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364B1 - 쌍방향 무선호출기의 송신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쌍방향 무선호출기의 송신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364B1
KR0164364B1 KR1019950067782A KR19950067782A KR0164364B1 KR 0164364 B1 KR0164364 B1 KR 0164364B1 KR 1019950067782 A KR1019950067782 A KR 1019950067782A KR 19950067782 A KR19950067782 A KR 19950067782A KR 0164364 B1 KR0164364 B1 KR 0164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ata
memory
message
outpu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7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778A (ko
Inventor
김재빈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67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364B1/ko
Publication of KR97005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쌍방향 무선 호출기.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사용자가 어떤 데이터를 송신한 후 자신이 송신한 데이터를 읽어보기도 하고 송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바로 재송신 할 수 있도록 송신 데이터를 별도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쌍방향 무선 호출기에 있어서, 송신된 메세지와 그 송신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재송신키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송신 데이터에 대한 출력요구명령을 발생하는 출력요구키와,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메세지의 송신을 감지할 때마다 상기 메모리의 일정 영역을 지정하는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송신된 메세지와 그 송신 관련 정보가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요구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의 해당 영역으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며, 상기 재전송키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송신 메세지 및 그 관련 정보를 읽어 재송신을 지시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송신한 데이터를 저장해두어 필요시 읽어 보기도 하고, 송신이 실패한 경우 저장된 내용을 간단한 키입력에 의해 바로 재송신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한다.

Description

쌍방향 무선호출기의 송신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무선 호출기의 구성도.
제2도는 무선 호출기에서 사용되는 POCSAG 코드의 형태 예시도.
제3도는 송신 어드레스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송신 메세지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송신 어드레스 및 메세지 선택예를 표시한 화면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맵의 구성도.
제7도는 선택된 송신 어드레스와 메세지를 저장한 메모리맵의 구성도.
제8도는 송신 순서에 따른 송신 데이터 표시 화면 예시도.
제9도는 데이터 송신 실패시의 데이터 표시 화면 예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11 : RF 수신부
12 : 디코더 13 : 제어부
15 : 제1메모리 16 : 표시부
17 : 경보부 22 : RF 송신부
23, 24 : 송·수신 안테나 25 : 제2메모리
본 발명은 무선 호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쌍방향 무선 호출기의 송신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방향 무선 호출기에서는 문자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모토롤라사(Motorola, Inc.)에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952,927에는 이러한 기능의 한 응용예가 게시되어 있다.
한편, 쌍방향 무선 호출기는 문자를 수신하기도 하고 수신된 문자에 대해서 응답 데이터를 보내거나 사용자가 어떤 데이터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런데 단순히 사용자가 쌍방향 무선 호출기를 이용하여 어떤 데이터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기만 하였을 뿐, 그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여러개의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에는 언제, 어디에, 어떤 데이터를 송신했는지를 구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송신이 실패한 경우 똑같은 사람에게 같은 메세지를 다시 보내고자 할 때, 그 보내고자 하는 곳의 주소와 메세지를 다시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운 일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어떤 데이터를 송신한 후 자신이 송신한 데이터를 읽어보기도 하고 송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바로 재송신 할 수 있도록 송신 데이터를 별도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송신 데이터 관리장치는 쌍방향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송신되 메세지와 그 송신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재송신키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송신 데이터에 대한 출력요구명령을 발생하는 출력요구키와,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메세지의 송신을 감지할 때마다 상기 메모리의 일정 영역을 지정하는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송신된 메세지와 그 송신 관련정보가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요구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의 해당 영역으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며, 상기 재전송키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데이터(송신 메세지 및 그 관련 정보로서, 이하 송신 데이터라고 함은 송신 메세지 및 그 관련 정보를 일컫는다.)를 읽어 재송신을 지시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쌍방향 무선 호출기의 송신 데이터 관리방법은 송신 어드레스와 송신 메세지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메세지를 상기 송신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수신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관련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송신 데이터 출력요구에 응답하여 저장된 송신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데이터의 표시중 재전송명령을 감지하면 해당 송신 데이터에 의거 재전송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무선 호출기의 구성도이다.
