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489B1 - Apparatus for slating prevention of a sea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lating prevention of a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489B1
KR100199489B1 KR1019960061362A KR19960061362A KR100199489B1 KR 100199489 B1 KR100199489 B1 KR 100199489B1 KR 1019960061362 A KR1019960061362 A KR 1019960061362A KR 19960061362 A KR19960061362 A KR 19960061362A KR 100199489 B1 KR100199489 B1 KR 100199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ylinder
hose
pist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3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43485A (en
Inventor
최석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489B1/en
Publication of KR1998004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4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489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1Seat suspension devices actively controlled suspension, e.g. electronic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72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 B60N2/427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electric or electronic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5Adjustable suspension including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시트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48); 시트의 하방에 배설되는 제 1 실린더(16); 일단부가 상기 제 1 실린더(16)의 피스톤(18)에 고정되고 다른단부는 시트의 일측부 하면에 고정되는 제 1 피스톤 로드(20); 상기 제 1 실린더(16)내에 진공을 공급하여 시트의 상기 일측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써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게 되는 진공공급수단(22,36,42,42a); 및 상기 센서(48)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공급수단(22,36,42,42a)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ECU(46);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10 for preventing the sheet from tipping. The apparatus includes a sensor 48 for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et; A first cylinder 16 disposed below the sheet; A first piston rod 2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iston 18 of the first cylinder 16 and the other end fixed to one side lower surface of the seat; Vacuum supply means (22, 36, 42, 42a) for supplying a vacuum in the first cylinder (16) to raise or lower the one side of the sheet to prevent the sheet from tilting; And an ECU 46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acuum supply means 22, 36, 42, 42a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48.

Description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Device to prevent the sheet from tipping

본 발명은 버스 또는 승용차의 시트에 제공되는 부가적인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커브길이나 울퉁불퉁한 길을 주행할 때 시트가 기울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써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키게 되는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Preventing Seat From Being Tipped Ove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ditional device provided on a seat of a bus or a passenger car, and in particular, 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seat from inclining when driving on a curved road or a bumpy road, the passenger's riding comfort is improved and the vehicle's merchandise is increased. It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seat from being tipped over.

통상적으로, 시트에는 버킷 시트, 벤치 시트 및 리클라이닝 시트가 있고; 버킷 시트(bucket seat)는 승객 개개인의 몸을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를 말하며, 시트가 1인용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세퍼레이트 시트(separate seat)라고도 한다. 벤치 시트(bench seat)는 버스 또는 승용차의 뒷좌석에 사용되는 벤치 모양의 시트로서 버킷 시트와 대조적으로 쓰이는 표현이다. 리클라이닝 시트(reclining seat)는 시트의 등받이(시트백)가 조정가능하도록 된 시트로서 적절한 운전을 할 수 있는 목적 외에, 휴식을 위해 시트를 눕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트 슬라이드(seat slide)는 운전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시트가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구를 말하고, 시트 슬라이드나 리클라이닝 기구 등을 총칭하여 시트 어저스터(seat adjustor)라고 한다. 시트 어저스터는 시트 쿠션의 회전이나 기울기(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기구를 포함한다.Typically, the seats include bucket seats, bench seats, and reclining seats; Bucket seat (bucket seat) refers to a seat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of each passenger, and is also called a separate seat (separate seat) because the seat is divided for one person. Bench seat is a bench-shaped seat used in the back seat of a bus or passenger car, and is used in contrast to a bucket seat. The reclining seat is a seat in which the seat back of the seat is adjustable, and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proper driving, the reclining seat is able to lay down the seat for rest and sleep. The seat slide refers to a mechanism for allowing the seat to move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river's body. The seat slide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eat adjuster. The seat adjuster includes a mechanism to enable rotation or tilt (height) adjustment of the seat cushion.

