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349B1 -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different processor modules - Google Patents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different processor modu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349B1
KR0183349B1 KR1019960066922A KR19960066922A KR0183349B1 KR 0183349 B1 KR0183349 B1 KR 0183349B1 KR 1019960066922 A KR1019960066922 A KR 1019960066922A KR 19960066922 A KR19960066922 A KR 19960066922A KR 0183349 B1 KR0183349 B1 KR 0183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ad
write
outpu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48352A (en
Inventor
안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349B1/en
Publication of KR19980048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3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34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 사이에 데이타를 주고 받는 경우 해당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인터페이싱하여 전달하도록 하는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terface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for efficiently interfacing and transferring data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종래에는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에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 모듈의 기종이 상이함에 기인하여 프로세서 모듈의 데이타 송수신 속도가 상이하여 송신측과 수신측의 프로세서 모듈이 데이타 송수신을 효율적으로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related art,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peed of the processor module is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t types of processor modules, so that the processor module of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cannot efficiently transmit and receive data. have.

본 발명은 데이타 송수신 속도가 상이한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 사이에 데이타를 주고 받는 경우 해당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인터페이싱하여 전달하므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데이타 송수신을 신뢰성 있게 할 수 있게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having differen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ates, the data can be efficiently interfaced and transmitt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liably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processor modules.

Description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본 발명은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 사이에 데이타를 주고 받는 경우 해당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인터페이싱하여 전달하도록 하는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terface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for efficiently interfacing and transferring data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일반적으로 전자교환기 등의 시스템에는 다수의 프로세서 모듈을 구비하여 해당 프로세서 모듈간에 데이타를 송수신하면서 주워진 기능을 수행한다.In general, a system such as an electronic exchang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or modules to perform a given function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rresponding processor modules.

종래에는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에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 모듈의 기종이 상이함에 기인하여 프로세서 모듈의 데이타 송수신 속도가 상이하여 송신측과 수신측의 프로세서 모듈이 데이타 송수신을 효율적으로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related art,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peed of the processor module is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t types of processor modules, so that the processor module of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cannot efficiently transmit and receive data. hav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데이타 송수신 속도가 상이한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 사이에 데이타를 주고 받는 경우 해당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인터페이싱하여 전달함으로써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데이타 송수신을 신뢰성 있게 하도록 하는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having differen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peeds,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processor modules can be reliably transmitted by interfacing the data efficient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프로세서 모듈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하는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에 있어서, 인가받은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1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타를 기록 데이타로서 출력하고, 독출 데이타를 인가받아 출력 데이타로서 상기 제1 프로세서 모듈측에 출력하는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와; 상기 제1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출력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 측에 출력하고, 독출 선택 어드레스와 기록 선택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와; 상기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로부터 인가되는 기록 데이타를 래치하여 인가받은 독출 선택 어드레스에 따라 선택하여 독출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와; 인가되는 기록 데이타를 래치하여 상기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로부터 인가되는 독출 선택 어드레스에 따라 선택하여 독출 데이타로서 상기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 측에 출력하는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와; 인가받은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2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타를 기록 데이타로서 상기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 측에 출력하고, 상기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로 부터 독출 데이타를 인가받아 출력 데이타로서 상기 제2 프로세서 모듈측에 인가하는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와; 상기 제2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출력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 측에 출력하고, 독출 선택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상기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 측에 출력하고, 기록 선택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상기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 측에 출력하는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데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processor modules for interfac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processor modules, the input being applied from a first processor module by operating according to an output control signal. A first data bus controller which outputs data as write data and receives read data and outputs the output data to the first processor module; A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the output control signal to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according to an address applied from the first processor module,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ead selection address and a write selection address; A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section for latching write data applied from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and selecting the read data according to an applied read selection address and outputting the read data as read data; A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section for latching applied write data, selecting the read data according to a read select address applied from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read data to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as read data;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applied output control signal, the input data applied from the second processor module is output as write data to 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section, and read from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section. A second data bus controller which receives data and applies the output data to the second processor module side; According to the address applied from the second processor module, an outpu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side, a read selection address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unit side, And a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for generating a write select address and outputting the write select address to 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타 송수신 속도가 상이한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 사이에 데이타를 주고 받는 경우 해당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인터페이싱하여 전달하므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데이타 송수신을 신뢰성 있게 할 수 있게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having differen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ates, the data can be efficiently interfaced and transmitt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liably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processor module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를 도시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의 구성도.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bus controllers shown in FIG. 1; FIG.

