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464B1 - 주석 소프트웨어 윈도우용 시스템(system for annotating software windows) - Google Patents

주석 소프트웨어 윈도우용 시스템(system for annotating software windows)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464B1
KR0133464B1 KR1019940013184A KR19940013184A KR0133464B1 KR 0133464 B1 KR0133464 B1 KR 0133464B1 KR 1019940013184 A KR1019940013184 A KR 1019940013184A KR 19940013184 A KR19940013184 A KR 19940013184A KR 0133464 B1 KR0133464 B1 KR 0133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otation
window
title
text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051A (ko
Inventor
존 다넬 마이클
던 스밀로우이쯔 엘리사
Original Assignee
윌리엄 티.엘리스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티.엘리스,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윌리엄 티.엘리스
Priority to KR101994001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464B1/ko
Publication of KR96000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464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기입된 텍스트로부터 주석(주해)를 생성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주해들은 윈도내의 타이틀 텍스트들과 영구적, 지속적으로 연관되고, 연관 타이틀 텍스트를 갖는 윈도우와 함께 디스플레이되거나 은폐된다. 윈도우의 타이틀, 주해 위치 및 주해 텍스트가 주해 기록으로서 주해 사전을 형성하는 양호하게는 다른 모든 주해 기록들과 함께 불휘발성 기억 장치에 저장된다. 그 후에, 타이틀을 갖는 각각의 새로운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될 때, 시스템은 새로운 윈도우 타이틀을 이전에 기록된 각각의 주해 타이틀과 비교한다. 만일 새로운 타이틀이 사전내의 임의의 주해 타이틀과 동일하면, 주해 텍스트는 주해 위치에 디스플레이 된다. 윈도우가 폐쇄되거나 주해가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변경될 때, 시스템은 특정 윈도우상에 디스플레이될 모든 주해들을 찾기 위해 주해 기록들을 검색하고 그에 따라 적절히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만일 윈도우가 폐쇄되면, 모든 연관 주해들이 은폐된다.

Description

주석 소프트웨어 윈도우용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 및 그 동작 환경의 블럭도
제2도는 새로운 주해를 생성하고 부착하는 것에 관한 하이 레벨에서의 순서도.
제3도는 주해들을 자동 디스플레이하고, 은폐하며, 기타의 처리를 하는 것에 관한 하이 레벨에서의 순서도.
제4도는 주석 제어를 개시하기 위한 절차에 대한 하이 레벨에서의 순서도.
제5도는 주석 제어를 종료하기 위한 절차에 대한 하이 레벨에서의 순서도.
제6도는 주해 시스템의 윈도우를 보여주는 사용자의 탁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주해가 기입될 때의 사용자의 탁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디스플레이
12 : 키보드
13 : 마우스
14 : CPU 시스템
15 : 주해 시스템
17 : 오퍼레이팅 시스템
18 : 응용 프로그램
19 : 디스크
본 발명은 컴퓨터용 그래피컬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야에서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소프트 윈도우를 주석(annotate)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및 워크스테이션이 모의 탁상(simulated desktop), 윈도우 및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그래피컬 사용자-컴퓨터 인터페이스 환경(graphical user-computer interface environment)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데이터를 조작하는 마우스 또는 트랙볼과 같은 커서 이동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모의 탁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탁상을 모의화(metaphor)한다. 이 탁상은 객체들(아이콘 및 윈도우)이 그 위에 위치하는 배경(bckground)이다.
아이콘 : 아이콘은 사용가능 객체들을 나타내는 작은 그림이다. 아이콘은 탁상에 또는 탁상상의 윈도우내에 직접 상주될 수 있다. 아이콘은 사용자가 기록중이 문서, 프로그램 또는 디렉토리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아이콘이 나타내는 객체의 내용은 윈도우를 통하여 일람(view)된다. 아이콘은 윈도우내에서 개방된다.
윈도우 : 윈도우는 몇 개의 객체를 일람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윈도우는 보통 사용자가 작업하는 많은 양의 정보에 대해 공통 프레임워크(common framework)를 제공하기 위해 표준화된다. 윈도우의 표준 구성 요소들은 윈도우 타이틀 바(window title bar) 및 경계(border)이다. 타이틀 바는 특정 윈도우의 타이틀을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타이틀은 현재 윈도우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정보(객체)를 식별한다.
사용자는 탁상(스크린)상의 여기 저기로 윈도우를 이동시키고 크기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윈도우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윈도우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각 윈도우의 내용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아니라 윈도우를 생성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이는 사용자가 실제 탁상상의 종이 1장에 주해(note)를 기록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탁상상의 윈도우에 주해를 기록하는 데 유용하다.
문서에 주석(nnotation)[텍스트(text) 및 오디오]를 부착한 특정 목적 단어처리 시스템들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클라크(CLARKE)와 공동 연구가들은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 4,424,575호) 텍스트가 분리되어 기록되어 있는 부가된 주석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단어 처리 시스템을 개시하였다. 비. 에이. 바커(B.A. Barker)와 공동 연구가들은 [문서에 대화식으로 주석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방법(Method for Interactively Entering Comment Data Into Documents), IBM 기술 발표 회보(IBM Technical Disclosure Bulletin), 02-85, p.5119]에서 통상적으로 은폐(hidden)되어 있는 주석 데이터(comment data)를 텍스트 화일내의 원하는 위치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입력시킬 수 있는 대화식 텍스트 처리 시스템을 개시하였다. 사용자가 텍스트 처리 시스템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메뉴로부터 주해 옵션(option)을 선택할 때, 시스템은 주해를 기입할 수 있도록 주해를 기입할 장소에 공백 라인을 갖는 윈도우를 삽입시킨다. 조작자가 주해 기입을 완료하면, 시스템은 주해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주해를 기입할 장소에 삽입시킨다. 이러한 기술에서, 주해들은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조작 및 저장되므로, 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주해 기능을 이행할 수 있도록 수정되어야 한다.
