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225B1 -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to be capable of directly connecting with pstn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to be capable of directly connecting with pst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225B1
KR100217225B1 KR1019960048438A KR19960048438A KR100217225B1 KR 100217225 B1 KR100217225 B1 KR 100217225B1 KR 1019960048438 A KR1019960048438 A KR 1019960048438A KR 19960048438 A KR19960048438 A KR 19960048438A KR 100217225 B1 KR100217225 B1 KR 10021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onnection
unit
mobile terminal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29196A (en
Inventor
김종찬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4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225B1/en
Publication of KR19980029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1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22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주변의 이용가능한 국선라인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국선접속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장치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송수화부로부터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국선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국선접속단자와, 이 국선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검출부, 단말기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브리지회로, 국선라인과의 접속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국선접속감지부, 상기 음성처리부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국 송신자의 음성신호 및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함은 물론 측음(side tone)에 대한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회로,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국선라인과 상기 네트워크 회로와의 연결을 단속하는 통화로 단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국선접속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자체의 동작모드를 국선접속모드 또는 일반무선모드로 전환함으로써 해당 모드에 따른 접속처리를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 line calling function that can be used by being connected to a nearby CO line as required, and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apparatus and a voic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input / A ring detector for detecting a ring signal applied through the trunk line connection terminal, a bridge circuit for interfacing all communication signals input and output in and out of the terminal, A CO lin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onnection state with a CO line, and a CO line receiver for amplifying a voice signal of a transmitting party and a voice signal of a user at a predetermined level through an interface with the voice processing unit, Processing and the like, and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circu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the network circuit to the line connection mode or the general wireless mode based on the level of the det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CO line detection unit So that the conn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mode is controlled.

Description

국선접속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A mobile terminal having a CO call function

본 발명은 개인통신용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에 따라 주변의 이용가능한 국선라인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국선접속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for personal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O line calling function which can be used by being connected to a nearby CO line.

최근,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된 개인통신시스템이 개발되어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는 바, 이러한 개인통신시스템은 크게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TDMA방식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기술의 완성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많은 나라들이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rapidly spreading so that an individual can communicate with another person while moving from one place to another or from one place to another. Communication systems are largely divided into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 these, TDMA is a system in which stability and technology are relatively high, have.

한편, 도1은 상술된 TDMA 방식에 따른 개인통신용 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기지국(도시되지 않음)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이고, 2는 이 안테나(1)에 의해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Low Noise Amplifier)등으로 구성된 저잡음증폭부, 3은 이 저잡음증폭부(2)를 통해 입력된 주파수신호로부터 본래의 코드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ersonal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DMA scheme.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n antenna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 base station (not shown), 2 denotes an antenna 1 And a demodulator 3 for demodulating the original code signal from the frequency signal input through the low noise amplifier 2. The low noise amplifier 3 is a low noise amplifier configured to amplify a frequency signal received by the low noise amplifier 2, .

또한, 참조번호 4는 상기 복조부(3)와 이후에 설명할 변조부(9)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GSM 규격에 따라 인터리빙(Interleaving)과 블록코딩(Block Coding) 및 콘벌루션코딩(Convolution Coding)을 실행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 5는 기지국(도시되지 않음)과 LAPDm 규격에 따라 송수신하게 되는 제어데이터를 처리하는 LAPDm 처리부이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n interleaving, block coding and convolution coding according to the GSM standard for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demodulating unit 3 and the modulating unit 9 to be described later. Coding), and 5 is a LAPDm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control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a base station (not shown) and the LAPDm standard.

또한, 참조번호 6은 상대국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음성신호를 가청음성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이고, 7은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서 변환입력하는 마이크로폰, 8은 상기 마이크로폰(7)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베이스밴드처리부(24)를 통해서 인가된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26)로 출력하는 등의 음성처리를 실행하는 음성처리부이다.Reference numeral 6 denotes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rtner station as an audible voice. Reference numeral 7 denotes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nd inputting the voice input of the user as an electrical signal. 8 denotes a microphone Converts the analog voice signal into digital data, converts the voice data applied through the baseband processor 24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voice signal to the speaker 26.

참조번호 9는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4)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이고, 10은 이 변조부(9)에서 변조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이다.Reference numeral 9 denotes a modulator for modulating transmission data output through the baseband processor 4 with a predetermined frequency signal, and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 frequency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or 9.

그리고, 참조번호 11은 다수의 숫자키(10-키)와 기능키를 구비한 키입력부이고, 12는 단말기의 각종 동작상태나 조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부, 13은 상기 LAPDm 처리부(5)를 통한 기지국(2)과의 송수신을 통해 단말기의 사용상태를 동작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키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14는 이 제어부(13)의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15는 상기 제어부(13)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처리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이다.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key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numeric keys (10-keys) and function keys.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display unit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displaying various operating states and operating states of the terminal, A control unit 14 for controlling the use state of the terminal through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base station 2 through the LAPDm processing unit 5 an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 A program memory 15 in which an operation program of the control unit 13 is stored, and a data memory 15 in which various process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3 are stored.

