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888B1 - Auto-focusing control method for video camera - Google Patents

Auto-focusing control method for video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888B1
KR100213888B1 KR1019970001703A KR19970001703A KR100213888B1 KR 100213888 B1 KR100213888 B1 KR 100213888B1 KR 1019970001703 A KR1019970001703 A KR 1019970001703A KR 19970001703 A KR19970001703 A KR 19970001703A KR 100213888 B1 KR100213888 B1 KR 100213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filtering coefficient
luminance
filtering
luminan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66279A (en
Inventor
이인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888B1/en
Publication of KR1998006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2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888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다양한 휘도 조건에 따라 자동초점에 용이한 필터링 계수를 설정하여 현재의 휘도 데이터가 입력시 그에 맞는 필터링 계수를 선택하여 자동초점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 focusing of a video camera, which sets an easy filtering coefficient for autofocusing according to various luminance conditions so as to perform autofocusing by selecting a filtering coefficient suitable for input of current luminance data. will b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초점조절 시에 피사체 촬상에 기인하여 얻어진 휘도 데이터를 필터링 계수로 추출하여 포커스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초점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건에 기인하여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조건 값으로 필터링 계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링 계수 설정후 현재 촬상되어 얻어진 휘도 데이터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한 휘도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설정된 어느 하나의 필터링 계수를 선택하여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세팅된 필터링 계수에 기인하여 얻어진 휘도 데이터를 가지고 포커스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cusing method of a video camera that adjusts the focus of a focus lens by extracting luminance data resulting from image capturing with a filtering coefficient, and at least two or more conditions due to the brightness conditions. Setting a filtering coefficient to a value;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luminance data currently captured by setting the filtering coefficients; Selecting and setting any one fil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termined luminance data; And adjusting the focus while moving the focus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the luminance data obtained due to the set filtering coefficients.

이에 따라 휘도 조건에 따라 대상물을 촬상시에 초점의 선택 폭이 넓어지고 정확한 초점수행을 할 수 있다.As a result, a wider selection range of focus is obtained at the time of imaging an object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 and accurate focusing can be performed.

Description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초점 조절방법.How to adjust auto focus of video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이하 비디오 카메라 라 약칭함)의 자동초점 조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휘도 조건에 따라 자동초점에 용이한 필터링(Filtering) 계수를 설정하여 휘도 조건에 가장 좋은 필터링 계수로 자동초점을 수행하도록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초점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tomatic focusing of a camera-integrated video cassette recor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deo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easily set filtering coefficients for autofocusing according to various brightness condi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focus control method of a video camera that performs autofocus with good filtering coefficients.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에서 피사체에 대한 화상을 가장 확실하게 재현하기 위해서는 가장 좋은 노출과 휘도 조건에 따른 초점 조절을 필요로 한다.In general, in order to most reliably reproduce an image of a subject in a video camera, it is necessary to adjust focus according to the best exposure and luminance conditions.

이때, 휘도 조건에 따른 초점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포커스 모터를 광축방향으로 적정하게 조절하여 주어야 하고 또한 노출 조절은 조리개 모터를 통해 조리개의 열림을 휘도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해 주어야 한다.In this case, in order to adjust the focu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ondition, the focus motor should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exposure control should appropriately adjust the opening of the aperture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ondition through the aperture motor.

이와 같이, 피사체에 대한 화상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자동초점 제어모드 시에, 휘도 조건에 따라 고정된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포커스 모터를 통해 자동 초점을 수행해 오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produce an image of a subject, autofocus has been performed through a focus motor using a fixed fil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luminance conditions in the autofocus control mode.

그러나, 일반적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휘도 조건에 따른 필터링 계수가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자동초점 제어시 휘도에 따른 양호한 데이터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없었고, 그 결과 필터링 계수가 휘도 조건에 따라 양호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초점제어가 수행될 수 밖에 없었다.However, in general video cameras, since the filtering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s are fixed, it is not possible to variously select good data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 the autofocus control, and as a result, even in a state where the filtering coefficients are not favorable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s. Focus control could only be performed.

도 1은 종래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초점 조절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focus control apparatus of a conventional video camera.

