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601B1 - Inter data communication processor - Google Patents

Inter data communication proc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601B1
KR0185601B1 KR1019940021280A KR19940021280A KR0185601B1 KR 0185601 B1 KR0185601 B1 KR 0185601B1 KR 1019940021280 A KR1019940021280 A KR 1019940021280A KR 19940021280 A KR19940021280 A KR 19940021280A KR 0185601 B1 KR0185601 B1 KR 018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ddress
mode
cpu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낙호
박용우
이익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1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6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601B1/en

Links

Landscapes

  • Multi Processo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분야1. Fields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

처리속도가 서로다른 두개의 프로세서간에 데이타 전송을 하기 위한 데이타 통신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communication circuit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wo processors having different processing speeds.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2.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이중 포트 램을 사용할 경우 메모리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프로세서들의 기본 업무에 영향을 주게 되거나 동일한 어드레스를 동시에 리드 및 라이트할 경우 순간적인 소비전력의 증가로 인해 다른 회로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개선한다.The use of dual-port RAM improves the impact on other circuits by affecting the basic tasks of processors or by simultaneously reading and writing the same address, resulting in an instantaneous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단일 입출력 포트를 가지는 제1, 제2메모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제1, 제2프로세서들의 송, 수신 모드를 서로 대응되게 선택하며, 각각 송, 수신모드로 선택된 프로세서의 요구에 의해 제1, 제2메모리를 액세스하기 위한 리드, 라이트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또한 리드 및 라이트 어드레스의 변화로부터 제1, 제2메모리의 데이타 저장상태를 검출하여 제1, 제2프로세서에 알리고, 리드 및 라이트 어드레스중 하나를 제1, 제2메모리의 데이타 저장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제1, 제2메모리에 각각 인가하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제1, 제2프로세서의 데이타버스중 하나의 데이타 버스상의 데이타를 선택하여 제1, 제2메모리에 제공한다. 그리고 선택된 송, 수신모드와 리드 및 라이트 어드레스에 의해 제1, 제2메모리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며 리드모드의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선택하여 제1, 제2프로세서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데이타버스상에 인가한다.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for communicat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having a single input / output port are correspondingly selected, respectively. 2 Generates read and write addresses for accessing the memory. Also, data storage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are detected from the change of the read and write addresses, and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are detected, and one of the read and write addresses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ata storage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ar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respectively, and the data on one of the data bus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are selected and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In addition,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is controlled by the selected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and the read and write addresses, and the data output from the memory in the read mode is selected to be provided on the data bus commonly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To apply.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하나의 시스템내에 존재하는 처리속도가 서로 다른 프로세서간에 각각 자신의 기본적인 업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데이타 전송을 하는데 사용한다.The processing speed in a system is used to transfer data between different processors without affecting their basic tasks.

Description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Interprocessor data communication circuit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의 적용예를 보인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n interprocessor data communica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의 블럭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processor data communica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2도중 모드선택회로(200)의 상세회로도.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mode selection circuit 200 in FIG. 2.

제4도는 제2도중 제1어드레스 발생회로(202)의 상세회로도.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address generation circuit 202 of FIG.

제5도는 제2도중 제2어드레스 발생회로(204)의 상세회로도.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second address generation circuit 204 of FIG.

제6도는 제2도중 상태표시회로(206)의 상세회로도.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status display circuit 206 in FIG.

제7도는 제2도중 제1어드레스 선택회로(208)의 상세회로도.FIG. 7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address selection circuit 208 of FIG.

제8도는 제2도중 제2어드레스 선택회로(210)의 상세회로도.FIG. 8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second address selection circuit 210 of FIG.

제9도는 제2도중 데이타 선택회로(212)의 상세회로도.9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data selection circuit 212 of FIG.

제10도는 제2도중 메모리제어회로(220)의 상세회로도.FIG. 10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memory control circuit 220 of FIG.

제11a도 및 제2도중 제11b도는 제1, 제2메모리(214,216)의 동작 타이밍도.11b of FIG. 11a and FIG. 2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FIG.

제12a도 및 제12b도는 본 발명의 데이타 송수신 동작 타이밍도.12A and 12B are timing diagrams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CPU 102 : 데이타 통신회로100: CPU 102: data communication circuit

104 : DSP 200 : 모드선택회로104: DSP 200: mode selection circuit

202, 204 : 제1, 제2어드레스 발생회로 206 : 상태검출회로202 and 204: first and second address generating circuits 206: state detection circuit

208, 210 : 제1, 제2어드레스 선택회로 212 : 데이타 선택회로208, 210: first and second address selection circuits 212: data selection circuits

214, 216 : 제1, 제2메모리 218 : 출력선택회로214, 216: first and second memory 218: output selection circuit

본 발명은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처리속도가 서로 다른 두개의 프로세서간에 데이타 전송을 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communication circuit between processo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for data transfer between two processors having different processing speeds.

