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703B1 - Circuit for converting voice communication mode in apparatus of receiving/transmitting voice and dat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ircuit for converting voice communication mode in apparatus of receiving/transmitting voice and dat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703B1
KR0149703B1 KR1019940016848A KR19940016848A KR0149703B1 KR 0149703 B1 KR0149703 B1 KR 0149703B1 KR 1019940016848 A KR1019940016848 A KR 1019940016848A KR 19940016848 A KR19940016848 A KR 19940016848A KR 0149703 B1 KR0149703 B1 KR 0149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voice call
data
mode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8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06556A (en
Inventor
김익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16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703B1/en
Publication of KR96000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5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70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47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the apparatus
    • H04N1/32752Manual connection of one of the apparatus other than by putting a telephone off-hoo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8Output means providing an audible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9Output mean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to the user, e.g. using a la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음성 및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음성 수신 모드로의 절환 방법은 호출측의 링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수신 모드로 진행하고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화라인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송신 시작키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특정톤이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톤이 수신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통화 요구키인가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톤이 상기 통화 요구키이면 상기 프로토콜 메세지의 송출을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사운드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오프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상기 시스템을 세트하며, 음성 통화회로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온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자동 수신 대기모드로 다시 천이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한다. 그럼에 의해 데이터 통신의 초기 진행중에도 음성 통화의 달성이 수행되어진다.A method for switching to a voice reception mode of an apparatu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the method comprising: proceeding to a data reception mode in response to a ring signal of a caller and sending a protocol message over a telephone line; Checking whether a specific tone is received from the caller if the transmission start key is not received from the call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alyzing a predetermined call request key if the specific tone is received; If the specific tone is the call request key, stopping transmission of the protocol message and transmitting a sound informing the user of the call request; Setting the system from the data reception mode to a voice call mode in response to a hook off state of the telephone, and forming a voice call circuit; Transitioning back to the automatic data receiving standby mode in response to a hook on state of the telephone. Thus, the achievement of the voice call is performed even during the initial progress of data communication.

Description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의 음성 통화 모드 절환 회로 및 그 제어 방법Voice call mode switching circuit of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of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 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플로우 챠트.2 is a flowchart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for switching to a voice cal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음성 통화 모드 절환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출측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call mode switching circuit of a voice and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for switching from a data receiving mode to a voice call mode according to a caller's reques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전화기를 가지는 팩시밀리 시스템 등과 같은 음성 및 데이터 송 수신장치는 미리 설정된 모드의 지정에 의해 음성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장치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신하는 모드로 세트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외부의 호출자가 상기 장치의 사용자와 음성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다이알링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의 장치가 자유로운 상태에서 씨엔지(CNG)톤 등과 같은 특정한 프로토콜 메세지만 들을 수 있고 사용자 즉, 피호출자의 음성을 듣지 못한다. 결국, 상대방의 팩시밀리 전화번호만 인지하고 있는 호출자는 피호출자의 장치가 상기와 같은 자동 수신 모드인 상태에서는 아무리 애를 써도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장치의 사용자 대부분은 팩시밀리 전화는 데이터 송수신 전용으로 사용하고, 별도의 음성통화 전용 전화기를 추가로 구비해 두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a voice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such as a facsimile system having a telephone selectively performs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voice or data by designating a preset mode. Such a device is typically set to a mode in which data is automatically received by a user's designation. Thus, in this case, when an external caller dials to perform a voice call with a user of the device, the user's device can freely listen to a specific protocol message such as CNG tone and the like. It does not hear the user's voice. As a result, the caller who recognizes only the other party's facsimile telephone number cannot make a voice call no matter how hard the callee's device is in the automatic receiving mode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most users of the device use a facsimile phone only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dditionally have a separate voice call dedicated phone.

