한 제반 구문규칙을 준수하여 문서변환을 수행한다.In general,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performs document conversion in compliance with all syntax rules specified in the international (UN / EDIFACT) standard.

현재 도로, 항만, 철도 등의 사회 간접자본과 마찬가지로 정보통신은 전 산업분야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기업 및 국가경쟁력을 결정짖는 중요한 척도가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종이없는 거래라는 새로운 비지니스 방식을 제공하는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은 전세계 기업들의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인 수단으로 등장하고 있다. 종래의 팩스 및 전자우편은 송수자간에 상호 합의되지 않은 비정형화된 데이타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여 전자적으로 전송하지만, 표준화된 형태가 아니므로 수신자가 수신 데이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수신 자료를 재가공하거나 컴퓨터에 재입력해야 한다. 이는 사람 대 사람(man-to-man) 통신 형태(type)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사람의 개입이 필수적일 수 밖에 없다.Like social indirect capital such as roads, ports, and railways, ICTs have a huge impact on all industries and are an important measure of corporate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Among them,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which provides a new business method of paperless transaction, has emerged as an essential means for securing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around the world. Conventional faxes and e-mails transmit unformatted data that is not mutually agreed upon by the sender in a human-readable form, but are transmitted electronically. It must be reprocessed or re-entered on the computer. This is because it assumes a man-to-man communication type. In other words, human intervention is indispensable.

그러나, 컴퓨터 대 컴퓨터(computer-to-computer) 통신 형태(type)를 가정하고 있는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서는 상기 팩스 및 전자우편과는 다르게 컴퓨터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생성(Generation)된 데이타들을 전자문서교환 시스템의 표준전자문서 형태로 변환(Encoding)시켜 수신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이 표준전자문서는 다시 수신 컴퓨터의 문서변환시스템에 의해 국제 표준 전자문서 구문규칙에 따라 해석(Interpretation) 즉, 역변환(Decoding)되어 응용프로그램이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됨으로써, 기업과 기업간에 거래되는 문서를 사람의 개입없이 컴퓨터에 의해 처리할 수 있게 해 준다.However, in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that assumes a computer-to-computer communication type,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generates data generated by a computer application program, unlike the fax and email. It is converted into standard electronic document format of and transmitted to receiving system. The standard electronic document is again processed by the receiving computer's document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onic document syntax rules, that is, inversely decoded and processed into a form that can be processed by an application program. This allows the computer to process the document without human intervention.

이렇게 각 기업들의 정보 시스템을 연결해 주는 전자문서교환 시스템은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지정학적 위치, 시간대, 통신 설비 등의 제한을 받지 않고,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의 문서표준 및 통신표준에 따른 문서를 생성하고 해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만 있으면 누구나 전세계 어느곳에나, 언제나, 어느 거래처에게나 종이 없는 전자 문서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의 범위는 매우 넓어서 수직적 정보 흐름 뿐만 아니라 업종간, 산업간의 수평적 정보 흐름, 나아가 국가간 국제 정보 흐름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기존의 전화, 우편, 팩스 등 전통적인 문서 처리 방식으로는 데이타가 반복되어 입력되므로 업무 처리 시간이 지연되고, 재입력에 의한 데이타의 정확도가 낮아지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고, 업무 진행 및 처리가 비효율적이며 복잡하나,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을 이용하므로써 재고 비용, 운송비용, 데이타 오류 감소 등의 비용 절감과, 업무 능률 향상, 고객 서비스 향상, 거래처와의 관계 증진, 국제 경쟁력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that connects each company's information system generates documents in accordance with the document standard and communication standard of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without being restricted by computer hardware, software, geopolitical location, time zone,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Anyone with the software to interpret can send paperless electronic documents anywhere, anytime, to any customer. In other words, the scope of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is very wide, enabling not only vertical information flow but also horizontal information flow between industries and industries, and also international information flow between countries. Therefore, the traditional document processing method such as telephone, mail, fax, etc. is repeatedly inputted data, so the processing time is delayed, the accuracy of data by re-entry is low, much time and manpower is consumed, Processing is inefficient and complicated, but the use of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can reduce the cost of inventory, transportation, and data errors, improve work efficiency, improve customer service, improve relations with customers, and impro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Can be.

상기와 같은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송수신자간에 교환되는 전자문서에 대한 표준이 있어야 한다. 각 기업에서 사용되는 문서의 양식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문서의 호환성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교환할 전자문서의 내용 및 구조에 관한 제반 표준이 필요하다.In order to realize such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there should be a standard for electronic documents exchanged between a sender and a receiver. Since the format of documents used by each company is different, in order to maintain the compatibility of documents, various standards regarding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electronic documents to be exchanged are required.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 적용되는 표준에는 크게 문서표준과 통신표준이 있다. 문서표준은 유엔유럽경제위원회(UN/ECE)를 중심으로 표준이 제정, 공표되었으며, 통신표준은 ITU(구CCITT)와 ISO를 중심으로 표준이 제정 공표되었다. 현재 유엔에서는 국제 문서표준으로 UN/EDIFACT를 발표하였고(1987), ITU-T에서는 국제통신표준으로 X.435권고안을 제정 발표하였다.The standards applied to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generally include document standards and communication standards. Document standards were established and published around the UN European Economic Commission (UN / ECE), and telecommunication standards were published around ITU (formerly CCITT) and ISO. Currently, the United Nations has issued UN / EDIFACT as an international document standard (1987), and the ITU-T has issued an X.435 Recommendation as an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standard.

