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412B1 - Frequency selective filtering hearing aid telephone - Google Patents

Frequency selective filtering hearing aid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412B1
KR0161412B1 KR1019950015591A KR19950015591A KR0161412B1 KR 0161412 B1 KR0161412 B1 KR 0161412B1 KR 1019950015591 A KR1019950015591 A KR 1019950015591A KR 19950015591 A KR19950015591 A KR 19950015591A KR 0161412 B1 KR0161412 B1 KR 0161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signal
processing means
data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5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04548A (en
Inventor
이영묵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5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412B1/en
Publication of KR97000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5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41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16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 및 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음색(주파수)을 선택적으로 증폭시켜 청각장애자의 청각감도를 보상해줌으로써 청각장애자가 수신되는 음성을 명확히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음색별 증폭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중앙처리수단과 상기 중앙처리수단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중앙처리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중앙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중앙처리수단 및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어드레스 처리수단 및 외부음성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의 데이터에 따라 그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도가 주파수대별로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음색별 증폭부를 구비하여 청각장애자가 수신되는 음성을 명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and a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selectively amplifying a tone (frequency) of a received voice signal to compensate for the hearing sensitivity of the hearing impaired so that the hearing impaired person can clearly hear the received vo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telephone having an amplifier function for each tone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means including a memory unit, data input mean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and inputting user data, and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Data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data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and address processing for controlling output of the data processing means in accordance with an address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and the data processing means. Means and an external voice signal are input, and are connected to the data processing means to include amplification unit for each tone of which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voice signal is selec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data processing means for each frequency band to clarify the voice that the hearing impaired person receives. The benefit of listening The.

Description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Hearing Aid with Voice Amplification and Frequency Filtering

제1a도는 정상인과 청각 장애자의 청각특성을 도시한 도표.FIG. 1a is a diagram showing the hearing characteristics of a normal person and a deaf person.

제1b도는 종래의 전화기를 도시한 블록도.1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telephone.

제1c도는 종래 전화기의 음성신호에 대한 주파수 응답특성(스피치 네트워크의 주파수 응답특성)을 도시한 도표.FIG. 1C is a diagram showing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speech network) to voice signals of a conventional telephone.

제2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2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b도는 제2a도에 있는 음색벽 증폭부의 주파수 응답특성을 도시한 도표.FIG. 2B is a diagram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tone wall amplifier of FIG. 2A. FIG.

제3a도는 제2a도에 있는 어드레스 처리부의 상세도.FIG. 3A is a detailed view of the address processor of FIG. 2A. FIG.

제3b도는 제2a도에 있는 데이터 처리부의 상세도.FIG. 3B is a detailed view of the data processing unit in FIG. 2A. FIG.

제3c도는 제2a도에 있는 음색별 증폭부중 제1주파 증폭부의 상세도.FIG. 3C is a detailed view of the first frequency amplifier of the tone amplifiers in FIG. 2A. FIG.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색별 증폭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를 외부 부가장치로서 사용할 때 종래 전화기와 접속관계를 도시한 외부 결선도.4 is an external connection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a conventional telephone when a hearing aid telephone auxiliary apparatus having a tone-by-tone amplifier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n external additional device.

제5도에 본 발명에 따른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hearing aid telephone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색별 증폭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무선보청전화 휴대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hearing aid portable device having an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the symbols according to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마이콤 22 : 키패트20: Micom 22: Keypad

24 : 데이터 처리부 26 : 어드레스 처리부24: data processor 26: address processor

28 : 음색별 증폭부 30 : 제2증폭부28: amplification unit for each tone 30: second amplifier

IN : 입력단자 OUT : 출력단자IN: Input terminal OUT: Output terminal

본 발명은 전화기 및 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음색(주파수)을 선택적으로 증폭시켜 청각장애자의 청각감도를 보상해 줌으로써 청각장애자가 수신되는 음성을 명확히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and a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selectively amplifying a tone (frequency) of a received voice signal to compensate for the hearing sensitivity of the hearing impaired so that the hearing impaired person can clearly hear the received vo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telephone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일반적으로 청각장애자는 청각특성이 일반인보다 떨어지는데 이로 인하여 전화상에서 상대방의 음성을 정확히 듣기 어려워 통화중 상당한 애로가 있었다. 이는 종래의 전화기가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일률적으로 증폭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점에 기인한 것이었다.In general, hearing impaired people have lower hearing characteristics than the general public,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hear the other party's voice on the phone. This was due to a problem caused by the conventional telephone uniformly amplifying the input voice signal.

제1a도는 정상인과 청각 장애자의 청각특성를 도시한 도표이며, 제1b도는 일반적인 종래 전화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제1c도는 종래 전화기의 음성신호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을 도시한 도표이다. 제1a도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청각장애인의 청각특성 그래프(h2)는 정상인의 청각특성 그래프(h1)에 비해 특정주파수(예를 들어 250Hz, 500Hz, 1KHz)에서 청각감도가 20db정도 떨어진다. 하지만 제1b도 및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화기는 상기한 청각장애자의 청각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일률적으로 증폭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잡음의 증폭으로 인한 소음 및 울림소리등이 발생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명확히 듣기 어려웠다. 여기서 제1b도 및 제1c도를 참조하여 종래 전화기의 구성 및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종래 전화기는 수신신호(LINe IN)가 정류부(10)에 인가되며 정류부(10)는 링거(11)의 마이콤(15) 및 스피치 네트워크(16)에 접속되고, 키패드(14)가 마이콤(15) 및 링거(11)에 접속되며, 마이콤(15)은 스피치 네트워크(16)에 접속된다. 또한 링커(11)의 출력은 스피커(12)에 인가되며 스피치 네트워크(16)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변환하는 수화기(17) 및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송화기(18)에 접속되어 있다.FIG. 1A is a diagram showing hearing characteristics of a normal person and a hearing impaired person. FIG. 1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onventional telephone. FIG. 1C is a diagram showing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voice signal of a conventional telephone. Referring to FIG. 1A, in general, a hearing characteristic graph h2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has a hearing loss of about 20db at a specific frequency (for example, 250 Hz, 500 Hz, and 1 KHz) compared to a normal characteristic hearing characteristic graph h1. However, as shown in FIGS. 1B and 1C, the conventional telephone is designed to uniformly amplify the input voice signal without considering the hearing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ed, so that noise and ringing sounds due to noise amplification It was difficult to hear clearly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Her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telephon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B and 1C. In the conventional telephone, a reception signal LINe IN is applied to the rectifier 10 and the rectifier 10 is a microcomputer of the ringer 11. 15 is connected to the speech network 16, the keypad 14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15 and the ringer 11, and the microcomputer 15 is connected to the speech network 16. 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linker 11 is applied to the speaker 12, and the speech network 16 is connected to the handset 17 for converting the electrical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signal and to the talker 18 for converting the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Connect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는 종래 전화기의 수신신호처리과정을 살펴보면, 수신신호(LINE IN)가 스피치 네트워크(16)에 입력되면 스피치 네트워크(16)에서는 이 신호를 주파수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증폭하여 수화기(17)에 인가한다. 여기서 스피치 네트워크(16)는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답톡성으로 전 주파수대에 걸쳐 일률적인 증폭을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잡음의 증폭으로 인한 소음 및 울림소리 등이 발생하여 청각장애자가 상대방의 음성을 정확히 인지하기 어려웠다.Referring to the reception signal processing process of the conventional telephon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ceived signal LINE IN is input to the speech network 16, the speech network 16 amplifies the signal uniformly regardless of frequency and the handset. Is applied to (17). Here, the speech network 16 performs uniform amplification over the entire frequency band with response talk as shown in FIG. 1C.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fo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to accurately recognize the other party's voice due to the noise and the ringing sound caused by the amplification of the noise.

