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571B1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Google Patents

Wastewater treat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571B1
KR100228571B1 KR1019970052090A KR19970052090A KR100228571B1 KR 100228571 B1 KR100228571 B1 KR 100228571B1 KR 1019970052090 A KR1019970052090 A KR 1019970052090A KR 19970052090 A KR19970052090 A KR 19970052090A KR 100228571 B1 KR100228571 B1 KR 100228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pressure
wastewater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0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31391A (en
Inventor
김흥대
박승조
Original Assignee
박승조
김흥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조, 김흥대 filed Critical 박승조
Priority to KR1019970052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571B1/en
Publication of KR19990031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3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5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을 제거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기포함유수를 형성하는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7',87), 기포함유수를 가입하는 압력탱크(9), 및 압력탱크(9)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펌프(11)를 포함하는 고압 기포함유수 형성부(3) ; 및 압력탱크(9)로부터 고압의 기포함유수가 유입되는 고압수 이송관(13)이 변심으로 연통되어 있어서 와류를 일으키면서 폐수 중의 부유물을 부상시키는 부상분리탱크(51,51'), 부상된 부유물을 기포와 함께 배출시키는 부유물 배출관(53), 및 부유물이 제거된 정수를 배출시키는 정수 배출관(55), 부상분리탱크(51,51') 내의 설치되어 기포와 슬러지가 정수 배출관(55)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57)에 의해 차단된 기포와 슬러지 및 부상분리탱크 바닥에 침적된 슬러지를 부상분리탱크(51,51')로부터 배출하여 압력탱크(9) 또는 고압수 이송관(13)으로 재순환시키는 순환관(59)을 포함하는 부유물 부상분리부(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 여기에서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7'87)은 고압수 이송관(13)에, 또는 고압수 이송관(13)과 압력탱크(9)에 폐수를 공급하는 라인(61",61")에 설치되고, 처리될 폐수는 부상분리탱크(51,51') 또는 압력탱크(9)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로써 부상분리에 의한 오폐수의 처리 속도와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removing various suspended matters contained in wastewater, and includes an oil-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7,7 ', 87) for forming the oil-containing water, and a pressure tank (9) for joining the oil-containing water. , And a high pressure air flow-forming part 3 including a pressurizing pump 11 for providing a pressing force to the pressure tank 9; And floating separation tanks (51, 51 ') for floating the waste water while causing the vortex to communicate with the high pressure water conveying pipe (13) into which the high pressure bubble flow water flows from the pressure tank (9). Float discharge pipe (53) for discharging the air together with bubbles, and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55)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from which the suspended matter is removed,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51 ') is installed in the bubble and sludge throug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55) Bubbles and sludge blocked by the blocking plate 57 to block the discharge and sludge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are discharged from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s 51 and 51 'to discharge the pressure tank 9 or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 13)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loat floating separator (5) including a circulation pipe 59 for recycling to; Here, the inclusion flow-water forming means (7,7'87) is a line (61 ", 61" for supplying wastewater to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or to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and the pressure tank (9)) ) Is provided with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n which the wastewater to be treated is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s 51 and 51 'or the pressure tank 9, thereby improving the treatment speed and treatment rate of the wastewater by the flotation separation. Can be.

Description

오폐수 처리 시스템Wastewater treatment system

[기술 분야][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오폐수에 바람직하지 않게 포함된 각종 부유물을 제거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하수, 산업폐수, 양식 및 양어장 배출수, 양축장 배출수 또는 수족관 배출수 등과 같은 오염된 담수 또는 해수, 및 기름으로 오염된 해수 등으로부터, 부상성 고형물(floating solid), 부유성 고형물(suspended solid) 또는 유분(oily matter)과 같은 각종 부유물을 부상분리(flotation)에 의해 제거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removing various floats undesirably contained in wastewater, and more particularly, contaminated freshwater or seawater such as household sewage, industrial wastewater, aquaculture and fish farm discharged water, aquatic farm discharged water or aquarium discharged water. To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removing various suspended matters such as floating solids, suspended solids or oily matters by flotation from seawater contaminated with water, oil and oil. will be.

[배경 기술]Background Technology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환경 오염의 심각성은 인간의 생존을 위협할 정도에 이르렀으며, 특히 가정하수, 공장폐수, 양식(어)장 폐수, 축산폐수, 선박의 기름유출등으로 인한 지하수, 하천 및 바다의 오염도 날로 심각해져가고 있다.As the industry has advanced, the sever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has threatened human survival, especially groundwater, rivers and seas caused by domestic sewage, factory wastewater, fish farm wastewater, livestock wastewater and ship oil spills. Pollution is also getting worse day by day.

오염된 물을 정화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방출하거나 유출된 기름을 제거하지 아니하고 방치하면, 각종 유기물, 미생물, 유독성 화합물 등으로 인해 부영양화 등이 발생하여 수생 생태계가 파괴될 뿐만 아니라 직간접적으로 인간에게도 심각한 피해를 입히게 된다.If the polluted water is not purified without being discharged or left without removing the spilled oil, various organic matters, microorganisms, and toxic compounds may cause eutrophication, resulting in the destruction of the aquatic ecosystem as well as serious damage to humans directly and indirectly. Coated.

이와 같은 수질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오염물질의 배출을 가능한 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현대 산업사회에서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오염물질의 발생은 불가피하므로, 오염된 물로부터 오염물질을 즉시 제거하거나 해롭지 않게 처리하는 등의 적절한 폐수처리 조치가 필요 불가결하다.In order to minimize such water pollution, it is desirable to basically reduce the emission of pollutants as much as possible, but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generation of various pollutants that may adversely affect the water quality is inevitable. Proper wastewater treatment measures, such as immediate removal or nonhazardous treatment, are indispensable.

전형적인 폐수처리 방법은, 일련의 물리적 처리(단위조작 : unit operation)와 화학 또는 생물학적 처리(단위공정 : unit process)를 조합하여 폐수로부터 오염물질을 3단계 처리로 제거하는 것이다.Typical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combine a series of physical treatments (unit operations) with chemical or biological treatments (unit processes)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wastewater in three steps.

1차 처리(primary treatment)에서는 폐수중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큰 오염물을 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스크린으로 걸러내는 스크린분리(screening), 물보다 무거운 오염물을 중력에 의해 분리하는 침강분리(sedimentation)등의 단위조작을 적용하여, 폐수 중에 포함된 부상성 오염물과 침강성 오염물을 일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1차 처리는 통상 전처리라고도 한다.In primary treatment, screening is used to filter out relatively large contaminants in the wastewater into screens with holes of uniform size, and sedimentation to separate contaminants heavier than water by gravity. It is common to first apply the flotation and sediment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by applying the unit operation of. This primary treatment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pretreatment.

2차 처리에서는 응집제, 흡착제 및 살균제등의 각종 약품을 사용하여 현탁부유물을 응집 및 침강시키거나 흡착시키고 병원균을 사멸시키는 등의 화학적 단위 공정과,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비침강성 생분해 유기물을 분해하여 기체로 전환시키거나 부유물로 응집시켜 침강제거하는 등의 생물학적 단위공정을 사용하며, 폐수 중에 포함된 유기물을 주로 제거한다.In the secondary treatment, various chemicals such as flocculants, adsorbents, and fungicides are used to agglomerate and sediment or adsorb suspended solids, and to kill pathogens, and to decompose non-precipitable biodegradable organic substances by the action of microorganisms. Biological unit processes, such as conversion to or flocculation with suspended solids, are used to remov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wastewater.

3차 처리(또는 고도 처리라고 함)에는 앞서 1차 및 2차 처리에 언급된 여러 가지 단위조작과 단위공정이 복합적으로 적용되며, 1차 및 2차 처리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는 암모니아, 질소, 인 등을 비롯한 각종 무기물과 중금속 및 합성유기물 등을 제거한다The tertiary treatment (or advanced treatment) is a combination of many of the unit operations and unit processes mentioned earlier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s, and ammonia, nitrogen and phosphorus are not easily removed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s. Remove various 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heavy metals and synthetic organics

이상에서 설명한 전형적인 폐수처리 방법은 다분히 임의적인 것일 뿐이며, 처리될 폐수 및 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의 종류, 폐수의 오염 정도, 처리될 폐수의 양, 처리된 폐수의 처분방법 (방류 또는 재사용), 목표하는 오염물의 제거율, 폐수처리시설의 특성 등에 따라, 앞서 언급한 여러 가지 단위조작과 단위공정을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하므로써 목적하는 소정의 폐수처리효과를 득하게 된다.The typical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described above are only arbitrary. The wastewater to be treated and the types of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tewater, the amount of wastewater to be treated, the method of disposing of the treated wastewater (discharge or reuse), and the target Depending on the removal rate of polluta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the like, the above-described various unit operations and unit processes may be appropriately combined to obtain a desired wastewater treatment effect.

폐수처리 공정에는 유기물과 같은 각종 부유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있다.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includes a process for removing various suspended matter such as organic matter.

이들 부유물의 분리 및 제거는 부유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예, 크기, 밀도, 표면 전하등)에 따라 스크린분리, 침강분리, 부상분리 또는 여과분리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종래의 폐수처리 방법에 있어서 부유물의 제거는 침강분리가 우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Separation and removal of these suspended solids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screen separation, sedimentation separation, flotation separation or filtration separation depend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eg, size, density, surface charge, etc.) of the suspended solids. In the treatment method, sedimentation separation is predominantly used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예를 들면, 전처리 공정의 경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부유물은 랙이나 망에 의한 스크린분리로 제거하고 물보다 비중이 매우 틈 부유물은 침강분리에 의해 제거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retreatment process, the floats of relatively large size are removed by screen separation by racks or nets, and the suspended solids having a specific gravity larger than water are removed by sedimentation.

