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317Y1 - speaker - Google Patents

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317Y1
KR0140317Y1 KR2019960033746U KR19960033746U KR0140317Y1 KR 0140317 Y1 KR0140317 Y1 KR 0140317Y1 KR 2019960033746 U KR2019960033746 U KR 2019960033746U KR 19960033746 U KR19960033746 U KR 19960033746U KR 0140317 Y1 KR0140317 Y1 KR 0140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yoke
speake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74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20514U (en
Inventor
한봉희
Original Assignee
한봉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봉희 filed Critical 한봉희
Priority to KR2019960033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317Y1/en
Publication of KR19980020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51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317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스피커를 개시한다. 중앙부위에 삽입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는 요크와, 상기 내측에 안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에 놓이는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위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놓이는 진동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도통되며 상기 진동판과 마그네트 사이에 개재되는 보이스코일 및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은 삽입공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요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홈에 돌기부가 삽입되어 프레임과 요크가 결합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채용함으로써, 소형화, 향상된 결합강도 등의 효과가 있다.Start the speaker. A frame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yok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 magnet seated inside the plate, a plate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gnet, a printed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frame, and the plate A speaker comprising a diaphragm placed on an upper surface, a voice coil interposed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nterposed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magnet, and a cov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wherein the frame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The yoke has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and the yoke has at least on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frame and the yoke are coupled. By adop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effects such as miniaturization and improved bonding strength.

Description

스피커speaker

본 고안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화가 가능하고 요크와 프레임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aker capable of miniaturization and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of a yoke and a frame.

정보사회라 칭하는 오늘날에도 정보전달의 면에 있어서 소리의 전달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소리의 전달은 외부기기를 통해 입력되어 스피커에 의해 행해진다. 이 스피커는 오딩에서부터 시작되어 시계, 휴대폰, 전화기, 컴퓨터 등의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곳에 채용되어 그 기능을 하고 있다.In today's information society, sound transmission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terms of information delivery. Sound transmission is input through an external device and performed by a speaker. These speakers ar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ranging from ording to home appliances such as watches, cell phones, telephones and computers.

스피커는 그 구조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의 일예를 제1도 및 제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 스피커(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을 구비한다. 이 프레임(11)은 금속재질의 환형 플레이트이며 원주방향으로 돌출턱(11a)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1)의 중심부에는 삽입공(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공(11b) 주변에는 삽입공(11b)의 직경보다 작은 다수의 관통공(11c)이 대략 반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관통공(11c)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는 인쇄회로기판(13)이 소정 높이 돌출되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위의 외부면에 소정 길이의 그루브(11d)가 있다. 참조 부호 13a는 납땜처리된 부위이며 인쇄회로기판(13)의 외부 연뎔단자이다.There are various kinds of loudspeakers according to their structure or use, but one example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is speaker 10 has a frame 11, as shown in the figure. The frame 11 is an annular plate made of metal and has a protruding jaw 11a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insertion hole 11b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frame 11, and many through-holes 11c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11b are arrange | positioned substantially semicircle around this insertion hole 11b. The printed circuit board 13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to a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s 11c are not formed. And the groove | channel 11d of a predetermined length exists in the outer surface of this site | part. Reference numeral 13a denotes a soldered portion and an externally connected terminal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

