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855B1 - The telephone system in use of outside extension voice memory apparatus - Google Patents

The telephone system in use of outside extension voice memor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855B1
KR100188855B1 KR1019950025040A KR19950025040A KR100188855B1 KR 100188855 B1 KR100188855 B1 KR 100188855B1 KR 1019950025040 A KR1019950025040 A KR 1019950025040A KR 19950025040 A KR19950025040 A KR 19950025040A KR 100188855 B1 KR100188855 B1 KR 100188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evice
voice
telephone
connection terminal
vo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5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14019A (en
Inventor
오윤환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2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855B1/en
Publication of KR97001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0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85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implemented by means of portable electronic direct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means for recording information, e.g. telephone number during a conver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화기에 접속하여 사용함으로써, 전화기의 음성메모리 용량을 간단하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된 외부 확장형 메모리장치와 이 메모리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정용량의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한 외부 확장 메모리장치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를 접속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를 구비한 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확장메모리장치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화기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접속단자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및 소정 동작 프로그램을 근거로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고 ; 상기 전하기에는 상기 확장메모리장치측 접속단자와 결합하기위한 접속단자와, 이 접속단자를 통해 접속된 외부 메모리에 대한 운용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키,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털 처리된 음성신호를 음성 메모리 또는 접속단자에 선택적으로 스위칭접속하는 스위칭회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능선택키가 눌려졌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회로를 선택적으로 스위칭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ly expandable memory device capable of easily expanding the voice memory capacity of a phone by connecting and using a phone according to a user's needs, and a telephone system for operating the memory device. A telephone system having an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having a memory and a telephone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connect and operate it as necessary, wherein the expansion memory device allows a user to connect with a microprocessor inside the telephone as needed. A connection terminal, a data memory for storing voice data applied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a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entire apparatus based on a predetermined operation program;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upling with the expansion memory device side connection terminal, a function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n operation function for an external memory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 voice signal digitally process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switching and connecting the voice memory or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switching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circuit depending on whether the function selection key is pressed by a user.

Description

전화기용 외부확장 음성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External Extended Voice Memory Device for Telephone and Telephone System

제1도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내장된 일반적인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general telephone with a built-in microprocessor.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확장 메모리장치를 접속한 전화 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럭도.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telephone system to which an expansion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전화기측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의 음성 데이터 저장동작시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operation during voice data storage operation of the telephone-side microprocessor 120 shown in FIG.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접속예를 도시한 외부사시도.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nnec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확장메모리장치(B)측 마이크로프로세서(201)의 음성 데이터 저장시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operation in storing voice data of the microprocessor 201 of the expansion memory device B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A : 전화기 B : 확장 메모리A: Phone B: Extended Memory

1 : 국선 접속단자 2 : 링신호 감지부1: trunk line connection terminal 2: ring signal detection unit

3 : 링 발생부 4 : 루프(loop)회로3: ring generator 4: loop circuit

5 : 송수화기 6 : 훅크(hook)스위치5: handset 6: hook switch

7 : 네트워크(network)회로 8 : 음성입력부7: network circuit 8: voice input unit

9 : 음성출력부 10, 100 : 표시부9: audio output unit 10, 100: display unit

11 : 메모리 12, 120, 201 : 마이크로 프로세서11: memory 12, 120, 201: microprocessor

13: 키패드13: keypad

14 : DTMT(Dual Tone Multi-Frequency)발생회로14: DTMT (Dual Tone Multi-Frequency) Generation Circuit

15 : 스피커 폰 구동부 16 : 음성데이터 저장부15: speaker phone drive unit 16: voice data storage unit

17 : CODEC(coder-decoder) 18 : 디지탈 신호처리 프로세서(DSP)17: Coder-Decoder (CODEC) 18: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19 : 스위칭회로19: switching circuit

41 : 국선 접속감지부 42,160 : 인터페이스회로41: trunk line connection detection unit 42,160: interface circuit

