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872B1 - Automatic crime prevention patrol approval system - Google Patents

Automatic crime prevention patrol approva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872B1
KR100248872B1 KR1019970002617A KR19970002617A KR100248872B1 KR 100248872 B1 KR100248872 B1 KR 100248872B1 KR 1019970002617 A KR1019970002617 A KR 1019970002617A KR 19970002617 A KR19970002617 A KR 19970002617A KR 100248872 B1 KR100248872 B1 KR 100248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trol
output
storage means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6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66859A (en
Inventor
이병성
Original Assignee
박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4958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4887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일 filed Critical 박노일
Priority to KR1019970002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872B1/en
Publication of KR1998006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8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8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20Checking timed patrols, e.g. of watchm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16Details of coding or modulation
    • H04B10/548Phase or frequency modulation
    • H04B10/556Digital modulation, e.g.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DPSK] or frequency shift keying [FSK]
    • H04B10/5563Digital frequency modu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 순찰자가 특정한 방범지역에 대해 순찰을 실행하였는지의 여부와 그 순찰시간을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된 방범순찰 자동결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동기데이터와 자신의 고유한 식별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련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발생수단과, 이 데이터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장치 외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송신장치와; 수신된 신호로부터 본래의 코드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복원수단과, 소정의 동기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동기데이터 저장수단, 상기 식별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수단, 장치 전체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복원된 데이터와 상기 동기데이터가 일치하는 지를 판정하여 일치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코드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신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patrol automatic payment system that enables the security patrol to check whether the patrol carried out a specific security area and the patrol time accurately, and includes a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data and its own unique identification data. At least one transmitting device comprising a data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series of data, and a data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data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ing means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Data restoring means for restoring original code data from the received signal, synchronous data storage means for storing predetermined synchronous data, data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data, and the entire apparatus. A processor for determining whether data and the synchronous data match and storing code data added to the matched data in the data storage means, and an output port for outputting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means to an exter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eiving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Description

방범순찰 자동결재시스템Security patrol automatic payment system

본 발명은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범 순찰자가 특정한 방범지역에 대해 순찰을 실행하였는지의 여부와 그 순찰시간을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된 방범순찰 자동결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urity patrol automatic payment system that can accurately check whether the patrol patrol carried out a specific patrol area and the time of patrol.

최근, 각종 범죄사건이 빈번하게 발생되면서 일반인의 안전에 대한 의식이 제고되고 있는 바, 이에 따라 국가기관에 의한 방범순찰이 강화되고 있고, 또한 사설 방범용역사업이 활성화되어 특정한 지역이나 건물 등에 대한 반복적인 순찰업무가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various crimes have occurred frequently, raising awareness on the safety of the general public. As a result, security patrols by national agencies have been strengthened, and private crime prevention services have been activated, resulting in repeated visits to specific areas and buildings. Patrol service is underway.

한편, 현재 대부분의 방범순찰업무는 주로 소정의 지역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순찰대원이 해당 단위지역을 순찰하면서 일정 거리마다 설치된 방범함에 비치된 순찰기록지에 순찰시간과 순찰자의 이름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방범순찰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를 점검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current security patrols are mainly made of a predetermined regional unit, the patrol crew patrols the unit area while entering the patrol time and the name of the patrol on the patrol record sheet provided in the security box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It is to check whether the security patrol was executed normally.

그러나, 상기한 방범순찰 결재방법은 순찰자가 순찰상황을 소정의 기록지에 수동으로 기입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순찰자의 정확한 순찰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However, in the security patrol settlement method described above, it is impossible for the patrolman to check whether the patrolman is properly patrolled because the patrol situation is to be manually recorded on a predetermined recording sheet.

또한,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순찰하는 경우에는 통상 차량을 이용하여 순찰업무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순찰자가 차량내부에서 순찰업무를 실행하기 때문에 방범함에 비치된 순찰기록지에 순찰상황을 기록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게 되고, 또한 이 경우에도 그 기록상황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만일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논란의 여지가 존재하게 된다.In general, when patrolling a wide area, the patrol service is usually performed by using a vehicle. In this case, since the patrol person performs patrol service inside the vehicle, it is necessary to record the patrol situation on the patrol record sheet provided in the crime prevention box. It becomes very inconvenient, and even in this case, the accuracy of the recording situation cannot be guaranteed, so there is controversy if an accident occur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순찰자의 순찰상황을 자동으로 결재함으로써 순찰기록의 정확도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방범순찰 자동결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urity patrol automatic payment system that is capable of achieving accuracy of patrol records by automatically paying patrol status of patrols.

