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882B1 -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882B1
KR0145882B1 KR1019950021897A KR19950021897A KR0145882B1 KR 0145882 B1 KR0145882 B1 KR 0145882B1 KR 1019950021897 A KR1019950021897 A KR 1019950021897A KR 19950021897 A KR19950021897 A KR 19950021897A KR 0145882 B1 KR0145882 B1 KR 0145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tation apparatus
message
contro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774A (ko
Inventor
은진표
김해석
정기성
김선빈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1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882B1/ko
Priority to FR9603981A priority patent/FR2737378B1/fr
Priority to CN96100232A priority patent/CN1082319C/zh
Publication of KR970008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6WPBX [Wireless Private Branch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및 그 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착발신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단말기의 위치추적 및 인접 셀간 핸드오버도 가능한 디지털 방식(CT-2)의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및 그 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이 해결방법의 요지; 디지털방식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휴대장치와,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휴대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장치와, 사설교환기와,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장치로부터의 씨티-2 씨에이아이 계층 3 메세지와 기지국장치와 내부적으로 규약된 메세지들을 종합정보통신망 에스 접속을 통해 송수신하고, 이들 메세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의 통화경로를 절환하며, 상기 각 기지국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고 씨티-2 씨에이아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전화시스템.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이용한다.

Description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중 제어장치의 상세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중 주제어모듈의 상세 블럭도
제4도는 제2도중 신호처리모듈의 상세 블럭도
제5도는 제2도중 유선접속모듈의 상세 블록도
제6도는 제2도중 기지국장치 접속모듈의 상세 블록도
제7도는 제1도중 기지국장치의 상세 블록도
제8도는 제7도중 무선 송수신부의 상세 블록도
제9도는 발호모드에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제10도는 초기위치등록모드에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제11도는 재위치등록모드에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제12도는 착신모드에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이 동작의 동작 흐름도
제13도 및 제14도는 핸드오버모드에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사설교환기 12:제어장치
13a~13n:기지국장치 14a~14n:휴대장치
21:유선접속모듈 22:주제어모듈
23:신호처리모듈 24:기지국장치접속모듈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방식의 무선 전화 기술을 채택하여 핸드 오버(hand over)나 단말기 위치추적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은 아날로그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통화품질이나 휴대장치와 기지국간의 시그날링정보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바 있는 특허출원번호 제94-8102호, 텔리 포인트 기지국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 디지털방식인 CT-2(Codeless Telephone Second Generation) 서비스도 발호만 가능한 무선 공중전화시스템의 개념으로서 구현되었기 때문에 착신서비스뿐만 아니라 인접 셀간 핸드오버나 단말기 위치 추적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란 통화중 휴대장치의 이동, 방해물의 존재등으로 인하여 무선링크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경우 무선 링크 연결을 인접하는 다른 기지국장치로 넘겨주는 것을 말한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955,150호, 무선 사설교환 및 통신시스템(System configuration of wireless PBX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에는, 특정한 개인을 호출할 뿐만 아니라 특정 위치에 있는 불특정한 개인을 호출할 수 있는 무선 사설교환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각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에 식별번호를 할당하고 각 이동단말기는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에 자신의 제1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각 기지국은 제1식별번호와 자신의 제2식별번호를 이용하여 패킷을 만든 다음 사설교환기고 패킷을 송신, 사설교환기는 메모리에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패킷으로부터 제1 및 제2식별자를 검출하여 저장한다. 이 기술에 따르면 착신이 가능하고, 이동단말기를 호출할 수도 있으며 기지국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임의의 가입자를 호출할 수도 있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5,208,812호, 원(遠)거리 통신시스템(Telecommunication system)에는 CT-2 CAI(Common Air Interface)를 규정하여 다른 기종간의 단말기 및 기지국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5,259,017호, 사설자동교환 무선전화시스템(Cordless Telephone System with a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에는 무선베이스와 사설교환기를 내선을 사용하여 연결한후 콜 포원드(call forward), 팔로우 미(follow me)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사설교환기와 무선베이스 사이의 연결이 가입자라인과 신호라인으로 되어 있어 핸드오버시 사설교환기의 콜 포원드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모토롤라사에서 PCT출원한 국제공개번호 WO 94/03993, 채널 확인을 위한 주파수 스캐너를 사용하는 무선교환시스템(Wireless PBX System using Frequency Scanner for Channel Identification)에는 사설교환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관하여 개시하고 있는데,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는 AMPS와 유사한 방식을 취하고 기지국과 신호인터페이스간은 기존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HDLC)을 사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공중전화망으로부터의 정보는 WIB(Wireless Intercept Box)의 TSI를 이용하여 전달한다. 무선가입자가 호에 응답하면 해당 기지국은 가입자링크를 통해 사설교환기로 오프-훅(off hook)신호를 송신한다.
유럽 특허번호 재390333호, 통신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에 따르면, 공중전화망에 연결되어 각기 동작하는 분산된 복수의 기지국과 하나 이상의 단말기간에 여러개의 통신채널을 통해 시분할복신(TDD:Time Division Duplex)방식으로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번호 제375361호, 이중통신 방법 및 시스템(Duplex 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에 따르면, 무선전화시스템에서 복수의 단말기중 하나와 기지국 사이의 디지털 시분할 복신 무선통신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개시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기술에 따르면, 디지털방식의 채택 여부, 착신가능 여부, 단말기의 위치추적 혹은 인접 셀간 핸드오버의 가능성등 모든 조건을 고루 만족시킬 만한 기술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발신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단말기의 위치추적 및 인접 셀간 핸드오버도 가능한 디지털 방식(CT-2)의 구내 무선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방식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휴대장치와,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휴대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장치와, 사설교환기와,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장치로부터의 CT-2 CAI(Common Air Interface) 계층 3 메세지와 기지국장치와 내부적으로 규약된 메세지들을 종합정보통신망 에스 접속을 통해 송수신하고, 이들 메세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의 통화경로를 절환하며, 상기 각 기지국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고 CT-2 CAI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다수의 휴대장치(CT-2 단말기) 14a~14n과, 무선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휴대장치 14a~14n과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장치 13a~13n과, 서설교환기 11와, 제어장치 12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 12는 상기 사설교환기 11과 상기 기지국장치 13a~13n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휴대장치 14a~14n로부터의 CT-2 CAI 계층 3 메세지와 상기 기지국장치 13a~13n과 내부적으로 규약된 메세지들을 ISDN S 접속을 통해 송수신하고 이들 메세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설교환기 11과 상기 기지국장치 13a~13n사이의 통화경로의 절환하며 각 기지국장치 13a∼13n의 상태를 관리하고 CT-2 CAI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한다.