RF수신부 11은 무선 호출 정보를 수신하고, 주파수변환, 복조 및 파형 정형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기 수신부 11의 출력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무선 호출 정보가 된다. 상기 수신부11의 출력은 디코더 12로 인가된다.
상기 디코더 12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무선호출기의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즉, 아이들모드(idle mode)에서는 프리앰블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일정주기로 동작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며, 배치모드(batch mode)에서는 워드싱크데이타 및 설정된 프레임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프레임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제어부 13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디코더 12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 13은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경보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공지의 호출 경보 기능을 하도록 제어하는 동작과, 데이터의 송신을 감지할 때마다 소정 메모리의 일정 영역을 지정하는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송신된 데이터와 그 송신 정보가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소정의 출력요구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의 해당 영역으로부터 저장된 내용을 읽어 표시부로 전달하며, 재전송키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송신 메세지 및 그 관련 정보를 읽어 재송신을 지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경보부 17은 상기 제어부 13으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제어신호에 의해 호출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톤신호 또는 진동신호등과 같은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표시부 16은,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 13으로부터 출력되는 표시제어신호에 의해 호출측의 메세지 및 무선 호출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공지의 기능과 송신 메세지 및 그 송신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1메모리 15는, 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신 메세지 및 그 송신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제2메모리 25는, 이이피롬으로 이루어지며, 무선 호출기에 할당된 고유 어드레스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저장한다.
제2도는 무선 호출기에서 사용되는 POCSAG 코드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무선 호출기 전용 신호의 형태이며 CCIR권고안 584에 자세히 명시되어 있다.
하나의 POCSAG 코드는 576비트로 구성되는 프리앰블데이터(preamble data)와 연속되는 다수개의 배치데이터(batch data)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앰블데이터는 1과 0이 576비트 동안 반복되는 코드(reversal code)이다. 상기 하나의 POCSAG코드는 통상 30배치에서 최대 60배치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배치는 32비트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워드싱크데이타(wordsync data)와 64비트로 이루어지는 8개의 프레임 데이터(frame data)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워드싱크데이타는 (7CD215D8)H, (01111100 11010010000101011101100)B의 32비트 데이터이다. 또한 각 프레임데이터는 32비트의 어드레스코드워드(address codeword)와 32비트의 메세지코드워드(message codeword)의 64비트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배치는 32비트 데이터를 하나의 워드로 하는 17워드의 544비트 데이터(17워드*32비트=544비트)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송신 어드레스의 표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쌍방향 무선 호출기에서 사용자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키입력부 10과 제어부 13을 이용하여 어디에 보내는지를 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형태로 제2메모리 25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FAX번호 및 E-MAIL번호 등을 표시부 16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키입력부 10을 통해 송신 어드레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제4도는 송신 메세지의 표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와같이 미리 정해진 여러 가지 문장이 제2메모리(25)에 저장해놓고 이를 표시부 16을 이용하여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키입력부 10을 통해 원하는 송신 메세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제5도는 상기 송신 어드레스 및 메세지 선택예를 표시부 16상에 나타낸 것으로, `〉'표시가 선택되었음을 의미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맵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시부 16에 표시되는 어드레스 및 메세지 정보를 키입력부10을 통해 선택하면, 제어부 13이 이를 감지하고 그 선택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송신 신호의 형태로 만든다. 상기 송신 신호는 RF송신부 22를 거쳐 송신 안테나 24를 통해 전송된다. 이렇게 송신을 시도한 시간 및 날짜 정보와 송신 어드레스 및 송신 메세지를 정해진 순서에 맞게 제1메모리 15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장한다.