티.지. 홀즈만(T.G. Holzman)은 [온 라인 하이라이팅 및 방주(On Line Highlighing And Margin Notes), IBM 기술 발표 회보, 03-92, p.481-484]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드-아웃 윈도우(slide-out window)를 사용하여 문서에 대한 방주(旁住)들을 만들어 일람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시하였다. 방주들을 삽입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방주가 관련되는 문서들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사용자는, 편집 풀다운(Edit pull-down) 메뉴의 방주 옵션에 접근한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는 슬라이드-아웃 윈도우로 방주를 타이프한다. 사용자는 방주 윈도우상의 보관 누름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방주를 보관한다. 일단 방주가 폐쇄되면, 주해는 즉시 일람을 벗어나 문서로 되돌아간다. 탭(tab)이 문서에 대한 주 윈도우(primary window)의 경계에 첨부된다. 대응 방주는 사용자가 그 탭에서 단순히 2회 누룸(clicking)함으로써 주 윈도우(Primary window)의 경계상의 표시기(indicator)를 볼 때는 언제나 보여질(slid out) 수 있다. 주해는 진정한 방주와 같이 문서의 특정 부분에 묶여져서, 문서에 저장된다. 주해들이 문서의 일부로서 저장되기 때문에, 이 기술은 수정되지 않은(unmodified)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되는 임의의 객체들에는 적용될 수 없다.
지.피. 시버그(G.P Seaburg)는 [OS/2 탁상용 배경 스크리블 패드(Background Scribble Pad for OS/2 Desktop), IBM 기술 발표 회보, 07-91, p.155-157]에서 시스템 마우스나 다른 위치지정(pointing) 장치를 사용하여 시스템 배경 영역상에 주해를 기록할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탁상 기록장부(blotter)의 컴퓨터화된 버전(computerized version)을 생성시키는 소위 스크리블 패드라 불리는 프로그램을 개시하였다. OS/2는 IBM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2)이다.
스티키 패드 버전(Sticky Pad Version) 3.0은 OS/2의 일부로서 제공된 제작도구(productivity tool)이다. 이 도구는 주석이나 주해들이 기록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 도구는 능력이 제한되어, 주해들이 세션(session) 전반에 걸쳐 지속되지 않고, 단지 윈도우가 개방된 동안에만 실행되는 OS/2 윈도우 처리에 의존한다. 스티키 패드는 주해들이 윈도우 부착될 수 있지만 윈도우의 상기 경우에 의해 제한되므로, 일단 윈도우가 폐쇄되면, 주해들은 윈도우와의 연관 관계를 상실하여 탁상상에 남겨진다. 예를 들어, 만일 사용자의 주석이 단순히 문서내의 어느 지점에서 사용자가 일을 중지하고, 어느 지점에서 사용자가 세션을 폐쇄하고, 그 다음날 어느 지점으로 사용자가 복귀하는가를 상기시키는 것으로 사용되면, 주해들은 더 이상 문서들과 관련되지 않아 사용자는 위치 표시기 주해(place marker note)에 의지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는 연관 관계를 기억해야 하고, 탁상으로부터 관련 윈도우를 주해들을 재연관시켜야 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주식회사의 상업적으로 적합한 노트-잇(Note-it) 프로그램이 스티키 패드와는 달리 세션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주해를 생성하였지만 일반성이 결핍되어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주식회사의 노트-잇 주해들은 객체 연결 및 내장[Object Linking and Embedding(OLE)]이 가능한 마이크로소프트 응용 프로그램의 문맥에서만 생성되고 디스플레이 된다. 이것은 응용 프로그래머들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노트-잇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코딩(coding)을 실제적으로 행하여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윈도우내에서 그 자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어떤 어프리케이션에도 일반적이지 않다.
상업적으로 적합한 쓰레츠 클릭-잇(Thteadz Click-it) 프로그램이 객체-촛점(object-focused) 대신에 주해-촛점(note-focused)인 주해들을 생성한다. 이것은 직무(task)나 객체에 촛점을 맞추기 보다는 직무나 객체로부터 주해 및 작업을 인지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쓰레츠(Threadz)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주해들을 갖는 전자 게시판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주해를 판독할 수 있고, 각 주해들로부터 주해가 참조하는 관련 객체에 접근한다.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 번호(EP-477173)에서, 레빈(Levine) 등은 문서용 철필 및 키보드 어셈블리(stylus and keyboard assembly for documents)를 통하여 음성을 영상 주석 입력에 결합시킨 문서 처리 시스템을 개시하였다. 주석용 문서는 데이타 처리 시스템내에서 주석 프로그램을 독립적으로 실행시키는 다수-윈도우 보조 프로그램중의 1개 윈도우로부터 발생된다. 레빈의 주석은 어떤 시스템 객체와는 연관되지 않는다. 문서는 윈도우의 내용중 디스플래이된 스크린 화상에 포획(captured)된다. 문서는 지속성 저장으로 보관될 수 있지만 문서와 본래의 윈도우 내용 사이에는 연관 관계가 없다. 그러므로, 레빈의 발명은 일반적이지 못하고 임의의 객체들을 주석시키는데 사용될 수 없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은 일반적이고 객체에 촛점을 맞춘 윈도우내의 주해 및 객체 사이의 지속성 연관 관계를 생성시키는 주해 용이성(facility)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기입된 텍스트로부터 주석(주해)를 발생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해들은 윈도우내의 타이틀 텍스트들과 영구적, 지속적으로 연관되고, 연관 타이틀 텍스트를 갖는 윈도우와 함께 디스플레이되거나 은폐된다. 본 발명은 (마우스와 같은) 그래피컬 포인터(pointer) 위치 지정 장치, (마우스 버튼과 같은) 실행 키 및 다수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보조 수단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동작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을 검출할 때에 새로운 주해 모드(now note mode)로 들어간다. 