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821B1 - Trs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Trs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821B1
KR100187821B1 KR1019960031508A KR19960031508A KR100187821B1 KR 100187821 B1 KR100187821 B1 KR 100187821B1 KR 1019960031508 A KR1019960031508 A KR 1019960031508A KR 19960031508 A KR19960031508 A KR 19960031508A KR 100187821 B1 KR100187821 B1 KR 100187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
input
command cal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80013050A (en
Inventor
황상진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6003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821B1/en
Publication of KR98001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0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82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를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지령통화를 편리하게 하도록 하는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operating a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 to facilitate a command call when the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and used in a vehicle.

종래의 방식으로 차량용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를 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 운전중에 지령 통화할 때 한쪽 손으로 핸디마이크(1)의 송화버튼을 계속하여 작동해야 되므로, 차량 운전을 한손으로 해야 함에 기인하여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operating the vehicle common frequency communication terminal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user must continuously operate the talk button of the handheld microphone 1 with one hand when the user makes a command call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trouble in safe driving.

본 발명은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를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지령통화를 편리하게 하도록 하므로 차량운전을 하는 데에 지장을 주지 않게되어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t command call when using a common frequency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in a vehicle,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driving a vehicle, thereby helping to drive safely.

Description

차량용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Operation method of vehicle common frequency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를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지령통화를 편리하게 하도록 하는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operating a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 to facilitate a command call when the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and used in a vehicle.

일반적으로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는 중계기를 통해 일반전화 통신망측과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이동 통신기로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a common frequency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ng through a wireless channel can communicate with a general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repeater, and is used a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hile moving.

이와 같은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를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하는 바, 차량용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는 핸디마이크(1), 핸드프리 마이크(2), 외부 스피커(3), 크래들(4), 단말기(5) 및 부스터(6)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크래들(4)은 단말기(5)를 거치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단말기(5)를 핸디마이크(1), 핸드프리 마이크(2), 외부 스피커(3) 및 부스터(6)에 접속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부스터(6)는 단말기(5)가 송수신하는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하며, 핸드프리 마이크(2)는 사용자가 핸드프리 방식으로 통화를 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을 단말기(5)에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외부 스피커(3)는 사용자가 핸드프리 방식으로 통화하는 경우 단말기(5)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청취가능하게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핸디마이크(1)는 지령통화하는 경우에 사용된다.When the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used as shown in FIG. 1, the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vehicle includes a handheld microphone 1, a hand-free microphone 2, and an external speaker 3. ), Cradle 4, the terminal 5 and the booster (6) is made. The cradle 4 serves to mount the terminal 5, and also connects the terminal 5 to the handheld microphone 1, the handfree microphone 2, the external speaker 3, and the booster 6. do. Meanwhile, the booster 6 amplifies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terminal 5 and transmits and receives it through an antenna, and the hand-free microphone 2 transmits the user's voice to the terminal 5 when the user makes a hand-free call. It performs the function of applying to. In addition, the external speaker 3 serves to audibly output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5 when the user makes a hand-free call, and the handheld microphone 1 is used for a command call. .

