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403B1 - Hangul english automatic translation method - Google Patents

Hangul english automatic translation method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403B1
KR0123403B1 KR1019940027030A KR19940027030A KR0123403B1 KR 0123403 B1 KR0123403 B1 KR 0123403B1 KR 1019940027030 A KR1019940027030 A KR 1019940027030A KR 19940027030 A KR19940027030 A KR 19940027030A KR 0123403 B1 KR0123403 B1 KR 0123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english
korean
hangu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15316A (en
Inventor
이긍해
최송락
Original Assignee
이긍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3956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2340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긍해 filed Critical 이긍해
Priority to KR101994002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403B1/en
Publication of KR96001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3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40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Korean-English automatic converse method for using Korean-English typing editor, word processor, diagram editor, spread sheet, database electronic dictionary, or electronic mail, when inputting Korean and English data without distinction automatically separating and recognizing Korean and English and convertingwhen input words disobeying Korean needs according to order of consonant and vowel, convert the words to English alphabet conversely disobeying English needs convert input alphabet to Korean consonant and vowel.

Description

한·영 자동 전환 방법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워드프로세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word process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절 단위의 한,영 자동 전환 방법의 처리 순서도.Figure 2 is a flow chart of the process of automatic conversion of Korean, English words in units of wo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a도는 제2도의 한글 필요조건에 어절이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처리 순서도.FIG. 3A is a processing flowchart for checking whether a word satisfies the Hangul requirement of FIG. 2. FIG.

제3b도는 제2도의 영문 필요조건에 어절이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처리 순서도.FIG. 3B is a processing flowchart for checking whether a word satisfies the English requirement of FIG. 2. FIG.

제3c도는 제2도의 불필요한 쉬프트-키의 사용 여부를 검사하는 처리 순서도.3C is a process flow chart for checking whether unnecessary shift-keys of FIG. 2 are used.

제3d도는 제2도의 쉬프트-키의 사용 여부를 검사하는 처리 순서도.FIG. 3d is a processing flowchart for checking whether the shift-key of FIG. 2 is used.

제3e도는 제2도의 어절을 단어와 조사로 분리하는 단계의 처리 순서도.FIG. 3E is a processing flowchart of the step of dividing the words of FIG. 2 into words and surveys.

제3f도는 제2도의 조사 결합규칙에 어절이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처리 순서도.FIG. 3f is a processing flowchart for checking whether a word satisfies the search combining rule of FIG.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자 단위의 한,영 자동 전환 방법의 처리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Korean and English characters in units of lett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제4도의 한글 필요조건을 검사하는 처리 순서도.FIG. 5 is a processing flowchart for checking the Hangul requirements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롬(ROM) 2 : 중앙제어장치(CPU)1: ROM 2: Central Control Unit (CPU)

3 : 램(RAM) 4 : 표시부3: RAM 4: Display

5 : 디스크 드라이브 유니트 6 : 입력부5: disk drive unit 6: input unit

7 : 출력부7: output unit

본 발명은 한·영을 혼용하여 타이핑할 수 있는 에디터, 워드프로세서, 다이아그램 편집기, 스프레드 시트, 데이타베이스, 전자사전, 전자우편, 데이타 또는 명령어 입력 등에서 한글과 영문 데이타를 입력할 때 한글 모드와 영문 모드의 구분없이 자판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자동으로 한글과 영문으로 분리 인식하여 전환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orean mode and a Korean mode when inputting Korean and English data in an editor, word processor, diagram editor, spreadsheet, database, electronic dictionary, e-mail, data or command input,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English automatic conversion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and converting data input from a keyboard into Korean and English without distinction.

일발적으로, 한글과 영문 데이타를 혼용하는 종래의 문서 편집기에서 한글과 영문의 데이타 입력을 위해서는 각각 전환 키를 사용하여 한글 모드와 영문 입력모드로 전환하여야 한다.In general, in a conventional text editor that uses both Korean and English data, the Korean and English input mode should be switched using a switch key to input Korean and English data, respectively.