그리고 밀도가 물에 유사한 미세 현탁부유물이나 입자는 침강속도가 느리고 스크린에 의한 차폐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응집제를 참가하여 부유물의 물리적 상태를 변경시킨 후에 침강 제거하는 화학침전(chemical precipitation)에 의한 침강분리가 전리공정을 보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Since fine suspensions or particles having similar densities to water have a slow settling speed and are not suitable for screening shielding, sedimentation by chemical precipitation that involves flocculation and settling removal after changing the physical state of the suspended solids. Separation is used as a complement to the ionization process.

아울러, 화학적 처리에서는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학 응집 공정에서 화학 플럭(chemical floc)의 침강분리가 전형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생물학적 처리 결과로 형성된 플럭의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화학침전에 의한 침강분리가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in chemical treatment, sedimentation and separation of chemical flocs are typically used in chemical flocculation as a method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and sedimentation and separation by chemical precipitation to facilitate removal of the floc formed as a result of biological treatment. It is used.

물론 고도처리에 있어서도 부유물의 침전을 위해 화학침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Of course, chemical precipitation is mainly used for the precipitation of suspended solids in the advanced treatment.

이와 같이 폐수처리 과정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화학 침전에 의한 부유물의 침강분리는, 황산알루미늄(명반 : alum), 폴리염화알루미늄(pac), 황산철(II,III), 염화철(II) 등의 무기계 응집제(flocculent),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아미드계폴리머 등의 유기 응집제를 폐수에 투입하므로써, 폐수 중에 현탁(부유)되어 있는 미립의 부유물을 큰 플럭이나 응집물로 응집시켜 침강시키는 화학적 단위공정으로서, 약품의 단순한 투입으로 부유물을 대략 80-90%까지 침강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Sedimentation of suspended solids by chemical precipitation, which is widely used in wastewater treatment, is carried out by inorganic systems such as aluminum sulfate (alum), polyaluminum chloride (pac), iron sulfate (II, III) and iron chloride (II). A chemical unit process in which organic flocculants such as flocculents, polyacrylates, and acrylamide-based polymers are introduced into wastewater, whereby fine suspended solids suspended in the wastewater are flocculated into large flocks or aggregates to settle.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settle down to about 80-90% of the suspended solids with a simple addition of.

그러나, 응집제를 사용한 부유물의 침강분리는, 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의 종류와 량에 따라 적절한 응집제와 투여량을 결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응집제의 사용전에 폐수의 오염성분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어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만족스러운 부유물 제거를 이룰 수 없거나 필요 이상의 응집제를 사용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edimentation and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using flocculant requires appropriate data of flocculant and dosage according to the type and amount of suspended solids in the wastewater. Otherwise, there is a problem that satisfactory removal of suspended solids may not be achieved or more flocculants may be used than necessary.

또한, 비록 부유물의 침강에 사용하는 응집제는, 그것이 비록 수질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아니더라도, 처리된 정수와 침전된 슬러지에 응집제가 잔류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한다.In addition, flocculants used for sedimentation of suspended solids cause problems in that flocculant remains in treated purified water and sedimented sludge, even though it does not contain components that severely affect water quality.

그리고, 화학침강에는 상당한 약품 비용이 소요되고, 응집제를 저장하고 주입하는 설비 및 응집제의 주입량과 주입속도 등을 제어하는 장치 등 부수 설비를 요하며, 침강탱크로부터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의 취급과 처분에 어려움이 있는 등 여러 가지 비용 부담의 요인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chemical sedimentation requires considerable chemical costs, requires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device for storing and injecting a flocculant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amount and rate of injection of the flocculant, and it is not easy to remove sludge from the sedimentation tank. Rather, it involves various cost burden factors such as difficulty in handling and disposal of sludge.

한편, 폐수처리 공정에서는 폐수 중에 포함된 부유물을 부상분리에 의해 제거하는 물리적 단위조작이 적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a physical unit operation for removing floating matter contained in the wastewater by flotation is applied.

부상분리는 부유물 또는 액체입자(예, 기름)를 폐수로부터 분리함에 있어서, 미세한 기포(공기)를 폐수 중에 도입하여 기포가 부유물에 부착되도록 하므로써 부유물-기포 복합체를 형성하여 그 부력을 증가시키고, 이로써 폐수로부터 부상된 부유물을 스키밍(skimming) 조작으로 제거하는 방식이다.Flotation separation separates suspended matter or liquid particles (e.g. oil) from wastewater by introducing fine bubbles (air) into the wastewater, allowing bubbles to adhere to the suspended matter, thereby forming a float-bubble complex that increases its buoyancy. Floating floating from the waste water is removed by skimming.

전통적인 부상분리의 방식으로는 회전 임펠러나 산기관을 이용하여 공기를 직접 폐수에 불어넣어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공기부상분리방식(air flotation)이 있으나, 이 방식은 단기간의 폭기만으로 부유물의 부상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 때문에 일반적으로 폐수의 부유물 제거에 효과적이지 못하다.Traditional flotation separation method uses air flotation, which uses a rotary impeller or diffuser to directly blow air into the wastewater to generate air bubbles. Due to limitations that cannot be achieved effectively, they are generally not effective in removing suspended solids from waste water.

부상분리의 다른 방식으로는 가압식 부상분리가 있는 바, 이 방법은 압력탱크에서 에어 콤프레셔와 같은 가압장치를 사용하여 폐수에 고압의 공기를 용해시킨 다음, 공기 가압된 폐수를 부상분리 탱크로 보내어 압력을 낮추므로써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기포에 의해 부유물을 부상시키는 원리에 의해 작동된다.Another method of flotation is pressurized flotation, which uses a pressurization device, such as an air compressor, in the pressure tank to dissolve high pressure air in the wastewater and then send the pressurized wastewater to the flotation tank to It is operated by the principle of generating fine bubbles by lowering and floating the float by the bubbles thus generated.

그러나, 종래의 가압식 부상분리 장치는, 부상된 부유물을 부상분리탱크로부터 제거하는 스키머 장치(skimmer) 및 침강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슬러지 수집기등을 필요로 하여 장치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부유물의 제거율이 낮고 부유물을 부상시키는 속도가 느려서 전체적인 폐수처리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ressurized flotation separator requires a skimmer to remove the floating flotation from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and a sludge collector to discharge the settled slud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wastewater treatment speed is low because of the low and slow floating speed.

또한, 경우에 따라서 부상분리율을 향상시키고 분리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유물을 서로 결합시키고 공기기포를 쉽게 흡수하게 하는 약품(예, 알루미늄염, 철염, 활성실리카 등)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고, 응집제에 의한 화학적 침강분리를 병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some cases, in order to improve the flotation rate and increase the separation speed, it is necessary to use a chemical agent (eg, aluminum salt, iron salt, activated silica, etc.) that binds the suspended matter to each other and easily absorbs air bubbles. There is a drawback of having to perform chemical sediment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부상분리 장치가 지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학침적을 적용한 침강분리장치를 대처할 수 있을 정도로 부유물의 제거율이 높고, 부유물의 제거속도가 빠르며, 그 구조가 간단한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lotation apparatus, and the removal rate of the suspended solids is high enough to cope with the sedimentation separator applied with chemical deposition, and the removal speed of the suspended solids is fast, and the structure thereof. Aims to provide a simpl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집제를 사용하지 아니하면서도 폐수 중에 포함된 부상성 고형물, 부유성 고형물 및 유분과 같은 부유물을 대략 90%이상까지 부상분리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hich can remove by floating separation up to approximately 90% or more of suspended solids, suspended solids and oil contained in wastewater without using floccula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르누이 정리의 원리에 따라 가압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폐수에 기포를 도입하여 압력탱크에서 가압하고, 압력탱크로부터의 기포함유수를 부상분리탱크에 편심적으로 유입하므로써 부상분리 탱크의 폐수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여 부유물의 물리적 응집 및 부상호가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기포에 의해 부상된 부유물을 별도의 스키머 장치의 사용없이 부상분리탱크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roduce a bubble to the waste water conveyed by the pressure pump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Bernoulli theorem to pressurize in the pressure tank, by separating the flotation water from the pressure tank by eccentric inflow into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By providing vortices in the wastewater of the tank to improve the physical flocculation and flotation of the suspended matter, and to provide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that can remove the floating flotation from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without the use of a separate skimmer.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탱크로부터의 기포함유수를 부상분리 탱크에 편심적으로 유입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기포와 크기가 작은 기포가 혼합된 상태의 기포함유수가 유입되게 하므로써, 부유물의 부상속도를 향상시키는 오폐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air containing the water from the pressure tank to be eccentrically introduced into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thereby allowing the air containing the water containing a mixture of relatively large bubbles and small bubbles to flow therethrough. It is to provide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that improves the speed of injur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정하수, 제지폐수 또는 염색폐수 등의 산업 폐수, 양식 및 양어장 배출수, 수족관 배출, 축산폐수 등과 같은 오염된 담수 또는 해수로부터 부유물을 제거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등, 부유물의 제거를 요하는 각종 수처리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removal of suspended solids from contaminated fresh or seawater, such as industrial sewage, paper wastewater or dyed wastewater, aquaculture and fish farm drainage, aquarium discharge, livestock wastewater, et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that can be widely applied to various water treatments requiring remov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식장과 같이 일정량의 용존 산소를 필요로 하는 양식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by supplying oxygen to aquaculture water that requires a certain amount of dissolved oxygen, such as aquaculture farm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제1구체예를 보여주는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inclusion flow forming means.

