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793B1 - 팩시밀리의 메세지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메세지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793B1
KR100193793B1 KR1019950016002A KR19950016002A KR100193793B1 KR 100193793 B1 KR100193793 B1 KR 100193793B1 KR 1019950016002 A KR1019950016002 A KR 1019950016002A KR 19950016002 A KR19950016002 A KR 19950016002A KR 100193793 B1 KR100193793 B1 KR 100193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simile
signal
voice call
fax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608A (ko
Inventor
정종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1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793B1/ko
Priority to US08/614,933 priority patent/US5761283A/en
Priority to JP8155539A priority patent/JPH098954A/ja
Publication of KR970004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06Type of the other apparatus
    • H04N1/32708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28Detecting an off-hook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32Detecting within a predetermined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39Generating signals
    • H04N1/32741Generating ringing or calling signals or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39Generating signals
    • H04N1/32745Generating messages, indications or warnings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name or ID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1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a time or d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3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팩시밀리.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팩시밀리 기능 수행후 음성통화요구에 응답하지 못한 미회신메세지를 효율적으로 관리.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화상 데이터의 통신 종료 후 음성 통화기능을 수행하는 팩시밀리의 메시지처리 방법, 이 통화 요구신호 수신시 링신호를 공급하며 훅크오프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일정시간 훅크오프되지 않을 시 상대 팩시밀리의 정보 및 통신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팩시밀리에서 화상데이타의 통신을 완료한 임의 팩시밀리 측에서 음성통화를 요구하면, 상대 팩시밀리에 응답하지 못할 시 이를 미회신메세지로 저장 및 표시하여 필요시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음.

Description

팩시밀리의 메시지 처리방법
제1도는 팩시밀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2a도는 송신측 팩시밀리에서 통화를 요구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진행 흐름도이고,
제2b도는 수신측 팩시밀리에서 통화를 요구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진행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상대 팩시밀리에서 통화를 요구할 시 응답 처리 흐름도.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메시지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데이터를 통신한 후 상대 팩시밀리에서 통화를 요구할 시 응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는 화상데이타를 서로 교신한 후 상대 팩시밀리에 통화를 요구할 수 있는 기능(voice request)이 있다. 그러나 팩시밀리 주변에 사람이 없는 경우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 상대 팩시밀리 측에서 통화를 요구한 후 일정 수의 링신호가 발생된 후에 훅크오프하지 않으면, 팩시밀리는 자동적으로 통화로를 단절하고 미통화메세지(call back message)를 프린트한다. 이때 팩시밀리에서 프린트된 미통화메세지는 당사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확인하고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프린트된 미통화메세지는 분실될 우려가 많아 메시지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즉, 종래의 팩시밀리에서는 상대 팩시밀리에서 통화 요구시 통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자동적으로 미통화메세지를 프린트하며, 이런 경우 미통화메세지를 분실할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팩시밀리에서 상대 팩시밀리의 통화요구에 응답할 수 없을 시 상태 메시지를 저장하여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 데이터의 통신 종료 후 음성 통화기능을 수행하는 팩시밀리의 메시지 처리 방법이, 통화 요구신호 수신시 링신호를 공급하며 훅크오프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일정시간 훅크오프되지 않을 시 상대 팩시밀리의 정보 및 통신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팩시밀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기 제1도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111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의 송신모드, 수신모드 및 복사모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1은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미통화메세지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이 구비되어 있다. OPE(Operating Pannel)112는 키입력수단과 표시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OPE112의 키입력수단은 사용자가 각 모드의 지정 및 지정된 모드의 동작 수행을 위해 누르는 키의 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OPE112의 표시수단은 상기 제어부111에서 각 모드를 수행할 시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부113은 원고의 입력 유무 및 복사지의 유무를 감지하며, 감지딘 상태 신호를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스캐너114는 입력되는 원고를 이동시키며 원고 상의 화상을 스캐닝 출력한다. 화상처리부115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송신 모드 및 복사모드시 상기 스캐너114로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고, 수신모드시 전송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화상신호를 처리한다. 프린트처리부116은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수신모드 및 복사모드 수행시 상기 화상처리부116에서 입력되는 화상데이타를 기록지에 복사한다. 모뎀117은 상기 제어하에 송신모드시 상기 화상처리부115가 출력하는 화상데이타를 송신 형태의 화상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고, 수신모드시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상기 화상처리부115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복조한다. NCU(Network Control Unit)118은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전송라인과 모뎀117의 송수신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팩시밀리에서 화상데이타를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진행과정을 살펴본다. 여기서 제2a도는 송신측 팩시밀리가 화상데이타를 전송한 후 음성통화를 요구할 시의 통신 진행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제2b도는 수신측 팩시밀리에서 화상데이타를 수신한 후 음성통화를 요구할 시의 통신진행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제2a도는 제2b도를 설명하기에 앞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살펴본다.
