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195B1 -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an outsider using side screen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an outsider using side screen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195B1
KR0139195B1 KR1019920020271A KR920020271A KR0139195B1 KR 0139195 B1 KR0139195 B1 KR 0139195B1 KR 1019920020271 A KR1019920020271 A KR 1019920020271A KR 920020271 A KR920020271 A KR 920020271A KR 0139195 B1 KR0139195 B1 KR 0139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creen
sub
control sig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2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10814A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2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195B1/en
Publication of KR94001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8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19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화상비를 갖는 화면을 소정의 폭이 넓은 화상비를 갖는 화면에 NTSC방식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16:9 화면 중 4:3에 해당되는 부분은 주화면신호로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여백에는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부카메라에서 들어온 영상신호를 외부 도어벨 스위치신호 존재시 부신호 위치에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황을 모니터링 후 도어를 열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고, 도어 열림신호에 의해 화면상 외부카메라신호를 자동적으로 오프(off)하고 원 상태의 화면표시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NTSC video signal on a screen having a predetermined aspect ratio and a screen having a predetermined wide aspect ratio.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4: 3 of a 16: 9 scree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and a device for displaying the main screen signal. The video signal from the external camera is automatically displayed at the sub-signal position in the presence of the external doorbell switch signal. The user monitors the display status and sends a signal to open the door, and automatically turns off the external camera signal on the screen by the door open signal and maintains the original screen display state.

Description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 검색방법 및 그 장치External search method using sub-screen and its device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 검색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xternal searcher using a sub-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도는 제 1도의 장치에서 제어신호발생부의 상세블록도,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ntrol signal generator in the apparatus of FIG.

제 3도는 제 2도의 각 구성부분에 대한 파형도,3 is a waveform diagram of each component of FIG.

제 4도는 제 1도 장치의 주화면처리기에 포함되는 일부블록도,4 is a partial block diagram included in the main screen processor of the apparatus of FIG. 1;

제 5도는 제 1도의 장치에서 제어신호발생부의 진리표,5 is a truth table of a control signal generator in the apparatus of FIG.

제 6도는 제 1도의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영역을 나타내는 개략도.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screen areas displayed on the apparatus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주신호처리부11 : 주신호분리부10: main signal processing unit 11: main signal separation unit

12, 14, 23 : A/D변환기13 : 스위치소자12, 14, 23: A / D converter 13: switch element

15 : 주화면처리기16, 25 : D/A변환기15: main screen processor 16, 25: D / A converter

20 : 부신호처리부21 : 선택기20: sub-signal processing unit 21: selector

22 : 부신호분리부24 : 부화면처리기22: sub-signal separator 24: sub-screen processor

30 : 제어신호발생부40 : 스위칭부30: control signal generator 40: switching unit

50 : 디스플레이부50: display unit

본 발명은 폭이 넓은 화상비(Wide Aspect Ratio)를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부화면(POP ; Picture Out Picture)을 이용한 외부인 검색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화질텔레비전(High Definition Television : HDTV)과 같이 폭 넓은 화상비를 갖는 텔레비전에서 NTSC방송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여백에 외부카메라로 부터의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 검색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outsiders using a picture out picture (POP) in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wide aspect ratio, and particularly, to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HDTV) and a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arching outsiders and a device using a sub-screen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camera in a margin generated when displaying an NTSC broadcast on a television having a wide aspect ratio.