제3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4도는 다른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other air flow forming means.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제2구체예를 보여주는 개략도.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제2구체예의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을 도시한 개략도.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air flow-forming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제3구체예를 보여주는 개략도.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하나의 부상분리탱크에 다수의 압력탱크를 설치하는 본 발명의 제4구체예를 보여주는 개략 횡단면도.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nstalling a plurality of pressure tanks in one floating separation tank.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직렬로 다수 연결한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in series.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오폐수 처리 시스템 3 : 고압 기포함유수 형성부1: Wastewater treatment system 3: High pressure air flow forming unit

5 : 부유물 부상분리부 7,7'87,71 : 기포함유수 형성수단5: floating float separation unit 7,7'87,71: containing water flow forming means

9 : 압력탱크 11 : 가압펌프9 pressure tank 11 pressure pump

13 : 고압수 이송관 15 : 벤투리관13: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5: venturi pipe

17,75 : 급기관 21 : 입구관17,75: supply pipe 21: inlet pipe

23 : 출구관 27 : 통공격판23: outlet pipe 27: through hole plate

29 : 압력계 31,31',69 : 드레인 밸브29: pressure gauge 31,31 ', 69: drain valve

51,51' : 부상분리탱크 53 : 부유물 배출관51,51 ': Floating separation tank 53: Float discharge pipe

55 : 정수 배출관 57 : 차단판55: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57: blocking plate

59,59',59",59"' : 순환관 61,61',61",61"' : 폐수 공급관 및 분지관59,59 ', 59 ", 59"': Circulation pipe 61,61 ', 61 ", 61"': Wastewater supply pipe and basin pipe

63 : 필터 73 : 분기관63: filter 73: branch pipe

83 : 필터 85 : 고압공기 노즐83 filter 85 high pressure air nozzl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르누이 정리에 근거하여 물에 공기를 흡입시켜 기포함유수를 형성하고, 형성된 기포함유수를 가압펌프에 의해 압력탱크에서 고압으로 가압하고, 가압된 고압의 기포함유수를 저압의 부상분리탱크로 보내어 폐수를 와류시키므로써, 폐수 중에 함유된 부상성 부유물, 부유성 부유물 또는 유분과 같은 부유물을 부상분리로 제거하며, 이때 상기 부상분리 탱크에 공급되는 기포함유수 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기포와 크기가 큰 기포와 크기가 작은 미세기포가 포함되도록 구성된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ased on Bernoulli's theorem, the air is sucked into the water to form the inclusion water, and the formed inclusion water is pressurized to high pressure in the pressure tank by a pressure pump, and the pressurized high pressure inclusion water By sending the to the low pressure floating separation tank to vortex the waste water, floating floating matters such as floating float, floating float or oil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are removed by floating separation. This is achieved by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onfigured to include large bubbles, large bubbles and small micro bubbles.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될 폐수에 공기를 흡입시켜 기포함유수를 형성하는 기포함유수 형성수단, 상기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기포함유수를 고압으로 가압하는 압력탱크, 및 상기 압력탱크에 가압력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펌프를 포함하는 고압 기포함유수 형성부; 및 상기 압력탱크로부터 고압의 기포함유수가 유입되는 고압수 이송관이 편심으로 연통되어 있어서 내부의 폐수가 상기 고압수 이송관으로부터 분출되는 고압의 기포함유수에 의해 와류를 일으키면서 폐수 중의 부유물을 부상시키는 부상분리탱크, 부상된 부유물을 기포와 함께 배출시키는 부유물 배출관, 및 부유물이 제거된 최종 정수를 배출시키는 정수 배출관, 상기 부상분리탱크 내의 상기 정수 배출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기포와 슬러지가 상기 정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 상기 차단판에 의해 차단된 기포와 슬러지 및 상기 부상분리탱크 또는 상기 고압수 이송관으로 재순환시키는 순환관을 포함하는 부유물 부상분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 여기에서 상기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은 상기 압력탱크와 상기 부상분리탱크를 연결하는 고압수 이송관에, 또는 상기 고압수 이송관과 상기 압력탱크에 폐수를 공급하는 라인에 설치되고, 처리될 폐수는 상기 부상분리탱크 또는 상기 압력탱크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More 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for sucking air into the waste water to be treated to form air containing water, a pressure tank for pressurizing the air containing water formed by the air 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at high pressure, and A high pressure air flow-forming part including a pressurizing pump configured to provide a pressurizing pressure to the pressure tank; And an eccentric communication of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into which the high pressure bubble flow water flows from the pressure tank, thereby causing floating in the waste water while causing vortex by the high pressure bubble flow water discharged from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Floating separation tank for discharging, floating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floating float together with the bubble, and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final purified water from which the float is removed,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in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bubbles and sludge is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floating plate including a blocking plate for blocking the discharge through, the bubble and sludge blocked by the blocking plate and the circulation pipe for recycling to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or the high-pressure water transfer pipe: Here, the air-containing flow forming means includes the pressure tank and the unit A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connecting a phase separation tank or a line for supplying waste water to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and the pressure tank, and the waste water to be treated is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and the pressure tank. It is achieved by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본 명세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폐수"는, 가정하수, 공장폐수, 양어장 배출수, 기름이 유출된 해수 등, 각종 부유물을 함유하고 있는 오염된 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시스템에 유입되어 1차로 부상분리 처리된 물까지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시스템으로부터 배출될 때까지의 모든 물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wastewater" refers to contaminated water containing various suspended matters, such as domestic sewage, factory wastewater, fish farm discharged water, and seawater spilled with oil, and flows in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primarily used. It means all the water up to the final discharge from the system, including the flotation treated water.

다음에 "부유물"은 부상성 고형물, 부유성 고형물 및 유분과 같은 부상분리에 의해 분리할 수 있는 모든 오염물을 통칭하는 의미로서 사용된다."Float" is then used generically to refer to all contaminants that can be separated by flotation, such as flotation, suspended solids and oil.

본 발명에 있어서 고압 기포함유수 형성부의 일부를 이루는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은, 압력탱크와 부상분리탱크를 연결하는 고압수 이송관에만 설치하면 되는 경우와, 고압수 이송관뿐만 아니라 압력탱크에 폐수를 공급하는 라인(폐수 공급관 또는 폐수 공급관의 분지관)에도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usion-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constituting a part of the high-pressure-containing oil-water forming portion may be installed only in the high-pressure water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pressure tank and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and the wastewater in the pressure tank as well as the high-pressure water transfer pipe. In some cases, it may be necessary to install them in the supply line (a wastewater supply pipe or a branch pipe of the wastewater supply pipe).

즉, 이후에 더욱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부상분리탱크를 거쳐 1차로 부유물이 부상분리된 폐수의 일부가 순환관에 의해 다시 압력탱크로 순환되도록 구성된 시스템의 경우(제1구체예 참조)에는 고압수 이송관에만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을 설치하면 충분하지만, 부상분리탱크를 거친 폐수의 일부가 순환관에 의해 고압수 이송관으로 순환되도록 구성된 시스템의 경우(제2 및 제3구체예 참조)에는 고압수 이송관에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압력탱크에 폐수를 공급하는 라인에 또 다른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을 설치하여야 한다.That is, as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in the case of a system configured to circulate a part of the wastewater in which the floating matter is first separated through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is circulated back to the pressure tank by the circulation pipe (see the first embodiment). Although it is sufficient to install the preliminary effluent forming means only in the water conveying pipe, in the case of a system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waste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is circulated by the circulation pipe to the high pressure water conveying pipe (see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 examples). In addition to the means for forming the containment water in the high pressure water pipe, another means for forming the oil in the line to supply the wastewater to the pressure tanks are to be provided.

그 이유는 부상분리탱크에 공급되는 기포함유수에 상대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큰 기포와 크기가 작은 미세기포가 모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 점에 관해서는 각구체예를 설명할 때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o include both large bubbles and small micro bubbles in the bubble-inflowing water supplied to the flotation tank, which will become more apparent when explaining examples. will be.

이하에서 고압수 이송관에 설치되는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은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으로 칭하고, 압력탱크에 폐수를 공급하는 라인(폐수 공급관 또는 폐수 공급관의 분지관)에 설치되는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은 제2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으로 칭하며, 기타 선택적으로(임의로) 설치되는 추가의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은 제3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으로 칭한다.The inclusion-containing oil-water forming means installed in the high-pressure water conveying pipe hereinafter is referred to as the first-containing oil-water forming means, and the formation-containing oil-water is installed in the line (waste water supply pipe or branch pipe of the wast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ste water to the pressure tank. The means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bubbling water forming means, and the other optional (optionally) additional bubbling water forming means is referred to as the third bubbling water forming means.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 압력탱크에서의 기포함유수 가압력을 제공하고 고압수 이송관을 흐르는 폐수에 압송력을 제고하는 가압펌프는, 압력탱크로 폐수를 유입하는 관에 설치되는 바, 전자의 시스템(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만을 필수적으로 가지는 시스템)의 경우 가압펌프는 순환관에 설치되고, 후자의 시스템(제1 및 제2의 기포함유소 형성수단을 필수적으로 가지는 시스템)은 폐수 공급관 또는 폐수 공급관의 분지관에 설치된다.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ized pump that provides the pressurized oil pressure in the pressure tank and improves the pumping force to the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high-pressure water feed pipe is installed in a pipe that introduces the wastewater into the pressure tank. In the case of a system having essentially only the first gas-containing oil forming means, the pressurized pump is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pipe, and the latter system (the system having essentially the first and the second gas-containing gas forming means) is a waste water supply pipe or It is installed in the branch pipe of the waste water supply pipe.

이때 후자의 시스템에 있어서 제2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은 압력탱크와 가압펌프 사이에 설치된다.At this time, in the latter system, the second air flow forming means is installed between the pressure tank and the pressure pump.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처리될 폐수는, 폐수 공급관(또는 그분지관)을 통해 부상분리탱크 또는 압력탱크로 유입되므로써 본 시스템 내로 공급된다.The wastewater to be treated b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into the system by flowing into the flotation tank or the pressure tank through the wastewater supply pipe (or its pipe).

즉, 전자의 시스템에 있어서 폐수는 폐수 공급관을 통해 부상분리탱크로 공급되므로써 본 시스템에 유입되고(제1구체예), 후자의 시스템에 있어서 폐수는 폐수 공급관을 통해 압력탱크와 부상분리탱크에 나누어 공급되거나(제2구체예) 또는 압력탱크에 전적으로 공급된다(제3구체예).That is, in the former system, the wastewater is introduced into the system by being supplied to the flotation tank through the wastewater supply pipe (Example 1), and in the latter system, the wastewater is divided into the pressure tank and the flotation tank through the wastewater supply pipe. Supply (second embodiment) or entirely to the pressure tank (third embodiment).

