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387B1 - Enlargement line control circuit for facsimile - Google Patents

Enlargement line control circuit for facsim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387B1
KR100208387B1 KR1019970006546A KR19970006546A KR100208387B1 KR 100208387 B1 KR100208387 B1 KR 100208387B1 KR 1019970006546 A KR1019970006546 A KR 1019970006546A KR 19970006546 A KR19970006546 A KR 19970006546A KR 100208387 B1 KR100208387 B1 KR 100208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line
hook
handset
facsim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69475A (en
Inventor
권태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6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387B1/en
Publication of KR1998006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4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3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증설 전화기를 구비하는 팩시밀리의 라인 인터페이스회로에 있어서 전화국선에 대한 증설 전화라인의 연결을 제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A facsimile line interface circuit having an extension telephone, which relates to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an extension telephone line to a telephone line.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별도의 릴레이를 사용치 않으며 항상 증설 전화라인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는 증설 전화라인 제어회로를 제공한다.It does not use separate relay and provides extension telephone line control circuit that can control connection of extension telephone line at all times.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핸드셋이 후크 온상태일 때 링거회로를 전화 접속라인에 연결하고 핸드셋이 후크 오프상태일 때 링거회로를 전화 접속라인과 차단하는 제1후크 스위치와, 제1후크 스위치와 연동되며 핸드셋이 후크 온상태일 때 증설 전화라인을 전화 접속라인에 연결하고 핸드셋이 후크 오프상태일 때 증설 전화라인을 전화 접속라인과 차단하는 제2후크 스위치를 구비한다.A first hook switch that connects the ringer circuit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when the handset is in a hook-on state and a hook hook that interlocks with the first hook switch and disconnects the ringer circuit from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when the handset is in a hook-off state; And a second hook switch for connecting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and disconnecting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from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when the handset is hooked off.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증설 전화기를 구비하는 팩시밀리에 이용한다.It is used for the facsimile equipped with the extension telephone.

Description

팩시밀리의 증설 전화라인 제어회로Facsimile extension telephone line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증설 전화기를 구비하는 팩시밀리(facsimi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인 인터페이스(line interface)회로에 있어서 전화국선에 대한 증설 전화라인(exit line)의 연결을 제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simile having an extension tele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an extension line to a telephone line in a line interface circuit.

통상적으로 팩시밀리는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LIU: Line Interface Unit) 또는 망제어유니트(NCU: Network Control Unit)라 불리우는 라인 인터페이스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회로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전화망의 전화국선에 접속되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라인 인터페이스회로는 전화모드 또는 팩시밀리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전화모드는 링신호를 수신하거나 증설 전화기 또는 핸드셋(handset)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이고, 팩시밀리모드는 팩시밀리 송,수신을 할 수 있는 모드이다. 통상적으로 팩시밀리가 대기(standby)상태인 동안에는 전화모드로 되고, 팩시밀리 송,수신을 할 때에는 팩시밀리모드로 전환된다.The facsimile typically includes a line interface circuit called a Line Interface Unit (LIU) or a Network Control Unit (NCU). The line interface circuit is connected to a telephone line of a telephone network such as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to provide an interface. This line interface circuit operates in telephone mode or facsimile mode. The telephone mode is a mode for receiving a ring signal or using an extension telephone or a handset, and the facsimile mode is a mode for facsimi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Normally, the phone enters the telephone mode while the fax is in a standby state, and switches to the fax mode when the fax is transmitted or received.

상기 증설 전화기는 팩시밀리에 장착되어있는 핸드셋과 별도로 외부에서 팩시밀리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화기로서, 증설 전화기를 팩시밀리에 접속하여 사용하면 정전이 된 때에도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증설 전화기는 증설 전화기 사용이 가능한 팩시밀리의 라인 인터페이스회로에 설치된 증설 전화라인에 접속하여 사용된다. 이와같이 증설 전화기를 구비하는 팩시밀리는 동작상태에 따라 전화국선에 대한 증설 전화라인의 연결을 제어한다. 즉, 대기상태일때는 증설 전화라인을 전화국선에 연결하고, 팩시밀리 송,수신을 할 때나 팩시밀리에 장착된 핸드셋을 이용한 전화통화를 할 때는 전화국선에 대해 증설 전화라인을 차단한다.The extension telephone is a telephone which is connected to the facsimile from an external device separately from the handset mounted on the facsimile, and when the extension telephone is used to connect to the facsimile, it can make or receive a call even when a power failure occurs. Such extension telephones are used in connection with extension telephone lines installed in the facsimile line interface circuits for which extension telephones can be used. Thus, the facsimile having the extension telephone controls the connection of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to the telephone line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That is, in standby,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and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is blocked for the telephone line when making or receiving a fax transmission or reception or making a telephone call using the handset mounted in the fax.

