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260B1 -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 - Google Patents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260B1
KR0155260B1 KR1019980006662A KR19980006662A KR0155260B1 KR 0155260 B1 KR0155260 B1 KR 0155260B1 KR 1019980006662 A KR1019980006662 A KR 1019980006662A KR 19980006662 A KR19980006662 A KR 19980006662A KR 0155260 B1 KR0155260 B1 KR 015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sound generating
key
stopper
generat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기요시 가와무라
신야 고세키
노부오 스기야마
마사히로 와다
Original Assignee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735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03784B2/en
Priority claimed from JP503142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37590B2/en
Application filed by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시마 세이스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26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6Keys with an arrangement for simulating the feeling of a piano key, e.g. using counterweights, springs, c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아노선이 어떠한 기계적 진동없이 기계음과 합성음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연주자에게 피아노같은 키터치감을 부여하기 위해 건반악기에 이용된 건반(1a)은 햄머기구(1c)와 관련된 키작용기구(1b)에 연결되고, 스토퍼(2c)는 햄머가 현을 타격하기 전에 햄머를 폐색하여 소음이 합성된 음과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기계음 발생 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로서, 상기 스토퍼(214b, 304a), 상기 햄머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이동식지지 기구에 부착되는 다단 쿠션 부재와, 작동 기구(30a/30b/30c/30d/28/29/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or the piano wire to selectively generate mechanical and synthesized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1a used i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o give the player a piano-like key touch in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on mode is connected to the keying mechanism 1b associated with the hammer mechanism 1c, and the stopper 2c is connected to the hamme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or selectively starting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in which the sound is not mixed with the synthesized sound by closing the hammer before striking the string, the stoppers 214b and 304a, and the impact of the hammer. And a multistage cushion member attached to the movable support mechanism for absorption, and actuation mechanisms 30a / 30b / 30c / 30d / 28/29/31.

Description

피아노선의 기계적 진동 없이 기계음 모드와 합성음 모드를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Keyboard instrument that selectively starts mechanical and synthesized sound modes without mechanical vibration of the piano wire

본 발명은 건반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통음과 합성음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피아노형 악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piano-type musical instruments for selectively generating normal and synthesized sounds.

피아노형 악기에는 피아노 키터치를 위한 키작용기구와 결합된 건반이 구비되며, 전자음발생기는 현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음에 따라서 음을 합성한다. 그러나, 키작용기구가 햄머로 하여금 현을 타격하게할 때 현이 진동하며 그 결과 기계적으로 발생되는 음은 합성음과 혼합된다. 청중은 이 혼합음을 이상하게 느끼게 된다. 일본국 특허 공고 제1-30155호(코쿠쿠)에 제시된 건반악기는 댐퍼기구와 현의 접촉에 의해 보통음의 시끄러움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시도는 현의 진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보통음의 시끄러움을 감소시킨다.The piano-type musical instrument includes a keyboard coupled with a key mechanism for piano key touch,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or synthesizes the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generated by striking the string. However, when the keying mechanism causes the hammer to strike the string, the string vibrates and the resulting mechanical sound is mixed with the synthesized sound. The audience feels strange about this mix.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resented 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1-30155 (Kokuku) aims to reduce the loudness of a normal sound by the contact of a damper mechanism and a string. This attempt limits the loudness of the normal sound by limiting the vibrations of the strings.

그랜드피아노에 이용된 뮤팅(muting)기구는 일본국 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제51-67732호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 뮤팅기구는 탄성부재로 햄머작용을 제한한다. 햄머는 음이 감소되도록 탄성부재와 관련현을 동시에 타격한다. 이 시도는 현에 작용하는 힘을 줄이는 것이다. 그러나, 이 뮤팅기구는 그랜드피아노에만 적용되어 보통음이 시끄러움을 감소시킨다.The muting mechanism used in the grand piano is shown in Japanese Utility Model Application Publication No. 51-67732, which mutes the hammer to limit the action of the hammer. The hammer simultaneously strikes the elastic member and the associated string so that the sound is reduced. This attempt is to reduce the force on the strings. However, this muting mechanism is applied only to the grand piano, and the normal sound reduces the loudness.

따라서, 종래의 건반악기는 현을 타격하여 생기는 보통음을 감소시키지만, 종래의 건반악기는 전기적으로 합성된 음으로부터 보통음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한편, 햄머가 건반악기로부터 제거된다면 카작용기구는 연주자가 피아노키를 적절히 터치하기에는 너무 가볍게 되므로 햄머는 건반악기에 필요불가결한 것이다.Thus, while convention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reduce the common sounds produced by striking the strings, convention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cannot completely remove the normal sounds from the electrically synthesized sounds. On the other hand, if the hammer is removed from the keyboard instrument, the car mechanism is too light for the player to properly touch the piano keys, so the hammer is indispensable for the keyboard instrument.

그러므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전기적으로 발생된 음으로부터 기계적음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건반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importan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capable of completely removing mechanical sound from an electrically generated soun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햄머가 현을 타격하기전에 햄머생크가 스토퍼가 접촉하게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hammer shank to contact the stopper before the hammer hits the string.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고정 건반부재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으며 기계음 발생모드 및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러지는 다수의 키를 갖는 건반, 상기 다수의 키와 각각 결합되어 연주자가 누를 때 다수의 키에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다수의 키작용기구, 각각의 햄머와 상기 햄머와 각기 결합되어 연주자가 다수의 키를 선택적으로 누를 때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햄머생크를 가지고 상기 다수의 키작용기구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햄머기구, 및 상기 다수의 햄머기구와 연결되며 연주자가 다수의 키를 선택적으로 누를 때 기계음 발생모드에서 햄머에 의해 타격되는 다수의 피아노선을 구비하는 구비하는 음향피아노와;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 key having a plurality of keys that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keyboard member and selectively pressed by the user in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keys the player presses The plurality of keying mechanisms having a plurality of keying mechanisms selectively actuated by a plurality of keys, each of the hammers and a hammer shank coupled to each of the hammers and driven to rotate when the player selectively presses the plurality of keys. A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each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the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being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and having a plurality of piano wires hit by the hammers in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when the player selectively presses a plurality of keys;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연주자에 의해 키가 눌러지는 것을 알 수 있도록 다수의 키를 감시하여 연주자에 의해 눌러진 키에 따라서 전자음을 발생하도록 작동하는 전자음 발생수단과, 및;Electronic sound generating means operable to monitor a plurality of keys so as to know that the key is pressed by the player in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and to generate electronic sounds according to the keys pressed by the player;

햄머생크와, 다수의 현 사이에 위치하는 스토퍼와, 연주자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스터퍼가 자유상태와 폐색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구동하는 구동장치(2a,2b, 30)를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의 상태가 자유상태일 때는 상기 햄머가 스토퍼의 방해를 받지 않고 현을 자유로이 타격하도록 하고, 상기 스토퍼의 상태가 폐색상태일 때는 상기 햄머생크가 스토퍼와 접촉되어 상기 햄머가 다수의 현을 타격하기 전에 폐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에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이동식지지 기구, 상기 햄머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이동식 지지 기구에 부착되는 다단 쿠션 부재와, 작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선의 기계적 진동 없이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를 제공한다.A hammer shank, a stopper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strings, and a drive device (2a, 2b, 30) for driving the stopper so that the stuffer is switched between a free state and a closed state in response to a player's instruction; When the stopper is in a free state, the hammer freely hits the string without being interrupted by the stopper. When the stopper is in a closed state, the hammer shank contacts the stopper and the hammer hits a plurality of strings. In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electively starting with a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and an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the stopper being attached to the mobile supporting mechanism, the mobile supporting mechanism for absorbing the impact of the hammer. Mechanical sound without mechanical vibration of the piano wire, comprising a multi-stage cushion member and an actuating mechanism The playback mode and an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to provide a keyboard instrument selectively start.

특히, 본 발명은 전술한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다단 쿠션 부재는 탄성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쿠션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선의 기계적 진동 없이 기계음 발행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를 제공한다.Particularly, in the above-describe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 multi-stage cushion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having different elasticities, wherein the keyboard selectively starts the mechanical sound issuing mode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without mechanical vibration of the piano wire. Provide musical instruments.

특히, 본 발명은 전술한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지지 기구는 그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외측 표면에 결합되는 브라켓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선의 기계적 진동 없이 기계음 발생 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를 제공한다.In particular, in the above-describe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 movable support mechanism includes a shaft member rotatable about its central axis, and bracket means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haft member. It provides a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starting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without the need.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쿠션 부재는, 상기 다단 쿠션 부재의 햄머와 접촉하는 지점으로부터 가까운 상층에서, 햄머와 접촉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상층보다 먼 하층으로 갈수록, 각 모듈의 탄성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선의 기계적 진동 없이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are each module in the upper layer near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hammer of the multi-stage cushion member, and farther from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hammer to the lower layer than the upper layer. Provided is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or selectively starting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without mechanical vibration of the piano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ity of the increase.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지지 부재는, 그 중심축을 둘레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다단 쿠션 부재의 반대 측 위에서 상기 이동식 지지 부재의 다른 표면에 부착되는 쿠션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선의 기계적 진동 없이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keyboard instrument, the movable support member is rotatable about its central axis, and the stopper is a cushion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ovable support memb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ultistage cushion membe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or selectively starting a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and an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without mechanical vibration of a piano wire further comprising a sheet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의 특징과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는 이후의 설명으로 보다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건반악기에 이용된 스토퍼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opper used in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제3도는 햄머가구와 스토퍼를 나타내는 측면도.3 is a side view showing a hammer furniture and a stopper.

제4도는 건반악기에 이용된 데이터 처리장치의 배열을 나타내는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of a data processing apparatus used in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제5(a)도 및 제5(b)도는 제4도에 도시한 건반악기에 이용된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5 (a) and 5 (b) are flowcharts showing the program sequence executed b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used i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hown in FIG.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건반악기에 이용된 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used in anothe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건반악기에 이용된 스토퍼와 햄머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opper and a hammer mechanism used i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hown in FIG.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건반악기에 의하여 레코딩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8 is a flowchart showing a program sequence executed in a recording motor by anothe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제8도의 건반악기에 의하여 재생모드에 의하여 레코딩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program sequence executed in a recording motor in a playback mode by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of FIG.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건반악기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된 측면도.Figure 10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of yet another keyboard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한 건반악기에 이용된 제1도 및 제2도 중심레일을 나타내는 일부 절결된 측면도.FIG. 11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center rails used i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hown in FIG.

제12도는 다른 각도에서 제1 및 제2 중심레일을 나타내는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center rails at different angles.

제13도는 해체된 상태에서의 제1 및 제2 중심레일을 나타내는 도면.13 shows the first and second center rails in a disassembled state.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에 이용된 다른 틈새 조절기구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된 측면도.14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another clearance control mechanism used i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틈새 조절기구의 수정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된 측면도.Figure 15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learanc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6도는 해체된 상태에서의 제15에 도시한 틈새 조절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clearance adjusting mechanism shown in FIG. 15 in a disassembled state; FIG.

제17(a)도 및 제17(b)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에 이용된 또 다른 틈새 조절기구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된 측면도.17 (a) and 17 (b) are partially cutaway side views showing another gap control mechanism used i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8도는 제17도의 틈새 조절기구의 수정예에서 이용된 플라스틱 커플링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1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lastic coupling used in a modification of the clearance adjusting mechanism of FIG. 17. FIG.

제19(a)도 및 제19(b)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에 이용된 틈새조절기구를 나타내는 일부절결된 측면도.19 (a) and 19 (b) are partially cutaway side views showing a gap control mechanism used in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의 주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절결된 측면도.20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ain part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의 주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절결된 측면도.Figure 21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in par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의 주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절결된 측면도.Fig. 22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main parts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에 이용된 생크스토퍼의 정면도.23 is a front view of the shank stopper used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1 : 피아노 1a : 건반1,11: Piano 1a: Keyboard

1b,11a,200,210 : 키작용기구1b, 11a, 200,210: Key Action Mechanism

1c,11b,201,211 : 햄머기구1c, 11b, 201,211: Hammer Mechanism

1d,11c : 현 1e : 페달기구1d, 11c: String 1e: Pedal Mechanism

1f,14 : 키바닥 1i : 캡스탄 버튼1f, 14: key bottom 1i: capstan button

1j : 휘픈 1k : 잭크1j: Shook 1k: Jack

1m : 버트 1n : 햄머생크1m: Butt 1n: Hammer Shank

1o,133 : 햄머 1q,164 : 댐퍼와이어1o, 133: Hammer 1q, 164: Damper Wire

2,20,12 : 제어시스템 2a : 모드전환스위치2,20,12: control system 2a: mode changeover switch

2b,20a : 모터구동장치 2c : 스토퍼2b, 20a: Motor drive device 2c: Stopper

2d : 축부재 2e : 모터장치2d: shaft member 2e: motor device

2f,2g,2h : 브라켓 부재2f, 2g, 2h: bracket member

2i,2j,2k,22,23,24 : 쿠션부재2i, 2j, 2k, 22, 23, 24: cushion member

2m,2n,2o,25,26,27 : 쿠션시이트 3 : 전자음발생시스템2m, 2n, 2o, 25,26,27: Cushion sheet 3: Electronic sound generating system

3a : 음처리장치 3b : 키센서3a: sound processing device 3b: key sensor

3c : 음처리장치 3d : 증폭장치3c: sound processing device 3d: amplifying device

3e : 스피커시스템 3f : 스피커박스3e: Speaker System 3f: Speaker Box

3g : 소켓장치 3i : 셔터플레이트3g: Socket Device 3i: Shutter Plate

3j : 광차단기 3k : 슈퍼바이저3j: Light circuit breaker 3k: Supervisor

3m,3n,3o : 데이터 메모리3m, 3n, 3o: data memory

3p : 공진용 데이터 프로세서3p: Resonance Data Processor

3q : 음스펙트럼 3r : 작용메모리3q: sound spectrum 3r: working memory

3s : 플로피디스크 컨트롤러 3t : 플로피디스크 구동기3s: Floppy Disk Controller 3t: Floppy Disk Driver

3u : 오디오신호발생기 3v : 이퀼라이져3u: Audio Signal Generator 3v: Equalizer

3w : 버스시스템 30 : 전환기구3w: bus system 30: switching mechanism

30a : 와이어 30b : 파이프부재30a: wire 30b: pipe member

30c : 페달 13 : 키30c: Pedal 13: Key

11d, 203 : 댐퍼기구 11e : 휘픈조립체11d, 203: damper mechanism 11e: pliable assembly

110 : 희픈뒤축 111 : 휘픈110: lean heel 111: fen

112 : 잭크플랜지 113 : 잭크112: Jack Flange 113: Jack

114 : 장아암부 115 : 단아암부114: long arm part 115: short arm part

117 : 잭크스프링 120 : 후면 체크블록117: jack spring 120: rear check block

121 : 후면 체크펠트 123 : 후면 체크와이어121: rear check felt 123: rear check wire

131 : 버트 134 : 햄머헤드131: Burt 134: Hammerhead

136 : 캐처생크 137 : 캐처136: catcher shank 137: catcher

140 : 제1 중심레일 142 : 윤활사이트140: first center rail 142: lubrication site

143 : 제2 중심레일 150 : 솔레노이드 작동기143: second center rail 150: solenoid actuator

170 : 틈새 조절기구 193 : 편심 회전축170: clearance adjustment mechanism 193: eccentric rotation axis

202,212 : 피아노선 204,214,224 : 뮤팅시스템202,212: Piano wires 204,214,224: Muting system

213 : 탬퍼기구213: tamper mechanism

도면의 제1도에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건반악기는 주로 음향피아노(1)와, 제어시스템(2)과 전자음 발생시스템(3)으로 구성되며,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수단에 선택적으로 들어간다. 기계음 발생모드에 있는 동안 건반악기는 보통의 직립피아노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음뿐만 아니라 키터치도 보통의 직립피아노의 것과 동일하다. 한편 이 건반악기는 타건조작에 따라서 음을 전기적으로 합성하며 보통음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 경우 보통피아노(1)는 직립형이다. 그러나 보통피아노(1)는 그랜드형이 될 수도 있다.The key musical instrument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of the drawings is mainly composed of an acoustic piano 1, a control system 2 and an electronic sound generating system 3, and selectively enters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eans. While in the instrument sound generating mode,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unctions as a normal upright piano, and the key touches as well as the not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normal upright piano. On the other hand, this keyboard musically synthesizes the sound according to the keystroke operation, no ordinary sound is generated. In this case, the normal piano 1 is upright. However, the ordinary piano (1) can also be grand.

보통피아노(1)는 건반(1a)과, 다수의 키작용기구(1b)와, 다수의 햄머기구(1c)와, 다수 세트의 현(1d)과, 페달기구(1e)로 구성된다. 건반(1a)은 키바닥(1f)상에 장착되며 흑색키 및 백색키(1g)로 조립된다. 이 경우, 키바닥(1f)은 고정 판부재로서 작용한다. 흑색 및 백색키(1g)는 평형레일(1h)속에 끼워진 평형핀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키작용기구(1b)는 각각 흑색 및 백색키(1g)의 후단부와 연결되며 관련키(1g)가 눌러질 때 햄머기구(1c)를 구동하여 회전하게 한다.The ordinary piano 1 is composed of a keyboard 1a, a plurality of key action mechanisms 1b, a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1c, a plurality of sets of strings 1d, and a pedal mechanism 1e. The keyboard 1a is mounted on the key bottom 1f and assembled by the black key and the white key 1g. In this case, the key bottom 1f acts as a fixing plate member. The black and white keys 1g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lance pins fitted in the balance rails 1h. The key action mechanism 1b is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black and white keys 1g, respectively, and drives the hammer mechanism 1c to rotate when the associated key 1g is pressed.