도 1을 참조하면, 광축방향으로 전, 후퇴하면서 피사체를 확대 및 축소하며, 아울러 피사체의 상(image)을 입력받는 포커스렌즈와 줌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군(100)과, 상기 렌즈군(100)에 맞물려 좌, 우회전시키는 포커스모터(113)와, 노출을 제어하는 조리개(101)와, 그 조리개(101)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조리개모터(112)와, 상기 조리개모터(112) 및 포커스모터(113)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리개모터 구동부(110) 및 포커스모터 구동부(111)와, 상기 렌즈군(100)을 통해 확대, 축소되어 입력되는 피사체의 광신호를 타이밍 발생부(103)에서 발생된 수평, 수직 촬상구동펄스에 따라 동작하여 1필드분에 대해 촬상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고체촬상소자(CCD)를 갖는 촬상관(102)과, 상기 촬상관(102)으로부터 촬상된 영상신호를 샘플링하고 이득 제어하여 출력하는 샘플링 및 이득제어부(104)와, 상기 이득 조절된 1필드분의 촬상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5)와, 상기 디지털화 된 1필드분의 영상신호를 NTSC 또는 PAL 시스템의 포맷트의 칼라, 휘도신호로 엔코딩 처리하여 분리 출력하고 초점제어모드 시 상기 휘도 데이터에 따른 자체의 초점 필터링 계수에 기인하여 초점데이터를 변화시켜 발생하는 디지털카메라 처리부(106)와, 상기 디지털카메라 처리부(106)에서 제공되는 초점데이터에 따라 상기 포커스모터 구동부(111)를 통해 포커스모터(113)의 구동을 제어하여 렌즈군(100)의 초점을 조절하는 등 비디오 카메라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7)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7)의 제어에 의해 상기 디지털카메라 처리부(106)에서 처리된 1필드분의 휘도/칼라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8)와, 상기 메모리(108)에 저장된 1필드분의 휘도/칼라데이터를 화면영상신호로 변화하여 출력단자(114)를 통해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9)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lens group 100 including a focus lens and a zoom lens that expands and contracts a subject whil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receives an image of the subject, and the lens group 100. The focus motor 113 to rotate left and right, the aperture 101 for controlling exposure, the aperture motor 112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mount of the aperture 101, the aperture motor 112 and the focus motor. The timing generator 103 generates an optical signal of an object that is enlarged and reduced through the aperture motor driver 110 and the focus motor driver 111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113 and the lens group 100. An image pickup tube 102 having a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CCD) which operates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mage pickup driving pulses and converts the image image signal into one image field, and samples and gains the image signal picked up from the image pickup tube 102. Sampling and gain control unit to control and output (104), an analog / digital converting section (105) for converting the gain-adjusted captured video signal for one field into a digital signal, and converting the digitized video signal for one field into a format of an NTSC or PAL system. The digital camera processing unit 106 and the digital camera processing unit 106 generated by encoding and outputting color and luminance signals separately and changing the focus data based on its focus fil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brightness data in the focus control mode. The microprocessor 107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ideo camera, such as adjusting the focus of the lens group 100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ocus motor 113 through the focus motor driver 111 according to the focus data provided by. And a memory 108 for storing luminance / color data for one field processed by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106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107,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109 converts the luminance / color data of one field stored in the memory 108 into a screen image signal and outputs the same through the output terminal 114.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자동 초점제어모드시의 동작 신호흐름 도이다.2 is an operation signal flow diagram in the auto focus control mode according to FIG. 1.

이와 같은,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는, 먼저 캠코더가 동작상태에 들어가면, 피사체의 광신호가 렌즈군(100) 및 조리개(101)를 통해 고체촬상소자(CCD)를 갖는 촬상관(102)에 입력된다.In such a conventional video camera, when the camcorder first enters the operating state, the optical signal of the subject is input to the image pickup tube 102 having the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CCD through the lens group 100 and the aperture 101.

상기 촬상관(102)은 이후에 설명될 마이크로 프로세서(107)의 제어에 의한 타이밍 발생부(103)의 수평, 수직 촬상구동펄스에 의해 동작하여 입력된 피사체의 광신호를 1필드분에 대해 촬상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샘플링 및 이득제어부(104)에 출력하게 된다.The imaging tube 102 is operated by horizontal and vertical imaging driving pulses of the timing generator 103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10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signal and output to the sampling and gain control unit 104.

상기 샘플링 및 이득제어부(104)는 촬상관(102)으로부터 입력된 촬상영상신호를 1필드분에 대해 샘플링하고 이득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5)에 제공하게 된다.The sampling and gain control unit 104 samples the captured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ing tube 102 for one field and adjusts the gain appropriately to provide the analog / digital conversion unit 105.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5)는 상기 이득제어 되어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디지털카메라 처리부(106)에 제공하게 된다.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05 digitizes the image signal of the subject to be gain-controlled and inputs the digital signal to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106.