이 동작은 포인터가 풀다운 메뉴에서 명령 필드에 위치할 때 마우스 버튼을 누르는 것이나거나 임의의 동등한 동작일 수 있다. 그 다음에, 시스템은 사용자가 포인터를 주해가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위치는 타이틀(title) 텍스트를 갖는 표준 윈도우의 내부 또는 탁상(desktop)으로서, 언급되는 시스템에 대한 기저(base)나 루트(root) 스크린상일 수 있다. 시스템이 마우스 키의 누름이나 다른 동등한 동작을 검출하게 되면, 윈도우의 타이틀이 기록되고 이 윈도우와 관련된 포인터 위치가 주해 위치로서 기록된다. 그 다음으로,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기입된 텍스트를 주해 텍스트로서 받아들여 디스플레이한다. 양호하게는 사용자는 주해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공백 주해 양식을 가짐으로써 주해 텍스트를 기입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주해 텍스트의 기입이 완료되면, 주해 타이틀, 주해 위치 및 주해 텍스트가 양호하게는 다른 모든 주해 기록들과 함께, 주해 기록으로서 주해 사전(note dictionary)을 형성하는 불휘발성 기억장치(nonvolatile storage)에 저장된다. 새로운 주해 모드가 이 시점에서 완료된다. 그 후에, 타이틀을 갖는 각각의 새로운 윈도우 또는 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 시스템은 새로운 윈도우 타이틀을 이전에 기록된 각각의 주해 타이틀과 비교한다. 만일 새로운 타이틀이 사전(dictionary)내의 임의의 주해 타이틀과 동일하면, 주해 텍스트는 주해 위치에 디스플레이 된다. 윈도우가 폐쇄되거나 주해가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변경될 때, 시스템은 특정 윈도우상에 디스플레이될 모든 주해들을 찾기 위해 주해 기록들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만일 윈도우가 폐쇄되면, 모든 연관 주해들이 은폐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객체(object)에 정보를 주석시킬 수 있는 그래피컬 사용자-컴퓨터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윈도우나 아이콘에 의해 나타나는 임의의 객체에 주해들을 연관시킬 수 있고, 기억 장치에 그 연관성을 유지시키며, 객체가 개방될 때 연관 주해들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며, 객체가 폐쇄될 때 연관 주해들을 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이고, 지속적이며, 객체-촛점을 가지는 방식으로 컴퓨터 객체에 정보를 주석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지속적이고, 일반적인 목적의 객체-촛점 연관성(object focused association)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은 윈도우보다는, 윈도우를 통하여 일람되는 객체와 연관시킴으로써 세션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연관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연관된 윈도우들이 어떠한 방식으로든 폐쇄, 최소화 또는 조작될 수 있거나 시스템이 숏다운(shotdown)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관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전체 시간에 걸쳐 연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사용자를 위해 연관성을 관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연관성을 관리하거나 상기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본 발명의 주해 연관성은 어느 윈도우에 대해서도 일반적이다. 다른 서비스에 의한 어떤 부가적인 지원도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주해는 주해-촛점이 아닌 객체-촛점이다. 사용자는 자연적인 방식으로 객체상에 촛점을 맞출 수 있고, 이전에 기록된 주해들이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객체라는 용어는 객체, 일람(view) 또는 객체-일람 조합(object-view combination)를 참조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객체는 문서, 텍스트 편집기, 또는 텍스트 편집기내에서 각각 일람되는 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내에서 큰 서류를 일람하는 사용자는 문서 판독을 중지한 위치를 상기하기 위해 주해를 윈도우에 부착할 수 있다. 그 후에, 동일한 서류를 일람할 때, 이 주해가 자동적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들이 OS/2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의 주석 제어로써 구현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주석 제어는 사용자가 윈도우를 통하여 일람되는 객체와 연관된 주해들을 생성시키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주요 구성부 및 그 동작 환경을 도시하고 있다. CPU 시스템(14), 디스크(19), 디스플레이(11), 키보드(12) 및 마우스(13)은 전형적인 개인용 컴퓨터 및 워크스테이션 시스템을 수성한다. CPU 시스템은 마이크로프로세서, RAM 및 전형적으로 ROM을 포함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7)은 다수 윈도우에 대한 기능적인 지원을 포함한다. OS/2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이러한 유형이다. 응용 프로그램(18)이 1개 또는 그 이상의 윈도우의 소스이지만, 오퍼레이팅 시스템도 또한 윈도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주석 제어 시스템(Annotation Control System)[또는 주해 시스템(Note System)](15)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 메시지들의 형태로 정보를 얻음으로써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독립저그로 동작한다. 이들 메시지들은 포획되고, 주석 제어 시스템이 메시지를 해석하도록 하는 시스템 후크(system hook)를 설치 및 제거하는 후크 관리 시스템(Hook Management System)(23)에 의해 초기에 처리된다. 주해 생성 및 연관 시스템(Note Creation and Association System)은 새로운 주해들을 생성하고, 새로운 주해들을 윈도우를 통하여 일람될 객체와 연관시킨다. 사전 관리 시스템(Dictionary Management System)(21)은 사전(16)에 저장된 주해 기록들을 부가, 삭제 및 검색한다. 주해 윈도우 관리 시스템(Note Window Management System)(20)은 주해 윈도우들을 디스플레이 및 은폐시킨다.