CSI(Called Subscriber Identification)는 수신측 팩시밀리의 식별정보(ID : identification)을 나타낸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팩시밀리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DIS(Digital Identification Signal)는 수신측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신측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해상도, 부호화 방식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TSI(Transmitting Subscriber Identification)는 송신측 팩시밀리의 식별정보를 나타낸다. DCS(Digital Command Signal)는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의 DIS에 대한 세트 업된 송신측 팩시밀리의 능력을 나타낸다. TCF(Traning Check)는 두 팩시밀리 간에 세트업된 능력에 따라 화상데이타를 송신하기 전에 실험적으로 통신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화상데이타를 보내는 속도와 동일하게 1.5초간 0데이타를 출력한다. CFR(Confirmation to Receive)은 상기 TCF를 포함하는 프리메세지(pre-message)를 정확하게 수신하였으므로, 실제 메시지를 전송하여도 좋다는 명령어이다. PRI-Q는 PRI-EOM, PRI-EOP, PRI-MPS를 의미하고, Q는 EOM, EOP, MPS를 의미한다. EOM(End of Message)는 메시지 전송 중에 해상도(resolution)가 바뀌어 다음 페이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송신하는 명령어이다. MPS(Multi Page Signal)는 한 페이지의 전송이 종료되고 다음 페이지의 정보를 전송할 시 송신하는 명령어이다. EOP(End of Page)는 메시지의 전송이 종료되어 더 이상 전송할 페이지가 없을 시 송신하는 명령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EOM, EOP, MPS는 전송종료신호라고 칭한다. PRI-EOM(Procedure Interrupt- End or Message)는 음성통화요구키가 발생되고 해상도가 바뀌어서 다음 페이지를 전송할 시 송신하는 명령어이다. PRI-EOP(Procedure Interrupt- End of Message)는 음성통화요구키가 발생되고 다음 페이지의 정보를 전송할 시 송신하는 명령어이다. PRI-MPS(Procedure Interrupt - Multi Page Sinal)는 음성통화요구키가 발생되고 전송할 다음 페이지가 없을시 송신하는 명령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PRI-EOM, PRI-EOP, PRI-MPS를 음성 통화를 요구하는 전송종료신호라고 칭한다. PIP(Procedure Interrupt Positive)는 완전하게 메시지를 수신하였고 음성통화요구키가 발생된 후 다음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송신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상기 PRI-EOM, PRI-EOP, PRI-MPS는 송신측 팩시밀리에서 음성통화를 요구할 시 발생되는 명령어이고, PIP는 수신측 팩시밀리에서 음성통화를 요구할 시 발생되는 명령어이다.