이때, 문서의 종류에 따라 전환 키의 사용 빈도에는 차이가 있겠지만 사용자로서는 전환 키를 한·영 전환때마다 사용하는 것이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닐 수 없으며, 서로 상반된 모드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경우, 이를 뒤늦게 발견하고 수정을 가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랐다.In this cas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version key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document, but it may be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the conversion key every time the Korean-English conversion is performed. Then cam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ake corrections.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입력되는 글자가 한글의 필요조건을 위배했을 때 입력된 자모의 순서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자판의 영어 알파벳으로 전환하고, 그 반대로 영문 필요 조건을 위배하면 입력된 알파벳에 대응하는 한글의 자모로 전환하는, 즉 한·영 모드의 구분없이 어느 한 모드에서 한글과 영문을 동시에 처리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input character violates the requirements of the Hangul, the English alphabet of the keyboard corresponding to the order of the input alphabet, and convert the English requirements The above object is to provide a Korean-English automatic conversion method that converts the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input alphabet, that is, simultaneously processes Korean and English in either mode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Korean and English modes.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PU와 메모리를 구비한 문서의 입력 수단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절을 입력받는 제1단계; 상기 어절을 단어와 조사로 분리하는 제2단계; 상기 분리된 단어에 대하여 한·영의 판정을 수행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단어가 한글단어로 판정된 경우에는 어절을 한글로 변환하고, 상기 단어가 영문단어로 판정된 경우에는 조사가 존재하면 상기 어절의 단어와 조사를 각각 영문과 한글로 변환하고 조사가 없으면 어절을 영문으로 변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Korean-English switching method applied to a document input means having a CPU and a memory, comprising: a first step of receiving at least one word; Dividing the word into a word and a search; A third step of performing a Korean-English determination on the separated word; And if the word is determined to be a Korean word, converts the word to Korean. If the word is determined to be an English word, if the word exists, the word and the word of the word are converted to English and Korean. It provides a 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comprising a fourth step of converting to English.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CPU와 메모리를 구비한 문서 입력 수단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초기화를 수행하는 제1단계; 적어도 하나의 키를 입력받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어절에 키를 추가하고, 상기 어절에 대하여 한·영 판정 및 모드 전환을 수행하고 상기 제2단계로 리턴하는 제3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3단계는 현 모드를 검사하여 현 모드가 한글 모드로 판단된 경우, 어절이 한글 필요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사하여 한글 필요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2단계로 리턴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현 모드가 한글 모드로 판단되고 어절이 한글의 필요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모드를 영문으로 전환한 후 상기 제2단계로 리턴하는 제5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현 모드가 영문 모드로 판단된 경우, 어절이 영문 필요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사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어절이 영문 필요조건을 불만족할 경우, 모드를 한글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제2단계로 리턴하고, 만족할 경우 상기 제2단계로 리턴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한글 필요조건 만족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은, 어절이 한글 조합규칙을 만족하면 한글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한글 조합규칙을 만족하면 한글 필요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문 필요조건의 만족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은, 어절에 영문 자음이 4개 연속된 곳이 있을 경우, 영문 필요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영문 자음이 4개 연속된 곳이 없을 경우, 영문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9단계의 영문 자음은 a, e, i, o, u, A, E, I, O, U를 제외한 영문 글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applied to a document input means having a CPU and a memory, comprising: a first step of performing initialization; A second step of receiving at least one key; After performing the second step, adding a key to the word, and performing a Korean-English determination and mode switching on the word, and returning to the second step, wherein the third step includes the current mode. A fourth step of checking whether a word satisfies the Hangul requirement if the current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Hangul mode and returns to the second step if the Hangul requirement is satisfied; In the fourth step, if the current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Hangul mode and the word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Hangul, switching to the English mode and returning to the second step; A sixth step of checking whether a word satisfies an English require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mode is the English mode; In the sixth step, if the word is not satisfied with the English requirements, an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Hangul mode, and returns to the second step, and if it satisfies the seventh step of returning to the second step;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requirement is satisfied includes an eighth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word satisfies the Hangul requirements if the word satisfies the Hangul combination rule and satisfies the Hangul requirement if the Hangul combination rule is satisfied. The process of checking the satisfaction of the English requirements is judged as dissatisfied with the English requirements if there are four consecutive English consonants in the word, and if there are no four consecutive English consonants, And a ninth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condition is satisfied, wherein the English consonants of the ninth step are English letters except a, e, i, o, u, A, E, I, O, and U. .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CPU와 메모리를 구비한 문서 입력 수단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절을 입력받는 제1단계; 상기 어절에 대하여 한·영의 판정을 수행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판정 결과가 한글이면 어절을 한글로, 상기 판정 결과가 영문이면 어절을 영문으로 각각 변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어절에 대한 한영의 판정 수행은, 상기 어절이 한글의 한글 조합규칙을 만족하고 어절이 한글 조합규칙을 만족하는 영문 단어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어절을 한글로 판정하는 제4단계와, 상기 어절이 상기 한글 조합규칙을 만족하는 영문단어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어절이 상기 한글 조합규칙을 불만족하면 상기 어절을 영문으로 판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applied to a document input means having a CPU and a memory, comprising: a first step of receiving at least one word; A second step of performing a Korean-English determination on the wor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cond step is Hangul, and the word is translated into Hangul, 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English, the third step is to convert the word into English.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d satisfies the Hangul combination rule of Hangul and the word is not an English word satisfying the Hangul combination rule, the fourth step of determining the word as Hangul, and the word is the English word satisfying the Hangul combination rule. If it is determined or if the word does not satisfy the Hangul combination rule, the fifth step of determining the word in English.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에서는 한글 자판이 2벌식이며, 영문 자판이 QWER 자판인 경우를 일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Korean keyboard is a double bee type and the English keyboard is a QWER keyboard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먼저,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한 일예인 워드프로세서의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롬(ROM), 2는 CPU, 3은 램(RAM), 4는 표시부, 5는 디스크 드라이브 유니트, 6은 입력부, 7은 출력부를 각각 나타낸다.First, FIG. 1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word processor, which is an example of a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the drawings, 1 is a ROM, 2 is a CPU, 3 is a RAM, 4 is a display, and 5 is a disk. The drive unit 6 denotes an input unit and 7 an output unit.

도면에 도시된 워드프로세서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단, 램(3)에 탑재되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프로그램은 롬(1)이나 디스크에 탑재되어 있다가, 전원이 인가되면 램(3)으로 옮겨져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에 대해 한·영의 판정을 내리고 판정 결과에 따라 CPU(2)는 램(3) 또는 표시부(4)에 있는 데이타를 변환한다.Since the word processor shown in the drawings is a well-known configura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unted on the RAM 3 and executed, is mounted on the ROM 1 or the disk, and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control program is transferred to the RAM 3 and the Korean / English data is input from the keyboard. The CPU 2 converts the data in the RAM 3 or the display unit 4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램이나 롬에 탑재되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절 단위 한·영 자동 전환 방법의 처리 순서도이다. 여기서, 어절은 스페이스(space)나 문장 부호 등에 의해 분리되는 문장 성분으로 한글 또는 영문 글자가 연속되어 있는 문자열을 의미한다. 어절 단위의 한·영 자동 전환 방법은 스페이스와 같이 어절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키가 입력될 때 입력이 완료된 어절에 대하여 한·영의 자동 전환을 실행하는 방법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word units between Korean and Engli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unted in the RAM or ROM of FIG. 1. Here, the word means a string in which Korean or English letters are contiguous as sentence components separated by spaces or punctuation marks. The automatic switching of Korean and English in word units is a method of performing automatic switching between Korean and English for a word that has been input when a key indicating that word input is completed, such as a space.

먼저, 한글 단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First, a method used to determine whether a word is a Korean word is as follows.

1. 한글 자모 규칙에 위배되는 글자 검출1. Detection of characters that violate the Hangul alphabet

2. 한글에서 사용되지 않는 글자(이하, 한글 미사용 글자라 칭함)검출2. Detect letters not used in Hangul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ngul unused letters)

3. 복자음이나 복모음이 없는 음소(키)에 쉬프트-키(이하 불필요한 쉬프트-키라 칭함) 사용여부 검출3. Detecting the use of shift-key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necessary shift-keys) for phonemes (keys) without double consonants or double consonants

4. 한글 자모 규칙에 맞는 영문단어(이하, 중복어라 칭함)의 기본사전을 이용한 검출4. Detection using basic dictionary of English wor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uplicate words) that meets Hangul Jamo rule

5. 끝에 한글 조사가 붙은 영문단어(이하, 조사 중복어라 칭함)의 한글 조사 결합 원칙에 의한 한·영 판단 및 분리 인식5. Judgment and Separation Recognition of Korean and English by the Combined Principles of Hangul Survey of English Words (hereinafter, Duplicate Words) with Hangul Survey at the End

6. 한글 자모규칙에는 맞으나 상기 4항의 기본사전에 없는 예외적인 영문약어나 고유명사의 사용자 사전을 이용한 판단6. Judgment using the user's dictionary of exceptional English abbreviations or proper nouns that conforms to the Hangul Jamo Rules but does not exist in the Basic Dictionary

7. 상기 1 내지 6항에 의한 판단이 사용자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 단어의 한·영 강제 전환7. Forced Korean-English conversion of words whose judgment according to 1 to 6 does not match the intention of the user

상기 1 내지 5항에 의해 대부분의 경우 한·영 자동 판단이 오류없이 이루어지게 된다. 6과 7항은 임의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소문자 영문약어로 한글 조합규칙에도 맞는 경우를 해결하고자 하는 방법이다.According to the above 1 to 5, in most cases, automatic determination of Korean and English is made without error. Paragraphs 6 and 7 are methods to solve the case where the lower case English abbreviation that satisfies the Hangul combination rules.