일반적으로 VMS(Voice Mailing System)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는 하나의 시스템내에 존재하는 처리속도가 서로 다른 두개의 프로세서간에 각각 자신의 기본적인 업무(job)에 영향을 받지 않고 데이타 전송을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시스템내에서 이러한 관계를 가지는 프로세서들로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DSP(Digital Signal Processor)가 있다.In general, in a system such as a voice mailing system (VMS), two processors having different processing speeds in one system need to transfer data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ir basic job. For example, processors having such a relationship in a system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이와 같이 처리속도가 서로 다른 두개의 프로세서간에 각각 자신의 기본적인 업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데이타 전송을 하기 위하여 이중 포트 램(dual port RAM)을 사용하여 왔다. 이중 포트 램의 2개의 포트는 각각 별도의 어드레스 입력, 제어 입력등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된다.As such, dual port RAMs have been used to transfer data between two processors having different processing speeds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ir basic tasks. The two ports of the dual port RAM ar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y separate address inputs and control inputs.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중 포트 램을 사용할 경우에는 IC 칩(Intergrated Circuit chip) 크기가 커질 뿐만 아니라 이중 포트 램의 리드/라이트 상태를 알리기 위한 인터럽트 또는 플래그신호등이 없기 때문에 데이타 통신시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통신 속도가 저하되거나 다른 업무의 처리속도에 영향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중 포트 램에 대한 동일한 어드레스를 동시에 리드 및 라이트할 경우에는 소비전력이 순간적으로 증가함으로써 동일 전원을 사용하는 다른 회로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using dual port RAM as described above, IC chip size is not only large, and there is no interrupt or flag signal to inform read / write status of dual port RAM. By doing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munication speed is lowered or the processing speed of other tasks is affected. In addition, when simultaneously reading and writing the same address for the dual port RAM, power consumption increases instantaneously, which causes a bad effect on other circuits using the same power supp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속도가 서로 다른 두개의 프로세서간에 이중 포트 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각각의 업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데이타 통신을 할 수 있는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communication circuit between processors that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out affecting each task without using dual port RAM between two processors having different processing speed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모리의 리드/라이트 상태를 두개의 프로세서에 알려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processor data communication circuit capable of improving communication efficiency by notifying two processors of a read / write state of a memory.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로는 각각 일정한 크기의 메모리 영역을 가지며 단일의 입출력 포트를 가지는 제1, 제2메모리와, 서로 다른 처리속도를 가지는 두개의 제1, 제2프로세서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가되는 모드신호에 의해 제1, 제2프로세서의 송, 수신모드를 서로 대응되게 선택하는 모드선택회로와, 제1, 제2프로세서중 송신모드로 선택된 프로세서의 요구에 의해 제1, 제2메모레로부터 데이타를 리드하기 위한 리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1어드레스 발생회로와, 제1, 제2프로세서중 수신모드로 선택된 프로세서의 요구에 의해 제1, 제2메모리에 데이타를 라이트하기 위한 라이트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2어드레스 발생회로와, 리드 어드레스와 라이트 어드레스의 변화로부터 제1, 제2메모리의 데이타 저장상태를 검출하여 제1, 제2프로세서에 알리는 상태검출회로와, 리드 어드레스와 라이트 어드레스 중 하나를 제1, 제2메모리의 데이타 저장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제1, 제2메모리에 각각 인가하는 제1, 제2어드레스 선택회로와,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제1, 제2프로세서의 데이타버스중 하나의 데이타 버스상의 데이타를 선택하여 제1, 제2메모리에 인가하는 데이타 선택회로와, 제1, 제2메모리중 리드모드로 동작되는 하나의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선택하여 제1, 제2프로세서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데이타버스상에 인가하는 출력선택회로와, 상기 선택된 송, 수신모드와 리드 어드레스 및 라이트 어드레스에 의해 제1, 제2메모리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며 출력선택회로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has a memory area of a certain siz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y having a single input and output port, and two of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having different processing speeds A mode selection circuit for select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mode signal applied from one,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requests at the request of the processor selected as the transmission mode among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A first address generation circuit for generating a read address for reading data from the two memories, and a write for writing data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at the request of a processor selected as a reception mode among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A second address generating circuit for generating an address and a data storage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from the change of the read address and the write address to detect the first and second buffers; A state detection circuit for notifying the processor, first and second address selection circuits for selecting one of a read address and a write address according to the data storage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and applying them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respectively; A data selection circuit which selects data on one of the data bus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and applies it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in response to the selected mode, and operates in the read mode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An output selection circuit for selecting data to be output from one memory to be applied to a data bus commonly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and the first, And a memory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econd memory and for controlling the output selection circu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 설명에서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회로구성들, 비트 또는 바이트의 수, 주파수, 논리상태들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represent lik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Als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ircuit configurations, number of bits or bytes, frequency, logic states, etc. are shown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처리속도를 가지는 프로세서로서 CPU와 DSP간에 데이타 통신을 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예로 든다. 제1도는 이와 같이 CPU(100)와 DSP(104)간에 데이타 통신회로(102)를 통해 데이타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Firs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that is applied to the case of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PU and the DSP as a processor having different processing speeds. FIG. 1 shows an example of transferring data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ircuit 102 between the CPU 100 and the DSP 104 in this way.

제2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CPU(100)와 DSP(104)간에 데이타 통신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통신회로(102)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이중 포트 램과 달리 단일의 입출력 포트 즉, 하나의 데이타입력단자 DIN와 하나의 데이타 출력단자 DO를 가지는 두개의 제1, 제2메모리(214,216)를 이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제2도의 구성은 제1, 제2메모리9214,216)는 각각 64워드의 메모리 영역을 가지는 램을 사용할 경우를 예시한 것이며, 램인에이블단자 RAMEN와 라이트인에이블단자 WE에 대한 제어 로직(control logic)만을 필요로 하는 범용의 램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타는 1워드 즉 16비트 단위로 제1, 제2메모리(214,216)에 라이트 또는 리드하며 어드레스는 6비트로 인가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ommunication circuit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PU 100 and the DSP 104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dual port RAM used in the related art, FIG.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have a single input / output port, that is, one data input terminal DIN and one data output terminal DO.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FIG. 2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9214 and 216 use a RAM having a memory area of 64 words, respectively, and control logic for the RAM enable terminal RAMEN and the write enable terminal WE. Use general purpose RAM that requires only logic.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is written or read in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in units of one word, that is, 16 bits, and the address is applied in 6 bits.