또한, 본 발명은 순찰기록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순찰업무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방범순찰 자동결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urity patrol automatic payment system that can facilitate patrol recording and facilitate execution of patrol business.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송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tter in FIG.

도 3은 도 2에서 데이터 발생부와 FSK 변조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 성도.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ata generator and an FSK modulator in FIG. 2. FIG.

도 4는 도 1에서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device in FIG.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플로우챠트.FIG. 5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4; FI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 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 도.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순찰경로, 20 : 송신장치,10: patrol route, 20: transmitter,

21 : 데이터 발생부, 22 : FSK 변조부,21: data generator, 22: FSK modulator,

23, 25 : 믹서, 24, 26 : 대역통과필터,23, 25: mixer, 24, 26: bandpass filter,

27 : 고주파전력증폭기, 28, 31 : 안테나,27: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28, 31: antenna,

32 : 저잡음증폭기, 33, 35 : 믹서,32: low noise amplifier, 33, 35: mixer,

34, 36 : 대역통과필터, 37 : FSK 복조부,34, 36: band pass filter, 37: FSK demodulation unit,

38 : 프로세서, 39 : 프로그램 저장부,38 is a processor, 39 is a program storage unit,

40 : 데이터 저장부, 41 : 키패드,40: data storage, 41: keypad,

42 : 표시부, 45 : 출력포트.42: display portion, 45: output port.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순찰 자동결재시스템은 소정의 동기데이터와 자신의 고유한 식별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련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발생수단과, 이 데이터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장치 외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송신장치와; 수신된 신호로부터 본래의 코드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복원수단과, 소정의 동기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동기데이터 저장수단, 상기 식별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수단, 장치 전체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복원된 데이터와 상기 동기데이터가 일치하는 지를 판정하여 일치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코드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신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ecurity patrol automatic pay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data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series of data including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data and its own identification data, and the data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ing means At least one transmitting device including a data output means for outputting outside of the device; Data restoring means for restoring original code data from the received signal, synchronous data storage means for storing predetermined synchronous data, data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data, and the entire apparatus. A processor for determining whether data and the synchronous data match and storing code data added to the matched data in the data storage means, and an output port for outputting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means to an exter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eiving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수신장치는 수신된 데이터가 동기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이를 외부에 알려 주기 위한 알람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larm means for notifying the outside when the received data is synchronized with the synchronization data.

또한, 상기 수신장치는 현재의 시간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이머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데이터에 그 수신시간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iving device may further comprise a timer means for generating current time data, and wherein the processor adds the received time data to the received data and stores the received time data in the data storage means.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방범순찰원이 수신장치를 휴대한 상태로 순찰경로를 따라 순찰하게 되면, 각 송신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코드데이터가 수신장치에 순차적으로 저장되게 되므로 별도의 수동적인 기록동작 없이도 순찰상황을 기록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security patrol officer patrols along the path while carrying the receiving apparatus, the code data output from each transmitting apparatus is sequentially stored in the receiving apparatus so that a separate manual The patrol situation can be recorded without a recording operation.

또한, 각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코드데이터와 함께 그 코드데이터 수신시간을 저장하게 되므로, 방범순찰원이 정상적으로 순찰업무를 실행하였는 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de data reception time is stored together with the code data received from each transmitt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security patrol officer has normally executed the patrol busines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참조번호 10은 방범순찰자가 순찰업무를 수행하게 되는 순찰경로로서, 이 순찰경로(10)상에는 일정 거리간격으로, 또는 순찰이 필요한 지역에 대하여 소정의 코드신호를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송신장치(10 : 101∼10n)가 설치되게 된다. 이들 송신장치(10)는 각각 그 출력하는 코드데이터가 다르게 설정됨과 더불어 그 데이터 수신반경이 소정 거리(P)로 제한되도록 출력파워가 설정되게 된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patrol route through which a security patrolman performs patrol business, and a transmission apparatus repeatedly outputting a predetermined code signal on the patrol path 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 or to a region requiring patrol ( 10: 10 1 ~10n) is to be installed. Each of these transmitters 10 sets the output power so that the code data to be output is set differently and the data reception radius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distance P.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30은 상기 순찰경로(10)를 통해 순찰하는 순찰자가 휴대하게 되는 수신장치로서, 이는 상기 송신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코드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그 수신시간과 함께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저장된 코드데이터는 별도의 표시수단이나 프린터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30 in the drawing is a receiving apparatus carried by the patrol patrol through the patrol path 10, which receives the code data output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20 and stores it with its reception time do. The code data stored in this way can be output through a separate display means or a printer apparatus.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방범순찰 자동결재시스템은 순찰자가 수신장치(30)를 휴대하고서 순찰경로(10)를 따라 순찰업무를 수행하게 되면, 수신장치(30)는 각 송신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코드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게 된다.That is, in the security patrol automatic payment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patrol carries the receiver 30 and performs patrol business along the patrol path 10, the receiver 30 is sent from each transmitter 20. The code data output is received and stor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저장된 코드데이터를 별도의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여 봄으로써 순찰자가 정상적으로 순찰업무를 수행하였는 지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outputting the code data stored as described above through a separate printer,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patrolman normally performed the patrol business.