부유물 부상분리부에 사용되는 부상분리탱크는 상하부가 원뿔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 탱크(제1구체예), 종형으로 된 탱크(제2구체예) 등을 상용할 수 있다.The floating separation tank used in the floating floating separation unit can be used a cylindrical tank (first embodiment), a vertical tank (second embodiment) and the like having a top and bottom conical shape.

[바람직한 구체예][Preferred Embodiment]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구체예][Example 1]

먼저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제1구체예를 설명한다.First, a first embodim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제1 구체에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2도는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다른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containing water flow forming means,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inclusion stream forming means.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1)은, 크게 고압 기포함유수 형성부(3)와 부유물 부상분리부(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high pressure air-containing flow-forming part 3 and a float floating separator 5.

고압 기포함유수 형성부(3)는 부상분리처리될 폐수에 공기를 흡입시켜 기포함유수를 형성하는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과 이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에 의해 형성된 기포함유수를 고압으로 가압하는 압력탱크(9), 및 상기 압력탱크에 가압력을 제공하느 가압펌프(11)를 포함한다.The high-pressure bubbling water forming portion 3 is formed by the first bubbling water forming means 7 and the bubbling water forming means 7 which suck air into the wastewater to be separated and treated to form a containing water. It includes a pressure tank (9) for pressurizing the flowing water to a high pressure, and a pressure pump (11) for providing a pressing force to the pressure tank.

먼저, 상기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은 에어 콤프레셔와 같은 통상의 공기유입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르누이 정리를 이용한 벤투리관(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벤투리관(15)에는 급기관(17)이 부착되어 있다.First, the first air-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7 may use a conventional air inlet means such as an air compresso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venturi tube using Bernoulli theorem is preferably used. 15 is formed, and the air supply pipe 17 is attached to this venturi pipe 15.

따라서 고압수 이송관(13)을 흐르는 폐수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급기관(17)을 통해 폐수 속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Therefore,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through the air supply pipe 17 by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action of the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급기관(17)에는 밸브(19)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The air supply pipe 17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19 to adjust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therein.

이와 같은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의 공기흡입작용은 널리 알려진 베르누이 정리(Bernoulli's theorem)에 따른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이론 내용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ir suction action of the first gas-containing flow forming means 7 is based on the well-known Bernoulli's theorem, and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theoretical content is omitted.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에 의해 기포를 함유하게 된 폐수는, 본 구체예에서 부유물 부상분리부(5)의 부상분리탱크(51)와 순환관(59)을 경유하여 압력탱크(9)로 이송된다.The wastewater containing the bubbles by the first bubble-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7 is, in this embodiment, a pressure tank (via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and the circulation pipe 59 of the floating flotation separator 5). 9) is transferred to.

압력탱크(9)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기포 함유수가 유입되는 입구관(21)이 상부에 구비되어서 후술하는 (통합)순환관(59")에 연결되어 있고, 압력탱크(9)에서 가압된 기포함유수를 부상분리탱크(51)로 보내는 출구관(23)이 하부에 설치되어 고압수 이송관(13)에 연결되어 있다.The pressure tank 9 has a cylindrical shape, is provided with an inlet tube 21 through which bubble-containing water flows and is connected to a (integrated) circulation tube 5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pressurized by the pressure tank 9 The outlet pipe 23 for sending the included containing water to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is installed at the bottom and is connected to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바람직하게 고압수 이송관(13)에는 부유물 부상분리부(5)로 유입되는 기포함유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25)가 설치된다.Preferably,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is provided with a valve 25 so as to adjust the amount of air containing water flowing into the float floating separator (5).

입구관(21)의 압력탱크(9) 내측 말단(21')은 압력탱크(9)의 상단에 위치하고 출구관(23)의 압력탱크(9) 내측 말단(23')은 압력탱크(9)의 하단에 위치되어 있어서, 압력탱크(9)에 유입된 기포유수가 가압펌프(11)의 가압력에 의해 충분히 가압된 기포함유수가 고압수 이송관(13)을 통해 부상문리탱크(51)로 이송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The inner end 21 ′ of the pressure tank 9 of the inlet pipe 2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pressure tank 9, and the inner end 23 ′ of the pressure tank 9 of the outlet pipe 23 is the pressure tank 9.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he bubble flow flowing into the pressure tank (9) is sufficiently pressurized by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pressure pump 11, the bubble-containing flow is transferred to the floating door tank (51) through the high-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It is supposed to be.

아울러 압력탱크(9) 내에는, 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공격판(27)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폐수에 포함된 기포의 미세화를 촉진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tank 9, a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1, a plurality of through-plates 27 are provided horizontally to promote the miniaturization of bubble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또한 압력탱크(9)에는 탱크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29)가 설치되어 있고, 상하부에 각각 드레인 밸브(31,31')가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tank 9 is provided with a pressure gauge 29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and drain valves 31 and 31 'are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본 구체예에서 가압펌프(11)는 후술하는 (통합)순환관(59"')의 일점에 설치되며, 압력탱크(9)로 유입되는 기포를 함유한 폐수에 가압력을 제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 pump 11 is installed at one point of the (integrated) circulation pipe 59 "'described later, and provides a pressing force to the wastewater containing bubbles flowing into the pressure tank 9.

이상에서 설명한 고압 기포함유수 형성부(3)의 구성에 따라,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을 지나면서 기포흘 함유하게 된 폐수는 부상분리탱크(51)를 경유하여 그 일부가 기포와 함께 순환관(59)을 통해 압력탱크(9)로 유입되고, 여기에서 기포함유수는 가압펌프(11)의 압송력에 의존하여 대기압 이상의 높은 압력으로 가압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high-pressure bubble-containing water forming unit 3 described above, the wastewater contained in the bubble stream while passing through the bubble-containing oil forming unit 7 is partially part of the waste water via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Inflow to the pressure tank (9)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59), where the water containing air is pressurized to a high pressure above atmospheric pressure depending on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pump (11).

일반적으로 물에 압력을 가할 때 물 내에 함유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물에 녹을 수 있는 공기의 양으로 한정되지만, 공기와 물의 혼합 상태를 이루고 있는 기포함유수는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물에 용해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함유된 기포의 체적이 감소되면서 상당량의 기포를 함유할 수 있게 된다.In general, when the water is pressurized, the amount of air that can be contained in the water is limited to the amount of air that can be dissolved in the water. Not only is the amount of air dissolved dissolved, but also the volume of bubbles contained can be reduced to contain a significant amount of bubbles.

고압 기포함유수 형성부(3)에 의해 가압된 고압 기포함유수는, 고압수 이송관(13)을 총해 부유물 부상분리부(5)로 유입된다.The high pressure bubble flowing water pressurized by the high pressure bubble flowing water forming unit 3 flows into the float floating separator 5 through the high pressure water conveying pipe 13.

부유물 부상분리부(5)는 부상분리탱크(51), 부유물 배출관(53), 및 정수 배출관(55), 차단판(57), 순환관(59), 및 폐수 공급관(61)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float floating separator 5 includes a float separation tank 51, a float discharge pipe 53, and a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55, a blocking plate 57, a circulation pipe 59, and a wastewater supply pipe 61. Consists of

본 구체예에 있어서의 부상분리탱크(51)는 상하부가 원뿔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 탱크(제1도 참조)이다.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in this embodiment is a cylindrical tank (see FIG. 1) having a top and bottom conical shape.

이 원통형 탱크(51)는 수족관의 배출수와 같은 소규모의 폐수를 처리하는 데 적합하다.This cylindrical tank 51 is suitable for treating a small amount of waste water, such as the discharge water of an aquarium.

부상분리탱크(51)의 원뿔 상단에는 기포에 의해 부상된 부유물을 포말과 함께 탱크(5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부유물 배출관(53)이 설치되어 있다.Floating material discharge pipe 53 for discharging the floating matter floated by the bubble to the outside of the tank 51 at the top of the cone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is installed.

그리고, 부상분리탱크(51)의 하측방, 예컨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51)의 하부 원뿔 형상이 시작되는 위치에는 부유물에 제거된 정수가 시스템(1)의 외부로 배출되는 밸브(56)를 구비한 정수 배출관(55)이 설치되어 있어서 부유물이 제거된 정수를 수원이나 다음의 처리공정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urified water removed in the flo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ystem 1 at the lower side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where the lower cone shape of the tank 51 starts.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55 provided with the valve 56 is provided so that the purified water from which the suspended matter is removed is sent to a water source or the following treatment process.

또한 부상분리탱크(51)의 부유물 배출관(53)의 하측부(상부 원뿔 형상이 종료되는 지점)에는 폐수 공급관(61)이 설치되어 있어서, 처리될 폐수가 본 발명의 시스템(1)에 최초로 유입된다.In addition, a wastewater supply pipe 61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a point where the upper cone ends) of the floating discharge pipe 53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so that the wastewater to be treated is first introduced into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이 폐수 공급관(61)의 상류에는 부상 분리로 제거되기 부적당할 정도로 큰 이물(예, 나무조각, 작은 돌맹이 등)을 걸러내는 필터(63)를 설치하여 이들 이물로 인해 본 시스템의 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폐수 공급관(61)에는 유입되는 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65)를 설치할 수 있다.Upstream of this wastewater supply pipe 61, a filter 63 is provided to filter out foreign matter large enough to be removed by floating separation (e.g. wood chips, small boulder, etc.) so that the pipes of the system are blocked by these foreign matters. It is preferable to prevent, and the wastewater supply pipe 61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65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astewater introduced.

전술한 고압수 이송관(13)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상분리탱크(51)에 편심적으로 연통되어 있다.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described above is eccentrically communicated with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as shown in FIG.