모드선택회로(200)는 CPU(100)로부터 인가되는 송수신모드신호 TX/RX와 시험모드신호 TEST에 의해 CPU(100)와 DSP(104)의 서로 대응되는 송, 수신모드와 시험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며 그에 따른 CPU 선택신호 CPU_SEL와 DST 리드선택신호 DSP_RD_SEL를 발생한다. 송수신모드신호 TX/RX는 DSP(104)가 송신모드이고 CPU(100)가 수신모드일 경우에는 로우로 인가되고, CPU(100)가 송신모드이고 DSP(104)가 수신모드일 경우에는 하이로 인가된다. 시험모드신호 TEST는 CPU(100)에 의해 제1, 제2메모리(214,216)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모드일 경우에는 '하이로 인가되고, CPU(100)와 DSP(104)간에 데이타를 송수신할 경우에는 로우로 인가된다.The mode selection circuit 200 selects one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and the test mod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CPU 100 and the DSP 104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signal TX / RX and the test mode signal TEST applied from the CPU 100. Selects and generates a CPU select signal CPU_SEL and a DST read select signal DSP_RD_SEL accordingly. The transmit / receive mode signal TX / RX is applied low when the DSP 104 is in transmit mode and the CPU 100 is in receive mode, and is high when the CPU 100 is in transmit mode and the DSP 104 is in receive mode. Is approved. The test mode signal TEST is applied high when the test mode for testing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is performed by the CPU 100, and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CPU 100 and the DSP 104. Is applied low.

제1어드레스 발생회로(202)는 CPU(100)와 DSP(104)중 송신모드로 선택된 프로세서의 요구에 의해 제1, 제2메모리(214,216)로부터 데이타를 리드하기 위한 7비트의 리드 어드레스 RA[6 : 0]를 발생한다. 제1어드레스 발생회로(202)는 DSP 리드선택신호 DSP_RD_SEL에 의해 CPU 리드신호 CPU_RD 또는 DSP 리드신호 DSP_RD를 선택 입력하고, 입력한 CPU 리드신호 CPU_RD 또는 DSP 리드신호 DSP_RD에 의해 리드 어드레스 RA[6 : 0]를 발생한다. CPU 리드신호 CPU_RD는 CPU(100)가 제1, 제2메모리(214,216)로부터 데이타를 리드하기 위한 신호이고, DSP 리드신호 DSP_RD는 DSP(104)가 제1, 제2메모리(214,216)로부터 데이타를 리드하기 위한 신호이다.The first address generating circuit 202 reads a 7-bit read address RA [] for reading data from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at the request of a processor selected from the CPU 100 and the DSP 104 in the transmission mode. 6: 0]. The first address generating circuit 202 selects and inputs the CPU read signal CPU_RD or the DSP read signal DSP_RD by the DSP read select signal DSP_RD_SEL, and the read address RA [6: 0] by the input CPU read signal CPU_RD or the DSP read signal DSP_RD. ]. The CPU read signal CPU_RD is a signal for the CPU 100 to read data from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The DSP read signal DSP_RD is a signal for the DSP 104 to read data from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This signal is for reading.

제2어드레스 발생회로(204)는 CPU(100)와 DSP(104)중 수신모드로 선택된 프로세서의 요구에 의해 제1, 제2메모리(214,216)에 데이타를 라이트하기 위한 7비트의 라이트 어드레스 WA[6 : 0]를 발생한다. 제2어드레스 발생회로(204)는 DSP 리드선택신호 DSP_RD_SEL에 의해 CPU 라이트신호 CPU_WR와 DSP 라이트신호 DSP_WR를 선택 입력하고, 입력한 CPU 라이트신호 CPU_WR 또는 DSP 라이트신호 DSP_WR에 의해 라이트 어드레스 RA[6 : 0]를 발생한다. DSP 라이트신호 DSP_WR는 DSP(104)가 제1, 제2메모리(214,216)에 데이타를 라이트하기 위한 신호이고, CPU 라이트신호 CPU_WR는 CPU(100)가 제1, 제2메모리(214,216)에 데이타를 라이트하기 위한 신호이다.The second address generation circuit 204 writes a 7-bit write address WA [for writing data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according to a request of a processor selected from the CPU 100 and the DSP 104 in the reception mode. 6: 0]. The second address generating circuit 204 selects and inputs the CPU write signal CPU_WR and the DSP write signal DSP_WR by the DSP read select signal DSP_RD_SEL, and writes the write address RA [6: 0] by the input CPU write signal CPU_WR or the DSP write signal DSP_WR. ]. The DSP write signal DSP_WR is a signal for the DSP 104 to write data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The CPU write signal CPU_WR is for the CPU 100 to write data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Signal to write.

상태검출회로(206)는 리드 어드레스 RA[6 : 0]중 최상위 비트인 RA6와 라이트 어드레스 WA[6 : 0]중 최상위 비트인 WA6의 변화로부터 제1, 제2메모리(216,218)의 데이타 저장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제1, 제2준비신호 RDY1, RDY2와, 플래그 신호 RDY_FLG와, 인터럽트 신호 RDY_INT를 송수신모드신호 TX/RX에 따라 발생한다. 제1, 제2준비신호 RDY1, RDY2는 각각 제1, 제2메모리(214,216)의 데이타 저장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이고, 플래그 신호 RDY_FLG는 CPU(100) 또는 DSP(104)중 수신모드인 프로세서에게 리드시작을 알리기 위한 신호이며, 인터럽트 신호 RDY_INT는 CPU(100) 또는 DSP(104)중 송신모드인 프로세서에게 라이트시작을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The state detection circuit 206 stores the data storage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6 and 218 from the change of RA6,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bit of the read address RA [6: 0], and WA6,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bit of the write address WA [6: 0]. The first and second ready signals RDY1 and RDY2, the flag signals RDY_FLG, and the interrupt signal RDY_INT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signals TX / RX. The first and second ready signals RDY1 and RDY2 are signals indicating data storage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respectively, and the flag signal RDY_FLG is read to the processor in the receiving mode of the CPU 100 or the DSP 104. A signal for notifying the start, and the interrupt signal RDY_INT is a signal for notifying the write start to the processor in the transmission mode of the CPU 100 or the DSP 104.