또한, 종래의 청각장애자용 전화기로는 수신신호를 전 주파수대에 걸쳐 25dB증폭하는 고출력 전화기와 텔리-코일(teli-coil)을 수화기에 추가하여 음압을 추가로 올리는 텔리-코일 전화기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고출력 전화기와 텔리-코일 전화기도 수신신호를 음색별(주파수별)로 선택적인 증폭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전 주파수대에 걸쳐 일률적으로 증폭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잡음의 증폭으로 인한 소음 및 울림소리 등이 발생하여 청각장애자가 상대방의 음성을 정확히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hearing-impaired telephones include high-power telephones that amplify received signals by 25 dB over the entire frequency band, and tele-coil telephones that add sound pressure by adding a tele-coil to the receiver. However, the high-power telephone and the tele-coil telephone as described above do not selectively amplify the received signal by tone (by frequency) but uniformly amplify it over the entire frequency b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hearing impaired is difficult to correctly recognize the other party's voi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음색(주파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증폭시켜 청각장애자의 청각감도를 보상해 줌으로써 창각장애자가 수신되는 음성을 명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ively amplify a received voice signal according to a tone (frequency) to compensate for a hearing impairment of the hearing impaired so that a person with a hearing impairment can clearly hear a received voice and frequency filtering. To provide a hearing aid auxiliary device having a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음색(주파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증폭시켜 청각장애자의 청각감도를 보상해 줌으로써 청각장애자가 수신되는 음성을 정확히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ively amplify the received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tone (frequency) in the electronic telephone to compensate for the hearing sensitivity of the hearing impaired by the tone so that the hearing impaired can hear exactly the received voice To provide a hearing aid having a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를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음색(주파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증폭시켜 청각장애자의 청각특성을 보상해 줌으로써 청각장애자가 수신되는 음성을 정확히 들울 수 있도록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무선보청전화 휴대전화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diotelephone equipped with a fixed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by selectively amplifying a received voice signal according to a tone (frequency) to compensate for the hearing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ed vo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hearing aid mobile phone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so that the sound can be heard accurate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중앙처리수단;A central processing means comprising a memory unit;

상기 중앙처리수단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수단.Data input means connected to said central processing means to input user data.

상기 중앙처리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중앙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수단;Data processing means connected to said central processing means and processing data output from said central processing means;

상기 중앙처리수단 및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어드레스 처리수단; 및Address processing means connected to said central processing means and said data process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said data processing means in accordance with an address signal of said central processing means; And

외부음성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의 데이터에 따라 그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도가 주파수대별로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음색별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를 제공한다.An external sound signal is input and is connected to the data processing means, the amplification function for each tone and frequenc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ne-specific amplifier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amplification degree for the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data processing means Provide hearing aid auxiliary device with filtering function.

본 발명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는 상기 음색별 증폭부에 접속되어 사익 음색별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추가로 증폭하는 제2증폭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amplifying means connected to the tone-specific amplification unit to further amplify the output signal of the sound tone-specific amplifi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은 인에이블단자가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플립플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processing means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flip-flops provided with an en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은 소정의 쉬프트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processing means preferably includes a predetermined shift regist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드레스 처리수단은 3X8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ddress processing means comprises a 3X8 decod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드레스 처리수단은 4비트 싱글칩마이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ress processing means preferably comprises a 4-bit single chip microcomput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음색별 증폭부는 이득조정용 전자가변저항기 또는 레지스터 네트워크 아날로그 스위치와 동조주파수 설정용 콘덴서 및 피이드백 저항이 마련되어 있는 동조주파용 증폭기가 복수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uning frequency amplifiers are provided with a gain adjusting electronic variable resistor or a resistor network analog switch, a tuning frequency setting capacitor, and a feedback resisto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음색별 증폭부는 상기 외부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와 복수의 쉬프트 레지스터와 복수의 가산기 및 복수의 계수승산기를 구비하여 상기 디지털 변환된 신호를 음색별로 증폭하고 주파수 필터링하는 디지털 필터 및 상기 디지털 필터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e amplifier for each tone includ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external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plurality of shift registers, a plurality of adders and a plurality of coefficient multipliers to amplify the digitally converted signal for each tone And a digital filter for frequency filtering and a digital / analog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filter into an analog signal.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신호를 수신하여 그 수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톤 링거;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nger for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to inform the user of the reception state;

상기 외부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그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수단;Rectifying means for receiving the external signal as an input and rectifying the signal;

상기 정류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수신신호를 소정 신호처리 하는 스피치 네트워크;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peech network connected to said rectifying means for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f said received signal; It is desirable to have a regist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드레스 처리수단은 3X8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ddress processing means comprises a 3X8 decod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드레스 처리수단은 4비트 싱글칩 마이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ress processing means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4-bit single chip microcomput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음색별 증폭부는 이득조정용 전자가변저항기 또는 레지스터 네트워크 아날로그 스위치와 동조주파수 설정용 콘덴서 및 피이드백 저항이 마련되어 있는 동조주파용 증폭기가 복수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uner amplifiers are provided with a gain adjusting electronic variable resistor or a resistor network analog switch, a tuning frequency setting capacitor, and a feedback frequency amplifi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음색별 증폭부는 상기 외부음성신호를 다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와 복수의 쉬프트레지스터와 복수의 가산기 및 복수의 계수승산기를 구비하여 상기 디지탈 변환된 신호를 음색별로 증폭하고 주파수 필터링하는 디지탈 필터 및 상기 디지탈 필터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컨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e amplifier for each tone includ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external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plurality of shift registers, a plurality of adders and a plurality of coefficient multipliers, and the digitally converted signal for each tone. It is desirable to have a digital filter for amplifying and frequency filtering and a digital / analog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filter into an analog signal.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신호를 수신하여 그 수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톤 링거;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one ringer for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to inform the user of the reception state;

상기 외부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그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수단;Rectifying means for receiving the external signal as an input and rectifying the signal;

상기 정류수단이 접속되어 상기 수신신호를 소정 신호처리 하는 스피치 네트워크;A speech network to which the rectifying means is connected to process the received signal by a predetermined signal;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의 출력 신호에 대한 증폭도가 주파수대별로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음색별 증폭수단;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connected to the speech network and selectively controlling the amplification degree for the output signal of the speech network for each frequency band;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 및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의 입력에 그 일단이 접속되며 다른 단이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의 출력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상모드 및 음색별 증폭모드가 절환되는 모든 절환 스위치부;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n input of the speech network and the amplifying means for each ton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n output of the amplifying means for each tone so that the normal mode and the amplifying mode for each tone are switch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기 모드절환 스위치부에 접속되어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가능한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A speaker connected to the mode switching switch unit to convert an electrical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voice signal;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A microphone connected to the speech network to convert a user's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수단;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정류수단과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를 제공한다.Data input means for inputting user input data;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data input unit to perform predetermined processing according to the user input data, and connected to the rectifying unit and the speech network to control them. Provide a hearing aid with a function.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휴대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장치의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에 송신하기 위하여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에서 송신된 레벨압축 및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adiotelephone having a fix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a portable device and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An antenna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level compression and frequency modulated signal;