이로써 고압의 기포함유수가 부상분리탱므(51)로 유입 될 때, 부상분리탱크(51) 내의 폐수는 고압수 이송관(13)에서 토출되는 액압에 의해 탱크(51)의 수직 중심선을 중심으로 와류(회오리)를 일으킨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부상분리탱크(51) 내에 담긴 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은 와류에 의해 부상분리 탱크(51)의 중심으로 모이게 되어 부유물의 부상분리 작용을 더욱 촉진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high-pressure containing water flows into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the wastewater in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is vortexed about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tank 51 by the hydraulic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Twirl) In this manner, the floating matter contained in the wastewater contained in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is collected by the vortex to the center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to further promote the floating separation action of the floating matter.

바람직하게 고압수 이송관(13)은 부상분리탱크(51) 전체 높이의 대략2/3되는 높이에서 부상분리탱크(51)에 연통된다.Preferably,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at a height approximately 2/3 of the total height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고압수 이송관(13)을 통해 부상분리탱크(51)에 유입된 고압의 기포함유수는,상대적으로 저압인 부상분리탱크(51)에 노출됨과 동시에, 녹아 있던 공기가 기포로 방출될 뿐만 아니라 가압된 기포가 팽창하고 터지면서 미세한 기포들이 부상분리탱크(51) 내의 폐수 전체에 걸쳐서 발생되게 한다.The high pressure air containing water flowing into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through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is exposed to the relatively low pressur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and at the same time, the dissolved air is not only released into the air bubbles. As the pressurized bubble expands and bursts, fine bubbles are generated throughout the wastewater in the flotation tank 51.

이렇게 발생된 미세기포는 부상분리탱크(51) 내의 폐수 중에 부유물에 부착하여 하나의 부유물-기포복합체를 형성한다. 부유물-기포 복합체는 물의 비중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게 되어 부력이 증가하게 되며, 결국 부유물은 부상하여 포말과 함께 상기 부유물 배출관(53)을 통해 부상분리탱크(51) 밖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로써 부유물은 폐수로부터 제거된다. 이때 부상분리탱크(51)의 폐수가 전술한 고압수 이송관(13)의 구조적인 특성(편심 유입 구조)에 따라 회오리를 일으키므로, 부유물은 부상분리탱크(51)의 중심에 집중되어 부유물-기포 복합체 형성을 촉진하여 부상 효과가 더욱 증진된다.The microbubbles generated in this way are attached to the suspended matter in the wastewater in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to form one suspended matter-bubble complex. Float-bubble complex has a specific gravity less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ter to increase the buoyancy, eventually the float rises and is pushed out of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through the float discharge pipe 53 with the foam. This removes the float from the wastewater. At this time, since the wastewater of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generates a tornado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eccentric inflow structure) of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described above, the float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By promoting bubble complex formation, the effect of injury is further enhanced.

부상분리탱크(51) 내의 폐수는 회오리를 일으키고 있으므로, 미세기포에 의해 부유되지 않은 일부 슬러지와 미세기포들은 탱크(51)의 하부로 신장하는 회오리의 저부를 따라 탱크(51)의 하부로 이끌릴 수 있으며, 이런 미세기포와 슬러지들이 정수 배출관(55)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Since the wastewater in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is causing the whirlwind, some sludge and the microbubbles that are not suspended by the microbubbles are led to the lower part of the tank 51 along the bottom of the whirlwind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tank 51. And, such micro bubbles and sludg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55).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1)에서는 상기 정수 배출관(55) 바로 위의 상기 부상분리탱크(51)내에 미세기포와 부유되지 않은 슬러지가 정수와 함께 상기 정수 배출관(55)을 통해 시스템 외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 (57)을 설치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ne bubbles and sludge not suspended in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directly above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55 ar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out of the system throug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55 together with purified water. A blocking plate 57 is provided.

회오리의 저부는 부상분리탱크(51)의 하부 중심으로 몰리게 되므로 차단판(57)의 중앙에는 회오리에 의해 여기에 집중된 미세기포와 슬러지를 부상분리탱크(51) 밖으로 유도하는 제1 순환관(59')이 설치되어 있고, 부상분리탱크(51)의 하부 원뿔 하단부에는 회오리에 휩쓸리지 않고 탱크(51)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부상분리탱크(51) 밖으로 유도하는 제2 순환관(59")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두 순환관(59',59")은 하나로 통합되어 상기 압력탱크(9)의 입구관(21)으로 복귀하는 통합 순환관(59"')을 형성한다. 그리고 통합 순환관(59"')의 일점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압펌프(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순환관(59'59")은 여기를 통해 흐르는 폐수의 비율이 대략 9 : 1이 되게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조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순환관 (59',59")에는 각각 밸브(67'67")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순환관(59")의 최저부에는 본 시스템(1)에 의해 부상되지 않는 고비중의 슬러지를 시스템 밖으로 배출하는 드레인 밸브(69)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bottom of the whirlwind is driven to the lower center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the first circulation pipe 59 ′ guides the microbubbles and sludge concentrated therein by the whirlwind out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at the center of the blocking plate 57. Is installed,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59 ") guides the sludge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tank (51) out of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without being swept into the lower conical lower end of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Is installed, the biceps circulation pipe 59 ', 59 "is integrated into one to form an integrated circulation pipe 59"' returning to the inlet pipe 21 of the pressure tank 9. And the integrated circulation pipe One point of 59 " 'is provided with a pressure pump 11 as mention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circulation pipes 59'59 " are preferably adjusted such that the ratio of wastewater flowing therethrough is approximately 9: 1, and the first and second circulation pipes 59 ', 59 ") may be provided with valves 67'67 ", respectively.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second circulation pipe 59 ", the high-density sludge not discharged by the system 1 is discharged out of the system.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drain valve 69.

본 구체예에서 상기 순환관(59)은 부상분리되지 않은 슬러지가 다시 시스템(1)을 순환하여 부상분리될 가능성이 커지도록 하는 작용을 하고, 아울러 부상분리탱크(51)에 공급되는 기포함유수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기포와 크기가 작은 미세기포가 동시에 포함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irculation pipe 59 acts to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the non-floating sludge is circulated again by circulating the system 1, and also includes the flowing water supplied to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The relatively large bubbles and the small micro-bubble to act to include at the same time.

후자의 작용은 본 발명의 부상분리 작용을 증진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작용이다. 이하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latter action is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the flotatio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고압수 이송관(13)에 설치된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의 급기관(17)을 통해 폐수에 유입된 최초의 기포는 압력탱크를(9) 경유하지 않았고 부상분리탱크(51)에서 와류작용을 받지 않은 기포이기 때문에 그입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다.The first bubble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through the air supply pipe 17 of the first bubble-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7 installed in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did not pass through the pressure tank 9 and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Because the bubble is not vortexed at), the particle size is relatively large.

반면,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의 급기관(17)을 통해 폐수에 유입되어 부상분리탱크(51)를 거치면서 와류작용을 받은 후에, 순환관(59)을 통해 다시 압력탱크(9)로 재순환되어 가압된 기포는 그 입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On the other hand,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through the air supply pipe 17 of the first gas-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7 and undergoing the vortex a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the pressure tank again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59 ( Bubbles recycled and pressurized to 9) have a relatively small particle size.

따라서 고압수 이송관(13)으로부터 부상분리탱크(51)로 토출되는 폐수 중에는 재순환된 작은 미세기포와 재순환되지 않은 큰 기포를 모두 포함하게 된다.Therefore, the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to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includes both a small fine bubble recycled and a large bubble not recycled.

일반적으로 미세기포는 부유물-기포 복합체를 용이하게 형성하지만 부유물의 부력을 증가시키는 데 미흡하다. 따라서 미세기포만으로는 충분한 부유물의 부상 효과를 얻기 어렵다. 반면 큰 기포는 기본적으로 부유물-기포 복합체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큰 기포만 존재할 때에는 기포가 부유물을 부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되지 못한다.In general, microbubbles easily form a float-bubble complex but are insufficient to increase the buoyancy of the floa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floating effect of sufficient floating matter with only microbubbles. On the other hand, large bubbles are basically difficult to form a float-bubble complex, so when there are only large bubbles, the bubbles do not help to float the float.

본 발명의 시스템(1)이 부유물의 부상효과가 우수한 것은 미세기포와 큰 기포를 모두 포한한 기포함유수에 의해 부유물을 부상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구체적으로 미세기포는 부유물과 부유물-기포 복합체를 형성하고 큰 기포는 이렇게 형성된 부유물-기포 복합체에 작용하여 그 부력을 증가시키는, 미세기포와 큰 기포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The excellent floating effect of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appears to be due to the floating of the suspended solids by the inclusion water containing both microbubbles and large bubbles. Large bubbles are presumed to be due to the interaction of microbubbles with large bubbles, acting on the thus formed float-bubble complex and increasing its buoyancy.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에서 상기 통합 순환관(59"')의 일 지점에는, 상기 가압펌프(11)의하류에 제3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1)을 부가적으로 설치함으로서 압력탱크(9)에 도입되는 미세기포의 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 in this embodiment, at one point of the integrated circulation pipe 59 ′ ′, a third air flow forming means 71 is additionally provided downstream of the pressure pump 11. By installing i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microbubbles introduced into the pressure tank (9).

제3 기포 함유수 형성수단(71)으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 순환관(59"')의 하류에서 분기되어 다시 통합 순환관(59"')의 상류로 복귀되도록 배관된 분기관 (73) 및 상기 분기관 (73)의 일점(예를 들면, 분기관 전체 길이의 중심 위치) 에 형성된 급기관(75)을 포함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분기관(73)의 직경은 통합 순환관(59"')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다.As the third bubble-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71, as shown in FIG. 4, branched downstream of the integrated circulation pipe 59 "'and returned to the upstream of the integrated circulation pipe 59"'. A structure including the branch pipe 73 piped and the air supply pipe 75 formed at one point of the branch pipe 73 (for example, the central position of the branch pipe full length) may be used, and the branch pipe 73 may be used. The diameter of R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integrated circulation tube 59 "'.

