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025B1 -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for accomodating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 Google Patents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for accomodating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025B1
KR0147025B1 KR1019940036141A KR19940036141A KR0147025B1 KR 0147025 B1 KR0147025 B1 KR 0147025B1 KR 1019940036141 A KR1019940036141 A KR 1019940036141A KR 19940036141 A KR19940036141 A KR 19940036141A KR 0147025 B1 KR0147025 B1 KR 0147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25018A (en
Inventor
윤성재
신창둔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양승택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025B1/en
Publication of KR96002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0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02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려는 정보제공자(IP)의 서비스 데이타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용자와 정보제공자간의 통신프로토콜인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이 지원되는 정보제공자(IP)에 있어서, 정보제공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에 맞게 이용자에게 제공하며, 이용자의 각종 입력을 처리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가 개시되면 서비스 제어 테이블을 초기화한 후에 가입자 접속장치의 요청 내용이 상품 코드 접속인지 정보제공자 접속인지를 구분하여 정보제공자에 대한 초기 화면을 출력하고 이용자 입력을 대기하는 제 1 단계; 정보제공자 프로토콜과 명령어를 분석하여 정보를 처리한 후에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제 2 단계; 및 데이타 화면을 출력한 후에 상기 이용자 입력 대시 상태로 천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단계의 정보 처리 과정을, 매개 변수를 초기화하고 입력파라미터를 분석한 후에 상기 정보제공자가 분류한 상품 코드 또는 메뉴 식별자에 따른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을 선택하여 해당 화면의 데이타 제어 레코드를 추출하는 제 4 단계; 상기 정보제공자가 제공한 정보 목록에 의하여 이용자로부터 전달된 서비스 프리미티브에 따라 정보 입력, 정보 변경 및 정보 삭제 과정을 수행한 후에 해당 화면의 데이타를 갱신하는 제 5 단계; 및 정보 처리 내용을 상기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믈에 기록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정보제공자의 다양한 가치 창조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service data of an information provider (IP) to provide information to an information user. An information provider (IP) supporting an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which is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user and an information provider, is supported. In order to provide a user with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and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that can process and service various user inputs, the service control table when the service is started. A first step of distinguishing whether a request for a subscriber access device is a product code connection or an information provider connection after initializing the terminal, outputting an initial screen for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waiting for user input; A second step of configuring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after analyzing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and the command to process the information; And a third step of transitioning to the user input dashed state after outputting the data screen, where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of the second step is performed after initializing the parameters and analyzing the input parameters. A fourth step of selecting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according to the code or menu identifier and extracting the data control record of the corresponding screen; A fifth step of updating data on the screen after performing information input, information change, and information deletion process according to a service primitive delivered from the user by the information list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a sixth step of record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ntents in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and satisfying the needs of creating various values of the information provider.

Description

정보제공자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to accommodate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처리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2도는 통신처리시스템과 정보제공자(IP) 프로토콜의 동작 절차도.2 is an operation procedure diagram of a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and an information provider (IP) protocol.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제공자(IP) 서비스의 구조도.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nformation provider (IP) ser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제공자 서비스의 처리 흐름도.4 is a flowchart of processing of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5도는 정보제공자(IP) 서비스 제어 테이블의 구조도.5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nformation provider (IP) service control table.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흐름도.6 is a flow char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의 구조도.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공중 전화망 5:통신처리시스템4: public telephone network 5: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9:공중 데이타 통신망 10:정보제공자9: public data network 10: information provider

본 발명은 앞으로 제공될 예정인 국내 통신처리시스템 서비스망(01410 하이텔 서비스망 등)에서 정보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려는 정보제공자(IP)의 서비스 데이타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service data of an information provider (IP) to provide information to an information user in a domestic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service network (01410 Hitel service network, etc.) to be provided in the future. .

최근에 정보서비스 이용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용자의 정보에 대한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정보제공자가 많이 늘어난 상태이며, 또한 가지고 있는 정보에 대한 가치 창조의 욕구가 정보제공자를 다양하게 만들어 가고 있다.Recently, as the rate of use of information service has increased rapidly and the user's desire for information has increased, the number of information providers who want to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has increased. Also, the desire to create value for information has diversified information providers. have.

