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291B1 - 색신호의 주파수 대역변환을 위한 디지탈 반송파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색신호의 주파수 대역변환을 위한 디지탈 반송파 발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291B1
KR0142291B1 KR1019930016003A KR930016003A KR0142291B1 KR 0142291 B1 KR0142291 B1 KR 0142291B1 KR 1019930016003 A KR1019930016003 A KR 1019930016003A KR 930016003 A KR930016003 A KR 930016003A KR 0142291 B1 KR0142291 B1 KR 0142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change amount
color
phas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558A (ko
Inventor
반영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16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291B1/ko
Priority to US08/291,862 priority patent/US5684914A/en
Priority to JP6193017A priority patent/JP3053532B2/ja
Publication of KR950007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3Conversion of monochrome picture signals to colour picture signals for colour pictur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오테이프레코더의 색신호처리회로에서 색신호의 주파수 대역변환에 사용되는 반송파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가산기는 수평동기신호의 변화에 의해 얻어진 제1위상변화량신호 및 칼러버스트신호의 변화에 의해 얻어진 제2위상변화량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며, 적분기는 가산된 위상변화량신호를 공급받아 적분하여 위상값신호를 발생하고, 롬은 적분기로부터의 위상값신호에 대응하는 반송파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곱셈기 및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으로서도 색신호의 디지탈처리를 위한 반송파를 발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색신호의 주파수대역변환을 위한 디지탈 반송파 발생장치
제1도는 종래의 대역변환을 위한 반송파 발생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역변환을 위한 반송파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반송파발생장치20,30:적분기
26,36,48:사인테이블42,44:가산기
본 발명은 색신호의 기록/재생에 사용되는 반송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칼러텔레비젼신호중의 색신호를 기록/재생하기 위하여 디지탈 색신호의 주파수대역을 변환하기 위한 반송파(carrier)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칼러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색신호의 주파수대역 변환회로는, 실제 전송되는 색신호의 주파수대역과 테이프에 기록되는 색신호의 주파수대역이 다르기 때문에, 색신호의 기록시 또는 복원시 색신호의 주파수대역을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반송파 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반송파는 색신호의 주파수대역을 변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색신호의 주파수대역변환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Numakura 등의 U.S.P. No. 4,851,928이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 칼러 비데오테이프레코더의 신호처리방식은 아날로그방식에서 디지탈방식으로 변환되고 있다. 그런데, 디지탈방식으로 색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기존의 아날로그방식과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회로의 규모가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선행기술로는 1987년 4월 4일자로 특허출원공개된 Suzuki의 영국특허번호 2,179,521 A가 있다. 이 참증은 색신호의 복조를 위해 저역통과필터가 필요하지 않은 칼러신호 복조장치를 기술한다.
디지탈 방식으로 색신호를 처리하는 경우의 회로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회로 중의 하나가 색신호의 주파수대역을 변환하기 위한 반송파 발생장치이다. 디지탈 반송파 발생장치의 설명에 앞서, 예를 들어, NTSC표준 (standard)에 대한 기록/재생기의 색신호의 중심주파수에 대하여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전송되는 색신호의 부반송파(subcarrier)는 629KHz(40fh:fh는 수평동기주파수)의 중심주파수를 갖는다. 그 이외에도 8㎜ 포맷으로 기록시 색신호의 중심주파수는 743KHz(47.25fh)가 된다. 여기서는 기록시 색신호의 중심주파수가 629KHz(40fh)의 경우이다. 따라서, 색신호의 기록시 fSC(fSC)는 색부반송파의 주파수)를 40fh로 저역변환처리하고, 재생시에는 40fh를 fh또는 40fh에 반송파 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fhSC+40fh의 반송파를 곱한 후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하여 40fh또는 fSC를 얻게 된다.
제1도는 종래의 대역변환반송파 발생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제1도에서, 대역변환 반송파 발생장치(10)는 곱셈기(12)와 대역통과필터(14)를 구비한다. 이러한 대역변환 반송파 발생장치(10)는 적분기(20) 및 사인(sine)테이블(26)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 D1(40fh)와, 적분기(30) 및 사인테이블(36)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 D2(fSC)를 곱셈기(12)를 통해 인가받는다. 또한, 신호 D1(40fh)과 신호 D2(fSC)는 도면에 미도시된 위상비교회로로 입력된다. 그래서, 신호 D1(40fh)은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와 록킹되고, 신호 D2(fSC)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칼러버스트신호와 동기된다.