유엔(UN/ECE)에서는 국제적 정보 유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무역, 은행, 항공, 운송, 행정 등 각 분야에 대한 교환 문서의 표준을 국제표준(UN/EDIFACT)으로 제청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구문 규칙, 메세지 설계 지침, 데이타 항목 디렉토리, 데이타 세그먼트 디렉토리, 메세지 디렉토리이다. 이러한 국제표준(UN/EDIFACT)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가 국제 표준으로 승인한 범세계적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 관한 문서 표준이다.In order to enable the international distribution of information, the United Nations (UN / ECE) has proposed the standard of exchange documents for each field such as trade, banking, aviation, transportation and administration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UN / EDIFACT). , Message design guidelines, data entry directories, data segment directories, and message directories. This international standard (UN / EDIFACT) is a document standard on the global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approv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그리고, 전자문서교환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에 관한 표준이 필요한데, 기존에는 여러 통신 프로토콜이 상존하였고, 통신 사업자(Third Party)가 중간에서 통신 문제를 해결해 주었으나, 국제 통신 표준기관인 국제 전신전화 자문위원회(CCITT)는 전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문서교환시스템과 X.400 메세지처리시스템(MHS: Message Handling System)을 결합하는 X.435 및 F.435 통신 표준을 제정하였다. X.435와 F.435는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서의 문서전송을 위한 프로토콜과 서비스를 각각 정의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communication standard to support the exchange of electronic documents. In the past,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existed, and a third party solved a communication problem in between. (CCITT) has established X.435 and F.435 communication standards that combine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and the X.400 Message Handling System (MHS) to solve the communication problem for transmitting electronic documents. X.435 and F.435 define the protocols and services for document transfer in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respectively.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을 근간으로 한 X.435의 출현으로 전자문서를 거래처의 위치, 컴퓨터의 기종, 통신망에 관계없이 지정학적으로 분산된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서 안정적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타와 함께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졌다.With the advent of X.435 based on the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seven-layer model, electronic documents can be reliably combined with multimedia data in geopolitically distributed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s regardless of customer location, computer type, or communication network. It is now possible to transfer.

국제통신표준으로 X.435 권고안이 제정 발표되기 전까지는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의 통신에 관한 국제 규약이 없어서 서비스 제공자별로 각각 시스템을 개발 구축하여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호 연동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국내외 기업간의 전자문서 교환이 원만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국제 문서표준과 통신표준에 근거한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이 필요하다.Until the X.435 Recommendation was published as an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standard, there was no international protocol on the communication of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Therefore, each system is developed and provided to each service provider. It became. Therefore, in order to smoothly exchange electronic document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based on international document standards and communication standards is required.

전자문서 교환을 위한 소프트웨어로는 가입자(EDI가입자)측에 설치되는 가입자 시스템과 가입자 간에 전달되는 메세지를 전송하고, 잠시 보관해주는 기능을 가진 전송 호스트에 설치되는 메세지 저장기 및 중계 시스템이 필요하다.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은 통신용 모뎀과 함께 개인용 컴퓨터(PC), 워크스테이션,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등 어느 하드웨어 플랫폼에서도 가능하여 저렴한 가격의 고성능 개인용 컴퓨터, 그리고 많은 전자문서교환시스템용 소프트웨어의 출현으로 개인용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문서교환시스템 구축이 낮은 비용으로 가능해져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의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The software for exchanging electronic documents requires a subscriber system installed at the subscriber (EDI subscriber) and a message store and relay system installed at the transmission host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temporarily storing messages transmitted between subscribers.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can be used on any hardware platform such as personal computers (PCs), workstations, minicomputers, mainframes, as well as communication modems. It is possible to build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based on the system and to contribute to the spread of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국제 전신전화 자문위원회(CCITT)의 X.400권고를 기반으로 X.435와 F.435 표준 및 국제 문서 표준에 따른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X.435 and F.435 standards and international document standards, based on the X.400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Telegraph and Telephone Advisory Committee (CCITT), is as follows:

일단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은 적용되는 응용 업무나 사용하는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소프트웨어는 기본적으로 가입자 시스템과 가입자 처리기, 중계 시스템, 메세지 저장기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환경에 따라 여러가지 조합으로 각 서브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고, 각 서브시스템들이 설치되는 하드웨어 플렛폼이 달라질 수 있다.Once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has a variety of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nd the user's environment, the software basically consists of subscriber system, subscriber processor, relay system, and message store. Each subsystem may be installed in various combinations, depending on the software environment, and the hardware platform on which each subsystem is installed may vary.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가입자 장치(101)는 공중 전화망(PSTN)을 통해 가입자 처리부(104), 메세지 저장부(106), 다수의 메세지 중계기를 구비한 메시징 장치(103)에 접속되어 메세지를 다른 가입자에게 보내거나, 다른 가입자가 보낸 메세지를 검색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전자문서 메세지를 생성하여 전송하거나, 수신하도록 하는 제반 기능을 제공하며, 가입자 장치(101)는 문서 편집기, 문서변환기, 중계 호스트와 가입자 장치간의 전자문서 메세지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통신처리부, 메세지 저장부 액세스 프로토콜(P7)에 따른 메세지 저장부 조회 처리부, 송수신 문서와 관리 정보를 객체화하여 관리하는 문서관리부로 구성된다.The subscriber device 101 is connected to the subscriber processing unit 104, the message storage unit 106, and the messaging device 103 having a plurality of message repeaters via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to send a message to another subscriber,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earching, receiving and processing messages sent by subscribers. That is, the subscriber unit 101 provides various functions for generating, transmitting, or receiving an electronic document message, and the subscriber device 101 is a text editor, a document converter, and a communication processor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document messages between the relay host and the subscriber device. And a message storage unit inquiry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message storage unit access protocol (P7), and a document management unit that objectizes and manages transmission / reception documents and management information.

