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630B1 - Reading lamp regulator of a car - Google Patents

Reading lamp regulator of a car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630B1
KR0149630B1 KR1019960008068A KR19960008068A KR0149630B1 KR 0149630 B1 KR0149630 B1 KR 0149630B1 KR 1019960008068 A KR1019960008068 A KR 1019960008068A KR 19960008068 A KR19960008068 A KR 19960008068A KR 0149630 B1 KR0149630 B1 KR 0149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light
reading
seat
butt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0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68012A (en
Inventor
윤병욱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60008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630B1/en
Publication of KR97006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0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63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5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manual control of the light, e.g. of colour, orientation or inten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승용차의 독서등 조도조절 장치 및 방법Il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ading cars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승용차내에 각 좌석마다 개인 독서등으로 독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독서등을 해당 좌석에서 조절하도록 하며, 또한 운전석에서 다른 좌석에 해당되는 독서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ar, each seat can be read by a personal reading light, the reading light can be adjusted in the corresponding seat, and the driver's seat can be adjusted for other seats.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승용차내에 각 좌석마다 개인 독서등을 설치하고, 그 독서등을 켤 수 있는 독서등 버튼을 차문의 윈도우 암 상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해당 좌석에 있는 사람의 필요에 따라 독서등의 점등/소등 및 조도 조절을 독서등 버튼을 계속 눌려 수행한다. 또한 운전석에서 다른 좌석에 해당되는 독서등들의 점등/소등 및 조도 조절을 등선택버튼을 눌려 수행하도록 한다.A personal reading light is installed for each seat in the car, and a reading light button for turning on the reading light is installed on the upper window arm of the car doo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erson in the seat, the reading light on / off and the illumination control is carried out by pressing the reading light button continuously. In addition, in the driver's seat, press the light selection button to turn on / off and adjust the illumination of reading lights corresponding to other seats.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승용차 독서등Passenger car reading light

Description

승용차의 독서등 조도조절 장치 및 방법Il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ading cars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승용차 내부에서 천정을 바라 보았을 때 독서등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reading light when looking at the ceiling inside the passenger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용차의 독서등 장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reading light device for a passenger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2도내 조도조절부들 44의 구체 회로도.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illuminance controllers 44 in FIG.

제4도는 독서등 점등/소등 및 조도 조절을 위한 버튼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button for adjusting the illumination light on / off and illumination.

제5a도 내지 제5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흐름도.5a to 5b is a control flow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제5a도의 206단계 즉, 운전석에서의 독서등 점등/소등 및 조도조절 서브루틴 수행 흐름도.FIG. 6 is a flowchart for performing a step 206 of FIG. 5A, that is, turning on / off the reading light and dimming subroutine in the driver's seat.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용차 독서등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ssenger car reading ligh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4,6,8,10 : 독서등 12 : 실내등2,4,6,8,10: reading light 12: indoor light

58,62,64,66,68 : 독서등 버튼58,62,64,66,68: Reading light button

본 발명은 승용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내 각 좌석에서 독서를 할수 있도록 좌석마다 설치된 독서등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독서등 조도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c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ding light illuminanc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of a reading light installed for each seat to read in each seat in the car.

일반적으로 승용차 내에는 어두울 때 차내를 밝히게 하는 조명장치가 있다. 이 조명장치를 통상 실내등이라 한다. 이러한 실내등은 사용자가 차내의 있는 물건을 찾을 때, 차내에 있는 실내장비들을 조작할 때, 차내에서 지도나 독서등을 할 때 등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보통 실내등은 승용차의 지붕 천정의 중앙에 위치하거나 또는 앞좌석 천정의 룸밀러 있는 부근에 위치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실내등은 각 좌석에 있는 사람이 독서하기에는 충분히 밝지 않다. 만약 실내등을 독서를 할 수 있는 정도로 조도를 높인다면 운전자가 운전하는데 방해가될 수 있다. 또한 독서를 원하는 않는 다른 동승자에게 누를 끼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해소할뿐더러 다른 유용한 기능을 수행하는 조명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In general, there is a lighting device in the car to brighten the interior of the car when it is dark. This lighting device is commonly referred to as indoor lighting. Such interior lights are useful when a user finds an object in a vehicle, manipulates indoor equipment in a vehicle, or performs a map or reading light in the vehicle. The interior light is usually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oof ceiling of the car or near the room mirror of the front seat. But currently used interior lights are not bright enough for the person in each seat to read. If you raise the level of illumination enough to read indoor lights, it may interfere with the driver's driving. It also presses on other passengers who do not want to rea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implement lighting devices that perform other useful func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용차내 각 좌석에서 독서를 할 수 있도록 좌석마다 독서등이 설치되며 조도조절 가능한 독서등 조도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ding light illuminance control device that is installed in each seat so that the reading light is installed to read in each seat in the ca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용차내 독서등의 점등/소등 및 조도 조절을 해당 좌석에 앉은 사람이 할 수 있도록 하는 독서등 조도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ading light dimm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llowing a person sitting in the seat to control the lighting / lighting and dimming of the reading light in the ca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용차내 모든 독서등의 점등/소등 및 조도 조절을 운전석에 앉은 사람이 할 수 있도록 하는 독서등 조도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ading light dimm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llowing a person sitting in a driver's seat to control lighting / lighting out and illuminating all reading lights in a passenger c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동일한 부품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든지 동일한 참조번호 내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the same par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the same reference signs wherever possible.