제1어드레스 선택회로(208)는 6비트의 리드 어드레스 RA[5 : 0]와 6비트의 라이트 어드레스 WA[5 : 0]와 CPU(100)의 어드레스버스상의 6비트의 어드레스 SA[5 : 0]중 하나를 시험모드신호 TEST와 제1준비신호 RDY1에 의해 선택하여 제1메모리(214)에 인가한다.The first address selection circuit 208 has a six-bit read address RA [5: 0], a six-bit write address WA [5: 0], and a six-bit address SA [5: 0] on the address bus of the CPU 100. ] Is selected by the test mode signal TEST and the first preparation signal RDY1 and applied to the first memory 214.

제2어드레스 선택회로(210)는 리드 어드레스 RA[5:0]와 라이트 어드레스 WA[5:0]와 CPU(100)의 어드레스 SA[5:0]중 하나를 시험모드신호 TEST와 제2준비신호 RDY2에 의해 선택하여 제2메모리(216)에 인가한다.The second address selection circuit 210 sets one of the read address RA [5: 0], the write address WA [5: 0], and the address SA [5: 0] of the CPU 100 to the test mode signal TEST and the second preparation. The signal is selected by the signal RDY2 and applied to the second memory 216.

데이타 선택회로(212)는 송, 수신모드와 시험모드중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CPU(100)의 데이타버스 SD[15 : 0]와 DSP(104)의 데이타버스 DSP_BUS[15 : 0]중 하나의 데이타 버스상의 데이타를 선택하여 제1, 제2메모리(214,216)에 인가한다. 데이타 선택회로(211)는 CPU 선택신호 CPU_SEL와 DSP 라이트신호 DSP_WR에 의해 데이타버스 SD[15 : 0]와 데이타버스 DSP_BUS[15 : 0]중 하나의 데이타 버스상의 데이타를 선택한다.The data selection circuit 212 is configured to select one of the data bus SD [15: 0] of the CPU 100 and the data bus DSP_BUS [15: 0] of the DSP 104 in response to the mode selected among the transmission, reception, and test modes. Data on the data bus is selected and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The data selection circuit 211 selects data on one of the data buses SD [15: 0] and data bus DSP_BUS [15: 0] by the CPU selection signal CPU_SEL and the DSP write signal DSP_WR.

메모리 제어회로(220)는 선택된 송, 수신모드와 리드 어드레스 및 라이트 어드레스에 의해 제1, 제2메모리(214,216)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며 출력선택회로(218)를 제어한다. 메모리 제어회로(220)는 CPU 선택신호 CPU_SEL, DSP 리드선택신호 DSP_RD_SEL, 리드 어드레스 RA6, 라이트 어드레스 WA6, CPU 리드신호 CPU_RD, DSP 리드신호 DSP_RD, CPU 라이트신호 CPU_WR, DSP 라이트신호 DSP_WR, CPU(100)의 어드레스버스 SA6, 시험모드신호 TEST에 의해 제1, 제2램인에이블신호 RAMEN1, RAMEN2와 제1, 제2라이트인에이블신호 WE1, WE2를 발생한다. 제1램인에이블신호 RAMEN1와 제1라이트인에이블신호 WE1는 제1메모리(214)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고 제2램인에이블신호 RAMEN2와 제2라이트인에이블신호 WE2는 제2메모리(216)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The memory control circuit 220 controls the operation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and the output selection circuit 218 according to the selected song and reception mode and the read address and the write address. The memory control circuit 220 includes the CPU selection signal CPU_SEL, the DSP read selection signal DSP_RD_SEL, the read address RA6, the write address WA6, the CPU read signal CPU_RD, the DSP read signal DSP_RD, the CPU write signal CPU_WR, the DSP write signal DSP_WR, and the CPU 100. The first and second RAM enable signals RAMEN1 and RAMEN2 and the first and second write enable signals WE1 and WE2 are generated by the address bus SA6 and the test mode signal TEST. The first RAM enable signal RAMEN1 and the first write enable signal WE1 are signals for controlling the first memory 214, and the second ram enable signal RAMEN2 and the second write enable signal WE2 are used to control the second memory 216. This signal is for

출력선택회로(218)는 제1, 제2메모리(214,216)중 리드모드로 동작되는 하나의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16비트의 데이타를 리드선택신호 RD_SEL에 의해 선택하여 CPU(100)와 DSP(104)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데이타버스 DO[15 : 0]상에 인가된다. 출력선택회로(218)는 멀티플렉서를 사용하며 리드선택신호 RD_SEL이 로우로 인가될 경우에는 제1메모리(21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선택하고 리드선택신호 RD_SEL이 하이로 인가될 경우에는 제2메모리(21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선택한다.The output selection circuit 218 selects the 16-bit data output from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in the read mode by the read select signal RD_SEL to select the CPU 100 and the DSP 104. It is applied on the data bus DO [15: 0], which is provided in common. The output selection circuit 218 uses a multiplexer. When the read select signal RD_SEL is applied low, the output select circuit 218 selects data output from the first memory 214 and when the read select signal RD_SEL is applied high, the second memory ( 216) select the data to be output.

제3도는 제2도중 모드선택회로(200)의 상세회로도로서, 인버터(300)와 앤드게이트(302)와 오아게이트(304)로 구성한다.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mode selection circuit 200 in FIG. 2 and includes an inverter 300, an end gate 302, and an ora gate 304.

제4도는 제2도중 제1어드레스 발생회로(202)의 상세회로도로서, 멀티플렉서(400)와 카운터(402)로 구성한다.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address generation circuit 202 of FIG. 2 and includes a multiplexer 400 and a counter 402.