이와같이 저장해둠으로써, 사용자가 여러 개의 송신 메세지를 전송한 후에 키입력부 10을 통해 송신 메세지를 읽는 모드를 선택하면 그 동안 송신한 데이터들이 송신시간, 송신 어드레스, 송신 상태정보 및 송신 메세지가 표시부 16에 전술한 제3도와 같이 표시되어 손쉽게 읽어 볼 수 있는 것이다.
제7도는 선택된 송신 어드레스와 메세지를 표시부 16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무선 호출기 및 그에 이용되는 신호의 구성을 참조하여 송신 데이터 및 그 송신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제10도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송신 어드레스와 송신 메세지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메세지를 상기 송신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수신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관련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송신 데이터 출력요구에 응답하여 저장된 송신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데이터의 표시중 재전송명령을 감지하면 해당 송신 데이터에 의거 재전송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구분된다.
먼저 사용자가 송신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송신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해 키입력부 10의 특정 키를 누르면, 제어부 13은 이 키 입력을 902단계에서 확인한다. 만약 키 입력이 없으면 계속적으로 키 입력을 검사한다. 키 입력이 있는 경우에 903단계에서 송신 데이터 읽기모드인지를 확인한다. 송신 데이터 읽기모드인 경우는 909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 16을 통해 송신 데이터를 표시한다. 반면에 송신 데이터 읽기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904단계에서 송신요구모드인지를 확인한다. 송신요구모드인 경우에는 908단계로 진행하여 송신요구에 따른 제반 동작을 수행한다.
송신요구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905단계에서 송신 메세지 모드인지를 확인한다. 송신 메세지 모드인 경우에는 907단계로 진행하여 후술하는 송신 메세지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
송신 메세지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송신 어드레스 모드로 간주하고 906단계로 진행하여 키입력부 10에 의해 전술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송신 어드레스중의 하나를 전술한 제5도의 설정화면을 통해 설정한다. 송신 어드레스가 설정되면 송신 메세지를 설정하기 위해 송신 어드레스 모드는 해제하고 송신 메세지 모드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송신 메세지를 설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905단계에서 902단계에서 감지한 키입력이 사용자에 의한 송신 메세지 모드의 설정을 위한 키라고 확인되면, 907단계에서 전술한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송신 메세지중의 하나를 전술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설정화면을 통해 설정한다. 송신 메세지가 설정되면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송신 메세지 설정모드는 해제하고 송신요구모드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송신 데이터를 선택한 후에 송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904단계에서 902단계에서 감지한 키입력이 사용자에 의한 송신요구모드의 설정을 위한 키라고 확인되면, 제어부 13은 908단계에서 상기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선택된 송신 데이터를 송신 신호로 만들어 출력함으로써 RF 송신부 22를 거쳐 송신 안테나 24를 통해 전송되게 한다. 송신 데이터를 전송한 후에는 상기 제6도에 도시한 형태로 제1메모리 15의 해당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상기 송신한 데이터, 즉 상태정보, 송신 어드레스, 송신 메세지 및 송신시간등을 저장한다. 송신 데이터를 전송 및 저장한 후에는 사용자가 이 송신 데이터를 읽어볼 수 있도록 송신요구모드를 해제하고 송신 읽기모드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송신 데이터를 읽어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909단계에서 902단계에서 감지한 키입력이 사용자에 의한 송신 읽기모드의 설정을 위한 키라고 확인되면,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송신데이터가 송신된 순서대로 표시부 16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914단계에서 송신 데이터의 상태정보가 실패(fail)를 나타내는 것인지를 확인함으로써 데이터 송신 성공 혹은 실패 상황을 체크한다. 실패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재전송을 요구하는 키 입력이 발생하면 915단계와 같이 송신 메세지를 재전송한다. 정상인 경우에는 911단계에서 카운터를 단위값 만큼 증가시킨다. 만약 송신 데이터가 N개 있다면 912단계에서 현재 송신한 데이터가 몇번째인지 판단함으로써 계속해서 다음 송신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한다. N개의 송신 데이터가 표시된후에 913단계에서 송신 읽기모드를 해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송신된 데이터와 그 송신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해둠으로써 필요시 사용자가 그 저장된 내용을 읽어 언제, 어디에, 어떤 데이터를 보냈는지를 손쉽게 확인해 볼 수 있고, 송신이 실패한 데이터의 경우에는 단순히 하나의 키로써 저장된 해당 송신 데이터 및 그 관련 정보를 읽어 재송신되게 할 수 있어 사용이 보다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

  1. 쌍방향 무선 호출기에 있어서, 송신된 메세지와 그 송신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재송신키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송신 데이터에 대한 출력요구명령을 발생하는 출력요구키와,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메세지의 송신을 감지할 때마다 상기 메모리의 일정 영역을 지정하는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송신된 메세지와의 그 송신 관련 정보가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요구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의 해당영역으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며, 상기 재전송키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데이터를 읽어 재송신을 지시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데이터 관리장치.