제 2도는 제1도중 제어장치 12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유선접속모듈 21과 주제어모듈 22와 신호처리모듈 23과 기지국장치 접속모듈 24로 구성된다.
제3도는 제어장치 12중 주제어모듈 22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메모리 31과 관리자 인터페이스부 32와 주제어모듈제어부 33 및 시스템인터페이스부 34로 구성된다. 이 주제어모듈 22는 상기 시스템인터페이스부 34를 통해 다수의 유선접속모듈과 다수의 기지국장치 접속모듈 및 신호처리모듈과 연결된다.
상기 주제어모듈제어부 33은 상기 주제어모듈 22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 31에는 주제어모듈 22의 프로그램과 상기 주제어모듈제어부 33의 제어에 의하여 시스템제어정보, 각 기지국장치 상태정보, 단말기 가입자의 정보, 핸드오버 그룹정보, 위치등록을 위한 CIS 코스워드 송신그룹정보, 각종 통계 및 장애 발생 정보등이 저장된다.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부 34는 유선접속모듈 21과 기지국장치 접속모듈 24 및 신호처리모듈 23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와 기지국장치 접속모듈 24를 통해 휴대장치 14a∼14n과의 통신시 필요한 데이터들을 송수신한다.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부 32는 주제어모듈 22의 각종 정보의 조회 혹은 설정/변경 및 상태 모니터를 위한 유지 보수 터미날로 접속된다.
제4도는 상기 제2도중 신호처리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타이밍 발생부 41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생성부 42 및 시스템 인터페이스부 43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밍발생부 41은 다른 모듈에서 사용되는 클럭을 생성한다. 상기 DTMF생성부 42는 DTMF를 생성하며 코덱(codec)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부 43은 주제어모듈 22로부터 신호처리 모듈 23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부 43은 상기 신호처리모듈 23을 다수의 유선접속모듈과 다수의 기지국장치 접속 모듈 및 주제어모듈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5도는 상기 제2도중 유선접속모듈 21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스위칭부 51, 유선 인터페이스부 52, 시스템 인터페이스부 53으로 구성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부 53은 유선접속모듈 21이 주제어모듈 22 및 신호처리모듈 23과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 52는 공중교환망 또는 사설교환기 내선과의 접속 및 보호를 수행한다. 그리고 스위칭부 51은 공중교환망 또는 사설교환기 내선과의 연결에 필요한 각종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제6도는 제 2도중 기지국장치 접속모듈 24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기지국장치 접속모듈 24는 크게 제어부 61, 메모리 62, 듀엘 포트램 63, PCM-인터페이스부 64, S-인터페이스부 65, UART 66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어부 61은 각종 인터페이스부에 관한 제어를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신호처리 및 관련 디바이스(device)의 제어를 담당한다. 메모리 62는 제어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롬과 프로그램 구동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및 기지국 관리장치 정보, LAPD 프로토콜 수행을 위한 정보, 주제어모듈 22와의 접속에 필요한 데이터등을 저장할 수 있는 램으로 이루어진다. 듀얼포트램 63은 주제어모듈 22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주제어모듈 22에서 기지국장치 13a∼13n으로 송신할 데이터를 상기 주제어모듈 22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기지국장치 13a∼13n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주제어모듈 22로 송신할 경우에 사용된다. PCM-인터페이스부 64는 신호처리모듈 23과 기지국장치 13a∼13n 사이의 PCM음성 데이터에 대한 통로 구실을 수행한다. S-인터페이스부 65는 기지국과 연결되는 포트로서, 풀듀플랙스(Full Duplex) 2B + D를 만족한다. UART 66은 유지보수용 터미날을 접속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7도는 제1도중 기지국장치 13a∼13n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기지국장치 13a∼13n은 메모리 71, S-인터페이스부 74, 기지국장치 제어부 73, CT-2 CAI 베이스밴드부 72, 무선송수신부 75, 무선 인터페이스부 7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지국장치 제어부 73은 기지국장치 13a∼13n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메모리 71은 기지국장치 13a∼13n의 프로그램 및 상기 기지국장치 13a∼13n의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 제어장치 12의 기지국장치 접속모듈 24와의 S-인터페이스 LAPD프로토콜을 위한 데이터, 통화관련 데이터등을 저장한다. S-인터페이스부 74는 제어장치 12의 기지국장치 접속모듈 24와 ISKN S 접속을 제공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CT-2 CAI베이스밴드부 72는 CT-2 CAI 표준 프로토콜의 신호계층 1,2를 지원하며 S-인터페이스부 74를 통해서 들어오는 PCM 데이터를 ADPCM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하기 무선 인터페이스부 76을 통해서 들어온 음성 ADPCM 데이터를 PCM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 75는 기저대역(base band)신호를 수백 메가 헤르쯔(MHz) 대역의 고주파신호(RF)로, 예를 들면 800MHz 또는 900MHz의 신호로 바꾸어 송출하고, 반대로 고주파신호를 받아 처리하며 필요한 기저대역 신호를 만들어낸다. 무선 인터패이스부 76은 상기 무선 송수신부 75에 연결되며 상기 무선 송신 특성에 맞도록 데이터를 조정 혹은 변환하거나 수신된 무선데이터를 제어부 특성에 맞도록 조정 혹은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8도는 제7도중 무선 송수신부 75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신호(RF)는 특정한 주파수의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회로인 필터 81를 거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신호가 제거된다. 상기 필터 81은 양방향성을 갖기 때문에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 및 안테나로의 송신신호에 대해서 같은 성능을 갖는다. 본 시스템의 통신방식은 시분할복신으로서 동일한 반송파를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수 밀리초 단위로 번갈아 가며 송수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1ms 동안은 송신, 1ms 동안은 수신을 번갈아 반복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저잡음증폭기로 시작하는 수신회로부 410와 전력증폭기로 시작하는 송신회로부 420을 번갈아 절체하여 주는 회로로 송수전환 스위치 82가 사용된다.