그러나, 선행기술에 따른 시트에 있어서는, 시트의 기울어짐을 보정하기 위한 특정의 수단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버스 또는 승용차가 커브길이나 울퉁불퉁한 길을 주행하는 경우 차체의 흔들림에 따라 시트가 좌우로 기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탑승자의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seat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no specific means for corr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is provided, when the bus or a passenger car runs on a curved road or a bumpy road, the seat tilts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shaking of the vehicle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de comfort of the occupant is reduced accordingly.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시트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브길이나 울퉁불퉁한 길을 주행할 때 시트가 기울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써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키게 되는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sea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prevent the occupant's ride by preventing the seat is inclined when driving on a curved road or a bumpy road It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which is to improve the quality and increase the marketability of the vehicl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1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inclination of a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기울어짐 방지장치, 12: 시트 프레임, 14: 지지대, 16: 제 1 실린더, 18: 제 1 피스톤, 20: 제 1 피스톤 로드, 22: 액츄에이터, 24: 제 1 호스, 26: 제 2 호스, 28: 제 3 호스, 30: 진공탱크, 32: 서지탱크, 34: 플런저 부재, 36: 제 2 실린더, 38: 제 2 피스톤, 40: 제 2 피스톤 로드, 42,42a: 전자석, 44,44a: 리턴 스프링, 46: ECU, 48: 센서, 50,50a: 공기 배출구, 52: 체크밸브, 54: 볼, 56,56a: 접점부재, 58,58a: 트랜지스터, 60,60a: 릴레이, 62: 힌지축10: anti-tilt device, 12: seat frame, 14: support, 16: first cylinder, 18: first piston, 20: first piston rod, 22: actuator, 24: first hose, 26: second hose 28: third hose, 30: vacuum tank, 32: surge tank, 34: plunger member, 36: second cylinder, 38: second piston, 40: second piston rod, 42, 42a: electromagnet, 44,44a : Return spring, 46: ECU, 48: sensor, 50, 50a: air outlet, 52: check valve, 54: ball, 56, 56a: contact member, 58, 58a: transistor, 60, 60a: relay, 62: hinge shaft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시트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시트의 하방에 배설되는 제 1 실린더; 일단부가 상기 제 1 실린더의 피스톤에 고정되고 다른단부는 시트의 일측부 하면에 고정되는 제 1 피스톤 로드; 상기 제 1 실린더내에 진공을 공급하여 시트의 상기 일측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써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게 되는 진공공급수단; 및 상기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ECU;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inclination of a sheet; The apparatus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et; A first cylinder disposed under the seat; A first piston ro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iston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other end fixed to one side lower surface of the seat; Vacuum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vacuum in the first cylinder to prevent the inclination of the seat by raising or lowering the one side of the seat; And an ECU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supply means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진공공급수단은, 제 1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액츄에이터; 일단부가 진공원에 연결되며 다른단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는 제 1 호스; 일단부가 상기 제 1 호스의 양측면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단부는 상기 제 1 실린더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 2 호스와 제 3 호스; 상기 액츄에이터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호스와 제 2 호스 또는 상기 제 1 호스와 제 3 호스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게 되는 플런저 부재; 및 상기 플런저 부재를 상기 액츄에이터의 내부에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수단;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vacuum supply means, the actuator is formed with a first air outlet; A first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vacuum sour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ctuator; Second and third hos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ctuator at both sides of the first hos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ylinder, respectively; A plunger member configured to selectively communicate the first hose and the second hose or the first hose and the third hose inside the actuator; And an actuating means for reciprocating the plunger member inside the actuator.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작동수단은, 제 2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제 2 실린더; 일단부가 상기 제 2 실린더의 피스톤에 연결되며 다른단부는 상기 플런저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피스톤 로드; 상기 제 2 실린더의 내부에서 양단부 바닥면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ECU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제 2 피스톤을 잡아당기게 되는 한 쌍의 전자석; 및 상기 제 2 피스톤과 상기 전자석들의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전자석들에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상기 제 2 피스톤을 밀어내게 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operating means, the second cylinder is formed with a second air outlet; A second piston ro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piston of the second cylind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unger member; A pair of electromagnets which are fixed to both bottom surfaces of the second cylinder, respectively, to pull the second piston when the power is selectively applied by the ECU;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iston and the electromagnets to push the second piston when the supply of power to the electromagnets is stopped.

본 발명의 또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장치가 시트의 다른 일측부에도 제공되어 시트의 일측부가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일측부를 상승시키면서 다른 일측부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is also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so that when one side of the sheet is inclined, the other side can be raised while raising the one side.