또한, 참조번호 16은 상기 복조부(3)에서 복조되어 출력되는 수신데이터를 디지탈변환하여 수신 전력레벨에 대응되는 데이터값을 상기 제어부(13)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서, 이는 단말기의 기지국 선택이나 핸드오버(Hand Over) 기능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digitally converting reception data demodulated and outputted by the demodulation unit 3 and outputting a data value corresponding to a reception power level to the control unit 13, It is provided for selection or hand over function.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개인통신용 이동단말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1)를 통해 수신자측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게 되면, 제어부(13)가 상기 LAPDm 처리부(5)와 베이스밴드 처리부(4)를 통해 호접속을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변조부(9)와 증폭부(10)를 거쳐 안테나(1)를 통해 기지국측으로 송출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을 위한 통화로를 형성하게 되는 바, 안테나(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베이스밴드 처리부(4)를 거쳐 음성처리부(8)에 인가되게 됨으로써 증폭 등의 소정 처리과정을 거친 뒤 수화부인 스피커(6)를 통해 출력되게 되며, 반면 마이크로 폰(7)을 통해 입력된 송화자의 음성신호는 음성처리부(8)와 베이스밴드 처리부(4)를 거쳐 안테나를 통해 송출됨으로써 송/수신자 간의 통화가 진행되도록 되어 있다.That is, in the personal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user dials the recipient telephone numb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 the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LAPDm processing unit 5 and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4,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data to the base station side via the antenna 1 through the modulator 9 and the amplification unit 10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s applied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8 through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4 and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6 which is a sign language after being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process such as amplific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through the voice processing unit 8 and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4 so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proceeds.

한편, 상술된 종래의 이동단말기는 한정된 무선자원만을 매개로하여 통신이 진행되기 때문에 이동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다는 편리함은 있으나 채널 점유에 따른 비싼 사용료를 내야 하는 부담이 있으므로, 만일 주변에서 국선라인에 접속된 보통의 유선전화기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굳이 가지고 있는 이동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통화료가 싼 일반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었다.Meanwhile, sinc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communicates with only a limited amount of radio resources, it is convenient that a user can make or receive a telephone anytime and anywhere on the move. However, since there is a burden of paying an expensive fee for occupying a channel, It is common to use a conventional telephone having a relatively low communication cost without using a mobile terminal if the ordinary telephone line connected to the trunk line is easily available.

그러나, 이러한 경우 이동단말기가 제공하는 여러 가지 편리한 기능 즉, 예컨대 자주 연락하는 전화번호에 대해 설정해 놓은 자동 예약 다이얼 기능이나 내부 메모리에 등록시켜 둔 다양한 부가기능을 이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사실상 이용가능한 많은 기능을 십분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불합리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such a case, it is impossible to use various convenient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automatic reservation dial function set for the frequently-contacted phone number or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registered in the internal memory, There was an unreasonable problem that would make it impossible to fully utilize it.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주변의 이용가능한 국선라인에 직접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국선접속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 line calling function which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n available CO line.

도1은 일반적인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 개인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personal communication terminal.

도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국선접속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 calling func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 : 안테나 2 : 저잡음증폭부1: antenna 2: low noise amplifier section

3 : 복조부 4 : 베이스밴드 처리부3: demodulation unit 4: baseband processing unit

5 : LAPDm처리부 6 : 스피커5: LAPDm processing unit 6: speaker

7 : 마이크로 폰 8,38 : 음성처리부7: Microphone 8,38: Voice processor

9 : 변조부 10 : 증폭부9: Modulation section 10: Amplification section

11 : 키입력부 12 : 표시부11: key input unit 12: display unit

13,33 : 제어부 14 : 프로그램 메모리13, 33: control unit 14: program memory

15 : 데이터 메모리 16 : A/D 변환기15: Data memory 16: A / D converter

21 : 국선접속단자 22 : 링검출부21: CO line connection terminal 22: Ring detection section

23 : 브리지회로 24 : 국선접속감지부23: Bridge circuit 24:

