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40496A1 - 소화 기능이 구비된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벽체 - Google Patents
소화 기능이 구비된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6140496A1 WO2016140496A1 PCT/KR2016/002055 KR2016002055W WO2016140496A1 WO 2016140496 A1 WO2016140496 A1 WO 2016140496A1 KR 2016002055 W KR2016002055 W KR 2016002055W WO 2016140496 A1 WO2016140496 A1 WO 2016140496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 water pipe
- heat
- insulating material
- sandwich pa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7—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by closing openings in walls or the like in the case of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2001/949—Construction elements filled with liquid, e.g. water, either permanently or only in case of fir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외장패널; 상기 한 쌍의 외장패널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연소열보다 녹는점이 높은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단열재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삽입되는 상측열차단판 및 하측열차단판; 상기 단열재의 연소열에 녹을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상측열차단판과 하측열차단판 사이에 삽입되는 수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벽체를 이용하면, 화재 발생으로 인해 내부의 단열재에 불이 붙은 경우 상기 단열재 측으로 물이 분사되므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고, 단열재에 붙은 불이 상측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화재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별도의 수도관을 설치하지 아니하더라도 급수가 가능하므로 보다 간편한 건축물 시공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된 외장패널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된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 소화 기능이 자동으로 구현되는 샌드위치패널 및 건축벽체에 관한 것이다.
샌드위치패널은 공사기간이 짧고, 시공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건축비가 기존의 건축자재에 비해 상당히 절감할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내부에 단열재가 포함되어 단열효과가 뛰어나 붉은 벽돌의 21.5배, 콘크리트의 49배나 되는 우수한 단열효과로 건물의 유지 관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조립식 건축자재이다.
뿐만 아니라, 분해 시 거의 훼손되지 않아서 재활용이 가능하고, 볼트나 너트 또는 나사 등에 의해 쉽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시공성이 좋으며, 외장패널에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칼라 색상의 무늬 등을 넣어서 미려한 미관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타 건축자재에 비해 우수한 장점 때문에 조립식으로 건축할 수 있는 공장건축과 냉동창고, 물류창고 등을 포함하는 산업시설의 95% 이상과 조립식 주택의 건축에 샌드위치 패널이 대량으로 사용 시공되어 왔다.
이와 같이 샌드위치패널은 보온, 단열 및 소음차단 효과를 위하여 합성수지제를 발포한 스치로폼 등의 단열재가 외장패널 사이에 충진되도록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외장패널은 금속으로 제작되므로 불이 붙지 아니하지만, 스치로폼 단열재는 불이 붙기 쉬운 재질이어서 화재 발생 시 화재 확산이 매우 빠르게 진행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단열재에 붙은 불은 금속제의 외장패널에 의해 가려지므로 상기 샌드위치패널 측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더라도 단열재의 불이 쉽게 꺼지지 아니하며, 단열재의 연소 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단열재에 존재하고 있던 잔불에 의해 다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샌드위치패널은 수도관 매립이 불가하므로, 샌드위치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벽체를 시공하는 경우, 수도관을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KR 10-063689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화재 발생 시 상기 단열재 측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화재의 조기 진압이 가능해지고, 단열재에 붙은 불이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수도관을 설치하지 아니하더라도 급수가 가능함에따라 사람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외장패널; 상기 한 쌍의 외장패널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연소열보다 녹는점이 높은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단열재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삽입되는 상측열차단판 및 하측열차단판; 상기 단열재의 연소열에 녹을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상측열차단판과 하측열차단판 사이에 삽입되는 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수관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급수밸브; 상기 외장패널 또는 상기 단열재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수관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밸브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외장패널; 상기 한 쌍의 외장패널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 파이프 형상을 이루도록 불연성 재질로 제작되되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수관; 상기 수관 내부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벽체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샌드위치패널; 사각기둥 형상의 연결용 단열재와, 상기 연결용 단열재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덮도록 결합되는 연결용 외장패널과, 상기 연결용 단열재의 연소열보다 녹는점이 높은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연결용 