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210B1 - Construction toy system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toy system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210B1
KR0132210B1 KR1019910021114A KR910021114A KR0132210B1 KR 0132210 B1 KR0132210 B1 KR 0132210B1 KR 1019910021114 A KR1019910021114 A KR 1019910021114A KR 910021114 A KR910021114 A KR 910021114A KR 0132210 B1 KR0132210 B1 KR 0132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ocket
strut
elements
structural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20011546A (en
Inventor
아이. 글리크맨 조엘
Original Assignee
아이. 글리크맨 조엘
코넥터 세트 리미티드 파트너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4173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3221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07/625,809 external-priority patent/US5061219A/en
Priority claimed from US07/687,386 external-priority patent/US5137486A/en
Priority claimed from US07/717,639 external-priority patent/US5199919A/en
Application filed by 아이. 글리크맨 조엘, 코넥터 세트 리미티드 파트너쉽 filed Critical 아이. 글리크맨 조엘
Publication of KR92001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5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2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1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s

Landscapes

  • Toy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조립식 완구시스템은, 주요구성부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그리핑소켓을 구비한 코넥터와 그리핑소켓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단부부분을 구비한 봉상지주를 사용한다. 소켓은 휨성이 있는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된 쌍으로 된 그리핑아암으로 구성된다. 그리핑아암의 외측부분은 보충적인 원통형 코넥터부분을 갖춘 지주를 폭방향으로 찰칵하고 끼워맞춰 조립하기 위한 오목한 그루브를 구비한다. 그리핑아암은 지주의 단부근처의 환상리세스와 상호 잠금되도록 배열되는 잠금돌기부를 구비한다. 지주는 그리핑소켓의 폐쇄단부에서 공동내에 수용되는 단부플랜지를 구비한다. 코넥터요소는, 그러한 두 코넥터요소가 조립됨으로써 상호 직각으로 방위가 정해지는 두 평면 각각에 소켓이 제공되어 직각모서리구조 또는 T형상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시스템은 지주와 결합하여 복잡한 구조유니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소켓을 구비한 다양한 코넥터요소로 구성된다. 다수의 단일 소켓코넥터요소는 연속하는 열십자형태의 지주와 연결되어 무한 또는 유한 길이의 연결구조를 형성한다. 여러 평면방향으로 지주를 설치할 경우, 코넥터요소가 결합되어 코넥터어셈블리를 또한 형성할 수 있다. 사전설정된 길이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길이가 변하는 지주가 제공됨으로써 하나의 표준크기의 지주가 더 작은 크기의 지주로 형성되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으로서 이용된다. 복잡한 구조는 직각삼각형 서브유니트를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부품은 사출성형기법에 의해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toy system uses, as its main component, a rod holder having one or more gripping sockets and an end portion configured to be received in the gripping socket. The socket consists of a pair of gripping arms formed of flexible plastic material. The outer portion of the gripping arm has a concave groove for fitting and fitting the strut with a supplemental cylindrical connecto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gripping arm has a locking projection arranged to lock with an annular recess near the end of the strut. The strut has an end flange received in the cavity at the closed end of the gripping socket. The connector element is designed such that the sockets are provided in each of the two planes that are orient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by assembling such connector elements to form a right angle corner structure or a T-shaped structure. The system consists of a variety of connector elements with one or more sockets arranged to engage a post to form a complex structural unit. Multiple single socket connector elements are connected to successive crisscross shaped posts to form an infinite or finite length of connection. When installing struts in several planar directions, the connector elements can be joined to form a connector assembly as well. Providing struts that vary in length gradually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crease is used as a hypotenuse of a right triangle in which one standard sized strut is formed into a smaller sized strut. Complex structures can be assembled using right triangle subunits. Parts can b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by injection molding techniques.

Description

조립식 완구Prefab toy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되는 허브형상 코넥터요소의 부분단면정면도로서, 그에 연결된 선택적인 구조요소를 함께 나타낸 도면.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a hub-shaped connector element assemb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optional structural elements connected thereto;

제2도는 제1도의 코넥터요소의 일부의 부분절결 확대사시도.FIG. 2 is a partially cutawa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connector element of FIG. 1. FIG.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되는 지주형상 구조요소의 단부의 부분 확대도.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n end of a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assemb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제3도의 4-4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4-4 of FIG.

제5도, 제6도, 제7도는 제1도의 7-7선 단면도로서, 제1도의 코넥터요소의 소켓내로 구조요소가 폭방향으로 찰칵하고 삽입고정되는 일련의 단계를 보인 도면.5,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7-7 of FIG. 1, showing a series of steps in which the structural elements are snapped into the socket of the connector element of FIG.

제8도 및 제9도는 각각 제1도의 8-8선 및 9-9선 확대단면도.8 and 9 are enlarged 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8-8 and 9-9 of FIG. 1, respectively.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되는 지주형상 구조요소의 정면도.10 is a front view of a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assemb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제10도의 구조요소가 정상적인 방사상 방위에 직각으로 코넥터요소의 소켓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FIG. 11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al element of FIG. 10 is installed in a socket of a connector element at a right angle to a normal radial orientation.

제12도는 제11도의 12-12선 단면도.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2-12 of FIG.

제13도는 조립식 완구를 통용중인 블록형태의 조립식 완구에 결합시키기 위한 어댑터블록요소의 저면사시도.FIG.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adapter block element for coupling a prefabricated toy to a prefabricated toy in the form of a block in common use; FIG.

제14도는 제13도의 어댑터블록의 부분단면 정면도.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the adapter block of FIG.

제15도는 제14도의 어셈블리의 평면도.15 is a plan view of the assembly of FIG.

제16도는 한쌍의 변형된 코넥터요소의 어셈블리의 사시도.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of a pair of modified connector elements.

제17도는 제16도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를 보인 분해도.FIG. 1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components of the assembly of FIG. 16. FIG.

제18도는 제16도의 코넥터요소의 부분확대 사시도.18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element of FIG.

제19도는 제16도의 어셈블리의 정면도.19 is a front view of the assembly of FIG.

제20도는 제19도의 구조요소가 코넥터요소의 소켓내에 삽입되는 방식을 예시한 부분확대 단면도.FIG. 20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 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manner in which the structural element of FIG. 19 is inserted into a socket of a connector element. FIG.

제21도는 소켓형성 리세스내에서 축방향으로 방위가 정해지는 제1지주요소와 허브베어링 내에서 그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2지주요소를 수용하는 단일소켓 코넥터요소의 측면도.FIG. 21 is a side view of a single socket connector element containing a first support element axially oriented in the socket forming recess and a second support element disposed at right angles thereto within the hub bearing; FIG.

제22도는 두 요소코넥터의 측면도.22 is a side view of a two element connector.

제23도 내지 제29도는 코넥터요소의 여러가지 다른 변형예를 예시한 도면.23-29 illustrate various other variations of connector elements.

제30도는 점차적으로 길어지는 일련의 지주요소 및 코넥터요소에 의해 동축적으로 함께 결합되는 더 작은 지주에 대한 주어진 일련의 지주의 길이를 관계를 보인 도면.30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a given series of struts for smaller struts coupled together coaxially by a series of progressively longer strut elements and connector elements.

제31도는 단면이 지주요소와 결합하는 코넥터요소의 소켓부를 예시한 확대도.Figure 31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the socket portion of the connector element whose cross section engages the strut element.

제32도는 크기가 증가하는 삼각형의 서브유니트 형태로 배열되는 코넥터요소와 지주의 어셈블리의 정면도.32 is a front view of the assembly of connector elements and struts arranged in the form of triangular subunits of increasing size.

제33도는 다수의 단일유니트 코넥터와 그에 열십자로 장착되는 다수의 지주요소로 구성되는 연결벨트 또는 디딤판 구조의 평면도.33 is a plan view of a connecting belt or tread structu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ingle unit connectors and a plurality of strut elements mounted crosswise thereto.

제34도는 제33도의 34-34선 단면도.FIG. 34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4-34 of FIG.

제35도 내지 제39도는 좋아하는 코넥터요소만을 조립할 수 있는 코넥터 요소의 여러가지 변형예를 보인 도면.35 to 39 show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connector element which can only assemble the preferred connector element.

제40도 및 제41도는 제16도 내지 제20도에 도시한 형태의 코넥터요소와 조립된 제35도 내지 제39도에 도시한 형태의 코넥터요소를 예시한 도면.40 and 41 illustrate a connector element of the type shown in FIGS. 35-39 assembled with a connector element of the type shown in FIGS. 16-20.

제42도는 축으로서 작용하는 지주요소를 열십자형태로 수용하고 구동러그가 제공된 구동요소의 사시도.4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e element in which a strut element acting as an axis is received in a crisscross shape and a drive lug is provided.

제43도는 제42도의 구동요소의 정면도로서, 지주요소가 그안에서 열십자형태로 고정되어 있음을 보인 도면.43 is a front view of the drive element of FIG. 42, showing that the strut element is fixed therein in a crisscross shape.

제44도는 제43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그에 더하여 지주요소 상에 수용되고 그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코넥터요소를 보인 도면.FIG. 44 is a view similar to FIG. 43, showing, in addition, a connector element received on the strut element and rotatably connected therewith.

제45도는 조합된 풀리 및 휘일형성요소의 정면도.45 is a front view of the combined pulley and wheel forming element.

제46도는 제45도의 요소와 결합하는 타이어형상 요소의 측면도.FIG. 46 is a side view of the tire shaped element engaging the element of FIG. 45;

제47도 및 제48도는 각각 제45도 및 제46도의 47-47선 및 48-48선 단면도.47 and 48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47-47 and 48-48 of FIGS. 45 and 46, respectively.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코넥터요소 11 : 허브실린더10: connector element 11: hub cylinder

12 : 스포크 13 : 구조요소12: spoke 13: structural element

14 : 소켓 15 : 베이스벽14 socket 15 base wall

16 : 그리핑요소 17 : 중앙축16: gripping element 17: central axis

18 : 그루브 19 : 방사상축18 groove 19: radial axis

20 : 외측말단 21 : 입구영역20: outer end 21: entrance area

22 : 가장자리 24 : 잠금돌기부22: edge 24: locking projection

25 : 플랜지리세스 26 : 플랜지25: flange recess 26: flange

27 : 환상그루브 28 : 원통형 그리핑부27: annular groove 28: cylindrical gripping portion

31 : 리브 40 : 어댑터블록31: rib 40: adapter block

41, 42 : 조립요소 55 : 관상슬리브41, 42: assembly element 55: tubular sleeve

본 발명은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허브형상 코넥터요소와 그 코넥터요소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주형상 구조요소로 구성되어 완전한 구조를 형성하는 신규한 형태의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fabricated toys,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vel type of prefabricated toy consisting of a hub-shaped connector element and a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element to form a complete structure.

다수의 조립식 완구가 공지되어 있는 바,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코넥터요소와 구조요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져서 완전한 구조로 형성된다.Many prefabricated toys are known and consist of a combination of connector and structural elements that can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to form a complete structure.

본 발명의 완구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의 것이지만, 그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여러가지 독특하고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동시에 본 발명의 완구는 사출형성기법을 도입하여 적은 비용으로 완구를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The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f a known general form, but has various unique and excellent features that greatly improve its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the toy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igned to produce toys at low cost by introducing an injection molding technique.

허브형상 코넥터요소에는 지주형상의 전형적인 구조요소의 단부를 수용하고 그와 잠금결합되는 방사상으로 방위를 갖는 다수의 소켓이 제공된다. 연결소켓은 구조요소의 찰칵하고 삽입고정되는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구조요소의 말단부는 플랜지 단부를 한정하는 환상그루브로 형성된다. 코넥터요소상의 소켓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쌍으로 된 그리핑아암에 의해 한정되며, 각각의 아암은 구조요소의 환상그루브내에 수용되도록 배열되는 내향돌기 잠금돌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조요소가 폭방향으로 찰칵하고 삽입설치됨으로써 잠금상태가 형성되어 코넥터요소로부터 축방향으로 후퇴하지 못하게 된다.The hub shaped connector elemen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dially oriented sockets that receive and lock the ends of typical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s. The connecting socket is designed to accommodate the snap and fastening parts of the structural elements. The distal end of the structural element is formed of an annular groove defining the flange end. The sockets on the connector elements are defined by paired gripping arms spaced apart, each arm comprising an inwardly locking protrusion arranged to be received in an annular groove of the structural element. Therefore, the structural element is clicked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state is formed so that it cannot be retract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connector element.

단부에서 단면이 원형으로 성형되는 지주형상 구조요소는, 일반적으로 X형상의 단면으로 된 단부의 중간영역에서 구성된다. X형상의 단면은 그리핑아암의 대향하는 잠금돌기부와 공동작용할 수 있도록 배열됨으로써, 구조요소가 코넥터요소의 정상 방사상 방위에 대해 90도로 방위가 정해질 때, 잠금돌기부가 X형 상단면과 결합하여 구조요소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함으로써 한쌍의 그리핑아암사이에서 폭방향으로 압착되어 잠금위치에 찰칵하고 끼워맞춤된다.A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whose cross section is shaped circularly at the end is generally constitute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end having an X-shaped cross sec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X-shape is arranged to cooperate with the opposite locking projection of the gripping arm so that when the structural element is oriented at 90 degrees to the normal radial orientation of the connector element, the locking projection engages with the X-shaped top surface. By immobilizing the structural elements, they are squeezed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gripping arms to fit in the locked position.

마지막으로 언급된 구조요소의 열십자형 그리핑의 특징에 의해 실현가능한 구조중에는 불도저, 탱크, 콘베이어벨트 등의 동력식 완구구조와 현수요소 따위의 고정구조에 사용될 수 있는 연결벨트 형상구조가 있다.Finally, among the structures that can be realized by the features of the crisscross gripping of the structural elements mentioned above, there are connection belt-shaped structures that can be used for the fixed toys such as bulldozers, tanks, conveyor belts, and suspension elements.

일형태의 코넥터요소는,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면에서, 하나의 코넥터를 또다른 하나의 코넥터에 연결할 수 있게 한다. 그렇게 연결된 한쌍의 코넥터요소는 두 주요한 면에서의 구조요소와의 조립을 제공한다. 그밖에, 각각의 이용가능한 소켓은 여전히 허브형상 코넥터요소의 주요한 면에 직각으로 방위가 정해지는 구조요소를 잠금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중앙축으로부터 4개의 평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코넥터요소의 설치를 조정하는 코넥터요소의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T자형의 조인트를 형성하는) 3개의 평면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직각모서리 조인트를 형성하는) 2개의 평면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러한 코넥터요소 어셈블리의 변형된 형태가 제공된다.One type of connector element makes it possible to connect one connector to another connector in terms of being arrang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he pair of connector elements thus connected provides for assembly with the structural elements in two main aspects. In addition, each available socket may still receive a locked structural element oriented at right angles to the major face of the hub-shaped connector element. In one variant, an assembly of connector elements can be provided which coordinates the installation of the connector element extending in four planar directions from the central axis. Modified forms of such connector element assemblies are provided that extend in three planar directions (which form a T-shaped joint) or extend in two planar directions (which form a right corner joint).

리브와 그루브수단이 공동으로 작용하여 지주요소를 축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리세스의 단부벽과 확실하게 단부면접촉하도록, 한편으로는 소켓형성 리세스를, 다른 한편으로는 지주요소의 단부를 설계하고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지주와 코넥터간의 연결에 있어서 뛰어난 안정성을 추가로 제공한다.The rib and groove means work together to drive the strut element axially to ensure end face contact with the end wall of the recess, on the one hand the socket-forming recess and the end of the strut element It is good to configure. This additionally provides excellent stability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rut and the connector.

특별한 장점으로서, 조립식 완구시스템은 사전설정된 공식에 따라 점진적으로 그 길이가 변하는 일련의 지주를 포함함으로써, 일련의 지주에서 주어진 길이의 두 지주가 코넥터와 결합하여 직각으로 각을 이루는 구조를 형성할 때, 일련의 지주에서 그 다음으로 길이가 긴 지주는 삼각형구조의 빗변을 따라 어셈블리내에서 결합되기에 적절한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조적으로 큰 어셈블리는 최대의 강도와 강성을 제공하는 여러가지 다른 크기의 견고한 삼각형 고조 서브어셈블리를 활용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As a special advantage, the prefabricated toy system includes a series of struts that vary in length gradual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ormula so that when two struts of a given length in a series of struts are combined with the connector to form a right angle structure In this case, the next longest strut in the series of struts has a length suitable for joining in the assembly along the hypotenuse of the triangular structure. In this way, structurally large assemblies may be formed by utilizing rigid triangular harmonic subassemblies of various sizes that provide maximum strength and stiffness.