각각의 카작용기구(1b)는 관련키의 후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캡스탄버튼(1j)과, 캡스탄버튼(1i)과 접촉 유지되는 휘픈(1i)과, 휘픈(1i)상에 제공된 잭크(1k)로 구성되며, 잭크(1k)는 관련 햄머기구에 힘을 작용한다.Each car operating mechanism 1b includes a capstan button 1j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associated key, a hoop 1i held in contact with the capstan button 1i, and a jack provided on the hoop 1i. 1k), the jack 1k exerts a force on the associated hammer mechanism.

각각의 햄머기구(1c)는 잭크(1k)에 의해 가압되는 버트(1m)와, 버트(1m)속에 끼워진 햄머생크(1m)와, 햄머생크(1m)의 선단부에 결합된 햄머(1o)로 구성된다. 잭크(1k)가 버튼(1m)을 가압할 때 버튼(1m)과 따라서 햄머(lo)는 관련현(1d)쪽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며 햄머(1o)는 현(1d)을 타격하므로 현이 진동하여 보통음을 발생시킨다.Each hammer mechanism 1c is composed of a butt 1m pressurized by the jack 1k, a hammer shank 1m fitted into the butt 1m, and a hammer 1o coupled to the tip of the hammer shank 1m. It is composed. When the jack 1k presses the button 1m, the button 1m and thus the hammer lo are driven to rotate toward the associated string 1d, and the hammer 1o strikes the string 1d so that the string vibrates and is normally Generates sound

페달기구(1e)는 보통 3개의 페달과 이 페달에 각각 연결된 3개의 페달링크 부기구를 갖는다. 페달중의 하나는 댐퍼 페달이라 불리며 현으로 하여금 음을 연장시키도록 한다. 제2페달은 소프트페달이라 불리며 볼륨을 줄이기 위해 현의 통상 개수보다 적에 햄머가 타격하게 한다. 마지막 페달은 소스테뉴토(sostenuto)페달이라 불리우며 선택적으로 음색을 다른 음색과 독립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The pedal mechanism 1e usually has three pedals and three pedal link sub mechanism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edals. One of the pedals is called a damper pedal and lets the strings extend the tone. The second pedal is called a soft pedal and allows the hammer to strike at less than the usual number of strings to reduce the volume. The last pedal is called the sostenuto pedal and optionally allows the timbre to remain independent of the other timbres.

키작용기구(1b)와, 햄머기구(1c)와, 페달기구(1e)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여기서 하지 않기로 한다.Since the key mechanism 1b, the hammer mechanism 1c, and the pedal mechanism 1e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no further description will be given here.

제어시스템(2)은 음처리장치(3a)와, 모드전환스위치(2a)와, 모터구동장치(2b)와 회전스토퍼(2c)로 구성된다. 모드전환스위치(2a)는 연주자에 의해 조작되며 기계음 또는 전자음 발생모드를 지시하는 명령신호(MODE)를 발생한다. 음처리 장치(3a)는 연주자가 작동모드를 전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명령신호(MODE)에 지정된 입력포트를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기계음발생모드에 있는 동안 음처리장치(3a)는 모터구동장치(2b)가 스토퍼(2c)를 자유상태(FP)에 유지되게 하며 여기서 햄머(lo)는 스토퍼(2c)의 방해를 받지 않고 관련현(1d)을 타격할 수 있다. 한편, 명령신호(MODE)가 전자음 발생모드를 지지한다면 음처리장치(3a)는 모터구동장치(2b)가 스토퍼(2c)를 자유상태(FP)에서 폐색상태(BP)로 전환시키도록 명령하며, 스토퍼(2c)는 현(1d)을 타격하기 전에 햄머(1o)를 폐색시킨다.The control system 2 is comprised of the sound processing apparatus 3a, the mode changeover switch 2a, the motor drive apparatus 2b, and the rotation stopper 2c. The mode changeover switch 2a is operated by the player and generates a command signal MODE instructing the machine sound or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The sound processing apparatus 3a periodically checks the input port designated in the command signal MODE to confirm that the player switches the operation mode. While in the machine sound generating mode, the sound processor 3a causes the motor drive 2b to hold the stopper 2c in the free state FP, where the hammer lo is not disturbed by the stopper 2c. You can hit the string 1d. On the other hand, if the command signal MODE supports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the sound processing device 3a instructs the motor drive device 2b to switch the stopper 2c from the free state FP to the closed state BP. , The stopper 2c closes the hammer 1o before hitting the string 1d.

스토퍼(2c)는 현(1d)의 근처에 위치하는데 햄머(1o)보다는 버트(1m)에 근접한다. 스토퍼(2c)가 햄머생크(1m)를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하기 때문에 스토퍼(2c)의 위치는 바람직하다. 이런 탄성변형은 연주자에게 피아노 같은 키터치감을 부여한다.The stopper 2c is located near the string 1d and is closer to the butt 1m than the hammer 1o. The position of the stopper 2c is preferable because the stopper 2c causes the hammer shank 1m to be elastically deformed. This elastic deformation gives the player a piano-like key touch.

스토퍼(2c)가 폐색상태(BP)로 이동할 때 스토퍼(2c)의 회전축(CL)은 각각의 햄머생크(1m)에 대한 작용선과 대체로 일치하게 되고 어떤 모덴트도 스토퍼(1c)에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큰 기계적 강도가 스토퍼(2c)에 기재되지 않으며 스토퍼(2c)는 햄머기구(1c)와 현(1d)사이의 작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충분히 작게 설계될 수 있다.When the stopper 2c moves to the closed state BP, the rotational axis CL of the stopper 2c generally coincides with the line of action for each hammer shank 1m, and no morden acts on the stopper 1c. do. Because of this, a large mechanical strength is not described in the stopper 2c and the stopper 2c can be designed small enough to occupy a small space between the hammer mechanism 1c and the string 1d.

도면의 제2도에서 스토퍼가 확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스토퍼는 강,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의 축부재(2d)와, 모터장치(2e)와, 3개의 브라켓부재(2f,2g,2h)와, 3개의 쿠션시이트(2m,2n,2o)로 구성된다. 축부재(2d)는 햄머기구(1c)의 배열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모터장치(2e)의 구동축(도시하지 않음)과 대체로 일치하는 중심축을 갖는다. 모터장치(2e)는 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구성축은 축부재(2d)와 결합된다. 모터장치(2e)는 스텝핑모터이며, 축부재를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러나, 모터장치(2e)는 초음파 모터일 수도 있다. 이 초음파 모터는 전류 없이 축을 소정상태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어떤 비틀림도 없이 저속으로 조용히 회전한다. 이들 특징은 악기에 있어서 바람직한 것이다.The stopper is shown enlarged in FIG. 2 of the drawing, which is a shaft member 2d of steel, aluminum or plastic, a motor device 2e, three bracket members 2f, 2g, 2h, and Two cushion sheets (2m, 2n, 2o). The shaft member 2d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hammer mechanism 1c and has a central axis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drive shaft (not shown) of the motor device 2e. The motor device 2e can rotate in two directions, and the component shaft is coupled with the shaft member 2d. The motor device 2e is a stepping motor and drives the shaft member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However, the motor device 2e may be an ultrasonic motor. This ultrasonic motor can keep the shaft in a predetermined state without current, and rotates quietly at low speed without any twist. These features are desirable for musical instruments.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축부재(2d)는 낮은 음조에 대한 작용브라켓과, 낮은 음조, 중간음조 및 높은 음조에 대한 섹숀 플레이트와, 높은 음조에 대한 작용브라켓에 의하여 4점(2p,2q,2r,2s)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작용브라켓과 섹숀플레이트는 그 상단부가 작용볼트에 의해 핀블록과 연결되어 그 하단부가 브라켓블록을 통해 키바닥(1f)과 연결된다. 그러나, 피아노(1)의 어떤 고정 구성부재도 축부재(2d)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haft member 2d has four points (2p, 2q, 2r) by the action brackets for low tones, the section plates for the low, mid and high tones, and the action brackets for the high tones. , 2s) is rotatably supported, and the upper end of the working bracket and the section plate are connected to the pin block by the working bolt,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key bottom 1f through the bracket block. However, any fixing component of the piano 1 can be used for the shaft member 2d.

3개의 브라켓부재(2f,2g,2h)는 소정의 간격으로 축부재(2d)에 부착되며, 각각 3개의 쿠션부재(2I,2J,2K)를 지지한다. 쿠션부재(2I,2J,2K)는 펠트나 우레탄으로 형성되며, 쿠션부재(2i,2j,2k)의 타격면은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인조가죽으로 싸여질 수도 있다. 3개의 쿠션시이트(2m,2n,2o)도 마찬가지로 펠트나 우레탄으로 형성되며 축부재(2d)에 접합되고 그 반대측은 브라켓부재(2f,2g,2h)에 접합된다. 그러나, 쿠션시이트(2m,2n,2o)뿐만 아니라 쿠션부재(2i,2j,2k)에 대하여 여러 가지 탄성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브라켓부재(2f,2g 또는 2h)와 쿠션부재(2i,2j 또는 2k)의 총높이는 현이 햄머(lo)에 의해 타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크게 되어 있다.The three bracket members 2f, 2g, 2h are attached to the shaft member 2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support the three cushion members 2I, 2J, 2K, respectively. The cushion members 2I, 2J, 2K are formed of felt or urethane, and the striking surfaces of the cushion members 2i, 2j, 2k may be wrapped in artificial leather to extend the life. The three cushion sheets 2m, 2n and 2o are likewise formed of felt or urethane and joined to the shaft member 2d and the opposite side to the bracket members 2f, 2g and 2h. However, various elastic members can be used for the cushion members 2i, 2j, 2k as well as the cushion sheets 2m, 2n, 2o. The total height of each bracket member 2f, 2g or 2h and cushion member 2i, 2j or 2k is large enough to prevent the string from being hit by the hammer lo.

스토퍼(2c)가 폐색상태(BP)에 있는 동안 3개의 쿠션부재(2i,2j,2k)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햄머생크 쪽으로 향하며 햄머생크(1n)는 관련키(1g)를 누름에 따라서 쿠션부재(2i,2j,2k) 또는 그에 접합된 가죽시이트에 가볍에 충돌한다. 햄머생크(1n)는 햄머(1o)의 운동을 제한하며 햄머(1o)는 관련현(1d)이 어떤 음도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런, 키작용기구(1b)는 댐퍼(1p)가 관련현(1d)부터 분리되게 하며 댐퍼와이어(1q)는 쿠션시이트(2m,2n,2o)중의 하나와 접촉하게 된다. 쿠션시이트는 힘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제거한다.While the stopper 2c is in the closed state BP, the three cushion members 2i, 2j, 2k are directed toward the hammer shank as shown in FIG. 3 and the hammer shank 1 n presses the associated key 1 g. Accordingly, the cushion members 2i, 2j, 2k or the leather sheets bonded thereto are lightly impacted. The hammer shank 1n restricts the motion of the hammer 1o and the hammer 1o prevents the associated string 1d from generating any sound. Such a keying mechanism 1b causes the damper 1p to be separated from the associated string 1d and the damper wire 1q comes into contact with one of the cushion sheets 2m, 2n, 2o. The cushion sheet absorbs force and eliminates noise.

만일 연주자가 간반악기에게 기계음 발생모드에서 음악을 실행하게 한다면 모터장치(2e)는 축부재(2d)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며 쿠션시이트(2m,2n,2o)는 햄머생크(1n)와 대향하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유상태(EP)에서의 쿠션시이트(2m,2n,2o)는 햄머(1o)가 현(1d)을 타격하도록 충분히 낮게되어 있다.If the player causes the bancus to play music in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the motor device 2e drives the shaft member 2d to rotate clockwise, and the cushion sheets 2m, 2n, 2o are connected with the hammer shank 1n. Will be oppos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ushion sheets 2m, 2n, 2o in the free state EP are made low enough so that the hammer 1o strikes the string 1d.

햄머생크(ln)와 쿠션부재(2i,2j,2k)사이의 틈새는 폐색상태(BP)로부터 자유상태(FP)까지 점차 증가되어 커진다. 그러므로 스토퍼가 폐색상태(BP)와 자유상태(FP)사이의 중간위치까지 이동하면 햄머생크(1n)는 햄머(1o)가 현(ld)을 부드럽게 타격하게 하며 스토퍼(2c)는 음의 시끄러움을 줄인다. 상기 중간위치는 앞으로 뮤트서브모드를 칭하며, 기계음 발생모드는 뮤트서브모드와 햄머(lo)가 스토퍼(2c)의 어떤 방해도 받지 않고 관련현(1d)을 완전히 타격하는 보통의 서브모드를 갖는다.The gap between the hammer shank ln and the cushion members 2i, 2j, 2k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closed state BP to the free state FP. Therefore, when the stopper moves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closed state (BP) and the free state (FP), the hammer shank 1n causes the hammer 1o to strike the string ld gently, and the stopper 2c is negatively noisy. Reduce The intermediate position refers to the mute sub mode in the future, and the machine sound generating mode has a normal sub mode in which the mute sub mode and the hammer lo strike the associated string 1d completely without any interference of the stopper 2c.

전자음 발생시스템(3)은 음처리장치(3a)와, 다수의 키센서(3b)와, 다수의 페달센서(3c)와, 증폭장치(3d)와, 스피커박스(3f)속에 수용된 스피커시스템(3e)과, 소켓장치(3g)와, 소켓장치(3g)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헤드폰(3h)으로 구성되며,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작동한다. 이 경우, 데이터메모리(3m,3n,3o)는 예를 들어 작용 메모리(3r)로서 작용하는 ROM장치와 RAM장치와 같은 지구성 메모리장치에 의하여 충족된다.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system 3 includes a sound system 3a, a plurality of key sensors 3b, a plurality of pedal sensors 3c, an amplifying device 3d, and a speaker system housed in a speaker box 3f. 3e), a socket device 3g, and a headphone 3h that can be detached from the socket device 3g, and operate in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In this case, the data memories 3m, 3n, 3o are satisfied by, for example, a ROM device serving as the working memory 3r and a terminating memory device such as a RAM device.

다수의 키센서(3b)는 각각 다수의 키(1g)에 연결되며, 각각의 키센서(3b)는 관련키의 바닥면에 고정된 셔터 플리이트(3i)와 셔터플레이트(3i)를 감시하는 광차단기(3j)로 구성된다. 셔터플레이트(3i)에는 4개의 서로 다른 패턴이 형성되며, 4개의 패턴은 관련키가 눌려졌을 때 광차단기(3j)에 의해 발생된 광경로를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4개의 패턴사이의 시간간격은 광차단기(3j)로부터 음처리장치(3a)로 보고되며, 음처리장치(3a)는 키의 속도를 결정하고 관련 햄머가 현을 타격할때의 시간을 판단한다.Each of the plurality of key sensors 3b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keys 1g, and each of the key sensors 3b monitors the shutter plate 3i and the shutter plate 3i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ssociated key. It consists of the light interrupter 3j. Four different patterns are formed on the shutter plate 3i, and the four patterns continuously pass through the optical path generated by the light interrupter 3j when the associated key is pressed.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four patterns is reported from the light interrupter 3j to the sound processor 3a, which determines the speed of the keys and determines the time when the associated hammer strikes the strings. .

페달센서(3c)는 연주자가 3개의 페달 중에 어느 하나를 밟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3개의 페달을 감시한다. 만일 연주자가 어느 하나의 페달을 밟는다면 페달센서(3c)는 페달의 운동을 검출하여 연주자에 의해 조작된 페달을 음처리장치(3a)에 보고한다.The pedal sensor 3c monitors the three pedals to see if the player stepped on any of the three pedals. If the player presses any one pedal, the pedal sensor 3c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edal and reports the pedal operated by the player to the sound processor 3a.

음처리장치(3a)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열되며, 슈퍼바이져(3k)와, 원진동용 데이터 메모리(3m)와, 원진동용 데이터 프로세서(3n)와, 공진용 데이터 메모리(3o)와, 공진용 데이터 프로세서(3p)와, 음스덱트럼용 데이터 프로세서(3q)와, 작용메모리(3r)와, 플로피 디스크 컨트롤러(3s)와, 플로피디스크 구동장치(3t)와, 오디오 신호발생기(3u)와, 이퀄라이저(3v)와, 버스시스템(3w)으로 구성된다.The sound processing apparatus 3a is arranged as shown in FIG. 4, and has a supervisor 3k, an original vibration data memory 3m, an original vibration data processor 3n, and a resonance data memory 3o. ), A resonance data processor 3p, a sound spectrum data processor 3q, a working memory 3r, a floppy disk controller 3s, a floppy disk drive device 3t, an audio signal generator 3u, equalizer 3v, and bus system 3w.

