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798B1 - A digital adjustable resistor - Google Patents

A digital adjustable resis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798B1
KR100217798B1 KR1019970043543A KR19970043543A KR100217798B1 KR 100217798 B1 KR100217798 B1 KR 100217798B1 KR 1019970043543 A KR1019970043543 A KR 1019970043543A KR 19970043543 A KR19970043543 A KR 19970043543A KR 100217798 B1 KR100217798 B1 KR 100217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button
uni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20101A (en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4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798B1/en
Publication of KR1999002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1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7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4Delay circuits;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출력전화기의 버튼정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버튼을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누른 버튼에 따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각각의 어드레스에 음성 또는 펄스음이 입력된 음성메모리를 내장하고 있고 입력된 데이터와 동일한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음성 또는 펄스음을 찾아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싱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전화기의 스피커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음성 또는 펄스음으로 발성하며 상기 데이터를 액정 표시 장치(LCD)화면에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있는 버튼출력전화기에서의 버튼정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상이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재입력시키기 위한 입력정정부와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정정부의 사용유무를 비교하는 비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correction device for a button output telephone, comprising: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button by a user,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data of the key input unit and controlling the button according to a button pressed by the user, A voice processing unit having a built-in voice memory in which voice or pulse sound is input and interfac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find a voice or pulse sound corresponding to the same address as the input data, and an out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oice processing unit A button correction device in a button output telephone including an output unit for receiving a sound, and uttering data input through a speaker of a telephone by voice or pulse sound and displaying the data o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creen.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e data entered by the user and the desired data are different The input correction unit for re-entering the data desired by the user when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use of the input correction unit.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음성 또는 펄스음으로 청취하고, 그 입력한 데이터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아닐 때 입력정정부의 정정버튼을 누른다. 따라서, 사용자가 처음부터 데이터를 재입력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잘못 입력한 데이터만 삭제시켜 원하는 데이터만이 입력된다.The user inputs data by voice or pulse sound, and when the input data is not the data desired by the user, presses the correction button of the input correction unit. Therefore, the trouble of the user re-entering the data from the beginning is eliminated, and only the desired data is input by deleting only the wrongly input data.

Description

버튼출력전화기의 버튼정정장치Button Correction Device for Button Output Phone

본 발명은 버튼출력전화기의 정정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화기 버튼을 누르는 도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와 다른 오타를 눌렀을 때 후크스위치를 눌러 처음부터 재다이얼링하지 않고 정정버튼으로 오타를 정정할 수 있는 버튼출력전화기의 버튼정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ection button device of a button output telephone, in more detail, when a user presses a wrong number with a desired phone number while pressing a telephone button, the user presses a hook switch and does not redial from the beginning. It relates to a button correction device of a button output telephone that can correct.

일반적인 버튼출력전화기의 구성 및 동작을 도 1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general button output telepho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키입력부(1)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인코딩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2)로 전송한다.The key input unit 1 transmits the encoded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lephone at the user's choice.

중앙처리장치(2)는 키입력부(1)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입력된 데이타를 음성처리부(4)에 내장된 음성메모리(4a)의 어드레스로 보내고, 상기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음성 또는 펄스음을 오디오부(5)에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2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key input unit 1, sends the input data to the address of the voice memory 4a embedded in the voice processing unit 4, and the voice or pulse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The sound is controlled by the audio unit 5 through the speaker.

표시부(3)는 키입력부(1)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의 제어하에, 액정표시장치(LCD)에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3 displays the data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

음성메모리(4a)에는 안내메세지와 용건메세지 및 음성정보를 각각의 어드레스에 할당하고 있다. 음성처리부(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어드레스의 음성 또는 펄스음정보를 디코딩하여 오디오부(5)로 출력한다. 오디오부(5)는 상기 음성처리부(4)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전화기의 스피커를 통해 입력된 버튼에 해당하는 음성 또는 펄스음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오디오부(5)에는 비교기(6)가 연결되어 있어 음성신호의 유무를 판별하고 그 판별된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2)로 전송한다.In the voice memory 4a, the announcement message, the message message and the voice information are assigned to respective addresses. The voice processing unit 4 decodes the voice or pulse soun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ddres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outputs it to the audio unit 5. The audio unit 5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processing unit 4 and delivers a voice or pulse sound corresponding to a button input through a speaker of the telephone. In addition, the comparator 6 is connected to the audio unit 5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oice signal and to transmit the determined data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

라인인터페이스부(8)는 국선전화국망과 연결되고 링신호와 톤신호 및 음성 또는 펄스음신호를 인터페이싱하고 링신호는 링거부(9)로 전송하고 톤신호와 음성 또는 펄스음신호는 통화로부(7)로 전송한다. 링거부(9)는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8)에서 출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한다.The line interface unit 8 is connected to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and interfaces the ring signal with the tone signal and the voice or pulse sound signal, the r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inger unit 9, and the tone signal and the voice or pulse tone signal are connected to the call path. Transfer to (7). The ringer section 9 detects a ring signal output from the line interface section 8.