상기 제2a도를 참조하여, 송신측 팩시밀리가 음성통화를 요구하는 경우의 통신 진행 절차를 살펴보면, 211단계-217단계는 화상데이타를 전송하기 전에 수신측 팩시밀리와 수행하는 프로토콜의 진행 절차로서, 통신 요구 후 211단계에서 수신측 식별정보 및 수신 능력을 나타내는 CSI 및 DIS를 수신하면, 송신측 팩시밀리는 213단계에서 송신측 식별정보 TSI 및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의 수신 능력에 맞춰 조정한 송신측 팩시밀리의 송신 능력 정보인 DCS를 송신한다. 이후 송신측 팩시밀리는 215단계에서 화상데이타를 전송하는 속도와 동일한 조건으로 TCF를 출력하며, 217단계에서 수신측 팩시밀리로부터 CFR을 수신하면 219에서 실제 송신하고자 하는 화상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화상데이타를 전송하는 시점에서 송신측 팩시밀리의 제어부111은 OPE112의 키입력수단을 검사한다. 이때 상기 OPE112의 키입력수단으로부터 음성통화요구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221단계에서 전송되는 화상데이타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해당하는 상황에 따라 음성 통화를 요구하는 전송종료 신호 PRI-Q를 수신측 팩시밀리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통화를 요구하는 전송종료신호 PRI-Q는 상기한 바와 같은 PRI-EOM, PRI-EOP, PRI-MPS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수신측 팩시밀리가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부터 음성 통화를 요구하는 전송종료신호 PRI-Q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화상데이타의 수신을 종료한 후 제3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음성통화 요구에 대한 응답 절차를 진행한다.
상기 제3도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300단계에서와 같이 팩시밀리의 고유한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음성 통화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11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NCU118을 제어하여 전화기120에 링신호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1은 315단계에서 상기 전화기120이 훅크오프되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전화기120의 훅크오프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1은 323단계에서 전화기120이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더 이상의 절차 진행을 종료한다.
그러나 링신호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도록 상기 전화기120이 훅크오프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1은 317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319단계에서 송신측 팩시밀리의 식별정보 및 메시지 수신시간을 미회신메세지 영역에 저장하고 미회신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1은 321단계에서 OPE112의 표시수단에 미회신메세지 및 갯수를 표시한다. 또한 프린트처리부116을 제어하여 미회신메세지를 프린트한다.
상기와 같이 미회신메세지가 저장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OPE112의 표시수단에 상기 표시 상태를 계속 유지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되는 미회신메세지의 갯수를 확인한 후, OPE112의 키입력수단에서 특정키를 사용하여 원하는 미회신메세지를 찾아볼수 있고, 또한 삭제할 수 있으며, 필요시 프린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신이 응답하여야 할 미회신메세지를 선택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미회신메세지를 분실할 염려가 없다. 따라서 팩시밀리에서 음성통화요구에 응답하지 못한 경우, 미회신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표시되는 미회신메세지의 형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제2b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수신측 팩시밀리에서 음성통화를 요구하고 송신측 팩시밀리가 이에 응답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송신측 팩시밀리와 수신측 팩시밀리 간에 프로토콜을 진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251단계-259단계의 동작은 상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이때 수신측 팩시밀리의 제어부111도 화상데이타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OPE112의 키입력수단으로부터 음성통화요구키 신호가 발생되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음성통화요구키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261단계에서 송신측 팩시밀리로 팩시밀리로부터 전송종료신호Q를 수신하면, 263단계에서 화상데이타의 수신 종료를 알리고 이후의 음성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PIP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종료신호Q는 상기한 바와 같이 EOM, EOP, MPS또는 EOP가 된다.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는 상기 PIP를 수신하게 되면, 제3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음성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즉, 송신측 팩시밀리의 제어부111은 상기 PIP를 수신하게 되면,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링신호를 공급한다. 이때 링신호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전화기120이 훅크오프되지 않으며, 3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9단계에서 수신측 팩시밀리의 식별정보 및 메시지 수신시간을 내부 데이터 메모리의 미회신메세지 영역에 저장하고, 미회신카운터 값을 하나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1은 321단계에서 OPE112의 표시수단에 미회신메세지 및 갯수를 표시한다. 또한 프린트처리부116을 제어하여 미회신메세지를 프린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메시지처리방법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통신한후 상대측 팩시밀리로부터 음성통화요구를 수신할시, 운용자가 부재중이라도 상기 상대측 팩시밀리의 식별정보 및 통화시간을 저장 및 표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화상데이터의 통신 종료후 음성통화기능을 수행하는 발신자측의 제1팩시밀리와 수진자측의 제2팩시밀리 간의 메시지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팩시밀리가 상기 제2팩시밀리에게 통신요구신호를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2팩시밀리가 상기 통신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자신의 식별정보와 수신능력을 상기 제1팩시밀리로 전송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팩시밀리가 상기 제2팩시밀리의 식별정보와 수신능력에 해당하는 송신능력정보를 상기 제2팩시밀리로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팩시밀리가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2팩시밀리로 전송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1팩시밀리가 상기 전송 종료후 