이와 같이 증설 전화라인을 제어하는 회로를 구비한 통상적인 라인 인터페이스회로를 도 1로서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릴레이(100)는 팁(tip), 링(ring)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전화국선(T,R)을 팩시밀리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았음)의 제어에 따라 한쌍의 모뎀 접속라인(200,202)과 한쌍의 전화 접속라인(204,206)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모뎀 접속라인(200,202)에는 트랜스포머(102)를 통해 모뎀(MODEM: Modulator-Demodulator)(104)이 접속된다. 모뎀(104)은 팩시밀리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전화국선으로 전송하거나 전화국선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복조하여 팩시밀리의 제어부에 제공한다.FIG. 1 shows a typical line interface circuit having a circuit for controlling an extension telephone line. Referring to FIG. 1, the relay 100 uses a pair of modem connection lines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of a telephone line T and R formed of a tip and a ring line. (200, 202) and a pair of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206). A modem (modulator-demodulator) 104 is connected to the modem connection lines 200 and 202 through a transformer 102. The modem 104 modulates the facsimile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telephone line, or demodulates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telephone line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of the facsimile.

그리고 전화 접속라인(204,206)에는 증설 전화기(도시하지 않았음)가 접속되는 한쌍의 증설 전화라인(L1,L2)이 릴레이(116)를 통해 접속되고, 링 검출기(ring detector)(106)와 리모우트(remote)회로(108)가 직접 접속되며, 링거(ringer)회로(112)와 핸드셋 통화회로(114)가 후크 스위치(hook switch)(110)를 통해 접속된다. 링 검출기(106)는 전화국선으로부터 수신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팩시밀리의 제어부에 알린다. 리모우트회로(108)는 원격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후크 스위치(110)는 핸드셋(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기계적으로 후크 온 또는 후크 오프되며, 후크 온상태에서는 전화 접속라인(204,206)을 링거회로(112)에 연결하고 후크 오프상태에서는 전화 접속라인(204,206)을 핸드셋 통화회로(114)에 연결한다. 링거회로(112)는 정전상태에서 전화국선(T,R)으로부터 링신호가 수신될 때 벨(bell)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사용되며, 핸드셋 통화회로(114)는 핸드셋에 의한 통화를 제공한다. 릴레이(116)는 팩시밀리의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되어 증설 전화라인(L1,L2)을 전화 접속라인(204,206)에 연결하거나 차단한다.A pair of extension telephone lines L1 and L2 to which telephone extension lines (not shown) are connected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are connected via a relay 116, and a ring detector 106 and a remote controller are connected. The remote circuit 108 is directly connected, and the ringer circuit 112 and the handset communication circuit 114 are connected via a hook switch 110. The ring detector 106 detects the ring signal received from the telephone line and informs the control unit of the fax. The remote circuit 108 provides an interface for remote control. The hook switch 110 is mechanically hooked on or hooked off by a handset (not shown). The hook switch 110 connects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to the ringer circuit 112 in the hook on state and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in the hook off state. 204, 206 to handset communication circuit 114. The ringer circuit 112 is used to generate a bell signal when a r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lephone line T and R in a power failure state, and the handset communication circuit 114 provides a call by the handset. The relay 116 is turned on / off by the control unit of the facsimile to connect or disconnect the extension telephone lines L1 and L2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상기한 바와 같은 라인 인터페이스회로에서 릴레이(100)는 팩시밀리의 제어부에 의해 전화모드 또는 팩시밀리모드로 전환된다. 즉, 팩시밀리가 대기상태일 때 릴레이(100)는 전화모드로 되어 전화국선(T,R)을 전화 접속라인(204,206)에 연결한다. 이에따라 전화국선(T,R)으로부터 링신호를 수신하거나 증설 전화기 또는 핸드셋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릴레이(116)는 온상태로 되어 증설 전화라인(L1,L2)을 전화 접속라인(204,206)에 연결하고 있다가 팩시밀리 송,수신을 하거나 핸드셋 사용을 할 때는 오프상태로 되어 증설 전화라인(L1,L2)의 연결을 차단한다. 그리고 후크 스위치(110)는 후크 온상태에서 링거회로(112)를 전화 접속라인(204,206)에 연결하고 있다가 핸드셋이 후크 오프되면 링거회로(112) 대신에 핸드셋 통화회로(114)를 전화 접속라인(204,206)에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팩시밀리를 사용하게 되면, 팩시밀리의 제어부에 의해 릴레이(100)가 팩스모드로 전환되어 전화국선(T,R)을 모뎀 접속라인(200,202)에 연결한다. 이에따라 모뎀(104)을 이용한 팩시밀리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line interface circuit as described above, the relay 100 is switched to the telephone mode or the facsimile mode by the control unit of the facsimile. That is, when the fax is in the standby state, the relay 100 enters the telephone mode and connects the telephone line T and R to the telephone line 204,206.