슈퍼바이저(3k)는 모드제어신호(MODE)에 지정된 신호입력포트와, 키센서(2b)로부터의 검출신호와, 페달센서(2c)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조사하고,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도록 다른 구성요소(3m 내지 3o)를 관리한다. 슈퍼바이저(3k)속에는 내부테이블이 이용되며, 내부테이블은 오디오신호를 발생하도록 키의 개구, 키의 속도 및 타이밍 사이의 관계를 한정한다. 오디오신호는 이퀄라이저(3v)로부터 증폭장치(3d)에 공급되며, 오디오신호는 합성된 음을 발생하도록 스피커시스템(3e)과 소켓장치(3g)에 분배된다. 슈퍼바이저(3k)속에는 여러 가지 내부레지스터가 이용되며 내부레지스터의 하나는 연주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작동을 지시하는 모드 표시문자에 지정된다.The supervisor 3k is configured to irradiate the signal input port designated in the mode control signal MODE,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key sensor 2b, and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pedal sensor 2c, and generate an audio signal. Manage the elements 3m to 3o. Inside the supervisor 3k, an internal table is used, which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ing of the key, the speed and timing of the key to generate an audio signal. The audio signal is supplied from the equalizer 3v to the amplifier 3d, and the audio signal is distributed to the speaker system 3e and the socket device 3g to generate synthesized sound. Various internal registers are used in the supervisor (3k), and one of the internal registers is assigned to a mode display character indicating the mode operation selected by the player.

원진동용 데이터메모리(3m)는 현(1d)의 원진동의 주파수 스페큘라를 지시하는 다수 세트의 pcm(펄스부호변조 : Pulse Code Modulation)데이터 코드를 저장하며, 각 세트의 pcm 데이터 코드는 키(1g)중의 하나에 대응한다. 다수 그룹의 pcm데이터 코드는 키(1g)중의 하나에 대응한다. 다수 그룹의 pcm 데이터 코드는 한세트의 pcm 데이터 코드를 형성하며 서로 다른 강도 또는 햄머속도에서의 주파수 스페큘라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햄머(lo)가 관련현(1d)을 강하게 타격한다면 높은 조파가 강조된다. 다수 세트의 pcm 데이터 코드는 적정주파수에서 각각의 현(1d)의 실제 진동을 샘플러(도시하지 않음)가 샘플링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상기 세트의 pcm 데이터 코드는 실시간 방식을 사용하는 데이트 프로세서(3q)에 의해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 그룹의 pcm 데이터 코드를 사용함에 의해 키(1g)를 누름에 의해 발생되는 원진동이 저장되며, 슈퍼바이저(3k)는 데이터 메모리(3m)에 저장된 한 그룹이 pcm 데이터 코드로의 순차 엑세스를 제어한다.The original vibration data memory (3m) stores a plurality of sets of pcm (Pulse Code Modulation) data codes that indicate the frequency specular of the original vibration of the string 1d, and each set of pcm data codes is a key. It corresponds to one of (1g). Multiple groups of pcm data codes correspond to one of the keys 1g. Multiple groups of pcm data codes form a set of pcm data codes and correspond to frequency specular at different intensities or hammer speeds. In general, if the hammer (lo) hits the associated string (1d) strongly, high harmonics are emphasized. Multiple sets of pcm data codes are produced by samplingrs (not shown) sampling the actual vibration of each string 1d at the appropriate frequency. However, the set of pcm data codes may be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or 3q using a real time scheme. By using a group of pcm data codes, the original vibration generated by pressing the key (1g) is stored, and the supervisor (3k) allows a group stored in the data memory (3m) to sequentially access the pcm data codes. To control.

원진동용 데이터 프로세서(3n)는 데이터 메모리(3m)와 관련되어 제공되며 중간 햄머속도용의 한 그룹의 pcm 데이터 코드를 수정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n)에 의한 수정은 또는 슈퍼바이저(3k)에 의해 제어된다.The original vibration data processor 3n is provided in association with the data memory 3m and modifies a group of pcm data codes for the intermediate hammer speed. The modification by the data processor 3n is also controlled by the supervisor 3k.

공진용 데이터 메모리(3o)는 공진을 지시하는 다수 세트의 pcm 데이터 코드를 저장하며, 공진은 댐퍼 페달을 밟음에 의해 생긴다. 연주자가 피아노의 댐퍼페달을 밟는 동안 댐퍼가 해제되며 일부의 현(1d)이 관련 햄머에 의해 타격된 현과 공명하게 된다. 공명의 톤은 햄머타격에 의해 본래 발생된 톤에 대하여 -10B 내지 -20dB 의 범위에 있으며, 본래 발생된 음과 공명톤 사이에는 수밀리 초 내지 수백밀리 초의 시간지체가 생긴다. 만일 연주자가 댐퍼페달을 계속하여 밟는 다면 공명의 통은 수초간 계속된다. 그러나, 연주자가 댐퍼페달을 놓아 본래의 톤과 공명톤을 급히 종료시킬 수 있으며, 오디오 신호발생기(3u)는 급속종료에 대한 페달 센서(2c)의 검출신호에 응답한다. 데이터 메모리(30)속에 저장된 pcm 데이터 코드는 공진의 주파수 스페큘라를 지시하며 또한 샘플러나 공진용 데이터프로세서에 의해 만들어진다. 각 세트의 pcm 데이터 코드는 눌러진 키(1g)중의 하나와 대응하며 최대 여섯 그룹의 pcm 데이터 코드에 의해 구성된다. 각 그룹의 pcm 데이터 코드는 공명현(1d)중의 하나와 대응하며, 낮은 음조의 음보다 한 옥타브 높은 현에 대하여 6번째 조파 내지 2번째 조파가 고려된다. 그러나, 눌러진 키가 88개의 키 중에서 가장 낮은 키로부터 30번째 키보다 낮다면 눌려진 키보다 한 옥타브 낮은 현이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피아노에는 71개의 댐퍼가 이용된다. 그러나, 다른 피아노는 66개의 댐퍼 또는 69개의 댐퍼를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스펙트럼의 강도는 햄머속도에 따른다. 그러나, 이 강도는 피아노의 타입과 모델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The resonant data memory 3o stores a plurality of sets of pcm data codes indicative of resonance, which is caused by stepping on the damper pedal. The damper is released while the player presses the damper pedal of the piano and some strings 1d resonate with the strings hit by the associated hammer. The tone of resonance is in the range of -10B to -20dB relative to the tone originally generated by the hammer strike, and there is a time delay of several milliseconds to several hundred milliseconds between the originally generated sound and the resonance tone. If the player keeps on the damper pedal, the barrel of resonance lasts for a few seconds. However, the player can release the damper pedal to swiftly terminate the original tone and the resonance tone, and the audio signal generator 3u responds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edal sensor 2c for rapid termination. The pcm data code stored in the data memory 30 indicates the frequency specular of the resonance and is also produced by the sampler or the resonance data processor. Each set of pcm data codes corresponds to one of the pressed keys 1g and consists of up to six groups of pcm data codes. The pcm data code of each group corresponds to one of the resonant strings 1d, and sixth to second harmonics are considered for strings one octave higher than the low pitched tones. However, if the pressed key is lower than the 30th key from the lowest key of the 88 keys, the string one octave lower than the pressed key should be considered. In general, 71 dampers are used for the piano. However, the other piano may have 66 dampers or 69 dampers. As mentioned above, the intensity of the frequency spectrum depends on the hammer speed. However, this intensity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model of piano.

한 세트의 pcm 데이터 코드는 슈퍼바이저(3k)의 제어 하에 눌려진 키(1g)에 따라서 데이터 메모리(3o)로부터 순서대로 독취되며, 공진용 데이터 프로세서(3p)는 중간강도에 대한 pcm 데이터 코드를 수정한다. 데이터 메모리(3o)의 메모리 용량은 검출할 수 있는 모든 햄머속도에서 pcm 데이터 코드를 저장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클 수 있으며, 데이터 프로세서(3p)는 데이터 메모리(3o)에 저장된 변소에 근거하여 각 세트의 pcm 데이터 코드를 계산할 수도 있다.A set of pcm data codes is read out sequentially from the data memory 3o according to the key 1g pr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supervisor 3k, and the resonant data processor 3p modifies the pcm data code for medium intensity. do. The memory capacity of the data memory 3o may be large enough to store pcm data codes at all detectable hammer speeds, and the data processor 3p may be configured for each set of pcm based on the toilet stored in the data memory 3o. You can also calculate the data code.

음스펙트럼용 데이터 프로세서(3q)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래 진동에 대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지시하는 한 그룹의 pcm 데이터 코드와 공진에 대한 주파수 스페큘라를 지시하는 한 세트의 pcm 데이터 코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3q)는 주파수 스페큘라가 감쇠 하도록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연주자가 피아노의 키를 놓을 때 관련 댐퍼가 현과 접촉하기 때문에 현의 본래 진동은 급격히 감쇠 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q)는 감쇠를 취하여 pcm 데이터 코드의 값을 연속적으로 감소시킨다. 공명의 톤은 연주자가 댐퍼페달을 눌려진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수초동안 유지된다. 그러나, 연주자가 댐퍼페달을 놓는다면 공명톤은 급격히 감쇠된다. 데이터 프로세서(3q)는 또한 감쇠를 취하여 공진에 대한 pcm 데이터 코드의 값을 연속적으로 감소시킨다.The sound spectrum data processor 3q can produce a group of pcm data codes indicative of the frequency spectrum for the original vibration and a set of pcm data codes indicative of the frequency specular for resonanc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data processor 3q operates to attenuate the frequency specular. Specifically, when the player releases the piano's keys, the original damping of the strings is attenuated rapidly because the associated dampers come into contact with the strings. The data processor 3q takes attenuation to continuously reduce the value of the pcm data code. The tone of resonance is held for a few seconds while the player keeps the damper pedal pressed. However, if the player releases the damper pedal, the resonance tone is rapidly attenuated. The data processor 3q also takes attenuation to continuously reduce the value of the pcm data code for resonance.

감쇠는 일정하지 않다. 만일 연주자가 댐퍼페달을 반-페달정도로 놓는다면 보통 보다 낮은 속도로 톤이 감쇠한다. 또한 어떤 연주자는 높은 음조의 톤보다는 낮은 음조의 톤을 지체시키기 위하여 반-페달을 사용하는데 이런 페달조작은 오블리크(oblique)접촉이라 불리어진다. 반면에 댐퍼페달이 모든 댐퍼를 동시에 현에 접촉시키게 한다면 이 댐퍼조작은 동시 접촉이라 칭해진다. 오블리크 접촉뿐만 아니라 반-페달을 통해 페달을 놓을 때 데이터 프로세서(3q)는 완만한 감쇠를 취할수 있으며, pcm 데이터 코드의 값은 동시 접촉에서 고속, 표준속도 또는 저속으로 감소되며 오블리크 접촉에서는 다른 속도로 감소된다. 데이터 프로세서(3q)는 반-페달에 대한 기본 톤과 조파 사이의 비율을 변화시키고 기본 톤 보다 빠른 고조파를 감쇠시킬 수 있다. 피아노의 프레임은 보통 진동하며 프레임 소음은 피아노 톤에 관여한다.Attenuation is not constant. If the player sets the damper pedal half-pedal, the tone will attenuate at a lower rate than usual. Some players also use a semi-pedal to retard low tones rather than high tones. This pedal operation is called oblique contact. On the other hand, if the damper pedal causes all dampers to contact the strings simultaneously, this damper operation is called simultaneous contact. When the pedal is released via the semi-pedal as well as the oblique contact, the data processor (3q) can take moderate attenuation, and the value of the pcm data code is reduced to high speed, standard speed or low speed at the same time and different at the oblique contact. Decreases with speed. The data processor 3q can vary the ratio between the fundamental tone and harmonics for the half-pedal and attenuate harmonics faster than the fundamental tone. The frame of a piano usually vibrates and the frame noise is involved in the piano tone.

오디오 신호발생기(3u)는 디지털 필터와,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와, 저주파 통과필터로 구성되며, 데이터 메모리(3m 및 3o)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서(3n,3p 및 3q)로부터 공급된 pcm 데이터 코드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만든다. pcm 데이터 코드는 디지털 필터링을 받은 후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 필러링에서 스피커시스템(3e)의 진동 특성과 스피커박스(3f)의 진동특성이 고려되며 pcm 데이터 코드는 발생된 음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편평하게 되도록 수정된다. 디지털 필터는 FIR형이다. 그러나, IIR형 디지털 필터도 이용할 수 있다. 정해진 소음을 제거하게 위해 디지털 필터링 후에는 오버샘플링형 디지털 필터가 사용될수 있다.The audio signal generator 3u is composed of a digital filter, a digital-to-analog converter, and a low pass filter, from the pcm data codes supplied from the data memories 3m and 3o and / or the data processors 3n, 3p and 3q. Create an analog audio signal. The pcm data code is digitally filtered and then converted into an analog audio signal. In digital pillaring,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system 3e and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box 3f are taken into account, and the pcm data code is modified so that the frequency spectrum of the generated sound becomes flat. The digital filter is of type FIR. However, IIR digital filters can also be used. After digital filtering, an oversampled digital filter can be used to eliminate the noise.

디지털 필터링 후에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발생하며,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저주파 통과 필터에 의해 걸러지며, 저주파 통과필터는 그룹 딜레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Butterworth형이다. 이렇게 걸러진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이퀄라이저(3v)를 통해 증폭장치(3d)에 공급되며, 증폭장치(3d)는 스피커 시스템(3e)을 구동시키도록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킨다.After digital filtering,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generates an analog audio signal, which is filtered by a low pass filter, and the low pass filter is a Butterworth type to improve group delay. The filtered analog audio signal is supplied to the amplifier 3d through the equalizer 3v, and the amplifier 3d amplifies the analog audio signal to drive the speaker system 3e.

플로피디스크 구동기(3t)는 플로피 디스크 컨트롤러(3s)의 제어 하에 플로피디스크로부터 MIDI기준에 따라 포맷된 데이터코드를 독취하며, 슈퍼바이저(3k)는 오디오신호발생기(3u)가 플로피디스크로부터 독취된 데이터 코드로부터 음을 재생하게 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파이프오르간, 하프시코드 또는 관악기같은 다른 악기의 음색으로 음악이 재샐될 수 있다.The floppy disk driver 3t reads data codes formatted according to the MIDI standards from the floppy disk under the control of the floppy disk controller 3s, and the supervisor 3k reads the data from the floppy disk by the audio signal generator 3u. Allows playback of notes from chords. Thus music can be resold to the timbre of another instrument, for example a pipe organ, harpsichord or wind instrument.

슈퍼바이저(3k)는 MIDI기준에 따라서 키센서(2b)의 검출신호와 페달센서(2c)의 검출신호를 포맷하며, MIDI코드는 플로피디스크 컨트롤러(3s)의 제어 하에서 플로피디스크 속에 저장된다. 만일 건반악기가 연주를 기록할 수 있다면 건반악기는 3개의 작동모드, 즉 기계음 발생모드, 전자음 발생모드 및 레코딩모드를 가진다.The supervisor 3k format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key sensor 2b an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edal sensor 2c according to the MIDI standard, and the MIDI code is stored in the floppy disk under the control of the floppy disk controller 3s. I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can record a performance,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s three modes of operation: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and the recording mode.

이렇게 배열된 건반악기는 제5(a)도에 도시한 프로그램 순서를 실행한다. 즉 슈퍼바이저(3k)는 스텝(S1)에서 내부 레지스터로부터 모드 표시문자를 독취하고, 스텝(S2)에서 연주가가 기계음 발생모드 또는 전자음 발생모드를 명령하는가를 알기 위해 모드 표시문자를 점검한다. 만일 연주자가 모드전환스위치(2a)를 통해 기계음 발생모드를 발생모드를 명령했다면 슈퍼바이저(3k)는 스텝(S3)으로 진행하여 모터구동장치(2b)에게 스토퍼(2c)가 자유상태(FP)로 전환하도록 명령한다. 그후 스토퍼(2c)는 햄머(lo)가 스토퍼(2c)의 방해 없이 관련현(1d)을 타격하게 한다. 이렇게 스토퍼(2c)가 자유상태(FP)로 이동한 후에 연주자는 흑색 및 백색키(1g)를 선택적으로 누르며, 눌러진 키와 연결된 키작용기구(1b)는 현을 타격하도록 햄머기구(1c)를 구동시키게 된다.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thus arranged execute the program sequence shown in Fig. 5A. That is, the supervisor 3k reads out the mode indicator from the internal register at step S1, and checks the mode indicator to see if the player commands the machine sound generation mode or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on mode at step S2. If the player has commanded the generation mode of the machine sound generation mode through the mode changeover switch 2a, the supervisor 3k proceeds to step S3, and the stopper 2c is free to the motor drive device 2b. Command to switch to The stopper 2c then causes the hammer lo to strike the associated string 1d without interrupting the stopper 2c. After the stopper 2c moves to the free state FP in this manner, the player selectively presses the black and white keys 1g, and the keying mechanism 1b connected to the pressed keys hits the string so that the hammer mechanism 1c is hit. Will be driven.

연주자가 기계음 발생모드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동안 슈퍼바이저(3k)는 스텝(S4)에서 연주자가 모드를 기계음 발생모드에서 전자음 발생모드로 전환시켰는지를 알기 위하여 모드전환스위치(2a)에 지정된 입력포트를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만일 스텝(S4)에 대한 응답이 부정이라면 슈퍼바이저(3k)는 스텝(S3)을 반복하게 되고 연주자는 계속하여 음악을 연주하게 된다.While the player is playing the music in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the supervisor 3k turns on the input port assigned to the mode changeover switch 2a to see if the player has switched the mode from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to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in step S4. Check periodically. If the response to step S4 is negative, the supervisor 3k repeats step S3 and the player continues to play music.