먼저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승용차 내부에서 천정을 바라보았을 때, 독서등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참조번호 2, 4, 6, 8, 10이 독서등이다. 앞좌석에 있는 독서등 2, 4는 운전석과 그 옆좌석의 승용차 지붕 천정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독서등 2의 앞에는 선바이저 16이 있고 옆에는 손잡이 20이 있다. 그리고 독서등 4의 앞에는 선바이저 18이 있고 옆에는 손잡이 22가 있다. 한편 뒷좌석에 있는 독서등 6, 8, 10은 뒤쪽 손잡이 24와 26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독서등 6 및 10은 양쪽 좌석용 독서등이고 독서등 8은 중간 좌석용 독서등이다. 독서등 6, 8, 10모두는 직사각형의 창판재 14로 덮혀져 있다. 미관상 창판재 14는 표면이 승용차 지붕 천정과 거의 수평상태로, 각 모서리들이 곡선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판재 14는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다. 한편 승차한 사람이 독서등을 켰을 때 운전하는 사람이나 동승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하므로 각 독서등들 2, 4, 6, 8, 10은 해당 각 좌석에서의 독서가능한 영역만을 비추는 형상을 가진다. 즉, 독서등들은 조그만한 갓 또는 그 기능을 수행가능한 형상의 기구물이 씌워진다.First, Figure 1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reading light when looking at the ceiling inside the passenge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s 2, 4, 6, 8, and 10 are reading lights. Reading lights 2 and 4 in the front seats are installed on the driver's seat and next to the passenger car roof ceiling. There is a sun visor 16 in front of the reading lamp 2 and a handle 20 next to it. And in front of the reading light 4 there is a sun visor 18 and the handle 22 next to it. The reading lights 6, 8 and 10 in the rear seats are installed side by side between the rear handles 24 and 26. Reading lamps 6 and 10 are reading lamps for both seats and reading lamp 8 is the middle seat reading lamp. All reading lights 6, 8, and 10 are covered with a rectangular window board 14. The aesthetic window plate 14 is preferably approximately horizontal to the surface of the car roof, so that each corner is curved. The pane 14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boarding person turns on the reading light, it should not damage the driver or the other person, so the reading lights 2, 4, 6, 8, and 10 are designed to illuminate the readable area of each seat. Has That is, the reading lamps are covered with a small lampshade or a device shaped to perform its func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의 독서등 장치 구성도이다. 독서등들 2, 4, 6, 8, 10에 전원을 공급원인 전원부 30과 상기 독서등 2, 4, 6, 8, 10 사이에는 스위칭부 32와 조도조절부 44가 위치한다. 스위칭부 32는 전원부 30에 연결되며, 독서등 2, 4, 6, 8, 10에 대응하는 스위치들 34, 36, 38, 40, 4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독서등이 5개 이므로 상기 스위칭부 32의 스위치도 5개이다. 스위칭부 32의 각각의 스위치들 34, 36, 38, 40, 42는 제어부 70의 스위치제어신호 SW1∼5에 의하여 온오프된다. 조도조절부 44는 상기 스위칭부 32의 각각의 스위치 34, 36, 38, 40에 각각 연결된 조도조절기 46, 48, 50, 52, 54로 구성한다. 조도조절기 46, 48, 50, 52, 54 각각의 출력선은 독서등 2, 4, 6, 8, 10에 연결되어 있다. 조도조절부 44는 제어부 70에서 인가되는 조도조절선택신호 SEL1∼5에 의하여 스위칭부 32를 통하여 들어오는 전원의 전압을 조절한다. 상기 전원의 전압 조절에 의하여 독서등의 조도가 조절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reading light device for a passenge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witching unit 32 and an illuminance control unit 44 are position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30 that supplies power to the reading lights 2, 4, 6, 8, and 10 and the reading lights 2, 4, 6, 8, and 10. The switching unit 32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30 and is composed of switches 34, 36, 38, 40, and 42 corresponding to the reading lights 2, 4, 6, 8, and 10.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are five reading lights, there are five switches of the switching unit 32. Each of the switches 34, 36, 38, 40, and 42 of the switching unit 32 is turned on and off by the switch control signals SW1 to 5 of the control unit 70. The illuminance control unit 44 includes the illuminance controllers 46, 48, 50, 52, and 54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witches 34, 36, 38, and 40 of the switching unit 32, respectively. Light outputs 46, 48, 50, 52 and 54 are connected to reading lights 2, 4, 6, 8 and 10 respectively. The illuminance control unit 44 adjusts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switching unit 32 by the illuminance control selection signals SEL1 to 5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70. Illumination of the reading light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y.

조도조절부 44를 구성하는 조도조절기 46, 48, 50, 52, 54의 구체 회로는 제3도와 같다. 제3도를 참조하면, 조도조절기는 멀티플랙서 88과, 상기 멀티플랙서 88의 입력단들 A, B, C에 각각 연결된 저항 80, 82, 84와, 입력단 D에 연결된 접지 86으로 구성된다. 저항 80, 82, 84의 저항값을 비교해 보면, 80이 가장 높고 82, 84순으로 차례로 낮아진다. 따라서 저항 80에 연결된 입력단 A에는 가장 낮은레벨의 전압이 걸리고, 저항 82에 연결된 입력단 B에는 중간 레벨의 전압이 걸리고, 저항 84에 연결된 입력단 C에는 가장 높은 레벨의 전압이 걸린다. 그리고 멀티플랙서 88의 입력단 D에는 접지레벨의 전압이 걸린다. 그러므로 제2도의 제어부 70에 의해서 멀티플랙서 88의 입력단 A가 선택되면 후단의 독서등은 낮은 단계의 조도로 점등되고 입력단 B가 선택되면 후단의 독서등은 중간 단계의 조도로 점등되고 입력단 C가 선택되면 후단의 독서등은 높은 단계의 조도로 점등된다. 그리고 만약 입력단 D가 선택되면 후단의 독서등은 소등된다.Specific circuits of the illuminance controllers 46, 48, 50, 52, and 54 constituting the illuminance controller 44 are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3, the illuminance controller includes a multiplexer 88, resistors 80, 82, 84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s A, B, and C of the multiplexer 88, and ground 86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D, respectively. Comparing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resistors 80, 82, and 84, 80 is the highest, followed by 82, 84 in that order. Therefore, the input terminal A connected to the resistor 80 receives the lowest level voltage, the input terminal B connected to the resistor 82 applies the medium level voltage, and the input terminal C connected to the resistor 84 applies the highest level voltage. The input terminal D of the multiplexer 88 receives a ground level voltage. Therefore, when the input stage A of the multiplexer 88 is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70 of FIG. 2, the reading lamp of the rear stage is turned on at low level of illumination, and when the input stage B is selected, the reading lamp of the rear stage is lit at the middle stage of illumination and the input stage C is When selected, the rear reading lamp lights up at a high level of illuminance. If the input stage D is selected, the rear reading lamp is turned off.