그러나, 현재까지 정보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일정한 규격이나 틀도 없이 각각의 정보제공자가 독자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에서도 독자적인 방법을 취하였으며,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의 수용에 관하여는 전혀 고려의 대상이 아니었다.However, until now, the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has been independently performed by each information provider without any standard or framework. This method took an independent method in the information service data control method, and was not considered at all about the acceptance of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이와 같은 현상은 정보이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정보 검색 장치의 통일된 현상을 만드는 데에도 불리할 뿐만아니라,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자 입장에서도 정보서비스의 관리에 필요한 각종 노력을 개별적으로 들여야 한다는 불이익을 감수하여야 한다. 이에 새로이 제안되는 정보제공자 프로토콜 수용을 위한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에 관한 새로운 기준의 마련이 필요하게 되었다.Such a phenomenon is not only disadvantageous in creating a unified phenomenon of the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provided to the information users, but also bears the disadvantage that the information providers who provide the information must individually make various efforts for the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service. sha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new standard for information service method control method for accommodating the newly proposed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따라서, 본 발명은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을 수용하면서 종래의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하던 각종 개인용 컴퓨터 통신 기능을 차질없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수축하고자 제공하는 정보의 체계화와 저장된 정보를 적절하게 입출력하기 위한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systemizing and storing information provided to shrink a service that can provide various personal computer communication functions provided by a conventional service system without disrupting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provided by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즉, 본 발명은 이용자와 정보제공자간의 통신프로토콜인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이 지원되는 정보제공자(IP)에 있어서, 정보제공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에 맞게 이용자에게 제공하며, 이용자의 각종 입력을 처리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provider (IP) that supports an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which is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user and the information provider,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and process various inputs of the us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that can be serviced by a service provid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장치에 적용되는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가 개시되면 서비스 제어 테이블을 초기화한 후에 가입자 접속장치의 요청 내용이 상품 코드 접속인지 정보제공자 접속인지를 구분하여 정보제공자에 대한 초기 화면을 출력하고 이용자 입력을 대기하는 제 1 단계; 정보제공자 프로토콜과 명령어를 분석하여 정보를 처리한 후에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제 2 단계; 및 데이타 화면을 출력한 후에 상기 이용자 입력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시 제 2 단계의 정보 처리 과정은, 매개 변수를 초기화하고 입력파라미터를 분석한 후에 상기 정보제공자가 분류한 상품 코드 또는 메뉴 식별자에 따른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을 선택하여 해당 화면의 데이타 제어 레코드를 추출하는 제 4 단계; 상기 정보제공자가 제공한 정보 목록에 의하여 이용자로부터 전달된 서비스 프리미티브에 따라 정보 입력, 정보 변경 및 정보 삭제 과정을 수행한 후에 해당 화면의 데이타를 갱신하는 제 5 단계; 및 정보 처리 내용을 상기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에 기록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applied to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wherein when a service is started, the request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access device is initialized after the service control table is initialized. A first step of distinguishing the recognition and outputting the initial screen for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waiting for the user input; A second step of configuring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after analyzing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and the command to process the information; And a third step of transitioning to the user input standby state after outputting a data screen, wherein the third step includes the step of constantly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second step by initializing parameters and analyzing the input parameters. A fourth step of selecting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according to a product code or menu identifier classifi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extracting a data control record of a corresponding screen; A fifth step of updating data on the screen after performing information input, information change, and information deletion process according to a service primitive delivered from the user by the information list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a sixth step of recording information processing contents in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본 발명은 서비스 프로그램내에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을 두고,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에 고유의 역할을 부여하므로써,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을 지원할 뿐만아니라 서비스 이용자를 위한 화면 및 정보의 제공과, 통신처리시스템에 제공하는 각종 정보제공자 프로토콜 프리미티브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in a service program and assigns a unique role to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thereby supporting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as well as providing screens and information for service users, and a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It allows for the processing of various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primitives provided b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적용되는 통신처리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통신처리시스템(5)이 공중 데이타 통신망(9)에서 정보제공자(10)와 이용자(1) 사이에 어떻게 위치하는지를 나타낸다.Hereinafter, a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to which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applied, it shows how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5 is located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er 10 and the user 1 in the public data communication network 9.

통신처리시스템(5)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1) 측면에서 보면, 가입자망(4)의 이용자 터미널(2,3)과 공중 데이타 통신망(9)을 통하여 정보제공자(10)를 연결하여,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관문시스템의 역할을 한다.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 1 using the service,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5 connects the information provider 10 through the user terminals 2, 3 of the subscriber network 4 and the public data communication network 9, thereby providing information. It acts as a gateway system to provide communication services.

여기서, 가입자망은 일반 공중전화망(4)을 기본으로 하며, 이용자 단말(2,3)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각종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며, 다양한 단말기에 대한 접속 기능은 통신처리시스템(5)에서 제공하고 있다.Here, the subscriber network is based on the general public telephone network (4), the user terminal (2, 3) is for a variety of terminal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he connection function for the various terminals is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5) Providing.

정보이용자(1)가 통신처리시스템(5)을 이용하여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정보제공자(10)의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자(IP : Information Provider)(10)가 좀 더 빠른 공중 데이타 통신망(9)을 통하여 통신처리시스템(5)에 접속되며, 서비스 안내를 위한 시스템(GDS : Guidance system)(6)이 통신처리시스템(5)에 실장된다. 통신처리시스템(5)의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정보제공자(10)는 프로토콜형 정보제공자(10)와 가입자 접속장치(ISAP)(8)간의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을 만족하는 응용(Application)을 프로토콜(Protocol)형 정보제공자(10)에 구현하여야 한다.In order for the information user 1 to freely use the service of the information provider 10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5, an information provider (IP) 10 providing information is provided. I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5 through a faster public data communication network 9, and a system for service guidance (GDS: Guidance system) 6 is mounted in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5. The information provider 10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of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5 has a protocol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that satisfies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between the protocol type information provider 10 and the subscriber access device (ISAP) 8. )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information provider (10).