그러나, 연주자가 모드전환스위치(2a)를 조작한다면 스텝(S4)에 대한 응답은 긍정이 되어 슈퍼바이저(3k)는 스텝(S2)으로 복귀한다. 스텝(S2)의 응답이 전자음 발생모드를 지시한다면 슈퍼바이저(3k)는 모드 표시문자를 다시 쓰게 된다. 게다가 슈퍼바이저(3k)는 스텝(S5)에서 모터 구동장치(2b)에게 스토퍼(2c)가 폐색상태(BP)로 전환되도록 명령한다. 그후 쿠션부재(2i,2j,2k)는 햄머생크(1n)로 향하게 된다.However, if the player operates the mode changeover switch 2a, the response to step S4 becomes positive and the supervisor 3k returns to step S2. If the response of step S2 indicates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the supervisor 3k rewrites the mode indicator. In addition, the supervisor 3k instructs the motor drive device 2b to switch the stopper 2c to the closed state BP at step S5. The cushion members 2i, 2j, 2k are then directed to the hammer shank 1n.

연주자가 흑색 및 백색키(1g)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동안 음처리장치(3a)는 키센서(3b), 페달센서(3c), 증폭기(3d) 및 스피커 시스템(3d)과 상호작용하여 전자음 발생 서브루틴(S6)을 통하여 음을 전자적으로 합성된다. 만일 연주자가 헤드폰(3h)으로 음을 듣는다면 합성된 음은 취침중인 사람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카작용기구(1b)는 또한 햄머기구(1c)를 구동시키며 키작용기구(1b)와 햄머기구(1c)는 연주자에게 피아노 키터치감을 부여한다. 그러나, 햄머생크(1n)는 쿠션부재(2i,2j,2k)와 충돌하며 어떤 소음도 합성된 음과 혼합되지 않는다.The sound processor 3a interacts with the key sensor 3b, pedal sensor 3c, amplifier 3d, and speaker system 3d while the player selectively presses the black and white keys 1g. The sound is electronically synthesized through the routine S6. If the player listens to the headphones 3h, the synthesized notes will not disturb the person who is sleeping. In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the car operating mechanism 1b also drives the hammer mechanism 1c, and the key operating mechanism 1b and the hammer mechanism 1c give the player a piano key touch. However, the hammer shank 1n collides with the cushion members 2i, 2j, 2k and no noise is mixed with the synthesized sound.

제5(b)도는 전자음 발생 서브루틴을 도시한다. 전자음 발생 서브루틴(S6)에 들어갈 때 슈퍼바이저(3k)는 키센서(3b)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지정된 입력포트를 감시하며 필요에 따라 스텝(S61)에서 키센서(3b)로부터 검출신호를 받아들인다. 검출신호를 받아들인 후 슈퍼바이저(3k)는 눌러진 키를 확인하고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키의 속도를 결정한다. 슈퍼바이저(3b)는 스텝(S62)에서 페달중의 하나가 움직였는가를 알기 위하여 페달센서(3c)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지정된 입력포트를 점검한다. 만일 스텝(S62)에 대한 응답이 부정이라면 슈퍼바이저(3k)는 눌러진 키와 관련된 pcm 데이터 코드 그룹중의 한 그룹에 엑세스 하거나 데이터 프로세서(3q)로 하여금 눌러진 키에 대한 한 그룹의 pcm 데이터 코드를 맞추도록 명령한다.5 (b) shows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subroutine. When entering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subroutine S6, the supervisor 3k monitors the input port specified for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key sensor 3b and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key sensor 3b in step S61 as necessary. It is. After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the supervisor 3k checks the pressed key and determines the speed of the key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The supervisor 3b checks the input port specified i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pedal sensor 3c to see if one of the pedals has moved in step S62. If the response to step S62 is negative, the supervisor 3k accesses one of the pcm data code groups associated with the pressed key or causes the data processor 3q to access a group of pcm data for the pressed key. Instruct the code to match.

슈퍼바이저(3k)는 그 내부테이블에 엑세스하며 스텝(S64)에서 오디오신호를 발생하도록 적절한 타이밍을 결정한다. 슈퍼바이저(3k)는 적절한 시간을 기다리고, pcm 데이터 코드 그룹을 오디오 신호 발생기(3u)로 공급하여 스텝(S65)로서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그후, 이 오디오 신호는 증폭기(3d)에서 증폭되고, 스피커 시스템(3e)은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합성음을 발생한다. 스텝(S65) 이후에, 슈퍼바이져(3k)는 제5(a)도에 도시된 프로그램 순차로 돌아와서, 제5(a)도의 스텝(S7)으로 진행한다.The supervisor 3k accesses its internal table and determines the appropriate timing to generate an audio signal at step S64. The supervisor 3k waits for a suitable time and supplies the pcm data code group to the audio signal generator 3u to generate an audio signal as step S65. This audio signal is then amplified in the amplifier 3d, and the speaker system 3e generates a synthesized sound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After step S65, the supervisor 3k returns to the program sequence shown in FIG. 5 (a) and proceeds to step S7 in FIG. 5 (a).

그러나, 댐퍼 페달 등의 페달 중 하나가 이동하게 되면, 단계(S62)로의 응답은 주어진 긍정적인 상태로 되고, 슈퍼바이져(3k)는 페달 센서(3c)로부터의 검출신호를 확인하여 그 페달이 스텝(S66)에서, 아래로 눌려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만일 연주자가 페달을 밟은 경우, 스텝(S66)에서의 답은 주어진 긍정상태가 되고, 슈퍼바이져(3k)는 페단 센서(3c)로부터의 검출신호를 확인하여 그 페달이 스텝(S66)에서, 아래로 눌려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만일 연주자가 페달을 밟은 경우, 스텝(S66)에서의 답은 주어진 긍정상태가 되고, 슈퍼바이져(3k)는 단계(S67)에서 데이터 메모리(3m)에서의 pcm 데이터 코드에 액세스 하거나, 데이터 프로세서(3q)가 pcm 데이터 코드를 맞추도록 지시한다. 또한, 슈퍼바이져는, 스텝(S68)에서 데이터 메모리(3o)의 pcm 데이터 코드에 액세스 하거나,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가 데이터 코드를 맞추도록 지지하여, 관련 현에 대한 공명 진동을 시뮬레이트 하도록 한다. 슈퍼바이져(3k)는 스텝(S69)에서 원진동을 위한 pcm 데이터 코드를 위한 타이밍을 제어하고, 또한 공명 진동을 위한 pcm 데이터 코드의 타이밍을 제어하며, 원 진동을 위한 타이밍과 공명 진동을 위한 타이밍의 사이에서 시간지연이 유도된다. 스텝(S69)이 종료하면, 슈퍼바이져(3k)는 스텝(S65)을 진행한다.However, when one of the pedals such as the damper pedal is moved, the response to step S62 becomes a given positive state, and the supervisor 3k check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pedal sensor 3c so that the pedal is stepped. In S66),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pressed down. If the player presses the pedal, the answer at step S66 becomes a given positive state, and the supervisor 3k confirm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pedan sensor 3c so that the pedal is moved down at step S66.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pressed. If the player presses the pedal, the answer at step S66 becomes a given positive state, and the supervisor 3k accesses the pcm data code in the data memory 3m at step S67, or the data processor 3q. ) Tells the pcm data code to match. In addition, the supervisor accesses the pcm data code of the data memory 3o at step S68, or supports the data processor to match the data code to simulate the resonance oscillation for the associated string. The supervisor 3k controls the timing for the pcm data code for the original vibration at step S69, and also controls the timing of the pcm data code for the resonance vibration, and the timing for the resonance and the timing for the resonance vibration. A time delay is induced between them. When step S69 ends, the supervisor 3k advances step S65.

한편, 페달이 상부의 휴지 상태로 움직인다면 스텝(S66)에 대한 응답은 부정이 되고, 슈퍼바이저(3k)는 스텝(S70)에서 합성된 톤과 공명통을 감쇠 시키기 위해 데이터 프로세서(3q)가 소정 속도에서 pcm 데이터 코드의 값을 연속적으로 감소시키도록 명령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edal is moved to the upper rest state, the response to step S66 becomes negative, and the supervisor 3k determines that the data processor 3q is predetermined to attenuate the tone and resonance ring synthesized in step S70. Commands to continuously decrease the value of pcm data code at speed.

다시 제5(a)도에서 연주자가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동안 슈퍼바이저(3k)는 스텝(S7)에서 모드가 기계음 발생모드로 전환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모드전환스위치(2a)에 지정된 입력포트를 주직적으로 점검한다. 만일 스텝(S7)에 대한 응답이 부정이라면 슈퍼바이저(3k)는 스텝(S6)으로 돌아가서 스텝(S6)과 (S7)로 이루어진 루프를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스텝(S7)에 대한 응답이 긍정이라면 슈퍼바이저(3k)는 다시 스텝(S2)으로 돌아간다.Again in FIG. 5 (a), while the player plays the music in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the supervisor 3k is assigned to the mode changeover switch 2a to check whether the mode is switched to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in step S7. Check the input port vertically. If the response to step S7 is negative, the supervisor 3k returns to step S6 to repeat the loop composed of steps S6 and S7. However, if the response to step S7 is affirmative, the supervisor 3k returns to step S2 again.

따라서, 슈퍼바이저(3k)는 스텝(S2) 내지 (S7)로 이루어진 루프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며, 연주자는 어느 하나의 음발생모드에서 음악을 연주하게 된다.Therefore, the supervisor 3k continuously executes the loop consisting of steps S2 to S7, and the player plays music in any sound generating mode.

앞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반 악기에는 자유상태와 폐색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스토퍼(2c)가 구비되며, 이 때문에 연주자가 그의 가족과 이웃에 방해를 주지 않고 음악을 즐길 수 있다As can be understood from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opper 2c which switches between a free state and a closed state, which allows a player to enjoy music without disturbing his family and neighbors. hav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면의 제6도에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다른 건반악기에 이용된 제어기구(20)는 주로 가동 플레이트부재(21)와, 3개의 쿠션부재(22,23,24)와, 3개의 쿠션시이트(25,26,27)와, 코일스프링(28,29)과, 전환기구(30)와 리미터(31)로 구성되며, 스토퍼(20a)는 선택적으로 자유상태와 폐색상태로 들어간다. 이 건반악기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설명은 여기서 하지 않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다른 구성요소에는 앞으로의 설명에서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인다.In FIG. 6 of the drawings, the control mechanism 20 used in the othe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a movable plate member 21, three cushion members 22, 23, 24, and three cushion sheets. (25, 26, 27), coil springs (28, 29), switching mechanism (30) and limiter (31), and stopper (20a) selectively enters free state and closed state. Since other components of this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further description will not be made here to avoid undesired repetition. However, these othe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플레이트 부재(21)는 햄머기구(1c)의 배열에 평행한 측방으로 연장되며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플레이트부재(21)는 소정 간격으로 경사면(제7도참조)을 가지며, 쿠션부재(25,26,27)는 각각 경사면에 고정된다. 쿠션시이트(22,23,24)는 햄머생크(1n)와 대향하며 햄머생크(1n)는 폐색상태(BP)에서 쿠션부재(22,23,24)와 가볍게 충돌한다. 쿠션시이트(25,26,27)는 쿠션부재(22,23,24)의 반대측면에 부착되며 댐퍼와이어(1q)와 대향한다. 스토퍼(20)가 폐색상태에 있는 동안 햄머생크(1n)와 댐퍼와이어(1q)는 쿠션부재(22,23,24)와 쿠션시이트(25,26,27)와 접촉하게 된다.The plate member 21 extends laterally parallel to the arrangement of the hammer mechanism 1c and has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The plate member 21 has inclined surfaces (see FIG. 7)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cushion members 25, 26 and 27 are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s, respectively. The cushion sheets 22, 23, 24 face the hammer shank 1n, and the hammer shank 1n collides lightly with the cushion members 22, 23, 24 in the closed state BP. The cushion sheets 25, 26, 27 are attached to opposite sides of the cushion members 22, 23, 24 and face the damper wire 1q. While the stopper 20 is in the closed state, the hammer shank 1n and the damper wire 1q come into contact with the cushion members 22, 23, 24 and the cushion sheets 25, 26, 27.

플레이트부재(21)는 측방 보드(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 핀부재(32)에 의하여 코일스프링(28,29)을 통해 매달리며 전환 부기구(30)에 의하여 하방으로 당겨진다. 전환 부기구(30)는 플레이트부재(21)와 결합된 와이어(30a)와, 와이어(30a)에 연결된 파이프부재(30b)와, 파이프부재(30b)에 결합된 페달(30c)과, 바닥 턱에 형성된 계단형상부(30d)로 구성된다. 만일 연주자가 페달(30c)을 밟아 좌측으로 민다면 페달(30c)은 계단형상부(30b)와 결합하여 전환 부기구(30)는 플레이트부재(21)를 폐색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렇게 폐색상태로 유지되는 플레이트 부재(21)는 리미터(31)속으로 삽입되며 계단형상부(30b)와 리미터(31)는 폐색상태를 정학히 한정하다.The plate member 21 is suspended through the coil springs 28 and 29 by the pin members 32 fixed to the side boards (not shown) and pulled downward by the switching sub mechanism 30. The switching sub mechanism 30 includes a wire 30a coupled to the plate member 21, a pipe member 30b connected to the wire 30a, a pedal 30c coupled to the pipe member 30b, and a bottom jaw. It is comprised by the step-shaped part 30d formed in this. If the player presses the pedal 30c and pushes it to the left, the pedal 30c is engaged with the stepped portion 30b so that the switching sub mechanism 30 keeps the plate member 21 in the closed state. The plate member 21 maintained in the closed state is inserted into the limiter 31 and the stepped portion 30b and the limiter 31 precisely define the closed state.

제7도로부터 보다 잘 알수 있듯이 스토퍼(20a)가 폐색상태에 있는 동안 햄머생크(1n)는 쿠션부재(22,23,24)와 접촉하며 현(16)은 햄머(1o)에 의해 절대 타격된지 않는다. 그러므로 현(1o)는 진동되지 않으며 전자음 발생시스템(3)은 현(1d)대신에 현재 지정된 음색으로 음을 합성한다.As can be better seen from FIG. 7, the hammer shank 1n is in contact with the cushion members 22, 23, 24 and the string 16 is never hit by the hammer 1o while the stopper 20a is in the closed state. Do not. Therefore, the string 1o is not vibrated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system 3 synthesizes the sound with the tone currently specified instead of the string 1d.

그러나, 페달(30c)이 계단형상부(30b)로부터 해제된다면 코일스프링(28,29)은 플레이트 부재(21)를 잡아 올려 스토퍼(20a)가 자유상태로 들어간다. 이 자유 상태에서 햄머(lo)는 햄머생크가 쿠션부재(22,23,24)와 접촉하기 전에 현을 타격한다. 이 때문에 현(1d)들은 각각의 음조로 진동하여 보통음을 발생시킨다.However, if the pedal 30c is released from the stepped portion 30b, the coil springs 28 and 29 lift up the plate member 21 and the stopper 20a enters into a free state. In this free state, the hammer lo strikes the string before the hammer shank contacts the cushion members 22, 23, 24. For this reason, the strings 1d vibrate at their respective tones to generate normal sounds.

이 경우, 페달(30c)은 두 가지 상태사이에서 전환된다. 그런 두 가지 상태사이에 다른 한계가 주어진다면 스토퍼(20a)는 자유상태와 폐색상태 사이의 중간상태에 유지될 수 있으며 기계음 발생모드는 두 가지 서브모드 즉 뮤트 서브모드와 보통 서브모드를 갖는따, 따라서, 제2실시예를 총족하는 건반악기는 전자음 발생 모드에서 소음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edal 30c is switched between two states. If a different limit is given between those two states, the stopper 20a can be maintained in the intermediate state between the free state and the occlusion state, and the machine sound generation mode has two submodes, a mute submode and a normal submode. Therefore,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atisfying the second embodiment can completely eliminate noise in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제3실시예를 충족하는 건반악기는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와 레코딩모드와 재상모드에 선택적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레코딩 모드와 재생모드는 모드전환스위치(2a)에 대응하는 모드전환시위치를 통해 연주자에 의혀여 명령받는다. 그러나, 건반악기의 구조, 기계음 및 전자음발생모드의 순서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앞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앞으로의 설명 중 도면부호는 제1실시예를 충족하는 건반악기의 구성요소를 지지한다.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atisfying the third embodiment can be selectively entered into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the recording mode and the replaying mode, and the recording mode and the reproducing mode select the position at the time of mode switching corresponding to the mode switching switch 2a. Ordered by the performer. However, since the structure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 order of the mechanical sound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given. Reference numeral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upport components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at meets the first embodiment.

연주자가 건반악기가 레코딩모드로 들어가도록 명령한다면 슈퍼바이저는 도면의 제8도의 도시된 프러갬 순서를 실행한다. 레키딩모드로 들어갈 때 슈퍼바이저(3k)는 스텝(S11)에서 키센서 중의 하나가 키동작을 전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키센서(3b)로 부터의 검출신호에 지정된 입력포트를 점검한다. 만일 스텝(S11)에 대한 응답이 부정이라면 슈퍼바이저(3k)는 연주자가 하나의 키(1g)를 누를 때까지 스텝(S11)을 반복한다.If the player commands the keyboard instrument to enter the recording mode, the supervisor executes the illustrated procedure shown in FIG. When entering the recording mode, the supervisor 3k checks the input port specified i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key sensor 3b to confirm whether one of the key sensors transmits the key operation in step S11. If the response to step S11 is negative, the supervisor 3k repeats step S11 until the player presses one key 1g.

