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188B1 -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elephone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188B1
KR0151188B1 KR1019940031513A KR19940031513A KR0151188B1 KR 0151188 B1 KR0151188 B1 KR 0151188B1 KR 1019940031513 A KR1019940031513 A KR 1019940031513A KR 19940031513 A KR19940031513 A KR 19940031513A KR 0151188 B1 KR0151188 B1 KR 0151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telephone
input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20299A (en
Inventor
김석진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1019940031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1188B1/en
Publication of KR96002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2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1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은 원격제어하고자 하는 각 기기의 무선제어를 실행하여 설치의 간소화를 실현하고 각 기기를 제어하는 별도의 부가 제어장치를 제거함으로서 전체 제어시스템의 구조 간소화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전화기측에 포함되며, 국선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복수의 기기제어를 위한 외부 통화자 음성신호에 의거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기기의 각종기기의 현재 동작상태에 대한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국선라인을 통해 통화자에게 그에 상응하는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과, 이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 부터의 무선 전파신호를 수신하여 해당기기가 상응하는 기능으로 작동되도록 그에 따른 제어출력을 제공하고, 해당기기의 작동 중에 그 작동상태를 감지한 다음, 제어신호 발생수단에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무선 전파하여 전달하는 기기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Th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wireless control of each device to be remotely controlled to realize the simplification of the installa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entire control system by removing the additional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each device. To this end, it is included in the phone sid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or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various devices of the device to be controlled based on the external caller voice signal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devices input through the trunk lin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voice signal to the caller through the trunk line, and receiving a radio wave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so as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device so as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And detect the operation statu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and then generate the control signal. It is provided with a device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by radio a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to the stage.

Description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using telephone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tele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원격 제어시스템에 포함되는 전화기측에 대한 블록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telephone side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원격 제어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측에 대한 블록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the device side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제4도는 종래의 전형적인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onventional telephon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전화기측 110 : 입출력부100: phone side 110: input and output unit

118 : 메모리 120, 220 : 제어부118: memory 120, 220: control unit

122, 224 : 마이컴 124 : 키패드122, 224: Micom 124: keypad

226 : 출력제어부 126, 228 : 출력증폭부226: output control unit 126, 228: output amplifier

128, 222 : 수신증폭부 130 : 음성합성부128, 222: reception amplifier 130: voice synthesis unit

140, 210 : 송수신부 142, 214 : 발광 다이오드140, 210: transceiver 142, 214: light emitting diode

144, 212 : 수광 다이오드 200 : 가전기기측144, 212: light-receiving diode 200: home appliance side

본 발명은 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전기기 또는 사무용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또는 전화기기로 이루어지는 기기를 전화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or office equipment using a telephon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nic or telephone apparatus using a telephone.

요즈음의 모든 가정 또는 업무를 위한 사무실 등에는 급속한 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전화기와 각종 전자, 전기기기(예를 들면, 가정의 경우 TV, VCR, 오디오, 전자렌지, 냉장고 : 사무실의 경우 PC, 팩시밀리, 복사기 등)들이 거의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all homes and offices for work are equipped with telephones, various electronics, and electric devices (e.g., TVs, VCRs, audio, microwaves, refrigerators in homes: PCs, facsimiles in offices, etc.) due to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 Copiers, etc.) are almost prevalent.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가전기기 또는 사무용기기들은 사용자들의 보다 나은 사용상의 편리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경향에 부합할 수 있도록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대부분 원격 제어장치(일명 리모콘이라함)가 개발되어 현재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home appliances or office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are mostly developed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eet the trend of seeking a better user convenience, the remote control device (called a remote control) has been developed I am currently using it.

그러나, 리모콘은 그 기술적인 특성상 근접한 원격지(통상적으로 20m 이내)에서만 해당기기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들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더 나은 사용상의 편리함을 추구, 예를 들면 외부에서 전화기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부재시에도 소망하는 기기들을 원하는 바대로 제어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을 추구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사용자들의 필요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최근 들어 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전기기 또는 사무용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장치들이 속속 개발되어 각종 기기에 채용되고 있다.However, the remote control can remotely control the device only in close proximity (usually within 20m) due to its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us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remote control and seek better convenience, for example, by using a telephone or the like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se users, in recent years, devices that remotely control home appliances or office equipment have been developed one after another. It is adopted in various apparatuses.