본 발명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센서가 시트의 기울어짐을 감지함에 따라 ECU가 전자석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시트의 일측부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게 되므로,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되고, 차량의 상품성이 증대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ensor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seat, the ECU selectively activates the electromagnet to prevent the inclination of the seat by raising or lowering one side of the seat, thereby improving ride comfort of the occupant. Therefore, the merchandise of the vehicle is increas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1, there is shown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inclination of a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10)는 시트 프레임(12)의 양측부 하방에서 쌍으로 제공되고, 각각 제 1 실린더(16)와 액츄에이터(22)와 제 2 실린더(36)를 포함한다. 시트 프레임(12)은 지지대(14)에 의해 지지되면서 힌지축(62)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실린더(16)와 액츄에이터(22)와 제 2 실린더(36)가 시트의 양측방에서 각각 동일한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주로 도면의 우측방에 제공되는 상기 장치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The device 10 for prevent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rovided in pairs under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12, and the first cylinder 16, the actuator 22 and the second cylinder 36, respectively. It includes. The seat frame 12 is pivotable about the hinge axis 62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14. Since the first cylinder 16, the actuator 22, and the second cylinder 36 each have the same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se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pparatus mainly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o.

상기 제 1 실린더(16)는 상기 지지대(14)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실린더(16)의 내부에는 제 1 피스톤(18)이 배설된다. 상기 제 1 피스톤(18)에는 제 1 피스톤 로드(20)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 1 피스톤 로드(20)의 다른단부는 시트 프레임(12)의 일측부 하면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The first cylinder 16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14, the first piston 18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cylinder 16. One end of the first piston rod 20 is fixed to the first piston 18,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rod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seat frame 12 in a pivotable manner.

상기 제 1 실린더(16)에 근접한 부분에는 액츄에이터(22)가 제공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액츄에이터(22)는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취하게 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2)의 중간부분에는 제 1 호스(24)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호스(24)의 다른단부는 체크밸브(52)를 경유하여 진공탱크(30) 및 서지탱크(32)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호스(24)의 양측방에서 상기 액츄에이터(22)에는 제 2 호스(26) 및 제 3 호스(28)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2 및 제 3 호스(26,28)의 다른단부는 상기 제 1 실린더(14)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2)의 내부에는 플런저 부재(34)가 상기 제 1 호스(24)와 제 2 호스(26) 또는 제 1 호스(24)와 제 3 호스(28)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방식으로 배설되고, 상기 플런저 부재는 대체로 일면이 개방된 상자의 형상을 취하게 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2)에는 제 1 공기 배출구(50)가 형성된다.An actuator 22 is provided at a portion proximate to the first cylinder 16, an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tor 22 take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One end of the first hose 24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actuator 22,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se 24 is connected to the vacuum tank 30 and the surge tank 32 via the check valve 52. ) One end of the second hose 26 and the third hose 28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22 at both sides of the first hose 24, respectively. The other end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ylinder 14. The plunger member 34 is disposed in the actuator 22 in such a manner as to selectively communicate the first hose 24 and the second hose 26 or the first hose 24 and the third hose 28. The plunger member generally takes the form of a box with one side open. The actuator 22 is formed with a first air outlet 50.

상기 액츄에이터(22)의 측방에는 제 2 실린더(36)가 제공되며, 상기 제 2 실린더(36)의 내부에는 제 2 피스톤(38)이 배설된다. 상기 제 2 피스톤(38)에는 제 2 피스톤 로드(40)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 2 피스톤 로드(40)의 다른단부는 상기 플런저 부재(34)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실린더(36)의 내부에서, 양단부 바닥면에는 한 쌍의 전자석(42,42a)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각각의 전자석(42,42a)은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 2 피스톤(38)을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 제 2 피스톤(38)과 각각의 전자석(42,42a)의 사이에는 한 쌍의 리턴 스프링(44,44a)이 제공되고, 리턴 스프링(44,44a)은 상기 전자석들(42,42a)에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상기 제 2 피스톤(38)을 중립위치를 향하여 밀어내게 된다. 상기 제 2 실린더(36)에는 제 2 공기 배출구(50a)가 형성된다.A second cylinder 36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ctuator 22, and a second piston 38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cylinder 36. One end of the second piston rod 40 is fixed to the second piston 38,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ston rod 40 is connected to the plunger member 34. In the interior of the second cylinder 36, a pair of electromagnets 42 and 42a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s of both ends, and each of the electromagnets 42 and 42a has the second piston 38 when power is applied. Pulled). A pair of return springs 44 and 44a ar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iston 38 and the respective electromagnets 42 and 42a, and return springs 44 and 44a are provided to the electromagnets 42 and 42a. When the power supply is stopped, the second piston 38 is pushed toward the neutral position. A second air outlet 50a is formed in the second cylinder 36.