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ceive a ring signal from the telephone line T or R or to use an extension telephone or handset. At this time, the relay 116 is turned on, and the extension telephone lines L1 and L2 are connected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The relay 116 is turned off when fax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performed or the handset is used. , L2) is disconnected. The hook switch 110 connects the ringer circuit 112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in a hook-on state, and when the handset is hooked off, the handset communication circuit 114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instead of the ringer circuit 112. (204, 206). When the facsimile is used in this state, the relay 100 switches to the fax mode by the control unit of the facsimile and connects the telephone line T and R to the modem connection lines 200 and 202. Accordingly, facsimi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the modem 104 can be performed.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대기상태에서 전화국선(T,R)과 연결되는 전화 접속라인(204,206)에 대한 증설 전화라인(L1,L2)의 연결을 별도의 릴레이(116)를 사용하여 제어하였었다. 이때 릴레이(116)는 팩시밀리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므로 제어부로 사용되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의 제어 포트(control port)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정전이 되거나 팩시밀리의 전원이 오프될 경우 팩시밀리의 제어부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릴레이(116)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증설 전화기가 팩시밀리에 장착된 핸드셋과 브리지(bridge)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of the extension telephone lines L1 and L2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T and R in the standby state was controlled using a separate relay 116. In this case, since the relay 116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of the facsimile, a control port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used as a control unit is required. In addition, when the power failure or the power of the facsimile is turned off, the control unit of the facsimile does not operate so that the control of the relay 116 is impossible. In this case, the extension telephone may bridge with the handset mounted in the facsimile.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릴레이를 사용하여 증설 전화라인의 연결을 제어함에 따라 별도의 제어 포트를 필요로 할 뿐만아니라 정전이 되거나 팩시밀리의 전원이 오프될 경우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릴레이를 별도로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제품의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 addition to the need for a separate control port as well as control of the connection of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using a relay, control is impossible when a power failure or the power of the facsimile is turned off.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st of the product is increased due to the separate use of a bulky rela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릴레이를 사용치 않으며 항상 증설 전화라인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는 증설 전화라인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ension telephone line control circuit that can control the connection of an extension telephone line at all times without using a separate relay.

도 1은 종래의 팩시밀리의 라인 인터페이스회로도,1 is a line interface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facsimil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설 전화라인 제어회로를 포함한 라인 인터페이스회로도.2 is a line interface circuit including an extension telephone line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드셋이 후크 온상태일 때 링거회로를 전화 접속라인에 연결하고 핸드셋이 후크 오프상태일 때 링거회로를 전화 접속라인과 차단하는 제1후크 스위치와, 제1후크 스위치와 연동되며 핸드셋이 후크 온상태일 때 증설 전화라인을 전화 접속라인에 연결하고 핸드셋이 후크 오프상태일 때 증설 전화라인을 전화 접속라인과 차단하는 제2후크 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hook switch for connecting the ringer circuit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when the handset is in the hook-on state and the ringer circuit is disconnected from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when the handset is in the hook-off state; And a second hook switch that interlocks with the hook switch and connects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when the handset is in the hook-on state and disconnects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from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when the handset is in the hook-off state.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회로 구성이나 부품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specific circuit configurations or compon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설 전화라인 제어회로를 포함한 라인 인터페이스회로도를 보인 것으로, 전술한 도 1의 회로에서 릴레이(116)를 제거함과 아울러 후크 스위치(110) 대신에 연동되는 제1,제2후크 스위치(116,118)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점퍼(jumper)(120)을 추가적으로 설치한다. 그러므로 제1,제2후크 스위치(116,118)와 점퍼(1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 1에서와 동일하다.Figure 2 shows a line interface circuit diagram including an extension telephone line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be interlocked instead of the hook switch 110 in addition to removing the relay 116 in the circuit of FIG. The second hook switches 116 and 118 are configured. And additionally install a jumper (jumper 120). Therefore,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hook switches 116 and 118 and the jumper 120 are the same as in FIG. 1.