링감지부(10)는 상기 링거부(9)에서 검출된 링신호를 감지하고 중앙처리장치(2)로 전송한다. 통화로부(7)는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8)와 연결되어 톤신호와 음성 또는 펄스음신호를 처리한다.The ring detector 10 detects the ring signal detected by the ringer 9 and transmits the ring signal to the CPU 2. The call path unit 7 is connected to the line interface unit 8 to process tone signals and voice or pulse sound signals.

톤 디코더부(11)는 상기 통화로부(7)와 연결되고 그 통화로부(7)에서 출력되는 DTMF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3)로 전송한다. 다이얼링부(12)는 키 입력부(1)에서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화로부(7)로 출력한다.The tone decoder 11 is connected to the call path 7 and decodes the DTMF signal output from the call path 7 and transmits it to the CPU 3. The dialing section 12 converts the data signal inputted from the key input section 1 into a DTMF signal and outputs the DTMF signal to the call path section 7.

이와같은 버튼출력 장치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시각 장애자에게 본인이 입력한 버튼을 음성 또는 펄스음으로 알려줌으로써, 본인이 입력한 데이터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가 동일한가의 여부를 그 즉시 확인할 수 있다.Such a button output device can immediately check whether the data input by the user and the data to be sent are the same by notifying the user as well as the visually impaired button input by voice or pulse sound.

그러나, 입력한 데이터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가 동일하면 문제가 없으나 종종 전화기의 버튼을 잘못 누르는 오류가 발생하고 있고, 이와같은 경우에는 후크스위치를 누르고 버튼을 처음부터 재입력시키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if the input data and the data to be sent are the same, there is no problem, but often an error of incorrectly pressing a button of the phone occurs. In such a case, the trouble of pressing the hook switch and re-entering the button from the beginning occurs. .

이에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한 데이터를 음성 또는 펄스음으로 청취하고, 그 입력한 데이터가 원하는 데이터가 아닐 때 전화기의 정정버튼을 누르므로써, 처음부터 재입력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잘못 입력한 데이터만 삭제시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출력전화기의 정정버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isten to the input data by voice or pulse sound, and when the input data is not the desired data by pressing the correction button of the telephone, It is to provide a correction button device of the button output telephone to eliminate the hassle of re-entry from the input and to delete only the data entered incorrectly to enter the desired data.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버튼을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키입력부의 데이터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각각의 어드레스에 음성 또는 펄스음이 입력된 음성메모리를 내장하고 있고 입력된 데이터와 동일한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음성 또는 펄스음을 찾아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싱하는 음성처리부와, 음성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전화기의 스피커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음성 또는 펄스음으로 발성하며 상기 데이터를 액정 표시 장치(LCD)화면에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있는 버튼출력전화기에서의 버튼정정장치에 있어서, 입력정정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며, 입력한 데이터와 원하는 데이터가 상이할 때 원하는 데이터를 재입력시키고, 비교부는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며 입력정정부의 사용유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button by a user,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data of the key input unit, and a voice memory in which a voice or pulse sound is input to each address. A voice processing unit which finds a voice or pulse sound corresponding to the same address as the received data and interface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receives an out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oice processing unit, and receives the data in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telephone. A button correction device in a button output telephone, which outputs a pulse sound and displays the data o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creen, wherein the input corr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inputs data and desired data. Re-enter the desired data when the data are different and the comparator is connected to the output Characterized by comparing u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ryeokjeong government.

본 발명은 입력한 데이터를 음성 또는 펄스음으로 청취하고, 그 입력한 데이터가 원하는 데이터가 아닐 때 전화기의 정정버튼을 누르므로써, 처음부터 재입력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잘못 입력한 데이터만 삭제시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listens to the input data by voice or pulse sound, and when the input data is not the desired data by pressing the correction button of the telephone, eliminating the trouble of re-entering from the beginning and deleting only the incorrectly input data. You can enter the data you want.