단열재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삽입되는 연결용 상측열차단판 및 연결용 하측열차단판과, 상기 연결용 단열재의 연소열에 녹을 수 있는 재료로 삼방밸브 또는 사방밸브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연결용 상측열차단판과 연결용 하측열차단판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용 수관으로 구성되어, 직각으로 배열된 두 개의 샌드위치패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용 수관의 입출구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샌드위치패널의 수관은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용 수관과 연통되도록 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벽체를 이용하면, 화재 발생으로 인해 내부의 단열재에 불이 붙은 경우 상기 단열재 측으로 물이 분사되므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고, 단열재에 붙은 불이 상측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화재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별도의 수도관을 설치하지 아니하더라도 급수가 가능하므로 보다 간편한 건축물 시공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열차단판과 수관을 인출시킨 샌드위치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의 설치구조를 도시하는 수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벽체에 포함되는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벽체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벽체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샌드위치패널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샌드위치패널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수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샌드위치패널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벽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열차단판과 수관을 인출시킨 샌드위치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의 설치구조를 도시하는 수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은 상호 평행하도록 이격된 한 쌍의 외장패널(100) 사이에 단열재(200)가 충진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벽체용 건축자재로서, 화재가 발생되어 단열재(200)가 연소될 때 상기 단열재(200) 측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단열재(200) 연소를 진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은 한 쌍의 외장패널(100) 사이에 충진된 단열재(200)의 상측에, 단열재(200)의 연소열에 녹을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되는 수관(300)이 추가로 구비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수관(300)은 상온에서는 내수성을 가지면서 단열재(200) 연소열이 인가될 때 녹을 수 있다면 고무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종류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고, 삼각형, 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재(200) 내에 수관(300)이 매립 설치되면, 평소에는 수관(30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지만, 단열재(200)가 연소될 되면 상기 수관(300)이 녹아 수관(300) 내부의 물이 아래로 흘러 내려가 단열재(200) 연소를 진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은, 단열재(200)가 연소될 때 자체적으로 소화수가 방출되는바 화재에 의한 상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한 쌍의 외장패널(100) 사이로 정확하게 물을 분사하기 어려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의 효용성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한편, 샌드위치패널의 단열재(200)에 붙은 불이 다른 샌드위치패널로 전파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열재(200)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삽입되는 열차단판(4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차단판(400)은 수관(300)의 상측에 삽입되는 상측열차단판(410)과 수관(300)의 하측에 삽입되는 하측열차단판(420)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측열차단판(410)과 하측열차단판(420)은 단열재(200) 연소열에 의해 녹지 아니하도록 상기 단열재(200)의 연소열보다 녹는점이 높은 재료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단열재(200)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열차단판(400)이 구비되면, 단열재(200)에 붙은 불이 열차단판(400)에 의해 차단되어 상측으로 더 이상 퍼지지 아니하는바, 대형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단열재(200)가 녹아 하측열차단판(420)이 아래로 떨어졌을 때에는, 상기 수관(300)이 단열재(200) 연소열에 의해 녹아 수관(300) 내부의 물이 아래로 배출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차단판(400)이 단순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면 외력 인가 시 쉽게 변형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상측열차단판(410)과 하측열차단판(420)은 모두 폭방향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패널은 다수 개 연결하여 건축구조물의 벽체로 활용되는데, 상기 수관(300)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면 두 개의 샌드위치패널이 직각으로 배열될 때 상기 두 개의 샌드위치패널에 포함된 수관(300)이 상호 연결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관(300)이 연결되지 못하면, 어느 하나의 수관(300)에 물을 공급하였을 때 모든 수관(300) 내부에 물이 채워지지 못하므로, 화재진압 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샌드위치패널에 포함되는 수관(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상측 및 하측에 배열된 수관(300) 참조)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길이방향 양측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우측에 배열된 수관(300) 참조)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끝단이 두 갈래로 분기된 형상(좌측에 배열된 수관(300) 