먼저 상기 수신회로부 41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신회로부 410은 저잡음증폭기 83, 혼합기 84, 중간주파 증폭기 85, 복조기 86, 데이터 변별기 87, 제1 주파수합성기 88 및 기준신호발생기 89로 구성된다. 상기 저잡음증폭기 83은 저잡음상태에서 소정의 이득을 갖는 증폭기로서 송신절환스위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고주파신호를 소정의 증폭계수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수신회로부 410의 잡음 특성이 맨 앞단에 위치하는 증폭기에 의해서 대부분 좌우되므로 증폭기는 반드시(또는 가능한한)저잡음 특성이 있는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기 84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와 제 1 주파수 합성기에서 발생되어 출력되는 국부발진신호를 곱하여 두 신호의 주파수차이만큼의 주파수를 갖는 중간주파 신호를 출력한다. 중간주파 증폭기 85는 혼합기 84에서 얻어진 신호를 일정 이득을 갖고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복조기 86은 상기 중간주파 증폭기 85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에서 소정의 주파수 변조방식으로 기저대역 신호를 추출하여 복조된 아나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복조기는 주파수 변조의 하나인 GMSK (Gaussian Filtered Minimum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에서 기저대역신호를 추출하도록 한다. 데이터변별기 87은 상기 복조기 86에서 출력되는 복조된 아나로그 신호에서 디지탈 신호를 복구해내는 회로로서, 이 디자탈 신호는 수신 데이터가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무선 송수신부 75로는 반송파의 간격이 100KHz인 채널이 40개 존재하여 최대 4MHz의 대역폭을 점유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 75가 원하는 채널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지국장치 제어부 73으로부터 소정의 제어신호를 받아 제 1 및 후술하는 제 2 주파수합성기 88, 91를 조절해야 한다. 이 때 상기 제1 주파수합성기 88은 수신에 사용되고, 상기 제2 주파수합성기 91은 송신에 사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합성기 88, 91에 기준신호를 제공하는 기준신호 발생기 89는 두 개의 합성기에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송신회로부 42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송신회로부 420은 무선접속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송신 데이터를 아나로그 신호로 필터링하는 송신필터 92,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기준신호 발생기 89, 상기 기준신호 발생기 89의 기준신호 및 송신필터 92의 아나로그 신호로부터 송신신호를 합성하는 제2 주파수합성기 91 및 송신 데이터를 송신에 적합한 출력세기로 증폭하는 전력증폭기 90으로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송신회로부 420은, 상기 디지탈 송신 데이터를 가우시안 필터(Gaussian Filter)의 특성을 갖는 송신필터로 여파하여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직접 제2 주파수합성기 91로 이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주파수합성기 91에서 기준신호와 합성되어 변조된 신호는 반송파의 중심주파수에서 상하로 수 10KHz 주파수 편이를 갖는 신호가 된다. 상기 제2 주파수합성기 91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송출에 적합한 출력세기를 가지도록 전력증폭기 90에서 신호의 레벨을 높인다. 전력증폭기 9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송수신 절환 스위치 82와 필터 81을 거쳐안테나로 송출된다.
이하 제9∼제14도를 참조하여 발호모드, 위치등록모드, 착신모드, 핸드오버모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9도는 발호모드에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휴대장치 14a∼14n을 통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요구하면, 무선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CAI 프로토콜은 상기 휴대장치 14a∼14n으로부터 수십개의 채널(본 실시예에서는 40개의 채널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에서 빈 채널을 선택하여 무선 링크를 설정하고, 링크요구(LINK_REQUEST)프레임을 기지국장치 13a∼13n으로 송출한다. 한편, 기지국장치 13a∼13n은 수 개의 무선 송수신부(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무선 송수신부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장치 12에서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 13a∼13n으로서 기지국장치그룹을 구성하고, 특정 시점에서 상기 기지국장치그룹중 한 기지국장치의 하나의 무선 송수신부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므로 현재 동작중인 특정 기지국장치의 무선 송수신부를 거쳐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CT-2 CAI 베이스밴드부를 통해 휴대장치로부터의 링크요구프레임을 수신하게 되면(이때 링크요구 프레임내의 LID값은 기지국장치가 임의로 생성시킨 링크기준 ID가 된다.), 기지국장치는 링크허가(LINK-GRANT) 프레임을 작성하여 무선인터페이스부와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지국장치는 링크요구 프레임내에 저장된 PID(Portable ID)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둔다. 이후 기지국장치와 휴대장치 사이에는 상호 핸드쉐이킹을 유지하기 위하여 ID_OK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한다. 링크허가 프레임을 수신한 휴대장치는 링크 양단의 CT2-CAI 프로토콜을 시작시키기 위해 SABM(Set Asynchronous Blanced Mode) 프레임을 송신한다. SABM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이에 대한 확인으로서 CT-2 CAI 베이스밴드부, 무선인터페이스부와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휴대장치로 SABM_ACK를 송신하고,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의 기지국장치 접속모듈로 발호요구 메세지를 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발호요구 메세지를 수신한 기지국장치 접속모듈은 듀얼포트램을 통해 제어장치중 주제어모듈로 이 메세지를 넘겨준다. (이하 제어장치가 기지국장치로부터 메세지를 수신하는 경우는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므로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가 수신하는 것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발호요구 메세지에는 사용중인 RF 채널번호와 PID값이 포함된다.)