제3의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1) 역시 베르누이 정리에 따른 것이다.The third inclusion flowing water forming means 71 also follows Bernoulli's theorem.

즉, 가압펌프(11)의 작동으로 통합 순환관(59"')을 통해 폐수가 압송되면, 소정 유속을 가지는 폐수가 상기 분기관(73)의 전단(73")에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분기관(73)에 발생된 부압은 분기관(73)의 후단(73")으로 전달되어 분기관(73)과 통합 순환관(59"')이 연결된 후방 지점(77")을 흐르는 물의 일부가 통합순환관(59"')으로부터 분기관(73)의 후단(73")으로 빨려 들어 가게 한다.That is, when the wastewater is pumped through the integrated circulation pipe 59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pump 11, the wastewater having a predetermined flow rate generates negative pressure at the front end 73" of the branch pipe 73.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branch pipe 73 is delivered to the rear end 73 "of the branch pipe 73, and part o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rear point 77" to which the branch pipe 73 and the integrated circulation pipe 59 "'are connected. Is sucked into the rear end 73 "of the branch pipe 73 from the integrated circulation pipe 59" '.

따라서 가압펌프(11)에 의해 압송된 물의 일부는 분기관(73)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 흐르게 되며, 이 과정에서 분기관(73)에 형성되어 있는 급기관(75)으로 공기가 흡입되며, 이 공기는 농합 순환관(59"')을 흐르는 폐수에 혼입되어 기포를 형성하게 된다.Therefore, a part of the water pumped by the pressure pump 11 flows back to the branch pipe 73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ir is sucked into the air supply pipe 75 formed in the branch pipe 73 in the process. This air enters the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mixing circulation pipe 59 "'and forms bubbles.

분기관(3)에는 급기관(75)을 중심으로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밸브(79",79"를) 설치하여 분기관(73)을 흐르는 폐수 H는 기포함유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압펌프(11)의 작동 초기에 폐수가 분기관(73)을 반시계 방향으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In the branch pipe (3), at least one valve (79 ", 79")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air supply pipe (75) so that the waste water H flowing through the branch pipe (73) can adjust the amount of contained water. In addition, in the initial stage of operation of the pressure pump 11, the wastewater can smoothly flow to the branch pipe 73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또한, 상기 급기관(75)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급기관(75)의 밸브(81)로서는 첵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check valve can be used as the valve 81 of the air supply pipe 75 in order to prevent backflow through the air supply pipe 75.

제3의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1)으로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벤투리관(15) 구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Naturally, the structure of the venturi tube 15 as shown in FIG. 2 may be used as the third bubble-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71 as it is.

상기 부상분리탱크(51)에는 와류에 의해 탱크(51)의 하부로 이끌리어 부상분리되지 않고 정수 배출구(55)로 배출되거나 불필요하게 순환관(59)을 통해 재순환되는 슬러지의 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이패스관(83)을 설치할 수 있다.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is bypassed to the lower part of the tank 51 by vortex to be discharged to the purified water outlet 55 without being floated and separated, or to minimize the amount of sludge recycl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59 unnecessarily. The pass pipe 83 can be provided.

바이패스관(83),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상분리탱크(51) 내에 와류가 집중되는 부상분리탱크(51)의 하부중심과 부상분리탱크의 수면 바로 위의 지점을 연결하는 관이며, 부상분리탱크(51)로 복귀되는 지점의 관에는 고압공기노즐(85)이 설치되어서 바이패스관(83)을 통해 부상분리탱크(51)로 복귀하는 폐수를 안개처럼 분사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슬러지를 포함한 안개입자는 수면 위에 형성된 포말에 실려 부유물 배출구(53)를 통해 부상된 부유물과 함께 배출된다. 다라서 부상분리에 의해 부유되지 않은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pass pipe 83, as shown in FIG. 1, a pipe connecting the lower center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where the vortex is concentrated in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and a point just above the water surface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The high pressure air nozzle 85 is installed in the pipe at the point of returning to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and sprays the wastewater returning to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through the bypass pipe 83 as a fog. In such a configuration, the mist particles including the sludge ar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floats floated through the float discharge port 53 in the foam formed on the water surfac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move the sludge is not suspended by flotation.

도면 부호 84는 바이패스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84 denotes a valve for adjusting the bypass amount.

[제2구체예]Second Embodiment

다음에 제5도와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제2구체예를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5 and FIG. 6, the 2nd specific example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본 제2구체예는 부상분리탱크로서 종형의 탱크(51')를 사용되고 있는 점, 통합순환관(59"')이 상기 고압수 이송관(13)에 설치된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의 벤투리관(15')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처리될 폐수가 폐수 공급관(61')을 통해 부상분리탱크(51')로 유입되는 한편 일부는 폐수 공급관(61')의 분지관(61")을 통해 압력탱크(9)로 유입된다는 점, 상기 압력탱크(9)에 연결된 폐수 공급관의 분지관(61")에 가압펌프(11)가 설치된다는 점, 및 고압수 이송관(13)에 설치되는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과 함께 상기 분지관(61")에 제2의 기포함유수 형성수단(87)을 필수적으로 필요로 한다는 점에 있어서 상기한 제1구체예와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제1구체예와 동일하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vertical tank 51 'is used as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and the first air-flow forming means 7 includes an integrated circulation pipe 59 "' installed in the high-pressure water feed pipe 13; And the wastewater to be treated b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s into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through the wastewater supply pipe 61' while the wastewater is partially discharged. Is introduced into the pressure tank (9) through the branch pipe (61 ") of the supply pipe (61 '), the pressure pump 11 is installed in the branch pipe (61") of the waste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pressure tank (9) In addition to the first air flow forming means 7 'installed at the point and the high pressure water feed pipe 13, a second air flow forming means 87 is essentially required in the branch pipe 61 ". It differs from the said 1st specific example in that it is, and the remainder is the same as that of a 1st specific example.

즉, 본 구체예는 제1구체예에 비하여 보다 많은 량의 폐수를 처리하는 경우와 폐수 중에 포함된 부유물의 비중이 크고 농도가 높은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case of treating a larger amount of wastewater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o the case wher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is high and the concentration is high.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상분리탱크(51')의 상측부에는 폐수 공급관(61')이 설치되고 이 폐수는 폐수 공급관(61')으로부터 분지된 분지관 (62")이 압력탱크(9)에 연결되어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a wastewater supply pipe 61 'is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and the wastewater is branched from a wastewater supply pipe 61 '.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tank (9).

대부분의 폐수는 폐수 공급관(61')을 통해 바로 부상분리탱크(51')로 유입되어 부상분리처리를 받지만, 폐수 공급관(61')으로 유입된 폐수의 일부는 분지관(61")을 통해 공급되어 가압펌프(11)를 경유하여 압력탱크(9)로 공급된다.Most of the wastewater flows directly into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through the wastewater supply pipe 61' and undergoes the flotation separation process, but a part of the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supply pipe 61 'is passed through the branch pipe 61 ". It is supplied to the pressure tank 9 via the pressure pump 11.

압력탱크(9)와 가압펌프(11) 사이에는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제2 기포함유수 형성수단(87)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분지관(61")을 통과하는 폐수에 공기를 유입시킨다.Between the pressure tank 9 and the pressurizing pump 11, a second air-containing flow-forming means 87 having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ir-containing flow-forming means 7 'is essentially provided, so that the branch pipe 61 Air into the wastewater passing through

가압펌프(11)의 압력을 받아 압력탱크(9)에서 가압된 고압의 기포함유수는 미세한 기포를 함유한 상태로 고압수 이송관(13)을 통과한다.The high-pressure bubble-containing water pressurized in the pressure tank 9 by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pump 11 passes through the high-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in a state containing fine bubbles.

이때 다시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을 거치면서 외기로부터 공기가 폐수에 유입되는 한편 여기에 연결된 부상분리탱크(51")의 통합 순환관(59"')을 통해 부상분리탱크(51')를 거친 폐수와 혼합된다.At this time, the air flows into the waste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air-flow forming means 7 'and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through the integrated circulation pipe 59 "'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connected thereto. 51 ') and mixed with wastewater.

제6도는 본 구체예의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을 도시한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irst air flow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은 제1구체예의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원리로 폐수 중에 공기를 유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다른 점이라면 고압수 이송관(13)을 흐르는 고압의 기포함유수의 작용에 의해 외부의 공기와 통합 순환관(59"')의 폐수를 모두 흡인하도록 벤투리관(15')을 구성하였다는 것뿐이다.As shown, the air-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7 ′ has a structure in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ste water in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principle as the first air-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7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case, the venturi pipe 15 'is configured to suck both the external air and the wastewater of the integrated circulation pipe 59 "' by the action of the high pressure bubble flow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을 통과한 폐수에는, 제2 기포함유수 형성수단(87)에 의해 폐수 내로 유입되어 압력탱크(9)를 거치므로써 형성된 미세기포와 부상분리탱크(51')를 순환한 후에 순환관(59)을 통해 복귀된 미세기포를 포함하는 한편, 제1 기포함유수 형성수단(7')에 의해 최초로 외기로부터 도입된 공기에 의해 형성된 큰 기포를 포함하게 된다.The waste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bubble-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7 'is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by the second bubble-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87 and passed through the pressure tank 9 to form a fine bubble and floating separation tank 51'. ), Including the microbubble return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59 and the large bubble formed by the air firs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by the first bubble-containing flow forming means 7 '.

즉, 제2 기포함유수 형성수단(87)과 순환관(59)은 부상분리탱크(51')에 공급되는 폐수에 미세기포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제1 기포 함유수 형성수단(7')은 큰 기포를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That is, the second bubble-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87 and the circulation pipe 59 contribute to providing microbubbles to the wastewater supplied to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 and the first bubble-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7'. Contributes to providing large bubbles.