이때, 정보제공자 프로토콜 지원을 위한 상품코드 등의 정보제공자에 대한 정보는 안내 시스템(GDS)(6)에 등록되며, 안내 시스템(6)에 등록된 정보제공자(10)에 대한 정보서비스 이용 요구가, 이용자(1)에 의하여 발생하면 정보제공자(10)는 가입자 접속장치(8)를 통하여 서비스 이용에 대한 인증을 요구하게 된다.At this time,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provider such as product code for supporting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is registered in the information system (GDS) (6), the information service use request for the information provider 10 registered in the information system (6) If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user 1, the information provider 10 requests authentication for service use through the subscriber access device 8.

제 2 도는 통신처리시스템과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의 동작 절차도로서, 통신처리시스템을 운용하는 망사업자가 정보제공자를 대신하여 이용자를 관리하고, 이용자의 정보서비스를 이용요금을 정보제공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하는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의 동작절차 관계를 나타낸다.2 is an operation procedure diagram of a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and an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in which a network operator ope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manages a user on behalf of an information provider and provides a user with a fee for using the information service of the user. It shows the operation procedure relationship of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현재 국내의 통신서비스는 정보료 회수대행을 위한 프로토콜을 수용하고 있지 않으나, 이 기능을 수용하기 위한 통신처리시스템(5)에서는, 각 시스템 구성요소간의 프로토콜 상호접속을 위하여 P1내지 P4(28,29,ⓑ,ⓒ)의 4종류 프로토콜을 정의하며, 이를 이용하여 가입자 관리기능, 상세 과금정보 생성기능, 정보요금 처리기능 등을 구현하고 있다.Currently, domestic communication services do not accommodate protocols for collecting information fees, but in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5 for accommodating this function, P1 to P4 (28,29) for protocol interconnection between each system component. It defines four types of protocols, ⓑ, ⓒ), and implements subscriber management function, detailed billing information generation function, and information charge processing function.

4종류의 프로토콜은 가입자 접속장치(21)와 정보제공자(22) 사이의 P1 프로토콜(28), 가입자 접속장치(21)와 안내 시스템(23)간의 P2 프로토콜(29), 가입자 접속장치(21)와 운용 및 유지보수부(OAM/AM)(27) 간의 P3 프로토콜ⓒ, 가입자 접속장치(21)와 운용 및 유지보수부(OAM/SM)간의 P4 프로토콜ⓑ로 구성되어 있다.The four types of protocols are the P1 protocol 28 between the subscriber access unit 21 and the information provider 22, the P2 protocol 29 between the subscriber access unit 21 and the guidance system 23, and the subscriber access unit 21. And P3 protocol ⓒ between the OA / AM 27 and the subscriber access device 21 and the P4 protocol ⓑ between the OAM / SM.

제 3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제공자(IP) 서비스의 구조도로서, 정보제공자 프로토콜 서비스의 구성형태를 나타낸다.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nformation provider (IP) ser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shows a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servic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중 통신망(37)과의 인터페이스(36)를 거쳐서,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을 추출하는 정보제공자 프로토콜 관리자(35)와 이용자 인터페이스(34)를 거쳐 입력된 이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서비스 제어부(32) 및 데이타 제어부(33)를 구비한다. 서비스와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각종 테이블(3a,3b,3c)들이 정의 되며, 이 테이블들이 서비스 제어 데이타(3d)를 호출하게 되며, 여기에 연결된 각종 정보(38)가 이용자의 단말기에 출력된다. 이용자의 단말기에 출력되기 이전에 정보제공자 프로토콜 관리자(35)의 프로토콜 변환기를 거치게 되며, 서비스 관리자(31)는 이러한 정보제공자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자체를 관리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에 관련된 각종 데이타(3e)는 로그 관리자(39)의 로그 프로세스(Logprocess)를 통하여 각종 로그(Log)로 생성되어 보관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user's input is input via an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manager 35 and a user interface 34 which extract an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via an interface 36 with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37 for service provision. And a service control unit 32 and a data control unit 33 for processing. Various tables 3a, 3b and 3c for processing the service and data are defined, and these tables call the service control data 3d, and the various information 38 connected thereto is output to the user's terminal. Before being output to the user's terminal, the protocol converter of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manager 35 passes through, and the service manager 31 manages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service system itself. At this time, various data 3e related to service provision are generated and stored in various logs through a log process of the log manager 39.