가입자장치(101)내의 문서변환부(102)는 송수신되는 모든 메세지를 대상으로 사설문서와 표준전자 문서간의 상호변환을 수행하여 메세지의 상호 호환성을 유지시켜 주는 기능부로서, 응용시스템이 생성한 사설 데이타 파일(DF: Data File)을 맵핑과 변환과정을 통해 국제표준 전자문서 구조로 이루어진 인터체인지 파일(IC: Interchange File)을 생성하거나, 그 역의 동작으로 응용시스템이 이용할 수 있는 사설 데이타 파일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문서변환부(102)는 국제표준(UN/EDIFACT)의 제반 구문규칙(ISO9735)을 준수하여 변환을 수행하며, 크게 나누어 송신변환기, 수신변환기, 맵퍼, 그리고 표준 데이타 관리기로 이루어진다.The document conversion unit 102 in the subscriber device 101 is a function unit that maintains the mutual compatibility of messages by performing a mutual conversion between a private document and a standard electronic document for all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Mapping and converting a data file (DF) to create an interchange file (IC) consisting of an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onic document structure, or vice versa to create a private data file that can be used by an application system. do. In general, the document conversion unit 102 performs conversion in compliance with the general syntax rules (ISO9735)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UN / EDIFACT), and is divided into a transmission converter, a reception converter, a mapper, and a standard data manager.

중계 호스트인 메시징장치(103)의 가입자 처리부(104)는 가입자 장치(101)와 메세지 저장부(106) 사이에 전송되는 메세지를 대상으로 하여 부호화 하거나,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가입자 장치(101)에서 작성되어 전송된 메세지를 부호화 규칙(ASN. 1)에 따라 부호화하여 메세지 저장부(106)로 전송하거나, 메세지 저장부(106)에서 전송된 메세지를 복호화하여 가입자장치(101)로 전송한다.The subscriber processing unit 104 of the messaging device 103 which is a relay host performs a function of encoding or decoding a message transmitted between the subscriber device 101 and the message storage unit 106. That is, the message created and transmitted by the subscriber device 101 is encoded according to the encoding rule (ASN. 1) and transmitted to the message storage unit 106, or by decoding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storage unit 106. Send to 101.

메세지 저장부(106)는 가입자 처리부(104)와 중계 호스트의 중계 역활을 하는 기능부로 가입자로부터 전송되는 메세지를 메세지 중계 처리부(105)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세지 저장부(106)에 저장된 메세지들에 대해 사용자가 가입자 장치(101)를 이용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메세지들의 수를 검색하거나, 특정 메세지 전체를 가져가거나, 저장된 메세지들의 목록을 검색해 보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메세지가 가입자 처리부(104)와 메세지 저장부(106) 사이에 전달될 때는 P7 프로토콜(메세지 저장기 검색 규약)이 적용되며, 메세지 저장부(106)와 메세지 중계 처리부(105) 간에 전달될 때는 P3프로토콜(제출 및 배달 규약)이 적용된다.The message storage unit 106 functions to serve as a relay between the subscriber processing unit 104 and the relay host, and receives and stores a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subscriber from the message relay processing unit 105. In addition, for the messages stored in the message storage unit 106, the user uses the subscriber device 101 to search the number of messages satisfying a specific condition, to take a specific message entirely, or to search the list of stored messages. It provides a function to search in various ways. The P7 protocol (message store retrieval protocol) is applied when a message is passed between the subscriber processor 104 and the message store 106, and P3 when it is passed between the message store 106 and the message relay processor 105. The protocol (submission and delivery protocol) applies.

메세지 중계 처리부(105)는 가입자 장치(101)를 통하여 메세지 저장부(106)로부터 제출된 메세지를 다른 중계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의 중계 시스템에 접속된 메세지 저장부(106)에 배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P3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메세지 저장부(106)로 메세지를 저장하거나, 메세지 저장부(106)로부터 메세지를 제출받고, P1프로토콜(메세지 전송규약)을 이용하여 다른 메세지 중계기로 메세지를 전송한다. 또한, 여러 메세지 중계기가 연결되어 메세지를 중계할 수 있으며, 축적-저장 방식을 이용하여 메세지를 전달하고, 메세지 배달요청자에게 해당 메세지 전달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전달하는 확인 서비스, 각 메세지의 배달 우선순위에 따른 지원, 자원 배달등의 배달 선택 기능, 다양한 매체로의 내용 변환, 메세지의 제출 및 배달에 따른 오류의 진단 기능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message relay processing unit 105 transmits a message submitted from the message storage unit 106 to another relay system through the subscriber device 101, or delivers the message to the message storage unit 106 connected to its relay system. Perform. That is, the message is stored in the message storage unit 106 using the P3 protocol, or the message is submitted from the message storage unit 106, and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another message relay using the P1 protocol (message transfer protocol). In addition, multiple message relays can be connected to relay messages, and the message is delivered using a store-and-store method, and an acknowledgment service that convey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message delivery to the message delivery requester, prioritized delivery of each message. It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support according to rank, delivery selection function such as resource delivery, contents conversion to various media, error 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submission and delivery of messag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자문서 교환시스템의 송수신 절차가 도2에 도시되어 있다.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dure of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도2를 참조하여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의 송/수신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2,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of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is as follows.

