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90816A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90816A1
WO2017090816A1 PCT/KR2015/013701 KR2015013701W WO2017090816A1 WO 2017090816 A1 WO2017090816 A1 WO 2017090816A1 KR 2015013701 W KR2015013701 W KR 2015013701W WO 2017090816 A1 WO2017090816 A1 WO 20170908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uch
mobile terminal
touch area
area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7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식
심홍조
조아서
최철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
Priority to EP15909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383001B1/en
Publication of WO20170908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908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1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in the bulk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9FTIR in optical digitiser, i.e. touch detection by frustrating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within an optical waveguide due to changes of optical properties or deformation at the touch loc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maintaining a uniform brightness while recognizing a fingerprint in a glass.
  • 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mobile / 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ying. For exampl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taking a picture and video with a camera, recording a voice, playing a music file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to a display unit.
  • Some terminals have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 recent mobile terminals may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ing, video, and television programs.
  • such a terminal is a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Is being implemented.
  • a fingerprint recognition technology to the mobile terminal, the security of the mobile terminal is being strengthened, and in particular, a technology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is mainly used.
  • a sensor for recognizing a fingerprint is often provided separately from a glass in a mobile terminal, but a mobi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recognizing a fingerprint in a glass may be considered for the design and space utiliz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fingerprint of the user is composed of a valley and a floor, and a sensor having a resolution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valley and the floor has to be provided in the glass, so tha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thickness of the glass becomes thick.
  •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maintaining a uniform brightness while being able to recognize a fingerprint in the glass.
  •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first touch area for acquiring a touch operation of a user and a partial area of the first touch area, wherein the touch operation and the user's A glass including a second touch area for acquiring fingerprint information; A first touch sensor on a rear surface of the glass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uch area; A second touch sensor disposed on a rear side of the glas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touch area; A light guide plat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And a light sourc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wherein the light guide plate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body configured to propagat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a brightness of the second touch area is selected from the first touch area.
  •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ndows having different attribute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ize and a density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the glass so as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uminance outside the second touch area.
  • the plurality of windows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luminance of the light provided to the second touch sensor is greater than the luminance of the light ray provided to the outside area of the second touch sensor.
  • the second touch sensor may be stacked on the first touch senso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attributes of the plurality of windows may be discontinuously changed around the boundary of the second touch area.
  • the density of the window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second touch area among the plurality of windows may be greater than the density of the window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touch area among the plurality of windows.
  • the size of the window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second touch area among the plurality of windows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window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touch area among the plurality of windows.
  • the first window propert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area and the second window propert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are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mong the first and second windows having the sam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windows. can be different.
  • the second touch area may be located under the glass.
  • the second touch area may be positioned to contact an edge of the glass.
  •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s constituting the first touch sensor may be different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s constituting the second touch sensor.
  • the mobile terminal activates different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cond touch area, or based on the fingerprin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 area corresponding to an icon located in the second touch area.
  •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differently activating an execution mode of an application linked to the icon.
  •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fferently activate an execution mode of an application linked to the icon based on the control.
  • the mobile terminal for obtaining a user's touch operation, and is locat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touch area, the first operation to obtain the touch operation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of the user;
  • a light source position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wherein the light guide plat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that propagates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the light guide plate body, and is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the glass.
  •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positioned in the light guide plate body to scatter light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windows and the second touch region and the luminance outside the second touch region among the first touch regions.
  • the light diffusion particles may have a different spatial density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region among the inner regions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patial density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region.
  • the spatial density of the plurality of light diffusion particles may vary discontinuously around the boundary of the second touch region.
  • the spatial density at the positions of the second light diffusing particles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region may be different.
  • the fingerprint of the user can be recognized u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glass.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 and 1C are conceptual views of one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 FIG. 4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deform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5 and 4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bile terminal.
  • FIGS. 7 and 6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obile terminals of FIGS. 5 and 4, respectively.
  • 9 to 12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osition of the second touch region in the glass.
  •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in the mobile terminal of FIG. 9.
  • FIG. 16 is a view illustrating capacitance and a driving compass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llustrates signal transmission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sensing electrodes of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to 21 illustrate a structure of a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 24 to 24 illustrate light guide plates of a mobile terminal without a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 FIG. 2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density of a window in the mobile terminal of FIG. 9.
  • FIG. 2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density of light diffusing particles in the mobile terminal of FIG. 9.
  • FIG. 29 is a diagram illustrating spatial density of a lower pattern in the mobile terminal of FIG. 9.
  • FIG. 30 is a diagram illustrating spatial density of a window in the mobile terminal of FIG. 10.
  • FIG.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spatial density of light diffusing particles in the mobile terminal of FIG. 10.
  • FIG.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spatial density of a lower pattern in the mobile terminal of FIG. 10.
  • FIG.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ze of a windo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9.
  • FIG. 3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changing a state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user's finger fingerpr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which can be accessed in a locked state is changed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in which an execution mode varies depending on whether fingerprint information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7 illustrate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moving an i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operating when an icon linked to an application requiring fingerprint information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touch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3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use of fingerprint informa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a slate PC , Tablet PCs, ultrabooks,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watches, glass glasses, head mounted displays, and the like. have.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and 1C are conceptual views of one example of the mobile terminal,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ler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May be included.
  •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so a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components,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etwee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or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 Touch keys, mechanical keys, and the like.
  • the voice data or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 Optical sensors e.g. cameras 121), microphones (see 122), battery gauges, environmental sensors (e.g.
  •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herein may use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 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151, the audio output unit 152, the hap tip module 153, and the light output unit 154. can do.
  • the display unit 151 forms a layer structure with o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uch sensor, thereby implementing a touch screen.
  •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and may also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device equipped with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 I / O audio input / output
  • I / O video input / output
  • earphone port an earphone port
  •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that are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struction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call forwarding, a calling function, a message receiving, and a calling function).
  •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and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to be driven by the controller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controller 180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information or a function appropriate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ar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urthermore,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terminal body in the form of a ba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watch type, a clip type, a glass type, or a folder type, a flip type, a slide type, a swing type, a swivel type, and two or more bodies which are coupled to be movable relative.
  • a description of a particular type of mobile terminal may generally apply to other types of mobile terminals.
  • the terminal body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refers to the mobile terminal 100 as at least one aggregate.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case (eg, a frame, a housing, a cover, etc.)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s show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a case eg, a frame, a housing, a cover, etc.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terminal body to output information. As shown,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mounted to the front case 101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gether with the front case 101.
  • an electronic component may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 Electronic components attachable to the rear case 102 include a removable battery, an identification module, a memory card, and the like.
  • the rear cover 10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to cover the mounted electronic component. Therefore, when the rear cover 103 is separated from the rear case 102, the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ar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rear cover 103 when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may be exposed. In some cases, the rear case 102 may be completely covered by the rear cover 103 during the coupling. On the other hand, the rear cover 103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posing the camera 121b or the sound output unit 152b to the outside.
  • the cases 101, 102, and 103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TS), aluminum (Al), titanium (Ti), or the like.
  • STS stainless steel
  • Al aluminum
  • Ti titanium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case may provide the internal space, unlike the above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cases provide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unibody that the synthetic resin or metal from the side to the rear may be implemented.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proof portion (not shown) to prevent water from seeping into the terminal body.
  • the waterproof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or between the rear case 102 and the rear cover 103, and a combination thereof. It may include a waterproof member for sealing the inner space.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51,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nce sensor 142, an optical output unit 154, and first and second units.
  • the cameras 121a and 121b,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the microphone 122, the interface unit 160,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 the display unit 151,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the proximity sensor 141, the illuminance sensor 142, and the light output unit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 the first camera 121a and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are disposed,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b, the microphone 122, and the interface unit 160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 the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and the second camera 121b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may not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instead of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user interface (UI)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 UI user interface
  •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display, a 3D display, or an e-ink display.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 display a 3D display, or an e-ink display.
  •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on the display unit 151 so as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by a touch method.
  • the touch sensor may sense the touch, and the controller 180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e touch sensor.
  •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or menu items that can be indicated or designated in various modes.
  • the touch sensor is formed of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display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or directly patter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May be Alternatively, the touch sens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provided in the display.
  • the display unit 151 may form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touch sensor.
  •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the user input unit 123 (see FIG. 1).
  • the touch screen may replace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 call sound to the user's ear,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a loud speaker for outputting various alarm sounds or multimedia reproduction sounds.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 a sound hole for emitting sound generated from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formed in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ound may be configured to be emitted along an assembly gap between the structures (for example, a gap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 an externally formed hole may be invisible or hidden for sound output, thereby simplify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light output unit 154 is configured to output light for notifying when an event occurs. Examples of the event may includ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 alarm, schedule notification, email reception,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and the like.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154 to end the light output.
  • the first camera 121a processes an image frame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a shooting mode or a video call mode.
  •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s an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123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have.
  •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adopt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manner such as touch, push, scroll, and the like while the user is tactile.
  •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employ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are operated without a tactile feeling by the user through proximity touch, hovering touch, or the like.
  •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is illustrated as being a touch ke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may be a mechanical key or a combination of a touch key and a push key.
  • the contents input by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variously set.
  •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receives a command such as a menu, a home key, a cancellation, a search, etc.
  •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b is output from the first or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 the user may receive a command such as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ound and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 a rear input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 the rear input unit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put contents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commands such as power on / off, start, end, scroll, etc., control of the volume of sound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nd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Commands such as switching can be received.
  • the rea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input by touch input, push input,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ront display unit 15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 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upper end of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index body when the user grips the terminal body with one han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input unit may be changed.
  • the rear input unit when the rear input un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body, a new type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may be implemented.
  • the touch screen or the rear input unit described above replaces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is not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with a larger screen.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and the controller 180 may use fingerprint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s an authentication means.
  •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may be embedded in the display unit 151 or the user input unit 123.
  • the microphone 122 is configured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 the microphone 122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configured to receive stereo sound.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 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device (eg, an earphone or an external speaker),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or a Bluetooth port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or the like, or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 UIM user identity module
  • the second camera 121b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this case, the second camera 121b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 the second camera 121b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line.
  •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at.
  • Such a camera may be referred to as an array camera.
  • the second camera 121b is configured as an array camera, images may be photographed in various ways us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images of better quality may be obtained.
  • the flash 12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 the flash 124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21b.
  •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terminal body.
  •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 the terminal body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antenna may be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formed in the case.
  • an antenna that forms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fer to FIG. 1) may be configured to be pulled out from the terminal body.
  • the antenna may be formed in a film ty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rear cover 103, 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cas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functions as an antenna.
  • 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90 (see FIG. 1)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attery 191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detachably configured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 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60.
  • 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enable wireless charging through a wireless charger.
  •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implemented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resonance method (magnetic resonance method).