2,4,5항의 구현을 위해서 한글 미사용 글자 사전, 기본 사전(한글조건이나 영문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단어로써 영문으로 판정해야 할 단어를 모아 놓은 사전), 조사 중복어 사전(끝이 한글 조사와 일치하는 영어단어 사전), 한글 조사 사전 등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참조, 활용하므로서 한·영을 판단하게 된다. 즉, 입력단어의 각 음절정보를 이용한 판단에 근거 한글로 인정될때 한·영 키가 일치하는 단어사전(기본 사전)을 검색하여 사전에 존재하면 한·영 중 사용빈도가 높은 모드로 출력한다.For the implementation of paragraphs 2, 4, and 5, the unused Hangul dictionary, the basic dictionary (the dictionary which collects the words to be judged in English as the words satisfying the Hangul or English conditions), and the duplicate search dictionary English Word Dictionary), Korean Survey Dictionary, etc. were constructed, and the Korean and English sentences were judged by referencing and using them. That is, when it is recognized as Hangul based on the judgment using each syllable information of the input word, the word dictionary (Basic Dictionary) matching the Korean and English keys is searched and if it exists in the dictionary, the Korean and English frequently used modes are output.

한·영 분리 정보가 적은 경우 위와 같이 한·영이 일치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단어는 국어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또한 사용빈도면에서 한글보다는 영문의 사용빈도수가 훨씬 높다.When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Korean-English separation, Korean-English matching occurs as above. Most of these words do not exist in the Korean dictionary, and the frequency of use of English is much higher than Korean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예를 들어 한글 모드에서 입력단어 angle은 뭏디로 표현되는데 뭏디의 각 음절은 국어사전에 존재하지만, 어절의 경우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이다. 이러한 한·영이 일치하는 경우의 대부분의 한글로 사용되지 않는 단어이다.For example, in the Hangul mode, the input word angle is represented by Shundi. Each syllable of Shundi is a word that exists in the Korean dictionary, but the word does not exist in the dictionary. Most of these words are not used in Hangul.

또한, 오타가 있는 한글이 영문으로 오인되지 않도록 입력된 단어가 영어단어가 아닌지 다음과 같이 판단된다.In addition, it is determined as follows that the input word is not an English word so that a Korean with a typo is not mistaken for English.

1. 영문모음이 한개도 없는가?1. Is there no English vowel?

2.영문자음이 4개 이상 연속된 곳이 있는가?2. Do you have four or more consonants in a row?

이때, 영문에서 모음은 a(A), e(E), i(I), u(U), y(Y)를 뜻하며 자음은 상기 영문 모음을 제외한 모든 영문 글자를 뜻한다. 여기서 y(Y)를 모음에 포함시키는 이유는 by, cry, fly 또는 '-ly' 에서와 같이 발음상 모음으로 분류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인 상기 2항, 즉, '영문자음이 4개 이상 연속된 곳이 있는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4개 연속된 영문자음을 갖는 사전을 구축해서 사용된다.In this case, the vowel in English means a (A), e (E), i (I), u (U), y (Y) and consonants mean all English letters except the English vowel. The reason why y (Y) is included in the vowel is that it can be classified as a vowel in pronunciation such as by, cry, fly or '-ly'. In order to determine the above term 2, ie, are there four or more consecutive English consonants ?, which is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English, a dictionary having four consecutive English consonants is used.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행 절차를 세부적으로 살표보면 다음과 같다.Now,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detail the implementation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관련기능부를 초기화시키고(20), 한·영 전환 대상 어절을 입력받는다(21). 이어 입력받는 어절을 한글 조사 규칙에 따라 단어와 조사로 분리하고(22), 분리된 단어가 사용자 사전(사용자가 정의한 한·영 중복어 사전으로서 여기에 포함된 단어는 한글이나 영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쪽으로 세팅되어 있으며, 이하 상기 세팅값을 단어의 참조값이라 한다)에 있는지를 검사한다(23). 이 검사단계(23)에서 단어가 사용자 사전에 있으면 단어의 참조값이 '한글'인지를 검사하고(27), 반면, 단어가 사용자 사전에 없으면 불필요한 쉬프트-키가 사용되었는지를 검사하고(24), 사용되지 않았으면 전체 어절이 한글의 필요조건에 만족하는지를 검사한다(25). 이 검사(25)에서 어절이 한글의 필요조건에 만족하면, 단어가 기본 사전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26), 어절이 한글의 필요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어절이 영문의 필요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고(28), 여기서(28) 만족하지 않으면, 쉬프트-키의 사용이 있었는지를 검사한다(29). 여기서(29), 쉬프트-키의 사용이 없었으면, 조사의 결합규칙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한다(30). 상기 여러 검사에서, 단어가 기본 사전에 존재하지 않거나(26), 단어의 참조값이 '한글'이거나(27), 조사의 결합규칙을 만족하는(30) 경우에는 어절을 한글로 전환한(32) 후 종료하고, 단어의 참조값이 '한글'이 아니거나(27), 불필요한 쉬프트-키가 사용되었거나(24), 영문 필요조건을 만족하거나(28), 쉬프트-키의 사용이 있었거나(29), 조사의 결합규칙을 만족하지 않거나(30), 단어가 기본사전에 존재하는(26) 경우에 어절에서 분리된 조사가 있는지를 검사한다(31). 여기서(31) 조사가 있으면, 단어는 영문으로, 조사는 한글로 전환하고(33), 조사가 없으면, 어절 전체를 영문으로 전환한(34) 후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어절의 단어 부분에 대하여 한·영의 판정을 내리고 변환하는 방법은 어절에 조사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또는 조사를 처리하지 않고 자동 전환을 하는 경우에도 어절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power is first applied, the relevant function unit is initialized (20), and a Korean-English conversion target word is received (21). Then, the received word is divided into words and surveys according to the Hangul search rules (22), and the separated words are user dictionaries (a Korean-English duplicate word dictionary defined by the user. (23), and the setting value is referred to as the reference value of the word (23). In this check step 23, if the word is in the user dictionary, it is checked if the reference value of the word is 'Hangul' (27), whereas if the word is not in the user dictionary, it is checked if unnecessary shift-keys are used (24), If not, it checks whether the whole word satisfies the Hangul's requirements (25). In this check (25), if the word satisfies the Hangul requirement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ord exists in the basic dictionary (26). If the word does not satisfy the Hangul requirement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ord satisfies the English requirements. If it is not satisfied (28) and if it is not satisfied (28) then it is checked if there is a use of the shift-key (29). Here (29), if there is no use of the shift-key, it is checked whether the association rule of the survey is satisfied (30). In the above various checks, if the word does not exist in the basic dictionary (26), or if the reference value of the word is 'Hangul' (27) or satisfies the combination rule of the survey (30), the word is converted to Korean (32). And then the word's reference value is not 'Korean' (27), an unnecessary shift-key is used (24), an English requirement is met (28), or there is a shift-key used (29) In addition, it checks whether there is a search separated from the word when the combination rule of the search is not satisfied (30) or the word exists in the basic dictionary (26). Here (31), if there is an investigation, the word is converted into English and the investigation is converted into Korean (33). If there is no investigation, the whole word is converted into English (34) and then terminated. As mentioned above, the method of determining and converting the word part of a word in Korean and English can be equally applied to a word even when the word is not used in the word or in the case of automatic conversion without processing the word. Do.