현행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ittee)텔레비전은 4:3의 화상비(Aspect Ratio)를 가지나 사람이 최고의 현장감 또는 생동감을 느낄 수 있는 화상비는 고화질텔레비전의 화상비인 16:9의 화상비로써, 고화질텔레비전 방송이 실시 되기 이전이라도 16:9의 텔레비전수상기에 NTSC방송이나 VISTA(Visual System Transmission Algorithm)사이즈의 비디오테이프레코더 영상신호등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들이 최근들어 대두되고 있다. 화상비가 4:3인 NTSC방송을 16:9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시간압축처리를 하여 출력화면의 중앙부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좌·우측부에 디스플레이하여 발생되는 좌측이나 우측의 여백에 부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장치들도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이, 좌·우여백부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었다.The current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ittee (NTSC) television has an aspect ratio of 4: 3, but the aspect ratio that a person can feel the most real or lively is the aspect ratio of 16: 9, which is the aspect ratio of high definition television. Even before the broadcast,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NTSC broadcast or video tape recorder video signal of VISTA (Visual System Transmission Algorithm) size on a 16: 9 television receiver have recently emerged. When NTSC broadcasting with 4: 3 aspect ratio is displayed on a 16: 9 television receiver, it is time-compressed and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output screen, or left and right margins. Methods of displaying the same and devices thereof are also becoming common. In this way, there was a need for practical use in using the left and right margin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초인종신호와 외부카메라로 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방문객의 모습을 자동적으로 부화면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a visitor's appearance on a sub-screen position by using an external doorbell signal and a signal from an external camer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외부인 검색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external search metho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소정의 화상비로 구성된 영상신호를 폭이 넓은 화상비로 구성된 화면에 적합한 신호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화면의 다수영역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신호발생부로 부터 인가되는 제 1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시간압축하는 주화면처리기를 구비한 주신호처리부와, 감시할 대상을 촬영하는 화상데이타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화상데이타를 상기 화면의 특정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신호발생부로 부터 인가되는 제 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데이타를 축소처리하고, 상기 주신호처리부의 영상신호 및 부신호처리부로 부터의 영상신호 각각을 주사선 단위로 교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3제어신호를 스위칭부에 인가하는 부화면처리기를 구비한 부신호처리부와, 소정의 외부음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제어신호를 상기 주화면처리기에 인가하고, 상기 제 2제어신호를 상기 부화면처리기에 인가하는 제어신호발생부와, 상기 부신호처리기로 부터의 제 3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신호처리부의 영상신호와 상기 부신호처리부의 영상신호를 교번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 검색방법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composed of a predetermined aspect ratio as a signal suitable for a screen composed of a wide aspect ratio, wherein the video signal is any one of a plurality of areas of the screen; A main signal processing unit having a main picture processor for time-compressing the video signal in accordance with a first control signal applied from a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so as to be displayed in an area of?, Means for generating image data for photographing an object to be monitored; The image data is reduced in response to a second control signal applied from a control signal generator to display the image data i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and the image signal from the main signal processor and the sub signal processor Applying a third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each to be output alternately in units of scan lines. A sub-signal processing unit having a screen processor,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applying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main screen processor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external sound signal, and applying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sub-screen processor; A switching unit for alternately outputting an image signal of the main signal processing unit and an image signal of the sub-signal processing unit in response to a third control signal from the sub-signal processo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utput signal of the switching unit; An external search method using an included sub-scree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소정의 화상비로 구성된 영상신호를 폭이 넓은 화상비로 구성된 화면에 적합한 신호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화면의 다수영역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 1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시간압축하여 주영상신호로 형성하는 단계와, 감시할 대상을 촬영하여 화상데이타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데이타를 상기 화면의 특정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 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데이타를 축소처리하여 부영상신호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영상신호와 부영상신호를 제 3제어신호에 따라 교번적으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부영상신호에 대한 조작자의 응답신호에 따라 소정의 외부음향신호가 인가되기 전의 화면상태로 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 검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aspect ratio as a signal suitable for a screen having a wide aspect ratio, wherein the video signal is displayed on any one of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screen. 1) compressing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o form a main video signal; photographing a subject to be monitored; generating image data;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i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Reducing the image data according to a signal to form a sub-picture signal, alternately outputting and displaying the main video signal and the sub-video signal according to a third control signal, and displaying the sub-picture displayed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operator's response to the video signal, the display returns to the screen state before the external sound signal was applied. To provide an external searcher using a sub-screen comprising a step.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 검색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 1도의 장치는 크게 구분하여 주신호처리부(10)와, 주영상신호 좌·우부의 여백공간에 작은 화면을 구성하는 부신호처리부(20)와, 제어신호발생부(30), 스위칭부(40), 및 16:9의 화상비를 갖는 디스플레이부(50)로 구성된다. 주신호처리부(10)는 주신호분리부(11), A/D변환기(12,14), 스위치소자(13), 주화면처리기(15), 및 D/A변환기(16)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신호처리부(10)는 NTSC방송에 따라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Vi)에서 컬러와 흑백텔레비전 사이에 양립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흑백텔레이번의 영상신호와 같은 신호를 나타내는 휘도신호(Y)와 적색차신호(R-Y), 및 청색차신호(B-Y)로 분리해내는 주신호분리부(11)와, 휘도신호(Y)를 디지탈데이타로 변환시키는 A/D변환기(12)와, 적색차신호(R-Y) 및 청색차신호(B-Y)를 소정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CTL)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치소자(13), 스위칭된 색차신호(R-Y, B-Y)를 디지탈데이타로 변환시키는 A/D변환기(14), 디지탈데이타로 변환된 휘도(Y) 및 색차신호(R-Y, B-Y)를 인가받아 16:9의 화상비를 갖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시간압축처리를 하는 주화면처리기(15), 시간압축처리된 디지탈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16)로 이루어진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xternal searcher using a sub-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of FIG. 1 is divided into a main signal processor 10, a sub-signal processor 20, a control signal generator 30, and a switch unit constituting a small screen in the sp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video signal. 40) and a display section 50 having an aspect ratio of 16: 9. The main signal processor 10 includes a main signal separator 11, A / D converters 12 and 14, a switch element 13, a main picture processor 15, and a D / A converter 16. In more detail, the main signal processing unit 10 has a luminance indicating a signal such as a video signal of a black and white television in order to have compatibility between color and black and white television in the composite video signal Vi input according to NTSC broadcasting. A main signal separator 11 for separating the signal Y, the red difference signal RY, and the blue difference signal BY, and an A / D converter 12 for converting the luminance signal Y into digital data; And a switch element 13 for switching the red difference signal RY and the blue difference signal B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CTL applied from a predetermined controller (not shown), and the switched color difference signals RY and BY. ) A / D converter 14 for converting the digital data into digital data, the luminance (Y) and the color difference signal (RY, BY) converted to the digital data are applied, and the time can be displayed on a screen having an aspect ratio of 16: 9. Compression processing main screen processor 15, time-compressed digital data analog It consists of a D / A converter 16 for converting into a signal.