제 4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제공자 서비스의 처리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of processing of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서비스가 개시되면(41), 각 이용자에게 필요로 하는 환경 변수 처리 및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 관리자가 이용하는 서비스 제어 테이블을 초기화한 후에(42) 가입자 접속장치의 요청 내용이 상품 코드 접속인지 또는 정보제공자 접속인지를 구분하여 정보제공자에 대한 초기 화면을 출력한다(43). 다음 서비스를 개시할 준비가 되면, 대기 상태로 있다가(44)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에 맞게 들어오는 데이타를 분석하고(45), 이 분석된 정보제공자 프로토콜 데이타를 이용하여 명령어를 분석하여(46) 정보제공자 접속인 경우에는 정보제공자 전체의 초기 화면을 제공하고, 상품 코드 접속인 경우에는 해당 상품 코드에 대한 정보제공자 자체의 인증 기능 등을 처리한다. 즉 이동명령어 처리(47), 종료명령어 처리(48), 부가기능 처리(49), 정보검색(4a), 정보 입력(4b) 및 도움말 제공(4c) 기능을 수행한 다음에, 출력할 데이타를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에 맞게 조립하여(4d) 데이타 화면을 출력한 후에(4e) 다시 이용자 입력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44). 이때, (45)에서 (4d)까지는 데이타의 처리, 명령어 분석 등을 위하여 후술되는 제 5 도의 서비스 제어 테이블을 불러들여 사용한다.When the service is started (41), after initializing the service control table used by the service manager for the service for the service and processing the environmental variables required by each user (42), whether the request of the subscriber access device is a product code connection or The initial screen for the information provider is output by distinguishing whether the information provider is connected (43). When it is ready to start the next service, it is in a waiting state (44) to analyze the incoming data for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45), and analyzes the commands using this analyzed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data (46). In the case of a connection, an initial screen of the entire information provider is provided. In the case of a product code connection, the authentication func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er itself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code is processed. That is, after performing the movement command processing 47, the termination command processing 48,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ing 49, the information retrieval 4a, the information input 4b and the help providing 4c, After assembling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4d) and outputting the data screen (4e), the state transitions back to the user input waiting state (44). At this time, from (45) to (4d) to use the service control table of FIG. 5 to be described later for processing data, command analysis, and the like.

제 5 도는 정보제공자(IP) 서비스 제어 테이블 구조도로서, 정보제공자(IP)가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상기 제 3 도의 서비스 관리자(31)가 이용하는 서비스 제어 테이블의 구조이다.FIG. 5 is a structure diagram of an information provider (IP) service control table, which is a structure of a service control table used by the service manager 31 of FIG. 3 so that an information provider (IP) may implement and service an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메뉴 이름(MenuName)(51)은 메뉴 이동 명령(Go Command)의 목적지(Destination)가 되며, 메뉴 화면의 최상단에 예비(Reserve)표시된다. 메뉴 식별자(MenuId)(52)는 서비스의 해당 메뉴가 가지는 고유 번호로 별도의 번호 방식에 의하여 부여되며, 서비스 효율 제고를 위한 독특한 체계를 가진다. 즉, 메뉴 식별자(52)는 8바이트로 구성되어 그 바이트의 구성 순서에 따라 b1, b2, b3, b4, b5, b6, b7, b8이라 명명하여, 상위 2바이트(b1, b2)는 정보제공자의 서비스 상품을 구분하는 구분자로 이용하고, 다음은 2바이트(b3, b4)는 상품내의 메뉴별 구분에 사용하며, 다음의 2바이트(b5, b6)는 해당 상품의 메뉴 확장을 위하여 사용하고, 촤하위의 2바이트는(b7, b8)는 메뉴 화면에서의 상품선택코드로서 사용하게 하는 특성을 갖도록 하며, 메뉴 이동이나 상품 선택시 현재 메뉴 식별자의 차상위 2바이트만을 분류에 이용하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자의 상품코드 유무를 핀단하도록 한다.The MenuName 51 serves as a destination of the Go Command, and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menu screen. The menu identifier (MenuId) 52 is a uniqu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menu of the service, which is given by a separate numbering scheme, and has a unique scheme for improving service efficiency. That is, the menu identifier 52 is composed of 8 bytes and named b1, b2, b3, b4, b5, b6, b7, b8 according to the order of configuration of the byte, and the upper two bytes (b1, b2) are information providers. It is used as a separator to classify the service products of the following, the next two bytes (b3, b4) is used to distinguish by menu in the product, the next two bytes (b5, b6) is used to expand the menu of the product, The lower two bytes (b7, b8) have the property of being used as a product selection code on a menu screen, and only the next two bytes of the current menu identifier are used for classification when moving a menu or selecting a product. To pinpoint the existence of the product code by the information provider.