상기 삽입공(11b)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14)가 삽입된다. 이 요크(14)는 금속재질의 컵형플레이트이며 그 개방단에 외측으로 플랜지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14a)가 프레임(11)상에 걸쳐짐으로써 지지되고 본딩부(14b)에 의해 프레임(11)과 결합된다. 이 요크(14)의 내측에는 마그네트(15)가 안착 고정되고, 마그네트(15)의 상면에는 플레이트(16)가 놓여져 있다. 이 플레이트(16)의 주위에는 보이스 코일(19)의 연결단자와 안착되고, 이 보이스 코일(19)의 일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3)의 연결단자와 전기도통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6)의 위에는 진동판(17)이 위치하는데 프레임(11)의 돌출턱(11a)의 내측단부에 안착되며, 상기 보이스코일(19)의 코일선과 연결되어 있다. 이 진동판(17)이 안착된 프레임(11)의 상면에는 테두리에 플랜지(18a)가 형성된 금속재질의 원형 커버(18)가 놓이게 되는데, 이 커버(18)의 플랜지(18a)가 프레임(11)의 돌출턱(11a)의 외측면에 걸쳐져서 결합된다.The yoke 1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b as shown in FIG. The yoke 14 is a cup plate made of metal, and a flange portion 14a is formed on the open end of the yoke 14. This flange portion 14a is supported by being spanned on the frame 11 and joined with the frame 11 by the bonding portion 14b. The magnet 15 is seated and fixed inside the yoke 14, and a plate 16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 15. A periphery of the plate 16 is seat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voice coil 19, and a part of the voice coil 19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 so as to be electrically conductive. The diaphragm 17 is positioned on the plate 6 and is mounted on the inner end of the protruding jaw 11a of the frame 11 and connected to the coil wire of the voice coil 19.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1 on which the diaphragm 17 is seated, a circular cover 18 made of metal having a flange 18a formed on the rim is placed, and the flange 18a of the cover 18 is the frame 11. It is coupled across the outer surface of the projection jaw (11a) of.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피커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peak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스피커(10)의 인쇄회로기판(13)의 연결단자(13a)에 음성 및 음악적 정보를 간직한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이 연결단자(13a)와 전기 도통되게 코일선으로 직접 연결된 보이스코일(19)에 전기가 흘러 전기장을 형성하게 되고, 요크(14)의 상면에 고정된 마그네트(15)에는 자기장이 발생된다. 이 전기장과 자기장에 의해 보이스코일(19)이 상하로 운동을 하게 되고 그 전기적 신호와 보이스코일(19)의 상하운동으로 발생되는 전압차로 인해 진돛판(17)이 흡인 진동하여 음압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 음압의 변화가 공기중의 밀도 즉, 압력을 한시적으로 변화시키고 우리의 귀에 음성 및 음악적 정보를 재생시킨 소리를 들려주게 된다.When an electrical signal containing voice and musical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nnection terminal 13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 of the speaker 10, the voice coil 19 directly connected to the coil coil 19 in electrical conduction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13a is input. Electricity flows to form an electric field, and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magnet 15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yoke 14. Due to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the voice coil 19 moves up and down, and due to the electric signal and the voltage difference generated by the vertical motion of the voice coil 19, the true sail plate 17 sucks and vibrates to change the sound pressure. do. This change in sound pressure causes the density of the air, that is, the pressure to be changed for a time, and the sound that reproduces voice and musical information in our ears.

그러나, 상기한 스피커(10)는 프레임(11)에 장차된 인쇄회로기판(13)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3)의 두께만큼 그 높이가 높아졌으며, 프레임(11)의 삽입공(11b)에 삽입되는 요크(14)는 그 본딩부(14b)에 의해 프레임(11)과 결합되므로 본딩공정을 필요로 하고 결합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커버(18)는 프레임의 돌출턱(11c) 외측면에 그 플랜지부(18a)가 걸쳐지게 되어 그 플랜지부(18a)의 두께만큼 외형상의 부피를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height of the speaker 10 is increased by the thicknes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 by the printed circuit board 13 mounted on the frame 11, and the insertion hole 11b of the frame 11 is increased. Since the yoke 14 to be inserted is coupled to the frame 11 by the bonding portion 14b, the yoke 14 requires a bonding process and the bonding strength may be lowered. In addition, the cover 18 has a problem that the flange portion (18a) is exte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jaw (11c) of the frame to increase the external volume by the thickness of the flange portion (18a).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요크와 프레임의 결합구조가 개선되고 소형화가 가능한 스피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aker capable of miniaturization and improved coupling structure of the yoke and the frame.

제1도는 종래의 스피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speaker.

제2도는 종래의 스피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speaker.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pea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30, 50 : 스피커 11, 31, 51 : 프레임10, 30, 50: Speakers 11, 31, 51: Frame

11a, 31a, 51a : 돌출턱 11b, 31b : 삽입공11a, 31a, 51a: protruding jaw 11b, 31b: insertion hole

11c, 31c, 51c : 관통공 11d, 31d : 그루브11c, 31c, 51c: through hole 11d, 31d: groove

13, 33, 53 : 인쇄회로기판 13a, 33a, 53a : 연결단자13, 33, 53: printed circuit board 13a, 33a, 53a: connection terminal