  •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to cover the battery 191 to limit the detachment of the battery 191 and to protect the battery 191 from external shock and foreign matter.
  • the rear cover 10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 An accessory may be ad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o protect the appearance or to assist or expand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n example of such an accessory may be a cover or pouch that covers or accommodate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ver or pouch may be configured to be linked with the display unit 151 to expand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nother example of the accessory may be a touch pen for assisting or extending a touch input to a touch screen.
  •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splayed using a flexible display.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FIG. 4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deformable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unit 251 may b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 the de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bending, bending, folding, twisting, and curling of the display unit 251.
  • the deformable display unit 251 may be referred to as a flexible display unit.
  •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may include both a general flexible display, an electronic paper, and a combination thereof.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the featur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S. 1A to 3 or similar features.
  • a general flexible display is a light and durable display that is fabricated on a thin and flexible substrate that can be bent, bent, folded, twisted or curled like a paper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 electronic paper is a display technology to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ink are applied, and the use of reflected light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a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 Electronic paper can change information using twist balls or electrophoresis using capsules.
  •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is flat.
  • the display area may be a curved surface.
  •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second state may be visual information output on a curved surface.
  • Such visual information is implemented by independently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a sub-pixel disposed in a matrix form.
  • the unit pixel refers to a minimum unit for implementing one color.
  •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may be placed in a bent state (eg, bent vertically or horizontally) instead of being flat in the first state. In this cas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may be deformed into a flat state (or less curved state) or more curved state.
  •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may be combined with a touch sensor to implement a flexible touch screen.
  • the controller 180 (refer to FIG. 1) may perform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 the flexible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input not only in the first state but also in the second state.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provided with deform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 deformation detection means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40 (see FIG. 1).
  • the deformation detecting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or the case 201 to sense information related to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may include a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is deformed, a degree of deformation, a deformation position, a deformation time, and an accelera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251 is restored.
  • due to the bending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may be a variety of information that can be detected.
  • the controller 180 changes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or changes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detected by the deformation detecting means. It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 case 201 for accommodat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 the case 201 may b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together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by an external force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 the battery (not shown)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together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by an external force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 a stack and folding method in which battery cells are stacked up may be applied.
  • the stat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is not limited only by external force.
  •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may be transformed into the second state by a command of a user or an applica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faces the front in the Z-axis direction
  • the Y-axis direction represents the upp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X-axis direction represents the right side of the mobile terminal.
  •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glass 300, a first touch sensor 402, a second touch sensor 404, a light sheet 420, a light guide plate 430, a reflective sheet 440, a frame 500, It may include a back cover 510, and a PCB 520.
  • the first touch sensor 402 may receive a user's touch
  •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obtain a user's fingerprint.
  • a swipe method and a static / area method may be considered.
  • the PCB 5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402 and 404 to receive a touch and a fingerprint from a user. As shown in FIGS. 5A and 3B, the first touch sensor 402 and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have overlapping regions.
  • the first touch sensor 402 and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be formed separately as shown in FIG. 5.
  • the thickness between the light guide plate 430 in the glass 300 may vary along the length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touch sensor 402 and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thickness between the glass 300 and the light guide plate 430 may be consta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
  • the glass 300 constitutes a screen, and the light guide plate 430 receives a light ray from a light source (not shown) and provides the light to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402 and 404. Light rays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402 and 404 are emitted to the glass 300.
  • the light sheet 420 may be located between the light guide plate 430 and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402 and 404.
  • the reflective sheet 440 may reflect the light beams from the light guide plate 430 toward the rear surface (negative direction of the Z axis) to be directed to the glass 300.
  •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light source 410 for providing light to the light guide plate 430 and a mirror 411 for reflecting light.
  • the light guide plate 430 itself does not provide light.
  • the light guide plate 430 receives light from the light source 410, and a portion of the light ray injected into the light guide plate 430 is directly directed to the glass 300, and the other light rays are reflected inside the light guide plate 430.
  •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402 and 404 are directed.
  •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is higher than that of air, light rays directed toward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critical angle are totally reflected and travel inside the light guide plate 430. In this manner, light rays travel from the light source 410. Light rays direc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430 to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402 and 404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touch sensor 402 and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be formed separately as shown in FIG. 7. In this case, the thickness in the Z direction may vary along the Y axis.
  • the first touch sensor 402 and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 8. In this case, the thickness in the Z direction along the Y axis may be constant.
  • the density of the sensing electrode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402 and 402. Differences can occur. The difference in density of the sensing electrodes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cause a non-uniform amount of light provided to the glass 300 when the amount of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430 to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402 and 404 is uniform. have.
  • the display area 300 may include a second touch area 320 and a first touch area 330.
  • the first touch area 330 may acquire a touch input of the user.
  • the second touch area 320 may obtain a fingerprint print of the user.
  • the second touch area 320 is below the display area 300, it may be convenient when the user handles the mobile terminal with one hand. In particular, it may be convenient when the thumb of the user is registered in the mobile terminal.
  • FIG. 10 illustrates a second touch area 320 positioned below the glass 300 but not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edges.
  • the second touch area 320 when the second touch area 320 is below the display area 300, the user may easily recognize the fingerprint with his or her thumb.
  • the second touch area 320 is illustrated in FIG. 10. Is located on the glass 300, there may be no inconvenience for the user to use the fingerprint.
  • the width of the second touch area 320 is reduced, the volum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reduced.
  • FIG. 11 illustrates a second touch area 320 positioned below the glass 300 and in contact with the right edge.
  • the second touch area 320 is disposed under the right side of the glass 300 to enhance the user's convenience and improve technical implementation. Can be.
  • the second touch area 320 may be disposed below the left side of the glass 300. In this case, convenience can be provided to a left-handed user.
  • FIG. 12 illustrates a second touch region 320 positioned at a side edge of the glass 300
  • FIG. 13 illustrates a second touch region 320 positioned above the display region 300 in the glass 300.
  • the second touch region 320 occupies at least a portion of the glass 300, but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the edge 310 of the glass. Sinc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touch region 320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touch region 330, implementing the second touch region 320 in contact with the edge 310 may be performed at the center of the glass 300. It may be technically easy to implement.
  • FIG. 14 illustrates a second touch area 320 provided as a separate glass 370.
  • the independent panel 370 means that the glass 300 is driven by a separate control.
  • the glass 300 is formed as a rectangular panel, while the independent panel 370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glass 300 and has a trapezoidal shape.
  • the glass 300 may be activated and deactivated, but the independent panel 370 may be always maintained in an activated phase.
  • the mobile terminal may be activated by recognizing the fingerprint by the user using the independent panel 370 while the glass 300 is inactivated. .
  •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in the mobile terminal of FIG. 9.
  • the second touch area 320 may recognize the user's fingerprint as well as the user's touch.
  • the user's fingerprint (finger print) should have a closer resolution than the gap between the valley and the ridge, so the transmission line (Tx-line, 406) and the receiving line (Rx-line,
  • the density of 408 may be required to be higher than the density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reception line in the first touch region 330.
  • the transmission line 406 and the reception line 408 of the first touch sensor 402 and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have a shape of a line segment.
  • the transmission line 406 and the reception line 408 may be referred to as sensing electrodes.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s constituting the first touch sensor 402 may be different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s constituting the second touch sensor 404.
  •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402 and 404 may detect a touch, and may use a principle in which capacitance between the transmission line 406 and the reception line 408 vari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touch is made. have. Since the density of the sensing electrode constituting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be required to be higher than the density of the sensing electrode constituting the first touch sensor 402, as shown in FIG. The capacitance at the touch sensor 404 may be higher than the capacitance at the first touch sensor 402. That is, C2 may be higher than C1. Therefore, the drive pulse intensity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line 406 of the second touch sensor 404 is the transmission line of the first touch sensor 402 as shown in FIG.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driving pulse strength transmitted to 406. That is, V2 may be higher than V1.
  • the density of the sensing electrode constituting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be higher than the density of the sensing electrode constituting the first touch sensor 402. Therefore, a time interval for transmitting signal from the second touch sensor 404 to the transmission line 406 is, as shown in FIG. 17, from the first touch sensor 402 to the transmission line 406. It may be smaller than the interval at which the signal is transmitted.
  • the density of the sensing electrode constituting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be three times higher than the density of the sensing electrode constituting the first touch sensor 402.
  • Tx-line1 and Tx-line2 indicate the transmission line 406 in the first touch sensor 402.
  • Tx-line1,1 to Tx-line1,3 are transmission lines 406 in the second touch sensor 404 but are transmission lines 406 corresponding to Tx-line1.
  • Tx-line2, 1 to Tx-line2, 3 are transmission lines 406 in the second touch sensor 404, but are transmission lines 406 corresponding to Tx-line2. That is, in FIG.
  • the interval of the transmission line 406 of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be three times smaller than the interval of the transmission line of the first touch sensor 402.
  • the second touch sensor in order to obtain an input in the same cycle.
  • the transmission time T2 allocated to each transmission line 406 of 404 may be three times less than the transmission time T1 allocated to each transmission line 406 of the first touch sensor 402. That is, T1 may be three times T2.
  • the second touch sensor 404 Since the second touch sensor 404 has to change and transmit a signal more frequently than the first touch sensor 402, it may consume more power than the first touch sensor 402. Therefore, it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to operate the second touch sensor 404 only when necessary.
  • the first touch sensor 402 Since the first touch sensor 402 has a portion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area 320, it may be detected whether the user touches the second touch area 320 through the first touch sensor 402. hav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econd touch area 320 is touched, the second touch sensor 404 in an inactive state may be activated.
  • the glass may be used as the second touch area 320, but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transmission line 406 and the reception line 408 becomes too large, which may increase the volume of the mobile terminal itself. Therefore, a case in which separate transmission lines and receiving lines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touch area 320 may be considered.
  • the first touch sensor 402 is formed by installing the transmission line 406 and the receiving line 408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uch area 330, and a separate transmission line to correspond to the second touch area 320 (
  •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be formed by installing the 406 and the receiving line 408.
  • the transmission line 406 and the reception line 408 constituting the first touch sensor 402 and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have a diamond pattern.
  • the first touch sensor 402 may correspond to the first touch area 330, but may have 12 transmission lines 406 and 9 reception lines 408. .
  • each of the transmission line 406 and the receiving line 408 may have a diamond or rhombus pattern.
  • the second touch sensor 40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touch sensor 40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8,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s 406 or receiving lines 408 inside each diamond pattern formed in the first touch sensor 402, the second touch sensor 404 is provided. I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touch sensor 402.
  • FIG. 19A and 19B illustrate a thickness direction (Z-axis) of a region outside the second touch region 320 and the second touch region 320 among the first touch regions 330 in the mobile terminal of FIG. 5.
  • Direction from the glass 300 to the light sheet 420, respectively.
