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596B1 -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 - Google Patents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596B1
KR0146596B1 KR1019950026310A KR19950026310A KR0146596B1 KR 0146596 B1 KR0146596 B1 KR 0146596B1 KR 1019950026310 A KR1019950026310 A KR 1019950026310A KR 19950026310 A KR19950026310 A KR 19950026310A KR 0146596 B1 KR0146596 B1 KR 0146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paniment
signal
microphone
level
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656A (ko
Inventor
박원주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2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596B1/ko
Publication of KR97001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의 곡이 선곡되어 재생되는 경우 해당 곡의 반주음과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을 상호 비교하여 그 차이치만큼의 음정레벨을 소정크기의 LCD패널상에 형성된 각각의 반주음신호영역 또는 마이크음성신호영역에 연속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정확한 음정추종이 가능하도록 한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정보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정보와 자막정보로부터 선곡된 곡의 반주음과 자막을 출력하는 가요반주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선곡된 곡에 대한 반주음에 대한 반주음신호를 저역필터링함과 동시에 상기 반주음에 대응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노래연습자의 마이크음성신호를 저역필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저역필터링된 반주음신호와 마이크음성신호의 레벨을 상호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과정의 비교결과 상기 반주음신호레벨이 상기 마이크음성신호레벨보다 크면 그 음정레벨차를 표시부재상에 할당된 반주음신호영역에 표시하는 반면, 상기 반주음신호레벨이 상기 마이크음성신호레벨보다 작으면 그 음정레벨차를 상기 표시부재상에 할당된 마이크음성신호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장치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정레벨 비교표시동작에 의해 제1도에 도시된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음정레벨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 : 저역필터(LPF) 14 : 비교부
16 : 기준신호저장부 18 : 제어부
20 : 표시구동부 22 : 표시부
본 발명은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요반주기기에서 임의의 곡이 선곡되어 재생되는 경우 그 가요반주기기로부터의 반주음과 마이크음을 상호 비교하여 그 차이치를 소정크기의 LCD패널상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시켜 줌으로써 정확한 음정을 맞출 수 있도록 한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영상과 음성의 합성매체인 '비디오 디스크'의 개발을 계기로 하여 영상음악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창조해내기에 이르렀으며, 더 나아가 오디오와 비디오의 결합으로 인해 하나의 단일시스템으로 작동하게 되는 완전한 A/V기기가 탄생하게 됨에 따라 영상과 음성이 공존하는 본격 A/V시대가 되었다.
이와같이 A/V시대가 됨에 따라 그동안 청각적 감각만을 전제로 한 순수 오디오문화에 대한 대중의 시선이 점차 시청각이 공존하는 A/V문화쪽으로 이동되어 가고 있는 상황을 비추어 볼 때, 그 A/V시대의 선두주자로서 디스크형상의 정보 기억매체로부터 정보를 독출하여 영상 및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LDP)가 주목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는 컴팩트디스크그래픽(CDG) 또는 레이저디스크(LD)에 기록된 영상 및 음성정보를 독출하여 각각 영상신호처리 및 음성신호처리를 하여 재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는 대중들의 여가선용의 일환으로 사용되는 가요반주기기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데, 영상가요반주전용의 레이저디스크 또는 컴팩트디스크그래픽의 경우 디스크상에 기록된 영상정보 및 자막정보로부터 각각 배경화면 및 가사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디스크상에 기록된 음성정보로부터 반주음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요반주기기의 전면패널에는 노래하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음정(Tone)을 조절할 수 있는 음정조절키가 설치되어 있는 바, 가요반주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희망하는 곡을 선곡하여 그 곡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는 경우 현재 자신의 노래음정이 가요반주기기로부터의 반주음과 차이가 날 때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그 음정조절키를 조작하여 가요반주기기로부터의 반주음정을 희망하는 음정레벨로 조절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음정조절키를 이용하여 희망하는 음정레벨을 조절함에 있어서, 노래를 잘 부르는 사람에게는 별 문제가 없겠지만 그러하지 못하는 사람은 자신의 현재 노래음정이 반주음에 대해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를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노래연습의 효과가 떨어지는 불리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임의의 곡이 선곡되어 재생되는 경우 해당 곡의 반주음과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을 상호 비교하여 그 차이치만큼의 음정레벨분을 소정크기의 LCD패널상에 형성된 각각의 반주음신호영역 또는 마이크음신호영역에 연속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정확한 음정추종이 가능하도록 한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정보와 자막정보로부터 선곡된 곡의 반주음과 자막을 출력하는 가요반주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선곡된 곡에 대한 반주음에 대한 반주음신호를 저역필터링함과 동시에 상기 반주음에 대응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노래연습자의 마이크음성신호를 저역필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저역필터링된 반주음신호와 마이크음성신호의 레벨을 상호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과정의 비교결과 상기 반주음신호레벨이 상기 마이크음성신호레벨보다 크면 그 음정레벨차를 표시부재상에 할당된 반주음신호영역에 표시하는 반면, 상기 반주음신호레벨이 상기 마이크음성신호레벨보다 작으면 그 음정레벨차를 상기 표시부재상에 할당된 마이크음성신호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임의의 곡을 선택하여 재생함에 따라 해당 가요반주기기로부터의 반주음과 마이크음성신호가 각각 필터링되고, 그 필터링된 반주음과 마이크음성신호의 레벨은 상호 비교되어 그 차이치가 현재의 음정레벨차이로서 해당 마이크음성신호표시영역 또는 반주음신호표시영역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장치의 블럭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채용되는 장치는 저역필터(10,12), 비교부(14), 기준신호저장부(16), 제어부(18), 표시구동부(20), 표시부(22)를 포함한다.