길이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일련의 지주요소가 앞서 언급한 원리를 따라 제공되는 새로운 시스템에 있어서, 일련의 지주요소중 주어진 길이의 한쌍의 지주요소로 구성되고 동축적으로 코넥터요소의 대향측 부위에 설치되는 구조는 일련의 지주요소중 크기가 가장 큰 두 지주요소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배열은 어떠한 어셈블리에 있어서도, 구조부의 배열에 있어서 뛰어난 융통성을 제공한다.In a new system in which a series of strut elements of varying length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principles, a series of strut elements consist of a pair of strut elements of a given length and are installed coaxially on opposite sides of the connector element. The structure has a length equal to the length of the two largest strut elements of the series of strut elements. This arrangement provides excellent flexibility in the arrangement of the structures in any assembly.

앞서의 기하학적인 관계의 중요한 양상은, 지주요소가 폭방향으로 찰칵하고 삽입되는 어셈블리에 의해 코넥터요소와 조립됨으로써 한쌍의 코넥터요소의 중심간 거리가 지주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확대될 필요가 없다는 사실에 있다. 이로부터 구조는 실제적인 강성의 단계에 이른 후에라도 쉽게 부가되고 및/또는 변형될 수 있다.An important aspect of the above geometric relationship is that the strut element is assembled with the connector element by an assembly in which the strut element is clicked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pair of connector elements does not need to be enlarged to accommodate the strut element. have. From this the structure can be easily added and / or modified even after reaching the stage of actual rigidity.

많은 동력식 구조에 있어서, 축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주요소와 그와 관련된 코넥터요소간의 구동관계가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립식 완구시스템은 인접한 코넥터요소의 축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주요소를 열십자형태로 수용하는 소켓형성 리세스로 구성되는 구성요소를 사용한다. 지지되는 지주에 구동관계로 코넥터요소를 잠그기 위해, 구동요소는 코넥터요소의 인접한 스포크형상의 웨브간에 수용되도록 배열되는 폭방향연장 구동핀으로 형성된다.In many powered structures, a drive relationship between a strut element that functions as an axis and its associated connector element may be desirable. To this end, the prefabricated toy system uses a component consisting of a socket-forming recess for receiving a strut element in the form of a crisscross, which serves as the axis of the adjacent connector element. In order to lock the connector element in a drive relationship to the support strut, the drive element is formed with a widthwise extension drive pin arranged to be received between adjacent spoke-shaped webs of the connector element.

이하, 첨부도면에서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도에서, 허브형상 코넥터요소가 도면부호10으로 도시되어 있다. 코넥터요소는 중앙 허브실린더(11)와 방사상 스포크(12)를 포함한다. 예시된 형태는 도면부호13으로 표시한 방사상으로 배치된 8개의 구조요소가 연결된 것이다.In FIG. 1, a hub shaped connector element is shown at 10. The connector element comprises a central hub cylinder 11 and a radial spoke 12. The illustrated form is a connection of eight radially arranged structural element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3.

방사상 스포크(12)는 단부벽(15)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되는 대향 그리핑요소(16)로 각각 구성되는 8개의 소켓(14)의 어레이를 지지한다. 소켓(14)은 코넥터의 중앙축(17)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쌍으로된 그리핑요소(16)는 소켓의 방사상 축의 대향측부상에, 일반적으로 그러한 방사상 축에 평행한 상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dial spokes 12 support an array of eight sockets 14 each composed of opposing gripping elements 16 spaced apart from the end wall 15. The socket 14 is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17 of the connector, with each pair of gripping elements 16 on opposite sides of the radial axis of the socket, generally parallel to such a radial axis. It is preferable to arrange.

그리핑요소(16)에는 그 외측부분에서 소켓의 방사상 축(19)을 중심으로 동심적으로 배열되고 소켓의 베이스벽(15)을 향해 적절한 거리만큼, 전형적으로는 약 반만큼 그리핑요소의 외측말단(20)으로부터 연장되는 오목한 그루브(18)가 제공된다.The gripping element 16 is arranged concentrically about the radial axis 19 of the socket at its outer part and at an appropriate distance towards the base wall 15 of the socket, typically about half the outside of the gripping element. Concave grooves 18 are provided that extend from the ends 20.

지주형상 구조요소(13)는 그 말단에서 원통형형태로 구성된다. 구조요소는 예를 들어 약 6.35mm(0.250인치)의 공칭직경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동일한 치수의 직경으로 형성된 그리핑요소내에서 오목한 그루브(18)를 공동작용할 수도 있다.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13 has a cylindrical shape at its distal end. The structural element may, for example, consist of a nominal diameter of about 6.35 mm (0.250 inch) to cooperate with the concave groove 18 in the gripping element formed to the diameter of the same dimension.

제5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루브(18)의 원호는 입구영역(21)을 구조요소의 6.35mm(0.250인치)직경보다 작은 치수로 그 폭을 좁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목부분 또는 개구부(21)에서의 치수는 약 5.334mm(0.210인치)일 수도 있다. 따라서, 목부분(21)으로부터 그리핑아암의 폭방향외측면으로 분기되도록 그리핑아암의 폭방향 가장자리(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각도는 약 15도인 것이 적절하다. 이로 인해 그리핑아암(16)이 폭방향으로 변위되고 분리됨으로써 구조요소(13)의 그루브(18)내로의 폭방향삽입이 용이해진다. 구조요소가 그루브(18)내에 자리잡게 되면, 그리핑아암(16)은 구조요소 둘레를 감싸듯이 폐쇄함으로써 제위치에서 고정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5, the arc of the groove 18 serves to narrow the inlet area 21 to a dimension smaller than the 6.35 mm (0.250 inch) diameter of the structural element. The dimensions at the neck or opening 21 may be about 5.334 mm (0.210 inch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widthwise edge 22 of the gripping arm so as to branch from the neck portion 21 to the widthwise outer surface of the gripping arm. It is appropriate that the branch angle is about 15 degrees. This facilitates the transverse insertion of the structural element 13 into the groove 18 by displacing and separating the gripping arm 16 in the width direction. Once the structural element is in groove 18, the gripping arm 16 is secured in place by closing it around the structural element.

각각의 그리핑아암(16)에는 그리핑요소에 의해 한정되는 소켓의 방사상 축에 직각으로 연장되고 반원통형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잠금돌기부(24)가 제공된다. 예시된 구성에서, 돌기부(24)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일정하고 그리핑아암(16)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연장된다. 이는 제2도의 확대사시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Each gripping arm 16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24 which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radial axis of the socket defined by the gripping element and which preferably takes a semi-cylindrical configuration. In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the protrusions 24 are generally constant in cross section and extend from one side of the gripping arm 16 to the other. This is shown in detail in the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잠금돌기부(24)는 소켓의 베이스벽(15)으로부터 짧은 거리만큼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소켓의 내측 또는 베이스단부에서 플랜지수용 리세스(25)를 한정한다.The locking projections 24 are radially spaced outwardly by a short distance from the base wall 15 of the socket and define a flange receiving recess 25 at the inner or base end of the socket.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조요소(13)의 말단은, 단부부분의 길이방향단면이 코넥터요소의 편평한 측부와 평행한 면으로 방사상 축을 따라 취한 소켓(14)의 길이방향단면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구조요소(13)는 소켓의 플랜지 리세스(25)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원통형단부플랜지(26)를 포함한다.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져서 대향하는 잠금돌기부(24)간의 폭이 좁은 간격내에 수용되는 환상 그루브(27)가 원통형단부플랜지(26)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오목한 그루브내에 수용되며, 그리핑아암(16)의 외측부분에 의해 감싸이듯이 고정되는 원통형 그리핑부(28)는 환상그루브(27)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그리핑부(28)의 축방향길이는 그루브(18)의 유효길이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플랜지는 예를 들어 1.575mm(0.062인치)의 축방향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환상그루브(27)와 잠금돌기부(24)의 전형적인 반경은 약 1.575mm(0.062인치)이다. 공칭직경이 6.35mm(1/4인치)인 구조요소의 경우, 그리핑소켓(14)에 있어서의 적절한 길이전장은 약 8.89mm(0.35인치)이다.As shown in FIG. 3, the end of each structural element 13 has a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the socket 14 taken along a radial axis with a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the end portion parallel to the flat side of the connector element. Configured to be the same. The structural element 13 comprises a cylindrical end flange 26 of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received in the flange recess 25 of the socket. An annular groove 27, which is formed in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accommodated in a narrow gap between the opposite locking projections 24, is dispos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cylindrical end flange 26. As shown in FIG. A cylindrical gripping portion 28 received in a concave groove and fixed as wrapped by an outer portion of the gripping arm 16 is dispos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annular groove 27. The axial length of the gripping portion 28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effective length of the groove 18. The cylindrical flange may have an axial length of, for example, 1.575 mm (0.062 inch). The typical radius of the annular groove 27 and the locking projection 24 is about 1.575 mm (0.062 inch). For structural elements with a nominal diameter of 6.35 mm (1/4 inch), the appropriate length of the gripping socket 14 is about 8.89 mm (0.35 inch).

지주형상 구조요소(13)의 전형적인 형태를 제10도에 도시하였다. 요소는 물론 어떠한 길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되는 전형적인 조립식 완구는 길이가 여러가지인 다수의 그러한 요소를 사용한다. 특별한 장점으로서, 각각의 단부부분(30)간의 구조요소의 부분은 리브(31)로 구성되고 방사상으로 특히 90도 간격의 인터벌로 연장되며, 리브의 외측면(32)은 원통형 단부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요소의 원통형 엔벌로프상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한 X형 단면구성을 취한다.A typical form of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13 is shown in FIG. The elements may of course be of any length, and typical prefabricated toys to whic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utilize a number of such elements of varying lengths. As a special advantage, the part of the structural element between each end portion 30 consists of ribs 31 and extends radially in particular at intervals of 90 degrees, the outer surface 32 of the ribs being defined by a cylindrical end portion. It takes the preferred X-shaped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to lie on the cylindrical envelope of the element to be.

리브(31)의 두께(33)를 적절히 정하고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측벽부분을 약간 경사지게 함으로써, 구조요소는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상소켓(14)의 개방단부내로 폭방향으로 밀려들어가고 한쌍의 대향하는 잠금돌기부(24)간에 삽입되어 인접한 리브간의 리세스(39)내에 돌기부를 안착시키게 된다.By properly determining the thickness 33 of the rib 31 and slightly inclining its outer wall portion as shown at 34, the structural element is brought into the open end of the radial socket 14, as shown in FIGS. It is push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opposing locking projections 24 to seat the projections in the recesses 39 between adjacent ribs.

구조요소의 X형 단면은 그리핑아암(16)의 폭치수(36)와 거의 동일한 거리만큼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되는 한쌍 또는 그 이상의 쌍으로 된 원통형부분(35)에 의해 주기적으로 차단된다. 제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요소가 돌기부(24)상의 잠금위치내로 찰칵하고 끼워맞춤될 때, 구조요소는 축방향, 폭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제위치에 고정된다. 그렇지않고, 구조요소가 인접한 원통형부분(35)이 폭넓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영역(37)중 한 영역에서 방사상소켓(14)내로 폭방향으로 인가된다면, 한계내에서 그 축을 따라 구조요소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X-shaped cross section of the structural element is periodically interrupted by a pair or more pair of cylindrical portions 35 spaced apart by a distance approximately equal to the width dimension 36 of the gripping arm 16. As shown in Figs. 1 and 12, when the structural element is snapped into the locking position on the protrusion 24, the structural element is fixed in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therwise, if the structural element is applied in the widthwise direction into the radial socket 14 in one of the regions 37 where the adjacent cylindrical portions 35 are widely spaced apart, the position of the structural element along its axis within its limits is determined. It is possible to adjus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31)의 폭은 약 2.36mm(0.093인치)이고, 제4도에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부분이 한점을 향해 테이퍼 경사진다. 구조요소(13)의 X형 구성은 기본적으로 두쌍의 리브를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쌍의 리브가 60도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되는 X형이라는 용어는 그러한 모든 변형예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width of the ribs 31 is about 2.36 mm (0.093 inches), and as shown in detail in FIG. 4, the outer portion is tapered to one point. The X configuration of the structural element 13 is basically not limited to using two pairs of ribs. For example, three pairs of ribs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of 60 degrees. Accordingly, the term X-type as used herein is to be understood to apply to all such variations.

제13도 내지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부호 40으로 표시되고, 종래의 블록형태의 조립요소와 본 발명의 조립식 완구요소간을 인터페이스시키는 어댑터요소를 제공한다. 제14도 및 제15도에 있어서, 예를 들어 요소(41,42)는 개방공동(49)을 형성하는 상부벽(44)과 측벽(45-48)이 제공되는 측부가 개방된 블록형태로 조립되는, 공지된 형태의 블록형상 조립요소이다. 상부벽(44)에는 다수의(예를 들어 8개의)짧은 원형돌기부(50)가 제공된다. 또한 세개의 가늘고 긴 관상 마찰포스트(51)는 상부벽(44)으로부터 공동(49)을 통해 연장된다. 블록형상 조립요소(41,42)의 공지된 설계에 따라 공동(49)의 내부치수는 외부돌기부(50)를 중심으로 감싸듯이 끼워맞춤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마찰포스트(51)는, 조립식 블록이 수직으로 설치될 때 돌기부(50)의 측부와 접선접촉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이는, 공지의 방식으로, 다수의 조립블록이 마찰결합하여 완전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As shown in Figs. 13 to 15, the present invention,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40, provides an adapter element for interfacing between a conventional block-shaped assembly element and the prefabricated toy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for example, the elements 41 and 42 are in the form of blocks with open sidewalls provided with a top wall 44 and side walls 45-48 forming an open cavity 49. It is a block-shaped assembly element of known type to be assembled. The upper wall 4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g eight) short circular protrusions 50. Three elongated tubular friction posts 51 also extend from the top wall 44 through the cavity 49. According to the known design of the block-shaped assembly elements 41 and 42, the inner dimension of the cavity 49 is set to fit around the outer projection 50. The friction post 51 is also dimensioned to tangentially contact the sides of the protrusion 50 when the prefabricated block is installed vertically. This allows, in a known manner, a plurality of building blocks to be frictionally bonded to form a complete structure.

어댑터블록(40)은 상부벽(52)과 측벽(53)을 포함한다. 예시한 형태에 있어서, 어댑터블록은 사각형 형태를 취하지만 다른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조립블록(41,42)의 짧은 원형돌기부(50)에 해당하는 직경과 간격의 4개의 가늘고 긴 원형돌기부(54)가 상부벽(52)으로부터 돌기된다. 이들 원통형돌기부(54)는 조립블록의 개방공동(49)내로 삽입될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공동(49)의 깊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apter block 40 includes an upper wall 52 and a side wall 53. In the illustrated form, the adapter block may take the form of a rectangle but may take other configurations. Four elongated circular protrusions 54 of diameter and spacing corresponding to the short circular protrusions 50 of the assembly blocks 41 and 42 are protruded from the upper wall 52. These cylindrical protrusions 54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 cavity 49 of the assembly block, and generall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cavity 49.