상기한 바와 같이, 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전기기 또는 사무용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시스템의 일예로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 있다. 여기에는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예로서 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정용기기를 원격제어하는 시스템이라고 가정한다.As described above, an example of a remote control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ppliances or office equipment by using a telephone is one having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Here,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assumed that a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using a telephone as an example.

즉,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형적인 원격 제어시스템은 인터페이스 라인(7)을 통해 전화기(1)에 별도로 구비되는 제어장치(2)가 연결되고, 이러한 제어장치(2)는 각각의 제어라인(8)을 통해 여러대의 가전기기, 즉 냉장고(3), TV(4), 전구(5) 및 각종 기기류(6)에 상호 연결된다.That is, as shown in the same figure,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system in the related art is connected to a control device 2 provided separately in the telephone 1 via an interface line 7, and this control device 2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trol line 8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that is, the refrigerator 3, the TV 4, the light bulb 5 and the various devices (6).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전화기를 통해 어떤 기기를 제어하고자하여 원격제어를 위한 전화를 걸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연결구조를 통해 제어장치(2)는 전화기(1) 및 인터페이스 라인(7)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원격신호에 응답하여 각 제어라인(8)을 통해 해당기기의 전원제어 또는 기타 필요한 기능제어를 수행하게 된다.Therefore, when a user makes a phone call for remote control to control a device through a phone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device 2 connects to the phone 1 and the interface line 7 through the connec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 response to a remot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e power line control or other necessary function control of the corresponding device is performed through each control line 8.

또한,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어장치(2)는 각각의 제어라인(8)을 통해 해당기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 다음 인터페이스 라인(7)과 전화기(1)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측에 상태 감지신호, 예를 들면 냉장고(3)의 경우 냉장중 또는 냉동중 증의 상태신호를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inform the external user of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to be controlled, the control device 2 detects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through each control line 8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Next, via the interface line 7 and the telephone 1, a state detection signal, for example, a refrigerator 3, in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3,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user side.

이때, 해당기기의 이러한 동작상태에 의한 외부로의 신호전달을 위해서는 각 기기에 반드시 별도의 현재 상태신호용 신호처리부가 부가되어야만 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outside by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 separate signal processing unit for the current state signal must be added to each devic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원격 제어시스템은 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별도의 제어장치(2)를 구비해야 하고, 또한 이의 유선연결을 위해 별도의 유선라인을 각각 설치해야만 하므로, 설치상의 문제점으로 실현이 곤란(번잡)할 뿐만 아니라 설혹 이러한 번잡함을 수용하고 설치하더라도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어 현실적으로 실용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However,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 system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ontrol device (2)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device, and also to install a separate wired line for its wired conne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it is not only difficult to realize (complex) due to installation problems,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impairs aesthetics even if it accommodates and installs such troublesomenes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원격제어하고자 하는 각 기기의 무선제어를 실행하여 시스템의 설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는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telephone capable of realizing installation simplification by executing wireless control of each device to be remotely controll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제어하고자 하는 각 기기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장치를 제거함으로서 전체 제어시스템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telephone that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entire control system by removing a separa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each device to be remotely control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tele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 제어시스템은 전화기측(100)과 제어의 대상이 되는 기기측(200)으로 구분되며, 큰 관점에서 볼 때, 전화기측(100)은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음성합성부(130) 및 송수신부(140)를 포함하고, 기기측(200)은 송수신부(210)와 제어부(2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emot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he telephone side 100 and the device side 200 to be controlled, and from a large point of view, the telephone side 100 has an input / output unit ( 110, a controller 120, a voice synthesizer 130, and a transceiver 140, and the device side 200 includes a transceiver 210 and a controller 220.