도3은 도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의 구성도.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s shown in FIG. 1; FIG.

도4는 도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의 구성도.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s shown in FIG. 1;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a, 10b : 제1 및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 10b: first and second data bus controllers

20a, 20b : 제1 및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 20b: first and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s

30a, 30b : 제1 및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 30b: first and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s

BF1, BF2 : 제1 및 제2 버퍼부BF1, BF2: first and second buffer sections

CL : 조합로직부 RS0∼RSm-1 : 레지스터CL: Combination logic section RS0 to RSm-1: Register

DSL : 데이타 선택부 SLEN : 선택 인코더부DSL: Data selector SLEN: Select encoder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 10b), 제1 및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 20b), 제1 및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 30b)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는 데이타 버스를 통해 제1 프로세서 모듈(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측에 송수신되는 데이타(D)의 입출력을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OTE)에 따라 제어하는데, 제1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기록 데이타(WD)로서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측에 출력하고,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b)로 부터 독출 데이타(RD)를 인가받아 데이타(D)로서 제1 프로세서 모듈측에 출력한다.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는 제1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ADD)에 따라, 출력제어신호(OTE)를 발생하여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측에 출력함과 동시에 독출 선택 어드레스(RSAD)를 발생하여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b)측에 출력하고, 기록 선택 어드레스(WSAD)를 발생하여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측에 출력한다. 또한,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는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로부터 인가되는 기록 데이타(WD)를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로 부터의 기록 선택 어드레스(WSAD)에 따라 래치하여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b)로부터 인가되는 독출 선택 어드레스(RSAD)에 따라 선택하여 독출 데이타(RD)로서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b)측에 출력한다.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b)는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b)로부터 인가되는 기록 데이타(WD)를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b)로 부터의 기록 선택 어드레스(WSAD)에 따라 래치하여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로부터 인가되는 독출 선택 어드레스(RSAD)에 따라 선택하여 독출 데이타(RD)로서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측에 출력한다. 한편,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b)는 데이타 버스를 통해 제2 프로세서 모듈(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측에 송수신되는 데이타(D)의 입출력을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b)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OTE)에 따라 제어하는데, 제2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D)를 기록 데이타(WD)로서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b)측에 출력하고,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로 부터 독출 데이타(RD)를 인가받아 데이타(D)로서 제2 프로세서 모듈측에 출력한다.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b)는 제2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ADD)에 따라, 출력제어신호(OTE)를 발생하여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b)측에 출력함과 동시에 독출 선택 어드레스(RSAD)를 발생하여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측에 출력하고, 기록 선택 어드레스(WSAD)를 발생하여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b)측에 출력한다.The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the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data bus controllers 10a and 10b, the first and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s 20a and 20b, and the first and second data bus controllers as shown in FIG. And first and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s 30a and 30b.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controls output from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a to input / output of data D transmitted / received to the first processor module (not shown) via the data bus. In order to control according to the signal OTE, the data applied from the first processor module is output as the write data WD to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a, and 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Read data RD is received from 30b, and output as read data D to the first processor module side.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a generates an output control signal OTE according to the address ADD applied from the first processor module, outputs it to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and simultaneously selects a read. The address RSAD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b, and the write select address WSAD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a.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a also writes the write data WD applied from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from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a. (L) and selects according to the read select address (RSAD) applied from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b) and outputs the read data (RD) to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side. 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b transfers the write data WD applied from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to the write select address WSAD from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b. By latching accordingly, the data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ad selection address RSAD applied from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a and output as read data RD to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receives input / output of data D transmitted / received to the second processor module (not shown) from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b via the data bus.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control signal OTE, the data D applied from the second processor module is output as the write data WD to 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b, and the first data latch is generated. The read data RD is received from the read select logic unit 30a and output as the data D to the second processor module.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b generates an output control signal OTE according to the address ADD applied from the second processor module, outputs it to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and simultaneously selects a read. The address RSAD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a, and the write select address WSAD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b.