주해 생성 및 부착
주해 생성 및 부착의 구현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새로운 주해를 발생하라는 명령을 발령할 때, 주석 제어 시스템은 '새로운 주해' 모드로 들어간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새로운 주해' 역할이 지정된 아이콘이나 제어 바(control bar) 위로 그래피컬 커서(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켜, 새로운 주해 기능을 실행하도록 (클리킹-온으로서 공지된) 마우스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주석 프로그램은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주해 모드로 들어 갔다는 시각적인 표시로서 커저의 모양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마우스 포인터는 작은 종이 주해와 유사하게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새로운 주해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제어키(Ctrl) 및 'n' 키를 누르는 것과 같이, 선정된 키스트록(keystroke) 시퀀스를 새로운 주해 모드에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새로운 주해 모드가 개시된 후,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새로운 주해가 디스플레이되는 탁상이나 윈도우상의 위치로 이동시켜, 공백 주해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trigger)하기 위해 마우스 버튼을 클릭한다. 마우스 버튼이 클릭될 때, 만일 마우스 포인터가 타이들을 가진 윈도우상에 위치되면, 주석 프로그램은 윈도우의 타이틀을 검색하고, 새로운 주해 기록을 생성한다. 이 기록은 주해 위치 및 기록 키로서 윈도우 타이틀을 갖는 주해 내용을 포함한다. 이 기록은 양호한 실시예에서 주해 사전으로서 공지된 데이타 구조에 부가되지만, 복원가능한 방식으로 데이타를 저장하는 어떠한 수단으로도 작동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순서도는 본 발명에서의 새로운 주해의 생성 및 부착의 동작의 개략적인 개관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새로운 주해' 모드(100)을 초기화한다. 주석 제어 시스템은 마우스가 클릭될 때까지(102) '새로운 주해' 모드에서 유휴(idle)한다. 이 기간동안, 사용자는 필요하다면 주해가 요구되는 지점에 포인터를 위치시킬 수 있다. 마우스가 클릭된 후, 주석 프로그램은 마우스 포인터가 타이틀을 가진 윈도우 또는 탁상중의 어느 곳에 위치하였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검색하고 (104), 그 다음으로, 윈도우의 타이틀 바 텍스트가 검색된다(108). 만일 마우스 포인터가 타이틀을 가진 윈도우 또는 탁상에 위치하지 않았다면, '새로운 주해' 모드는 취소된다. 타이틀 정보, 윈도우 식별 및 마우스 포인터 위치는 호출가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응용 프로그램에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윈도우시킴으로써 제공되는 표준 정보이다. 이 정보를 얻기 위한 실제 기술들은 동작 환경에 따라 변화하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는 공지되어 있다. 일단 타이틀 바 텍스트가 얻어지면, 새로운 주해가 생성되고, 그 내용은 공백으로 초기화된다(110). 다음으로, 이 공백의 새로운 주해가 마우스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112). 주해 위치 및 기록 키로서 타이틀 바 텍스트를 갖는 주해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주해 기록이 생성된다(114). 이 주해 기록은 디스크 화일과 같은 불휘발성 저장 수단에 양호하게 저장된 주해 사전(116)에 부가된다.
주해 생성 및 부착의 의사-코드(pseudo-code) 구현이 표1에 주어진다.
표1. 새로운 주해의 생성 및 부착을 위한 절차에 대한 의사-코드
새로운 주해의 생성 및 부착을 위한 의사 코드 프로그램 단편(fragment)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마우스 버튼이 '새로운 주해' 모드동안 클릭될 때(라인 L100), 만일 마우스 포인터가 타이틀을 가진 윈도우 또는 탁상 윈도우중의 하나에 위치하면, 윈도우 또는 탁상의 타이틀 바 텍스트가 얻어지고(라인 L108), 내용이 공백으로 초기화된 새로운 주해가 생성된다(라인 L110). 이 새로운 주해는 마우스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라인 L112). 다음으로, 기록 키로서 주해 위치 및 타이틀 바 텍스트를 갖는 주해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주해 기록이 생성된다(라인 L114). 그 다음으로, 이 주해 기록이 주해 사전에 부가된다(라인 L116). 만일 마우스 포인터가 타이틀을 가진 윈도우 또는 탁상 윈도우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주해' 모드는 취소되고, 더 이상의 처리는 수행되지 않는다(라인 L120).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주해 기록은 다음을 포함한다.
1. 연관된 윈도우의 타이틀 바 텍스트
2. 주해 생성의 일시
3. 주해 내용
4. 연관된 윈도우에 관한 주해 위치 및 크기
5. 연관된 윈도우의 윈도우 조정
6. 주해 윈도우(주해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
7. 주해 윈도우의 최소 상태(윈도우 대 아이콘)
8. 연관된 윈도우의 최소 상태(윈도우 대 아이콘)
이 주해 기록은 주석 시스템에 주해를 일반적이고 지속적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주해의 지속성은 각각의 주해를 윈도우 자체보다는 오히려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를 나타내는 윈도우의 타이틀과 연관시킴으로써 지원된다. 윈도우는 개방된 동안에만 일시적으로 존재하지만,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는 세션 전반에 걸쳐 영구적으로 존재한다. 또한, 각각의 타이틀을 윈도우 타이틀과 연관시키면 주석의 일반성을 지원할 수 있으므로, 윈도우의 타이틀이 전형적인 윈도우의 표준 구성 요소가 된다.