서비스형태(ServiceType)(53)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형태를 정의한다. 이 값에 따라 다음 두가지 테이블 값의 용도가 틀려진다. 이 값이 엠(M)일 경우에는 디렉토리(Directory)(55)가 서비스 구성을 위한 디렉토리임을 나타내게 되며, 메뉴 상품 번호(MenuItemNumber)(54)가 메뉴의 상품(ITEM)갯수를 나타낸다. 이 값이 비(B)일 경우에는 디렉토리(Directory)(55)는 하나의 전자게시판(BBS)형 서비스제공을 위한 디렉토리(Directory)임을 나타낸다. 이때 메뉴 상품 번호(MenuItemNumber)(54)는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이 값이 피(P)경우에는 디렉토리(Directory)(55)는 하나의 공개자료실(PDS)형 서비스제공을 위한 디렉토리(Directory)임을 나타낸다. 이때에도 메뉴 상품 번호(MenuItemNumber)(54)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 값이 씨(C)인 경우애는 디렉토리(Directory)(55)가 특수 서비스제공을 위한 서비스 호출 명령(Service Call Command)임을 나타내어 메뉴 상품 번호(MenuItemNumber)(54) 가 위 명령(Command)의 옵션 파라미터(option Parameter)갯수를 나타내고, 옵션 필드_1(Optionfield_1)(63) 내지 옵션 필드_4(Optionfield_4)(64,65,66) 가 위 명령(Command)의 옵션(Option)으로 사용된다. 이 값이 제트(Z)인 경우에는 디렉토리(Directory)(55)가 서비스 점프(Zump)를 위한 점프 코드(Zump Code)로 사용된다.ServiceType 53 defines the type of service provided. According to this value,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two table values is different. If this value is M, it indicates that the directory 55 is a directory for service configuration, and the menu item number 54 indicates the number of items (ITEM) of the menu. When this value is non-B, the directory 55 represents a directory for providing one BBS type service. At this time, the menu item number (MenuItemNumber) 54 is not used. In addition, if this value is P, the directory 55 indicates that the directory 55 is a directory for providing a single PDS type service. At this time, the menu item number (MenuItemNumber) 54 is not used. If this value is C, it indicates that Directory 55 is a Service Call Command for providing a special service, so that MenuItemNumber 54 is the same as that of Command. The number of option parameters is shown, and option fields _1 (Optionfield_1) 63 to option fields _4 (Optionfield_4) 64, 65 and 66 are used as options of the above command. If this value is a jet Z, the directory 55 is used as the jump code for the service jump.

메뉴 상품 번호(MenuItemNumber)(54)는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의 상품(ITEM)갯수를 나타낸다.The menu item number (MenuItemNumber) 54 indicates the number of items (ITEM) of the service menu to be provided.

디렉토리(Directory)(55)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메뉴나 공개자료실(PDS) 또는 전자게시판(BBS) 형태 서비스의 홈(HOOM) 디렉토리를 지정하거나 서비스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Command)이 들어간다. 점프(Zump)명령인 경우에는 점프(Zump)할 제어 레코드의 메뉴 식별자(MenuId)를 가진다.The directory 55 includes a menu of a provided service or a command for designating a home directory of a public library (PDS) or electronic bulletin board (BBS) type service or performing a service command. In the case of a jump command, it has a menu identifier (MenuId) of a control record to be jumped.

메뉴 선택기(MenuSelector)(56)는 서비스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는 번호 선택자를 지정한다. 이때 사용하는 형식은 n[,m[N-M]]이다.Menu selector 56 specifies a number selector that can be selected from the service menu. The format used at this time is n [, m [N-M]].

여기서, 메뉴 상품 번호(54)와 메뉴 선태기(56)는 서비스 형태(53)의 값중에서 그 값이 비(B)또는 피(P)인 경우에 유효한 값으로 사용하며, 서비스 형태(53)의 값이 비(B) 또는 피(P)인 경우에 메뉴 상품 번호(54)는 현재 상품중에서 선택 가능한 세부 정보의 개수를 표시하며, 메뉴 선택기(56)는 이때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메뉴 화면상의 항목 선택자로 이용되도록 한다.Here, the menu item number 54 and the menu selector 56 are used as valid values when the value of the service type 53 is non-B or P, and the service type 53 is used. If the value of is ratio (B) or blood (P), the menu item number 54 indicates the number of detail information that can be selected from the current product, and the menu selector 56 then selects an item on the menu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o be used as a selector.

프리빌리지(Privilege)(57)는 사용자의 비밀(Security)을 보장하기 위한 필드(Field)이며, 상위 메뉴 식별자(ParrentMenuId)(58)는 현재 서비스의 상위 메뉴 식별자(Identifier)로 메뉴의 이동이나 서비스의 종료시에 이동할 메뉴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Privilege 57 is a field to guarantee the security of the user, and parent menu identifier 58 is a parent menu identifier of the current service. Used to distinguish the menu to be moved at the end of.

카운터 시작 어드레스(CounterStartAddress)(59)는 메뉴 파일(File)에서 전체 자료수와 최신 자료수를 표시하는 칸의 X,Y바이트(Byte) 단위의 좌표값이다.The counter start address 59 is a coordinate value in units of X and Y bytes of a column indicating the total number of data and the latest number of data in the menu file.