상기 도 2에서 제1후크 스위치(116)는 전화 접속라인(204)과 링거회로(112)간에 접속된다. 이러한 제1후크 스위치(116)는 핸드셋의 후크상태에 따라 온/오프되어 핸드셋이 후크 온상태일 때 링거회로(112)를 전화 접속라인(204,206)에 연결하고 핸드셋이 후크 오프상태일 때 링거회로(112)를 전화 접속라인(204,206)과 차단한다. 그리고 제2후크 스위치(118)는 전화 접속라인(204,206)과 핸드셋 통화회로(114) 및 증설 전화라인(L1,L2)간에 접속된다. 이러한 제2후크 스위치(118)는 핸드셋의 후크상태에 따라 제1후크 스위치(116)와 연동되며 핸드셋이 후크 온상태일 때 증설 전화라인(L1,L2)을 전화 접속라인(204,206)에 연결하고 핸드셋이 후크 오프상태일 때 증설 전화라인(L1,L2)을 전화 접속라인(204,206)과 차단한다. 또한 점퍼(120)는 전화 접속라인(204)과 증설 전화라인(L2)간에 설치된다.In FIG. 2, the first hook switch 116 is connected between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204 and the ringer circuit 112. The first hook switch 116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hook state of the handset to connect the ringer circuit 112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when the handset is in the hook-on state and the ringer circuit when the handset is in the hook-off state. Block 112 from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The second hook switch 118 is connected between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the handset communication circuit 114, and the extension telephone lines L1 and L2. The second hook switch 118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hook switch 116 according to the hook state of the handset, and connects the extension telephone lines L1 and L2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when the handset is in the hook-on state. The extension telephone lines L1 and L2 are disconnected from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when the handset is hooked off. In addition, the jumper 120 is installed between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204 and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L2).

상기한 상태에서 릴레이(100)에 의해 전화모드와 팩시밀리모드간에 전환되는 것은 전술한 도 1에서와 동일하다. 그리고 핸드셋이 후크 온상태인 동안 제1후크 스위치(116)가 온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팩시밀리가 대기상태인 경우 전화국선(T,R)에 전화 접속라인(204,206)이 연결되므로 링거회로(112)가 전화국선(T,R)에 연결된다. 이때 제2후크 스위치(118)는 전화 접속라인(204,206)에 증설 전화라인(L1,L2)을 연결한다. 이에따라 전화국선(T,R)으로부터 링신호를 수신하거나 증설 전화기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드셋 사용을 하게 되면, 제1후크 스위치(116)가 오프되므로 링거회로(112)가 전화 접속라인(204,206)으로부터 차단된다. 그리고 제2후크 스위치(118)는 전화 접속라인(204,206)에 연결되었던 증설 전화라인(L1,L2)을 차단하고 핸드셋 통화회로(114)를 연결한다. 이에따라 핸드셋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 state, switching between the telephone mode and the facsimile mode by the relay 100 is the same as in FIG. 1 described above. The first hook switch 116 is turned on while the handset is in the hook-on state. In this state, when the fax is in the standby state, since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are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T and R, the ringer circuit 112 is connected.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T, R). At this time, the second hook switch 118 connects the extension telephone lines L1 and L2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ceive a ring signal from the telephone line T or R or to use an extension telephone. When the handset is used in this state, the first hook switch 116 is turned off so that the ringer circuit 112 is disconnected from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The second hook switch 118 cuts off the extension telephone lines L1 and L2 which were connected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s 204 and 206 and connects the handset communication circuit 114. This enables handset calls.

따라서 종래와 달리 별도의 릴레이를 사용치 않고 후크 스위치에 의해 증설 전화라인을 기계적으로 제어하므로써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될때는 물론이고 정전이 되거나 전원이 오프되어도 항상 증설 전화라인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unlike the related art, by additionally controlling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by a hook switch without using a separate relay,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can always be controlled even when power is normally supplied, even when a power failure or power is turned off.

