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010B1 - 쇼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쇼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010B1
KR100247010B1 KR1019970041867A KR19970041867A KR100247010B1 KR 100247010 B1 KR100247010 B1 KR 100247010B1 KR 1019970041867 A KR1019970041867 A KR 1019970041867A KR 19970041867 A KR19970041867 A KR 19970041867A KR 100247010 B1 KR100247010 B1 KR 100247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user
editing
storing
digita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645A (ko
Inventor
이혜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1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010B1/ko
Priority to US09/143,478 priority patent/US6590887B1/en
Priority to CN98119949A priority patent/CN1086080C/zh
Priority to EP98306967A priority patent/EP0899978B1/en
Priority to DE69838806T priority patent/DE69838806T2/de
Priority to BR9803267-4A priority patent/BR9803267A/pt
Publication of KR1999001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쇼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과정과, 상기 저장과정을 수행한 후 저장된 해당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선택하고 원하는 발신 메시지로 편집하는 편집과정과, 상기 편집과정에서 편집된 발신 메시지를 발신하는 발신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쇼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A DIGITAL MOBILE COMMUNCATION TERMINAL WITH SHORT MESSAGE SERVICE}
본 발명은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한다) 및 PCS와 같은 쇼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한다)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미리 정의하여 저장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SMS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메시지를 전송할 때마다 메시지를 입력해야 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는 문자 전용키가 없기 때문에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키를 눌러야 했다.
특히 한글인 경우 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여러번의 키를 눌러야 하여 몇 자 안되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긴 시간을 들여 많은 키를 눌러 메시지를 만들어 전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종래의 방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사용자가 SMS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저해요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메시지를 미리 메모리에 등록시켜 놓은 뒤 SMS 발신 기능을 이용할 때 상기 미리 등록시킨 또는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선택하게 하고 이를 발신 메시지로 사용하게 하면, 사용자는 일일이 모든 각 문자를 입력해서 사용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고 빠르게 SMS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때, 상기 미리 등록한 메시지 또는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실제로 발신되는 메시지로서 사용하는 것을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가 SMS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 상황이 다르므로 각 등록 메시지에 대한 편집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한글의 경우, 문장의 주어, 조동사, 조사, 접두사, 접미사등의 수정이나 원하는 부사구등의 삽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소정 메뉴에 의해서 각 등록 메시지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각 등록 메시지들의 결합등의 편집 기능 또한 이용할 수가 있을 것이다. 또한, SMS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메시지를 미리 메모리에 등록시켜 놓은 뒤 SMS 발신기능 이용시 등록시킨 메시지들을 불러내어 그 중에서 사용할 메시지를 선택하게 하고 전하고자 하는 실제 발신 메시지의 내용에 맞게 일부만 간단히 고쳐 발신 메시지에 사용하게 하면, 사용자는 빠르고 편리한 SMS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SMS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메시지를 미리 메모리에 등록시켜 놓은 뒤 SMS 발신기능 이용시 등록시킨 메시지들을 불러내어 그 중에서 사용할 메시지를 선택하게 하고 전하고자 하는 실제 발신 메시지의 내용에 맞게 일부만 간단히 고쳐 발신 메시지에 사용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MS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시지를 미리 정의하여 저장한 후 이를 독출 및 원하는 메시지로 편집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SMS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시지를 미리 정의하여 저장한 후 선택된 해당 사용자 정의 메시지에 대하여 주어, 조동사, 조사, 접두사, 접미사등구등의 수정 동작 및 필요한 부사의 삽입 동작과 상기 선택된 해당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결합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원하는 발신 메시지로 편집하고 상기 편집과정에서 편집된 발신 메시지를 발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쇼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과정과, 상기 저장과정을 수행한 후 저장된 해당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선택하고 원하는 발신 메시지로 편집하는 편집과정과, 상기 편집과정에서 편집된 발신 메시지를 발신하는 발신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의 구성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쇼트 메시지 서비스 발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은 SMS 기능이 들어가는 모든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 적용되며, 이하 설명되는 CPT(Cellular Paging Teleservice)는 PCS에서는 PPT(PCS Paging teleservice)와 같은 기능으로 수신측의 전화번호와 송신측의 전화번호만을 전송하는 CDMA의 SMS 기능이다. 이에 비해 CMT(Celluar Message teleservice)는 PCS에서는 PMT(PCS Message teleservice)와 같은 기능으로 짧은 사용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CDMA의 SMS 기능이다. 그리고 SMS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IS_637 및 IS_95A에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공지된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피한다.