연주자가 연주를 시작한다면 키센서(3b)는 키동작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통해전달한다. 그후 스텝(S11)에 대한 응답이 긍정이라면 슈퍼바이저(3k)는 스텝(S12)에서 눌러진 키와 키의 속도를 확인한다.If the player starts playing, the key sensor 3b detects the key operation and delivers it through the detection signal. Then, if the response to step S11 is affirmative, the supervisor 3k checks the key pressed at step S12 and the speed of the key.

슈퍼바이저(3k)는 스텝(S13)으로 진행하여 어느 하나의 페달이 조작되는지를 알기 위해 페달센서(3c)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지정된 입력포트를 점검한다. 만일 스텝(S13)에 대한 응답이 부정이라면 슈퍼바이저(3k)는 스텝(S14)에서 눌러진 키와 키의 속도를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코드로 포맷한다. MIDI기준에 따라서 노트-온(note-on)과 키의 속도가 테이터로 지정된다.The supervisor 3k proceeds to step S13 to check the input port specified i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pedal sensor 3c to see which one of the pedals is operated. If the response to step S13 is negative, the supervisor 3k formats the key and the speed of the key pressed in step S14 into a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MIDI) code. According to MIDI standards, note-on and key speeds are specified by data.

그러나, 스텝(S13)에 대한 응답이 긍정이라면 연주자는 하나의 페달의 조작하에서 키를 누르며, 슈퍼바이저(3k)는 스텝(S15)에서 눌러진 키, 키의 속도 및 폐달의작용을 MIDI코드로 포맷한다.However, if the response to step S13 is affirmative, the player presses the key under the operation of one pedal, and the supervisor 3k converts the key pressed in step S15, the speed of the key, and the action of the pedal into a MIDI code. Format it.

슈퍼바이저(3k)가 스텝(S14) 또는 스텝(S15)을 완료하였을 때 슈퍼바이저(3k)는 MIDI코드를 작용메모리(3r)속으로 전달하며, 스텝(S16)에서 MIDI코드악 작용메모리에 저장된다. 그후 슈퍼바이저(3k)는 스텝(S17)에서 연주자가 음악을 완료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포트를 점검한다. 만일 스텝(S17)에 대한 응답이 부정이라면 슈퍼바이저(3k)는 스텝(S11)으로 돌아가서 음악이 완료될 때까진 스텝(S11) 내지 스텝(S17)으로 이루어진 루프를 반복한다.When the supervisor 3k completes step S14 or step S15, the supervisor 3k transfers the MIDI code into the working memory 3r, and stores it in the MIDI code working memory in step S16. do. The supervisor 3k then checks the input port to see if the player has completed the music at step S17. If the response to step S17 is negative, the supervisor 3k returns to step S11 and repeats the loop consisting of steps S11 to S17 until the music is completed.

만일 연주자가 음악을 완료하면 스텝(S17)에 대한 응답은 긍정이 되고 슈퍼바이저(3k)는 플로피디스크 컨트롤러(3s)로 하여금 MIDI코드를 작용메모리(3r)로부터 플로피디스크 구동장치(3t)로 전달하도록 명령한다. 그 후, MIDI코드는 연속적으로 플로피디스크 구동장치(3t)에 전달되어 플로피 디시크 htr에 저장된다.If the player completes the music, the response to step S17 becomes affirmative and the supervisor 3k causes the floppy disk controller 3s to transmit the MIDI code from the working memory 3r to the floppy disk drive 3t. To do so. Thereafter, the MIDI code is continuously transferred to the floppy disk drive 3t and stored in the floppy disk htr.

한편, 연주자가 건반악기를 재생모드로 들어가게 명령한다면 슈퍼바이저(3k)는 제9도에 도시한 프로그램 순서를 실행한다. 재생모드로 들어갈 때 슈퍼바이저(3k)는 스텝(S21)에서 플로피디스크 컨트롤러(3a)로 하여금 MIDI코드 또는 코드들을 플로피디스크로부터 작용메모리(3r)로 전달하도록 명령한다. 슈퍼바이저(3k)는 작용메모리(3r)로부터 MIDI코드 또는 코드들을 독취하여, 스텝(S22)에서 MIDI코드 또는 코드들로부터 놀러진 키, 키의 속도 및 페달작용에 관한 음악정보들을 추출한다. 이 음악정보들은 스텝(S23)에서 다시 작용메모리(3r)속에 기억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layer commands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o enter the playback mode, the supervisor 3k executes the program sequence shown in FIG. When entering the playback mode, the supervisor 3k instructs the floppy disk controller 3a to transfer MIDI codes or codes from the floppy disk to the working memory 3r in step S21. The supervisor 3k reads the MIDI code or codes from the working memory 3r, and extracts music information about the played key, the speed of the key, and the pedal action from the MIDI code or codes in step S22. This music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working memory 3r again in step S23.

슈퍼바이저(3k)는 스텝(S24)에서 모든 MIDI코드들이 전달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플로피디스크로부터 독취된 데이터 볼륨을 점검한다. 만일 스텝(S24)에 대한 응답이 부정이라면 슈퍼바이저(3k)는 스텝(S21)으로 돌아가 모든 이루어지는 루프를 반복 수행한다.The supervisor 3k checks the data volume read from the floppy disk to confirm that all MIDI codes have been delivered in step S24. If the response to step S24 is negative, the supervisor 3k returns to step S21 to repeat all the loops made.

모든 MIDI코드들이 독취되었을 때 스텝(S24)에 대한 응답은 긍정이 되고 슈퍼바이저(3k)는 작용메모리(3r)로부터 첫 번째 음악정보를 독취한다. 이 음악정보는 제5(b)도에 도시한 서브루틴 프로그램과 유사한 전자음 발생 서브루틴(Ser)에서 사용된다.When all MIDI codes have been read, the response to step S24 becomes positive and the supervisor 3k reads the first music information from the working memory 3r. This music information is used in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subroutine Ser similar to the subroutine program shown in FIG. 5 (b).

슈퍼바이저(3k)는 스텝(S27)으로 진행하여 스텝(27)에서 모든 음악정보들이 작용메모리(3r)로부터 독취되었는 지를 알기 위해 작용메모리를 점검한다. 그에 때한 응답은 부정인 동안 슈퍼바이저(3k)는 스텝(S25)으로 돌아가 스텝(S25)내지 스텝(S27)으로 이루어지는 루프를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스텝(37)에 대한 응답이 이 긍정이라면 음악이 완전히 재생되며 슈퍼바이저(3k)는 제5a도에 도시한 프로그램순서로 돌어간다.The supervisor 3k proceeds to step S27 and checks the working memory to see if all the music information has been read out from the working memory 3r in step 27. While the response is negative, the supervisor 3k returns to step S25 to repeat the loop consisting of steps S25 to S27. However, if the response to step 37 is affirmative, the music is played completely and the supervisor 3k returns to the program sequence shown in Fig. 5A.

따라서, 제3실시예를 충족하는 건반악기는 연주자에 의해 연주된 음악을 기록하고 건반상의 키조작 없이 음악을 재생하게 된다.Thus,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atisfying the third embodiment records the music played by the player and reproduces the music without key manipulation on the keyboard.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면의 제10도에 본 밤령은 구체화하는 건반악기를 주로 직립피아노(11)와, 전자음 발생시스템 및 제어시스템(12)으로 구성된다. 전자음 발생시스템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제10도는 도시하지 않는다.The night spirit shown in FIG. 10 of the figure is mainly composed of an upright piano 11, an electronic sound generating system and a control system 12.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system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10 is not shown.

직립피아노(11)는 키바닥(14)에 대하여 스윙할 수 있는 키들을 갖는 건반과, 건반의 키(13)에 연결된 다수의 키 작용기구(11a)와, 관련키 작용기구(11a)에 의하여 각각 구동되는 다수의 햄머기구(11b)와, 햄머기구(11b)에 의하여 각각 타격되는 다수의 현(11c)과, 키작용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댐퍼기구(11d), 페달기구(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그러나, 제10도는 한 세트의 키작용기구와, 햄머기구와, 수직하게 늘어난 하나의 현(11c)에 연결된 댐퍼기구를 도시한다.The upright piano 11 is formed by a key having keys capable of swinging with respect to the key bottom 14, a plurality of key operating mechanisms 11a connected to the keys 13 of the keys, and an associated key operating mechanism 11a. A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11b each driven, a plurality of strings 11c each hit by the hammer mechanism 11b, a plurality of damper mechanisms 11d driven by a keying mechanism, and a pedal mechanism (not shown). Not configured). However, FIG. 10 shows a set of keying mechanisms, a hammer mechanism and a damper mechanism connected to one string 11c extending vertically.

키작용기구(11a)는 휘픈조립체(11e)를 포함하여, 휘픈조립체(11e)는 휘폰 뒤축(110)에 연결된 휘픈(111)으로 구성되고, 휘픈 뒤축(110)은 각 키(13)의 후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캡스만버튼(도시하지 않음)과 접촉 유지된다.The keying mechanism 11a includes a pliable assembly 11e, and the pliable assembly 11e is composed of a hoop 111 connected to the hoop heel 110, and the hoop heel 110 is formed after each key 13. A capsman button (not shown) that projects from the end is held in contact.

휘픈조립체(11e)는 또한 휘픈(111)으로부터 직립하는 잭크플랜지(112)와, 긴아암부(114)와 짧은 아암부(115)를 갖는 잭크(113)와, 잭크(113)와 잭크플랜지(112)를 결합시키기 위한 핀(116)과 짧은 아암부(115)와 휘픈(111)사이에 결합된 잭크스프링(117)으로 구성되며, 잭크스프링(117)은 잭크(113)를 가압하여 핀(11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The swollen assembly 11e also includes a jack flange 112 upstanding from the swollen 111, a jack 113 having a long arm portion 114 and a short arm portion 115, a jack 113 and a jack flange 112. ) Is composed of a pin 116 and a jack spring 117 coupled between the short arm portion 115 and the swing 111, the jack spring 117 presses the jack 113 to pin 116. Turn clockwise around).

휘픈조립체(11e)는 또한 중심판(119)에 의해 휘픈(111)과 결합된 휘픈플랜지(118)로 구성되며, 휘픈플랜지를 건반(도시하지 않음)을 따라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레일부재에 볼트 결합된다. 그러므로 휘픈플랜지(118)는 건반에 대하여 고정상태이며, 휘폰(111)이 중심핀(119)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한다. 휘픈조립체(11e)는 또한 후면 체크블록(120)과, 후면체크블록(120)에 접합된 후면 체크밸트(121)와, 후면체크블록(120)을 지지하기 위해 휘픈(111)으로부터 돌출하는 후면체크와이어(123)와, 휘픈(111)으로부터 돌출하는 구속 와이어(124)로 구성된다. 구속와이어(124)에 대한 후면체크블록(120)은 햄머기구(11b)와 관련하여 앞으로 설명한다.The pliable assembly 11e also consists of a plied flange 118 coupled with the pleated 111 by the center plate 119, and bolts to the rail member extending laterally along the key (not shown). do. Therefore, the flip flange 118 is fixed relative to the keyboard and causes the whiff 111 to rotate about the center pin 119. The swollen assembly 11e also has a rear check block 120, a rear check belt 121 bonded to the rear check block 120, and a rear side projecting from the fenest 111 to support the rear check block 120. It consists of the check wire 123 and the restraining wire 124 which protrudes from the swung 111. The rear check block 120 for the restraint wire 124 will be described in the future with respect to the hammer mechanism 11b.

키작용기구(11a)는 또한 비변형성 조절브라켓(125),과 조절브라켓(125)에 볼트 결합된 조절레일(126)과 조절레일(126)에 의해 지지되는 조절버튼(128)으로 구성되며, 조절레일(126)과 조절버튼(128)사이의 틉새는 공구(도시하지 않음)로 조정 할 수 있다. 조절레일(126)은 건반(도시하지 않음)을 따라서 측방응로 연장되며 모든 키작용기구(11a)사이에 분배된다. 키(13)가 눌러질 때 짧은 아암부(115)는 조절버튼)(128)과 접촉하며, 햄머기구(11b)의 작용은 조절버튼과 짧은 아암부(115)사이의 틈새를 변화시켜 조절할 수 있다.Key action mechanism (11a) is also composed of a non-deformable adjustment bracket 125, an adjustment rail 126 bolted to the adjustment bracket 125 and an adjustment button 128 supported by the adjustment rail 126, The webbing between the adjustment rail 126 and the adjustment button 128 can be adjusted with a tool (not shown). The adjusting rail 126 extends laterally along the keyboard (not shown) and is distributed between all the keying mechanisms 11a. When the key 13 is pressed, the short arm portion 11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djustment button 128, and the action of the hammer mechanism 11b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gap between the adjustment button and the short arm portion 115. have.

햄머기구(11b)는 버튼플랜지(130)와, 중심핀(132)에 의하여 버트플랜지(130)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지지되는 버트(131)와, 버트(131)로부터 돌출하는 햄머생크(133)와, 햄머생크(133)에 의해 지지되는 햄머헤드(134)와, 버트스프링(135)으로 구성되며, 버트스프링은 버트(131)를 가압하여 반시게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The hammer mechanism 11b is a button flange 130, a butt 131 rotatably supported by the butt flange 130 by the center pin 132, and a hammer shank 133 protruding from the butt 131. And a hammer head 134 supported by the hammer shank 133 and a butt spring 135, the butt spring presses the butt 131 so as to rotate in a half-direction.

햄머기구(11b)는 또한 버트(131)로부터 돌출하는 캐처생크(136)와, 캐처생크(136)에 의해 지지되는 캐처(137)와, 캐처(137)에 접합된 캐처외피(138)로 구성된다.The hammer mechanism 11b also includes a catcher shank 136 protruding from the butt 131, a catcher 137 supported by the catcher shank 136, and a catcher shell 138 bonded to the catcher 137. do.

버트를랜지(130)는 제1중심레일(40)에 볼트 결합되고 제1중심레일(140)은 건반을 다라서 측방으로 연장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중심레일(140)은 피아노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고 건반(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고정상태에 있다.Butt flange 130 is bolted to the first center rail 40 and the first center rail 140 extends laterally along the keyboar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central rail 140 is connected to a piano case (not shown) and is fixed to a keyboard (not shown).

제11도 내지 제3도에서 보다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중심레일(140)에는 장공(141)이 형성되며, 제2중심레일(143)은 제1중심레일(1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중실레일(143)에는 윤활시이트(142)가 접합되며, 제2중심레일(1430)은 제1중심레일(140)에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윤활시이트(142)는 플로오르화 탄소수지로 형성된다. 즉 제2중심레일(143)에는 구멍(144)이 형성되고 볼트(145)가 구멍(144)과 장공(141)을 통과하여 너트(146)와 나사 결합된다. 제2중 심레일(143)과 볼트(145)사이에는 판스프링(147)이 삽입되고, 제2중심레일(143)과 따라서 윤활시이트(142)는 제1중심레일(140)상에 가볍게 가압된다. 볼트(145)가 제2중심레일(143)과 함께 슬라이드 하도록 하기 위해 휸활시이트(148)가 스프링 와셔(149)에 접합되며 스프링와셔(149)는 제1중심레일(140)과 너트(146)사이에 삽입된다.As can be better seen in FIGS. 11 through 3, a long hole 141 is formed in the first center rail 140, and the second center rail 143 is slidably movable in the first center rail 140. Combined. A lubrication sheet 142 is bonded to the second solid rail 143, and the second center rail 14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center rail 140. In this case, the lubricating sheet 142 is formed of a fluorocarbon resin. That is, the hole 144 is formed in the second central rail 143, and the bolt 145 passes through the hole 144 and the long hole 141 to be screwed with the nut 146. The leaf spring 147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center rail 143 and the bolt 145, and the second center rail 143 and the lubrication sheet 142 are lightly pressed onto the first center rail 140. do. The bushing sheet 148 is joined to the spring washer 149 so that the bolt 145 slides with the second central rail 143, and the spring washer 149 is connected to the first central rail 140 and the nut 146. Is inserted in between.

제10도에서, 제2중심레일(143)도 역시 건반을 따라서 측방으로 연장되며 제1 및 제2중심레일은 모든 키작용기구(11a)사이에 분배된다. 휘픈플랜지(118)는 제1중심레일(140)에 볼트 결합되고 역시 건반에 대하여 고정상태에 있는 그러므로 휘픈(111)은 중심판(119)과 따라서 건반에 대하여 스윙될 수 있다. 조절브라켓(125)은 제2중심렝일(143)속에 나사 결합되고 각 조절브라켓(125)의 선단부는 휘픈(111)쪽으로 약간 휘어진다.In FIG. 10, the second center rail 143 also extends laterally along the keyboard and the first and second center rails are distributed between all the keying mechanisms 11a. The pliable flange 118 is bolted to the first central rail 140 and is therefore also stationary relative to the keyboard so that the fennel 111 can swing with respect to the center plate 119 and thus the keyboard. The adjusting bracket 125 is screwed into the second central length rail 143 and the tip of each adjusting bracket 125 is slightly bent toward the swollen 111.