25 : 네트워크회로 26 : 통화로 단속부25: network circuit 26: interrupted by call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국선접속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는 장치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송수화부로부터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국선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국선접속단자와, 이 국선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검출부, 단말기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브리지회로, 국선라인과의 접속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국선접속감지부, 상기 음성처리부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국 송신자의 음성신호 및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함은 물론 측음(side tone)에 대한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회로,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국선라인과 상기 네트워크 회로와의 연결을 단속하는 통화로 단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국선접속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자체의 동작모드를 국선접속모드 또는 일반무선모드로 전환함으로써 해당 모드에 따른 접속처리를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O line ca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ha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ire apparatus and a voic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input and output from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unit, A ring detector for detecting a ring signal applied through the CO line connection terminal, a bridge circuit for an interface of all communication signals input and output in and out of the terminal, a CO line for detecting a connection state with a CO line, A network circuit for amplifying a voice signal of a transmitting party and a user's voice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through an interface with the voice processing unit and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n a side tone, And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 line and the network circu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n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mode by switching its own operation mode to the CO line mode or the general wireless mode based on the level of the det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CO line connection detecting unit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국선접속 통화기능이 구비된 이동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 도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 connection call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shown in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2에서 참조번호 21은 국선라인의 팁(TIP)선과 링(RING)선을 접속하기 위한 국선접속단자이고, 22는 이 국선접속단자(21)를 통해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검출부이며, 23은 단말기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브리지회로, 24는 국선라인과의 접속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국선접속감지부이다.2, reference numeral 21 denotes a CO line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a tip line (TIP) line of a CO line and a RING line, 22 is a ring detection section for sensing a ring signal applied through the CO line connection terminal 21 Reference numeral 23 denotes a bridge circuit for the interface of all communication signals input / output to / from the terminal, and 24 denotes a CO lin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CO line.

또한, 참조번호 25는 상기 음성처리부(8)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국선접속단자(21)와 브리지회로(23)를 거쳐 인가되는 대국 송신자의 음성신호 및 송화시 마이크로 폰(7)을 통해 입력되게 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함은 물론 측음(side tone)에 대한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회로이고, 33은 장치전반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국선접속감지부(24)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자체의 동작모드를 국선접속모드 또는 일반무선모드로의 운용전환을 실행하는 제어부, 26은 이 제어부(33)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국선라인과 상기 네트워크 회로(25)와의 연결을 단속하는 통화로 단속부이다.Reference numeral 25 denotes a voice signal of a transmitting party applied via the connection line 21 and the bridge circuit 23 via an interface with the voice processing unit 8, 33 is a network circuit for controlling the entire apparatus and being supplied with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 line detection unit 24, A control unit 26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its own operation mode to the CO line mode or the general wireless mode on the basis of the level of the detection signal, 26 a control unit 33 for controlling the CO line and the network circuit 25 It is the interrupted part in the currency which interrupts the connection with.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제어부(33)는 일정 시간간격으로 단말기에 국선라인이 접속된 상태인지를 확인하도록 되어 있는 바,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국선접속단자(21)에 국선라인의 팁(TIP Trunk Interface Port)선과 링(RING)선을 각각 접속하게 되면, 국선접속감지부(24)는 국선라인상에 유기되어 있는 DC 전원을 감지하여 예컨대 하이레벨의 검지신호를 제어부(33)측으로 출력하게 되며, 제어부(33)는 이를 근거로 자체의 동작모드를 무선통신모드에서 국선접속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무선통신을 위한 RF송신단 및 그 관련 구성의 동작을 수신대기상태로 설정함과 동시에 국선접속을 통한 통신에 관계된 구성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The control unit 33 confirms whether the trunk lin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 trunk line connection terminal 21 is connected to a TIP Trunk Interface Port line and a ring The control unit 33 outputs a high level detection signal, for example, to the control unit 33. The control unit 33 detects a DC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CO line, The operation mode of the RF transmitting termi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its related configuration are set to the reception standby state by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e to the trunk line connection mode and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trunk line connection is set to the active state .

한편, 국선접속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1)에 구비된 통화키(도시되지 않음)를 눌러 통화요구를 하게 되면, 제어부(33)는 통화로단속부(26)를 스위칭제어하여 상기 네트워크 회로(25)와 국선라인을 연결함으로써, 이후 사용자가 키입력부(11)를 통해 입력한 번호에 대해 다이얼링을 실행함과 동시에 대국 수신자와 통화가 진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If the terminal user requests a call by pressing a call key (not shown)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1 in a state of being switched to the CO line connection mode, the control unit 33 transmits a call interruption unit 26 The dialing is performed for the number entered by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 and at the same time, the call is controlled to proceed with the destination receiver.

즉,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회로(25)는 상기 음성처리부(8)와 더불어 음성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송수화기에 구비된 마이크로 폰(7)과 스피커(6)를 통해 대국의 수신자와 통신할 수 있도록 동작하게 된다.As a result, the network circuit 25 can communicate with the recipient of the partner through the microphone 7 and the speaker 6 provided in the handset while exchanging voice signals with the voice processor 8 .