상품코드(ItemCode)(60)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상품코드를 정의한다. 즉, 상품 코드(60)는 10바이트로 구성되어 그 바이트의 구성 순서에 따라 b0, b1, b2, b3, b4, b5, b6, b7, b8, b9이라 명명하여, 상위의 5바이트(b0, b1, b2, b3, b4)는 정보제공자를 구분하는 구분자로 사용하고, 하위의 5바이트는(b5, b6, b7, b8, b9)는 서비스 상품을 구분하는 구분자로 이용하며, 해당 서비스 제어 테이블에 상품 코드(60)가 없는 경우에는 이를 어느 상품에 넣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메뉴 식별자(52)의 상위 2바이트만을 비교하여 상위2바이트의 상품번호가 일치하는 상품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고, 이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정보이용자에게 서비스를 분리 제공하고, 사용 요금을 상품 코드별로 청구할 수 있도록 한다.Item code 60 defines a product code of a service provided. That is, the commodity code 60 is composed of 10 bytes and is named b0, b1, b2, b3, b4, b5, b6, b7, b8, b9 according to the order of construction of the byte, and the upper five bytes (b0, b1, b2, b3, b4) are used as delimiters to distinguish the information providers, and the lower 5 bytes (b5, b6, b7, b8, b9) are used as delimiters to distinguish service products. If there is no commodity code 60, it is a method of determining which commodity is to be put in. A method of classifying a commodity with a commodity number of upper two bytes by comparing only the upper two bytes of the menu identifier 52 The product code is used to provide a separate service to the information user, and the user fee can be charged for each product code.

과금 형태(ChargeType)(61)제공되는 서비스의 과금 형태를 정의 하며, 과금 단위(ChargeAmount)(62)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과금 단위를 정의한다.Charge Type 61 Defines the charge type of the service provided, and ChargeAmount 62 defines the charge unit of the service provided.

옵션(option)(63,64,65,66)은 서비스 형태(Service_type)가 씨(C)인 경우의 서비스 호출 명령 (Service Call Command)을 수행할 때 필요한 명령어 옵션(option)의 값으로 사용된다. 이때, 필드(Field)의 값이 물음표(?)인 경우에는 다음번 예비 필드(Reserved_field)의 값을 사용자에 대한 프롬프트(Prompt)로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옵션(option)값으로 이용한다.Option (63, 64, 65, 66) is used as the value of the command option required when performing the Service Call Command when the service type (Service_type) is Mr. (C). . In this case, when the value of the field is a question mark (?), A value input by the user is used as an option value by using the value of the next reserved field as a prompt for the user.

마지막으로 설명문(comment)(67)은 정보제공자(IP)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제어 레코드(record)에 대한 설명을 달 수 있다.Finally, the comment 67 may describe a service control record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IP).

여기서, 정보제공자 서비스 메뉴의 식별자는 8 바이트(Byte)로 고정하여 사용하며, 그 이외의 모든 필드(Field)는 가변으로 하여 유연성을 증대시켰다.In this case, the identifier of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menu is fixed to 8 bytes, and all other fields are variable to increase flexibility.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흐름도로서, 상기 제 4 도의 서비스 처리 흐름도중에서 정보 처리를 위한 부분(4a,4b)의 상세한 데이타 제어 흐름도이다. 이 부분에는 데이타 제어를 위한 특수한 기능이 들어 있어서 정보의 저장, 삭제, 복구 및 변경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알고리즘이 시작되면(61) 전달되면 파라미터를 초기화하고(62) 입력파라미터를 분석하여, 변수를 설정한 다음에(63), 상기 제 5 도의 서비스 제어 테이블 내용을 이용하여 추출한, 즉 정보제공자에서 분류한 상품 코드 또는 메뉴 식별자에 따른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을 한 개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화면의 데이타 제어 레코드를 추출한다(64). 정보제공자에서 제공한 정보 목록에 의하여 이용자로부터 전달된 서비스 프리미티브에 따라 정보입력(65), 정보 변경(66) 및 정보 삭제(67)과정을 거친 후에, 해당 화면의 데이타를 갱신하고(68) 이 사실을 해당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에 기록한 다음에(69)알고리즘을 종료한다(70). 여기서, 데이타 제어를 위한 각종 정보를 위한 각종 정보를 후술하는 제 7 도와 같이 정의하여 읽기/쓰기/갱신을 수행한다.FIG. 6 is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flow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detailed data control flowchart of portions 4a and 4b for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service processing flowchart of FIG. This section contains special functions for data control to perform the functions of storing, deleting, restoring and changing information. When the algorithm starts (61), when passed, it initializes the parameters (62), analyzes the input parameters, sets the variables (63), and then extracts them using the service control table contents of FIG. On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according to a product code or menu identifier is selected and the data control record of the screen is extracted using the information (64). According to the service primitive delivered from the user by the information list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the data of the screen is updated (68) after the information input (65), the information change (66) and the information deletion (67). The fact is recorded in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69) and the algorithm ends (70). In this cas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data control are defined as shown in FIG. 7 to be described later to perform read / write / update.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의 구조도이다. 정보제공자(IP)가 제공하는 정보는 그 종류와 정보의 위치가 다르고, 정보제공자와 정보이용자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제 4 도에서 구현된 서비스 제어 테이블의 일부 필드들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IP) is different from the type and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the information user are different, the informa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by using some fields of the service control table implemented in FIG.