제2중심레일(143)에는 솔레노이드 작동기(150)가 결합되며 작동기(150)의 플런저는 관련스위칭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따라서 돌출하고 철수한다. 앞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2중심레일(143)은 제1중심레일(140)에 대하여 슬라이드할 수 있으며, 조절버트(128)는 제2중심레일(143)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솔레노이드 작동기(150)가 그 플런저를 돌출시키는 동안 제2중심레일(143)은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로 이동하며 여기서 제2중심레일(143)의 상부면상의 윤활시이트(142)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중심레일(140)과 접촉하게 된다. 그후 조절버튼(128)과 짧은 아암부(115)사이의 틈새가 증가된다. 한편, 솔레노이드 작동기(150)가 그 플런저를 철수시키면 제2중심레일(143)은 근접위치로 이동하고 조절버튼(128)은 짧은 아암부(115)에 근접하게 된다. 틈새는 이격된 위치와 근접위치사이에서 1mm만큼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건반악기가 기계음 발생모드에 있는 동안 조절버튼(128)은 이격된 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나, 근접위치로 이동하여 잭크(113)의운동을 제한한다.The solenoid actuator 150 is coupled to the second central rail 143 and the plunger of the actuator 150 protrudes and retracts according to an associated switching device (not show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center rail 143 may sl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center rail 140, and the adjustment butt 128 may move together with the second center rail 143. For this reason, while the solenoid actuator 150 protrudes the plunger, the second center rail 143 moves to a position spaced upwardly, where the lubricating sheet 14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enter rail 143 is moved to the tenth. As shown in FIG. 1, the first central rail 14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entral rail 140. Then the clearance between the adjustment button 128 and the short arm portion 115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olenoid actuator 150 withdraws the plunger, the second central rail 143 moves to the proximal position and the adjustment button 128 is close to the short arm 115. The clearance can vary by 1 mm between the spaced and close positions. In this case, the control button 128 is moved to the spaced position while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s in the machine sound generating mode. However, the movement to the proximal position limits the movement of the jack 113.

댐퍼기구(11d)는 휘픈(111)으로부터 돌출하는 댐퍼스푼(161)과, 댐퍼레버플랜지(163)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댐퍼레버(162)와, 댐퍼레버(162)로부터 돌출하는 댐퍼와이어(164)와, 댐퍼와이어(164)에 의해 지지되는 댐퍼우드(165)와, 댐퍼우드(165)에 부착된 댐퍼펠트(166)으로 구성되며, 댐퍼레버플랜지(163)는 제1중심레일(140)에 연결된다. 댐퍼스푼(161)은 관련키(13)가 눌러질 때 댐퍼레버(162)를 가압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그후, 댐퍼펠트(166)는 현(11c)로부터 분리되고 연주자가 키(13)를 놓을 때 다시 현(11c)과 접촉한다.The damper mechanism 11d includes a damper spoon 161 protruding from the swung 111, a damper lever 162 rotatably supported by the damper lever flange 163, and a damper wire protruding from the damper lever 162. 164, a damper wood 165 supported by the damper wire 164, and a damper felt 166 attached to the damper wood 165, and the damper lever flange 163 includes a first central rail ( 140). The damper spoon 161 presses the damper lever 162 when the associated key 13 is pressed to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reafter, the damper felt 166 is detached from the string 11c and contacts the string 11c again when the player releases the key 13.

제어시스템(12)은 제1실시예와 비슷하며, 회전스토퍼(12a)가 제어시스템(12)에 이용된다. 회전스토퍼(12a)는 브라켓(12b)과 쿠션부재(12c,12d)로 구성되며 모터장착(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실선으로 나타낸 자유상태와 쇄선으로 나타낸 폐색상태 사이에서 이동한다. 회전스포터(12a)가 폐색상태에 있는 동안 햄머생크(133)와 댐퍼와이어(164)는 각각 관련키(13)가 눌러졌을 때 쿠션부재(12c)와 (12d)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문에 햄머헤드(134)는 관련현(11c)을 타격하지 않으며 전자음 발생시스템은 현(11c)대신에 음을 합성한다. 그러나, 회전스토퍼(12a)가 자유상태로 이동한다면 회전스토퍼(12a)는 햄머헤드(134)가 현(11c)을 타격하게 하며, 현(11c)이 진동하여 음을 발생시킨다. 회전스토퍼(12a)는 모든 햄머기구(11b)사이에 분배되며 햄머생크(133)와 댐퍼와이어(164)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The control system 12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rotary stopper 12a is used for the control system 12. The rotary stopper 12a is composed of the bracket 12b and the cushion members 12c and 12d and moves between the free state shown by the solid line and the closed state shown by the chain line by motor mounting (not shown). The hammer shank 133 and the damper wire 164 come into contact with the cushion members 12c and 12d when the associated key 13 is pressed while the rotary spotter 12a is in the closed state. For this reason, the hammer head 134 does not strike the associated string 11c,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system synthesizes the sound instead of the string 11c. However, if the rotary stopper 12a moves freely, the rotary stopper 12a causes the hammer head 134 to strike the string 11c, and the string 11c vibrates to generate sound. The rotary stopper 12a is distributed between all the hammer mechanisms 11b and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hammer shank 133 and the damper wire 164.

앞으로의 설명은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키작용기구(11a)의 동작에 대하여 하기로 한다.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key mechanism 11a in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건반악기가 전자음 발생모드로 들어간다고 가정하면 회전스토퍼(12a)는 폐색상태로 이동하며 솔레노이드 작동기(150)는 제2중심레일(143)을 하방으로 당긴다. 그후 조절버튼(128)은 근접위치로 들어가게 되고 조절버튼(128)과 짧은 아암부(115)사이에 틈새가 감소된다. 연주자가 키(13)를 누를 때 캡스탄 버튼(도시하지 않음)은 휘픈 뒤축(110)과 따라서 휘픈(111)을 들어올리고 휘픈(111)또한 잭크(113)를 들어올린다. 캡스탄 버튼이 휘픈(111)을 들어올리는 동안 휘픈(111)은 중심핀(11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댐퍼스푼(161)은 댐퍼레버(162)를 반시계방향으로 민다. 이 때문에 댐퍼레버(162)는 댐퍼펠트(166)과 현(11c)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Assuming that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nters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the rotary stopper 12a moves to the closed state, and the solenoid actuator 150 pulls the second central rail 143 downward. The adjustment button 128 then enters the proximal position and the clearance between the adjustment button 128 and the short arm portion 115 is reduced. When the player presses the key 13, a capstan button (not shown) lifts the heel 110 and thus the hoop 111 and the hoop 111 also lifts the jack 113. While the capstan button lifts the hoop 111, the hoop 111 rotates clockwise about the center pin 119 and the damper spoon 161 pushes the damper lever 162 counterclockwise. For this reason, the damper lever 162 is made to separate from the damper felt 166 and the string 11c.

휘폰(111)이 잭크(113)를 들어올리는 동안 버트(131)는 중심핀(13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햄머생크(133)와 햄머헤드(134)도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조절버튼(128)이 이미 근접위치로 이동하였으며 짧은 아암부(115)가 기계음 발생보드보다 빨리 조절버튼(128)과 접촉하게 된다. 그후, 잭크(113)는 버트(131)를 가압하고 햄머생크(133)와 햄머헤드(134)가 현(11c)쪽으로 돌진하게 된다. 이 경우 잭크(113)가 버트(131)를 가압할 때 햄머헤드(134)의 선단부와 현(11c)사이의 거리는 5∼7mm의 범위에 있게 된다. 햄머생크(133)와 햄머헤드(134)가 현(11c)쪽으로 돌진하더라도 햄머생크(133)는 쿠션부재(12c)와 접촉하고 햄머헤드(134)를 현(11c)의 타격 바로 전에 정지된다. 버트스프링 (135)은 버트 (131)를 가압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며 캐처외피(138)가 후면 체그펠트(121)와 접촉하게 된다.The butt 131 rotates clockwise about the center pin 132 while the whiff 111 lifts the jack 113, and the hammer shank 133 and the hammer head 134 also rotate clockwise. However, the adjustment button 128 has already moved to the proximal position and the short arm 11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djustment button 128 earlier than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board. Thereafter, the jack 113 presses the butt 131 and the hammer shank 133 and the hammer head 134 rush toward the string 11c. In this case, when the jack 113 presses the butt 131,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of the hammer head 134 and the string 11c is in the range of 5 to 7 mm. Although the hammer shank 133 and the hammer head 134 rush toward the string 11c, the hammer shank 133 is in contact with the cushion member 12c and the hammer head 134 is stopped just before the striking of the string 11c. The butt spring 135 presses the butt 131 to rotate counterclockwise, and the catcher shell 13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chapel felt 121.

따라서, 회전스토퍼(12a)는 현(11c)이 햄머헤드(134)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현(11c)은 진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전자음 발생시스템은 현(11c)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해당하는 음조를 갖는 음을 합상하게 된다.Therefore, the rotary stopper 12a prevents the string 11c from colliding with the hammer head 134 and the string 11c does not vibrate. However,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system sums up the sound having a tone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tring 11c.

한편, 건반악기가 기계음 발생모드로 전환된다면 회전스토퍼(12a)가 자유상태로 전환되며, 솔레노이드작동기(150)는 제1중심레일(40)에 애하여 제2중심레일(143)을 들어올린다. 상방으로 슬라이드 하는 동안 윤활시이트(142)는 제2중심레일(143)이 바람직하지 못한 마찰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제2중실레일(143)은 조절버튼(128)이 근접위치로 들어가게 하며 틈새는 약 1mm 만큼 감소된다.이 상황에서 연주자가 키(13)를 누를 때 댐퍼펠트(166)는 현(11c)으로부터 분리되는 짧은 아얌부(115)는 햄머헤드(134)와 현(11c)사이의 거리가 약 2mm 정도될 때 조절버튼(128)과 접촉하게 된다. 잭크(113)는 버트(131)를 가압하고 햄머헤트(134)를 상기 거리를 돌진하여 회전스토퍼(12a)와의 접촉 없이 현(11c)을 타겨가게 된다. 햄머기구(11b)는 현(11c)의 타격 후에 전자음 발생모드에서와 비슷하게 작동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s switched to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the rotary stopper 12a is switched to the free state, the solenoid actuator 150 lifts the second central rail 143 against the first central rail 40. The lubricating sheet 142 prevents the second center rail 143 from being subjected to undesirable friction while sliding upward. The second solid rail 143 causes the adjustment button 128 to enter the proximal position and the clearance is reduced by about 1 mm. In this situation, when the player presses the key 13, the damper felt 166 is removed from the string 11c. The short ayam section 115 to be separate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djustment button 128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hammerhead 134 and the string 11c is about 2 mm. The jack 113 presses the butt 131 and rushes the hammer head 134 to the above distance, thereby hitting the string 11c without contact with the rotary stopper 12a. The hammer mechanism 11b operates similarly to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after striking the string 11c.

따라서, 조절버튼(128)과 짧은 아암부(115)사이의 틈새는 작동모드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햄머기구는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사이의 서로 다른 타이밍에서 현(11c)쪽으로 돌진한다. 이러한 특징은 키작용의 손실 없이 양호한 피아노 터치감이 연주자에게 부여되기 때문에 연주자에 있어서 발마직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가 피아노의 보통 값으로 조절된다면 햄머생크(133)는 잭크(113)가 버트(131)를 가압하기 전에 전자음 발생오드에서 회전시스토퍼(12a)와 접촉된다. 이러한 조지접촉은 키터치감을 떨어드린다. 한편 햄머헤드(134)와 현(11c)사이의 거리가 보통 피아노 보다 큰 값으로 조정된다면 연주자에게 양호한 키터치감이 부여된다. 그러나, 이렇게 큰 거리를 햄머기구(11b)에 충분히 큰 에너지를 부여할 수 없으며 햄머헤드(134)는 작은 충격으로 현(11c)을 타격하게 된다. 그 결과 복귀작용이 약해지며 연주자는 빠른 속도로 키조작을 반복할 수 없다. 또한, 약한 충격은 음색을 변화시키며 건반악기에 의해 약한 음만이 발생된다. 그러나, 근접위치에서 조절버튼(128)은 햄머생크(133)가 회전스토퍼(12a)와 접촉하기 전에 조리 타이밍에서 잭크(113)가 버트(131)를 가압하게 하며, 양호한 피아노 키접촉감이 연주자에게 부여되고 이격된 위치에서 조절버튼(128)에 의하여 신속한 키작용이 유지된다.Thus, the gap between the adjustment button 128 and the short arm portion 115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and the hammer mechanism rushes toward the string 11c at different timings between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on mode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on mode. This feature is perfect for the player because a good piano touch is imparted to the player without loss of key action. More specifically, if the distance is adjusted to the normal value of the piano, the hammer shank 133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12a at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node before the jack 113 presses the butt 131. This george contact degrades the key touch feeling. On the other han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hammerhead 134 and the string 11c is adjusted to a value larger than that of a normal piano, a good key touch feeling is given to the player. However, such a large distance cannot give sufficiently large energy to the hammer mechanism 11b, and the hammerhead 134 strikes the string 11c with a small impact. As a result, the return action is weakened and the player cannot repeat the key operation at high speed. Also, the weak impact changes the timbre and only weak notes are generated by the keyboard instruments. However, in the proximate position, the adjustment button 128 causes the jack 113 to press the butt 131 at the cooking timing before the hammer shank 133 contacts the rotary stopper 12a, and a good piano key contact feeling is performed by the player. The fast keying action is maintained by the control button 128 at the position given to and spaced apart.

[제5실시예][Example 5]

도면중의 제14도에서 틈새조절기구(170)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건반악기에 이용되며, 제5실시예를 충족하는 건반악기는 틉새조절기구를 제외하고는 제4실시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앞으로의 설명은 틈새조절기구(170)에만 집중하여 하고동일 도면부호는 제4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FIG. 14 in the figure, the clearance adjusting mechanism 170 is used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atisfying the fifth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fourth embodiment except for the weeping control mechanism.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focuses only on the clearance adjusting mechanism 170,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제2중심레일(143)은 제4실시예의 레일보다 두꺼우며 그 속에 나사구멍(171)이 형성된다. 볼트(172)는 장공(141)을 통과하여 나사구멍(171)속에 나사 결합된다. 코일스프링(173)과, 와셔(174)와, 플로오르화 탄소수지의 윤활시이트(175)가 제1중심레일(140)과 볼트(172)의 헤드사이에 삽입되며, 제2중심레일(143)은 제1중심레일(140)쪽으로 가압된다.The second central rail 143 is thicker than the rail of the fourth embodiment, and a screw hole 171 is formed therein. The bolt 172 passes through the long hole 141 and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171. The coil spring 173, the washer 174, and the lubricating sheet 175 of the fluorocarbon resin are inserted between the first center rail 140 and the head of the bolt 172, and the second center rail 143. Is pressed toward the first central rail 140.

제2중심레일(143)은 역시 작동기(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며 작동기는 솔레노이드 작동기와 마찬가지로 조절버튼(128)을 근접위치와 이격된 위치상이에서 변경시킨다. 이 때문에 제5실시예는 제4실시예와 동일한 이점을 얻게 된다.The second central rail 143 is also coupled to an actuator (not shown) which, like the solenoid actuator, changes the control button 128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proximal position. For this reason, the fifth embodiment obtains the same advantages as the fourth embodiment.

코일 스프링(173)은 제15도와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176)으로 교체될 수 있으며, 제2중심레일(143)의 이동거리는 휘픈플랜지가 고정되는 판 스프링(176)과 제1중심레일(140)의 부분(177)사이의 틈새(B)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The coil spring 173 may be replaced with the leaf spring 176 as shown in FIG. 15 and FIG. 16,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second center rail 143 may include the leaf spring 176 and the first flange. It may be determined by the gap B between the portions 177 of the central rail 140.

[제6실시예]Sixth Embodiment

도면중의 제17(a)도와 제17(b)도에서 또 다른 틈새 조절기구가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에 이용되며, 제6실시예를 총족하는 건반악기는 틈새 조절기구를 제외하고는 제4실시예와 비슷하다. 따라서 앞으로의 설명은 틈새 조절기구만을 중심으로 하고 동일 도면부호는 제4구체예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Figure 17 (a) and 17 (b) of the drawings, another clearance adjusting mechanism is used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atisfying the sixth embodiment except for the clearance adjusting mechanism Similar to the fourth embodiment.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focuses only on the clearance adjustment mechanism,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제17(a)도와 제17(b)도에 도시한 틈새 조절기구는 힌지(181)에 의해 충족되며 작동기(도시하지 않음)에는 제2중심레일(143)이 결합된다. 작동기가 제2중심레일(143)을 제1중심레일(140)쪽으로 가압하는 동안 제2중심레일(143)에 부착된 윤활시이트(142)는 제1중심레일(140)과 접촉 유지되며 조절버튼(128)과 잭크(113)사이의 틈새(C)는 제17(a)도에서와 같이 비교적 작다. 그러나, 작동기가 제2중심레일(143)을 제1중심레일(140)로부터 분리되게 한다면 틈새(C)는 제17(b)도에 도시한 것처럼 1mm만큼 감소된다.The clearance adjusting mechanism shown in FIGS. 17 (a) and 17 (b) is satisfied by the hinge 181, and the second center rail 143 is coupled to the actuator (not shown). While the actuator presses the second center rail 143 toward the first center rail 140, the lubrication sheet 142 attached to the second center rail 143 is kept in contact with the first center rail 140 and the adjustment button. The clearance C between 128 and jack 113 is relatively small as in FIG. 17 (a). However, if the actuator causes the second center rail 143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enter rail 140, the clearance C is reduced by 1 mm as shown in FIG. 17 (b).