제1도에 있어서, 전화기측(100)에 포함되는 입출력부(110)는 국선라인을 통해 송수신되는 외부 전화기의 링신호 및 외부 통화자의 음성신호 등을 인터페이스하여 동도면에 생략된 제어부(120)내의 마이컴에 전달하고, 또한 전화통화를 위한 링신호와 전화통화시의 변조된 음성신호를 국선라인을 통해 외부 전화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FIG. 1, the input / output unit 110 included in the telephone side 100 interfaces the ring signal of an external telephone and a voice signal of an external caller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trunk line, and the control unit 120 omitted in the same drawing. It delivers to the microcomputer in the inside, and also transmits the ring signal for the telephone call and the modulated voice signal during the telephone call to the external telephone through the trunk line.

한편, 제어부(120)는 동도면에서의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실질적으로 기존의 전화기에 내장된 마이컴, 변복조수단 및 증폭수단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라 외부 전화기에서 입력되는 기기, 즉 가전기기 또는 사무용기기(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가전기기라 가정함)의 제어를 위한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그에 따른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20 is omitted from the detailed illustration in the same drawing, but is substantially made of a microcomputer, 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means and amplification means, etc. built in the existing telephone, the device input from the external telephone, that is,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a voice signal for controlling an office device (assuming an example of a home appliance in this embodiment) is demodulated to generate various control signals accordingly.

그 뿐만 아니라, 상기한 제어부(120)는 본 발명에 따라 제어되는 해당 가전기기의 현재 작동상태에 대한 응답신호를 해당 기기측으로부터 제공받아 변조된 음성신호로서 상기한 입출력부(110)를 통해 외부통화자에게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a response signal for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corresponding device side through the input and output unit 110 as a modulated voice signal Provide to the caller.

다른 한편, 송수신부(140)는 상기한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무선신호, 바람직하게는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하는 적외선신호를 무선으로 전파하고, 또한 제어대상인 해당 가전기기로부터 무선 전파되는 해당 가전기기의 현재 동작상태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한 제어부(120)에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ceiver 140 is a ra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20, preferably the radio signal propagated by the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wirelessly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a response signal for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that is wirelessly propagated from the home appliance that is the control target and transmits the respons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20.

그리고 음성합성부(130)는 상기한 송수신부(140)를 통해 원격제어되는 해당 가전기기의 현재 동작상태에 대한 응답신호에 상응하는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생성되는 음성신호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입출력부(110)를 통해 외부통화자에게 전달된다.The voice synthesizer 130 generates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a response signal of a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remotely controlled by the transceiver 140, and the voice signal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the call to the external caller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10.

한편, 각 가전기기(200)측에 포함되는 송수신부(210)는 상술한 전화기측(100)의 송수신부(140)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20)에 전달하고, 또한 현재 원격제어되는 해당 가전기기의 현재 동작상태에 대한 변조된 응답신호를 적외선 신호로서 상술한 전화기측(100)의 송수신부(140)로 송출한다.Meanwhile, the transceiver 210 included in each home appliance 200 side receives the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ceiver 140 of the phone side 100 and transmits the infrared signal to the controller 220, and is currently remote. The modulated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to be controlled is transmitted as the infrared signal to the transceiver 140 of the telephone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다른 한편, 제어부(220)는 제1도에서의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실질적으로 기존의 가전기기에 내장된 마이컴, 변복조수단 및 증폭수단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라 전화기측(100)에서 입력되는 기기 제어를 위한 변조된 제어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그에 따른 각종 제어신호를 해당 가전기기에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20 is omitted from the detailed illustration in FIG. 1, but consists essentially of a microcomputer, 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means and amplification means, etc. built in existing home appliances, input from the phone side 1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Demodulated modulated control signal for the control of the device to the original signal and transmits the various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s.

그 뿐만 아니라, 상기한 제어부(220)는 외부 통화자가 제어되는 해당기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되는 해당 가전기기의 현재 작동상태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한 송수신부(210)를 통해 적외선신호로서 전화기측(100)에 송출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20 transmits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for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led in order to enable the external caller to recognize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led device. Through the infrared signal sent to the phone side 100.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부재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과정에 대하여 그 세부적인 불록구성을 보여주는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membe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showing the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여기에서, 제2도는 전화기측(100)에 대한 세부적인 블록구성도를 나타내고, 제3도는 기기측(200)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를 나타낸다.Here, FIG. 2 show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phone side 100, and FIG. 3 show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device side 200. As shown in FIG.