한편, 제1 및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 10b)의 각각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퍼부(BF1)와 제2 버퍼부(BF2)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제1 버퍼부(BF1)는 제1 또는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30b)로부터 인가되는 독출데이타(RD)를 제1 또는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20b)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OTE)에 따라 제1 또는 제2 프로세서 모듈측에 출력 데이타(D)로서 출력하고, 제2 버퍼부(BF2)는 제1 또는 제2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D)를 제1 또는 제2 기록/독출 콘트롤러(20a),(20b)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OTE)에 따라 제1 또는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30b)측에 기록 데이타(WD)로서 출력한다.Meanwhil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bus controllers 10a and 10b includes a first buffer unit BF1 and a second buffer unit BF2 as shown in FIG. 2. The first buffer unit BF1 may read the read data RD applied from the first or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units 30a and 30b to the first or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a, According to the output control signal OTE from 20b, the output is performed as output data D on the first or second processor module side, and the second buffer unit BF2 is applied from the first or second processor module. The first or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section 30a, 30b according to the output control signal OTE from the first or second write / read controllers 20a, 20b. Is output as the write data WD.

또한, 제1 및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 20b)의 각각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로직부(CL)로서 이루어 진다. 조합로직부(CL)는 제1 또는 제2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ADD)를 디코딩하여 기록 선택 어드레스(WSAD), 독출 선택 어드레스(RSAD) 및 출력제어신호(OTE)를 생성하여 출력한다.Furth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s 20a and 20b is constituted as a combination logic portion CL as shown in FIG. The combinational logic unit CL decodes an address ADD applied from the first or second processor module to generate and output a write select address WSAD, a read select address RSAD, and an output control signal OTE.

그리고, 제1 및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 30b)의 각각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레지스터(RS0∼RSm-1), 데이타 선택부(DSL) 및 선택 인코더부(SLEN)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레지스터(RS0∼RSm-1)는 데이타를 래치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1 또는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10b)로부터 인가되는 기록 데이타(WD)를 제1 또는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20b)로 부터의 기록 선택 어드레스(WSAD)에 따라 래치하여 출력 데이타(TMP)로서 데이타 선택부(DSL)측에 인가한다. 선택 인코더부(SLEN)는 제1 또는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20b)로 부터 인가되는 독출 선택 어드레스(RSAD)를 인코딩하여 생성된 독출 선택 신호(RSEL)를 데이타 선택부(DSL)측에 출력한다. 데이타 선택부(DSL)는 레지스터(RS0∼RSm-1)로부터 인가되는 출력 데이타(TMP)를 선택 인코더부(SLEN)로 부터의 독출 선택 신호(RSEL)에 따라 선택하여 제1 또는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10b)측에 독출 데이타(RD)로서 출력한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s 30a and 30b includes a plurality of registers RS0 to RSm-1, a data select section DSL, and a select encoder section as shown in FIG. It is made with (SLEN). The registers RS0 to RSm-1 latch the data, and write / write the write data WD applied from the first or second data bus controllers 10a and 10b to the first or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s. It latches in accordance with the write select addresses WSAD from (20a) and (20b), and applies them to the data selector DSL side as output data TMP. The selection encoder SLEN may read the read selection signal RSEL generated by encoding a read selection address RSAD applied from the first or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s 20a and 20b. Output to the DSL) side. The data selector DSL selects the output data TMP applied from the registers RS0 to RSm-1 in accordance with the read select signal RSEL from the select encoder section SLEN, so that the first or second data bus is selected. The data is output to the controllers 10a and 10b as read data RD.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The data interfac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예를들어, 제1 프로세서 모듈이 제2 프로세서 모듈측에 데이타를 송신하는 경우, 제1 프로세서 모듈은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타(D)를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측에 출력함과 동시에 어드레스(ADD)를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측에 출력하는데,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의 조합로직부(CL)는 어드레스(ADD)가 인가됨에 따라 하이레벨의 출력제어신호(OTE)를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측에 출력하고 기록 선택 어드레스(WSAD)를 발생하여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측에 출력한다. 이에따라,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의 제2 버퍼부(BF2)는 제1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D)를 받아들여 기록 데이타(WD)로서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측에 출력하고,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의 레지스터(RS0∼RSm-1)는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로부터 인가되는 기록 데이타(WD)를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로 부터의 기록 선택 어드레스(WSAD)에 따라 래치하여 데이타 선택부(DSL)측에 출력 데이타(TMP)로서 인가한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processor module transmits data to the second processor module side, the first processor module simultaneously outputs the data D to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side to transmit the data. The address ADD is output to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a. The combination logic unit CL of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a outputs a high level as the address ADD is applied. The control signal OTE is output to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side, the write select address WSAD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a side. Accordingly, the second buffer section BF2 of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receives the data D applied from the first processor module and receives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section 30a as the write data WD. The registers RS0 to RSm-1 of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 output the write data WD applied from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to the first data write / The data is latched in accordance with the write select address WSAD from the read controller 20a and applied to the data selector DSL side as output data TMP.