상기 제2도에서 어절 전환(32,33,34) 후, 상기 실행은 전환 대상 어절의 입력 단계(21)부터 다시 실행할 수 있다.After the word switching 32, 33, 34 in FIG. 2, the execution can be executed again from the input step 21 of the word to be switched.

제3a도 내지 제3f도는 각각 상기 제2도에서 한글 및 영문 필요조건의 만족여부를 검사하는 단계(25,28) 및 불필요한 쉬프트-키의 사용여부를 검사하는 단계(24), 쉬프트-키의 사용여부를 검사하는 단계(29), 어절을 단어와 조사로 분리하는 단계(22), 조사의 결합규칙 만족여부를 검사하는 단계(30)를 좀더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3A to 3F show the steps 25 and 28 of checking whether the Korean and English requirements are satisfied in FIG. 2, and the step 24 of checking whether unnecessary shift-keys are used (24). The flow chart shows in more detail a step 29 of checking whether the word is used, a step 22 of separating the word and the word, and a step 30 of checking whether the combination rule of the search is satisfied.

먼저, 제3a도는 단어가 한글 필요조건에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처리 순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어가 한글 필요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은, 단어가 한글 조합규칙(초성, 종성은 자음, 중성은 모음)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여(40), 만족하면 한글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만족하지 못하면 한글 필요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한글 조합규칙은 다음과 같은 원리로 작동한다.First, FIG. 3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 word satisfies a Hangul requirement. As shown in the drawing, a method of checking whether a word satisfies a Hangul requirement is as follows. Neutrality is determined to satisfy the vowel (40), and if it is satisfied,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gul requirements are satisfied. Here, Hangul combination rules operate on the following principle.

* 한글은 적어도 초성, 중성을 갖춘 음절로 구성된다.* Hangeul consists of at least syllables with both initial and neutral syllables.

워드프로세서가 동작하다가 상기와 같은 원칙에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면 입력 데이타는 한글 필요조건을 위배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다.If a word processor operates and does not meet the above principles, the input data is considered to be in violation of the Hangul requirements.

제3b도는 영문 필요조건에 어절이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처리 순서도로서, 이 검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어절로부터 분리된 단어가 한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인지를 검사하고(41), 한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이면 영문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2글자 이상으로 이루어진 단어이면, 그 단어에 영문모음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지를 검사해서(42), 존재하면 단어에 영문자음이 5개 이상 연속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43). 단어에 5개 이상의 영문 자음이 연속되어 있지 않으면, 다시 단어에 영문자음이 4개가 연속되어 있는지를 검사해서(44) 연속되어 있으면, 4개의 연속된 자음을 갖는 영문단어인지를 검사한다(45). 이때, 영문자음이 4개 연속되어 있지 않거나, 연속되어 있더라도 4개의 연속된 자음을 갖는 영문 단어이면 그 단어가 영문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단어에 영문모음이 하나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단어에 영문자음이 5개 이상 연속되어 있거나, 4개의 연속된 자음을 갖는 영문 단어가 아닌 경우에는 영문 필요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4개의 연속된 자음을 갖는 영문 단어는 그 수가 많지 않으므로 4개의 연속된 자음을 갖는 영문 단어인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IG. 3B is a process flow chart for checking whether a word satisfies the English requirement. This check first checks whether the word separated from the word is a single letter as shown in the drawing (41). If the word consists of, it is determined to satisfy the English requirements. If the word consists of two or more letters, it is checked whether one or more English vowels exist in the word (42). If five or more English consonants are not contiguous in a word, it is again examined whether four English consonants are contiguous in the word (44), and if they are contiguous, it is checked whether they are English words with four consecutive consonants (45). . At this time, if four English consonants are not contiguous or four English consonants are contiguous,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d satisfies the English requirements. On the other hand, if at least one English vowel does not exist in the word, five or more English consonants are contiguous to the word, or if the word is not an English word having four consecutive consonants, it is determined that the English requirement is not satisfied. Here, since the number of English words having four consecutive consonants is not many,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English words have four consecutive consonants.

제3c도는 제2도의 불필요한 쉬프트-키의 사용 여부를 검사하는 처리 순서도로서, 이 검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키 입력시 캡스락(CapsLock)-키가 눌려져 있는지는 검사해서(46), 눌려지지 않으면 키 입력시 쉬프트-키가 눌렸는지를 검사한다(47). 키 입력시 캡스락-키가 눌려져 있거나, 키 입력시 쉬프트-키가 눌린 경우에, 해당 키에 대응되는 한글문자가 2개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48). 여기서, 키입력시 쉬프트-키가 눌리지 않았거나, 해당 키에 대응되는 한글문자가 2개 존재하면 불필요한 쉬프트-키가 사용되지 않았음을 판단하고, 캡스락-키나 쉬프트-키가 눌렸을 때 해당 키에 대응되는 한글문자가 2개 존재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쉬프트-키를 사용했음을 판단한다. 일예로, q, w, e, t, r, o, p를 제외한 다른 키가 입력될 때 쉬프트-키를 사용하게 되면, 불필요한 쉬프트-키를 사용함으로 판단한다. 즉, 초성, 중성, 종성의 입력-키에 대한 처리 과정 중에 한글 자판에서 대/소문자를 구별할 수 없는 키에 쉬프트-키가 눌리면 영문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한글-키 'ㄴ'은 쉬프트-키가 눌렸을 때나 안 눌렸을 때나 항상 'ㄴ'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글 모드에서 쉬프트-'ㄴ'을 입력했다면 대문자 영문-키 'S'를 누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FIG. 3C is a process flow chart for checking whether unnecessary shift-keys of FIG. 2 are used. This check is performed by first checking whether the CapsLock-key is pressed at the time of key input (46). If it is not pressed, it checks whether the shift-key is pressed when the key is pressed (47). When the caps lock-key is pressed during key input or the shift-key is pressed during key input, it is checked whether there are two Korean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key (48). Here, if the shift-key is not pressed during key input or there are two Hangul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ey, it is determined that unnecessary shift-key is not used, and when the caps lock-key or the shift-key is pressed If there are no two Hangul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key, it is determined that an unnecessary shift-key is used. For example, if a shift-key is used when other keys except for q, w, e, t, r, o, and p are input, it is determined that unnecessary shift-key is used. In other words, if a shift-key is pressed on a key that is not case sensitive in the Korean keyboard during the input-key processing of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types, it is determined as English. For example, the Hangul-key 'ㄴ' is always output as 'ㄴ' when the shift-key is pressed or not. Therefore, when the user inputs the shift- 'ㄴ' in the Hangul mode, it is determined that the uppercase English-key 'S' is pressed.