  • FIG. 19C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touch region 320 from the glass 300 to the light sheet 4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6.
  • An outer region of the second touch region 320 of the first touch region 330 includes a glass 300, a first touch sensor 402, and an optical sheet 420 to form a thickness.
  • the second touch area 320 may include the glass 300 and the first touch as illustrated in FIG. 19B.
  • the sensor 402, the second touch sensor 404, and the light sheet 420 are included to form a thickness.
  • the second touch area 320 may include the glass 300 and the first touch as illustrated in FIG. 19C.
  • the sensor 402 and the light sheet 420 are included to form a thickness.
  • the second touch area of the first touch area 330 ( If the thickness of the outer region is D1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touch region 320 is D2, D2 may be thicker than D1 due to the thickness of the second touch sensor 404. Therefore, the thickness toward the Z axis in the LGP may not be uniform. In the case of using a light guide plate on the premise that the thickness of the light guide plate toward the Z axis is uniform, since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area 320 may be thicker than the remaining areas, the second touch area 320 is darker than the remaining area. Can be seen.
  • the thickness of the first touch area 330 and the second touch area 33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ll thicknesses are D3 and are the same. However, among the first touch regions 330, the density of the first touch sensor 402 corresponding to the outer region of the second touch region 320 is equal to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region 320. 402, 404 may be smaller than the density. Therefore, when the existing light guide plate is used, the second touch region 320 may appear darker than the remaining regions.
  • the light guide plate 430 illustrated in FIG. 20 may include a light guide plate body 431 and a window 433.
  • a light source 410 may b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to provide light to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lass and may receive and reflect a light beam from the light source 410 to propagate. Sinc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is larger than that of air,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rays propagating inside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may be totally reflected.
  • the window 433 may be formed on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but may b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glass.
  • the window 433 may have a shape of a protrude projecting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as shown in FIG. 21A, or the light guide plate body as shown in FIG. 21B. It may have a shape of a hole in which a space is formed from the surface of the 431.
  • the window 433 may be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protrusions and holes.
  • the window 433 may form a wall extending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toward the glass, and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 the angle of the wall can be called a.
  • the angle a can be divided into an acute angle, a right angle, and an obtuse angle.
  • the window 433 may be in the shape of a column. If a cross section is the cause, it can be a cylinder. If the angle a is obtuse and the cross section is the cause, the window 433 can be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 the window 433 may be shaped as an inverted truncated cone as shown in FIG. Sinc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window 433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window 433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ngle a.
  • the window 433 may have a shape of a hole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and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 a wall having a shape extending inwardly may be formed, and the angle betwee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and the extension line of the wall may be a. Sinc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window 433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window 433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ngle a.
  • an angle a between the extension line of the wall and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may vary depending on the direction.
  • the angle a may be formed at an obtuse angle, and in the case of a wall far from the light source 410, the angle a may be formed at an acute angle.
  • the amount of light provided to the glas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410.
  • the light beam When a light beam propagating in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enters the window 433, the light beam may have an injectio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and thus may be transmitted without total reflection. Light rays transmitted through the window 433 may travel toward the glass.
  • the light guide plate 430 may includ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in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may reflect the light rays but simultaneously form the reflected light rays in various directions.
  •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may be formed in plural.
  •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may be a polymer, and in particular, may be polystyrene.
  •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may have a uniform distribution in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and may have a nonuniform distribution in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 the light guide plate 430 may include a window 433 on a surface facing the glass 300, and a plurality of windows 433 may be formed and uniformly distributed.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may vary along the Y axis. When the windows 433 are uniformly distributed, the spatial density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may be adjusted to make the light amount provided to the glass 300 by the light guide plate 430 uniform. Even when the window 433 is not uniformly distributed, the spatial density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may be adjusted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provided to the glass 300 in the light guide plate 430.
  • FIG. 23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ght guide plate 430 may include a lower pattern 436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facing the reflective sheet 440.
  • the lower pattern 436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and may be formed in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 the lower pattern 436 may have a conical shape, as shown in FIG. 23.
  • the shape of the lower pattern 436 may be in the shape of a column parallel to the X axis, and the cross-section may be triangular, rectangular, trapezoidal, circular and elliptical.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pattern 436, the pattern reflected by the light incident on the lower pattern 436 may vary.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may be uniformly formed, and may be formed unevenly along the Y axis. Depending on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amount of light provided to the glass 300 may vary.
  • the amount of light provided to the glass 300 by the light guide plate 430 may be uniform by adjusting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Even when the windows 433 are not uniformly distributed,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may be adjusted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provided to the glass 300 in the light guide plate 430.
  • the shapes of the plurality of windows 433 are all constant and may vary in density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If there is no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glass and the touch sensor are stacked may have a uniform thickness.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luminance of the light rays provided to the glass may be lower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Y-axis distance).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increases, the density of the window 433 may be increased.
  • the spatial density of the window 433 may increase according to the Y-axis distance.
  • FIG. 24B illustrates a graph of FIG. 24A.
  • the spatial density of the window 433 may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distance on the Y axis.
  •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may be distributed as shown in FIG. 25A.
  • the windows 433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may be uniformly distributed, and even if unevenly distributed, the luminance of light rays provided to the glass may be uniformed by adjusting the spatial density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Can be.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may vary depending on the Y-axis distance, as shown in FIG. 25B. As the distance on the Y-axis increases, the spatial density of the light diffusion particles 434 may increase. In the case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including the lower pattern 436, the lower pattern 436 may be distributed as shown in FIG. 26A. By adjusting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the luminance of the light rays provided to the glass may be adjusted.
  • the shape of the lower pattern 436 may be a cone, and may be a truncated cone or a polygonal pyramid.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may vary depending on the Y-axis distance, as shown in FIG. 26B. As the distance on the Y-axis increases,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may increase.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may vary along the X-axis image.
  • the lower pattern 436 may be dispos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or to cross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FIG. 2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tial density of a windo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9.
  • the second touch region 320 is located under the glass.
  • the shapes of the plurality of windows 433 may be the same.
  • the luminance of the light rays provided in the region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region 320 is the luminance of the rays provided in the region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region 330. By making it higher, the brightness
  •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window 433 is the distribution of the window shown in FIG. 24.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pattern. As shown in FIG. 27A, the spatial density of the window 433 formed in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region 320 among the areas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is far from the light source. Can be increased along the Y axis.
  •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may be discontinuously changed in the direction of looking toward the glass from the light guide plate 430 or the density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Can change discontinuously. That is, the luminance of light rays provided to the glass may be discontinuous at a point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of the second touch region 320. Since the luminance of light rays provided to the glass may depend on the density of the window 433, the density of the window 433 is discontinuously changed at the point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of the second touch area 320. can do.
  • the non-window area may be defined as the area of the window 433 per unit area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at one point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 the specific window area may depend on the size and density of the window 433.
  • a method of changing the non-window area a method of changing the density of the window 433 while keeping the shape of the window 433 constant, and changing the size of the window 433 while keeping the density of the window 433 constant.
  • a method of simultaneously changing the density and size of the window 433 may be considered.
  • the density of the window 433 may correspond to the specific window area of the window 433. Therefore, as shown in FIG. 27A, the non-window area increases when it moves away from the light source, but at a point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touch region 320 and the first touch region 330. It can change discontinuously.
  • the density or non-window area of the window 433 at the boundary of the second touch area 320 may be examined.
  • One point overlapping the first touch area 330 among the boundaries of the second touch area 320 is the first point 340, and the second touch area 320 adjacent to the first point is the second point 350.
  • the third point may be a point of an outer area of the second touch area 320 among the first touch areas 330 adjacent to the first point.
  • the density dnst2 of the window 433 at the second point 350 is the density dnst3 of the window 433 at the third point 360. May be greater than).
  • the non-window area at the second point 350 may be larger than the non-window area at the third point 360.
  •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window 433 may be different from the window distribution pattern of FIG. 24B.
  • the light guide plate 430 may be discontinuously changed at a point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a point overlapping the first touch area 330 among the boundaries of the second touch area 320.
  • the density or non-window area of the window 433 is continuously increased, whereas in FIG. 27, the density or non-window area of the window 433 is increased or decreased. And tends to increase.
  • FIG. 2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ensity of light diffusing particles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9.
  • the second touch region 320 is located under the glass.
  • the window 43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 the windows 433 may be uniformly distributed.
  •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may have spatial density along the Y axis as shown in FIG. 28A in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 the thickness or density of the first, second, and touch sensors may be discontinuously chang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430 toward the glass.
  • the luminance of the light rays provided to the glass by the light guide plate 430 may be discontinuous. Therefore, the spatial density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at the point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of the second touch area 320 may be reduced.
  • the brightness of the light beam provided to the glass in the light guide plate 430 may be adjusted.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may be represented graphically as shown in FIG. 28B.
  • FIG. 28B shows a graph of FIG. 28A along the Y axis.
  • the spatial density dnst1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at the first point 340 may be greater than the spatial density dnst2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at the second point 350.
  • dnst2 may be greater than the spatial density dnst3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at the third point 360.
  • FIG. 29 is a diagram illustrating spatial density of a lower pattern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9.
  • the second touch region 320 is located under the glass.
  • the window 43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 the windows 433 may be uniformly distributed.
  • the lower pattern 436 may have a spatial density along the Y-axis as shown in FIG. 29A in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or on on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body 431.
  • the thickness or density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sensors may be discontinuously chang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430 toward the glass at the boundary of the second touch area 320 along the Y axis, and thus light rays provided to the glass.
  • the luminance of may be discontinuously distributed in space.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may be graphically represented as shown in FIG. 29B, and the spatial density dnst1 of the lower pattern 436 at the first point 340 is determined as the second. It may be larger than the spatial density dnst2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6 at the point 350, and dnst2 may be greater than the spatial density dnst3 of the lower pattern 436 at the third point 360. .
  • FIG. 30 is a diagram illustrating spatial density of a window in the mobile terminal of FIG. 10.
  • the shapes of the plurality of windows 433 may be constant.
  • the second touch region 320 is positioned under the glass, but is positioned at the cent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X-axis directions).
  • the spatial density along the A-A direction is shown in FIG. 30B, and the density along the B-B direction in FIG. 10 is shown in FIG. 30C.
  • an area enclosed by a dotted line is an area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area 320. That is, the dotted line is a line on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touch region 330 among the boundaries of the second touch region 320.
  • the spatial density or non-window area of the window 433 may increase continuously away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second touch region 320 and the first touch region 330 may be increased. Discontinuous changes may occur at points on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 the density pattern of the window 433 along the Y axis is similar to the density pattern shown in (b) of FIG. If the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the Y axis starts to the dotted line in the Y axis direction is V1 and the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the Y axis starts to the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is V2, the density of the window 433 is It increases to V1, but discontinuously or decreases at V1, and again has a pattern that increases to V2.