이때, 제2 프로세서 모듈로 부터의 어드레스(ADD)가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b)에 인가되면,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b)의 조합로직부(CL)는 어드레스(ADD)가 인가됨에 따라 로우레벨의 출력제어신호(OTE)를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b)측에 출력하고 독출 선택 어드레스(RSAD)를 발생하여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측에 출력한다. 이에따라, 제1 데이타 래치/독출 선택 로직부(30a)의 선택 인코더부(SLEN)가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b)로 부터의 독출 선택 어드레스(RSAD)를 인코딩하여 생성된 독출 선택 신호(RSEL)를 데이타 선택부(DSL)측에 출력하므로, 제1 데이타 래치/독출 선택 로직부(30a)의 데이타 선택부(DSL)가 레지스터(RS0∼RSm-1)로부터 인가되는 출력 데이타(TMP)를 선택 인코더부(SLEN)로 부터의 독출 선택 신호(RSEL)에 따라 선택하여 독출 데이타(RD)로서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b)측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b)의 제1 버퍼부(BF1)는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로부터 인가되는 독출 데이타(RD)를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b)로 부터의 로우레벨 출력제어신호(OTE)에 따라 제2 프로세서 모듈측에 출력 데이타(D)로서 출력한다.At this time, if the address ADD from the second processor module is applied to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b, the combination logic unit CL of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b is the address ADD. Is applied, the low level output control signal OTE is output to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side, and a read select address RSAD is generated to output to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a. do. Accordingly, the read select signal generated by encoding the read select address RSAD from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b by the selection encoder section SLEN of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a. RSEL) is outputted to the data selector DSL side, so that the data selector DSL of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unit 30a is applied from the registers RS0 to RSm-1.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ad select signal RSEL from the select encoder section SLEN and output as read data RD to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In addition, the first buffer unit BF1 of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receives the read data RD applied from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unit 30a to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b. The output signal D is output to the second processor module side in accordance with the low level output control signal OTE from.

즉, 제1 프로세서 모듈이 제2 프로세서 모듈측으로 데이타를 송신하는 경우에, 제1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출력된 송신 데이타는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 및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b)를 경유하여 제2 프로세서 모듈측에 인가되는데, 이때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가 제1 프로세서 모듈로 부터의 어드레스(ADD)에 따라 발생된 하이레벨의 출력제어신호(OTE)를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측에 출력함으로써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에 의해 제1 프로세서 모듈로 부터의 데이타를 받아들여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측에 출력하게하고,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a)는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로 부터의 기록 선택 어드레스(WSED)에 따라 해당 데이타를 래치하여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b)로 부터의 독출 선택 어드레스(RSAD)에 따라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b)측에 출력하고,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b)가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b)로부터 인가되는 로우레벨의 출력제어신호(OTE)에 따라 해당 데이타를 제2 프로세서 모듈측에 출력한다.That is, when the first processor module transmits data to the second processor module side, the transmission data output from the first processor module is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and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unit 30a. And a second level of the second processor module via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wherein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a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address ADD from the first processor module. Outputs an output control signal OTE to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to receive data from the first processor module by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so as to receive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section. Outputting to the 30a side, and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a latches th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write select address WSED from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a to generate the second data. day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outputs to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in accordance with the read select address RSAD from the write / read controller 20b, and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outputs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b. The data is output to the second processor module side according to the low level output control signal OTE applied from the second processor module.