제2도로 다시 돌아가서, 제어부 70의 동작을 살펴본다. 제어부 70은 승용차내부 윈도우 암에 설치된 독서등 버튼들의 눌려짐에 의거하여 스위칭 제어신호 SW1∼SW5를 스위칭부 32에 인가하고, 조도조절선택신호 SEL1∼SEL5를 조도조절부 44에 인가한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70의 제어흐름도는 제5a도 내지 제5b도 및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Returning to FIG. 2 agai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70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 unit 70 applies the switching control signals SW1 to SW5 to the switching unit 32 and the illuminance adjustment selection signals SEL1 to SEL5 to the illuminance control unit 44 based on the pressing of the reading light buttons installed in the window arm of the passenger car. Control flow diagrams of the control unit 70 for performing such an operation are shown in FIGS. 5A to 5B and 6.

제2도에서 독서등 버튼들 58∼68은 독서등 2, 4, 6, 8, 10각각을 점등 및 소등하기 위해 스위치이다. 이러한 독서등 버튼들은 제4도에 도시하고 있는 승용차 문에 달린 윈도우 암에 설치되어 있다. 제4도의 승용차 문은 운전석측의 문임을 유의해야 한다. 제4도를 참조하면, 창문 하부에 있는 윈도우 암 90의 상부에는 창문개폐 버튼, 도어잠금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는 조작판넬 92가 있다. 조작판넬 92의 확대된 그림을 보면 창문개폐 버튼, 도어잠금 버튼 96앞에 본 발명에 따른 독서등 버튼 58이 구비되어 있다. 독서등 버튼 58이외에도 등을 모두 점등/소등할 수 있는 등모두선택 버튼이 함께 구비되어 있다(등모두선택버튼은 제2도 및 제4도에는 도시하지 않고 있으나 함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제4도의 차문이 운전석 차문이므로 등선택버튼 60을 특별히 구비하고 있다. 제4도에 도시된 운전석측문 이외 나머지 3개의 승용차문에도 제4도와 같은 구조로 독서등 버튼들이 각각 구비되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단, 등선택 버튼 60은 운전석 차문측에만 있음.) 이때 뒷자리 중간좌석 독서등버튼은 승용차문들중 하나의 뒷문의 윈도우암 90의 상부에 하나더 마련되어 질 수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주차브레이크 하우징 뒷편에 마련될 수도 있다.In FIG. 2, the reading light buttons 58 to 68 are switches for turning on and off the reading lights 2, 4, 6, 8 and 10, respectively. These reading light buttons are installed on the window arm attached to the car door shown in FI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assenger car door of FIG. 4 is the driver's side door. Referring to FIG. 4, an upper portion of the window arm 90 under the window includes an operation panel 92 which may be provided with a window opening / closing button, a door locking button, and the like. In the enlarged picture of the operation panel 92, the reading light button 5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front of the window opening / closing button and the door locking button 96. In addition to the reading light button 58, all the light selection buttons for turning on / off all the lights are provided together (the light selection buttons are not shown in FIGS. 2 and 4 but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together). Since the car door of FIG. 4 is the driver's seat, the back selection button 60 is specially provided. In addition to the driver's side door shown in FIG. 4, the remaining three passenger car doors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FIG. 4, and the reading light buttons are provided (but the back selection button 60 is located only at the driver's side). The middle seat reading light button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ow arm 90 of the rear door of one of the passenger car doors.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arking brake housing.

제4도를 다시 참조하면, 운전석 차문의 윈도우 암상에는 독서등버튼 58에 소정 독서등을 선택할 수 있는 등선택버튼 60이 더 구비되어 있음을 볼수 있다. 상기 등선택 버튼 60이 운전석 차문에 설치된 것은 운전석에 있는 사람이 각 좌석에 해당되는 독서등 4, 6, 8, 10을 마음대로 점등/소등 및 조도로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Referring back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selecting button 60 is further provided on the window arm of the driver's car door to select a predetermined reading light. The light selection button 60 is installed in the driver's car door in order to allow a person in the driver's seat to adjust the lighting / lighting off / illumination of reading lights 4, 6, 8, and 10 corresponding to each seat.

제2도의 독서등버튼들 58, 62, 64, 66, 68 및 등선택버튼 60의 위치와 상기 독서등 버튼들에 대응된 제1도의 독서등들 2, 4, 6, 8, 10을 대응시켜 정리하면 하기와 같다. 참조번호 56의 블록내 독서등버튼 58과 등선택버튼 60은 운전석 차문에 설치되며 상기 독서등 버튼 58은 독서등 2와 대응된다. 독서등버튼 62는 앞자리 오른쪽 차문에 설치되며 독서등 4와 대응된다. 독서등버튼 64는 뒷자리 왼쪽 차문에 설치되며 독서등 6과 대응된다. 독서등버튼 66은 2개의 뒷문중 어느한 문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주차브레이크 하우징 뒷편에 설치될 수 있다. 독서등버튼 68은 뒷자리 오른쪽 차문에 설치되며 독서등 10과 대응된다.By matching the position of the reading light buttons 58, 62, 64, 66, 68 and the light selection button 60 of FIG. 2 with the reading lights 2, 4, 6, 8, 10 of FIG. 1 corresponding to the reading light buttons In summary, it is as follows. A reading light button 58 and a light selection button 60 in the block 56 are installed at the driver's seat door and the reading light button 58 corresponds to the reading light 2. Reading light button 62 is installed in the front right car door and corresponds to reading light 4. The reading light button 64 is installed at the rear left door and corresponds to the reading light 6. The reading light button 66 may be installed at either of the two rear doors and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parking brake housing. The reading light button 68 is installed at the rear right door and corresponds to the reading light 10.