51 : 송화부 52 : 수화부51: the receiver 52: the receiver

81 : 마이크로 폰 82 : 마이크 인터페이스81: microphone 82: microphone interface

91 : 스피커 92 : 버퍼(buffer)91: speaker 92: buffer

93 : 스피커 증폭 인터페이스 101 : 발광표시부93: speaker amplification interface 101: light emitting display

102 : 표시구동부 130 : 키패트102: display driver 130: keypad

131 : 다이얼 키 버튼 132 : 기능 선택기131: dial key button 132: function selector

200 : 접속단자 202 : 프로그램 메모리200: connection terminal 202: program memory

203 : 데이터 메모리203: data memory

BF1∼BF8 : 양방향 버퍼(bidirectional buffer)BF1 to BF8: Bidirectional buffer

본 발명은 전화기용 외부확장 메모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화기에 접속하여 사용함으로써, 전화기의 음성메모리 용량을 간단하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외부 확장형 메모리장치와 이 메모리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for a telephone and a telephone system using the same. In particular, the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and the memory can be easily expanded by connecting and using the telephone according to a user's needs. A telephone system for operating a device.

현재 일반 가정 및 회사를 비롯하여 우리의 생활공간 도처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전화기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한 현대인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바, 최근에는 이러한 역할에 걸맞게 종래 제공되던 단순한 통화장치로서의 전화기 기능에서 벗어나 점차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The telephones, which are widely used throughout our living spaces, including homes and businesses, are the most basic necessities of modern people who have reached the information age. In recent years, the telephone functions as a simple call device that has been conventionally provided for this role. Increasingly, a variety of convenient functions have been added.

제1도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내장된 일반적인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외부 국선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이고, 참조번호 2는 이 국선접속단자(1)를 통해 송화자의 단국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신호 감지부이며, 3은 인가된 링신호를 근거로 수신자측에 전화벨소리를 출력하는 링 발생부, 4는 상대 단말기[이하, 대국(對局)이라 칭함]와의 접속여부 및 장치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루프(Loop)회로로서, 이 루프회로(4)는 대국과의 접속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국선 접속 감지부(41)와 장치간 신호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42)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general telephone with a built-in microprocessor.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 i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an external trunk line, and reference number 2 is a caller through this trunk line connection terminal (1). A ring signal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ring signal applied from the end station of the device, 3 is a ring generating unit for outputting a telephone ring to the receiver side based on the applied ring signal, 4 is a counterpart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wer station). [Loop] circuit that performs the interface function of the overall communication signal input and output into and out of the device, and the loop circuit 4 is a trunk line connec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power station And an interface circuit 42 for performing an interface function of the signal between the device 41 and the device.

또한, 참조번호 5는 송수화기이고, 6은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들거나 놓을 때 온/오프 되는 훅크스위치(HOOK SWITCH)로서,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들게 되면 이 훅크스위치가 온 상태(OFF HOOK)로 되면서 통화가능상태로 되게 된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5 is a handset, and 6 is a hook switch that is turned on / off when the user picks up or releases the handset. Will be in a state.

참조번호 7은 상기 인터페이스회로(42)와 훅크스위치(5)를 거쳐 대국으로부터 인가된 송신자의 음성신호 또는 송화시 송수화기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함은 물론 측음(side tone)에 대한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회로이고, 8은 사용자가 상기 송수화기(5)의 송화부(51)를 통하지 않고 전화기 케이스 표면에 설치된 마이크로 폰(81)을 통해 음성을 곧바로 입력시키기 위한 음성입력부인 바, 이 음성입력부(8)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폰(81)과 이 마이크로 폰(82)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장치 내부로 인터페이스시키기 위한 마이크 인터페이스 회로(82)로 구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7 amplifies the voice signal of the sender applied from the power station through the interface circuit 42 and the hook switch 5 or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applied through the handset during transmission to a predetermined level, as well as a side tone. Is a network circuit for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etc., and 8 is a voice for a user to directly input voice through a microphone 81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phone cas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ransmitter 51 of the handset 5. As an input unit, the voice input unit 8 includes a microphone 81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microphone interface circuit 82 for interfac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hone 82 into the device. Consists of