또한, 제2 프로세서 모듈이 제1 프로세서 모듈측에 데이타를 송신하는 경우에, 제2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출력된 송신 데이타는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b),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b) 및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를 경유하여 제1 프로세서 모듈측에 인가되는데, 이때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b)가 제2 프로세서 모듈로 부터의 어드레스(ADD)에 따라 발생된 하이레벨의 출력제어신호(OTE)를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b)측에 출력함으로써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b)에 의해 제2 프로세서 모듈로 부터의 데이타를 받아들여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b)측에 출력하게하고,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30b)는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b)로 부터의 기록 선택 어드레스(WSED)에 따라 해당 데이타를 래치하여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로 부터의 독출 선택 어드레스(RSAD)에 따라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측에 출력하고,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10a)가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20a)로부터 인가되는 로우레벨의 출력제어신호(OTE)에 따라 해당 데이타를 제1 프로세서 모듈측에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processor module transmits data to the first processor module side, the transmission data output from the second processor module includes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and 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unit 30b. ) And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to the first processor module, where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b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address ADD from the second processor module. By outputting the output control signal OTE of the level to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side,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10b receives data from the second processor module to receive 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30b latches the data according to the write select address WSED from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b. 1 day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outputs the data to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according to the read select address RSAD from the write / read controller 20a, and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10a outputs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20a. The data is output to the first processor module side in accordance with the low level output control signal OTE applied from the controller.

따라서, 데이타 입출력 속도가 상이한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 사이에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경우 해당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인터페이싱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having different data input / output rates, the corresponding data may be efficiently interfac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타 송수신 속도가 상이한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 사이에 데이타를 주고 받는 경우 해당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인터페이싱하여 전달하므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데이타 송수신을 신뢰성 있게 할 수 있게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having differen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peeds, the data can be efficiently interfaced and transmitt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liably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processor modules.

Claims (7)

프로세서 모듈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하는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에 있어서,In the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the processor module for interfac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processor module, 인가받은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1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타를 기록 데이타로서 출력하고, 독출 데이타를 인가받아 출력 데이타로서 상기 제1 프로세서 모듈측에 출력하는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와; 상기 제1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출력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 측에 출력하고, 독출 선택 어드레스와 기록 선택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와; 상기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로부터 인가되는 기록 데이타를 래치하여 인가받은 독출 선택 어드레스에 따라 선택하여 독출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와; 인가되는 기록 데이타를 래치하여 상기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로부터 인가되는 독출 선택 어드레스에 따라 선택하여 독출 데이타로서 상기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 측에 출력하는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와; 인가받은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2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타를 기록 데이타로서 상기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 측에 출력하고, 상기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로 부터 독출 데이타를 인가받아 출력 데이타로서 상기 제2 프로세서 모듈측에 인가하는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와; 상기 제2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출력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 측에 출력하고, 독출 선택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상기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 측에 출력하고, 기록 선택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상기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 측에 출력하는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A first data bus controller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an applied output control signal to output input data applied from a first processor module as write data, and receiving read data and outputting the output data to the first processor module side; A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the output control signal to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according to an address applied from the first processor module,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ead selection address and a write selection address; A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section for latching write data applied from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and selecting the read data according to an applied read selection address and outputting the read data as read data; A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section for latching applied write data, selecting the read data according to a read select address applied from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read data to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as read data;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applied output control signal, the input data applied from the second processor module is output as write data to 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section, and read from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section. A second data bus controller which receives data and applies the output data to the second processor module side; According to the address applied from the second processor module, an outpu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side, a read selection address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unit side, And a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for generating a write select address and outputting the write select address to 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는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 로부터 인가되는 독출데이타를 상기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제1 프로세서 모듈측에 출력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1 버퍼부와; 상기 제1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타를 상기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 측에 기록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2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outputs read data applied from a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unit as output data to the first processor module in accordance with an output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1 buffer section; And a second buffer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input data applied from the first processor module to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unit as write data according to an output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A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는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 로부터 인가되는 독출데이타를 상기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제2 프로세서 모듈측에 출력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1 버퍼부와; 상기 제2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데이타를 상기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 측에 기록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2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outputs read data applied from 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unit as output data to the second processor module in accordance with an output control signal from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1 buffer section; And a second buffer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input data applied from the second processor module to 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unit as write data according to an output control signal from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A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heterogeneous processor modul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는 제1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상기 기록 선택 어드레스, 독출 선택 어드레스 및 출력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조합로직부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may be a combination logic unit configured to decode an address applied from a first processor module to generate and output the write select address, read select address, and an output control signal. Data interfac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는 제2 프로세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상기 기록 선택 어드레스, 독출 선택 어드레스 및 출력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조합로직부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may be a combination logic unit configured to decode an address applied from a second processor module to generate and output the write select address, read select address, and output control signal. Data interfac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는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로부터 인가되는 기록 데이타를 상기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로 부터의 기록 선택 어드레스에 따라 래치하여 출력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다수의 레지스터와; 상기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로 부터 인가되는 독출 선택 어드레스를 인코딩하여 생성된 독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 인코더부와;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인가되는 출력 데이타를 상기 선택 인코더부로 부터의 독출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측에 독출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데이타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The first data latch / read selection logic sec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gisters for latching write data applied from a first data bus controller according to a write select address from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output data as output data; A selection encoder section for outputting a read selection signal generated by encoding a read selection address applied from the second data recording / reading controller; And a data selector for selecting output data applied from the register according to a read select signal from the select encoder and outputting the read data to the second data bus controller as read data.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데이타 래치/독출선택 로직부는 제2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로부터 인가되는 기록 데이타를 상기 제2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로 부터의 기록 선택 어드레스에 따라 래치하여 출력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다수의 레지스터와; 상기 제1 데이타 기록/독출 콘트롤러로 부터 인가되는 독출 선택 어드레스를 인코딩하여 생성된 독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 인코더부와;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인가되는 출력 데이타를 상기 선택 인코더부로 부터의 독출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제1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측에 독출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데이타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프로세서 모듈간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The second data latch / read select logic sec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gisters for latching write data applied from a second data bus controller according to a write select address from the second data write / read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output data as output data; A selection encoder section for outputting a read selection signal generated by encoding a read selection address applied from the first data write / read controller; And a data selector for selecting output data applied from the register according to a read select signal from the select encoder and outputting the read data to the first data bus controller as read data. .
KR1019960066922A 1996-12-17 1996-12-17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different processor modules KR0183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922A KR0183349B1 (en) 1996-12-17 1996-12-17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different processor modu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922A KR0183349B1 (en) 1996-12-17 1996-12-17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different processor modu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352A KR19980048352A (en) 1998-09-15
KR0183349B1 true KR0183349B1 (en) 1999-05-15