송신측에서는 가입자 장치를 통해 시작 및 로그인하고(201), 문서의 양식에 문서의 내용을 입력하여 문서를 생성/편집한다(202). 그리고 이 생성된 문서를 변환한 후에(203) 송신 메뉴를 선택하여(204) 메세지를 작성한 다음에(205) 중계 호스트를 연결하여(206) 문서를 송신한다(207).The sender starts and logs in via the subscriber device (201), and enters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in the form of the document to create / edit the document (202). After converting the generated document (203), the send menu is selected (204) to compose a message (205), and then the relay host is connected (206) to transmit the document (207).

그러면 상기 문서를 수신한 중계 호스트는 이미 시작 및 로그인되어 연결이 설정된 수신측에 메세지 도착을 통지한다(208). 수신측은 메세지를 호출하여(209) 거래처를 분류 저장하고(210), 문서를 역변환하여(211) 수신문서를 확인한다(212).The relay host receiving the document then notifies the receiving party of the message that has already been started and logged in to establish a connection. The receiving side calls the message (209), classifies and stores the account (210), inverts the document (211) and confirms the received document (212).

이러한 전자문서 교환시스템에서 기존 일반 응용 시스템들이 전자문서들을 송수신하고자 할 때 가장 큰 현실적인 문제는 기존 자신의 응용 시스템들이 사용하던 데이타들과 전자문서 교환시스템이 사용하는 데이타들의 구조 및 속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전자문서 교환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응용 시스템의 자료구조나 처리 방식 등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들로 인한 오버헤드 때문에 업무에 전자문서 교환방식을 도입하는데 망설이게 되는 기술적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더욱이 전자문서교환시스템들이 사용하는 데이타 구조들은 대부분 국제 표준 및 전자문서 교환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요소들에 대한 상당한 지식이 있어야만 작성할 수 있는 그런 복잡한 구조를 갖는게 보통이므로, 국제 표준 형식의 전자문서 및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 대한 지식이 많지 않은 응용 시스템 프로그래머에게는 적지 않음 부담을 유발하고 있는게 사실이다.The most practical problem when the existing general application systems attempt to send and receive electronic documents in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is that the structure and attributes of the data used by the existing application systems and the data u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are different. In order to use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the overhead caused by the problem of changing the data structure or processing method of the application system is becoming a technical obstacle that hesitates to introduce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method to the work. Moreover, data structures used by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s usually have such complex structures that they can only be written with considerable knowledge of the elements used in international standards and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s. It is true that it is a burden for application programmers who do not have much knowledge of the document exchange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여 일반 응용 프로그램들이 전자문서 교환시스템을 통해 전자문서를 송수신하고자 할 때, 최소한의 오버헤드만으로 응용 프로그램과 전자문서 교환시스템을 효율적이고도 간단하게 인터페이싱 할 수 있도록 하는 맵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when general application programs want to send and receive electronic documents through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can be efficiently and simply interfaced with minimal overhea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apping method that enables this.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자문서 송수신 흐름도.2 is a flow chart of electronic docum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맵핑단계를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chart showing a transmission mapp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파일(flat file)의 구조도.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lat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맵핑 테이블의 구조도.5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app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 가입자장치 102 : 문서변환부101: subscriber device 102: document conversion unit

103 : EDI 메지징장치 104, 107 : 가입자 처리부103: EDI messaging device 104, 107: subscriber processing unit

105 : 메세지 중계 처리부 106 : 메세지 저장부105: message relay processing unit 106: message storage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와 중계 호스트 장치를 구비한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자문서의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전자문서 양식의 항목식별번호를 키로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데이타 파일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생성된 데이타 파일을 미리 설정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는 맵핑 테이블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가입자 장치내의 송신 문서변환부가 인식할 수 있는 플랫파일로 맵핑시키는 제2단계; 상기 생성된 플랫파일을 상기 중계 호스트가 인식할 수 있는 인터체인지 파일로 변환시켜 상기 중계 호스트로 전송하는 제3단계; 수신측의 가입자 장치는 상기 중계 호스트로부터 인터체인지 파일을 읽어 플랫파일로 변환시키는 제4단계; 및 상기 생성된 플랫파일을 미리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맵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타 파일로 변환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lectronic document, which is applied to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subscriber devices and a relay host device, by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using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lectronic document form as a key. A first step of generating a data file; A second step of mapping the generated data file to a flat file that can be recognized by a transmission document converter in the subscriber device based on information of a mapping table including preset information; Converting the generated flat file into an interchange fil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relay host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flat file to the relay host; A subscriber station on the receiving side, reading the interchange file from the relay host and converting the interchange file into a flat file; And a fifth step of converting the generated flat file into a data file that can be recognized by an application program by referring to a mapping table including preset inform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중계 호스트의 동작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생략하고, 주로 가입자장치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에 대해서만 기술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relay host is a general matter,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operations performed in the subscriber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핵심이 되는 것은 응용 프로그램이 출력하는 데이타 구조를 가입자장치내의 중계호스트와의 송수신을 위해 문서변환을 수행하는 문서변환부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타 구조로 맵핑시키는 송신 맵핑 단계와 수신 가입자 장치측의 문서변환부가 출력하는 데이타 구조를 응용 프로그램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데이타 구조로 맵핑시키는 수신 맵핑 단계이다.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mission mapping step of mapping a data structure output by an application program to a data structure that can be recognized by a document conversion unit that performs document conversion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relay host in a subscriber device. A reception mapping step of mapping a data structure outputted from a document converter on the receiving subscriber device side into a dat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used by application programs.