제5a도 내지 제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흐름도이고, 제6도는 제5a도의 206단계 즉, 운전석에서의 독서등 점등/소등 및 조도조절 서브루틴수행 흐름도이다.5A to 5B are control flow ch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 chart of step 206 of FIG. 5A, that is, reading light on / off and dimming subroutine performance in the driver's seat.

이제 상기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먼저 승용차에 승차한 사람이 해당 좌석에서 독서등을 점등/소등 또는 조도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일례로 사람이 운전석에 앉았을 때 해당 독서등 2를 조작하는 동작을 설명한다.First, a person riding in a car will explain an operation of turning on / off or dimming a reading light in the seat. As an example, the operation of operating the corresponding reading light 2 when a person sits in the driver's seat will be described.

제2도를 참조하면, 운전석에 앉은 사람이 운전석 차문측에 있는 독서등 버튼 58만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 70은 제5a도의 200단계에서 이를 인식한다. 그러면 제어부 70은 제5a도의 202단계로 진행하여 눌려진 버튼이 운전석 독서등버튼 58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눌려진 버튼이 운전석 독서등버튼 58이면 20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10단계로 진행한다. 따라서 상기 눌려진 버튼이 운전석 독서등버튼 58이었으므로 제어부 70은 204단계로 진행하여 등선택버튼 60이 눌려졌는가를 판단한다. 등선택 버튼 60이 눌려지지 않았으면 208단계를 수행한다. 만약 등선택버튼 60이 눌려졌으면 제어부 70은 206단계로 진행하여 운전석에서의 독서등 점등/소등 및 조도조절 서브루틴을 수행한다. 독서등 점등/소등 및 조도조절 서브루틴은 제6도가 참조되어 자세히 후술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2, the person sitting in the driver's seat presses only the reading light button 58 on the driver's car door side. Then, the controller 70 recognizes this in step 200 of FIG. 5A. The controller 70 proceeds to step 202 of FIG. 5A and determines whether the pressed button is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58. If the pressed button is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58, go to step 204; otherwise, go to step 210. Therefore, since the pressed button was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58, the controller 70 proceeds to step 204 to determine whether the back selection button 60 has been pressed. If the equal selection button 60 is not pressed, step 208 is performed. If the light selection button 60 is pressed, the control unit 70 proceeds to step 206 to perform the reading light on / off and illumination control subroutine in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on / off and dimming subroutin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운전석에 앉은 사람이 등선택버튼 60을 누르지 않았으므로 제어부 70은 208단계로 진행하여 스위칭부 32의 해당 스위치를 '온'시키고, 조도조절부 44의 해당 조도조절기를 1단계 조도조절 선택되도록 제어한다. 제2도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 70은 운전석 독서등버튼 58이 인가되었으므로 스위칭제어신호 SW1이 온되게 제어한다. 그에 따라 스위치 34가 온된다. 그러면 전원부 30의 전원전압은 스위치 34를 통하여 조도조절부 44의 조도조절기 46에 인가된다. 제어부 70은 조도조절기 46에 조도조절선택신호 SEL1을 인가하는데 이때의 조도조절선택신호 SEL1은 1단계 조도조절이 되도록 인가되어진다. 제3도를 참조하면, 상기 조도조절선택신호 SEL1에 의하여 멀티플랙서 88은 입력단 A를 선택한다. 그러면 조도조절기 46에 인가된 전원전압은 가장 높은 저항값을 가진 저항 80에 의해서 전원전압이 가장 많이 다운되어서 출력된다. 그러면 운전석을 비춰주는 독서등 2는 가장 낮은 조도로 발광한다.Since the person sitting in the driver's seat did not press the back selection button 60, the control unit 70 proceeds to step 208 to turn on the corresponding switch of the switching unit 32,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illuminance control unit of the illuminance control unit 44 to be selected in one step illumination adjustment. .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SW1 to be on because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58 is applied. As a result, switch 34 is turned on. Then,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30 is applied to the light control regulator 46 of the light control unit 44 through the switch 34. The controller 70 applies the illuminance adjustment selection signal SEL1 to the illuminance controller 46, and the illuminance adjustment selection signal SEL1 is applied to perform one-step illumination adjustment. Referring to FIG. 3, the multiplexer 88 selects an input terminal A based on the illumination control selection signal SEL1. Then, the power supply voltage applied to the illuminance regulator 46 is outputted because the power supply voltage is most down by the resistor 80 having the highest resistance value. The reading lamp 2, which illuminates the driver's seat, illuminates at the lowest light level.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석이 앉은 사람이 다시 한 번 해당 독서등 버튼 58을 누르면(2번 누름) 제어부 70은 제5도의 210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12단계로 진행하여 2단계 조도 조절 선택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 70은 조도조절기 46에 조도조절선택신호 SEL1을 인가하여 입력단 B(제3도)가 선택되도록 한다. 그러면 조도조절기 46에 인가된 전원전압은 중간 저항값을 가진 저항 82에 의해서 전원전압이 중간정도 다운되어서 출력된다. 그러면 운전석을 비춰 주는 독서등 2는 중간레벨의 조도로 발광한다.In this state, if the driver seated in the driver's seat presses the corresponding reading light button 58 again (presses twice), the controller 70 recognizes this in step 210 of FIG. 5 and proceeds to step 212 to perform two-step illumination adjustment selection. That is, the controller 70 applies the illumination control selection signal SEL1 to the illumination controller 46 so that the input terminal B (FIG. 3) is selected. Then, the power supply voltage applied to the illuminance regulator 46 is outputted with the power supply voltage being down halfway by the resistance 82 having the intermediate resistance value. The reading lamp 2, which illuminates the driver's seat, emits light at a medium level of illumination.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석이 앉은 사람이 다시 한번 해당 독서등 버튼 58을 다시 누르면(3번 누름) 제어부 70은 제5a도의 214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16단계로 진행하여 3단계 조도 조절 선택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 70은 조도조절기 46에 조도조절선택신호 SEL1을 인가하여 입력단 C(제3도)가 선택되도록 한다. 그러면 조도조절기 46에 인가된 전원전압은 가장 작은 저항값을 가진 저항 84에 의해서 전원전압이 가장 적게 다운되어서 출력된다. 그러면 운전석을 비춰 주는 독서등 2는 가장 높은 레벨의 조도로 발광한다.In this state, when the driver's seat is seated again, the corresponding reading light button 58 is pressed again (pressing 3 times), the controller 70 recognizes this in step 214 of FIG. 5a and proceeds to step 216 to perform step 3 illuminance adjustment selection. That is, the controller 70 applies the illumination control selection signal SEL1 to the illumination controller 46 so that the input terminal C (FIG. 3) is selected. Then, the power supply voltage applied to the illuminance regulator 46 is outputted with the lowest supply voltage by the resistance 84 having the smallest resistance value. The reading lights 2, which illuminate the driver's seat, illuminate at the highest level of illuminance.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석이 앉은 사람이 다시 한 번 해당 독서등 버튼 58을 다시 누르면 (4번 누름) 제어부 70은 제5도의 218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20단계로 진행하여 0단계 조도 조절을 선택하고 해당 스위치를 '오프'한다. 즉, 제어부 70은 조도조절기 46에 조도조절선택신호 SEL1을 인가하여 입력단 D(제3도)가 선택되도록 접지레벨의 전압이 출력되게 한다. 그리고 스위칭제어신호 SW1을 인가하여 스위칭부 32에 인가하여 스위치 34가 '오프'되게 한다. 그에 따라 운전석을 비춰주는 독서등 2는 소등된다.In this state, when the driver's seat is pressed again, the corresponding reading light button 58 is pressed again (press 4 times), the control unit 70 recognizes this in step 218 of FIG. 5 and proceeds to step 220 to select the 0 level illumination control and the corresponding switch. 'Off'. That is, the controller 70 applies the illuminance adjustment selection signal SEL1 to the illuminance controller 46 so that the voltage of the ground level is output so that the input terminal D (3rd degree) is selected.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SW1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32 so that the switch 34 is 'off'. As a result, the reading lamp 2 illuminating the driver's seat goes out.

