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822B1 - 가변비트율 데이터 포맷 장치 및 그에 따른 섹터의포맷구조 - Google Patents

가변비트율 데이터 포맷 장치 및 그에 따른 섹터의포맷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822B1
KR100224822B1 KR1019960007731A KR19960007731A KR100224822B1 KR 100224822 B1 KR100224822 B1 KR 100224822B1 KR 1019960007731 A KR1019960007731 A KR 1019960007731A KR 19960007731 A KR19960007731 A KR 19960007731A KR 100224822 B1 KR100224822 B1 KR 100224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audio
data
secto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7259A (ko
Inventor
이강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0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822B1/ko
Publication of KR970067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6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non self-clocking codes, i.e. the clock signals are either recorded in a separate clocking track or in a combination of several information tra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비트율로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와 고정비트율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동기를 맞춰 기록미디어에 전송시키는 데이터 포맷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섹터의 포겟구조에 관한것으로, 가변 비트율 데이터의 포맷팅 장치는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이 비디오 데이터의 유효구간을 지정하는 VREN 신호 및 VRCK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I/F 모듈;, 이에 대응되는 오디오 I/F 모듈;, 상기비디오 I/F 모듈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디오 버퍼메모리; 상기 오디오 I/F 모듈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디오 버퍼 메모리:, 상기 비디오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읽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VREN 신호발생부;, 상기 VREN 신호발성부를 제어하여 가변 비트율의 비디오 데이터의 개수를 어탭티브하게 계산하는 비디오 데이터 카운터부; 상기 다수의 오디오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다수의 AREN 발생부;, ID 데이터를 생성하는 ID데이터 발생부 및 상기 비디오 버퍼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와 소정의 오디오 버퍼 메모리로부터 각각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하나의채널을 선택하는 멀티플랙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 제어에 필요한 부수적인 하드웨어의 양이 줄어 제작비용 측면에서도 큰효과를 갖으며, 특히, A/V 기기의 필수요건인 소형화의 실현에 큰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가변비트율 데이터 포맷 장치 및 그에 따른 섹터의 포맷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포맷팅 장치를 구현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a도는 제1도에 도시된 비디오 데이터 카운터부의 상세도면이다.
제2b도는 제1도에 도시된 멀티플렉서의 상세한 도면이다.
제2c도는 제1도에 도시된 ID 데이터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데이터를 포맷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d도는 제1도에 도시된 비디오 리드 인에블 신호 발생부의 상세한 도면이다.
제2e도는 제1도에 도시된 오디오 리드 인에블 신호 발생부의 상세한 도면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섹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4a도는 제3도에 도시된 4 바이트의 ID 영역의 구조의 상세한 도면이다.
제4b도는 제4a도에 도시된 ID 영역의 상세한 도면이다.
제5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중간주파수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제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중간주파수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의 포맷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섹터의 포맷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비트율로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와 고성비트율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동기를 맞춰 기록미디어에 전송시키는 데이터 포맷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섹터의 포멧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록매채를 이용하는 모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포맷팅 장치가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된 가변비트율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정 비트율의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동기를 맞추기위해서는 동기를 맞추기 전단계에서 해당되는 데이터를 먼저 소정의 버퍼에 저장해 두어야 한다.
예를 들어, MPEG(Moving Picture Export Group)이라는 단체에서 제안한 방식에 의하면, 비디오 신호의 경우에 데이터의 처리단위로서, 15프레임을 1GOP(Group of Picture)의 기준단위로 하고 있으며, 이를 처리한 데이터의 양은 대략적으로 10 메가비트 정도이다.