상기 디지털카메라 처리부(106)는 디지털화되어 입력된 영상신호를 엔코딩 처리하여 NTSC 또는 PAL 포맷트의 칼라, 휘도 데이터로 처리하고 그 처리된 칼라, 휘도 데이터를 필드단위로 하여 메모리(108)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휘도 데이터는 디지털카메라 처리부(106)에 고정되어 세팅된 필터링 계수에 의해 일정범위 내에서 변화되어 초점데이터로 마이크로 프로세서(107)에 제공된다.The digital camera processing unit 106 encodes a digitally inputted image signal to process color and luminance data in an NTSC or PAL format, and stores the processed color and luminance data in a memory unit in field units. In this case, the luminance data is chang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a filtering coefficient set fixedly to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106 and provided to the microprocessor 107 as focus data.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7)는 상기 디지털카메라 처리부(106)로부터 일정범위의 초점데이터가 입력되면, 초점조절모드로 판단하고 현재 렌즈군(100)의 포커스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전, 후진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즉, 포커스렌즈를 가까운 쪽에서 먼쪽으로 이동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방향 판정모드를 검색하여(단계, S10) 방향판정이면 포커스모터 구동부(111) 및 포커스모터(113)를 통해 렌즈군(100)의 포커스렌즈를 이동시킬 방향을 판정하게 된다(단계, S11).When the focus data of a predetermined range is input from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106, the microprocessor 107 determines whether the focus lens is in the focus adjustment mode and indicates whether the focus lens of the current lens group 100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determination mode indicating whether to move the focus lens from the near side to the far side is searched (step S10), and if the direction is determined, the focus of the lens group 100 through the focus motor driver 111 and the focus motor 113. The direction to move the lens is determined (step S11).

이와 같이, 방향판정 수행이 완료되면, 초점을 맞추기 위해 포커스모터(113)를 통해 포커스렌즈를 가까운 쪽에서 먼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디지털카메라 처리부(106)로부터의 초점데이터가 최대치가 되는 정초점 위치를 맞추기 위해 트래킹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단계, S12, S13).As such, when the direction determination is completed, in order to adjust the focal point position where the focus data from the digital camera processing unit 106 becomes the maximum while moving the focus lens from the near side to the far side through the focus motor 113 to focus. The tracking mode is performed (steps S12 and S13).

이와 같이, 포커스모터(113)를 통해 트래킹을 수행하면서 초점데이터가 정 초점의 최대치를 넘지 않았는가를 검색하여(단계, S14) 정초점의 최대치를 넘지 않았으면 정초점의 최대치가 넘도록 트래킹을 수행한다(단계, S15).In this way, while tracking through the focus motor 113, it is searched whether the focus data has not exceeded the maximum value of the forward focus (step S14), and if it has not exceeded the maximum value of the focal point, tracking is performed to exceed the maximum value of the focal point (step S14). , S15).

이후 정초점의 최대치를 넘게 되면 다시 포커스모터 구동부(111)를 통해 포커스모터(113)를 역 트래킹시켜 상기 정초점의 최대치에서 포커스모터(113)의 구동을 정지시켜 렌지군(100)의 포커스렌즈의 초점을 맞추게 된다(단계, S16, S17).Then, if the maximum value of the focal point is exceeded, the focus motor 113 is again tracked through the focus motor driver 111 to stop the driving of the focus motor 113 at the maximum value of the focal point, thereby focusing the focus lens of the range group 100. (Step S16, S17).

한편, 상기의 과정을 통해 메모리(108)에 저장된 1필드분의 휘도, 칼라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9)를 통해 화면영상신호로 변화되어 출력단자(114)를 통해 브이씨알의 자기기록매체에 저장된다.Meanwhile, luminance and color data of one field stored in the memory 108 are converted into screen image signals through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109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the magnetic recording of the VRF is perform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114. Stored on the medium.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장치는 휘도 조건에 따른 필터링 계수가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자동초점 제어시 휘도에 따른 양호한 데이터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없었다. 즉 다시 말해서, 현재의 휘도를 검색하여 필터링 계수를 세팅하는 부분이 없이 계수가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그 결과 필터링 계수가 휘도 조건에 따라 양호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초점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video camera cannot select a variety of good data according to the luminance in the autofocus control due to the fixed fil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 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cus control is performed even when the filtering coefficient is not good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 because the coefficient is fixed without searching for the current luminance and setting the filtering coefficien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자동 초점제어시에 다양한 휘도 조건에 따라 필터링 계수를 설정하여 휘도 조건에 가장 좋은 필터링 계수를 가지고 자동초점을 수행하도록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초점 조절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n view of the problems with the conventional video camera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fil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various luminance conditions during autofocus control to perform autofocus with the best filtering coefficient for the luminance conditions.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utomatic focus control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휘도 조건에 따라 적어도 2가지 이상의 필터링 계수를 임의대로 변화시켜 설정하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at least two or more filtering coefficients arbitrarily in accordance with luminance conditions.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동 초점제어시 휘도에 따른 필터링 계수를 설정하고 세팅하도록 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and set a fil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luminance in auto focus control.