상기 전자석들(42,42a)은 릴레이(60,60a)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들(60,60a)은 트랜지스터(58,58a)를 경유하여 ECU(46)에 각각 연결된다. ECU(46)에는 센서(48)가 연결되고, 상기 센서(48)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같이 라운딩된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볼(54)이 배설되며, 볼(54)의 양측방에서 하우징의 내면에는 한 쌍의 접점부재(56,56a)가 각각 부착된다. 커브길 또는 울퉁불퉁한 길을 주행함에 따라 차체가 기울어지면, 상기 볼(54)이 상기 접점부재(56,56a)들 중의 하나에 접촉되면서 차체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게 된다. ECU(46)는 상기 센서(48)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들(42,42a)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The electromagnets 42 and 42a are connected to relays 60 and 60a, respectively, and the relays 60 and 60a are connected to ECU 46 via transistors 58 and 58a, respectively. A sensor 48 is connected to the ECU 46, and the sensor 48 includes a rounded housing as shown in FIG. 3. A ball 54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a pair of contact members 56 and 56a are attached to inner surfaces of the housing on both sides of the ball 54, respectively. When the vehicle body is inclined while driving on a curved road or a bumpy road, the ball 54 comes into contact with one of the contact members 56 and 56a to sense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body. The ECU 46 selectively applies power to the electromagnets 42 and 42a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48.

시트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면, 제 1 전자석(42)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 1 전자석(42)은 제 2 피스톤(38)을 잡아당기게 되며, 플런저 부재(34)는 상기 제 1 호스(24)와 제 2 호스(26)를 연통시키게 된다. 제 1 호스(24)와 제 2 호스(26)가 연통되면, 진공탱크(30) 또는 서지탱크(32)내의 진공이 제 1 실린더(14)의 상부 격실에 도입되어 제 1 피스톤(18)을 상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시트는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시트의 우측에 제공되는 다른 제 1 실린더에는 하부 격실에 진공이 도입되어 제 1 피스톤을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시트는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시트의 좌측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eat is inclined to the left,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42, the first electromagnet 42 pulls the second piston 38, and the plunger member 34 the first hose 24. And the second hose 26 are communicated. When the first hose 24 and the second hose 26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vacuum in the vacuum tank 30 or the surge tank 32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compartment of the first cylinder 14 to open the first piston 18. It is pulled upwards, whereby the seat is moved upwards. At this time, the other first cylinder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at introduces a vacuum into the lower compartment and pulls the first piston downward, thereby moving the seat downward. Therefore, the inclination of the sheet in the left direction can be effectively corrected.

시트가 우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제 2 전자석(42a)에 전원이 인가되며, 진공탱크(30) 또는 서지탱크(32)내의 진공이 제 1 실린더(14)의 하부 격실에 도입되어 제 1 피스톤(18)을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시트는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시트의 우측에 제공되는 제 1 실린더에는 상부 격실에 진공이 도입되어 제 1 피스톤을 상방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시트는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시트의 우측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eat is inclined to the right side, power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magnet 42a, and the vacuum in the vacuum tank 30 or the surge tank 32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compartment of the first cylinder 14 so that the first piston ( 18) is pulled downward. As a result, the sheet is moved downward. At this time, a vacuum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compartment in the first cylinder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at and pulls the first piston upward, whereby the seat is moved upward. Therefore, the inclination of the sheet in the right direction can be corrected effectively.

차체가 평탄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전자석들(42,42a)중의 어느 것에도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플런저 부재(34)는 중립상태에 유지되어 제 1 호스(24)와 제 2 호스(26) 또는 제 3 호스(28)를 서로 연통시키지 않게 된다.When the vehicle body is kept flat and power is not applied to any of the electromagnets 42 and 42a, the plunger member 34 is maintained in a neutral state so that the first hose 24 and the second hose ( 26 or the third hose 28 is not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센서가 시트의 기울어짐을 감지함에 따라 ECU가 전자석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시트의 일측부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게 되므로,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되며, 차량의 상품성이 증대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ensor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seat, the ECU selectively operates the electromagnet to prevent the inclination of the seat by raising or lowering one side of the seat, so that the passenger's riding comfort It is improved, and the merchandise of the vehicle is increased.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that.