송신 맵핑 단계에서 이용되는 매개 파일의 데이타 구조는 다음과 같다. 매개파일은 텍스트 파일로서 라인 끝에 "줄바꿈(\n)" 부호가 붙어있는 레코드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레코드는 전자문서 양식상의 항목식별번호와 해당 데이타 부분이 하나의 공백으로 구분되어 나누어져 있다. 항목식별번호는 4자리의 10진수로 이루어지며, 그 값은 0보다 크고 9999보다 작은 값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항목식별번호가 4자리 수보다 작으면 0을 숫자 앞에 채워 4자리를 맞춘다. 이렇게 구성된 매개파일을 본 발명에서는 데이타 파일(Data File)이라 지칭한다.The data structure of the media file used in the transmission mapping step is as follows. A parameter file is a text file that consists of a set of records with a "line break (\ n)" at the end of a line. A record consists of an item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corresponding data portion of an electronic document form separated by a space. have.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consists of 4 decimal digits, the value of which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9999. If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is less than 4 digits, the number is filled with zeros before the number. The media fi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referred to as a data file in the present invention.

데이타 파일의 항목식별번호는 전자문서 양식상에 표시된 항목식별번호와 일치한다. 다시말해, 인터페이싱 파일인 데이타 파일내의 모든 데이타들의 속성은 전자문서 양식상의 항목식별번호에 종속되어 결정되어 진다. 예를 들어, 데이타 파일에서 전자문서 양식상에서 "회사명"을 지칭하는 항목식별번호에 뒤이어 나타나는 데이타들은 "회사명"을 나타내는 데이타라 할 수 있다.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data file corresponds to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ocument form. In other words, the attributes of all the data in the data file, the interfacing file, a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electronic document format. For example, data that appears after an item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data file that refers to "company name" in the electronic document form may be data representing "company name."

만약, 전자문서 양식에서 특정 항목 및 항목그룹이 반복되어 나타날 필요가 있다면, 반복되는 항목 순서대로 문서양식의 항목식별번호와 해당 데이타 값을 기술하면 된다. 전자문서 양식에 부여된 항목식별번호는 임의로 부여한 번호가 아니라 전자문서의 세그먼트 테이블을 참조하여 작성된 맵핑테이블에서 부여한 항목식별번호를 인용하여 부여한 것이므로, 전자문서 양식과 전자문서 구조를 일치시킬 수 있다.If a particular item and group of items need to appear repeatedly in an electronic document form,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and corresponding data value of the document form may be described in order of repeated items.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the electronic document form is assigned by referring to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given in the mapping table created by referring to the segment table of the electronic document, not an arbitrarily assigned number, so that the electronic document form and the electronic document structure can be matched.

따라서, 응용프로그램어가 전자문서 양식에 부여된 항목번호만을 사용하여 데이타파일을 작성한다면 그 데이타파일은 유효한 항목만을 갖는 데이타 파일이라 할 수 있다.Therefore, if an application program creates a data file using only the item number given in the electronic document form, the data file can be said to be a data file having only valid items.

그러므로, 전자문서의 데이타 구조와 국제표준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전혀 없는 응용 프로그래머도 항목식별번호가 부여된 전자문서양식과 응용시스템이 생성한 데이타만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데이타 파일을 작성하여 응용 프로그램과 문서변환부를 접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매개 파일을 사용하므로써 응용 프로그램과 전자문서변환부가 상호 독립적일 수 있게 되어 구현상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다.Therefore, even application programmers who have no expertise in the electronic document data structure and international standards can create data files using only the electronic document form with item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data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system. You can combine the document converter. The use of these intermediate files allows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electronic document converter to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providing flexibility in implementation.

송신맵핑단계는 응용 프로그램과 전자문서 변환부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이루는 단계로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한 데이타 파일을 전자문서 변환부가 인식할 수 있는 플랫 파일(Flat File) 구조로의 맵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The transmission mapping step is an interface between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electronic document converter, and the mapping of the data file generated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into a flat file structur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converter is performed. to be.

전자문서 변환부는 플랫파일 구조의 데이타만을 입력대상으로 하여 설계되어 있으므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생성한 여러 형태의 데이타 구조들은 일종의 프리프로세서 기능을 수행하는 송신맵핑단계를 통해 일괄적으로 플랫파일 구조로 변환되어 진다. 따라서, 송신맵핑단계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응용 프로그램들과 전자문서 변환부들을 접목할 수 있고, 응용 프로그램들에 의해 생성된 데이타들에 대한 유효성 검증 및 속성변경 등과 같은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electronic document conversion unit is designed to input data of flat file structure only, various types of data structures created by application programs are converted into flat file structure through batch mapping step that performs a kind of preprocessor function. It is done. Therefore, various types of application programs and electronic document conversion units may be combined through the transmission mapping step, and flexibility may be provided, such as validation and attribute change of data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programs.

이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과 전자문서 변환부 사이에 맵핑단계를 둠으로써, 응용 프로그램과 전자문서 변환부간의 N:1의 맵핑을 이룰 수 있다.By providing a mapping step between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electronic document conversion unit, a mapping of N: 1 between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electronic document conversion unit can be achieved.

송신맵핑단계시 입출력 파일 및 디렉토리 환경은 다음과 같다.The I / O file and directory environment in the transmission mapping step is as follows.

입력디렉토리에 있는 입력 데이타 파일의 디폴트명은 "UNB", "UNG[m]", "UNH[m].[n]"이다.The default names of the input data files in the input directory are "UNB", "UNG [m]", and "UNH [m]. [N]".

UNB는 인터체인지 헤더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이며, 국제규격의 UNB세그먼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로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직접 생성될 수도 있고, 생략되었을 경우에는 송신맵핑단계에서 이미 설정된 인터체인지 협약(IA)/메세지 협약(MA) 정보, 맵핑테이블내의 전자문서 구현지침(MIG) 정보를 이용해 자동적으로 생성된다.UNB is a file containing the interchange header information. The UNB is a file contai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NB segmen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e UNB may be generated directly by an application program. ) / Automatically generated using message agreement (MA) information and MIG information in the mapping table.

