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507B1 - 공통선(No.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공통선(No.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507B1
KR0136507B1 KR1019940036984A KR19940036984A KR0136507B1 KR 0136507 B1 KR0136507 B1 KR 0136507B1 KR 1019940036984 A KR1019940036984 A KR 1019940036984A KR 19940036984 A KR19940036984 A KR 19940036984A KR 0136507 B1 KR0136507 B1 KR 0136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message
signal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690A (ko
Inventor
남택용
고병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승택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승택,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19940036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507B1/ko
Publication of KR960027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507B1/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선(No. 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리시스템의 운용자로 부터 통신이상 검출 명령과 시험 유형을 입력받아 시험대상 교환기와 시험유형에 따른 시험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하는 제 1 단계와, 신호교환기에서 시험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유형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관리시스템에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응답메시지 유형에 따라 운용자에게 이상상태를 보고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메시지를 활용하여 하휘 계층 프로토콜 뿐아니라 통신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상 상태를 탐지할 수 있고, 연결 설정 시험을 이용하여 통신 선로의 이상 상태나 응용 프로세스의 통신 채널 연결 설정 시험을 할 수 있으며, 연결 설정 및 메시지 시험을 통해 시험 데이타를 전송하고 이를 반향 되게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써 응용 프로세스의 통신 동작의 정상 유무, 특히 메시지 손실 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통선(No. 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이 통신이상 검출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No. 7 신호망과 관리시스템의 구성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 기능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메시지를 이용한 통신이상 검출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애 대한 부호의 설명
101:공통선(No. 7) 신호망102,105.108:서비스 수행 교환기
103,104,106,107:신호교환기109,110:공통선(No. 7) 신호링크
11,113:X. 25 데이타링크112,207:X. 25 패킷망
114,201:신호망관리시스템202,213,215:통신관리부
203,209,216:주입력부204,210,217:주출력부
205,211,218:부입력부206,212,219:부출력부
208,215:신호교환기214,221:스위치시스템
본 발명은 공통선(No. 7) 신호망(이하, 신호망)을 구성하는 신호교환기와 신호망관리시스템간의 통신중에 발생 가능한 이상 상태를 시험 메시지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잇아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망관리시스템(이하, 관리시스템)은 신호망의 주요구성 노드인 신호교환기들을 대상으로, 신호망의 이용도, 가용도, 성능 관련 측정자료를 수집하여 망장애 발생 감시와 트래픽 분석 기능을 제공하고, 신호망의 형상에 따른 루팅 정보의 변경과 검증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망은 종합정보통신망9ISDN)과 지능망(IN)의 근간이 되는 망으로써, 고신뢰도의 신호 채널을 이용하여 타 망설비의 신호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일반 가입자 정보에 대하여 각 가입자의 선로 개설/취소와 부가가치서비스 등과 같은 각각의 독립된 망에서 공통적으로 발생되는 신호메지시에 대해 높은 신뢰성의 전송을 수행한다. 이러한 신호망을 구축하기 위해서 각국에서는 기존 전화망이나 패킷망에서 신호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여러 응용 서비스를 용이하게 수용하기 위해서 신호망을 사용하는 추세이 있다.
따라서 신호망은 통신망에서 중요한 신호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고성능, 고안정화가 필용하며, 신호망의 운용 상태가 항상 감시되어야하며, 측정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를 신호망이 운용과 관리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관리시스템과 신호교환기와이 접속 기능은 정보 전달의 통로이여, 양시스템의 통신중에 발생되는 통신 선로와 양시스템에서 동작되는 통신 소프트웨어의 이상 상태의 탐지는 접속 기능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다.
그런데, 이와 관련하여 통신 이상 유무를 탐지하는 기능은 주로 하드웨어적으로 실현된 하위 계층 프로토콜(게층 3, 네트윅 계층)에 대해 많은 방식이 소개되어 있으나, 이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세스, 즉 통신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상 상태를 탐지하는 방법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리 링크의 고장과 같은 물리 장치의 고장으로 야기된 통신 이상을 포함하여, 시스템간이 통신 정합 응용 프로세스의 비정상 동작에 따른 통신 이상이 유무를 검출하는 신호망의 신호 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이 통신이상 검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X. 25 패킷망에 연결되고 다수의 입출력부 및 통신관리부를 구비하는 신호망관리시스템 및 신호교환기를 구비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통선(No. 7) 신호망이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이 통신이상 검출 방법에 있어서, 관리시스템의 운용자로 부터 통신 이상 검출 명령과 시험 유형을 입력받아 시험 대상 교환기와 시험유형에 따른 시험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하는 제 1 단계와, 신호교환기에서 시험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유형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관리시스템에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응답메시지 유형에 따라 운용자에게 이상상태를 보고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처리되는 본 발명을 간단히 설명하면, 통신 상태의 여부를 탐지하고자 다음의 2가지 방식을 적용한 시험 메시지를 이용한다.