도 1은 종래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장치를 부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denying the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video camera.

도 2는 도 1에 따른 자동 초점제어모드 시의 동작 신호흐름도.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ignal in the auto focus control mode according to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장치를 보인 실시예 블록도.Figure 3 is an embodiment block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of the video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따른 본 발명 자동초점 동작을 보인 일 실시예 신호흐름도.Figure 4 is an embodiment signal flow diagram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autofocus operation according to FIG.

도 5는 도 3에 따른 포커스모터의 위치변화에 수반하는 초점데이터의 변동을 보인 도.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change in focus data accompanying a change in position of a focus motor according to FIG. 3.

도 6은 도 3의 필터링 계수설정에 따른 초점데이터의 크기와 폭을 보인 도.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ize and width of the focus data according to the filtering coefficient setting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렌즈군 201 : 조리개200: lens group 201: aperture

202 : 촬상관 203 : 샘플링 및 이득제어부202: imaging tube 203: sampling and gain control unit

204 :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 205 : 디지털카메라 처리부204: analog / digital conversion unit 205: digital camera processing unit

206 : 마이크로 프로세서 207 : 제 1메모리206: microprocessor 207: first memory

212 : 포커스모터 215 : 제 2메모리212: focus motor 215: second memory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방법은, 초점조절시 피사체 촬상에 기인하여 얻어진 휘도 데이터를 필터링 계수로 추출하여 포커스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초점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건에 기인하여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조건 값으로 필터링 계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링 계수 설정후 현재 촬상되어 얻어진 휘도 데이터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한 휘도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설정된 어느 하나의 필터링 계수를 선택하여 세팅하는 단계와, 상기 세팅된 필터링 계수에 기인하여 얻어진 휘도 데이터를 가지고 포커스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automatic focusing method of a video camera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video camera for adjusting the focus of the focus lens by extracting the luminance data obtained by the subject image pickup at the time of focus adjustment with a filtering coefficient A focus adjust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etting a filtering coefficient to at least two condition values due to the luminance condition, determining a magnitude of luminance data currently captured by setting the filtering coefficient, and determining the luminance data Selecting and setting any one of the set filtering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nsor, and adjusting focus while moving the focus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luminance data obtained from the set filtering coefficients. It is done.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계수는, 좋게는 3가지 조건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utomatic focusing method of the video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ing coefficient is preferably set to three condition values.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계수는, 어두울 때, 밝을 때 및 어둠과 밝음 사이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utomatic focusing method of the video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ing coefficient is preferably set to a value when it is dark, when it is light, and between darkness and light.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계수는 임의로 변화시켜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utomatic focusing method of the video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ing coefficient is arbitrarily changed and set.

그 결과, 어두운 장소, 밝은 장소 또는 휘도가 보통인 장소에서 대상물을 촬영 시에 그 휘도 조건에 따라 초점조절에 가장 좋은 필터링 계수를 선택하여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있게 하므로 자동 초점 기본기능을 보다 충실하게 수행함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when shooting an object in a dark place, a bright place, or a place where the brightness is normal, the auto focus basic function can be enhanced by selecting the best filtering coefficient for focusing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ondition. It can be seen that it performs.