  2. 메모리와 재전송키와 출력요구키 및 표시부를 구비한 쌍방향 무선 호출기의 송신 데이터 관리방법에 있어서, 송신 어드레스와 송신 메세지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메세지를 상기 송신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수신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관련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요구키에 의한 송신 데이터 출력요구에 응답하여 저장된 송신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데이터의 표시중 상기 재전송키에 의한 재전송명령을 감지하면 해당 송신 데이터에 의거 재전송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50067782A 1995-12-30 1995-12-30 쌍방향 무선호출기의 송신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KR0164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782A KR0164364B1 (ko) 1995-12-30 1995-12-30 쌍방향 무선호출기의 송신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782A KR0164364B1 (ko) 1995-12-30 1995-12-30 쌍방향 무선호출기의 송신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778A KR970055778A (ko) 1997-07-31
KR0164364B1 true KR0164364B1 (ko) 1999-02-01

Family

ID=1944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7782A KR0164364B1 (ko) 1995-12-30 1995-12-30 쌍방향 무선호출기의 송신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250B1 (ko) * 1997-12-30 2005-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발신 실패시 쇼트메시지자동 재 발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778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002B1 (ko) 수신 메시지의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26028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리마인더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방법 및 그장치
JPH04503897A (ja) メッセージ転送能力を備えたページングシステムに使用するページング受信機およびメッセージ転送方法
EP0317230B1 (en) Paging receiver with a message selecting circuit
US5844498A (en) Paging receiver with a message selection circuit
US6603389B1 (en) Method for indicating a delinquent response to a message from a selective call device
KR0164364B1 (ko) 쌍방향 무선호출기의 송신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US6323754B1 (en) Two-way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493602A (en) Paging receiver capable of avoiding disturbance raised on reception of an unnecessary message
KR100247581B1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KR100193818B1 (ko) 응답메세지에 대한 쌍방향 페이저의 송수신 방법
KR100263075B1 (ko) 무선호출기의 메시지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JP2874954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
US6208838B1 (en) Pager with reception error notification
US6049696A (en) Radio selective calling receiver having an auto-dialer function
KR100186620B1 (ko) 쌍방향 페이저에서 허가 응답 메세지 송출독려 방법
JPH08294152A (ja) 受信装置
KR100255368B1 (ko) 무선호출수신기호출메시지사서함서비스장치및방법
JPH04225629A (ja) 選択呼出受信機
AU709180B2 (en) Data receiver apparatus
KR19990056130A (ko) 수신 실패 메시지 재전송 요구 가능한 무선호출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9980077575A (ko)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 알림방법
KR19990004539A (ko) 미확인 메시지 확인 무선 호출기 및 그 방법
JPH07107534A (ja) 無線受信機および送信装置
KR19990016598A (ko) 무선호출기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무선호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