상기 안테나에 접속되어 수신 및 송신 모드에 따라 절환되는 안테나 스위치;An antenna switch connected to the antenna and switched according to a reception and transmission mode;

상기 안테나 스위치의 일단과 접속되어 수신된 상기 레벨압축 및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주파수 복조하는 주파수 복조 수신부;A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for frequency demodulating the level compressed and frequency modulated sig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switch;

상기 주파수 복조 수신부와 접속되어 상기 주파수 복조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레벨신장하는 신장기;An expander connected to the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to level-exte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상기 신장기와 접속되어 그 출력에 대한 증폭도가 주파수대별로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음색별 증폭수단;A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connected to the expander and selectively controlling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output for each frequency band;

상기 신장기 및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의 입력에 그 일단이 접속되며 다른 단이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의 출력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상모드 및 음색별 증폭모드가 절환되는 모드절환 스위치부;A mode switching switch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input of the expander and the amplifying means for each ton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 output of the amplifying means for each tone so that a normal mode and an amplification mode for each tone are switch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기 모드절환 스위치부에 접속되어 음성신호의 증폭을 행하는 음성증폭기;A voice amplifier connected to the mode switching switch to amplify a voice signal;

상기 음성증폭기와 접속되어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 가능한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A speaker connected to the voice amplifier to convert an electrical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voice signal;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 접속되어 상기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레벨압축하는 압축기;A microphone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 compressor connected to the microphone for level compression of the electrical voice signal;

상기 압축기에 접속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레벨압축된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고 상기 안테나 스위치에 접속되어 상기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상기 안테나로 출력하는 주파수 변조 송신부;A frequency modulation transmitter connected to the compressor for frequency-modulating the level-compressed signal in the compressor and connected to the antenna switch to output the frequency-modulated signal to the antenna;

상기 주파수 복조 수신부 및 상기 주파수 변조 송신부에 접속되며 소정의 위상제어를 행하는 위상제어수단;Phase control means connected to said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ing section and said frequency modulation transmitting section and performing predetermined phase control;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수단; 및Data input means for inputting user input data; And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상기 주파수 복조 수신부와 상기 주파수 변조 송신부 및 상기 위상제어수단에 접속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무선보청전화 휴대장치를 제공한다.And a central processing means connected to said data input means for performing predetermined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said user input data and connected to said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said frequency modulation transmitter, and said phase control means to control them. Provided is a wireless hearing aid portable device having a star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2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Figure 2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a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는 메모리부(미도시)를 포함하는 마이콤(20)과, 상기 마이콤(20)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패드(22)와, 상기 키패드(22)에 접속되며 상기 마이콤(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d0, d1, d3)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24)와, 상기 마이콤(20)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24)에 접속되어 상기 마이콤(20)의 어드레스신호(A0, A1, A2)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부(24)의 출력 DB0, DB1, DB2, DB3, DB4, DB5)를 제어하는 어드레스 처리부(26)와, 외부음성신호(AS)가 입력되는 입력단자(IN)와, 일단은 상기 입력단자(IN)에 접속되며 다른 단은 상기 데이터 처리부(24)와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2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DB0, DB1, DB2, DB3, DB4, DB5)에 따라 그 음성신호(AS)에 대한 증폭도가 주파수대별로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음색별 증폭부(28)와 상기 음색별 증폭부(28)에 접속되어 상기 음색별 증폭부(28)의 출력(OS)을 추가로 증폭하는 제2증폭부(30) 및 제2증폭부(30)의 출력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출력단자(OUT)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음색별 증폭부(28)는 제1주파 증폭부(280), 제2주파 증폭부(282), 제3주파 증폭부(284), 제4주파 증폭부(286), 제5주파 증폭부(288)및 제6주파 증폭부(290)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24)의 출력(DB0, DB1, DB2, DB3, DB4, DB5)이 각각 제1주파 증폭부(280), 제2주파 증폭부(282), 제3주파 증폭부(284), 제4주파 증폭부(286), 제5주파 증폭부(288) 및 제6주파 증폭부(290)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having the amplification function and the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computer 20 including a memory unit (not shown), and a user's data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20. A keypad 22 for inputting the data, a data processor 24 connected to the keypad 22 and processing data (d0, d1, d3) output from the micom 20, the micom 20, and the An address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24 and controlling the outputs DB0, DB1, DB2, DB3, DB4, DB5 of the data processing unit 24 according to the address signals A0, A1, A2 of the microcomputer 20. 26, an input terminal IN to which an external voice signal AS is input,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data processor 24 so that the data processor 24 is connected.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voice signal AS depends on the data output from DB0, DB1, DB2, DB3, DB4, DB5 A second amplification unit 30 connected to the tone-specific amplifier 28 and the tone-specific amplifier 28 which are selectively controlled for each band, to further amplify the output OS of the tone-specific amplifier 28. And an output terminal OUT for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30 to the outside. The tone-specific amplifier 28 includes a first frequency amplifier 280, a second frequency amplifier 282, a third frequency amplifier 284, a fourth frequency amplifier 286, a fifth frequency amplification The unit 288 and the sixth frequency amplifier 290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outputs DB0, DB1, DB2, DB3, DB4, DB5 of the data processor 24 are respectively the first frequency amplifier 280, 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frequency amplifier 282, the third frequency amplifier 284, the fourth frequency amplifier 286, the fifth frequency amplifier 288, and the sixth frequency amplifier 290. .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색별 증폭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having the amplifier function and the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for each tone struct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next.