일반 가정에서는 통상적으로 전화기 1대와 팩시밀리 1대를 설치해두고, 평상시에는 전화통화모드로 지정하여 사용하는데, 이 경우에는 호출자가 팩시밀리 원고를 피호출측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일단 전화모드에서 음성통화를 한 다음 피호출자에게 팩시밀리 원고를 보내겠다는 의사를 표시한다. 그러면, 피호출자는 팩시밀리 시스템의 외부판넬에 부착되어 있는 딥 스위치등과 같은 모드 절환 스위치를 작동시켜 데이터 수신모드로 상기 장치를 절환한다. 이러한 음성 및 데이터의 송 수신장치는 상기의 호출자 및 피호출자 모두를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별도의 전화기를 음성 전용으로 설치하는 것은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In general households, one telephone and one facsimile machine are usually installed, and the telephone call mode is normally used. In this case, in order to send the facsimile manuscript to the called party, the caller must first make a voice call in the telephone mode. Indicate that the caller is willing to send the facsimile manuscript. The called party then switches the device to the data receiving mode by operating a mode switching switch such as a dip switch attached to an external panel of the facsimile system. This 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voice and data has a problem that both the caller and the called party are troublesome.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telephone for voice only i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economic burden on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및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장치가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음성 수신 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and a control method for switching a voice and data transceiver from a data reception mode to a voice reception mode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disadvantag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장치가 자동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드로 지정되어 있을 시에도 외부 호출자와의 음성 통화를 달성할 수 있는 음성 수신 모드로 절환하는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and a control method for switching to a voice receiving mode that can achieve a voice call with an external caller even when the voice and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is designated as a mod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data. In providing.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장치가 호출측으로부터 음성통화 요구에 따라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and a control method for a voice and data transceiver for switching from a data reception mode to a voice call mode in response to a voice call request from a caller.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장치가 호출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통화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절환하여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는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it and a control method for forming a voice call path by switching from a data receiving mode to a voice call mode in response to a voice call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a caller. .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견지에 따르면, 호출자가 다이알링을 수행한후 피호출측으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특정 음이 들리면, 미리 설정된 통화 요구키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피호출측의 장치는 상기 통화 요구키에 응답하여 데이터 수신모드에서 음성 수신모드로 전환하고, 피호출자에게 음성 통화 요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경보 또는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호출자는 전화기를 훅크 오프하여 호출자와 통화를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se objects, if a caller hears a specific tone us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rom the called party after performing a dialing, the user presses a preset call request key. Then, the called party device switches from the data receiving mode to the voice receiving mode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key, and alerts or displays a message informing the called party that a voice call request has occurred. Accordingly, the called party hooks off the telephone to talk to the caller.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음성 및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송수힌하기 위한 장치에서 음성 수신 모드로의 절환 방법은 호출측의 링 신호에 의해 데이터 수신 대기 모드에서 데이터 수신 모드로 천이하고 음성 통화를 요구하는 키가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제공되는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통화를 요구하는 키가 제공되면 음성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메세지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장치의 훅크 오프에 응답하여 음성 통화 모드로 천이하고 음성 통화로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 method for switching from voice reception mode to voice reception mode in a device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voice and data is a key for transitioning from a data reception standby mode to a data reception mode and requiring a voice call by a ring signal of a caller. Checking whether is provided from the caller; Transmitting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voice call is requested when the key for requesting the voice call is provided; At least in response to a hook off of the device, transitioning to a voice call mode and forming a voice call path.

또한, 전화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통화 전류를 음성 통화경로로 출력하고,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화 전류를 데이터 통화경로로 절환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를 통하여 상기 전화라인과 접속된 전화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 상기 제1릴레이를 통하여 상기 전화라인과 접속되며, 상기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인터페이싱 및 변·복조를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데이터 자동 수신 대기모드에서 음성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회로는 상기 전화기와 상기 제1릴레이간에 평행접속되어 링 신호 및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오프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과; 상기 제1릴레이의 절환에 의해 상기 데이터 통화 경로가 형성될시 인가되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기에 통화 전류를 내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릴레이와; 외부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2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호출측의 링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수신 모드로 진행하고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화라인을 통해 송출하는 수단과,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송신 시작키가 수신되지 않으며, 상기 호출측을부터 특정 톤이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 톤이 수신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통화 요구키인가를 분석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 톤이 상기 통화 요구키이면 상기 프로토콜 메세지의 송출을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명령을 송출하는 수단과,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오프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상기 시스템을 세트하며, 음성 통화로를 형성시키는 수단과,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온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자동 수신 대기 모드로 다시 천이하는 수단을 가지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상기 송출명령에 응답하여 외부로 음성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메세지를 송출하는 수단을 가진다.A first relay connected to a telephone line to output a telephone call current supplied from the telephone line as a voice call path, and to switch the telephone call current to a data call path in response to a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A telephone connected with said telephone line via said first relay;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via the first relay for data communication, and performing a voice call in a data automatic reception standby mode of a voice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including means for performing interfacing and modulation / demodulation necessary for the data communication. The circuit for performing comprises: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ring