관상 어댑터슬리브(55)는 상부벽(52)의 하부에서 어댑터블록내의 개방공동(56)을 통해 연장된다. 관상슬리브의 내경은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요소(13)의 단부부분(30)을 감싸듯이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관상슬리브(55)는 어댑터블록측벽의 개방가장자리(57)밑에 리세스됨으로써 어댑터 블록은 또다른 공지의 방식으로 종래의 조립블록과 조립될 수도 있다.The tubular adapter sleeve 55 extends through an open cavity 56 in the adapter block at the bottom of the top wall 52. As shown in FIG. 14,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ular sleeve is large enough to accommodate the end portion 30 of the structural element 13. The tubular sleeve 55 is recessed under the open edge 57 of the adapter block side wall so that the adapter block may be assembled with a conventional assembly block in another known manner.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코넥터요소(70)는 상기 서술한 기구의 일반적인 눈송이 구성을 취하며, 앞서 언급한 기구의 많은 구조적 특징을 갖지만, 특별히 그에 직각으로 방위를 갖는 유사하게 구성된 제2의 코넥터요소와 함께 조립될 수 있도록 변형된다. 코넥터요소(70)는 일반적으로 편평하고 개방된 구성을 취하며, 그 두께는 약 6.35mm(1/4인치)이다. 그 중심에서, 코넥터요소(70)는 고체의 반원통형 코어(71)를 구비한다. 안내벽(72,73)은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코어(71)의 대향측부로부터 연장된다. 안내벽(72,73)간의 간격은 사실상 코넥터요소의 두께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2의 그러한 요소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안내벽(72,73)과 코어(71)의 일측부를 형성하며 코넥터요소를 관통하는 축방향평면상에 위치하는 편평한 횡벽(75)에 의해 한정되는 리세스(74)내에 수용될 수 있다.The connector elements 70 shown in FIGS. 16 and 17 take the general snowflake configuration of the mechanism described above and have many structural features of the mechanism mentioned above, but in particular similarly constructed bearings at right angles thereto. It is deformed so that it can be assembled with the connector element of 2. Connector element 70 generally has a flat, open configuration, and is about 6.35 mm (1/4 inch) thick. At its center, the connector element 70 has a solid semicylindrical core 71. The guide walls 72 and 73 extend from opposite sides of the core 71 in a state where they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t intervals. Since the spacing between the guide walls 72 and 73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connector element, it forms the one side of the guide wall 72 and 73 and the core 71 where the second such elements are spaced apart and the connector element is formed. It may be accommodated in a recess 74 defined by a flat transverse wall 75 located on the penetrating axial plane.

그 외측단부에서 외주벽(79,80)과 결합하는 다수의 스포크형상의 요소(76-78)는 코어에서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벽(79,80)은 팔각형구조의 7개의 측부를 한정하며, 8번째의 측부는 개방되어 리세스(74)를 수용한다.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벽(79)은 하나의 스포크에서 다른 스포크로(또는 스포크에서 안내벽 72,73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리세스(74)의 바로 반대편에 놓이는 벽(80)에는 불연속부(81)가 형성된다. 이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At its outer end a number of spoke-shaped elements 76-78 that engage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s 79, 80 extend radially outwardly in the cor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walls 79 and 80 define seven sides of the octagonal structure and the eighth side is opened to receive the recess 74. As shown in FIG. 17, a number of walls 79 extend continuously from one spoke to another (or from spokes to guide walls 72,73). However, discontinuities 81 are formed in the wall 80 directly opposite the recess 74. This fun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각각의 벽(79,80)은 (벽79의 경우) 지주수용소켓(82) 또는 (차단벽80의 경우) 지주수용소켓(83)의 단부벽을 형성한다. 각각의 소켓은 소켓의 방사상 축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반원통형 잠금돌기부(85)가 내부에 제공되는 쌍으로 된 대향 그리핑요소(84)에 의해 한정된다. 베이스벽(79,80)과 결합되는 잠금돌기부는 플랜지수용 리세스(86)를 한정한다. 그리핑요소(84)의 외측부분에는 소켓의 방사상 축(88)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오목한 그루브(87)가 형성된다.Each of the walls 79 and 80 forms an end wall of the post holding socket 82 (for wall 79) or the post holding socket 83 (for blocking wall 80). Each socket is defined by a pair of opposing gripping elements 84 provided therein with a semi-cylindrical locking projection 85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radial axis of the socket. The locking projection coupled with the base walls 79 and 80 defines a flange receiving recess 86. The outer portion of the gripping element 84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87 which is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adial axis 88 of the socket.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형상 구조요소(90)에는 원통형 단부플랜지(91), 그에 인접한 환상그루브(92) 및 그리핑요소의 오목한 그루브(87)내에 감싸이듯이 수용되도록 배열되는 원통형부분(93)이 제공된다. (때때로 지주로서 불리우는) 구조부재(90)는 리세스(82)중 하나에 폭방향으로 눌림으로써 코넥터요소(70)와 조립된다. 리세스(82)로의 폭방향으로의 입구는 원통형그루브(87)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94)에 의해 한정되는 폭좁은 목부분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분기안내표면(95)이 제공됨으로써 구조요소의 폭방향삽입이 용이해진다.As shown in FIG. 19, the post-shaped structural element 90 has a cylindrical end flange 91, an annular groove 92 adjacent thereto, and a cylindrical portion arranged to be received as wrapped in the concave groove 87 of the gripping element. 93 is provided. Structural member 90 (sometimes referred to as strut) is assembled with connector element 70 by pressing in widthwise direction in one of the recesses 82. The inlet in the width direction into the recess 82 is partially closed by a narrow neck defined by the upper and lower edges 94 of the cylindrical groove 87. The branch guide surface 95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structural elements in the width direction.

특별한 장점으로서, 지주단부가 소켓내에 소용될 때, 지주의 편평한 플랜지 단부 벽(91a)이 탄성적으로 소켓의 편평한 베이스벽(79) 또는 (80)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소켓과 지주의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열은 부품조립에 있어 안정성과 견고함을 더하게 된다. 소정의 관계는 지주그루브(92)의 정상위치에 대해 소켓단부벽(79)의 방향으로 약간 잠금플랜지(85)를 변위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지주가 조립위치내로 찰칵하고 끼워맞춰질 때, 소켓의 바닥을 향해 자동적으로 압착됨으로써 편평한 벽(91a,79)이 확실하게 면접촉하게 된다.As a special advantage, the configuration of the socket and the support can be such that when the support end is used in the socket, the flat flange end wall 91a of the support can be elasticall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lat base wall 79 or 80 of the socket. Is done. This arrangement adds stability and robustness to the assembly of the parts. The predetermined relationship is achieved by slightly displacing the locking flange 85 in the direction of the socket end wall 79 with respect to the normal position of the strut groove 92. Thus, when the strut snaps into the assembly position, the flat walls 91a and 79 are reliably face-contacted by being automatically squeezed toward the bottom of the socket.

제17도의 분해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70a는 코넥터요소(70)와 동일한 제2의 코넥터요소이지만, 그 주요면이 요소(70)의 주요면에 대해 직각으로 놓이도록 그리고 그 리세스측부(제17도에는 도시안됨)가 요소(70)의 리세스(74)와 마주보도록 방위가 정해진다. 이들 두 요소(70,70a)가 화살표(96)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면, 단부표면(75) 좌측의 코넥터(70)의 부분은 코넥터요소(70a)의 리세스에 의해 수용된다. 이와 유사하게, 요소(70)의 리세스(74)는 요소(70a)의 우측부분을 수용한다. 두 코넥터요소(70,70a)의 완전한 조립체가 제16도에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조립된 코넥터는 두 면내의 방사상으로 방위를 갖는 지주수용 리세스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조적인 가능성은 크게 향상된다.In the exploded view of FIG. 17, reference numeral 70a denotes a second connector element which is the same as the connector element 70, but with its major face lying perpendicular to the major face of the element 70 and its recess side (17th). (Not shown in the figure) is oriented so that it faces the recess 74 of the element 70. When these two elements 70, 70a move together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96, the portion of the connector 70 on the left side of the end surface 75 is received by the recess of the connector element 70a. Similarly, recess 74 of element 70 receives the right portion of element 70a. The complete assembly of the two connector elements 70, 70a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in FIG. Assembled connectors provide a radially oriented radially retaining recess in both planes, greatly improving the structural possibilities of the system.

조립된 상태에서 두 코넥터요소(70,70a)를 고착하기 위하여, 공동작용하는 리브와 그루브가 각각의 부분위에 형성된다. 안내벽(72,73)에는 횡방향 톱니바퀴 그루브(97)가 제공된다. 이들은 대향하는 코넥터요소상에서 적절히 위치하는 톱니바퀴 리브(98)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98)는 방사상 스포크(77)상에 형성된다. 한쌍의 코넥터요소(70,70a)를 조립하는 동안, 돌기 리브(98)는 안내벽(72,73)의 외측단부에 도달하기 때문에 안내벽은 리브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로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한다. 이 탄성변위는 작은 갭(81)을 리세스벽(80)내에 제공함으로써 촉진된다. 따라서, 조립공정중에, 대향하는 반쪽의 분할벽(80)이 서로를 향해 변위됨으로써 안내벽(72,73)의 외측변위를 촉진한다. 이 공정은 코넥터요소(70,70a) 모두에 동시에 발생한다.In order to secure the two connector elements 70, 70a in the assembled state, cooperating ribs and grooves are formed on each part. Guide walls 72 and 73 are provided with lateral gear grooves 97. They are arranged to receive gear ribs 98, which are properly positioned on opposing connector elements. As shown in FIG. 17, ribs 98 are formed on radial spokes 77. While assembling the pair of connector elements 70 and 70a, the projection ribs 98 reach the outer ends of the guide walls 72 and 73 so that the guide walls are burned outwards at a distance 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ribs. Displace sexually. This elastic displacement is promoted by providing a small gap 81 in the recess wall 80. Therefore, during the assembling process, the opposite half dividing walls 80 are displaced toward each other to promote the outer displacement of the guide walls 72 and 73. This process occurs simultaneously on both connector elements 70 and 70a.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단일면의 코넥터요소에는 대칭적으로 배열된 8개의 지주수용소켓이 형성되어 있다. 개개의 코넥터요소(70,70a)에는, 다른 한편으로, 코넥터의 일측부에서의 측부가 개방된 리세스(74)로 인해 하나의 작은 지주수용소켓이 형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요소가 조립될 때, 각각의 코넥터요소는 사실상 지주수용소켓을 다른 코넥터요소에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면에는 4쌍의 대향소켓이 존재하게 된다. 두 코넥터요소가 제16도에 도시한 방식으로 조립될 때, 각각의 코넥터요소위의 대향하는 3쌍의 소켓이 개방되어 지주(90)의 폭방향삽입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83,83a로 나타낸 대향하는 쌍의 소켓중 하나의 경우, 지주의 정상적인 폭방향삽입은 어셈블리의 대향하는 코넥터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외향연장 그리핑요소(84)가 인접함으로써 배제된다.The single-sided connector elements shown in Figs. 1 to 5 are formed with eight support accommodation sockets arranged symmetrically. On the individual connector elements 70, 70a, on the other hand, one small strut receiving socket is formed due to the recess 74 having the side open at one side of the connector. Nevertheless, when the two elements are assembl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each connector element actually provides a holding housing socket to the other connector element so that there are four pairs of opposing sockets on each side. do. When the two connector elements are assembled in the manner shown in FIG. 16, three opposing pairs of sockets on each connector element are opened to enable the longitudinal insertion of the strut 90. However, in the case of one of the opposing pairs of sockets represented by 83, 83a, normal transverse insertion of the strut is ruled out by adjoining the outwardly extended gripping element 84 supported by the opposing connector element of the assembly.

부분적으로 접근이 불가능한 소켓(83,83a)내로의 지주요소(90)의 삽입은 슬롯이 형성된 리세스벽(80)으로 인해 용이해진다. 슬롯(81)은 인접한 그리핑아암(84)의 제한된 외향변위를 가능케함으로써 지주요소는 제19도 및 제20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위치내로 레버운동을 통해 캠드(cammed)될 수 있다.Insertion of the strut element 90 into the partially inaccessible sockets 83 and 83a is facilitated by the slotted recess wall 80. The slot 81 allows limited outward displacement of the adjacent gripping arm 84 so that the strut element can be cammed through lever movement into the position schematically shown in FIGS. 19 and 20.

제19도에 있어서, 점선으로 표시한 지주(90)의 위치는 코넥터요소(70a)의 소켓(83a)내로 지주를 삽입하기 위한 전형적인 시작위치를 나타낸다. 지주의 단부표면(100)은 인접한 그리핑아암의 외측표면에 위치하며, 이는 어느정도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지주가 소켓내로 폭방향으로 밀리게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제19도에 도시한 각도 방위를 유지한다. 이러한 동작중에, 정상보다 더 넓게 개방되는 슬롯(81)에 의해 수용되는 대향 그리핑아암이 초기에 외측으로 변위한다. 또한, 리세스안내벽(72)은 약간 외측으로 편향되고, 이는 제19도의 화살표(102)방향으로의 지주(90)의 레버작용에 의해 활발해진다. 이는 인접하는 그리핑아암(84)이 제20도의 화살표(103)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안내표면(101)에 대해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효과를 갖는다. 지주의 레버작용은 제19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의 플랜지단부가 리세스내의 위치로 찰칵하고 끼워맞춰질 때까지 계속된다. 부분적으로 차단된 리세스(83,83a)의 하나에서 지주를 제거하는 것은 일반적인 역동작에 의해 달성된다.In FIG. 19, the position of the strut 90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dicates a typical starting position for inserting the strut into the socket 83a of the connector element 70a. The end surface 100 of the strut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jacent gripping arm, which serves as a guide to some extent so that the strut is pushed in the width direction into the socket but generally maintains the angular orientation shown in FIG. do. During this operation, the opposing gripping arms received by the slots 81 opening wider than normal initially displace outwardly. Further, the recess guide wall 72 is deflected slightly outward, which is activated by the lever action of the strut 9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02 in FIG. This has the effect of lifting upward relative to the guide surface 101 so that the adjacent gripping arms 84 can be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03 in FIG. The lever action of the shore continues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19 until the flange end of the shore clicks into position in the recess. Removal of the struts in one of the partially blocked recesses 83 and 83a is accomplished by a general reverse action.

제3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형성 리세스(150)와 지주(140)는, 리브(130,131)의 곡면의 중심이 환상그루브(147)의 곡면의 중심을 포함하는 축(153)과 지주요소의 단부표면(154)간의 오프셋보다 약간 적은 거리로 단부벽(125)의 표면(152)으로부터 오프셋된 축(151)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지주요소가 리세스(150)내의 고정위치내로 그리핑아암(126,127)사이의 폭방향으로 밀려들어갈 때, 리브(130,131)는 지주단부표면(154)이 리세스 단부벽의 표면과 확실한 면 대 면 결합하는 방식으로 환상그루브의 측부와 압력 접촉한다. 이들 두 표면이 확실하게 면 대 면 결합함으로써 지주와 코넥터요소의 어셈블리는 소정의 견고성을 추가로 얻게 된다.As shown in FIG. 31, the socket forming recess 150 and the support 140 have a shaft 153 and a support having a center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ribs 130 and 131 including a center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annular groove 147.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located on the axis 151 offset from the surface 152 of the end wall 125 at a distance slightly less than the offset between the end surfaces 154 of the elements. As a result, when the strut element is pushed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gripping arms 126 and 127 into a fixed position in the recess 150, the ribs 130 and 131 are secured so that the strut end surface 154 is secure with the surface of the recess end wall. It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sides of the annular groove in a face-to-face engagement. By ensuring that these two surfaces are face-to-face coupled, the assembly of the strut and connector element adds some additional rigidity.

코넥터요소는 하나 내지 다수의 소켓형성 리세스(150)를 구비하는 여러가지 형태와 스타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른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 코넥터요소를 구성함으로써 리세스가 45도의 각도로 분리되거나 그 배수의 각도로 분리되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or elemen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tyles with one to multiple socket-forming recesses 150. While other configurations may be us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connector element having one or more recesses so that the recesses are separated at an angle of 45 degrees or at multiples thereof.