첫째는 연결 설정 방식이다. 이 방식은 운용자의 요구에 의하거나 정기적인 주기에 따라 연결 설정 시험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통신 선로의 이상 상태나 통신 관리부 및 입력부, 출력부와 하위 프로토콜의 이상 동작 여부를 탐지한다.
둘째는 연결 설정후 시험 데이타를 일정 횟수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통신 선로와 통신 채널의 이상 동작이나, 통신 관리부, 입/출력부의 이상 동작으로 인한 데이타 손실과 같은 이상 상태를 탐지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No. 7 신호망과 관리시스템의 구성 블럭도로서, No. 7 신호망(101)은 신호 정보를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교환기(103,104,106,107)와 전화 가입자에기 지능망 서비스 제공하는 단국교환기인 서비스수행교환기(102,105,108)로 구성되며, 신호교화기와 신호교환기간과 신호교환기와 서비스수행교환기간에는 고속전송용 신호링크(109,1100로 연결된다. 이 신호망의 신호교환기능들은 신호망의 각종 운용, 관리 정보들을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 X. 25 링크(111)로 연결된 X. 25 패킷망(112)과 연결된다. 이 X. 25 패킷망은 상용 데이타 전송망으로 관리시스템(114)과 신호교환기들은 이 망의 가입자로써 각각 2회선이 X. 25 링크(111,113)로 이중화되어 접속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 기능 블럭도로서, 관리시스테(201)과 신호교환기들(208,215)은 상호간의 통신을 위해 각각 1개의 통신 관리부(202,213,220), 2개씩으로 상호간의 통신을 위해 각각 1개의 통신 관리부(202,213,2200, 2개씩으로 이중화된 입력부(203,205,209,211,216,218)와 출력부(204,206,210,212,217,219)로 구성된 통신 기능을 갖으며,이들은 모두 X. 25 패킷망(207)으로 연결된다.
통신 관리부(202,213,220)는 관리시스템이나 신호교한기의 입력부와 출려부의 생성, 관리 기능을 갖으며, 입/출력부의 통신 채널을 제어, 관리 한다. 또한 X. 25 패킷망이나 X. 25 링크에서 발생하는 프로그램 토콜상의 오류 뿐아니라 물리적 장애 발생에 대한 격리, 절체, 복구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203,204,209,211,216,218)는 주(primary)와 종(secondary)의 이중 구조이다. 입력부와 하위 기능은 출력부와 동일하게 X. 25 프로토콜라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다. 입력부는 X. 25 패킷망으로 부터의 메시지 수신 기능을 수행하며, 이 수신 기능중에 수신된 오류 메시지나 장애 탐지시 통신관리부로 이 사실을 전달한다. 또한 메시지의 길이에 따라 메시지 편집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부(205,206,210,212,217,219)는 입력부와 동일하게 이중 구조 및 하위 기능을 갖는다. 출력부는 X. 25 패킷망으로 메시지 송신 기능을 수행하며, 메시지의 길이에 따라 메시지 를 분할하여 전송한다, 이 메시지 송신 기능 수행중에 발생하는 메시지 전송 오류, 프로토콜 오류와 X. 25 패킷망에서 망 장애는 통신관리부로 이 사실을 전달한다.
관리시스템과 신호교환기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통신 채널 설정이 요구된다. 이 채널 설정은 관리시스템의 통신 관리부에서 생성한 통신 채널을 주출력부와 종 출력부에 할당하여 신호교환기의 주입력부와 종입력부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의 연결은 관리시스템(201)의 주출력부(204)와 신호교환기들(208,215)의 주입력부(209,216)가 연결되고, 관리시스템(201)의 종출력부(206)와 신호교환기들 (208,215)의 종입력부(211,218)가 연결되는 형태가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메시지를 이용한 통신이상 검출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관리시스템의 운용자로 부터 통신 이상 검출 명령과 파라미터로 시험 유형을 입력받으면, 명령 유형을 구분하여, 하나이 신호교환기가 대상인지, 여러개의 교환기가 대상인지를 구분하고(301), 선택한 명령에 따라 하나의 교환기를 대상으로 선택하였으면 해당 교환기의 코드값, X. 25 링크명, IP(Internet Protoclol) 주소를 신호망구성 데이타베이스로 부터 검색하고(302), 복수의 교환기를 선택하였으면 해당 교환기 정보를 연속적으로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여(303), 신호망의 모든 교환기를 선택한 경우는 모든 교환기의 정보를 검색한다(304). 이 과정은 선택한 교환기의 갯수에 따라 시험메시지의 전송 회수가 결정된다.