발호요구 메세지를 수신한 제어장치의 주제어모듈은 시스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지국장치 접속 모듈의 듀엘포트램으로 기지국장치의 능력을 표시하는 BAS_CAP 메세지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장치의 기지국장치 접속 모듈은 S-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장치로 이 메세지를 송신하게 되고(이하 제어장치가 기지국장치로 메세지를 송신하는 경우는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므로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가 송신하는 것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이 메세지는 기지국장치의 CT-2 CAI 베이스밴드부, 부선인터페이스부와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된다. SABM_ACK를 수신한 휴대장치는 휴대장치의 능력을 표시하는 TERM_CAP(Terminal Capabilities) 메세지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 송신하며 제어장치의 주제어모듈은 메모리에 휴대장치의 능력을 저장하여 둔다. 이어서 휴대장치는 발호임을 표시하는 FA(Feature Activation)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며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 송신하며 제어장치는 이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FI(Feature Indication)을 기지국장치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하게 된다. 제어장치는 B-채널을 제어하기 위해 채널 제어지시 명령을 S-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장치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CC(Channel Control)메세지를 휴대장치로 송신하여 B채널이 연결되도록 하는데, 이 CC 메세지는 파라미터 값을 0으로 설정하여 휴대장치로 송신하고 그에 대한 계층 2 확인을 받으면 파라미터 값을 2로 설정하여 한 번 더 휴대장치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CC 메세지에 대한 휴대장치로부터의 계층2 확인을 수신하면 기지국장치는 제어장치로 채널제어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채널제어확인 메세지를 S-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한다. 채널제어확인 메세지를 수신한 제어장치중 주제어모듈은 메모리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휴대장치 가입자 테이블에 동일한 PID의 휴대장치가 등록되어 있는가 검색하고, 만약 동일한 PID를 갖는 가입자의 정보가 존재한다면 해당 PID에 할당된 회선번호에 해당하는 유선접속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공중교환망 또는 사설교환기 내선을 시스템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후크오프하고 제어장치중 기지국장치 접속모듈의 해당 회선과 유선접속모듈의 해당 회선을 T스위치로 연결하여 공중교환망 또는 사설교환기의 내선으로 공급되는 발신음이 S-인터페이스와 CT-2 CAI B채널을 통해 휴대장치로 전달되도록 한다. 발실음을 들은 휴대장치 가입자는 자신이 통화하기를 원하는 번호를 입력하게 되고 이 내용은 KP 메세지에 실려서 기지국 장치로 송신된다. 기지국장치는 KP 메세지를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 넘겨주고 KP 메세지를 수신한 제어장치중 주제어모듈은 이전에 TERM_CAP을 수신하였을 때 메모리에 저장해 두었던 단말기의 처리능력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능력이 있는 단말기인 경우 DISP 메세지에 수신한 번호를 실어서 기지국장치로 송신하고 이 메세지는 RF를 통해 휴대장치로 넘겨지게 된다. 제어장치중 주제어모듈은 신호처리모듈의 시스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해당 유선접속모듈로 DTMF가 송신되도록 한다. 이후 다이알링이 완료되어 상대방이 응답하여 일반적이 통화상태를 되는 것이다.
제10도 및 제11도는 위치등록모드에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제어장치의 주제어모듈은 각 휴대장치의 위치추적을 위해 일정 주기마다 S-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장치 그룹중 한 기지국장치의 회선으로 CIS 메세지 송신을 요구한다. CIS 메세지 송신을 요청받은 기지국장치는 유휴채널중 한 채널을 선택하여 SYN 채널에는 SYNCF를 싣고 MUX 2로 CIS 메세지를 일정 시간동안 송출한다.
초기위치등록의 경우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한다. 휴대장치가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한 CIS 메세지의 ALR 비트가 세트되어 있고 LID값과 일치하는 LID를 갖는 등록슬롯이 존재하면 초기위치등록을 시작하게 된다. 휴대장치는 무선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빈 채널을 선택하여 무선링크를 설장하고, 링크요구 프레임을 기지국장치로 송출한다. 이때 LID 값은 CIS 메세지내에 포함된 LCI(Local Cell Identifier)와 LID의 하위 바이트로 구성된다. 링크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링크허가 메세지를 송신한다. 이 과정에서 기지국장치는 링크요구 프레임내에 저장된 PID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둔다. 이후 기지국장치와 휴대장치간에는 상호간에 핸드쉐이킹을 유지하기 위하여 ID_OK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한다. 링크허가 프레임을 송수신한 휴대장치는 링크 양단의 CT2-CAI 프로토콜을 시작시키기 위해 SABM 프레임을 송신한다. SABM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이에 대한 확인으로서 CT-2 CAI베이스밴드부, 무선인터페이스부와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휴대장치로 SABM_ACK를 송신하고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 위치등록요구 메세지를 송신한다. 위치등록요구 메세지를 수신한 제어장치는 기지국장치의 능력을 표시하는 BAS_CAP 메세지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휴대장치로 이를 송신한다. SABM_ACK를 수신한 휴대장치는 휴대장치의 능력을 표시하는 TERM_CAP 메세지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 송신하며 제어장치의 주제어모듈은 메모리에 휴대장치의 능력을 저장하여 둔다. 이때 TERM_CAP메세지의 PL과 LRP비트가 세트되어 있어야 위치등록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휴대장치는 초기위치등록임을 표시하는 FA(Feature Activation)3, 31을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며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 송신하게 되고 제어장치의 주제어모듈은 해당 휴대장치가 메제지를 보내온 기지국장치 서비스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FA에 대한 응답으로서 FI 3, 31, 1을 기지국장치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한다. 또 제어장치는 어떤 환경에서 재위치등록요구를 송출하여야 하는지를 휴대장치에 알리기 위해 기지국장치를 통해 휴대장치로 LR_PARAMS 정보요소(information element)를 송신한 다음, 초기위치등록 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해 INIT(initialisation) 정보요소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한다. 이 때 INIT정보요소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2초 타이머를 구동한다.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링크해저통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그대로 종료한다. INIT정보요소를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이 정보요소를 휴대장치로 송신하고 1초 타이머를 구동한다. 타이머가 종료되기 이전에 휴대장치로부터 계층 2ack를 수신하거나 타이머가 종료되면 링크를 해제하고 계층 1, 2, 3을 모두 해제(clear)한 다음 제어장치로 링크해제통보를 송신한다.
