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185Y1 -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185Y1
KR0119185Y1 KR2019940032389U KR19940032389U KR0119185Y1 KR 0119185 Y1 KR0119185 Y1 KR 0119185Y1 KR 2019940032389 U KR2019940032389 U KR 2019940032389U KR 19940032389 U KR19940032389 U KR 19940032389U KR 0119185 Y1 KR0119185 Y1 KR 0119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hole
ray tube
color cathode
electr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967U (ko
Inventor
조기창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2019940032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185Y1/ko
Publication of KR960018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9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1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6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distribution of beam-passing aper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5Beam passing apertures, e.g. geometrical arrangements
    • H01J2229/0755Beam passing apertures, e.g. geometrica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aperture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66Details of skirt or bor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를 개시한다. 소정의 패턴으로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21a)이 형성된 유공부(21)와, 이 유공부(21)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무공부(22)와, 이 무공부(22)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23)를 구비하고 있는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새도우마스크의 양측이 핀 쿠션 형상으로 인입되어져 양측의 무공부(22) 폭(W)이 동일하게 형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이는 성형시 새도우마스크의 이상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제 1 도는 종래 새도우마스크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1: 유공부21a: 전자빔 통과공
22: 무공부23: 스커트부
100: 프레임
본 고안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패널의 내면에 설치되어 색선별수단을 가지는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는 패널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막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각각의 형광체층에 정확하게 랜딩되도록 하는 색선별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새도우마스크(10)는 다수의 전자빔통과공(11a)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유공부(11)와, 이 유공부(11)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무공부(1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공부(11)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11a)은 중앙부에서는 수직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지만, 양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11a)의 수직방향 배열은 셀프 콘버어젼스 타입 편향요오크의 핀쿠션 자계와 중앙과 주변부에 주사되는 전자빔 경로의 거리차에 의해 발생되는 핀 쿠션(pin cushion)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이 중앙부측으로 인입되는 핀 쿠션의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같은 새도우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공의 배열은 편향요오크의 불균일 자계에 의해 형광막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거리차이로 발생되는 라스터 패턴의 핀 쿠션현상은 방지할 수 있으나 새도우마스크의 성형시 상기 무공부(12)를 균일한 곡율로 밴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포밍되는 새도우마스크의 유공부 가장자리에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폭 즉, 무공부의 폭(W)이 일정하지 않아 새도우마스크의 표면이 균일한 곡율로 밴딩되지 못하고 국부적인 변형 또는 곡률의 왜곡이 발생되고, 나아가서는 화상의 국부가 왜곡되며 불규칙한 모아레가 발생되게 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상술한 바와같은 모아레 현상은 형광막이 형성되는 패널과 이 형광막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새도우마스크의 유공부(11)가 기하학적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패널의 전면에 형성된 새도우마스크(10)에 주사되는 전자빔이 한 주사라인에 대해 수평으로 주사되지 못하고 수평방향으로 곡선궤적을 그리며 주사되게 되므로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새도우마스크(10)의 가장자리에 국부적인 변형이 나타날 때에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특히 상기 새도우마스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11a)이 형성되지 않은 무공부(12)의 폭(W)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성형시 각 부위에서 작용하는 스프링 백현상의 차이에 의해 새도우마스크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어 새도우마스크의 본래의 기능인 색선별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새도우마스크 포밍시 국부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화상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의 패턴으로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유공부와, 이 유공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무공부, 이 무공부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구비하여 된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마스크의 양측의 스커트부가 호형으로 인입되어 양측 무공부의 폭(W)이 일정하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는 패널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막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의 색선별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제2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새도우마스크(20)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21a)이 