제21도에는 단일리세스 코넥터요소(160)가 예시되어 있다. 그것은 원통형벽(162)에 의해 한정되는 허브섹션(161)을 포함한다. 허브실린더의 내경은 거의 지주요소(140)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엔벌로프의 직경과 같다. 그 원통형 엔벌로프의 직경은 지주요소의 원통형단부부분(146,148)의 직경에 해당하고 또한 리브(145)의 직경에 해당한다. 따라서, 지주요소는 허브실린더내에서 지주의 자유로운 회전운동 및 병진운동을 허용하는 약간의 여유를 가지고 허브의 원통형 개구부(163)내에 자유롭게 수용될 수 있다. 허브실린더의 축(164)은 리세스(150)의 길이방향축에 직각으로 배치된다. 리세스(150)의 단부벽을 형성하는 벽(167)은 벽(167) 및 허브실린더(162)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쌍의 공간웨브섹션(166)에 의해 허브축(164)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21, a single recess connector element 160 is illustrated. It includes a hub section 161 defined by the cylindrical wall 162. The inner diameter of the hub cylinder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envelope formed by the strut element 140.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envelope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end portions 146 and 148 of the strut element and also to the diameter of the rib 145. Thus, the strut element can be freely accommodated in the cylindrical opening 163 of the hub with some margin to allow free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strut in the hub cylinder. The shaft 164 of the hub cylinder is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recess 150. The wall 167 forming the end wall of the recess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hub shaft 164 by a pair of spatial web sections 166 formed integrally with the wall 167 and the hub cylinder 162. Is placed.

전형적으로, 코넥터요소는 허브축(164)의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일정한 두께로 구성된다. 폭은 지주요소의 원통형 엔벌로프의 직경과 거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경우, 코넥터요소가 실제로 각 단부에서 공간을 두지 않고 지주의 중앙몸체의 전체길이에 걸쳐 지주에 대해 열십자로 나란히 조립될 수 있다는 점에서, 두께가 약 6.20mm(0.244인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구조에는 실제로 지주의 몸체부분의 전체폭에 걸쳐 횡으로 배치되는 지주에 연결되는 요소의 고체벽이 형성될 수 있다.Typically, the connector element consists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predetermined in the direction of the hub axis 164. Preferably, the width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envelope of the strut element. In most cases, it is preferred that the connector element be approximately 6.20 mm (0.244 inches) thick in that the connector element can be assembled side by side with the crisscross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entral body of the strut without actually leaving space at each end. Was found. From this the structure can be formed with solid walls of elements which are in fact connected to struts arranged transversely across the entire width of the body portion of the struts.

제22도에 도시한 코넥터요소는 제21도에 도시한 요소와 유사하지만, 180도의 각으로 분리된 한쌍의 소켓형성 리세스(150)를 포함하며, 각각의 소켓형성 리세스의 길이방향축은 허브축(172)과 동축적으로 정렬하고 그와 교차한다. 제22도의 코넥터요소는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적으로 정렬된 상태로 한쌍의 지주요소를 단부 대 단부 결합시키는데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이유 및 그밖의 다른 이유로 인해, 허브축(172)에서(제31도의 표면152에 대응하는) 리세스 단부벽의 외측면까지의 거리는 제22도의 코넥터요소(170)의 양쪽 리세스 및 제21도의 단일 코넥터요소(160)의 경우 동일하다. 이 차이는 제21도 및 제22도에서 문자 d로서 나타내었다. 이 기하학적인 관계는 여기에 예시된 여러가지 코넥터요소에 또한 적용될 수 있는 바, 모든 경우에 있어서, 코넥터요소의 소켓 형성 리세스내에 고착되는 지주요소는 코넥터요소의 중앙허브축으로부터 사전설정된 고정된 거리에 위치한다.The connector element shown in FIG. 22 is similar to the element shown in FIG. 21, but includes a pair of socket-forming recesses 150 separated by an angle of 180 degrees, the longitudinal axis of each socket-forming recess being a hub. Align coaxially with and intersect with axis 172. The connector element of FIG. 22 is particularly useful for end-to-end coupling of a pair of strut elements in a coaxially aligned state, as shown in FIG. For this and other reasons, the distance from the hub shaft 172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ss end wall (corresponding to surface 152 of FIG. 31) is equal to both recesses and 21 of connector element 170 of FIG. The same is true for the single connector element 160 of FIG. This difference is shown as the letter d in FIGS. 21 and 22. This geometric relationship can also be applied to the various connector elements illustrated herein, in which case the strut elements that are secured within the socket forming recesses of the connector element are at a predetermined fixed distance from the central hub axis of the connector element. Located.

제23도에는, 두개의 소켓형성 리세스(15)가 제공된 코넥터요소(180)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은 그에 직각으로 배치된 허브축(182)과 교차하는 축(181)을 따라 정렬한다. 허브실린더, 리세스(150) 등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코넥터요소(160,170)와 관련하여 서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러나, 제23도의 변형예의 경우, 지주수용 리세스(150)는 45도의 각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In FIG. 23 a connector element 180 provided with two socketing recesses 15 is shown. They align along an axis 181 that intersects with the hub axis 182 disposed perpendicular to it. The configuration of the hub cylinder, recess 150 and the like is generally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connector elements 160 and 170. However, in the case of the modification of FIG. 23, the post holding recess 150 is spaced at an angle of 45 degrees.

제24도 및 제25도의 코넥터요소(190,200)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 허브축(192, 202)과 교차하는 축(191,201)을 따라 배열되고 45도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세개 또는 네개의 지주수용 리세스(150)가 각각 코넥터요소에 제공된다. 제23도 내지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넥터요소는 허브축(182,192,202)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인접한 리세스(150)와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중간의 방사상배치 스포크형상벽(183,193,203)을 포함한다. 외측벽(184,194,204)은, 다른 한편으로, 각각의 허브실린더(185,195,205)와 접촉상태로 연장된다.In the connector elements 190 and 200 of FIGS. 24 and 25, three or four struts are arranged in each case along the axes 191 and 201 intersecting with the hub axes 192 and 202 and spaced apart by 45 degrees apart. Each set 150 is provided in the connector element. As shown in FIGS. 23-25, the connector element defines a middle radially-spoke spoke wall 183, 193, 203 extending radially about the hub shafts 182, 192, 202 and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adjacent recess 150. FIG. Include. The outer walls 184, 194, 204, on the other hand, extend in contact with the respective hub cylinders 185, 195, 205.

제26도 내지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넥터요소(210,220,230)는, 허브축(221,222,23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교차하는 축을 따라 각각 배열되는 5, 6 및 7개의 소켓형성 리세스(15)를 각각 구비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리세스축(211,221,231)은 제23도 내지 제25도의 코넥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45도의 각도로 떨어져 배치된다. 제26도 내지 제28도에 도시한 각각의 코넥터요소에 있어서, 외부벽 섹션(214,224,234)은 허브실린더(215,225,235)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미적이고 또한 기능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소켓형성 리세스의 연속하는 벽과 연결되는 코넥터요소(210)의 벽(214)은 코넥터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넓고 편평한 표면 및/또는 구조의 외부 가장자리를 한정하기 위한 편평한 표면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26-28, the connector elements 210, 220, 230 are five, six and seven socket-forming recesses 15 arranged along an axis extending radially and intersecting from the hub axes 221, 222, 232, respectively. It is formed to have each. The plurality of recess shafts 211, 221, 231 are disposed at an angle of 45 degrees as in the case of the connectors of FIGS. 23 to 25. In each of the connector elements shown in FIGS. 26-28, the outer wall sections 214, 224, 234 ar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hub cylinders 215, 225, 235 to achieve aesthetic and functional purposes. For example, the wall 214 of the connector element 210,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inuous wall of the socketing recess, provides a wide and flat surface for supporting the connector element and / or a flat surface for defining the outer edge of the structure. .

제29도의 코넥터요소(240)는 사실상 제1도에 도시한 구성을 취하는 바, 이 경우에 있어서는 공통치수의 일련의 코넥터요소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허브축(242)에서 리세스벽의 면까지의 거리 d는 코넥터요소의 다른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정하다.The connector element 240 of FIG. 29 takes in fact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in which case it is formed as part of a series of connector elements of common dimensions. Here, the distance d from the hub axis 242 to the surface of the recess wall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other types of connector elements.

제30도 및 제32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한 세트내의 여러가지 크기의 지주요소가 앞서 언급된 코넥터요소와 함께 조립되어 어셈블리의 일련의 직각삼각형 유니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사전설정된 길이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여러가지 길이의 지주요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0도의 여러가지 구성예에서, 일련의 지주요소(140a-140f)는 그 길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 길이는, 주어진 크기의 두 지주요소가 코넥터요소와 결합하여 직각삼각형의 두 변을 형성할 때, 그 다음으로 길이가 긴 지주는 그 직각삼각형의 빗변을 형성할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지도록 증가한다. 예를 들어, 제32도에서 3절 직각 코넥터요소(190)는 크기가 작은 두 지주요소(140a)와 결합하여 직각삼각형의 변을 형성한다. 도시한 예에서, 수직방위 지주(140a)는 4절 코넥터요소(200)와 결합하고, 수평방위 지주요소(140a)는 5절 코넥터요소(210)와 결합한다. 지주요소(140a)보다 그다음으로 길이가 긴 지주요소(140b)는 코넥터요소(200,210)와 결합하여 작은 직각삼각형의 빗변을 형성한다.In Figures 30 and 32,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et length increase such that the strut elements of various sizes in a set can be assembled with the connector elements mentioned above to form a series of right triangle units of the assembly. It is desirable to have strut elements of various lengths that gradually increase with time. In the various configurations of FIG. 30, the series of strut elements 140a-140f is shown to gradually increase in length. The length is increased so that when two strut elements of a given size combine with the connector element to form two sides of the right triangle, the next long strut is made long enough to form the hypotenuse of the right triangle. . For example, in FIG. 32, the three right angle connector element 190 is combined with two small strut elements 140a to form sides of a right triang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vertical orientation strut 140a engages with the four segment connector element 200 and the horizontal orientation strut element 140a engages with the five segment connector element 210. The strut element 140b longer in length than the strut element 140a is combined with the connector elements 200 and 210 to form a hypotenuse of a small right triangle.

제32도의 예에 있어서, 도면부호250으로 표시하였고 제일먼저 서술한 바 있는 직각삼각형 구조요소의 빗변을 형성하는 요소(140b)는 크기가 가장 큰 직각삼각형 구조요소(260)의 일 변을 형성한다. 여기서, 코넥터요소(200)는 지주요소(140b)와 동일한 길이의 제2의 지주요소(146)와 결합하여 삼각형(260)의 두 변을 형성한다. 제2의 4절 코넥터요소(200)는 상부 지주요소(146)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길이증가에 있어서 제3요소인 지주요소는 상부 코넥터(200)와 앞서 언급한 코넥터(210)와 결합하여 삼각형 구조요소(260)의 빗변을 구성한다.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지주요소(140c)는 차례로 큰 직각삼각형 구조유니트(270)의 변을 구성하며, 그 빗변은 그 다음으로 크기가 큰 지주요소(140d)로 구성된다. 점진적으로 크기가 증가하는 직각삼각형 구조유니트는 세트로 제공되는 최대길이의 지주요소의 한계내에서 조립될 수도 있다.In the example of FIG. 32, the element 140b forming the hypotenuse of the rectangular triangle structural element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250 and described first forms one side of the rectangular triangle structural element 260 having the largest size. . Here, the connector element 200 is coupled to the second strut element 146 of the same length as the strut element 140b to form two sides of the triangle 260. The second four-section connector element 20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strut element 146, and the third element of the strut element in length increase is combined with the upper connector 200 and the connector 210 mentioned above. Configure the hypotenuse of the triangular structural element 260. As shown in FIG. 32, the pair of strut elements 140c in turn constitute the sides of the large right triangle structural unit 270, and the hypotenuse is composed of the next largest strut element 140d. Gradually increasing right-angle triangular structural units may be assembled within the limits of the maximum length of strut elements provided in sets.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지주요소의 길이증가는 사전설정된 공식에 따른다. 따라서, n가지 다른 길이의 시스템에서, 각각의 지주길이는 다음의 공식에 따라 결정된다.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increase of the strut element is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formula. Therefore, in n different length systems, each strut lengt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여기서, Lx는 1에서 n까지의 일련의 지주중에서 x번째의 지주의 길이이고, Dmin은 일련의 지주요소중 가장 짧은 지주요소에 의해 결합되는 두 코넥터요소의 허브축간의 간격이며, d는 허브축에서 소켓형성 섹션의 단부벽까지의 거리이다.Where L x is the length of the xth strut of the series of struts from 1 to n, and D min is the spacing between the hub axes of the two connector elements joined by the shortest strut element of the strut elements. The distance from the hub axis to the end wall of the socketing section.

하나의 삼각형 유니트의 빗변이 두번째로 큰 직각삼각형의 변을 구성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직각삼각형 유니트의 구조를 조립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완구시스템의 경우, 코넥터요소내에 지주요소를 찰칵하고 폭방향으로 끼워맞춤되는 코넥터요소와 지주요소의 설계를 통해 독특한 장점을 갖게된다. 이것은 코넥터요소와 연결점간의 중심간 거리를 변경시키지 않더라도 각 부분들이 조립되거나 구조에서 분해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복잡하고 견고하고 다차원의 구조를 매우 용이하게 설계하고 조립할 수가 있다.It is known to assemble the structure of a right triangle unit, includ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ypotenuse of one triangle unit constitutes the side of the second largest right triangle. However, the to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nique advantage through the design of the connector element and the strut element that fits the strut element in the connector element and fits in the width direction. This allows the parts to be assembled or disassembled in the structure without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onnector element and the connection poi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sign and assemble a complex, robust and multidimensional structure very easily.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지주요소(140a-140f)와 소켓형성 리세스가 180도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코넥터요소간에는 우수한 기하학적 관계가 또한 존재한다. 이는 특히 동축적으로 정렬하고 대향하여 마주보는 리세스(150)를 갖춘 2절 코넥터요소인 코넥터요소(170)(제22도)를 포함한다. 이 코넥터요소는 접속코넥터로서 작용하여, 두 짧은 지주요소를 결합시킴으로써 길이가 긴 지주어셈블리를 형성한다. (접속코넥터로서 언급되는 것이 편리할 수도 있는) 코넥터요소(170)중의 하나가 주어진 크기의 두지주와 결합할 때, 접속코넥터에 의해 연결된 지주요소보다 더 큰 크기의 지주의 길이와 동일한 지주어셈블리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가장 짧은 두 지주요소(140a)가 접속됨으로써, 지주(140c)와 길이가 동일한 지주어셈블리를 형성한다. 그 다음으로 긴 길이의 두 지주요소(140b)가 접속되어 지주(140d)와 길이가 동일한 지주어셈블리를 형성한다. 또다른 대응하는 어셈블리가 제30도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제30도에 예시한 표준의 점진적인 지주길이와는 다른 길이로 된 지주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여러가지 다른 길이의 지주요소를 접속코넥터(170)내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0, there is also a good geo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t elements 140a-140f, which gradually increase in length, and the connector element where the socket forming recesses are spaced apart at 180 degree intervals. This includes, in particular, connector element 170 (FIG. 22), which is a two-section connector element with a coaxially aligned and opposed recess 150. This connector element acts as a connecting connector to form a long length post assembly by joining two short strut elements. When one of the connector elements 170 (which may be conveniently referred to as a connection connector) engages a two column of a given size, a support assemb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strut of a size larger than the support element connected by the connection connector is present. Is formed. Thus, as shown in FIG. 30, the two shortest strut elements 140a are connected to form a strut assembly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strut 140c. Next, the two long pillar elements 140b are connected to form a pillar assembly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pillar 140d. Another corresponding assembly is shown in FIG. 30. Of course, different lengths of strut elements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connection connector 170 to form strut assemblies of different lengths than the gradual strut lengths of the standard illustrated in FIG.

구성과는 상관없이, 모든 코넥터요소는 허브축에서 소켓형성 리세스의 단부표면까지의 공통간격 d를 채용하기 때문에, 제30도에 예시한 관계식에는 지주요소가 동축적인 방위로 코넥터에 조립되는 상황이 나타나게 된다.Regardless of the configuration, all connector elements employ a common spacing d from the hub axis to the end surface of the socket-forming recess, so the relationship shown in FIG. 30 shows that the strut element is assembled to the connector in a coaxial orientation. Will appear.