이와 같은 차량용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경우 종래에는 도2에 도시된 순서로 동작하였다. 먼저, 단말기(5)의 중앙처리장치는 단말기(5)가 크래들(4)에 거치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스텝 21), 단말기(5)가 크래들(4)에 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 전용모드로 진입하고(스텝 29), 단말기(5)가 크래들(4)에 거치된 경우에는 핸드프리 모드로 전환하고 핸드프리 모드로 전환하였음을 단말기(5)의 액정표시기(5a)에 표시한다(스텝 22). 이 스텝 22이후 단말기(5)의 중앙처리장치는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폰 모드를 선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스텝 23), 폰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폰 모드에 진입하여 폰 모드임을 단말기(5)의 액정표시기(5a)에 표시함과 동시에 핸드프리 마이크(2)와 외부 스피커(3)를 사용할 수 있게한 후(스텝 30), 폰 모드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5)를 동작시킨다(스텝 31). 한편, 상기 스텝 23에서 폰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5)의 중앙처리장치는 지령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지령통화 모드임을 단말기(5)의 액정표시기(5a)에 표시함과 동시에 핸디마이크(1)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스텝 24), 수신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스텝 25). 이 스텝 25의 수신대기 상태에서 단말기(5)의 중앙처리장치는 핸디마이크(1)의 송화버튼이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스텝 26), 핸디마이크(1)의 송화버튼이 입력되면 지령통화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5)를 동작시킨후(스텝 27), 핸디마이크(1)의 송화버튼이 입력되지 않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스텝 28), 핸디마이크(1)의 송화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스텝 25의 수신대기상태로 귀환하고, 핸디마이크(1)의 송화버튼이 입력되면 음성 송신을 지속하여 수행한다(스텝 32).In the case of making a call using such a vehicle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 the operation in the order shown in FIG. Firs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terminal 5 checks whether the terminal 5 is mounted on the cradle 4 (step 21), and if the terminal 5 is not mounted on the cradle 4, the terminal is dedicated. When the terminal enters the mode (step 29) and the terminal 5 is placed in the cradle 4, it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5a of the terminal 5 that it has switched to the hand-free mode and switched to the hand-free mode ( Step 22). After the step 22,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terminal 5 checks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phone mode through the keypad (step 23), and if the phone mode is selected, enters the phone mode and selects the phone mode. Display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5a and the handfree microphone 2 and the external speaker 3 are enabled (step 30), and then the terminal 5 is operated by the phone mode protocol (step 31). ). On the other hand, when the phone mode is not selected in step 23,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terminal 5 switches to the command call mode and displays the command call mode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5a of the terminal 5. 1) is made available (step 24), and is in the reception standby state (step 25). In the receiving standby state of step 25,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terminal 5 checks whether or not the talk button of the handheld microphone 1 is input (step 26), and if the talk button of the handheld microphone 1 is input, the instruction is received. After operating the terminal 5 by the call protocol (step 27), it is checked whether the talk button of the handheld microphone 1 is not input (step 28), and the talk button of the handheld microphone 1 is not input. If not, the process returns to the reception standby state of step 25, and when the talk button of the handheld microphone 1 is input, voice transmission is continued (step 32).