따라서, 휘도 조건에 따라 대상물을 촬상시에 초점의 선택 폭이 넓어지고 정확한 초점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election range of the focus is widened at the time of imaging the object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 and the accurate focus is achiev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And, there may be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preferred embodiment. Through this preferr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better understand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ideo camera automatic focu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장치를 보인 실시예 블록도 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of a video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포커스렌즈와 줌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군(200)과, 상기 렌즈군(200)에 포함되는 포커스렌즈를 지지하여 광축방향으로 전, 후퇴시키는 포커스링(200b)과, 그 포커스링(200b)에 맞물려 좌, 우회전시키는 포커스모터(212)와, 상기 렌즈군(200)에 포함되는 줌렌즈를 지지하여 피시체의 배율을 확대 및 축소하는 줌링(200a)과, 그 줌링(200a)에 맞물려 좌, 우회전시키는 줌모터(214)와, 노출을 제어하는 조리개(201)와, 그 조리개(201)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조리개 모터(210)와, 상기 렌즈군(200)을 통한 피사체의 광신호를 촬상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고체촬상소자(CCD)를 갖는 촬상관(202)과, 그 촬상관(202)으로부터 촬상된 영상신호를 샘플링하고 이득 제어하여 출력하는 샘플링 및 이득제어부(203)와, 상기 이득 조절된 1필드분의 촬상 영상신호를 디지털화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5)와, 상기 디지털화 된 1필드분의 영상신호를 엔코딩 처리하여 NTSC 또는 PAL 포맷트의 칼라, 휘도 신호로 분리 처리하여 출력하는 디지털카메라 처리부(205)와, 자동 초점제어 시에 휘도 조건에 따른 필터링 계수를 설정하여 제 2메모리(215)에 저장하며 이후 상기 조리개(201)의 홀(Hall)을 입력받아 현재의 휘도 데이터 크기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메모리(215)에 저장된 필터링 계수를 선택하여 디지털카메라 처리부(205)에 세팅하여 그로부터의 초점데이터를 입력받아 비디오 카메라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6)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6)의 제어에 따라 조리개모터(210), 포커스모터(212) 및 줌모터(214)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리개모터 제어부(209), 포커스모터 제어부(211), 줌모터 제어부(213)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6)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 카메라의 각종 기능에 대한 온스크린 문자를 발생하여 액정화면에 표시하여 주는 온스크린문자 발생부(216)와, 상기 디지털카메라 처리부(205)에서 얻어진 1필드분의 칼라, 휘도 데이터 저장하여 출력하는 제 1메모리(207)와, 상기 제 1메모리(207)에 저장된 1필드분의 데이터를 화면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자(217)를 통해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08)로 구성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lens group 200 including a focus lens and a zoom lens, a focus ring 200b for supporting the focus lens included in the lens group 200 and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its focus A focus motor 212 engaged with the ring 200b to rotate left and right, a zoom ring 200a for supporting a zoom lens included in the lens group 200 to enlarge and reduce the magnification of the subject, and a zoom ring 200a thereof. The zoom motor 214 to rotate left and right, the aperture 201 for controlling exposure, the aperture motor 21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mount of the aperture 201, and the subject through the lens group 200. An image pickup tube 202 having a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CCD) for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into a captured image signal, a sampling and gain control unit 203 for sampling, gain controlling and outputting the image signal picked up from the image pickup tube 202; Digitalizing the gain-adjusted captured image signal for one field An analog / digital conversion unit 205, a digital camera processing unit 205 for encoding the digitized video signal for one field and separating and outputting the color signal and luminance signal in NTSC or PAL format, and auto focus control Set the fil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 at the time and store it in the second memory 215 and then receive the Hall of the aperture 201 to determine the current luminance data size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microprocessor 206 for selecting the filtering coefficients stored in the memory 215 and setting them in the digital camera processing unit 205 to receive the focus data therefrom an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ideo camera, and to control the microprocessor 206. The aperture motor control unit 209, the focus motor control unit 211, the zoom motor control unit 213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perture motor 210, the focus motor 212 and the zoom motor 214 according to the On-screen character generator 216 for generating on-screen characters for various functions of the video camera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206 and displaying them on the LCD screen, and 1 obtained by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205. A first memory 207 for storing and outputting color and luminance data for a field, and a digital for converting data for one field stored in the first memory 207 into a screen image signal and outputting it through an output terminal 217. / Analog converter 208.

도 4는 자동 초점제어시 휘도 조건에 따라 필터링 계수를 설정하여 놓았다가 현재 촬상되어 얻어지는 휘도 데이터 크기에 따라 상기 설정된 필터링 계수를 가지고 초점을 조절하여 주는 본 발명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방법의 실시 예를 보인 신호흐름도 이다.4 is an embodiment of an autofocus control method of a video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ltering coefficient is set according to a luminance condition during autofocus control, and then the focus is adjusted with the set fil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luminance data size obtained by imaging. The signal flow is also shown.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3 to 6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following.

먼저, 비디오 카메라가 동작상태에 들어가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6)는 조리개모터 제어부(209), 포커스모터 제어부(211), 줌모터 제어부(213)를 통해 조리개모터(210), 포커스모터(212), 줌모터(214)를 제어하여 조리개(201)와 렌즈군(200)의 줌렌즈, 포커스렌즈를 조절하게 된다.First, when the video camera enters the operating state, the microprocessor 206 uses the aperture motor control unit 209, the focus motor control unit 211, the zoom motor control unit 213, and the aperture motor 210, the focus motor 212, and the like. The zoom motor 214 is controlled to adjust the zoom lens and the focus lens of the aperture 201 and the lens group 200.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피사체의 광신호가 줌렌즈 및 포커스렌즈에 의해서 어느 정도 초점이 이루어져 조리개(201)를 통해 고체촬상소자(CCD)를 갖는 촬상관(202)에 입력되면 촬상관(202)은 그 입력된 피사체의 광신호를 1필드분에 대해 촬상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샘플링 및 이득제어부(203)에 제공하게 된다.In such a state, when the optical signal of the subject is focused to some extent by the zoom lens and the focus lens, and is input to the image capturing tube 202 having the solid state image sensor (CCD) through the aperture 201, the image capturing tube 202 is connected to the input object. The optical signal is converted into a captured image signal for one field and provided to the sampling and gain control unit 203.