따라서, 틈새(C)는 변할 수 있으며 제4실시예의 모든 이점은 제6실시예의 의하여 얻어진다.Thus, the gap C can vary and all the advantages of the fourth embodiment are obtained by the sixth embodiment.

힌지(181)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힌지(182)와 교체될 수도 있다.The hinge 181 may be replaced with the plastic hinge 182 as shown in FIG.

[제7실시예][Example 7]

도면중의 제19(a)도와 제18(b)도에서, 틈새 조절기구가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에 이용되며, 제7실시예를 충족하는 건반악기는 조절브라켓과 틈새조절기구를 제외하고는 제4구체예와 유시하다. 따라서, 앞으로의 설명은 틈새 조절기구만을 중심의로 서술하기로 하며 동일 도면부호는 제4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FIG. 19 (a) and 18 (b) in the figure, the gap adjusting mechanism is used i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atisfying the seventh embodiment except the adjusting bracket and the gap adjusting mechanism Is similar to the fourth embodiment.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ly on the clearance adjustment mechanism,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조절브라켓(191)은 탄성 변형가능하며 제1중심레일(140)에 직접 볼트 결합된다. 건반악기에는 소정의 제2중심레일이 이용된다. 틈새 조절기구는 편심 회전축(193)을 갖는 편심 캠부재(192)에 의하여 충족되며 편심 캠부재(192)에는 작동기(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된다. 편심회전축(193)과 조절브라켓(191)사이의 거리는 편심 캠부재(192)의 각도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심캠부재(192)가 단축에서 조절브라켓(191)과 접촉 유지되는 동안 조절브라켓(191)의 복원력으로 조절버튼(192)을 상방으로 당기며 조절버튼(128)은 제19(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은 아암부(115)로부터 이격된다. 조절버튼(128)과 짧은 아암부(115)사이의 틈새는 기계음 발생음 모드에 적당한 값으로 조정된다.The adjusting bracket 191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is directly bolted to the first central rail 140. A predetermined second center rail is used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 gap adjusting mechanism is satisfied by an eccentric cam member 192 having an eccentric rotation shaft 193 and an actuato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eccentric cam member 192. The distance between the eccentric rotation shaft 193 and the adjustment bracket 191 may vary depending on the angular position of the eccentric cam member 192. For example, while the eccentric cam member 192 is kept in contact with the adjustment bracket 191 in the short axis, the adjustment button 192 is pulled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adjustment bracket 191, and the adjustment button 128 is the 19th (a). As shown in the figure, the short arms 1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gap between the adjustment button 128 and the short arm portion 115 is adjusted to a value suitable for the machine sound generation mode.

그러나, 편심캠부재(192)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구동된다면 편심캠부재(192)는 제1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축에서 조절브라켓(191)과 접촉유지하며 조절버튼(128)은 짧은 아암부(115)쪽으로 하방으로 밀어진다. 따라서, 조절버튼(128)과 짧은 아암부(115)사이의 틈새(D)는 편심캠부재(192)의 각도위치에 따라서 변하며 틈새(D)의 변화는 이경우에 약 1mm이다.However, if the eccentric cam member 192 is driven to ro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eccentric cam member 192 maintains contact with the adjustment bracket 191 at the long axis as shown in FIG. 19 (b) and the adjustment button 128. Is pushed downward toward the short arm portion 115. Thus, the gap D between the adjustment button 128 and the short arm portion 115 varies depending on the angular position of the eccentric cam member 192 and the change in the gap D is about 1 mm in this case.

추가적으로 편심캠부재 대신에 타원형 캠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liptical cam member may be used instead of the eccentric cam member.

제7실시예는 마찬가지로 제4실시예와 동일한 이점을 얻는다.The seventh embodiment likewise obtains the same advantages as the fourth embodiment.

[제8실시예][Example 8]

도면중의 제20도에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건반악기의 주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제8실시예를 충족하는 건반악기는 주로 선반(도시하지 않음)과, 건반의 눌려진 키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키작용기구(200)와, 다수의 키작용기구(200)와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햄머기구(201)와, 다수의 햄머기구(201)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 세트의 피아노선(202)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댐퍼기구(203)와 다수의 햄머기구(201)와 다수 세트의 피아노선(202)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댐퍼기구(203)와 당수의 햄머기구(201)와 다수 세트의 피아노선 (201)와 댐퍼기구(203)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그 구성요소는 간단히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고 제1실시예의 대응 요소를 나타내는 동일 도면부호를 붙인다.In FIG. 20 of the drawings, the main part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atisfying the eighth embodiment is mainly coupled with a plurality of keying mechanisms 200 and a plurality of keying mechanisms 200 which are selectively driven by a pressed key of the keyboard, a pressed key of the keyboard, respectively. A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201, a plurality of damper mechanisms 203 and a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201 and a plurality of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ts of piano wires 202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201 The plurality of damper mechanisms 203 and the number of hammer mechanisms 201 and the plurality of sets of piano wires 201 and damper mechanisms 203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t of piano wires 202 are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Th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presenting the corresponding ele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for the sake of simplicity and without detailed description.

뮤팅시스템(204)은 생크스토퍼(204a)로 구성되며, 제1실시예와 유사한 제어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한다. 뮤팅시스템(204)은 모든 햄머기구 사이에 분배되며, 축부재(204b)와 펠트 또는 엑세뉴(excenu) 쿠션부재(204c)와 인조가죽 보호시이트(204d)의 적층된 구조에 의해 충족되는 생크스토퍼(204a)를 갖는다. 축부재(204b)에는 모터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며, 연주자는 모터장치로 하여금 손조작 레버 또는 발조작 레버의 하나와 결합된 스위칭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축부재(204b)를 구동시키도록 명령한다.The muting system 204 consists of a shank stopper 204a and forms part of a control system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The muting system 204 is distributed between all the hammer mechanisms, and the shank stopper is satisfied by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shaft member 204b, the felt or exennu cushion member 204c and the artificial leather protective sheet 204d. 204a. A motor device (not shown) is coupled to the shaft member 204b, and the player causes the motor device to move the shaft member 204b through a switching device (not shown) coupled with either a hand lever or a foot control lever. Command to run.

만일 연주자가 뮤팅시스템(204)이 햄머생크(1n)를 폐색하도록 요구한다면 축부재(204a)는 소정의 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쇄선으로 나타낸 폐색상태로 들어간다. 폐색상태에서 보호시이트(204d)는 햄머생크(1n)의 반대측에 있게 되고 햄머생크(1n)와 보호시이트(204d)사이의 거리는 햄머헤드(lo)와 다수 세트의 피아노선(202)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연주자가 키를 누르면 햄머생크(1n)는 햄머헤드(lo)가 관련 피아노선(202)을 타격하기 전에 보호시이트(204d)와 접촉하게된다. 그 결과 연주자는 소리 없이 건반 상에서 손가락 놀림할 수 있으며, 이웃을 방해하기 않게 된다. 햄머생크(1n)의 충격은 쿠션부재(204c)에 의해 흡수되고 보호시이트(204d)는 쿠션부재(204c)의 수명을 연장시킨다.If the player requires the muting system 204 to close the hammer shank 1n, the shaft member 204a rotates 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enters the blockage state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 the closed state, the protective sheet 204d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ammer shank 1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ammer shank 1n and the protective sheet 204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hammer head lo and the plurality of sets of piano wires 202. Becomes smaller. In this situation, when the player presses the key, the hammer shank 1 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ective sheet 204 d before the hammer head lo hits the associated piano wire 202. As a result, the player can finger on the keyboard without sound, and does not disturb the neighbors. The impact of the hammer shank 1n is absorbed by the cushion member 204c, and the protective sheet 204d extends the life of the cushion member 204c.

만일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자음발생시스템이 용된다면, 연주자는 스프커시스템을 도는 헤드폰장치를 통하여 음악을 즐기게 된다. 또한, 생크스토퍼(204a)가 자유상태와 폐색상태 사이의 중간 각도 위치에 유지된다면 햄머생크(1b)와 햄머헤드(lo)는 각각 생크스토퍼(204a)와 피아노선(202)을 타격하게 되고 연주자는 부드러운 음으로 음악을 연주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쿠션부재(204c)가 연한 물질로 형성된다면 생크스토퍼(204a)는 햄머헤드(lo)가 폐색상태에서 파이노선(202)을 타격하게 한다.If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system is us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layer will enjoy the music through the headphone device that turns the spooker system. Further, if the shank stopper 204a is maintained at an intermediate angle position between the free state and the closed state, the hammer shank 1b and the hammer head lo hit the shank stopper 204a and the piano wire 202, respectively, and the player Will play the music in soft notes. Finally, if the cushion member 204c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the shank stopper 204a causes the hammer head lo to strike the pin 202 in a closed state.

한편, 연주자는 뮤팅시스템(204)으로 하여금 햄머헤드(lo)가 피아노선(203)을 타격하도록 명령하면 모터장치는 축부재(204b)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며 생크스토퍼(204a)는 실선으로 나타낸 자유상태를 들어간다. 햄머생크(ln)와 생크스토퍼(204a)사이의 거리는 햄머헤드(lo)와 피아노선(202)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된다. 이 상황에서 연주자가 키를 누를 때 햄머헤드(lo)는 관련 피아노선(202)을 타격하고 피아노선이 진동하여 음을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yer instructs the muting system 204 to hit the hammer head lo to the piano wire 203, the motor unit drives the shaft member 204b counterclockwise and the shank stopper 204a is solid. Enter the indicated free state. The distance between the hammer shank ln and the shank stopper 204a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hammer head lo and the piano wire 202. In this situation, when the player presses a key, the hammer head lo strikes the associated piano wire 202 and the piano wire vibrates to generate sound.

만일 연주자가 키를 서서히 누른다면 잭크(lk)가 버트(lm)를 상방으로 밀게되고 햄머생크(ln)가 보호시이트(204d)와 접촉된다. 보호시이트(204d)와 접촉한후에 잭크(1k)가 버트(lm)를 가압하여 해제된다. 이렇게 해제될 때 잭크(lk)는 연주자에게 그랜드피아노의 후속접촉감을 부여하며 본 발명에 따른 뮤팅시스텝(204)은 그랜드피아노의 후속접촉감을 취할 수 있게 된다.If the player slowly presses the key, the jack lk pushes the butt lm upwards and the hammer shank l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ective sheet 204d. After contact with the protective sheet 204d, the jack 1k is released by pressing the butt lm. When released, the jack lk gives the player a subsequent touch of the grand piano, and the muting system 20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a subsequent touch of the grand piano.

[제9실시예][Example 9]

도면중의 제21에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건반악기의 주요부가 도시된다. 제9실시예를 충족하는 건반악기는 주로 건반(도시하지 않음)과, 건반의 눌러진 키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키작용기구(210)와, 다수의 키작용기구(210)와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햄머기구(211)와, 다수의 햄머기구(211)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 세트의 피아노선(212)과, 다수 세트의 피아노선(212)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댐퍼기구(213)와, 다수의 햄머기구(211)와 다수 세트의 피아노선(212)사이에 위치하는 뮤팅시스템(214)으로 구성된다. 키작용기구(210)와 햄머기구(211)와 댐퍼기구(213)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그 구성요소에는 간단히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 없이 제1실시예의 대응 요소를 나타내는 동일 도면부로를 붙인다.The main par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hich embodies this invention in the 21st of drawing is show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atisfying the ninth embodiment is mainly composed of a keyboard (not shown), a plurality of key operating mechanisms 210 selectively driven by a pressed key of the keyboard, and a plurality of key operating mechanisms 210, respectively. A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211 to be coupled, a plurality of sets of piano wires 212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211, and a plurality of damper mechanisms 213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ts of piano wires 212. ) And a muting system 214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211 and the plurality of sets of piano wires 212. The keying mechanism 210, the hammer mechanism 211, and the damper mechanism 213 are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omponents are attached to the same drawing parts representing the corresponding ele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for the sake of simplicity without further description.

뮤팅시스템(214)은 생크스토퍼(214a)로 구성되며, 제1실시예와 유사한 제어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한다. 뮤팅시스템(214a)은 모든 햄머기구(211)사이에 분배되며 축부재(214b)와 경질 쿠션부재(214c)와 연질 쿠션부재(214d)와 최연질 쿠션시이트(214e)의 적층된 구조에 의해 충족되는 생크스토퍼(214a)를 갖는다. 축부재(214b)에는 모터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며, 연주자가 모터장치로 하여금 손조작레버 또는 발조작 레버의 하나와 결합된 스위칭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축부재(214b)를 구동시키도록 명령할 수 있다. 경질 연질 및 최연질 쿠션부재(214c,214d,214e)의 총 부피는 제9실시예의 쿠션부재(240c)의 부피와 대략 같다. 연질 쿠션부재(214d)는 탄력에 있어서 경질 쿠션부재(214c)보다 크고 최연질 쿠션부재(214e)보다 작다.The muting system 214 is composed of a shank stopper 214a and forms part of a control system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The muting system 214a is distributed between all the hammer mechanisms 211 and is satisfied by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shaft member 214b, the hard cushion member 214c, the soft cushion member 214d and the softest cushion sheet 214e. It has a shank stopper 214a. A motor device (not shown) is coupled to the shaft member 214b, and the player causes the motor device to move the shaft member 214b through a switching device (not shown) coupled with one of the hand control lever or the foot control lever. You can tell it to run. The total volume of the hard soft and softest cushion members 214c, 214d, 214e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volume of the cushion member 240c of the ninth embodiment. The soft cushion member 214d is larger than the hard cushion member 214c and smaller than the softest cushion member 214e in elasticity.

만일 연주자가 큐팅시스템(214)으로 하여금 햄머생크(ln)를 폐색시키도록 요구한다면 축부재(214a)는 소정 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쇄선으로 나타낸 폐색상태로 들어간다. 폐색상태에서 최연질 쿠션부재(214e)는 햄머생크(ln)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햄머생크(ln)와 최연질 쿠션부재(214e)사이의 거리는 햄머헤드(lo)와 다수 세트의 피아노선(212)사이의 거리 보다 작게 된다. 이 상황하에서 연주자가 키를 누를 때 햄머생크(ln)는 햄머헤드(lo)가 관련 피아노선(212)을 타격하기 전에 최연질 쿠션부재(214e)와 접촉된다. 그 결과 연주자는 소리 없이 건반 상에서 손가락 놀림할 수 있게 되고 이웃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햄머생크(ln)의 충격은 쿠션부재(214c,214d,214e)에 의해 흡수되며, 햄머생크(ln)가 서서히 정지하기 때문에 충격소음이 적층구조에 의해 더욱 감소된다.If the player requires the cutting system 214 to close the hammer shank ln, the shaft member 214a is rotated 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to enter the blocked state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 the closed state, the softest cushion member 214e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ammer shank l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ammer shank ln and the softest cushion member 214e is the hammer head lo and a plurality of sets of piano wires 212.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m. In this situation, when the player presses a key, the hammer shank ln is contacted with the softest cushion member 214e before the hammer head lo strikes the associated piano wire 212. As a result, the player can make a finger teasing on the keyboard without sound, and does not disturb the neighbor. The impact of the hammer shank ln is absorbed by the cushion members 214c, 214d, and 214e, and the impact noise is further reduced by the laminated structure because the hammer shank ln is gradually stopped.

한편, 연주자가 뮤팅시스템(214)에게 햄머헤드(lo)가 피아노선(212)을 타격하도록 명령한단면 모터장치는 축부재(214b)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생크스토퍼(214a)가 실선으로 나타낸 자유상태로 들어간다. 햄머생크(ln)와 생크스토퍼(214a) 사이의 거리는 햄머헤드(lo)가 피아노선(212)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된다. 이 상황에서 연주자가 키를 누를 때 햄머헤드(lo)는 관련 피아노선(212)을 타격하여 피아노 선이 진동하여 음을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yer instructs the muting system 214 to hammer the hammer head lo to hit the piano wire 212, the motor unit drives the shaft member 214b counterclockwise and the shank stopper 214a is solid. Enter the indicated free state. The distance between the hammer shank ln and the shank stopper 214a is such that the hammer head lo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iano wires 212. In this situation, when the player presses a key, the hammer head lo strikes the associated piano wire 212 and the piano wire vibrates to generate sound.

이 경우, 적층된 구조는 3개의 쿠션부재(214c,214d,214e)를 가진다. 그러나, 3개 이상의 부재에 의해 다른 적층구조도 충족될 수 있다. 또한, 탄력은 쿠션부재(214e)로부터 쿠션부재(214c)로 감에 따라 증가된다.In this case, the laminated structure has three cushion members 214c, 214d, and 214e. However, other laminated structures can also be satisfied by three or more members. In addition, the elasticity increases with going from the cushion member 214e to the cushion member 214c.

[제10실시예][Example 10]

도면중의 제22도에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건반악기의 주요부에는 뮤팅기구(224)기 제공된다. 그러나, 다른 구성요소는 제9실시예의 것과 비스하며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반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설명 없이 동일 도면부로를 붙인다.In FIG. 22 in the figure, a muting mechanism 224 is provided in the main par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other components serve as those of the ninth embodiment and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ttached to the same drawings without description in order to avoid repeated description.

