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181B1 - 동기신호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동기신호 분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181B1
KR0139181B1 KR1019930005641A KR930005641A KR0139181B1 KR 0139181 B1 KR0139181 B1 KR 0139181B1 KR 1019930005641 A KR1019930005641 A KR 1019930005641A KR 930005641 A KR930005641 A KR 930005641A KR 0139181 B1 KR0139181 B1 KR 0139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sking
video
synchronization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5283A (ko
Inventor
황덕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0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181B1/ko
Publication of KR940025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5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1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오테이프레코더의 영상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에 해당하는 대역의 디지탈 마스킹신호를 추출하고, 입력영상신호를 복조한 신호를 소정의 기준동기레벨과 비교하여 출력한 신호를 마스킹부에서 마스킹신호가 유효한 부분의 동기신호만을 분리해냄으로써, 보다 정확한 영상신호처리를 하기 위한 동기신호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기신호 분리장치
제1도는 종래의 동기신호 분리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동기신호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제2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 복조부 12,22; 비교기
23: 밴드패스필터24: 포락선검출기
25: 마스킹부
본 발명은 비데오테이프레코더(Video Tape Recorder:이하 VCR이라 함)의 영상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에 대한 마스킹신호를 추출하여 이에 따라 동기신호 만을 분리해냄으로써, 보다 정확한 영상신호처리를 하기 위한 동기신호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CR의 영상신호처리장치에서는 영상신호의 전송이나 재생시 원래의 영상신호에 대한 신호처리의 기준을 포함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그러나 신호의 전송이나 재생시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 영상신호는 에러나 노이즈 성분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측에서 영상신호를 받아서 처리하게 될 때, 이러한 에러성분도 같이 처리하게 된다. 특히, 동기신호는 영상신호 재생시 신호처리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신호이므로 정확한 영상신호처리를 위해서는 에러성분을 제거하고 순수한 동기신호만을 분리해 내는 작업이 요구된다.
제1도는 종래의 동기신호 분리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수신된 RF신호(SRF)는 복조부(11)로 입력되고 복조부(11)의 출력단은 비교기(12)의 제1입력단과 연결되며, 비교기(12)는 제1입력단과 제2입력단에 입력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동기신호(SSYNC)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도의 장치는, 복조부(11)는 수신된 RF신호(SRF)를 입력으로 받아 영상신호(SVIDEO)로 복조하여 비교기(12)의 제1입력단으로 출력하고, 비교기(12)는 제1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영상신호(SVIDEO)를 제2입력단으로 인가되는 기준동기레벨(REFSYNC)과 비교하여 이 기준레벨보다 작은 신호를 동기신호(SSYNC)로서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지는 동기신호는 복조시에 발생하는 신호처리 상의 에러 및 외부의 노이즈에 의하여 동기신호의 대역폭에 해당하는 에러성분의 신호가 발생한 경우 이 신호도 동기신호로 분리하게 되어 영상신호처리정보에 오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에 대한 마스킹신호를 추출하여 기존의 동기분리신호에 유효범위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동기신호를 분리해 낼 수 있는 동기신호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비데오테이프레코더의 영상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인가받아 영상신호로 복조하여 비교수단의 제1입력단으로 출력하는 복조부와, 상기 영상신호를 제1입력단으로 인가받고 소정의 기준동기레벨을 제2입력단으로 인가받아 이 두 신호를 비교하여 마스킹부로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대역폭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밴드패스필터와, 상기 밴드패스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마스킹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검출부, 및 상기 포락선검출부로부터 마스킹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비교신호를 공급받아 분리한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마스킹부를 포함하는 동기신호 분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동기신호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수신된 RF신호(SRF)가 복조부(21)와 밴드패스필터(23)의 입력단으로 각 입력되고, 복조부(21)가 영상신호(SVIDEO)를 비교기(22)의 제1입력단으로 출력하면 비교기(22)는 제2입력단으로 기준동기레벨(REFSYNC)을 인가받아 영상신호(SVIDEO)와 비교하여 마스킹부(25)로 출력한다. 한편, 밴드패스필터(23)의 출력단은 포락선검출기(24)의 입력단과 연결되어 포락선검출기(24)가 검출한 마스킹신호(SMASK)를 마스킹부(25)로 출력하면, 마스킹부(25)는 두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동기신호(SSYNC)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3도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동기신호 분리장치의 각 부분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먼저, 제3도(가)도와 같이 주파수변조 되어 있는 RF신호(SRF)가 복조부(21)와 밴드패스필터(23)로 각각 입력되면, 복조부(21)는 RF신호(SRF)를 제3도(나)도와 같은 영상신호(SVIDEO)로 복조하여 비교기(22)의 제1입력단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비교기(22)는 제1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제3(나)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신호(SVIDEO)와 제2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제3도(나)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소정 직류값의 기준동기레벨(REFSYNC)비교한다. 