도 1은 종래의 버튼출력전화기의 회로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button output telephon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정정장치의 회로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button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정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utton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키입력부 2 : 중앙처리장치1: key input 2: central processing unit

4 : 음성처리부 4a : 음성메모리4: voice processor 4a: voice memory

14 : 출력부 20 : 입력정정부14: output unit 20: input correction

40 : 비교부40: comparison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출력전화기의 정정버튼 장치의 회로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correction button device of a button output tele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키입력부(1)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전화기의 버튼을 사용하여 그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입력정정부(20)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잘못 입력시켰을 때 전화기의 정정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입력한 데이터가 원하는 데이터가 아님을 알린다.The key input unit 1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utton by using a button of the telephone to provid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input correction unit 20 informs that the input data is not the desired data by selecting the correction button of the telephone when the user incorrectly inputs the telephone number.

중앙처리장치(2)는 상기 키입력부(1)의 버튼신호가 수신됐을 때는 그 버튼에 해당하는 음성메모리(4a)의 어드레스에 내장하고 있는 음성 또는 펄스음을 지정하도록 제어하고, 키입력부(1)의 버튼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도중에 상기 입력정정부(20)의 정정버튼신호가 수신됐을 때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화번호를 재입력시키도록 제어한다.When the button signal of the key input unit 1 is receiv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 controls to designate a voice or pulse sound embedded in the address of the voice memory 4a corresponding to the button, and the key input unit 1 When a correction button signal of the input correction unit 20 is received while the telephone number is input by using the button of (), it is controlled to re-enter the telephone numb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음성처리부(4)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에 연결되고, 중앙처리장치(2)의 제어하에, 음성처리부(4)에 내장되어 있는 음성메모리(4a)의 어드레스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성 또는 펄스음을 지정한다.The voice processing unit 4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 the voice processing unit 4 is connected to the data input by the user at the address of the voice memory 4a embedded in the voice processing unit 4; Specify the corresponding voice or pulse sound.

출력부(14)는 상기 음성처리부(4)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출력신호를 디코딩하여 전화기의 액정 표시 장치(LCD)에 표시하도록 출력하고, 또한 상기 음성처리부(4)에서 수신된 출력신호를 전화기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또는 펄스음으로 출력한다.The output unit 14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processing unit 4, decodes the received output signal and outputs it to be displayed o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f the telephone. The received output signal is output through voice or pulse sound through the speaker of the telephone.

비교부(40)는 타이머(41)와 비교기(42) 및 플립플롭(43)을 포함하고 있으며, 타이머(41)는 소정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용 타이머를 사용하고, 전화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음성 또는 펄스음을 청취하여 정정버튼을 누를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를 두기 위해 이용된다. 비교기(42)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누르는 도중에 정정버튼의 선택여부를 비교하도록 동작한다. 플립플롭(43)은 상기 비교기(42)의 출력에 따라 정정버튼의 선택여부가 확인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삭제하도록 작동한다.The comparator 40 includes a timer 41, a comparator 42, and a flip-flop 43. The timer 41 uses a delay timer for delaying a predetermined time,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of the telephone. It is used to allow time to listen to the voice or pulse sound and press the correction button. The comparator 42 operates to compare selection of a correction button while the user presses the telephone number. The flip-flop 43 operates to delete the telephone number input by the user when the selection of the correct button is confirmed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42.

본 발명에 따른 음성버튼전화기의 정정버튼 장치의 흐름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버튼출력전화기의 정정버튼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of the correction button device of the voice button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rrection button device of the button output telepho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그 즉시 스피커(14a)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음성 또는 펄스음이 출력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도중에 잘못 입력한 전화번호가 있어서 정정버튼을 선택하면, 플립플롭(43)에 의해 입력한 최후의 전화번호가 삭제되고 전화번호를 재입력하도록 동작한다.When the user inputs a desired telephone number, a voice or pulse sound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put through the speaker 14a is immediately output. However, if the user selects a correction button because there is an incorrectly entered telephone number while entering the telephone number, the last telephone number input by the flip-flop 43 is deleted and the telephone number is re-enter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음성 또는 펄스음으로 청취하고, 그 입력한 데이터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아닐 때 입력정정부의 정정버튼을 누르므로써, 사용자가 처음부터 데이터를 재입력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잘못 입력한 데이터만 삭제시켜 원하는 데이터만이 입력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listens to the data input by the user by voice or pulse sound, and when the input data is not the data desired by the user, by pressing the correction button of the input correction, the user restarts the data from the beginning. The trouble of typing is eliminated, only the wrong data is deleted and only the desired data is input.