signal and a hook off state of the telephone in parallel between the telephone and the first relay; A second relay for internally providing a call current to the telephone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applied when the data call path is formed by the switching of the first relay; Means for outputt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s in response to an external command, proceeding to a data receiving mode in response to a ring signal of a calling party, and sending a protocol message over a telephone line; Means for checking whether a specific tone is received from the caller without receiving a transmission start key, if the specific tone is received, means for analyzing whether a preset call request key is received, and the specific tone is the call request key. Means for discontinuing transmission of the protocol message and for sending a command informing the user that it is a call request, and setting the system from the data reception mode to the voice call mode in response to the hook-off state of the telephone. Means for forming a call, and in response to the hook-on state of the phone, the automatic data reception standby mode. Control means having means for transitioning back to draw; And means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forming that it is a voice call request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the dispensing command of the control means.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외부의 호출자는 피호출자와 음성 통화를 원하는 경우 음성 통화 요구에 대응되는 키를 누름으로써 피호출자의 시스템이 데이터 자동 수신 모드 상태에 있더라도 피호출자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an external caller wants to make a voice call with the called party, the external caller presses a key corresponding to the voice call request, so that even if the callee's system is in the automatic data receiving mode, the caller can make a voice call with the called party. Can be don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전체 시스템의 구조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되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 그러한 구조의 유형등에 대한 상세한 항목들이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그러한 상세 항목들이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회로의 특징 및 기능들은 본 발명을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method and the overal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type of such structures and the like are provided to aid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such specific details. Moreover, features and functions of well-known circuit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not to obscure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시스테등과 같은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블럭도가 도시되어진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전화기 2는 교환기 4를 통해 팩시밀리 장치 100과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전화기2는 호출자 전화기로서 자주 명명될 것이다. 전화기 40은 상기 장치 100과 연결된 피호출자 전화기이다. 상기 전화기 40은 또한 사용자 전화기로서도 명명될 것이다. 상기 장치 100은 제1,2릴레이 6,22, 트랜스 포머 TR 및 제1,2증폭기 A1, A2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 8, 상기 인터페이스부 8와 연결된 모뎀 10, 링 디텍터 18, 훅크 오프 디텍터 20, 버퍼부 16, 제어부 12, 키패드 14, 룸 및 램 메모리를 가지는 메모리부 24, 스캐너 및 프린팅부 30, 스피커 28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26, 및 스피커 2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릴레이 6은 전화라인 T, R에 접속되어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통화 전류를 음성 통화경로로 출력하고,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화 전류를 데이터 통화경로로 절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제1스위칭 제어신호 C1은 상기 제어부 12에 의해 제공되며 통상적으로 논리 하이 또는 로우 형태를 가지는 신호이다. 사용자가 상기 키패트 14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위해 자동 수신 대기 모드로 상기 장치 100을 세트해 두면, 상기 제어부 12는 상기 제1스위칭 제어신호 C1를 상기 제1릴레이 6에 제공하여 상기 전화라인 T, R이 각기 단자 L2, L4에 연결되게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 12는 링 디텍터 18의 링 검출을 버퍼부 16를 통해 체크하고, 상기 제1스위칭 제어신호 C1의 논리를 바꾸어 상기 제1릴레이 6에 인가한다. 따라서, 링 검출 동작 이후에는 상기 전화라인 T, R은 단자 L1, L3에 각기 연결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 상기 사용자 전화기 40에는 통화 전류가 공급이 되지 않는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 12는 상기 훅크 오프 디텍터 20을 통해 상기 전화기 40의 훅크 오프 상태 유무를 검출할 수 없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2릴레이 22가 제공된다. 즉, 상기 제2릴레이 22는 상술한 특정 상태에서 상기 전화기 40에 통화 전류를 제공함에 의해 상기 제어부 12가 상기 전화기 40의 훅크 오프 상태를 판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 8 및 모뎀 10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 상기 제1릴레이 6을 통하여 상기 전화라인과 접속되며, 각기 상기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인터페이싱과 변·복조를 수행한다. 키패드 14와 스캐너 및 프린팅부 30은 상기 장치 100에 포함되며, 그 각각의 기능은 본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voice and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such as a facsimi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phone 2 is connected to facsimile device 100 via switch 4.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elephone 2 will be frequently referred to as a caller telephone. The telephone 40 is the called telephone connected with the apparatus 100. The telephone 40 will also be referred to as a user telephone. The device 100 includes an interface unit 8 including first and second relays 6 and 22, a transformer TR and first and second amplifiers A1 and A2, a modem 10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8, a ring detector 18, a hook off detector 20, And a buffer unit 16, a control unit 12, a keypad 14, a memory unit 24 having a room and RAM memory, a scanner and printing unit 30, a driving unit 26 for driving the speaker 28, and a speaker 28. Here, the first relay 6 is connected to telephone lines T and R to output a telephone call current supplied from the telephone line as a voice call path, and switch the telephone call current to a data call path in response to a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n charge of function.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C1 is provided by the controller 12 and is typically a signal having a logic high or low shape. When the user sets the device 100 in the automatic reception standby mode for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keypad 14, the control unit 12 provides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C1 to the first relay 6 to transmit the telephone line T, Let R be connected to terminals L2 and L4 respectively.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2 checks the ring detection of the ring detector 18 through the buffer unit 16, changes the logic of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C1, and applies it to the first relay 6. Therefore, after the ring detection operation, the telephone lines T and R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s L1 and L3, respectively. Therefore, in this case, the call current is not supplied to the user telephone 40. Then, the control unit 12 cannot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ook-off state of the phone 40 through the hook-off detector 20.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econd relay 22 is provided. That is, the second relay 22 enables the controller 12 to determine the hook-off state of the telephone 40 by providing a call current to the telephone 40 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state. The interface unit 8 and the modem 10 are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through the first relay 6 for data communication, and each interface and modulation and demodulation necessary for the data communication are performed. Keypad 14 and scanner and printing unit 30 are included in the device 100, the function of each of which is well known in the art.