도 1은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분만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제어부(10)는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11)는 본 발명에 따른 수행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및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과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정의 메시지들을 저장하는 이이피롬(EEPROM)으로 이루어진다.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한다)부(15)는 안테나(14)에서 수신되는 RF신호를 받아 복조하여 인코더/디코더(16)로 출력하고, 상기 인코더/디코더(1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조한 후 RF변환하여 안테나(14)를 통해 송출한다. 상기 인코더/디코더(16)는 CDMA나 PCS 전용 칩으로서,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발생하는 신호를 CDMA나 PCS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여 RF부(15)로 출력하고, 상기 RF부(15)에서 입력된 신호를 CDMA나 PCS 방식에 의해 디코딩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키입력부(12)는 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들과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표시부(13)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로서,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쇼트 메시지 서비스 발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과정과, 저장된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독출하여 편집하는 과정과, 편집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도 1의 구성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서 대기모드에서 사용자는 SMS 모드로 전환하는 메시지키를 조작한다. 그러면 제20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시지키의 조작을 감지하여 제21단계에서 SMS 메뉴를 표시부(13)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SMS 메뉴는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모드와 전송을 위한 모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SMS 메뉴를 보고서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선택키를 조작한다. 그리하여 제22단계에서 사용자 정의 메시지 저장 모드가 선택되면 제23단계에서 제어부(10)는 제1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표시데이터는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안내하는 데이터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제1표시데이터에 따라 문자키를 조작하여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입력할 것이다. 그러면 제24단계에서 제어부(10)는 제25단계에서 메시지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입력한다. 여기서 메시지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신호는 하나의 특정키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런 후에 제26단계에서 저장 주소가 입력되면 제27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주소에 상기 메시지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22단계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정의 메시지 저장 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SMS 전송모드를 선택하면 제28단계에서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여 제29단계에서 제2표시데이터를 표시부(13)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2표시데이터는 SMS 기능중 CMT와 CPT의 선택을 안내하는 데이터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제2표시데이터에 따라 키를 조작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것이다. 제30단계에서 사용자가 CMT를 선택하면 제31단계에서 제어부(10)는 제3표시데이터를 표시부(1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3표시데이터는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직접 메시지를 입력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데이터이다. 제32단계에서 사용자 정의 메시지의 사용이 선택되면 제33단계에서 제어부(10)는 사용자 정의 메시지들로 이루어진 메뉴를 표시부(13)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메뉴에서 원하는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선택하기 위해서 선택키를 조작할 것이다. 그러면 제34단계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제35단계에서 선택된 해당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표시부(13)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표시된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본 후 편집이 필요할 경우키조작을 통해 제36단계와 같이 상기 메시지를 편집한다.