Claims (2)

사용자가 버튼을 입력하는 키입력부(1)와, 상기 키입력부(1)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누른 버튼에 따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와, 각각의 어드레스에 음성 또는 펄스음이 입력된 음성메모리(4a)를 내장하고 있고 입력된 데이터와 동일한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음성 또는 펄스음을 찾아 상기 중앙처리장치(2)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싱하는 음성처리부(4)와, 상기 음성처리부(4)에서 전송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전화기의 스피커(14a)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음성 또는 펄스음으로 발성하며 상기 데이터를 액정 표시 장치(LCD)화면에 표시하는 출력부(14)를 포함하고 있는 버튼출력전화기에서의 버튼정정장치에 있어서,A key input unit 1 for a user to input a button, a central processing unit 2 for receiving data from the key input unit 1 and controlling it according to a button pressed by the user, and a voice or pulse sound input to each address A voice processing unit 4 having a built-in voice memory 4a and interfacing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 to find a voice or pulse sound corresponding to the same address as the input data, and the voice processing unit 4 Receiving an out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nd the output unit 14 for sounding the data input through the speaker 14a of the telephone with a voice or pulse sound and displaying the data o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creen, In a button correction device in a button output telephone 상기 중앙처리장치(2)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상이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재입력시키기 위한 입력정정부(20);An input correcting unit 20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 for re-inputting data desired by the user when data input by the user and data desired by the user are different; 상기 출력부(14)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정정부(20)의 사용유무를 비교하는 비교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출력전화기의 버튼정정장치.The button correction device of the button output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14, comprising a comparison unit 40 for comparing the use of the input correction unit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4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parison unit 40 예정된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한 타이머(41);A timer 41 for delaying a scheduled time; 상기 타이머(41)와 입력정정부(20)가 연결되어서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누르는 도중에 입력정정부(20)에 포함되는 정정버튼을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비교하여 비교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비교기(42); 그리고The comparator 42 is connected to the timer 41 and the input correction unit 20 so as to compare whether the user selects a correction button included in the input correction unit 20 while pressing the telephone number and provides a comparison signal. ); And 상기 비교기(42)로부터의 비교신호를 입력하여 정정버튼의 선택여부가 확인될 때 사용자가 잘못 입력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플립플롭(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출력전화기의 버튼정정장치.And a flip-flop (43) for deleting the data wrongly input by the user when the selection of the correction button is confirmed by inputting the comparison signal from the comparator (42). .
KR1019970043543A 1997-08-30 1997-08-30 A digital adjustable resistor KR1002177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543A KR100217798B1 (en) 1997-08-30 1997-08-30 A digital adjustable resis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543A KR100217798B1 (en) 1997-08-30 1997-08-30 A digital adjustable resis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101A KR19990020101A (en) 1999-03-25
KR100217798B1 true KR100217798B1 (en) 1999-09-01

Family

ID=1951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543A KR100217798B1 (en) 1997-08-30 1997-08-30 A digital adjustable resis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79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101A (en)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5580B2 (en) Telephone
JPH09168048A (en) Receiver for dial in caller id block code and call queue caller id signal
TW313736B (en)
JP3080262B2 (en) Exchange control unit
KR0176868B1 (en) Telephone automatic response message confirmation method using television
KR100217798B1 (en) A digital adjustable resistor
KR19990001882A (en) How your phone announces your caller's phone number
KR100256485B1 (en) Video-phone capable of sensing generation of emergency state and method for securing by use of video-phone
KR100539155B1 (en) Method for next alarm cancellation
KR0169424B1 (en) Automatic answering message for telephones
JP2000092191A (en) Compound information system, voice call func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KR100193830B1 (en) Dialing method using Korean characters
KR100630096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the mobile terminal
KR100754663B1 (en) Method for darling in wireless telephone
KR100643440B1 (en) Method for setting alarm using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 in mobile terminal
KR100456738B1 (en) 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rate of data in mobile telephone
KR20000001188A (en) Remote control method of morning call
KR10116618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alarm for voice data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605936B1 (en) Method for changing key tone in wireless terminal
KR0153861B1 (en) Ring mute circuit and method
JPH05183649A (en) Picture communication telephone set
JP2002271474A (en) Portable telephone
KR19990032252A (en) How to tell if you have received messages from an answering machine
JP2001024805A (en) Telephone set with voice outputting function
JPH077981B2 (en) ISDN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