상기 제어부 12는 상기 키패드 14를 통해 설정된 사용자의 모드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제1,2스위칭 제어신호 C1, C2를 일정 시점에서 출력하며, 호출측의 링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수신 모드로 진행하고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화라인을 통해 송출하는 수단과,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송신 시작키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특정 톤이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 톤이 수신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음성 통화 요구키인가를 분석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 톤이 상기 음성 통화 요구키이면 상기 프로토콜 메세지의 송출을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명령을 송출하는 수단과,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오프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상기 시스템을 세트하며, 음성 통화로를 형성시키는 수단과,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온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자동 수신 대기모드로 다시 천이하는 수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어부 12내의 각 수단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하지만, 범용으로 사용되는 C 랭귀지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작성된 프로그램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제품의 가격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수단들이 제2도의 플로우 챠트에 의해 구현되어진다. 상기 제2도의 각 단계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언어로써 구체화된 후 제1도의 메모리 부24내의 롬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 12는 사용자가 상기 장치 100을 자동 수신 대기모드로 설정해 두었더라도 음성 통화를 연결시켜 줄 수 있게 될 것이다.The controller 12 outputs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s C1 and C2 at a certain point in time in response to a user's mode command set through the keypad 14, and proceeds to a data receiving mode in response to a ring signal of a caller. Means for sending a message via a telephone line, means for checking whether a specific tone is received from the caller if the transmission start key is not received from the call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preset voice if the specific tone is received. Means for analyzing a call request key, a means for stopping the transmission of the protocol message if the specific tone is the voice call request key, for sending a command informing the user that it is a call request, and responding to a hook-off state of the telephone; Set the system from the data receiving mode to the voice call mode, It has the property means, and means for in response to the on-hook state of the telephone again transition to the data reception standby mode that automatically. Although each means in the control unit 12 can be implemented in hardware,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in software by a program written as a programming language such as C language, which is generally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ove means are implemented by the flowchart of FIG. Each step of FIG. 2 is embodied as a programming language and then stored in a ROM memory in memory section 24 of FIG. 1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n, the controller 12 may connect the voice call even if the user has set the device 100 to the automatic reception standby mode.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제200단계에서 상기 장치 100은 자동 수신대기 모드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제1스위칭 제어신호 C1를 출력하여 상기 제1릴레이 6가 상기 전화 라인 T, R을 단자 L2, L4에 연결되게 한다. 그리고, 제2스위칭 제어신호 C2를 출력하여 단자 L22, L44가 상기 전화라인에 연결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2는 제202단계에서 버퍼부 16을 통해 링 디텍터 18가 링 신호를 검출하였는가를 체크한다. 여기서, 링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명되면, 상기 제어부 12는 상기 제1스위칭 신호의 논리를 바꾸어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1릴레이 6은 상기 전화라인을 단자 L1, L3에 연결한다. 그럼에 의해 상기 모뎀 10을 통한 데이터 통화로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 12는 제20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204단계는 호출측의 링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수신모드로 진행하고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화라인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프로토콜 메세지는 국제전신전화자문 회의에서 규정된 CNG 신호가 통상적이다. 제20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2는 모뎀 10을 통해 송신 시작키가 수신되는가를 분석한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호출자가 이러한 모드에서 음성 통화를 시도하려고 하므로 스타트 키 또는 송신 시작키로 알려진 키를 디지트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팩시밀리 원고를 보내려는 상기 호출자를 위해 상기 제206단계는 마련되며, 이러한 경우의 동작 달성을 위해 제210단계가 있다. 상기 제210단계는 정상적인 팩시밀리 동작의 수행이며, 이것의 구체적인 수행 제어는 기존의 시퀀스와 동일하다. 제206단계에서,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송신 시작키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 12는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특정 톤이 수신되는가를 제208단계에서 검사한다. 상기 제208단계에서, 상기 특정 톤이 수신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음성 통화 요구키인가를 제212단계에서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톤은 듀얼톤 다중 주파수 신호들로 이루어지며, 호출자가 엠 에프 씨 전화기의 키 패드에 위치한 기능키의 조합에 의해 발생된다. 즉, 상기 호출자는 팩시밀리 시스템의 메뉴얼이나 사용자 설명서를 통해 상기 특정 키를 알고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상기 제206단계와 상기 제208단계간에 음성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마련하여 송신시작 키가 눌려지지 않을시 음성 통화를 원할 경우에 예를 들어 #, *9키를 누르면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는 메세지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그러한 메세지를 담은 음성 합성 소자를 마련하고, 상기 제어부 12와 연결시키면 된다. 