주해들의 자동 디스플레이, 은폐 및 처리
주해들이 자동 디스플레이, 은폐 및 처리되는 것을 상세히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주석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 후, 모든 오퍼레이팅 시스템 윈도우 메시지들이 주석 제어 시스템으로 루트(route)된다. 이들 메시지 신호는 윈도우의 생성 및 파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이벤트(event)한다. 주석 제어 시스템은 각각의 윈도우 메시지를 검색하고, 대응 윈도우가 타이틀 바를 가지는지를 결정하며, 만일 대응 윈도우가 타이틀 바를 가지면 이 타이틀이 주해 사전에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타이틀이 주해 사전에 포함되었다면, 윈도우 메시지는 그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검사된다. 만일 이 메시지가 윈도우가 생성되었음을 표시하면, 주석 제어 시스템은 이 타이틀에 연관된 임의의 주해들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만일 이 메시지가 윈도우가 파괴되었음을 표시하면, 주석 제어 시스템은 이 타이틀에 연관된 임의의 주해들을 은폐시킨다. 만일 이 세시지가 윈도우의 타이틀이 변화되었음을 표시하면, 오래된 타이틀에 대응하는 주해들은 은폐되고, 새로운 타이틀에 대응하는 임의의 주해들이 디스플레이 된다. 만일 이 메시지가 윈도우의 최대화, 최소화, 다시 그리기(repaint), 활성화, 이동 및 크기 재조정(resize)을 표시하면, 주석제어 시스템은 이 타이틀에 연관된 임의의 주해들을 적당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만일 메시지가 윈도우의 이동을 표시하면, 이 윈도우에 연관된 임의의 디스플레이된 주해들은 윈도우와 동일 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이동된다. 이를 통해 주해들은 윈도우에 물리적으로 부착되는 형상이 된다.
제3도에 도시된 순서도는 주해들의 자동 디스플레이, 은폐 및 다른 처리들에 대한 개략적인 개관을 제공한다. 순서도에 도시된 절차는 시스템 메시지 큐(queue)상에 위치된 각각의 윈도우 메시지에 대해 수행된다. 이 큐상의 후속 윈도우 메시지가 검색되고, 이 메시지에 대응하는 윈도우의 (만일 있다면) 타이틀 바 텍스트가 검색된다(200). 만일 이 대응 윈도우가 타이틀 바를 가지고 있고, 이 타이틀이 주해사전에 기록 키로서 포함된다면, 또 다른 처리가 얻어진 특정 윈도우 메시지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스 문(case statement)에 의해 결정된다(202). 만일 대응 윈도우가 타이틀 바를 가지지 않거나 주해 사전에 포함되지 않으면 후속 메시지는 시스템 메시지 큐로부터 검색된다(200).
만일 윈도우 메시지가 윈도우가 생성되었음을 표시하면(208), 이 윈도우 타이틀에 대응하는 모든 주해들이 디스플레이된다(212). 만일 윈도우 메시지가 윈도우가 파괴되었음을 표시하면(218), 파괴된 윈도우의 파티틀에 대응하는 모든 주해들은 폐쇄(즉, 은폐)된다(222). 만일 윈도우 메시지가 윈도우의 타이틀이 변화되었음을 표시하면(228), 오래된 윈도우 타이틀과 연관된 모든 주해들은 폐쇄되고, 새로운 윈도우 타이틀과 연관된 모든 주해들이 디스플레이된다(230). 만일 윈도우 메시지가 윈도우의 최대화, 최소화, 다시 그리기, 활성화, 이동 및 크기 재조정을 표시하면(240), 이 윈도우 타이틀과 연관된 주해들은 특정 윈도우 메시지에 적합하도록 처리된다(254). 메시지가 처리될 때 또는 만일 윈도우 메시지가 상기 4개의 어느 경우에도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는 후속 메시지가 검색되는 초기로 되돌아간다(200).
주해들을 자동 디스플레이, 은폐 및 다른 처리하는 의사-코드 구현 방법이 표2에 나타나 있다.
[표2]
주해들의 자동 디스플레이, 은폐 및 다른 처리를 위한 절차에 대한 의-코드
주해들의 자동 디스플레이, 은폐 및 다른 처리를 위한 의사-코드 프로그램 단편(fragment)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이 코드는 시스템 메시지 큐상에 위치된 각각의 윈도우 메시지에 대해 실행된다. 이 큐상의 후속 윈도우 메시지가 검색된다(라인 L200). 만일 대응 윈도우가 타이틀 바를 가지고(라인 L202), 이 타이틀이 주해 사전에 기록 키로서 포함된다면(라인 L204), 또 다른 처리가 검색된 특정 윈도우 메시지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스 문에 의해 결정된다(라인 L206-L260).
만일 윈도우 메시지가 윈도우가 생성되었음을 표시하면(라인 L208), 이 생성된 윈도우의 타이들에 대응하는 모든 주해들이 디스플레이되고(라인 L212), 제어는 후속 윈도우 메시지가 검색되는 라인 L200으로 되돌아 간다.
만일 윈도우 메시지가 윈도우가 파괴되었음을 표시하면(라인 L218), 파괴된 윈도우의 타이틀에 대응하는 모든 주해들은 폐쇄되고(라인 L222), 제어는 후속 윈도우 메시지가 검색되는 라인 L200으로 되돌아 간다.
만일 윈도우 메시지가 윈도우의 타이틀이 변화되었음을 표시하면(라인 L228), 오래된 윈도우 타이틀과 연관된 모든 주해들은 폐쇄되고(라인 L232), 새로운 윈도우 타이틀과 연관된 모든 주해들이 디스플레이 되며(라인 L234), 제어는 후속 윈도우 메시지가 검색되는 라인 L200으로 되돌아 간다.
만일 윈도우 메시지가 윈도우의 최대화, 최소화, 다시 그리기, 활성화, 이동 및 크기 재조정을 표시하면(라인 L240), 이 윈도우 타이틀과 연관된 주해들은 특정 윈도우 메시지에 적합하도록 처리되고(라인 L254), 제어는 후속 메시지가 검색되는 라인 L200으로 되돌아 간다. 만일 윈도우 메시지가 상기 4개의 어느 경우에도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는 후속 윈도우 메시지가 검색되는 라인 L200으로 되돌아 간다.