비교기(22)는 비교결과, 영상신호(SVIDEO)의 레벨이 기준동기레벨(REFSYNC) 이상이면 “로우(Low)”레벨신호를, 이하이면 “하이(High)” 레벨신호를 출력하여 제3(마)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교결과신호를 마스킹부(25)로 출력한다. 제3(마)도의 신호는 제1도에서 언급한 종래의 동기신호 분리장치에서의 분리된 동기신호와 동일하며, 에러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에러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밴드패스필터(23)는 제3(가)도와 같은 RF신호(SRF)를 입력으로 받아 제3(다)도와 같이 동기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대역만을 추출하여 포락선검출기(24)로 출력한다. 그러면, 포락선검출기(25)는 제3도(다)도와 같은 신호에 대한 포락선을 검출하여 제3도(라)도와 같이 디지탈신호의 형태로 만들어서 마스킹부(25)로 출력한다. 마스킹부(25)는 본 실시예에서는 NAND 게이트로 구성되어 있어서, 비교기(22)로부터 인가되는 제3(마)도와 같은 신호와 포락선검출부(24)로부터 인가되는 제3도(라)도와 같은 마스킹신호(SMASK)를 이용하여, 마스킹신호(SMASK)가 유효한 부분의 동기신호 만을 제3(바)도와 같이 출력된다.
따라서, 제3(바)도에서는 제3(마)도에서 보이던 동기신호에 해당하지 않는 에러성분이 마스킹신호(SMASK)와 마스킹부(25)에 의해서 제거됨을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동기신호 분리장치는 입력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에 대한 마스킹신호를 추출하여 정확한 동기신호 만을 분리해냄으로써, 신호처리과정의 에러를 방지하고 보다 정확한 화상을 얻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비데오테이프레코더의 영상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공급받아 영상신호로 복조하여 비교수단의 제1입력단으로 출력하는 복조수단;
    상기 영상신호를 제1입력단으로 인가받고, 소정의 기준동기레벨을 제2입력단으로 인가받아 비교하여 마스킹수단으로 출력하는 비교수단;
    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대역폭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밴드패스필터;
    상기 밴드패스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마스킹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검출수단; 및
    상기 포락선검출수단으로부터 마스킹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비교신호를 공급받아 분리한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마스킹수단을 포함하는 동기신호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수단은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상기 마스킹신호가 유효한 부분의 신호만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신호 분리장치.
KR1019930005641A 1993-04-03 1993-04-03 동기신호 분리장치 KR0139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641A KR0139181B1 (ko) 1993-04-03 1993-04-03 동기신호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641A KR0139181B1 (ko) 1993-04-03 1993-04-03 동기신호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283A KR940025283A (ko) 1994-11-19
KR0139181B1 true KR0139181B1 (ko) 1998-05-15

Family

ID=1935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641A KR0139181B1 (ko) 1993-04-03 1993-04-03 동기신호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1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283A (ko) 199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51607A (ja) 映像信号処理器のキャップションライン検出回路
JP4806170B2 (ja) コチャンネル干渉を検出し、選択的にフィルタリングする装置及び方法
KR0139181B1 (ko) 동기신호 분리장치
US4613900A (en) Digital cod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US5034815A (en) Separation circuit for imposing detection timings of a synchronous signal used in a video apparatus
EP0199602B1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KR950004844B1 (ko) 행깅 점 검출기
RU99100372A (ru) Система обнаружения режима частично подавленной боковой полосы с гребенчатым фильтром
KR20010024150A (ko) 비디오 신호의 블랭킹 간격에 전송되는 신호를 분리하기위한 분리단, 및 상기 신호에 대한 왜곡 보상 방법
JP3144257B2 (ja) 画面サイズ調整装置
US5373398A (en) Video tape recorder with audio carrier absence detection
KR100229541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예약 녹화 방법 및 장치
JPH08275024A (ja) ビデオ信号検出回路
KR100249654B1 (ko) 화이트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이트 노이즈 제거 회로
JPS59151586A (ja) 文字多重信号検出回路
JP2910530B2 (ja) 複合音声復調回路
KR0134322B1 (ko) 고스트제거시 노이즈 감소장치
JP3950564B2 (ja) ノイズレベル検出回路
JP2604424B2 (ja) 同期分離回路
JPS63153963A (ja) 同期分離装置
JPH01318382A (ja) 動き検出装置
JPS62117485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H1051807A (ja) 色信号方式判別回路
JPH05153522A (ja) 音声多重放送受信装置
JPH08307839A (ja) 識別信号の復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