참조)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관(300)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면, 사용자는 다수 개의 샌드위치패널을 연결할 때 적절한 형상의 수관(300)을 갖는 샌드위치패널을 선택함으로써, 모든 수관(300)을 일체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관(300)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 어떠한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벽체에 포함되는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벽체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샌드위치패널 별로 수관(300) 형태가 상이하게 제작되면, 샌드위치패널 제작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샌드위치패널을 연결하여 건축벽체를 시공할 때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샌드위치패널의 수관(300)이 모두 일자 형상으로 제작되더라도 서로 다른 두 개의 샌드위치패널을 직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샌드위치패널 폭방향 끝단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건축벽체는 단순히 샌드위치패널 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샌드위치패널과 연결부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 형상의 연결용 단열재(200a)와, 상기 연결용 단열재(200a)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덮도록 결합되는 연결용 외장패널(100a)과, 상기 연결용 단열재(200a)의 연소열보다 녹는점이 높은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연결용 단열재(200a)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삽입되는 연결용 상측열차단판(410a) 및 연결용 하측열차단판(420a)과, 상기 연결용 단열재(200a)의 연소열에 녹을 수 있는 재료로 삼방밸브 또는 사방밸브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연결용 상측열차단판(410a)과 상기 연결용 하측열차단판(420a)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용 수관(300a)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직각으로 배열된 두 개의 샌드위치패널 끝단 사이에 삽입 장착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용 수관(300a)은 3개 또는 4개의 입출구가 90도의 사이각을 두고 배치되는바 직각으로 배열된 두 개의 수관(300)을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샌드위치패널 이외에 연결부재가 추가로 제공되면, 샌드위치패널에 포함된 수관(300)이 모두 일자 형상으로 제작되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배열된 두 개의 샌드위치패널 사이를 채울 수 있음은 물론, 두 개의 샌드위치패널에 구비된 수관(300)을 연통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 건축벽체에 하나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용 수관(300a)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3방밸브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즉, 3개의 입출구를 구비하는 경우, 2개의 입출구는 서로 다른 수관(300)에 연결되지만 나머지 하나의 입출구는 수관(300)과 연결되지 아니한다. 이때, 수관(300)과 연결되지 아니한 연결용 수관(300a)의 입출구가 개방된 상태로 방치되면, 내측으로 공급된 물이 연결용 수관(300a)의 입출구 중 개방된 입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관(300) 내부가 물로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용 수관(300a) 중 개방된 입출구에는,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마개(500)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마개(500)는 연결용 수관(300)의 입출구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용 수관(300a)의 끝단 중 수관(300)과 연결되지 아니한 끝단에 상기 마개(500)가 체결되면 상기 연결용 수관(300a)으로 공급된 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모두 샌드위치패널의 수관(300)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마개(500)는 나사결합 구조로 연결용 수관(300a)에 결합될 수도 있고,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용 수관(300a)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마개(500)는 연결용 수관(300a)의 입출구를 밀폐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도 상기 연결용 수관(300a)의 입출구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벽체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샌드위치패널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연결부재에 포함되는 연결용 수관(300a)이 4방밸브 구조 즉, 4개의 입출구가 90도 각도로 배열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외측을 향하는 입출구(이하 '외향 입출구'라 약칭한다)에 수도꼭지(610)가 장착된 배수관(600)을 연결하여, 상기 수관(300) 및 연결용 수관(300a)을 급수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벽체에 배수관(600)을 연결시킬 수 있으면, 별도의 수도관을 설치하지 아니하더라도 건축구조물의 각 지점으로 급수가 가능해지므로, 건축구조물의 배관이 간단해지고, 이에 따라 건축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수관(300)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관(310)과 냉수관(320)으로 나누어 구성하면, 온수와 냉수를 각각 구분하여 급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샌드위치패널에 온수관(310)과 냉수관(320)이 모두 구비되면, 냉수와 온수를 모두 급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 시 온수관(310)에 채워져 있던 물과 냉수관(320)에 채워져 있던 물이 모두 아래로 배출되므로, 화재진압 효과가 2배로 향상된다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도 8은 샌드위치패널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수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샌드위치패널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 발생 시 단열재(200)의 연소열에 의해 수관(300)이 녹는 구조로 구성되면, 수관(300)에 채워져 있던 물만 아래로 배출되고, 추가적인 물 공급은 이루어지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수관(300)에 채워져 있던 물만으로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샌드위치패널 