UNG는 기능 그룹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이며, 국제규격상의 UNG세그먼트에 대응되는 파일이다. 첨자 m의 범위는 0<m<=50(unix 100)이다.UNG is a file that contains functional group information and corresponds to the UNG segmen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e subscript m ranges from 0 <m <= 50 (unix 100).

UNH는 하나의 전자문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타 파일로서, 국제규격에서 규정된 UNH세그먼트부터 UNT세그먼트 까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첨자 n과 m의 범위는 도스(DOS)환경은 0<=m<=50, 0<n<=999이며, 유닉스(UNIX) 환경에서는 0<=m<=100, 0<n<=5000이다.UNH is a data file containing the contents of an electronic document and contains information from the UNH segment to the UNT segment specifi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Subscripts n and m range from 0 <= m <= 50, 0 <n <= 999 in the DOS environment, and 0 <= m <= 100, 0 <n <= 5000 in the UNIX environment. .

동종의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전자문서파일(UNH)들은 해당 기능그룹(UNG) 파일의 첨자 m과 일치해야 한다. 즉, UNG1이면 UNH1.1, UNH1.2, ..., UNH1.n이다. 그러나, 기능 그룹을 사용하지 않는 상황이라면 UNH0.1, UNH0.2, ..., UNH0.n이다. 따라서, UNHm.n 파일은 기능그룹 UNGm에 속하는 것이며, n번째 데이타 파일임을 의미한다.Electronic document files (UNH) containing homogeneous electronic documents must match the subscript m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al group (UNG) file. In other words, UNG1 is UNH1.1, UNH1.2, ..., UNH1.n. However, if no functional group is used, UNH0.1, UNH0.2, ..., UNH0.n. Therefore, the UNHm.n file belongs to the functional group UNGm, which means that it is the nth data file.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맵핑단계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3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transmission mapp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송신맵핑단계는 맵핑을 수행하기 위해서 먼저 거래 당사자간 맺은 인터체인지협약(IA: Interchange Agreement)/메세지 협약(MA: Message Agreement) 정보를 획득하고(301), 전자문서 구현지침(MIG: Message Implementation Guide) 정보를 갖고 있는 맵핑테이블을 획득한다(302).In order to perform the mapping, the transmission mapping step first acquires an Interchange Agreement (IA) / Message Agreement (MA) information between trading partners (301), and implements a message implementation guide (MIG). Obtain a mapping table with information (302).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타 파일들이 생성된 후, 입력 디렉토리에 생성된 데이타 파일이 기록되고, 송신맵핑 프로세스를 호출하면 송신맵핑 프로세스는 입력 디렉토리내에 저장된 데이타 파일을 읽어(303) 인터체인지 헤더 정보를 담고 있는 UNB 데이타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조사한다(304).After the data files have been created by the application, the generated data files are written to the input directory, and when the send mapping process is called, the send mapping process reads the data files stored in the input directory (303) and contains UNB containing interchange header information. Check if the data file exists (304).

상기 조사결과(304), UNB 데이타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인터체인지 협약(IA)/메세지 협약(MA) 정보와 맵핑테이블의 전자문서 구현지침 정보들을 이용하여 디폴트 값을 갖는 인터체인지 헤더정보(UNB) 데이타 파일을 생성한다(305).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304, if the UNB data file does not exist, the interchange header information (UNB) data file having a default value using the interchange agreement (IA) / message agreement (MA) information and the electronic document implementation guide information of the mapping table. Generate 305.

한편, 상기 조사결과(304), 인터체인지 헤더정보가 있거나, 인터체인지 헤더정보를 디폴트 값을 이용해 생성하면 데이타 파일의 항목식별번호를 키로하여 맵핑테이블을 참조하면서 맵핑 과정을 수행하고(306), 맵핑과정 중 데이타 파일내에 생략된 필수요소(Element)들의 값을 인터체인지 협약(IA)/메세지 협약(MA) 정보와 맵핑테이블의 전자문서 구현지침 정보를 참조하여 디폴트 값으로 설정한다(307).On the other hand, if the survey result 304, there is interchange header information, or if the interchange header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default value, the mapping process is performed while referring to the mapping table using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ata file as a key (306). The values of essential elements omitted in the data file are set to default values with reference to the interchange agreement (IA) / message agreement (MA) information and the electronic document implementation guide information of the mapping table (307).

또한, 입력된 데이타 파일내의 데이타들에 대한 유효성 검사를 맵핑테이블의 전자문서 구현지침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한다(308).In addition, the validation of the data in the input data file is performed based on the electronic document implementation guide information of the mapping table (308).

이런 과정을 통해 송신맵핑 프로세스가 데이타 파일을 전자문서 변환 프로세스가 인식할 수 있는 플랫파일로 변환시킨 다음 플랫화일을 출력 디렉토리에 저장하고(309), 송신 문서변환 프로세스를 호출함으로써 송신문서변환을 위한 송신맵핑 과정이 종료된다. 만약, 전술한 송신 맵핑 과정 중 오류가 발생되면 오류 내역을 담은 오류 보고서 파일인 "error.sam"을 생성 출력 디렉토리에 저장한다(309).Through this process, the source mapping process converts the data file into a flat fil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conversion process, and then stores the flat file in the output directory (309), and invokes the source document conversion process to call the source document conversion process. The transmission mapping process ends. If an error occurs during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mapping process, an error report file "error.sam" containing an error history is stored in the generated output directory (309).

