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615B1 -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615B1
KR100193615B1 KR1019960032561A KR19960032561A KR100193615B1 KR 100193615 B1 KR100193615 B1 KR 100193615B1 KR 1019960032561 A KR1019960032561 A KR 1019960032561A KR 19960032561 A KR19960032561 A KR 19960032561A KR 100193615 B1 KR100193615 B1 KR 100193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il separator
neck portion
neck
deflect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653A (ko
Inventor
김남수
황삼규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6003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615B1/ko
Priority to US08/733,469 priority patent/US5952905A/en
Priority to JP8288137A priority patent/JP2851594B2/ja
Publication of KR980011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01J29/762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using saddle coils or 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 요크의 코일 세퍼레이터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코일 세퍼레이터를 완성하되, 좌,우 스크린부를 결합 완성함은 물론 상측의 네크부를 분할하여 각각의 부속물들을 조립하여 어셈브리화 한 후, 이들 스크린부와 네크부를 다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며, 또한 스크린부와 네크부의 상이에 별도의 스페이서를 개입하여 편향 요크의 길이를 변형할 수 있도로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원추모양의 끝단에 밴드부를 갖는 스크린부, 배선 가이드부 및 요크 클램프 체결부를 포함하는 네크부, 상기한 스크린부 및 네크부로 이루어진 코일 세퍼레이터, 상기한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최상단과 네크부의 배선 가이드부의 경계선을 분할하여 각각 성형하되, 재차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결합을 하기 위해서는 배선 가이드부에 돌설한 다수의 돌출핀과 스크린부의 단면에 형성한 삽입구멍등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이용하고, 또 결합을 하되, 스페이서를 개입하여 스크린부의 길이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제1도는 종래의 와인딩 프레임 타입을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종래의 와인딩 프레임 타입의 완성된 편향요크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보빈타입을 보인 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를 보인 분해 상태의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결합 상태의 예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완성된 편향요크의 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 상태의 정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크린부 2 : 네크부
3 : 결합수단 4 : 스페이서
11 : 밴드부 12 : 단면
21 : 배선 가이드부 22 : 요크 클램프 체결부
31 : 돌출핀 32 : 삽입구멍
33 : 걸고리 34 : 걸림턱
41 : 돌출핀 42 : 삽입구멍
43 : 하단면 44 : 상단면
본 발명은 편향 요크의 코일 세퍼레이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와인딩 프레임 타입에 있어서, 좌,우의 스크린부와 배선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측의 네크부를 분리하여 형성한 후, 그 각부분에 부품 및 부속물을 조립하여 다시 결합 완성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 요크의 코일 세퍼레이터는 와인딩 프레임 타입과 보빈타입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 바, 전자의 와인딩 프레임 타입은 제1도 또는 제2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코일 및 수평코일(c)을 별도의 코일 와인딩 머쉰에서 특정모양으로 미리 와인딩 한 후, 이를 코일 세퍼레이터(a)에 조립하는 형태이고, 따라서 이 와인딩 프레임 타입은 스크린부(a1)와 배선 가이드부(a2) 및 요크 클램프 체결부(a3)를 포함하는 네크부(a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면에 보빈 타입의 코일 세퍼레이터(b)는 제3도와 같이 스크린부(b1)의 안쪽면과 상,하면에 코일(c)을 안내할 수 있는 다수의 코일 가이드(b2)들을 일체로 돌설한 후, 이 코일 가이드들을 따라 수직코일 및 수평코일을 권선하는 형태이고, 따라서 네크부의 코일 가이드(b2)와 요크 클램프 체결부(b3)를 스크린부(b1)의 윗쪽에 일체로 성형하지 못하고, 리어커버(b4)를 별도로 제작한 후, 이 리어커버(b4)의 걸림돌기(b5)로써 차후에 스크린부(b1)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보빈 타입은 제3도 도면에서 보듯이 코일의 일부가 스크린부(b1)의 상측 즉, 네크부(b6)까지 올라가도록 권취되기 때문에 코일 세퍼레이터의 사출성형은 물론 코일을 권취하기 위한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고, 공정수가 많아 작업성이 나뿔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조한 단점이 있다.