먼저, 사용자가 외부에서 자신의 가정에 구비된 소망하는 가전기기, 예를 들면 냉장고나 VCR 등의 가전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해 전화통화를 시도하여, 국선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링신호가 해당 가정에 구비된 전화기측(100)의 입출력부(110)를 경유하여 마이컴(220)에 입력되면, 마이컴(122)은 도시 생략된 전화기의 후크스위치를 온 시켜 전화기를 통화가능 상태로 절환한다.First, the user attempts to make a telephone call to remotely control a desired home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or a VCR, provided in his / her home from the outside, and a ring signal input through the trunk line is applied to the home. When inputted to the microcomputer 220 via the input / output unit 110 of the provided phone side 100, the microcomputer 122 switches the telephone to the available state by turning on the hook switch of the telephone (not shown).

이와 같은 상황에서 외부 전화기로부터 외부 통화자의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변조된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마이컴(122)은 이 원격제어를 위한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그 지령내용을 파악한 다음 그에 상응하는 해당 가전기기용 제어신호를 발생한다.In such a situation, when a modulated voice signal for controlling an external caller's home appliance is input from an external telephone, the microcomputer 122 demodulates the voice signal for remote control to determine the command contents and then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Generate a control signal.

이때, 외부에서 전화를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원격제어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미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사용자가 미리 정하여 해당 전화기에 입력시켜 둔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초기의 원격 제어세팅이 이루어지며, 비밀번호가 다를 경우에는 어떠한 기기의 제어도 수행될 수 없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using a telephone from the outside, as is well known in the art, the initial remote control setting is made based on the password that the user inputs in advance to the corresponding telephone. If the password is different, no device control can be performed.

따라서, 상기한 마이컴(122)으로부터 출력되는 기기 제어용 제어신호는 출력증폭부(126)를 통해 소정 레벨로 증폭되며, 이와 같이 증폭된 제어신호가 발광 다이오드(142)에 인가됨으로서, 발광 다이오드(142)에서 해당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신호가 송출된다.Therefore,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evice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122 is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level through the output amplifier 126, and the amplified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142, thereby emitting a light emitting diode 142. Infrared signal is transmit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다음에, 상기와 같이 전화기측(100)의 발광 다이오드(142)에서 송출되는 적외선신호는 각 가전기기에 내장된 가전기기측(200)의 수광 다이오드(212)에 의해 수신되어 수신증폭부(222)를 통해 적정레벨로 증폭된 다음 마이컴(224)에 입력된다.Next, as described above, the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142 of the telephone side 100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diode 212 of the home appliance side 200 embedded in each home appliance and receives the receiving amplifier 222. Amplified to the appropriate level through the () is input to the microcomputer 224.

따라서, 마이컴(224)이 입력되는 수신 적외선신호를 복조하여 그 지령내용을 파악한 다음 그 지령에 의거하여 해당 가전기기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서 해당 가전기기는 외부 통화자가 소망하는 바대로 작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microcomputer 224 demodulates the received infrared signal and grasps the instruction content, and then outpu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command so that the home appliance operates as desired by the external caller. do.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기를 이용한 외부로부터의 원격제어에 의해 해당 가전기기가 통화자가 원하는 바대로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inform whether or not the home appliance operates as desired by the caller by remote control from the outside using the telephone.

따라서, 마이컴(224)은 원격제어에 따라 작동하는 해당 가전기기로부터 현재의 동작상태에 대한 상태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신호처리 과정을 거친 다음 출력제어부(226)에 전달한다.Accordingly, the microcomputer 224 receives the state detection signal for the current operation state from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operating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passes the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and then transfers the signal to the output control unit 226.