이후에도 해당 운전석 독서등 버튼 58이 인가되면 제어부 70은 제5a도의 222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전술한 제5a도의 208단계로 되돌아가서 거기서부터의 단계를 수행한다. 즉 독서등 버튼 58이 계속 눌려지면, 독서등 점등 및 독서등 1단계 조도유지 →독서등 2단계 조도 유지→ 독서등 3단계 조도유지 →독서등 소등의 순을 반복한다.Subsequently, when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58 is applied, the control unit 70 recognizes this in step 222 of FIG. 5A, and returns to step 208 of FIG. 5A and performs the steps therefrom. That is, when the reading light button 58 is pressed continuously, the reading light is turned on and the reading light is maintained at the first level of illuminance → the reading light is maintained at the second level of illumination → the reading light is maintained at the third level of illumination → the reading light is turned off.

상술한 일례는 운전석 독서등 2의 점등/소등 및 조도조절에 관해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일례의 설명은 승용차내 다른 좌석의 독서등들 즉, 독서등 4, 6, 8, 10등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The above-described example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n / off and illuminance control of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2. The description of this example applies equally to the reading lights of other seats in the passenger vehicle, that is, reading lights 4, 6, 8, 10, and the like.

한편 제5a도의 200단계에서 독서등 버튼 및 등모두선택버튼이 함께 눌려지면(1번 눌려짐) 제어부 70은 제5b도의 230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제5b도의 232단계로 진행한다. 232단계에서 제어부 70은 스위치부 32에 있는 모든 스위치들 34, 36, 38, 40, 및 42를 온시킨다. 그리고 조도조절부 44의 모든 조도조절기 46, 48, 50, 52, 54가 1단계 조도 조절상태를 선택하게 제어한다. 그에 따라 모든 독서등 2, 4, 6, 8, 10은 가장 낮은 조도로 발광한다. 이후 독서등 및 등모두선택버튼이 또 함께 눌려지면(2번 눌려짐) 제어부 70은 제5b도의 234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236단계로 진행한다. 236단계에서 제어부 70은 조도조절부 44의 모든 조도조절기 46, 48, 50, 52, 54가 2단계 조도 조절상태를 선택하게 제어한다. 그에 따라 모든 독서등 2, 4, 6, 8, 10은 중간레벨의 조도로 발광한다. 이후 독서등 및 등모두선택버튼이 또 함께 눌려지면(3번 눌려짐) 제어부 70은 제5b도의 238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240단계로 진행한다. 240단계에서 제어부 70은 조도조절부 44의 모든 조도조절기 46, 48, 50, 52, 54가 3단계 조도 조절상태를 선택하게 제어한다. 그에 따라 모든 독서등 2, 4, 6, 8, 10은 가장 높은 레벨의 조도로 발광한다. 이후 독서등 및 등모두선택버튼이 또 함께 눌려지면(4번 눌려짐)제어부 70은 제5b도의 242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244단계로 진행한다. 244단계에서 제어부 70은 조도조절부 44의 모든 조도조절기 46, 48, 50, 52, 54가 0단계 조도 조절상태를 선택하게 제어한다. 그리고 스위치부 32의 모든 스위치들 34, 36, 38, 40, 42를 오프시킨다. 그에 따라 모든 독서등 2, 4, 6, 8, 10은 소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ading light button and the light selection button are both pressed together (pressing once) in step 200 of FIG. 5A,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is in step 230 of FIG. 5B and proceeds to step 232 of FIG. 5B. In step 232, the control unit 70 turns on all the switches 34, 36, 38, 40, and 42 in the switch unit 32. And all the light adjusters 46, 48, 50, 52, 54 of the light control unit 44 controls to select the level 1 light control. As a result, all reading lights 2, 4, 6, 8, and 10 illuminate at the lowest illuminance. Then, if both the reading light and the lik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together (2 times),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is in step 234 of FIG. 5B and proceeds to step 236. In step 236, the controller 70 controls all of the illuminance controllers 46, 48, 50, 52, and 54 of the illuminance controller 44 to select the two-stage illuminance control state. As a result, all reading lamps 2, 4, 6, 8, and 10 emit light at intermediate levels of illumination. Then, if both the reading light and the lik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together (3 times),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is in step 238 of FIG. 5B and proceeds to step 240. In step 240,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all of the light intensity controllers 46, 48, 50, 52, and 54 of the light intensity controller 44 to select the three-level light intensity control state. As a result, all reading lights 2, 4, 6, 8, and 10 illuminate at the highest level of illuminance. Then, when both the reading light and the light selection button are pressed together (4 times),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is in step 242 of FIG. 5B and proceeds to step 244. In step 244,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all of the roughness controllers 46, 48, 50, 52, and 54 of the roughness controller 44 to select the zero-level illuminance control state. And all the switches 34, 36, 38, 40, 42 of the switch part 32 are turned off. As a result, all reading lights 2, 4, 6, 8 and 10 go out.