제5도는 제2도중 제2어드레스 발생회로(204)의 상세회로도로서, 멀티플렉서(500)와 카운터(502)로 구성한다.FIG. 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second address generation circuit 204 in FIG. 2 and includes a multiplexer 500 and a counter 502.

제6도는 제2도중 상태표시회로(206)의 상세회로도로서, 인버터(600,608,620,628,634)와, 플립플롭(602,604,610,612,618,624,632,638,642)과, 낸드게이트(606,614)와, 앤드게이트(616,622,630,634)와, 오아게이트(626,640)와, 멀티플렉서(642)로 구성한다. 클럭신호 CLK는 16MHz의 주파수를 가진다.FIG. 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state display circuit 206 of FIG. And a multiplexer 642. The clock signal CLK has a frequency of 16 MHz.

제7도는 제2도중 제1어드레스 선택회로(208)의 상세회로도로서, 멀티플렉서(700,702)로 구성한다.FIG. 7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address selection circuit 208 of FIG. 2 and includes multiplexers 700 and 702.

제8도는 제2도중 제2어드레스 선택회로(210)의 상세회로도로서, 멀티플렉서(800,802)로 구성한다.FIG. 8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second address selection circuit 210 of FIG. 2 and includes multiplexers 800 and 802.

제9도는 제2도중 데이타 선택회로(212)의 상세회로도로서, 래치회로(900)와, 멀티플렉서(902)로 구성한다.9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data selection circuit 212 in FIG. 2 and includes a latch circuit 900 and a multiplexer 902.

제10도는 제2도중 메모리제어회로(220)의 상세회로도로서, 인버터(1000,1002,1010,1012,1026)와 멀티플렉서(1004,1006,1014,1016,1024)와, 디멀티플렉서(1008,1018)와 오아게이트(1020,1022,1028,1030)로 구성한다.FIG. 10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memory control circuit 220 of FIG. 2. The inverters 1000, 1002, 1010, 1012, and 1026, the multiplexers 1004, 1006, 1014, 1016, and 1024, and the demultiplexers 1008 and 1018 are illustrated in FIG. And OA gates 1020, 1022, 1028, and 1030.

상기한 제4도 내지 제10도에서 멀티플렉서(400,500,642,700,702,800,802,902,1004,1006,1014,1016,1024)는 선택단자 S에 인가되는 신호가 로이일 경우에는 입력단자 A에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선택단자 S에 인가되는 신호가 하이일 경우에는 입력단자 B에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1008,1018)는 선택단자 S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일 경우에는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단자 Q0를 통해 출력하고 선택단자 S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일 경우에는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단자 Q1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POR는 전원 온 리셋트신호로서 카운터(402,502)와 플립플롭(602,604,610,612,618,624,632,638,642)을 로우로 초기화하기 위한 신호이다.In FIGS. 4 through 10, the multiplexers 400, 500, 642, 700, 702, 800, 802, 902, 1004, 1006, 1014, 1016, 1024 select and output a signal input to the input terminal A when the signal applied to the selection terminal S is Roy. When the signal applied to the terminal S is high, the signal input to the input terminal B is selected and output. In addition, the demultiplexers 1008 and 1018 output the input signal through the output terminal Q0 when the signal input to the selection terminal S is low, and output the input signal when the signal input to the selection terminal S is low, the output terminal Q1. Output through The unsigned POR is a signal for initializing the counters 402 and 502 and the flip-flops 602, 604, 610, 612, 618, 624, 632, 638 and 642 as low power-on reset signal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도 내지 제10도의 동작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example of FIGS. 2 to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본 발명의 동작모드는 DSP(104)로부터 CPU(100)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모드와, CPU(100)로부터 DSP(104)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모드와, 제1, 제2메모리(214,216)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모드로 구분된다. 이러한 동작모드는 신호 송수신모드신호 TX/RX와 시험모드신호 TEST에 의해 구분되며 모드선택회로(200)에 의해 선택되는데, 이 신호들은 CPU(100)의 초기화 레지스터에 기록해 놓음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동작모드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First, the operation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e for transferring data from the DSP 104 to the CPU 100, a mode for transferring data from the CPU 100 to the DSP 104, and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It is divided into test mode for testing. The operation mode is divided by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signal TX / RX and the test mode signal TEST, and is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circuit 200. These signals can be set by recording in the initialization register of the CPU 100. Hereinafter, each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첫번째로 CPU(100)에 의해 제1, 제2메모리(214,216)를 시험할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CPU(100)는 시험모드신호 TEST를 하이로 발생하고, 제1, 제2메모리(214,216)에 데이타를 라이트한 후 리드함으로써 제1, 제2메모리(214,216)를 직접 시험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are tested by the CPU 100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the CPU 100 generates the test mode signal TEST high, and writes data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and then reads the data, thereby directly testing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

CPU(100)는 어드레스버스 SA[6 : 0]중 최상위 비트 SA6에 의해 메모리 제어회로(220)을 통해 제1, 제2메모리(214,216)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SA6이 로우일 경우에는 제1메모리(214)가 선택되고 SA6이 하이일 경우에는 제2메모리(216)가 선택된다. CPU(100)는 제2어드레스 발생회로(204)에 인가하는 CPU 라이트 신호 CPU_WR에 의해 제1, 제2메모리(214,216)에 각각 64워드까지 워드단위로 계속적으로 라이트한 후, 제1어드레스 발생회로(202)에 인가하는 CPU 리드신호 CPU_RD에 의해 리드함으로써 제1, 제2메모리(214,216)를 시험한다. 이때 제1, 제2메모리(214,216)에 데이타를 리드 또는 라이트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은 제11a도 및 제11b도와 같아, 제11a도는 라이트 사이클(write cycle)시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것이고, 제11b도는 리드 사이클(read cycle)시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램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것이다.The CPU 100 select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through the memory control circuit 220 by the most significant bit SA6 of the address bus SA [6: 0]. If memory 214 is selected and SA6 is high, second memory 216 is selected. The CPU 100 continuously writes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in word units up to 64 words, respectively, by the CPU write signal CPU_WR applied to the second address generation circuit 204, and then the first address generation circuit.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are tested by reading with the CPU read signal CPU_RD applied to 202. At this time, the operation timing for reading or writing data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is the same as those in FIGS. 11a and 11b. FIG. 11a shows the operation timing during a write cycle. The operation timing at the read cycle is shown, and the operation timing of the conventional RAM as described above is shown.