상기 호출자가 상기 피호출자의 전화번호를 디지트한 이후에 추가로 누르는 특정한 톤은 상기 인터페이스부 8을 통해 상기 모뎀 10에 제공된다. 상기 모뎀 10은 내부에 톤 검출기는 가지고 있는데, 상기 톤 검출기는 듀얼 톤 다중 주파수 신호(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검출기로서도 알려져 있으며, 이는 상기 호출자가 디지트한 톤을 분석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2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 12는 제212단계에서 수신된 톤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부 24내의 램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상기 롬 메모리내의 특정한 영역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음성에 대한 통화 요구 데이터를 리드하여 상기 수신된 톤 데이터와 비교함에 의해 양 데이터간의 일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12단계에서, 일치이면, 즉, 상기 특정 톤이 상기 음성 통화 요구키이면 상기 프로토콜 메세지의 송출을 중단하는 제214단계를 수행한다. 제216단계는 사용자에게 음성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사운드를 송출하라는 명령을 상기 구동부 26에 인가하여, 상기 스피커 28가 특정한 사운드를 송출하도록 한다. 그럼에 의해 상기 사용자 즉, 피호출자는 현재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피커 28이 사운드를 송출하는 것과는 달리 디스클레이 소자상에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하여 음성 통화의 요구를 알릴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 100 및 전화기 40의 상태를 상기 교환기 4에서는 통화중 상태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팩시밀리로 링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다. 하지만, 장치 100은 상기 음성통화 요구에 따라 사운드로써, 모뎀10에서 생성된 링 신호를 스피커28로 송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스피커 28 또는 기타의 알람 수단에 의해 내부적으로 송출되는 톤 또는 메세지는 어게인 링(again ring) 또는 리링(rering)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제21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2는 상기 제1릴레이 6이 데이터 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칭 제어신호 C2를 이전에 출력한 상태의 반대 논리로 출력하여 상기 전화기 40에 통화 전류를 공급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전화기 40는 상기 교환기 4에서 제공되는 통화 전류와 동일한 통화 전류를 제공받으므로, 상기 훅크 오프 디텍터 20는 제대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제21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2는 상기 전화기 40이 훅크 오프되는가를 체크한다. 이때 훅크 오프이면, 상기 제1,2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전의 논리와 반대의 논리 상태로 다시 출력한다. 그럼에 의해 내부 통화 전류는 차단되며, 제1릴레이 6에 의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치 100은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임시 세트되며, 제220단계의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제220단계까지의 수행에 의해 비로소, 상기 호출자는 피호출자와 진정으로 원하는 음성 통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프로토콜 메세지만 듣고 수화기를 훅크 온해야 했던 상기 전화기 2를 든 호출자는 음성호의 달성을 이룰 수 있고, 피호출자는 중요할지도 모르는 호출자의 호를 미싱(missing)없이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럼에 의해, 피호출측인 사용자는 데이터 자동 수신모드에서 1대의 전화기로서도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원활히 할수 있다 장점이 있다. 제222단계는 상기 전화기 40의 훅크 온 상태를 체크하고 훅크 온시에 데이터 자동 수신 대기모드로 다시 천이하는 보조 단계이다. 상기 제222단계는 더이상의 설명이 필요없이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이점을 제공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Referring to FIG. 2, in operation 200, the device 100 is in a standby state in an automatic receiving standby mod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 outputs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C1 to allow the first relay 6 to connect the telephone lines T and R to terminals L2 and L4. Then,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C2 is output so that the terminals L22 and L44 are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In this state, the controller 12 checks whether the ring detector 18 detects the ring signal through the buffer unit 16 in step 202. If it is determined that a ring signal has been received, the controller 12 alternately outputs the logic of the first switching signal. Thus, the first relay 6 connects the telephone line to terminals L1 and L3. This establishes a data call path through the modem 10. In this state, the controller 12 performs step 204. In step 204, the mobile station proceeds to the data receiving mode in response to the ring signal of the calling party and sends a protocol message through the telephone line. The protocol message is typically a CNG signal specified at an international telegraph consultation meeting. In step 206, the controller 12 analyzes whether a transmission start key is received through the modem 10. Of cours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aller tries to make a voice call in this mode, it will not digitize a key known as a start key or a transmission start key. However, step 206 is provided for the caller wishing to send a facsimile manuscript, and step 210 is for achieving the operation in this case. In step 210, a normal facsimile operation is performed, and detailed execution control thereof is the same as that of a conventional sequence. In step 206, if the transmission start key is not received from the caller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2 checks in step 208 whether a specific tone is received from the caller. In step 208, if the specific tone is received, it is analyzed in step 212 whether a predetermined voice call request key is applied. Here, the particular tone consists of dual tone multi-frequency signals, the caller being generated by a combination of function keys located on the keypad of the FM telephone. That is, the caller knows the specific key from the manual or user manual of the facsimile system. Alternatively, a step of transmitting a voice guidance message between the step 206 and the step 208 is