한편, 도 2는 상기 송신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er 20. As shown in FIG.

도 2에서 참조번호 21은 소정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발생부로서, 이는 소정의 동기데이터, 예컨대 "1100 1001"의 데이터에 대하여 송신장치(20) 고유의 코드데이터(식별데이터)를 부가하여 지속적으로 출력하게 된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21 denotes a data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predetermined data, which adds code data (identification data) unique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20 to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data, for example, data of "1100 1001". Output continuously.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22는 상기 데이터 발생부(2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하여 소정의 변조주파수신호(F1)를 출력하는 FSK 변조부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n FSK modulator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modulation frequency signal F1 by modulating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generator 21 by frequency shift keying (FSK).

도 3은 상기 데이터 발생부(21)와 FSK 변조부(22)의 구성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generator 21 and the FSK modulator 22.

도 3에서 데이터 발생부(21)는 소정의 주파수신호를 출력하는 발진기(211)와, 이 발진기(211)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신호를 클록신호(CLK)로서 입력하여 계수하고 그 계수치를 출력단(Q0∼Q4)을 통해 출력하는 2진 카운터(212) 및, 이 2진 카운터(212)의 출력(Q0∼Q3)을 어드레스 데이터로서 입력하여 그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비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ROM 테이블(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FIG. 3, the data generator 21 inputs an oscillator 211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signal and a frequency signal outputted from the oscillator 211 as a clock signal CLK, and counts the count value. ROM table 213 for inputting the binary counter 212 output through ˜Q4 and the outputs Q0 to Q3 of the binary counter 212 as address data and outputting bit data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여기서 상기 카운터(212)는 그 최상위 비트 출력(Q4)이 인버터(IV1)를 통해서 리셋트신호 입력단(

Figure kpo00001
)에 결합되어, 그 카운터(212)에 의한 계수치가 소정값, 즉 "10000"이 되면 초기화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unter 21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s highest bit output Q4 is reset via the inverter IV1.
Figure kpo00001
) Is initialized when the count value by the counter 212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that is, "10000".

또한, 상기 ROM 테이블(213)은 각각의 어드레스번지, 즉 상기 카운터(212)에 의해 지정되는 어드레스번지에 소정의 데이터비트가 저장되게 되는데, 이때 그 각각의 어드레스비트는 상기 카운터(212)의 출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출력되어 동기데이터와 고유한 코드데이터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동기데이터는 모든 송신장치에 대해 동일하게 설정되고 고유한 코드데이터는 모든 송신장치가 각각 다른 값을 갖도록 설정되게 된다.In addition, the ROM table 213 stores predetermined data bits at respective address addresses, that is, address addresses designated by the counter 212, and each address bit is outputted from the counter 212. Are sequentially output to form synchronous data and unique code data. In this case, the synchronization data is set the same for all transmission apparatuses, and the unique code data is set such that all transmission apparatuses have different values.

즉, 상기한 데이터 발생부(212)는 발진기(211)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신호를 카운터(212)로 계수하여 ROM 테이블(213)에 대한 어드레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 상기 카운터(212)는 그 최상위비트에 의해 리셋트되어 예컨대 "0"에서 "10000"의 값을 반복적으로 출력하게 되므로, ROM 테이블(213)로부터는 소정의 동기데이터 및 코드데이터가 반복적으로 출력되게 된다.That is, the data generator 212 generates the address data for the ROM table 213 by counting the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211 by the counter 212, and the counter 212 is the highest level thereof. The bit is reset by the bit and repeatedly outputs a value of, for example, "0" to "10000", so that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data and code data are repeatedly output from the ROM table 213.