이후에도 독서등 및 등모두선택버튼이 함께 눌려지면 제어부 70은 제5b도의 246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전술한 232단계로 되돌아가서 거기서부터 해당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246단계에서 독서등버튼 및 등모드선택버튼이 함께 또 눌려지지 않으면 과정을 종료한다. 전술한 제5b도의 230단계 내지 246단계를 정리하면, 승용차에 승차한 사람이 독서등 버튼과 등모두선택버튼을 함께 계속 누르게 되면 모든 독서등들 2, 4, 6, 8, 10이 한꺼번에 점등 및 조도조절, 소등을 반복한다는 것이다.If both the reading light and the lik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together,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is in step 246 of FIG. 5B and returns to step 232 described above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step therefrom. However, if the reading light button and the back mode selection button are not pressed again in step 246, the process ends. When the steps 230 to 246 of FIG. 5B are summarized, when the person riding in the car keeps pressing the reading light button and the light selection button together, all the reading lights 2, 4, 6, 8, and 10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It is to repeat illumination control and turn off.

다음으로 승용차에 운전석에 앉은 사람이 각 좌석의 독서등들을 점등/소등 또는 조도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즉 제5a도의 206단계 서브루틴수행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person sitting in the driver's seat of the car will explain the operation of turning on / off or dimming the reading lights of each seat. That is, the operation of performing subroutine 206 in FIG. 5A will be described.

운전석에 앉은 사람이 앞자리 옆좌석 및 뒷자리 좌우 및 중간좌석의 독서등 4, 6 ,8 및 10을 원격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해당되는 등선택버튼 60을 누르면 된다. 제어부 70은 제5a도의 200, 202, 204단계를 통하여 이를 인식하고 206단계의 운전석에서의 독서등 점등/소등 및 조도조절 서브루틴을 수행한다. 상기 서브루틴의 구체 제어흐름도는 제6도이다.If the person sitting in the driver's seat wants to remotely control the reading lights 4, 6, 8, and 10 in the front, next, left and middle seats, press the corresponding light selection button 60. The controller 70 recognizes the operation through steps 200, 202, and 204 of FIG. 5A, and performs the reading light on / off and illuminance control subroutine in the driver's seat in step 206. FIG. The specific control flow diagram of the subroutine is FIG.

제6도를 참조하면, 제어부 70은 300단계에서 해당되는 등선택버튼에 대응된 스위칭부 32의 해당 스위치를 '온'시키고 조도조절부 44의 해당 조도조절기를 제어한다. 등선택버튼은 하나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등선택버튼의 입력횟수를 통하여 독서등을 선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등선택버튼은 운전석 독서등 이외의 독서등 4, 6, 8,10에 상응하는 개수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등선택에 상응하는 버튼을 누르면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unit 70 turns on the corresponding switch of the switching unit 32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light selection button in step 300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illumination controller of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44. The back selection button can be implemented as one. In this case, the reading light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frequency of the back selection button. In addition, the light selection button may be implement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ading lights 4, 6, 8, 10 other than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in this case, press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selection.

이후 306단계 내지 318단계에서 제어부 70은 운전석 독서등버튼 58의 눌린 횟수에 응답하여 선택된 소정 독서등의 점등/소등 및 조도조절을 수행한다.Thereafter, in steps 306 to 318,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lighting / lighting off and illuminance of the selected predetermined reading light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times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58 is pressed.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운전석 독서등버튼 58이 눌려지면 (1번 눌려짐)제어부 70은 등선택된 해당 조도조절기를 1단계 조도 조절상태로 선택되게 한다.(302~304단계). 그에 따라 등선택된 독서등은 가장 낮은 레벨의 조도로 발광한다. 운전석 독서등버튼 58이 다시 눌려지면(2번 눌려짐)제어부 70은 등선택된 해당 조도조절기를 2단계 조도 조절상태로 선택되게 한다. (306~308단계). 그에 따라 등선택된 독서등은 중간 레벨의 조도로 발광한다. 그후, 운전석 독서등버튼 58이 또다시 눌려지면(3번 눌려짐)제어부 70은 등선택된 해당 조도조절기를 3단계 조도 조절상태로 선택되게 한다.(310~312단계). 그에 따라 등선택된 독서등은 가장 높은 레벨의 조도로 발광한다. 그후, 운전석 독서등버튼 58이 또다시 눌려지면(4번 눌려짐)제어부 70은 등선택된 해당 조도조절기를 0단계 조도 조절상태로 선택되게하고, 스위칭부 32의 해당 스위치를 '오프'한다(314∼316단계). 그에 따라 등선택된 독서등은 소등된다.Specifically, when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58 is pressed (pressed once), the control unit 70 causes the corresponding illuminance controller, which is selected, to be selected as the first stage illuminance control state (steps 302 to 304). The reading lamp thus selected emits light at the lowest level of illuminance. When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58 is pressed again (2 times), the control unit 70 causes the corresponding light selector to be selected as the two-stage illuminance control state. (Steps 306-308). The reading lamp thus selected emits light at an intermediate level of illuminance. Thereafter, when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58 is pressed again (3 times), the control unit 70 causes the corresponding illumination controller to be selected as the three-step illumination control state (steps 310 to 312). The reading lamp thus selected emits light at the highest level of illuminance. Then, when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58 is pressed again (4 times), the control unit 70 causes the correspondingly selected illuminance controller to be selected as the 0-level illuminance control state and 'off' the corresponding switch of the switching unit 32 (314). ~ 316 steps). Accordingly, the selected reading lamp is turned off.