따라서 이 고압의 기포 함유수가 부상분리탱크(51')로 분출되면, 앞서 제1구체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원리로 미세기포와 큰 기포의 상호작용으로 폐수중위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부상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high-pressure bubble-containing water is ejected into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 the floating water intermediate float is effectively flo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microbubbles and the large bubble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폐수 공급관(61'), 분지관(61"),분지관(61") 이후의 폐수 공급관(61')에는 각각 유량 조절 밸브(65',65",65"')를 설치하므로써, 분지관(61")과 폐수 공급관(61')으로 흐르는 폐수의 절대량과 상대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stewater supply pipe 61 'after the wastewater supply pipe 61', the branch pipe 61 ", and the branch pipe 61" is provided with the flow control valves 65 ', 65 ", 65"',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adjust the absolute amount and the relative amount of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61 " and the wastewater supply pipe 61 '.

이상에서 설명한 것 이외의 사항은 제1구체예의 내용이 그대로 적용되거나 응용될 수 있다.For matter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the content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or applied as it is.

[제3구체예][Third embodiment]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제3구체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이다.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체예는 폐수 공급관(61"')에 가압펌프(11)를 설치하여 모든 폐수를 압력탱크(9)로만 공급하는 점과 부상분리탱크로서 제1구체예와 같은 탱크(51)를 사용한다는 것만이 다를 뿐 상기 제2구체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urizing pump 11 is installed in the wastewater supply pipe 61 "'to supply all the wastewater only to the pressure tank 9, and the tank as in the first embodiment as a floating separation tank ( 5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for the difference.

이 경우 부상분리탱크(51)에는 폐수를 공급하는 폐수 공급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처리될 전체의 폐수는 폐수 공급관(61"'), 가압펌프(11), 제2 기포함유수 형성수단(87), 압력탱크(9), 및 고압수 이송관(13)을 통해 부상분리탱크(51)로 분출되면서 부유물의 부상분리가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waste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stewater to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51, and the entire wastewater to be treated is wastewater supply pipe 61 ′ ′, a pressure pump 11, and a second air-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87. ), The pressure tank 9, and the high-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is ejected to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while the floating separation is made.

본 구체예는 폐수에 함유된 부유물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This embodiment is a system that can be applied when the viscosity of the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is high.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구체예들의 시스템은, 부상분리처리할 폐수의 특성, 예를 들면 처리될 폐수의 종류 및 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의 종류, 폐수의 오염 정도(부유물의 농도), 처리될 폐수의 분량, 처리된 폐수의 최종 처분 방법(방류 또는 재사용), 목표하는 부유물의 제거율 등에 따라, 가압펌프(11)의 압송력, 부상분리탱크의 형상과 용량, 고압수 이송관(13)에 설치된 밸브(25)의 개폐량, 제1 순환관(59')과 제2순환관(59")으로 통하는 1차 부상분리된 폐수의 절대량 및 상대적인 량, 및 폐수 공급관(61 등)과 정수 배출관(55)에 있어서의 폐수 수급량 등을 적절히 조절하므로써, 폐수에 호함된 부유물을 적절히 제거할 수 있다.The system of the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stewater to be subjected to the flotation separation treatment, for example, the type of wastewater to be treated and the type of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the degree of contamination (float concent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pump 11, the shape and capacity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the high-pressure water feed pipe 13, depending on the amount of wastewater to be treated, the final disposal method of the treated wastewater (discharge or reuse), the removal rate of the target float, and the lik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valve 25 installed in the valve, the absolute amount and relative amount of the primary floating separated waste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pipe 59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59 ", and the wastewater supply pipe 61 and the lik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amount of wastewater supplied in the discharge pipe 55, the suspended matter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can be properly removed.

예를 들어 폐수 중에 포함된 부유물의 비중이 폐수의 비중과 유사하거나 더 큰 경우에는 가압펌프(11)의 출력을 증가시키고 폐수 속으로 보다 많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부상분리탱크(51 등)에서의 기포 발생량이 많도록 조작할 수 있으며, 부유물의 비중이 작아서 부상이 용이한 경우에는 부상분리탱크에서의 기포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도록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f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wastewater is similar to or grea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tewater, the output of the pressure pump 11 is increased, and more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thereby allowing the air to flow into the wastewater separation tank (51). It can be manipulated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if the float is easy becaus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loat is small, it can be manipulated to generate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bubbles in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제4구체예][Example 4]

제8도는 하나의 부상분리 탱크에 다수의 압력탱크를 설치하는 본 발명의 제4구체예를 보여주는 개략 횡단면도이다.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pressure tanks are installed in one floating separation tank.

본 구체예는 폐수 중에 포함된 부유물의 부상 분리속도를 더욱 증가시키거나 폐수 처리 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 적용 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may be applied when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crease the speed of flotation of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wastewater or increase the wastewater treatment capacity.

제8도에는 하나의 부상분리탱크에 3개의 압력탱크르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ree pressure tanks are installed in one floating separation tank.

즉, 중앙의 부상분리탱크(51)에 대하여 3개의 압력탱크(9)를 설치하고, 각 압력탱크(9)로부터의 고압수 이송관들(13)을 부상분리탱크(51)에 등간격, 동일 방향, 및 동일 각도로 편심으로 연통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That is, three pressure tanks 9 are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in the center, and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s 13 from each pressure tank 9 are equally spaced from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It is the structure made to communicate eccentrically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same angle.

제1구체예 내지 제3구체예의 시스템을 본 구체예의 시스템에 응용할 때, 통합 순환관(59"')을 3개로 분할하여 각 압력탱크(9) 또는 고압수 이송관(13)에 연결함은 당연하다. 제1구체예를 적용하는 경우, 가압펌프(11)는 분할되기 전의 통합 순환관(59"')에 1대를 설치할 수도 있고,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각 통합 순환관에 1대씩 설치할 수 도 있을 것이다.When the system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s applied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grated circulation pipe 59 " 'is divided into three and connected to each pressure tank 9 or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13. Naturally, when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one pressurized pump 11 may be installed in the integrated circulation pipe 59 "'before being divided, and each integrated circulation divided as shown in FIG. One tube may be installed.

제8도는 제1구체예의 시스템을 본 구체예에 적용한 것이다.8 applies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to this embodiment.

[제5구체예][Example 5]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직렬로 다수 연결한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in series.

제9도의 시스템은 상기 제1구체예의 시스템과 제2구체예의 시스템을 직렬로 연결한 것으로서, 제1 부상분리 시스템(1)의 정수 배출관(55)이 제2 부상분리 시스템(1')의 폐수 공급관(61')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ystem of FIG. 9 is a system in which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ystem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wastewater discharge pipe 55 of the first flotation system 1 is connected to the wastewater of the second flotation system 1 '.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61 '.

따라서 제1 부상분리 시스템(1)에서 부유분리하기 용이한 비중이 작은 부유물이 일차로 제거되고, 이 폐수는 다시 제2 주상분리 시스템(1')으로 유입되어 비중이 큰 부유물이 재차 부상분리되므로, 부유물의 제거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Therefore, the small floating matters that are easy to float in the first flotation separation system 1 are first removed, and the wastewater is flowed back into the second columnar separation system 1 'so that the larger floating weights are separated again. The removal rate of the suspended solids can be further increased.

이때 하류에 위치하는 제2 부상분리 시스템(1')의 압력탱크(9)의 압력은 상류에 위치하는 제1 부상분리 시스템(1)의 압력탱크(9)에 적용되는 압력 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tank 9 of the second flotation separation system 1 'located downstream is set higher tha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tank 9 of the first flotation separation system 1 located upstream. desirable.

즉, 다수의 부상분리 시스템을 직렬 연결함에 있어서 하류로 갈수록 적용 압력이 점증적으로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In other words, in series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floating separation systems, it is better to set the application pressure to increase gradually toward the downstream.

이에 따라 상류의 부상분리 시스템에서는 부상분리가 용이한 부유물이 제거되고, 하류의 부상분리 시스템으로 갈수록 비중이 폐수와 유사하거나 폐수보다 비중이 큰 부유물이 제거된다.Accordingly, in the upstream flotation separation system, the floats which are easy to separate the flotation are removed, and the floats which are more similar to the wastewater or have a greater specific gravity than the wastewater are removed toward the downstream flotation system.

또한, 제2 부상분리 시스템(1')의 부상분리탱크(51')는 제1 부상분리 시스템(1)의 부상분리탱크(51)보다 그위치르 낮게 배치하여야 하며, 이로써 두 탱크(51,51')의 수위차에 의해 제1 부상분리 시스템(1)의 부상분리 탱크(51)로부터 정수 배출관(55)과 제2 부상분리 시스템(1')의 폐수 공급관(61')을 통해 부상분리탱크(51')로 일차 처리된 폐수가 자연적으로 흐르게 된다.In addition,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of the second floating separation system 1' must be disposed lower than that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of the first floating separation system 1, whereby the two tanks 51, 51 ') is separated from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51 of the first floating separation system 1 through the wastewater supply pipe 61'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55 and the second floating separation system 1 'by the water level difference of 51'). The wastewater treated first by the tank 51 'flows natural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은 앞서 언급한 각종 오폐수의 처리뿐만 아니라, 액상의 유체 중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폐수의 전처리(1차 처리) 공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widely applied to the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remove not only the various wastewaters mentioned above, but also the various suspended matters contained in the liquid fluid, and in particular, pretreatment of the wastewater (primary treatment) Treatmen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process.

추가하여 양식(어)장에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양식수를 처리하는 경우, 양식수 중에 포함된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식수 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작용도 함으로, 양식장에 산소를 공급하는 시스템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reating the aquaculture water us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quaculture farm, it is possible not only to effectively remove the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aquaculture water, but also to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by supplying oxygen in the aquaculture water. Therefore, it can be applied as a system for supplying oxygen to the farm.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응집제와 같은 약품을 사용하지 아니하면서도 폐수 중에 포함된 부상성 부유물, 부유성 부유물 및 유분과 같은 부유물을 대략 90%이상까지 제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폐수 처리의 전처리 공정에 적용되던 화학 침적에 의한 침강분리 시스템을 완전히 대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약품 잔류 문제가 전혀 없다.According to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remove up to about 90% or more of floating matters such as floating flotation, floating floats and oil contained in the wastewater without using a chemical such as a flocculant. The chemical sedimentation sedimentation system used in the pretreatment process can be completely coped with, thus eliminating the problem of chemical residues.