두번째로 DSP(104)로부터 CPU(100)로 데이타를 전송할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CPU(100)는 시험모드신호 TEST를 로우로 송수신모드신호 TX/RX를 하이로 발생함으로써 모드선택회로(200)에 의해 DSP(104)는 송신모드가 되고 CPU(100)는 수신모드가 된다.Secondly, a case of transferring data from the DSP 104 to the CPU 100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the CPU 100 generates the test mode signal TEST low and the transmit / receive mode signal TX / RX high, so that the DSP 104 enters the transmission mode by the mode selection circuit 200 and the CPU 100 receives the reception mode. do.

먼저 DSP(104)는 제2어드레스 발생회로(204)에 인가하는 DSP 라이트신호 DSP_WR을 이용하여 8KHz마다 전송할 데이타를 제1메모리(214) 또는 제2메모리(216)에 라이트한다. 이때 제1메모리(214)가 충만(full)상태가 되기 전까지 즉, 라이트 어드레스 WA6가 로우로 되어 있는 동안 메모리 제어회로(220)의 제1램인에이블신호 RAMEN1만 인에이블되며, 제2램인에이블신호 RAMEN2는 로우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1메모리(214)에만 데이타가 라이트되게 된다. 계속하여 64워드를 라이트하게 되면 제1메모리(214)는 충만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태검출회로(206)의 제1준비신호 RDY1가 하이가 됨에 따라 플래그신호 RDY_FLG도 하이가 되어 CPU(100)에 인가됨으로써 CPU(100)에게 제1메모리(214)의 충만상태를 알리게 된다. DSP(104)가 계속 제1메모리(214)에 라이트하여 65번째 라이트하면 자동적으로 라이트 어드레스 WA6가 하이가 되므로 제2램인에이블신호 RAMEN2가 인에이블됨으로써 제2메모리(216)에 데이타를 라이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DSP(104)는 라이트하는 워드수를 카운팅하지 않고 무조건 라이트만 하면 되므로 부담을 덜어줄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DSP(104)는 CPU(100)에 비해 속도가 느리므로 무조건 라이트만 하면 된다.First, the DSP 104 write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memory 214 or the second memory 216 every 8 KHz by using the DSP write signal DSP_WR applied to the second address generation circuit 204. At this time, only the first RAM enable signal RAMEN1 of the memory control circuit 220 is enabled until the first memory 214 becomes full, that is, while the write address WA6 is low, and the second RAM enable signal. Since RAMEN2 is kept low, data is written only to the first memory 214. If 64 words are written continuously, the first memory 214 becomes full. Then, as the first preparation signal RDY1 of the state detection circuit 206 becomes high, the flag signal RDY_FLG also becomes high and is applied to the CPU 100 to notify the CPU 100 of the full state of the first memory 214. When the DSP 104 continuously writes to the first memory 214 and writes the 65th write, the write address WA6 automatically becomes high. Therefore, the second RAM enable signal RAMEN2 is enabled to write data to the second memory 216. Will be. Accordingly, since the DSP 104 only needs to write unconditionally without counting the number of words to be written, the burden can be reduced. In general, since the DSP 104 is slower than the CPU 100, the DSP 104 only needs to be written unconditionally.

CPU(100)는 제1준비신호 RDY1 또는 제2준비신호 RDY2가 하이로 됨에 따른 하이의 플래그신호 RDY_FLG에 의해 리드를 하게 된다. CPU(100)의 입장에서도 제1, 제2메모리(214,216)중 어느 메모리를 리드하는지 몰라도 자동적으로 내부의 리드 어드레스 RA[5 : 0]가 지정되므로 부담이 없다. CPU(100)가 제1메모리(214)를 모두 리드하면 리드 어드레스 RA6가 하이가 되고 클럭신호 CLK에 의해 상태검출회로(206)의 제1리셋트신호 RST1가 로우로 떨어져 라이트 어드레스 WA6에 의해 하이로 유지되어 있던 제1준비신호 RDY1를 로우로 만들어준다.The CPU 100 reads by the flag signal RDY_FLG of high as the first preparation signal RDY1 or the second preparation signal RDY2 becomes high. Even if the CPU 100 does not know which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to read, there is no burden because the internal read address RA [5: 0] is automatically assigned. When the CPU 100 reads all of the first memory 214, the read address RA6 becomes high and the first reset signal RST1 of the state detection circuit 206 falls low due to the clock signal CLK, causing the read address WA6 to become high. Makes the first ready signal RDY1 held low to low.

여기서 상태검출회로(206)의 제1, 제2준비신호 RDY1, RDY2는 초기에 로우이므로 처음에는 라이트 어드레스 WA[5 : 0]에 의해 어드레스를 지정하다가 라이트 어드레스 WA6가 하이가 되면 제1준비신호 RDY1가 하이가 되고 이때부터 제1메모리(214)를 리드할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first and second ready signals RDY1 and RDY2 of the state detection circuit 206 are initially low, the address is first designated by the write address WA [5: 0], and then the first ready signal when the write address WA6 becomes high. RDY1 becomes high and from this point on, the first memory 214 is ready to be read.

