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279B1 -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279B1
KR100203279B1 KR1019960047811A KR19960047811A KR100203279B1 KR 100203279 B1 KR100203279 B1 KR 100203279B1 KR 1019960047811 A KR1019960047811 A KR 1019960047811A KR 19960047811 A KR19960047811 A KR 19960047811A KR 100203279 B1 KR100203279 B1 KR 100203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onference
terminal
video
terminal information
poi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673A (ko
Inventor
이은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279B1/ko
Publication of KR1998002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2Multipoint control un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7Network arrangements for conference optimisation or adap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5Conference systems involving storage of or access to video conference session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화상회의시스템의 다지점제어장치에서 회의그룹을 구성하는 각 단말들의 수용능력 및 사용자정보등이 실린 단말정보를 인가받아 실제 회의에 참석 가능한 단말을 선택적으로 접속하게 하는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상회의 개최시 화상회의 그룹을 구성하는 단말들로부터 단말정보를 인가받아 단말정보에 실린 영상 및 음성압축표준화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하여 영상 및 음성압축표준안이 일치되지 않은 단말의 불필요한 접속을 방지하고, 각 단말의 제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
본 발명은 화상회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에서 회의그룹을 구성하는 각 단말의 정보를 세밀히 표시하여 회의제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가 대중화되어 가면서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진 상대방의 얼굴을 마주하며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는 화상통신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가 발전하고 있다. 그중 화상회의시스템은 여러 사람이 함께 참여하므로, 여러 지역을 함께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과 연결하여 음성, 영상 등의 회의정보를 상대방에 전달한다. 또한, 회의정보를 하나의 디지탈회선을 사용하여 대량으로, 동시에 고속 전송하는 종합서비스디지탈통신망(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ISDN)이 개시되고 있다. ISDN에 있어서 화상전화, 화상회의를 실현하기 위한 영상다중화방식으로는 H.261이 권고되고, 음성다중화방식으로는 G.711 또는 G.722가 권고되어 있다. 화상회의시스템을 구성하는 화상회의 단말들은 여러곳에 산재해 있으므로, 화상회의를 개최하려면 각 단말을 제어하는 다지점제어장치(Multipoint Control Unit;이하, MCU라 함)에 화상회의 시간을 미리 예약하고, 그 예약시간에 각 단말들이 다지점제어장치에 전화를 걸어야만 화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MCU에서는 회의그룹을 구성하는 단말의 전화번호만을 가지고 호(Call)접속을 시도하였다. 일반적으로, 다지점제어장치(MCU)는 하나 또는 회의그룹 모두의 단말을 선택하여 호접속을 시도한다.
하지만, 이렇게 단말의 전화번호만을 가지고 호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단말의 수용능력(Capability)을 알 수 없다. 즉, 영상, 음성, 기타데이타 등을 다중화하기 위해 각 단말에 설정된 권고 다중화방식(H.261, G.711, G.722 등등)을 알 수 없다.
예를들어, 현재 회의그룹을 구성하는 단말들이 G.711, G.722 등의 다중화방식으로 섞여 있는 경우, MCU와 연결된 첫 번째 단말이 G.711로 음성을 다중화한다면, 그 다음에 G.722의 음성으로 다중화하는 단말은 연결이 불가능하다. 즉, 화상회의가 상위버젼의 다중화방식으로 설정되면, 하위버젼의 다중화방식은 상위버젼의 다중화방식을 포함하지 못하기 때문에 접속이 불가능해진다. 이와같이, 종래의 MCU는 단말의 수용능력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각 단말의 접속상태를 알 수 없다. 이로 인하여 어떤 수용능력을 갖는 단말이 회의그룹에 구성되었는지 알 수 없고, 기타 다른 단말이 회의에 참석하고자 할 때, 그 단말의 수용능력이 현재 회의진행중인 단말들의 다중화방식과 일치하는지 알 수 없어서 회의그룹의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상회의시스템에서는 하나 또는 회의그룹을 구성하는 모든 단말이 접속됨에 따라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단말도 자동으로 접속을 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상회의에 참석하는 단말기들의 수용능력과 사용자정보등과같은 추가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화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단말을 선정하여 호접속을 시도할 수 있는 단말기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가 적용된 화상회의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인터페이스부14 : 다지점제어장치(MCU)
15 : 모니터16 : 화상단말
상술한 바와같은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화상회의시스템에 있어서, 화상회의개최시 화상회의그룹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단말정보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단말정보에 따라 화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단말들을 선택하여 호 접속/끊기를 제어하고, 접속된 단말들의 화상회의를 진행하는 다지점제어장치(MCU)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기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가 적용된 화상회의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니터(15)상에 표시되는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화상회의시스템은 다수의 화상단말(16,…,16(m),…,16(n))과 각 단말들과 접속되어 화상회의 진행에 필요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다지점제어장치(MCU)(14)와 사용자와 MCU(14)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2)로 크게 구성되며, MCU(14)는 각 단말들로부터 인가되는 단말의 수용능력을 표시하는 모니터(15)와 연결된다.
도 1에서, 화상회의 개최시 MCU(14)에 연결된 각 화상단말들(16,…,16(m),…,16(n))은 수용능력 및 사용자정보등과같은 단말정보를 MCU(14)로 전달한다. 각 단말들의 수용능력에 대한 단말정보를 입력받은 MCU(14)는 모니터(15)를 통해 각 단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MCU(14)에 연결된 모니터(15)상에는 회의그룹을 구성하는 각 단말표시아이콘이 단말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모니터(15)상에 나타낸 단말정보를 보면서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MCU(14)에서 화상회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는 회의그룹을 지정한다. 예를들어, MCU(14)는 인터페이스부(여기서는 마우스로 함)(12)로부터 제 1키신호가 인가되면 마우스의 커서가 위치한 단말1을 선택하고(20), 제 2키신호가 인가되면 계속적으로 다른 단말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MCU(14)는 인터페이스부(12)로부터 제 3키신호가 인가되면, 자세한 사용자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각 단말들로부터 전달받은 단말의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4키신호가 인가되면, 사용자정보의 변경과 선택된 단말에 대한 호 접속 및 끊기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화상회의 개최시 회의그룹을 구성하는 각 단말들로부터 단말정보(영상, 음성 및 기타데이타의 다중화방식 및 사용자정보)를 자세히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단말정보를 보고 화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단말들과의 접속을 선택적으로하여 각 단말의 제어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Claims (2)