반대로 와인딩 프레임 타입은 수직코일 및 수평코일을 별도의 장치에서 미리 권선하여 결합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하고, 또한 생산성이 좋기 때문에 보빈 타입에 비하여 생산량이 매우 많다.
한편, 상기와 같은 와인딩 프레임 타입의 경우 네크부에 각종 부품을 부착하여야 하고, 또 스크린부에는 와인딩 코일을 결합하여야 하는데 상기한 네크부의 제조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PCB와 코마프리 어셈브리, 저항, 볼륨등의 T.B.H 어셈브리를 조립한 후, 각종 부품의 배선을 1차 컷팅하고, 또 코마프리용 배선을 실시한 다음, V.L.M.F코일 에셈브리를 조립하여 2차 컷팅 및 1차 납땜 작업을 한 후, 컨버젼스 요크를 조립하고, 2차 납땜을 실시하는 등 매우 많은 공정이 있음을 알 수 있는 바, 이러한 작업들은 대부분 단순한 작업이기 때문에 전문성을 가진 고급인력이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기 때문에 스크린부의 와인딩 코일 결합 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가 없어 생산성 향상요인에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코일 세퍼레이터를 완성하되, 좌,우 스크린부를 결합 완성함은 물론 상측의 네크부를 분할하여 각각의 부속물들을 조립하여 어셈브리화 한 후, 이들 스크린부와 네크부를 다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며, 또한 스크린부와 네크부의 사이에 별도의 스페이서를 개입하여 편향 요크의 길이를 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원추 모양의 끝단에 밴드부를 갖는 스크린부, 배선 가이드부 및 요크 클램프 체결부를 포함하는 네크부, 상기한 스크린부 및 네크부로 이루어진 코일 세퍼레이터, 상기한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최상단과 네크부의 배선 가이드부의 경계선을 분할하여 각각 성형하되, 재차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결합을 하기 위해서는 배선 가이드부에 돌설한 다수의 돌출핀과 스크린부의 단면에 형성한 삽입구멍등으로 이루어진 결합 수단을 이용하고, 또 결합을 하되, 스페이서를 개입하여 스크린부의 길이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 전체를 보인 분해 상태의 정면도로서 좌반부(1a)와 우반부(1b)로 분할된 하측의 스크린부(1)와, 상측의 네크부(2)를 볼수 있는 바, 스크린부의 하단에는 밴드부(11)가 있고, 네크부(2)는 배선 가이드부(21)와 요크 클램프 체결부(22)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스크린부(1)의 상단과 네크부(2)의 배선 가이드부(21)를 사이를 경계로 분할하여 각각 제작한 후, 이 부분을 재차 결합하여 완성하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들을 재차 결합하는데는 결합수단(3)을 사용한다.
결합수단(3)은 제4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선 가이드부(21)에 돌설한 다수의 돌출핀(31)과, 스크린부(1)의 단면에 형성한 삽입구멍(32)으로 이루어지며, 또는 반대로 스크린부(1) 단면(12)의 돌출핀(31), 배선 가이드부(21)의 삽입구멍(32)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3)은 제6도 도면에서 보듯이 배선 가이드부(21)의 걸고리(34)와, 스크린부(1) 상단의 걸림턱(33)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외 여러 가지 결합수단중 한가지를 채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는 제8도 도면에서 보듯이 스페이서(4)를 개입하여 그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스페이서(4)는 제9도 도면과 같이 원형의 링모양으로 하되, 좌,우를 반분하여 완성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할 수도 있으며, 특히 상기한 결합수단(3)에 대응하여 돌출핀(41)과 삽입구멍(42)을 필히 하단면(43)과 상단면(44)에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스페이서(4)의 높이는 실제 약0.5mm-3mm로서 코일 세퍼레이터의 길이를 그 특성에 맞추어 조절하기 위한 것인바, 미리 설계된 치수로 제작하여 개입시키도록 하여야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는 제4도 도면에서 보듯이 서로 다른 금형에서 각각 사출성형된 스크린부(1)과 네크부(2)를 서로 다른 조립공정을 거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데 스크린부(1)는 좌반부(1a)와 우반부(1b)로 또 다시 분할, 조립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코일 와인딩 머쉰(도시하지 않았음)에서 특정 모양으로 와인딩된 코일(c)을 좌,우의 내측에 조립한다.