한편, 참조번호 9는 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음성신호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송수화기(5)의 수화부(52)를 거치지 않고 스피커를 통해 직접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 이 음성출력부(9)는 이후에 설명한 스피커 폰 구동부(1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스피커 증폭 인터페이스회로(93)와 이 인터페이스회로(9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버퍼(92) 및 이 버퍼(9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레벨의 가청음성으로 변환 출력하는 스피커(91)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9 is a voice output unit for directly outputting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wer through the speak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andset 52 of the handset 5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 voice output unit 9 is From the speaker amplification interface circuit 93 for interfacing the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speaker phone driver 10 described later, the buffer 92 for amplify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terface circuit 93, and the buffer 92. The speaker 91 converts the output signal into a predetermined level of audible sound.

참조번호 15는 상기 네트워크회로(7)와 상기 음성입·출력부(8,9)간에 서로 주고 받게 되는 음성신호를 입출력 형태에 맞게 처리하는 스피커 폰 구동부이고, 10은 전화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된 표시부, 11은 전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12는 상기 링신호 감지부 및 국선 접속 감지부(41)등을 통해 검지된 신호를 근거로 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13은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하거나 특정 기능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숫자 및 기능키가 설치된 키패트, 14는 이 키패드(13)를 통해 입력된 소정 키입력에 대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의 제어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DTMT(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를 출력하는 DTMF발생회로 이다.Reference numeral 15 denotes a speaker phone driver for processing voice signals exchanged between the network circuit 7 and the voice input / output units 8 and 9 according to an input / output type, and 10 denotes a user's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telephone. 11 is a memory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hone, 12 i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ring signal detection unit and the trunk line connection detection unit 41, etc. A microprocessor as a control unit, 13 is a keypad provided with numbers and function keys used for dialing or selecting a specific function by a user, and 14 is a microprocessor 12 for a predetermined key input entered through the keypad 13. The DTMF generation circuit outputs a DTMT (Dual Tone Multi-Frequenc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또한, 참조번호 16은 음성 메시지 작동 수신 및 응답기능을 위한 소정 음성데이터를 부호화된 디지탈 코드데이터로 저장하는 음성데이터 저장부이고, 17은 이 음성데이터 저장부(1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거나 반대로 상기 네트워크회로(7)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코드화하는 코덱(CODEC; coder-decoder), 18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의 제어에 따라 코덱(17)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처리 프로세서(DSP;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Further, reference numeral 16 is a voice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predetermined voice data as encoded digital code data for voice message operation reception and response function, and 17 decodes data stored in this voice data storage unit 16. A coder (coder-decoder) for encoding a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network circuit 7 or vice versa, and 18 is a digital output from the codec 17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12.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hat processes signals.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일반적인 전화기는 대국 교신자와의 통상적인 통화기능 이외에도 사전에 입력해 놓은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저장기능,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근거로 사용자의 특정키 선택에 의해 자동으로 다이얼링을 실행하는 단축 다이얼 기능, 및 부재중 자동 메시지 수신기능이나 자동메세지 응답기능 등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general telephon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 telephone number storage function for storing a telephone number entered in advance, in addition to a normal call function with a correspondent, and selects a user's specific key based on the stored telephone number. By means of a speed dial function for automatically dialing, a missed automatic message reception function, an automatic message response function, and the like.