상기과정(301)이 종료되면 파라미터값을 보고 시험의 유형이 연결 설정 시험인지, 연결설정과 메시지 시험 인지를 구분한다(305). 연결 설정 시험이면 교환기의 코드값, 주출력부와 종출력부에 따른 X. 25 링크명 및 IP(Internet Protocol) 주소와 시험 시간의 시험 메시지로 조합하여 구성한후(306), 해당 신호교환기로 시험메시지를 전송한다(308). 연결 설정과 메시지 시험이면 상기(306) 과정과 동일하게 시험 메시지로 조합하고 시험데이타를 덧붙여 시험 메시지를 완성한 후(307), 해당 신호교환기로 시험메시지를 전송한다(308).
시험 메시지의 전송시(308)시 전송되지 않는 경우(309), 실패 회수가 3회이사이 되면 이 상태를 통신 관리부로 보고한다(310). 전송이 성공되면 시험대상이 되는 신호교환기에서 주입력부 또는 종입력부에서 시험메시지를 수신한다(311). 입력부에서는 시험메시지의 유형이 연결 설정 시험인지, 연결설정과 메세지 시험 인지를 구분하여 연결 설정 메시기 이면 통신관리부로 이 메시지를 전송한다(312).
연결 설정과 메시지 시험인 경우는 해당 입력부와 메시지 처리 루틴에서 교화기이 코드값, 수신된 출력부에 따른 X. 25 링크명 및 IP(Internet Protocol) 주소와 시험메시지의 수신 시간을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로 구성하고, 수신된 시험데이타를 반향하여 응답 메시지에 삽입한다(314). 연결 설정 요구된 경우는 통신관리부에서 수신기간의 응답메시지에 넣는다(313).
위의 과정(313,314)이 끝나면 이 이벤트(31,314)들은 추후 분석을 위해 신호교환기의 통신 이력 파일에 저장되며, 출력부에서 응답 메시지를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단.(315). 이 전송 동작이 3회이상 성공하지 못하면(316) 신호교환기의 통신관리부에 관리시스템으로의 전송이 불가함을 통신 이상을 보고한다(317).
관리시스템에서는 시험 대상인 신호교환기로 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318), 응답메시지의 유형이 연결 설정이 응답인지, 연결 설정과 메시지 시험 응답인지를 구분하고(319), 연결 설정과 메시지 시험인 응답인 경우, 관리시스템에서 전송한 시험 데이타와 응답메지에 포함되어온 반향(echo) 메시지를 비교한다. (320) 이 비교과정(321)에서 시험데이타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는 신호교환기의 응용 프로세스의 동작상에 결함이 있는 것이므로 관리시스템의 운용자에게 해당 신호교환기명과 시험 시각, 통신 이상 상태의 정도를 통보한다(322).
이 시험 데이타가 동일한 것으로 판정되면, 시험 시작 시간과 응답메시지내의 메시지 수신 시간의 차를 계산하여(323), 이 시간을 기준 통신 전이 시간과 비교한다(324). 만약 통신 전이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낮으면, 시험대상 신호교환기와이 통신 상태가 양호함을 운용자에게 통보한다(325). 통신 전이 시간이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는 임계치의 레벨에 따라 통신이사 정도(비교적 양호, 통신 이상, 통신 두절 가능함)를 운용자에기 보과여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326).
연결 설정 시험의 응답인 경우는 위의(323,324,325,326) 과정을 수행한다. 위의 과정이 모두 수행되면 최초 시험 요구 대상 교환기의 수에 따라, 단일 교환기를 대상으로 통신 이상 시험의 경우에는 모든 동작이 종료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시험 대상 교환기의 갯수 만큼 상기 (305) 과정부터 (326) 과정 까지를 반복 수행한다(327).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험 메시지를 활용하여 하위 계층 프로토콜 뿐아니라 통신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상 상태를 탐지할 수 있고, 연결 설정 시험을 이용하여 통신 선로이 이상 상태나 응용 프로세스의 통신 채널 연결 설정 시험을 할수 있으며, 연결 설정 및 메시지 시험을 통해 데이타를 전송하고 이를 반향되게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서 응용 프로세스의 통신 동작의 정상 유무, 특히 메세지 손실 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X. 25 패킷망(207)에 연결되고 다수의 입출력부(203 내지 206) 및 통신관리부(202)를 구비하는 신호망관리시스템(201) 및 신호교환기(208,215)를 구비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통선(No. 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 방법에 있어서, 관리시스템의 운용자로 부터 통신 이상 검출 명령과 시험 유형을 입력받아 시험대상 교환기와 시험유형에 따른 시험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하는 제 1 단계와, 신호교환기에서 시험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유형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관리시스템에성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응답메시지 유형에 따라 운용자에게 이상상태를 보고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No. 7) 신호망의 신호교화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 이상 검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관리시스템의 운용자로 부터 통신 이상 검출 명령과 시험 유형을 입력받으면 시험대상 교환기를 선택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선택된 교환기가 단일 교환기이면 해당 신호교환기의 정보를 검색하고, 복수의 교환기이면 대상 시험교환기의 정보검색을 연속하며, 모든 교환기이면 망의 모든 신호교환기의 정보를 검색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검색결과, 시험유형이 연결설정 시험이면 연결설정 시험메시지를 구성하고 연결설정 및 메시지 시험이면 연결설정 및 메시기 시험의 메시지를 구성하고 시험데이타를 삽입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구성된 시험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소정 횟수 이상 전송에 실패하면 통신관리부에 이상상태를 보고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No. 7) 신호망의 신호교관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신호교환기에서 시험메시지를 수신하면 시험메시지의 유형이 연결설정 시험인지, 연결설정과 메시지 시험 인지를 구분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시험메시지의 유형이 연결설정 시험이면 통신관리부에서 메시지에 수신시간을 삽입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시험메시지의 유형이 연결설정 및 메시지 시험이면 교환기정보로 메시지를 구성하여 시험데이타 반향을 삽입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구성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소정 횟수 이상 전송에 실패하면 통신관리부에 이상상태를 보고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No. 