제3d도는 제2도의 쉬프트-키 사용 여부를 검사하는 (29) 처리 순서도로서, 이 검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키 입력시 캡스락(CapsLock)-키가 눌려져 있는지는 검사해서(49), 눌려지지 않으면 키 입력시 쉬프트-키가 눌렸는지를 검사한다(50). 이때, 쉬프트-키가 눌리지 않았으면 쉬프트-키의 사용이 없었으므로 판단하고, 캡스락-키가 눌려져 있던가, 쉬프트-키가 눌렸으면 쉬프트-키의 사용이 있었으므로 판단한다.FIG. 3d is a process flow chart (29) for checking whether the shift-key of FIG. 2 is used. This check is performed by first checking whether the CapsLock-key is pressed when a key is pressed (49). If it is not pressed, it checks whether the shift-key is pressed at the time of key input (50). At this time, if the shift-key is not pressed,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use of the shift-key, and if the caps lock-key is pressed, or if the shift-key is pressed, it is determined because there is a use of the shift-key.

제3e도는 제2도의 어절을 단어와 조사로 분리하는 단계(22)의 처리 순서도로서, 이 단계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분리 대상 어절에 대하여 그 끝이 한글 조사와 일치하는지를 검사하고(51), 일치하는 경우 어절 자체가 그 조사를 단어의 일부로 포함하는 영어 단어인지를 검사한다(52). 이 검사결과 끝이 조사와 일치하는 영문단어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어절을 단어와 조사로 분리하고(53), 어절의 끝이 조사와 일치하지 않거나, 어절이 조사를 포함하는 영어단어이면 어절은 조사가 없는 단어로 판단한다(54). 여기서, 어절의 끝에 포함된 조사를 분리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강승식 음절정보와 복수어 단위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컴퓨터 공학과, 1993년 2월)FIG. 3e is a processing flowchart of step 22 of dividing the words of FIG. 2 into words and surveys. As shown in FIG. (51) If there is a match, the word itself is checked to see if it is an English word that includes the search as part of the word (5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nd of the test is not an English word that matches the survey, the word is divided into a word and a survey (53). If the end of the word does not match the survey or the word is an English word that includes the survey, the word is examine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word (54). Here, the method of separating the survey included at the end of the word is a well-known technique,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avoided. February)

흔히 입력어절 내에 한·영이 혼합된 상태로 영문 단어에 한글 조사가 붙은 형식이 사용되는데, 이런 경우 조사의 분리가 되지 않는다면 한,영 자동 분리모드의 구현은 그 효과를 상실하게 된다. 영문과 조사의 결합형태에서 조사는 완전한 한글이므로 어떠한 영문과 결합하더라도 입력 조사가 전환대상 단어와의 충돌로 인한 전환은 일어날 수 없다. 그러나 전환대상 단어의 끝이 조사와 일치하는 경우 조사로 오인될 소지가 있다. 끝이 한글 조사와 일치하는 영문단어를 잘못하여 분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어절을 단어와 조사로 분리하는 상기 제3e도에서는, 입력 단어의 끝이 조사로 표현되면 조사 중복어 사전을 참조하여 끝이 조사와 일치하는 영문단어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한글 모드에서 입력단어가 dark일 때 전환대상 단어는 ㅇ ㅁ가 로 표현된다. 이때 전환대상 단어 ㅇ ㅁ가의 끝이 가라는 음절이므로 조사로 오인될 수 있다. 영어단어 중 끝이 조사와 일치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나머지 영어단어의 각종 접미사는 한글 조사와 일치하지 않는다.Often, a Korean word is attached to an English word with Korean and English mixed in the input word. In this case, the automatic separation mode implementation loses its effect unless the survey is separated. In the combination of English and survey, the survey is completely Korean, so no combination of English and input can cause conversion due to a collision with the target word. However, if the end of the word being converted matches the survey, it can be mistaken for a survey. In FIG. 3E above, when the end of an input word is expressed as a search, the end is searched by referring to a search duplicate word dictionary so that the end does not mistakenly separate an English word that matches the Hangul search. Check if the word matches the English word. For example, in Korean mode, when the input word is dark, the conversion target word is expressed as ㅇ ㅁ. At this time, since the end of the word ㅇ ㅁ, the subject to be converted, may be mistaken as an investigation. Not many of the words in English match the survey. The suffixes of the rest of the English words do not match the Hangul survey.

제3f도는 제2도의 조사의 결합규칙에 어절이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30) 처리 순서도로서, 이 검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어절에 조사가 있는지를 검사하여(55), 어절에 조사가 없으면 조사 결합규칙을 만족하므로 판단한다. 어절에 조사가 있으면 어절의 단어가 자음으로 끝났는지를 검사하고(56), 자음으로 끝났으면 조사가 자음 뒤에 올 수 있는지를 검사한다(57). 이때, 자음 뒤에 올 수 있는 조사이면 조사의 결합규칙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어절에 조사가 있고 어절의 단어가 자음으로 끝났으나 사용된 조사가 자음 뒤에 올 수 없으면 조사 결합규칙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어절에 조사가 있고, 어절의 단어가 자음으로 끝나지 않았을 때에는 사용된 조사가 모음 뒤에 올 수 있는지를 검사하여(58), 올 수 있으면 조사 결합규칙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 올 수 없으면 조사 결합규칙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FIG. 3f is a process flow chart 30 that checks whether the word satisfies the combination rule of the survey of FIG. 2, which is first checked as shown in the drawing (55). If there is no investigation, it is judged as satisfactory combination rule. If there is a search in the word, the word is checked to see if it ends with a consonant (56). If the word ends with a consonant, it is checked if the search can come after the consonant (57). At this time, if the investigation can be followed by consonants,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bination rule of the survey is satisfied. If there is a search in a word and the word in the word ends with a consonant but the search used cannot be followed by the consonant, it is judged to be dissatisfied with the rule of investigation. In addition, when there is a search in a word and the word of the word does not end with a consonant, it is checked whether the used search can come after the vowel (58), and if it can come,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rch combining rule is satisfied. Deemed dissatisfied with the Investigation Coupling Rules.

한글 조사의 경우 체언과 조사의 결합 원칙은 체언이나 조사에 따라 결정된다.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하고만 결합하는 조사로는 이, 은, 을, 과, 아 등이고,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는 가, 는, 를, 와, 고, 들, 다, 라, 랑, 며, 야, 여 등이다. 이러한 조사 결합규칙에 어긋나면 영문으로 판단된다.In the case of Hangeul investigation, the principle of combining opinions and investigations is determined by the statement or investigation. Investigations that combine only with consonants ending with consonants include silver, silver, and, ah, etc., and ending with vowels, silver, silver, and, high, field, da, la, lang, ooh, yo, etc. to be. It is judged in English if the rule of contradiction is breached.