여기에서, 출력제어부(226)는 가전기기의 제어시스템의 동작상태에 대한 전화기측(100)으로의 각종 데이터 출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출력제어부(226)를 통해 출력되는 해당기기의 동작상태 감지신호, 즉 응답신호는 출력증폭부(228)에 의해 소정 레벨로 증폭된 다음 발광 다이오드(214)를 통해 적외선신호로서 송출된다.Here, the output control unit 226 controls the output of various data to the phone side 100 f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home appliance, the operation state detec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output through the output control unit 226 The signal, that is, the response signal, is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level by the output amplifier 228 and then sent out as an infrared signal through the light emitting diode 214.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전기기측(200)의 발광 다이오드(214)에서 송출되는 적외선신호는 전술한 전화기측(100)의 수광 다이오드(144)에 의해 수신되어 수신증폭부(128)를 통해 소정레벨로 증폭되며, 이 증폭된 응답신호는 메모리(118)에 저장됨과 동시에 마이컴(122)에 입력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214 of the home appliance side 200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diode 144 of the telephone side 100 described above and is predetermined through the receiving amplifier 128. Amplified to a level, the amplified response signal is stored in the memory 118 and input to the microcomputer 122.

여기에서, 메모리(118)는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수신증폭부(128)를 통해 입력되는 해당 가전기기의 현재의 동작 상태신호, 즉 응답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이 저장된 응답신호를 마이컴(122)에 제공한다.Here, the memory 118 is a nonvolatile memory for storing the current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that is, the response signal, which is input through the reception amplifier 128, and the microcomputer stores the stored response signal as necessary. Provided at 122.

한편, 마이컴(1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기기의 응답신호가 입력되면 해당기기의 동작상태를 분석한 다음 음성합성부(130)를 통해 그에 상응하는 음성신호를 생성하며, 이 생성된 음성신호가 입출력부(110)를 경유하여 국선을 통해 외부 전화기로 전달되므로서 외부통화자는 자신이 원하는 바대로 소망하는 가전기기가 동작되는지를 알 수가 있게 된다.Meanwhile, when the respons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device is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microcomputer 122 analyz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nd then generates a corresponding voice signal through the voice synthesizer 130, and generates the generated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lephone via the CO line via the input and output unit 110, the external caller can know whether the desired home appliances are operating as desired.

그리고 제2도에서의 미설명번호 124는 전화기의 다이얼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화기에 장착되는 통상의 키패드를 나타낸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124 in FIG. 2 denotes a conventional keypad mounted to the telephone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dialing of the telephon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은, 전화기측의 적외선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소망하는 기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장치에서와 같이 별도의 제어장치를 구비하거나 또는 전화기와 각 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유선의 제어라인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전체 시스템의 간소화가 도모될 뿐만 아니라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그 미관이 수려한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tely control a desired device wirelessly by using the infrared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on the telephone side,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ntrol apparatus as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or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wired control line for connecting a telephone and each device, which not only simplifies the entire system but also can be easily installed and has a beautiful appearance.

Claims (7)