물론, 이 경우 상기 데이터 발생부(21)는 상기한 구성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PAL(Programable Array Logic)이나 그 밖의 다른 로직회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in this case, the data generator 2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example, but can be easily configured using, for example, a programmable array logic (PAL) or other logic circuit.

또한, 도 3에서 FSK 변조부(22)는 각각 다른 제1 및 제2 주파수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주파수발생부(221)와, 소정의 스위칭신호(SW,

Figure kpo00002
)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주파수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부(222, 2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222, 223)로부터 출력되는 제1 또는 제2 주파수신호는 각각 저항(R1, R2)을 통해서 결합되어 이후에 설명할 믹서(23)의 입력으로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FIG. 3, the FSK modulator 22 generates a frequency generator 221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different first and second frequency signals, and a predetermined switching signal SW,
Figure kpo00002
And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222 and 223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first or second frequency signal, and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222 and 223. The first or second frequency signal is coupled through the resistors R1 and R2, respectively, and outputted as an input of the mixer 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칭부(222)는 그 스위칭신호로서 상술한 데이터 발생부(21)의 ROM 테이블(213)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가 인버터(IV2)를 통해서 인가되고, 제2 스위칭부(223)는 스위칭신호로서 상기 ROM 테이블(213)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가 바로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switching unit 222 receives the data output from the ROM table 213 of the data generator 21 as the switching signal through the inverter IV2,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23. Is configured to directly apply data output from the ROM table 213 as a switching signal.

따라서, 상기 FSK 변조부(22)는 데이터 발생부(21)로부터 예컨대 "0"의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제1 주파수, "1"의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제2 주파수신호가 출력되게 된다.Accordingly, the FSK modulator 22 outputs the first frequency when the data of "0" is output from the data generator 21, and the second frequency signal when the data of "1" is output. .

한편, 도 2에서 참조번호 23은 상술한 FSK 변조부(22)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신호(F1)에 대해 소정의 제1 국부발진주파수(F2)를 믹싱하여 F1±F2의 주파수신호를 생성하는 제1 믹서, 24는 상기 제1 믹서(23)의 출력에 결합되어 상기 주파수신호(F1±F2)로부터 예컨대 F1+F2의 중간주파수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제1 대역통과필터(BPF)이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23 denotes a first signal generating a frequency signal of F1 ± F2 by mixing a predetermined first local oscillation frequency F2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signal F1 output from the FSK modulator 22 described above. The first mixer 24 is a first bandpass filter BPF coupled to the output of the first mixer 23 for filtering and outputting, for example,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f F1 + F2 from the frequency signal F1 ± F2.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25는 상기 제1 대역통과필터(24)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신호(F3)에 대해 소정의 제2 국부발진주파수(F4)를 믹싱하여 F3±F4의 주파수신호를 생성하는 제2 믹서이고, 26은 이 제2 믹서(25)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신호(F3±F4)로부터 예컨대 F3+F4의 주파수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제2 대역통과필터(BPF), 27은 이 제2 대역통과필터(26)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안테나(28)를 통해 출력하는 고주파전력증폭기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25 denotes a frequency signal of F3 ± F4 by mixing a predetermined second local oscillation frequency F4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F3 output from the first bandpass filter 24. The second mixer 26 is a second band pass filter BPF for filtering and outputting, for example, a frequency signal of F3 + F4 from the frequency signal F3 ± F4 output from the second mixer 25. 2 is a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which amplifies the high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band pass filter 26 and outputs it through the antenna 28.

여기서, 상기 고주파전력증폭기(27)는 안테나(28)를 통해 출력되는 고주파신호의 방사거리가 일정 이하로 제한되도록 그 증폭레벨이 설정되게 된다.Here, the amplification level of the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27 is set such that the radiation distance of the high frequency signal output through the antenna 28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즉,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데이터 발생기(21)로부터는 지속적으로 소정의 동기데이터와 자신의 고유한 코드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생성되어 출력되고, 이 데이터 발생기(2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FSK 변조부(22)에서 디지탈 변조된 후 제1 및 제2 믹서(23, 25)를 통해 고주파신호로 변환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변환된 고주파신호는 고주파전력증폭기(27)에 의해 전력증폭된 후 안테나(28)를 통해 공중파전송망으로 출력되게 된다.That is, in the above configuration,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data and its own code data are continuously generated and output from the data generator 21, and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generator 21 is outputted from the FSK modulator 22. After the digital modulation in the) is converted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ixers (23, 25). The high frequency signal converted as described above is amplified by the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27 and then output to the airwave transmission network through the antenna 28.