마크(mark)(71)는 현재 서비스에 사용되는 데이타의 처리 형태를 정의한다. 마크값이 디(D)일 경우에는 삭제된 데이타임을 표시하고, 하이픈(-)인 경우에는 정상적인 데이타임을 표시한다. 또한, 마크(71)는 정보제공가 정보이용자에게 정보에 대한 수정 및 삭제 권한을 부여하기 위하여, 1 바이트의 크기로 제공하는 정보의 한 항목에 대한 사용여부 및 현재의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Mark 71 defines the processing form of data used for the current service. If the mark value is D, it indicates that the data is deleted. If the mark value is hyphen, it indicates that the data is normal. In addition, the mark 71 indicates the use status and the current state of an item of information provided in the size of 1 byte in order to provide the information user with the right to modify and delete the information.

년(year)(72), 월(month)(73), 일(day)(74), 시간(hour)(75), 분(minutes)(76) 및 초(seconds)(77)는 데이타를 제공하여 업로드(Upload)한 시간을 나타낸다. 이 값은 로그 이름(logname)(78)과 조합되어 유일(Unique)한 데이타 저장장치의 이름을 만드는데 사용되며, 이용자의 화면에 데이타가 입력된 날짜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연 월일 시분초 및 로그 이름(72내지78)을 이용하여 정보제공자가 제공되는 정보의 식별번호(ID)를 별도로 단일화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정보이용자가 동일한 이름의 자료를 계속 업로드하고 갱신할 수 있다.Years (72), months (73), days (74), hours (75), minutes (76), and seconds (77) provide data. Shows uploaded time. This value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logname 78 to create a unique data storage name and to display the date the data was entered on the user's screen. Here, using the year, month, day, hour, minute, and log names (72 to 78), the identification number (ID) of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can be unified separately, and the same user can continue to upload and update the data of the same name. Can be.

라인 카운터(linecounter)(79)는 정보 데이타의 줄 수를 나타내며, 바이트 카운터(bytecounter)(80)는 정보의 양, 읽기 카운터(readcounter)(81)는 이용자가 정보를 접속(Access)한 횟수, 칸텐트 형태(contenttype)(82)는 정보의 형태를 표시한다. 즉, 칸텐트 형태는 1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동일한 형태의 상기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공개자료실, 전자게시판, 및 대화실 등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line counter 79 indicates the number of lines of information data, the byte counter 80 indicates the amount of information, the read counter 81 indicates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accesses the information, Content type 82 indicates the type of information. That is, the content type has a size of 1 byte, and is configured to service an open data room, an electronic bulletin board, a chat room, etc.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of the same type.

파일 이름(filename)(83)은 정보가 다운로드(download)가 가능한 정보일 경우에 이를 위한 파일 이름(filename)이 들어간다.The file name 83 contains a file name for this information when the information is downloadable information.

제목(title)(84)은 해당 정보의 제목을 표시하며, 파일의 줄 수(85)는 그 정보가 현재 메뉴에서 몇번째의 정보인지 표시한다.A title 84 indicates the title of the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lines 85 of the file indicates which information is the current information in the menu.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모든 정보제공자가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써 정보제공자의 다양한 가치 창조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망 운용자사 효율적으로 정보제공자를 관리하여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that all information providers can use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to satisfy the information provider's desire to create a variety of values and to efficiently manage the information provi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Claims (5)