연소가 다시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관(300)이 녹을 만큼 단열재(200)가 연소되기 이전에는 즉, 단열재(200) 연소가 막 시작된 시점에서는 수관(300) 내부의 물이 아래로 배출되지 못하므로, 화재의 초기 진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 패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수관(300)이 불연성 재질로 제작되되 다수 개의 관통공(302)이 형성되며, 상기 수관(300) 내부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700)가 추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공(302)이 수관(300)의 상하 및 좌우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관통공(302)의 배열패턴 및 이격거리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수관(300)에 관통공(302)이 형성되는 경우, 평소에는 내부에 물이 채워져 있지 아니한 상태 즉, 비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 시 급수밸브(700)의 조작에 의해 내부로 물이 유입된다. 상기 수관(300) 내부로 유입된 물은 관통공(302)을 통해 샌드위치패널 내부로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재가 발생되지 아니한 평상시에 수관(300) 내부가 비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은 경우 수관(300)의 동파 및 결로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수관(300)은 화재가 발생되더라도 녹지 아니하도록 불연성 재료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급수밸브(70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단열재(200)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급수밸브(700)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감지센서(8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감지센서(800)가 단열재(200) 내부에 인입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온도감지센서(800)는 외장패널(100)에 밀착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고, 수관(3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온도감지센서(800)는, 샌드위치패널에 불이 붙었을 때 이를 감지할 수만 있다면 어느 지점에도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센서(800)에 더하여 또는 선택적으로 연기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외장패널
200 : 단열재
300 : 수관
302 : 몸체
304 : 관통공
306 : 저융점패킹
310 : 온수관
320 : 냉수관
400 : 열차단판
410 : 상측열차단판
420 : 하측열차단판
500 : 마개
600 : 배수관
610 : 수도꼭지
700 : 급수밸브
800 : 온도감지센서
Claims (1)
-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외장패널(100)과, 상기 한 쌍의 외장패널(100)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200)와, 상기 단열재(200)의 연소열보다 녹는점이 높은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단열재(200)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삽입되는 상측열차단판(410) 및 하측열차단판(420)과, 상기 단열재(200)의 연소열에 녹을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상측열차단판(410)과 하측열차단판(420) 사이에 삽입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수관(300)으로 구성되는 샌드위치패널;사각기둥 형상의 연결용 단열재(200a)와, 상기 연결용 단열재(200a)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덮도록 결합되는 연결용 외장패널(100a)과, 상기 연결용 단열재(200a)의 연소열보다 녹는점이 높은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연결용 단열재(200a)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삽입되는 연결용 상측열차단판(410a) 및 연결용 하측열차단판(420a)과, 상기 연결용 단열재(200a)의 연소열에 녹을 수 있는 재료로 사방밸브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연결용 상측열차단판(410a)과 연결용 하측열차단판(420a)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용 수관(300a)으로 구성되어, 직각으로 배열된 두 개의 샌드위치패널을 연결하되 상기 연결용 수관(300a)이 상기 샌드위치패널의 수관(300)과 연통되도록 장착되는 연결부재;상기 연결용 수관(300a)의 외향 입출구 중 하나 이상의 외향 입출구에 연결되며, 끝단에 수도꼭지(610)가 장착된 배수관(600);상기 연결용 수관(300a)의 외향 입출구 중 상기 배수관(600)이 연결되지 아니한 외향 입출구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마개(500);를 포함하여, 상기 수도꼭지(610)를 통해 외부로 급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0337 | 2015-03-04 | ||
KR1020150030337A KR101558528B1 (ko) | 2015-03-04 | 2015-03-04 | 소화 기능이 구비된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40496A1 true WO2016140496A1 (ko) | 2016-09-09 |
Family
ID=5434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6/002055 WO2016140496A1 (ko) | 2015-03-04 | 2016-03-02 | 소화 기능이 구비된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벽체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256717A1 (ko) |
KR (1) | KR101558528B1 (ko) |
CN (1) | CN105937288A (ko) |
WO (1) | WO201614049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98997A (zh) * | 2017-02-06 | 2017-06-06 | 河南城建学院 | 一种自动灭火瓷砖套件 |
CN107869212A (zh) * | 2017-11-20 | 2018-04-03 | 长沙翼希网络科技有限公司 | 便于灭火的预制墙板 |
KR102019691B1 (ko) | 2018-08-20 | 2019-09-09 | 신길수 | 샌드위치 패널의 자동분출형 소화장치 |
KR102116822B1 (ko) | 2019-04-02 | 2020-05-29 | 주식회사 은현에이엔디 |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구조 |
KR102369610B1 (ko) | 2021-06-03 | 2022-03-07 | 박상관 | 소화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패널 |