한편, 사용자의 편의에 발맞춰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다는 것은 곧 새로이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을 위해 종래에는 구비하고 있지 않았던 장치적 또는 프로그램적 구성을 추가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갖가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경우, 종래에 비해 용량이 확장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결국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추세로 미루어 볼 때 메모리 용량의 확장, 특히 본체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 휴대하기 용이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외부확장형 메모리의 필요성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고 하겠다.On the other hand, adding a new function 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said to add a device or programmatic configuration that was not conventionally provided for a new function to be provided, which is a case of a memory storing various data. Since it means that the capacity should be expanded in comparison with the related art, in view of the trend as mentioned above, it is easy to carry without expanding the memory capacity, especially the siz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e need for external expansion memory that can be accessed and used is increasing.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화기에 접속하여 사용함으로써, 전화기의 음성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 용량을 간단하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된 외부확장형 메모리장치와 이 메모리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전화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an externally expandable memory device and memory device capable of easily expanding the memory capacity for storing voice data of a phone by connecting and using the phone as required by a us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elephone system for operating the system.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용 외부확장 메모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화 시스템은 소정 용량의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한 외부확장 메모리장치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를 접속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를 구비한 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확장메모리장치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화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접속단자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및 소정 동작 프로그램을 근거로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구비되고 ; 상기 전화기에는 상기 확장메모리장치측 접속단자와 결합하기 위한 접속단자와, 이 접속단자를 통해 접속된 외부메모리에 대한 운용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기,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탈 처리된 음성신호를 음성메모리 또는 접속단자에 선택적으로 스위칭접속하는 스위칭회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능선택기가 눌려졌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회로를 선택적으로 스위칭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for a telephone and a telephon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re provided with an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having a data memory of a predetermined capacity and a telephone such that a user can access and operate it as necessary. A telephone system provided; The expansion memory device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for allowing a user to connect with a microprocessor inside the phone as needed, a data memory for storing voice data applied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a predetermined operation program. A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apparatus; The telephone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upling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expansion memory device side, a function selector for selecting an operation function for an external memory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 voice signal digitally process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a switching circuit for selectively switching and connecting a memory or a connection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switching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circuit depending on whether the function selector is pressed by a user.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화기에 접속하여 사용함으로써, 전화기의 부족한 음성 메모리 용량을 비교적 간단하게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y connecting and using the telephon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e insufficient voice memory capacity of the telephone can be expanded relatively simp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확장메모리를 접속한 전화 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럭도로, 제1도의 구성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2 is a functional block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telephone system connected to an expansion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components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2도에서 참조부호 A는 전화기측 내부구성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메모리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참조번호 200은 상기 전화기(A)측과 상기 확장메모리장치(B)측과의 신호선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이고, 132은 확장 메모리 운용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기, 참조번호 120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능선택기(132)가 선택되게 되면 상기 표시부(10)를 구동제어하여 기능선택기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확인시켜 줌과 동시에, 자체의 동작모드를 확장메모리 운용모드로 변환함으로써 이후 사용자가 상기 음성입력부(8)를 통해 입력하게 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후단에 접속된 네트워크회로(7)와 CODEC(17) 및 DSP(18)를 통해 확장메모리(B)측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전하기측 마이크로 프로세서, 19는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DSP)(18)를 음성데이터저장부(16)또는 접속단자(200)에 선택적으로 스위칭접속하는 스위칭회로이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A deno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elephone side, and B denotes a main configuration of the expansion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ence numeral 200 denotes the telephone A and the expansion memory device B. Is a connection terminal for signal line connection of 132, a function selector for selecting an extended memory operation function, reference numeral 120 denotes a function selector by driving control of the display unit 10 when the function selector 132 is selected by a user. The network circuit 7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user's voice which the user inputs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8 by converting its operation mode into the extended memory operation mode at the same time. And a charge side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to the expansion memory B side through the CODEC 17 and the DSP 18, 19 is a predetermined control from the microprocessor 120. According to a call is a switching circuit for selectively switching the connection with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8) in the audio data storage unit 16 or the connection terminals (200).

한편, 참조번호 201은 상기 확장메모리장치(B)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201)는 충반전이 가능하도록 된 예컨대 배터리 형태의 전원부(30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된 것인바, 상기 접속단자(200)를 통해 전화기(A)측으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202)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음성데이터 메모리(203)에 저장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음성데이터를 상기한 과정의 역순으로 독출해내게 된다.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201 denotes a microprocessor provided in the expansion memory device B, and the microprocessor 201 is driven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from a power source 304 in the form of a battery, which is capable of charging and charging. Invar, the digital voice data applied from the telephone A side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200 is stored in the voice data memory 203 according to the operation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202, or the stored voice The data is read out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 process.