  • the density pattern of the window 433 along the X-ax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shown in (c) of FIG.
  •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where the X axis meets the dotted line in the X axis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H1 and H2, and the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the X axis starts to the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in the X axis direction.
  • H3 the density of the window 433 is kept constant along the X-axis direction but is constant after a sudden increase or discontinuous increase in H1, and then a sudden decrease or discontinuity in H3. Decrease.
  • the density of the windows 433 in the intervals [0, H1), (H1, H2), and (H2, H3) is not constant and may have a pattern of increasing or decreasing.
  • the spatial density of 433 is characterized in that (c) of FIG. 30 in that a sharp increase or a discontinuous increase in H1, a sharp decrease or a discontinuous decrease in H2.
  • the density dnst2 of the window 433 at the second point 350 is the density dnst3 of the window 433 at the third point 36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 the non-window area at the second point 35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on-window area at the third point 360.
  • FIG.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ensity of light diffusing particles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0.
  • the shapes of the plurality of windows 433 may be constant and may be uniformly distributed.
  • an area enclosed by a dotted line is an area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area 320. That is, the dotted line is a line on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touch region 330 of the boundary of the second touch region 320.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ight diffusion particles 434 may increase continuously when away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second touch region 320 and the first touch region 330 may be increased. Discontinuous changes may occur at points on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 the spatial density pattern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is similar to the density pattern shown in FIG. 28B.
  •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The density may increase to V1, but may have a pattern that discontinuously or decreases at V1 and again up to V2.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remains constant along the X-axis direction but is constant after a sudden increase or discontinuous increase in H1, and then again in H3. Decrease or discontinuous reduction.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in the intervals [0, H1), (H1, H2), and (H2, H3) is not constant and slightly increases or decreases (quasi). 31.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ight diffusing particles 434 may be increased or discontinuously increased in H1, and abruptly or discontinuously decreased in H2. c) features.
  • FIG.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density of lower patterns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0.
  • the shapes of the plurality of windows 433 may be constant and may be uniformly distributed.
  • an area enclosed by a dotted line is an area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area 320. That is, the dotted line is a line on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touch region 330 of the boundary of the second touch region 320.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may continuously increase when away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second touch area 320 and the first touch area 330 may be separated. It may change discontinuously at a point on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is similar to the density pattern shown in FIG. 29B.
  • the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increases up to V1, but discontinuously decreases or abruptly decreases at V1, and may have a pattern increasing again up to V2.
  •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may be viewed along the X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2C,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remains constant along the X-axis direction but may be constant after a sudden increase or discontinuous increase in H1 and then again in H3. Decrease or discontinuous reduction can be made. In FIG. 32C,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in the sections [0, H1), (H1, H2), and (H2, H3) is not constant, but slightly increases or decreases (quasi ⁇ ). (c) of FIG. 32 in that the spatial density of the lower pattern 436 increases abruptly or discontinuously in H1 and decreases abruptly or discontinuously in H2. There is a characteristic of.
  • FIG.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ze of a windo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9.
  • the second touch region 320 is located under the glass.
  • the density of the window 433 is kept constant in the region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but the size of the window 433 may vary. As the size of the window 433 increases, the amount of light rays provided to the glass through the window 433 may increase.
  • the size of the window 433 may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region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region 320 increases in the Y-axis direction.
  • the size of the window 433 increases.
  • the size of the window 433 may be discontinuously changed at the point of the light guide plate 430 corresponding to one point overlapping the first touch area 330 among the boundaries of the second touch area 320.
  • the second touch area 320 and the first touch area 330 are located outside the second touch area 320.
  • the size of the window 433 may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Y-axis direction increases.
  • the size of the window 433 may be suddenly reduced or discontinuously at a point corresponding to one point overlapping with the first touch area 330 among the boundaries of the second touch area 320.
  • the mobile terminal 800 may acquire a fingerprint of the user 700 through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glass.
  • 3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changing a state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user's finger fingerpr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may activate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obtained by obtaining the fingerprint information of the user 700 through the second touch sensor during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700 through the first touch sensor. For example, if the user 700 maintains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ouching the second touch area while the mobile terminal 800 is inactivated,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fingerprint of the user 700 and the mobile terminal 800. It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activating.
  • the controller may be the controller 180 of FIG. 1.
  • the controller may be mounted on the PCB 520 illustrated in FIGS. 3 to 6.
  • the controller may recognize the user's fingerprint to determine whether to activate the mobile terminal 800.
  • the controller may acquire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t the end point of the touch opera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first touch of the user 700 and prepares to acquire the fingerprint of the user 700, and acquires the fingerprint from the user 700 at the second touch of the user 700 to obtain the mobile terminal 800. Or you can activate a specific application.
  • FIG. 3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accessible in a locked state is changed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800 is locked, and the mobile terminal in the locked state may execute an application with less security such as a camera application.
  • an application for example, a gallery application
  • the user 800 may use fingerprint recognition.
  • the controller may acquire the fingerprint of the user 700 to identify the user 700. have. If the controller acquires and authenticates the fingerprint of the user 700, the camera application may be executed. However, if the acquired fingerprint is not authenticated,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icon 820 linked to the camera application to the icon 830 linked to the gallery application in the locked state as illustrated in FIG. 35B. That is, different applications may be activated according to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cond touch area 320. Here, different applications may be associated applications. For example, it may be a close application such as a camera application and a gallery application. As the application accessible in the lock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s changed by the fingerprint information of the user 700, when the user 700 touches an icon 830 linked to the gallery application, for example, FIG. As shown in c), the gallery application can be executed immediately.
  • the execution mode may be different when the input is obtained through the first touch area 330 and when the input is obtained through the second touch area 330.
  • the first touch area 330 when an input for executing a music execution applic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first touch area 330, as shown in FIG. 36A, only music file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800 may be played. Can be.
  • the controller when an input for executing the music execution applic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second touch area 320, as shown in FIG. 36B, the controller may not only play the music file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800. It may be possible to purchase a sound source in an on-line sound source market or to edit a music file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800.
  • Fingerprin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cond touch area 320 may be considered to be authenticated or not authenticated.
  • the control unit may execute a purchase of a sound source requiring identification of the user 700, and the like. The mode can be activated.
  • the controller may play a music file for which the identity of the user 700 is not required as shown in the right figure of FIG. You can activate this possible run mode. That is, the controller may differently activate the execution mode of the application linked to the icon according to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icon located in the second touch area 320.
  • the controller may drag-and-drop an icon 850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touch area 320 of the first touch area 330 to the second touch area 320.
  • To obtain a first input That is, the user 700 may drag-and-drop the icon 850 to the second touch in the first touch area 330 outside the second touch area 320 as shown in FIG. 37A. It may move to the inside of the region 320.
  • the controller may activate an application linked to the icon 850 according to the fingerprin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icon 850 located inside the second touch area 320. That is,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execution mode of the application linked to the icon according to whether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cond touch sensor 404 is authenticated.
  • the controller may drag-and-drop an icon 850 positioned in the second touch area 330 to an outer area of the second touch area 320 of the first touch area 330.
  • a second input for positioning can be obtained. That is, the user 700 may move the icon 850 from the second touch area 32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touch area 330 by dragging and dropping, as shown in FIG. 37B. Can be.
  • the controller may activate an application linked to the icon 850 by an input acquired through the first touch sensor 402.
  • the icon 850 linked to the application requesting the fingerprint should be located in the second touch area 320, but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icon 850 is located in the first touch area 330 outside the second touch area 320. .
  • the controller changes the color or brightness of the second touch area 320 while generating an alarm sound, and changes the fingerprint input of the user 700. Can be induced.
  • the icon 850 linked to the application requesting the fingerprint is located in the first touch area 330 outside the second touch area 320, and the user 700 recognizes this, but the icon 850 is recognized as the second touch area ( Consider a case where the execution is not to move to 320).
  • the controller may acquire fingerprint information through, for example, a drag-and-hold. That is, if the user 700 maintains the icon 850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dragging the icon 850 to the second touch area 320, the controller may provide fingerprint information of the user 700 through the second touch sensor 404. Can be obtained.
  •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terminal may acquire fingerprint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ouch sensor 404 (S10).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locked (S20).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locked state, it is a matter of whether the fingerprint obtained from the second touch sensor 404 is certified (S30). When the obtained fingerprint is authenticated, the controller may activate the mobile terminal to the owner home screen that can be used by the owner of the mobile terminal (S40). On the other hand, if the acquired fingerprint is not authenticated, the controller may activate the mobile terminal to the guest home screen that can be used by anyone (S50).
  •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icon linked to the application is touched (S60).
  • the icon is touched, whether or not the fingerprint obtained from the second touch sensor 404 is authenticated (S70) is a problem. If the acquired fingerprint is authenticated, the controller may allow the application linked to the icon to be executed without limitation (S90).
  • the controller may cause the application linked to the icon to be executed with a limit (S80).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terminal itself can be locked so that the specific function of the app is executed in a restricted state, the execution of the app itself is restricted, or access to the terminal is restricted.
  • the controller may discar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econd touch area 404 and wait for the next signal input.
  •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s (HDDs), solid state disks (SSDs), silicon disk drives (SDDs), ROMs, RAMs, CD-ROM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This also includes implementations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computer may include the controller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획득하는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1 터치영역의 일부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제2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상기 제1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1 터치센서; 상기 제2 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2 터치센서; 상기 제1,2 터치센서의 후면에 위치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한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전파하는 도광판본체와,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휘도(brightness)가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도광판본체의 상기 글래스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되, 크기와 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이 상이한 복수의 윈도우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휘도(brightness)를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본 발명은 글래스에서 지문을 인식할 수 있으면서 균일한 휘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에 지문인식 기술을 도입하여, 이동 단말기의 보안이 강화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기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지문을 인식하는 센서는 이동 단말기에 글래스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가 많으나,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과 공간 활용을 위해 글래스에 지문을 인식하는 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가 고려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의 지문은 골과 마루로 구성되어 있으며, 골과 마루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분해능을 가지는 센서가 글래스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글래스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우려된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글래스에서 지문을 인식할 수 있으면서 균일한 휘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획득하는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1 터치영역의 일부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제2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상기 제1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1 터치센서; 상기 제2 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2 터치센서; 상기 제1,2 터치센서의 후면에 위치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한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전파하는 도광판본체와,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휘도(brightness)가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글래스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된 크기와 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이 상이한 복수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는, 상기 제2 터치센서에 제공되는 상기 빛의 휘도가 상기 제2 터치센서 외부 영역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 보다 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터치센서는, 상기 제1 터치센서 상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의 속성은, 상기 제2 터치영역의 경계를 중심으로 불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밀도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제1,2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에 대응된 상기 제1 윈도우 속성과 상기 제2 터치영역 외에 대응된 상기 제2 윈도우 속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상기 제1 터치영역에 대응된 윈도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상기 속성이 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터치영역은, 상기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터치영역은, 상기 글래스의 엣지(edge)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센싱전극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센싱전극 사이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2 터치영역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하거나, 상기 제2 터치영역에 위치하는 아이콘에 대응된 영역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모드를 다르게 활성화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제2 터치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아이콘을 상기 제2 터치영역 내부로 옮기는 제1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제2 터치센서를 통해 획득한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모드를 다르게 활성화 하는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획득하는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1 터치영역의 일부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제2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상기 제1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1 터치센서; 상기 제2 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2 터치센서; 상기 제1,2 터치센서의 후면에 위치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한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전파하는 도광판본체, 상기 도광판본체의 일 면에 형성되되, 상기 글래스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윈도우 및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휘도와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도광판본체의 내부 위치하여 빛을 산란하는 광확산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광확산입자는, 상기 도광판 내부 영역 중 상기 제1 터치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공간상 밀도와 상기 제2터치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공간상 밀도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광확산입자의 공간상 밀도는, 상기 제2 터치영역의 경계를 중심으로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광확산입자 중 상기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한 제1, 2 광확산입자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에 대응된 상기 제1 광확산입자의 위치에서의 공간상 밀도와 상기 제2 터치영역 외에 대응된 상기 제2 광확산입자의 위치에서의 공간상 밀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글래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글래스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균일한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및 4는 본 발명인이동 단말기의 각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6은, 도 5과 4의 이동 단말기 각각의 측단면도이다.