주석 프로그램은 각각의 주해를 윈도우 자체보다는 오히려 윈도우의 타이틀과 연관시키는 것에 의해 주해의 지속성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주해들은 윈도우가 개방될 때에만 자동적으로 검색된다.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그들의 직무에 관련된 객체에 촛점을 맞추도록 하고, 연관된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될 때, 사용자가 주해들에 초기에 촛점을 맞추도록 요구하고, 연관된 객체들을 사용자 조작에 의해 검색하기 보다는 오히려 임의의 주해들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여 객체-촛점을 지원한다.
주석 제어 시스템의 개시
다음으로, 주석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는 절차가 기술된다. 사용자나 프로그램이 주석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령하면, 1개 또는 그 이상의 표준 오퍼레이팅 시스템 명령들이 주석 제어 시스템에 의해 시스템 큐 윈도우 메시지들이 차단(interception)될 수 있도록 실행된다. 이를 통해 주석 제어 시스템은 주해들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은폐 및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주해 사전이 디스크 화일로부터 판독된다. 주해 사전은 각각의 주해에 대한 기록을 포함하는 데이타 구조이다. 각각의 기록은 윈도우 타이틀로 이루어진 키 및 주해로 이루어진 값을 포함한다. 각각의 주해는 주해의 내용, 윈도우에 관한 크기 및 위치등으로 이루어 진다. 주해 사전내의 각각의 기록에 대해, 다음과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만일 기록 키에 대응하는 타이틀을 갖는 개방된 윈도우가 있으면, 대응 주해가 디스플레이 된다.
제4도에 도시된 순서도는 주석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기 위한 절차의 개략적인 개관(overview)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주석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령하면(300), 명령들이 주석 제어 시스템이 시스템 큐 윈도우 메시지들을 차단할 수 있도록 수행된다. 상세한 실시예에서, 메시지의 차단은 OS/2 시스템 큐에 후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303). 주해 사전이 디스크 화일로부터 판독된다(304). 주해 사전내의 각각의 기록은 주해 기록내의 타이틀 필드에 대응하는 타이틀 바 텍스트를 갖는 윈도우가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 되었는지(310)를 알아내기 위해 체크된다(306). 만일 주해 사전 기록의 타이틀 필드에 대응하는 윈도우가 개방되어 있으면, 주해 사전 기록에 대응하는 모든 주해들이 그들의 기록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312). 일단 주해 사전내의 모든 기록들이 처리되면, 이 프로그램은 엑시트(exit)된다.
주석 시스템을 개시하는 프로세스의 의사-코드 기술이 표3에 주어진다.
[표3]
주석 시스템을 개시하기 위한 절차에 대한 의사-코드
주석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기 위한 의사-코드 프로그램 단편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사용자에 의해 주석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라는 명령이 발령되었을 때(라인 L300), 특정 동작 환경에 적합한 명령이 시스템 메시지 큐 윈도우 메시지들(또는 그와 등가인 것)이 주석 제어 시스템에 의해 차단되도록 수행된다(라인 L303). 다음으로, 주해 사전이 디스크 화일로부터 판독된다(라인 L304). 양호한 실시예는 사전을 위해 키(keyed) 화일을 사용하지만, 주해 기록들을 저장 및 획득하는 어떤 표준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주해 기록내의 각각의 기록은 주해 사전 기록 키에 대응하는 타이틀 바 텍스트를 가지고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윈도우가 존재하는지를(라인 L306) 알아내기 위해 체크된다(라인 L306). 주해 사전 키에 대응하는 타이틀을 갖는 각각의 개방 윈도우에 대해, 주해 사전 기록에 대응하는 주해들이 주해 기록으로부터의 위치 정보 및 텍스트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된다(라인 L312).
주석 제어 시스템의 중지
제5도에 도시된 순서도는 주석 제어 시스템을 중지하기 위한 절차의 개략적인 개관을 제공한다. 사용자나 프로그램이 주석 제어 시스템을 중지하기 위한 명령을 발령하면(400), 주해 사전내의 각각의 기록은 주해 기록(408)이 현재 디스플레이된 주해(404)에 대응하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체크된다. 만일 대응한다면, 주해는 은폐된다(410). 주해 사전내의 기록들의 처리가 종료될 때, 주해 사전은 디스크 화일에 기록된다(414). 마지막으로, 주석 제어 시스템이 시스템 큐 메시지들의 차단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명령이 수행된다. 이 불가능하게 하는 것은 시스템 큐에서 후크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415).
주석 제어 시스템을 중지하기 위한 의사-코드 구현이 표4에 나타나 있다.
[표4]
주석 제어 시스템을 중지하기 위한 절차에 대한 의사-코드
주석 제어 시스템을 중지하기 위한 의사-코드 프로그램 단편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사용자에 의해 주석 제어 시스템을 중지하라는 명령이 발령되었을 때(라인 L400), 다음이 행해진다. 주해 사전내의 각각의 기록들(라인 L404)에 대해, 만일 기록이 현재 디스플레이된 주해를 포함하면(라인 L408), 주해는 은폐된다(라인 L410). 주해 사전내의 기록들의 처리된 후, 주해 사전은 디스크 화일에 기록된다(라인 L414). 마지막으로, 주석 제어 시스템이 시스템 큐 윈도우 메시지들을 불연속적으로 차단하게 하는 명령이 수행된다(라인 L415)
주석 제어 시스템의 사용예
다음에 단어 처리 예에서의 주석 제어 시스템의 사용이 설명된다. 제6도에는 프린터 아이콘, 쉬레더(shredder) 아이콘 및 드라이브 아이콘과 같은 약간 빈번히 사용되는 객체를 갖는 사용자의 탁상의 예가 되시되어 있다. 부가하여, 사용자의 작업을 나타내는 문서 1, 문서 2 및 관리자 문자(Manager Letter)와 같은 몇 개의 아이콘들이 도시되어 있다. 문서 1, 문서 2 및 관리자 문자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은 그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에서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미 주석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였음은 주해 패드(Note Pad)로 타이틀된 윈도우(501)에 의해 나타난다.