그러므로, 비디오 신호의 경우에, 최소한 10 메가비트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가 필요하게 되며,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 처리되는 단위 시간이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위시간과 정수관계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단위시간에 대한 동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GOP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오디오 신호의 데이터와 비디오 신호의 데이터 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6GOP에 해당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한 필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비디오 신호의 데이터와 오디오 신호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용량이 크게 늘기때문에, 회로 수정이 복잡해져 디버깅이 어려워지고, 제작 비용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실용적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하드웨어의 용량을 줄여 회로의 구성을 단순히 하고, 제작비용 및 보수 유지 측면에서 유리한 데이터 포맷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포맷장치에 따른 섹터의 포멧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비트율 데이터의 포맷팅 장치는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이 비디오 데이터의 유효구간을 지정하는 비디오 신호 라이트 인이에블 신호 및 비디오 신호 라이트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I/F 모듈,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유효구간을 지정하는 오디오 신호 라이트 인이에블 신호 및 오디오 신호 라이트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I/F 모듈, 상기 비디오 I/F 모듈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디오 버퍼 메모리, 상기 오디오 I/F 모듈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오디오 버퍼 메모리, 상기 비디오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필요한 타이밍에 읽어내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비디오 인에이블 리드 신호 발생부, 상기 비디오 리드 인에이블 신호발생부를 제어하여 가변 비트율의 비디오 데이터의 개수를 어탭티브하게 계산하는 비디오 데이터 카운터부, 상기 다수의 오디오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필요한 타이밍에 읽어내기 위한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다수의 오디오 리드인에이블 신호 발생부, ID 데이터를 성성하는 ID데이터 발생부, 및 상기 비디오 버퍼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와 소정의 오디오 버퍼 메모리로부터 각각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는 멀티플랙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섹터포맷의 구조는 DUMMY 영역, 제1오디오 데이터 영역, 제2오디오 데이터 영역 및 비디오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여 180 섹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포맷팅 장치를 구현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구성은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의 유효구간을 지정하는 비디오 신호 라이트 인이에블 신호(이하VWEN라 한다.) 및 비디오 신호 라이트 클럭신호(이하 VWCK라 한다.)를 출력하는 비디오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이하 I/F라 한다.)모듈(100),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유효구간을 지정하는 오디오 신호 라이트 인이에불 신호(이하 AWEN라 한다.) 및 오디오 신호 라이트 클럭신호(이하 AWCK라 한다.)를 출력하는 오디오 중간주파수 모듈(오디오 Intermediate frequency 이하 I/F 모듈이라 한다.), (110), 비디오 I/F모듈(100)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디오 버퍼 메모리(120), 오디오 I/F모듈(11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오디오 버퍼 메모리(130, 131, 132), 비디오 버퍼 메모리(120)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필요한 타이밍에 읽어내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비디오 인에이블 리드 신호 발생부(150), 비디오 리드 인에이블 신호발생부(150)를 제어하여 가변 비트 비율의 비디오 데이터의 개수를 어탭티브하게 계산하는 비디오 데이터 카운터부(140), 다수의 오디오 버퍼 메모리(130, 131, 132)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필요한 타이밍에 읽어내기 위한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다수의 오디오 리드 인에이불 신호 발생부(160, 161, 162), ID 데이터를 생성하는, ID 데이터 발생부(170) 및 비디오 데이터와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 중에서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포맷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멀티플랙서부(180)로 이루어진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디오 버퍼 메모리(120)는 선입선출(FIFO) 메모리로서,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 기준신호(GOPT)로부터 리드/라이트 타이밍 오프셋이 15섹터에 해당하기 때문에 비디오 버퍼 메모리(120)의 크기는 l5 * 4096바이트 이상이 필요하다. 더욱 상세한 설명은 제4도를 통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채널별로 대응되어 존재하는 오디오 버퍼 메모리(130, 131, 132)는 선입선출 메모리로서, 비디오 데이터와의 동기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양을 저장해야 하며, 오디오 데이터의 비트율을 고려하여 1 GOP 기준 단의시간에 해당하는 12k 바이트 정도의 저장용량이 필요하다.
또한, 비디오 버퍼 리드 인에이불 신호 발생부(150)는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비디오 데이터 카운터부(140)의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이 비디오 버퍼 리드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150)는 하기의 제4도에 도시된 데이터의 섹터 포맷에서 비디오 데이터가 들어갈 자리에서 액티브신호(VREN)를 발생하여 비디오 버퍼 메모리(120)의 리드 인에이블(VREN)단자에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오디오 버퍼 리드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160, 161, 162)는 섹터의 포맷에 따라 해당되는 타이밍에 액티브되어, 이 오디오 버퍼 리드 인에이블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채널별 리드 인에이블 신호(CHREN)에 의해 해당되는 오디오 버퍼 메모리(130, 131, l32)에서는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ID 데이터 발생부(l70)는 하기 제3도에 도시된 포맷에 의해 ID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멀티플렉서(180)는 하기 제2b도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생성된 각 데이터를 해당 시간에 선별하여 단일 채널로 출력한다.