제33도 및 제34도에 도시한 어셈블리는 제30도에 도시한 요소(140c) 따위의 사전설정된 일정한 길이의 크기로 된 다수의 지주요소와 결합하는 다수의 단일 리세스 코넥터요소(160)(제21도)로 구성된다. 제1의 다수의(예시된 것은 3개이다) 단일 유니트 코넥터요소(160)는 코넥터요소의 폭만큼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며, 제34도에서 도면부호28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지주요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주요소(280)는 자유롭게 수용될 수 있는 허브개구부(281)를 관통한다. 일치시키기 위해, 도면부호282는 제1그룹의 코넥터요소에 적용된다. 코넥터요소(282)를 제외하고, 이와 유사한 요소에는 도면부호283을 부여한다. 코넥터요소(283)는 지주요소(280)에 찰칵하고 끼워맞춤되며, 코넥터요소의 리브부분(130,131)은 지주요소의 그루브(144)내에 확실하게 수용됨으로써 지주요소를 단단히 고정한다. 따라서, 개개의 코넥터요소(282)가 지주요소(280)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한, 또다른 코넥터요소(283)는 그에 단단히 고착됨으로써 회전 및 활주운동이 불가능해진다. 연속하는 그러한 어셈블리는 형태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유한길이가 계속되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벨트형 구조를 제공한다.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요소의 말단은 벨트형 어셈블리의 각각의 가장자리에서 약간 돌기한다.The assembly shown in FIGS. 33 and 34 includes a plurality of single recess connector elements 160 that engage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length elements of predetermined length, such as the element 140c shown in FIG. FIG. 21). A first plurality of (three illustrated) single unit connector elements 160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intervals of the width of the connector element,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strut element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80 in FIG. do. The strut element 280 passes through a hub opening 281 which can be freely received. To coincide, reference numeral 282 applies to the connector elements of the first group. Except for the connector element 282,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reference 283. The connector element 283 snaps into and fits into the strut element 280, and the rib portions 130 and 131 of the connector element are securely received in the groove 144 of the strut element to securely hold the strut element. Thus, as long as the individual connector element 282 is free to move relative to the strut element 280, another connector element 283 is securely secured thereto, making rotation and sliding motion impossible. Such continuous assemblies provide a connecting belt-like structure that can be continuous in shape, continue in finite length, and can be of any suitable width as desired. As shown in FIG. 33, the ends of the strut elements project slightly at each edge of the belt-like assembly.

제33도 및 제34도에 도시한 구조는 매우 다양하게 사용된다. 그 가운데에는 불도저, 크레인, 탱크 등등의 트랙차량용 트랙을 형성하는 것도 있다. 패널형상 구조가 조립되어, 완구구조에서 예를들어 플로어 표면 따위의 벽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폭이 좁은 어셈블리는 예를들어 유연한 케이블형 요소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The structures shown in FIGS. 33 and 34 are used in various ways. Some of them form tracks for track vehicles such as bulldozers, cranes, tanks, and the like. Panel-like structures may be assembled to perform walls or functions, such as floor surfaces, in a toy structure, for example. The narrow assembly may for example be used as a flexible cabled element.

제35도 내지 제41도에는 유사한 특징을 갖는 또다른 코넥터요소와 조립될 수 있도록 배열되어 다수의 평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주요소를 결합하는 수단을 갖는 코넥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코넥터요소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35-41 show a particularly preferred form of connector element which provides a connector assembly having means for engaging a plurality of planarly extending strut elements arranged to be assembled with another connector element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Is shown.

제35도에 예시한 코넥터요소(310)에도 45도의 각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4개의 리세스위치(150)가 형성된다. 공간리세스(311)는 각각의 요소의 리세스부분(150a)의 하나에 바로 대향하여 위치한다. 리세스(311)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측벽(312,313)과 바닥벽(314)에 의해 한정된다. 측벽(312,313)은 코넥터요소의 표준두께와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배열되며, 코넥터요소(310)의 기하학적 중심을 통해 연장되고 반대방향으로 방위가 정해지는 지주수용 리세스(150a)의 길이방향축을 포함하는 가상평면에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단부벽(314)의 노출표면은 앞서 언급한 평면에 직각이고 도면부호315인 코넥터의 주요축을 관통하는 평면에 놓인다.In the connector element 310 illustrated in FIG. 35, four reset switches 150 are formed at intervals of 45 degrees. The spatial recess 311 is located directly opposite one of the recess portions 150a of each element. The recess 311 is defined by sidewalls 312 and 313 and bottom wall 314 that are spaced apart. The side walls 312 and 313 are spaced apart by a distance equal to the standard thickness of the connector element and include a longitudinal axis of the post-receiving recess 150a which extends through the geometric center of the connector element 310 and is orien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arranged symmetrically in the virtual plane. The exposed surface of the end wall 314 lie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forementioned plane and penetrating the major axis of the connector 315.

코넥터요소(130)는 제35도 내지 제37도에 도시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될 수 있도록 배열되며, 각각의 공간 리세스부분(311)은 서로 마주보고 각각의 코넥터의 주요면은 직각으로 방위를 갖는다. 각각의 코넥터(310)는 리세스(311)의 단부벽(314)이 확실히 면접촉할 때까지 함께 압착됨으로써 각각의 요소의 각각의 중앙축(315)은 사실상 공통평면내에 놓이게 된다.The connector elements 130 are arranged so that they can be assembled together in the manner shown in FIGS. 35 to 37, with each of the space recess portions 311 facing each other and the major surface of each connector being oriented at right angles. Have Each connector 310 is squeezed together until the end wall 314 of the recess 311 is surely in surface contact such that each central axis 315 of each element lies in substantially common plane.

각각의 리세스벽(312,313)에는 스포크벽(319)의 대향측부에서 돌기된 리브(317)를 톱니바퀴잠금상태로 수용하도록 배열된 가로방향그루브(3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두 요소가 함께 조립될 때, 그 요소들은 고의적으로 분리시키지않는 한 비교적 견고히 잠겨진다.Each recess wall 312 and 313 is preferably formed with a lateral groove 316 arranged to receive the rib 317 protruding at the opposite side of the spoke wall 319 in a cog-locked state. Thus, when the two elements are assembled together, they are relatively firmly locked unless they are intentionally separated.

제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312,313)이 먼저 돌기리브(317)와 결합할 때, 벽은 외측으로 변위된다. 작은 갭(318)이 제공됨으로써 대향하는 지주수용리세스(150a)의 그리핑아암은 서로를 향해 쉽게 변위될 수 있지만 벽(312,313)은 리브(317)에 의해 외측으로 변위된다. 부분이 함께 압착되어 그 최종위치에 놓임으로써 단부벽(314)이 서로에 대해 자리를 잡게 되면, 각각의 세트로 된 리브(317)는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세트로 된 그루브(316)내에 자리잡게 된다.As shown in FIG. 36, when the walls 312 and 313 first engage the protruding ribs 317, the walls are displaced outwardly. The small gap 318 is provided so that the gripping arms of the opposing shore receiving recesses 150a can be easily displaced toward each other while the walls 312 and 313 are displaced outwardly by the rib 317. When the end walls 314 are sea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by the parts being squeezed together and placed in their final position, each set of ribs 317 is grooved in each set, as shown in FIG. It is located in 316.

제35도 내지 제39도의 조립된 코넥터요소는 직각으로 배치된 각각의 두 평면방향으로 지주요소를 지지한다. 따라서, 코넥터의 배열은 제38도 및 제3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의 외부 모서리를 조립하는 데 특히 적절하다.The assembled connector elements of FIGS. 35-39 support strut elements in each of the two planar directions arranged at right angles. Thus,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ors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assembling the outer edges of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S. 38 and 39.

제40도의 조립도에서, 제35도 내지 제39도에 도시한 코넥터요소(310)는 제2의 7절 코넥터(41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코넥터요소(410)는 지주수용 리세스(150a)에 대향하여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공간 리세스(411)를 포함한다.In the assembly view of FIG. 40, the connector element 310 shown in FIGS. 35-39 is arranged to engage with the second seven-section connector 410. The connector element 410 includes a space recess 411 disposed coaxially opposite the holding receiving recess 150a.

다중평면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코넥터요소(310,410)는 제35도 내지 제39도를 통해서 설명한 방식에 의해 조립된다.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어셈블리는 제4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 보아서 T형의 구성을 취하며, 각각의 세 평면방향으로 지주요소를 설치한다. 제40도 및 제41도의 T형 어셈블리에서, 상부 소켓위치(150a)는 관련된 코넥터요소의 존재로 인해 지주요소의 정상적인 폭방향으로의 찰칵하고 끼워맞춤되는 조립에는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리세스 단부벽내에 갭(318)을 제공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초에는 각도를 두고 지주를 삽입하고 비틀림운동으로 그것을 설치할 수 있다. 갭(318)이 제공됨으로써 지주의 비틀림조립을 촉진하기 위해 그리핑아암이 더 쉽게 분리될 수 있다.The connector elements 310 and 410 forming the multiplane assembly are assembled in the mann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5-39. The resulting assembly has a T-shaped configuration as seen from above as shown in FIG. 41, and installs strut elements in each of the three planar directions. In the T-shaped assemblies of FIGS. 40 and 41, the upper socket position 150a is not allowed to snap and fit in the normal width direction of the strut element due to the presence of the associated connector element. However, by providing a gap 318 in the recess end wall, a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o initially insert the strut at an angle and install it in a torsional motion. The provision of the gap 318 allows the gripping arm to be more easily separated to facilitate torsional assembly of the strut.

그러나, 응용분야에 따라, 일정하게 회전시키고 및/또는 지주요소를 따라 축방향으로 코넥터요소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중앙허브 개구부를 관통하는 지주로 코넥터요소를 함께 잠그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스템은 제42도 내지 제4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요소를 마찰 및 비회전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구동요소를 포함한다. 예시된 예에서, 구동요소는 적절한 플라스틱재료로 사출성형되고 앞서 서술한 형태의 소켓형성리세스(150)와 공동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동블록(510)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특히 그리핑아암(16)간의 폭좁은 목부분영역을 한정하는 대향돌기리브(130,131)를 포함한다. 리세스(150)의 폐쇄단부에 인접하여, 블록(510)은 단부(512)로부터 폭방향으로 돌기하는 구동러그(511)를 일반적으로 리브(130,131)와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it may be desirable to lock the connector elements together with a strut through the central hub opening by constantly rotating and / 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element axially along the strut element. To achieve this goal, the system includes a drive element for frictionally and non-rotatingly securing the strut element as shown in FIGS. 42-44.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drive element is composed of a drive block 510 which is injection molded from a suitable plastic material and which preferably cooperates with the socket forming recess 150 of the type previously described. This includes in particular opposing protrusion ribs 130 and 131 which define a narrow neck region between the gripping arms 16. Adjacent to the closed end of the recess 150, the block 5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rive lug 511 project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end 512, generally in parallel with the ribs (130, 131).

구동블록(510)의 전형적인 활용예를 살펴보면, 8개의 지주수용절을 구비한 완전한 눈송이구성으로 된 코넥터요소가 지주(513)위에 설치된다. 구동블록(510)은 지주(513)의 몸체에 적용됨으로써 각각의 리브(130,131)가 지주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그루브(144)내에 수용되고 잠금상태로 결합한다. 따라서, 블록(510)은 지주에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회전하지 못하게 되며, 마찰결합하게 됨으로써 지주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그러나, 적절한 힘이 가해지면 지주를 따라 미끄럼가능하다).Looking at a typical application of the drive block 510, a connector element of a complete snowflake configuration with eight struts is installed on the strut 513. The drive block 510 is applied to the body of the strut 513 so that each rib 130, 131 is received in the opposing longitudinal groove 144 of the strut and engages in a locked state. Thus, block 510 is firmly secured to the strut, preventing it from rotating, and frictionally engaging prevents it from moving longitudinally along the strut (but can slide along the strut if proper force is applied).

구동러그(511)의 위치는, 코넥터요소(240)와 구동블록(510)이 상호 직접 인접할 때, 구동러그(511)가 인접한 한쌍의 방사상 배치 스포크형 벽(123)사이의 사다리꼴 공간내에 위치하고 사실상 그공간을 차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지주(513)와 코넥터요소(240)가 잠금상태로 되어 상대회전을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요소중 하나에 인가되는 회전구동이 다른 쪽의 요소에 제공된다. 구동블록(510)의 위치를 코넥터요소의 대향측부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코넥터요소는 지주위에서 축방향으로 제위치에 고정된다.The position of the drive lug 511 is located in the trapezoidal space between the pair of radially-positioned spoke walls 123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connector element 240 and the drive block 510 are directly adjacent to each other. In fact, it is set to take up that space. Thus, the support 513 and the connector element 240 are locked to prevent relative rotation, so that a rotational drive applied to one of the elements is provided to the other element. By positioning the drive block 5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or element, the connector element is fixed in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strut.

많은 동력식 완구어셈블리에서, 구동풀리 및/또는 휠은 유용하고 바람직한 요소이다. 조합된 풀리/휠 요소(610)가 제45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지주요소위에 근접수용되는 외부림(611)과 중앙허브개구부(612)가 형성된 사출성형품이다. 하나 또는 다수의 구동리세스(613)가 중앙개구부(612)에서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것들은 구동블록(제42도)의 구동러그(5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제4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소(610)에는 적절한 구동벨트(도시안됨)와 연합할 때 요소를 풀리로서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외부환상리세스(614)가 제공된다. 요소(610)가 풀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면, 경우에 따라 구동풀리 또는 피동풀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블록(510)을 사용하여 지주요소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다.In many powered toy assemblies, drive pulleys and / or wheels are useful and desirable elements. The combined pulley / wheel element 610 is shown in FIG. 45. This is an injection molded article having an outer rim 611 and a central hub opening 612 that are received on a strut element. One or more drive recesses 613 are radially disposed outwardly from the central opening 612. These are arranged to accommodate the drive lug 511 of the drive block (Fig. 42). As shown in FIG. 47, the element 610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annular recess 614 which, when associated with a suitable drive belt (not shown), allows the element to function as a pulley. When element 610 functions as a pulley, it is optionally operably connected to the strut element using drive block 510 which functions as a driving pulley or driven pulley.

요소(610)는 제46도의 타이어요소가 적용됨으로써 덮어져서 휠을 형성한다. 도면부호620으로 표시된 타이어요소는 네오프렌 따위의 탄성체로 형성된다. 타이어의 내측부분(621)은 환상리세스(614)내에 밀접하게 수용될 수 있는 폭으로 이루어진다. 타이어의 외측부분(622)은 내측부분(621)보다 폭이 더 넓고 휠요소(610)의 외측림부분(611)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좋다. 쇼울더(623)는 타이어의 각각의 측부에 형성된다. 이것들은 휠요소(610)의 외부플랜지(624)와 결합하여 타이어를 지지림상에 동축적으로 위치시킨다.Element 610 is covered by applying the tire element of FIG. 46 to form a wheel. The tire element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620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such as neoprene. The inner portion 621 of the tire is of a width that can be closely received within the annular recess 614. The outer portion 622 of the tire is wider than the inner portion 621 and preferably has a width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outer rim portion 611 of the wheel element 610. The shoulder 623 is formed at each side of the tire. These are combined with the outer flange 624 of the wheel element 610 to position the tire coaxially on the support rim.

휠로서 사용될 때, 요소(610)는 필요에 따라 구동되거나 구동되지 않을 수도 있다. 구동이 된다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동블록(510)이 쓰여진다.When used as a wheel, element 610 may or may not be driven as needed. If drive, drive block 510 is written as mentioned above.

본 발명의 조립식 완구시스템은 제한되지 않는 여러가지 고정 및 동력식 구조를 조립하기 위한 매우 단순하고 다용도의 구조매체를 제공한다. 시스템은 매우 다양한 표준조립요소의 경제적인 대량 사출성형기법에 의해 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신속하고 간단히 구조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The prefabricated to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y simple and versatile structural medium for assembling various non-limiting fixed and powered structures. The system can be used to produce products by economical mass injection molding techniques of a wide variety of standard assembly elements, allowing the assembly of structures relatively quickly and simply.