이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제3도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능선택기(132)가 눌려진 경우 전화기측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의 동작모드 전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 먼저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접속단자(200)측의 전위레벨을 근거로 확장메모리장치(B)측과의 접속여부를 수시로 체크(STI)하여, 접속되었음이 확인되게 되면 확장메모리장치(B)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상태 확인데이터를 표시부(10)를 통해 출력(ST2)하게 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telephone-side microprocessor 120 when the function selector 132 is pressed by a user. First, the microprocessor 120 has a potential at the connection terminal 200. On the basis of the level, if the connection to the expansion memory device B side is frequently checked (STI),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power supply status confirmation data applied from the expansion memory device B sid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0. Output (ST2).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전화기(A)측 접속단자(200)에 확장 메모리장치(B)를 접속한 상태에서 기능선택기(132)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전화기측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기능선택기(132)가 눌러졌음을 확인(ST3)한 후, 전화기가 현재 온 혹(ON HOOK)상태인지를 판단(ST4)하게 되는 바, 오프 혹(OFF HOOK)즉, 통화중 상태에서 기능 선택키(132)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10)를 통해 에러(ERR)메세지를 출력(ST5)하고, 온 훅(ON HOOK)즉, 통화중 상태가 아닌 경우, 기능선택키(132)가 눌러졌음을 표시부(10)를 통해 표시(ST6)한후, 동작모드를 확장메모리 운용모드로 전환(ST7)함으로써,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13)를 통해 입력하게 되는 데이터의 저장 및 독출명령에 대해 그 제어대상을 내부의 메모리가 아닌 확장메모리장치로 전환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presses the function selector 132 while the expansion memory device B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A-side connection terminal 200, the telephone-side microprocessor 120 After confirming that the function selector 132 has been pressed (ST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hone is currently in the ON HOOK state (ST4) bar OFF (that is, in a busy state, When the function selection key 132 is pressed, an error (ERR) message is output (ST5) through the display unit 10, and when the function is not on a hook, that is, during a call, the function selection key 132. After the display unit 10 indicates that is pressed (ST6),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extended memory operation mode (ST7), so that the user can save and read the data inputted through the keypad 13. The control target is switched to the expansion memory device, not the internal memory.

한편, 이후에 진행되는 음성메세지의 저장 및 독출과정은 사용자의 키입력에서부터 데이터의 저장 및 독출 완료시점까지 일반적인 전화기에서와 동일하게 실행되게 되는바,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기능선택기(132)가 사용자에 의해 한번 더 선택됨으로써 확장 메모리 운용모드가 다시 해제될 때까지 이후의 모든 동작에 대하여 확장 메모리장치(B)측 데이터 메모리(203)를 제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bsequent storage and reading process of the voice message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normal phone from the user's key input to the completion of the storage and reading of the data bar, the microprocessor 120 is the function selector 132 Is selected by the user once more, thereby controlling the data memory 203 on the extended memory device B side for all subsequent operations until the extended memory operating mode is released again.

이후에 진행되는 음성 데이터의 처리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ocessing of the voice data proceeds in more detail as follows.

사용자에 음성은 상기 송수화기(5)내에 구비된 송화부(52)또는 마이크로폰(81)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회로(7)로 인가되게 되고, 이 네트워크회로(7)에서는 인가된 음성신호에 대하여 증폭등의 처리를 실행한 후, 후단에 접속된 코덱(CODEC)(17)으로 출력하게 되는 바, 이 코덱(17)은 네트워크회로(7)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신호를 코드화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The voice to the user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transmitter 52 or the microphone 81 provided in the handset 5 and applied to the network circuit 7, and the voice signal applied by the network circuit 7. After amplification or the like is executed, the codec 17 is outputted to a codec 17 connected to a later stage. The codec 17 codes an audio signal of an analog form applied from the network circuit 7 Convert to a digital signal.