이러한 여러 단계는 입력 단어의 한·영 판단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전환대상 단어는 조사의 사용 유무에 따라 가변적으로 지정되며, 모드의 전환은 입력 데이타의 순서에 따라 대응 영문 코드나 한글 코드로 변환하는 것이다.These steps are effectively used to judge Korean and English input words. The word to be converted is variably design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survey is used or not, an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corresponding English code or Korean code according to the order of input data.

한편, 첨부된 도면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자 단위 한·영 자동 전환 방법의 처리 순서도로서, 매키의 입력시마다 현재까지 입력된 어절의 데이타에 대하여 한·영의 자동 전환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일단, 전원이 인가되면, 관련 기능부를 초기화시키고 모드를 한글이나 영문 모드로 초기 설정한다(60). 이어, 한 글자(키)를 입력받아(61)(이때, 설명의 편의상 백 스페이스(back space)키나 좌,우 커서이동키와 같은 특수명령 실행키는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영문이나 한글키인지를 검사한다(62). 영문이나 한글키이면 한글조합을 실행한(63) 후, 현 모드가 한글 모드인지를 검사한다(64). 한글 모드로 판단되면 불필요한 쉬프트-키의 사용이 있었는지를 검사해서(65), 없었으면 한글의 필요조건이 만족되는지를 검사한다(66). 한글의 필요조건이 만족되면 글자를 입력받는 단계(61)로 리턴하고, 한글의 필요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영문자음이 4개 연속된 곳이 있는지를 검사한다(67). 이때, 영문자음이 4개 연속된 곳이 있으면, 쉬프트-키의 사용이 있었는지 검사하여(68), 있었으면 글자를 입력받는 단계(61)로 리턴하고, 4연속 자음이 없거나 쉬프트-키의 사용이 있었으면 모드를 영문으로 전환하여(69) 글자를 입력받는 단계(61)로 리턴한다. 또한, 검사 단계(65)에서 불필요한 쉬프트-키의 사용이 있었으면 모드를 영문으로 전환하고(69), 다음 글자를 입력받는 단계(61)로 리턴한다.First,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Korean and English characters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s automatic switching between Korean and English on the word data input so far each time a key is input. As shown in the figur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ce power is applied, initializes the relevant functional unit and initially sets the mode to Korean or English mode (60). Subsequently, a single letter (key) is input (61) (at this tim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a special command execution key such as a back space key or a left and right cursor movement key is not used), or an English or Korean key. The cognition is checked (62). If it is an English or Korean key, after executing the Hangul combination (63),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mode is the Hangul mode (6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gul mode is used,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unnecessary shift-key use (65), and if not, it is checked whether the Hangul requirements are satisfied (66). If the requirement of the Hangul is satisfied, the method returns to step 61 of receiving a character. If the requirement of the Hangul is not satisfied, it is checked whether there are four consecutive consonants in English (67). At this time, if there are four consecutive English consonants, it checks whether there is a shift-key use (68), and if so, returns to the step of receiving a letter (61), and there are no four consecutive consonants or the use of the shift-key. If so, the mode is switched to English (69) and the character is returned to step 61 of receiving an input. In addition, if there is unnecessary use of the shift-key in the inspection step 65, the mode is switched to English (69), and the flow returns to step 61 for receiving the next letter.

현 모드 단계에서(64) 한글 모드가 아닌 것으로, 즉, 영문 모드로 판단되면 쉬프트-키의 사용이 있었는지를 검사한다(71). 쉬프트-키의 사용이 없었으면 영문자음이 4개 연속된 곳이 있는지를 검사해서(72), 있으면 모드를 한글 모드로 전환한(73) 후 글자를 입력받는 단계(61)로 리턴한다. 이때, 쉬프트-키의 사용이 있었거나 영문자음이 4개 연속된 곳이 없으면 글자를 입력받는 단계(61)로 리턴한다.In the current mode step (64),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the Hangul mode, that is, the English mode,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shift-key used (71). If there is no use of the shift-key, it checks whether there are four consecutive consonants in the alphabet (72), and if so, switches the mode to the Hangul mode (73), and returns to step 61 for receiving letters. At this time, if there is a use of the shift-key or there are no four consecutive places of English consonants, the method returns to step 61 of receiving letters.

한편, 입력받은 한 글자가 영문이나 한글키인지를 검사하는 단계(62)에서 영문이나 한글키가 아니면 완전한 어절이 성립되었으므로 제2도의 완료 어절에 대한 판정 및 변환, 즉 제2도의 어절을 단어와 조사로 분리하는 단계부터 어절 변환 단계(22 내지 34)를 실행하고(70), 초기화하는 단계(60)로 리턴한다.On the other hand, in step 62 of checking whether an input character is an English key or a Korean key, a complete word is established if it is not an English key or a Korean key. Therefore, the word and the word of FIG. From the step of separating into irradiation, the word conversion steps 22 to 34 are executed (70),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60) of initialization.

참고적으로, 백 스페이스키의 입력은 입력중인 어절의 데이타로 간주하여 어절의 입력을 종료하지 않는다. 어절의 입력 완료를 의미하는 키는 상기의 한글 또는 영문 키와 백 스페이스키를 제외한 대부분의 키이며, 대표적인 것으로 스페이스(space) 키를 들 수 있다. 커서 이동키와 같은 특수키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어절을 종료하거나 또는 종료하지 않는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input of the back space key is regarded as the data of the word being input and the input of the word is not terminated. The key for completing the input of the word is most of the keys except for the Korean or English keys and the back space key, and the representative one is a space key. Special keys, such as cursor movement keys, can be treated as ending or not ending words,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user.

제5도는 제4도의 한글 필요조건 만족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의 상세한 처리 순서도로서, 이 검사는, 먼저, 한글 조합규칙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해서(80), 만족하면 미사용 글자가 어절에 있는지를 검사한다(81). 미사용 글자가 어절에 있지 않으면 한글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반면, 미사용 글자가 어절에 있거나, 한글 조합규칙을 만족하지 않으면 한글 필요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한글 조합규칙 만족 여부의 검사(80)는, 어절의 마지막 음절은 아직 입력중이므로 초성을 가지고 있으면 한글 조합규칙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미사용 글자의 한 예로은 현대 국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글자, 즉, 미사용 글자이다.FIG. 5 is a detailed processing flowchart of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Hangul requirement of FIG. 4 is satisfied. This check first checks whether the Hangul combination rule is satisfied (80), and if it is satisfied, the unused letter is in the word. (81). If the unused letters are not in the word,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gul requirements are satisfied. On the other hand, if the unused letters are in the word or if the Hangul combination rules are not satisfied, the Hangul requirements are not satisfied. Here, the check 80 of the satisfaction of the Hangul combination rule determines that the Hangul combination rule is satisfied if the last syllable of the word is still being input, so that it has a consonant. One example of unused letters Is a letter not used in modern Korean, that is, unus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입력되는 글자들이 한글의 필요조건을 위배하였을 때 영문의 필요조건을 만족하거나 영문단어의 가능성이 검출되면 그에 대응하는 영어 알파벳으로 전환해 주고 그 반대로 영문의 필요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입력된 알파벳에 대응되는 한글의 자모로 전환하도록 하는, 즉, 한·영 모드의 구분없이 어느 한 모드에서 한글과 영문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put characters violate the requirements of the Korean alphabet, if the English requirement is met or if the possibility of the English word is detected, the English alphabet is converted to the corresponding English alphabet and vice versa. If it does not,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alphabet of Hangul corresponding to the input alphabet, that i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rocess Korean and English in either mode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Korean and English modes,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Claims (22)