부신호처리부(20)는 세개의 비디오신호(V1~V3)와 외부카메라입력신호를 각각의 입력단으로 인가받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선택신호에 의해 입력단의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기(21)와, 선택기(21)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휘도신호(Y')와 적색차신호(R-Y') 및 청색차신호(B-Y')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부신호분리부(22)와, 부신호분리부(22)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R-Y', B-Y')를 각각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하는 A/D변환기(24)와, 디지탈영상데이타를 부화면영역에 맞게 축소시키는 부화면처리기(24)와, 부화면으로 처리된 디지탈영상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25)로 구성된다.The sub-signal processing unit 20 receives three video signals V 1 to V 3 and an external camera input signal to each input terminal, and selector 21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data of the input terminal by a selection signal from the outside. And a sub-signal separator 22 for separating and outpu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elector 21 into a luminance signal Y ', a red difference signal R-Y', and a blue difference signal B-Y '. And an A / D converter 24 for converting the luminance signal Y 'and the color difference signals R-Y' and B-Y 'output from the sub-signal separator 22 into digital data, respectively, and a digital image. And a sub picture processor 24 for reducing data to fit the sub picture area, and a D / A converter 25 for converting digital image data processed into sub pictures into an analog signal.

제어신호발생부(3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도어 벨신호(VDB)에 응답하여 외부 카메라입력신호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QOUT)를 출력하는 수단과,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VDISP)에 응답하여 부화면처리기(24)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신호(VDISP')를 출력하는 수단과,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M1, M0)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M1', M0')를 출력하는 수단과, 화면상태를 원 상태로 만들기 위한 신호(VD0)를 인가받고, 문을 열기위한 신호(VOUT)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0 outputs a signal Q OUT for controlling to select an external camera input signal in response to a door bell signal V DB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signal V DISP applied from the outside.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V DISP ')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sub-screen processor (24) in response to the control panel and determining the mode to be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signals (M 1 , M 0 ) applied from the outside. Means for outputting control signals (M 1 ′, M 0 ′), and a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V D0 ) for returning the screen state to an original state and for outputting a signal (V OUT ) for opening a door. Doing.

스위칭부(40)는 주신호처리부(10)의 D/A변환기(16)로 부터 출력되는 주화면영상신호(VD1)와 부신호처리부(20)의 D/A변환기(25)로 부터 출력되는 부화면영상신호(VD2)를 각 인가받고, 부신호처리부(20)의 부화면처리기(24)로 부터 화면상에 주화면영상신호와 부화면영상신호가 나타날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BLK)를 인가받아 주화면영상신호(VD1)와 부화면영상신호(VD2)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16:9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The switching unit 40 outputs the main screen image signal V D1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16 of the main signal processing unit 10 and the D / A converter 25 of the sub signal processing unit 20. A control signal BLK for receiving a sub-screen video signal V D2 and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main screen video signal and the sub-screen video signal on the screen from the sub-screen processor 24 of the sub-signal processing unit 20. ) And means for selectively switching the main screen video signal (V D1 ) and the sub-screen video signal (V D2 ) to display on the 16: 9 screen.