사용자가 키패드(22)를 사용하여 마이콤(20)에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마이콤(20)은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의 어드레스신호(A0, A1, A2)를 출력하여 어드레스 처리부 (26)에 인가한 후, 마이콤(2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미도시)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따라 미리 설정된 내부 데이터(d0, d1, d2)를 출력하여 데이터 처리부(24)에 인가한다. 어드레스처리부(26)는 인가된 어드레스신호(A0,A1,A2)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처리부(24)에 제어신호(S0, S1, S2, S3, S4, S5)를 인가한다. 어드레스 처리부 (26)는 어드레스신호(A0, A1, A2)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24)중의 한 부분이 동작되도록 제어신호(S0,S1, S2, S3, S4, S5)를 출력하는 소정의 디코더이다. 상기 제어신호(S0, S1, S2, S3, S4, S5)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24)는 마이콤(20)에서 출력된 데이터(d0, d1, d2)를 음색별 증폭부(28)내에 있는 제1주파 증폭부(280), 제2주파 증폭부(282), 제3주파 증폭부(284), 제4주파 증폭부(286), 제5주파 증폭부(288) 및 제6주파 증폭부(290)에 인가하게 된다. 인가된 데이터(d0, d1, d2)에 따라 음색별 증폭부(28)내의 한 부분이 소정 이득을 갖는 증폭기로 동작되어 음색별 증폭부(28)에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AS)가 선택된 주파수대에서 상기 이득에 따라 증폭됨으로써 외부음성신호(AS)가 주파수대에 따라 선택적으로 증폭되게 된다. 제2B도에 음색별 증폭부(28)에 있는 각 주파 증폭부의 주파수응답특성을 도시하였다. 제2B도를 참조하면 제1주파 증폭부(280)의 응답특성(G1)은 250Hz에 동조증폭되는 특성이므로 외부음성신호(AS)가 250Hz에서 20dB정도 증폭됨으로써 250Hz부근의 청각감도가 떨어지는 청각장애자의 난청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주파 증폭부(282). 제3주파 증폭부(284). 제4주파 증폭부(286). 제5주파 증폭부(288) 및 제6주파 증폭부(290)에 대한 응답특성(G2,G3,G4,G5 G6)은 각가 500Hz, 1kHz, 2kHz, 4kHz 및 8kHz에서 20dB정도 증폭되므로 각각의 주파 증폭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면 외부음성신호(AS)는 특정 주파수 부근에서 선택적으로 증폭되어 각 주파수 부근의 청각감도가 떨어지는 청각장애자의 난청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선택적인 증폭은 한 주파수(예를들어 250Hz)에서만 행해지지 않고 여러가지 주파수와 청각장애자의 청각특성에 맞는 주파수에 걸쳐 종합적인 증폭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50Hz와 500Hz부근을 20dB 증폭하거나 250Hz와 500Hz 및 1kHz부근을 20dB 증폭할 수도 있다. 또한 제2증폭부(30)는 상기 선택적으로 증폭된 음성신호(AS)를 추가로 전체적인 증폭을 하기 위한 증폭기이다. 제3a도, 제3b도, 제3c도는 각각 어드레스 처리부(26)와 데이터 처리부(24) 및 음색별 증폭부(28)중 제1주파 증폭부(280)의 상세도이다. 제3a도를 참조하면, 어드레스 처리부(26)는 3X8디코더(DEC)로 구성되며 마이콤(20)에서 출력된 어드레스신호(A0,A1,A2)에 따라 디코더(DEC)의 출력단자(Q0,Q1,Q2,Q3,Q4,Q5,Q6,Q7)중 한 단자에만 0을 출력하고 나머지 단자에는 모두 1을 출력한다. 따라서 디코더(DEC)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S0,S1,S2,S3,S4,S5)는 한 신호만이 0이 된다. 이러한 제어신호(S0,S1,S2,S3,S4,S5)는 데이터 처리부(24)에 인가되어 데이터 처리부(24)중의 한 부분만을 동작가능 상태로 만들게 된다. 제3b도의 데이터 처리부(24)는 6개의 D플립플롭(FF0,FF1,FF2,FF3,FF4,FF5)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입력단자(D0,D1,D2)는 마이콤(20)의 데이터출력단자(MD0,MD1,MD2)에 접속되어 마이콤(20)의 출력데이터(d0,d1,d2)가 인가되며, 각각의 인에이블단자(E0,E1,E2,E3,E4,E5)에 접속되어 제어신호(S0,S1,S2,S3,S4,S5)가 인가되며, D플립플롭 각각의 출력단자(Q0,Q1,Q2)는 각각 제1주파 증폭부(280), 제2주파 증폭부(282), 제3주파 증폭부(284), 제4주파 증폴부(286), 제5주파 증폭부(288) 및 제6주파 증폭부(290)에 접속되어 출력데이터(d0,d1,d2)를 각각 접속되어 있는 해당 증폭부에 인가하게 된다. 제3C도의 제1주파수 증폭부(280)는 증폭기(1C1)의 비반전입력단자(I1)에 외부음성신호(AS)가 입력되며, 반전입력단자(12)와 출력단자(01) 사이에 동조 주파수 설정용 콘덴서(C1)와 피이드백용 저항(R1)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반전입력단자(I2)에는 이득조정용 전자가변저항기(VR1)가 접속되어 있고 전자가변저항기(VR1)의 일단은 접지되어 있다. 또한, 전자가변저항기(VR1)의 스위칭제어단자(SC0,SC1,SC2)에는 데이너 처리부(24)의 제1플립플롭(FF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d0, d1, d2)가 인가된다. 여기서 동조 주파수 설정용 콘덴서(C1)에 의해 증폭되는 주파수가 설정되며, 전자가변저항기(VR1)의 저항값에 따라 증폭이득이 결정된다. 따라서 전자가변저항기(VR1)내의 스위칭제어단자(SC0,SC1,SC2)에 입력되는 데이터(d0,d1,d2)로 인해 그 내부스위치(S'0,S'1,S'2)가 개폐됨으로써, 내부저항(R2,R3,R4)에 따른 전자가변저항기(VR1)의 저항값이 조정되어 제1주파 증폭부(280)의 전체증폭이득이 변화되게 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나머지 증폭부들도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되어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원하는 주파수대를 증폭할 수 있게 된다.When a user inputs predetermined data to the microcomputer 20 using the keypad 22, the microcomputer 20 outputs predetermined address signals A0, A1, A2 by a predetermined program to the address processor 26. After the application, the internal data d0, d1, d2, which are preset according to the data input by the user, are output from the memory (not shown) provided in the microcomputer 20 and applied to the data processor 24. The address processor 26 performs a predetermined process according to the applied address signals A0, A1, A2 to apply the control signals S0, S1, S2, S3, S4, S5 to the data processor 24. The address processor 26 is a predetermined decoder that outputs the control signals S0, S1, S2, S3, S4, S5 so that one part of the data processor 24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address signals A0, A1, A2. .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s S0, S1, S2, S3, S4, and S5, the data processor 24 controls the data d0, d1, d2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20 in the tone amplifier 28. 1 frequency amplifier 280, 2nd frequency amplifier 282, 3rd frequency amplifier 284, 4th frequency amplifier 286, 5th frequency amplifier 288 and 6th frequency amplifier ( 290). According to the applied data (d0, d1, d2), a part of the tone amplifier 28 is operated as an amplifier having a predetermined gain so that the external voice signal AS input to the tone amplifier 28 is selected. By amplifying according to the gain, the external voice signal AS is selectively amplifi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FIG. 2B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respective frequency amplifiers in the tone amplifiers 28. FIG. Referring to FIG. 2B, since the response characteristic G1 of the first frequency amplifier 280 is a characteristic that is amplified by 250 Hz, the external voice signal AS is amplified by about 20 dB at 250 Hz, thereby deafening the hearing sensitivity near 250 Hz.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ring loss characteristics. Similarly, the second frequency amplifier 282. Third frequency amplifier 284. Fourth frequency amplifier 286.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G2, G3, G4, G5 G6) for the fifth frequency amplifier 288 and the sixth frequency amplifier 290 are each amplified by about 20 dB at 500 Hz, 1 kHz, 2 kHz, 4 kHz, and 8 kHz. When the amplifier is selectively operated, the external voice signal AS may be selectively amplified near a specific frequency to improve the hearing loss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ed with a lower hearing sensitivity near each frequency. Such selective amplification may not be performed at only one frequency (eg 250 Hz), but comprehensive amplification may be performed at various frequencies and frequencies suitable for hearing characteristics of the deaf. For example, you can amplify 20 dB around 250 Hz and 500 Hz or 20 dB around 250 Hz and 500 Hz and 1 kHz. In addition, the second amplifier 30 is an amplifier for further amplifying the selectively amplified voice signal AS. 3A, 3B, and 3C are detailed views of the first frequency amplifier 280 of the address processor 26, the data processor 24, and the tone amplifier 28,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3A, the address processing unit 26 is composed of a 3X8 decoder DEC and output terminals Q0 and Q1 of the decoder DEC according to the address signals A0, A1 and A2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20. Outputs 0 at only one of terminals (Q2, Q3, Q4, Q5, Q6, Q7) and 1 at all other terminals. Therefore, only one signal becomes 0 for the control signals S0, S1, S2, S3, S4, and S5 output from the decoder DEC. These control signals S0, S1, S2, S3, S4 and S5 are applied to the data processor 24 to make only one part of the data processor 24 operable. The data processor 24 of FIG. 3B is composed of six D flip-flops FF0, FF1, FF2, FF3, FF4, and FF5. Each input terminal D0, D1, D2 is connected to the data output terminals MD0, MD1, MD2 of the microcomputer 20, and output data d0, d1, d2 of the microcomputer 20 is applied. Connected to the enable terminals E0, E1, E2, E3, E4, and E5, the control signals S0, S1, S2, S3, S4, and S5 are applied, and the output terminals Q0, Q1, and D flip-flop respectively. Q2) denotes a first frequency amplifier 280, a second frequency amplifier 282, a third frequency amplifier 284, a fourth frequency amplifier 286, a fifth frequency amplifier 288 and a fifth frequency amplifier 280, respectively. It is connected to the six-frequency amplifier 290 and applies the output data d0, d1, d2 to the amplification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frequency amplifier 280 of FIG. 3C, the external audio signal AS is input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I1 of the amplifier 1C1, and is synchronized between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12 and the output terminal 01. The frequency setting capacitor C1 and the feedback resistor R1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addition, a gain adjusting electronic variable resistor VR1 is connect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I2, and one end of the electronic variable resistor VR1 is grounded. In addition, data d0, d1, and d2 output from the first flip-flop FF1 of the day processing unit 24 are applied to the switching control terminals SC0, SC1, SC2 of the electronic variable resistor VR1. Here, the frequency amplified by the tuning frequency setting capacitor C1 is set, and the amplification gai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nic variable resistor VR1. Therefore, the internal switches S'0, S'1, S'2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data d0, d1, d2 input to the switching control terminals SC0, SC1, SC2 in the electronic variable resistor VR1. The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nic variable resistor VR1 according to the internal resistances R2, R3, and R4 is adjusted to change the overall amplification gain of the first frequency amplifier 280. In the same way, the remaining amplification units work the same, and the user can selectively amplify the desired frequency band.