CPU와 메모리를 구비한 문서 입력 수단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절을 입력받는 제1단계; 상기 어절의 단어와 조사로 분리하는 제2단계; 상기 분리된 단어에 대하여 한·영의 판정을 수행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단어가 한글단어로 판정된 경우에는 어절을 한글로 변환하고, 상기 단어가 영문 단어로 판정된 경우에는 조사가 존재하면 상기 어절의 단어와 조사를 각각 영문과 한글로 변환하고 조사가 없으면 어절을 영문으로 변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An automatic Korean-English switching method applied to a document input means having a CPU and a memory, comprising: a first step of receiving at least one word; A second step of dividing the word and the word of the word into a word; A third step of performing a Korean-English determination on the separated word; And if the word is determined to be a Korean word, converts the word to Korean. If the word is determined to be an English word, if the word exists, the word and the word of the word are converted to English and Korean. 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comprising a fourth step of converting to Englis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어절이, 끝이 조사와 일치하는 영문 단어인지 검사하여 끝이 조사와 일치하는 영문 단어로 판단되면 어절 전체를 단어로 취급하고 조사는 없는 것으로 처리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The word processing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tep checks whether the word is an English word whose end matches the search, and if the end is determined to be an English word that matches the word, the whole word is treated as a word and no word is processed. 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comprising the fifth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분리된 단어가 한글 필요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단어를 한글로 판정하고 한글 필요조건을 불만족하면 상기 단어를 영문으로 판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step includes a fifth step of determining the word as Korean when the separated word satisfies a Hangul requirement and determining the word as English when the Hangul requirement is not satisfied. 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분리된 단어가 한글 필요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단어를 한글로 판정하고, 상기 단어가 상기 한글 필요조건을 불만족할 경우에는 영문 필요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단어를 영문으로 판정하고, 상기 영문 필요조건을 불만족하면 상기 단어를 한글로 판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step comprises determining the word as Korean when the separated word satisfies the Hangul requirement, and when the word satisfies the English requirement when the word does not satisfy the Hangul requirement. And a fifth step of determining the word in English and determining the word in Korean when the English requirement is not satisfi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단어의 영문 표현에 영문 자음이 4개 이상 연속된 곳이 없으면 상기 단어가 영문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영문 자음이 4개 이상 연속된 곳이 있으면 상기 단어가 영문 필요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fth step determines that the word satisfies the English requirements if there are no more than four consonants in the English expression of the word, and the four or more consonants are contiguous. And a sixth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word is not satisfied with the English requirem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의 영문 자음은, 영문 모음 a, e, i, o, u, A, E, I, O, U를 제외한 영문 자음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6] The Korean-English consonant of claim 5, wherein the English consonants of the sixth step mean English consonants except for the English vowels a, e, i, o, u, A, E, I, O, and U. Auto switch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의 영문 자음은 영문 모음 a, e, i, o, u, A, E, I, O, U 및 영문 자음 y, Y를 제외한 영문 자음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The English consonant of claim 6, wherein the English consonants of the sixth step mean English consonants except for English vowels a, e, i, o, u, A, E, I, O, U and English consonants y and Y. 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영문 필요조건 만족 여부 검사는, 상기 단어의 영문 표현에 영문 자음이 4개 연속된 곳이 있더라도 상기 단어가 4개의 연속된 영문 자음을 갖는 영문 단어인지 검사하여 4개의 연속된 영문 자음을 갖는 영문 단어이면 단어가 영문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판단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hecking of the requirement of satisfying the English requirement in the sixth step comprises: checking whether the word is an English word having four consecutive English consonants even though there are four consecutive English consonants in the English expression of the word. And a seventh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word satisfies the English requirements if it is an English word having four consecutive English consonants.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의 한글 필요조건은, 상기 단어가 한글 조합규칙을 만족하면, 한글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한글 조합규칙을 불만족하면 한글 필요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Hangul requirement of the fifth step is determined that the word satisfies the Hangul requirements if the word satisfies the Hangul combination rule, and dissatisfied the Hangul requirement if the word satisfies the Hangul combination rule. 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comprising the sixth step of judging.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단어가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 영문 단어인지 검사하여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 영문 단어로 판단되면 상기 단어를 영문으로 판정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third step determines whether the word is an English word that satisfies the Hangul combination rule and determines that the word is in English if it is determined to be an English word that satisfies the Hangul combination rule. 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comprising the sixth step.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단어에 불필요한 쉬프트키가 사용된 키가 있으면 상기 단어를 영문으로 판정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third step includes a sixth step of determining the word in English when a key having an unnecessary shift key is used in the word. Auto switch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키에 불필요한 쉬프트키가 사용되었는지 여부 검사는, 키에 대응되는 한글 음소가 2개 존재하지 않고 상기 키의 입력시 쉬프트 키가 함께 눌렸으면 불필요한 쉬프트키가 사용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n the sixth step, if an unnecessary shift key is used for a key, an unnecessary shift key is input if two Korean phonemes corresponding to the key do not exist and the shift key is pressed together when the key is input. 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comprising a seventh step of determining that is used.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초기화를 수행하는 제6단계; 적어도 하나의 키를 입력받는 제7단계; 현재 어절에 상기 키를 추가하는 제8단계; 및 상기 제7단계로 리턴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tep comprises: a sixth step of performing initialization; A seventh step of receiving at least one key; Adding the key to a current word; And a ninth step of returning to the seventh step.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8단계 수행 직후에, 어절에 대하여 한·영 판정을 내리는 제10단계; 및 상기 제10단계 후 모드를 전환하는 제1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tenth step of making a Korean-English determination on a word immediately after performing the eighth step; And an eleventh step of switching modes after the tenth step.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단계는 상기 제10단계에서 어절이 영문으로 판정된 경우 모드를 영문으로 전환하고, 상기 어절이 한글로 판정된 경우 모드를 한글로 전환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eleventh step includes a twelfth step of switching a mode to English when the word is determined to be English in the tenth step, and switching the mode to Korean when the word is determined to be Hangul. 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0단계는, 현 모드가 한글 모드이고 어절이 한글의 필요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어절을 한글로 판정하고, 현 모드가 영문이고 어절에 영문 자음이 4개 연속된 곳이 없으면 상기 어절을 영문으로 판정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in the tenth step, if the current mode is the Hangul mode and the word satisfies the Hangul requirements, the word is determined to be Hangul, and the current mode is English and four English consonants are consecutive to the word. And a twelfth step of determining the word in English if there is no word. CPU와 메모리를 구비한 문서 입력 수단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초기화를 수행하는 제1단계; 상기 단계 후 적어도 하나의 키를 입력받는 제2단계; 상기 입력받은 키를 검사하는 제3단계; 상기 입력받은 키가 한글 또는 영문에 대응되는 키로 판단된 경우 상기 키를 어절에 추가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후 어절에 대하여 한·영 판정을 내리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 후 모드를 전환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 후 상기 제2단계로 리턴하는 제7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입력받은 키가 한글 또는 영문에 대응되는 키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어절에 대하여 한·영 판정을 내리는 제8단계; 상기 제8단계 후 어절의 변환을 수행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제9단계 후 상기 제1단계로 리턴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An automatic Korean-English switching method applied to a document input means having a CPU and a memory, comprising: a first step of performing initialization; A second step of receiving at least one key after the step; A third step of inspecting the input key; A fourth step of adding the key to a wor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key corresponds to a key corresponding to Korean or English; A fifth step of making a Korean-English determination on the word after the fourth step; A sixth step of switching a mode after the fifth step; A seventh step of returning to the second step after the sixth step; An eighth step of making a Korean-English determination on a wor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input in the third step is not a key corresponding to Korean or English; A ninth step of performing word conversion after the eighth step; And a tenth step of returning to the first step after the ninth step.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현 모드가 한글이고 어절이 한글의 조합규칙을 만족하면 상기 어절을 한글로 판정하고, 현 모드가 영문이고 어절에 4개의 연속된 영문 자음이 존재하지 않으면 어절을 영문으로 판정하는 제11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if the current mode is Korean and the word satisfies the combination rule of Korean, the word is determined to be Korean. If the current mode is English and there are no four consecutive English consonants in the word, 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comprising the eleventh step of determining the word in English.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현 모드가 한글 모드이고 상기 제5단계에서 어절이 영문으로 판정된 경우 모드를 영문 모드로 전환하고, 현 모드가 영문 모드이고 상기 제5단계에서 어절이 한글로 판정된 경우 모드를 한글로 전환하는 제11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in the sixth step, when the current mode is the Hangul mode and the word is determined to be English in the fifth step, the mode is changed to the English mode, and the current mode is the English mode and the word is in the fifth step. And an eleventh step of switching the mode to Hangul if it is determined as Hangu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8단계는, 어절이 한글의 조합규칙을 만족하고 어절이 한글 조합규칙을 만족하는 영문 단어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어절을 한글로 판정하고, 어절이 한글 조합규칙을 만족하는 영문단어로 판단되면 상기 어절을 영문 단어로 판정하는 제11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if the word satisfies the Hangul combination rule and the word is not an English word satisfying the Hangul combination rule, the word is determined to be Hangul and the word satisfies the Hangul combination rule. And an eleventh step of determining the phrase as an English word if it is determined as an English wor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단계의 영문 자음은 영문 모음 a, e, i, o, u, A, E, I, O, U 및 영문 자음 y, Y를 제외한 영문 자음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The English consonant of claim 11, wherein the English consonants of the eleventh step means English consonants except English vowels a, e, i, o, u, A, E, I, O, U and English consonants y, Y. Korean-English automatic switching method. 제18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어절에 불필요한 쉬프트키가 사용된 키가 있으면 어절을 영문으로 판정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불필요한 쉬프트키의 사용여부 검사는, 키에 대응되는 한글 음소가 2개 존재하지 않고 상기 키 입력시 쉬프트키가 함께 눌렸으면 불필요한 쉬프트키가 사용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1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18. The method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8 to 17, wherein the fifth step includes a twelfth step of determining a word in English when there is a key used for an unnecessary shift key, and whether the unnecessary shift key is used. The inspection comprises the thirteenth step of determining that unnecessary shift keys are used when two Korean phonemes corresponding to a key do not exist and the shift keys are pressed together when the key is input. .
KR1019940027030A 1994-10-21 1994-10-21 Hangul english automatic translation method KR01234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030A KR0123403B1 (en) 1994-10-21 1994-10-21 Hangul english automatic transl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030A KR0123403B1 (en) 1994-10-21 1994-10-21 Hangul english automatic transl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316A KR960015316A (en) 1996-05-22
KR0123403B1 true KR0123403B1 (en) 1997-11-21