이상과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 차량용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를 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 운전중에 지령 통화할 때 한쪽 손으로 핸디마이크(1)의 송화버튼을 계속하여 작동해야 되므로, 차량 운전을 한손으로 해야 함에 기인하여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operating the vehicle common frequency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nventional mann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makes a command call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handset microphone 1 must be continuously operated with one hand. Due to this problem,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trouble in safe oper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를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지령통화를 편리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 to secure the vehicle operation by making the command call convenient when the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and used in the vehicle The purpose is to provid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크래들에 거치된 경우에 핸드프리 모드로 전환하여 핸드프리 모드로 전환하였음을 단말기의 액정표시기에 표시한 후, 외부 스피커와 핸드프리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 이후에 키패드를 통해 폰 모드가 선택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폰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폰 모드에 진입하여 폰 모드임을 단말기의 액정표시기에 표시하고, 폰 모드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폰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지령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지령통화 모드임을 단말기의 액정표시기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펑션키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다이얼키를 송화키로 재 정의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 이후 수신대기 상태에 진입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 이후 다이얼키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다이얼키가 입력되면 지령통화 송신중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다이얼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펑션키가 입력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7과정에서 지령통화 송신중인 경우에 송신모드를 수신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를 동작시킨 후 상기 제5과정의 수신대기 상태로 귀환하는 제9과정과; 상기 제7과정에서 지령통화 송신중이 아닌 경우에 송신모드로 전환함과 동시에 송신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를 동작시킨 후 상기 제5과정의 수신대기 상태로 귀환하는 제10과정과; 상기 제8과정에서 펑션키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펑션키에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11과정과; 상기 제8과정에서 펑션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6과정으로 귀환하여 동작 수행하는 제12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common frequency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terminal is placed in a cradle and switched to the hand-free mode and the hand-free mode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terminal. A first step of enabling an external speaker and a handfree microphone to be used; 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a phone mode is selected through a keypad after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entering a phone mode when the phone mode is selected in the second step and displaying a phone mode on a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terminal and operating the terminal by a phone mode protocol; When the phone mode is not selected in the second process, the command call mode is switched to display the command call mode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terminal,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key provided in the terminal. A fourth step of redefining the dial key as a talk key; A fifth process of entering a reception standby state after the fourth process; A sixth step of checking whether a dial key is input after the fifth step; A seventh step of checking whether a command call is being transmitted if a dial key is input in the sixth step; An eighth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function key is input if the dial key is not input in the sixth step; A ninth step of operating the terminal by a protocol for switching the transmission mode to the reception mode when the command call is being transmitted in the seventh step and returning to the reception standby state of the fifth step; A tenth step of switching to the transmission mode when the command call is not being transmitted in the seventh step and operating the terminal by a transmission protocol and returning to the reception standby state of the fifth step; An eleventh step of performing an operation defined in the function key when the function key is input in the eighth step; And a twelfth step of returning to the sixth step and performing an operation when the function key is not input in the eighth step.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를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지령통화를 편리하게 하도록 하므로 차량운전을 하는 데에 지장을 주지 않게되어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acilitates the command call when the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and used in the vehicle, thereby helping to drive the vehicle safely.

도1은 차량용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common frequency communication terminal.

도2는 종래 차량용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2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conventional vehicle common frequency communication terminal.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mmon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핸디마이크 2 : 핸드프리 마이크1: handy microphone 2: hand-free microphone

3 : 외부 스피커 4 : 크래들3: external speaker 4: cradle

5 : 단말기 6 : 부스터5: terminal 6: booster

본 발명에서는 핸디마이크의 사용없이 지령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는 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구성에서 핸디마이크(1)를 제외하여 이루어 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make a command call without the use of a handheld microphone. The hardware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excluding the handheld microphone 1 from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의 운용은 도3에 도시된 순서로 진행되어 진다.Operation of the vehicle common frequency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the order shown in FIG.