한편, 도 4는 상술한 수신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apparatus 30. As shown in FIG.

도 4에서 참조번호 31은 공중파전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상술한 송신장치(20)로부터의 주파수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이고, 32는 이 안테나(31)를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신호를 저잡음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이다.In FIG. 4, reference numeral 31 denotes an antenna for receiving the frequency signal from the above-described transmitter 20 received through the airwave transmission network, and 32 denotes a low noise amplifier for low noise amplifying the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31. .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33은 상기 저잡음증폭기(32)로부터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신호(F5)에 대해 소정의 제1 국부발진주파수(F6)를 믹싱하여 F5±F6의 주파수신호를 출력하는 제1 믹서이고, 34는 이 제1 믹서(33)에서 인가되는 주파수신호(F5±F6)로부터 F5-F6의 주파수를 갖는 중간주파수신호(F7)를 출력하는 제1 대역통과필터(BPF), 35는 상기 중간주파수신호(F7)에 대해 소정의 제2 국부발진주파수(F8)를 믹싱하여 F7±F8의 주파수신호를 출력하는 제2 믹서, 36은 이 제2 믹서(35)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신호(F7±F8)로부터 F7-F8의 주파수신호를 출력하는 제2 대역통과필터(BPF), 37은 이 제2 대역통과필터(36)로부터 출력되는 FSK 변조신호를 복조하여 본래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FSK 복조부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33 denotes a first mixer for mixing a first local oscillation frequency F6 with respect to the reception frequency signal F5 output from the low noise amplifier 32 and outputting a frequency signal of F5 ± F6. 34 is a first band pass filter BPF for outputting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F7 having a frequency of F5-F6 from the frequency signal F5 ± F6 applied by the first mixer 33, and 35 A second mixer 36 for mixing a predetermined second local oscillation frequency F8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F7 and outputting a frequency signal of F7 ± F8, wherein 36 is a frequency signal F7 output from the second mixer 35. A second band pass filter (BPF) for outputting a frequency signal of F7-F8 from +/- F8), and a FSK demodulation for demodulating the FSK modulation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band pass filter (36) and outputting original data. Grandfather.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38은 본 수신장치(30) 전체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FSK 변조부(37)로부터 인가되는 복조데이터를 근거로 방범순찰 결재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이고, 39은 이 프로세서(38)의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됨과 더불어 송신장치(20)와 수신장치(30)간의 동기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 40은 송신장치(20)로부터 수신된 각 송신장치 고유의 코드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38 denotes a processor which controls the entire receiver 30 and performs a security patrol payment function based on demodulation data applied from the FSK modulator 37. 39 denotes this processor ( The program storage unit 38 stores the operation program of 38 and the synchronization data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20 and the receiving device 30. 40 stores the code data unique to each transmitting device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20. Data storage.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41은 본 수신장치(4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조작키, 예컨대 본 수신장치(30)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키와, 수신된 각 송신장치(20)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키, 현재시간 조정을 위한 조정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이고, 42는 상기 프로세서(38)의 제어에 따라 현재의 시간데이터나 또는 송신장치(20)로부터 수신된 코드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evice) 등으로 구성된 표시부, 43은 상기 프로세서(38)의 제어에 따라 송신장치(20)로부터 해당 코드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소정의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알람신호 발생부, 44는 이 알람신호 발생부(43)에서 출력되는 알람신호를 가청신호로서 출력하는 스피커, 45는 상기 프로세서(38)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즉 각 송신장치(20)로부터 수신된 코드데이터를 예컨대 다른 프린터장치나 또는 소정의 컴퓨터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포트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41 denotes various operation keys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41, for example, an on / off key for controll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30, and each received transmission. A keypad having a data output key for outputting data from the device 20, an adjustment key for adjusting the current time, etc., 42 is the current time data or the transmitter 2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38; A display unit composed of, for example, an LCD (Liquid Crystal Device) or the like for displaying the code data received from the reference numeral 43, a predetermined alarm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code data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38.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44,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alarm signal output from the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43 as an audible signal, 45 to the data storage unit 4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38 It is an output port for outputting the stored data, that is, code data received from each transmitting apparatus 20, to another printer apparatus or a predetermined computer apparatus.