상기 샘플링 및 이득제어부(203)는 입력된 촬상영상신호를 1필드분에 대해 샘플링하고 이득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4)에 제공하게 된다.The sampling and gain control unit 203 samples the input captured image signal for one field and adjusts the gain appropriately to provide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204.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4)는 상기 이득 조절되어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디지털카메라 처리부(205)에 제공하게 된다.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204 digitizes an image signal of a subject input by adjusting the gain and provides the digital signal to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205.

상기 디지털카메라 처리부(205)는 상기 디지털화된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엔코딩 처리하여 NTSC 또는 PAL 시스템 포맷트의 칼라, 휘도 데이터로 분리 처리하여 제 1메모리(207)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6)는 자동 초점제어에서 먼저, 휘도 조건에 따른 필터링 계수를 설정하여 제 2메모리(215)에 저장하게 된다.The digital camera processing unit 205 encodes an image signal of the digitized subject, separates the color signal and luminance data of an NTSC or PAL system format into a first memory 207, and then stores it in the first memory 207. In the auto focus control, first, the fil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 is set and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5.

이와 같이, 휘도 조건에 따라 필터링 계수가 설정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6)는 초점을 조절하기 위해 도 4와 같은 신호흐름을 통해 휘도 데이터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100).As such, when the filtering coefficient is set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 the microprocessor 206 retrieves the luminance data through the signal flow as shown in FIG. 4 to adjust the focus (step S100).

상기 휘도 데이터는 조리개(201)의 홀(Hall)값(HA)을 받아서 결정하게 된다.The luminance data is determined by receiving a Hall value HA of the diaphragm 201.

상기 홀값(HA)은 모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따라서, 홀값(HA)이 80H 보다 작은 경우는 휘도가 밝은 경우이고, 홀값(HA)이 A0H 보다 큰 경우에는 휘도가 어두운 경우를 나타낸다.The hole value HA varies somewhat depending on the model. Therefore, when the hole value HA is smaller than 80H, the luminance is bright, and when the hole value HA is larger than A0H, the luminance is dark.

그리고, 홀값(HA)이 80H 내지 A0H 사이에 있으면 휘도는 보통인 경우의 조건을 나타낸다. 여기서 H는 헥사코드이다.And when the hall value HA is between 80H and A0H, the luminance represents a condition in the normal case. Where H is the hexacode.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6)는 조리개(201)를 통해 홀값(HA)을 검색하여 그 홀값(HA)이 밝을 경우에는 상기 제 2메모리(215)에서 밝을 때의 필터링 계수를 읽어들여 디지털카메라 처리부(205)에 세팅하고(단계, S101), 홀값(HA)이 보통인 경우, 또는 어두운 경우에는 상기 제 2메모리(215)로부터 보통 때의 필터링 계수 또는 어두울 때의 필터링 계수를 읽어들여 디지털카메라 처리부(205)에 세팅시키게 된다(단계, S102, S103).Accordingly, the microprocessor 206 retrieves the hole value HA through the aperture 201, and reads the filtering coefficients when the hole value HA is bright from the second memory 215. 205, the digital camera processing unit reads the normal filtering coefficient or the dark filtering coefficient from the second memory 215 when the hole value HA is normal or dark. It sets to 205 (step S102, S103).

상기 디지털카메라 처리부(205)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6)에 의해 선택되어 세팅된 밝을 때, 또는 보통 때 또는 어두울 때의 필터링 계수에 의해 상기 처리된 휘도 데이터를 일정범위 내에서 변화시켜 도 5와 같은 자동 초점데이터(FD)로 다시 마이크로 프로세서(107)에 제공된다.The digital camera processing unit 205 changes the processed luminance data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a filtering coefficient of bright, normal or dark when selected and set by the microprocessor 206 as shown in FIG. 5. The auto focus data FD is provided back to the microprocessor 107.