뮤팅기구(224)는 축부재(224a)를 포함한 생크스토퍼와, 링크부재(224b)와, 브라켓부재(224c)와, 3개의 쿠션부재(224d, 224e, 224f)에 의해 충족되는 적층구조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축부재(224a)에는 모터장치가 결합되며, 생크스토퍼는 실선으로 나타낸 자유상태와 쇄선으로 나타낸 폐색상태 사이에서 전환된다.The muting mechanism 224 is composed of a laminated structure satisfied by the shank stopper including the shaft member 224a, the link member 224b, the bracket member 224c, and the three cushion members 224d, 224e, and 224f. do.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motor device is coupled to the shaft member 224a, and the shank stopper is switched between a free state shown by a solid line and a closed state shown by a chain line.

연주자가 뮤팅시스템(224)으로 하여금 햄머생크(ln)를 폐색하게 한다면 축부재(214a)가 소정 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폐색 상태로 들어간다. 폐색상태에서 쿠션부재(224f)는 햄머생크(ln)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햄머생크(ln)와 쿠션부재(224f)사이의 거리는 햄머헤드(lo)와 다수 세트의 피아노선(212)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된다. 연주자가 키를 누를 때 햄머생크(ln)가 쿠션부재(224f)와 접촉하여 쿠션부재(224f,224e,224d)를 "a"로 나타낸 길이만큼 수축시킨다. 쿠션부재(224f,224e,224d)가 수축한다하도라도 햄머헤드(lo)가 관련 피아노선(212)을 타격하게 되고 충격소음이 제거된다. 그 결과, 연주자는 소리 없이 건반 상에서 손가락 놀림할 수 있게 되고 이웃에게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If the player causes the muting system 224 to close the hammer shank ln, the shaft member 214a rotates 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to enter the closed state. In the closed state, the cushion member 224f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ammer shank l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ammer shank ln and the cushion member 224f is between the hammer head lo and the plurality of sets of piano wires 212. Become smaller than the distance. When the player presses a key, the hammer shank l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ushion member 224f to shrink the cushion members 224f, 224e and 224d by the length indicated by " a. &Quot; Even if the cushion members 224f, 224e, and 224d contract, the hammer head lo strikes the associated piano wire 212 and the impact noise is eliminated. As a result, the player can make a finger teasing on the keyboard without sound, and does not disturb the neighbor.

한편, 연주자가 뮤팅시스템(224)에게 햄머헤드(lo)가 피아노선(212)을 타격하게 하면 모터장치는 축부재(224a)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생크스토퍼는 자유상태로 들어간다. 생크스토퍼는 햄머생크(ln)와 햄머헤드(lo)의 궤도의 외부로 이동한다. 이 상황에서 연주자가 키를 누르면 햄머헤드(lo)는 관련 피아노선(212)을 타격하여 피아노 선이 진동하여 음을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yer causes the hammer head (lo) to hit the piano wire 212 to the muting system 224, the motor device drives the shaft member 224a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shank stopper enters the free state. The shank stopper moves out of the trajectory of the hammer shank ln and the hammer head lo. In this situation, when the player presses a key, the hammer head lo strikes the associated piano wire 212 and the piano wire vibrates to generate sound.

[제11실시예][Example 11]

도면의 제23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에 이용된 생크스토퍼(304)는 뮤팅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고 결국 제1실시예와 유사한 제어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11실시예를 충족하는 건반악기는 생크스토퍼(304)를 제외하고는 제8실시예와 비슷하므로 간략하게 생크스토퍼만을 명하기로 한다.In FIG. 23 of the drawings, the shank stopper 304 used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part of the muting system and eventually forms part of the control system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atisfying the eleventh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eighth embodiment except for the shank stopper 304, only the shank stopper will be described briefly.

생크스토퍼(304)는 회전로드(304a)와, 회전로드(304a)에 고정된 브라켓부재(304b)와, 브라켓부재(304b)에 고정된 적층구조로 구성되며, 적층구조는 브라켓부재(304b)에 접합된 비교적 단단한 경질층(304c)과, 연질층(304d)에 접합된 보호층(304e)에 의해 구성된다. 브라켓부재(304b)는 목재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경질층(304c)은 연질층 보다 탄성계수가 크다. 이 경우 탄성계수는 영률을 의미한다. 경질층(304c)과 연질층(304d)은 예로서 Poron H32와 Poron LE20(상표)로 만들어지며 보호층(304e)은 엑세뉴로 만들어진다. Poron H32와 Poron LE20은 우레탄 폼이고 우레탄폼은 많은 수의 미소기공을 함유한다. 그러나, Poron H32와 Poron LEe20은 우레탄 폼이고 우레탄폼은 많은 수의 미소기공을 함유한다. 그러나, Poron H32와 Poron Le20은 미소기공 농도가 서로 다르며 따라서 탄성계수가 서로 다르다.The shank stopper 304 is composed of a rotating rod 304a, a bracket member 304b fixed to the rotating rod 304a, and a laminated structure fixed to the bracket member 304b, and the laminated structure is a bracket member 304b. It is comprised by the comparatively hard hard layer 304c joined by and the protective layer 304e joined by the soft layer 304d. The bracket member 304b is formed of wood or metal, and the hard layer 304c has a larger elastic modulus than the soft layer. In this case, the modulus of elasticity means Young's modulus. The hard layer 304c and the soft layer 304d are made of, for example, Poron H32 and Poron LE20 (trademark), and the protective layer 304e is made of Exenyu. Poron H32 and Poron LE20 are urethane foams and urethane foams contain a large number of micropores. However, Poron H32 and Poron LEe20 are urethane foams and urethane foams contain a large number of micropores. However, Poron H32 and Poron Le20 have different micropore concentrations and therefore different elastic modulus.

따라서, 적층구조는 그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으로 점차 증가된다. 적층구조는 햄머생크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며 햄머생크와 따라서 햄머를 서서히 감속시킨다. 적층구조는 충격소음을 흡수하며 보통 피아노와 유사하게 햄머생크를 반동시킨다. 생크스토퍼(304)는 연주자에게 피아노 같은 키터치감을 부여한다.Thus, the laminated structure is gradually increased in the direction of the force acting thereon. The laminated structure absorbs the kinetic energy of the hammer shank and slowly slows the hammer shank and thus the hammer. The laminated structure absorbs shock noise and recoils the hammer shank similar to a normal piano. The shank stopper 304 gives a player a key touch like piano.

다음의 표는 적층구조의 이점을 보여준다.The following table shows the advantages of the laminate structure.

상기 표 1에서 시편 1 내지 6은 제 11실시예에서 이용된 형태이며, "7"과 "8"이 붙여진 각각의 스토퍼는 보호층으로 적층된 비교적 연한 층에 의해 충족되었다. 시편 9는 보통의 그랜드 피아노에서 측정되었다. 약자 "pP", "mP", "mF", "f" 및 "ff"는 각각 피아니시모, 메조피아노, 메조포르테, 포르테 및 포르티시모를 나타내며 힘은 이들 키터치에 대응하였다. 키터치하에서 각각의 값은 생크스토퍼의 타격전의 햄머속도와 생크스토퍼로부터 반동하는 햄머 속도 사이의 비율을 나타낸다.In Table 1, the specimens 1 to 6 are the shapes used in the eleventh embodiment, and each stopper labeled with "7" and "8" was satisfied by a relatively soft layer laminated with a protective layer. Psalm 9 was measured on an ordinary grand piano. The abbreviations "pP", "mP", "mF", "f" and "ff" denote pianissimo, mesopiano, mesoporte, forte and fortissimo, respectively, and the force corresponds to these key touches. Under key touch, each value represents the ratio between the hammer speed before hitting the shank stopper and the hammer speed rebounding from the shank stopper.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편 1 내지 6의 속도 비율은 피아니시모로부터 포르티시모까지 증가되었고 이런 증가경향은 보통피아노에서도 비슷하였다. 그러나, 시편 7 또는 8의 속도비는 키터치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또한 시편 1 내지 8은 최대 속도비에 대한 최소 속도비의 비율에 있어서 시편 7과 8 보다 컸으며, 보통의 그랜드피아노의 비율에 근접하였다. 그러므로 생크스토퍼(304)는 연주자에게 피아노 같은 키터치감을 부여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table, the rate ratio of specimens 1 to 6 increased from pianissimo to fortissimo and this increase was similar for normal pianos. However, the speed ratio of specimens 7 or 8 was constant regardless of the key touch. In addition, specimens 1 to 8 were larger than specimens 7 and 8 in the ratio of the minimum speed ratio to the maximum speed ratio, and were close to the ratio of the normal grand piano. Therefore, the shank stopper 304 gives the player a piano-like key touch.

지금까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남 없이 여러 가지 변형과 수정의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오르간 또는 하프시코드 같은 소정 건반악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키센서는 검출된 키속도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패턴 셔터대신에 광도를 점차 변화시키는 그레이 스케일을 가질수 있으며 키센서는 전기스위칭 어레이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회전운동과 수직직선운동을 통하여 폐색상태와 자유상태 사이에서 스토퍼를 전환시킨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는 수평 직선운동을 통하여 폐색상태와 자유상태 사이에서 스토퍼를 전환시킬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는 기계음 발생 모드 및 전자음 발생모드 뿐만 아니라 레코딩 모드 또는 재생모드만을 가질 수 있다. 제4실시예의 가동조절버튼은 연습생들이 소리 없이 키조작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피아노레 이용할 수 있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ertain keyboard instruments such as organs or harpsichords. The key sensor can also have a gray scale that gradually changes the brightness instead of the pattern shutt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detected key speed and the key sensor can be met by an electrical switching arra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witch the stopper between the occlusion state and the free state through the rotational motion and the vertical linear motion. However, other embodiments may switch the stopper between the closed and free states through a horizontal linear motio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ly a recording mode or a reproduction mode as well as a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and an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The movable control button of the fourth embodiment can be used because the trainees want to operate keys without sound.

Claims (5)

고정 건반부재(1f;14)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으며 기계음 발생모드 및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러지는 다수의 키(1g;13)를 갖는 간반(1a), 상기 다수의 키와 각각 결합되어 연주자가 누를 때 다수의 키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다수의 키작용기구(1b;11a;200), 각각의 햄머(lo;134)와 상기 햄머와 각기 결합되어 연주자가 다수의 키를 선택적으로 누를 때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햄머생크(ln:133)를 가지고 상기 다수의 키작용기구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햄머기구(1c;11b;201) 및, 상기 다수의 햄머기구와 연결되어 연주자가 다수의 키를 선택적으로 누를 때 기계음 발생모드에서 햄머에 의해 타격되는 다수의 피아노선(1d;11c;202)을 구비하는 음향피아노(1;11)와;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연주자에 의해 키가 눌러지는 것을 알 수 있도록 다수의 키를 감시하며 연주자에 의해 눌러진 키에 따라서 전자음을 발생하도록 작동하는 전자음 발생수단(3) 및; 햄머생크와, 다수의 현 사이에 위치하는 스토퍼(2c,20;12a;204a;214a;304)와, 연주자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스토퍼가 자유상태와 폐색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구동하는 구동장치(2a,2b, 30)를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의 상태가 자유상태일 때는 상기 햄머가 스토퍼의 방해를 받지 않고 현을 자유로이 타격하도록 하고, 상기 스토퍼의 상태가 폐색상태일 때는 상기 햄머생크가 스토퍼와 접촉되어 상기 햄머가 다수의 현을 타격하기 전에 폐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2,12,204)를 포함하는 기계을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에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14a, 304)는 이동식 지지 기구(21b, 304a), 상기 햄머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이동식지지 기구에 부착되는 다단 쿠션 부재와, 작동 기구(30a/30b/30c/30d/28/29/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선의 기계적 진동 없이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Kanban 1a, which has a plurality of keys 1g; 13 which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key member 1f; 14 and which are selectively pressed by the user in the machine sound generating mode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each of the plurality of keys and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keying mechanisms (1b; 11a; 200), each of the hammers (lo; 134) and the hammer, respectively, which are selectively operated by a plurality of keys when the player presses the player to select a plurality of keys. A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1c; 11b; 201) each having a hammer shank (ln: 133) driven to rotate when pressed with the plurality of keying mechanisms; and a plurality of player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ammer mechanisms. An acoustic piano (1; 11) having a plurality of piano wires (1d; 11c; 202) hit by the hammer in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when a key of the key is selectively pressed;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eans (3)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keys so as to know that the key is pressed by the player in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and operative to generate electronic sounds according to the key pressed by the player; And a stopper (2c, 20; 12a; 204a; 214a; 304) positioned between the hammer shank, the plurality of strings, and the stopper for switching between the free state and the closed state in response to a player's instruction Drive devices 2a, 2b and 30 are provided so that the hammer freely hits the string without being interrupted by the stopper when the stopper is free, and the hammer shank when the stopper is closed. In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or selectively starting a machine in a generating mode and an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wherein the machine comprises control means (2, 12, 204) in contact with the stopper to control the hammer to be blocked before striking the plurality of strings. , 304 is a movable support mechanism (21b, 304a), a multi-stage cushion member attached to the movable support mechanism to absorb the impact of the hammer, and the operating mechanism (30a / 30b / 30c / 30d / 28 / 29/31) Contains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electively, starting with the electronic tone generating mode and a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without mechanical vibra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ano wire 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쿠션 부재는 탄성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쿠션부재(214c/214d/214e, 304c/304d/304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선의 기계적 진동 없이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ulti-stage cush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214c / 214d / 214e, 304c / 304d / 304e) of different elasticity, mechanical sound generation mode and electronic sound generation without mechanical vibration of the piano wire Keyboard instrument to start mode sel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지지 기구는 그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축부재(214b, 304a)와, 상기 축부재의 외측 표면에 결합되는 브라켓 수단(30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선의 기계적 진동 없이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2. The piano suppor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able support mechanism includes shaft members (214b, 304a) rotatable about a central axis thereof, and bracket means (304b)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haft member. Keyboard instrument that selectively starts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without mechanical vib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쿠션 부재(304c/304d)는, 상기 다단 쿠션부재의 햄머와 접촉하는 지점으로부터 가까운 상층에서, 햄머와 접촉하는 타격점으로부터 상기 상층보다 먼 하층으로 갈수록, 각 모듈의 탄성의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선의 기계적 진동 없이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 모드를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The module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304c / 304d is closer to the lower layer farther than the upper layer from the hitting point of contact with the hammer at the upper layer near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hammer of the multi-stage cushion membe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or selectively starting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without mechanical vibration of the piano wi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increase the elasticity of the.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지지 부재는, 그 중심축을 둘레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다단 쿠션 부재의 반대 측 위에서 상기 이동식지지 부재의 다른 표면에 부착되는 쿠션 시트(2m/2n/2o)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선의 기계적 진동 없이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The cushion seat (2m / 2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able support member is rotatable about its central axis, and the stopper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ovable support member on an opposite side of the multistage cushion member. / 2o)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or selectively starting the mechanical sound generating mode and the electronic sound generating mode without mechanical vibration of the piano wire further comprising.
KR1019980006662A 1992-07-10 1998-02-28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 KR015526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735292A JP3203784B2 (en) 1992-07-10 1992-07-10 Keyboard instrument
JP92-207352 1992-07-10
JP29923492 1992-10-12
JP92-299234 1992-10-12
JP5031420A JP2737590B2 (en) 1992-10-12 1993-01-27 Keyboard instrument
JP93-31420 1993-01-27
KR1019930013003A KR0155174B1 (en) 1992-07-10 1993-07-10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s on music wir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003A Division KR0155174B1 (en) 1992-07-10 1993-07-10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s on music wi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5260B1 true KR0155260B1 (en) 1999-10-01

Family

ID=272873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003A KR0155174B1 (en) 1992-07-10 1993-07-10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s on music wires
KR1019980006662A KR0155260B1 (en) 1992-07-10 1998-02-28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003A KR0155174B1 (en) 1992-07-10 1993-07-10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s on music wir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01551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107B1 (en) 2008-09-26 2011-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dryer having fragrance supplying module
KR102178243B1 (en) 2018-12-06 2020-11-12 주식회사 팀솔루션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hierarchy of 3d cad mo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5174B1 (en) 1998-12-15
KR940006072A (en) 1994-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4775A (en)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s on music wires
US5602351A (en) Grand piano-like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acoustic sound and synthesized sound
KR0132545B1 (en) Keyboard instrument selectively entering into acoustic sound mode and silent mode through angular motion of key bed structure
US5565636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driving unit for hammer stopper located in wide space in front of hammer assemblies
JPH0659667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KR0136946B1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variable contact point between jack and regulating button
US5463184A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a catcher stopper for silent operation on keyboard
US5444181A (en) Keyboard instrument selectively entering into an acoustic sound mode and an electronic sound mode through a rotation of a stopper with a cushion sheet against damper wires
US5434349A (en) Keyboard instrument selectively entering into an acoustic mode and a silent mode through a sliding motion of a stopper
US5608175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regulable regulating buttons linked with hammer stopper
US5483861A (en) Keyboard instrument equipped with durable hammer stopper for selectively producing acoustic sounds and synthesized sounds
JPH06102861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KR0155260B1 (en)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
JP2001005458A (en) Keyboard instrument
JP3448948B2 (en) Keyboard instrument and its silencer
JP2001005447A (en) Keyboard instrument
JPH0887269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JP3438741B2 (en) Keyboard instrument
JP3412288B2 (en) A keyboard instrument having a durable hammer stopper and selectively generating an acoustic sound and an electronic sound
JP3598571B2 (en) Keyboard instrument
JP3412235B2 (en) Keyboard instrument
JPH0734476U (en) Keyboard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