14, 34, 54 : 요크 14a : 요크의 플랜지부14, 34, 54: yoke 14a: flange portion of yoke

14b : 요크의 본딩부 15, 35, 55 : 마그네트14b: bonding portion of the yoke 15, 35, 55: magnet

16, 36, 56 : 플레이트 17, 37, 57 : 진동판16, 36, 56: plates 17, 37, 57: diaphragm

18, 38, 58 : 커버 31f : 안착홈18, 38, 58: Cover 31f: Seating groove

18a, 38a, 58a : 커버의 플랜지부 19, 39, 59 : 보이스코일18a, 38a, 58a: flange portions of the cover 19, 39, 59: voice coi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는 중앙부위에 삽입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는 요크와, 상기 요크의 내측에 안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에 놓이는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위에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놓이는 진동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도통되며 상기 진동판과 마그네트 사이에 개재되는 보이스코일 및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된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삽입공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요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홈에 돌기부가 삽입되어 프레임과 요크가 결합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in which 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a yok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a magnet seated inside the yoke, and a plate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gnet; A printed circuit board attached to the top of the frame, a vibration plate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a voice coi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nterposed between the vibration plate and the magnet, and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In the speaker, the frame has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the yoke has at least one proj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rame and the yok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b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pea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30)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로 된 프레임(31)을 구비한다. 이 프레임(31)은 환형이며 원주방향으로 돌출턱(3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삽입공(3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공(31b)의 주위에는 다수의 관통공(31c)이 대략 반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관통공(31c)들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외측면에는 소정길이의 안착홈(31f)이 소정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위의 외주면에 소정 길이 그루브(3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31b)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31e)이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31b)에는 요크(34)가 삽입된다. 이 요크(34)는 금속재질의 컵형 플레이트이며 그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34a)는 상기 삽입공(31b)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홈(31e)에 삽입되어 상기 요크(34)와 상기 프레임(31)을 결합시킨다. 이때, 삽입공(31b)의 상면 높이와 요크(34)의 단부 높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크(34)의 내측에는 마그네트(35)가 안착된다. 이 마그네트(35)는 원형이며, 요크(34)에 고정됨으로써 영구자석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마그네트(35)의 상면에는 플레이트(36)가 놓여지며, 이 플레이트(36)의 주위에는 보이스코일(39)이 상하 승강가능하도록 안착되고, 상기 플레이트(36) 위에는 진동판(37)이 프레임(31)의 돌출턱(31a) 내측단부에 안착된다. 이 진동판(37)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며 테두리부에 접착제를 발라 프레임(31)의 상면에 본딩결합을 하게 된다. 이 진동판(37)이 안착된 프레임(31)의 상면에는 금속 재질의 원형 커버(38)가 놓이게 되는데 상기 프레임(31)의 돌출턱(31a) 내측으로 커버(38)의 플랜지부(38a)가 끼워져서 결합된다. 이때 커버(38)의 상면 높이는 돌출턱(31a) 단부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31) 하면에는 상기한 안착홈(31f)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안착홈(31f)에는 인쇄회로기판(33)이 안착되어 프레임(31)에 부착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3)은 상기 보이스코일(39)과 전기도통되도록 보이스코일(39)의 코일선과 연결되는데, 이 코일선은 프레임(31)에 형성된 그루브(31d)를 통과하여 인쇄회로기판(33)의 연결단자(33a)에 부착된 인쇄회로기판(13)의 상면 높이는 프레임(31)의 상면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speak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ame 31 made of synthetic resin,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rame 31 is annular and has a protruding jaw 31a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insertion hole 31b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c are formed around the insertion hole 31b. These are arranged in approximately semicircular shape. A seating groove 31f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s 31c are not formed, and a predetermined length groove 31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is portion.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31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31b in a circumferential shape. The yoke 3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b. The yoke 34 is a cup plate made of metal, and at least one protrusion 34a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he protrusion 34a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31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31b to couple the yoke 34 to the frame 3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insertion hole 31b and the end height of the yoke 34 are the same. The magnet 35 is seated inside the yoke 34. The magnet 35 is circular and is fixed to the yoke 34 to act as a permanent magnet. A plate 36 is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gnet 35, and a voice coil 39 is seated on the plate 36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up and down, and a diaphragm 37 is disposed on the plate 36. 31 is seated on the inner end of the protruding jaw 31a. The diaphragm 37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1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edge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1 on which the diaphragm 37 is mounted, a circular cover 38 made of metal is placed. The flange portion 38a of the cover 38 is formed inside the protruding jaw 31a of the frame 31. Fitted and combined.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cover 38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end height of the projection jaw (31a). The mounting groove 31f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3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33 is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31f and attached to the frame 31. The printed circuit board 33 is connected to the coil line of the voice coil 39 so as to be electrically conductive with the voice coil 39, and the coil wire passes through the groove 31d formed in the frame 31 so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 attach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33a of 33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1.