여기서, 필터링 계수 설정에 따른 자동 초점데이터(FD)의 특성은 도 6에서와 같이, 같은 휘도 조건에서 도 6a와 같이, 모든 구간에서 기울기가 존재하여 방향 판정이 용이하고 자동 초점데이터(FD)의 최대치 인식이 가능한 것이 양호한 특성이라 하겠고, 도 6b에서는 자동 초점데이터(FD)의 최대치 인식은 좋으나 기울기 없이 평평한 부분이 있어서 방향 판정이 용이하지 못하다.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ofocus data FD according to the filtering coefficient setting are inclined in all sections as shown in FIG. 6A and as shown in FIG. 6A under the same luminance condi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a good characteristic that the maximum value can be recognized. In FIG. 6B, the maximum value of the auto focus data FD is good, but there is a flat portion without inclina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direction.

그리고 도 6c에서는 방향 판정 뿐 아니라 자동 초점데이터(FD)의 최대치가 작아서 최대치 인식이 용이하지 못하다.In addition, in FIG. 6C, the maximum value of the auto focus data FD as well as the direction determination is small, so that the maximum value is not easily recognized.

따라서, 휘도 조건에 따른 필터링 계수 설정시에 도 6a와 같이, 방향판정과 자동 초점데이터(FD)의 최대치 인식이 용이한 필터링 계수를 설정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메모리(215)에 저장하여 둔다.Accordingly, when setting the fil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 as shown in FIG. 6A, the filtering coefficient which is easy to recognize the maximum value of the direction determination and the auto focus data FD is set and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5 as described above. Put it.

그리고, 상기 필터링 계수는 촬영자의 선택에 의해 임의 값으로 변화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The filtering coefficient may be changed and stored at an arbitrary valu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photographer.

계속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6)는 상기 디지털카메라 처리부(205)로부터 휘도 조건에 따른 필터링 계수에 의해 변화되어 도 5와 같은 초점데이터가 입력되면, 초점조절모드로 판단하고 현재 렌즈군(200)의 포커스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전, 후진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즉, 포커스렌즈를 가까운 쪽에서 먼 쪽으로 이동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방향판정 모드를 검색하여(단계, S104) 방향 판정이면 포커스모터 제어부(211) 및 포커스모터(212)를 통해 렌즈군(200)의 포커스렌즈를 이동시킬 방향(a)을 판정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105).Subsequently, when the microprocessor 206 is changed by the fil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 from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205 and the focus data as shown in FIG. 5 is input, the microprocessor 206 determines that the focus control mode is performed and the current lens group 200 is present. Search for a direction determination mode indicating whether to move the focus lens forward or backwar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at is, whether to move the focus lens from the near side to the far side (step S104). The direction a to move the focus lens of the lens group 200 through the focus motor 212 is determined (step S105).

이와 같이, 방향판정 수행이 완료되면, 초점을 맞추기 위해 포커스모터(212)를 통해 포커스렌즈를 가까운 쪽에서 먼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디지털카메라 처리부(205)로부터의 초점데이터가 최대치가 되는 정초점 위치를 맞추기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b방향으로 정상트래킹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106, S107).As such, when the direction determination is completed, in order to focus the focal point position where the focus data from the digital camera processing unit 205 becomes the maximum while moving the focus lens from the near side to the far side through the focus motor 212 to focus. As shown in FIG. 5, the normal tracking is performed in the b direction (steps S106 and S107).

이와 같이, 포커스모터(212)를 통해 도 5의 b방향으로 트래킹을 수행하면서 초점데이터가 정 초점의 최대치(D)를 넘지 않았는가를 검색하여(단계, S108) 정초점의 최대치(D)를 넘지 않았으면 정초점의 최대치가 넘도록 c방향으로 트래킹을 수행한다(단계, S109).In this way, while tracking in the b-direction of FIG. 5 through the focus motor 212, it is searched whether the focus data has exceeded the maximum value D of the forward focus (step S108), and has not exceeded the maximum value D of the focal point. If so, tracking is performed in the c direction to exceed the maximum value of the focal point (step S109).

이후 정초점의 최대치(D)를 넘게 되면 다시 포커스모터 제어부(211)를 통해 포커스모터(212)를 역 트랙킹시켜 상기 정초점의 최대치(D)에서 포커스모터(212)의 구동을 정지시켜 렌지군(200)의 포커스렌즈의 초점을 정확히 맞추게 된다(단계, S110, S111).After exceeding the maximum value D of the focal point, the focus motor 212 is reversely tracked through the focus motor control unit 211 to stop the driving of the focus motor 212 at the maximum value D of the focal point and the range group 200. ), The focus lens is accurately focused (steps S110 and S111).