본 발명의 기본원리내에서, 무한 트랙 또는 벨트, 구동회전시스템 등의 동력식구조의 단순하고 효율적인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들은 표준지주요소 및 표준코넥터요소를 일관되게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코넥터요소는 그 수가 여러가지임에도 불구하고 표준 소켓형성 리세스를 사용하며, 그러한 리세스는 코넥터요소의 주요축으로부터 표준화된 거리에 위치한다. 이와 유사하게, 지주요소는 여러가지 길이의 몸체와 연결되는 표준단부구성을 취한다. 또한, 두 지주요소를 단부 대 단부 결합시키는 접속코넥터를 제공함으로써 표준화 된 지주길이의 비교적 제한된 수에서 이용가능한 구조의 조합은 배가된다.Within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and efficient form of a motorized structure such as an endless track or belt, a drive rotary system, and the like can be constructed. These are achieved by the consistent use of standard holding elements and standard connector elements. That is, the connector elements use standard socket-forming recesses despite their number, and such recesses are located at a standardized distance from the major axis of the connector element. Similarly, the strut element takes a standard end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o bodies of various lengths.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structures available in a relatively limited number of standardized strut lengths is doubled by providing a connection connector that joins the two strut elements end to end.

본 발명의 조립식 완구의 요소는 적절한 플라스틱재료의 성분을 사출성형함으로써 쉽게 제작될 수 있다. 목적에 따라 그러한 플라스틱재료는 여러가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많은 조립 및 분해동작에 있어서 그리핑아암의 적절한 기능을 수행케하는 적절한 정도의 강도 및 탄성을 갖는 재료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에 맞는 재료로는 미합중국 뉴저지 카삼 훼스트 셀라니스에서 제조한 아세탈 코폴리머인 Celcon M270이 있다.Elements of the prefabricated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 component of a suitable plastic material. Depending on the purpose, such plastic material may be used in various ways, and if necessary, a material having an appropriate degree of strength and elasticity for performing the proper function of the gripping arm in a number of assembly and disassembly operations may be selected. A suitable material for this purpose is Celcon M270, an acetal copolymer manufactured by Cassam Feest Celanis, NJ.

폭방향으로 찰칵하고 끼워맞추는 작용에 의해 허브형상 코넥터요소를 구조요소와 결합시킴으로써, 구성요소사이의 중심간 거리가 요소 결합시 변경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크고 복잡한 구조를 더욱 실제적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성분의 조립시 하나를 다른 하나에 축방향으로 삽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 중심간 거리는 일시적으로 확대되며, 이는 기껏해야 고려될 정도이고 아무리 나빠도 그러한 형태의 구조를 조립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뿐이다.By combining the hub-shaped connector element with the structural element by snapping and fitting in the width direction, a large and complex structure can be assembled more practically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between the components does not need to be changed during the element coupling. In contrast, when the assembly of components requires the insertion of one into the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is temporarily enlarged, which is at best considered and, at worst, makes it impossible to assemble such a structure. I only do it.

본 발명의 배열은 허브형상 코넥터요소와 구조요소간의 두가지 독특한 고정작용을 제공하는 바, 그리핑아암의 외부의 편향가능한 부분은 폭방향 봉쇄를 제공하는 반면, 그리핑아암의 내측극단부분은 폭방향조립시 구조요소의 단부플랜지를 자유롭게 수용하지만 구조요소의 축방향운동을 막는 정의 억제를 제공하는 비교적 편향되지 않는 플랜지수용공동을 형성한다.The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wo unique fixing actions between the hub-shaped connector element and the structural element, wherein the externally deflectable portion of the gripping arm provides a lateral containment, while the inner extreme portion of the gripping arm is in the width direction. It forms a relatively unbiased flange accommodating cavity that freely accepts the end flanges of the structural elements during assembly but provides positive restraint that prevents the axial movement of the structural elements.

Claims (36)