전송종료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팩시밀리로부터 음성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1팩시밀리가 상기 음성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될시 링신호를 공급하며 후크오프를 검사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1팩시밀리가 일정시간내에 후크오프가 되지 않을시 상기 제2팩시밀리의 식별정보 및 통신시간을 메모리에 미회신메시지로 저장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1팩시밀리가 상기 미회신메시지 및 갯수를 표시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종료신호가 메시지종료신호, 멀티페이지신호 또는 페이지종료신호이며, 상기 음성통화요구신호가 프로시져인터럽트포지티브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화상데이터의 통신 종료후 음성통화기능을 수행하는 발신자측의 제1팩시밀리와 수신자측의 제2팩시밀리 간의 메시지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팩시밀리가 상기 제2팩시밀리에게 통신요구신호를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2팩시밀 리가 상기 통신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자신의 식별정보와 수신능력을 상기 제1팩시밀리로 전송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팩시밀리가 상기 제2팩시밀리의 식별정보와 수신능력에 해당하는 송신능력정보를 상기 제2팩시밀리로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팩시밀리가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2팩시밀리로 전송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2팩시밀리가 상기 화상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처리하고 상기 제1팩시밀리로부터 수신되는 전송종료신호가 음성통화를 요구하는 것인가를 검사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2팩시밀리가 상기 음성통화를 요구하는 전송종료신호가 수신될시 링신호를 공급하며 후크오프를 검사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2팩시밀리가 일정시간내에 후크오프가 되지 않을시 상기 제2팩시밀리의 식별정보 및 통신시간을 메모리에 미회신메시지로 저장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2팩시밀리가 상기 미회신메시지 및 갯수를 표시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종료신호가 메시지종료신호, 멀티페이지신호 또는 페이지종료신호이며, 상기 음성통화요구신호가 프로시져인터럽트포지티브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50016002A 1995-06-16 1995-06-16 팩시밀리의 메세지 처리방법 KR100193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002A KR100193793B1 (ko) 1995-06-16 1995-06-16 팩시밀리의 메세지 처리방법
US08/614,933 US5761283A (en) 1995-06-16 1996-03-11 Message processing method of facsimile systems
JP8155539A JPH098954A (ja) 1995-06-16 1996-06-17 ファクシミリの通信方法及びそのときの未通話メッセージ処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002A KR100193793B1 (ko) 1995-06-16 1995-06-16 팩시밀리의 메세지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608A KR970004608A (ko) 1997-01-29
KR100193793B1 true KR100193793B1 (ko) 1999-06-15

Family

ID=1941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002A KR100193793B1 (ko) 1995-06-16 1995-06-16 팩시밀리의 메세지 처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61283A (ko)
JP (1) JPH098954A (ko)
KR (1) KR100193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4701A (en) * 1994-04-26 1998-03-3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US6191869B1 (en) 1996-08-27 2001-02-20 Sharp Kabushiki Kaisha Facsimile machine
JPH10155046A (ja) * 1996-09-25 1998-06-09 Canon Inc 画像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253375B1 (en) * 1997-01-13 2001-06-26 Diva Systems Corporation System for interactively distributing information services
KR100238677B1 (ko) * 1997-06-18 2000-01-15 윤종용 팩시밀리 무선휴대장치에서의 통화예약방법
US20020098865A1 (en) * 2000-12-04 2002-07-2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to transition from a facsimile communications session to a voice communications session
US7230745B1 (en) 2002-04-08 2007-06-12 Captaris, Inc. Document transmission and routing with recipient control, such as facsimile document transmission and routing
US20070177195A1 (en) 2005-10-31 2007-08-02 Treber Rebert Queue processor for document servers
EP1949251A4 (en) * 2005-10-31 2012-10-10 Open Text SA TRANSPORT OF UNIVERSAL DOCUMENTS
CA2659607C (en) 2006-08-02 2017-12-05 Captaris, Inc. Configurable document server
US20090128861A1 (en) * 2007-09-09 2009-05-21 Xpedite System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Multimodal Messages
US10003701B2 (en) 2008-01-30 2018-06-19 Xpedite System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communicating enhanced portable document format fil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7902B2 (ja) * 1977-03-01 1983-10-25 ケイディディ株式会社 フアクシミリにおける自動応答装置
US4353097A (en) * 1979-10-29 1982-10-05 Canon Kabushiki Kaisha Facsimile apparatus
US4815121A (en) * 1984-06-06 1989-03-21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recognizing speech and automatically switching from data to speech transmission
JP2649795B2 (ja) * 1986-02-26 1997-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
US4932048A (en) * 1986-04-15 1990-06-05 Canon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voice communication control
JPS62281655A (ja) * 1986-05-30 1987-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電話端末装置
JPS63191456A (ja) * 1987-02-04 1988-08-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線端末装置
DE3852264T2 (de) * 1987-09-30 1995-07-06 Sharp Kk Faksimileübertragungsgerät.