그리고, 도면에서 참조번호 46은 예컨대 밧데리(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구성된 전원부로서, 이는 상기 프로세서(38)의 제어에 따라 장치 전체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게 된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46 denotes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for example, a battery (not shown), which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entire apparatus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38.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도 5에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operation flowchart shown in FIG.

방범순찰자가 키패드(41)에 구비된 전원 온/오프키를 조작하여 수신장치(30)를 온시키게 되면(ST1 단계), 프로세서(38)는 전원부(46)를 제어하여 수신장치(30) 전체에 동작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동작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FSK 복조부(37)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저장부(39)에 저장되어 있는 동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동기데이터가 입력되는 지를 검출하게 된다(ST2 단계).When the security patrol manipulates the receiver 30 by operating the power on / off key provided in the keypad 41 (step ST1), the processor 38 controls the power supply 46 to control the entire receiver 30.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synchronous data is input by setting the whole device to an operating state by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device and comparing the data input from the FSK demodulator 37 with the synchronous data stored in the program storage unit 39. (ST2 step).

이어, 상기 ST2 단계에서 동기데이터가 검출되게 되면, 프로세서(38)는 상기 동기데이터의 이후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프로세서(38)는 그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생성된 날짜 및 시간데이터를 상기 수신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하게 된다(ST3 단계).Subsequently, when synchronous data is detected in the step ST2, the processor 38 stores data input after the synchronous data in the data storage 40, in which the processor 38 is provided therein. The date and time data generated by the timer (not shown) ar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40 together with the received data (step ST3).

또한, 프로세서(38)는 상기 ST3 단계에서 수신데이터 저장이 종료하게 되면 소정 시간동안, 예컨대 3초 동안 알람신호 발생부(43)를 구동하여 스피커(44)를 통해 소정의 알람음을 출력함과 더불어 표시부(42)를 구동하여 현재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ST4 단계).In addition, when the reception data storage is terminated in the step ST3, the processor 38 drives the alarm signal generator 43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for 3 seconds, and outputs a predetermined alarm sound through the speaker 44.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42 is driven to display the currently received data (ST4 step).

그리고, 상기한 동작상태는 방범순찰원이 키패드(41)를 조작하여 출력기능을 선택하거나 또는 전원 온/오프키를 조작하여 장치를 오프시킬 때까지 지속적으로 실행되게 된다.The above operation state is continuously executed until the security patrol officer operates the keypad 41 to select an output function or the power on / off key to turn off the device.

한편, 상기 ST5 단계에서 방범순찰원이 키패드(41)의 데이터 출력키를 조작하게 되면, 프로세서(38)는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즉 각 송신기(20)의 고유한 코드데이터와 그 코드데이터의 입력시간을 순차적으로 출력포트(45)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ST7 단계). 그리고, 상기한 출력동작이 종료하게 되면(ST8단계) 데이터 저장부(40)를 리셋트함으로써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모두 소거하게 된다(ST9 단계).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urity patrol officer manipulates the data output key of the keypad 41 in step ST5, the processor 38 is the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40, that is, the unique code of each transmitter 20 The data and the input time of the code data are sequentially output through the output port 45 (ST7 step). When the output operation ends (step ST8), the data storage unit 40 is reset to erase all stored data (step ST9).

즉,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송신장치(20)는 소정의 동기데이터에 부가하여 자신의 고유한 코드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송출하게 되고, 이때의 송신전력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출력신호가 소정 반경(P)을 넘지 않도록 설정되게 된다.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ransmitter 20 continuously transmits its own code data in addition to the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data, and at this time, the output power thereof has a predetermined output signal as described in FIG. It is set not to exceed the radius P.

그리고, 수신장치(30)는 상기 송신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코드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게 되고, 또 이와 같이 수신 저장된 코드데이터는 별도의 출력포트(45)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device 30 receives and stores the code data output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20, and the received and stored code data can be output through the separate output port 45.