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외부전원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33)이 연결단자(33a)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이 전기적 신호는 인쇄회로기판(33)의 연결단자(33a)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33)의 연결단자(33a)와 전기도통되도록 설치된 보이스코일(39)에 입력된다. 전기적신호가 입력된 보이스코일(39)은 전기장을 형성하게 되고 플레이트(36)의 하면에 위치한 마그네트(35)는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전기장과 자기장의 상호작용으로 진동판(37)에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자기장과 전기장의 상호작용으로 야기된 힘을 받은 진동판(37)은 진동을 하게 되고 이 진동은 스피커(30) 밖으로 한시적인 공기의 밀도변화를 발생시킴으로써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terminal 33a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electrical signal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erminal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3 through the connecting terminal 33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3. It is input to the voice coil 39 installed so as to be electrically conductive with the 33a. The voice coil 39 into which the electric signal is input forms an electric field, and the magnet 35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36 forms a magnetic field to apply a force to the diaphragm 37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lectric field and the magnetic field. do. The vibrating plate 37 subjected to the force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gnetic field and the electric field vibrates, and the vibration generates sound by generating a temporary change in the density of air outside the speaker 30.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50)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위에 삽입공(51d)이 형성된 프레임(51)을 구비한다. 이 프레임(51)은 합성수지 재질의 원형플레이트이며 원주방향으로 돌출턱(5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51d) 주위에는 그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관통공(51c)이 다수개 원주방향으로 대략 반원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이 프레임(51)의 삽입공(51d)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51d)에 삽입되는 요크(54)는 상면이 개구되고 속이 빈 금속재질의 컵형 플레이트이며 이 요크(54)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부(51b)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54a)이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때, 요크(54)의 단부 높이는 프레이(51)의 상면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크(54)의 내측에는 마그네트(55)가 안착되고, 이 마그네트(55)의 상면에는 플레이트(56)가 놓이며 이 플레이트(56)의 위에는 진동판(57)이 프레임(51)의 돌출턱(51a) 내측 단붸 걸쳐져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51)의 하면에는 소정길이의 안착홈(51e)이 소정두께로 형성되고 이 안착홈(51e)에 인쇄회로기판(53)이 부착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53)의 상면 높이는 프레임(51)의 상면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쇄회로기판(53)과 전기도통되는 보이스코일(59)이 상기 진동판(57)과 상기 마그네트(55)사이에 도너츠형으로 권선되어 상하승강가능하게 개재되며 그 일부는 상기 진동판(57)과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51)의 상면에는 커버(58)가 결합되며, 이 커버(58)는 그 상면높이가 돌출턱(51a)의 단부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ㅓㅋ버(58)는 프레임(51)의 돌출턱(51a) 내측면에 커버의 플랜지부(58a)가 걸쳐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51e)에는 소정깊이 그루브(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그루브를 통해 지나가는 코일선이 보이스코일(59)과 인쇄회로기판(53)의 연결단자(53a)를 연결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speaker 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51 having an insertion hole 51d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frame 51 is a circular plat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protruding jaw 51a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1c having a smaller diameter are formed around the insertion hole 51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arranged in a semicircular shape. At least one projection 51b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51d of the frame 51. The yoke 54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1d is a cup-shaped plate of a hollow metal material having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54a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51b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yoke 54. It is formed along this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height of the yoke 54 is the same as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pray 51. A magnet 55 is seated inside the yoke 54, and a plate 56 is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gnet 55, and a diaphragm 57 is disposed on the plate 56 to protrude from the frame 51. (51a) It extends across an inner side stage and is combined. A mounting groove 51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rame 51 and a printed circuit board 53 is attached to the mounting groove 51e.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3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frame 51. The voice coil 59, which is electrically conductive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3, is wound in a donut shape between the diaphragm 57 and the magnet 55 to be vertically lifted up and down, and a part of the voice coil 59 is partially connected to the diaphragm 57. Combined. The cover 58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51, and the upper cover height of the cover 58 is preferably equal to the end height of the protruding jaw 51a. Thus, the chamber 58 is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58a of the cov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jaw 51a of the frame 51.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depth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seating groove 51e, and a coil line passing through the groove connects the voice coil 59 and the connection terminal 53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3. do.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50)의 작동은 상기한 스피커(30)의 작동과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Operation of the speake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30 will be omitted.