이와 같이, 정확한 초점이 맞추어져 상기 제 1메모리(208)에 저장된 1필드분의 휘도, 칼라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09)를 통해 화면영상신호로 변화되어 출력단자(217)를 통해 브이씨알의 자기기록매체에 저장하게 된다.In this way, the luminance and color data of one field stored in the first memory 208 are precisely focused and converted into a screen image signal through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209 and the V through the output terminal 217. It is stored in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of the se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비디오 카메라가 개시되어 촬상기능을 수행하기 전에 먼저 휘도 조건에 따른 초점조절을 위한 필터링 계수를 설정하여 제 2메모리(215)에 저장하였다가 촬상기능이 수행되면 현재의 휘도 데이터 따라 가장 좋은 필터링 계수를 선택하여 초점을 조절하므로 자동 초점 기본기능이 보다 충실해짐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before the video camera is started and the image capturing function is performed, the filtering coefficient for focus adjustment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 is first set and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5. By adjusting the focus by selecting the best fil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luminance data of, it can be seen that the auto focus basic function is more faithful.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In addition, 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fall within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어두운 장소, 밝은 장소 또는 휘도가 보통인 장소에서 대상물을 촬영 시에 현재의 촬상대상의 휘도 조건에 따라 초점조절에 가장 좋은 필터링 계수를 선택하여 초점을 조절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휘도 조건에 따라 대상물을 촬상시에 초점의 선택 폭이 넓어지고 정확한 초점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rget is photographed in a dark place, a bright place, or a place where the luminance is normal, the focus is adjusted by selecting a filtering coefficient that is best for focusing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 of the current imaging target. As a result, a wider selection range of focus is obtained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the object, thereby achieving an accurate focus.

Claims (4)

초점조절시에 피사체 촬상에 기인하여 얻어진 휘도 데이터 필터링 계수로 추출하여 포커스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초점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건에 기인하여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조건 값으로 필터링 계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링 계수 설정후 현재 촬상되어 얻어진 휘도 데이터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한 휘도 데이터 크기에 따라 상기 설정된 어느 하나의 필터링 계수를 선택하여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세팅된 필터링 계수에 기인하여 얻어진 휘도 데이터를 가지고 포커스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방법.A focus adjustment method of a video camera which adjusts the focus of a focus lens by extracting the luminance data filtering coefficients obtained by subject imaging during focus adjustment, wherein the filtering coefficients are set to at least two condition values due to the luminance conditions.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determining the size of the luminance data currently captured after setting the filtering coefficient, selecting and setting any one fil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uminance data size, and setting the filtering coefficient. And adjusting the focus while moving the focus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the luminance data obtained by the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계수는, 좋게는 3가지 조건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ing coefficient is preferably set to three condition valu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계수는, 어두울 때, 밝을 때 및 어둠과 밝음 사이의 조건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filtering coefficient is set to a condition value between dark, light, and dark and l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계수는, 임의로 변화시켜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조절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ing coefficient is arbitrarily changed and set.
KR1019970001703A 1997-01-22 1997-01-22 Auto-focusing control method for video camera KR1002138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703A KR100213888B1 (en) 1997-01-22 1997-01-22 Auto-focusing control method for video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703A KR100213888B1 (en) 1997-01-22 1997-01-22 Auto-focusing control method for video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279A KR19980066279A (en) 1998-10-15
KR100213888B1 true KR100213888B1 (en) 1999-08-02

Family

ID=1949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703A KR100213888B1 (en) 1997-01-22 1997-01-22 Auto-focusing control method for video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8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461B1 (en) * 2002-10-23 2008-08-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Improved method for automatic focusing within video camera
US7480452B2 (en) * 2005-03-15 2009-01-20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captu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279A (en)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7943B2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US6151070A (en) Image pickup apparatus
US7586518B2 (en) Imaging technique performing focusing on plurality of images
US6618091B1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image signal state adjusting means a response characteristic of which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image magnification rate
JP2006215181A (en) Imaging apparatus
JPH0933791A (en) Lens driving device and image pickup device
US7925149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photographing capability
US633376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focus detection area size dependent on aspect ratio
JPH0946570A (en) Image pickup device
JP4160664B2 (en) Autofocus device, camera, and in-focus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KR100213888B1 (en) Auto-focusing control method for video camera
JP2001141989A (en) Camera, focusing device, focusing method, and medium for supplying focusing program
JP3220929B2 (en) Video camera auto focus control method
JP4534250B2 (en) Movie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JP2002330335A (en) Still picture image pickup device
JP2913530B2 (en) Automatic focus control device
JPH0946572A (en) Image pickup device
JP3866844B2 (en) Autofocus device and camera
JPH0946571A (en) Image pickup device
JP2007060577A (en) Imaging apparatus
JP3441882B2 (en) Imaging device
JPH08265621A (en) Image pickup device
JP4005467B2 (en) Imaging device
JPH1010413A (en) Image pickup device
JPH09186922A (en) Image picku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