Family

ID=1948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922A KR0183349B1 (en) 1996-12-17 1996-12-17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different processor modu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34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352A (en)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969B1 (en) Field bus interface 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5031095A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KR0183349B1 (en) Data interface controller between different processor modules
US5163049A (en) Method for assuring data-string-consistency independent of software
KR920003174B1 (en) Memory access controller
US5796672A (en) Method and circuit for routing data to registers in an integrated circuit
KR950008440B1 (en) Semiconductor memory circuit having bit clear and register initialize fonction
KR100430235B1 (en) Circuit for controlling data transfer between system board and sub-board using common data/address bus line
US20010042157A1 (en) Timesharing internal bus, particularly for non-volatile memories
CN114968874B (en) Quick parallel interrupt detection circuit suitable for multi-sensor system
KR100315700B1 (en) Circuit and method of realizing check mode for comparing input and output of td-bus decoding part
KR960003973B1 (en) Register device for electronic switching system
KR100728870B1 (en) Dual port ram and method of losslessly transmitting data using the dual port ram
KR100232229B1 (en) Pci to pci bridge
KR960009916B1 (en) Information exchanging bus-structure
KR0121973B1 (en) Common-bus circuit in an exchanger
KR200309903Y1 (en) Universal asynchronous transceiver
KR0182644B1 (en) Read/write control device of memory
KR100315904B1 (en) Circuit of Preventing Error Operation of the Tone Sender Logic
JP2982811B2 (en) Access control device
EP0613147A1 (en) Circuit structure with distributed registers connected to serial interface circuit means through data and address transmission buses
KR19980083459A (en) Databus Sizing Device
KR920008607A (en) Computer system with interface of selector board for system expansion function
KR930005709B1 (en) Rack addressline multi-function operating system of plc
KR920001180B1 (en) Input and output control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