상기한 스피커(30)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peaker 30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종래에 비해 소형화가 가능하다.First, miniaturization is possible compared with the prior art.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30)은 프레임(31)의 하면에 안착홈(31f)을 형성하여 이 안착홈(31f)에 인쇄회로기판(33)을 안착시키기 때문에 프레임(31)의 면에 연결단자(33a)를 제외하고는 돌출 부위가 솟아나오지 않게 되어 외형상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31)의 삽입공(31b)에 삽입되는 요크(34)는 그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없어지므로 프레임(31)의 내부에는 부피를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진동판(37)의 상면에 높이는 커버(38)는 프레임(31)의 돌출턱(31a) 내측 단부에 걸쳐져 결합되어 돌출턱(31a)의 외측면에 걸쳐지는 것에 비해 부피가 감소되므로 소형화가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3)을 프레임에 형성된 안착홈(31f)에 안착시키고, 이 인쇄회로기판(33)의 상면 높이가 프레임(31)의 높이와 동일하므로 인쇄회로기판(33)의 두께 만큼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커버(38)의 플랜지부(38a)가 프레임(31)의 돌출턱(31a) 내측면에 걸쳐져 결합되며 돌출턱(31a)의 단부높이가 커버(38)의 상면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어 외관적으로 전체적인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소형화가 되는 효과가 크다.The speak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eating groove 31f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31 so as to seat the printed circuit board 33 on the seating groove 31f. Except for (33a), the protruding portion does not protrude so that the appearance can be downsized. In addition, the yoke 34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b of the frame 31 ha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volume inside the frame 31 because the flange portion formed at the edge thereof is eliminated. In addition, the cover 38, which is rai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37, is coupled across the inner end of the protruding jaw 31a of the frame 31, thereby reducing its volume compared to the covering of the outer face of the protruding jaw 31a. There is an advantag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inted circuit board 33 is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31f formed in the frame, and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3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frame 31 so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 The height by the thickness of 33) is lowered. Then, the flange portion 38a of the cover 38 is coupled across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jaw 31a of the frame 31, and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protruding jaw 31a is the same as tha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8. Apparently, the overall height is lowered and the effect of miniaturization is great.

둘째, 결합강도가 향상된다.Second, the bond strength is improved.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30)는 프레임(31)의 중앙부위에 삽입공(31b)을 형성하여 이 삽입공(31b)에 요크(34)가 삽입된다. 이때, 삽입공(31b)의 내측면에는 삽입홈(31e)이 형성되고, 요크(34)의 외면에 돌기부(34a)를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31)의 삽입홈(31e)과 요크(34)의 돌기부(34a)가 결합되어 요크(34)가 지지되므로 요크(34)와 프레임(31)의 결합강도가 강해진다.The speak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sertion hole 31b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rame 31 so that the yoke 3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b. At this time, the insertion groove 31e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31b, and the protrusion 34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yoke 34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31e and the yoke 34 of the frame 31 are formed. The protrusion 34a is coupled to the yoke 34 so that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yoke 34 and the frame 31 becomes stronger.

셋째, 본딩공정이 제거된다.Third, the bonding process is eliminated.