provided. For example, if a voice call is desired when the transmission start key is not pressed, for example, pressing #, * 9 causes a voice call. You might be able to send a message that you can run. In this case, a speech synthesizing element containing such a message may be provided a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2. The particular tone that the caller presses further after digitizing the called party's telephone number is provided to the modem 10 via the interface unit 8. The modem 10 has a tone detector therein, which is also known as a dual tone multi frequency signal (DTMF) detector, which transmits data analyzing the tones digitized by the caller to the controller 12. Is provided. Therefore, the control unit 12 stores the tone data received in step 212 in the RAM memory of the memory unit 24 and reads the call request data for the preset voice stored in a specific area of the ROM memory to store the tone data and the received tone data. By comparing,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match between the two data. In step 212, if matched, that is, if the specific tone is the voice call request key, step 214 of stopping transmission of the protocol message is performed. In operation 216, the speaker 28 sends a command to the user to transmit a sound indicating that the voice call is requested, so that the speaker 28 sends a specific sound. Thus, the user, that is, the called person can be aware of the current situation. In addition, unlike the speaker 28 that transmits sound, the speaker 28 may display a letter or number on the display device to inform the request of the voice call. Here, the state of the device 100 and the telephone 40 does not provide a ring signal to the facsimile because the switch 4 recognizes the busy state. However, the device 100 may transmit the ring signal generated by the modem 10 to the speaker 28 as sound according to the voice call request. Therefore, the tone or message transmitted internally by the speaker 28 or other alarm means may be referred to as an again ring or a rering. In operation 216, the control unit 12 outputs the call switching current to the telephone 40 by outputting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C2 in a logic opposite to a previously output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relay 6 forms a data path. To be supplied. Thus, since the telephone 40 is provided with the same talk current as that provided by the switch 4, the hook-off detector 20 can properly function. In step 218, the controller 12 checks whether the phone 40 is hooked off. At this time, if the hook is of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s are output again in a logic state opposite to the previous logic. The internal call current is thereby blocked, and the voice call path is formed by the first relay 6. Accordingly, the device 100 is temporarily set from the data reception mode to the voice call mode, and a voice call path of step 220 is formed. By the execution of step 220, the caller can realize a truly desired voice call with the called party. Thus, a caller with the telephone 2, which has conventionally only listened to a protocol message and had to hook on the handset, can achieve the voice call, and the callee can receive the caller's call, which may be important, without missing. As a result, the called user can perform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smoothly even with one telephone in the automatic data receiving mode. Step 222 is an auxiliary step of checking the hook-on state of the phone 40 and transitioning back to the automatic data reception standby mode at the time of the hook-on. Step 222 provides a more convenient advantage to the user without any further explan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장치가 자동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드로 지정되어 있을 시에도 외부 호출자와의 음성 통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호의 달성율을 증대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chieving a voice call with an external caller even when the voice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are designated as a mod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data, and the convenience and rate of achievement of the call to the user. To increa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고상한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한 그 동일한 것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여러가지 변화와 변형이 가능함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e same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lofty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ld be.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제어수단의 세부 동작은 상술한 설명에 기재된 것과는 다소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2릴레이의 동작 조건을 사안이 허용하는 한 변경을 가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 대신에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control means may be changed somewhat differently from thos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s necessary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changes may be made as long as the matter allows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s, and hardware or firmware may be used instead of the software program.