제2a도는 제1도에 도시된 비디오 데이터 카운터부(140)의 상세도면이고, 제2b도는 제1도에 도시된 멀티플렉서(180)의 상세한 도면이고, 제2c도는 제1도에 도시된 ID데이터 발생부(170)로부터 발생된 데이터를 포맷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2d도는 제1도에 도시된 비디오 리드 인에블 신호 발생부(150)의 상세한 도면이며,제2e도는 제1도에 도시된 오디오 리드 인에블 신호 발생부(l40)의 상세한 도면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섹터의 포멧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도에 도시된 섹터의 종류는 크게 DUMMY영역, 제1오디오영역, 제2오디오영역 및 비디오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섹터포멧은 기본 신호인 GOPT 신호를 기준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1 GOPT 시간동안 총 180섹터가 생성되며, 1 섹터의 크기는 4096 바이트이다. 제3도의 (가)는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섹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4 바이트의 ID영역과 DUMMY 영역으로 구성되고, 제3도의 (나)는 네 번째, 다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덞 번째, 열한번째, 열세번때, 열네번째 섹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4 바이트의 ID영역과 4032 바이트의 제1오디오 신호영역과 60 바이트의 DUMMY영역으로 구성되고, 제3도의 (다)는 여섯번째, 아홉번째, 열두번째, 열다섯번째 섹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3454 바이트의 제2오디오 영역과 4 바이트의 ID영역과 638 바이트의 DUMMY영역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3도의 (라)는 열다섯번째 내지 일백 팔십번째 섹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4062 바이트의 비디오 데이터영역과, 4 바이트의 ID양약과 30 바이트의 DUMMY영역으로 구성된다.
ID 데이터는 현재의 섹터가 무엇인지를 명료하게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총 4 바이트를 할당하여 나타낸다.
제4a도는 제3도에 도시된 4 바이트로 구성된 ID 영역의 구조의 상세한 도면으로서, 2 바이트의 데이터 영역(40), 2 바이트의 비디오 데이터길이 영역(42)로 구성되고, 이 ID영역 중 참조부호 42의 2바이트는 가변비트율을 갖는 비이오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데 사용하고, 나머지 2 바이트에 데한 ID 중 데이터 영역은 DUMMY 섹터에만세팅된다.
제4b도는 제4a도에 도시된 ID영역의 상세한 도면으로서, 제4a도에 도시된 2 바이트의 데이터 영역 증 첫 번째 바이트의 8비트는 최상의비트로부터 데이터, 시작, 비디오, 0, 채널1, 채널2, 채널3, 채널4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할당되고, 두 번째 바이트의 8비트는 최상위 비트로부터 8프레임, 6프레임, 비디오 타입1, 비디오 타입2, 비디오 타입3, GOP수로 할당된다. 여기서 비디오 타입 1은 비디오 신호만을, 비디오 타입2는 비디오 신호와 DUMMY 신호를, 비디오 타입3은 DUMMY만을 각각 나타내고, GOP 넘버의 조합은 제1GOP를 000, 제2GOP를 001, 제3GOP를 010, 제4GOP를 011, 제5GOP를 l00, 제6GOP를 101로 나타낸다.
또한, 제4a도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2 바이트의 영역(42)은 최하의 비트로부터 L0, L1, L2, L3, L4, L5, L6, L7, L8, L9, L10, L11 비트로 구성되어 비디오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낸다.
제5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I/F신호의 타이밍도이고, 제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I/F신호의 타이밍도이다.
이어서,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포맷 장치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비디오 I/F모듈(100)에서는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이 데이터의 유효구간을 지정하는 비디오 라이트 인에이브 신호(VWEN) 및 클럭신호(VWCK)신호가 출력된다. 동시에 오디오 I/F모듈(110)에서는 부호화된 각 오디오 채널의 데이터와, 각 채널별 인에이블 신호 및 클럭신호(AWCK)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 I/F모듈(100)과 오디오 I/F모듈(110)에서 출력된 비디오 관련 신호들(VWEN, VWCK, 비디오 코드데이터)과 오디오 관련 신호들의 타이밍은 제5a도와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비디오 I/F(100)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코드데이터는 비디오 버퍼 메모리(120)에 비디오 라이트 인에이브 신호(VWEN)가 주어지는 동안 라이트되고, 동시에 이 비디오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는 제2a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비디오 데이터 카운터부(제1도에 도시된 참조부호 140)의 인에블 단자로 입력되어 현재 GOP구간에 들어오고 있는 비디오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이 비디오 데이터 카운터부(제2a도)의 출력값인 W0 내지 W11는 제4도에 도시된 ID 값 중 비디오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값(참조부호40)이 되며, 제2a도에 도시된 이 카운터부의 출력값(W0 내지 W11, B0 내지 B7)은 제2d도에 도시된 비디오 리드 카운터(240)의 출력값과 비교되어 비디오 리드 인에이블 신호 및 제4도에 도시된 ID 값 중 비디오 신호을 나타네는 데이터 비트(참조부호40)를 생성한다.