정보 제공 장치에 적용되는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가 개시되면 서비스 제어 테이블을 초기화한 후에 가입자 접속장치의 요청 내용이 상품 코드 접속인지 정보제공자 접속인지를 구분하여 정보제공자에 대한 초기 화면을 출려하고 이용자 입력을 대기하는 제 1 단계;정보제공자 프로토콜과 명령어를 분석하여 정보를 후에 정보제공자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제 2 단계; 및 데이타 화면을 출력한 후에 상기 이용자 입력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단계의 정보 처리 과정은, 매개 변수를 초기화하고 입력파라미터를 분석한후에 상기 정보제공자가 분류한 상품 코드 또는 메뉴 식별자에 따른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을 선택하여 해당 화면의 데이타 제어 레코드를 추출하는 제 4 단계; 상기 정보제공자가 제공한 정보 목록에 의하여 이용자로부터 전달된 서비스 프리미티브에 따라 정보 입력, 정보 변경 및 정보 삭제 과정을 수행한 후에 해당 화면의 데이타를 갱신하는 제 5 단계; 및 정보 처리 내용을 상기 정보 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에 기록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자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방법.In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when the service is started, after initializing the service control table, the initial screen for the information provider is classified by distinguishing whether the request of the subscriber access device is a product code connection or an information provider connection. A first step of publishing the information and waiting for user input; a second step of analyzing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and the command and configuring the information provider protocol after the information; And a third step of transitioning to the user input standby state after outputting a data screen, where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of the second step comprises initializing parameters and analyzing the input parameters and classifying the commodity codes Or a fourth step of extracting a data control record of a corresponding screen by selecting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according to a menu identifier; A fifth step of updating data on the screen after performing information input, information change, and information deletion process according to a service primitive delivered from the user by the information list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a sixth step of recording information processing contents in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은, 현재 서비스에 사용되는 데이타의 처리 형태를 정의하는 마크(mark);데이타를 제공하여 업로드(Upload)한 시간을 나타내는 년(year), 월(month), 일(day), 시간(hour), 분(minutes) 및 초(seconds); 상기 년(year), 월(month), 일(day), 시간(hour), 분(minutes) 및 초(seconds)와 조합하여 유일(Unique)한 데이타 저장 장치의 이름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로그 이름(logname); 정보데이타의 줄 수를 나타내는 라인 카운터(linecounter);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바이트 카운터(bytecounter); 정보를 접속(Access)한 횟수를 나타내는 읽기 카운터(readcounter);정보의 형태를 표시하는 칸텐트 형태(countertype); 다운로드(download)가 가능한 정보의 파일 이름(File name)이 들어가는 파일 이름(filename); 해당 정보의 제목을 표시하는 제목(title); 및 저장된 정보의 줄 수를 표시하는 파일의 줄 수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자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2.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includes: a mark defining a processing form of data used for a current service; a year, month indicating a time for uploading by providing data; (months), days, hours, minutes and seconds; The log name used to create the name of the unique data storage device in combination with the year, month, day, hour, minutes, and seconds ( logname); A line counter indicating the number of lines of information data; A byte counter indicating the amount of information; A read counter indicating the number of times information is accessed; a content type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A file name containing a file name of information that can be downloaded; A title indicating the title of the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for accommodating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including the number of lines of a file indicating the number of lines of stored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정버제공자가 정보이용자에게 정보에 대한 수정 및 삭제 권한을 부여하기 위하여, 1 바이트의 크기로 제공하는 정보의 한 항목에 대한 사용여부 및 현재의 상태를 표시한 것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자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The mark of claim 2, wherein the mark indicates whether the information provider uses the current item and whether the information is provided in a size of 1 byte in order to give the information user the right to modify or delete the information.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for accommodating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칸텐트 형태는, 1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동일한 형태의 상기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공개자료실, 전자 게시판, 및 대화실 등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자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The content typ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content type has a size of 1 byte and uses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table of the same type to serve public archives, electronic bulletin boards, and chat rooms.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for accommodating the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월일 시분초 및 로그 이름은, 정보제공자가 제공되는 정보의 식별번호(ID)를 단일화 할 수 있도록 하며, 동일한 정보이용자가 동일한 이름의 자료를 계속 업로드하고 갱신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자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정보제공자 서비스 데이타 제어 방법.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date, time, minute, minute and log name enable the information provider to unify the identification number (ID) of the information provided, and the same user can continue to upload materials of the same name.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for accommodating a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updating.
KR1019940036141A 1994-12-23 1994-12-23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for accomodating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KR01470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141A KR0147025B1 (en) 1994-12-23 1994-12-23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for accomodating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141A KR0147025B1 (en) 1994-12-23 1994-12-23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for accomodating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018A KR960025018A (en) 1996-07-20
KR0147025B1 true KR0147025B1 (en) 1998-09-15

Family

ID=1940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141A KR0147025B1 (en) 1994-12-23 1994-12-23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for accomodating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0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7337B2 (en) * 1999-11-11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018A (en)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3452A (en) Visual programming of telephone network call processing logic
CN1109995C (en) Upgrading of synergetic aspects of home networks
EP10200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 telephony database
EP1020088B1 (en) Service management access point
JPH09512970A (en)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creation device
US8676936B2 (en) Mana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ing contents provided by content provider
CN100393091C (en) Communications network node
KR19990067327A (en) Equipment for creating services for telecommunication networks
CN104321743A (en) Method and system for developing applications for consulting content and services o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3425483B (en)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dynamically customized menus
US20020010618A1 (en) Data distribution
KR0147025B1 (e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data control method for accomodating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KR20000037244A (en)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home page contained in mobile terminal
US2009016776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structure data in a graphic scene
Cisco Configuring the Bulk Administration Tool (BAT)
KR0175483B1 (en)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KR20010008030A (en) A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electronic commerce shopping mall automatically
JP2001243181A (en) Home page creation support system using communication web,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WO19990200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flexible telephony service management
Wybolt Perspectives on CASE tool integration
KR100654541B1 (en) Wireless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JP43188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lephone service
KR960013272B1 (en) Electronic directory system
US6973075B1 (en)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modifying data tables in a telecommunications switch
CN112328235A (en) Method for quickly customizing software application interactive log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