따라서,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범순찰원이 수신장치(30)를 휴대한 상태로 순찰경로를 따라 순찰하게 되면, 각 송신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코드데이터가 수신장치(30)에 순차적으로 저장되게 되므로 별도의 수동적인 기록동작 없이도 순찰상황을 기록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 when the security patrol officer patrols along the patrol path while carrying the receiver 30, the code data output from each transmitter 20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receiver 30. Since it is stored, the patrol situation can be recorded without a separate manual recording operation.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송신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코드데이터와 함께 그 코드데이터 수신시간을 저장하게 되므로, 방범순찰원이 정상적으로 순찰업무를 실행하였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since the code data reception time is stored together with the code data received from each transmitting apparatus 20,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security patrol officer normally performs the patrol business.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정의 주파수신호를 근거로 송수신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예컨대 적외선 데이터 등을 통해 실행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es based on a predetermined frequency signal, but this may be performed through, for example, infrared data.

즉,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범순찰 자동결재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로, 도 6은 송신장치, 도 7은 수신장치를 나타낸 것이다.That is, Figures 6 and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curity patrol automatic pay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transmitting device, Figure 7 shows a receiving device.

도 6에 나타낸 송신장치는 소정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발생부(61)와, 이 데이터 발생부(6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신호레벨을 증폭하는 전력증폭기(62) 및, 이 전력증폭기(6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소정의 적외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외선 출력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ansmitter shown in FIG. 6 includes a data generator 61 for generating predetermined data, a power amplifier 62 for amplifying a signal level of data output from the data generator 61, and the power amplifier 62. Infrared output unit 63 for converting the data output from the predetermined infrared signal and outputs.

여기서, 상기 데이터 발생부(61)는 도 2에서 설명한 데이터 발생부(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지속적으로 동기데이터와 자신의 고유한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Here, the data generator 61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data generator 21 described in FIG. 2, and continuously generates and outputs synchronization data and its own code data.

그리고, 상기와 같이 데이터 발생부(61)에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데이터는 전력증폭기(62)에서 증폭된 후 적외선 출력부(63)로 인가되게 되고, 적외선 출력부(63)는 인가되는 데이터를 적외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generated and output by the data generator 61 is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62 and then applied to the infrared output unit 63, and the infrared output unit 63 transmits the applied data to infrared rays. The data is converted and output.

한편, 도 7에 나타낸 수신장치는 상술한 송신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인 코드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수신부(71)와, 이 적외선 수신부(71)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코드신호를 파형정형하는 파형정형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er shown in Fig. 7 is an infrared receiver 71 for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output from the above-described transmitter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ical code signal, and the electrical code signal output from the infrared receiver 71 The waveform shaping section 72 includes a waveform shaping section 72.

여기서, 상기 파형정형부(72)는 예컨대 쉬미트 트리거회로(Schmidt trigger circuit)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적외선 수신부(7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파형정형함으로써 안정된 구형파신호를 출력하게 된다.Here, the waveform shaping unit 72 includes, for example, a Schmidt trigger circuit, which outputs a stable square wave signal by waveform shap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frared receiver 71.

또한, 도면 7에서 상술한 도 4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가되어 있는 다른 회로부는 도 4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other circuit portion to whic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4 is added in FIG. 7 performs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the description of FIG. 4,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적외선을 통해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게 되는데, 이때 적외선 신호는 그 출력신호가 방향성을 가짐과 더불어 그 신호출력반경이 일정 거리 이하로 설정되게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he receiving device transmit / receive predetermined data through infrared rays. In this case, the infrared signal has a directionality with its output signal and its signal output radius is set to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장치를 휴대하는 방범순찰자가 송신장치에 근접한 거리에서 수신장치를 송신장치 측으로 대향시켜야 순찰상황이 기록되게 되므로, 더욱 정밀하게 순찰상황을 점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atrol situation in which the security patrol carrying the receiving apparatus faces the transmitting apparatus at a distance close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is recorded so that the patrol situation can be checked more precisely.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부를 생략할 수 있게 되므로 송수신장치의 회로구성을 더욱 간략화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ircuit portion for converting data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can be omitted, thereby further simplify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transceiv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 발생부(21)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터를 FSK 방식으로 디지탈변조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다른 변조방식을 통해서 실행하여도 무방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digital data output from the data generator 21 is digitally modulated by the FSK method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is may be performed through another modulation method.

즉,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imited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순찰자의 순찰상황을 자동으로 결재함으로써 순찰기록의 정확도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patrol record by automatically paying the patrol status of the patrol.

또한, 순찰기록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순찰업무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patrol records can be easily and quickly executed, patrol business can be made more efficient.