그 단부에 의해서 지주형상 구조요소를 수용하고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개방된 소켓을 각각 구비한 다수의 코넥터요소와 상기 코넥터요소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지주형상 구조요소로 구성되어 완전한 구조를 형성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에 있어서, (1) 상기 각각의 소켓은 내측단부벽과 상기 그리핑아암간에 연장되는 축을 한정하는 한쌍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그리핑아암을 구비하며, (2) 일체로 형성되는 잠금돌기부수단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상기 그리핑아암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3) 상기 잠금돌기부수단은 상기 내측단부벽에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단부벽과 함께 제1잠금식을 한정하며, (4) 상기 그리핑아암에는 상기 잠금돌기부수단에서 상기 소켓의 개방단부쪽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그루브가 형성되고, (5) 상기 오목한 그루브는 상기 축과 동축적으로 배열되고, 대향하는 쌍의 상기 그루브는 제2잠금실을 한정하며, (6) 상기 구조요소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부분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엔벌로프내에 한정되는 형상을 취하고, (7) 상기 단부부분은 상기 구조요소의 축을 한정하고, 상기 제1잠금실내에서 폭방향으로 수용가능하고 상기 구조요소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잠금상태로 되는 잠금플랜지를 말단에서 구비하며, (8) 상기 단부부분은 상기 잠금플랜지에 인접하고 그를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원주그루브를 또한 구비하고, (9) 상기 환상그루브는 상기 구조요소가 폭방향으로 상기 단부가 개방된 소켓내에 삽입될 때, 상기 잠금돌기부수단을 수용하며, (10) 상기 오목한 그루브는 상기 구조요소의 원통형 엔벌로프의 부분을 밀접하게 수용할 수 있는 형상과 위치를 취하고, (11) 상기 그리핑아암은 탄성적으로 휠 수 있어서 상기 구조요소가 상기 소켓내로 폭방향으로 쉽게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A complete structu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nnector elements each having an open socket at least one end for receiving and fixing a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by an end thereof, and a plurality of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s removab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element. In the prefabricated toy system for forming a (1), each socket has a gripping arm disposed at a pair of intervals defining an axis extending between the inner end wall and the gripping arm, (2) integrally At least one locking projection means being formed extending inwardly from the two gripping arms, and (3) the locking projection means being disposed away from the inner end wall and having a first locking with the end wall. (4) the gripping arm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extending from the locking projection part toward the open end of the socket. (5) the concave grooves are arranged coaxially with the axis, the opposing pair of grooves defining a second lock chamber, and (6) an end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structural elements is generally cylindrical. (7) the end portion defines an axis of the structural element and is locked in a widthwise direction within the first lock chamber and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ructural element. (8) the end portion further comprises a circumferential groove adjacent to and partially defining the locking flange, and (9) the annular groove has the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nnular groove. When inserted into an open socket, the locking projection means receives (10) the concave grooves to closely receive a portion of the cylindrical envelope of the structural element. And (11) the gripping arm can flex elastically such that the structural element is easily inserted into the socket in the width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1) 상기 구조요소는 그 말단부영역에서 그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2) 쌍으로 된 그리핑아암의 간격은 상기 원형단면의 직경보다 작으며, (3) 상기 그리핑아암의 오목한 리세스의 윤곽은 일반적으로 상기 구조요소의 원형윤곽에 대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2. The structur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uctural element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t its distal region, and (2)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gripping arms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16. A prefabricated toy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our of the concave recess of the ripping arm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circular contour of the structural element. 제2항에 있어서, (1) 각각의 소켓형성 섹션의 내측단부벽은 그 내측단부에서 각쌍의 그리핑아암간에 연장되고 상기 그리핑아암과 함께 구조요소의 단부부분을 폭방향으로 수용하는 U형상의 소켓을 한정하고, (2) 그 길이방향 측에 따른 그리고 상기 그리핑아암을 편이시키는 평면에서의 상기 소켓의 단면구성은 상기 구조요소중 하나의 단부부분의 단면구성과 거의 일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3. The U-shaped profi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1) the inner end wall of each socket-forming section extends between each pair of gripping arms at the inner end thereof and U-shaped together with the gripping arm to receive the end portion of the structural element in the width direction. And (2)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ocket along its longitudinal side and in the plane shifting the gripping arm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one end portion of the structural element. Prefabricated to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1) 상기 잠금돌기부수단은 아치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반적으로 그리핑아암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다른쪽 가장자리로 연장되며, (2) 상기 구조요소내의 환상그루브는 상기 잠금돌기부를 밀접하게 수용하는 단면구성을 취함으로써 상기 구조요소가 상기 구조요소의 축방향으로 상기 코넥터요소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2. The locking proje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1) the locking projection means has an arcuate convex shape and generally extends from one edge of the gripping arm to the other, and (2) the annular groove in the structural element is the locking projection. Prefabricated to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al element is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elemen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ructural element by taking a close configuration. 제1항에 있어서, (1) 상기 구조요소는 적어도 그 길이의 일부에 있어서 원형단면구성을 취하고, (2) 상기 구조요소는 적어도 그 길이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원형단면의 엔벌로프내에서 "X"단면형태를 취하며, (3) 상기 "X"단면의 부분은 한쌍의 그리핑아암의 공간내에 수용가능한 반면 상기 구조요소는 상기 그리핑아암에 의해 한정되는 축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4) 상기 구조요소는 상기 그리핑아암위에서 한쌍의 대향하는 잠금돌기부간에 폭방향으로 끼워맞춤되고 상기 돌기부에 의해 잠금상태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2. The structural element of claim 1, wherein (1) the structural element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at least in part of its length, and (2) the structural element is at least "X" in an envelope of said circular cross section at least in part of its length. &Quot; cross section, (3) the portion of the " X " cross section is receivable in the space of the pair of gripping arms while the structural elements are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axis defined by the gripping arms, (4 And said structural element is fitted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a pair of opposing locking projections on said gripping arm and secured in a locked state by said projections. 제1항에 있어서, (1) 상기 그리핑아암위의 대향하는 잠금돌기부는 그에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그리핑아암간의 공간내로 연장되며, (2) 상기 지주형상 구조요소는 상기 환상그루브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단부플랜지와 상기 그루브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편평한 단부면을 구비하고, (3) 상기 환상그루브, 상기 잠금돌기부 및 상기 단부벽과 상기 편평한 단부면은 기하학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구조요소가 상기 리세스내에 조립될 때, 상기 구조요소의 편평한 단부면은 축방향으로 확고히 그리고 탄성적으로 압착되어 상기 단부벽과 면 대 면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2. A suppor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1) an opposing locking projection on the gripping arm extends laterally therein and into the space between the gripping arms, and (2)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is defined by the annular groove. (3) the annular groove, 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 end wall and the flat end surface form a geometric relationship, having a partially defined end flange and a flat end surface spaced from the groove. And when the element is assembled in the recess, the flat end face of the structural element is firmly and elastically squeezed axially into face-to-face contact with the end wall. 제1항에 있어서, (1) 제1코넥터요소로 구성되는 상기 코넥터요소는 상기 코넥터요소의 중앙축을 한정하는 중앙코어를 구비하고, (2) 제1코넥터요소로 구성되는 상기 코넥터요소는 구조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코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소켓을 구비하며, (3) 상기 코어 및 소켓은 편평한 형태를 취하고 사전설정된 두께를 갖는 상기 제1코넥터요소를 형성하고, (4) 상기 제1코넥터요소로 구성되는 코넥터요소는 상기 제1코넥터요소내에 설치되며 상기 중앙축으로 연장되고 코넥터요소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갖는 측부가 개방된 리세스를 구비하며, (5) 상기 측부가 개방된 리세스는 제2코넥터요소를 수용하여 두 평면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소켓을 갖춘 완전한 코넥터요소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2. A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1) said connector element comprising a first connector element has a central core defining a central axis of said connector element, and (2) said connector element comprising said first connector element is a structural element. A plurality of sockets arranged radially about the core for receiving a core, wherein (3) the core and the socket form the first connector element having a flat shape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4) the A connector element consisting of a first connector element i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or element and has a recess in which the side is opened extending in the central axis and having a width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connector element, and (5) the side is opened. And a recess for receiving the second connector element to form a complete connector element with a socket disposed radially about two planes. 제7항에 있어서, (1) 상기 제1코넥터는 상기 측부가 개방된 리세스에 대향하는 지주형상 구조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구비함으로써 제1 및 제2코넥터요소가 결합된 어셈블리에서 제2코넥터요소는 제1코넥터요소내의 측부가 개방된 리세스의 위치에서 지주형상 구조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8. The assembly of claim 7, wherein (1) the first connector has a socket for receiving a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opposite the recess in which the side is opened, thereby providing a second in the assembly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 elements are coupled. And the connector element has a socket for receiving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at the position of the recess in which the side in the first connector element is opened. 제7항에 있어서, (1) 상기 측부가 개방된 리세스는 제2코넥터요소를 수용하는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한쌍의 안내벽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안내벽은 제2코넥터요소위의 톱니바퀴수단과 공동작용하여 조립된 한쌍의 제1 및 제2코넥터요소를 결합상태로 유지하는 톱니바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8. A reces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1) the side-opened recess is defined by a pair of guide walls arranged side by side at a distance to receive a second connector element, said guide wall being positioned over the second connector element. And a cogwheel means for holding a pair of first and second connector elements assembled in coordination with the cogwheel means. 제9항에 있어서, (1) 상기 제1코넥터요소는 한쌍의 그리핑아암과 단부벽으로 각각 구성되는 다수의 소켓을 구비하고, (2) 인접하는 소켓의 적어도 하나는 홈이 파여져서 갭을 형성하고, 상기 톱니바퀴수단의 결합이전에 제1 및 제2코넥터요소의 조립시 상기 안내벽을 외측으로 편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1) the first connector element comprises a plurality of sockets each comprised of a pair of gripping arms and end walls, and (2) at least one of the adjacent sockets is grooved to close the gap. And biasing the guide wall outward upon assembly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 elements prior to engagement of the gear means. 제10항에 있어서, (1) 상기 제1코넥터요소는 상기 측부가 개방된 리세스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구조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구비하고, (2)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한 소켓은 상기 홈이 파진 단부벽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1) the first connector element has a socket for receiving a structural element located opposite the recess in which the side is opened, and (2) the last mentioned socket is the groove. Prefabricated to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broken end wall 제11항에 있어서, (1) 상기 소켓은 상기 구조요소의 단부부분을 폭방향으로 찰칵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2)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한 소켓의 그리핑아암은 상기 홈이 파진 단부벽의 부분의 변위에 따라 분리가능하게 되어 폭방향으로 찰칵하고 수용되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조요소를 용이하게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12. The gripping arm of claim 11, wherein (1) the socket is configured to click and receive an end portion of the structural element in a width direction, and (2) the gripping arm of the last mentioned socket A prefabricated to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e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part of the buttress, and the structural elements are easily assembled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at received in the width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1) 상기 측부가 개방된 리세스는 제1형태의 톱니바퀴수단을 구비하고, (2) 상기 측부가 개방된 리세스에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1코넥터요소의 부분에는 조립된 상태에서 한쌍의 코넥터요소를 잠금상태로 결합시키는 상기 제1형태의 톱니바퀴수단과 결합가능한 제2형태의 톱니바퀴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8. The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1) the recess in which the side is opened is provided with a gear means of the first form, and (2) the first connector is located radially opposite to the recess in which the side is open. And a second type of gear means engageable with the first type of gear means for engaging the pair of connector elements in a locked state in an assembled state. 제7항에 있어서, (1) 상기 제1코넥터요소는 한쌍의 그리핑아암과 단부벽으로 각각 구성되는 다수의 소켓을 구비하고, (2) 인접하는 소켓의 단부벽은 인접하고 일체적으로 결합하며, (3) 상기 소켓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측부가 개방된 리세스에 직접 대향하여 배열되고, (4) 상기 소켓의 균형은 상기 측부가 개방된 리세스와 상기 하나의 소켓을 포함하는 평면의 동일측부상에 배열되며, (5) 그에 의해, 상기 제1코넥터요소가 제2코넥터요소와 결합할 때, 상기 제2코넥터요소는 소켓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구비하고 제1코넥터요소의 소켓은 제2코넥터요소의 평면내 및/또는 그 평면의 일측부상에 돌기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8. The connector of claim 7, wherein (1) the first connector element has a plurality of sockets each comprised of a pair of gripping arms and end walls, and (2) end walls of adjacent sockets are adjacent and integrally coupled. (3) at least one of the sockets is arranged directly opposite the recess in which the side is opened, and (4) the balance of the socket is the same in planar direction including the recess in which the side is open and the one socket. Arranged on the side, whereby when the first connector element engages with the second connector element, the second connector element has a plane comprising the axis of the socket and the socket of the first connector element 2. A prefabricated to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projects in the plane of the connector element and / or on one side of the plane. 제14항에 있어서, (1) 제1코넥터요소는 하나의 소켓이 상기 측부가 개방된 리세스에 대향하고 나머지 모든 소켓은 상기 하나의 소켓과 상기 리세스를 포함하는 평면의 일측부상에 놓이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1코넥터요소의 개방된 리세스 및 적어도 하나의 소켓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에 직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1) the first connector element is in a state in which one socket faces a recess in which the side is open and all other sockets are on one side of the plane including the one socket and the recess. And a right angle to the plane that includes the open recess and the at least one socket of the first connector element. 제15항에 있어서, (1) 상기 제2코넥터요소는 제1코넥터요소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2) 그에 의해, 연결된 한쌍의 상기 코넥터요소는 직각으로 된 모서리구조를 한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1) the second connector element is configured identically to the first connector element, and (2) whereby the pair of connected connector elements define a right angled edge structure. Prefabricated toy system. 제15항에 있어서, (1) 상기 제2코넥터요소는 소켓이 180도 보다 큰 어레이내에서 연장되는 상태로 구성되고, (2) 그에 의해 연결된 한쌍의 상기 제1 및 제2코넥터요소가 T형상의 연결구조를 한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1) the second connector element is configured with the socket extending in an array larger than 180 degrees, and (2)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connector elements connected by it are T-shaped. Prefabricated to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사출성형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되고 다른 요소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완전한 구조를 형성하는 지주형상 구조요소와 적어도 일부는 공동부분 및 상기 공통부분으로부터 일반적으로 바깥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다수의 소켓형성 섹션으로 구성된 다수의 코넥터요소로 구성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에 있어서, (1) 상기 각각의 소켓형성 섹션을 상기 공통부분으로부터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사전설정된 소켓축상에 배치되고, (2) 상기 각각의 소켓형성 섹션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캔틸레버설치되고 상기 그 소켓축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한쌍의 그리핑아암으로 구성되며, (3) 상기 그리핑아암에는 상기 소켓축과 정렬하는 지주형상 구조요소를 해제가능하게 그러나 확고히 고정하기 위해 지주요소와 상호 잠금되는 제1의 상호잠금수단과, (4) 상기 소켓형성 섹션내에서 상기 소켓축을 따라 사전설정된 축방향위치에서 상기 지주형상 구조요소를 해제가능하게 그러나 확고히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상호잠금수단에 의해 동시에 작용되는 상기 지주형상 구조요소와 상호잠금되는 제2상호잠금수단이 형성되고, (5) 상기 지주형상 구조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대향하는 단부부분과 상기 단부부분과 일체로 결합되는 중간부분이 형성되고, (6) 상기 대향하는 단부부분에는 상기 코넥터요소의 소켓형성 섹션의 제1 및 제2상호잠금수단과 결합하여 동시 공동작용하는 제1 및 제2상호잠금수단이 제공됨으로써 각각의 제1잠금수단이 선택된 소켓축과 동축적으로 정렬하도록 구조요소를 고정하는 반면, 각각의 제2상호잠금수단은 상기 선택된 소켓축상의 사전설정된 축위치에서 상기 구조요소를 고정하며, (7) 각 쌍의 그리핑아암은 측부가 개방되고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소켓을 그 사이에서 한정하고, (8) 상기 아암은 탄성적으로 분리가능하여, 상기 소켓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주형상 구조요소의 단부부분을 폭방향으로 찰칵하고 수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지주형상 구조요소가 확고히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소켓형성 섹션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A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formed of an injection-molded plastic material and releasably combined with other elements to form a complete structure,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socket-forming sections generally radially outwardly extending from the cavity and the common part. In a prefabricated toy system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or elements configured, (1) each socket-forming section is disposed on a predetermined socket shaft that extends generally radially from the common portion, and (2) each socket-forming The section consists of a pair of gripping arms which are cantilever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and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ocket axis, and (3) the gripping arm releases a strut-like structural element aligned with the socket axis. A first phase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strut element in order to secure it firmly but firmly Locking means and (4) said struts simultaneously acted by said first interlocking means for releasably but firmly securing said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at a predetermined axial position along said socket axis within said socket-forming section; A second mutual locking means interlocked with the shaped structural element, (5) at least a portion of the strut shaped structural element is formed with an opposite end portion and an intermediate portion integrally coupled with the end portion, and (6) The opposite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mutual locking means which engage in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mutual locking means of the socket-forming section of the connector element so that each first locking means is selected. While fixing the structural element to be coaxially aligned with each of the second interlocking means, the structure at a predetermined axial position on the selected socket axis. (7) each pair of gripping arms defines a socket between which the sides are open and axially arranged, and (8) the arms are elastically separable, with respect to the socket axis. Prefabric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s are firmly spaced and fixed relative to the socket-forming section by allowing the end portions of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s to be receiv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a width direction; Toy system. 제18항에 있어서, (1) 상기 제2상호잠금수단은 상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그리핑아암상의 대향하는 리브형 요소와 상기 지주형상 구조요소의 대향 단부부분상의 같은 모양의 그루브수단으로 구성되고, (2) 상기 리브형 요소는 상기 소켓축에 대해 횡으로 방위가 정해짐으로써 한쌍의 그리핑아암사이에서 단부부분을 폭방향으로 수용하는 동안 상기 같은 모양의 그루브수단을 수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1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1) said second interlocking means comprises opposing rib-like elements on the gripping arm disposed at said intervals and groove means of the same shape on opposite end portions of said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s; (2) the rib-shaped element is oriented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socket axis to receive groove means of the same shape while receiving the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gripping arms; Prefabricated toy system. 제19항에 있어서, (1) 상기 소켓형성 섹션은 상기 그리핑아암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브형 요소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단부벽을 포함하며, (2) 상기 지주형상 구조요소는 상기 같은 모양의 그루브수단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단부표면을 구비하고, (3) 상기 리브형 요소와 상기 단부벽간의 간격은, 상기 같은 모양의 그루브수단과 상기 단부표면간의 간격에 비해, 상기 구조요소가 상기 소켓형성 섹션내에 수용될 때, 상기 단부벽과 단부표면이 부드럽게 접촉하게 될 정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1) the socket-forming section includes end walls integrally formed with the gripping arm and spaced apart from the ribbed element, and (2) the strut-like structural element is (3) the spacing between the rib-shaped element and the end wall is equal to the spacing between the groove means and the end surface of the same shape. Prefabricated to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aid end wall and end surface are brought into soft contact when received within said socket-forming section. 제18항에 있어서, (1) 상기 제2상호잠금수단은 상기 소켓형성 섹션 또는 상기 지주형상 구조요소중 한쪽위의 리브형 상호잠금수단과 상기 섹션 또는 요소의 다른쪽 위의 같은 모양의 그루브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1) said second interlocking means comprises rib-like interlocking means on one of said socket-forming section or said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and groove-like groove means on the other side of said section or element. Prefabricated to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21항에 있어서, (1) 상기 소켓형성 섹션은 단부벽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단부를 구비하고, (2) 상기 구조요소는 단부표면을 구비하며, (3) 상기 제2상호잠금수단은 상기 단부표면을 항복가능하게 밀어서 상기 단부벽과 부드럽게 접촉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1) said socket-forming section has a closed end defined by an end wall, (2) said structural element has an end surface, and (3) said second interlocking means comprises: 16. A prefabricated toy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 surface is yieldably pushed to make smooth contact with the end wall. 제18항에 있어서, (1) 상기 코넥터요소의 공통부분은 지주형상 구조요소를 축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횡방향 개구부를 구비하고 허브축을 한정하는 허브형성 섹션을 포함하며, (2) 상기 허브축은 상기 소켓축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사실상 그와 교차하며, (3) 상기 코넥터요소는 단일 허브형성 섹션과 일체로 결합하는 단일 소켓형성 섹션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1) the common portion of the connector element includes a hub forming section defining a hub axis and having a transverse opening of a size and shape capable of axially receiving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2) the hubshaft is arranged at right angles to and substantially intersects the socketshaft, and (3) the connector element is comprised of a single socketing section integrally coupled with a single hubping section. 제18항에 있어서, (1) 상기 코넥터요소는 단일 허브형성 섹션과 일체로 결합하는 한쌍의 소켓형성 섹션으로 구성되고, (2) 상기 소켓형성 섹션은 대향배치되고 공통소켓축을 따라 정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19. The apparatus of claim 18, wherein (1) the connector element comprises a pair of socket forming sections integrally coupled with a single hub forming section, and (2) the socket forming sections are arranged opposite and aligned along a common socket axis. Prefabricated toy system. 제18항에 있어서, (1) 상기 코넥터요소는 다수의 n 소켓형성 섹션으로 구성되고, (2) 각각의 상기 소켓형성 섹션은 이웃하는 소켓축에 대해 약 45도 각도로 배치되는 각각의 소켓을 따라 정렬하고 상기 축은 모두 상기 허브축에서 사실상 서로 교차하며, (3) n은 2와 8사이의 정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19. The apparatus of claim 18, wherein (1) the connector element comprises a plurality of n socket forming sections, and (2) each of the socket forming sections defines a respective socket disposed at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relative to a neighboring socket axis. And wherein the axes all substantially intersect each other in the hub axis, and (3) n is an integer between 2 and 8. 제23항 내지 제2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각각의 상기 소켓형성 섹션은 상기 허브축에서 사전설정된 고정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고, (2) 그에 의해, 지주형상 구조요소가 소켓형성 섹션내에 보유될 때, 상기 구조요소의 말단이 상기 허브축으로부터 일정한 고정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26. A sock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3 to 25, wherein (1) each of said socket-forming sections is disposed apart by a predetermined fixed distance from said hub axis, and (2) whereby said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is formed. When retained therein, the distal end of the structural element is arranged at a fixed distance from the hub axis. 제26항에 있어서, (1) 상기 시스템은 길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일련의 지주형상 구조요소를 포함하고, (2) 상기 구조요소의 n개의 상이한 길이의 시스템에서, 각각의 길이는 다음의 공식에 따라 결정되며,27. The system of claim 26, wherein (1) the system comprises a series of strut-like structural elements that gradually increase in length, and (2) in n different length systems of the structural element, each length of Is determined by 여기서, Lx는 1에서 n까지의 일련의 구조요소중에서 x번째의 지주의 길이이고, Dmin은 일련의 구조요소중 가장 짧은 지주요소에 의해 결합되는 두 코넥터요소의 허브축간의 간격이며, d는 허브축에서 소켓형성 섹션의 단부벽까지의 거리이다. (3) 상기 시스템의 다수의 코넥터요소와 지주형상 구조요소는 하나 또는 다수의 직각삼각형으로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Where L x is the length of the xth strut of the series of structural elements from 1 to n, and D min is the spacing between the hub axes of the two connector elements joined by the shortest strut element of the series of structural elements, d Is the distance from the hub axis to the end wall of the socketing section. (3) A prefabricated to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connector elements and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s of the system are assembled in one or a plurality of right triangles. 제27항에 있어서, (1) 제24항의 코넥터요소로 구성되고 일련의 길이가 Lx인 두 구조요소와 결합하는 어셈블리는 상기 일련의 길이가 L(x+2)인 구조요소와 그 길이에 있어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28. The assembly of claim 27 wherein (1) the assembly consisting of the connector element of claim 24 and engaging with two structural elements of series length L x is connected to the structural elements of length L (x + 2) and the length thereof. Prefabricated toy system characterized by the same. 제18항에 있어서, (1) 상기 그리핑아암에는 소켓축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고 소켓축을 향해 내측으로 돌기되는 리브형 돌기부가 형성되고, (2) 상기 지주형상 구조요소에는 그 단부사이의 사전설정된 영역에서 길이방향으로 대향 연장되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3) 상기 지주형상 구조요소는 소켓축에 대해 90도의 각도로 배치되는 방위에서 상기 소켓내에 항복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리브형 돌기부는 상기 대향되는 쌍의 그루브내에 수용되며, (4) 그에 의해, 상기 지주형상 구조요소는 상기 구조요소가 상기 소켓축에 수직을 이룸으로써 상기 코넥터요소에 의해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19. The gripping arm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1) the gripping arm is provided with a rib-shaped protrusion extending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socket axis and protruding inward toward the socket axis, and (2)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is formed between the ends between the ends. A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set area, and (3)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is receivably received in the socket at an orientation dispos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ocket axis, and the rib-shaped protrusion is (4) wherein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is fixedly rotatably fixed by the connector element by the structural element perpendicular to the socket axis. 제29항에 있어서, (1) 상기 코넥터요소의 공통 부분은 지주형상 구조요소를 축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된 횡방향 개구부를 구비하고 허브축을 한정하는 허브형성 섹션을 포함하며, (2) 상기 허브축은 상기 소켓축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그와 교차하며, (3) 그러한 다수의 코넥터요소는 연결되어 벨트형 구조를 형성하고, (4) 제1그룹의 그러한 코넥터요소는 코넥터요소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거리만큼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며, (5) 상기 제1그룹의 각각의 요소의 허브축은 동축적으로 정렬하고, (6) 제1지주형상 구조요소는 상기 제1그룹의 각각의 코넥터요소의 허브를 통해 연장되며, (7) 제2그룹의 그러한 코넥터요소는 나란히 배열되고 제1그룹의 코넥터요소간의 간격내에 산재하며, (8)제2그룹의 코넥터요소는 코넥터요소의 리브형 돌기부와 상기 제1구조요소의 대향하는 한쌍의 길이방향 그루브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지주형상 구조요소를 고정하고, (9) 또다른 그룹의 그러한 코넥터요소와 지주형상 구조요소는 직렬로 연장연결되어 아치형의 벨트형 구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30.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1) the common portion of the connector element includes a hub forming section that defines a hub axis and has a transverse opening in a size and shape capable of axially receiving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2) the hubshaft is disposed at right angles to and intersects with the socketshaft, (3) such a number of connector elements are connected to form a belt-like structure, and (4) such connector elements of the first group are connector elements (5) the hub axes of each element of the first group are coaxially aligned, and (6) the first columnar structural elements are each of the first group. Extending through the hub of the connector element of (7) such connector elements of the second group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interspersed within the spacing between the connector elements of the first group, and (8) the connector elements of the second group are ribs of the connector element. Mold turning Securing the first columnar structural element by engagement of an opposing pair of longitudinal grooves of the first structural element, and (9) another group of such connector elements and strut structural elements extending in series Prefabricated to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n arched belt structure. 제30항에 있어서, (1) 상기 지주형상 구조요소는, 상기 제1 및 제2그룹의 코넥터요소의 조합된 폭에 대해, 상기 구조요소의 단부부분이 어셈블리의 각각의 측부에서 폭방향으로 돌기될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31.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30, wherein (1)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protrudes in the width direction at each side of the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combined width of the connector elements of the first and second groups. Prefabricated to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made to be. 제29항에 있어서, (1) 상기 코넥터요소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러그가 일체로 형성되고, (2) 상기 코넥터요소는 지주형상 구조요소상에 정착되고 상기 코넥터요소의 리브형 돌기부는 상기 구조요소의 대향 길이방향 그루브내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코넥터요소가 상기 소켓축에 대한 직각에서 구조요소를 가지며, 상기 구조요소에 고정상태로 잠기게 되며, (3) 별도의 요소가 상기 구조요소위에 장착되고, (4) 상기 별도의 요소는 상기 코넥터요소에 인접배치되며, (5) 상기 구동러그는 상기 별도의 요소의 인접부분과 구동연결됨으로써 상기 별도의 요소가 구동하거나 상기 지주형상 구조요소에 의해 구동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30. A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1) the connector elemen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driving lug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2) the connector element is fixed on the strut-like structural element and the rib-shaped protrusion of the connector element is formed. Received in an opposing longitudinal groove of a structural element such that the connector element has a structural element at right angles to the socket axis and is locked to the structural element, and (3) a separate element is mounted on the structural element (4) the separate elemen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or element, and (5) the drive lug is driven in connection with an adjacent portion of the separate element so that the separate element is driven or driven by the strut-shaped structural element. Prefabricated to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제32항에 있어서, (1) 상기 별도의 요소는 림부분과 허브부분을 구비한 원형 휠형상요소로 구성되고, (2) 상기 허브부분은 상기 지주요소를 수용하는 허브개구부를 구비하며, (3) 상기 휠형상요소는 상기 코넥터요소의 구동러그를 수용하기위해 상기 허브부분에서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사전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는 구동개구부를 구비하고, (4) 상기 휠형상요소는 상기 림부분내의 외향 원주그루브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3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2, wherein (1) said separate element is comprised of a circular wheel-shaped element having a rim portion and a hub portion, and (2) said hub portion has a hub opening for receiving said strut element; 3) the wheel-shaped element has a drive opening positioned radially outwardly away from the hub portion to receive the drive lug of the connector element, and (4) the wheel-shaped element in the rim portion A prefabricated toy system comprising an outwardly circumferential groove. 제33항에 있어서, (1) 탄성체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환상그루브내에 제거가능하게 수용되는 환상 타이어형상요소를 또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시스템.34. A prefabricated toy system according to claim 33, further comprising: (1) an annular tire-shaped elemen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removably received in the annular groove. 제1항의 조립식 완구를 장방형구성의 중공성형 조립블록요소로 구성되는 조립블록세트와 인터페이스시키는데 사용되며, 개방공동을 한정하는 상부벽과 4개의 측벽, 상부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원형돌기부 및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상기 공동내로 그리고 그 개방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다수의 내측돌기부가 제공되는 어댑터요소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요소는 (1) 하나의 개방측부를 구비한 장방형구성의 중공성형 어댑터블록으로 구성되고, (2) 상기 중공성형 어댑터블록은 상부벽과 4개의 측벽을 구비하며, (3) 상기 측벽의 내표면은 상기 조립블록요소의 사전설정된 다수의 원형돌기부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측벽이 상기 원형돌기부에 의해 내측으로 부드럽게 결합될 수 있고, (4) 상기 중공성형 어댑터블록은 그 폐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가늘고 긴 원통형 돌기부를 구비하며, (5) 상기 원통형돌기부는 그 직경보다 사실상 더 큰 길이를 가지고, (6) 간격을 두고 배치된 쌍으로 된 상기 가늘고 긴 돌기부는 상기 조립블록요소의 측벽의 두께의 두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상호 분리됨으로써 한쌍는 두 인접한 조립블록요소의 개방측부내로 삽입될 때 상기 요소를 함께 고착시키고 어댑터요소에 고착시키시고 어땝터요소에 고착시키며, (7) 상기 어댑터요소는 그 상부벽에서 그 개방측부까지 연장되는 중공관상 내측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조요소중 하나의 말단을 밀접하게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요소.The prefabricated toy according to claim 1 is used to interface with an assembly block set consisting of a hollow molded assembly block element having a rectangular configuration, and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extending upwardly from an upper wall and four side walls and an upper wall defining an open cavity. In the adapter elemen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ircular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inner protrusions extending into the cavity from the top wall and towards the open side thereof, the adapter element comprises (1) a hollow hollow with a single open side; A molded adapter block, (2) said blow molded adapter block having an upper wall and four side walls, and (3) an inner surface of said side wall is occupied by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circular protrusions of said assembly block element. By limiting the area the side walls can be smoothly joined inwardly by the circular projections, and (4) the hollowness The adapter block has a plurality of elongated cylindrical projections extending from its closed end, (5) said cylindrical projection having a length substantially larger than its diameter, and (6) said elongated pair of pairs arranged at intervals. The protrusio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equal to twice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of the assembly block element, so that the pair of elements, when inserted into the open side of the two adjacent assembly block elements, secure the elements together, adhere to the adapter element, and attach to the adapter element. And (7) said adapter element having a hollow tubular inner projection extending from its upper wall to its open side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capable of closely receiving one end of said structural element. 제35항에 있어서, (1) 상기 어댑터블록은 상기 조립블록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이루어지고, (2) 상기 가늘고 긴 돌기부는 상기 조립블록요소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고 그 안에 고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요소.36. The assembly block according to claim 35, wherein (1) the adapter block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assembly block element, and (2) the elongated protrusion can be received inside the assembly block element and the Adapter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fixed in.
KR1019910021114A 1990-12-11 1991-11-25 Construction toy system KR013221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25,809 US5061219A (en) 1990-12-11 1990-12-11 Construction toy
US07/687,386 US5137486A (en) 1990-12-11 1991-04-18 Multi-planar connector element for construction toy
US625,809 1991-06-19
US07/717,639 US5199919A (en) 1990-12-11 1991-06-19 Construction toy system
US717,639 1991-06-19
US687,386 1991-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546A KR920011546A (en) 1992-07-24
KR0132210B1 true KR0132210B1 (en) 1998-04-18