그리고 네크부(2)는 상기한 스크린부의 조립과 관계없는 또 다른 라인에서 PCB와 코마프리 어셈브리, 저항, 볼륨등의 T.B.H어셈브리 조립, 조립된 각종 부품의 배선 컷팅, 또한 코마프리용 배선 실시, V.L.M.F코일 어셈브리 조립, 조립된 부품의 배선 2차 컷팅, 납땜작업등을 별도의 작업라인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 완성된 스크린부(1)와 네크부(2)는 앞에서 설명한 결합수단(3)으로써 제7도와 같이 서로 조립한 후, 다음공정을 실시하여 편향요크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스크린부(1)의 길이를 연장하여 감도를 향상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한 네크부(2)와 스크린부(1)의 사이에 스페이서(4)를 개입시킨다.
이때는 제8도 도면에서 보듯이 네크부(2) 즉, 배선 가이드부(21)의 돌출핀(31)을 스페이서(4) 상단면(44)의 삽입구멍(42)에 끼워넣고, 또 스페이서(4) 하단면(43)의 또 다른 돌출핀(41)은 스크린부(1) 단면(12)의 삽입구멍(32)에 끼워 넣으면 코일 세퍼레이터의 길이가 스페이서(4)의 높이 만큼 연장된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선 가이드부(21)와 요크 클램프 체결부(22)를 포함하는 네크부(2), 그리고 하단에 밴드부(11)를 가진 스크린부(1)를 분할하여 제작한 후, 각각의 필요부품을 조립하여 어셈브리화 한 다음 재차 결합하여 완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각 다른 작업장소에서 동시에 조립을 실시할 수 있으며, 제작과정의 불필요한 물류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무인 생산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조립작업을 원할하게 그리고 자동화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불량을 감소시키면서 가격 경쟁력 및 상품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부(1)의 상단에 스페이서(4)를 개입하였을 때 그 길이가 적당히 길어지므로 편향 감도를 최상의 감도로 조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원추모양의 끝단에 밴드부(11)를 갖는 스크린부(1), 배선 가이드부(21) 및 요크 클램프 체결부(22)를 포함하는 네크부(2), 상기한 스크린부 및 네크부로 이루어진 코일 세퍼레이터, 상기한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상단과 네크부의 경계선을 분할하여 각각 성형하되, 분할된 스크린부와 네크부를 그 경계선에 형성한 결합수단(3)으로써 재차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수단(3)은 배선 가이드부(21)측과 스크린부(1)측에 형성하되, 서로 대응하여 형성된 다수의 돌출핀(31)과 다수의 삽입구멍(32)으로 이루어져 스크린부와 네크부를 재차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수단(3)은 스크린부(1)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한 걸림턱(33)과 배선 가이드부(21)의 저면에 돌설한 걸고리(34)로 이루어져 스크린부와 네크부를 재차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4. 원추모양의 끝단에 밴드부(11)를 갖는 스크린부(1), 배선 가이드부(21) 및 요크 클램프 체결부(22)를 포함하는 네크부(2), 상기한 스크린부 및 네크부로 이루어진 코일 세퍼레이터, 상기한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상단과 네크부의 경게선을 분할하여 각각 성형한 후, 분할된 스크린부(1)와 네크부(2)를 그 경계선에 형성한 결합수단(3)으로써 재차 결합할 수 있도록 하되, 그 경계선 사이에 임의의 높이를 갖는 스페이서(4)를 개입시켜 재차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페이서(4)는 필요에 따라 그 높이가 다른 것을 개입시켜 길이를 달리한 채 결합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페이서(4)는 스크린부(1)의 단면(12)과 같은 크기의 원형링모양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페이서(4)의 상단면(44)과 하단면(43)에는 상기한 결합수단(3)에 대응한 돌출핀(41)과 삽입구멍(42), 또는 걸림턱과 걸고리를 보유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KR1019960032561A 1996-07-31 1996-07-31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KR100193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561A KR100193615B1 (ko) 1996-07-31 1996-07-31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US08/733,469 US5952905A (en) 1996-07-31 1996-10-18 Coil separator for deflection yoke
JP8288137A JP2851594B2 (ja) 1996-07-31 1996-10-30 偏向ヨーク用コイルセパレータ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561A KR100193615B1 (ko) 1996-07-31 1996-07-31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653A KR980011653A (ko) 1998-04-30