먼저, 단말기(5)의 중앙처리장치는 단말기(5)가 크래들(4)에 거치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스텝 41), 단말기(5)가 크래들(4)에 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 전용모드로 진입하고(스텝 53), 단말기(5)가 크래들(4)에 거치된 경우에는 핸드프리 모드로 전환하고 핸드프리 모드로 전환하였음을 단말기(5)의 액정표시기(5a)에 표시한 후(스텝 42), 외부 스피커(3)와 핸드프리 마이크(2)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스텝 43). 이 스텝 43이후 단말기(5)의 중앙처리장치는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폰 모드를 선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스텝 44), 폰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폰 모드에 진입하여 폰 모드임을 단말기(5)의 액정표시기(5a)에 표시하고(스텝 54), 폰 모드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5)를 동작시킨다(스텝 55). 한편, 상기 스텝 44에서 폰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5)의 중앙처리장치는 지령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지령통화 모드임을 단말기(5)의 액정표시기(5a)에 표시함과 동시에 펑션키(5b)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다이얼키(5c)를 송화키로 재 정의한 후(스텝 45), 수신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스텝 46). 이 스텝 46의 수신대기 상태에서 단말기(5)의 중앙처리장치는 다이얼키(5c)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스텝 47), 다이얼키(5c)가 입력되면 지령통화 송신중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스텝 48), 다이얼키(5c)가 입력되지 않으면 펑션키(5b)가 입력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50). 한편, 단말기(5)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스텝 48에서 지령통화 송신중인 경우에 송신모드를 수신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5)를 동작시킨 후(스텝 49) 상기 스텝 46의 수신대기 상태로 귀환하며, 상기 스텝 48에서 지령통화 송신중이 아닌 경우에 송신모드로 전환함과 동시에 송신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5)를 동작시킨 후(스텝 52) 상기 스텝 46의 수신대기 상태로 귀환한다. 또한, 단말기(5)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스텝 50에서 펑션키(5b)가 입력된 경우에 펑션키(5b)에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며(스텝 51), 상기 스텝 50에서 펑션키(5b)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스텝 47로 귀환하여 동작 수행한다.Firs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terminal 5 checks whether the terminal 5 is mounted on the cradle 4 (step 41), and if the terminal 5 is not mounted on the cradle 4, the terminal is dedicated. Enters the mode (step 53), when the terminal 5 is placed in the cradle 4, it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5a of the terminal 5 that the device 5 is switched to the hands-free mode and the hands-free mode. (Step 42), the external speaker 3 and the handfree microphone 2 can be used (step 43). After the step 43,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terminal 5 checks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phone mode through the keypad (step 44), and if the phone mode is selected, enters the phone mode and enters the phone mode.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5a (step 54), and the terminal 5 is operated by the phone mode protocol (step 55). On the other hand, when the phone mode is not selected in step 44,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terminal 5 switches to the command call mode to display the command call mode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5a of the terminal 5 and at the same time the function key ( After retaining the function of 5b) and redefining the dial key 5c as the talk key (step 45), it is in the reception standby state (step 46). In the receiving standby state of step 46,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terminal 5 checks whether the dial key 5c is input (step 47), and if the dial key 5c is input, whether or not the command call transmission is in progress. (Step 48), and if the dial key 5c is not input,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function key 5b is input (step 50).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terminal 5 operates the terminal 5 by a protocol for switching the transmission mode to the reception mode when the command call is being transmitted in step 48 (step 49), and then receives the reception of step 46. After returning to the standby state and switching to the transmission mode when the command call is not being transmitted in step 48, the terminal 5 is operated by the transmission protocol (step 52), and then back to the reception standby state in step 46. do. Furth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terminal 5 performs the operation defined in the function key 5b when the function key 5b is input in step 50 (step 51), and the function key 5b in step 50. Is not input, the flow returns to step 47 to perform the 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텝 45에서 지령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하는 경우에 단말기(5)를 크래들(4)에 거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단말기(5)의 다이얼키(5c)를 조작하여 통화하므로,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중에 지령 통화할 때 송수신 전환시에만 다이얼키(5c)를 조작하면 되어 차량을 운전하는 데에 있어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ll is switched to the command call mode in step 45, the call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dial key 5c of the terminal 5 while the terminal 5 is mounted on the cradle 4. When the user makes a command call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dial key 5c needs to be operated only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switching, so that it does not cause a problem in driving the vehic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를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지령통화를 편리하게 하도록 하므로 차량운전을 하는 데에 지장을 주지 않게되어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command call when the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and used in the vehicle,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driving the vehicle, thereby helping to drive safely.

Claims (1)