제 1도에서, 주신호처리부(10)의 주신호분리부(11)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복합영상신호(Vi)를 휘도신호(Y), 적색차신호(R-Y), 및 청색차신호(B-Y)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휘도신호(Y)는 A/D변환기(12)에 의해 아날로그영상신호가 디지탈신호로 변환되어 주화면처리기(15)로 공급된다. 색차신호(R-Y, B-Y)는 소정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CTL)를 공급받는 스위치소자(13)에 의해 스위칭되고, 스위칭되어 출력되는 순서대로 A/D변환기(14)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한다. 변환된 디지탈신호는 주화면처리기(15)로 공급된다. 이때, 주화면처리기(15)는 제어신호발생부(30)에서 공급되는 소정의 2비트 정보(M1', M0')에 따라 영상신호를 시간압축처리하여 D/A변환기(16)로 전송한다. D/A변환기(16)는 디지탈영상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16:9의 화상비를 갖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조작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다수개의 비디오신호(V1~ V3) 및 외부카메라신호를 선택하여 16:9의 화상비를 갖는 화면의 주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남은 여백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때 외부에서 도어벨(Door Bell)이 울리면 제어신호발생부(30)에 하이(High)상태의 도어벨신호(VDB)가 입력된다. 제어신호발생부(30)는 도어벨신호(VDB)에 응답하여 하이(High)신호를 발생한다. 하이(High)상태의 신호(QOUT)가 제 1 및 제 2논리합게이트(OR1, OR2)에 각 인가되면 부신호처리부(20)의 선택기(21)의 4개 입력단중 어느 하나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신호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조작자의 선택신호에 무관하게 선택기(21)의 입력단을 선택하는 신호(S1S0)의 상태는 112상태가 되어 외부카메라입력신호를 선택한다. 선택된 방문객의 촬상신호는 부신호분리부(22)에 의해 휘도신호(Y'), 적색차신호(R-Y'), 및 청색차신호(B-Y')로 분리된다. 각각의 신호는 A/D변환기(23)에 의해 디지탈데이타로 변환된다. 선택기(21)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신호를 화면상에 보고 싶을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신호(VDISP)를 인가해야 한다. 하지만, 도어벨신호(VDB)가 인가되면 자동적으로 제어신호발생부(30)로 부터 부화면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VDISP')가 발생된다. 제어신호(VDISP')를 인가받은 부화면처리기(24)는 디지탈로 변환된 데이터를 부화면에 적합한 신호로 화면축소시킨다. 부화면으로 처리된 신호는 D/A변환기(25)로 공급되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신호는 스위칭부(40)로 공급된다. 부화면처리기(24)로 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BLK)를 인가받은 스위칭부(40)는 제어신호(BLK)의 논리적 변화에 의해 주신호처리부(10)의 주화면영상신호(VD1)와 부신호처리부(20)의 부화면영상신호(VD2)를 주사선 단위로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주화면영상신호(VD1)와 부화면영상신호(VD2)는 선택적으로 16:9의 화상비를 갖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방문객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방문객을 확인한 후 화면상태를 원 상태로 만들기 위한 신호(VD0)를 제어신호발생부(30)에 인가하면, 제어신호발생부(30)는 문을 열기위한 신호(VOUT)를 도어오픈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인가하여 문을 열게 된다. 문을 염과 동시에 제어신호발생부(30)로 부터 로우(Low)상태의 신호가 제 1및 제 2논리합게이트(OR1, OR2)에 각 인가되어, 선택기(21)는 조작자의 선택신호에 제어를 받게 되므로 화면을 원래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In FIG. 1, the main signal separator 11 of the main signal processor 10 receives a complex image signal Vi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luminance signal Y, a red difference signal RY, and a blue difference signal BY. And print it out. The luminance signal Y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an A / D converter 12 and supplied to the main screen processor 15. The color difference signals RY and BY are switched by the switch element 13 supplied with a control signal CTL applied from a predetermined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A / D converters 14 are sequentially switched and output. Converts an analog signal into digital data.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is supplied to the main picture processor 15. At this time, the main screen processor 15 performs time compression processing on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predetermined 2-bit information M 1 ′ and M 0 ′ supplied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0 to the D / A converter 16. send. The D / A converter 16 converts the digital image data into an analog signal and displays it on a screen having an aspect ratio of 16: 9. According to the operator's selection signal, a plurality of video signals V 1 to V 3 and external camera signals are selected to display the main video signal of the screen having an aspect ratio of 16: 9 and displayed in the remaining margins. At this time, when the door bell (Door Bell) rings from the outside, the door bell signal (V DB ) of the high (High) state is input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0.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0 generates a high signal in response to the door bell signal V DB . When a high signal Q OUT is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ogical sum gates OR1 and OR2, the signal Q OUT is applied to any one of four input terminals of the selector 21 of the sub-signal processing unit 20. Regardless of the operator's selec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signal to be selected, the state of the signal S 1 S 0 for selecting the input terminal of the selector 21 is 11 2 to select the external camera input signal. The image pickup signal of the selected visitor is separated into a luminance signal Y ', a red difference signal R-Y', and a blue difference signal B-Y 'by the sub-signal separator 22. Each signal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by the A / D converter 23. When the user wants to see the signal selected by the selector 21 on the screen, the user must apply the display signal V DISP . However, when the doorbell signal V DB is applied, a signal V DISP 'for controlling the sub-screen processing operation is automatically generated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0. The sub picture processor 24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V DISP ′ reduces the digitally converted data to a signal suitable for the sub picture. The signal processed as the sub picture is supplied to the D / A converter 25,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nd the converted signal is supplied to the switching unit 40. The switching unit 40 tha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BLK output from the sub-screen processor 24 is connected to the main screen image signal V D1 of the main signal processing unit 10 by a logical change of the control signal BLK. The sub picture image signal V D2 of the sub signal processor 20 is selectively output in units of scan lines. The main picture video signal V D1 and the sub picture video signal V D2 are selectively displayed on a screen having an aspect ratio of 16: 9 so that visitors can be identified. After confirming the visitor and applying a signal V D0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0 to return the screen state to the original state,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0 sends a signal V OUT to open the door. (Not shown) to open the door. The signal of the low state is applied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0 to the first and second logical sum gates OR1 and OR2 at the same time as the door is flamed, so that the selector 21 controls the operator's selection signal. Will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제 2도는 제 1도의 제어신호발생부(30)의 상세블럭도를 나타낸다.2 show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0 of FIG.