송신맵핑단계에서 생성되는 플랫파일은 도4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이 생성한 데이타 값 각각에 그 데이타의 속성 및 용도를 결정짓는 국제표준 요소들이 부가되어 있으므로, 전자문서 변환부가 ISO9735 구문 규칙에 준하여 표준 전자문서로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문서 데이타 구조를 갖추고 있다.In the flat file generated in the transmission mapping step, as shown in FIG. 4, since each of the data values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is added with international standard elements that determine the properties and uses of the data, the electronic document conversion unit conforms to the ISO9735 syntax rules. It has an electronic document data structure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document.

송신맵핑단계에서 데이타 파일의 항목식별번호를 국제표준 요소들로 맵핑하기 위하여 필요한 맵핑 테이블은 도5와 같다.The mapping table necessary for mapping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ata file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elements in the transmission mapping step is shown in FIG.

맵핑테이블은 전자문서 양식에 상응하는 항목식별번호와 그에 대응되는 국제표준코드, 그리고 전자문서 구현지침 정보 및 아이템 속성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송신맵핑과정에서는 데이타 파일의 항목식별번호를 키로하여 데이타 파일과 맵핑테이블을 맵핑시켜 해당되는 국제표준 코드를 추출하며, 맵핑테이블에 있는 전자문서 구현지침 정보에 준거하여 데이타 파일내의 데이타 값들의 유효성 검증 및 데이타 값의 치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국제 표준 코드와 데이타 값들로 이루어진 플랫 파일을 생성한다.The mapping table includes an item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ocument format, an international standard code corresponding thereto, and electronic document implementation guide information and item attribute information. In the mapping process, the data file and the mapping table are mapped using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ata file, and the corresponding international standard codes are extracted. Validation of data values in the data file is performed based on the electronic document implementation guide information in the mapping table. And replacing data values to create a flat file of international standard codes and data values.

수신 문서변환 프로세스는 수신된 인터체인지 파일을 ISO9735 구문규칙에 준하여 역변환을 수행 플랫파일을 생성한 후, 수신맵핑 프로세스를 호출한다.The receiving document conversion process performs the reverse conversion of the received interchange file according to the ISO9735 syntax rule, generates a flat file, and then calls the reception mapping process.

수신맵핑프로세스는 수신문서변환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 도4와 같은 플랫파일을 입력으로 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타파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인터체인지 협약/메세지 협약 정보, 그리고 도5의 맵핑테이블의 전자문서 구현지침 정보를 참조하여 송신맵핑 프로세스의 역동작을 수행한다. 즉, 플랫파일에서 국제 표준 코드 요소를 분리한 후, 이를 키로하여 맵핑테이블과의 맵핑을 통해 플랫파일의 레코드들에 대응되는 항목식별번호를 맵핑테이블로부터 발췌하고, 플랫파일의 데이타 값들을 맵핑테이블의 전자문서 구현지침 정보에 준거하여 유효성 검증을 수행한 후, 데이타 파일을 생성한다.The reception mapping process takes the interchange agreement / message agreement information and the mapping table of FIG. 5 in order to convert the flat file generated by the received document conversion process as an input into a data file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application. Perform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mapping process by referring to the document implementation guide information. That is, after separat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code elements from the flat file,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cords of the flat file is extracted from the mapping table by mapping with the mapping table using the key, and the data values of the flat file are mapped to the mapping table. Valid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electronic document implementation guideline information and then the data file is created.

수신변환 프로세스가 인터체인지 파일을 플랫파일로 변환시키고, 입력 디렉토리에 기록한 다음, 수신맵핑 프로세스를 호출한다. 수신맵핑 프로세스는 입력파일인 플랫파일을 대상으로 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타 파일을 생성하여 출력 디렉토리에 기록한다.The receive conversion process converts the interchange file to a flat file, writes it to the input directory, and invokes the receive mapping process. The reception mapping process creates a data fil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and writes it to the output directory.

만약, 수신맵핑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되면 오류 보고서 파일인 "error.pam"을 생성 출력 디렉토리에 저장한다.If an error occurs during the reception mapping process, the error report file "error.pam" is saved in the generated output directory.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맵핑단계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과 전자문서 변환부가 간단히 인터페이싱 할 수 있어, 전자문서교환시스템을 이용하여 문서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어떤 가입자 장치들도 쉽고 적은 비용으로 전자문서교환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electronic document converting unit can easily interface with each other through a mapping step, so that any subscriber device that wants to transmit and receive a document using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can be easily and at low cos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mmunicate.