Claims (5)

각각 소정의 순찰위치에 설치됨과 더불어, 소정의 동기데이터와 자신의 고유한 식별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련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발생수단과, 이 데이터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장치 외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송신장치와,Data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series of data including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data and its own unique identification data, respectively provided at predetermined patrol positions, and data for outputting data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ing means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At least one transmitting device including an output means, 순찰자가 휴대하게 됨과 더불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본래의 코드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복원수단과, 소정의 동기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동기데이터 저장수단, 상기 식별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수단, 장치 전체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복원된 데이터와 상기 동기데이터가 일치하는 지를 판정하여 일치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코드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신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순찰 자동결재시스템.Data recovery means for carrying the patrol and restoring the original code data from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synchronization data storage means for storing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data, data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data, A processor which controls the entire apparatus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stored data and the synchronization data match and stores code data added to the matched data in the data storage means, and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means. Security patrol automatic pay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eiving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put port for outputting to an exter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은 상기 변조수단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신호를 그 출력반경이 일정 이하가 되도록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순찰 자동결재시스템.And the data output means amplifies and outputs the frequency signal outputted from the modulation means so that its output radiu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은 상기 데이터 발생수단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적외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외선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The data output means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frared output means for converting the data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ing means into infrared data, and outputs, 상기 데이터복원수단은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적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수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순찰 자동결재시스템.The data restoration means security patrol automatic pay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rared receiving means for converting the received infrared signal into a timely sig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신장치는 수신된 데이터가 동기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이를 외부에 알려 주기 위한 알람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순찰 자동결재시스템.And the receiv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alarm means for notifying the outside when the received data coincides with the synchronous dat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신장치는 현재의 시간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이머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데이터에 그 수신시간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순찰 자동결재시스템.The receiv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timer means for generating current time data, and the processor adds the received time data to the received data and stores the data in the data patrol means. .
KR1019970002617A 1997-01-29 1997-01-29 Automatic crime prevention patrol approval system KR1002488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617A KR100248872B1 (en) 1997-01-29 1997-01-29 Automatic crime prevention patrol approv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617A KR100248872B1 (en) 1997-01-29 1997-01-29 Automatic crime prevention patrol approva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859A KR19980066859A (en) 1998-10-15
KR100248872B1 true KR100248872B1 (en) 2000-03-15

Family

ID=1949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617A KR100248872B1 (en) 1997-01-29 1997-01-29 Automatic crime prevention patrol approva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8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574A (en) * 2016-09-29 2018-04-06 김병국 Face side decorative exchange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1099A (en) * 1988-10-31 1990-05-08 Hochiki Corp Patrol system
KR950001525A (en) * 1993-06-23 1995-01-03 안광희 Radio patrol check device and check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1099A (en) * 1988-10-31 1990-05-08 Hochiki Corp Patrol system
KR950001525A (en) * 1993-06-23 1995-01-03 안광희 Radio patrol check device and check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574A (en) * 2016-09-29 2018-04-06 김병국 Face side decorative exchang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859A (en)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7399A (en) Mobile radio paging test system
US7123874B1 (en) Cellular phone blocker
US5438329A (en) Duplex bi-directional multi-mode remote instrument reading and telemetry system
US4296408A (en) Location transmitting system
KR920011068B1 (en) Secret number changing method in cordlessphone
JP2003517242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operating mode and an energy saving stationary mode and a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the two modes
US20050254344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sound waves
CN101198995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a trainable transmitter
US5457716A (e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in a radio communication receiver
JPH07255095A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receiver
KR100335513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wiretap
KR100674596B1 (en) Radio communications unit
KR100248872B1 (en) Automatic crime prevention patrol approval system
US5004999A (en) Extended RF range alarm system
DE69817435T2 (en) Installation and monitoring of wireless security devices with reduced energy
JPH06291723A (en) Security radio system
EP1002294A1 (en) Portable object with contactless communication through two communication channels, inductive and radio wave
GB2420437A (en) A Radio-Frequency Security System
JPH04340195A (en) Radio alarm device
JPH0998480A (en)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8524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Remote Data by Using Boundary Frequency Leasing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RU2244959C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notifications in systems for centralized protection of real estate and vehicles
KR200235954Y1 (en) Wireless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KR1005168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emergency
JP2823270B2 (en)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01016

Effective date: 200110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1027

Effective date: 200110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0000167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01016

Effective date: 200110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0000172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1027

Effective date: 200110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