Claims (4)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시트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시트의 하방에 배설되는 제 1 실린더; 일단부가 상기 제 1 실린더의 피스톤에 고정되고 다른단부는 시트의 일측부 하면에 고정되는 제 1 피스톤 로드; 상기 제 1 실린더내에 진공을 공급하여 시트의 상기 일측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써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게 되는 진공공급수단; 및 상기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ECU;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sheet from tilting, the apparatus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tilt of the sheet; A first cylinder disposed under the seat; A first piston ro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iston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other end fixed to one side lower surface of the seat; Vacuum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vacuum in the first cylinder to prevent the inclination of the seat by raising or lowering the one side of the seat; And an ECU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acuum supply means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진공공급수단이, 제 1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액츄에이터; 일단부가 진공원에 연결되며 다른단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는 제 1 호스; 일단부가 상기 제 1 호스의 양측면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단부는 상기 제 1 실린더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 2 호스와 제 3 호스; 상기 액츄에이터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호스와 제 2 호스 또는 상기 제 1 호스와 제 3 호스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게 되는 플런저 부재; 및 상기 플런저 부재를 상기 액츄에이터의 내부에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The vacuum supply means, the actuator in which the first air outlet is formed; A first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vacuum sour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ctuator; Second and third hos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ctuator at both sides of the first hos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ylinder, respectively; A plunger member configured to selectively communicate the first hose and the second hose or the first hose and the third hose inside the actuator; And an actuating means for reciprocating the plunger member inside the actuato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작동수단이, 제 2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제 2 실린더; 일단부가 상기 제 2 실린더의 피스톤에 연결되며 다른단부는 상기 플런저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피스톤 로드; 상기 제 2 실린더의 내부에서 양단부 바닥면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ECU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제 2 피스톤을 잡아당기게 되는 한 쌍의 전자석; 및 상기 제 2 피스톤과 상기 전자석들의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전자석들에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상기 제 2 피스톤을 밀어내게 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The operating means, the second cylinder is formed with a second air outlet; A second piston ro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piston of the second cylind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unger member; A pair of electromagnets which are fixed to both bottom surfaces of the second cylinder, respectively, to pull the second piston when the power is selectively applied by the ECU;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iston and the electromagnets to push out the second piston when the supply of power to the electromagnets is interrupted. . 제 1 항 내지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장치가 시트의 다른 일측부에도 제공되어 시트의 일측부가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일측부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다른 일측부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And the device is also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so that when one side of the sheet is inclined, the other side can be lowered while raising the one side.
KR1019960061362A 1996-12-03 1996-12-03 Apparatus for slating prevention of a seat KR1001994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362A KR100199489B1 (en) 1996-12-03 1996-12-03 Apparatus for slating prevention of a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362A KR100199489B1 (en) 1996-12-03 1996-12-03 Apparatus for slating prevention of a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485A KR19980043485A (en) 1998-09-05
KR100199489B1 true KR100199489B1 (en) 1999-06-15

Family

ID=1948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362A KR100199489B1 (en) 1996-12-03 1996-12-03 Apparatus for slating prevention of a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4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4701B (en) * 2021-11-19 2024-05-10 上海振运电子科技有限公司 Pressure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485A (en)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7204A (en) Adjustable vehicle seat
US3371359A (en) Mattress suspension system
KR20100013609A (en) Tilting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KR101215205B1 (en) 2 second row seat assembly having fold flat mechanism with forward cushion movement
US5599062A (en) Seat cushion stepless alteration device
KR101935205B1 (en) cervical vertebrae support apparatus capable of position control
US4669139A (en) Reclining bunk for sleeper
US11440442B2 (en) Vehicle seat console, vehicle seat, and vehicle
US3927854A (en) Automotive seat suspension system
KR100199489B1 (en) Apparatus for slating prevention of a seat
EP0915796B1 (en) Cab suspension
JPH0920165A (en) Air suspension mechanism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KR19990018485U (en) Seat Back Height Adjuster
KR20030021087A (en) Lumbar support device for adjusting up and down of automobile
KR100551769B1 (en) Seat-tilt device for working together seat-track in automobile
JPH0427628A (en) Vehicle seat air-suspension
JPH079696Y2 (en) Car seat structure
KR960007779Y1 (en) Angle control device for car seat headrest
JPS61249843A (en) Seat device for vehicles
KR100302419B1 (en) Movable seat cushion device for vehicle
JP2000085424A (en) Seat for vehicle
KR19980073357A (en) Suspension of car seat
KR100241941B1 (en) Height adjustment device of car seat back
KR20050027537A (en) Control device of side bolster in a car seat
KR20000027852A (en) Sea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