제 3도는 제 2도의 제어신호발생부(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부분의 파형도로써, 제 2도와 제 3도를 연관지어 설명하기로 한다.FIG. 3 is a waveform diagram of each componen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0 of FIG. 2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 2도에서, 방문객이 초인종을 누르면 초인종으로부터 벨 신호(제 3도에 도시한 VDB파형)가 플립플롭(FF)의 S단자로 입력이 된다. 그러면, 플립플롭(FF)의 출력단(Q)의 출력신호(제 3도에 도시한 QOUT파형)는 로우(Low)에서 하이(High)가 된다. 이 출력신호(QOUT)는 외부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방문객의 영상신호를 모니터 하기 위한 신호(VDISP)에 관계없이 제 3논리합게이트(OR3)에 인가되어 출력을 하이(High)로 만든다. 제 3논리합게이트(OR3)의 하이(High)출력은 상기 제 1도의 부화면처리기(24)를 동작시키는 신호(VDISP')를 하이(High)로 만들어 상기 부화면처리기(24)를 온(ON)시키게 된다. 소정의 2비트 정보(M1, M0)는 사용자에 의해 제 6도의 (가), (나), (다) 및 (라)도와 같은 네가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다. 플립플롭(FF)의 출력신호((VDISP')를 하이(High)로 되면, 주화면영상신호(VD1)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2비트정보(M1, M1)에 무관하게 제 3논리합게이트(OR3)의 부정 출력이 논리곱게이트(AND)로 인가되고, 제 3논리합게이트(OR3)의 출력이 제 4논리합게이트(OR4)로 인가되어 각각의 출력(M1', M0')은 12이 된다. 부신호 즉, 외부카메라신호의 디스플레이 할 위치를 설정하는 신호(M1', M0')가 12이면 제 6도의 (마)와 같이 좌측에 주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고 우측공간에부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사용자가 부신호를 모니터 한 후 문을 열어주고 화면을 원래상태로 만들기 위한 신호 (제 3도에 도시한 VD0파형)가 발생된다. 원 상태의 화면을 만들기 위한 신호(VD0)는 소정의 도어오픈장치(도시되지 않음)에 문을 열기위한 신호(VOUT)로 공급되어 문을 열도록 함과 동시에 플립플롭(FF)의 R단자로 인가된다. 그러면, 플립플롭(FF)의 출력단(Q)의 출력신호(QOUT)는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바뀌어 상기 제 1도의 부화면처리기(24)의 동작을 오프(OFF)상태로 만든다. 출력시호(QOUT)가 로우(Low)로 되는 순간소정의 2비트정보(M1', M0')의 출력은 초기 소정의 2비트정보(M1, M0)에 의해 결정되기에 최초상태의 화면 즉, 제 6(가) ~ (라)도의 네가지모드 중 하나로 돌아가게 된다.In Fig. 2, when the visitor presses the doorbell, the bell signal (V DB waveform shown in Fig. 3) is input from the doorbell to the S terminal of the flip-flop FF. Then, the output signal (Q OUT waveform shown in FIG. 3) of the output terminal Q of the flip-flop FF goes from low to high. The output signal Q OUT is applied to the third logical OR gate irrespective of the signal V DISP for monitoring the video signal of the visitor picked up by the external camera to make the output high. The high output of the third logical OR gate OR3 turns on the sub picture processor 24 by turning the signal V DISP 'high to operate the sub picture processor 24 of FIG. 1 high. ON). The predetermined 2-bit information M 1 , M 0 is a signal for the user to select four modes such as (a), (b), (c), and (d) of FIG. 6. When the output signal V DISP ′ of the flip-flop FF becomes high, predetermined 2-bit information M 1 and M for determining a mode in which the main screen video signal V D1 is displayed on the screen. Regardless of 1 ), the negative output of the third logical gate OR3 is applied to the AND gate AND, and the output of the third logical gate OR3 is applied to the fourth logical gate OR4 so that each output ( M 1 ', M 0') is 12 is a. portion signal that is, the external signal that sets the position to the display of the camera signal (M 1 ', M 0') is 12 as in the sixth degree (e) The main video signal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and the sub-signal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The signal to open the door and restore the screen after the user monitors the sub-signal (V D0 waveform shown in Fig. 3). ) is generated. signals (V D0) for making a state of the original screen is the statement in the predetermined door open device (not shown) Is supplied to the signal (V OUT) for group is applied to, and at the same time R terminal of the flip-flop (FF) to open the door. Then, the output signal (Q OUT) of the output terminal (Q) of the flip-flop (FF) is a high It changes from High to Low to turn off the operation of the sub picture processor 24 of Fig. 1. The momentary 2-bit information at which the output signal Q OUT goes low. The output of (M 1 ′, M 0 ′) is determined by the initial predetermined 2-bit information (M 1 , M 0 ), so that the screen is in the initial state, that is, one of the four modes shown in (6) to (D). Will go back.