US5187736A (en) * 1987-11-04 1993-02-16 Ricoh Company, Ltd. Telephone data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5333179A (en) * 1988-04-23 1994-07-26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Facsimile apparatus with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function
US5202915A (en) * 1988-07-01 1993-04-13 Canon Kabushiki Kaisha Single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speech and data and method therefor
JP2680885B2 (ja) * 1989-03-07 1997-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
JPH02244867A (ja) * 1989-03-16 1990-09-28 Murata Mach Ltd 留守番電話・ファクシミリ切替機能を備えたファクシミリ装置
JPH031648A (ja) * 1989-05-29 1991-01-08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
JP2750206B2 (ja) * 1990-04-27 1998-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
JPH05199323A (ja) * 1991-09-04 1993-08-06 Canon Inc 通信処理装置、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処理方法
US5390236A (en) * 1992-03-31 1995-02-14 Klausner Patent Technologies Telephone answering device linking displayed data with recorded audio message
US5442463A (en) * 1992-09-02 1995-08-15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Facsimile machine having telephone answering function
US5487105A (en) * 1992-12-21 1996-0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acsimile apparatus operable in facsimile or telephone mode
JP2812125B2 (ja) * 1993-02-05 1998-10-22 村田機械株式会社 留守録音機能付きファクシミ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608A (ko) 1997-01-29
JPH098954A (ja) 1997-01-10
US5761283A (en) 199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3793B1 (ko) 팩시밀리의 메세지 처리방법
JP3145940B2 (ja) ファクシミリのデータ受信方法
GB2303020A (en) Fax document re-transmission method
KR100222688B1 (ko) 팩시밀리에서 메모리 수신된 팩스 메시지 선택 폴링 송신 및 수신방법
US7009721B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0318741B1 (ko) 수신측의 출력방식에 따라 팩스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KR100247071B1 (ko) 팩시밀리장치에서 수신결과를 송신국으로 통보하는 방법
KR960001507B1 (ko) 팩시밀리 시스템에서 저널정보를 이용한 통신상태 설정방법
JP2973486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186608B1 (ko) 팩시밀리의 통신시간 단축방법
KR100206316B1 (ko) 팩시밀리의 수신측 원고화질 변경방법
KR100229025B1 (ko) 팩시밀리에서 원고크기 가변 송신방법
KR0165205B1 (ko) 팩시밀리의 수신측 화질농도 조절방법
KR100223001B1 (ko) 교신시간 단축방법
KR19980066107A (ko) 팩시밀리에서 수신 거부방법
KR100240076B1 (ko) 복합기의 교신시간 단축방법
KR100325817B1 (ko) 메모리 잔량에 따른 해상도 변환방법
KR100200960B1 (ko) 팩시밀리의 추가원고 송신방법
KR19980074587A (ko) 팩시밀리의 송신페이지 전송방법
KR19990020357A (ko) 팩시밀리장치에서 스캐닝에 의한 자동 송신방법
KR19990026823A (ko) 팩스 데이터의 자동 송신 방법
JPH0360573A (ja) 画像通信方法
JPH0529227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90011709A (ko) 팩시밀리의 원고 자동 송신방법
JPH0528431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