또한 점퍼(120)는 국가별 규격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브리지가 허용되지 않는 국가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점퍼(120)를 개방(open)시키고 브리지가 허용되는 국가에서는 점퍼(120)를 삽입한다. 이에따라 모든 국가의 규격을 맞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jumper 120 is intended to meet national standards, and when used in a country where the bridge is not allowed, the jumper 120 is opened and the jumper 120 is inserted in the country where the bridge is allowed. As a result, all national standards can be met.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점퍼(120)를 설치하는 예를 보였으나, 이는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인 것으로 필요없는 경우에는 사용치 않아도 된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 example of installing the jumper 120, it is shown that it can be used additionally, it is not necessary to use if not necessary.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증설 전화라인을 후크 스위치에 의해 제어하므로써 정전이 되거나 전원이 오프되어도 항상 증설 전화라인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별도의 릴레이와 제어포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by controlling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by the hook switch, so that even if a power failure or the power is turned off, the cost of the product can be lower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relay and control port. There is an advantage.

Claims (2)

대기상태에서 전화국선과 연결되는 전화 접속라인에 대한 증설 전화라인의 연결을 제어하는 팩시밀리의 증설 전화라인 제어회로에 있어서,In the extended telephone line control circuit of the facsimile that controls the connection of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to the telephone line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in the standby state, 핸드셋이 후크 온상태일 때 링거회로를 상기 전화 접속라인에 연결하고 상기 핸드셋이 후크 오프상태일 때 상기 링거회로를 상기 전화 접속라인과 차단하는 제1후크 스위치와,A first hook switch for connecting a ringer circuit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when the handset is in a hook-on state and for disconnecting the ringer circuit from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when the handset is in a hook-off state; 상기 제1후크 스위치와 연동되며 상기 핸드셋이 후크 온상태일 때 상기 증설 전화라인을 상기 전화 접속라인에 연결하고 상기 핸드셋이 후크 오프상태일 때 상기 증설 전화라인을 상기 전화 접속라인과 차단하는 제2후크 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 전화라인 제어회로.A second interworking with the first hook switch and connecting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to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when the handset is in the hook-on state and blocking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from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when the handset is in the hook-off state; An extension telephone line control circuit comprising a hook sw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접속라인과 상기 증설 전화라인간에 설치되는 점퍼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설 전화라인 제어회로.2.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jumper provided between the telephone connection line and the extension telephone line.
KR1019970006546A 1997-02-28 1997-02-28 Enlargement line control circuit for facsimile KR1002083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546A KR100208387B1 (en) 1997-02-28 1997-02-28 Enlargement line control circuit for facsim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546A KR100208387B1 (en) 1997-02-28 1997-02-28 Enlargement line control circuit for facsim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475A KR19980069475A (en) 1998-10-26
KR100208387B1 true KR100208387B1 (en) 1999-07-15

Family

ID=1949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546A KR100208387B1 (en) 1997-02-28 1997-02-28 Enlargement line control circuit for facsim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38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475A (en)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14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of common in-house wiring to permit multiple telephone carriers to serve the same customer
USRE43706E1 (en) Fallback function telecommunications device
US6757382B1 (en) Quasi ground fault interruption signal-based activation of emergency pots by-pass paths for line-powered digital subscriber loop
US6408056B1 (en) Local loop interceder
KR100208387B1 (en) Enlargement line control circuit for facsimile
US6141414A (en) Data access arrangement having combined remote hang-up/ring detection circuitry
KR100202418B1 (en) Facsimile equipment
JP2805724B2 (en) Telephone switching equipment
EP1499100B1 (en) Wide-band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ive operating method
JPS6258581B2 (en)
US200702236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ternatively switching between phone service lines
KR100186613B1 (en) Printer
JP3133703B2 (en) Modem system
JP2633439B2 (en) Facsimile machine
JPH0420318B2 (en)
JP3487871B2 (en) Call monitoring device
JP3249802B2 (en) No-ringing communication equipment
JPH09200424A (en) Network control unit
JPH01233870A (en) Telephone set
KR20000047221A (en) Apparatus for sharing facsimile/telephone path using one line
WO2001011791A1 (en)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apparatus
KR19990065563A (en) Modem auto connection / blocker
JP2001069264A (en) Modem
JPS62204646A (en) Telephone set
JPH04275764A (en) Facsimil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