또한, 상기 음색별 증폭부(28)는 상기 음성신호(AS)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미도시)와, 복수의 쉬프트 레지스터(미도시)와 복수의 가산기(미도시) 및 복수의 계수승산기(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디지탈 변환된 신호를 음색별로 증폭하고 주파수 필터링하는 디지탈 필터(미도시) 및 상기 디지탈 필터(미도시)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음성신호(AS)를 디지탈 방식으로 신호처리함으로써 불필요한 잠음을 사전에 억제하여 깨끗한 음질을 얻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ne-specific amplifier 28 may include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not shown) for converting the voice signal AS into a digital signal, a plurality of shift registers (not shown), a plurality of adders (not shown), and the like. A digital filter (not shown) having a plurality of coefficient multipliers (not shown) to amplify and frequency-filter the digitally converted signal for each tone and a digital signal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filter (not shown) into analog signals. An analog converter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digitally process the voice signal AS to suppress unnecessary sleep beforehand to obtain clean sound quality.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를 외부 부가장치로서 사용할 때 종래 전화기와의 접속관계를 도시한 외부 결선도이다.4 is an external connection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a conventional telephone when a hearing aid telephone auxiliary apparatus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n external additional device.

제4도를 참조하면, 본체(2)가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1)의 입력단자(IN)에 접속되고, 송수화기(3)는 음색별 증폭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1)의 출력단자(OUT)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화기에 본 발명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는 간편하게 명확한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들을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4, the main body 2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of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1 having the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the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nd the handset 3 is the tone-specific amplifier function and frequency.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1 having a filtering function. Thus, by simply installing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having the present invention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in the conventional telephone, the user can easily hear the clear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hearing aid telephone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hearing aid telephone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는 외부신호를 수신하여 그 수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톤 링거(81)와, 상기 외부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그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기(86)와, 상기 정류기(86)에 접속되어 상기 수신신호를 소정 신호처리 하는 스피치 네트워크(84)와,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84)에 접속되어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84)의 출력신호에 대한 증폭도가 주파수대별로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음색별 증폭수단(4)과,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84) 및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4)의 입력단자(IN)에 그 일단이 접속되며 다른 단이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4)의 출력단자(OUT)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상모드 및 음색별 증폭모드가 절환되는 모드절환 스위치(92)와, 상기 모드절환 스위치(82)에 접속되어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 가능한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88)와,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84)에 접속되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90)와,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패드(80) 및 상기 키패드(80)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정류기(86)와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84)에 접속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콤(82)을 구비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hearing aid telephone having the amplification function and the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ne ringer 81 for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and informing the user of the reception state, and using the external signal as an input signal. A rectifier 86 for rectifying the signal, a speech network 84 connected to the rectifier 86 for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and an output signal of the speech network 84 connected to the speech network 84.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means 4 for each tone, the amplification degree of which is selectively controlled for each frequency band, and the input terminal IN of the speech network 84 and the amplification means 4 for each tone, and the other end is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4) and connected to the mode switching switch (92) and the mode switching switch (82) to switch between the normal mode and the tone-specific amplif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 speaker 88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voice signal, a microphone 90 connected to the speech network 84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of the user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keypad for inputting user input data And a microcomputer 82 connected to the keypad 80 and performing predetermined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data of the user, and connected to the rectifier 86 and the speech network 84 to control them.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hearing aid telephone having the amplification function and the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next.