Claims (15)

음성 및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절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출측의 링 신호에 의해 데이터 수신 대기 모드에서 데이터 수신 모드로 천이하는 제1단계와;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특정 톤이 수신되면, 음성 통화를 요구하는 코드와 일치하는가를 체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수신된 특정 톤과 음성 통화를 요구하는 코드가 일치하면, 음성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메세지를 송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음성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한 후 상기 장치의 훅크 오프에 응답하여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천이하고 음성 통화로를 형성시키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 method for switching to a voice call mode in an apparatu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A first step of transitioning from a data reception standby mode to a data reception mode by a ring signal of a calling party; If a specific tone is received from the caller, checking whether it matches a code for requesting a voice call;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voice call is requested if the received specific tone matches the code for requesting a voice call; And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voice call is requested, and then transitioning from the data receiving mode to the voice call mode and forming a voice call path in response to a hook-off of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훅크 온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통화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 수신 대기 모드로 다시 천이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itioning back from the voice call mode to the data receiving standby mode in response to a hook on of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데이터 송신을 알리는 송신 시작키가 일정 시간이내에 제공되지 않으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tep is performed if a transmission start key for informing data transmission from the caller is not provi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메세지가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voice call request is provided as sound through a spe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메세지가 디스플레이 소자를 통해 문자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voice call request is provided as text through a display element. 전화기를 구비한 팩시밀리 시스템의 데이터 자동 수신 대기 모드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호출측의 링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수신 모드로 진행하고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화라인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송신 시작키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특정 톤이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톤이 수신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통화 요구키에 대응되는 신호인가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특정 톤이 미리 설정된 통화 요구키에 대응되는 신호이면, 상기 프로토콜 메세지의 송출을 중단하고,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사운드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오프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상기 시스템을 세트하며, 음성 통화로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온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자동 수신 대기 모드로 다시 천이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 control method for switching from a data automatic reception standby mode to a voice call mode of a facsimile system having a telephone; In response to a ring signal at the caller, proceeding to a data receiving mode and sending a protocol message over a telephone line; If a signal corresponding to a transmission start key is not received from the caller for a predetermined time, checking whether a specific tone is received from the caller; Analyzing whether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et call request key is received when the specific tone is received; If the received specific tone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et call request key, stopping transmission of the protocol message and transmitting a sound indicating that the call is requested; Setting the system from the data reception mode to a voice call mode in response to a hook off state of the phone, and forming a voice call path; Transitioning back to the data auto-receive standby mode in response to a hook on state of the telepho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톤은 듀얼 톤 다중 주파수 신호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articular tone consists of dual tone multi-frequency signa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톤은 엠 에프 씨 전화기의 키패드에 위치한 기능키의 조합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articular tone is generated by a combination of function keys located on the keypad of an FM telephone. 전화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통화 전류를 음성 통화경로로 출력하고,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화 전류를 데이터 통화경로로 절환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를 통하여 상기 전화라인과 접속된 전화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 상기 제1릴레이를 통하여 상기 전화라인과 접속되며, 상기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인터페이싱 및 변·복조를 수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음성 통화 모드 절환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와 상기 제1릴레이간에 평행접속되어 링 신호 및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오프상태에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과; 상기 제1릴레이의 절환에 의해 상기 데이터 통화 경로가 형성될시 인가되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기에 통화 전류를 내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릴레이와; 외부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2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링 신호의 수신에 의해 데이터 수신 대기 모드에서 데이터 수신 모드로 천이한 후 음성통화를 요구하는 키가 호출측으로부터 제공되는가를 체크하며, 상기 음성통화를 요구하는 키가 제공되면 음성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메세지를 송출하도록 하는 송출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오프에 응답하여 음성 통화 모드로 천이하고 음성 통화로를 형성시키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상기 송출신호에 응답하여 외부로 음성 통화요구임을 알리는 메세지를 송출하는 수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A first relay connected to a telephone line and outputting a telephone call current supplied from the telephone line as a voice call path, and switching the telephone call current to a data call path in response to a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A telephone connected with said telephone line via said first relay; A voice call mode switching circuit of a voice and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connected to said telephone line via said first relay for data communication, and having means for performing interfacing and demodulation and demodulation necessary for said data communication; Detection mean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said telephone set and said first relay for detecting a ring signal and a hook-off state of said telephone set; A second relay for internally providing a call current to the telephone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applied when the data call path is formed by the switching of the first relay; Outputs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s in response to an external command, and checks whether a key for requesting a voice call is provided from the calling party after the transition from the data reception standby mode to the data reception mode by the reception of the ring signal. Control means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voice call is requested when a key for requesting the voice call is provided, and transitioning to a voice call mode in response to a hook-off of the telephone and forming a voice call path; and; And means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forming that it is a voice call request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control means. 