동 도면에서, 저역필터(10)는 마이크(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에컨대, 노래연습자)의 음성신호에서 저역의 주파수성분만을 필터링하고, 저역필터(12)는 해당 가요반주기기로부터의 반주음신호에서 저역의 주파수성분만을 필터링한다.
비교부(14)는 상기 저역필터(10;12)에 의해 필터링된 마이크음성신호 및 반주음신호를 입력받아 두 신호의 레벨을 상호 비교한 후 비교결과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비교부(14)는 예컨대 차동증포기를 포함하는 바, 이를 테면 상기 마이크음성신호의 현재 레벨이 반주음신호의 현재 레벨보다 소정치 큰 경우에는 그 소정치 큰 레벨만큼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음성신호의 현재 레벨이 반주음신호의 현재 레벨보다 소정치 작은 경우에는 그 소정치 작은 레벨만큼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시킨다.
기준신호저장부(16)는 상기 비교부(14)에서 출력되는 비교결과신호의 표시레벨을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레벨판독용 기준신호가 룩업테이블(Look-Up Table)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소자이다.
제어부(20)는 상기 비교부(14)에서 출력되는 비교결과신호의 정(+),부(-)를 판단함과 더불어 그 비교결과신호(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한편 그 변환된 신호가 상기 기준신호저장부(18)내의 어느 기준신호와 동일한지를 판독하여 표시구동용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표시구동부(2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기초로 표시구동동작을 수행한다.
표시부(22)는 상기 표시구동부(20)의 동작에 의해 마이크음성신호와 반주음신호와의 차이치를 사용자(즉, 노래연습자 및 주위사람)가 알아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2)는 바람직하게 LCD패널로 이루어져서 해당 가요반주기기의 전면의 소정부위(즉, 사용자가 잘 볼수 있는 부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정레벨 비교표시동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22)상에 표시되는 음정레벨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표시부(22)상의 중앙부위를 가로지르는 라인은 마이크음성신호의 현재 레벨이 반주음신호의 현재 레벨과 동일함을 나타내고(즉, 0레벨), 그 중앙부위를 가로지르는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는 마이크음성신호표시영역이 소정구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중앙부위를 가로지르는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하부에는 반주음신호표시영역이 소정구간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음성신호표시영역 및 상기 반주음신호표시영역의 각 구간은 해당 곡의 악보에 표시되어 있는 한 마디를 나타내고, 그 각 구간은 음정레벨 차이치를 8∼16레벨까지 표시가능하다.
그리하여, 상기 마이크음성신호의 현재 레벨이 상기 반주음신호의 현재 레벨보다 소정치 높을 경우에는 그 소정치 높은 레벨치를 기초로 상기 마이크음성신호표시영역의 해당 구간이 표시되고, 상기 마이크음성신호의 현재 레벨이 상기 반주음신호의 현재 레벨보다 소정치 낮을 경우에는 상기 소정치 낮은 레벨치를 기초로 상기 반주음신호표시영역의 해당 구간이 표시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일단 사용자(노래연습자)가 임의의 곡을 선곡한 다음 재생시키게 되면 반주음이 출력되는 바, 사용자는 마이크(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그 반주음에 따라 노래를 부르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저역필터(10)에서 필터링됨에 따라 그 마이크음성신호에 실려 있을 노이즈성분이 제거된 후 비교부(14)의 한 입력단에 전송되고, 상기 반주음신호는 저역필터(12)에서 필터링됨에 따라 그 반주음신호에 실려 있을 노이즈성분이 제거된 후 상기 비교부(14)의 다른 입력단에 전송된다(단계 30).
이어, 상기 비교부(14)에서는 입력된 마이크음성신호와 반주음신호를 상호 비교하여 그 차이치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18)로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비교부(14)는 예컨대 차동증폭기(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상기 마이크음성신호의 현재 레벨이 반주음신호의 현재 레벨보다 소정치 큰 경우에는 예컨대 그 소정치 큰 레벨만큼의 비교결과신호(예컨대, 하이레벨의 신호; 전압)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음성신호의 현재 레벨이 반주음신호의 현재 레벨보다 소정치 작은 경우에는 그 소정치 작은 레벨만큼의 비교결과신호(예컨대, 로우레벨의 신호; 전압)를 출력시킨다.