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관리시스템에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메시지의 유형을 구분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수행 후, 응답메시지의 유형이 연결 설정의 응답이면 시험데이타와 반향된 데이타와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 수행 후, 동일하면 신호교환기 통신정합 응용프로세스 상태의 동작이상을 운용자에게 보고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수행 후, 응답메시지의 유형이 연결 설정과 메시지 시헌 응답인 경우와 상기 제 5 단계 수행 후, 동일한 경우에 시험시간과 수신시간의 차를 계산하여 기준치보가 낮으면 운용자에게 정상상태로 보고하고 기준치보다 높으면 은용자에게 소정의 등급에 따라 이상상태를 보고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No. 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 방법.
KR1019940036984A 1994-12-23 1994-12-23 공통선(No.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방법 KR0136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984A KR0136507B1 (ko) 1994-12-23 1994-12-23 공통선(No.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984A KR0136507B1 (ko) 1994-12-23 1994-12-23 공통선(No.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90A KR960027690A (ko) 1996-07-22
KR0136507B1 true KR0136507B1 (ko) 1998-07-01

Family

ID=6676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984A KR0136507B1 (ko) 1994-12-23 1994-12-23 공통선(No.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550B1 (ko) * 1997-12-27 2001-09-22 박종섭 No.7신호링크 장애 검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943B1 (ko) * 1996-12-31 2005-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입자상태관리시스템
KR100327507B1 (ko) * 1997-12-19 2002-06-26 박종섭 이동통신시스템의에스에스에프에이보드상태에따른넘버.7레벨1의전송속도세팅방법
KR100325388B1 (ko) * 1999-08-17 2002-03-06 서평원 넘버.세븐 신호망에서의 신호 루트셋 시험 방법
KR100480462B1 (ko) * 2002-11-14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넘버.세븐 신호망에서의 신호 메시지 처리 성능 시험 장치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550B1 (ko) * 1997-12-27 2001-09-22 박종섭 No.7신호링크 장애 검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90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0326A (en) Local area network with fault detection and recovery
US5568605A (en) Resolving conflicting topology information
US5276440A (en) Network device information exchange
US50238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link management
US5862125A (en) Automated restoration of unrestored link and nodal failures
EP06374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egment resolution on a local area network
US5864563A (en) Method for testing network
JP3857317B2 (ja) 自動交渉の進捗モニタ
JPS63303537A (ja) リング状通信網におけるアドレステーブルの形成法
JPH04229741A (ja) リンク結合システム内の故障を分離し分析する装置及び方法
JPH08242229A (ja) ネットワーク監視における状態整合処理システム
JPH0846687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位置識別装置
US64213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tomatic load balancing and back-up of a multi-users network
JPH1196094A (ja)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タイプ検出方法
JP2001127761A (ja) Mpls通信方式における通信データ確認試験方法及びその方法を利用するルータ,交換機,通信システム
KR0136507B1 (ko) 공통선(No.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방법
US65359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liable communications in an intelligent network
CA2401635A1 (en) Multiple network fault tolerance via redundant network control
AU2001241700A1 (en) Multiple network fault tolerance via redundant network control
CN101707503A (zh) 嵌入式控制通道通讯故障自动定位方法和装置
JP4673532B2 (ja) マルチマネージャ環境における包括アライメントプロセス
US20020087733A1 (en) Message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US6373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CAMA interface in PCX system
CN112769653B (zh) 一种基于网口绑定的网络检测与切换方法、系统及介质
KR0175595B1 (ko) 비동기식전송방식(atm) 장치에서 단순망관리규약(snmp)을 사용한 원격지에서의 장애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