요크(34)와 프레임(31)의 결합은 프레임(31)의 삽입공(31b)에 요크(34)가 결합되면서 이루어진다. 이때, 요크(34)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돌기부(34a)와 프레임(31)의 내주면에 형성된 삽입홈(31e)이 결합되면서 더욱 결합강도가 강해지기 때문에 종래의 본딩공정이 제거되어도 그 이상의 결합력을 갖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coupling of the yoke 34 and the frame 31 is made while the yoke 34 is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31b of the frame 31. At this time, the coupling strength is further strengthened as the annular protrusion 34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yoke 34 and the insertion groove 31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31 become stronger, so that even when the conventional bonding process is removed, the coupling force is further increased. There is an advantage to have.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의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It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중앙부위에 삽입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는 요크와, 상기 요크의 내측에 안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에 놓이는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위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놓이는 진동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도통되며 상기 진동판과 마그네트 사이에 개재되는 보이스코일 및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된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삽입공의 원주면에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요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홈에 돌기부가 삽입되어 프레임과 요크가 결합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A frame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yok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a magnet seated inside the yoke, a plate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gnet, a printed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frame, and A loudspeaker comprising a diaphragm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a plate, a voice coi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nterposed between the diaphragm and a magnet, and a cov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circle of insertion holes. The speaker having an insertion groove on the main surface, the yoke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and the yoke is 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소정길이 소정두께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홈에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The speaker of claim 1, wherein a mount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ram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is attached to the mounting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높이는 프레임의상면 높이와 동일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The speaker of claim 2, wherein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ttached to the seating groove is the same as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프레임의 돌출턱의 내측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The speaker of claim 1, wherein the cover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n inner end of the protruding jaw of the fra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 높이는 프레임의 단부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The speaker of claim 4, wherein the top height of the cover is the same as the end height of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단부 높이는 삽입공 상면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The speaker of claim 1, wherein an end height of the yoke is equal to a height of an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중앙부위에 삽입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는 요크와, 상기 요크의 내측에 안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에 놓이는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위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놓이는 진동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도통되며 상기 진동판과 마그네트 사이에 개재되는 보이스코일 및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된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삽입공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크는 그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요크와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A frame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yok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a magnet seated inside the yoke, a plate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gnet, a printed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frame, and A speaker comprising a diaphragm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a plate, a voice coi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nterposed between the diaphragm and a magnet, and a cov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wherein the frame i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insertion hole. At least one protrusion, wherein the yoke has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yoke and the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소정길이 수정두께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홈에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8. The speaker of claim 7, wherein a mount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ram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is attached to the mounting groov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높이는 프레임의 상면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The speaker of claim 8, wherein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ttached to the seating groove is the same as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프레임의 돌출턱의 내부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The speaker of claim 7, wherein the cover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n inner end of the protruding jaw of the fram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 높이는 프레임의 돌출턱의 단부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11. The speaker of claim 10, wherein the top height of the cover is the same as the end height of the protruding jaw of the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단부 높이는 삽입공 상면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8. The speaker of claim 7, wherein the end height of the yoke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KR2019960033746U 1996-10-14 1996-10-14 speaker KR014031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746U KR0140317Y1 (en) 1996-10-14 1996-10-14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746U KR0140317Y1 (en) 1996-10-14 1996-10-14 sp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514U KR19980020514U (en) 1998-07-15
KR0140317Y1 true KR0140317Y1 (en) 1999-05-15

Family

ID=1946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746U KR0140317Y1 (en) 1996-10-14 1996-10-14 sp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317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218B1 (en) * 2002-11-07 2005-08-31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Structure of a receiver and speaker
KR20100067914A (en)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비에스이 Method of combining frame with yoke and speak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514U (en)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1274B2 (en) Compound speake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6597798B1 (en) Loudspeaker
KR20020046897A (en) A Magnetic circuit of micro speaker
JP4159408B2 (en) Speaker
KR101222416B1 (en) Speaker with dual suspension
JP2005277874A (en) Coaxial speake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557495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1101696B1 (en) Micro speaker with dual suspension
JP2012119845A (en) Electromagnetic electric-acoustic transducer
KR20110102182A (en) Speaker
KR0140317Y1 (en) speaker
KR100478985B1 (en) Electronic sound transducer
JP3856442B2 (en) Speaker
CN201134927Y (en) Electroacoustical converter
KR101468630B1 (en) Diaphragm module and micro-speaker having the same
KR101468629B1 (en) Structure of diaphragm in microspeaker
KR100570857B1 (en) Diaphragm for micro speak and micro speak having thereof
KR200493419Y1 (en) Speaker cover
JP3904797B2 (en) Speaker device
KR101543577B1 (en) Receiver having diaphragm built pattern circuit and integrated edge unit
JP2600363B2 (en) Electromagnetic sounding body
JP2004015574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2615628B2 (en) Electromagnetic sounding body
JP3465572B2 (en) Sounder
KR20030083774A (en) Unilateral/Bilateral Electric-Sound Converter Having Fixed Coil Structure Using Magnetization Film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