제 4도는 제 1도의 주화면처리기(15)에 포함되어있는 라인메모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제 4도에서, 상기 제 1도의 주화면처리기(15)는 복수개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해서 16:9 화면에 4:3의 화상비를 갖는 NTSC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이다.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M1', M0')에 해당하는 소정 주파수를 갖는 쓰기클럭펄스(CLKw) 및 읽기클럭퍼스(CLKR)에 따라 복수의 라인메모리들 각각에 영상신호(DIN)를 교번적으로 기록하고, 기록된 영상신호(DOUT)를 출력한다.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ne memory included in the main screen processor 15 of FIG. In FIG. 4, the main picture processor 15 of FIG. 1 is a part which enables to display an NTSC video signal having an aspect ratio of 4: 3 on a 16: 9 screen using a plurality of line memories. An image is sto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line memories according to the write clock pulse CLKw and the read clock CLK R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ignals M 1 ′ and M 0 ′ for determining the mod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ignal D IN is alternately recorded and the recorded video signal D OUT is output.

제 5도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모드별 M1, M0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제 5도에서, 소정의 2비트 정보(M1, M0)가 0이면 제 1모드 1이면 제 2모드 10이면 제 3모드 11이면 제 4모드라 할때 읽기클록(CLKR)은 19MHz의 클록을 사용하고 쓰기클록(CLKw)은 14MHz 및 19MHz의 클록이 사용된다. 즉 제 1 및 제 2, 제 3모드일때 쓰기클록(CLKw)은 14MHz의 클록이 사용되고 제 4모드일때 쓰기클록(CLKw)은 19MHz를 사용한다. 네가지 모드에 따른 읽기클록(CLKR)과 쓰기클록(CLKw)에 대해 읽기클록(CLKR)을 쓰기클록(CLKw)보다 빠르게 하여 시간압축처리를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도의 플립플록(FF)의 출력신호(QOUT)가 로우(Low)인 경우는 초기 소정의 2비트 정보(M1, M0)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이 결정된다. 플립플롭(FF)의 출력신호(QOUT)가 하이(High)인 경우는 초기 소정의 2비트 정보(M1, M0)에 무관하게 출력되는 2비트 정보(M1', M0')는 항상 12상태가 되어 제 2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이 된다.5 shows the states of M 1 and M 0 for each mod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FIG. 5, when the predetermined 2 bit information M 1 and M 0 are 0, the first clock 1 is the first mode 1, the second mode 10 is the third mode 11, the fourth mode is the read clock CLK R of 19 MHz. The clock is used and the write clock (CLKw) is clocked at 14 MHz and 19 MHz. In other words, a clock of 14 MHz is used for the write clock CLKw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modes, and 19 MHz is used for the write clock CLKw in the fourth mode. For the read clock (CLK R ) and the write clock (CLKw) according to the four modes, time read processing is performed by making the read clock (CLK R ) faster than the write clock (CLKw). When the output signal QOUT of the flip-flop FF of FIG. 2 is low, the area to be displayed is determined by the initial predetermined 2-bit information M 1 and M 0 . When the output signal Q OUT of the flip-flop FF is high, 2-bit information M 1 ′, M 0 ′ output regardless of the initial predetermined 2-bit information M 1 , M 0 . Is always in the state of 1 2 to become the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second mode.