Family

ID=1939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030A KR0123403B1 (en) 1994-10-21 1994-10-21 Hangul english automatic transl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4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08B1 (en) * 2008-12-16 2011-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converting automatic Korean-English and devic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7041B2 (en) 2007-09-28 2010-10-20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In-vehicle fluorescent display 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08B1 (en) * 2008-12-16 2011-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converting automatic Korean-English and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316A (en)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7600A (en) Phonetic data-to-kanji character converter with a syntax analyzer to alter priority order of displayed kanji homonyms
KR100259407B1 (en) Keyboard for a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hinese language text
US6848080B1 (en) Language input architecture for converting one text form to another text form with tolerance to spelling, typographical, and conversion errors
KR970008023B1 (en) Dictionary data-base
KR20010024309A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US7328404B2 (en) Method for predicting the readings of japanese ideographs
Uthayamoorthy et al. Ddspell-a data driven spell checker and suggestion generator for the tamil language
Tufiş et al. DIAC+: A professional diacritics recovering system
EP0310049B1 (en) Document generator and correction support device
KR0123403B1 (en) Hangul english automatic translation method
JP2806452B2 (en) Kana-kanji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4283898B2 (en) Sentence proofing device
JP3952964B2 (en) Reading information determin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KR0165591B1 (en) Hangul english automatic translation method
JP4047895B2 (en) Document proofing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JPH08297663A (en)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input error
JP3814000B2 (en) Character string conversion apparatus and character string conversion method
JPH0724054B2 (en) Data processing device
JP4318223B2 (en) Document proofing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JP4047894B2 (en) Document proofing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Kawada Inputting Japanese from the keyboard
Jamwal AVL and TRIE loading time in Dogri spell checker
JPS63163956A (en) Document preparation and correction supporting device
JPS62180462A (en) Voice input kana-kanji converter
JPH0869467A (en) Japanese word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809

Effective date: 200112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204

Effective date: 2003081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903

Effective date: 2006112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06

Effective date: 2007040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117

Effective date: 2007083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928

Effective date: 2008092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005

Effective date: 20080822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18

Effective date: 2009011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1030

Effective date: 20090724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903

Effective date: 200912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