Family

ID=2741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114A KR0132210B1 (en) 1990-12-11 1991-11-25 Construction toy system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EP (1) EP0490033B2 (en)
JP (1) JP2667939B2 (en)
KR (1) KR0132210B1 (en)
CN (1) CN1040951C (en)
AR (1) AR247344A1 (en)
AT (1) ATE124877T1 (en)
AU (1) AU650284B2 (en)
BR (1) BR9105342A (en)
CA (1) CA2051905C (en)
CZ (1) CZ282479B6 (en)
DE (1) DE69111204T3 (en)
DK (1) DK0490033T4 (en)
ES (1) ES2075290T5 (en)
FI (1) FI94493C (en)
GR (1) GR3017720T3 (en)
HK (1) HK7096A (en)
HU (1) HU215667B (en)
IL (1) IL99621A (en)
MX (1) MX9102517A (en)
NO (1) NO179545C (en)
NZ (1) NZ239996A (en)
PL (1) PL170691B1 (en)
RO (1) RO111247B1 (en)
RU (1) RU2085245C1 (en)
SK (1) SK279903B6 (en)
UA (1) UA24013A (en)
YU (1) YU17989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22Y1 (en) * 2012-07-30 2013-12-10 선우윤 Assembly toy using block
DE202013004581U1 (en) 2013-03-05 2014-06-12 Jeong Seok Yoon Magnetic puzzle with educational functions
KR101421634B1 (en) * 2013-02-07 2014-07-22 (주)엠씨에이샌드 Assembling structure
KR20190131730A (en) 2018-05-17 2019-11-27 조승기 Connection structure of plate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3707A (en) * 1990-12-11 1995-06-13 Connector Set Limited Partnership Motor installation for construction toy system
US5897417A (en) * 1995-12-11 1999-04-27 Primordial, Llc Construction system
ES2123429B1 (en) * 1996-09-19 1999-08-16 Lego As "TOY CONSTRUCTION SYSTEM"
US5913706A (en) * 1997-01-03 1999-06-22 Connector Set Limited Partnership Articulated sectional toy figure
US5904606A (en) * 1997-02-05 1999-05-18 Connector Set Limited Partnership Panel for toy construction system
US5964635A (en) * 1998-03-18 1999-10-12 Interlego Ag Toy construction system
TW367260B (en) * 1998-03-18 1999-08-21 Interlego Ag A toy construction system
ES2176051B1 (en) * 1999-06-18 2004-03-01 Interlander Patermann S L MODULAR TOY CONSTRUCTION.
ES2185440B1 (en) * 1999-12-14 2004-07-01 Interlander Patermann, S.L. TOY CONSTRUCTION IN MINIATURE.
GB2377390B (en) * 2001-07-12 2003-09-17 Te-Li Huang Geometric construction system
KR100726062B1 (en) * 2002-01-07 2007-06-08 컨넥터세트리미티드파트너쉽 Rod and Connector Toy Construction Set
US7267598B2 (en) * 2005-06-07 2007-09-11 Connector Set Limited Partnership Interfacings between block type and rod and connector type construction toy sets
US8651914B2 (en) * 2006-01-27 2014-02-18 Costas Sisamos Snap-lock construction toy
WO2012052541A1 (en) * 2010-10-22 2012-04-26 Lego A/S A toy building set
MX359525B (en) * 2010-12-16 2018-10-01 Mark Randall Stolten A toy construction system.
CN102671394B (en) * 2011-03-07 2014-07-02 智高实业股份有限公司 Hook building block set
GB2495748A (en) * 2011-10-19 2013-04-24 Aderemi Knut Lawal-Solarin Modular construction kits
USD748202S1 (en) 2013-10-16 2016-01-26 Feltro Inc. Modular construction panel
US9238180B2 (en) 2013-10-16 2016-01-19 Feltro Inc. Modular construction panel
US9649572B2 (en) 2013-11-26 2017-05-16 K'nex Limited Partnership Group Positioning mechanism for construction toy
NO337889B1 (en) 2013-11-28 2016-07-04 Luna Loop As Linkable element for forming links and spatial structures
KR101525756B1 (en) * 2015-02-13 2015-06-09 이백근 Toy construction set using connector with pin
CN104998423B (en) * 2015-06-26 2018-04-27 广州中鸣数码科技有限公司 A kind of toy connection structure
KR101773024B1 (en) * 2015-11-19 2017-08-30 주식회사 아이스페이스 Connector and toy set including them
RU2617973C1 (en) * 2016-04-07 2017-04-28 Дмитрий Алексеевич Широбоков Constructor and connecting element
US10159905B2 (en) 2016-09-01 2018-12-25 Gracewood Management, Inc. Construction toy set of connectable and positionable elements
KR101873275B1 (en) * 2016-11-03 2018-07-02 주식회사 아이스페이스 Construction set useing rod and Connector
CN108339284B (en) * 2017-01-25 2020-03-10 智高实业股份有限公司 Connecting building block
NL2018523B1 (en) * 2017-03-15 2018-09-24 Ludento B V Assembly of connectors for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assembly
RU2661316C1 (en) * 2017-08-08 2018-07-13 Владимир Валерьевич ШУМОВСКИЙ Toy trunk rout for "high-speed transport system of suspension type "ostrich" of shumovsky"
CN107510947A (en) * 2017-08-17 2017-12-26 聂艮德 A kind of intelligence development block toy
WO2019038575A1 (en) * 2017-08-21 2019-02-28 Solli Oü Locking clamp system for foldable dollhouse and foldable dollhouse
CN107341993A (en) * 2017-09-11 2017-11-10 北京衡中清大教育咨询有限公司 One kind education connection teaching aid
RU2670021C2 (en) * 2017-09-28 2018-10-17 Дмитрий Андреевич Соколов Construction element (options)
KR102050705B1 (en) * 2018-06-11 2019-12-02 홍봉석 Polygonal module assembly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RU186389U1 (en) * 2018-11-08 2019-01-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ЭС" CLIPS
US10926187B2 (en) 2019-02-05 2021-02-23 Feltro Inc. Modular construction panels and fasteners therefor
USD917263S1 (en) 2019-02-05 2021-04-27 Feltro Inc. Fastener assembly
US11123650B2 (en) 2019-02-13 2021-09-21 Viahart Llc Interlocking disc toy
RU189527U1 (en) * 2019-02-20 2019-05-2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ЭС" UNIVERSAL FASTENING
CN110170176A (en) * 2019-06-10 2019-08-27 北京优加创课科技有限公司 A kind of building block unit
RU201101U1 (en) * 2020-07-31 2020-11-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ЭС" CLIPS
CN112233532B (en) * 2020-10-09 2022-03-22 安阳大诺科教器材有限公司 Model building system and building method with motor power
EP4000707B1 (en) 2020-11-24 2023-07-12 André Hurzi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n assembly
RU207939U1 (en) * 2021-04-03 2021-11-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езультат» UNIVERSAL MOUNT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3662A (en) * 1950-10-09 1953-04-07 Walter O Nelson Interlocking block
US2709318A (en) * 1952-11-24 1955-05-31 W R Benjamin Co Toy construction elements
GB866557A (en) * 1958-01-28 1961-04-26 Interlego Ag Improvements relating to toy building sets
FR1475308A (en) * 1966-04-08 1967-03-31 Assembly tray for construction set
US3891335A (en) * 1973-10-25 1975-06-24 Continental Display Corp Retaining clip
JPS5255585Y2 (en) * 1975-11-05 1977-12-15
JPS6047375A (en) * 1983-08-26 1985-03-14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Sealed lead storage battery
DE3524467A1 (en) * 1984-07-11 1986-01-30 Klaus 6454 Bruchköbel Berndt Apparatus with playing blocks which can be fitted together
ATE55274T1 (en) * 1985-04-15 1990-08-15 Arlington Hews Canada Ltd CONSTRUCTION GAME.
US4758196A (en) * 1987-03-27 1988-07-19 Wang Tsung Hsien Block unit for making three-dimensional blocks composed of geometric points, lines and plan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22Y1 (en) * 2012-07-30 2013-12-10 선우윤 Assembly toy using block
KR101421634B1 (en) * 2013-02-07 2014-07-22 (주)엠씨에이샌드 Assembling structure
DE202013004581U1 (en) 2013-03-05 2014-06-12 Jeong Seok Yoon Magnetic puzzle with educational functions
KR20190131730A (en) 2018-05-17 2019-11-27 조승기 Connection structure of plat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14444A (en) 1992-06-12
ATE124877T1 (en) 1995-07-15
NO913681D0 (en) 1991-09-19
EP0490033B1 (en) 1995-07-12
PL170691B1 (en) 1997-01-31
YU179891A (en) 1995-01-31
SK279903B6 (en) 1999-05-07
FI94493B (en) 1995-06-15
ES2075290T5 (en) 1998-09-16
CA2051905C (en) 1998-04-07
JPH04276285A (en) 1992-10-01
ES2075290T3 (en) 1995-10-01
NO179545B (en) 1996-07-22
DE69111204T3 (en) 1998-10-22
NO179545C (en) 1996-10-30
DK0490033T4 (en) 1998-08-31
CN1062096A (en) 1992-06-24
AU8474191A (en) 1992-06-18
FI94493C (en) 1995-09-25
EP0490033A1 (en) 1992-06-17
NZ239996A (en) 1994-05-26
RU2085245C1 (en) 1997-07-27
DE69111204T2 (en) 1996-02-08
DE69111204D1 (en) 1995-08-17
IL99621A0 (en) 1992-08-18
CS344491A3 (en) 1992-08-12
AU650284B2 (en) 1994-06-16
HUT62203A (en) 1993-04-28
EP0490033B2 (en) 1998-04-29
HK7096A (en) 1996-01-26
MX9102517A (en) 1992-06-01
CZ282479B6 (en) 1997-07-16
CN1040951C (en) 1998-12-02
KR920011546A (en) 1992-07-24
IL99621A (en) 1995-05-26
BR9105342A (en) 1992-08-25
PL292704A1 (en) 1992-08-10
DK0490033T3 (en) 1995-08-21
UA24013A (en) 1998-08-31
GR3017720T3 (en) 1996-01-31
HU913876D0 (en) 1992-04-28
NO913681L (en) 1992-06-12
RO111247B1 (en) 1996-08-30
HU215667B (en) 1999-02-01
CA2051905A1 (en) 1992-06-12
FI914444A0 (en) 1991-09-23
JP2667939B2 (en) 1997-10-27
AR247344A1 (en) 199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210B1 (en) Construction toy system
US5199919A (en) Construction toy system
US5350331A (en) Construction toy system
EP1901824B1 (en) Interfacings between block type and rod and connector type construction toy sets
US7980912B2 (en) Toy construction system with jaw components
US5575701A (en) Construction apparatus
US3310906A (en) Toy construction blocks and assembly
US4055019A (en) Constructional toy and element therefor
EP0127397A1 (en) A construction element
US20100330867A1 (en) Toy construction system
US20080075528A1 (en) Construction system
LT3747B (en) Toys building blocks and joint for its
WO2007064383A2 (en) Construction system
JPS6368190A (en) Rotary assembly with wheel for assembling block
US6126506A (en) Multi-block structure with multiple rail configuration and pivot means
US6142847A (en) Reflective I-rail interconnector
WO1995021670A1 (en) Chain drive for construction toy system
US5322467A (en) Plastic link toy
US5421762A (en) Vehicle track for construction toy system
US3654726A (en) Toy building set and disc-like units therefor
GB2274070A (en) Construction apparatus.
GB1585825A (en) Constructional toys
WO1998034705A1 (en) Gear system for construction toy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