KR100193615B1 true KR100193615B1 (ko) 1999-06-15

Family

ID=19468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561A KR100193615B1 (ko) 1996-07-31 1996-07-31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52905A (ko)
JP (1) JP2851594B2 (ko)
KR (1) KR100193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6612B1 (fr) * 1997-07-28 1999-10-15 Thomson Tubes & Displays Deviateur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a geometrie et convergence ameliorees
JPH1196934A (ja) * 1997-09-22 1999-04-09 Sony Corp 偏向ヨーク
JP2000100347A (ja) * 1998-09-24 2000-04-07 Nec Kansai Ltd カラー陰極線管装置
JP2002535816A (ja) * 1999-01-22 2002-10-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陰極線管に対する偏向ユニット
US6694626B2 (en) * 2000-06-23 2004-02-24 Rolling Razor Llc Razor
KR100451929B1 (ko) * 2002-04-16 2004-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2050A (en) * 1964-07-15 1967-01-31 Rca Corp Adjustable deflection yoke mounting for color picture cathode ray tubes
US3582848A (en) * 1969-01-13 1971-06-01 Illinois Tool Works Mounting assembly for magnetic deflection yoke
BE793990A (fr) * 1972-01-14 1973-05-02 Rca Corp Tube a rayons cathodiques avec support de bobine de deviation
US3810053A (en) * 1972-08-28 1974-05-07 Pemcor Inc Deflection yoke having relatively adjustable core and coils
GB1443675A (en) * 1974-09-18 1976-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Deflection yoke holding device
JPS62107352U (ko) * 1985-12-25 1987-07-09
JP3505805B2 (ja) * 1994-09-05 2004-03-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偏向ヨークの製造方法
JPH08148096A (ja) * 1994-11-22 1996-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
US5838098A (en) * 1996-07-15 1998-11-17 Sony Corporation Deflecting apparatus with one piece core and one piece coil bobb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653A (ko) 1998-04-30
US5952905A (en) 1999-09-14
JPH1069864A (ja) 1998-03-10
JP2851594B2 (ja) 1999-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6315A1 (en) Resolver External Conductor Fixing Structure
KR100193615B1 (ko)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WO2016173393A1 (zh) 绝缘骨架、具有其的定子及定子组装方法
KR20110038277A (ko) 인덕터의 제조방법
CN213638525U (zh) 模壳结构及电子功能模组
JP4272185B2 (ja) 空心コイル巻線機とその巻線方法
JP4301466B2 (ja) クランプ式電流センサ
KR200144645Y1 (ko) 편향 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의 리어 커버 조립 구조
KR102093703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지그
JP2001345572A (ja) 電源コードの固定構造
KR200172390Y1 (ko) 코드와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JPH09215246A (ja) モータの固定子の製造方法
JPH0617438Y2 (ja) ド−ム型スピ−カの配線構造
JPH0562019U (ja) ピン端子付ボビン
JPH01270211A (ja) コイルの製造方法
KR950006123Y1 (ko)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수평코일 삽입홈구조
JPH11196519A (ja) 配線ダクト
JPH01122345A (ja) 電動機
JP2003007225A (ja) 偏向ヨーク
JPH04138679A (ja) ピンプラグ
KR0118670Y1 (ko) 스위칭 트랜스의 보빈 구조
JP3367644B2 (ja) 偏向ヨーク装置
JPH09231904A (ja) 偏向コイル用ボビン、偏向ヨーク、及び偏向ヨークの組立方法
JPH0533669U (ja) 電動機用巻線結束具
JPH03535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