주해가 어떻게 생성되고 윈도우와 연관되는지의 예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문서 1로 타이틀된 윈도우(602)에 문서 1로 라벨된 아이콘을 개방한다. 사용자는 패드 표준 하강 메뉴로부터 새로운 주해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주해 패드 윈도우로부터 새로운 주해의 생성을 초기화한다. 이를 통해 마우스 포인터가 푸시 핀(push pin)(605)을 갖는 주해로서 나타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를 이 주해에 대해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주해를 문서 1을 디스플레이한 윈도우에 부착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마우스 버튼을 이 윈도우상에서 클릭하고 공백 주해 양식이 디스플레이 된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는 텍스트를 문서에 타이핑하는 것에 의해 문서를 주석시킨다. 이렇게 하여 , 사용자는 새로운 주해(630)을 생성하고 새로운 주해를 문서 1로 타이틀된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된 문서에 부착한다. 사용자가 문서 1로 타이틀된 윈도우를 폐쇄하면, 연관된 주해(630)은 자동적으로 은폐된다. 사용자가 문서 1을 다시 개방할 때, 이 주해는 다시 디스플레이 된다. 만일 사용자가 윈도우의 타이틀을 다른 문서의 편집을 시작하는 것에 의해 변화시키면, 오래된 윈도우 타이틀과 연관된 주해들은 은폐되고, 새로운 윈도우 타이틀과 연관된 임의의 주해들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기재 내용을 이용하면, 본 발명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최종 프로그램은 디스크, 디스켓, 메모리 카드, ROM 또는 어느 다른 메모리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실행을 위해,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RAM에 복사될 것이다. 전산 과학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의 상기 기재 내용에 따라 생성된 소프트웨어를, 본 발명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생성시키기 위해 적절한 일반 목적 또는 특정 목적의 하드웨어와 쉽게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기재되었지만, 변형 및 개작이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주장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다.

Claims (18)

  1. 프로세서, 메모리, 불휘발성 기억 장치(nonvolatile storage), 텍스트 기입 수단(text entry means), 포인터 위치지정 수단(pointer positioning means), 실행키 수단(execute key means), 디스플레이 수단 및 다수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컴퓨터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①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동작을 검축할 때, 새로운 주해 모드(note mode)로 들어가는 단계
    ② 연관된 타이틀을 가지는 윈도우 부분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할 때, 상기 실행키의 눌림을 검출하는 단계,
    ③ 주해 타이틀로서 상기 윈도우의 타이틀을 기록하는 단계,
    ④ 주해 위치로서 상기 윈도우에 대한 상기 포인터 위치를 기록하는 단계,
    ⑤ 상기 주해 위치에 주해 텍스트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entered)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⑥ 주해 기록으로서 불휘발성 기억 장치에 상기 주해 타이틀, 상기 주해 위치 및 상기 주해 텍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⑦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를 엑시트(exit)하는 단계,
    ⑧ 타이틀을 가지고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새로운 윈도우에 대해, 상기 새로운 윈도우 타이틀을 상기 주해 타이틀과 비교하고, 상기 새로운 타이틀과 상기 주해 타이틀이 같은 경우, 상기 주해 텍스틀 상기 주해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운용 방법.
  2. 프로세서, 메모리, 불휘발성 기억 장치, 텍스트 기입 수단, 포인터 위치지정 수단, 실행키 수단, 디스플레이 수단 및 모의 탁상(simulated desktop) 상에 다수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컴퓨터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①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동작을 검출할 때, 새로운 주해 모드로 들어가는 단계,
    ② 연관된 타이틀을 가지는 윈도우 부분 또는 상기 모의 탁상상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할 때 상기 실행 키의 눌림을 검출하는 단계,
    ③ 주해 타이틀로서 상기 포인터 위치에 응답하여 상기 탁상에 대한 표시기 또는 상기 윈도우의 타이틀(an indicator for the desktop or the title of the window responsive to the pointer position)을 기록하는 단계,
    ④ 주해 위치로서 상기 포인터 위치에 응답하여 상기 윈도우 또는 상기 탁상에 대한 상기 포인터 위치(the pointer position relative to the window or the desktoop responsive to the pointer position)를 기록하는 단계,
    ⑤ 상기 주해 위치에 주해 텍스트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⑥ 불휘발성 기억 장치에, 다수의 주해 기록을 포함하는 주해 사전내의 주해 기록으로서 상기 주해 타이틀, 상기 주해 위치 및 상기 주해 텍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⑦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를 엑시트하는 단계,
    ⑧ 타이틀을 가지고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새로운 윈도우에 대해, 상기 새로운 윈도우 타이틀을 상기 주해 사전(note dictionary)내의 각각의 주해 타이틀과 비교하고, 상기 새로운 타이틀과 주해 타이틀이 같은 경우, 상기 주해 텍스트를 상기 새로운 윈도우내의 주해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⑨ 상기 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마다, 상기 탁상을 표시하는 주해 타이틀을 가지는 각각의 주해 기록에 대한 상기 주해 위치에 주해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운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폐쇄된 각각의 윈도우에 대해, 상기 윈도우 타이틀을 상기 주해 사전내의 각각의 주해 기록에 있는 상기 주해 타이틀과 비교하고, 폐쇄된 윈도우의 타이틀과 주해 타이틀이 같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주해 텍스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운용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로 들어가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주해 생성 프로그램과 연관된 윈도우의 지정된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실행키의 눌림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운용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로 들어가는 단계는 지정된 키 스트록 시퀀스에 따른 키의 눌림(the pressing of a designated key stroke sequence)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운용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로 들어가는 단계는 새로운 주해 모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선택된 방식으로 디폴트(default) 포인터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를 엑시트하는 단계는 상기 디폴트 포인터 디스플레이를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운용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내에 있거나 상기 탁상 상에 있는 다른 텍스트와 상기 주해 텍스트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주해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된 시각 디스플레이 특성을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운용 방법.