외부신호(LINE IN)가 톤 링거(81)에 입력되면 톤 링거(81)는 그 신호(LINE IN)의 수신을 알리고 또한, 외부신호(LINE IN)는 정류기(86)에 의해 정류되어 마이콤(82) 및 스피치 네트워크(84)에 입력된다. 정상모드시에는 모드절환 스위치(82)가 스피치 네트워크(82) 쪽으로 절환되므로 스피치 네트워크(84)에서 출력된 음성신호(AS2)가 스피커(88)로 인가됨으로써 음성신호가 가청신호로 변환되며, 음색별 증폭모드시에는 모드절환 스위치(82)가 음색별 증폭수단(4)의 출력단자(OUT) 쪽으로 절환되어 스피치 네트워크(84)에서 출력된 음성신호(AS2)는 음색별 증폭수단(4)의 입력단자(IN)에 인가된다. 음색별 증폭수단(4)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인가된 음성신호(AS2)를 선택적으로 특정주파수에 대해 증폭하여 청각감도가 보상된 신호를 출력단자(OUT)를 통하여 스피커(88)에 인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각특성이 보상된 음성신호가 스피커(88)를 통해 출력되기 때문에 정상인과 동일하게 명확하게 수신된 음성신호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음색별 증폭수단(4)의 구성과 동작은 기술한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When the external signal LINE IN is inputted to the tone ringer 81, the tone ringer 81 notifies the reception of the signal LINE IN, and the external signal LINE IN is rectified by the rectifier 86 to allow the microcomputer ( 82) and speech network 84. In the normal mode, the mode switching switch 82 is switched to the speech network 82, so that the voice signal AS2 output from the speech network 84 is applied to the speaker 88 so that the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udible signal. In the amplification mode, the mode switching switch 82 is switched toward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amplification means 4 for each tone so that the audio signal AS2 output from the speech network 84 is the amplification means for the tone amplification means 4. It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IN. The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4 selectively amplifies the applied voice signal AS2 for a specific frequency as described above and applies a signal whose hearing sensitivity is compensated to the speaker 88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Therefore, the user can hear the voice signal clearly received as well as the normal person because the audio signal compensated for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88.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mplification means 4 for each ton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having the amplification function and the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described above, they will be omitted.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무선보청전화 유대장치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wireless hearing aid bonding apparatus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무선보청전화 휴대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hearing aid portable apparatus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를 참조하면, 외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휴대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장치의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에 송신하기 위하여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본 발명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무선보청전화 휴대장치는 상기 고정장치에서 송신된 레벨압축 및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50)와, 상기 안테나(50)에 접속되어 수신 및 송신 모드에 따라 절환하는 안테나 스위치(52)와, 상기 안테나 스위치(52)의 일단과 접속되어 수신된 상기 레벨압축 및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주파수 복조하는 주파수 복조 수신부(54)와, 상기 주파수 복조 수신부(54)와 접속되어 상기 주파수 복조 수신부(54)에서 출력된 신호를 레벨신장하는 신장기(60)와, 상기 신장기(60)와 접속되어 그 출력에 대한 증폭도가 주파수대별로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음색별 증폭수단(4)와, 상기 신장기(60) 및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4)의 입력(IN)에 그 일단이 접속되며 다른 단이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4)의 출력(OUT)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상모드 및 음색별 증폭모드가 절환되는 모드절환 스위치(70)와, 상기 모드절환 스위치(70)이 접속되어 음성 증폭을 행하는 음성증폭기(72)와, 상기 음성증폭기(72)와 접속되어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 가능한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78)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68)와, 상기 마이크(68)에 접속되어 상기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레벨압축하는 압축기(66)와, 상기 압축기(66)에 접속되어 상기 압축기(66)에서 레벨압축된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고 상기 안테나 스위치(52)에 접속되어 상기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상기 안테나(50)로 출력하는 주파수 변조 송신부(58)와, 상기 주파수 복조 수신부(54) 및 상기 주파수 변조 송신부(58)에 접속되며 소정의 위상제어를 행하는 위상제어수단(56)과,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패드(64) 및 상기 키패드(64)에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상기 주파수 복조 수신부(54)와 상기 주파수 변조 송신부(58) 및 상기 위상제어수단(56)에 접속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콤(62)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6, in the radiotelephone having a fixed device for transmitting an externally received signal to a portable device and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mplification function and frequency for each tone. A wireless hearing aid portable device having a filtering function includes an antenna 50 for receiving a level compression and frequency modulat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xed device, and an antenna switch connected to the antenna 50 and switched according to a reception and transmission mode. A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54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switch 52 and frequency demodulates the received level compression and frequency modulated signal, and is connected to the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54 and the frequency An expander 60 for level-extend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receiver 54, and the amplification degree for the output is connected for each frequency b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4 and the input IN of the expander 60 and the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4, and the other end of the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4 is connected. A mode switching switch 70 connected to an output OUT for switching between a normal mode and an amplification mode for each ton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a voice amplifier 72 connected to the mode switching switch 70 for amplifying voice; A speaker 78 connected to the voice amplifier 72 to convert an electrical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voice signal, a microphone 68 to convert a user's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microphone 68 A compressor 66 connected to the compressor 66 for level compression of the electrical voice signal; a frequency modulated signal connected to the compressor 66 for level compression in the compressor 66, and connected to the antenna switch 52; The frequency modulated signal to the antenna (5 And a phase control means 56 connected to the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54, the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54, and the frequency modulated transmitter 58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phase control, and user input data. The keypad 64 for input and the keypad 64 are connected to perform a predetermined process according to the input data of the user, and the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54, the frequency modulated transmitter 58, and the phase control means 56 It is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62 connected to and controlling them.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무선보청전화 휴대장치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hearing aid portable apparatus having the amplification function and the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next.

상기 고정장치에서 출력된 신호는 레벨압축 및 주파수 변조된 신호로서 이 신호는 안테나(50)로 입력되어 안테나 스위치(52)를 거쳐 주파수 복조 수신부(54)에 입력된다. 주파수 복조 수신부(54)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주파수 복조하여 신장기(60)에 복조된 신호를 인가한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fixing device is a level compression and frequency modulated signal, which is input to the antenna 50 and input to the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54 via the antenna switch 52. The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54 demodulates the input signal and applie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expander 60.

신장기(60)에 입력된 신호는 신장기(60)에 의해서 레벨신장되어 모드절환 스위치(70)의 일단에 인가된다. 정상모드시에는 모드절환 스위치(70)가 신장기(60) 쪽으로 절환되기 때문에 상기 레벨신장된 신호는 음성증폭기(72)를 거쳐 스피커(78)로 인가됨으로써 음성신호가 가청신호로 변환된다. 한편, 음색별 증폭모드시에는 모드절환 스위치(70)가 음색별 증폭수단(4)의 출력단자(OUT)쪽으로 절환되기 때문에 음색별 증폭수단(4)의 출력단자(OUT)가 음성 증폭기(72)에 접속된다. 또한, 신장기(60)에서 출력된 신호는 음색별 증폭수단(4)의 입력단자(IN)에 인가되며, 인가된 신호는 음색별 증폭수단(4)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특정주파수가 증폭되어 출력단자(OUT)및 음성 증폭기(72)를 통하여 스피커(78)에 인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각특성이 보상된 음성신호가 스피커(78)를 통해 출력되기 때문에 정상인과 동일하게 명확하게 수신된 음성신호를 들을 수 있게 된다.The signal input to the decompressor 60 is level-extended by the decompressor 60 and applied to one end of the mode switching switch 70. In the normal mode, since the mode switching switch 70 is switched toward the expander 60, the level-extended signal is applied to the speaker 78 through the voice amplifier 72 to convert the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signal. On the other hand, in the tone-specific amplification mode, since the mode switching switch 70 is switch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4,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4 is the voice amplifier 72. ) Is connected. In additi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expander 60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IN of the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4, and the applied signal is selectively amplified by a specific frequency as described above by the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4. And is applied to the speaker 78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and the voice amplifier 72. Therefore, the user can hear the voice signal clearly received as well as the normal person because the voice signal compensated for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78.