Claims (4)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와 중계 호스트 장치를 구비한 전자문서교환시스템에 적용되는 응용프로그램과 전자문서의 맵핑방법에 있어서,In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electronic document mapping method applied to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subscriber devices and relay host devices, 전자문서 양식의 항목식별번호를 키로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데이타 파일을 생성하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generating a data file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using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lectronic document form as a key; 상기 생성된 데이타 파일을 미리 설정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는 맵핑 테이블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가입자 장치내의 송신 문서변환부가 인식할 수 있는 플랫파일로 변환시키는 제2단계;A second step of converting the generated data file into a flat file that can be recognized by a transmission document converter in the subscriber device based on information of a mapping table including preset information; 상기 생성된 플랫파일을 상기 중계 호스트가 인식할 수 있는 인터체인지 파일로 변환시켜 상기 중계 호스트로 전송하는 제3단계;Converting the generated flat file into an interchange fil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relay host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flat file to the relay host; 수신측의 가입자 장치는 상기 중계 호스트로부터 인터체인지 파일을 읽어 플랫파일로 변환시키는 제4단계; 및A subscriber station on the receiving side, reading the interchange file from the relay host and converting the interchange file into a flat file; And 상기 생성된 플랫파일을 미리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맵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타 파일로 변환시키는 제5단계A fifth step of converting the generated flat file into a data file that can be recognized by an application program by referring to a mapping table including preset information;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응용프로그램과 전자문서의 맵핑방법.Method of mapping the application and the electronic document made,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단계는,The second step, 미리 정의된 인터체인지 협약/메세지 협약의 정보와 전자문서 구현지침 정보가 포함된 맵핑 테이블을 읽어들이는 단계;Reading a mapping table including information on a predefined interchange agreement / message agreement and electronic document implementation guide information;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데이타 파일을 읽어 인터체인지 헤더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Reading the data file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to check whether the interchange header information exists; 인터체인지 헤더정보가 없으면 상기 읽어들인 정보를 참조하여 디폴트 값을 갖는 인터체인지 헤더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If there is no interchange header information, generating a data file including interchange header information having a default value with reference to the read information; 인터체인지 헤더정보가 존재하거나 생성되면 읽은 데이타 파일의 항목식별번호를 키로하여 상기 맵핑 테이블과 맵핑과정을 통해 국제표준코드를 추출하면서 데이타 파일내의 생략된 필수 요소를 디폴트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Setting an omitted essential element in the data file to a default value while extracting an international standard code through the mapping table and the mapping process using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ead data file as a key when interchange header information exists or is generated; 맵핑테이블내의 전자문서 구현지침 정보를 기준으로 데이타 파일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및Validating the data file based on the electronic document implementation guide information in the mapping table; And 상기 데이타 파일의 맵핑과정을 통해 생성된 플랫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flat file generated through the mapping process of the data fil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응용프로그램과 전자문서의 맵핑방법.Method of mapping the application and the electronic document made,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5단계는,The fifth step, 수신된 플랫파일로부터 표준코드 요소를 분리한 후, 이를 키로하여 맵핑테이블의 검색을 통해 상기 플랫파일의 레코드들에 대응되는 항목식별번호를 상기 맵핑테이블로부터 발췌하는 단계;Separating the standard code element from the received flat file, and extracting an item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cords of the flat file from the mapping table by searching the mapping table using the key; 상기 플랫화일의 데이타 값들을 상기 맵핑테이블내의 전자문서구현지침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Validating the data values of the flat file based on the electronic document implementation guide information in the mapping table; And 모든 플랫파일의 레코드들을 상기 맵핑테이블과 맵핑시키면서 생성된 데이타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generated data file while mapping all flat file records with the mapping tabl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응용프로그램과 전자문서의 맵핑방법.Method of mapping the application and the electronic document made, including.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맵핑테이블은,The mapping table, 전자문서양식에 상응하는 항목식별번호와, 상기 항목식별번호에 대응되는 국제표준코드와, 국제적으로 규정된 전자문서 구현지침 정보, 및 아이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프로그램과 전자문서의 맵핑방법.An item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ocument form, an international standard code corresponding to the item identification number, internationally defined electronic document implementation guide information, and item attribute information. Mapping method.
KR1019970077194A 1997-12-29 1997-12-29 Mapping method of electronic documents system KR1002501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194A KR100250119B1 (en) 1997-12-29 1997-12-29 Mapping method of electronic document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194A KR100250119B1 (en) 1997-12-29 1997-12-29 Mapping method of electronic document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148A KR19990057148A (en) 1999-07-15
KR100250119B1 true KR100250119B1 (en) 2000-03-15

Family

ID=19529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7194A KR100250119B1 (en) 1997-12-29 1997-12-29 Mapping method of electronic document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1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029A (en) * 2001-05-10 2002-11-18 이종희 Intelligent on-line form printing method and a system perform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595B1 (en) * 1999-12-20 2006-06-02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receiving mapping using rule information in electronic data
KR100653039B1 (en) * 1999-12-31 2006-11-30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Receiving Large Volumes Of Message In Satellite Mobile Data ServiceSMDS System
KR100418349B1 (en) * 2001-09-05 2004-02-11 (주) 한국인프라 Method for compression and restoration of dat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029A (en) * 2001-05-10 2002-11-18 이종희 Intelligent on-line form printing method and a system per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148A (en)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7930B2 (en) Network facsimile apparatus capable of relaying E-mail to facsimile machine
US20020194286A1 (en) E-mail servic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9980087167A (en) E-mail functio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20020052922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US7133142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JP300364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ith e-mail function and recording medium
KR100250119B1 (en) Mapping method of electronic documents system
JPH07262104A (en) Electronic mail linkage processor
KR0139556B1 (en) Document Management Method Using Directory in Subscriber System of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US6616045B2 (en) Transfer processing system for bar code data
KR0139555B1 (en) How to create and edit electronic documents in the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KR100250120B1 (en) Electronic documents system
CN114721704A (en) Multi-platform dock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0574886B1 (en) Method of arranging standard record for edi
KR0139554B1 (en) How to create and edit an electronic document form in a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JPH1169002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provided with electronic mail function and storage medium
JPH1168825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with electronic mail function
KR0135818B1 (en) Gearing apparatus or method of fax for communication service
TW396678B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278290B1 (en) Electronic document authentication method using matrix algorithm in electronic document exchange system
Houttuin A tutorial on gatewaying between x. 400 and internet mail
JPS6276355A (en) Electronic mail equipment
KR0135819B1 (en) Gearing apparatus or method of fax
KR20010094643A (en) Method transmitting internet-message using E-mail address of telephone number type
Schürmann Multimedia m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