이와 동시에, 3채널로부터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각각의 채널 버퍼메모리(130, 131, 132)에 제5b도에 도시된 타이밍에 따라 라이트된다. 라이트된 오디오 데이터는 다음 GOPT 구간에서 리드가 시작되며, 제4도에 도시된 섹터의 포맷에 따라 제2e도에 도시된 채널별 리드 인에이블 신호(AlR, A2R, A3R, A4R) 또는 제1도에 도시된 채널별 리드 인에이블 신호인 GH1REN, CH2REN, CH3REN, CH4REN 신호에 의해 리드가 이루어진다.
동시에, 해당 섹터에 대한 ID가 정확히 포맷되기 위해서는 제2c도에 도시된 JK플립플롭 등의 출력이 이용된다.
선입선출 버퍼메모리로(120, 130, 131, 132)부터 리드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와 ID데이터 발생부(17)에서 생성된 ID데이터는 제2b도에 도시된 멀티플렉서 회로에 의해 최종적으로 포맷팅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어서,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섹터 포맷 및 ID의 ㅈ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a도에 도시된 ID 데이터 중 2 바이트 크기의 두 번째 바이트(42, 제2a도의 W0 내지 W11)는 가변비트율을 갖는 비디오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데 이용된다. 나머지 2 바이트 크기의 첫 번째 바이트에 해당되는 데이터 비트(제2c도에 도시된 DE)는 DUMMY 섹터에만 세팅된다. 제4b도에 도시된 스타트 비트(제2c도에 도시된 INT)는 1GOP중 처음 생성된 오디오 섹터에서 세팅된다. 비디오 비트(제2c도에 도시된 VE)는 비디오 섹터에서 세팅되며, 채널비트(제2c도에 도시된 CH1E 내지 CH4E)는 해당채널의 오디오 데이터의 섹터에서 세팅된다. 7프래임/6프래임 비트(제2c도에 도시된)는 오디오 섹터 중 6프레임 또는 7프레임이 포맷팅 되었는지를 나타내며, 해당비트를 세팅한다.
비디오 타입 비트(제2d도에 도시된 V, M, D)들은 GOPT 단위시간에 가변적으로 들어오는 비디오 데이터를 1섹터의 크기로 잘랐을 경우 발생하는 섹터 모양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비트율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장비트율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동기를 맞춰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전송하는 포맷팅 장치로서, A/V기기 등에 부가결한 요소이며, 이를 구현함에 있어, 불가피하게 대두되는 많은 양의 메모리 소요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메모리 제어에 필요한 부수적인 하드웨어의 양이 줄어 제작비용 측면에서도 큰효과를 갖으며, 특히, A/V기기의 필수요건인 소형화의 실현에 큰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가변 비트율 데이터의 포맷팅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이 비디오 데이터의 유효구간을 지정하는 비디오 신호 라이트 인이에블 신호 및 비디오 신호 라이트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I/F 모듈,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유효구간을 지정하는 오디오 신호 라이트 인이에블 신호 및 오디오 신호 라이트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I/F 모듈, 상기 비디오 I/F 모듈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디오 버퍼 메모리, 상기 오디오 I/F 모듈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오디오 버퍼 메모리, 상기 비디오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필요한 타이밍에 읽어내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비디오 인에이블 리드 신호 발생부, 상기 비디오 리드 인에이블 신호발생부를 제어하여 가변 비트율의 비디오 데이터의 개수를 어탭티브하게 계산하는 비디오 데이터 카운터부, 상기 다수의 오디오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필요한 타이밍에 읽어내기 위한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다수의 오디오 리드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 ID 데이터를 생성하는 ID데이터 발생부, 및 상기 비디오 버퍼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와 소정의 오디오 버퍼 메모리로부터 각각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는 멀티플랙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데이터의 포맷팅 장치.