그후 운전석 독서등버튼 58이 또다시 눌려지면 제어부 70은 318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304단계로 되돌아가서 거기서부터의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만약 운전자 독서등 버튼 58이 눌려지지 않으면 제어부 70은 318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320단계로 진행한다. 320단계에서 제어부 70부 또다른 등선택을 위한 등선택버튼 60이 눌려졌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등선택버튼 60이 눌려졌으면 제어부 70은 300단계로 되돌아 거기서부터의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그러나 만약 또 다른 등선택을 위한 등선택버튼 60이 눌려지지 않으면 과정을 종료한다.If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58 is pressed again,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this in step 318 and returns to step 304 to perform the steps therefrom. If the driver reading light button 58 is not pressed,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this in step 318 and proceeds to step 320. In step 320,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whether the light selection button 60 for selecting another light is pressed. If the light selection button 60 is pressed, the control unit 70 returns to step 300 to perform the steps therefrom again. However, if the back selection button 60 for another back selection is not pressed, the process ends.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독서등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7도를 참조하면, 독서등버튼 56, 62, 64, 66, 68 및 등선택버튼 60 후단에 감지센서들 72가 더 부가되어 있다. 이럴 경우 제7도에 따른 독서등버튼 56, 62, 64, 66, 68 및 등선택버튼 60은 터치버튼으로 구현된다. 제7도의 같은 실시예는 승용차에 승차한 사람이 독서용 버튼을 터치만 해도 독서등이 점등/소등 및 조도조절이 되게 한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ssenger car reading ligh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sensing sensors 72 are further added to the rear end of the reading light buttons 56, 62, 64, 66, 68 and the light selection button 60. In this case, the reading light buttons 56, 62, 64, 66, 68 and the light selection button 60 according to FIG. 7 are implemented as touch buttons. The same embodiment of FIG. 7 allows the reading light to be turned on / off and dimming even if the person riding in the car touches the reading butt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독서등상에 감지센서를 부착하면 제7도와 같은 독서등 버튼들 없이도 사용가능한다. 이때에는 독서등을 터치만 해도 독서등이 점등/소등 및 조도조절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하여 진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etection sensor is attached to the reading light, it can be used without the reading light buttons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reading light may be turned on / off and illumination control only by touching the reading light, which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승용차내 좌석마다 독서등이 설치되므로 각 좌석에서 독서를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해당 독서등의 점등/소등 및 조도 조절을 해당 좌석에 앉은 사람이 할 수 있으며, 또한 운전석에 앉은 사람이 원하는 독서등을 점등/소등 및 조도조절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ad in each seat because a reading light is installed for each seat in the car. In addition, the person sitting in the seat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and illuminance of the corresponding reading light,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turning on / off and illuminating the desired reading light of the person sitting in the driver's sea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승용차 지붕 천정에서의 독서등의 위치 및 개수, 독서등의 조도조절 단계, 독서등 버튼의 위치 등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는한 이러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후술될 특허청구의 범위와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the position and number of reading lights on the roof ceiling of the car, the step of adjusting the illumination of the reading light, the position of the button of the reading light, but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claims.

Claims (7)