상기한 과정을 통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는 상기 디지탈신호처리 프로세서(DSP)(18)를 거쳐 스위칭 회로(19)로 인가되게 되는 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스위칭회로(19)를 제어하면 상기 디지탈 음성신호를 접속단자측으로 스위칭출력하게 된다.The voice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applied to the switching circuit 19 through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18, the microprocessor 120 is a switching circuit 19 When controlled, the digital audio signal is switch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이어, 제5도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학장 메모리장치(B)측 마이크로 프로세서(201)의 데이터 저장시 제어동작을 설명한다.Next, a control operation during data storage of the microprocessor 201 on the side of the dean memory device 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5.

마이크로 프로세서(201)는 먼저 접속단자(200)의 전위레벨을 근거로 전화기(A)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인가를 점검(ST301)하여 접속된 상태임이 확인되게 되면, 상기 전원부(204)에 연결된 소정 검지단자(도시되지 않음)의 레벨전위를 근거로, 상술된 바와 같이 전하기측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에 전원상태 확인데이터를 전송(ST302) 하게 되며, 이후 상기 전화기측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로부터 데이터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ST303)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있으면 이를 데이터 메모리(203)에 저장(ST304)하고,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으면 현재의 접속상태를 확인(ST305)하여 접속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The microprocessor 201 first checks whether the microprocessor 201 is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lephone A side based on the potential level of the connection terminal 200 (ST301). Based on the level potential of a predetermined detection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tate check data is transmitted to the charge side microprocessor 120 as described above (ST302), and then the phone side microprocessor 120 When there is no data input from the server (ST303), if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it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203 (ST304). If there is no data to be transmitted,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is checked (ST305). Stand by until

한편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120,201)간의 신호전송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컨대 I2C 버스를 이용함으로써 두 장치간의 접속 여부는 물론 데이터 전송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Although the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two microprocessors 120 and 201 is not shown, for example, by using the I 2 C bu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devices and the data transmission can be confirmed.