재위치등록의 경우는 제11도와 같이 동작한다. 휴대장치가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한 CIS 메세지내의 LID값과 일치하는 등록슬롯이 존재하고 LAI(Local Area Identifier)값에 변화가 있을 경우 재위치등록을 시작하게 된다. 휴대장치는 빈 채널을 선택하여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링크요구프레임을 기지국장치로 송출한다. (이때 LID값은 CIS메세지내에 포함된 링크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링크허가 메세지를 송신한다. 이 과정에서 기지국장치는 링크요구 프레임내에 저장된 PID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둔다. 이후 기지국장치와 휴대장치간에는 상호간에 핸드쉐이킹을 유지하기 위하여 ID_OK를 주지적으로 송수신한다. 링크허가 프레임을 수신한 휴대장치는 링크 양단의 CT2-CAI프로토콜을 시작시키기 위해 SABM프레임을 송신한다. SABM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 장치는 이에대한 확인으로서 CT-2 CAI베이스밴드부, 무선인터페이스부와 무선송신부를 통해 휴대장치로 SABM_ACK를 송신하고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 위치등록요구 메세지를 송신한다. 위치등록요구 메세지를 수신한 제어장치는 기지국장치의 능력을 표시하는 BAS_CAP메세지를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휴대장치로 이를 송신한다. SABM_ACK를 수신한 휴대장치의 능력을 표시하는 TERM_CAP 메세지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 송신하며 제어장치의 주제어모듈은 메모리에 휴대장치의 능력을 저장하여 둔다. 이때 TERM_CAP 메세지의 PL과 LRP비트가 세트되어 있어야 위치등록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휴대장치는 재위치등록임을 표시하는 FA 3, 29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며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 송신하게 되고 제어장치의 주제어모듈은 해당 휴대장치가 메세지를 보내온 기지국장치 서비스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FA에 대한 응답으로서 FI 3, 29, 1을 기지국장치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한다. 또 제어장치는 어떤 환경에서 재위치등록 요구를 송출하여야 하는지를 휴대장치에 알리기 위해 기지국장치를 통해 휴대장치로 LR_PARAMS정보요소를 송신한 다음 초기위치등록 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해 INIT정보요소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한다. 이 때 INIT정보요소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2초 타이머를 구동한다.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링크해제통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그대로 종료한다. 한편, INIT정보요소를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기지국장치를 이 정보요소를 휴대장치로 송신하고 1초 타이머를 구동한다. 타이머가 종료되기 이전에 휴대장치로부터 계층 2ack를 수신하거나 타이머가 종료되면 링크를 해제하고 계층 1, 2, 3을 모두 해제한 다음 제어장치로 링크해제통보를 송신한다.
제 12도는 착시모드에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제어장치의 주제어모듈은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접속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공중교환망 또는 사설교환기의 내선으로부터 링이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링이 검출되는 경우 해당 회선의 착신 단말기로 지정된 가입자의 PID와 그 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장치 그룹의 식별번호를 메모리로부터 확인한 다음 해당 기지국장치 그룹중 현재 RF 스캐닝중에 있지 않은 기지국장치로 착신통보 메세지를 송신한다. 이때 이 메세지에는 착신 단말기의 PID가 저장된다. 이렇게 제어장치로부터 착신통보 메세지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착호될 단말기를 폴링하기 위해 SYN영역에는 CHMF를 포함하고 해당 단말기의 PID와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의 시스템 BID를 LID영역에 저장하여 구성된 ID_OK 메세지 사이에 SIG, FI, NO_POLL 정보요소를 교대로 삽입하여 전송한다. 한편, 자신이 폴링되고 있음을 확인한 휴대장치는 응답하기 위하여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한 LID값과 자신의 PID를 저장하고 SYN영역에는 SYNCP를 포함하는 ID_OK 메세지를 MUX.2로 송신한다. SIG메세지에 의해 휴대장치의 링이 울리게 되면 가입자는 응답하기 위해 키 조작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휴대장치는 SYN영역에 SYNCP를 포함하고 자신의 PID,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BID를 저장한 링크요구 메세지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하게 된다.
링크요구 메세지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링크허가 프레임을 작성하여 무선인터페이스부와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하게 된다(이때 링크허가 프레임내의 LID값은 기지국장치가 임의로 생성시킨 링크기준 ID가 된다.). 이 과정에서 기지국장치는 링크 프레임내에 저장된 PID값을 메모리에 저장해둔다. 이후 기지국장치와 휴대장치간에는 상호간에 핸드 쉐이킹을 유지하기 위하여 ID_OK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한다. 링크허가 프레임을 수신한 휴대장치는 링크 양단의 CT2-CAI 프로토콜을 시작시키기 위해 SABM 프레임을 송신한다. SABM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이에 대한 확인으로서 CT-2 CAI베이스밴드부, 무선인터페이스부와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휴대장치로 SABM_ACK를 송신하고 자체적으로 보내던 SIG, FI, NO_POLL 정보요소의 송신을 중단하고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 착호응답 메세지를 송신한다. SABM_ACK 를 수신한 휴대장치는 휴대장치의 능력을 표시하는 TERM_CAP메세지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 송신하며 제어장치의 주제어모듈은 메모리에 휴대장치의 능력을 저장하여 둔다. 이어서 휴대장치는 착호응답임을 표시하는 FA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며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 송신하고 제어장치는 휴대장치의 링 오프를 위해 SIG 정보요소를 송신하고 FA에 대한 응답으로 FI 정보요소를 기지국장치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하게 되고 기지국장치의 능력을 표시하는 FI를 기지국장치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하게 된다.
제어장치는 B-채널을 제어하기 위해 채널제어지시 명령을 S-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장치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CC메세지를 휴대장치로 송신하여 B채널이 연결되도록 하는데, CC메세지는 파라미터값을 0으로 설정하여 휴대장치로 송신하고 그에 대한 게층2확인을 받으면 변수값을 2로 설정하여 한 번 더 휴대장치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CC메세지에 대한 휴대장치로부터의 계층 2 확인을 수신하면 기지국장치는 제어장치로 채널제어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채널제어확인 메세지를 S-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한다. 채널제어확인 메세지를 수신한 제어 장치중 주제어모듈은 링 착신중인 유선접속모듈과 휴대장치와 연결된 기지국장치 접속모듈의 해당 회선을 T스위치로 연결하여 통화상태가 S-인터페이스와 CT-2 CAI B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 13 및 제14도는 핸드오버모드에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기지국장치는 휴대장치와 통화상태에 있는 동안 주기적으로 RSSI레벨을 체크하여 이 값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휴대장치가 자신의 영역에서 이탈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S-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장치로 핸드오버요구 메세지를 송신한다. 이 핸드오버요구 메세지에는 통화중이었던 휴대장치의 PID와 링크참조값, CT-2 CAI 계층 2변수값들[V(s), V(R), N(S), N(R), SRE비트]과 통화채널번호가 포함된다.