둘째, 베르누이 정리의 원리에 따라 폐수에 공기를 도입하여 압력탱크로 가압함과 아울러 부상분리탱크에서 부유물을 부상분리하는 동안에 폐수에 의류가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부유물의 부상분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된다.Second, in accordance with Bernoulli's theorem,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to pressurize it into a pressure tank, and the floating separation of the float is more effectively performed by allowing clothing to form in the wastewater during the separation of the float from the flotation tank.

셋째, 부상분리태크에 입자가 작은 미세기포와 입자가 큰 기포를 함유라는 기포함유수를 공급하므로써 부유물의 부상분리 효과가 크게 증진된다.Third, the flotation separation effect of floating particles is greatly enhanced by supplying the floating water containing the fine particles with small particles and the large bubbles with the floating separation tag.

넷째, 부상된 부유믈을 부상분리탱크로부터 그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스키머 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Fourth,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separate skimmer system because the floating flotation can be discharged from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as it is.

다섯째, 침강분리에서와 같이 처치 곤란한 슬러지가 실질적으로 발생되지 아니한다.Fifth, difficult to treat sludge as in sedimentation is not substantially generated.

여섯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구조가 간단하고, 약품비, 약품 투여에 관련된 비용, 슬러지 처리 비용, 스키머 시스템 비용 등이 전혀 소용되지 않거나 적은 비용만이 소요되므로 운영비용이 저렴하다.Sixth, the structure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s simple, and the operation cost is low because the drug cost, the cost related to drug administration, the sludge treatment cost, the skimmer system cost, etc. are not at all useful or only a small cost is required.

일곱째, 양식장에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양식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켜 양식물이 폐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venth, in the case of us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quaculture farms by supplying oxygen to the aquaculture water to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killed.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가정 하수, 제지 폐수 또는 염색 폐수 등의 산업 폐수, 양식 및 양어장 배출수, 수족관 배출수, 축산 폐수 등과 같은 각종 오폐수 처리, 기름에 오염된 해수 처리 등 부유물의 제거를 요하는 각종 수처리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Finall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kinds of wastewater such as industrial wastewater such as domestic sewage, paper wastewater, or dyeing wastewater, various wastewater treatment such as aquaculture and fish farm effluent, aquarium effluent, livestock wastewater, and seawater contaminated with oil. It can be widely applied to water treatment.

Claims (10)

처리될 폐수에 공기를 흡입시켜 기포함유수를 형성하는 기포함유수 형성수단, 상기 기포함유수 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기포함유수를 고압으로 가압하는 압력탱크, 및 상기 압력탱크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펌프를 포함하는 고압 기포함유수 형성부 : 및 상기 압력탱크로부터 고압의 기포함유수가 유입되는 고압수 이송관이 편심으로 연통되어 있어서 내부의 폐수가 상기 고압수 이송관으로부터 분출되는 고압의 기포함유수에 의해 와류를 일으키면서 폐수 중의 부유물을 부상시키는 부상분리탱크, 부상된 부유물을 기포와 함께 배출시키는 부유물 배출관, 및 부유물이 제거된 최종 정수를 배출시키는 정수 배출관, 상기 부상분리탱크 내의 상기 정수 배출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기포와 슬러지가 상기 정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판, 상기 차단 판에 의해 차단된 기포와 슬러지 및 상기 부상분리탱크 또는 상기 고압수 이송관으로 재순환시키는 순환관을 포함하는 부유물 부상분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 여기에서 상기 기포 함유수 형성 수단은 상기 압력 탱크와 상기 부상분리탱크를 연결하는 고압수 이송관에, 또는 상기 고압수 이송관과 상기 압력 탱크에 폐수를 공급하는 라인에 설치되고, 처리될 폐수는 상기 부상분리탱크 또는 상기 압력 탱크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Air-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for sucking air into the waste water to be treated to form air-containing water, a pressure tank for pressurizing the air-containing water formed by the air-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to a high pressure, and a pressure for providing a pressing force to the pressure tank. High pressure air containing water forming unit including a pump: and the high pressure air containing the high pressure water discharge pipe from which the internal wast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high pressure water feed pipe eccentrically communicated with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into which the high pressure air containing water flows from the pressure tank Floating separation tank which floats the floating water in the waste water while causing the vortex to float, a floating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floating floating material together with air bubbles, and a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final purified water from which the floating water is removed, and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in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A car installed at the top to block air bubbles and sludge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Made of a plate, a configuration including suspension floatation unit including a circulation pipe is recycled into the air bubbles and sludge, and the floatation tank or the high-pressure air line is blocked by the blocking plate; Here, the bubble-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is installed in a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pressure tank and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or in a line for supplying waste water to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and the pressure tank, and the waste water to be treated is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lotation separation tank or the pressure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함유수 형성 수단은 상기 압력 탱크와 상기 부상분리탱크를 연결하는 고압수 이송관에만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순환관은 상기 압력 탱크로 복귀되며, 처리될 폐수는 상기 부상분리탬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bble-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is essentially installed only in the high-pressure water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pressure tank and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the circulation pipe is returned to the pressure tank, the wastewater to be treated is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upplied as a floating separation ta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에는 상기 가압 펌프와 상기 압력 탱크 사이에 기포 함유수 형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irculation pipe further includes bubble-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between the pressure pump and the pressure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함유수 형성 수단은 상기 고압수 이송관과 상기 압력 탱크에 폐수를 공급하는 라인 모두에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순환관은 상기 고압수 이송관으로 복귀되며, 처리될 폐수는 적어도 상기 압력 탱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ining water flow forming means is essentially installed in both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and the line for supplying wastewater to the pressure tank, the circulation pipe is returned to the high pressure water transfer pipe,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te water is supplied to at least the pressure tan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될 폐수는 상기 압력 탱크와 상기 부상분리 탱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5.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of claim 4, wherein the wastewater to be treated is supplied to the pressure tank and the flotation tank.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함유수 형성 수단은 벤투리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bubble-containing water forming means is a venturi tub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분리탱크에는 부상분리탱크 내에 와류가 집중되는 지점의 중심과 부상분리 탱크의 수면 위 지점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 및 상기 바이패스 관을 통해 부상분리탱크의 수면 위 지점으로 복귀하는 폐수를 부상분리탱크 내로 분사하는 고압 공기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The bypass separation tan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has a bypass pipe and the bypass pip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point where the vortex is concentrated in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and the point above the water surface of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further comprises a high-pressure air nozzle for spraying the wastewater returned to the point above the water surface of the flotation tank through the flotation tank.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분리탱크는 상하부가 원뿔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 탱크 또는 종형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floating separation tank is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tank or vertical tank having a top and bottom conical shap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부상분리부에는 다수의 고압 기포함유수 형성부는 각각 고압수 이송관으로 복귀되며, 상기 각 압력 탱크마다 가압 펌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float floating separator in the plurality of high-pressure air-containing water forming unit is returned to the high-pressure water transfer pipe,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each pressure tank is provided with a pressure pump. Wastewater treatment system. 제2항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상기 정수 배출 관이 제4항에 따른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폐수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두 시스템의 각 압력 탱크에 적용되는 압력은 하류의 시스템이 상류의 시스템이 상류의 시스템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2 is connected to a wastewater supply line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4, and the pressure applied to each pressure tank of the two systems is such that the downstream system is upstream.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by being higher than this upstream system.
KR1019970052090A 1997-10-10 1997-10-10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02285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090A KR100228571B1 (en) 1997-10-10 1997-10-10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090A KR100228571B1 (en) 1997-10-10 1997-10-10 Wastewater treat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391A KR19990031391A (en) 1999-05-06
KR100228571B1 true KR100228571B1 (en) 1999-11-01

Family

ID=1952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090A KR100228571B1 (en) 1997-10-10 1997-10-10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5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521B1 (en) * 1999-07-13 2001-09-22 송민경 A removing device for sludge using foam
KR100402201B1 (en) * 2001-01-18 2003-10-17 주식회사 오이코스 Apparatus of the removal of scum for water purification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391A (en)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685B2 (en) Multistage DAF-advanced oxidation system
CN100475723C (en) Oily sewage treatment process and treater thereof
KR101281514B1 (en) A pressure float type pollute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microbubble unit and slanted plate sturcture
KR20160029272A (en) a simple structur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ulti step aerating floation method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JP2007209890A (en)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c wastewater
KR100882200B1 (en) Hydrocyclone and water pollution prevention apparatus with the same
US20170297924A1 (en) Water treatment process employing dissolved air flotation to remove suspended solids
KR20160032067A (en) a simple structur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ulti step aerating floation method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11084737B1 (en)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and the like
KR101641191B1 (en) Pressure flotation seperator for the treatment of floats of sewage and waste water
KR100446141B1 (en) The waster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0228571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200396223Y1 (en) Dissolved airfloatation system
JP5270247B2 (en)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t food processing plant
Colic et al. Case study: fish processing plant wastewater treatment
Colic et al. New developments in mixing, flocculation and flotation for industrial wastewater pretreatment and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KR102109402B1 (en) Apparatus of Treating Effluent from Water Treatment Plant
KR100501795B1 (en) A dredging system and apparatus of accamulated sludge using pressure floataition method in water area such as the sea,lakes,and rivers
KR101899329B1 (en) a hybrid flotation separation system
KR100985064B1 (en) Movable real tim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KR20120138025A (en) Floatation apparatus
KR200203240Y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20190087268A (en) a hybrid flotation separation system
KR102246564B1 (en) Pressurized flotation tank and chemical tank integrated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hydroxyl radical and ozone
KR101629834B1 (en) Movable suspended solids skimmer and suspended solids removal method using th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