대역변환 반송파 발생장치(10) 곱셈기(12)는 사인테이블들(26,36)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들(D1(40fh), D2(fSC))을 곱하여 주파수대역이 fSC±40fh인 반송파신호 D3(fSC±40fh)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반송파 발생장치는 색신호의 기록/재생에 사용되는 fSC+40fh의 주파수를 얻기위한 곱셈기 및 곱셈기의 출력신호로부터 불필요한 신호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대역통과필터를 필요로 하므로, 회로의 규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색신호의 대역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반송파 발생에서 일어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곱셈기 및 대역통과필터를 필요없게 하므로써, 회로의 규모를 소형화시킨 반송파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데오테이프레코더에서 색신호의 주파수대역변환을 위한 디지탈 반송파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평동기신호의 변화에 의해 얻어진 제1위상변화량신호 및 칼러버스트신호의 변화에 의해 얻어진 제2위상변화량신호를 가산하고, 가산된 위상변화량신호를 출력하는 제1가산기; 상기 제1가산기로부터 인가되는 위상변화량신호를 적분하여 위상값신호를 발생하는 적분기; 및 상기 적분기로부터 입력되는 위상값신호에 대응하는 반송파신호를 출력하는 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대역변환을 위한 반송파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2도에서, 반송파 발생장치(40)는 제1가산기(42), 제2가산기(44), 래치(46), 및 롬을 이용하여 구현된 사인테이블(48)로 이루어진다. 반송파 발생장치(40)와 함께 제2도에서 도시된 적분기(20, 30)은 제1도의 대응 블록들과 그 구성 및 동작이 유사하다.
가산기(22)는 현재 입력되는 제1위상변화량신호(θ1)와 래치(24)에서 공급되는 이전 제1위상변화량신호를 순차적으로 가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위상변화량신호를 적분한다. 그러면, 사인테이블(26)은 적분된 제1위상변화량신호를 공급받아 저역변환처리된 40fh를 발생한다. 이 40fh는 도면에 미도시된 위상비교회로로 입력된다. 이와같은 동작은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적분기(2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제2도의 장치로 공급되는 시스템클럭이 27MHz인 경우, 40fh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제1위상변화량신호(θ1)의 단위크기는 (40fh/27MH)×360°로서, NTSC 표준(standard)의 경우 약 8.387°가 된다. 이 제1위상변화량신호(θ1)는 미도시된 자동주파수조절(automatic Frequency control;AFC) 회로에 의해 수평동기신호의 변화에 따라 약간씩 그 크기가 증가 또는 감소한다. 이러한 제1위상변화량신호(θ1)에 의해, 하나의 수평주사구간동안 40개의 서로 다른 반송파주기들이 발생가능하다.
상술의 제2위상변화량신호(θ2)는 미도시된 자동위상조절(Automatic Phase Control;APC)회로에 의해 칼러버스트신호의 변화에 대응하여 발생된다. 가산기(32)는 현재 입력되는 제2위상변화량신호(θ2)와 래치(34)에서 공급되는 이전 제2위상변화량신호를 순차적으로 가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2위상변화량신호를 적분한다. 그러면, 사인테이블(36)은 적분된 제2위상변화량신호를 공급받아 칼러버스트신호와 위상이 동기된 fSC를 발생한다. 이와같은 동작은 제1도에 도시된 적분기(3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마찬가지로, 주시스템클럭이 27MHz인 경우, 제2위상변화량신호(θ2)의 단위크기는 (fSC/ 27MHz)×360°fhtj, dir 47.73°가 된다.
제1가산기(42)는 제1위상변화량신호(θ1) 및 제2위상변화량신호(θ2)를 인가받아 가산출력한다. 제1가산기(42)에서 출력되는 가산된 위상변화량(θ1+θ2)은 제2가산기(44)와 래치(46)에 의해 적분된다. 적분에 의해 얻어진 위상값은 래치(46)로부터 출력되어 사인테이블(48)로 인가된다. 사인테이블(48)은 입력되는 위상값신호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는 주파수를 갖는 사인파신호를 출력한다. 즉, 사인테이블(48)은 매 클럭마다 가해지는 위상변화량을 어드레스로 입력받아 해당 어드레스가 가리키는 위상에 대응하는 사인함수값을 출력한다. 그러므로, 사인테이블(48)은 fSC+40fh를 갖는 반송파신호를 출력하며, 이 반송파신호는 색신호의 주파수대역변환을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제2도의 변환캐리어 발생장치는 제1도의 장치와 비교하여, 적분기와 SIN테이블에 의해 각각 얻어지는 40fh및 fSC대신 제1위상변화량신호(θ1) 및 제2위상변화량신호(θ2)를 입력데이타로 사용하고, 곱셈기와 대역통과필터 대신 가산기와 래치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변환캐리어 발생장치는 종래의 변환캐리어 발생장치에 비해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술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NTSC표준 뿐만 아니라 PAL표준의 텔레비젼신호에도 적용가능하며, 비데오테이프레코더의 색신호 기록/재생 뿐만 아니라 캠코더 등의 색신호 기록/재생에도 사용가능하다.