한편, 제어장치는 기지국장치 그룹별로 핸드오버그룹을 구성하여 그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데, 특정 기지국장치로부터 핸드오버 요구 메세지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기지국장치가 속한 그룹을 메모리로부터 읽어내고 또 해당그룹과 핸드오버 그룹을 구성하고 있는 기지국장치 그룹중 현재 RF 스캐닝상태가 아닌 기지국장치 회선을 메모리부터 찾아서(핸드오버 그룹에 속하는 기지국장치 그룹은 다수일 수도 있음.) 핸드오버 지시 메세지를 송신한다. 이 핸드오버·지시 메세지에는 이전에 핸드오버 요구 메세지에 포함되었던 휴대장치의 PID와 링크참조값, CT-2 CAI 계층 2변수값들(VS, VR, NS, VR, SRE)과 통화채널번호를 실어서 기지국장치로 송신해주게 된다. 한편, 제어장치는 핸드오버 요구 메세지를 보내온 기지국장치로 핸드오버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휴대장치로 링크 재설정(LINK_REESTABLISHMENT)메세지를 송신하여 링크 재설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만들고 자신은 리스캐닝(rescanning)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로 천이한다. 이상은 제 13도에 해당한다.
핸드오버 지시 메세지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제어장치로부터 넘겨받은 PID, 링크참조값, 계층 2 변수값들을 이용하여 링크 재설정과정을 수행하는 상태로 진입한다. 링크 재설정 상태로 갈 것을 지시받은 휴대장치는 기존에 사용하던 링크 참조값을 포함하는 링크요구 메세지를 MUX.3로 송신하게 되고 제어장치로부터 핸드오버 지시 메세지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들중 휴대장치가 이동해간 영역의 기지국장치가 링크요구 메세지에 응답, 링크허가 메세지를 송신함으로써 링크 재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링크 재설정이 이루어지고 휴대장치와 ID_OK를 주고 받아 핸드쉐이킹이 이루어지면 기지국장치는 S-인터페이스를 통해 핸드오버 성공 메세지를 송신하고 이 메세지를 수신한 제어장치는 새로 연결된 기지국장치 접속모듈의 회선으로 T-스위치 연결을 변경하여 통화가 계속되도록 한다. 이상은 제14도에 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착발신이 기능할 뿐 아니라 단말기의 위치추적 및 인접 셀간 핸드오버도 가능한 디지탈 방식(CT-2)의 구내 무선전화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디지탈방식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휴대장치와,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휴대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장치와, 사설교환기와,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장치로부터의 씨티-2 씨에이아이 계층 3 메세지와 기지국장치와 내부적으로 규약된 메세지들을 종합정보통신망 에스 접속을 통해 송수신하고, 이들 메세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의 통화경로를 절환하며, 상기 각 기지국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고 씨티-2씨에이아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제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모듈과, 각종 클럭과 이중음 다중화 주파수신호를 생성하며 코덱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신호처리모듈, 공중교환망 또는 사설교환기의 내선망과의 접속 및 보호를 담당하는 유선접속모듈, 기지국장치와의 에스-인터페이스 접속을 담당하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시그날링 데이터를 상기 주제어모듈로 전달하는 기지국장치접속모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는, 상기 기지국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기지국장치제어부와, 상기 기지국장치의 프로그램 및 기지국장치의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 제어장치중 기지국장치접속모듈과의 에스-인터페이스 엘에이피디프로토콜을 위한 데이터 혹은 통화관련 데이터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제어장치의 기지국장치 접속모듈과 종합정보통신망 에스 접속을 담당하는 에스인터페이스부와, 무선인터페이스부와, 씨티-2 씨에이아이 프로토콜신호 계층1, 2를 지원하며 상기 에스-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들어온 음성 피씨엠 데이터를 에이디피씨엠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무선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되는 음성 에이디피씨엠 데이터를 피씨엠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씨티-2 씨에이아이 베이스밴드부와, 기저대역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고, 고주파신호를 수신하여 필요한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송수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발호를 위해 휴지상태에 있는 무선 채널을 선택하여 상기 기지국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됨을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한 코드워드를 분석하여 자신의 위치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기지국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로 위치변경상황을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와 상기 휴대장치간의 통화중 무선링크가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링크의 연결을 인접하는 다른 기지국장치로 넘겨줌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7. 다수의 휴대장치와, 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휴대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장치와, 사설교환기와,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장치로부터의 CT-2 CAI계층3 메세지와 기지국장치와 내부적으로 규약된 메세지들을 종합정보통신망 S 접속을 통해 송수신하고, 이들 메세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의 통화경로를 절환하며, 상기 각 기지국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고 CT-2 CAI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의 호 제어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휴대장치 사용자의 통화요구 감지시 빈 채널을 선택하여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링크요구프레임을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출하는 제 1과정과,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상기 링크요구프레임을 수신하면 링크허가프레임을 작성하여 상기 휴대장치로 송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기지국장치와 상기 휴대장치 사이에 상호 핸드쉐이킹을 유지하기 위한 ID_OK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허가 프레임을 수신한 휴대장치가 링크 양단의 CT2-CAI 프로토콜을 시작시키기 위해 SABM프레임을 송신하면,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가 상기 휴대장치로 SABM_ACK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장치로 발호요구 메세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발호요구 메세지를 수신한 제어장치가 상기 기지국장치의 능력을 표시하는 BAS_CAP 메세지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기지국장치를 통해 상기 휴대장치로 송신되면 상기 SABM_ACK 메세지를 수신한 휴대장치는 휴대장치의 능력을 표시하는 TERM_CAP 메세지를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TERM_CAP 메세지를 수신한 기지국장치가 이를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장치가 발호임을 표시하는 FA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며, 이를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하며 제어장치는 이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FI를 상기 기지국장치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하는 과정과, 제어장치는 B-채널을 제어하기 위해 채널제어지시 명령을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CC메세지를 상기 휴대장치로 송신하여 B채널이 연결되도록 하는 과정과, 두 번째 CC메세지에 대한 휴대장치로부터의 계층2 확인을 수신하면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 채널제어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느 채널제어확인 메세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채널제어확인 메세지를 수신한 상기 제어장치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휴대장치 가입자 테이블에 동일한 PID으 휴대장치가 등록되어 있는가 검색하고, 만약 동일한 PID를 갖는 가입자의 정보가 존재한다면 해당 PID에 할당된 회선번호에 해당하는 유선접속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공중교환망 또는 사설교환기 내선을 후크오프하고 상기 제어장치중 기지국장치 접속모듈의 해당 회선과 유선접속모듈의 해당 회선을 T스위치로 연결하여 공중교환망 또는 사설교환기의 내선으로 공급되는 발신음이 S-인터페이스와 CT-2 CAI B채널을 통해 휴대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는 과정과, 발신음을 들은 휴대장치 가입자는 통화하기를 원하는 번호를 입력하게 되고 이 내용은 KP메세지에 실려서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키폰메세지를 상기 제어장치로 넘겨주고 상기 KP메세지를 수신한 상기 제어장치가 이전에 TERM_CAP을 수신하였을 때 저장해 두었던 단말기의 처리능력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능력이 있는 단말기인 경우 DISP메세지에 수신한 번호를 실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신하여 이 메세지가 상기 휴대장치로 전달되게 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장치에서 DTMF가 송신되도록 한후 다이알링을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모드 제어방법.