  1. 화상회의시스템에 있어서,
    화상회의개최시 화상회의그룹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단말정보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단말정보에 따라 화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단말들을 선택하여 호 접속/끊기를 제어하고, 접속된 단말들의 화상회의를 진행하는 다지점제어장치(MCU)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지점제어장치는 화상회의개최시 화상회의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압축표준화방식정보 및 사용자정보등이 실린 단말정보를 각 단말들로부터 인가받아 화상회의를 참석할 수 있는 단말을 선택하여 호 접속 및 끊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
KR1019960047811A 1996-10-23 1996-10-23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 KR100203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811A KR100203279B1 (ko) 1996-10-23 1996-10-23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811A KR100203279B1 (ko) 1996-10-23 1996-10-23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673A KR19980028673A (ko) 1998-07-15
KR100203279B1 true KR100203279B1 (ko) 1999-06-15

Family

ID=1947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811A KR100203279B1 (ko) 1996-10-23 1996-10-23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5655A2 (en) * 1999-11-08 2001-05-17 Polycom Israel Ltd. A method for controlling one or more multipoint control units with one multipoint control unit
US7174365B1 (en) 2000-11-08 2007-02-06 Polycom Israel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ne or more multipoint control units as one multipoint control unit
US7701926B2 (en) 2002-06-14 2010-04-20 Polycom, Inc. Multipoint multimedia/audio conference using IP trun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673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6964B1 (en) Interoffice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wires
CA2150060C (en) Seamless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using enhanced endpoint devices
US76796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video-conference to choose between various associated video conferences
US76796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 sub-videoconference from a main videoconference
US602091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nalog voice-only endpoint with pseudo multimedia service
EP0691778B1 (en)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US5563882A (en) Process for converting a point-to-point multimedia call to a bridged multimedia call
US6373936B1 (en) Intelligent switching system for voice and data
US5920693A (en) Audio to video switchover in video conferencing
US20060159099A1 (en) Videoconferencing device and system
EP250931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ference control including remote display conference places
US6621514B1 (en) Video conferencing system
KR20030060945A (ko) 텔레비전 회의 시스템
US20010012304A1 (en) High quality multimedia communications `
US8515042B2 (en) Method for indicating call progress state, conference control device, and conference system
KR100203279B1 (ko) 단말정보를 갖는 화상회의 다지점제어장치
EP07437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videoconferences
JPH09214923A (ja) 多地点テレビ会議システム及びテレビ会議付加情報表示方法
JP3140866B2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H01233869A (ja) 画像通信方式
JPS6315560A (ja) 電子会議システムの伝送制御装置
JPH06268757A (ja) 端末識別方法
JPH1051557A (ja) テレビ会議端末および多地点テレビ会議方法
KR100565185B1 (ko) 화상회의 시스템
JPH07322230A (ja) 多地点間テレビ会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