도 9 내지 12는 글래스에서 제2 터치영역의 위치에 관한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은 도 9의 이동 단말기에서 제1, 2터치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터치센서의 정전 용량과 구동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터치센서의 신호전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터치센서의 센싱전극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내지 21은 여러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내지 24는 지문 인식 기능이 없는 이동 단말기의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 는 도 9의 이동 단말기에서 윈도우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9의 이동 단말기에서 광확산입자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은 도 9의 이동 단말기에서 하부패턴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는 도 10의 이동 단말기에서 윈도우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는 도 10의 이동 단말기에서 광확산입자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은 도 10의 이동 단말기에서 하부패턴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9의 이동 단말기의 윈도우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인식을 통해 잠금 상태에서 접근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정보의 제공 여부에 따라 실행 모드가 달라지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이콘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정보가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과 링크된 아이콘이 제2 터치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작동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지문정보의 이용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도 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20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는 도1a 내지 도 3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또는 케이스(201)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를 수용하는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어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서 이동 단말기는 Z축 방향으로 전면을 향하고, Y축 방향은 이동 단말기의 상부를 나타내며 X축 방향은 이동 단말기의 오른쪽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글래스(300), 제1터치센서(402), 제2터치센서(404), 광시트(420), 도광판(430), 반사시트(440), 프레임(500), 백커버(510), 및 PCB(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터치센서(402)는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제2터치센서(404)는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터치센서(404)가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하는 방식은 스와이프(swipe) 방식 및 정적(static/area)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PCB(520)는 제1, 2터치센서(402, 404)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터치 및 지문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a 및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는 중첩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 글래스(300)에서 도광판(430) 사이의 두께가 이동 단말기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글래스(300)에서 도광판(430) 사이의 두께가 이동 단말기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글래스(300)는 화면을 구성하며, 도광판(430)은 광원(미도시)으로부터 광선(light ray)을 제공받아 제1, 2 터치센서(402, 404)에 제공한다. 제1, 2 터치센서(402, 404)를 통과한 광선은 글래스(300)로 방출된다. 광시트(420)는 도광판(430)과 제1, 2 터치센서(402, 40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440)는 도광판(430)으로부터 후면(Z축의 음의 방향)으로 향하는 광선을 반사시켜 글래스(300)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도 7와 8은 각각 도 5 과 4의 이동 단말기의 측단면도이다. 이동 단말기는 도광판(430)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410)과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411)를 포함할 수 있다.도광판(430)은 그 자체가 빛을 제공하지 않는다. 도광판(430)은 광원(410)으로부터 광선을 제공받고, 도광판(430)에 주입된 광선(light ray)의 일부는 바로 글래스(300)로 향하게 되고, 나머지 광선은 도광판(430) 내부에서 반사하며 진행하는 도중에 제1, 2 터치센서(402, 404)로 향하게 된다.
도광판(430)의 굴절률(refractive index)은 공기보다 높으므로, 임계각(critical angle)보다 작은 각도로 도광판(430)의 표면을 향하는 광선은 전반사를 하며 도광판(430) 내부에서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광원(410)으로부터 광선이 진행하게 된다. 도광판(430)으로부터 제1, 2 터치센서(402, 404)로 향하는 광선에 대하여는 후술하게 된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Y축을 따라 Z방향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Y축을 따라 Z방향의 두께가 일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일체로 형성되어 두께가 일정하더라도, 제1, 2 터치센서(402, 402)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센싱전극의 밀도 차이는, 도광판(430)에서 제1, 2 터치센서(402, 404)로 제공되는 광량이 균일할 경우, 글래스(300)에 제공되는 광량이 불균일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9은 글래스(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터치영역(320)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영역(300)은 제2 터치영역(320)과 제1 터치영역(3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터치영역(33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touch input)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은 사용자의 지문(finger print)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이 디스플레이 영역(300)의 하부에 있으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다룰 때 편리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이동 단말기에 등록된 경우 편리할 수 있다.
도 10은 글래스(300)의 하부에 위치하되 좌우의 엣지(edge)에 접하지 않는 제2 터치영역(320)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터치영역(320)이 디스플레이 영역(300)의 하부에 있으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지문을 인식시키기 용이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제2 터치영역(320)을 사용하는 영역은 디스플레이 영역(300)의 엣지(310)에 접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으로 가정한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터치영역(320)이 글래스(300)상에 위치하여도 사용자가 지문을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을 수 있다. 또한 제2 터치영역(320)의 넓이가 줄어들면 이동 단말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11는 글래스(300)의 하부에 위치하되 오른쪽 엣지에 접하는 제2 터치영역(320)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가 왼손잡이인 경우보다 많으며, 엄지손가락을 지문인식에 등록한 경우, 제2 터치영역(320)을 글래스(300)의 오른쪽 아래에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기술적 구현성도 높일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터치영역(320)을 글래스(300)의 왼쪽 아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왼손잡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은 글래스(300)의 측면 엣지(edge)에 위치하는 제2 터치영역(320)을 나타내며, 도 13은 글래스(30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터치영역(320)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2 터치영역(320)은 글래스(300)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고 있으나, 글래스의 엣지(310)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의 두께는 제1 터치영역(330)의 두께에 비하여 클 수 있으므로, 제2 터치영역(320)을 엣지(310)에 접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글래스(300)의 중앙에 구현하는 것에 비하여 기술적으로 용이할 수 있다.
도 14는 별도의 글래스인 독립패널(370)로 제공되는 제2 터치영역(320)을 도시한다. 여기서 독립패널(370)은 글래스(300)의 구동과는 별개의 제어에 의함을 의미한다. 도 14에서 형상으로 구분하여 보면, 글래스(300)은 직사각형의 패널로 형성되는 반면, 독립패널(370)은 글래스(300)에 접하여 형성되며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독립패널(370)은 글래스(300)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므로, 글래스(300)는 활성화와 비활성화의 단계가 있으나 독립패널(370)은 항상 활성화 단계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터치영역(320)이 독립패널(370)상에 형성되면, 글래스(30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독립패널(37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문을 인식시킴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5은 도 9의 이동 단말기에서 제1, 2 터치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터치영역(320)은 사용자의 터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지문(finger print)은 골(valley)과 마루(ridge)의 간격보다 촘촘한 분해능(resolution)을 가져야 하므로 지문의 획득에 필요한 전송라인(Tx-line, 406)과 수신라인(Rx-line, 408)의 밀도가 제1 터치영역(330)에서의 전송라인과 수신라인의 밀도보다 높게 요구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의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분(line segment)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은 센싱전극으로 칭할 수 있다. 즉 제1 터치센서(402)를 구성하는 센싱전극 사이의 거리는, 제2 터치센서(404)를 구성하는 센싱전극 사이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제1, 2 터치센서(402, 404)가 터치(touch)를 감지하는 방식은, 터치 여부에 따라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 사이의 정전용량(capacitance)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터치센서(404)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가 제1 터치센서(402)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보다 높게 요구될 수 있으므로,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터치센서(404)에서의 정전용량이 제1 터치센서(402)에서의 정전용량보다 높을 수 있다. 즉 C2가 C1 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터치센서(404)의 전송라인(406)에 송신되는 구동펄스(drive pulse) 세기(intensity)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의 전송라인(406)에 송신되는 구동펄스 세기와 다를 수 있다. 즉 V2가 V1보다 높을 수 있다.
제2 터치센서(404)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가 제1 터치센서(402)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보다 높게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터치센서(404)에서 전송라인(406)에 신호를 전송하는 간격(time interval for transmitting signal)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에서 전송라인(406)에 신호를 전송하는 간격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터치센서(404)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는 제1 터치센서(402)를 구성하는 센싱전극의 밀도보다 3배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의 (a) 에서, Tx-line1과 Tx-line2는 제1 터치센서(402)에서의 전송라인(406)을 지시한다. 도 17의 (b)에서 Tx-line1,1 내지 Tx-line1,3는 제2 터치센서(404)에서의 전송라인(406)이되 Tx-line1에 대응되는 전송라인(406)이다. 마찬가지로 Tx-line2,1 내지 Tx-line2,3는 제2 터치센서(404)에서의 전송라인(406)이되 Tx-line2에 대응되는 전송라인(406)이다. 즉 도 17의 (b)에서 제2 터치센서(404)의 전송라인(406) 간격은 제1 터치센서(402)의 전송라인의 간격에 비해 3배 작을 수 있다. 제2 터치센서(404)의 전송라인(406)의 간격이 제1 터치센서(402)의 전송라인의 간격에 비해 3배 작을 경우, 동일한 사이클(cycle)로 입력을 획득하기 위해서 제2터치센서(404)의 각 전송라인(406)에 할당되는 전송시간(T2)은 제1 터치센서(402)의 각 전송라인(406)에 할당되는 전송시간(T1)에 비해 3배 적을 수 있다. 즉 T1은 T2의 3배일 수 있다.
제2 터치센서(404)는, 제1 터치센서(402)과 비교하여 자주 신호를 변경하며 전송하여야 하므로, 제1 터치센서(402)에 비하여 전력을 많이 소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터치센서(404)는 필요할 때에만 가동하는 것이 전력소비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는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제1 터치센서(402)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2 터치영역(320)을 터치하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를 터치함이 감지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의 제2 터치센서(404)가 활성화될 수 있다.