한편, 단말기의 무선 송수신단은 외부로부터의 호출이 있을 경우에 대비하여 단말기가 사용중이 아닌 상태에서는 수신대기 상태로 있게 되는 바, 상기 링검출부(22)에 의해 국선라인을 통한 링신호가 수신되거나 상기 안테나(1)를 통해 무선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33)는 먼저 수신된 호출신호를 근거로 유선 또는 무선모드로의 동작전환을 실행하게 되며, 통화가 종료된 이후 본래의 대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Meanwhile, the terminal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is in a reception standby state when the terminal is not in use in preparation for an external call, and the ring signal is received by the ring detection unit 22 When the wireless paging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 the control unit 33 first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wired or wireless mode based on the received paging signal. After the call is terminated, .

반면, 송화시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국선접속감지부(24)로부터 인가되는 검지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예컨대 하이(High)레벨의 검지신호가 인가되면 단말기에 국선라인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국선라인을 통한 호접속을 실행하고, 로우(Low)레벨의 검지신호가 인가되게 되면 국선라인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여 통상의 무선 호접속을 실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transmission, when a detection signal of, for example, a high level is applied based on the level of the det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CO line detection unit 24 as described above, the CO lin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when a low level detection signal is applied, it is determined that the CO line is not connected, and a normal wireless call connection is executed.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 사용자는 주변의 국선라인을 자신의 단말기에 손쉽게 접속하여 국선라인을 통한 송수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동단말기에 설정하여 둔 제반 데이터는 물론 단말기가 가진 활용가능한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terminal user can easily connect the neighboring CO line to his / her terminal and execute transmission / reception through the CO line,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utilize all the functions set in the mobile terminal So that it can be utilized more effectively.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주변의 이용가능한 국선라인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국선접속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realize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O line calling function which can be used by being connected to a nearby available CO line.

Claims (1)

장치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송수화부로부터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국선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국선접속단자와, 이 국선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검출부, 단말기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브리지회로, 국선라인과의 접속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국선접속감지부, 상기 음성처리부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국 송신자의 음성신호 및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함은 물론 측음(side tone)에 대한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회로,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국선라인과 상기 네트워크 회로와의 연결을 단속하는 통화로 단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국선접속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자체의 동작모드를 국선접속모드 또는 일반무선모드로 전환함으로써 해당 모드에 따른 접속처리를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선접속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ire apparatus and a voic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input and output from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unit,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O line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a CO line, A ring detection unit, a bridge circuit for an interface of communication signals input to and output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erminal, a CO lin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onnection state with a CO line, A network circuit for amplifying a voice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for performing a signal process for side tones and the like, and a telephone circuit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unk line and the network circu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a detection unit A mobile terminal connected with a trunk line cal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for controlling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mode by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its own on the basis of the heading level to the trunk line connected mode or a normal radio mode.
KR1019960048438A 1996-10-25 1996-10-25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to be capable of directly connecting with pstn KR1002172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438A KR100217225B1 (en) 1996-10-25 1996-10-25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to be capable of directly connecting with pst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438A KR100217225B1 (en) 1996-10-25 1996-10-25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to be capable of directly connecting with pst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196A KR19980029196A (en) 1998-07-25
KR100217225B1 true KR100217225B1 (en) 1999-09-01

Family

ID=1947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438A KR100217225B1 (en) 1996-10-25 1996-10-25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to be capable of directly connecting with pst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22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196A (en)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45349A (en) Telephone system
KR100217225B1 (en)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to be capable of directly connecting with pstn
KR100549923B1 (en) Multi-mode mobile station
EP1069753A2 (e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74344B1 (en) Method for registering phone number during communication
KR100215726B1 (en) Wireless telephone having automatic receiving function by mode setting
KR100226222B1 (en) Wireless telephone with automatic receiving signal using ear-mic phone
KR100227331B1 (en) Mobile phone
KR19980041437A (en) Mobile terminal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received volume according to noise level
KR940009771B1 (en) Automatic selecting device for the modem of a cordless-phone
KR0136732B1 (en) Method of centraloffice line switching in the parallel handset
JPH09154175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0134454B1 (en) Celluar phone
KR200168443Y1 (en) Telephone of mixing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infrared rays.
KR19980033479A (en) Wireless modem access system
JP2987800B2 (en)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KR10023852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base station using a cellular phone in a radio telephone
KR19980041438A (en) Mobile terminal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received volume according to user's voice level
KR9700086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sending a dial tone in handphone of wireless telephone
JPH11298966A (en) Portable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KR960004722B1 (en) Dialing method of base device while using portable device
KR100678953B1 (en)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JPH0514274A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ounted with dtm receiver
KR20000020442A (en) Method for receiving dtmf signal of mobile radio terminal equipment
KR19990001251U (en) Handheld phone with dialing function with setting nu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