상기한 바와 같이 DSP(104)로부터 CPU(100)로 데이타를 전송할 경우의 동작 타이밍도를 보이면 제12a도와 같이 된다.As shown in FIG. 12, the operation timing chart when transferring data from the DSP 104 to the CPU 100 is as shown in FIG. 12A.

세번째로 CPU(100)로부터 DSP(104)로 데이타를 전송할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CPU(100)는 시험모드신호 TEST를 로우로 송수신모드신호 TX/RX를 로우로 발생함으로써 모드선택회로(200)에 의해 CPU(100)는 송신모드가 되고 DSP(104)는 수신모드가 된다. 이때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한 두번째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Third, a case of transferring data from the CPU 100 to the DSP 104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the CPU 100 generates the test mode signal TEST low and the transmit / receive mode signal TX / RX low, so that the CPU 100 enters the transmission mode by the mode selection circuit 200 and the DSP 104 enters the reception mode. do. At this time, the basic operation is the same as the second.

우선 CPU(100)가 동작모드를 선택한 후 64워드만큼 데이타를 라이트하면 상태검출회로(206)의 플래그신호 RDY_FLG가 하이로 된다. DSP(104)는 플래그신호 RDY_FLG를 주기적으로 계속 폴링(polling)하다가 하이로 액티브되면 제1메모리(214) 또는 제2메모리(216)에 데이타가 차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때부터 8KHz마다 데이타를 리드해 나간다.First, when the CPU 100 selects the operation mode and writes data for 64 words, the flag signal RDY_FLG of the state detection circuit 206 becomes high. The DSP 104 periodically polls the flag signal RDY_FLG and if it is active high, the DSP 104 considers the data to be filled in the first memory 214 or the second memory 216, and then reads data every 8 KHz. I'm going.

이때 CPU(100)는 DSP(104)가 제1메모리(214)를 액세스하는 동안이라도 제2메모리(216)에 데이타를 라이트할 수 있다. 이때 DSP(104)가 리드하는 속도가 느리므로 CPU(100)는 제1, 제2메모리(214,216)에 데이타를 모두 라이트한 후 다른 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DSP(104)가 제1, 제2메모리(214,216)에 저장된 데이타를 모두 리드해 가면, 상태검출회로(206)에서는 CPU(100)에게 제1, 제2메모리(214,216)가 비어 있음을 알리는 하이의 인터럽트 신호 RDY_INT가 발생된다. 그러면 CPU(100)는 그때부터 데이타를 다시 라이트하기 시작한다.In this case, the CPU 100 may write data to the second memory 216 even while the DSP 104 accesses the first memory 214. At this time, since the speed of reading by the DSP 104 is slow, the CPU 100 can continue to perform other tasks after writing all the data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When the DSP 104 reads all data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the state detection circuit 206 informs the CPU 100 that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214 and 216 are empty. Interrupt signal RDY_INT is generated. The CPU 100 then starts writing data again from then on.

상기한 바와 같이 CPU(100)로부터 DSP(104)로 데이타를 전송할 경우의 동작 타이밍도를 보이면 제12b도와 같이 된다.As shown in FIG. 12, the operation timing diagram when data is transferred from the CPU 100 to the DSP 104 is show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처리속도가 서로 다른 두개의 프로세서간에 이중포트 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각각의 업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데이타 통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모리에 대한 리드/라이트 상태를 두개의 프로세서에 알림으로써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wo processors having different processing speeds without affecting each task without using dual port RAM, as well as providing two read / write states to the memory. It is an advantage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by notifying the processor.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PU와 DSP간에 데이타를 전송할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처리속도가 서로 다른 두개의 프로세서간에는 특별한 변형없이 적용된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이해 정하여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s the case of transferring data between the CPU and the DSP, it is applied without special modification between two processors having different processing speeds.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as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Claims (8)