상기한 음색별 증폭수단(4)의 구성과 동작은 기술한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mplification means 4 for each ton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having the amplification function and the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described above, they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는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음색(주파수)을 선택적으로 증폭시켜 청각장애자(노인성 청각장애자, 소음성청각장애자, 선천성 청각장애자등)의 청각감도를 보상해줌으로써 청각장애자가 수신되는 음성을 명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으며, 청각장애자가 아닌  반인도 잡음대역이 억제됨으로써 통화시 명확하게 수신되는 음성을 들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 hearing aid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amplifies a tone (frequency) of a received voice signal (a hearing impaired person, an elderly hearing impaired person, a noise deaf person, a congenital hearing impaired person). By compensating for the hearing sensitivity, the hearing impaired person can clearly hear the received voice, and the non-hearing person, who is not deaf, can suppress the noise band so that the voice can be clearly heard during the call. hav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소정의 회로변경 및 회로간략화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휴대폰이나 구내교환기 및 응답전화기등 유선이나 무선으로 통화하는 장치에 쉽게 적용 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업자가 가진 통상적인 지식의 범위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y be changed by a predetermined circuit change and circuit simplification. It can be easily adapted to the devi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or improved within the scope of ordinary knowledg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2)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 상기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수단]키패드(22); 상기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에 접속되며 상기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수단]데이터 처리부(24); 상기[중앙처리수단]마이콤(20) 및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데이터 처리부(24)에 접속되어 상기[중앙처리수단]마이콤(20)의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데이터 처리부(24)의 출력을 제어하는 [어드레스 처리수단]어드레스 처리부(26); 및 외부음성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과]데이터 처리부(24)와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의]데이터 처리부(2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그]상기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도가 주파수대별로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음색별 증폭부(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Central processing means] a microcomputer 20 including a memory [part]; A [data input means] keypad 22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puter 20 for inputting user data; A [data processing means] data processing unit 24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puter 20 and processing data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puter 20;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puter 20 and the [data processing means] data processing unit 24 and according to the address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 20, the [data processing means] data processing unit 24 Address processing unit 26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 address processing unit " And an external audio signal is input and connected to the [data processing means]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24 to output the amplification degree for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processing unit 24 of the data processing means. Hearing aid device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ne-specific amplifier 28 is selectively controlled for each frequency b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는 상기 음색별 증폭부(28)에 접속되어 상기 음색별 증폭부(28)의 출력신호를 [추가로] 증폭하는 [제2증폭수단을]제2증폭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기능 및 주파수 필턱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2.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having the amplification function and the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for each of the tones is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part 28 to amplify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cation part 28. Hearing aid assistance device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er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amplification unit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은]데이터 처리부(24)는 인에이블단자가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플립플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2.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data processing unit has a plurality of flip-flops having an enable terminal.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은 데이터 처리부(24)는 소정의 쉬프트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2.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data processing means has a predetermined shift regi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처리수단은] 어드레스 처리부(26)는 3X8디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2.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address processing unit is a 3X8 deco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처리수단은]어드레스 처리부(26)는 4비트 싱글칩마이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2. The hearing aid auxiliary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address processing unit comprises a 4-bit single chip microcompu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색별 증폭부(28)는 이득조정용 전가가변저항기와 동조주파수 설정용 콘덴서 및 피이드백 저항이 마련되어 있는 동조주파용 증폭기가 복수개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The tone-by-tone amplifi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ne amplifier 28 has a plurality of tuning frequency amplifier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gain adjusting variable resistor, a tuning frequency setting capacitor, and a feedback resistor. Hearing aids with amplification and frequency filte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색별 증폭부(28)는 상기 외부음성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와 복수의 쉬프트 레지스터와 복수의 가산기 및 복수의 계수승산기를 구비하여 상기 디지탈 변환된 신호를 음색별로 증폭하고 주파수 필터링하는 다지탈 필터 및 상기 디지탈 필터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컨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보조장치.The digital amplifier of claim 1, wherein the tone amplifier 28 includ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external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plurality of shift registers, a plurality of adders, and a plurality of coefficient multipliers. A hearing aid telephone having a tone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comprising: a digital filter for amplifying a signal for each tone and frequency filtering, and a digital / analog converter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filter into an analog signal Auxiliary device. 외부신호를 수신하여 그 수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톤링거(81); 상기 외부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그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수단]정류기(86); 상기 [정류수단]정류기(81)에 접속되어 상기 수신신호를 소정 신호처리하는 스피치 네트워크(84);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84)에 접속되어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84)의 출력신호에 대한 증폭도가 주파수대별로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음색별 증폭수단(4);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84)의 출력 및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4)의 입력에 그 일단이 접속되어 다른 단이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4)의 출력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상모드 및 음색별 증폭모드가 절환되는 모드절환 스위치[부](92); 상기 모드절환 스위치[부](92)에 접속되어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 가능한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88);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84)에 접속되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90);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수단]키패드(80);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키패드(80)에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정류수단과]정류기(86)와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84)에 접속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마이콤(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A tone ringer 81 which receives an external signal and informs the user of the reception state; [Rectifying means] rectifier 86 for rectifying the signal by receiving the external signal as an input; A speech network (84) connected to the [rectifying means] rectifier (81) for processing the received signal by a predetermined signal;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4) connected to the speech network (84)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amplification degree for the output signal of the speech network (84) for each frequency b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an output of the speech network 84 and an input of the amplifying means 4 for each ton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n output of the amplifying means 4 for each tone so that a normal mode and a tone ar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 mode switching switch [unit] 92 in which a star amplification mode is switched; A speaker 88 connected to the mode switching switch [unit] 92 to convert an electrical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voice signal; A microphone 90 connected to the speech network 84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 [data input means] keypad 80 for inputting user input data; And connected to the [data input means] keypad 80 to perform predetermined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put data of the user and to the [rectifying means] rectifier 86 and the speech network 84 to control them. Central processing means] a hearing aid telephone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er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computer (8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4)은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 상기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수단]키패드(22); 상기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에 접속되며 상기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수단]데이터 처리부(24); 상기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 및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데이터 처리부(24)에 접속되어 상기[중앙처리수단]마이콤(20)의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데이터 처리부(24)의 출력을 제어하는 [어드레스 처리수단]어드레스 처리부(26); 및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84)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데이터처리수단]데이터처리부(24)와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데이터 처리부(24)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입력된 신호에 대한 증폭도가 주파수대별로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음색별 증폭부(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4) comprises: [a central processing means] a microcomputer 20 including a memory [unit]; A [data input means] keypad 22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puter 20 for inputting user data; A [data processing means] data processing section 24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puter 20 and processing data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puter 20; The [data processing means] data processor 24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puter 20 and the [data processing means] data processing unit 24 in accordance with the address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 20. Address processing unit 26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 address processing unit " And an output signal of the speech network 84 is input, and is connected to the [data processing means] data processing unit 24 so that an amplification degree for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data processing means] data processing unit 24 is obtained. Hearing aid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ne-specific amplifier 28 selectively controlled for each frequency band. 외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휴대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장치의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에 송신하기 위하여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에서 송신된 레벨압축 및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50); 상기 안테나(50)에 접속되어 수신 및 송신 모드에 따라 절환하는 안테나 스위치(52); 상기 안테나 스위치(52)의 일단과접속되어 수신된 상기 레벨압축 및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주파수 복조하는 주파수 복조수신부(54); 상기 주파수 복조 수신부(54)와 접속되어 상기 주파수 복조 수신부(5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레벨신장하는 신장기(60); 상기 신장기(60)와 접속되어 그 출력에 대한 증폭도가 주파수대별로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음색별 증폭수단(4); 상기 신장기(60) 및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4)의 입력에 그 일단이 접속되며 다른 단이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4)의 출력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상모드 및 음색별 증폭모드가 절환되는 모드절환스위치[부](70); 상기 모드절환 스위치[부](70)에 접속되어 음성신호의 증폭을 행하는 음성증폭기(72); 상기 음성증폭기(72)와 접속되어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 가능한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78);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68); 상기 마이크(68)에 접속되어 상기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레벨압축하는 압축기(66); 상기 압축기(66)에 접속되어 상기 압축기(66)에서 레벨압축된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고 상기 안테나 스위치(52)에 접속되어 상기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상기 안테나(50)로 출력하는 주파수 변조 송신부(58); 상기 주파수 복조 수신부(54) 및 상기 주파수 변조 송신부(58)에 접속되며 소정의 위상제어를 행하는 위상제어수단(56);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수단]키패드(64);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키패드(64)에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데이타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상기 주파수 복조 수신부(54)와 상기 주파수 변조 송신부(58) 및 상기 위상제어수단(56)에 접속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마이콤(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무선보청전화 휴대장치.A radiotelephone having a fix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a portable device, and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to the outside, wherein the level-compressed and frequency-modulat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xed device is received. An antenna 50; An antenna switch 52 connected to the antenna 50 and switching in accordance with a reception and transmission mode; A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54)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ntenna switch (52) and frequency demodulates the received level compression and frequency modulated signal; An expander (60) connected to the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54) for level-extend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54); A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4) connected to the expander (60) to selectively control the amplification degree for the output of each b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expander 60 and the amplification means 4 for each ton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amplification means 4 for each tone so that the normal mode and the amplification mode for each tone ar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 mode switching switch [unit] 70 to be switched; A voice amplifier 72 connected to the mode switching switch [unit] 70 for amplifying a voice signal; A speaker 78 connected to the voice amplifier 72 to convert an electrical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voice signal; A microphone 68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 compressor (66) connected to the microphone (68) for level-compressing the electrical voice signal; A frequency modulation transmitter 58 connected to the compressor 66 to frequency modulate the level-compressed signal at the compressor 66 and connected to the antenna switch 52 to output the frequency-modulated signal to the antenna 50. ); Phase control means (56) connected to said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ing section (54) and said frequency modulation transmitting section (58) and performing predetermined phase control; A [data input means] keypad 64 for inputting user input data; And the [data input means] keypad 64 to perform a predetermined process according to the input data of the user, and to the frequency demodulation receiver 54, the frequency modulated transmitter 58, and the phase control means 56.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munic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computer (62), and a hearing aid portable device having a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색별 증폭수단(4)은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 상기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수단]키패드(22); 상기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에 접속되며 상기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수단]데이터 처리부(24); 상기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 및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데이터 처리부(24)에 접속되어 상기 [중앙처리수단]마이콤(20)의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데이터 처리부(24)의 출력을 제어하는 [어드레스 처리수단]어드레스 처리부(26); 및 상기 신장기(60)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데이터처리수단]데이터 처리부(24)와 접속되어 상기 [데이처 처리수단)데이터 처리부(24)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입력된 신호에 대한 증폭도가 주파수대별로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음색별 증폭부(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무선보청전화 휴대장치.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tone-specific amplifying means (4) comprises: [central processing means] a microcomputer 20 including a memory [unit]; A [data input means] keypad 22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puter 20 for inputting user data; A [data processing means] data processing section 24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puter 20 and processing data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puter 20;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puter 20 and the [data processing means] data processing unit 24 and according to the address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means] microcom 20, the [data processing means] data processing unit 24 Address processing unit 26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 address processing unit " And an output signal of the expander 60 is input and connected to the [data processing means] data processing unit 24 so that the amplification degree for the input signal is in accordance with the data of the [data processing unit] data processing unit 24. Wireless hearing aid portable device having a tone-specific amplification function and frequency filter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ne-specific amplifier 28 is selectively controlled for each frequency band.
KR1019950015591A 1995-06-13 1995-06-13 Frequency selective filtering hearing aid telephone KR01614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591A KR0161412B1 (en) 1995-06-13 1995-06-13 Frequency selective filtering hearing aid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591A KR0161412B1 (en) 1995-06-13 1995-06-13 Frequency selective filtering hearing aid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48A KR970004548A (en) 1997-01-29
KR0161412B1 true KR0161412B1 (en) 1998-12-01