차량용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크래들에 거치된 경우에 핸드프리 모드로 전환하여 핸드프리 모드로 전환하였음을 단말기의 액정표시기에 표시한 후, 외부 스피커와 핸드프리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 이후에 키패드를 통해 폰 모드가 선택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폰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폰 모드에 진입하여 폰 모드임을 단말기의 액정표시기에 표시하고, 폰 모드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폰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지령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지령통화 모드임을 단말기의 액정표시기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펑션키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다이얼키를 송화키로 재 정의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 이후 수신대기 상태에 진입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 이후 다이얼키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다이얼키가 입력되면 지령통화 송신중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다이얼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펑션키가 입력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7과정에서 지령통화 송신중인 경우에 송신모드를 수신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를 동작시킨 후 상기 제5과정의 수신대기 상태로 귀환하는 제9과정과; 상기 제7과정에서 지령통화 송신중이 아닌 경우에 송신모드로 전환함과 동시에 송신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를 동작시킨 후 상기 제5과정의 수신대기 상태로 귀환하는 제10과정과; 상기 제8과정에서 펑션키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펑션키에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11과정과; 상기 제8과정에서 펑션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6과정으로 귀환하여 동작 수행하는 제12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In the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common frequency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on the cradle, the user can switch to the hands-free mode and display the switch-free mode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terminal, and then use the external speaker and the hand-free microphone. A first process of making it available; 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a phone mode is selected through a keypad after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entering a phone mode when the phone mode is selected in the second step and displaying a phone mode on a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terminal and operating the terminal by a phone mode protocol; When the phone mode is not selected in the second process, the command call mode is switched to display the command call mode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terminal,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key provided in the terminal. A fourth step of redefining the dial key as a talk key; A fifth process of entering a reception standby state after the fourth process; A sixth step of checking whether a dial key is input after the fifth step; A seventh step of checking whether a command call is being transmitted if a dial key is input in the sixth step; An eighth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function key is input if the dial key is not input in the sixth step; A ninth step of operating the terminal by a protocol for switching the transmission mode to the reception mode when the command call is being transmitted in the seventh step and returning to the reception standby state of the fifth step; A tenth step of switching to the transmission mode when the command call is not being transmitted in the seventh step and operating the terminal by a transmission protocol and returning to the reception standby state of the fifth step; An eleventh step of performing an operation defined in the function key when the function key is input in the eighth step; And a twelfth step of returning to the sixth step and performing the operation when the function key is not input in the eighth step.
KR1019960031508A 1996-07-30 1996-07-30 Trs for vehicles KR1001878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508A KR100187821B1 (en) 1996-07-30 1996-07-30 Trs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508A KR100187821B1 (en) 1996-07-30 1996-07-30 Trs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050A KR980013050A (en) 1998-04-30
KR100187821B1 true KR100187821B1 (en) 1999-06-01

Family

ID=1946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508A KR100187821B1 (en) 1996-07-30 1996-07-30 Trs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82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050A (en)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1370A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utomatically configured multimode tal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JPH06315005A (en) Radio telephone system
KR100187821B1 (en) Trs for vehicles
JP3339475B2 (en) Termination control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39336B1 (en) Remote controller of Mobile terminal
KR100545079B1 (en) Cellula phone including car remote controller
KR20010084261A (en) Auxiliary Dial-Button Apparatus of Cellular Phone
WO2001099450A2 (en) Watch-shap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obile telephone
KR19990024223A (en) Wireless hands free equipment for mobile phones
KR200170113Y1 (en) Apparatus for inputing key data using hands-free-kit's key input unit
JP2983326B2 (en) Portable radio telephone equipment
KR200193178Y1 (en) The hands-free which make use of audio
KR100241896B1 (en) Method for changing tone/pulse using a handset in a radio telephone
KR200100920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moble phone by using earphone remote contrllor
KR950011081B1 (en) The cordless phone hand free method
KR0175587B1 (en) Wireless telephone capable of displaying current time on a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78278B1 (en) Equipment and method of mobile telephone make possible hands free communication over ear-microphone by use radio receiver
KR970031489A (en) Handheld Cordless Phone with Cordless Call Receiver
KR200258286Y1 (en) A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with a voice-switch
KR200258283Y1 (en) A hands-free apparatus with a voice-switch by setting of a portable movie-telephone
KR200214683Y1 (en) Hand free apparatus
KR20000055309A (en)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ith a speaker for hand- free
KR100262157B1 (en) Cellular phone with base station function
KR950009563B1 (en) Hand-free cellular phone
KR20040044663A (en) Information terminal having hands free function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