Claims (6)

  1. 비데오테이프레코더에서 색신호의 주파수대역변환을 위한 디지탈 반송파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평동기신호의 변화에 의해 얻어진 제1위상변화량신호 및 칼러버스트신호의 변화에 의해 얻어진 제2위상변화량신호를 가산하고, 가산된 위상변화량신호를 출력하는 제1가간시; 상기 제1가산기로부터 인가되는 위상변화량신호를 적분하여 매클럭마다 위상값신호를 발생하는 적분기; 및 상기 적분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위상값신호에 대응하는 반송파신호를 출력하는 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기는 상기 제1가산기의 출력과 소정의 궤환데이타를 가산하는 제2가산기; 상기 제2가산기의 출력을 공급받아 래칭하고, 출력을 상기 롬 및 상기 제2가산기로 공급하는 래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롬은 입력되는 위상값신호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는 주파수를 갖는 SIN파신호를 출력하는 SIN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변화량신호는 샘플링된 인접 수평동기신호간의 위상차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상변화량신호는 칼러버스트신호에 위상동기되어 샘플링된 색부반송파신호의 인접신호간의 위상차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발생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롬은 상기 래치로부터의 위상값신호를 어드레스로 입력받아 해당 어드레스가 가리키는 위상값을 연속적인 사인파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발생장치.
KR1019930016003A 1993-08-18 1993-08-18 색신호의 주파수 대역변환을 위한 디지탈 반송파 발생장치 KR0142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003A KR0142291B1 (ko) 1993-08-18 1993-08-18 색신호의 주파수 대역변환을 위한 디지탈 반송파 발생장치
US08/291,862 US5684914A (en) 1993-08-18 1994-08-17 Digital carrier generator for frequency band conversion of color signals
JP6193017A JP3053532B2 (ja) 1993-08-18 1994-08-17 色信号の周波数帯域変換のための搬送波発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003A KR0142291B1 (ko) 1993-08-18 1993-08-18 색신호의 주파수 대역변환을 위한 디지탈 반송파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558A KR950007558A (ko) 1995-03-21
KR0142291B1 true KR0142291B1 (ko) 1998-06-15

Family

ID=1936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003A KR0142291B1 (ko) 1993-08-18 1993-08-18 색신호의 주파수 대역변환을 위한 디지탈 반송파 발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84914A (ko)
JP (1) JP3053532B2 (ko)
KR (1) KR0142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7221B2 (ja) * 2004-12-21 2011-07-2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WO2012004992A1 (ja) 2010-07-08 2012-0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ロータリ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5631399B2 (ja) 2010-07-08 2014-1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ロータリ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034B2 (ja) * 1978-12-19 1985-07-31 ソニー株式会社 Apc形色同期回路
JPH0666954B2 (ja) * 1985-08-07 1994-08-24 日本電気株式会社 色信号復調装置
DE3539416A1 (de) * 1985-11-07 1987-05-14 Bosch Gmbh Robert Anordnung zur decodierung eines digitalen pal-farbfernseh-signals
JPH084349B2 (ja) * 1987-03-20 1996-01-17 ソニー株式会社 カラ−映像信号の記録方法及びその再生方法
DE58909746D1 (de) * 1989-11-18 1996-11-28 Itt Ind Gmbh Deutsch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requenzmodulation
US5267040A (en) * 1991-03-28 1993-11-30 Gossett C Philip Structure and method for detecting phase errors i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pulses of television signals
EP0527249B1 (en) * 1991-08-09 1997-12-17 Nec Corporation Carrier recovery apparatus for digital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JPH0591522A (ja) * 1991-09-30 1993-04-09 Toshiba Corp デイジタル発振器及びこれを用いた色副搬送波再生回路
US5459524A (en) * 1991-11-18 1995-10-17 Cooper; J. Carl Phase modulation demodulator apparatus and method
JP2850643B2 (ja) * 1992-06-09 1999-01-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色信号復調装置
JP3033352B2 (ja) * 1992-08-10 2000-04-17 日本電気株式会社 Palエンコ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53532B2 (ja) 2000-06-19
US5684914A (en) 1997-11-04
KR950007558A (ko) 1995-03-21
JPH07162895A (ja) 199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14305A (en) Color video signal correction for mechanical variations in magnetic recording system
KR0142291B1 (ko) 색신호의 주파수 대역변환을 위한 디지탈 반송파 발생장치
US4851928A (en) Apparatus for recording low and high bond components of a chrominance signal
US6690430B1 (en) Chrominance signal demodulation circuit
JP293672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EP0161810B1 (en) Chrominan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440349A (en) Color signal demodulation circuit and method therefor
US3749826A (en) Color television signal reproducing system
EP0382151B1 (en) Sampling frequency down-converting apparatus
KR930000484B1 (ko) 디지틀 영상신호 처리장치
JPS6412156B2 (ko)
EP0456501B1 (en) Pilot signal eliminating circuit
JP365899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50973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layback clock from a 2.5 MHz chroma PLL
JP3254864B2 (ja) ビデオ再生装置
JP267707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290894A (ja) デイジタル処理色信号処理装置
JP3183884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S6378690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58631B2 (ko)
JPH01181212A (ja) くし形フイルタ
JPH058629B2 (ko)
JPH0580872B2 (ko)
JPH058632B2 (ko)
JPS608677B2 (ja) カラー映像信号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