KR102487128B1 (ko) | 2022-02-18 | 2023-01-11 | 김경수 | 건축물용 화재 지연 방화패널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0305B1 (ko) * | 2002-05-08 | 2006-11-29 | 록스텍 아베 | 케이블 도입부를 위한 다중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 등의개구를 위한 방화벽 |
KR100672955B1 (ko) * | 2005-12-29 | 2007-01-22 | 주식회사 케이씨씨 | 내화 성능이 우수한 샌드위치 패널용 연결부재 |
KR20110007360U (ko) * | 2010-01-18 | 2011-07-26 | 이병구 | 급수 호스가 내장된 샌드위치 판넬 |
KR101476836B1 (ko) * | 2013-06-27 | 2014-12-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방재 벽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KR101481321B1 (ko) * | 2013-09-25 | 2015-01-14 | 경기도 | 소화 기능이 구비된 샌드위치 패널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551226A (en) * | 1925-01-14 | 1925-08-25 | J B Wise Inc | Mixing valve for tub and shower baths |
US3363378A (en) * | 1966-01-12 | 1968-01-16 | Dow Chemical Co | Building panel and method of assembly |
US3462897A (en) * | 1966-02-07 | 1969-08-26 | Urethane Structures Inc | Building construction and residential build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on construction site |
US4163349A (en) * | 1977-05-26 | 1979-08-07 | Smith Glenn W | Insulated building panels |
US4578909A (en) * | 1982-12-30 | 1986-04-01 | Enercept, Inc. | Insulated building construction |
US4852316A (en) * | 1987-11-13 | 1989-08-01 | Composite Panel Manufacturing | Exterior wall panel |
US5245809A (en) * | 1991-05-16 | 1993-09-21 | Harrington Bruce E | Urethane insulating panel and method |
US5519971A (en) * | 1994-01-28 | 1996-05-28 | Ramirez; Peter B. | Building 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panel assembly system |
CN201190375Y (zh) * | 2008-04-03 | 2009-02-04 | 广州市建筑科学研究院 | 通水除热节能建筑板 |
CA2872634C (en) * | 2012-06-07 | 2020-08-25 | Dow Global Technologies Llc | Foam wall insulation system |
AU2012244116B1 (en) * | 2012-07-04 | 2013-03-21 | Systems Pty Ltd | Building system and panel for a building system |
-
2015
- 2015-03-04 KR KR1020150030337A patent/KR10155852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2-26 CN CN201610109204.8A patent/CN105937288A/zh active Pending
- 2016-03-02 WO PCT/KR2016/002055 patent/WO201614049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3-02 US US15/058,908 patent/US20160256717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0305B1 (ko) * | 2002-05-08 | 2006-11-29 | 록스텍 아베 | 케이블 도입부를 위한 다중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 등의개구를 위한 방화벽 |
KR100672955B1 (ko) * | 2005-12-29 | 2007-01-22 | 주식회사 케이씨씨 | 내화 성능이 우수한 샌드위치 패널용 연결부재 |
KR20110007360U (ko) * | 2010-01-18 | 2011-07-26 | 이병구 | 급수 호스가 내장된 샌드위치 판넬 |
KR101476836B1 (ko) * | 2013-06-27 | 2014-12-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방재 벽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KR101481321B1 (ko) * | 2013-09-25 | 2015-01-14 | 경기도 | 소화 기능이 구비된 샌드위치 패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8528B1 (ko) | 2015-10-13 |
US20160256717A1 (en) | 2016-09-08 |
CN105937288A (zh) | 2016-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6140496A1 (ko) | 소화 기능이 구비된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벽체 | |
CN206833641U (zh) | 一种建筑火灾监控报警装置 | |
KR101026256B1 (ko) | 화염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 |
KR101953513B1 (ko) | 건물내외벽의 화재확산 방지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건물내외벽의 화재확산 방지품 | |
CN208733858U (zh) | 一种建筑用防火墙 | |
KR100898917B1 (ko) | 패널 벽체의 자동소화 장치 | |
CN211257419U (zh) | 一种景点绿色防火通道的防火墙结构 | |
KR20010008185A (ko) | 공동주택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세대배관의 상층부 슬래브내 설치 | |
CN111973908B (zh) | 一种挡烟垂壁及其应用的防烟分区划分方法 | |
KR102487128B1 (ko) | 건축물용 화재 지연 방화패널 | |
CN213174452U (zh) | 一种防火混凝土预制墙板 | |
CN111053997A (zh) | 利用室内消防栓环状管网供水的自动喷水灭火系统及其施工方法 | |
KR20110123451A (ko) | 조립식 패널 방화시스템 및 소화캡 | |
KR20120021588A (ko) | 스프링클러 헤드 | |
KR101143881B1 (ko) | 건물 화재 진압용 소방 쿨러 시스템 | |
CN110295951A (zh) | 一种应用于电缆隧道的装配式防火墙及装配方法 | |
KR20120065977A (ko) | 화재 확산 방지시스템을 가진 건축용 조립판넬 | |
CN213897879U (zh) | 一种防火保温装饰一体化板 | |
CN211705704U (zh) | 利用室内消防栓环状管网供水的自动喷水灭火系统 | |
CN216304923U (zh) | 一种防火型钢结构柱 | |
CN102465621A (zh) | 防火空间结构及其注水式防火门组结构 | |
CN210507866U (zh) | 一种a级防火一体化保温免拆外模板 | |
CN211819060U (zh) | 一种新型隔热防火门 | |
CN107217753A (zh) | 一种装配式墙体构造 | |
CN215870700U (zh) | 一种电缆沟防火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67591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32PN |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3/01/2018)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67591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