Family

ID=1941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591A KR0161412B1 (en) 1995-06-13 1995-06-13 Frequency selective filtering hearing aid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41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416A (en) * 2000-12-06 2002-06-15 윤종용 Personal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 hearing compensation facility
KR100389521B1 (en) * 2001-02-13 2003-06-2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Voice processing method, telephone using the same and relay station
KR20040022014A (en) * 2002-09-06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udio data
WO2011142633A2 (en) * 2010-05-14 2011-11-17 한국기계연구원 Single chip for making products of sound visualiz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705B1 (en) * 2001-04-13 2004-03-18 이승훈 A cellulra phone having function of a hearing aid
KR100718384B1 (en) * 2005-02-25 2007-05-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IC chip type hearing aid circuit for a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with a built-in hearing aid circuit
KR101014522B1 (en) * 2009-04-28 2011-02-14 김정수 Bus bar forming method with hot forming
WO2024054098A1 (en) * 2022-09-08 2024-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usbar having improved flame resistanc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416A (en) * 2000-12-06 2002-06-15 윤종용 Personal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 hearing compensation facility
KR100389521B1 (en) * 2001-02-13 2003-06-2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Voice processing method, telephone using the same and relay station
KR20040022014A (en) * 2002-09-06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udio data
WO2011142633A2 (en) * 2010-05-14 2011-11-17 한국기계연구원 Single chip for making products of sound visualization
WO2011142633A3 (en) * 2010-05-14 2012-03-08 한국기계연구원 Single chip for making products of sound visua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48A (en)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6268B2 (en) Voice correction device and mobile device with voice correction function
US20040131206A1 (en) User selectable sound enhancement feature
US20050135644A1 (en) Digital cell phone with hearing aid functionality
JP2002101156A (en) Portable telephone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
KR200000296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user selected frequency response pattern to audio signals provided to a cellular telephone speaker
US6798881B2 (en) Noise reduction circuit for telephones
KR0161412B1 (en) Frequency selective filtering hearing aid telephone
US2006001457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089526A2 (en) Telephone with sound customizable to audiological profile of user
KR100423705B1 (en) A cellulra phone having function of a hearing aid
JPH08191340A (en) Telephone set with auditory characteristic compensation means
JPH10126466A (en) Portable telephone set
JPH10276250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JP3480121B2 (en) Handset type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
JPH11112614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equipment
JPH0766767A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JPH0832493A (en) Talking system
WO2001033813A1 (en) Communication terminal
JP2789997B2 (en) Telephone equipment
JPS60116268A (en) Conference telephone set
JPH1070600A (en) Telephone set
KR100207819B1 (en) Telephone for inaudibles
JPH0583332A (en) Telephone set
KR200203369Y1 (en) Telephone
JPH1132103A (en) Telepho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