서로 다른 처리속도를 가지는 두개의 제1, 제2프로세서간에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에 있어서, 각각 일정한 크기의 메모리 영역을 가지며 단일의 입출력 포트를 가지는 제1, 제2메모리수단과, 상기 제1, 제2프로세서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가되는 모드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제2프로세서의 송, 수신모드를 서로 대응되게 선택하는 모드선택수단과, 상기 제1, 제2프로세서중 송신모드로 선택된 프로세서의 요구에 의해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으로부터 데이타를 리드하기 위한 리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1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상기 제1, 제2프로세서중 수신모드로 선택된 프로세서의 요구에 의해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에 데이타를 라이트하기 위한 라이트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2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상기 리드 어드레스와 라이트 어드레스의 변화로부터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의 데이타 저장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제1, 제2프로세서에 알리는 상태검출수단과, 상기 리드 어드레스와 라이트 어드레스중 하나를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의 데이타 저장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에 각각 인가하는 제1, 제2어드레스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제1, 제2프로세서의 데이타버스중 하나의 데이타버스상의 데이타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에 인가하는 데이타 선택수단과,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중 리드모드로 동작되는 하나의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제2프로세서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데이타버스상에 인가하는 출력선택수단과, 상기 선택된 송, 수신모드와 상기 리드 어드레스 및 라이트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며 상기 출력선택수단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An interprocessor data communication circuit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two first and second processors having different processing speed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each having a constant size memory area and having a single input / output port; Mode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y a mode signal applied from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and transmission of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A first address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read address for reading data from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according to a request of a processor selected as a mode, and a request of a processor selected as a reception mode among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Second address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write address for writing data to said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Stat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data storage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from the change of the write address and informing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and one of the read address and the write address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y. Data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ddress selecting means selected according to the data storage state of the means and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and the data bus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cessor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ode. A data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data on a bus and applying it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and selecting data output from one memory means operated in a read mode among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Output selection means for applying on a data bus commonly provided to a second processor, the selected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and the read address and write address. And memory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s of said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and controlling said output select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검출수단이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의 충만상태와 빈 상태를 검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The inter-processor data communication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state detecting means detects a full state and an empty state of said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어드레스 선택수단이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중 각각 대응하는 메모리수단이 빈 상태를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를 선택하며 충만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리드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ddress selecting means selects the write address when the memory mea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indicates an empty state. An interprocessor data communication circuit for selecting a read addres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이 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4. The interprocessor data communication circu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said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are RAM. 서로 다른 처리속도를 가지는 CPU와 DSP간에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에 있어서, 각각 일정한 크기의 메모리 영역을 가지며 단일의 입출력 포트를 가지는 제1, 제2메모리수단과, 상기 CPU로부터 인가되는 모드신호에 의해 상기 CPU와 DSP의 서로 대응되는 송, 수신모드와 시험모드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수단과, 상기 CPU와 DSP중 송신모드로 선택된 프로세서의 요구에 의해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으로부터 데이타를 리드하기 위한 리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1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상기 CPU와 DSP중 수신모드로 선택된 프로세서의 요구에 의해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에 데이타를 라이트하기 위한 라이트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2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상기 리드 어드레스와 라이트 어드레스의 변화로부터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의 데이타 저장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CPU와 DSP에 알리는 상태검출수단과, 상기 리드 어드레스와 라이트 어드레스와 상기 CPU의 어드레스버스상의 어드레스중 하나를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의 데이타 저장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에 각각 인가하는 제1, 제2어드레스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CPU와 DSP의 데이타버스중 하나의 데이타버스상의 데이타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에 인가하는 데이타 선택수단과,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중 리드모드로 동작되는 하나의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선택하여 상기 CPU와 DSP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데이타버스상에 인가하는 출력선택수단과, 상기 선택된 송, 수신모드와 상기 리드 어드레스 및 라이트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며 상기 출력선택수단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An interprocessor data communication circuit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a CPU and a DSP having different processing speeds,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size memory area and having a single input / output port, and applied from the CPU. Mode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one of a transmission, reception mode, and a test mod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CPU and the DSP by the mode signal,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according to a request of a processor selected as a transmission mode among the CPU and the DSP. First address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read address for reading data from the memory means, and a write address for writing data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at the request of a processor selected as a reception mode among the CPU and DSP; Second address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first address, and the first and second memos from the change of the read address and the write address. Status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data storage state of the means and informing the CPU and DSP, and one of the read address, the write address, and the address on the address bus of the CPU according to the data storage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First and second address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nd applying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respectively, and selecting data on one data bus of a data bus of a CPU and a DSP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ode. Data selection means applied to the second memory means and data output from one memory means operated in the read mode among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are selected to be provided on the data bus commonly provided to the CPU and DSP.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are moved by the output selection means to be applied, the select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 and the read address and write address. A control mode, and inter-processor data communication circuit comprising: a memory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utput selection mea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검출수단이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의 충만상태와 빈 상태를 검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6. The inter-processor data communication circuit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said state detecting means detects a full state and an empty state of said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어드레스 선택수단이 상기 제1, 제2메모리수단중 각각 대응하는 메모리수단이 빈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라이트 어드레스를 선택하며 충만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리드 어드레스를 선택하며 시험모드로 선택된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CPU의 제어신호에 의해 CPU의 어드레스버스상의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ddress selecting means selects the write address when the memory mea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indicates an empty state. And selecting an address on the address bus of the CPU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PU when the read address is selected and the test mode is selec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제1, 제2메모리수단이 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간 데이타 통신회로.8. The interprocessor data communication circui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said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are RAM.
KR1019940021280A 1994-08-27 1994-08-27 Inter data communication processor KR01856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280A KR0185601B1 (en) 1994-08-27 1994-08-27 Inter data communication proc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280A KR0185601B1 (en) 1994-08-27 1994-08-27 Inter data communication proces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5601B1 true KR0185601B1 (en) 1999-05-15

Family

ID=1939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280A KR0185601B1 (en) 1994-08-27 1994-08-27 Inter data communication proc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6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535B1 (en) * 2002-12-30 2010-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transmitting dat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535B1 (en) * 2002-12-30 2010-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transmittin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8227A (en) Paged memory mapping with elimination of recurrent decoding
JP3105223B2 (en) Debug peripherals for microcomputers, microprocessors and core processor integrated circuits
US7949863B2 (en) Inter-port communication in a multi-port memory device
JP3136257B2 (en) Computer memory interface device
US6219720B1 (en) Core logic unit with internal register for peripheral status
US81841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rect interface with enhanced programmable direct port
US77838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al broadcast of barrier operations
CA1171968A (en) Microprocessor architecture having internal access means
JP2695017B2 (en) Data transfer method
US9274860B2 (en) Multi-processor device and inter-proc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5467461A (en) Multiprocessor computer system having bus control circuitry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microcomputers
JPH0271344A (en) Micro-computer-system
US5933613A (en) Computer system and inter-bus control circuit
KR0185601B1 (en) Inter data communication processor
EP0701216B1 (en)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a high speed burst access
US6374320B1 (en) Method for operating core logic unit with internal register for peripheral status
US6647450B1 (en) Multiprocessor computer systems with command FIFO buffer at each target device
US5586336A (en) Microcomputer capable of monitoring internal resources from external
US7240144B2 (en) Arbitration of data transfer requests
EP0333231B1 (en) Microcomputer system capable of accessing to memory at high speed
US20050259106A1 (en) Intelligent wait methodology
US7228367B2 (en)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for carrying out data transfer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burst access can be utilized in an external bus and access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52690B1 (en) Multi processor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3077807B2 (en) Microcomputer system
JPH09311812A (en) Micro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