  2. 섹터 포맷의 구조에 있어서, DUMMY 영역, 제1오디오 데이터 영역, 제2오디오 데이터 영역 및 비디오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여 180 섹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섹터의 포맷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UMMY영역은 첫 번째 섹터 내지 세번째 섹터의 포맷구조를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현재의 섹터가 어떤 정보를 나타내는 4 바이트의 ID영역과 4096 바이트의 DUMMY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의 포맷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디오 데이터 영역은 네 번째, 다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열한번째, 열세번째, 열네번째 섹터의 포맷을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현재의 섹터가 어떤 정보를 나타내는 4바이트의 ID영역과 4032 바이트의 제1오디오 신호영역과 60 바이트의 DUMMY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의 포맷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 영역은 여섯 번째, 아홉번째, 열두번째, 열다섯번째 섹터의 포맷을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현재의 섹터가 어떤 정보를 나타내는 4 바이트의 ID영역과 3454바이트의 제2오디오 영역과 638 바이트의 DUMMY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의 포멧 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영역은 열다섯번째 내지 일백 팔십번째 섹터의 포맷을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현재의 섹터가 어떤 정보를 나타내는 4 바이트의 ID영역과 4062 바이트의 비디오 데이터 영역과 30 바이트의 DUMMY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의 포멧 구조.
  7. 제3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4 바이트의 ID영역은 2바이트의 데이터 영역과 2 바이트의 비디오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의 포멧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 바이트의 데이터 영역은 DUMMY섹터에서만 세팅되는 1비트의 데이터 비트, 1GOP 중 처음 생성된 오디오 섹터에서 세팅되는 1비트의 스타트 비트, 비디오 섹터에서 세팅되는 1비트의 비디오 비트, 해당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의 섹터에서만 세팅되는 3비트의 채널비트, 오디오 섹터 중 6프레임 또는 7프레임이 포맷팅되었는지를 나타내며 해당비트를 세팅하는 각각 1비트의 7프레임/6프레임 비트, 1GOPT 단위시간에 가변적으로 들어오는 비디오 데이터를 1섹터의 크기로 잘랐을 경우 발생하는 섹터 모양을 나타내는 3비트의 비디오 타입 비트 및 3비트의 GOP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의 포멧 구조.
KR1019960007731A 1996-03-21 1996-03-21 가변비트율 데이터 포맷 장치 및 그에 따른 섹터의포맷구조 KR100224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7731A KR100224822B1 (ko) 1996-03-21 1996-03-21 가변비트율 데이터 포맷 장치 및 그에 따른 섹터의포맷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7731A KR100224822B1 (ko) 1996-03-21 1996-03-21 가변비트율 데이터 포맷 장치 및 그에 따른 섹터의포맷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259A KR970067259A (ko) 1997-10-13
KR100224822B1 true KR100224822B1 (ko) 1999-10-15

Family

ID=1945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7731A KR100224822B1 (ko) 1996-03-21 1996-03-21 가변비트율 데이터 포맷 장치 및 그에 따른 섹터의포맷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8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259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4346B2 (ja) Mpeg再生システムにおいてオーディオとビデオを同期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59872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an information page having header information and page data
CA2099689A1 (en) Time delay control for serial digital video interface audio receiver buffer
US4215335A (en) Digital signal transmission method
JPS60171895A (ja) データ変換回路
EP0125002A2 (en) Programmable longitudinal time code generator utilizing a synchronous programmable parallel-to-serial data converter.
KR100269748B1 (ko)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205368B1 (ko) 디지탈 자기기록 매체의 전송 비트스트림의 기록/재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65234B1 (ko) Hd-dvcr을 위한 3중 에러정정 방법 및 그장치
KR100224822B1 (ko) 가변비트율 데이터 포맷 장치 및 그에 따른 섹터의포맷구조
KR19990082552A (ko) 편집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JPH1188441A (ja) メモリ制御装置及び方法、送信装置、受信装置
US7116890B2 (en)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JP3135237B2 (ja) デジタル信号記録装置
KR970005657B1 (ko) 멀티 하드디스크를 이용한 비트스트림 발생장치
JP3079615B2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再生装置
JP3079614B2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再生装置
JPH1153832A (ja) 伝送装置、受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装置
KR100281875B1 (ko) 데이터셔플링및디셔플링장치
KR100285420B1 (ko) 고화질 텔레비전의 가변 부호화기
US7292603B2 (en) Memory-efficient conversion between differing data transport formats of SONET overhead data
KR100268700B1 (ko) 비디오 디스크 레코더를 위한 고속 비디오 인터페이스회로
KR100237415B1 (ko) 리드-솔로몬 복호기의 지연 선입선출 장치
KR100251451B1 (ko) 입/출력레이트 및 포맷변환장치
JP2001157177A (ja) ディジタルデータ伝送装置、伝送方法、及び伝送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