전화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측에 포함되며, 국선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기기제어를 위한 외부 통화자 음성신호에 의거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기기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전파신호를 발생하고, 그 작동이 제어되는 상기 해당기기의 현재의 동작상태에 대한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국선라인을 통해 상기 통화자에게 그에 상응하는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의 무선 전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해당기기가 상응하는 기능으로 작동되도록 그에 따른 제어출력을 제공하고, 상기 해당기기의 작동 중에 그 작동상태를 감지한 다음,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에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무선 전파하여 전달하는 기기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A remote control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devices by using a telephone, the remote control system being included in the telephone side and corresponding to be controlled based on an external caller voice signal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evices input through a trunk line. Generates a radio wave signal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of the device, and transmits a corresponding voice signal to the caller through the trunk line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to which the operation is controlled.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for transmitting; Receiving a radio wave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to provide a control outpu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evice to operate with a corresponding function, detect the operation stat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nd then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telephone consisting of a device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and transmitting the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radi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기는 가전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Th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tele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devices are home applian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기는 사무용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Th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tele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devices are office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파신호는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발생되는 적외선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io wave signal is an infrared signal generated by a light emitting diode.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국선라인을 통해 송수신되는 외부 전화기의 링신호 및 외부통화자의 음성신호 등을 인터페이스하고, 전화통화를 위한 링신호와 전화통화시의 변조된 음성신호를 상기 국선라인을 통해 전달하는 입출력수단; 상기 전화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외부 전화기에서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기기 제어를 위한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그에 따른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해당기기의 현재 작동상태에 대한 응답신호를 변조된 음성신호로서 절환하여 상기 입출력수단에 제공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으로 부터의 상기 해당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한 다음, 상응하는 무선신호로서 전파하는 제어신호 출력수단; 상기 기기제어수단으로 부터 송출되는 상기 해당기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상기 무선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소정레벨로 증폭한 다음, 상기 마이컴에 제공하는 입력수단; 및 상기 응답신호가 상기 마이컴에 입력될 때의 상기 마이컴으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응답신호에 상응하는 합성음을 제공하는 음성합성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interfaces with a ring signal of an external telephone and a voice signal of an external cal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trunk line, and a ring signal for a telephone call. Input / output means for transmitting a modulated voice signal during a telephone call through the trunk line;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 of the phone, demodulates the voice signals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evices input from the external phone, generates various control signals accordingly, and modulates the response signal for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 microcomputer switching to a signal and providing the input / output means to the input / output means; Control signal output means for amplify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device from the micom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then propagating as a corresponding radio signal; Input means for receiving the radio response signal f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transmitted from the device control means, amplifying the radio response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providing the result to the microcomputer; And voice synthesizing means for providing a synthesized sound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signal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micom when the response signal is input to the mico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수신되는 응답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수단은 이 저장된 응답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마이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6. The telephone se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said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further comprises memory means for storing said received response signal, said memory means providing data for said stored response signal to said microcomputer. Remote control system using.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제어수단은,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무선전파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소정레벨로 증폭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원신호로 복조하여 그 지령내용을 판단한 다음, 그에 상응하는 제어출력을 상기 해당기기에 제공하고, 상기 해당기기의 현재 동작상태에 대한 상기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응답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한 다음, 상응하는 무선신호로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 전파하는 제어신호 출력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5. The apparatus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device control means comprises: input means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radio propagated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and amplifying the control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is demodulated to the original signal to determine the instruction content, and then the corresponding control output is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device, and the detection signal for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is detected. Micom; Remote control using a telephone comprising a control signal output means for amplifying the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then propagating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as a corresponding radio signal. system.
KR1019940031513A 1994-11-28 1994-11-28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elephone KR01511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513A KR0151188B1 (en) 1994-11-28 1994-11-28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513A KR0151188B1 (en) 1994-11-28 1994-11-28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99A KR960020299A (en) 1996-06-17
KR0151188B1 true KR0151188B1 (en) 1998-11-02

Family

ID=1939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513A KR0151188B1 (en) 1994-11-28 1994-11-28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11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305A (en) * 1997-10-29 1999-05-15 윤종용 How to control home appliances using remote control in home autom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99A (en)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3598B2 (en) Remote control of a speaker phone device as a standalone device or as part of a security system
US5963624A (en) Digital cordless telephone with remote control feature
KR101037397B1 (en) Digital device controlling system by utilizing smartphone
EP1269444A1 (en) Remote control interface for converting radio remote control signals into infrared remote control signals
JP2000184471A (en) Home automation system
JP2003078977A (en) Mobile phone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KR100247676B1 (en) Automatic channel selection system for a cordless telephone
JPH11284757A (e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portable telephone
KR100426729B1 (en) Voice Recognition Home-Automation System
KR0151188B1 (e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elephone
KR100510122B1 (en) Voice Recognition Home Autom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Home Appliance Using the Same
KR101136875B1 (en)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Alarming Fun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with Home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03786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nified remote
KR100296507B1 (en) A memorized controlling device of infrared signal and its controlling method for the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the controlling
KR20060084546A (en) Remote voice control system
KR200320218Y1 (en) Cordless phone combined with remote controller
KR19990076066A (en) Wireless input / output device for voice recognition computer
KR200169045Y1 (en) A memorized controlling device of infrared signal to use the television
JP2001245364A (en) Communication unit
KR200163315Y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with situation detectable function
JPH04252551A (en) Equipment control system
JP2001275171A (en) Remote control system
KR200325714Y1 (en) Multi-function mobile phone
KR20000017559U (en) A search device of remote controller with multi-function using voice of user
KR20040026760A (en) Mobile Phone with Integrated Remote Control Function for Household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