  8. 다수의 휴대장치와,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휴대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장치와, 사설교환기와,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장치로부터의 CT-2 CAI 계층3메세지와 기지국장치와 내부적으로 규약된 메세지들을 종합정보통신망 에스접속을 통해 송수신하고, 이들 메세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의 통화경로를 절환하며, 상기 각 기지국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고 CT-2 CAI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의 호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각 휴대장치의 위치추적을 위해 일정 주기마다 상기 기지국장치 그룹중 한 기지국장치의 회선으로 CIS 메세지 송신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CIS 메세지 송신을 요청받은 상기 기지국장치가 유휴채널중 한 채널을 선택하여 SYN채널에는 SYNCF를 싣고 MUX.2로 상기 CIS메세지를 일정 시간동안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한 CIS메세지의 ALR비트가 세트되어 있고 LID값과 일치하는 LID를 갖는 등록슬롯이 존재하면, 상기 휴대장치가 무선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빈 채널을 선택하여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링크요구 프레임을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출하는 제1단계, 링크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상기 기지국장치가 이에 대한 응답으로 링크허가 메세지를 송신하며 이후 기지국장치와 휴대장치간에 상호간에 핸드웨이킹을 유지하기 위하여 아이디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링크허가 프레임을 송수신한 상기 휴대장치가 링크 양단의 CT-2 CAI 프로토콜을 시작시키기 위해 SABM 프레임을 송신하는 제3단계, 상기 SABM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장치가 이에 대한 확인으로서 상기 휴대장치로 SABM 응답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장치로 위치등록요구 메세지를 송신하는 제4단계, 상기 추이등록요구 메세지를 수신한 제어장치가 상기 기지국장치의 능력을 표시하는 메세지를 상기 기지국장치를 통해 상기 휴대장치로 송신하는 제 5단계, 상기 SABM 응답신호를 수신한 휴대장치가 자신의 능력을 표시하는 메세지를 상기 기지국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제6단계, 상기 휴대장치가 초기위치등록임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기지국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하면 상기 제어장치가 해당 휴대장치가 메세지를 보내온 기지국장치 서비스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등록하고 메모리에 저장하고 초기위치등록임 표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기지국장치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하는 제 7단계와 상기 제어장치가 재위치등록요구 송출환경 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를 통해 상기 휴대장치로 송신한 다음 초기 혹은 재위치등록 서비스를 종료신호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하여 일정 시간내에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응답이 검출되면 링크 및 계층 1, 2, 3을 모두 해제한 다음 상기 제어장치로 링크해제통보를 송신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초기 혹은 재위치등록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등록모드 제어방법.
  9. 다수의 휴대장치와, 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휴대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장치와, 사설교환기와,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장치로부터의 씨티-2 씨에이아이 계층3 메세지와 기지국장치와 내부적으로 규약된 메세지들을 종합 정보 통신망 에스 접속을 통해 송수신하고, 이들 메세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의 통화경로를 절환하며, 상기 각 기지국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고 씨티-2 씨에아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의 호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장치가 공중교환망 또는 사설교환기의 내선으로부터 링이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링이 검출되는 경우 해당 회선의 착신 단말기로 지정된 가입자의 PID와 그 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장치 그룹의 식별번호를 확인한 다음 해당 기지국장치 그룹중 현재 RF 스캐닝중에 있지 않은 기지국장치로 착신통보 메세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착신통보 메세지를 수신한 기지국장치가 착호될 단말기를 폴링하기 위해 SYN영역엔느 CHMF를 포함하고 해당 단말기의 PID와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의 시스템 BID를 LID영역에 저장하여 구성된 ID_OK 메세지 사이에 SIG, FI, NO_POLL 정보요소를 교대로 삽입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자신이 폴링되고 있음을 확인한 휴대장치가 응답하기 위하여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한 LID값과 자신의 PID를 저장하고 SYN영역에는 SYNCP를 포함하는 ID_OK 메세지를 MUX.2로 송신하는 과정과, SIG 메세지에 의해 휴대장치의 링이 울리게 되고 가입자의 응답키가 감지되면 휴대장치가 SYN영역에 SYNCP를 포함하고 자신의 PID,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BID를 저장한 링크요구 메세지를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과정과, 링크요구 메세지를 수신한 기지국장치가 링크허가 프레임을 작성하여 휴대장치로 송신한 후 기지국장치와 휴대장치간에 상호 핸드쉐이킹을 유지하기 위한 아이디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과정과, 링크허가 프레임을 수신한 휴대장치가 링크 양단의 CT2-CAI 프로토콜을 시작시키기 위해 SABM 프레임을 송신하면 SABM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장치가 이에 대한 확인으로서 휴대장치로 SABM_ACK를 송신하고 자체적으로 보내던 SIG, FI, NO-POLL 정보요소으 송신을 중단하고 제어장치로 착호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SABM_ACK를 수신한 휴대장치는 휴대장치의 능력을 표시하는 TERM_CAP 메세지를 기지국장치를 통해 제어장치로 송신하고 휴대장치는 착호응답임을 표시하는 메세지를 기지국장치를 통해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과정과, 제어장치가 휴대장치의 링 오프를 위해 SIG 정보요소를 송신하고 FA에 대한 응답으로 FI 정보요소를 기지국장치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하게 되고 기지국장치의 능력을 표시하는 FI를 기지국장치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하는 과정과, 제어장치가 B-채널을 제어하기 위해 채널제어지시 명령을 기지국장치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가 CC메세지를 휴대장치로 송신하여 B채널이 연결되도록 하는 과정과, 두번째 CC메세지에 대한 휴대장치로부터의 계층 2 확인을 수신하면 기지국장치는 제어장치로 채널제어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채널제어 확인 메세지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장치가 회선을 스위치로 연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모드 제어방법.