전화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통화 전류를 음성 통화경로로 출력하고,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화 전류를 데이터 통화경로로 절환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를 통하여 상기 전화라인과 접속된 전화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 상기 제1릴레이를 통하여 상기 전화라인과 접속되며, 상기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인터페이싱 및 변·복조를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팩시밀리 시스템의 데이터 자동 수신 대기모드에서 음성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와 상기 제1릴레이간에 평행접속되어 링 신호 및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오프상태에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과; 상기 제1릴레이의 절환에 의해 상기 데이터 통화 경로가 형성될시 인가되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기에 통화 전류를 내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릴레이와; 외부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2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호출측의 링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수신 모드로 진행하고 프로토콜 메세지를 전화라인을 통해 송출하는 수단과,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송신 시작키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호출측으로부터 특정 톤이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 톤이 수신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통화 요구키에 대응되는 신호인가를 분석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 톤이 상기 통화 요구키에 대응되는 신호이면 상기 프로토콜 메세지의 송출을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명령을 송출하는 수단과,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오프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상기 시스템을 세트하며, 음성 통화로를 형성시키는 수단과; 상기 전화기의 훅크 온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자동 수신 대기 모드로 다시 천이하는 수단을 가지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상기 송출명령에 응답하여 외부로 음성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메세지를 송출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A first relay connected to a telephone line and outputting a telephone call current supplied from the telephone line as a voice call path, and switching the telephone call current to a data call path in response to a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A telephone connected with said telephone line via said first relay; For making a voice call in a data receiving standby mode of a facsimile system, which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via the first relay for data communication and includes means for interfacing and demodulation and demodulation necessary for the data communication. In a circuit; Detection mean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said telephone set and said first relay for detecting a ring signal and a hook-off state of said telephone set; A second relay for internally providing a call current to the telephone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applied when the data call path is formed by the switching of the first relay; Means for outputt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s in response to an external command, proceeding to a data receiving mode in response to a ring signal of a calling party, and sending a protocol message over a telephone line; Means for checking if a specific tone is received from the caller if a transmission start key is not received, and means for analyzing whether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et call request key is received if the specific tone is received; A means for stopping transmission of the protocol message if it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all request key and for sending a command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call request; and in response to a hook-off state of the telephone, the system receives the voice call mode from the data reception mode. Means for setting a voice communication path; Control means having means for transitioning back to the automatic data reception standby mode in response to a hook-on state of the telephone; And means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forming that it is a voice call request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the sending command of the control mea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톤이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수단은 듀얼 톤 주파수 신호 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11. The circuit of claim 10 wherein the means for checking whether the particular tone is received is a dual tone frequency signal detec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측에서 숫자키 및 기능키의 조합으로 상기 특정 톤을 발생시키는 엠 에프 씨 전화기의 키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11. The circuit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keypad of an MFC telephone to generate the specific tone by a combination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at the call si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음성 안내 메시지인 경우 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11. The circuit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providing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voice call request is a voice announcement messa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송출하는 스피커 또는 알람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11. The circuit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speaker or alarm means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voice call request is ma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요구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문자인 경우 이를 출력하는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11. The circuit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display means for outputting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voice call request is a text.
KR1019940016848A 1994-07-13 1994-07-13 Circuit for converting voice communication mode in apparatus of receiving/transmitting voice and dat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01497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848A KR0149703B1 (en) 1994-07-13 1994-07-13 Circuit for converting voice communication mode in apparatus of receiving/transmitting voice and dat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848A KR0149703B1 (en) 1994-07-13 1994-07-13 Circuit for converting voice communication mode in apparatus of receiving/transmitting voice and dat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556A KR960006556A (en) 1996-02-23
KR0149703B1 true KR0149703B1 (en) 1998-10-15

Family

ID=1938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848A KR0149703B1 (en) 1994-07-13 1994-07-13 Circuit for converting voice communication mode in apparatus of receiving/transmitting voice and dat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7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699A (en) * 2002-01-04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nswering voice call during data servic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699A (en) * 2002-01-04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nswering voice call during data servic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556A (en)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4372B1 (en) Method of calling automatically in a cordless phone
JP2656030B2 (en) Telephone and facsimile switching system
US5317624A (en) Cordless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set
JP3249561B2 (en) Facsimile machine
US5877872A (en) Facsimile apparatus
KR0149703B1 (en) Circuit for converting voice communication mode in apparatus of receiving/transmitting voice and dat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5638437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nabling a user to get access to an automated call processing from a central station operating on pulse dialling mode
JP2811025B2 (en) Composite image communication device
KR19990012342A (en) Selective transmission method of outgoing message using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erminal device with automatic response function
KR0119370B1 (en) Phone/fax mode control method
JP2948832B2 (en) Telephone
JPS63313951A (en) Facsimile receiver
KR100381899B1 (en) Automatic redial device and method in the exchange
KR100255323B1 (en) Fax automatic connecting method of voice mail system
JP3196745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S60259059A (en) Facsimile equipment
JPH01173950A (en) Communication equipment
KR19990026363A (en) How to indicate the status of the called party on the telephone
JPH06237310A (en) Facsimile equipment with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function
KR20000015155A (en) Method for alarming standby state when line is busy on telephone
KR19980021365A (en) Speed dialing device using received dialing to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98950A (en) Slave telephone set call device and communication equipment
KR19980039828A (en) Call Waiting Guide from an Answering Machine
KR19990001027A (en) Method for switching incoming call of telephone and device
JPH04252641A (en) Cellular telephone set capable of facsimile rece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