글래스를 모두 제2 터치영역(320)으로 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의 개수가 너무 많아지므로 이동 단말기 자체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도록 별도의 전송라인과 수신라인을 설치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는 제1 터치영역(330)에 대응되도록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을 설치하여 형성하고,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도록 별도의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을 설치하여 제2 터치센서(404)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를 구성하는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은 ,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패턴(diamond pattern)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센서(402)는, 예를 들어 도 xx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영역(330)에 대응하되, 12개의 전송라인(406)과 9개의 수신라인(408)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전송라인(406)과 수신라인(408)은 다이아몬드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의 패턴이 가질 수 있다.
제2 터치센서(404)는 제1 터치센서(40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에 형성된 각각의 다이아몬드 패턴 내부에 복수개의 전송라인(406) 또는 수신라인(408)을 설치함으로써, 제2 터치센서(404)가 제1 터치센서(40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의 (a)와 (b)는, 도 5의 이동 단말기에서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 외부의 영역과 제2 터치영역(320)을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글래스(300)에서 광시트(420)까지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의 (c)는, 도 6의 이동 단말기에서 제2 터치영역(320)을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글래스(300)에서 광시트(420)까지 나타낸 도면이다.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 외부 영역은, 글래스(300), 제1 터치센서(402) 및 광시트(420)를 포함하여 두께를 형성한다. 제1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 제2 터치영역(320)은,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300), 제1 터치센서(402), 제2 터치센서(404) 및 광시트(420)를 포함하여 두께를 형성한다.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제2 터치영역(320)은,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300), 제1 터치센서(402) 및 광시트(420)를 포함하여 두께를 형성한다.
도 19의 (a)와 (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 외부 영역의 두께를 D1이라 하고 제2 터치영역(320)의 두께를 D2라 하면, 제2 터치센서(404)의 두께로 인하여 D2가 D1에 비하여 더 두꺼울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에서 Z축을 향하는 두께는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기존에 도광판에서 Z축을 향하는 두께가 균일함을 전제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하는 경우, 제2 터치영역(320)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머지 영역보다 두꺼울 수 있으므로 제2 터치영역(320)이 나머지 영역보다 어두워 보일 수 있다.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센서(402)와 제2 터치센서(404)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제1 터치영역(330)의 두께와 제2 터치영역(330)의 두께는 모두 D3라 할 수 있으며 동일하다. 그러나,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 외부 영역에 대응되는 제1터치센서(402)의 밀도는,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제1, 2 터치센서(402, 404)의 밀도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도광판을 이용하는 경우, 제2 터치영역(320)이 나머지 영역보다 어두워 보일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도광판(430)은 도광판본체(431)와 윈도우(4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본체(431)의 일측에는 광원(410)이 위치하여 도광판본체(431)에 대해 광선(light-ray)을 제공할 수 있다. 도광판본체(431)는 글래스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광원(410)으로부터 광선을 제공받아 반사시키며 전파(propagation)시킬 수 있다. 도광판본체(431)의 굴절율(refractive index)은 공기의 굴절율에 비하여 크므로 도광판본체(431)의 내부에서 진행하는 광선의 적어도 일부는 전반사될 수 있다.
윈도우(433)는 도광판본체(431)에 형성되되 글래스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433)는, 도 21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광판본체(431)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기(protrude)의 형상이거나, 도 21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광판본체(431)의 표면에서 내부로 공간이 형성되는 홀(hole)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윈도우(433)은 돌기와 홀(hole)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433)는,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본체(431)의 표면에서 글래스를 향해 연장된 형상의 벽(wall)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광판본체(431)의 표면과 벽의 각도는 a라 할 수 있다. 여기서 a 각도가 예각인 경우와 직각인 경우 그리고 둔각인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a 각도가 직각인 경우, 윈도우(433)는 기둥의 형상이 될 수 있다. 단면이 원인 경우 원기둥이 될 수 있다. a 각도가 둔각이고 단면이 원인 경우, 윈도우(433)는 원뿔대(truncated cone)의 형상이 될 수 있다. a 각도가 예각이고 단면이 원인 경우, 윈도우(433)는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원뿔대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윈도우(433)의 굴절율(refractive index)은 도광판본체(431)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a 각도에 따라 윈도우(433)에서 방출하는 빛의 양이 정해질 수 있다.
윈도우(433)는,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본체(431)의 표면에서 내부로 공간이 형성되는 홀(hole)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도광판본체(431)의 표면에서 내부로 향해 연장된 형상의 벽(wall)을 형성할 수 있고, 도광판본체(431)의 표면과 벽의 연장선과의 각도는 a라 할 수 있다. 윈도우(433)의 굴절율(refractive index)은 도광판본체(431)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a각도에 따라 윈도우(433)에서 방출하는 빛의 양이 정해질 수 있다.
윈도우(433)가 홀(hole)의 형상인 경우, 도 16의 (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벽의 연장선과 도광판본체(431)의 표면 사이 각도인 a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410)에 가까운 벽의 경우 a 각도가 둔각으로 형성되고 광원(410)으로부터 멀리 있는 벽의 경우 a 각도가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향에 따라 a 각도가 달리함으로써 광원(410)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글라스에 제공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광판본체(431)의 내부에서 진행하는 광선이 윈도우(433)에 입사하면, 도광판본체(431)의 표면과 다른 입사각(injection angle)을 가지므로 전반사하지 않고 투과될 수 있다. 윈도우(433)를 투과한 광선은 글래스를 향해 진행할 수 있다.
도 2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광판(430)은 도광판본체(431) 내부에 광확산입자(434)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선(visible light ray)가 광확산입자(434)에 입사하면, 광확산입자(434)는 광선을 반사하되 반사되는 광선은 동시에 여러 방향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는 중합체(polymer)일 수 있으며 특히 폴리스티렌(polystyrene)일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는 도광판본체(431) 내부에서 균일한 분포를 가질 수 있으며, 도광판본체(431) 내부에서 불균일한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430)은 글래스(300)와 마주하는 면에 윈도우(4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윈도우(433)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spatial density)는 Y축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윈도우(433)가 균일하게 분포된 경우,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도광판(430)에서 글래스(300)에 제공하는 광량을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윈도우(433)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경우라도,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도광판(430)에서 글래스(300)에 제공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광판(430)은, 반사시트(440)와 마주보는 도광판본체(431)의 일 면에 형성되는 하부패턴(436)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은 도광판본체(431)의 외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광판본체(43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형상은 X축과 나란한 기둥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그 단면은 삼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원형 및 타원형이 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형상에 따라 하부패턴(436)에 입사하는 광선이 반사하는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Y축을 따라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에 따라, 글래스(300)에 제공되는 광량의 공간상 분포가 달라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도광판(430)에서 글래스(300)에 제공하는 광량을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윈도우(433)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경우라도,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도광판(430)에서 글래스(300)에 제공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윈도우(433)의 형상은, 도 24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두 일정하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밀도가 다를 수 있다. 지문인식 기능이 없는 경우 글래스와 터치센서가 적층된 구조는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광원으로부터의 거리(Y축상 거리)에 따라 글래스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는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윈도우(433)의 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도 24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Y축상 거리에 따라 윈도우(433)의 공간상 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도 24의 (b)는 도 24의 (a)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Y축상 거리에 따라 윈도우(433)의 공간상 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를 포함하는 도광판(430)의 경우, 광확산입자(434)는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포될 수 있다. 도광판본체(431)의 일 면에 형성된 윈도우(433)는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으며, 불균일하게 분포되더라도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글래스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는, 도 25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Y축상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Y축상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을 포함하는 도광판(430)의 경우, 하부패턴(436)은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포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글래스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형상은 원뿔일 수 있으며, 원뿔대 또는 다각뿔일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상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Y축상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도 26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X축 상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형상이 도광판본체(431)의 일 면을 따라 접하는 기둥의 형상인 경우, 하부패턴(436)은 길이방향이 서로 나란하거나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7는 도 9의 이동 단말기의 윈도우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에서 제2 터치영역(320)은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한다. 도 27에서 복수의 윈도우(433)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도광판(430)의 영역 중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는, 도광판(430)의 영역 중 제1 터치영역(33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보다 높게 함으로써 글래스를 통과하는 광선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광판이 글래스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제1, 2 터치센서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거나 제 1, 2 터치센서의 밀도가 균일하지 않으므로 윈도우(433)의 분포 패턴은 도 24에 도시된 윈도우의 분포 패턴과 다를 수 있다. 도 2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광판(430)의 영역 중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도광판본체(431)에 형성되는 윈도우(433)의 공간상 밀도는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Y축상을 따라) 높아질 수 있다.
한편 Y축을 따라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서, 도광판(430)에서 글래스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제1, 2 터치센서의 두께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거나 제1, 2 터치센서의 밀도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즉 제2 터치영역(320) 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글래스에 제공하는 광선의 휘도가 불연속적일 수 있다. 글래스에 제공하는 광선의 휘도는 윈도우(433)의 밀도에 의존할 수 있으므로,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윈도우(433)의 밀도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비윈도우면적(specific transparent hole area)의 개념을 도입한다. 비윈도우면적은, 도광판(430)의 일 지점에서 도광판(430)의 단위면적당 윈도우(433)의 면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비윈도우면적은 윈도우(433)의 크기와 밀도에 의존할 수 있다. 비윈도우면적을 변화시키는 방안으로서, 윈도우(433)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되 윈도우(433)의 밀도를 변화시키는 방안, 윈도우(433)의 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되 윈도우(433)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방안, 그리고 윈도우(433)의 밀도와 크기를 동시에 변화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도 27에서와 같이, 윈도우(433)의 형상이 동일한 경우 윈도우(433)의 밀도는 윈도우(433)의 비윈도우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윈도우면적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면 증가하되 제2 터치영역(320)과 제1 터치영역(33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서의 윈도우(433)의 밀도 또는 비윈도우면적을 살펴볼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일 지점을 제1지점(340), 제1지점에 인접한 제2 터치영역(320)의 지점을 제2지점(350), 그리고 제1지점에 인접한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의 외부 영역의 지점을 제3지점이라 할 수 있다.
도 27의 (a) 및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지점(350)에서의 윈도우(433)의 밀도(dnst2)는 제3지점(360)에서의 윈도우(433)의 밀도(dnst3)보다 클 수 있다. 비윈도우면적의 관점에서 보면, 제2지점(350)에서의 비윈도우면적은 제3지점(360)에서의 비윈도우면적 보다 넓을 수 있다.