승용차의 독서등 조도조절 장치에 있어서, 각 좌석 위의 승용차 지붕 천정에 설치되며, 해당 각 좌석에서의 독서가능한 영역을 비추는 독서등들과, 상기 독서등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승용차내 윈도우 암에 각각 설치되며 해당 좌석 승차인이 점등/소등 및 독서등의 조도조절을 위해 누를 수 있는 독서등버튼들과, 소정 스위칭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해당 독서등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부와, 소정 조도조절 선택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온된 소정 스위치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레벨 조절하여 해당 독서등에 공급하는 독서등 조도조절부와, 상기 독서등버튼들중 소정 독서등버튼의 눌려짐에 응답하여 그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칭부의 소정 스위치가 선택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독서등버튼의 눌러짐에 응답하여 상기 독서등 조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 조도조절 장치.A reading light illuminance control device for a passenger car, comprising: reading lights installed on a roof ceiling of a passenger car on each seat and illuminating a readable area at each seat;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ading light; and in the passenger car. Reading light buttons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window arm and which the seat occupant can press to adjust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 lighting off and the reading light, and suppl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corresponding reading light based on a predetermined switching control. A switching unit for shutting off, a reading lamp illumina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power supply voltage applied through the switched-on predetermined switch on the switching unit based on a predetermined illumination control selection control, and supplying the reading to the corresponding reading lamp;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f a predetermined reading light button, the switch is selected such that a predetermined switch of the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hereto is selected. Referred to parts of the control, and wherein the reading light of the button press, such as reading illum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s composed 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ading lamp dimming in response to a load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조절부는 상기 스위칭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다수개로 서로 다른 저항값에 의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다수의 출력 전압레벨이 되게 저항들과, 상기 다수의 출력 전압레벨을 각각의 입력으로 상기 조도조절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하나의 전압레벨을 선택출력하는 멀티플랙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 조도조절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lluminance control unit is a plurality of output voltage leve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output voltage leve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voltages applied from the switching unit based on a different resistance value, respectively, The illumination light adjusting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ultiplex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one voltage level in response to the illumination control selection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등 버튼들중에서 뒷자리 중앙좌석에 해당하는 독서등버튼은 주차브레이크 하우징 뒷편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 조도조절 장치.According to claim 2, Among the reading light buttons, the reading ligh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rear seat center seat is a reading light dim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parking brake housing. 각 좌석위 승용차 지붕 천정에 각각 설치되며, 독서 가능한 조도로 해당 각 좌석에서의 독서가능한 영역을 비추는 독서등과, 상기 승용차내 각 원도우암에 각각 설치되며 해당 좌석 승차인이 점등/소등 및 조도조절을 위해 누를 수 있는 독서등버튼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는 승용차의 독서등 장치에서 해당 좌석에서의 독서등 조도조절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해당 좌석의 독서등 버튼이 눌려짐에 응답하여 그에 상응하는 좌석의 독서등에 전원 공급토록 제어하는 제1과정과, 상기 독서등 버튼의 재차 눌려짐에 응답하여 선택된 독서등의 조도를 선택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t is installed on the roof ceiling of each car on each seat, and it is installed on each of the window arms in the car with a reading light that illuminates the reading area of each seat, and the passengers of the seat are turned on / off and light control. A method for adjusting the illumination of a reading light of a corresponding seat in a reading light device of a passenger car comprising a reading light button that can be pressed for a corresponding seat,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f the reading light button of the corresponding seat And a second process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reading light of the reading light and a second process of selecting illuminance of the selected reading light in response to the reading light button being pressed agai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독서등 버튼이 1번 눌려짐에 응답하여 독서등 점등 및 독서등의 조도를 낮은 레벨로 유지토록 제어하는 제1단계와, 상기 독서등 버튼이 2번 눌려짐에 응답하여 독서등의 조도를 중간레벨로 유지토록 제어하는 제2단계와, 상기 독서등 버튼이 3번 눌려짐에 응답하여 독서등의 조도를 높은 레벨로 유지토록 제어하는 제3단계와, 상기 독서등 버튼이 4번 눌려짐에 응답하여 상기 독서등을 소등토록 제어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이후에 다시 상기 독서등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제1단계부터 제4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process includes controlling a lighting of the reading light and maintaining the illuminance of the reading at a low level in response to the reading of the reading light button once. A second step of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of the reading light to a medium level in response to being pressed once; and a third step of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of the reading light to a high level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f the reading light button three times And a fourth step of turning off the reading light in response to the reading light button being pressed four times, and if the reading light button is pressed again after the fourth step, performing the first to fourth steps. And a fifth step of performing agai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소정 독서등 버튼의 눌려짐에 응답하여 모든 독서등의 점등/소등 및 조도조절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process further comprises selecting on / off and dimming of all the reading lights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f a predetermined reading light butt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운전석 독서등 버튼이 1번 눌려짐에 응답하여 선택된 독서등 점등 및 독서등의 조도를 낮은 레벨로 유지토록 제어하는 제1단계와, 상기 운전석 독서등 버튼이 2번 눌려짐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독서등의 조도를 중간레벨로 유지토록 제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운전석 독서등 버튼이 3번 눌려짐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독서등의 조도를 높은 레벨로 유지토록 제어하는 제3단계와, 상기 운전석 독서등 버튼이 4번 눌려짐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독서등을 소등토록 제어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이후에 다시 상기 운전석 독서등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제1단계부터 제4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econd process includes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selected reading light and maintaining the illuminance of the reading light at a low level in response to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being pressed once. A second step of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of the selected reading light to an intermediate level in response to the two pressings; and the illumination of the selected reading light to a high level in response to pressing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three times. A third step of maintaining the control, a fourth step of turning off the selected reading light in response to the driver's seat reading button being pressed four times, and after the fourth step, the driver's seat reading light button is pressed again. And a fifth step of performing the first step to the fourth step again.
KR1019960008068A 1996-03-23 1996-03-23 Reading lamp regulator of a car KR01496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068A KR0149630B1 (en) 1996-03-23 1996-03-23 Reading lamp regulator of a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068A KR0149630B1 (en) 1996-03-23 1996-03-23 Reading lamp regulator of a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012A KR970068012A (en) 1997-10-13
KR0149630B1 true KR0149630B1 (en) 1998-10-01

Family

ID=1945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068A KR0149630B1 (en) 1996-03-23 1996-03-23 Reading lamp regulator of a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6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263A (en) * 2005-12-06 2007-06-1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Car lighting control device that use a/v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263A (en) * 2005-12-06 2007-06-1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Car lighting control device that use a/v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012A (en)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86842A (en) Vehicle interior lighting system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
JPS592994Y2 (en) Switch operating position and operating status display device
KR10064444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illumination of illuminator of vehicle
JP2010076519A (en) Compartment lighting system
KR0149630B1 (en) Reading lamp regulator of a car
US5291103A (en)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windows of vehicles
CN207907126U (en) Room light system and vehicle
JPH05270314A (en) Interior lighting system for bus
CN114670749B (en) Automobile indoor reading lamp control system and automobile
CN115623640A (en) Lighting control system
KR20150072841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urtain of vehicle
JPH05229385A (en) Interior lighting device in vehicle
JP2001035672A (en) Lighting device
JP6526426B2 (en) Car interior lighting device
KR0119178Y1 (en) Room lamp panel of a car
CN110557872A (en) Interior lighting system
KR20180130757A (en) Automotive sun visor lighting system
KR0147180B1 (en) Room lamp of a car
KR100269762B1 (en) A car room lamp
KR970002498Y1 (en) Car room lamp
JPH0917576A (en) Lighting system
KR19980038514U (en) Floor light lighting device of car
JP2000247181A (en) Vehicle lighting system
KR19980066074U (en) Remote arm control on the rear armrest
KR0113079Y1 (e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car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