형성된 유공부(21)와, 이 유공부(21)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길이(W) 연장되는 무공부(22)와, 상기 무공부(22)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절곡되는 스커트부(2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공부(21)의 양측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21a)의 배열패턴은 핀 쿠션형상으로 배열되고 그 양측의 무공부(22)와 스커트부(23)은 중앙부 측으로 소정의 곡률로 인입되어 핀 쿠션의 형상을 이룸으로서 양측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지 않은 무공부(22)의 폭(w)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100은 프레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는 음극선관의 패널의 내부에 지지된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어 패널 내면에 형성된 형광막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음극선관의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막에 정확하게 랜딩되도록 하는 색선별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새도우마스크는 그 양측이 중아부측으로 소정의 곡률로 인입되어 즉, 핀 쿠션의 형상으로 인입되어 양측의 무공부(22)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포밍시에 스프링백에 의해 새도우마스크가 국부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발생되는 화상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새도우마스크는 양측이 핀 쿠션타입으로 인입되어 무공부(22)가 동일 폭(w)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성형시 발생되는 스커트부(23)의 스프링 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공부(22)의 구조적 강도차이에 의하여 새도우마스크 유공부(21)의 곡률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새도우마스크의 양측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배열패턴이 핀쿠션의 형상을 이루므로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어 새도우마스크를 통과한 전자빔이 형광막의 설정된 수평주사라인에 대해 새도우마스크의 국부적인 변형에 의하여 주사궤적이 왜곡되는 곳을 방지하여 각 형광점에 정확하게 랜딩되도록 함으로써 형광막에 랜딩되는 전자빔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에 모아레 현상이 방샐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는 그 양측이 핀 쿠션의 형상으로 인입 형성되어 있으므로 새도우마스크 곡률의 이상변형을 방지하여 전자빔이 형광막에 정확하게 랜딩되지 못함에 따라 발생되는 모아레 현상 및 화상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화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소정의 패턴으로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21a)이 형성된 유공부(21)와, 이 유공부(21)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무공부(22)와, 이 무공부(22)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23)를 구비하여된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마스크의 양측의 스커트부(23)가 가운데부위가 호상으로 인입되어 양측의 무공부 폭(W)이 일정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부(21)의 양측에 수직으로 배열된 전자빔 통과공(21a)이 핀 쿠션의 형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2019940032389U 1994-11-30 1994-11-30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0119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389U KR0119185Y1 (ko) 1994-11-30 1994-11-30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389U KR0119185Y1 (ko) 1994-11-30 1994-11-30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967U KR960018967U (ko) 1996-06-19
KR0119185Y1 true KR0119185Y1 (ko) 1998-07-01

Family

ID=1940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389U KR0119185Y1 (ko) 1994-11-30 1994-11-30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1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117A (ko) * 1997-05-31 1998-12-05 엄길용 칼라수상관의 새도우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967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7496B1 (en) Tensioned shadow mask and color cathode ray tube adopting the same
US4767962A (en) Color cathode ray tube and tensible shadow mask blank for use therein
EP0774770B1 (en) Shadow mask aperture pattern for color picture tube
JP3531879B2 (ja) シャドウマスク形カラー陰極線管
US5030881A (en) Color picture tube with shadow mask having improved aperture border
KR0130026B1 (ko) 칼라 음극 선관
KR0119185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JPH0668809A (ja) カラー映像管
US5243253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shadow mask with improved tie bar grading
US5525858A (en) Color picture tube with reduced primary and secondary moire
US6614153B2 (en) Mask for color picture tube
US5689149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shadow mask with improved aperture shapes
JP3476947B2 (ja) カラー陰極線管
US6242855B1 (en) Color picture tube shadow mask having a column-to-column spacing with a pseudo-cyclic variation
EP1126500A2 (en) Cathode ray tube
KR100233189B1 (ko) 고해상도 표시장치용 섀도 마스크형 컬러 음극선관 및 음극선관 장치
KR920001981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19980057652A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EP1117120A2 (en) Cathode ray tube
KR100337868B1 (ko) 칼라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
KR200151015Y1 (ko) 칼라 음극선관
JP2791068B2 (ja) 張架シャドウマスク構体
JP3494825B2 (ja) カラー陰極線管
KR018399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JPH1064441A (ja)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