제 6도는 제 1도의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영역은 소정의 2비트 정보(제 5도에서 설명)를 조합하면 4종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의 4종류의 모드중 제 1 및 제 2, 제 3모드는 읽기클럭(CLKR)을 쓰기클럭(CLKw)보다 빠르게 하여 시간압축시킨 것이며, 제 4모드는 쓰기클럭(CLKw)과 읽기클록(CLKR)을 동일하게 하여 시간압축을 하지 않은 것이다. 제 6(가)도는 제 1모드로서, 화상비 4:3인 화면의 908개 화소를 16:9의 화상비를 갖는 화면 중심부에 디스플레이한 예시도이다. 제 6(나)도는 제 2모드로서, 화상비 16:9인 화면의 좌측부에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 예시도이며 제 6(다)도는 제 3모드로서, 화상비 16:9인 화면의 우측부에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한 예시도이다. 제 6(라)도는 제 4모드로서, 16:9의 화면에 그대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화면 좌·우가 퍼지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수직방향으로 신장할 경우 문제가 해결된다. 제 6(마)도는 제 6(나)도에 도시한 제 2모드의 상태에서 우측여백에 부화면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 예시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screen area displayed by the apparatus of FIG. 1, wherein the area of the displayed screen can be selected from four kinds of modes by combining predetermined 2-bit information (described in FIG. 5). Among the four mod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modes are obtained by time-compressing the read clock CLK R faster than the write clock CLKw, and the fourth mode includes the write clock CLKw. The read clock (CLK R ) is the same and no time compression is done. FIG. 6A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mode in which 908 pixels of a screen having an aspect ratio of 4: 3 are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having an aspect ratio of 16: 9. 6 (b) is a second mode in which an image signal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with an aspect ratio of 16: 9. FIG. 6 (c) is a third mode in the right side of a screen having an aspect ratio of 16: 9. Fig. 1 shows an image signal displayed on the screen. 6 (d) is a fourth mode and is displayed on a 16: 9 screen as it is.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screens are spread, but the problem is solved when the screen is stre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6 (E)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sub-screen video signal is displayed in the right margin in the state of the second mode shown in FIG. 6 (B).

상술한 바와 같이 16:9의 폭이 넓은 화상비를 갖는 화면에 NTSC방송을 디스플레이 함에 있어 부신호(POP : Picture Out Picture) 위치에 외부카메라에서 들어온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 도어 열림(Door Open) 제어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화면 상태를 원 위치로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외부인을 검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의 한 분야로 이용도가 크리라 기대된다.As described above, in displaying NTSC broadcasting on a screen having a wide aspect ratio of 16: 9, an input signal from an external camera is displayed at a position of a sub-signal (POP: Picture Out Picture), and an external door is operated by a user's operation. It is expected to not only search outsiders by sending the door open control signal and return the screen state to the original position, but also to use it as a field of home automation.

Claims (12)