상기한 과정을 통해 확장 메모리장치(B)측 데이터 메모리(203)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독출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저장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화기측 마이크로 프로세서(120)가 저장시의 역순으로 진행되게 되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process of reading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data memory 203 on the expansion memory device (B) side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a general process in which the telephone-side microprocessor 120 proceeds in the reverse order when the user stores the sam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사람의 음성을 휴대가 간편한 확장 메모리장치(B)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재생시켜 볼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확장 메모리장치를 휴대하고 다니던중 필요에 따라 상기 확장 메모리장치를 전화기에 접속하여 예컨대 그날의 일정이나 약속장소와 같이 간단히 메모하고자 하는 내용을 저장 또는 재생시켜 볼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s voice can be stored in the expansion memory device B, which is easy to carry, or the stored voice data can be played back, so that the user can carry the expansion memory device as needed while carrying the expansion memory device. By connecting the device to a telephone, you can simply store or play back the content you want to take notes, such as the day's schedule or appointment.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입력부와, 이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텍, 이 코덱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신호 처리 프로세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음성데이터 저장부가 구비된 전화기에 있어서; 외부의 확장 메모리장치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접속단자와, 외부 확장 메모리장치 운용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키,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음성신호가 상기 음성데이터저장부 또는 접속단자에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외부 확장메모리장치 운용기능이 선택되면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외부 확장메모리장치로 출력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스위칭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A voice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voice, a codec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into a digital signal,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for processing a digital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codec, and a digital voice signal storing A telephone having a voice data storage unit;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a function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n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operating function, and a digital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are selectively selected for the voice data storage unit or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the switching unit so as to output the digital voice data to the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when the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operating function is selected. 전화기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접속단자와, 장치의 휴대 및 상시동작을 위한 배터리,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데이터 메모리,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전화기 내부의 제1마이크로프로세서와 통신하면서 이 제1마이크로프로세서의 요구에 따라 상기 음성데이터 메모리의 음성데이터를 입출력제어하는 제2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메모리장치.A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telephone, a battery for carrying and constant operation of the apparatus, a voice data memory storing voice data,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 first microprocessor inside the telephone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 second micro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input and output of the voice data of the voice data memory according to a request. 외부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접속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를 구비한 전화시스템에서 있어서; 상기 외부 확장 메모리장치는 전화기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접속단자와, 장치의 휴대 및 상시 동작을 위한 베터리,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데이터메모리, 상기접속단자를 통해 전화기 내부의 제 1마이크로프로세서와 통신하며 이 제 1마이크로프로세서의 요구에 따라 상기 데이터메모리의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하는 제 2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화기는 외부 확장메모리장치를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접속단자와, 외부확장 메모리장치 운용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키95-3,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데이터 저장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데이터 저장부 또는 접속단자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외부 확장메모리장치 운용기능이 선택되면 디지털음성데이터를 외부 확장메모리장치로 출력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스위칭제어하는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하는 전화시스템.In a telephone system having an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and a telephone to connect and operate the same; The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communicates with a first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telephone, a battery for carrying and constant operation of the apparatus, a voice data memory storing voice data, and a first microprocessor inside the telephone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 second micro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input and output of data in the data memory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first microprocessor, wherein the telephon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and an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operating function. A function selection key 95-3 for selecting a switch, a voice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voice data, and a switching for switching the digital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to be selectively output to the voice data storage unit or a connection terminal When the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operation function is selected And a first micro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switching of the switching unit to output digital voice data to an external expansion memory device.
KR1019950025040A 1995-08-14 1995-08-14 The telephone system in use of outside extension voice memory apparatus KR1001888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040A KR100188855B1 (en) 1995-08-14 1995-08-14 The telephone system in use of outside extension voice memo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040A KR100188855B1 (en) 1995-08-14 1995-08-14 The telephone system in use of outside extension voice memor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019A KR970014019A (en) 1997-03-29
KR100188855B1 true KR100188855B1 (en) 1999-06-01

Family

ID=1942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5040A KR100188855B1 (en) 1995-08-14 1995-08-14 The telephone system in use of outside extension voice memor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85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019A (en)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64280A (en) Cordless telephone set
JPH02159156A (en) Cordless telephone
CA22133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accessing a telephone answering device
GB2328835A (en) Remote access to telephone numbers stored in a telephone set
KR100188855B1 (en) The telephone system in use of outside extension voice memory apparatus
KR0158313B1 (en) Extended memory device storing call conversation and telephone operating system
US6314179B1 (en) Externally dialed hand-free operator for cellular phones
KR100188854B1 (en) Telephone system in use of outside extension memory
KR0158312B1 (en) Extended memory device with automatic answering function and telephone operating system
KR200212093Y1 (en) The device of adevertisement message for a telephone waiting sound
CN201270549Y (en) Radio remote control rescuing telephone
KR930009849B1 (en) Memorized phone number displaying and automatic dialing method
KR200172848Y1 (en) Device that has hands free, voice recording and etc functions adapted with handset of telephone.
JP3218497B2 (en) Linkless Failure History Record Display Method for Cordless Telephone
CN1065097C (en) Telephone dial phonetic device
KR100296986B1 (en) Abbreviated dialing method
KR100191342B1 (en) Method for automatic alarm of subscription clock in telephone
KR19990068365A (en) Speaking Record Apparatus Of Pocket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KR100248981B1 (en) Method preventing an exposure of voice message in telephone
KR100675953B1 (en) An one touch transmit device for a phone
KR200179155Y1 (en) Speaking record appartus of cellular phone
KR19980052725A (en) Emergency dialing method of telephone handset
KR19980052720A (en) Handset with call rate display
JP3093074B2 (en) Answering machine
KR19980035372A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utomatic continuous red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