도 27의 (b)에서는 윈도우(433)의 분포 패턴이, 도 24의 (b)의 윈도우 분포 패턴과 다를 수 있다. 연속과 불연속의 관점에서 보면,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일 지점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증감(increase and decrease)의 관점에서 보면, 도 24의 경우 윈도우(433)의 밀도 또는 비윈도우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비하여, 도 27의 경우 윈도우(433)의 밀도 또는 비윈도우면적은 증가, 감소, 그리고 증가의 경향을 보인다.
도 28은 도 9의 이동 단말기의 광확산입자의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에서 제2 터치영역(320)은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한다.
윈도우(43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433)는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는 도광판본체(431)의 내부에 도 2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을 따라 공간상 밀도가 변화할 수 있다. 특히 Y축을 따라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서, 도광판(430)에서 글래스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제1, 2, 터치센서의 두께 또는 밀도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광판(430)에서 글래스에 제공하는 광선의 휘도가 불연속적일 수 있으므로,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하여 도광판(430)에서 글래스에 제공하는 광선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는 도 2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8의 (b)는 도 28의 (a)를 Y축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제1 지점(340)에서의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인 dnst1은 제2 지점(350)에서의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dnst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dnst2는 제3 지점(360)에서의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dnst3) 보다 클 수 있다.
도 29은 도 9의 이동 단말기의 하부패턴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에서 제2 터치영역(320)은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한다.
윈도우(43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433)는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은 도광판본체(431)의 내부에서 또는 도광판본체(431)의 일 면에서, 도 2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을 따라 공간상 밀도가 변화할 수 있다. Y축을 따라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서 도광판(430)에서 글래스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제1, 2 터치센서의 두께 또는 밀도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글래스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가 공간상 불연속적으로 분포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글래스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가 조정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도 2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제1 지점(340)에서의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dnst1)는 제2 지점(350)에서의 광확산입자(436)의 공간상 밀도(dnst2)보다 클 수 있고, dnst2는 제3 지점(360)에서의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dnst3)보다 클 수 있다.
도 30은 도 10의 이동 단말기에서 윈도우의 공간상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에서 복수 개의 윈도우(433)의 형상은 일정할 수 있다. 도 10에서 제2 터치영역(320)은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하되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한다. 도 10에서 A-A 방향에 따른 공간상 밀도는 도 30의 (b)에 도시되고, 도 10에서 B-B 방향에 따른 밀도는 도 30의 (c)에 도시된다.
도 30의 (a)에서 하부에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영역이다. 즉 점선은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상의 라인이다. 도 30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윈도우(433)의 공간상 밀도 또는 비윈도우면적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면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제2 터치영역(320)과 제1 터치영역(33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상의 지점에서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그래프를 통해 살펴보면, 도 30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Y축에 따라 윈도우(433)의 밀도 패턴은 도 30의 (b)에 도시된 밀도 패턴과 유사하다. Y축이 시작하는 점에서 Y축 방향으로 점선까지의 거리를 V1이라 하고 Y축이 시작하는 점에서 도광판(430)의 엣지(edge)까지의 거리를 V2라 하면, 윈도우(433)의 밀도는 V1까지 증가하나, V1에서 불연속 또는 감소하며, 다시 V2까지 증가하는 패턴을 가진다.
좌우방향인 X축에 따라 윈도우(433)의 밀도 패턴을 살펴보면 도 30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 X축이 시작하는 점에서 X 축 방향으로 점선과 만나는 곳의 거리를 각각 H1, H2라 할 수 있고, X축이 시작하는 점에서 X축 방향으로 도광판(430) 의 엣지(edge)까지의 거리를 H3라 할 수 있다. 도 30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윈도우(433)의 밀도는 X축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하나 H1에서 급격한 증가 또는 불연속적 증가를 한 이후 일정하며, 다시 H3에서 급격한 감소 또는 불연속적 감소를 한다. 도 30의 (c)에서, 구간 [0,H1), (H1, H2), 그리고 (H2, H3]에서의 윈도우(433) 밀도는 일정하지 않고 증가 또는 감소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윈도우(433)의 공간상 밀도는, H1에서 급격한 증가 또는 불연속적 증가를 하며, H2에서 급격한 감소 또는 불연속적 감소를 한다는 점에서 도 30의 (c)의 특징이 있다.
도 30의 (a) 및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지점(350)에서의 윈도우(433)의 밀도(dnst2)는 제3지점(360)에서의 윈도우(433)의 밀도(dnst3)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비윈도우면적의 관점에서 보면, 제2지점(350)에서의 비윈도우면적은 제3지점(360)에서의 비윈도우면적보다 같거나 넓을 수 있다.
도 31는 도 10의 이동 단말기의 광확산입자의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에서 복수 개의 윈도우(433) 형상은 일정할 수 있으며,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도 31의 (a)에서 하부에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영역이다. 즉 점선은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 상의 라인이다.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는, 도 31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면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제2 터치영역(320)과 제1 터치영역(33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상의 지점에서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 패턴은 도 28의 (b)에 도시된 밀도 패턴과 유사하다. Y축이 시작하는 점에서 Y축 방향으로 점선까지의 거리를 V1이라 하고 Y축이 시작하는 점에서 도광판(430)의 엣지(edge)까지의 거리를 V2라 하면, 광확산입자(434)의 밀도는 V1까지 증가하나, V1에서 불연속 또는 감소하며, 다시 V2까지 증가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를 좌우방향인 X축을 따라 살펴보면, 도 31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 도 31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는 X축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하나 H1에서 급격한 증가 또는 불연속적 증가를 한 이후 일정하며, 다시 H3에서 급격한 감소 또는 불연속적 감소를 한다. 도 31의 (c)에서, 구간 [0,H1), (H1, H2), 그리고 (H2, H3]에서의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는 일정하지 않고 약간의 증가 또는 감소(quasi-uniform)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광확산입자(434)의 공간상 밀도는, H1에서 급격한 증가 또는 불연속적 증가를 하며, H2에서 급격한 감소 또는 불연속적 감소를 한다는 점에서 도 31의 (c)의 특징이 있다.
도 32은 도 10의 이동 단말기의 하부패턴의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에서 복수 개의 윈도우(433) 형상은 일정할 수 있으며,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도 32의 (a)에서 하부에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영역이다. 즉 점선은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 상의 라인이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도 32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면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제2 터치영역(320)과 제1 터치영역(330)의 경계에 대응되는 도광판(430) 상의 지점에서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도 29의 (b)에 도시된 밀도 패턴과 유사하다. 하부패턴(436)의 밀도는 V1까지는 증가하나, V1에서 불연속적 감소 또는 급격한 감소를 하며, 다시 V2까지 증가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를 좌우방향인 X축을 따라 살펴볼 수 있다. 도 32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X축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나 H1에서 급격한 증가 또는 불연속적 증가를 한 이후 일정할 수 있고 다시 H3에서 급격한 감소 또는 불연속적 감소를 할 수 있다. 도 32의 (c )에서, 구간 [0,H1), (H1, H2), 그리고 (H2, H3]에서의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일정하지 않고 약간의 증가 또는 감소(quasi-uniform)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하부패턴(436)의 공간상 밀도는, H1에서 급격한 증가 또는 불연속적 증가를 하며, H2에서 급격한 감소 또는 불연속적 감소를 한다는 점에서 도 32의 (c)의 특징이 있다.
도 33은 도 9의 이동 단말기의 윈도우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에서 제2 터치영역(320)은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한다. 도 33에서 윈도우(433)의 밀도는 도광판(430)의 영역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나 윈도우(433)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윈도우(433)의 크기(size)가 커지면 윈도우(433)을 통해 글래스에 제공되는 광선의 양이 커질 수 있다.
도 33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터치영역(320)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영역에서 Y축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윈도우(433)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의 외부 영역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영역에서 Y축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윈도우(433)의 크기가 커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일 지점에 대응되는 도광판(430)의 지점에서 윈도우(433)의 크기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윈도우(433)의 크기 패턴을 그래프로 살펴보면, 도 33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터치영역(320)과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 외부 영역에 대응되는 각각의 영역 내에서 윈도우(433)의 크기는 Y축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커질 수 있다. 그러나 제2 터치영역(320)의 경계 중 제1 터치영역(330)과 중첩되는 일 지점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윈도우(433)의 크기는 급격하게 작아지거나 불연속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800)는 글래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사용자(700)의 지문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는 제1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700)의 터치동작 중 제2 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700)의 지문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터치동작과 지문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80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700)가 제2 터치영역을 터치한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면, 사용자(700)의 지문을 인식하여 이동 단말기(800)를 활성화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도 1의 제어부(180)가 될 수 있다. 제어부는 도3 내지 6에 도시된 PCB(520)에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80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700)가 제2 터치영역을 복수 회 터치하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이동 단말기(800)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지문정보를 터치동작의 종점에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사용자(700)의 첫번째 터치를 인식하여 사용자(700)의 지문을 획득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사용자(700)의 두번째 터치에서 사용자(700)로부터 지문을 획득하여 이동 단말기(800) 또는 특정 어플리캐이션(application)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도 3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인식을 통해 잠금상태에서 접근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800)는 잠금상태(locked)이며, 잠금상태의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보안과 관계가 적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700)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보안과 관계가 있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갤러리(gallery) 어플리케이션)을 잠금 화면에서 바로 실행하고자 할 때, 사용자(800)는 지문인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도 3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700)가 제2터치영역(320)에 지문을 제공하면, 사용자(700)의 지문을 획득하여 사용자(700)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가 사용자(700)의 지문을 획득하여 인증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획득된 지문이 인증되지 못하면, 제어부는, 도 35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잠금상태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820)을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830)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제2 터치영역(320)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과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서로 밀접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700)의 지문정보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잠금 상태에서 접근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됨에 따라, 사용자(700)가 예를 들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830)을 터치하면, 도 3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이라 하더라도 제1 터치영역(330)을 통해 입력이 획득된 경우와 제2 터치영역(330)을 통해 입력이 획득된 경우는 그 실행 모드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영역(330)을 통해 음악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관한 입력이 획득된 경우, 도 3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800)에 저장된 음악 파일의 재생만 할 수 있을 수 있다. 반면 제2 터치영역(320)을 통해 음악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관한 입력이 획득된 경우, 도 3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800)에 저장된 음악 파일의 재생뿐만 아니라 온라인(on-line) 음원 시장에서 음원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동 단말기(800)에 저장된 음악 파일의 편집(editing)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는 인증되거나 인증되지 못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터치영역(320)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가 인증되는 경우, 도 3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700)의 신원(identification)이 요구되는 음원 구매 등이 가능한 실행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2 터치영역(320)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가 인증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도 36의 (a)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700)의 신원이 요구되지 않는 음악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실행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2 터치영역(320)에 위치하는 아이콘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에 따라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모드를 다르게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의 외부에 위치하는 아이콘(850)을 드래그-앤-드랍(drag-and-drop)으로 제2 터치영역(320)으로 위치시키는 제1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700)는, 도 3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앤-드랍으로 아이콘(850)을 제2터치영역(320) 외부의 제1 터치영역(330)에서 제2 터치영역(32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터치영역(3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아이콘(850)을 통해 획득한 지문 정보에 따라 아이콘(850)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2 터치센서(404)를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의 인증 여부에 따라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모드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터치영역(330)에 위치하는 아이콘(850)을 드래그-앤-드랍(drag-and-drop)으로 제1 터치영역(330) 중 제2 터치영역(320)의 외부 영역으로 위치시키는 제2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700)는, 도 3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앤-드랍으로 아이콘(850)을 제2 터치영역(320)에서 제2 터치영역(33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터치센서(402)를 통해 획득한 입력에 의해 아이콘(850)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지문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850)은 제2터치영역(320)에 위치하여야 바람직하나, 제2 터치영역(320) 외부의 제1 터치영역(330)에 위치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지문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850)이 제2 터치영역(320) 외부의 제1 터치영역(330)에 위치하는데도, 사용자(700)가 실행하는 경우를 먼저 고려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 경우 도 3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알람(alarm) 소리를 내도록 하면서 제2 터치영역(320)의 색깔 또는 명도 등을 변화하며 사용자(700)의 지문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지문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850)이 제2 터치영역(320) 외부의 제1 터치영역(330)에 위치하고, 사용자(700)가 이를 인지하나 아이콘(850)을 제2 터치영역(320)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 경우 도 3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그래그-앤- 홀드(drag-and-hold)를 통해 지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700)가 아이콘(850)을 제2 터치영역(320)으로 드래그(drag)한 이후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하면, 제어부는 제2 터치센서(404)를 통해 사용자(700)의 지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보안(security)은 지문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제2터치센서(404)로부터 지문 정보를 획득(S10)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기가 잠금상태인지 여부(S20)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작동이 달라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잠금상태인 경우, 제2 터치센서(404)로부터 획득된 지문의 인증(certification) 여부(S30)가 문제된다. 획득된 지문이 인증되면,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소유자가 사용할 수 있는 소유자 홈화면으로 이동 단말기를 활성화(S40)할 수 있다. 반면 획득된 지문이 인증되지 못하면, 제어부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손님 홈화면으로 이동 단말기를 활성화(S50)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잠금상태가 아닌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아이콘이 터치되었는지 여부(S60)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작동이 달라질 수 있다. 아이콘이 터치되었을 경우, 제2 터치센서(404)로부터 획득된 지문의 인증 여부(S70)가 문제된다. 획득된 지문이 인증되면, 제어부는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이 제한 없이 실행(S90)되도록 할 수 있다.