소정의 화상비로 구성된 영상신호를 폭이 넓은 화상비로 구성된 화면에 적합한 신호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composed of a predetermined aspect ratio as a signal suitable for a screen composed of a wide aspect ratio,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화면의 다수영역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신호발생부로 부터 인가되는 제 1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시간압축하는 주화면처리기를 구비한 주신호처리부;A main signal processor including a main screen processor configured to time-compress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a first control signal applied from a control signal generator so that the video signal is displayed on any one of a plurality of areas of the screen; 감시할 대상을 촬영하여 화상데이타를 발생하는 수단;Means for photographing an object to be monitored to generate image data; 상기 화상데이타를 상기 화면의 특정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신호발생부로 부터 인가되는 제 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데이타를 축소처리하고, 상기 주신호처리부의 영상신호 및 부신호처리부로 부터의 영상신호 각각을 주사선 단위로 교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3제어신호를 스위칭부에 인가하는 부화면처리기를 구비한 부신호처리부;The image data is reduced in response to a second control signal applied from a control signal generator to display the image data i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and the image signal from the main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video signal from the sub signal processing unit. A sub-signal processing unit having a sub-screen processor for applying a third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o control each of the scan lines to be alternately output; 소정의 외부음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제어신호를 상기 주화면처리기에 인가하고, 상기 제 2제어신호를 상기 부화면처리기에 인가하는 제어신호발생부;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applying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main picture processor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sub picture processor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external sound signal; 상기 부화면처리기로 부터의 제 3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신호처리부의 영상신호와 상기 부신호처리부의 영상신호를 교번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 및A switching unit which alternately outputs an image signal of the main signal processing unit and an image signal of the sub signal processing unit in response to a third control signal from the sub picture processor; And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검색장치.External search device using a sub-screen including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witch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조작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다수의 외부영상신호 및 상기 화상데이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부신호처리부로 출력하는 선택기를 더 포함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검색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lector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external image signals and the image data and outputting the image signal to the sub-signal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operator's selection signal. 제 2항에 있어서, 소정의 외부음향신호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에 인가된 경우, 상기 조작자의 선택신호에 무관하게 상기 제어신호발생부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선태기의 다수 입력단중 상기 화상데이타를 인가받는 입력단을 선택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검색장치.The image data of the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of the sel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when a predetermined external sound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the image data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of the selector regardless of the operator's selection signal. An external searcher using a sub-screen comprising means for selecting an authorized input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처리기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시간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검색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ain screen processor compresses the video signal in tim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or determining an area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처리기는 소정의 외부음향신호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에 인가된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무관하게 상기 제어신호발생부의 제 1제어신호에 따라 사전 설정된 영역에 상기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영상신호를 시간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검색장치.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main picture processor is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the image in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regardless of the control signal when a predetermined external sound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An external searcher using a sub-screen, wherein the video signal is compressed in time so that a signal is display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처리기는 외부조작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발생부로 부터 인가되는 제 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기의 출력신호를 축소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검색장치.The search for an outsider using the sub-scree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ub-screen processor reduces the output signal of the selector according to a second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in response to an external operation signal. Device. 소정의 화상비로 구성된 영상신호를 폭이 넓은 화상비로 구성된 화면에 적합한 신호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composed of a predetermined aspect ratio with a signal suitable for a screen composed of a wide aspect ratio,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화면의 다수영역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 1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시간압축하여 주영상신호로 형성하는 단계;Time compressing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a first control signal to form the main video signal such that the video signal is displayed on any one of a plurality of areas of the screen; 감시할 대상을 촬영하여 화상데이타를 발생하는 단계;Photographing a subject to be monitored to generate image data; 상기 화상데이타를 상기 화면의 특정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 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데이타를 축소처리하여 부영상신호로 형성하는 단계;Reducing the image data according to a second control signal so as to display the image data i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and forming the sub-picture signal; 상기 주영상신호와 부영상신호를 제 3제어신호에 따라 교번적으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Alternately outputting and displaying the main video signal and the sub video signal according to a third control signal; and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부영상신호에 대한 조작자의 응답신호에 따라 소정의 외부음향신호가 인가되기 전의 화면상태로 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 검색방법.And returning to a screen state before a predetermined external sound signal is applied according to an operator's response signal to the sub-image signal displayed on the scree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어신호는 2비트 정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검색방법.8. The search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control signal comprises two bits of information. 제 7항에 있어서, 조작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다수의 외부영상신호 및 상기 화상데이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부영상신호 형성시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 검색방법.The search method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external image signals and the image data and applying the image data when the sub image signal is formed according to an operator's selection signal. 제 9항에 있어서, 소정의 외부음향신호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조작자의 선택신호에 무관하게 상기 화상데이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검색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n the predetermined external sound signal is supplied, the image data is selected regardless of the operator's selection signa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어신호는 소정의 외부음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의 사전 설정된 영역에 상기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검색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control signal controls to display the video signal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creen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external sound signa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제어신호는 상기 주영상신호 및 상기 부영상신호 각각을 주사선 단위로 교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면을 이용한 외부인검색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hird control signal is configured to alternately output each of the main image signal and the sub image signal in units of scanning lines.
KR1019920020271A 1992-10-30 1992-10-30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an outsider using side screen KR01391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271A KR0139195B1 (en) 1992-10-30 1992-10-30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an outsider using side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271A KR0139195B1 (en) 1992-10-30 1992-10-30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an outsider using side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814A KR940010814A (en) 1994-05-26
KR0139195B1 true KR0139195B1 (en) 1998-05-15

Family

ID=1934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271A KR0139195B1 (en) 1992-10-30 1992-10-30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an outsider using side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19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814A (en) 199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5243A (en) Multi-screen high-definition television receiver
US4620225A (en) System for TV transmission
JPS62157484A (en) Television receiver
US5389974A (en) Automatic converting device of television broadcasting mode
JPH06311449A (en) Television receiver
US6151079A (e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circuit for magnifying and processing a picture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image signal
KR910004274B1 (en) Multi screen control circuit on picture in picture tv
US5136379A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vertical blocking
US5021887A (en) Method and circuit for composing still image of picture-in-picture
EP07175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wo video pictures simultaneously
EP044600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special effects
KR0139195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an outsider using side screen
US57574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aption broadcast and teletext on the screen of a double-wide television
KR940006015B1 (en) Tv display screen editing apparatus
JP2910872B2 (en) Variable aspect ratio television receiver
JP2823234B2 (en) Screen display device
KR0160658B1 (en) Pip vertical compression device
JP2624332B2 (en) HDTV signal discrimination switching circuit
KR100285893B1 (en) Screen division display device using scanning line conversion function
KR0148187B1 (en) Double screen and pip circuit
KR0134545B1 (en) Device and mtehod of selectively presenting pictures
KR100223007B1 (en) An apparatus for displaying special image in mute video
JP2846421B2 (en) Frame format conversion circuit with screen freeze function
JPH0495479A (en) Tv display device for clear vision system
JP2840237B2 (en) Color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