그에 따라, 제어부(18)는 상기 비교부(14)로부터의 비교결과신호를 기준신호저장부(16)에 저장된 복수의 레벨판독용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어느 기준신호에 해당하는지를 판독한 후 그 차이치를 검출하게 된다(단계 32). 다시 말해서, 상기 비교부(14)에서 출력되는 비교결과신호는 소정의 정(+) 또는 부(-)의 전압이므로 그 전압치에 해당하는 기준신호를 검색하게 되면 마이크음성신호와 반주음신호와의 차이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 이와 같이 검출된 차이치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18)는 표시구동용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바, 먼저 상기 마이크음성신호의 현재 레벨과 반주음신호의 현재 레벨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비교부(14)에서 출력되는 비교결과신호는 차이치가 0(Zero)임을 의미하는 전압이 되기 때문에 제2도의 a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2)상에는 아무런 표시가 되지 않게 된다(단계 34).
그러나, 상기 마이크음성신호의 현재 레벨과 반주음신호의 현재 레벨이 어느 정도 차이가 나게 되면 그 차이치를 기초로 마이크음성신호표시영역 또는 반주음신호표시영역에 표시하게 된다(단계 36).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음성신호의 현재 레벨이 반주음신호의 현재 레벨에 비해 2레벨정도 낮은 경우에는 제2도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2)상의 중앙부위를 가로지르는 라인으로부터 하측으로 2레벨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음성신호의 현재 레벨이 반주음신호의 현재 레벨에 비해 4레벨정도 높은 경우에는 제2도의 c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2)상의 중앙부위를 가로지는 라인으로부터 상측으로 4레벨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제어부(18)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곡의 재생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그 재생동작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30으로 복귀시켜 상술한 동작을 반복시키는 반면, 그 재생동작이 종료되면 상술한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단계 3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임의의 곡을 선택하여 재생함에 따라 해당 가요반주기기로부터의 반주음과 마이크음성신호가 각각 필터링되고, 그 필터링된 반주음과 마이크음성신호의 레벨은 상호 비교되어 그 차이치가 현재의 음정레벨차이로서 해당 마이크음성신호표시영역 또는 반주음신호표시영역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므로, 노래연습자는 그 차이치를 보고 현재의 반주음에 대한 자신의 음정이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를 알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정확한 음정을 맞출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정보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정보와 자막정보로부터 선곡된 곡의 반주음과 자막을 출력하는 가요반주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선곡된 곡에 대한 반주음에 대한 반주음신호를 저역필터링함과 동시에 상기 반주음에 대응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노래연습자의 마이크음성신호를 저역필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저역필터링된 반주음신호와 마이크음성신호의 레벨을 상호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과정의 비교결과 상기 반주음신호레벨이 상기 마이크음성신호레벨보다 크면 그 음정레벨차를 표시부재상에 할당된 반주음신호영역에 표시하는 반면, 상기 반주음신호레벨이 상기 마이크음성신호레벨보다 작으면 그 음정레벨차를 상기 표시부재상에 할당된 마이크음성신호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
KR1019950026310A 1995-08-24 1995-08-24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 KR0146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310A KR0146596B1 (ko) 1995-08-24 1995-08-24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310A KR0146596B1 (ko) 1995-08-24 1995-08-24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656A KR970012656A (ko) 1997-03-29
KR0146596B1 true KR0146596B1 (ko) 1998-10-15

Family

ID=1942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310A KR0146596B1 (ko) 1995-08-24 1995-08-24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729A (ko) * 2000-06-12 2001-12-21 윤재환 악보출력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악보출력기능구현방법
KR100659488B1 (ko) * 2004-10-28 2006-12-20 주식회사 엔터기술 음정인식에 의한 점수 계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656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30890A (ja) カラオケ装置
JP2901845B2 (ja) カラオケ演奏装置
KR0146596B1 (ko)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
JP2000010574A (ja) カラオケ装置
JP3615378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H05142985A (ja) 歌唱支援表示装置
KR100233645B1 (ko) 영상반주기의 노래연습기능 제어방법
JPH0651790A (ja) カラオケ用ディスクプレーヤ
JP3433053B2 (ja) カラオケ歌唱採点装置、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KR0184392B1 (ko) 씨디지 플레이어의 전체곡명 표시방법
KR100288784B1 (ko) 점수산출의노래반주방법및이에의한선택소절반주방법
JPH1195770A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再生方法
KR970006835B1 (ko) 영상가요반주기기의 음악감상장치
JPH04311998A (ja) カラオケのピッチ制御システム
KR0182437B1 (ko) 영상가요반주기기에서의 도전 선곡제어방법
JPH0411295A (ja) カラオケ装置
KR20050097371A (ko) 가라오케시스템에서 영상 및 가사 매칭 장치
KR20040106984A (ko) 가라오케 광디스크의 재생제어장치 및 방법
JPH0546073A (ja) 楽器演奏の練習支援装置
JPH09106294A (ja) Midiカラオケにおける歌唱力採点装置
JP3017256B2 (ja) 情報再生装置
KR0119894B1 (ko) 영상가요반주기능을 갖춘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
JPH03113478A (ja) 自動演奏装置
JPH1069285A (ja) カラオケ装置
JPH07182785A (ja) 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