이때, 상기 편집 동작은 문장의 주어, 조동사, 조사, 접두사, 접미사등의 수정 동작 및 필요한 부사구등의 삽입 동작이 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편집 동작은 상기 선택된 해당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결합하여 원하는 발신 메시지로 편집하는 동작이 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32단계에서 사용자가 직접 메시지 입력을 선택한 경우 제43단계에서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키의 조작을 감지하여 메시지를 입력한다. 표시부에 (13)에 표시한다. 그런 후에 제37단계에서 메시지 편집이나 메시지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38단계에서 제어부(10)는 제4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4표시데이터는 편집되거나 입력된 메시지와 함께 전송을 안내하는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제4표시데이터를 보고서 전송을 위해서 수신측 전화번호와 송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키를 조작한다. 그러면 제39단계에서 제어부(10)는 수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제40단계에서 송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제41단계에서 상기 송신키를 입력받아 제42단계에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36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시지를 편집하기 위한 키가 조작되지 않고 수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제39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제30단계에서 CMT가 선택되지 않고 제31단계에서 CPT가 선택되면 제44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한 제39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 정의 메시지의 저장의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한 제43단계에서 입력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시지를 미리 저장한 후 이를 편집하여 전송함으로써 메시지 입력에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키조작이 간편해져 간단하게 SM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5)

  1.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한글에 대한 쇼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과정과,
    상기 저장과정을 수행한 후 저장된 해당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선택하고 원하는 발신 메시지로 편집하는 편집과정과,
    상기 편집과정에서 편집된 발신 메시지를 발신하는 발신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과정이,
    사용자 정의 메시지 저장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받아 상기 모드 수행을 안내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표시데이터에 따른 상기 사용자 정의 메시지와 저장 주소가 입력되면 상기 주소로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과정이,
    저장된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표시된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편집한 후 표시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발신 메시지로 편집하는 동작이,
    주어, 조동사, 조사, 접두사, 접미사등구등의 수정 동작 및 필요한 부사의 삽입 동작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발신 메시지로 편집하는 동작이,
    상기 선택된 해당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결합하는 동작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41867A 1997-08-28 1997-08-28 쇼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KR100247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867A KR100247010B1 (ko) 1997-08-28 1997-08-28 쇼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US09/143,478 US6590887B1 (en) 1997-08-28 1998-08-28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i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rt message service function
CN98119949A CN1086080C (zh) 1997-08-28 1998-08-28 在具有短消息业务功能的数字移动通信终端中发送短消息的方法
EP98306967A EP0899978B1 (en) 1997-08-28 1998-08-28 Short message transmission
DE69838806T DE69838806T2 (de) 1997-08-28 1998-08-28 Kurznachrichtübertragung
BR9803267-4A BR9803267A (pt) 1997-08-28 1998-08-28 Processo para transmitir uma mensagem curta em um terminal digital de comunição móvel que tem uma memór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867A KR100247010B1 (ko) 1997-08-28 1997-08-28 쇼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645A KR19990018645A (ko) 1999-03-15
KR100247010B1 true KR100247010B1 (ko) 2000-03-15

Family

ID=1951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867A KR100247010B1 (ko) 1997-08-28 1997-08-28 쇼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90887B1 (ko)
EP (1) EP0899978B1 (ko)
KR (1) KR100247010B1 (ko)
CN (1) CN1086080C (ko)
BR (1) BR9803267A (ko)
DE (1) DE6983880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020A (ja) * 1998-09-14 2000-03-31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返信メール作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00064201A1 (en) * 1999-04-20 2000-10-26 Nokia Networks Oy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and system
AU2001250672A1 (en) * 2000-04-20 2001-12-24 Wilhelmus Leonardus Peter Marie Hermans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ing electronic mail
US6956831B1 (en) * 2000-08-28 2005-10-18 Converse Ltd. Wireless initiated messaging
KR100364357B1 (ko) * 2000-12-19 200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특수문자 입력 방법
KR100394004B1 (ko) * 2000-12-30 200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365860B1 (ko) * 2001-02-08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GB0103999D0 (en) * 2001-02-19 2001-04-04 Sensible Group Ltd Enhanced text-based messaging system
US6741678B2 (en) * 2001-05-31 2004-05-2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a data response from a called phone to a calling phone
ES2208038B1 (es) * 2001-12-10 2005-09-01 Airtel Movil, S.A. Sistema de almacenamiento de mensajes cortos (sms).