  10. 다수의 휴대장치와, 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휴대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장치와, 사설교환기와,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장치로부터의 씨티-2 씨에이아이 계층 3 메세지와 기지국장치와 내부적으로 규약된 메세지들을 종합정보통신망 에스 접속을 통해 송수신하고, 이들 메세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설교환기와 상기 기지국장치 사이의 통화경로를 절환하며, 상기 각 기지국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고 씨티-2 씨에이아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구내 무선전화시스템의 호 제어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장치가 휴대장치와 통화상태에 있는 동안 주기적으로 RSSI레벨을 체크하여 이 값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휴대장치가 자신의 영역에서 이탈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장치로 핸드오버요구 메세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제어장치가 특정 기지국장치로부터 핸드오버 요구메세지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기지국장치가 속한 그룹을 찾고 해당그룹과 핸드오버 그룹을 구성하고 있는 기지국장치 그룹중 현재 RF 스캐닝상태가 아닌 기지국장치회선을 메모리부터 찾아서 핸드오버 지시 메세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제어장치가 핸드오버 요구 메세지를 보내온 기지국장치로 핸드오버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는 휴대장치로 링크 재설정 메세지를 송신하여 링크 재설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과, 핸드오버 지시 메세지를 수신한 기지국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넘겨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링크 재설정과정을 수행하는 상태로 진입하고, 링크 재설정 상태로 갈 것을 지시받은 휴대장치가 링크요구 메세지를 MUX.3로 송신하며 제어장치로부터 핸드오버 지시 메세지를 수신한 기지국장치들중 휴대장치가 이동해간 영역의 기지국장치가 링크요구 메세지에 응답, 링크허가 메세지를 송신함으로써 링크를 재설정하는 과정과, 링크 재설정이 이루어지고 휴대장치와 아이디정보를 주고 받아 핸드쉐이킹이 이루어지면 기지국장치가 핸드오버 성공 메세지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가 새로운 기지국장치로 통화경로를 절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제어방법.
KR1019950021897A 1995-07-24 1995-07-24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KR0145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897A KR0145882B1 (ko) 1995-07-24 1995-07-24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FR9603981A FR2737378B1 (fr) 1995-07-24 1996-03-29 Central automatique secondaire prive sans fil
CN96100232A CN1082319C (zh) 1995-07-24 1996-04-30 含无绳用户专用自动小交换机的数字通信系统和呼叫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897A KR0145882B1 (ko) 1995-07-24 1995-07-24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774A KR970008774A (ko) 1997-02-24
KR0145882B1 true KR0145882B1 (ko) 1998-08-17

Family

ID=1942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897A KR0145882B1 (ko) 1995-07-24 1995-07-24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0145882B1 (ko)
CN (1) CN1082319C (ko)
FR (1) FR2737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727A (ko) * 2000-09-16 2002-03-22 김성헌 구내용 다기능 업무 정보 무선 송수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350B1 (ko) * 1997-10-07 2001-07-12 유광섭 유무선전화기의연계운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5348B1 (en) * 1990-09-11 1999-03-10 Nec Corporation Cordless key telephone system having zone switching function
JPH06165242A (ja) * 1992-10-26 1994-06-10 Philips Electron Nv 通信システム
FI97518C (fi) * 1993-08-12 1996-12-27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ja laitteisto CT2-puhelujen sovittamiseksi ISDN-tilaajajohdolle
GB9316813D0 (en) * 1993-08-12 1993-09-29 Macnamee Robert J G Cordless telephon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727A (ko) * 2000-09-16 2002-03-22 김성헌 구내용 다기능 업무 정보 무선 송수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319C (zh) 2002-04-03
FR2737378B1 (fr) 2001-08-24
FR2737378A1 (fr) 1997-01-31
CN1154634A (zh) 1997-07-16
KR970008774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8182B2 (en) Allocation of time slot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2188517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радиотелефонной системы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экстренн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радиотелефона и радиотелефон, приспособленный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овместимой радиотелефонной системе
US5781612A (en) Radio terminal interfaces for voice and data telecommunications, and methods for their operation
AU67560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ubscriber station in a radio system
AU712648B2 (en) Synchronizing a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EP0239093A2 (en) Multiple access radio telephone system selectively operating on full-duplex and half-duplex modes
US6337979B1 (e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WO1994005101A1 (en) Portable to portable communications in a cordless telephone system
EP0862839B1 (en) A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JPH10500815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の確立方法
AU5339800A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local calling
US61190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synchronous information of each base station i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0162839B1 (ko) 덱트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구내 무선전화시스템
US6477364B1 (en) Automatic redialing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960004959B1 (ko) 인입 전화 호출 접속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0145882B1 (ko)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RU2194371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запроса неожиданного разъединения
JP3307991B2 (ja) 移動通信端末
JP3220149B2 (ja) 拡張されたチャネル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
JP3621688B2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通話チャネル制御方法
KR100255818B1 (ko) 시티폰간 직접 통신하는 방법
KR100313915B1 (ko) 무선가입자망에서의메시지처리방법
JPH04275729A (ja) ディジタル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チャネル制御方法
US7020454B2 (en) Method for mak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KR100258148B1 (ko) 덱트(dect)방식의무선교환기에서기지국간베어러핸드오버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