획득된 지문이 인증되지 못하면, 제어부는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이 제한을 가지며 실행(S80)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의 특정 기능이 제한된 상태로 실행되거나, 앱 자체의 실행이 제한되거나, 단말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도록 단말 자체를 잠글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이콘이 터치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는 제2 터치영역(404)으로부터 획득한 지문정보를 폐기하고 다음 신호 입력을 기다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획득하는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1 터치영역의 일부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제2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상기 제1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1 터치센서;
    상기 제2 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2 터치센서;
    상기 제1,2 터치센서의 후면에 위치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한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전파하는 도광판본체와,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휘도(brightness)가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도광판본체의 상기 글래스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되, 크기와 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이 상이한 복수의 윈도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는,
    상기 제2 터치센서에 제공되는 상기 빛의 휘도가
    상기 제2 터치센서 외부 영역에 제공되는 광선의 휘도 보다 크도록 배치된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센서는,
    상기 제1 터치센서 상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이동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의 속성은,
    상기 제2 터치영역의 경계를 중심으로 불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이동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밀도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밀도보다 큰 이동 단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에 대응된 윈도우의 크기 보다 큰 이동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제1,2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에 대응된 상기 제1 윈도우 속성과 상기 제2 터치영역 외에 대응된 상기 제2 윈도우 속성이 서로 다른 이동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상기 제1 터치영역에 대응된 윈도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상기 속성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영역은,
    상기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영역은,
    상기 글래스의 엣지(edge)에 접하도록 위치한 이동 단말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센싱전극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센싱전극 사이의 거리와 다른 이동 단말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영역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하거나, 상기 제2 터치영역에 위치하는 아이콘에 대응된 영역을 통해 획득한 지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모드를 다르게 활성화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제2 터치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아이콘을 상기 제2 터치영역 내부로 옮기는 제1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제2 터치센서를 통해 획득한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콘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모드를 다르게 활성화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획득하는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1 터치영역의 일부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제2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상기 제1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1 터치센서;
    상기 제2 터치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위치한 제2 터치센서;
    상기 제1,2 터치센서의 후면에 위치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한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전파하는 도광판본체,
    상기 도광판본체의 일 면에 형성되되, 상기 글래스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윈도우 및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휘도와 상기 제1 터치영역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외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도광판본체의 내부 위치하여 빛을 산란하는 광확산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광확산입자는,
    상기 제1터치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밀도와 상기 제2터치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서의 밀도가 상이한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확산입자의 공간상 밀도는,
    상기 제2 터치영역의 경계를 중심으로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확산입자 중 상기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한 제1, 2 광확산입자 중,
    상기 제2 터치영역 내에 대응된 상기 제1 광확산입자의 위치에서의 공간상 밀도와 상기 제2 터치영역 외에 대응된 상기 제2 광확산입자의 위치에서의 공간상 밀도가 서로 다른 이동 단말기.
PCT/KR2015/013701 2015-11-27 2015-12-15 이동 단말기 WO201709081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909365.7A EP3383001B1 (en) 2015-11-27 2015-12-15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359 2015-11-27
KR1020150167359A KR102401009B1 (ko) 2015-11-27 2015-11-27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0816A1 true WO2017090816A1 (ko) 2017-06-01

Family

ID=5876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701 WO2017090816A1 (ko) 2015-11-27 2015-12-15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21922B2 (ko)
EP (1) EP3383001B1 (ko)
KR (1) KR102401009B1 (ko)
WO (1) WO20170908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8206A (zh) * 2018-05-25 2018-09-1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0837B2 (en) * 2016-06-21 2020-06-23 Apple Inc. Backlist displays with bent light guide layers
KR20180014644A (ko) 2016-08-01 2018-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WO2018026155A1 (en) * 2016-08-01 2018-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touch
KR102384014B1 (ko) * 2017-03-14 2022-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검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08664177B (zh) * 2017-03-29 2021-11-12 上海耕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指纹识别开启应用的方法和装置
CN106993072A (zh) * 2017-05-12 2017-07-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及移动终端
CN109426766A (zh) * 2017-08-23 2019-03-05 上海箩箕技术有限公司 指纹成像模组和电子设备
KR102433103B1 (ko) * 2017-10-02 2022-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647606B (zh) * 2018-04-28 2020-07-1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EP3637305A4 (en) * 2018-08-15 2020-07-01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OPTICAL FINGERPRINT DETECTION SYSTEM UNDER A SCREEN, BACKLIGHT MODULE,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EP3644222A4 (en) 2018-08-24 2020-08-26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METHOD AND DEVICE FOR FINGERPRINT RECOGNITION UNDER A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20220052128A1 (en) * 2018-09-10 2022-02-1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DE102018215735A1 (de) * 2018-09-17 2020-03-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CN109767713A (zh) * 2019-01-09 2019-05-17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屏、显示屏驱动方法及显示装置
CN109937378A (zh) * 2019-01-31 2019-06-25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显示模组、屏下光学指纹系统及电子装置
CN111831240B (zh) * 2019-04-17 2022-02-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屏幕的显示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00139941A (ko) 2019-06-05 2020-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적 지문 인식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원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적 지문 인식 방법
CN111256889B (zh) * 2020-01-07 2021-05-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触觉传感器、触觉事件的检测方法、装置及智能机器人
CN111881753B (zh) * 2020-06-28 2022-11-0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和显示装置
KR20230011523A (ko) * 2021-07-13 2023-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1861095B2 (en) * 2021-10-20 2024-01-02 Dish Network Technologies India Private Limited Touchscreen lock feature for playback of media con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458A (ko) * 2008-09-04 2010-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KR20130046977A (ko) * 2011-10-28 2013-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30139536A (ko) * 2012-06-13 2013-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장치
KR20150079251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7802A (ko) * 2015-01-16 2015-07-30 크루셜텍 (주) 터치 센싱과 지문 센싱을 모두 인식할 수 있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067B1 (ko) * 2006-02-28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센서 장치
US8311514B2 (en) 2010-09-16 2012-11-13 Microsoft Corporation Prevention of accidental device activation
EP2710582A4 (en) * 2011-05-17 2014-12-31 Cross Match Technologies Inc DIGITAL FOOTPRINT SENSORS
US20130127784A1 (en) * 2011-11-22 2013-05-2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iding optical contrast features
JP5992165B2 (ja) * 2011-12-19 2016-09-14 ミネベア株式会社 入力装置
US9063262B2 (en) * 2012-08-29 2015-06-23 Osram Sylvania Inc. Lightguide design techniques
US9176614B2 (en) * 2013-05-28 2015-11-0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dapative sensing component resolution based on touch location authentication
KR102206394B1 (ko) * 2013-12-17 2021-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작업 설정 방법
CN104035620B (zh) * 2014-06-20 2018-09-07 深圳印象认知技术有限公司 光学感应键、触摸屏、指纹采集设备、电子设备
US9915776B2 (en) * 2015-09-04 2018-03-13 Concraft Holding Co., Ltd. Light guide mechanism of fingerprint recognition pla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458A (ko) * 2008-09-04 2010-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KR20130046977A (ko) * 2011-10-28 2013-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30139536A (ko) * 2012-06-13 2013-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장치
KR20150079251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7802A (ko) * 2015-01-16 2015-07-30 크루셜텍 (주) 터치 센싱과 지문 센싱을 모두 인식할 수 있는 전자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383001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8206A (zh) * 2018-05-25 2018-09-1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83001B1 (en) 2021-02-03
US20170153743A1 (en) 2017-06-01
EP3383001A1 (en) 2018-10-03
KR102401009B1 (ko) 2022-05-24
EP3383001A4 (en) 2019-07-03
US10921922B2 (en) 2021-02-16
KR20170062030A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0816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90823A1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10221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07060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76474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94926A1 (ko)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7043710A1 (en) Smart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6114444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8124334A1 (ko) 전자장치
WO2019168238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05257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133701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130053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8043844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26555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10595A1 (ko) 키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 시스템
WO2015194723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126012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194694A1 (ko) 이동 단말기
WO2022045408A1 (ko) 알림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29990A1 (ko) 이동 단말기
WO2017183764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01508A1 (ko) 이동 단말기
WO2016200005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7052004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9093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