KR20030055673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 메시지작성 방법
US7761511B2 (en) * 2002-03-04 2010-07-20 Kyocer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 short message service (SMS) encod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O2005088994A1 (en) * 2004-03-11 2005-09-22 Valueadmin.Com Pty Ltd Telephone for sending voice and text messages
KR100609954B1 (ko) * 2004-05-31 2006-08-0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용구를 이용한 메시지 편집 방법
US7239881B2 (en) 2004-06-30 2007-07-03 Cingular Wireless Ii Llc Customized signature messaging service
KR100620687B1 (ko) * 2004-08-17 2006-09-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위치기반 단문메시지 시스템 및 위치기반 메시지 생성방법및 위치기반 메시지 표시방법
CN1314291C (zh) * 2005-06-14 2007-05-02 赵航 一种短消息地址簿的实现方法
KR20070045805A (ko) * 2005-10-28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 제어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US9514442B2 (en) 2008-05-09 2016-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lacing responses within an instant messaging system
US8341533B2 (en) * 2008-06-06 2012-12-25 Microsoft Corporation Storage and expedited retrieval of messages and responses in multi-tasking environments
US8294680B2 (en) * 2009-03-27 2012-10-23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touch-based text entry
DE102012010967A1 (de) 2012-05-31 2013-12-05 Golle Motor Gmbh Kreuzkopf /Kolben-Einheit für Kolbenmaschinen
KR102038352B1 (ko) 2014-10-30 2019-10-3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동 단말을 위한 sms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동 단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526A (ko) * 1995-12-29 1997-07-31 로더리히 네테부쉬; 롤프 옴케 테이블로부터 선택된 아시아 도형 문자를 이동 무선 장치의 단축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8880A (en) * 1991-07-08 1997-09-16 Alajajian; Philip Michael Inter-vehicle personal data communications device
JPH0918375A (ja) * 1995-06-30 1997-01-17 Sony Corp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US5943399A (en) * 1995-09-29 1999-08-24 Northern Telecom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to telecommunications terminals
US5692032A (en) * 1995-11-27 1997-11-25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terminal having one key user message acknowledgment function
FI101661B1 (fi) * 1996-01-08 1998-07-31 Nokia Mobile Phones Ltd Puhelimen oman puhelinvastaajan aktivointi soittajan numeron mukaan
US6097961A (en) * 1996-11-06 2000-08-0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station originated SMS using digital traffic chan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526A (ko) * 1995-12-29 1997-07-31 로더리히 네테부쉬; 롤프 옴케 테이블로부터 선택된 아시아 도형 문자를 이동 무선 장치의 단축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90887B1 (en) 2003-07-08
KR19990018645A (ko) 1999-03-15
BR9803267A (pt) 1999-11-03
DE69838806D1 (de) 2008-01-17
EP0899978A3 (en) 2000-03-15
EP0899978A2 (en) 1999-03-03
DE69838806T2 (de) 2008-10-30
CN1212534A (zh) 1999-03-31
EP0899978B1 (en) 2007-12-05
CN1086080C (zh) 200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010B1 (ko) 쇼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EP1168859B1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different alphabets
US6751483B1 (en) Method of displaying a local time of a called party in a portable mobile terminal
EP106385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hort message service of a digital mobile station and method therefor
JPH1056666A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のメッセージのメニュー駆動入力方法
US200600635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ing SMS message transmission and retaining received SMS message
KR10034248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폰북내용을 단문서비스로 송수신하기위한 방법
US7512107B2 (e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tting time according to pres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ime using the same
KR100308663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10046956A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발신측 사용자 알림 방법
KR20010058797A (ko) 휴대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100706980B1 (ko) 서브 화면에 위치되며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컨텐츠메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40044824A (ko) 접두번호 자동설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839838B1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500513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면분할을 통한 메시지 작성 방법
KR100450946B1 (ko) 휴대형무선통신단말기에서지역번호단축방법
KR2000004448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쇼트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KR100266810B1 (ko) 디지털이동통신단말기에서쇼트메시지서비스의메시지관리방법
KR100241776B1 (ko) 휴대폰에서 자기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방법
KR100485472B1 (ko) 다국어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이동통신 전화기
KR200200480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KR2003006401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19990083603A (ko) 액세스언어를선택하여무선전화의핸드셋으로부터무선전화의기지국의메뉴에액세스하는방법및장치
KR10070177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셀 방송 메시지의 업데이트 방법 및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50028761A (ko) 유,무선통신 단말기시스템의 에스엠에스메시지입력보안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