  8. 프로세서, 메모리, 불휘발성 기억 장치, 텍스트 기입 수단, 포인터 위치지지정 수단, 실행키 수단, 디스플레이 수단 및 다수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주석(annotation)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①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동작을 검출할 때, 새로운 주해 모드로 들어가기 위한 수단,
    ② 연관된 타이틀을 가지는 윈도우 부분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할 때, 상기 실행키의 눌림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③ 주해 타이틀로서 상기 윈도우의 타이틀을 기록하기 위한 수단,
    ④ 주해 위치로서 상기 윈도우에 대한 상기 포인터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
    ⑤ 상기 주해 위치에 주해 텍스트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
    ⑥ 주해 기록으로서 불휘발성 기억 장치에 상기 주해 타이틀, 상기 주해 위치 및 상기 주해 텍스트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⑦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를 엑시트하기 위한 수단,
    ⑧ 타이틀을 가지고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새로운 윈도우에 대해, 상기 새로운 윈도우 타이틀을 상기 주해 타이틀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
    ⑨ 상기 비교하기 위한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주해 위치에 상기 주해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주석 생성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폐쇄된 각각의 윈도우에 대해, 상기 윈도우 타이틀을 상기 주해 사전내의 각각의 주해 기록에 있는 주해 타이틀과 비교하기 위한 제2 수단과, 상기 비교하기 위한 제2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주해 텍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주석 생성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로 들어가기 위한 수단은 상기 포인터가 주해 생성 프로그램과 연관된 윈도우의 지정된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실행키의 눌림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주석 생성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로 들어가기 위한 수단은 지정된 키 스트록 시퀀스에 따른 키의 눌림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주석 생성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로 들어가기 위한 수단은 새로운 주해 모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선택된 방식으로 디폴트 포인터 디스플레이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를 엑시트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디폴트 포인터 디스플레이를 복원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주석 생성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모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윈도우내에 있거나 상기 탁상 상에 있는 다른 텍스트와 상기 주해 텍스트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주해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된 시각 디스플레이 특성을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주석 생성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폐쇄된 각각의 윈도우에 대해, 상기 윈도우 타이틀을 상기 주해 사전내의 각각의 주해 기록에 있는 상기 주해 타이틀과 비교하고, 폐쇄된 윈도우의 타이틀과 주해 타이틀이 같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주해 텍스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운용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로 들어가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주해 생성 프로그램과 연관된 윈도우의 지정된 부분에 위치할 때, 사용자에 의한 실행키의 눌림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는 컴퓨터 시스템 운용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로 들어가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지정된 키 스트록 시퀀스에 따른 키의 눌림(the pressing of a designated key stroke sequence)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운용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로 들어가는 단계는 새로운 주해 모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선택된 방식으로 디폴트(default) 포인터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주해 모드를 엑시트하는 단계는 상기 디폴트 포인터 디스플레이를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운용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내에 있거나 상기 탁상 상에 있는 다른 텍스트와 상기 주해 텍스트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주해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된 시각 디스플레이 특성을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운용 방법.
KR1019940013184A 1994-06-11 1994-06-11 주석 소프트웨어 윈도우용 시스템(system for annotating software windows) KR0133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184A KR0133464B1 (ko) 1994-06-11 1994-06-11 주석 소프트웨어 윈도우용 시스템(system for annotating software window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184A KR0133464B1 (ko) 1994-06-11 1994-06-11 주석 소프트웨어 윈도우용 시스템(system for annotating software window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051A KR960002051A (ko) 1996-01-26
KR0133464B1 true KR0133464B1 (ko) 1998-05-15

Family

ID=1938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184A KR0133464B1 (ko) 1994-06-11 1994-06-11 주석 소프트웨어 윈도우용 시스템(system for annotating software window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4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051A (ko) 199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2006B1 (en) Annotating objects in display screen windows
US11068132B2 (en) Command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electable software functionality controls
US55599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ote for an application program
US5231578A (en) Apparatus for document annotation and manipulation using images from a window source
US7461352B2 (en) Voice activated system and methods to enable a computer user working in a first graphical application window to display and control on-screen help, internet, and other information content in a second graphical application window
US73894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put focus and Z-order
JPH08510345A (ja) 複合文書におけるコンピュータ/ヒューマン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US5982365A (en)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vely generating and testing help systems
JPH10214264A (ja) カットしたオブジェクトを表示させる方法
CA2003231C (en) Apparatus for document annotation and manipulation using images from a window source
KR0133464B1 (ko) 주석 소프트웨어 윈도우용 시스템(system for annotating software windows)
JP2993732B2 (ja) ウィンドウソースによる書類注釈及び操作のための装置
CN1080421C (zh) 用于注释软件视窗的系统和方法
JP2001005806A (ja) 文字入力装置及び入力制御方法
JP3060383B2 (ja) 文書作成装置
AU625684C (en) Electronic document display with annotation routines and multiple windows
JPH01194060A (ja) ファイル属性データ転記装置
JPH08212036A (ja) 一覧画面からのデータの入力処理および削除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